KR20100131642A - 환체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환체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1642A
KR20100131642A KR1020090050345A KR20090050345A KR20100131642A KR 20100131642 A KR20100131642 A KR 20100131642A KR 1020090050345 A KR1020090050345 A KR 1020090050345A KR 20090050345 A KR20090050345 A KR 20090050345A KR 20100131642 A KR20100131642 A KR 20100131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olding
molding plate
arrangement stat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0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호
Original Assignee
조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호 filed Critical 조용호
Priority to KR1020090050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1642A/ko
Publication of KR20100131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16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6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pills, lozenges or drag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16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using pocketed rollers, e.g. two co-operating pocketed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18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using profiled roll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체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반죽재료를 둥글게 빚어 환체(
Figure 112009034430276-PAT00001
)를 제조하기 위한 환체제조장치에 있어서,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설치되고, 일 표면에 원호단면의 제1성형홈이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성형판과; 이격거리를 두고 상기 제1성형판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체에 설치되고, 상기 제1성형홈에 대향하는 영역에는 상기 제1성형홈과 협조하여 원형단면을 이루는 제2성형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2성형판과; 상기 제1성형판과 상기 제2성형판이 이격되어 있는 분리배치상태에서 상기 제2성형홈과 상기 제1성형홈이 접촉하여 원형단면을 형성하는 접근배치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제2성형판과 상기 제1성형판을 접근시키고, 상기 접근배치상태에서 상기 제2성형홈과 상기 제1성형홈이 상기 제1성형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되는 개방배치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제2성형판과 상기 제1성형판을 상기 제1성형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끄럼 상대 이동시키며, 상기 개방배치상태에서 상기 분리배치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제2성형판과 상기 제1성형판을 상대 이동시키는 판구동부와; 상기 제1성형판과 상기 제2성형판의 배치상태를 상기 분리배치상태에서 상기 접근배치상태로 전환시키는 접근구동과 상기 제1성형판과 상기 제2성형판의 배치상태를 상기 접근배치상태에서 상기 개방배치상태로 전환시키는 개방구동과 상기 제1성형판과 상기 제2성형판의 배치상태를 상기 개방배치상태에서 상기 분리배치상태로 전환시키는 복귀구동이 순차적으로 반복되도록 상기 판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단단하고 형태성이 개선된 환체를 성형 제작할 수 있다.
환체, 절환, 장환, 반죽,

Description

환체제조장치{Device for Manufacturing Spherical Body}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체제조장치의 결합사시도,
도2, 도3, 도4 및 도5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체제조장치의 요부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체제조장치의 제어블럭도,
도7, 도8, 도9, 도10, 도11, 도12, 도13 및 도14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체제조장치의 동작배치상태도,
도15는 종래의 환체제조장치의 결합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지지체 11 : 메인프레임
12 : 지지판 21 : 제1성형판
24 : 제2성형판 26, 27 : 청소부재
28, 29 : 탈거부재 30 : 판구동부
40 : 접근분리구동부 41 : 지지봉
42 : 스토퍼 43 : 스프링
44 : 작동판 45 : 작동봉
46 : 작동핀 47 : 작동관
48 : 접근분리모터 50 : 개방복귀구동부
51 : 구동타이밍풀리 52 : 종동타이밍풀리
53 : 타이밍벨트 54 : 개방복귀모터
60 : 장환생성부 61 : 재료가압부
62 : 반죽관 63 : 장환금형
71, 72, 75, 76 : 센서 77 : 제어부
78 : 스위칭회로부 80 : 조작부
111 : 시트성형롤러 112 : 장환성형롤러
113 : 절환롤러 114 : 롤러구동부
본 발명은 환체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루재료로 반죽된 반죽재료를 둥글게 빚어 환체(
Figure 112009034430276-PAT00002
)를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취식용이, 정량 복용 등의 목적으로 환약(丸藥), 세라믹볼, 다시마환, 민들레환 등과 같이 둥근 환(丸)형태로 제조되는 것이 있으며, 이를 위해 환체제조장치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15는 종래의 환체제조장치의 결합사시도이다.
종래의 환체제조장치는,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성형갭(111a)이 사이공간에 형성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시트성형롤러(111)와, 시트성형롤러(111)의 하 측에 배치된 한 쌍의 장환성형롤러(112)와, 장환성형롤러(112)의 하측에 배치된 한 쌍의 절환롤러(113)와, 각 쌍의 시트성형롤러(111), 장환성형롤러(112) 및 절환롤러(113)를 각각 구동하는 롤러구동부(114)를 갖고 있다.
한 쌍의 시트성형롤러(111)는 통상의 벨트형 성형롤러와 같이 외표면이 매끄럽게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장환성형롤러(112)는 외표면 전 영역에 걸쳐 반원단면의 장환성형홈(112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외표면이 상호 접촉되고 그 접촉상태에서 반원단면의 장환성형홈(112a)이 협조하여 원형단면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절환롤러(113)는 외표면 전 영역에 걸쳐 반구(半球)단면의 절환홈(113a)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외표면이 상호 접촉되고 그 접촉상태에서 절환홈(113a)이 협조하여 구(半)단면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
롤러구동부(114)는 한 쌍의 시트성형롤러(111)를 반대방향으로 구동시키고, 각 쌍의 장환성형롤러(112) 및 절환롤러(113)를 각각 반대방향으로 구동시킨다.
그리고 롤러구동부(114)는 한 쌍의 장환성형롤러(112)중 일방을 나머지 하나보다 좀 더 빨리 회전 구동시키고, 한 쌍의 절환롤러(113)중 일방을 나머지 하나보다 좀 더 빨리 회전 구동시키도록 구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환체제조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분기를 사용하여 원료를 분쇄한다. 이하 분쇄된 원료를 가루원료라고 한다.
다음에 가루원료에 풀, 꿀 등의 점결재를 첨가한다. 이하 점결재(點結材)가 첨가된 가루원료를 환재료라고 한다.
다음에 반죽기를 사용하여 환재료를 반죽한다. 이하 반죽된 환재료를 반죽재료라고 한다.
다음에 호퍼를 통해 반죽재료를 한 쌍의 시트성형롤러(111) 사이로 투입한다. 한 쌍의 시트성형롤러(111) 사이로 투입된 반죽재료는 시트성형갭(111a)을 통과하면서 반죽시트(115)가 된다.
다음에 반죽시트(115)가 한 쌍의 장환성형롤러(112)를 통과하면 가락형태의 장환(116, 長丸)이 된다.
다음에 장환(116)이 절환롤러(113)를 통과하면 구형태의 환체(117)가 된다.
그런데 종래의 환체제조장치에 따르면, 절환롤러(113)의 절단동작과 절단동작시 장환성형홈(112a)의 압착력에 의해 환체가 형성되기 때문에 형태성이 나쁘고(환체가 완전한 구(球)가 되기 어렵고 외표면이 미려하지 못함) 단단하지 못하다(재료입자사이의 결합력이 적음)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형태성을 개선하기 위해 점결재를 많이 넣게 되면 입자사이의 결합력이 증가하여 복용시 분해시간이 길어진다는 2차적인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단하고 형태성이 개선된 환체를 성형 제작할 수 있도록 한 환체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반죽재료를 둥글게 빚어 환체(
Figure 112009034430276-PAT00003
)를 제조하기 위한 환체제조장치에 있어서,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설치되고, 일 표면에 원호단면의 제1성형홈이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성형판과; 이격거리를 두고 상기 제1성형판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체에 설치되고, 상기 제1성형홈에 대향하는 영역에는 상기 제1성형홈과 협조하여 원형단면을 이루는 제2성형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2성형판과; 상기 제1성형판과 상기 제2성형판이 이격되어 있는 분리배치상태에서 상기 제2성형홈과 상기 제1성형홈이 접촉하여 원형단면을 형성하는 접근배치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제2성형판과 상기 제1성형판을 접근시키고, 상기 접근배치상태에서 상기 제2성형홈과 상기 제1성형홈이 상기 제1성형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되는 개방배치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제2성형판과 상기 제1성형판을 상기 제1성형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끄럼 상대 이동시키며, 상기 개방배치상태에서 상기 분리배치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제2성형판과 상기 제1성형판을 상대 이동시키는 판구동부와; 상기 제1성형판과 상기 제2성형판의 배치상태를 상기 분리배치상태에서 상기 접근배치상태로 전환시키는 접근구동과 상기 제1성형판과 상기 제2성형판의 배치상태를 상기 접근배치상태에서 상기 개방배치상태로 전환시키는 개방구동과 상기 제1성형판과 상기 제2성형판의 배치상태를 상기 개방배치상태에서 상기 분리배치상태로 전환시키는 복귀구동이 순차적으로 반복되도록 상기 판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체제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환체의 제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성형판과 상기 제2성형판이 접근배치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1성형홈과 상기 제2성형홈의 상측에 배치 되도록 상기 지지체에 설치된 반죽관과, 가락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락공이 상기 반죽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반죽관의 하단에 설치된 장환금형과, 상기 반죽관에 주입된 성형재료가 상기 가락공을 통해 압출되도록 상기 반죽관에 주입된 성형재료를 가압하는 재료가압부를 갖는 장환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성형판과 상기 제2성형판이 상기 분리배치상태에 있을 때 상기 반죽관에 주입된 성형재료가 상기 가락공을 통해 압출되도록 상기 재료가압부를 제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성형홈과 제2성형홈으로부터 환체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성형판에 결합된 제1성형보조판과, 상기 제2성형판에 결합된 제2성형보조판과, 상기 제1성형판과 상기 제2성형판의 배치상태가 상기 접근배치상태에서 상기 개방배치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제2성형홈에 진입하도록 상기 제1성형보조판에 설치된 제1탈거부재와, 상기 제1성형판과 상기 제2성형판의 배치상태가 상기 접근배치상태에서 상기 개방배치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제1성형홈에 진입하도록 상기 제2성형보조판에 설치된 제2탈거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성형홈과 제2성형홈에 부착된 반죽찌꺼기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성형판에 결합된 제1성형보조판과, 상기 제2성형판에 결합된 제2성형보조판과, 상기 제2성형홈에 대응하는 제1청소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성형판과 상기 제2성형판의 배치상태가 상기 접근배치상태에서 상기 개방배치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제1청소면이 상기 제2성형홈의 내표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제1성형보조판에 설치되는 제1청소부재와, 상기 제1성형홈에 대응하는 제2청소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성형판과 상기 제2성형판의 배치상태가 상기 접근배치상태에서 상기 개방배치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제2청소면이 상기 제1성형홈의 내표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제2성형보조판에 설치되는 제2청소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판구동부를 간단한 구조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상기 판구동부는 상기 제1성형판과 상기 제2성형판의 배치상태가 상기 분리배치상태에서 상기 접근배치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제2성형판을 상기 제1성형판에 대하여 접근시키고 상기 제1성형판과 상기 제2성형판이 상기 개방배치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2성형판을 상기 제1성형판의 판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상기 2성형판을 상기 제1성형판에 대하여 분리 이동시키는 접근분리구동부와, 상기 제1성형판과 상기 제2성형판이 상기 접근배치상태에서 상기 개방배치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제1성형판을 상기 제2성형판의 판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제2성형판에 대하여 이동시키고 상기 제1성형판과 상기 제2성형판이 상기 개방배치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1성형판을 상기 제2성형판의 판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제2성형판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개방복귀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성형판이 상기 제1성형판의 판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이동한 후 상기 제1성형판이 상기 제2성형판의 판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복귀구동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접근분리구동부와 상기 개방복귀구동부를 제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성형판과 제2성형판을 안정적으로 분리배치상태에서 접근배치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성형판에 결합된 제2성형보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근분리구동부는 상기 제2성형판의 전방영역에서 상기 제2성형판에 나란하도록 상기 제2성형판에 결합된 작동판과, 상기 작동판과 상기 제1성형판을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양단이 상기 지지체에 고정된 한 쌍의 지지봉과, 상기 제2성형판의 전방영역에서 상기 제2성형판에 나란하도록 상기 제2성형판에 결합된 작동판과, 외표면에 작동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작동판을 통과하도록 상기 지지체에 설치된 작동봉과, 상기 작동봉을 정역 회전 구동하는 접근분리모터와, 상기 분리배치상태와 접근배치상태에서 상기 제2성형판을 상기 제1성형판을 향해 탄성 가압하도록 상기 지지봉에 설치된 스프링과, 상기 접근배치상태에서 상기 제2성형보조판에 접촉하도록 상기 지지봉에 설치된 스토퍼와, 핀헤드와 상기 핀헤드부로부터 직선상으로 연장된 핀다리부를 가지고 상기 핀헤드가 상기 작동판과 상기 제2성형판의 사이영역에서 상기 작동판에 대하여 이격되도록 상기 작동판에 결합된 한 쌍의 작동핀과, 내표면에 작동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는 작동관부와 상기 작동관부의 일단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플랜지를 가지고 상기 작동판과 상기 제2성형판의 사이영역에서 상기 작동나사홈이 상기 작동나사산에 맞물리고 상기 플랜지를 통해 상기 핀다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작동판에 결합된 작동관을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성형홈과 제2성형홈의 크기에 적응하여 환체를 성형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봉은 상기 스토퍼의 설치영역에 조절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조절나사산에 결합된 스토퍼너트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체제조장치의 결합사시도이고, 도2, 도3, 도4 및 도5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체제조장치의 요부사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체제조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체제조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10)와, 지지체(10)에 설치된 제1성형판(21) 및 제2성형판(24)과, 제1성형판(21)에 결합된 제1성형보조판(22)과, 제2성형판(24)에 결합된 제2성형보조판(25)과, 제1성형보조판(22)에 설치된 제1청소부재(26) 및 제1탈거부재(28)와, 제2성형보조판(25)에 설치된 제2청소부재(27) 및 제2탈거부재(29)와, 제1성형판(21)과 제2성형판(24)을 이동시키는 판구동부(30)와, 지지체(10)에 설치된 재료가압부(61)를 갖는 장환생성부(60)와, 판구동부(30)와 재료가압부(61)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80)와, 지지체(10)에 설치된 좌이동위치검출센서(71), 우이동위치검출센서(72) 및 분리위치검출센서(38)와, 후술하는 작동판(44)에 설치된 접근위치검출센서(39)와, 재료가압부(61)에 설치된 상승위치검출센서(75) 및 하강위치검출센서(76)와, 조작부(80)의 조작배치상태와 센서(38, 39, 71, 72, 75, 76)의 검출신호에 따라 판구동부(30)와 재료가압부(61)를 제어하는 제어부(77)를 갖고 있다.
지지체(10)는 메인프레임(11)과, 메인프레임(11)에 결합된 지지판(12), 반죽관지지판(13) 및 실린더지지판(14) 및 전방프레임(15)을 갖고 있다.
메인프레임(11)은 지면에 나란하게 배치된 수평프레임(11a)과, 수평프레임(11a)에 기립 설치된 수직프레임(11b)과, 수직프레임(11b)의 후방에 배치된 부속 설비프레임(11c)을 갖고 있다.
지지판(12)은 수직프레임(11b)에 나란하도록 수직프레임(11b)에 고정되어 있다.
반죽관지지판(13)은 수평프레임(11a)에 나란하도록 수직프레임(11b)에 고정되어 있다.
반죽관지지판(13)은 중앙영역에 관이동안내공(13a)이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지지판(14)은 반죽관지지판(13)의 상측에서 수평프레임(11a)에 나란하도록 수직프레임(11b)에 고정되어 있다.
전방프레임(15)은 지지판(12)을 통과하여 수직프레임(11b)에 고정된 4개의 수평바(15a)와, 2개의 수평바(15a)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수직바(15b)와, 한 쌍의 수직바(15b)를 연결하는 한 쌍의 보조바(15c)를 갖고 있다.
제1성형판(21)은 테프론 등의 단단한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전면에 원호단면의 제1성형홈(21a)이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1성형판(21)은 후술하는 지지봉(41)을 통해 수직프레임(11b)에 나란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1성형판(21)의 설치는 제1성형홈(21a)이 전방을 향하도록 이루어진다.
제2성형판(24)은 테프론 등의 단단한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배면에 제2성형홈(24a)이 제1성형홈(21a)과 협조하여 원형단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2성형판(24)은 지지봉(41)을 통해 제1성형판(21)의 전 방에서 수직프레임(11b)에 나란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제2성형판(24)의 설치는 제2성형홈(24a)이 제1성형홈(21a)에 대향하도록 이루어진다.
제1성형보조판(22)은 배면에 한 쌍의 슬라이딩안내관(22a)이 상하로 배치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1성형보조판(22)은 슬라이딩안내관(22a)을 통해 후술하는 안내봉(2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제1성형판(21)에 결합된다.
제2성형보조판(25)은 지지봉(41)이 관통하도록 제2성형판(24)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2성형보조판(25)은 지지봉(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제1청소부재(26)는 대략 디귿자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제1청소부재바디부(26a)와, 제1청소부재바디부(26a)의 좌측 연부에 지그재그 형태로 돌출 형성된 제1청소돌부(26b)를 갖고 있다.
각 제1청소돌부(26b)는 제2성형홈(24a)에 대응하는 제1청소면(26c)이 형성되어 있고, 제1청소부재바디부(26a)의 폭방향을 따라 제1끼움홈(26d)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1청소부재(26)는 제1끼움홈(26d)이 제1성형판(21)을 향하도록 제1성형보조판(22)의 우측단에 결합된다.
여기서 제1청소부재(26)의 결합은 후술하는 개방복귀구동부(50)에 의해 제1성형판(21)이 제2성형판(24)의 판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제1청소면(26c)이 제2성형홈(24a)의 내표면에 접촉하도록 이루어진다.
각 제1탈거부재(28)는 대략 귀이개와 비슷하게 형성되어 있고, 제1끼움홈(26d)에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제1탈거부재(28)의 결합은 후술하는 개방복귀구동부(50)에 의해 제1성형판(21)이 제2성형판(24)의 판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제2성형홈(24a)에 진입하도록 이루어진다.
제2청소부재(27)는 대략 디귿자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제2청소부재바디부(27a)와, 제2청소부재바디부(27a)의 우측 연부에 지그재그 형태로 돌출 형성된 제2청소돌부(27b)를 갖고 있다.
각 제2청소돌부(27b)는 제1성형홈(21a)에 대응하는 제2청소면(27c)이 형성되어 있고, 제2청소부재바디부(27a)의 폭방향을 따라 제2끼움홈(27d)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2청소부재(27)는 제2끼움홈(27d)이 제2성형판(24)을 향하도록 제2성형보조판(25)의 좌측단에 결합된다. 여기서 제2청소부재(27)의 결합은 후술하는 개방복귀구동부(50)에 의해 제1성형판(21)이 제2성형판(24)의 판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제2청소면(27c)이 제1성형홈(21a)의 내표면에 접촉하도록 이루어진다.
각 제2탈거부재(29)는 대략 귀이개와 비슷하게 형성되어 있고, 제2끼움홈(27d)에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제2탈거부재(29)의 결합은 후술하는 개방복귀구동부(50)에 의해 제1성형판(21)이 제2성형판(24)의 판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 제1성형홈(21a)에 진입하도록 이루어진다.
판구동부(30)는 제2성형판(24)을 제1성형판(21)에 대하여 접근시키고 분리 이동시키는 접근분리구동부(40)와, 제1성형판(21)을 제2성형판(24)의 판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는 개방복귀구동부(50)를 갖고 있다.
접근분리구동부(40)는 4개의 간격바(44a)를 통해 제2성형판(24)에 결합된 작동판(44)과, 양단이 지지판(12)과 보조바(15c)에 고정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지지봉(41)과, 지지봉(41)에 설치된 스토퍼(42) 및 스프링(43)과, 지지블럭(49)을 통해 수평바(15a)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작동봉(45)과, 작동판(44)에 결합된 한 쌍의 작동핀(46) 및 작동관(47)과, 접근분리감속기(48a)와 접근분리커플링(48b)을 통해 작동봉(45)에 연결된 접근분리모터(48)를 갖고 있다.
작동판(44)은 제2성형판(24)의 전방영역에서 제2성형판(24)에 나란하도록 제2성형판(24)에 결합된다.
각 지지봉(41)은 작동판(44)과 제1성형판(21)을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각 지지봉(41)은 스토퍼(42)의 설치영역에 조절나사산(41a)이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42)는 조절나사산(41a)에 결합된 스토퍼너트(42a)와, 스토퍼너트(42a)의 전방에 설치된 스토퍼와셔(42b)를 갖고 있다.
스토퍼너트(42a)가 조절나사산(41a)에 결합되는 위치는 제1성형홈(21a)과 제2성형홈(24a)이 접촉할 때 제2성형보조판(25)이 스토퍼와셔(42b)에 접촉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스토퍼와셔(42b)는 분리배치상태(제1성형판과 제2성형판이 이격되어 있는 상 태)에서 접근배치상태(제2성형홈과 제1성형홈이 접촉하여 원형단면을 형성하는 상태)에 도달할 때 제2성형판(24)에 접촉하도록 지지봉(41)에 설치된다.
스프링(43)은 한 쌍의 스프링지지와셔(43a) 사이에서 압축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스프링(43)의 압축은 제1성형판(21)과 제2성형판(24)의 분리배치상태와 접근배치상태에서 제2성형판(24)을 제1성형판(21)을 향해 탄성 가압하도록 설정된다. 그리고 스프링(43)의 압축상태는 스프링지지관(43b)과 스프링지지너트(43c)에 의해 한 쌍의 스프링지지와셔(43a)의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그리고 스프링지지너트(43c)의 설치위치를 변경하여 제2성형판(24)에 대한 스프링(43)의 탄성 가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
작동봉(45)은 외표면에 작동나사산(45a)이 형성되어 있고, 작동판(44)을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각 작동핀(46)은 핀헤드(46a)와, 핀헤드(46a)로부터 직선상으로 연장된 핀다리부(46b)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각 작동핀(46)은 핀헤드(46a)가 작동판(44)과 제2성형판(24)의 사이영역에서 작동판(44)에 대하여 이격되도록 작동판(44)에 결합된다.
작동관(47)은 내표면에 작동나사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는 작동관부(47a)와, 작동관부(47a)의 일단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플랜지(47b)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작동관(47)은 작동판(44)과 제2성형판(24)의 사이영역에서 작동나사홈(도시되지 않음)이 작동나사산(45a)에 맞물리도록 작동판(44)에 결합 된다. 여기서 작동관(47)과 작동판(44)의 결합은 플랜지(47b)에 결합되는 한 쌍의 작동핀(46)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작동관(47)은 플랜지(47b)를 통해 핀다리부(46b)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접근분리모터(48)는 동작전압의 극성에 따라 작동봉(45)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접근분리구동부(40)에 의해 분리배치상태에서 접근배치상태로 전환될 수 있고, 제1성형판(21)과 제2성형판(24)이 개방배치상태(제2성형홈과 제1성형홈이 제1성형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된 상태)에 있을 때 제2성형판(24)을 제1성형판(21)의 판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제2성형판(24)을 제1성형판(21)에 대하여 분리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개방복귀구동부(50)는 수직프레임(11b)에 나란하도록 지지판(12)에 설치된 구동타이밍풀리(51) 및 종동타이밍풀리(52)와, 구동타이밍풀리(51)와 종동타이밍풀리(52)에 결합된 타이밍벨트(53)와, 개방복귀감속기(55)와 개방복귀커플링(56)을 통해 구동타이밍풀리(51)에 연결된 개방복귀모터(54)를 갖고 있다.
타이밍벨트(53)는 제1성형보조판(22)에 결합되어 있다.
개방복귀모터(54)는 동작전압의 극성에 따라 구동타이밍풀리(51)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개방복귀구동부(50)에 의해 제1성형판(21)과 제2성형판(24)이 접근배치상태에서 개방배치상태로 전환되도록 제1성형판(21)을 제2성형판(24)의 판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제2성형판(24)에 대하여 이동시키고 제1성형 판(21)과 제2성형판(24)이 개방배치상태에 있을 때 제1성형판(21)을 제2성형판(24)의 판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장환생성부(60)는 재료가압부(61)에 더하여 반죽관지지판(13)에 설치된 반죽관(62)과, 조임링(64)을 통해 반죽관(62)의 하단에 설치된 장환금형(63)을 갖고 있다.
반죽관(62)은 제1성형판(21)과 제2성형판(24)이 접근배치상태에 있을 때 제1성형홈(21a)과 제2성형홈(24a)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반죽관(62)은 관이동안내공(13a)을 통해 지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장환금형(63)은 가락공(63a)이 형성되어 있고, 가락공(63a)이 반죽관(62)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반죽관(62)의 하단에 설치된다. 여기서 가락공(63a)의 수는 제1성형판(21)의 크기가 커지면 증가시킬 수 있다.
재료가압부(61)는 실린더지지판(14)에 설치된 유압실린더(61a)와, 유압실린더(61a)에 유압유를 공급하고 회수하는 실린더구동부(61b)와, 유압실린더(61a)의 피스톤로드에 결합된 가압헤드(61c)를 갖고 있다.
유압실린더(61a)는 복동식(double-acting)으로 구현할 수 있다.
실린더구동부(61b)는 종래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실린더에 유압유를 공급하는 펌프, 펌프를 구동하는 모터, 펌프와 실린더사이 및 실린더와 저장탱크사이의 유로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방식의 유로제어밸브 등을 가지고, 피스톤로드를 직선상으로 왕복 이동시킨다.
가압헤드(61c)는 반죽관(62)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가압헤드(61c)는 피스톤로드가 왕복 이동할 때 반죽관(62)의 상단으로부터 벗어나는 상승위치와 장환금형(63)에 근접하는 하강위치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피스톤로드에 결합되어 있다.
좌이동위치검출센서(71)는 장공이 형성된 센서브라켓(74)과 장공을 통과하도록 지지판(12)에 결합된 한 쌍의 볼트(73)를 통해 지지판(12)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좌이동위치검출센서(71)의 설치위치는 제1청소면(26c)이 제2성형홈(24a)의 전 길이구간을 통과하고 제2청소면(27c)이 제1성형홈(21a)의 전 길이구간을 통과할 때 제1성형보조판(22)이 접촉되도록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이동위치검출센서(72)는 좌이동위치검출센서(71)와 동일한 방법으로 한 쌍의 볼트(73)와 센서브라켓(74)을 통해 지지판(12)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우이동위치검출센서(72)의 설치위치는 제1성형판(21)과 제2성형판(24)이 접근배치상태에 있다고 가정할 때 제1성형판(21)이 점유하는 위치에 제1성형판(21)이 도달할 때 제1성형보조판(22)이 접촉되도록 선택된다.
좌이동위치검출센서(71)와 우이동위치검출센서(72)는 리미트스위치 또는 광소자(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채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분리위치검출센서(38)는 작동판(44)의 이동 경로상에 배치되도록 전방프레임(15)에 설치되어 있다.
접근위치검출센서(39)는 작동관(47)의 이동 경로상에 배치되도록 작동판(44) 에 설치되어 있다.
상승위치검출센서(75)와 하강위치검출센서(76)는 각각 유압실린더(61a)의 몸통에 상하로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승위치검출센서(75)와 하강위치검출센서(76)는 마그네틱 센서를 채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유입실린더의 피스톤에 자석편을 부착함).
조작부(80)는 조작패널상에 마련된 전원온오프버튼(81) 및 장환생성버튼(83)을 갖고 있다.
제어부(77)는 입력단에 좌이동위치검출센서(71), 우이동위치검출센서(72), 상승위치검출센서(75), 하강위치검출센서(76), 접근위치검출센서(39), 분리위치검출센서(38), 전원온오프버튼(81) 및 장환생성버튼(83)이 연결되어 있고, 출력단에는 스위칭회로부(78)가 연결되어 있다.
스위칭회로부(78)는 제어부(77)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원공급부(79)와 접근분리모터(48)사이, 전원공급부(79)와 개방복귀모터(54)사이 및 전원공급부(79)와 실린더구동부(61b)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온 오프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어부(77)는 제1성형판(21)과 제2성형판(24)의 배치상태를 분리배치상태에서 접근배치상태로 전환시키는 접근구동과 제1성형판(21)과 제2성형판(24)의 배치상태를 접근배치상태에서 개방배치상태로 전환시키는 개방구동과 제1성형판(21)과 제2성형판(24)의 배치상태를 개방배치상태에서 분리배치상태로 전환시키는 복귀구동이 순차적으로 반복되도록 판구동부(30)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77)는 제1성형판(21)과 제2성형판(24)이 분리배치상태에 있을 때 가압헤드(61c)가 상승위치로부터 하강위치로 이동하도록 스위칭회로부(78)를 통해 실린더구동부(61b)를 제어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체제조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을 도7 내지 도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압헤드(61c)는 상승위치에 있고 제1성형판(21)과 제2성형판(24)은 분리배치상태에 있으며, 작동관(47)은 작동판(44)에 접촉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관이동안내공(13a)을 통해 반죽관(62)을 앞으로 잡아당겨 반죽재료를 반죽관(62)의 내부에 주입한 후 다시 가압헤드(61c)의 하측으로 반죽관(62)을 이동시킨다.
다음에 전원온오프버튼(81)과 장환생성버튼(83)을 온상태로 조작한다.
전원온오프버튼(81)과 장환생성버튼(83)이 온상태로 조작되면 제어부(77)는 전원공급부(79)와 실린더구동부(61b)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스위칭회로부(78)를 제어한다(S1). 여기서 전원공급부(79)와 실린더구동부(61b)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피스톤로드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유압유가 유압실린더(61a)의 몸체에 공급되도록 이루어진다.
전원공급부(79)와 실린더구동부(61b)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가압헤드(61c)가 하강한다(도7 참조). 가압헤드(61c)의 하강구간은 장환생성버튼(83)의 온상태 조작시간과 비례한다. 사용자는 가압헤드(61c)의 하강에 따라 장환(216)이 제1성형홈(21a)과 제2성형홈(24a)의 사이로 진입하면 장환생성버튼(83)을 오프상태로 조작한다.
다음에 장환생성버튼(83)이 오프상태가 되면, 제어부(77)는 전원공급부(79)와 실린더구동부(61b)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도록 스위칭회로부(78)를 제어한다(S2).
다음에 제어부(77)는 전원공급부(79)와 접근분리모터(48)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스위칭회로부(78)를 제어한다(S3). 여기서 전원공급부(79)와 접근분리모터(48)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접근분리모터(48)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이루어진다.
접근분리모터(48)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성형판(24)은 스프링(43)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제1성형판(21)을 향해 제1성형판(21)의 판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도8 참조). 여기서 제2성형판(24)이 이동할 때 작동관(47)도 제1성형판(21)을 향해 이동한다.
제2성형판(24)이 이동하여 제2성형판(24)과 제1성형판(21)이 접근배치상태가 되면 스토퍼(42)에 의해 제2성형판(24)의 이동이 중지된다. 제2성형판(24)과 제1성형판(21)이 접근배치상태가 될 때 장환(216)은 각 제1성형홈(21a)에서 절단된다. 이하 제1성형홈(21a)에서 절단된 장환부분을 절단환(217)이라고 한다.
제2성형판(24)의 이동이 중지된 상태에서 접근분리모터(48)가 정방향으로 계속 회전하면 작동관(47) 혼자 제1성형판(21)을 향해 이동한다(도9 참조). 작동관(47)의 이동은 접근위치검출센서(39)에 접촉할 때까지 계속된다.
작동관(47)이 접근위치검출센서(39)에 접촉하면 제어부(77)는 전원공급부(79)와 접근분리모터(48)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고, 전원공급부(79)와 개 방복귀모터(54)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스위칭회로부(78)를 제어한다(S4). 여기서 전원공급부(79)와 개방복귀모터(54)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개방복귀모터(54)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이루어진다.
개방복귀모터(54)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성형판(21)은 좌측으로 제1성형판(21)의 판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도10 참조).
제1성형판(21)이 좌측으로 이동하는 동안 각 절단환(217)은 제1성형홈(21a)과 제2성형홈(24a)의 내표면에 가압된 상태로 구르게 되고, 이에 따라 환체(218)가 형성된다(도11 참조). 형성된 환체(218)는 스스로 또는 제1탈거부재(28)와 제2탈거부재(29)의 도움을 받아 낙하한다.
그리고 제1성형판(21)이 좌측으로 이동하는 동안 제1청소면(26c)과 제2청소면(27c)에 의해 제1성형홈(21a)과 제2성형홈(24a)의 내표면에 묻어 있는 반죽찌꺼기는 제거된다.
제1성형판(21)의 좌측 이동은 제1성형보조판(22)이 좌이동위치검출센서(71)에 접촉할 때까지 계속된다. 제1성형보조판(22)이 좌이동위치검출센서(71)에 접촉할 때 제1성형홈(21a)과 제2성형홈(24a)이 가장 많이 개방되는 개방배치상태가 된다.
제1성형보조판(22)이 좌이동위치검출센서(71)에 접촉하면 제어부(77)는 전원공급부(79)와 개방복귀모터(54)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고 전원공급부(79)와 접근분리모터(48)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스위칭회로부(78)를 제어한다(S5). 여기서 전원공급부(79)와 접근분리모터(48)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접근분리모터(48) 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이루어진다.
접근분리모터(48)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작동관(47) 혼자 제1성형판(2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도12 참조). 작동관(47)의 혼자 이동은 작동관(47)이 작동판(44)에 접촉할 때까지 계속된다.
작동관(47)이 작동판(44)에 접촉된 상태에서 접근분리모터(48)가 역방향으로 계속 회전하면 제2성형판(24)은 작동관(47)과 함께 스프링(43)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제1성형판(2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도13 참조). 제2성형판(24)의 이동은 작동판(44)이 분리위치검출센서(38)에 접촉할 때까지 계속된다.
작동판(44)이 분리위치검출센서(38)에 접촉하면 제어부(77)는 전원공급부(79)와 접근분리모터(48)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고, 전원공급부(79)와 개방복귀모터(54)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스위칭회로부(78)를 제어한다(S6). 여기서 전원공급부(79)와 개방복귀모터(54) 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개방복귀모터(54)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이루어진다.
개방복귀모터(54)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성형판(21)은 우측으로 이동한다(도14 참조).
제1성형판(21)의 우측 이동은 제1성형보조판(22)이 우이동위치검출센서(72)에 접촉할 때까지 계속된다. 제1성형보조판(22)이 우이동위치검출센서(72)에 접촉할 때 제1성형판(21)과 제2성형판(24)이 분리배치상태가 된다.
제1성형보조판(22)이 우이동위치검출센서(72)에 접촉하면 제어부(77)는 전원공급부(79)와 개방복귀모터(54)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고, 전원공급부(79)와 실린더구동부(61b)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스위칭회로부(78)를 제어한다(S7). 여기서 전원공급부(79)와 실린더구동부(61b)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피스톤로드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유압유가 유압실린더(61a)의 몸체에 공급되도록 이루어진다.
이후 제어부(77)는 가압헤드(61c)가 하강위치로 하강하여 하강위치검출센서(76)로부터 검출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S1 내지 S7단계를 반복한다.
하강위치검출센서(76)로부터 검출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77)는 전원공급부(79)와 실린더구동부(61b)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스위칭회로부(78)를 제어한다. 여기서 전원공급부(79)와 실린더구동부(61b)사이의 전기적 연결은 피스톤로드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유압유가 유압실린더(61a)의 몸체에 공급되도록 이루어진다.
전원공급부(79)와 실린더구동부(61b)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가압헤드(61c)가 상승위치로 상승한다.
가압헤드(61c)가 상승위치로 상승하면 상승위치검출센서(75)로부터 제어부(77)에 검출신호가 입력된다.
상승위치검출센서(75)로부터 검출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77)는 전원공급부(79)와 실린더구동부(61b)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되도록 스위칭회로부(78)를 제어한다.
사용자는 전원온오프버튼(81)을 오프상태로 조작한다.
다음에 작업자는 반죽재료를 반죽관(62)의 내부에 다시 주입한 후 전원온오 프버튼(81)과 장환생성버튼(83)을 온상태로 조작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2성형판(24)이 제1성형판(21)에 대하여 제1성형판(21)의 판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접근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제1성형판(21)이 제2성형판(24)에 대하여 제2성형판(24)의 판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접근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어부(77)가 제1성형판(21)과 제2성형판(24)의 배치상태를 접근배치상태에서 개방배치상태로 전환시킬 때 제1성형판(21)을 제2성형판(24)의 판면방향을 따라 직선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타이머를 사용하여 제1성형판(21)을 제2성형판(24)의 판면방향을 따라 2회 이상 왕복시킨 후 접근배치상태에서 개방배치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성형판(21)이 제2성형판(24)에 대하여 제1성형판(21)의 판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제2성형판(24)이 제1성형판(21)에 대하여 제1성형판(21)의 판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어부(77)가 제1성형판(21)과 제2성형판(24)의 배치상태를 개방배치상태에서 분리배치상태로 전환시킬 때 제2성형판(24)을 먼저 제1성형판(21)의 판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이동시킨 후 제1성형판(21)을 제2성형판(24)의 판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제1성형판(21)을 먼저 제2성형판(24)의 판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시킨 후 제2성형판(24)을 제1성형판(21)의 판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성형홈(24a)과 제1성형홈(21a)이 형성된 제1성형판(21)과 제2성형판(24)을 마련하고 장환의 절단동작 후 절단된 장환이 압착상태로 회전하도록 제1성형판(21)과 제2성형판(24)을 제1성형판(21)의 판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단단하고 형태성(구형과 외표면의 미려도)이 개선된 환체를 성형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점결재의 사용량을 줄임으로써 복용시 분해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성형판(21)과 제2성형판(24)의 사이로 장환을 공급하는 장환생성부(60)를 추가함으로써, 환체의 제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탈거부재(28, 29)를 추가함으로써, 제1성형홈(21a)과 제2성형홈(24a)으로부터 환체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청소부재(26, 27)를 추가함으로써, 제1성형홈(21a)과 제2성형홈(24a)에 부착된 반죽찌꺼기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성형판(21)과 제2성형판(24) 사이의 접근 분리이동을 담당하는 접근분리구동부(40)와, 제1성형판(21)을 제2성형판(24)사이의 판면방향(판면에 나란한 방향) 이동을 담당하는 개방복귀구동부(50)로 구분하여 판구동부(30)를 형성함으로써, 판구동부(30)를 간단한 구조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성형판(21)과 제2성형판(24)의 분리배치상태와 접근배치상태에서 제2성형판(24)을 제1성형판(21)을 향해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43)과, 핀헤드(46a)와 핀다리부(46b)를 가지고 핀헤드(46a)가 작동판(44)에 대하여 이격되도록 작동판(44)에 결합된 한 쌍의 작동핀(46)과, 핀다리부(46b)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작동판(44)에 결합된 작동관(47)을 포함하도록 접근분리구동부(40)를 구성함으로써, 제1성형판(21)과 제2성형판(24)을 안정적으로 분리배치상태에서 접근배치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접근배치상태 이동을 확인한 후 접근분리모터의 구동을 중지시킬 수 있음).
또한 지지봉(41)에 조절나사산(41a)을 형성함으로써 제1성형홈(21a)과 제2성형홈(24a)의 크기에 적응하여(성형홈의 크기가 다른 여러 규격의 제1성형판과 제2성형판을 사용하여) 환체를 성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제2성형홈과 제1성형홈이 형성된 제1성형판과 제2성형판을 마련하고 장환의 절단동작 후 절단된 장환이 압착상태로 회전하도록 제1성형판과 제2성형판을 제1성형판의 판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단단하고 형태성이 개선된 환체를 성형 제작할 수 있다.

Claims (7)

  1. 반죽재료를 둥글게 빚어 환체(
    Figure 112009034430276-PAT00004
    )를 제조하기 위한 환체제조장치에 있어서,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설치되고, 일 표면에 원호단면의 제1성형홈이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성형판과;
    이격거리를 두고 상기 제1성형판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체에 설치되고, 상기 제1성형홈에 대향하는 영역에는 상기 제1성형홈과 협조하여 원형단면을 이루는 제2성형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2성형판과;
    상기 제1성형판과 상기 제2성형판이 이격되어 있는 분리배치상태에서 상기 제2성형홈과 상기 제1성형홈이 접촉하여 원형단면을 형성하는 접근배치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제2성형판과 상기 제1성형판을 접근시키고, 상기 접근배치상태에서 상기 제2성형홈과 상기 제1성형홈이 상기 제1성형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되는 개방배치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제2성형판과 상기 제1성형판을 상기 제1성형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끄럼 상대 이동시키며, 상기 개방배치상태에서 상기 분리배치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제2성형판과 상기 제1성형판을 상대 이동시키는 판구동부와;
    상기 제1성형판과 상기 제2성형판의 배치상태를 상기 분리배치상태에서 상기 접근배치상태로 전환시키는 접근구동과 상기 제1성형판과 상기 제2성형판의 배치상태를 상기 접근배치상태에서 상기 개방배치상태로 전환시키는 개방구동과 상기 제1 성형판과 상기 제2성형판의 배치상태를 상기 개방배치상태에서 상기 분리배치상태로 전환시키는 복귀구동이 순차적으로 반복되도록 상기 판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체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성형판과 상기 제2성형판이 접근배치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1성형홈과 상기 제2성형홈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체에 설치된 반죽관과, 가락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락공이 상기 반죽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반죽관의 하단에 설치된 장환금형과, 상기 반죽관에 주입된 성형재료가 상기 가락공을 통해 압출되도록 상기 반죽관에 주입된 성형재료를 가압하는 재료가압부를 갖는 장환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성형판과 상기 제2성형판이 상기 분리배치상태에 있을 때 상기 반죽관에 주입된 성형재료가 상기 가락공을 통해 압출되도록 상기 재료가압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체제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성형판에 결합된 제1성형보조판과, 상기 제2성형판에 결합된 제2성형보조판과, 상기 제1성형판과 상기 제2성형판의 배치상태가 상기 접근배치상태에서 상기 개방배치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제2성형홈에 진입하도록 상기 제1성형보조판에 설치된 제1탈거부재와, 상기 제1성형판과 상기 제2성형판의 배치상태가 상기 접근배치상태에서 상기 개방배치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제1성형홈에 진입하도록 상기 제2성형보조판에 설치된 제2탈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체제조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성형판에 결합된 제1성형보조판과, 상기 제2성형판에 결합된 제2성형보조판과, 상기 제2성형홈에 대응하는 제1청소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성형판과 상기 제2성형판의 배치상태가 상기 접근배치상태에서 상기 개방배치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제1청소면이 상기 제2성형홈의 내표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제1성형보조판에 설치되는 제1청소부재와, 상기 제1성형홈에 대응하는 제2청소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성형판과 상기 제2성형판의 배치상태가 상기 접근배치상태에서 상기 개방배치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제2청소면이 상기 제1성형홈의 내표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제2성형보조판에 설치되는 제2청소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체제조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구동부는 상기 제1성형판과 상기 제2성형판의 배치상태가 상기 분리배치상태에서 상기 접근배치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제2성형판을 상기 제1성형판에 대하여 접근시키고 상기 제1성형판과 상기 제2성형판이 상기 개방배치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2성형판을 상기 제1성형판의 판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상기 2성형판을 상기 제1성형판에 대하여 분리 이동시키는 접근분리구동부와, 상기 제1성형판과 상기 제2성형판이 상기 접근배치상태에서 상기 개방배치상태로 전환되도록 상기 제1성형판을 상기 제2성형판의 판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제2성형판에 대하여 이동시키고 상기 제1성형판과 상기 제2성형판이 상기 개방배치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1성형판을 상기 제2성형판의 판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기 제2성형판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개방복귀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성형판이 상기 제1성형판의 판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이동한 후 상기 제1성형판이 상기 제2성형판의 판면에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복귀구동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접근분리구동부와 상기 개방복귀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체제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성형판에 결합된 제2성형보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근분리구동부는 상기 제2성형판의 전방영역에서 상기 제2성형판에 나란하도록 상기 제2성형판에 결합된 작동판과, 상기 작동판과 상기 제1성형판을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양단이 상기 지지체에 고정된 한 쌍의 지지봉과, 상기 제2성형판의 전방영역에서 상기 제2성형판에 나란하도록 상기 제2성형판에 결합된 작동판과, 외표면에 작동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작동판을 통과하도록 상기 지지체에 설치된 작동봉과, 상기 작동봉을 정역 회전 구동하는 접근분리모터와, 상기 분리배치상태와 접근배치상태에서 상기 제2성형판을 상기 제1성형판을 향 해 탄성 가압하도록 상기 지지봉에 설치된 스프링과, 상기 접근배치상태에서 상기 제2성형보조판에 접촉하도록 상기 지지봉에 설치된 스토퍼와, 핀헤드와 상기 핀헤드부로부터 직선상으로 연장된 핀다리부를 가지고 상기 핀헤드가 상기 작동판과 상기 제2성형판의 사이영역에서 상기 작동판에 대하여 이격되도록 상기 작동판에 결합된 한 쌍의 작동핀과, 내표면에 작동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는 작동관부와 상기 작동관부의 일단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플랜지를 가지고 상기 작동판과 상기 제2성형판의 사이영역에서 상기 작동나사홈이 상기 작동나사산에 맞물리고 상기 플랜지를 통해 상기 핀다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작동판에 결합된 작동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체제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은 상기 스토퍼의 설치영역에 조절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조절나사산에 결합된 스토퍼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체제조장치.
KR1020090050345A 2009-06-08 2009-06-08 환체제조장치 KR201001316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345A KR20100131642A (ko) 2009-06-08 2009-06-08 환체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345A KR20100131642A (ko) 2009-06-08 2009-06-08 환체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642A true KR20100131642A (ko) 2010-12-16

Family

ID=43507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0345A KR20100131642A (ko) 2009-06-08 2009-06-08 환체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164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71130A (zh) 电机转子的组装机
CN113751595A (zh) 一种汽车钣金冲压模具
KR20100131642A (ko) 환체제조장치
CN107692920B (zh) 一种玻璃清洁机器人
CN212651759U (zh) 一种高效卫生环保的饲料混合机
CN211302199U (zh) 一种压滤机的清洁装置
CN101444942B (zh) 多台联动往复胶囊脱模机
KR20150032964A (ko) 환체제조장치
CN102544979A (zh) 同轴连接器螺套自动安装机构
KR200490467Y1 (ko) 착즙기
CN115282655B (zh) 压滤机悬挂式进料器
CN105538321A (zh) 一种自动翻盐机器人
CN113715392A (zh) 一种豆渣用的回收烘干装置
CN111604301B (zh) 应用于废旧pcb电路板的摆动式清洗构件
CN204197411U (zh) 取药装置
CN114178379A (zh) 一种同步上下料式冷冲压设备
CN215644165U (zh) 避障限位开关装置
KR101300562B1 (ko) 성형기의 진공챔버장치
CN205762921U (zh) 一种环保型建筑用铁质边角料回收处理装置
CN105171896A (zh) 一种水泥拉线盘流水线生产装置
CN205466933U (zh) 一种骨架脱模机构
CN103919517B (zh) 餐盘清洗机可调输入机构
CN219464046U (zh) 一种振动筛筛网
CN209851160U (zh) 一种木质家具的模压成型装置
CN112538686B (zh) 一种方便两头固定的经编机恒定张力控制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