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1615A - 공차흡수 브래킷 - Google Patents

공차흡수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1615A
KR20150031615A KR20130111035A KR20130111035A KR20150031615A KR 20150031615 A KR20150031615 A KR 20150031615A KR 20130111035 A KR20130111035 A KR 20130111035A KR 20130111035 A KR20130111035 A KR 20130111035A KR 20150031615 A KR20150031615 A KR 20150031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rotation preventing
tolerance
nu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1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4888B1 (ko
Inventor
임영수
박진영
Original Assignee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Priority to KR1020130111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4888B1/ko
Publication of KR20150031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1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4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4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3/00Washers or equivalent devices;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bolt-heads or 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41Releasable devices
    • F16B37/043Releasable devices with snap action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제작이 복잡한 케이싱 구조가 아닌 브래킷을 상,하부로 나누어 제작하고 브래킷에 너트를 결합하여 제작됨으로써 제작이 간단하고 제작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상, 하부 브래킷 사이에 탄성부를 구비하여 브래킷 자체의 크기 조정 없이도 용이하게 조립공차를 흡수하는 것이 가능한 공차흡수 브래킷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공차흡수 브래킷{A bracket for absorbing tolerance}
본 발명은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계부품 조립시에 발생하는 위치공차를 흡수 가능하도록 요동가능한 브래킷에 너트를 결합하여 볼트와 체결 되도록 하는 공차흡수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등의 패널이나 프레임 등을 조립하는 너트는 볼트와 결합하여 패널이나 프레임 등이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너트 및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할 경우, 체결대상의 양쪽에서 볼트와 너트를 회전시켜 체결해야 하는데, 너트와 볼트의 위치를 일정하게 결정하기 어렵고, 구조상 너트가 헛돌지 않도록 너트를 고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경우에 볼트와 너트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체결할 대상 한쪽에 너트를 미리 용접하여 붙여놓음으로써, 볼트만 나머지 한쪽 방향에서 삽입하여 체결하는 용접너트(Weld nut)를 이용한 방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대상물 자체의 구조가 복잡하거나, 조립공정에 따라 오차, 즉 조립공차가 생기게 되는데 이러한 조립공차로 인하여 볼트가 너트에 정확히 체결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공차가 작아서 강제로 체결한다 하더라도 기울어진 상태로 불완전하게 체결되거나, 정확히 체결된다 하더라도 볼트에 구부러짐 하중이 걸리게 되어 볼트가 파손될 수 있고,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 강한 토크로 볼트를 조이게 되면 너트 용접부가 파단될 가능성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너트가 유동가능한 공간을 가진 케이싱 내부에 너트를 구비하여 공차를 흡수하는 케이지 너트(Cage nut)가 있으나, 케이지 너트의 대부분이 금속 플레이트를 여러번 절곡하여 공간을 형성하고 내부에 너트를 삽입하여 제작되기 때문에 제작에 많은 수고 및 비용이 들어간다.
뿐만 아니라, 허용 공차에 따라 케이싱 자체의 크기를 조정하여 제작하여야 하는 불편함도 있다고 할 것이다.
(특허문헌) 한국공개특허 2009-0021028 A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제작이 복잡한 케이싱 구조가 아닌 브래킷을 상,하부로 나누어 제작하고 브래킷에 너트를 결합하여 제작됨으로써 제작이 간단하고 제작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가능한 공차흡수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 하부 브래킷 사이에 탄성부를 구비하여 브래킷 자체의 크기 조정 없이도 용이하게 조립공차를 흡수하는 것이 가능한 공차흡수 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차흡수 브래킷(100)은 제 1 관통공(21)이 형성된 상부브래킷(20); 상부브래킷(20)의 하부에 이격배치되며, 제 2 관통공(51)이 형성된 하부브래킷(50); 상기 상부브래킷(20)의 제 1 관통공(21)에 결합하는 너트(30) 및 상기 상부브래킷(20)의 일측과 상기 하부브래킷(50)의 일측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탄성부(40);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브래킷(20)은 상기 탄성부(40)에 의해 상기 하부브래킷(50) 상에서 요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너트(30)는 하단 외주면에 배치되는 돌기(32)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32)는 상기 제 1 관통공(21)의 둘레에 형성된 삽입홈(22)에 삽입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상부브래킷(20) 및 하부브래킷(50)중 하나는 외주면 상에 반경방향으로 형성된 회전방지돌기(23a, 53)를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회전방지돌기(23a, 53)가 위치하게 되는 회전방지홈(23, 53a)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상부브래킷(20)엔 회전방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브래킷(50)엔 회전방지홈(53a)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방지홈(53a)은 상기 하부브래킷(50)상의 복수의 용접부가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상부브래킷(20)엔 회전방지벽(23b)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브래킷(50)엔 회전방지턱(53b)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방지벽(23b)이 상기 회전방지턱(53b)의 외주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기존의 금속 플레이트를 여러번 절곡하여 제작되는 케이지 너트와는 달리 상, 하부 브래킷으로 이루어지고 브래킷에 너트를 결합하는 구조로서, 보다 제작이 간편할 뿐 아니라 제작비용의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 하부브래킷 사이에 탄성부를 구비하여 브래킷 자체의 크기조정 없이도 간편하게 조립공차의 흡수가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차흡수 브래킷(1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공차흡수 브래킷(100)의 체결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차흡수 브래킷(100a)의 상부(도 4a) 및 하부(도 4b)를 각각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공차흡수 브래킷(100b)의 상부(도 5a) 및 하부(도 5b)를 각각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공차흡수 브래킷(100b)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인 공차흡수 브래킷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 요소를 생략하여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공차흡수 브래킷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차흡수 브래킷(100)의 각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차흡수 브래킷(100)을 설명한다.
공차흡수 브래킷(100)은 상부브래킷(20), 상부브래킷(20)과 결합하는 너트(30), 상부브래킷(20)의 하부에 이격배치되는 하부브래킷(50) 및 상기 상부브래킷(20)과 하부브래킷(50)을 연결하는 탄성부(40)를 포함한다.
상부브래킷(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 1 관통공(21), 삽입홈(22) 및 회전방지홈(23)을 구비한다.
제 1 관통공(21)은 상부브래킷(20) 중심에 관통형성되며, 제 2 관통공(51)과 연통되게 된다.
삽입홈(22)은 제 1 관통공(21)의 둘레에 하나 이상이 형성된다.
회전방지홈(23)은 상부브래킷(20)의 외주면 반경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어,후술할 회전방지돌기(53)가 위치하게 된다.
너트(30)는 볼트(10)가 삽입되는 삽입공(31)을 구비하며, 삽입공(31)이 상기 제 1 관통공(21)과 연통되어 너트(30)와 상기 상부브래킷(20)이 결합된다.
또한, 너트(30)에는 너트(30)의 하단 외주면에 배치되는 돌기(32)를 더 구비될 수 있다.
돌기(32)는 너트(30)의 하단 외주면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삽입홈(22)에 삽입고정되어, 체결시에 너트(30)가 헛도는 현상을 방지한다.
하부브래킷(50)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 2 관통공(51), 용접부(52) 및 회전방지돌기(53)를 구비한다.
제 2 관통공(51)은, 하부브래킷(50)의 중심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상부브래킷(20)에 형성된 제 1 관통공(21)과 연통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10)가 상기 제 1 관통공(21), 제 2관통공(51) 및 너트(30)에 형성된 삽입공(31)을 관통하여 체결된다.
용접부(52)는 하부브래킷(50)위에 체결할 곳에 체결이 용이하도록 미리 용접하여 붙이는 부분이다.
회전방지돌기(53)는 하부브래킷(50)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다수개 돌출형성되어, 상부브래킷(20)에 형성된 회전방지홈(23)에 위치하게 된다.
탄성부(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브래킷(20)의 일측과 하부브래킷(50)의 일측을 각각 연결하며, 형성되는 두께 또는 재질에 따라 탄성력을 가지도록 한다.
이로써, 상부브래킷(20)이 하부브래킷(50) 상에서 움직임이 가능하게 되므로, 조립시 발생하는 공차를 흡수하게 된다.
즉, 탄성부(40)는 상부브래킷(20)과 하부브래킷(50)을 연결한 상태에서 위치 변동을 가능하게 하는 스프링 기능을 한다.
또한, 기존의 케이싱 내에 너트가 삽입되는 구조가 아닌, 상, 하부 브래킷으로 형성되어 상부브래킷(20)에 너트(30)가 결합됨으로써, 간편한 제작 및 제작비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4a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차흡수 브래킷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하의 다른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상기 제 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그외 동일한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실시예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차흡수 브래킷(100a)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2 실시예에서는 제 1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회전방지돌기(23a)가 상부브래킷(20)에 형성되며, 회전방지홈(53a)은 하부브래킷(50)에 위치한다.
그리고, 하부브래킷(50)에 위치한 용접부(52)가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됨으로써 상기 회전방지돌기(23a)가 돌출된 용접부(5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부브래킷(20)과 하부브래킷(50)을 연결하는 탄성부(40a)는 소정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열된 상태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두께로 2개가 이격 배치된다.
제 3 실시예
도 5a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차흡수 브래킷(100b)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3 실시예에서는 상부브래킷(20)의 외주면에 회전방지판(23b)이 형성되어, 하부브래킷(50)의 가장자리에서 상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연장된 회전방지턱(53b)을 감싸는 구조를 이루어 상부브래킷(20)의 회전을 방지한다.
또한, 하부브래킷(50)에 형성된 제 2 관통공(51)의 둘레에 탄성부(40b)가 다수개 돌출형성된다.
이로써, 부품을 체결할때 체결부에 가해질수 있는 볼트의 조임하중을 완화할 수 있다.
공차흡수 브래킷(100)의 체결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다시 참조하여 공차흡수 브래킷(100)의 체결과정을 상술한다.
체결과정의 설명은 제 1 실시예의 공차흡수 브래킷(100)을 예로들어 설명한다.
공차흡수 브래킷(100)은 체결이 용이하도록 하부브래킷(50)의 용접부(52)가 체결부(200)의 상부판(210)에 용접된다.
이 경우, 조립과정에 따라서 상부판(210)과 하부판(220) 체결시에 공차 t가 생기게 되어, 너트(30)와 볼트(10)의 체결이 어렵게 된다.
이 때, 상부브래킷(20)이 T 만큼 이동하여 상부판(210)과 하부판(220)에 생긴 공차 t를 흡수하게 되며, 따라서 너트(30)와 볼트(10)의 중심이 일치하게 되어, 볼트(10)가 공차에 의한 간섭이나 과도한 하중을 받지 않고 상부판(210)에 형성된 관통공(211)과 하부판(220)에 형성된 관통공(221)을 관통하여 너트(30)와 체결되게 된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볼트
100 : 공차흡수 브래킷
20 : 상부브래킷
21 : 제 1 관통공
22 : 삽입홈
23, 53a : 회전방지홈
23b : 회전방지벽
30 : 너트
31 : 삽입공
32 : 돌기
40 : 연결부
50 : 하부브래킷
51 : 제 2 관통공
52 : 용접부
53, 23a : 회전방지돌기
53b : 회전방지턱

Claims (5)

  1. 제 1 관통공(21)이 형성된 상부브래킷(20);
    상기 상부브래킷(20)의 하부에 이격배치되며, 제 2 관통공(51)이 형성된 하부브래킷(50);
    상기 상부브래킷(20)의 제 1 관통공(21)에 결합하는 너트(30); 및
    상기 상부브래킷(20)의 일측과 상기 하부브래킷(50)의 일측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탄성부(40);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브래킷(20)은 상기 탄성부(40)에 의해 상기 하부브래킷(50) 상에서 요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차흡수 브래킷.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30)는 하단 외주면에 배치되는 돌기(32)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32)는 상기 제 1 관통공(21)의 둘레에 형성된 삽입홈(22)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차흡수 브래킷.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브래킷(20) 및 하부브래킷(50)중 하나는 외주면 상에 반경방향으로 형성된 회전방지돌기(23a,53)를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회전방지돌기(23a,53)가 위치하게 되는 회전방지홈(23,53a)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차흡수 브래킷.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브래킷(20)엔 회전방지돌기(23)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브래킷(50)엔 회전방지홈(53a)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방지홈(53a)은 상기 하부브래킷(50)상의 복수의 용접부(52)가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차흡수 브래킷.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브래킷(20)엔 회전방지벽(23b)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브래킷(50)엔 회전방지턱(53b)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방지벽(23b)이 상기 회전방지턱(53b) 외주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차흡수 브래킷.
KR1020130111035A 2013-09-16 2013-09-16 공차흡수 브래킷 KR101514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1035A KR101514888B1 (ko) 2013-09-16 2013-09-16 공차흡수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1035A KR101514888B1 (ko) 2013-09-16 2013-09-16 공차흡수 브래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1615A true KR20150031615A (ko) 2015-03-25
KR101514888B1 KR101514888B1 (ko) 2015-04-23

Family

ID=53025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1035A KR101514888B1 (ko) 2013-09-16 2013-09-16 공차흡수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48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92833A (zh) * 2019-08-13 2021-02-23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螺母及螺母组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0158B1 (ko) 2016-04-04 2016-11-28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공동주택 케이블 트레이용 매입너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2445A (ja) 2007-06-22 2009-01-08 Toyota Motor Corp 2枚の座金半体よりなる制振座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92833A (zh) * 2019-08-13 2021-02-23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螺母及螺母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4888B1 (ko) 2015-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31628B2 (ja) ケースの閉止構造
US20100105221A1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box
KR101514888B1 (ko) 공차흡수 브래킷
WO2010113897A1 (ja) 締結構造
KR102105835B1 (ko) 어스단자의 조립구조
WO2015049909A1 (ja) スタッド係止具
JP5189518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固定用ブラケット及びカーテンウォール
JP6749572B2 (ja) パイプジョイント
KR102010616B1 (ko) 루프랙 체결용 스페이서 및 이를 구비한 루프랙 조립체
KR20090062992A (ko) 공용 스페어 타이어 클램프.
JP5494442B2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6703028B2 (ja) 取付構造及びクリップ
JP2005088868A (ja) 車両用ドアヒンジ装着構造
JP2021109509A (ja) 車両用外装部品の取付構造
JP2006339230A (ja) コイル装置の取付構造
JP6220189B2 (ja) 外囲板取付装置及び取付金具
JP6539053B2 (ja) ワゴン式棚装置
JP2012097845A (ja) ウェルドナットの取付け構造
JP7122222B2 (ja) ダンパマウント取付構造
JP5808655B2 (ja) 車両用ミラー装置
JP2005207601A (ja) 防振マウント
JP4788513B2 (ja) シフトレバー装置の取付構造
JP3190457U (ja) 太陽光パネルの取付金具
KR101338436B1 (ko) 차량용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
CN103738159B (zh) 空滤器的固定装置及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