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2698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2698A
KR20150022698A KR20140108474A KR20140108474A KR20150022698A KR 20150022698 A KR20150022698 A KR 20150022698A KR 20140108474 A KR20140108474 A KR 20140108474A KR 20140108474 A KR20140108474 A KR 20140108474A KR 20150022698 A KR20150022698 A KR 20150022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housing
cover
center portion
rotation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08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0746B1 (ko
Inventor
시게토 가타오카
다카시 마쯔다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22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04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H01R13/5208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having at least two cable receiving open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6Means for preventing chafing or fracture of flexible leads at outlet from coupl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커넥터가 대형화하는 것을 방지한다.
전선(200)의 단말부에 접속된 단자 금구(110)가 하우징부(11)의 캐비티(16)에 삽입된다. 하우징부(11)의 후면측에 시일 부재(60)가 배치되고, 시일 부재(60)의 후면측에 홀더(40)가 배치되며, 홀더(40)의 후면측에 전선 커버(70)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지 위치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전선 커버(70)에는, 커버측 회동 중심부(76)가 마련된다. 홀더(40)에는, 커버측 회동 중심부(76)를 지지하여, 전선 커버(40)의 회동 중심을 구성하는 홀더측 회동 중심부(47)가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커넥터는, 전선의 단말부에 접속된 단자 금구와, 캐비티를 갖는 하우징부(단자 수용부)와, 하우징부의 후면측에 배치되며, 캐비티와 연통되는 위치에 시일 구멍을 갖는 시일 부재(일괄 고무 마개)와, 시일 부재의 후면측에 배치되며, 시일 구멍과 연통되는 위치에 관통 구멍을 갖는 홀더(고무 마개 홀더)와, 홀더의 후면측으로부터 인출된 전선을 덮도록 배치되는 전선 커버, 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부의 캐비티에는, 관통 구멍 및 시일 구멍을 통하여 단자 금구가 삽입된다. 캐비티에 단자 금구가 정규 삽입되면, 시일 구멍에 전선이 액밀하게 삽입되며, 관통 구멍에 전선이 헐겁게 끼워져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선 커버측에 마련된 전측 가이드부 및 후측 가이드부가 각각 하우징부측에 마련된 전측 안내홈 및 후측 안내홈에 감합함으로써, 전선 커버가 하우징부에 대하여 안내 유지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3-20774호 공보
그런데, 하우징부에 대하여 전선 커버가 개방 위치와 폐지 위치 사이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폐지 위치에서 전선이 덮어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회동형의 전선 커버의 경우, 전선 커버측에 커버측 회동 중심부가 마련되고, 하우징부측에 하우징측 회동 중심부가 마련되며, 커버측 회동 중심부가 하우징측 회동 중심부에 지지된 상태로, 전선 커버가 폐지 위치에 수취되어 회동되도록 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나, 만약, 시일 부재의 후면측에 하우징측 회동 중심부와 홀더가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다고 하면, 하우징측 회동 중심부와 홀더 사이에 클리어런스가 마련되게 되고, 그만큼, 커넥터가 대형화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으로서, 커넥터가 대형화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선의 단말부에 접속되는 단자 금구와, 상기 단자 금구가 삽입되는 캐비티를 갖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후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캐비티와 연통되는 위치에 시일 구멍을 가지며, 상기 시일 구멍에 상기 하우징부의 후면으로부터 인출된 상기 전선이 액밀하게 삽입되는 시일 부재와, 상기 시일 부재의 후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시일 구멍과 연통되는 위치에 관통 구멍을 가지며, 상기 관통 구멍에 상기 시일 부재의 후면으로부터 인출된 상기 전선이 헐겁게 끼워져 삽입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의 후면측에 대하여 개방 위치로부터 폐지 위치로 회동 가능하고, 상기 폐지 위치에서 상기 홀더의 후면측으로부터 인출된 상기 전선을 덮도록 배치되는 전선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전선 커버에는 커버측 회동 중심부가 마련되고, 상기 홀더에는 상기 커버측 회동 중심부를 지지하여, 상기 전선 커버의 회동 중심을 구성하는 홀더측 회동 중심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에 특징을 갖는다.
전선 커버의 커버측 회동 중심부가 홀더의 홀더측 회동 중심부에 지지되고, 시일 부재의 후면측에 홀더측 회동 중심부와 일체화한 홀더가 스페이스 효율 좋게 배치되기 때문에, 커넥터가 대형이 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커넥터의 단면도.
도 2는 하우징의 배면도.
도 3은 하우징의 저면도.
도 4는 하우징의 측면도.
도 5는 전선 커버가 개방 위치에 있는 커넥터의 저면도.
도 6은 전선 커버가 폐지 위치에 이르기 직전의 커넥터의 저면도.
도 7은 하우징부의 배면도.
도 8은 하우징부의 저면도.
도 9는 전선 커버의 측면도.
도 10은 규제 부재의 측면도.
도 11은 규제 부재의 정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이하에 나타낸다.
상기 커버측 회동 중심부는 상기 전선 커버에 쌍을 이루어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후면에는, 상기 홀더를 사이에 두고 상기 홀더측 회동 중심부와는 반대측의 위치이고 그리고 상기 홀더측 회동 중심부를 통과하는 회동축 상의 위치에, 상기 홀더측 회동 중심부와 걸어 맞춰지는 상기 커버측 회동 중심부와는 별개의 커버측 회동 중심부를 지지하여 상기 홀더측 회동 중심부와 함께 상기 전선 커버의 회동 중심을 구성하는 하우징측 회동 중심부가 마련되어 있다. 전선 커버의 회동축 상의 한쪽에 홀더측 회동 중심부가 마련되고, 다른쪽에 하우징측 회동 중심부가 마련되기 때문에, 만약, 하우징부의 후면측에 대하여 홀더가 회동축의 중앙을 경계로 하여 정규와는 반대 방향의 자세로 부착되려고 하면, 홀더측 회동 중심부와 하우징측 회동 중심부가 서로 간섭하여, 홀더의 그 이상의 부착 동작이 규제된다. 그 결과, 홀더의 오조립이 방지된다.
상기 하우징부에는, 상기 레버를 수용하는 레버 수용실이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측 회동 중심부가, 상기 레버 수용실의 둘레벽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레버 수용실의 둘레벽이 하우징측 회동 중심부에 의해 보강되기 때문에, 레버 수용실에 수용되는 레버의 수용 상태가 안정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도 1∼도 11에 의해 설명한다. 실시예 1의 커넥터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0)과, 시일 부재(60)와, 전선 커버(70)와, 규제 부재(90)와, 단자 금구(110)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0)은 하우징부(11)와 홀더(40)로 이루어지고, 하우징부(11)와 홀더(40) 사이에 시일 부재(60)가 끼인 상태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10)은, 도시하지 않는 상대 하우징에 감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후 방향에 대해서는, 감합 개시 시에 상대 하우징이 위치하는 측을 전방으로 하고, 상하 방향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7을 기준으로 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부(11)는, 대략 각블록형의 단자 수용부(12)와, 단자 수용부(12)의 주위를 둘러싸는 대략 각통형의 감합 통부(13)와, 후단부에서 감합 통부(13)와 단자 수용부(12)에 연결되는 높이 방향을 따른 판형의 연결부(14)를 가지고 있다. 단자 수용부(12)와 감합 통부(13) 사이에서, 또한 연결부(14)의 전방에는, 상대 하우징이 감합하는 감합 공간(15)이 개방하여 마련되어 있다.
단자 수용부(12)에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캐비티(16)가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마련되어 있다. 각 캐비티(16)의 내면에는 휨 가능한 랜스(17)가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단자 수용부(12)의 각 캐비티(16)에는, 후방으로부터 단자 금구(110)가 삽입되고, 정규 삽입된 단자 금구(110)가, 랜스(17)에 의해 탄성적으로 빠짐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금구(110)는 도전성을 갖는 금속판을 굽힘 가공 등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고, 상대 하우징에 장착된 도시하지 않는 상대 단자 금구에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상자형의 접속부(111)와, 접속부(111)의 후방에 연속하여, 전선(200)의 단말부에 압착에 의해 접속되는 배럴부(11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수용부(12)의 하면에는, 거의 폭 방향을 따른 슬릿 구멍형의 리테이너 장착 구멍(18)이 개구하여 마련되어 있다. 리테이너 장착 구멍(18)은, 전체 캐비티(16)에 이르는 깊이를 가지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합 통부(13)에도 마련되어 있다. 리테이너 장착 구멍(18)에는 도시하지 않는 리테이너가 삽입되고, 리테이너가 정규 삽입됨에 따라, 단자 금구(110)가 캐비티(16) 내에 이중으로 빠짐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합 통부(13)의 상벽에는, 폭 방향으로 가늘고 긴 주머니형의 둘레벽(19)이 마련되어 있다. 둘레벽(19)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는 레버를 수용 가능한 레버 수용실(20)이 마련되어 있다. 레버 수용실(20)은, 감합 통부(13)의 상벽 상면을 따르도록 폭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후방에 개방된 슬릿 구멍형을 이루고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둘레벽(19)의 후단은, 연결부(14)보다 후방으로 돌출하여 배치되어 있고, 단자 수용부(12)의 후면측에 배치되는 시일 부재(60) 및 홀더(40)를 상방으로부터 덮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레버는, 상대 하우징과 걸어 맞춘 상태로, 회동되고, 그 회동 조작에 의해 발휘되는 캠 작용에 의해 상대 하우징을 하우징(10)측으로 끌어당겨, 양 하우징의 감합 동작을 진행시키는 역할을 달성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14)의 후면에는, 단자 수용부(12)의 후면 외주를 둘러싸는 배면에서 보아 대략 각환형의 통부(21)가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부(21)의 내측에는, 시일 부재(60)가 밀착 감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부(21)의 외면 중, 폭 방향에 한쌍의 단변부(22)와, 하측의 장변부(23D)는, 복수의 하우징측 걸림부(24)가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각 하우징측 걸림부(24)는, 각각 갈고리형을 이루고, 양 단변부(22)의 각각에 하나씩 마련되며, 하측의 장변부(23D)의 폭 방향 양측에 쌍을 이루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14)의 후면에는, 상측의 장변부(23U)와, 그리고 대향하는 둘레벽(19)의 하면에, 일체로 연결되는 하우징측 회동 중심부(25)가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우징측 회동 중심부(25)는, 사각 상자형을 이루고, 그 내측에, 하우징부(11)의 폭 방향 중앙측을 향하여 개방된 개방구를 통하여, 후술하는 커버측 회동 중심부(76)의 삽입 부재(77)가 삽입되어 걸림 상태로 걸어 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14)의 후면에는, 통부(21)를 사이에 끼운 폭 방향 양 단부 중 한쪽의 단부에, 판 부재형의 하우징측 록부(26)가 기립하여 마련되어 있다. 하우징측 록부(26)는, 통부(21)의 한쪽의 단변부(22)와 대향하는 판면을 가지고, 그 판면에, 갈고리형의 록 돌기(27)가 마련되어 있다. 록 돌기(27)는, 통부(21)의 한쪽의 단변부(22)에 마련된 하우징측 걸림부(24)와 상하 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나도록 편심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측 록부(26)는, 그 판면이 통부(2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휨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14)의 후면에는, 하우징측 록부(26)와 그 휨 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수취부(28)가 기립하여 마련되어 있다. 수취부(28)는, 하우징부(11)의 외측 가장자리의 측방(도 7의 우측)으로 돌출하여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취부(28)는, 연결부(14)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는 판 부재형의 수취 본체(29)와, 수취 본체(29)의 상하 양단으로부터 통부(21)측으로 굴곡하여 짧게 연장되는 한쌍의 보호부(30)로 이루어지고, 단면 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양 보호부(30)는, 하우징측 록부(26)를 사이에 둔 상하 양측에서 쌍을 이루며, 하우징측 록부(26) 및 규제 부재(90)를 덮도록 배치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취 본체(29)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전방에 개구하는 슬릿홈형의 수취측 록부(31)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취부(28)와 하우징측 록부(26) 사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후방에 개방된 삽입 공간(32)이 마련되어 있다. 삽입 공간(32)에는, 후방으로부터 규제 부재(90)가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삽입 공간(32)은, 하우징측 록부(26)의 휨 공간이기도 하다.
시일 부재(60)는 실리콘 고무 등의 고무제로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부(21)의 내측에 감입 장착되어 단자 수용부(12)의 후면에 밀착 가능한 편평 매트형을 이루고 있다. 시일 부재(60)에는, 조립 시에 각 캐비티(16)와 전후 방향에 동축으로 연통되는 위치에, 복수의 시일 구멍(61)이 관통하여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시일 부재(60)의 각 시일 구멍(61)의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내주 립(62)이 주회하여 마련되어 있다. 또한, 시일 부재(60)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외주 립(63)이 주회하여 마련되어 있다. 시일 부재(60)가 하우징부(11)에 조립되면, 통부(21)의 내주면에 각 외주 립(63)이 탄성적으로 밀착하며, 단자 수용부(12)의 캐비티(16)로부터 인출된 각 전선(200)의 외주면에 각 내주 립(62)이 탄성적으로 밀착하여, 하우징부(11)가 액밀하게 시일되도록 되어 있다.
홀더(40)는 합성 수지제로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부(21)의 후단 개구 가장자리에 접촉하면서 시일 부재(60)의 후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홀더 본체(41)와, 홀더 본체(41)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여 통부(21)의 외주에 외측 감입되는 감합벽(42)으로 이루어진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 본체(41)에는, 조립 시에 각 캐비티(16) 및 각 시일 구멍(61)과 전후 방향으로 동축으로 연통되는 위치에, 복수의 관통 구멍(43)이 관통하여 마련되어 있다. 각 관통 구멍(43)은, 단자 금구(110)를 삽입 관통 가능한 단면 직사각형의 개구 형상으로 되며, 그 내부에, 시일 부재(60)의 시일 구멍(61)으로부터 인출된 전선(200)이 헐겁게 끼워져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시일 부재(60)가 생략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합벽(42)은, 홀더 본체(41)의 폭 방향 양 단부에 연속하는 양 측벽(44)과, 홀더 본체(41)의 하단부에 연속하는 하측벽(45)으로 이루어지고, 전체로서 단면 대략 U자형을 이루고 있다. 즉, 감합벽(42)은, 홀더 본체(41)의 상단부에 연속하는 부분을 가지고 있지 않다. 이것은, 홀더(40)의 조립 시에 홀더 본체(41)의 상단부가 하우징측 회동 중심부(25)의 배치측에 위치하여, 이 하우징측 회동 중심부(25)에 대하여 커버측 회동 중심부(76)가 걸어 맞춰지기 위한 스페이스가 필요로 되기 때문이다.
감합벽(42)의 양 측벽(44)과 하측벽(45)에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조립 시에 통부(21)의 각 하우징측 걸림부(24)에 걸리는 홀더측 걸림부(46)가 개구하여 마련되어 있다. 홀더측 걸림부(46)는, 하우징측 걸림부(24)가 감합 가능한 단면 직사각형의 개구 형상을 보이고 있다. 또한, 감합벽(42)의 하측벽(45)에는, 조립 시에 하우징측 회동 중심부(25)와 상하 방향(후술하는 전선 커버(70)의 회동축 방향)에 동축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한쌍의 홀더측 회동 중심부(47)가 마련되어 있다. 홀더측 회동 중심부(47)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측 회동 중심부(25)와 거의 동일한 사각 상자형을 이루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내측에, 홀더(40)의 폭 방향 중앙측을 향하여 개방된 개방구(49)를 통과하여, 후술하는 커버측 회동 중심부(76)의 삽입 부재(77)가 삽입되어 걸림 상태로 걸어 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홀더측 회동 중심부(47)는, 감합벽(42)의 홀더측 걸림부(46)와 인접하여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전선 커버(70)는 합성 수지제로서, 전체로서 전방 및 측방에 개방된 캡형을 이루고, 홀더측 회동 중심부(47) 및 하우징측 회동 중심부(25)를 중심으로 하여, 개방 위치(도 5 및 도 6을 참조)와 폐지 위치(도 1을 참조)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선 커버(70)는, 도 1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립 시에 홀더(40)의 후면과 대향하여 배치되는 배판(71)과, 배판(71)의 상하 양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한쌍의 측판(72)으로 이루어진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판(71)은, 홀더(40)의 후면과 평행하여 거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부분으로부터 거의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부분에 걸쳐, 단면 대략 L자형으로 굴곡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배판(71)의 한쪽의 단부는, 양 측판(72)과 마찬가지로, 거의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조립 시에, 홀더(40)의 감합벽(42)의 측벽(44)과 수취부(28) 사이에 감합 상태로 삽입 가능한 판형의 커버측 록부(73)로서 구성된다. 커버측 록부(73)는, 배판(71)의 한쪽의 단부에, 조립 시에 하우징측 록부(26)의 록 돌기(27)가 꼭 맞는 단면 직사각형의 록 구멍(74)이 개구하여 마련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측판(72)의 전단부에는, 커버측 록부(73)와의 사이에 마련된 오목부(75)를 통해, 한쌍의 커버측 회동 중심부(76)가 마련되어 있다. 커버측 회동 중심부(76)는, 폭 방향을 따른 판 부재형을 이루며, 커버측 록부(7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이 되는 폭 방향 타측으로 짧게 돌출하는 삽입 부재(77)를 가지고 있다. 또한, 양 측판(72) 중, 커버측 회동 중심부(76)보다 폭 방향 타측의 부분은 개방되어 있다.
계속해서 규제 부재(90)에 대해서 설명하면, 규제 부재(90)는 마찬가지로 합성 수지제로서, 수취부(28)와 하우징측 록부(26) 사이에 마련된 삽입 공간(32)에 감합 가능한 판 부재형을 이루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규제 부재(90)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의 박판형의 규제 본체(91)와, 규제 본체(91)의 후단을 따라 연장되어 상하 양방향으로 뻗어나가는 리브형의 조작부(92)를 가지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규제 본체(91)의 판면 중, 조립 시에 수취부(28)의 수취측 록부(31)와 대향하는 면에, 갈고리형의 키측 록부(93)가 돌출하여 마련되어 있다. 규제 부재(90)가 삽입 공간(32)에 정규 삽입되면, 키측 록부(93)가 수취측 록부(31)에 탄성적으로 걸리고, 이에 의해 규제 부재(90)가 삽입 공간(32)에 빠짐 방지 상태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규제 본체(91)의 판면 중, 조립 시에 수취부(28)의 수취측 록부(31)와 대향하는 면에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면의 상하 양 단부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안내부(94)가 마련되어 있다. 안내부(94)는, 조립 시에 수취부(28)의 보호부(30)와 하우징측 록부(26) 사이에 감합 상태로 삽입되어, 양 안내부(94)와 규제 본체(91)가 하우징측 록부(26)를 끌어안도록 배치된다.
다음에, 실시예 1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조립에 있어서, 통부(21) 내에 시일 부재(60)가 감합 상태로 삽입되고, 단자 수용부(12)의 후면에 시일 부재(60)가 접촉하여 배치된다. 계속해서, 통부(21)에 홀더(40)가 씌워지고, 시일 부재(60)의 후면에 홀더 본체(41)가 접촉하여 배치되며, 감합벽(42)의 확대 개방 동작을 수반한 후, 통부(21)의 각 하우징측 걸림부(24)에, 대응하는 홀더측 걸림부(46)가 탄성적으로 걸려, 홀더(40)가 하우징부(11)에 빠짐 방지 유지되다.
그 상태로, 단자 수용부(12)의 각 캐비티(16) 내에 단자 금구(110)가 삽입된다. 이 경우, 단자 금구(110)는 홀더(40)의 관통 구멍(43)으로부터 시일 부재(60)의 시일 구멍(61)을 지나 캐비티(16) 내에 달하고, 시일 구멍(61)에는 전선(200)이 액밀하게 삽입되며, 관통 구멍(43)에는 전선(200)이 헐겁게 끼워져 삽입된다.
계속해서, 하우징(10)에 대하여 측방으로부터 경사 자세의 전선 커버(70)가 장착되고, 하우징측 회동 중심부(25)의 내측 및 홀더측 회동 중심부(47)의 내측에, 개방구(49)를 통과하여, 양 커버측 회동 중심부(76)의 삽입 부재(77)가 삽입된다(도 5를 참조). 그 상태로, 하우징측 회동 중심부(25)의 내측 및 홀더측 회동 중심부(47)의 내측에서 삽입 부재(77)를 틸팅시키면서, 이들 회동 중심부(25, 47, 76)를 지점(支點)으로 하여, 전선 커버(70)가 폐지 위치를 향하여 회동된다(도 5 및 도 6을 참조).
전선 커버(70)가 폐지 위치에 이르면, 커버측 록부(73)가 하우징측 록부(26)에 탄성적으로 걸려, 전선 커버(70)가 하우징(10)에 유지된다(도 1을 참조). 폐지 위치에서는, 전선 커버(70)의 전단의 거의 전체 가장자리가 연결부(14)의 후면에 접촉하여 배치되며, 홀더(40)의 각 관통 구멍(43)으로부터 인출된 전선(200)이 배판(71)에 의해 강제적으로 굴곡되고, 각 전선(200)이 배판(71)을 따라 외부로 도출된다. 또한, 폐지 위치에서는, 전선 커버(70)의 양 오목부(75)의 내측에, 각각 커버측 회동 중심부(76)에 걸어 맞춰지지 않는 다른 하우징측 회동 중심부(25) 및 커버측 회동 중심부(76)가 진입하여 밀려나간다. 또한, 커버측 회동 중심부(76)에 걸어 맞춰지지 않는 다른 하우징측 회동 중심부(25) 및 커버측 회동 중심부(76)는, 실시예 1과는 반대측에 하우징측 록부(26) 및 수취부(28)가 배치된 도시하지 않는 다른 커넥터에 적용되고, 그 외의 커넥터에 구비되는 전선 커버(70)의 커버측 회동 중심부(76)와 걸어 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계속해서, 하우징측 록부(26)와 수취부(28) 사이에 있어서의 삽입 공간(32)에, 조작부(92)를 집으면서 규제 부재(90)가 삽입된다(도 1을 참조). 규제 부재(90)가 삽입 공간(32)에 정규 삽입되면, 키측 록부(93)가 수취측 록부(31)에 걸리며, 그 걸리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서, 하우징측 록부(26)의 판면에 규제 부재(90)의 규제 본체(91)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에 의해, 하우징측 록부(26)의 휨 동작이 규제되고, 따라서 전선 커버(70)가 하우징(10)에 그 이탈이 규제된 상태로 확실하게 유지된다.
상기의 경우, 만약, 하우징측 록부(26)에 커버측 록부(73)가 정규 상태로 걸리지 않고 절반 걸림의 상태로 유지되고 있으면, 규제 부재(90)가 삽입 공간(32)에 삽입되는 동작이 규제되기 때문에, 이것을 가지고 전선 커버(70)가 폐지 위치에 바르게 이르고 있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따르면, 커버측 록부(73)와 하우징측 록부(26)가 서로 걸어 맞춰짐으로써, 전선 커버(70)가 하우징(10)에 유지된다. 그 상태로, 하우징측 록부(26)의 휨 공간이 되는 삽입 공간(32)에, 규제 부재(90)가 진입함으로써, 하우징측 록부(26)의 휨 동작이 규제되기 때문에, 만약, 전선 커버(70)가 하우징(10)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의 외력이 작용하여도, 그 외력에 따라 하우징측 록부(26)가 안이하게 휨 변형되는 일이 없어, 하우징(10)에 대한 전선 커버(70)의 유지 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된다. 그 결과, 전선 커버(70)가 하우징(10)측으로부터 부주의하게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실시예 1의 경우, 폐지 위치에 있어서의 전선 커버(70)에 개방 위치로의 외력이 작용하면, 회동 중심부(25, 47, 76)를 중심으로 하여 전선 커버(70)가 개방 위치로 되돌아가기 쉽다고 하는 사정이 있기 때문에, 규제 부재(90)에 의해 하우징측 록부(26)의 휨 동작을 규제하여 전선 커버(70)의 떨어짐 방지를 이루는 메리트는 크다.
또한, 실시예 1에 따르면, 커버측 회동 중심부(76)가 홀더측 회동 중심부(47) 및 하우징측 회동 중심부(25)에 지지된 상태로 전선 커버(70)가 회동되고, 홀더측 회동 중심부(47)가 홀더(40)의 감합벽(42)에 일체로 마련되며, 즉, 전선 커버(70)를 지지하는 구조가 홀더(40)와 간극없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스페이스 효율이 우수하여, 커넥터가 대형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선 커버(70)의 회동축 상의 한쪽에 홀더측 회동 중심부(47)가 마련되고, 다른쪽에 하우징측 회동 중심부(25)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만약, 하우징부(11)의 후면측에 대하여 홀더(40)가 회동축의 중앙을 경계로 하여 정규와는 반대 방향의 자세로 부착된다고 하면, 홀더측 회동 중심부(47)와 하우징측 회동 중심부(25)가 서로 간섭하여, 홀더(40)의 그 이상의 부착 동작이 규제된다. 그 결과, 홀더(40)의 오조립이 방지된다. 또한, 레버 수용실(20)의 둘레벽(19)이 하우징측 회동 중심부(25)에 의해 보강되기 때문에, 레버 수용실(20)에 수용되는 레버의 수용 상태가 안정된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 기술 및 도면에 의해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컨대 다음과 같은 양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실시예 1과는 반대로, 커버측 록부가 휨 변형하도록 되어 있고, 커버측 록부의 휨 공간에 규제 부재가 진입하여 커버측 록부의 휨 동작이 규제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2) 규제 부재가 전선 커버 또는 하우징과 일체로 연결된 구조여도 좋다.
(3) 하우징측 회동 중심부가 생략되고, 홀더측 회동 중심부가 전선 커버의 회동축 상의 위치에 쌍을 이루어 마련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10 : 하우징 11 : 하우징부
16 : 캐비티 19 : 둘레벽
20 : 레버 수용실 24 : 하우징측 걸림부
25 : 하우징측 회동 중심부 26 : 하우징측 록부
28 : 수취부 32 : 삽입 공간
40 : 홀더 43 : 관통 구멍
47 : 홀더측 회동 중심부 60 : 시일 부재
61 : 시일 구멍 70 : 전선 커버
73 : 커버측 록부 76 : 커버측 회동 중심부
90 : 규제 부재 110 : 단자 금구
200 : 전선

Claims (3)

  1. 전선의 단말부에 접속되는 단자 금구와,
    상기 단자 금구가 삽입되는 캐비티를 갖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후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캐비티와 연통되는 위치에 시일 구멍을 가지며, 상기 시일 구멍에 상기 하우징부의 후면으로부터 인출된 상기 전선이 액밀하게 삽입되는 시일 부재와,
    상기 시일 부재의 후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시일 구멍과 연통되는 위치에 관통 구멍을 가지며, 상기 관통 구멍에 상기 시일 부재의 후면으로부터 인출된 상기 전선이 헐겁게 끼워져 삽입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의 후면측에 대하여 개방 위치로부터 폐지 위치로 회동 가능하고, 상기 폐지 위치에서 상기 홀더의 후면측으로부터 인출된 상기 전선을 덮도록 배치되는 전선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전선 커버에는 커버측 회동 중심부가 마련되며,
    상기 홀더에는 상기 커버측 회동 중심부를 지지하여 상기 전선 커버의 회동 중심을 구성하는 홀더측 회동 중심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측 회동 중심부는 상기 전선 커버에 쌍을 이루어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후면에는, 상기 홀더를 사이에 두고 상기 홀더측 회동 중심부와는 반대측의 위치이고 그리고 상기 홀더측 회동 중심부를 통과하는 회동축 상의 위치에, 상기 홀더측 회동 중심부와 걸어 맞춰지는 상기 커버측 회동 중심부와는 별개의 커버측 회동 중심부를 지지하여 상기 홀더측 회동 중심부와 함께 상기 전선 커버의 회동 중심을 구성하는 하우징측 회동 중심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에는 상기 레버를 수용하는 레버 수용실이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측 회동 중심부가 상기 레버 수용실의 둘레벽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40108474A 2013-08-23 2014-08-20 커넥터 KR1015807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73025 2013-08-23
JP2013173025A JP6008252B2 (ja) 2013-08-23 2013-08-23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698A true KR20150022698A (ko) 2015-03-04
KR101580746B1 KR101580746B1 (ko) 2015-12-28

Family

ID=52480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8474A KR101580746B1 (ko) 2013-08-23 2014-08-20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306320B2 (ko)
JP (1) JP6008252B2 (ko)
KR (1) KR101580746B1 (ko)
CN (1) CN10442595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23898B2 (ja) * 2011-08-30 2016-05-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
JP2016207414A (ja) * 2015-04-21 2016-12-0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6207415A (ja) * 2015-04-21 2016-12-0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6207416A (ja) * 2015-04-21 2016-12-0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515824B2 (ja) * 2016-01-15 2019-05-2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463314B2 (ja) 2016-09-20 2019-01-3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コネクタカバー、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6924387B2 (ja) * 2018-03-15 2021-08-2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線の保持構造
JP2020198256A (ja) 2019-06-04 2020-12-10 矢崎総業株式会社 ハウジング
JP7272230B2 (ja) * 2019-10-18 2023-05-1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7630A (ja) * 2000-06-30 2002-01-2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配線器具用防滴プレート
JP4285311B2 (ja) * 2004-04-19 2009-06-2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3020774A (ja) 2011-07-09 2013-01-31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13093185A (ja) * 2011-10-25 2013-05-16 Yazaki Corp レバー式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75451B2 (en) * 2005-03-15 2007-02-1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Lever mated connector assembly with a position assurance device
US8285554B2 (en) * 2007-07-27 2012-10-09 Dsp Group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aliasing suppression
KR100965505B1 (ko) * 2007-12-31 2010-06-2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레버형 커넥터
US20090305536A1 (en) * 2008-06-06 2009-12-1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lever assist mating mechanism
JP4523987B1 (ja) * 2009-02-27 2010-08-11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スライドカム付きコネクタ
JP2011090880A (ja) * 2009-10-22 2011-05-06 Yazaki Corp 電線カバーの装着構造
JP5598384B2 (ja) * 2011-03-04 2014-10-0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7630A (ja) * 2000-06-30 2002-01-2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配線器具用防滴プレート
JP4285311B2 (ja) * 2004-04-19 2009-06-2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3020774A (ja) 2011-07-09 2013-01-31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13093185A (ja) * 2011-10-25 2013-05-16 Yazaki Corp レバー式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56846A1 (en) 2015-02-26
CN104425957A (zh) 2015-03-18
JP6008252B2 (ja) 2016-10-19
JP2015041565A (ja) 2015-03-02
US9306320B2 (en) 2016-04-05
CN104425957B (zh) 2017-04-12
KR101580746B1 (ko) 2015-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0746B1 (ko) 커넥터
KR101606644B1 (ko) 커넥터
KR101766496B1 (ko) 고무 플러그 및 방수 커넥터
JP5034685B2 (ja) コネクタ
JP5790619B2 (ja) コネクタ
JP4427564B2 (ja) コネクタプラグ
JP2018018583A (ja) コネクタ
US10446969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JP2016207416A (ja) コネクタ
JP6488978B2 (ja) 防水コネクタ
JP5929829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13182749A (ja) 防水コネクタ
JP5303348B2 (ja) ロック構造及び該ロック構造を用いた電気コネクタ
CN110073553B (zh) 带橡胶盖的连接器
WO2014181663A1 (ja) シールドコネクタ
JP2018018584A (ja) コネクタ
CN108666803B (zh) 电连接器
CN111129838B (zh) 端子盖
KR20150105993A (ko) 밀봉형 전기 커넥터 조립체
US9318842B2 (en) Connector
JP5985409B2 (ja) コネクタ
JP2011023201A (ja) コネクタ
JP5557035B2 (ja) 防水コネクタ
JP2011233336A (ja) コネクタ
JP4826488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