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2294B1 - 가상 현실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의 분석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평가 분석 단말기 - Google Patents

가상 현실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의 분석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평가 분석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2294B1
KR102132294B1 KR1020180132197A KR20180132197A KR102132294B1 KR 102132294 B1 KR102132294 B1 KR 102132294B1 KR 1020180132197 A KR1020180132197 A KR 1020180132197A KR 20180132197 A KR20180132197 A KR 20180132197A KR 102132294 B1 KR102132294 B1 KR 102132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virtual reality
content
emotion
analy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2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9218A (ko
Inventor
김진헌
장선희
장효진
Original Assignee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32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2294B1/ko
Publication of KR20200049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9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2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2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16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using photoplethysmograph signals, e.g. generated by infrared radiation
    • A61B5/047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3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by tracking eye movement, gaze, or pupil cha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gastrointestinal, the endocrine or the exocrine systems
    • A61B5/4261Evaluating exocrine secretion production
    • A61B5/4266Evaluating exocrine secretion production sweat secre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Abstract

본 발명은, 콘텐츠 제작자의 의도 확인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를 제공 하는 단계; 상기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를 실행하면서 피실험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분석하여 상기 피실험자의 인식 정보 및 감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의도 확인 정보를 상기 인식 정보 및 상기 감정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를 평가하여 콘텐츠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현실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의 분석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평가 분석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상 현실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의 분석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평가 분석 단말기 {METHOD FOR ANALYZING VIRTUAL REALITY CONTENT INFORMATION IN VIRTUAL REALITY AND EVALUATION TERMINAL ADOPT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상 현실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콘텐츠 제작자의 의도가 콘텐츠 이용자에게 정확하게 전달되었는지를 분석하기 위한 가상 현실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의 분석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평가 분석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컴퓨팅 및 디스플레이 기술들은, 소위 "가상 현실' 또는 "증강 현실" 경험들을 위한 시스템들의 개발을 가능하게 하며, 디지털적으로 재생된 이들의 이미지들 또는 부분들은 이들이 실제인 것 같은 또는 실제인 것으로 인식될 수 있는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제시된다.
구체적으로,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은 다른 실제의 실세계 시각 입력에 투명하지 않은 디지털 또는 가상 이미지 정보의 표현을 통상적으로 포함하고, 증강 현실(Full Reality, AR)은 사용자 주위의 실제 세계의 가시화에 대한 증강으로서 디지털 또는 가상 이미지 정보의 표현을 통상적으로 포함한다. 예컨대, 증강 현실 장면은, AR 기술의 사용자가 실세계 객체들(예컨대, 사람들, 나무들, 백그라운드의 빌딩들 등을 특징짓는 실세계 공원 같은 세팅) 상에 또는 그 가운데 중첩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가상 객체들을 볼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2D, 3D, 360° 영상 등 다양한 영상물에 대한 VR 콘텐츠 제작이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하지만, 사용자는 서비스되는 VR 콘텐츠에 대하여 사용자의 입장에서 관심이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상호 작용성이 없고, 사용자의 취향이나 유형이 무시된 채 콘텐츠 제작자의 일방적인 제작 의도대로 이용할 수 밖에 없었다.
특히 HMD(Head Mounted Device)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VR 콘텐츠를 이용하게 되는 경우, VR 콘텐츠는 360° 영상을 제공하는데 비하여, 사용자의 시야각은 60° 정도 밖에 안되므로, 사용자가 콘텐츠 제작자가 의도한 영상을 확인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VR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가 가상현실 콘텐츠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가상 현실 공간에서 콘텐츠 제작자가 의도에 따라 A 지점에 시선이 집중되어야 하지만 사용자는 이와 달리 B 지점에 시선을 집중하여 A 지점에서 이루어지는 영상을 놓치는 일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콘텐츠 제작자는 콘텐츠 완성시에 사용자가 A 지점을 보게 되는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게 된다.
이에, 가상현실 콘텐츠를 완성하기 전, 콘텐츠 제작자의 의도가 정확하게 사용자에게 전달되었는지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보정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가상 현실 콘텐츠 제작자의 의도 확인 정보가 포함된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를 피실험자에게 제공하고,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에 대한 피실험자의 인식 정보 및 감정 정보를 획득하여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와 비교 및 분석하여 콘텐츠 평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가상 현실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의 분석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콘텐츠 평가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 보정 가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가상 현실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의 분석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구성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가상 현실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의 분석 방법은, 콘텐츠 제작자의 의도 확인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를 제공 하는 단계; 상기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를 실행하면서 피실험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분석하여 상기 피실험자의 인식 정보 및 감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의도 확인 정보를 상기 인식 정보 및 상기 감정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를 평가하여 콘텐츠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의도 확인 정보는 의도 감정 정보와 의도 타겟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식 정보는 시선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를 실행하면서 피실험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분석하여 피실험자의 인식 정보 및 감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피실험자의 머리에 장착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치된 시선 인식 센서를 통해 상기 시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시선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인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정 정보는 뇌파 정보, 맥박 정보 및 땀분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를 실행하면서 피실험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분석하여 피실험자의 인식 정보 및 감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피실험자의 머리에 부착되는 뇌파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뇌파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피실험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광학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맥박 정보 및 상기 땀분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뇌파 정보, 상기 맥박 정보 및 상기 땀분비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감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상 현실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의 분석 방법은 상기 콘텐츠 평가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 보정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의 평가 분석 단말기는, 콘텐츠 제작자의 의도 확인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가상 콘텐츠 정보를 표시하는 가상현실 표시부; 피실험자의 생체 정보를 생성하는 생체 정보 센서부; 및 상기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를 실행하여 상기 가상 현실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생체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피실험자의 인식 정보 및 감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의도 확인 정보를 상기 인식 정보 및 상기 감정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를 평가하여 콘텐츠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분석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상 현실 표시부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부이고, 상기 생체 정보 센서부는,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부에 설치되는 시선 정보를 생성하는 시선 인식센서, 상기 피실험자의 손가락에 설치되어서 땀분비 정보 및 맥박 정보를 생성하는 광학 센서, 및 상기 피실험자의 머리에 장착되어서 뇌파 정보를 획득하는 뇌파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석 제어부는, 상기 뇌파 정보, 상기 맥박 정보 및 상기 땀분비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감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의도 확인 정보는 의도 감정 정보와 의도 타겟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분석 제어부는, 상기 의도 타겟 정보와 상기 인식 정보를 비교 분석하고, 상기 의도 감정 정보와 상기 감정 정보를 비교 분석할 수 있다.
상기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의 평가 분석 단말기는, 상기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를 생성하는 제작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분석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석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 평가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 보정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상기 분석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작 단말기에 전송할 수있다.
여기서, 상기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의 평가 분석 단말기는 상기 콘텐츠 평가 정보를 표시하는 분석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가상 현실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전에, 콘텐츠 제작자가 제작한 가상현실 콘텐츠에 대한 평가를 하고, 이에 대한 문제점을 인시하고 보정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시행착오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제작자의 의도와 이에 따른 피실험자의 반응을 분석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상호작용이 발생하여 퀄리티가 높은 가상 현실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오감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단순히 시선 처리만을 감지하는 것 아니라 피실험자의 심리상태를 감지함으로써, 더욱 더 정확하게 콘텐츠 제작자의 의도와 피실험자의 반응이 매칭되는지를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 평가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 보정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여, 실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가상 현실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가상 현실 콘텐츠의 사용일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가상 현실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의 분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가상 현실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의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피실험자가 가상 현실 콘텐츠 서비스를 테스트하는 상황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콘텐츠 제작자의 의도 타켓 정보와 피실험자의 시각 정보를 비교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콘텐츠 평가 정보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가상 현실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의 분석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우선, 본 발명은 가상 현실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전에, 가상 현실 콘텐츠 서비스를 테스트를 통해 콘텐츠 제작자(미도시)는 자신이 제작한 가상현실 콘텐츠 정보에 의도 감정 정보와 의도 타겟 정보를 추가한다. 여기서 의도 감정 정보란, 사용자(피실험자)가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를 시청하는 중 발생되는 감정을 예상하여 만들어진 정보로서, 예컨대, 콘텐츠 창작자는 특정 오브젝트(예컨대,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에 포함되는 캐릭터(예를 들면, 좀비, 귀신, 미녀등))에 놀람 정도 정보, 안정 정보, 주의 집중 정보, 인지 부하 정보, 스트레스 정보등을 제작자의 예상에 따라 미리 입력되는 정보이다. 여기서, 의도 타켓 정보는 사용자의 시선이 제작자의 의도된 위치에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좌표 정보 또는 오브젝트 위치 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의도 감정 정보와, 의도 타겟 정보는 의도 확인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후술되는 생체 정보는, 사용자가 제작자가 제작한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의 시청시에 따라 발생되는 사용자의 인식 정보 및 감정 정보를 의미한다. 여기서, 인식 정보는 시선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HMD 장치에 설치된 홍채 인식 센서에 의해 획득되는 눈동자의 위치 정보 또는 HMD 장치에 설치된 지자기 센서에 의해 획득되는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정 정보는, 뇌파 감지센서, 움직임 감지 센서, 맥박 센서, 땀분비 센서 등을 통해 획득되는 다양한 생체 정보를 분석하여 뇌파 정보, 맥박 정보 및 땀분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시선 정보는 시선 인식 센서 예를 들어, 머리에 착용 가능한 시각용 VR 장치 일 예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시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시선 정보는 시선의 이동 정보와 시선의 집중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추후에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뇌파 정보는 뇌파측정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고, 맥박 정보는 맥박측정센서 예를 들어, HRV(Heart Rate Variability) 센서를 통해 측정할 수 있으며, 땀분비 정보는 피부에 부착되는 광학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생체 정보들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경향이나, 이벤트 발생에 따른 임계적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이를 기초로 하여, 안정 점수, 놀람 정부, 주위 집중 점수, 인지 부하 점수, 스트레스 점수등의 감정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콘텐츠 평가 정보는 의도 확인 정보와 인식 정보 및 감정 정보를 분석하여 발생하는 오차 또는 평균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시 예를 들어, 숫자를 포함하는 수치적 또는 도표를 포함하는 그래프 방식으로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 보정 가이드 정보는 콘텐츠 평가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와 인식 정보 및 감정 정보가 서로 매칭되지 않는 부분에 대해 콘텐츠 제작자가 보완하도록 가이드하는 정보로서, 텍스트 정보, 오브젝트 정보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가상 현실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의 분석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평가 분석 단말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상 현실 콘텐츠 제작 및 평가 시스템은 크게 콘텐츠 제작 단말기(10)와 평가 분석 단말기(20)로 구분될 수 있다.
콘텐츠 제작 단말기(10)는 콘텐츠 제작자에 의해 생산되는 가상 현실 콘텐츠를 제작하고, 저장하며, 이를 평가 분석 단말기(20)로 전송하는 장치이고, 평가 분석 단말기(20)는, 콘텐츠 제작 단말기(10)에서 제작된 가상현실 콘텐츠를 재생하고, 이에 따른 사용자(피실험자)의 인식 정도나 감정정도를 평가하고, 이를 제작작의 의도와 매칭시켜서, 얼마나 제작자의 의도가 사용자에게 잘 전달되는지를 확인하게 된다.
다시, 콘텐츠 제작 단말기(10)는 제작 DB(11)와 , 제작 통신부(12)와 제작 제어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작 DB(11)는 콘텐츠 제작 단말기(10)를 통해 제작된 가상 현실 콘텐츠, 가상 현실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저작 도구, 콘텐츠 창작 도구등을 저장하는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가사현실 콘텐츠에는 의도 확인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의도 확인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의도 감정 정보와, 의도 타겟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의도 감정 정보는 콘텐츠 제작자가 콘텐츠의 오브젝트 또는 콘텐츠 스토리 상에서 사용자가 갖게 되는 감정, 예컨대, 놀람, 기쁨, 슬픔 등의 예상 감정 정보 및 감정 대응 시간 정보가 될 것이며, 의도 타겟 정보는 콘텐츠 제작자가 의도한 사용자의 시선정보로서, 오브젝트(캐릭터)가 될 수 있고, 좌표 정보 및 타겟 대응 시간 정보가 될 수 있다.
제작 통신부(12)는, 상기 가상 현실 콘텐츠를 평가 분석 단말기(20)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무선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제작 통신부(12)는, 후술하는 방식에 의해 생성되는 평가 분석 단말기(20)로부터의 콘텐츠 보정 가이드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제작 제어부(13)는, 제작 단말기(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요소로서, 사용자 입력부 및 제작 DB(11)의 콘텐츠 제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작하고, 이를 제작 DB(11)에 저장하며, 제작 통신부(12)를 제어하여 가상 현실 콘텐츠를 평가 분석 단말기(20)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제작 통신부(12)를 통해 수신하는 콘텐츠 보정 가이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현실 콘텐츠에 대한 보정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평가 분석 단말기(20)는, 메모리(21), HMD(22), 생체 정보 센서부(23), 스피커(24), 분석 디스플레이부(25), 분석 통신부(26) 및 분석 제어부(2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21)는 물리적으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매체로서, 본 발명에서는 분석 통신부(26)를 통해 송수신한 데이터 및 평가 분석 단말기(20)의 운영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 정보 센서부(23)를 통해 획득되는 생체 정보, 분석 통신부(26)를 통헤 수신되는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 및 사용자에 대한 평가 후 생성되는 콘텐츠 평가 정보뿐만 아니라, 가상 현실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HMD(22)는 가상 현실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장치로서,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3D 영상을 재생하는 기능을 한다. HMD(22)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부라고도 하며, 청구항에서는 상기 가상 현실 표시부로 정의된다. 이와 같은 HMD(22)에는 후술하는 시선 인식 센서가 장착되어서, 사용자의 시선이 어디에 향하는지를 나타내는 시선 정보를 생성하기도 한다.
생체 정보 센서부(23)는, 사용자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부착되어서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한다. 시각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치된 시선 인식 센서와, 뇌파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자의 머리에 부착되는 뇌파 감지 센서와, 맥박 정보 및 땀분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광학 센서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스피커(24)는, 전술한 가상 현실콘텐츠에 포함되는 음성 정보를 출력하여서 가상 현실 콘텐츠의 음성 및 음향이 사용자에게 전달되게 하는 구성요소로서, HMD(22)의 일부 구성요소일 수 있다.
분석 디스플레이부(25)는, HMD(22)와는 별도의 구성요소로서, 평가 분석 단말기(20)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 평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평판형 디스플레이가 분석 디스플레이부(25)로서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가상 현실 콘텐츠를 체험한 후에 생성되는 콘텐츠 평가 정보 숫자를 표시 또는 그래프로 표시될 수 있다.
분석 통신부(26)는, 제작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무선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이 이용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 수신을 위한 입력단자 역시 이에 속할 수 있다.
분석 제어부(27)는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를 실행하여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인식 정보 및 감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제어부는, 상기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를 실행하여 상기 가상 현실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생체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피실험자의 인식 정보 및 감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의도 확인 정보를 상기 인식 정보 및 상기 감정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를 평가하여 콘텐츠 평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의도 타겟 정보와 상기 인식 정보를 비교 분석하고, 상기 의도 감정 정보와 상기 감정 정보를 비교 분석하고, 상기 콘텐츠 평가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 보정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상기 분석 통신부(26)를 통해 상기 제작 단말기(10)에 전송하며, 상기 콘텐츠 평가 정보를 상기 분석 디스플레이부(25)에 표시하는 기능을 한다.
이하, 도 3 및 4를 통해 가상 현실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의 분석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가상 현실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의 분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피실험자가 가상 현실 콘텐츠 서비스를 테스트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생체 정보 센서부(23)부(23)가 피실험자인 사용자에게 부착된 상태에서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를 도 3에서와 같이 수행하게 된다.
우선, 제작 단말기(10)에서는,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를 제작 저장한 후, 이를 제작 통신부(12)를 통해 평가 분석 단말기(20)에 전송한다(S11), 상술한 바와 같이, 가상 현실 콘텐츠에는 대해 사용자로부터 획득하고자 하는 의도된 의도 감정 정보와 의도 타겟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그 다음, 평가 분석 단말기(20)는 평가 통신부를 통해 상기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를 수신한다. (S21). 이때,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는 가상 현실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피실험자인 사용자가 도 4에서와 같이 생체 정보 센서부(23)부(23)를 장착하게 되고, HMD(22)를 머리에 쓰게 된다. 이 상태에서, 분석 제어부(27)는,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를 재생하여 테스트를 실행한다. 테스트 실행중에 분석 제어부(27)는 사용자로부터 생체 정보를 측정한다 (S23). 여기서, 생체 정보는 시선 정보, 뇌파 정보, 맥박 정보 및 땀분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 평가 분석 단말기(2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생체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인식 정보 및 감정 정보를 한다. (S24). 수신되는 생체 정보의 시간에 따른 경향을 분석하고, 이 경향에 따라 사용자의 인식 정도, 감정 정도를 분석하게 된다. 이에 대한 분석은 종래의 방식에 따라 이루어지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평가 분석 단말기(20)는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의도 확인 정보(의도 감정 정보, 의도 타겟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인식 정보 및 감정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를 평가하여 콘텐츠 평가 정보를 생성한다 (S26). 여기서, 콘텐츠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은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더욱더 자세하고 다양한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콘텐츠 평가 정보는 숫자로 표시되거나 그래프로 표시되도록 분석 디스플레이부(25)에 표시될 수 있고, 이 콘텐츠 평가 정보를 다시 분석하여 콘텐츠 보정 가이드 정보를 생성한다(S27). 본 발명에서는 는 콘텐츠 보정 가이드 정보를 평가 분석 단말기(20)에서 생성하였으나, 제작 단말기(10)에서도 별도의 프로그램을 통해 자동으로 콘텐츠 보정 가이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이 콘텐츠 보정 가이드 정보는 제작 단말기(10)로 전송될 수 있다(S28).
또는, 평가 분석 단말기(20)가 생성된 콘텐츠 평가 정보를 제작 단말기(10)로 전송하고, 이에 따라, 제작 단말기(10)가 콘텐츠 평가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 보정 가이드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콘텐츠 제작자의 의도 타켓 정보와 사용자의 시각 정보를 비교하는 도면으로서, 도 6(a)는 의도 타켓 정보 중 이동영역에서 콘텐츠 제작자의 의도 타켓 정보와 사용자의 시각 정보를 비교하는 도면이고, 도 6(b)는 의도 타켓 정보 중 이동시간에서 사용자의 감정 정보를 비교하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작 단말기(10)는 콘텐츠 제작자의 의도 타켓 정보 A1, A2, A3와 사용자의 시각 정보 B1, B2, B3를 비교하여 분석할 수 있다. 도 5(a)와 같이 이동영역에 있어서, A1 및 A3는 B1 및 B3의 이동영역 정보는 일치하지만, A2와 B2의 이동영역 정보는 일치하지 않는다. 도 5(b)와 같이 이동시간에 있어서, A3 및 B3의 이동시간 정보는 일치하지만, A1, A2와 B1, B2의 이동시간 정보는 일치하지 않는다. 이러한 이동 영역의 일치 여부, 이동 시간의 일치 여부에 따라, 콘텐츠 제작자의 의도와 실제 사용자의 인식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콘텐츠 평가 정보가 분석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평가 정보는 크게 피실험자인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하는 시선 추적 영역(100)과, 콘텐츠 시청중 사용자의 감정을 시간의 경과에 따른 그래프로 표시한 감정 평가 영역(200)으로 나눌수 있다
시선 추적영역은 상술한 바와 같은 생체 정보 센서부(23)에서 획득된 시선 정보를 시선 이동 정보와 시선 집중 시간 정보에 따른 시선의 이동 방향 및 시선 정지시간 정보를 화살표(110)와 원(120)으로 표시하고 있다. 여기서, 선(110)은 시선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며, 원(120)은 시선이 집중하는 시간을 나타내며, 집중시간이 길어질수록 그 원(120)이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은 평가 정보를 통해 콘텐츠 제작자는 피실험자인 사용자의 시선의 변경과 시선 집중 여부를 한 눈에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감정 평가 영역(20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생체 정보 센서부로부터 획득된 놔파 정보, 맥박 정보, 및 땀분비 정보등의 시간경과에 따른 경향, 이벤트에 따른 임계적 움직임에 기초하여 안정점수, 놀람점수, 주의집중 점수, 인지 부하 점수 및 스트레스 점수라는 항목으로 분류하여 표시하고, 이들 점수가 의도 감정 정보와 매칭되는지 여부에 따라 매칭점수 또는 비매칭 점수로 시간의 경과에 따른 그래프로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가상 현실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전에, 콘텐츠 제작자가 제작한 가상현실 콘텐츠에 대한 평가를 하고, 이에 대한 문제점을 인시하고 보정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시행착오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제작자의 의도와 이에 따른 피실험자의 반응을 분석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상호작용이 발생하여 퀄리티가 높은 가상 현실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오감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단순히 시선 처리만을 감지하는 것 아니라 피실험자의 심리상태를 감지함으로써, 더욱 더 정확하게 콘텐츠 제작자의 의도와 피실험자의 반응이 매칭되는지를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콘텐츠 평가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 보정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여, 실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가상 현실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설명된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제작 단말기
11 : 제작 DB
12 : 제작 통신부
13 : 제작 제어부
20 : 평가 분석 단말기
21 : 메모리
22 : HMD
23 : 생체 정보 센서
24 : 스피커
25 : 분석 디스플레이부
26 : 분석 통신부
27 : 분석 제어부

Claims (11)

  1. 콘텐츠 제작자의 의도 확인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를 제공 하는 단계;
    상기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를 실행하면서 피실험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분석하여 상기 피실험자의 인식 정보 및 감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의도 확인 정보, 상기 인식 정보 및 상기 감정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를 평가하여 콘텐츠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의도 확인 정보는 의도 감정 정보와 의도 타겟 정보를 포함하고,
    여기서 의도 감정 정보는 예상 감정 정보 및 감정 대응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의도 타켓 정보는 좌표 정보 및 타겟 대응 시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의도 확인 정보를 상기 인식 정보 및 상기 감정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를 평가하여 콘텐츠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의도 타겟 정보와 상기 인식 정보를 비교 분석하고, 상기 의도 감정 정보와 상기 감정 정보를 비교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현실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의 분석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정보는 시선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를 실행하면서 피실험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분석하여 피실험자의 인식 정보 및 감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피실험자의 머리에 장착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치된 시선 인식 센서를 통해 상기 시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시선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인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현실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의 분석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정 정보는 뇌파 정보, 맥박 정보 및 땀분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를 실행하면서 피실험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분석하여 피실험자의 인식 정보 및 감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피실험자의 머리에 부착되는 뇌파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뇌파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피실험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광학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맥박 정보 및 상기 땀분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뇌파 정보, 상기 맥박 정보 및 상기 땀분비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감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 현실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의 분석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평가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 보정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상 현실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의 분석 방법.
  6. 콘텐츠 제작자의 의도 확인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를 표시하는 가상현실 표시부;
    피실험자의 생체 정보를 생성하는 생체 정보 센서부; 및
    상기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를 실행하여 상기 가상 현실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생체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피실험자의 인식 정보 및 감정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의도 확인 정보, 상기 인식 정보 및 상기 감정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를 평가하여 콘텐츠 평가 정보를 생성하는 분석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의도 확인 정보는 의도 감정 정보와 의도 타겟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의도 감정 정보는 예상 감정 정보 및 감정 대응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의도 타켓 정보는 좌표 정보 및 타겟 대응 시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분석 제어부는,
    상기 의도 타겟 정보와 상기 인식 정보를 비교 분석하고, 상기 의도 감정 정보와 상기 감정 정보를 비교 분석하는,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의 평가 분석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현실 표시부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부이고,
    상기 생체 정보 센서부는, 상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부에 설치되는 시선 정보를 생성하는 시선 인식센서, 상기 피실험자의 손가락에 설치되어서 땀분비 정보 및 맥박 정보를 생성하는 광학 센서, 및 상기 피실험자의 머리에 장착되어서 뇌파 정보를 획득하는 뇌파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의 평가 분석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제어부는,
    상기 뇌파 정보, 상기 맥박 정보 및 상기 땀분비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감정 정보를 생성하는,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의 평가 분석 단말기.
  9. 삭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를 생성하는 제작 단말기와 통신하기 위한 분석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석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 평가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 보정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상기 분석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작 단말기에 전송하는,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의 평가 분석 단말기.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평가 정보를 표시하는 분석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의 평가 분석 단말기.
KR1020180132197A 2018-10-31 2018-10-31 가상 현실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의 분석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평가 분석 단말기 KR102132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197A KR102132294B1 (ko) 2018-10-31 2018-10-31 가상 현실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의 분석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평가 분석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197A KR102132294B1 (ko) 2018-10-31 2018-10-31 가상 현실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의 분석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평가 분석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218A KR20200049218A (ko) 2020-05-08
KR102132294B1 true KR102132294B1 (ko) 2020-07-09

Family

ID=70677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2197A KR102132294B1 (ko) 2018-10-31 2018-10-31 가상 현실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의 분석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평가 분석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229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4669A (ja) * 2007-12-03 2009-06-18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端末、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535432B1 (ko) * 2013-09-13 2015-07-13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콘텐츠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평가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5785A (ko) * 2011-11-30 2013-06-20 두산동아 주식회사 사용자 반응을 이용한 콘텐츠 검증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4669A (ja) * 2007-12-03 2009-06-18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端末、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535432B1 (ko) * 2013-09-13 2015-07-13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콘텐츠 평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평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218A (ko)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67421B (zh) 整体地测量视觉功能的临床参数的系统
US20200401216A1 (en) Technique for controlling virtual image generation system using emotional states of user
CN112034977B (zh) Mr智能眼镜内容交互、信息输入、应用推荐技术的方法
EP2004039B1 (en) Image output apparatus, image output method and image output program
US20070229660A1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image recording method and image recording program
WO2013082049A1 (en) Head-mounted display based education and instruction
US9498123B2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image recording method and image recording program stor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KR102168968B1 (ko) 생체 데이터를 이용한 하이라이트 영상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US10725534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generating machine learning-based cyber sickness prediction model for virtual reality content
US8150118B2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image recording method and image recording program stor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US10832483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monitoring VR sickness prediction model for virtual reality content
US11420129B2 (en) Gameplay event detection and gameplay enhancement operations
CN109171638A (zh) 视力检测的方法、终端、头戴显示设备以及视力检测系统
US20070229659A1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image recording method and image recording program
KR102186580B1 (ko) 사용자의 감정을 판단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141658B2 (en) Gameplay event detection and gameplay enhancement operations
KR102132294B1 (ko) 가상 현실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가상 현실 콘텐츠 정보의 분석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평가 분석 단말기
KR102126465B1 (ko) 영상 평가 시스템에서의 영상 콘텐츠 정보의 분석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평가 분석 단말기
JP2008046802A (ja) インタラクション情報出力装置、インタラクション情報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1018729A (ja) 個人識別装置、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および個人識別方法
KR20200065834A (ko) 신체 반응 정보를 포함한 다중정보를 통해 가상현실 사용자의 상태분석 및 피드백 시스템, 맞춤형 콘텐츠 제공의 방법
WO2017085963A1 (ja) 情報処理装置、及び映像表示装置
KR102081752B1 (ko) 영상평가시스템 및 영상평가방법
WO2020031949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4120052A1 (en) Head-mountable display system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