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1361A - 콘텐츠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평가 방법 - Google Patents

콘텐츠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평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1361A
KR20150031361A KR20130110301A KR20130110301A KR20150031361A KR 20150031361 A KR20150031361 A KR 20150031361A KR 20130110301 A KR20130110301 A KR 20130110301A KR 20130110301 A KR20130110301 A KR 20130110301A KR 20150031361 A KR20150031361 A KR 20150031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content
measuring
sensor
b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0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5432B1 (ko
Inventor
신경순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0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5432B1/ko
Priority to CN201410341487.XA priority patent/CN104434140B/zh
Priority to JP2014177017A priority patent/JP6084953B2/ja
Priority to US14/484,935 priority patent/US10206615B2/en
Publication of KR20150031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1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432B1/ko
Priority to US15/462,205 priority patent/US1018833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5Input arrangements based on nervous system activity detection, e.g. brain waves [EEG] detection, electromyograms [EMG] detection, electrodermal response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91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encephalography [E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372Analysis of electroencephal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377Electroencephalography [EEG] using evoked responses
    • A61B5/378Visual stimul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89Electromyography [EM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3Head-worn items, e.g. helmets, masks, headphones or gogg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02Hardware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components, construction, architecture thereof
    • G07F17/3204Player-machine interfaces
    • G07F17/3206Player sensing means, e.g. presence detection, biometr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different types of body conditions, e.g. heart and respiratory condition
    • A61B5/0205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 and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1Measuring skin impedance
    • A61B5/0533Measuring galvanic skin respo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16Measuring devices for examining respiratory frequenc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03Detecting eye twink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377Electroencephalography [EEG] using evoked responses
    • A61B5/38Acoustic or auditory stimul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98Electrooculography [EOG], e.g. detecting nystagmus; Electroretinography [ER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03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for noise prevention, reduction or removal
    • A61B5/7207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for noise prevention, reduction or removal of noise induced by motion artifacts
    • A61B5/721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for noise prevention, reduction or removal of noise induced by motion artifacts using a separate sensor to detect motion or using motion information derived from signals other than the physiological signal to be measu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rdi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Psych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ulmonology (AREA)

Abstract

보다 객관적이고 신뢰도가 높게 콘텐츠를 평가할 수 있는 콘텐츠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평가 방법이 개시된다. 이러한 콘텐츠 평가 시스템은 뇌파 측정부, 생체신호 측정부, 센서 제어부 및 메인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뇌파 측정부는 콘텐츠를 제공받는 피험자로부터 뇌파를 측정하여 출력하고,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는 상기 피험자로부터 생체 신호를 측정하여 출력한다. 상기 센서 제어부는 상기 뇌파 측정부 및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를 제어하고, 상기 뇌파 및 상기 생체 신호를 제공받아 전달한다.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센서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뇌파 및 상기 생체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콘텐츠를 제공하기 전과 제공하는 동안 발생되는 상기 뇌파 및 상기 생체 신호의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뇌파 및 상기 생체 신호의 변화에 이용하여 상기 피험자의 상기 콘텐츠에 대한 몰입도 및 정서의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도출하며, 상기 도출된 적어도 하나의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를 평가한다. 이로써, 상기 콘텐츠를 신뢰도 높게 평가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텐츠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평가 방법{CONTENTS VALUATION SYSTEM AND CONTENTS VALUATING METHOD USING THE SYSTEM}
본 발명은 콘텐츠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평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게임, 영화, 광고, 음악의 흥행 여부를 평가하는 콘텐츠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문화 콘텐츠 산업의 발달로 해당 산업의 발전 전략과 경제적 파급효과 및 그 전망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그 효과를 논하기에 앞서 해당 콘텐츠가 제대로 만들어졌는지에 대한 평가가 선행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콘텐츠에 대한 평가는 일반적으로 상기 콘텐츠를 제공받은 사람들에 의한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설문지에 의한 콘텐츠 평가는 상기 콘텐츠가 개발된 이후에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인데, 설문을 받는 피험자의 정서 상태가 반영되어 주관적일 뿐만 아니라 상기 피험자의 기억에 의존하여 설문에 답하게 되므로 신뢰도 또한 높지 않다.
따라서, 보다 개관적이고 보다 높은 신뢰도를 갖는 콘텐츠의 평가 방법이 요구되고 있고, 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보다 객관적이고 신뢰도가 높게 콘텐츠를 평가할 수 있는 콘텐츠 평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상기 콘텐츠 평가 시스템을 이용한 콘텐츠 평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콘텐츠 평가 시스템은 뇌파 측정부, 생체신호 측정부, 센서 제어부 및 메인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뇌파 측정부는 콘텐츠를 제공받는 피험자로부터 뇌파를 측정하여 출력한다.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는 상기 콘텐츠를 제공받는 상기 피험자로부터 생체 신호를 측정하여 출력한다. 상기 센서 제어부는 상기 뇌파 측정부 및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를 제어하고, 상기 뇌파 및 상기 생체 신호를 제공받아 전달한다.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센서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뇌파 및 상기 생체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콘텐츠를 제공하기 전과 제공하는 동안 발생되는 상기 뇌파 및 상기 생체 신호의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뇌파 및 상기 생체 신호의 변화에 이용하여 상기 피험자의 상기 콘텐츠에 대한 몰입도 및 정서의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도출하며, 상기 도출된 적어도 하나의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를 평가한다.
상기 뇌파는 fm(frontal midline) 세타파 및 알파(alpha)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뇌파 측정부는 상기 피험자의 머리에 장착되고, 상기 뇌파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뇌파캡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뇌파캡은 일부의 전극이 상기 피험자의 눈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피험자의 눈깜빡임을 측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피험자의 눈깜빡임에 대한 영향을 제거하는 독립성 성분 분석 방법으로 상기 뇌파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피험자의 상기 콘텐츠에 대한 몰입도는 상기 fm 세타파가 증가하고 상기 알파파가 감소하며 상기 눈깜빡임의 분당 횟수가 감소할 때, 증가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생체신호는 상기 피험자의 피부전도도, 심박률, 체온, 호흡 및 안면근전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는 상기 피험자의 피부전도도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피부전도도 센서, 상기 피험자의 심박률을 측정하여 출력하는 심박률 센서, 상기 피험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출력하는 체온 센서, 상기 피험자의 호흡을 측정하여 출력하는 호흡 센서, 및 상기 피험자의 안면근전도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안면근전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부전도도 센서, 상기 심박률 센서 및 상기 체온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피험자의 손가락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흡 센서는 상기 피험자의 가슴 부위를 감싸도록 고정되어 일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피험자의 피부전도도, 심박률, 체온 및 호흡의 변화를 통해 상기 피험자의 상기 콘텐츠에 대한 몰입도를 도출하고, 상기 피험자의 안면근전도의 변화를 통해 상기 피험자의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서의 방향을 도출할 수 있다.
상기 안면근전도는 상기 피험자의 눈썹주름근육(Corrugator Supercilii), 눈둘레근육(Orbicularis Oculi) 및 큰광대근육(Zygomaticus Major)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눈썹주름근육의 측정치를 통해 부정적인 정서를 도출하고, 상기 눈둘레근육의 측정치 및 상기 큰광대근육의 측정치를 통해 긍정적인 정서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 피험자의 상기 콘텐츠에 대한 몰입도는 상기 피부전도도가 감소하고 상기 심박률이 증가하며 상기 체온이 감소하고 상기 호흡이 감소할 때, 증가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센서 제어부는 상기 뇌파 및 상기 생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증폭시켜 상기 메인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콘텐츠 평가 시스템은 상기 콘텐츠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기준 데이터를 저장하는 평가기준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도출된 적어도 하나를 상기 평가기준 저장부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평가기준 데이터에 따라 평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를 포함하는 평가 대상에 대한 평가 횟수가 증가에 따라 상기 평가기준 데이터를 조정하여 상기 평가기준 저장부에 저장시킬 수 있다.
상기 콘텐츠 평가 시스템은 상기 콘텐츠를 제공받는 상기 피험자를 촬영하여 상기 메인 제어부로 출력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제공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도출된 결과를 검증한 후 상기 콘텐츠를 평가할 수 있다.
상기 콘텐츠 평가 시스템은 상기 메인 제어부에 의해 평가된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콘텐츠 평가 방법으로, 우선 콘텐츠를 제공받는 피험자로부터 뇌파를 측정하고, 상기 콘텐츠를 제공받는 상기 피험자로부터 생체 신호를 측정한다. 이어서, 상기 뇌파를 분석하여 상기 콘텐츠를 제공하기 전과 제공하는 동안 발생되는 상기 뇌파의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생체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콘텐츠를 제공하기 전과 제공하는 동안 발생되는 상기 생체 신호의 변화를 감지한다. 이어서, 상기 뇌파 및 상기 생체 신호의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피험자의 상기 콘텐츠에 대한 몰입도 및 정서의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도출한다. 이후, 상기 도출된 적어도 하나의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를 평가한다.
상기 뇌파는 fm(frontal midline) 세타파 및 알파(alpha)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뇌파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상기 피험자의 뇌파를 측정하고 상기 피험자의 눈깜빡임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뇌파의 변화를 감지하는 방법으로, 상기 피험자의 눈깜빡임에 대한 영향을 제거하는 독립성 성분 분석 방법으로 상기 뇌파를 분석하여 상기 뇌파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피험자의 상기 콘텐츠에 대한 몰입도 및 정서의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fm 세타파가 증가하고 상기 알파파가 감소하며 상기 눈깜빡임의 분당 횟수가 감소할 때, 상기 피험자의 상기 콘텐츠에 대한 몰입도가 증가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생체 신호는 상기 피험자의 피부전도도, 심박률, 체온, 호흡 및 안면근전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험자의 상기 콘텐츠에 대한 몰입도 및 정서의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도출하는 방법으로, 상기 피험자의 피부전도도, 심박률, 체온 및 호흡의 변화를 통해 상기 피험자의 상기 콘텐츠에 대한 몰입도를 도출하고, 상기 피험자의 안면근전도의 변화를 통해 상기 피험자의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서의 방향을 도출할 수 있다.
상기 안면근전도는 상기 피험자의 눈썹주름근육(Corrugator Supercilii), 눈둘레근육(Orbicularis Oculi) 및 큰광대근육(Zygomaticus Major)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험자의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서의 방향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눈썹주름근육의 측정치를 통해 부정적인 정서를 도출하고, 상기 눈둘레근육의 측정치 및 상기 큰광대근육의 측정치를 통해 긍정적인 정서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 피험자의 상기 콘텐츠에 대한 몰입도 및 정서의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피부전도도가 감소하고 상기 심박률이 증가하며 상기 체온이 감소하고 상기 호흡이 감소할 때, 상기 피험자의 상기 콘텐츠에 대한 몰입도가 증가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콘텐츠 평가 방법은 상기 콘텐츠를 제공받는 상기 피험자를 촬영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출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상기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도출된 결과를 검증한 후 상기 콘텐츠를 평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콘텐츠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평가 방법에 따르면, 피험자의 뇌파 및 생체반응, 영상 등의 객관적인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콘텐츠 별 흥행여부를 신뢰도 높게 평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콘텐츠의 개발 및 기획을 평가하여 필요한 부분을 개선할 수 있고, 각 콘텐츠의 내용 중 문제가 있는 부분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수정 또는 변경할 수 있으며, 각 콘텐츠의 흥행여부를 미리 파악하여 출시 이전 제반 시설에 대한 대비를 할 수 있고, 각 콘텐츠 기획자들에게 정성적이고 정량적인 피드백을 주어 콘텐츠 기획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평가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콘텐츠 평가 시스템 중 뇌파 측정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뇌파 측정부 중 뇌파캡이 피험자에게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콘텐츠 평가 시스템 중 생체신호 측정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생체신호 측정부 중 피부전도도 센서, 심박률 센서 및 체온 센서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생체신호 측정부 중 호흡 센서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생체신호 측정부 중 안면근전도 센서가 측정하는 얼굴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콘텐츠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평가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콘텐츠 평가 시스템은 콘텐츠 디바이스(10)을 통해 피험자에게 제공되는 콘텐츠를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뇌파 측정부(100), 생체신호 측정부(200), 센서 제어부(300), 메인 제어부(400), 카메라부(500), 평가기준 저장부(600) 및 표시부(7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콘텐츠는 영화, 음악 등과 같은 각종 미디어나, 게임, 광고, 쇼핑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 디바이스(10)는 상기 콘텐츠를 제공하는 TV, PC, 스마트폰, 테플릿을 포함하여 영상 및 음악 제공할 수 있는 각종 플레이어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뇌파 측정부(100)는 상기 콘텐츠 디바이스(10)을 통해 상기 콘텐츠를 제공받는 피험자로부터 뇌파를 측정하여 상기 센서 제어부(300)로 출력하고,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200)는 상기 콘텐츠를 제공받는 상기 피험자로부터 생체 신호를 측정하여 상기 센서 제어부(300)로 출력한다.
상기 센서 제어부(300)은 상기 뇌파 측정부(100) 및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200)를 각각 제어하고, 상기 뇌파 측정부(100) 및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200)로부터 상기 뇌파 및 상기 생체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메인 제어부(400)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센서 제어부(300)는 상기 뇌파 및 상기 생체 신호를 상기 메인 제어부(400)에서 사용 가능한 신호 레벨로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 제어부(300)는 상기 뇌파 및 상기 생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증폭시켜 상기 메인 제어부(4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제어부(300)는 상기 뇌파 중 일정 주파수 대역대, 예를 들어 약 0.1Hz ~ 약 50Hz의 대역대만을 필터링하여 출력하거나, 상기 생체 신호 중 일부 신호만을 선택적으로 출력시킬 수도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400)는 상기 센서 제어부(300)로부터 전달된 상기 뇌파 및 상기 생체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콘텐츠를 제공하기 전과 제공하는 동안 발생되는 상기 뇌파 및 상기 생체 신호의 변화를 감지한다. 이후, 상기 메인 제어부(400)는 상기 뇌파 및 상기 생체 신호의 변화에 이용하여 상기 피험자의 상기 콘텐츠에 대한 몰입도 및 정서의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도출하고, 이렇게 도출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를 평가한다.
상기 카메라부(500)는 상기 콘텐츠를 제공받는 상기 피험자를 촬영하여 상기 메인 제어부(400)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메인 제어부(400)는 상기 카메라부(500)로부터 제공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피험자의 전체 움직임 동작을 파악하고, 이렇게 파악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도출된 결과인 상기 피험자의 몰입도 또는 정서의 방향을 일차적으로 검증한 후, 상기 콘텐츠에 대한 구체적인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출된 결과와 상기 피험자의 전체 움직임 동작을 상호 비교 분석함으로써, 잘못된 부분을 제거, 수정 및 보완함으로써 상기 콘텐츠에 대한 평가의 신뢰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평가기준 저장부(600)는 상기 콘텐츠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기준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메인 제어부(400)로부터의 요청시 상기 평가기준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제어부(400)는 상기 평가기준 저장부(600)로부터 제공된 상기 평가기준 데이터에 따라 상기 도출된 결과를 평가함으로써, 상기 콘텐츠의 흥미유발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평기기준 데이터는 상기 콘텐츠의 종류별, 상기 피험자의 나이 또는 성별 별로 별도의 기준 데이터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제어부(400)는 상기 콘텐츠를 포함하는 평가 대상에 대한 평가 횟수가 증가에 따라 상기 평가기준 데이터를 조정하여 상기 평가기준 저장부(600)에 저장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메인 제어부(400)은 일정 기간 동안 누적된 상기 평가 대상에 대한 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상기 평가기준 데이터의 조정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평가기준 데이터의 조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누적된 평가 결과에 따라 새로운 평가기준 데이터를 설정하여 상기 평가기준 저장부(600)에 저장시킬 수 있다.
상기 표시부(700)는 상기 메인 제어부(400)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메인 제어부(400)에 의해 평가된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 제어부(400)는 컴퓨터 본체 또는 중앙처리장치를, 상기 평가기준 저장부(600)는 하드디스크, 외장 메모리와 같은 외부 저장장치 또는 컴퓨터 내부에 존재하는 내부 메모리를, 그리고 상기 표시부(700)는 상기 컴퓨터 본체와 연결된 모니터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콘텐츠 평가 시스템 중 뇌파 측정부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의 뇌파 측정부 중 뇌파캡이 피험자에게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뇌파 측정부(100)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뇌파는 fm(frontal midline) 세타파 및 알파(alpha)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fm 세타파는 약 6.5Hz ~ 약 7.5Hz의 범위에 속하는 뇌파이고, 상기 알파파는 약 8Hz ~ 약 12Hz의 범위에 속하는 뇌파일 수 있다.
상기 뇌파 측정부(100)는 상기 피험자의 머리에 장착되고 상기 뇌파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뇌파캡(110), 및 상기 뇌파캡(110)에서 출력된 상기 뇌파를 상기 센서 제어부(300)로 전달하는 뇌파 연결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뇌파캡(110)은 상기 뇌파를 측정하기 위한 복수의 전극들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전극들은 상기 피험자의 머리의 여러 위치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극들 중 일부는 상기 피험자의 얼굴 부위에 부착될 수 있고, 특히 일부의 전극이 상기 피험자의 눈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피험자의 눈깜빡임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극들 중 일부는 상기 피험자의 얼굴 중 이마와 눈의 옆과 위 그리고 아래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뇌파 연결부(120)는 상기 뇌파캡(110)에서 제공된 상기 뇌파 및 상기 눈깜빡임을 상기 센서 제어부(3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뇌파 연결부(120)는 상기 뇌파 중 전부를 전달할 수도 있지만, 상기 뇌파 중 일부, 예를 들어, fm 세타파 및 알파파만을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제어부(400)는 상기 센서 제어부(300)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눈깜빡임을 함께 고려하여 상기 뇌파를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뇌파를 분석하기에 앞서, 다음과 같은 상기 뇌파의 변환 과정을 통해 상기 뇌파의 분석 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첫째, 상기 뇌파에 포함되어 있는 노이즈, 예를 들어 주변 전자파에 의한 영향을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노이즈 제거는 사람에 의한 육안 검사로 수행될 수도 있지만, 상기 센서 제어부(300) 또는 상기 메인 제어부(400)에서 자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두 번째로, 상기 뇌파의 전 구간을 일부 대역대, 예를 들어 약 0.1hz ~ 약 50hz 대역대만 남겨지도록 필터링할 수 있다. 이러한 필터링은 상기 뇌파 측정부(100)의 자체에서 또는 상기 센서 제어부(300)나 상기 메인 제어부(4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세 번째로, 상기 콘텐츠를 제시 전과 제시 동안 구간에 독립 성분 분석을 적용하여 상기 뇌파에서 상기 눈깜빡임과 관련된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네 번째로, 상기 콘텐츠를 제시 전과 제시 동안 구간에 상기 뇌파를 고속 프리에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다섯 번째로, 상기 뇌파를 주파수 영역대로 분류하여 몰입도, 즉 집중도와 관련성이 높은 상기 fm 세타파 및 상기 알파파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눈깜빡임 제거 과정, 상기 고속 프리에 변환 과정 및 상기 뇌파 중 일부 추출 과정은 상기 메인 제어부(4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fm 세타파가 증가하고 상기 알파파가 감소하며 상기 눈깜빡임의 분당 횟수가 감소할 때, 상기 피험자의 상기 콘텐츠에 대한 몰입도는 증가하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메인 제어부(400)는 상기 fm 세타파의 변화, 상기 알파파의 변화 및 상기 눈깜빡임의 분당 횟수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상기 피험자의 상기 콘텐츠에 대한 몰입도를 도출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콘텐츠 평가 시스템 중 생체신호 측정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200)에서 측정되는 상기 생체신호는 상기 피험자의 피부전도도, 심박률, 체온, 호흡 및 안면근전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200)는 상기 피험자의 피부전도도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피부전도도 센서(210), 상기 피험자의 심박률을 측정하여 출력하는 심박률 센서(220), 상기 피험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출력하는 체온 센서(230), 상기 피험자의 호흡을 측정하여 출력하는 호흡 센서(240), 및 상기 피험자의 안면근전도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안면근전도 센서(25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제어부(400)는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200)에서 측정되는 상기 생체신호의 변화를 통해 상기 피험자의 상기 콘텐츠에 대한 몰입도 및 정서의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 제어부(400)는 상기 피험자의 피부전도도, 심박률, 체온 및 호흡의 변화를 통해 상기 피험자의 상기 콘텐츠에 대한 몰입도를 도출할 수 있고, 상기 피험자의 안면근전도의 변화를 통해 상기 피험자의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서의 방향, 즉 긍정적인 정서 또는 부정적인 정서를 도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피부전도도가 감소하고 상기 심박률이 증가하며 상기 체온이 감소하고 상기 호흡이 감소할 때, 상기 피험자의 상기 콘텐츠에 대한 몰입도는 증가하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메인 제어부(400)는 위에서 살펴본 상기 fm 세타파의 변화, 상기 알파파의 변화 및 상기 눈깜빡임의 분당 횟수의 변화에 더불어, 상기 피부전도도의 변화, 상기 심박률의 변화, 상기 체온의 변화 및 상기 호흡의 변화를 함께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상기 피험자의 상기 콘텐츠에 대한 몰입도를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위에서 언급된 각 신호의 변화는 서로 다른 가중치가 부여되어 상기 피험자의 상기 콘텐츠에 대한 몰입도를 도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생체신호 측정부 중 피부전도도 센서, 심박률 센서 및 체온 센서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피부전도도 센서(210), 상기 심박률 센서(220) 및 상기 체온 센서(23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피험자의 손가락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부전도도 센서(210)는 상기 피험자의 중지에, 상기 심박률 센서(220)는 상기 피험자의 검지 및 약지에, 그리고 상기 체온 센서(230)는 상기 피험자의 새끼 손가락에 부착되어 각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피부전도도 센서(210), 상기 심박률 센서(220) 및 상기 체온 센서(230)은 상기 피험자의 손가락 이외의 부위에 부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험자가 PC 게임 콘텐츠를 수행하는 대상자라면, 상기 피부전도도 센서(210), 상기 심박률 센서(220) 및 상기 체온 센서(230)는 상기 피험자의 발가락에 부착될 수도 있다.
도 6은 도 4의 생체신호 측정부 중 호흡 센서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호흡 센서(240)는 상기 피험자의 가슴 부위를 감싸도록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호흡 센서(240)는 호흡을 측정할 수 있는 상기 피험자의 다른 부위 어디에도 부착될 수 있다.
도 7은 도 4의 생체신호 측정부 중 안면근전도 센서가 측정하는 얼굴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안면근전도 센서(250)에서 측정되는 상기 안면근전도는 상기 피험자의 눈썹주름근육(Corrugator Supercilii), 눈둘레근육(Orbicularis Oculi) 및 큰광대근육(Zygomaticus Major)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면근전도 센서(250)는 상기 피험자의 눈썹주름근육(Corrugator Supercilii)에서 측정하는 제1 안면 센서, 상기 피험자의 눈둘레근육(Orbicularis Oculi)에서 측정하는 제2 안면 센서, 및 상기 큰광대근육(Zygomaticus Major)에서 측정되는 제3 안면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제어부(400)는 상기 피험자의 안면근전도의 변화를 통해 상기 피험자의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서의 방향, 즉 긍정적인 정서 또는 부정적인 정서를 도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 제어부(400)는 상기 눈썹주름근육의 측정치를 통해 부정적인 정서를 도출할 수 있고, 상기 눈둘레근육의 측정치 및 상기 큰광대근육의 측정치를 통해 긍정적인 정서를 도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긍정적인 정서는 상기 콘테츠의 평가에 플러스 요소로 작용하고, 상기 부정적인 정서는 상기 콘테츠의 평가에 마이너스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험자의 안면근전도는 측정되는 얼굴 근육별로 서로 다른 가중치가 부여되어 정서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하, 위에서 설명한 상기 콘텐츠 평가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를 평가하는 방법에 대해서 자세하게 서술하고자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콘텐츠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콘텐츠 평가 방법으로, 우선 상기 뇌파 측정부(100)를 통해 상기 콘텐츠를 제공받는 상기 피험자로부터 뇌파를 측정하고(S10 단계),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200)를 통해 상기 콘텐츠를 제공받는 상기 피험자로부터 생체 신호를 측정하며(S20 단계), 상기 카메라부(500)를 통해 상기 콘텐츠를 제공받는 상기 피험자를 촬영한다(S30 단계). 이때, 상기 S10, S20 및 S30 단계들은 서로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뇌파 측정부(100)를 통해 측정되는 상기 뇌파는 fm 세타파 및 알파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뇌파를 측정하는 과정(S10 단계)에서는 상기 피험자의 뇌파를 측정하면서, 상기 피험자의 눈깜빡임도 함께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200)를 통해 측정되는 상기 생체 신호는 상기 피험자의 피부전도도, 심박률, 체온, 호흡 및 안면근전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체 신호 중 하나인 상기 안면근전도는 상기 피험자의 눈썹주름근육(Corrugator Supercilii), 눈둘레근육(Orbicularis Oculi) 및 큰광대근육(Zygomaticus Major)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400)에서, 상기 뇌파를 분석하여 상기 콘텐츠를 제공하기 전과 제공하는 동안 발생되는 상기 뇌파의 변화를 감지하고(S40 단계), 상기 생체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콘텐츠를 제공하기 전과 제공하는 동안 발생되는 상기 생체 신호의 변화를 감지한다(S50 단계). 상기 S40 및 S50 단계들은 서로 동시에 또는 서로 상관없이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뇌파의 변화를 감지하는 과정(S40 단계)에서, 상기 피험자의 눈깜빡임에 대한 영향을 제거하는 독립성 성분 분석 방법으로 상기 뇌파를 분석하여 상기 뇌파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400)에서, 상기 뇌파 및 상기 생체 신호의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피험자의 상기 콘텐츠에 대한 몰입도 및 정서의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도출한다(S60 단계).
본 실시예에서, 상기 뇌파의 변화는 상기 피험자의 상기 콘텐츠에 대한 몰입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fm 세타파가 증가하고 상기 알파파가 감소하며 상기 눈깜빡임의 분당 횟수가 감소할 때, 상기 피험자의 상기 콘텐츠에 대한 몰입도가 증가하는 특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생체 신호의 변화는 상기 피험자의 상기 콘텐츠에 대한 몰입도 및 정서의 방향 모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험자의 피부전도도, 심박률, 체온 및 호흡의 변화를 통해 상기 피험자의 상기 콘텐츠에 대한 몰입도를 도출하고, 상기 피험자의 안면근전도의 변화를 통해 상기 피험자의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서의 방향을 도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피부전도도가 감소하고 상기 심박률이 증가하며 상기 체온이 감소하고 상기 호흡이 감소할 때, 상기 피험자의 상기 콘텐츠에 대한 몰입도가 증가하는 특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피험자의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서의 방향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눈썹주름근육의 측정치를 통해 부정적인 정서를 도출하고, 상기 눈둘레근육의 측정치 및 상기 큰광대근육의 측정치를 통해 긍정적인 정서를 도출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400)에서, 상기 카메라부(500)에 의해 촬영된 상기 피험자의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S60 단계에서 도출된 결과를 검증한다(S70 단계). 구체적으로, 상기 카메라부(500)로부터 제공된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피험자의 전체 움직임 동작을 파악하고, 이렇게 파악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도출된 결과인 상기 피험자의 몰입도 또는 정서의 방향을 일차적으로 검증한다. 즉, 상기 도출된 결과와 상기 피험자의 전체 움직임 동작을 상호 비교 분석함으로써, 잘못된 부분을 제거, 수정 및 보완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400)에서, 상기 S70 단계를 통해 검증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를 평가한다(S80 단계). 구체적으로, 상기 콘텐츠의 평가는 상기 평가기준 저장부(600)로부터 제공된 평가기준 데이터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평기기준 데이터는 상기 콘텐츠의 종류별, 상기 피험자의 나이 또는 성별 별로 별도의 기준 데이터로 구분되어 저장될 수도 있고, 일정 기간 동안 누적된 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새롭게 업데이트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S70 단계에서 수행된 상기 콘텐츠의 평가는 상기 표시부(700)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피험자의 뇌파 및 생체 신호, 영상 등의 객관적인 데이터를 이용하여 각 콘텐츠 별 흥행여부를 신뢰도 높게 평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각 콘텐츠의 개발 및 기획을 평가하여 필요한 부분을 개선할 수 있고, 상기 각 콘텐츠의 내용 중 문제가 있는 부분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수정 또는 변경할 수 있으며, 상기 각 콘텐츠의 흥행여부를 미리 파악하여 출시 이전 제반 시설에 대한 대비를 할 수 있고, 상기 각 콘텐츠 기획자들에게 정성적이고 정량적인 피드백을 주어 콘텐츠 기획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콘텐츠 디바이스 100 : 뇌파 측정부
110 : 뇌파캡 120 : 뇌파 연결부
200 : 생체신호 측정부 210 : 피부전도도 센서
220 : 심박률 센서 230 : 체온 센서
240 : 호흡 센서 250 : 안면근전도 센서
300 : 센서 제어부 400 : 메인 제어부
500 : 카메라부 600 : 평가기준 저장부
700 : 표시부

Claims (30)

  1. 콘텐츠를 제공받는 피험자로부터 뇌파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뇌파 측정부;
    상기 콘텐츠를 제공받는 상기 피험자로부터 생체 신호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생체신호 측정부;
    상기 뇌파 측정부 및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를 제어하고, 상기 뇌파 및 상기 생체 신호를 제공받아 전달하는 센서 제어부; 및
    상기 센서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뇌파 및 상기 생체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콘텐츠를 제공하기 전과 제공하는 동안 발생되는 상기 뇌파 및 상기 생체 신호의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뇌파 및 상기 생체 신호의 변화에 이용하여 상기 피험자의 상기 콘텐츠에 대한 몰입도 및 정서의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도출하며, 상기 도출된 적어도 하나의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를 평가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콘텐츠 평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뇌파는
    fm(frontal midline) 세타파 및 알파(alpha)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콘텐츠 평가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뇌파 측정부는
    상기 피험자의 머리에 장착되고, 상기 뇌파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뇌파캡을 포함하는 콘텐츠 평가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뇌파캡은
    일부의 전극이 상기 피험자의 눈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피험자의 눈깜빡임을 측정하여 출력하는 콘텐츠 평가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피험자의 눈깜빡임에 대한 영향을 제거하는 독립성 성분 분석 방법으로 상기 뇌파를 분석하는 콘텐츠 평가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험자의 상기 콘텐츠에 대한 몰입도는
    상기 fm 세타파가 증가하고 상기 알파파가 감소하며 상기 눈깜빡임의 분당 횟수가 감소할 때, 증가하는 특성을 갖는 콘텐츠 평가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는
    상기 피험자의 피부전도도, 심박률, 체온, 호흡 및 안면근전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콘텐츠 평가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 측정부는
    상기 피험자의 피부전도도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피부전도도 센서;
    상기 피험자의 심박률을 측정하여 출력하는 심박률 센서;
    상기 피험자의 체온을 측정하여 출력하는 체온 센서;
    상기 피험자의 호흡을 측정하여 출력하는 호흡 센서; 및
    상기 피험자의 안면근전도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안면근전도 센서를 포함하는 콘텐츠 평가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전도도 센서, 상기 심박률 센서 및 상기 체온 센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피험자의 손가락에 부착되는 콘텐츠 평가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 센서는
    상기 피험자의 가슴 부위를 감싸도록 고정되어 있는 콘텐츠 평가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피험자의 피부전도도, 심박률, 체온 및 호흡의 변화를 통해 상기 피험자의 상기 콘텐츠에 대한 몰입도를 도출하고,
    상기 피험자의 안면근전도의 변화를 통해 상기 피험자의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서의 방향을 도출하는 콘텐츠 평가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근전도는
    상기 피험자의 눈썹주름근육(Corrugator Supercilii), 눈둘레근육(Orbicularis Oculi) 및 큰광대근육(Zygomaticus Major)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치를 포함하는 콘텐츠 평가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눈썹주름근육의 측정치를 통해 부정적인 정서를 도출하고,
    상기 눈둘레근육의 측정치 및 상기 큰광대근육의 측정치를 통해 긍정적인 정서를 도출하는 콘텐츠 평가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피험자의 상기 콘텐츠에 대한 몰입도는
    상기 피부전도도가 감소하고 상기 심박률이 증가하며 상기 체온이 감소하고 상기 호흡이 감소할 때, 증가하는 특성을 갖는 콘텐츠 평가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제어부는
    상기 뇌파 및 상기 생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증폭시켜 상기 메인 제어부로 전달하는 콘텐츠 평가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기준 데이터를 저장하는 평가기준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도출된 적어도 하나를 상기 평가기준 저장부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평가기준 데이터에 따라 평가하는 콘텐츠 평가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를 포함하는 평가 대상에 대한 평가 횟수가 증가에 따라 상기 평가기준 데이터를 조정하여 상기 평가기준 저장부에 저장시키는 콘텐츠 평가 시스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를 제공받는 상기 피험자를 촬영하여 상기 메인 제어부로 출력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제공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도출된 결과를 검증한 후 상기 콘텐츠를 평가하는 콘텐츠 평가 시스템.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제어부에 의해 평가된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평가 시스템.
  20. 콘텐츠를 제공받는 피험자로부터 뇌파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를 제공받는 상기 피험자로부터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뇌파를 분석하여 상기 콘텐츠를 제공하기 전과 제공하는 동안 발생되는 상기 뇌파의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생체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콘텐츠를 제공하기 전과 제공하는 동안 발생되는 상기 생체 신호의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뇌파 및 상기 생체 신호의 변화를 이용하여 상기 피험자의 상기 콘텐츠에 대한 몰입도 및 정서의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도출된 적어도 하나의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평가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뇌파는
    fm(frontal midline) 세타파 및 알파(alpha)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콘텐츠 평가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뇌파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피험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피험자의 눈깜빡임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평가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뇌파의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피험자의 눈깜빡임에 대한 영향을 제거하는 독립성 성분 분석 방법으로 상기 뇌파를 분석하여 상기 뇌파의 변화를 감지하는 콘텐츠 평가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피험자의 상기 콘텐츠에 대한 몰입도 및 정서의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도출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fm 세타파가 증가하고 상기 알파파가 감소하며 상기 눈깜빡임의 분당 횟수가 감소할 때, 상기 피험자의 상기 콘텐츠에 대한 몰입도가 증가하는 특성을 갖는 콘텐츠 평가 방법.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신호는
    상기 피험자의 피부전도도, 심박률, 체온, 호흡 및 안면근전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콘텐츠 평가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피험자의 상기 콘텐츠에 대한 몰입도 및 정서의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피험자의 피부전도도, 심박률, 체온 및 호흡의 변화를 통해 상기 피험자의 상기 콘텐츠에 대한 몰입도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피험자의 안면근전도의 변화를 통해 상기 피험자의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서의 방향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텐츠 평가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근전도는
    상기 피험자의 눈썹주름근육(Corrugator Supercilii), 눈둘레근육(Orbicularis Oculi) 및 큰광대근육(Zygomaticus Major)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치를 포함하는 콘텐츠 평가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피험자의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서의 방향을 도출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눈썹주름근육의 측정치를 통해 부정적인 정서를 도출하고,
    상기 눈둘레근육의 측정치 및 상기 큰광대근육의 측정치를 통해 긍정적인 정서를 도출하는 콘텐츠 평가 방법.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피험자의 상기 콘텐츠에 대한 몰입도 및 정서의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도출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피부전도도가 감소하고 상기 심박률이 증가하며 상기 체온이 감소하고 상기 호흡이 감소할 때, 상기 피험자의 상기 콘텐츠에 대한 몰입도가 증가하는 특성을 갖는 콘텐츠 평가 방법.
  30.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를 제공받는 상기 피험자를 촬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출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를 평가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도출된 결과를 검증한 후 상기 콘텐츠를 평가하는 콘텐츠 평가 방법.
KR1020130110301A 2013-09-13 2013-09-13 콘텐츠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평가 방법 KR101535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0301A KR101535432B1 (ko) 2013-09-13 2013-09-13 콘텐츠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평가 방법
CN201410341487.XA CN104434140B (zh) 2013-09-13 2014-07-17 评价信息系统及利用此系统的评价方法
JP2014177017A JP6084953B2 (ja) 2013-09-13 2014-09-01 コンテンツ評価システム及びそれを用いたコンテンツ評価方法
US14/484,935 US10206615B2 (en) 2013-09-13 2014-09-12 Content evaluation system and content evaluation method using the system
US15/462,205 US10188338B2 (en) 2013-09-13 2017-03-17 Content evaluation system and content evaluation method using th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0301A KR101535432B1 (ko) 2013-09-13 2013-09-13 콘텐츠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평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1361A true KR20150031361A (ko) 2015-03-24
KR101535432B1 KR101535432B1 (ko) 2015-07-13

Family

ID=52668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0301A KR101535432B1 (ko) 2013-09-13 2013-09-13 콘텐츠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평가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206615B2 (ko)
JP (1) JP6084953B2 (ko)
KR (1) KR101535432B1 (ko)
CN (1) CN104434140B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258B1 (ko) * 2018-07-19 2019-05-10 주식회사 테크노블러드코리아 가상현실 영상의 피드백 분석방법
WO2019139447A1 (ko) * 2018-01-15 2019-07-18 아이지에스 주식회사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방법
CN110432915A (zh) * 2019-08-02 2019-11-12 秒针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评估信息流创意的方法及装置
KR20200004388A (ko) * 2017-05-08 2020-01-13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Vr 멀티미디어의 경험 품질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00013220A (ko) * 2019-04-26 2020-02-06 주식회사 테크노블러드코리아 생체 정보 기반의 영상 제어 방법
KR102114946B1 (ko) * 2019-01-04 2020-05-25 주식회사 엠투에스 가상현실(vr) 콘텐츠 시청에 따른 생체 정보 변화에 기초하여 콘텐츠 퀄리티를 평가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01721A (ko) * 2019-06-28 2021-01-07 한국원자력연구원 가상 체험의 현실감 측정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432B1 (ko) * 2013-09-13 2015-07-13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콘텐츠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평가 방법
US10716517B1 (en) * 2014-11-26 2020-07-21 Cerner Innovation, Inc. Biomechanics abnormality identification
CN105095080B (zh) * 2015-07-29 2019-04-12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对待测应用进行测评的方法与设备
JP6944779B2 (ja) * 2016-03-08 2021-10-06 長輝 山本 脳機能改善のための五感機能計測および訓練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785446B2 (ja) 2016-04-14 2020-11-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生体信号計測システム
JP6629131B2 (ja) * 2016-04-18 2020-01-1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コンテンツ評価装置、コンテンツ評価システム、コンテンツ評価方法、プログラム
KR101851642B1 (ko) 2016-11-16 2018-04-2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뇌파를 이용한 능동 다감각 사용자 선호도 평가 장치 및 방법
CN106845069A (zh) * 2016-12-14 2017-06-13 新乡医学院 一种心理危机电子调整系统及其调整方法
CN108416542A (zh) * 2018-05-11 2018-08-17 新华网股份有限公司 基于生理传感技术的体验度评估系统及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8742660A (zh) * 2018-07-02 2018-11-06 西北工业大学 一种基于可穿戴设备的情绪识别方法
CN109199412B (zh) * 2018-09-28 2021-11-09 南京工程学院 基于眼动数据分析的异常情绪识别方法
KR102126465B1 (ko) * 2018-10-30 2020-06-24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영상 평가 시스템에서의 영상 콘텐츠 정보의 분석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평가 분석 단말기
KR102132294B1 (ko) * 2018-10-31 2020-07-09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 현실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의 분석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평가 분석 단말기
AU2019384870A1 (en) * 2018-11-23 2021-07-22 Wellness Ip, Inc. Micro-coherence network strength and deep behavior modification optimization application
CN109498041B (zh) * 2019-01-15 2021-04-16 吉林大学 基于脑电与脉搏信息的驾驶员路怒状态识别方法
EP3981327A4 (en) * 2019-06-04 2023-01-04 The Boeing Company METHOD OF EVALUATION OF PROJECTION CONTENT IN A ENCLOSED ENVIRONMENT, DEVICE AND STORAGE MEDIA
US11583218B2 (en) * 2019-11-20 2023-02-21 Advancer Technologies, Llc EMG device
CN111784163A (zh) * 2020-07-01 2020-10-16 深圳前海微众银行股份有限公司 数据测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WO2024106301A1 (ja) * 2022-11-16 2024-05-23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信号処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7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5753A (en) * 1971-11-09 1973-05-29 Humetrics Corp Head harness for eeg electrodes
US4846190A (en) * 1983-08-23 1989-07-11 John Erwin R Electroencephalographic system data display
US5724987A (en) * 1991-09-26 1998-03-10 Sam Technology, Inc. Neurocognitive adaptive computer-aided training method and system
JP2648682B2 (ja) * 1992-07-17 1997-09-03 正重 古川 表情要素コードの再生表示及び情緒・表情の加工・発生装置
JPH0775631A (ja) * 1993-09-07 1995-03-20 Nec San-Ei Instr Co Ltd 体位センサ装置
US6233472B1 (en) * 1995-06-06 2001-05-15 Patient Comfort, L.L.C.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for signaling a monitor
US5772591A (en) * 1995-06-06 1998-06-30 Patient Comfort, Inc. Electrode assembly for signaling a monitor
US5676138A (en) * 1996-03-15 1997-10-14 Zawilinski; Kenneth Michael Emotional response analyzer system with multimedia display
JP3048918B2 (ja) * 1996-03-28 2000-06-05 日本電気株式会社 集中度推定装置
US5813993A (en) * 1996-04-05 1998-09-29 Consolidated Research Of Richmond, Inc. Alertness and drowsiness detection and tracking system
US6402520B1 (en) * 1997-04-30 2002-06-11 Unique Logic And Technology, Inc. Electroencephalograph based biofeedback system for improving learning skills
US6033073A (en) * 1997-08-15 2000-03-07 Potapova; Olga Visual training system and apparatus for vision correction, especially for various forms of strabismus ("crossed" eyes)
US5983129A (en) * 1998-02-19 1999-11-09 Cowan; Jonathan D. Method for determining an individual's intensity of focused attention and integrating same into computer program
US6102846A (en) * 1998-02-26 2000-08-15 Eastman Kodak Company System and method of managing a psychological state of an individual using images
US7120880B1 (en) * 1999-02-25 2006-10-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eal-time determination of a subject's interest level to media content
US6236885B1 (en) * 1999-06-30 2001-05-22 Capita Research Group Inc. System for correlating in a display stimuli and a test subject's response to the stimuli
WO2001039664A1 (en) * 1999-12-02 2001-06-07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indices of brain activity
EP1139240A3 (en) * 2000-03-28 2003-11-05 Kenji Mimura Design method and design evaluation method, and equipment thereof
US20020188216A1 (en) * 2001-05-03 2002-12-12 Kayyali Hani Akram Head mounted medical device
US20030032890A1 (en) * 2001-07-12 2003-02-13 Hazlett Richard L. Continuous emotional response analysis with facial EMG
US7113916B1 (en) * 2001-09-07 2006-09-26 Hill Daniel A Method of facial coding monitoring for the purpose of gauging the impact and appeal of commercially-related stimuli
US6585521B1 (en) * 2001-12-21 2003-07-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Video indexing based on viewers' behavior and emotion feedback
JP2004156922A (ja) * 2002-11-01 2004-06-03 Mitsubishi Electric Corp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4369290B2 (ja) * 2003-07-02 2009-11-18 尚之 加納 事象関連電位を利用したヒトの心理状態等の判定装置
JP4396175B2 (ja) * 2003-08-05 2010-01-13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再生装置及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JP4335642B2 (ja) * 2003-11-10 2009-09-30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視聴者反応情報収集方法と、視聴者反応情報収集システムで用いられるユーザ端末及び視聴者反応情報提供装置と、そのユーザ端末・視聴者反応情報提供装置の実現に用いられる視聴者反応情報作成用プログラム
JP2005293209A (ja) * 2004-03-31 2005-10-20 Ntt Data Corp 個人認証装置、情報端末、個人認証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7627370B2 (en) * 2004-10-20 2009-12-01 Marks Donald H Brain function decoding process and system
US8235725B1 (en) * 2005-02-20 2012-08-07 Sensory Logic, Inc. Computerized method of assessing consumer reaction to a business stimulus employing facial coding
EP1903935B1 (en) * 2005-05-06 2016-11-16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Apparatuses for electrophysiological signal delivery and recording during mri
CN101277642A (zh) * 2005-09-02 2008-10-01 埃姆申塞公司 用于检测组织中的电活动的装置和方法
JP2007130212A (ja) * 2005-11-10 2007-05-31 Sharp Corp 心理状態増幅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437843B1 (en) * 2006-06-16 2013-05-07 Cleveland Medical Devices Inc. EEG data acquisition system with novel features
JP5194015B2 (ja) * 2006-09-05 2013-05-08 インナースコープ リサーチ,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感覚的刺激への視聴者反応を決定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100004977A1 (en) * 2006-09-05 2010-01-07 Innerscope Research Llc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User Experience For Interactive Activities
JP5260545B2 (ja) * 2006-12-22 2013-08-14 エスエスピーティー プロプライアタリー リミティド コマーシャル通信の有効性の評価方法
JP2008205861A (ja) * 2007-02-20 2008-09-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視聴質判定装置、視聴質判定方法、視聴質判定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9215996B2 (en) * 2007-03-02 2015-12-22 The Nielsen Company (U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objectively determining human response to media
US20090088610A1 (en) * 2007-03-02 2009-04-02 Lee Hans C Measuring Physiological Response to Media for Viewership Modeling
US8473044B2 (en) * 2007-03-07 2013-06-25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and ranking a positive or negative response to audiovisual or interactive media, products or activities using physiological signals
US20080221969A1 (en) * 2007-03-07 2008-09-11 Emsense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And Ranking A "Thought" Response To Audiovisual Or Interactive Media, Products Or Activities Using Physiological Signals
US8782681B2 (en) * 2007-03-08 2014-07-15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 and system for rating media and events in media based on physiological data
US8764652B2 (en) 2007-03-08 2014-07-01 The Nielson Company (US), LLC.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and ranking an “engagement” response to audiovisual or interactive media, products, or activities using physiological signals
CN101711388B (zh) * 2007-03-29 2016-04-27 神经焦点公司 营销和娱乐的效果分析
US20080255949A1 (en) * 2007-04-13 2008-10-16 Lucid 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Non-Verbal and Pre-Conscious Responses to External Stimuli
US9554721B1 (en) * 2007-04-23 2017-01-31 Neurowave Systems Inc. Seizure detector, brain dysfunction monitor and method
US20090030287A1 (en) * 2007-06-06 2009-01-29 Neurofocus Inc. Incented response assessment at a point of transaction
KR20100047865A (ko) * 2007-08-28 2010-05-10 뉴로포커스, 인크. 소비자 경험 평가 시스템
US9191450B2 (en) * 2007-09-20 2015-11-17 Disney Enterprises, Inc. Measuring user engagement during presentation of media content
CN101917898A (zh) 2007-10-31 2010-12-15 埃姆申塞公司 对来自观众的生理响应提供分散式收集和集中式处理的系统和方法
AU2009204001A1 (en) * 2008-01-11 2009-07-16 Oregon Health & Science University Rapid serial presentation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20110105857A1 (en) * 2008-07-03 2011-05-05 Panasonic Corporation Impression degree extraction apparatus and impression degree extraction method
US20110046502A1 (en) * 2009-08-20 2011-02-24 Neurofocus, Inc. Distributed neuro-respons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JP2011182843A (ja) * 2010-03-05 2011-09-22 Sumitomo Rubber Ind Ltd ヒトの感覚判定方法及びその判定装置
JP5509452B2 (ja) * 2010-03-16 2014-06-04 国立大学法人金沢大学 脳波表示装置、脳波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1119509A1 (en) * 2010-03-20 2011-09-29 Emsense Corporation Spatially constrained biosensory measurements to decode physiological states and user responses induced by marketing media
GB2481323B (en) * 2010-06-17 2016-12-14 Forethought Pty Ltd Measurement of emotional response to sensory stimuli
JP2012059107A (ja) * 2010-09-10 2012-03-22 Nec Corp 感情推定装置、感情推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20130800A1 (en) * 2010-11-24 2012-05-24 Anantha Pradeep Systems and methods for assessing advertising effectiveness using neurological data
JP2012160173A (ja) * 2011-01-13 2012-08-23 Nikon Corp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制御プログラム
EP2670299A4 (en) * 2011-02-03 2017-08-09 The Medical Research, Infrastructure, And Health Services Fund Of The Tel Aviv Medical Center Method and system for use in monitoring neural activity in a subject's brain
KR101238780B1 (ko) * 2011-03-03 2013-03-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준비전위기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20120113572A (ko) * 2011-04-05 2012-10-15 주식회사 유비온 이러닝 시스템에서의 뇌파정보 및 이에 기반한 사용자 피드백을 활용한 학습컨텐츠 평가정보 생성방법
US20120259240A1 (en) * 2011-04-08 2012-10-11 Nviso Sarl Method and System for Assessing and Measuring Emotional Intensity to a Stimulus
JP5624512B2 (ja) * 2011-05-02 2014-11-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ンテンツ評価装置、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GB201211703D0 (en) * 2012-07-02 2012-08-15 Charles Nduka Plastic Surgery Ltd Biofeedback system
US10365716B2 (en) * 2013-03-15 2019-07-30 Interaxon Inc. Wearable comput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535432B1 (ko) * 2013-09-13 2015-07-13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콘텐츠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평가 방법
US20150213019A1 (en) * 2014-01-27 2015-07-30 Fujitsu Limited Content switching using salience
US20160110737A1 (en) * 2014-10-17 2016-04-21 Big Heart Pet Brands Product Development Methods for Non-Verbalizing Consumers
US10430810B2 (en) * 2015-09-22 2019-10-01 Health Care Direc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ssessing the marketability of a product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4388A (ko) * 2017-05-08 2020-01-13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Vr 멀티미디어의 경험 품질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694316B2 (en) 2017-05-08 2023-07-04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experience quality of VR multimedia
WO2019139447A1 (ko) * 2018-01-15 2019-07-18 아이지에스 주식회사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평가 방법
KR101977258B1 (ko) * 2018-07-19 2019-05-10 주식회사 테크노블러드코리아 가상현실 영상의 피드백 분석방법
KR102114946B1 (ko) * 2019-01-04 2020-05-25 주식회사 엠투에스 가상현실(vr) 콘텐츠 시청에 따른 생체 정보 변화에 기초하여 콘텐츠 퀄리티를 평가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13220A (ko) * 2019-04-26 2020-02-06 주식회사 테크노블러드코리아 생체 정보 기반의 영상 제어 방법
KR20210001721A (ko) * 2019-06-28 2021-01-07 한국원자력연구원 가상 체험의 현실감 측정 장치 및 방법
CN110432915A (zh) * 2019-08-02 2019-11-12 秒针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评估信息流创意的方法及装置
CN110432915B (zh) * 2019-08-02 2022-03-25 秒针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评估信息流创意的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054240A (ja) 2015-03-23
US10206615B2 (en) 2019-02-19
US20150080675A1 (en) 2015-03-19
US10188338B2 (en) 2019-01-29
JP6084953B2 (ja) 2017-02-22
CN104434140A (zh) 2015-03-25
US20170188929A1 (en) 2017-07-06
CN104434140B (zh) 2018-01-26
KR101535432B1 (ko) 2015-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5432B1 (ko) 콘텐츠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평가 방법
Bota et al. A review, current challenges, and future possibilities on emotion recognition using machine learning and physiological signals
Bulagang et al. A review of recent approaches for emotion classification using electrocardiography and electrodermography signals
US2022022268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essing the Marketability of a Product
EP2698112B1 (en) Real-time stress determination of an individual
JP5665025B2 (ja) 精神疾患判定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301775B2 (en) Data annot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machine learning
US1108339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mental load
JP5958825B2 (ja) 感性評価システム、感性評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8521830A (ja) 注意欠陥を監視し改善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Abadi et al. Inference of personality traits and affect schedule by analysis of spontaneous reactions to affective videos
WO2014150684A1 (en) Artifact as a feature in neuro diagnostics
JP2015229040A (ja) 感情分析システム、感情分析方法および感情分析プログラム
JP2014081913A (ja) アンケート分析装置、アンケート分析システム、アンケート分析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40041382A (ko) 생물체의 정신생리학적 상태에 관한 정보 획득방법
Gilroy et al. Evaluating multimodal affective fusion using physiological signals
Nagasawa et al. Continuous estimation of emotional change using multimodal responses from remotely measured biological information
Badura et al. Multimodal signal acquisition for pain assessment in physiotherapy
WO2019176846A1 (ja) 判定システムおよび判定方法
KR20160022578A (ko) 뇌파검사 장치
KR102295422B1 (ko) 가상 체험의 현실감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2277894B1 (ko) 개인화된 영상 제공을 통해 심리 변화 추적이 가능한 심리 상담 방법
Ronca et al. Low-invasive neurophysiological evaluation of human emotional state on teleworkers
Wang et al. A Preliminary Visual System for Assistant Diagnosis of ASD: Response to Name
Kumagai et al. Reflection of Individual Differences on Emotion Map for Kansei Evaluation of Packaging Design with Physiological Index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