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2520A - 전기조리기용 내솥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조리기용 내솥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2520A
KR20150022520A KR20130100532A KR20130100532A KR20150022520A KR 20150022520 A KR20150022520 A KR 20150022520A KR 20130100532 A KR20130100532 A KR 20130100532A KR 20130100532 A KR20130100532 A KR 20130100532A KR 20150022520 A KR20150022520 A KR 20150022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pot
heat
flow reduction
heat flow
electric coo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0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5394B1 (ko
Inventor
이창룡
오준석
Original Assignee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0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5394B1/ko
Publication of KR20150022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47J27/02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with enlarged botto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166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2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cans or tins; Closing same in a permanent manner
    • B21D51/30Folding the circumferential seam
    • B21D51/32Folding the circumferential seam by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2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cans or tins; Closing same in a permanent manner
    • B21D51/30Folding the circumferential seam
    • B21D51/34Folding the circumferential seam by pr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외주면에 단을 형성하여 조리시 열효율을 향상하되 외관을 개선하여 향상된 미감으로 제품의 품질성이 향상되도록, 전기조리기의 내측에 형성되되 하부에 발열부가 구비된 장착공간에 삽입 배치되는 전기조리기용 내솥에 있어서, 내부에 조리대상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공간에 삽입 배치시 상기 발열부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부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되어 두께가 협소화되는 열유동저감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용 내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조리기용 내솥 및 그의 제조방법{inner pot for electric cook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전기조리기용 내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주면에 단을 형성하여 조리시 열효율을 향상하며 외관의 개선을 통한 미감 향상으로 제품의 품질성이 향상되는 전기조리기용 내솥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조리기는 통상의 업소 및 가정에서 조리대상물을 조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기밥솥, 전기압력밥솥 등을 말한다. 여기서, 상기 전기조리기는 발열부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단에 개폐가능하도록 구비된 뚜껑, 그리고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내솥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내솥은 내부에 조리대상물이 수용되며, 상기 본체의 발열부는 내솥의 바닥면 내지 외측면 하부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내솥을 가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발열부는 열판 히터나 상기 내솥을 유도 가열하는 코일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최근에는 높은 가열 효율과 온도 조절의 용이함으로 인해 유도가열형 히터가 많이 사용되는 추세이다.
또한, 상기 내솥은 조리에 필요한 온도과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일정한 두께 이상의 금속판을 프레스 성형으로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조리기용 내솥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의 전기조리기용 내솥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종래의 전기조리기용 내솥에서 열전달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전기조리기용 내솥(100)은 상단면이 개방되고 내측에 수용공간(101)이 형성되며, 상단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절곡된 복수개의 플랜지부(102)가 형성된다.
또한, 도 2 및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내솥(100)의 바닥부(104)와 측면부(103) 하부측에 배치된 발열부(110a,110b)는 상기 내솥(100)으로 상기 수용공간(101)의 내부에 수용된 조리대상물(w)을 가열하기 위한 열을 전달한다.
하지만, 종래의 내솥(100)은 압연로 제작되는 판재의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상기 수용공간(101)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측면부(103)의 두께가 일정하고 단조로운 형상으로 제작되었다.
따라서, 상기 발열부(110a,110b)에서 발생된 열(h)은 상기 측면부(103)의 하부(103b)로 전달되고, 상기 측면부(103) 하부로 전달된 열(h)은 상기 측면부(103)를 따라 상부(103a)로 일정하게 전달되었다. 이때, 조리대상물(w)이 수용되지 않는 상기 플랜지부(102)까지 열이 일정하게 전달되므로 낭비되는 열이 많았으며, 상기 플랜지부(102)는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많은 열손실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도 3b를 참조하면, 내솥의 측면부(103)가 먼저 가열되고 내솥 내측의 조리대상물(w)이 가열되는데, 조리대상물(w)이 채워지지 않은 상측(103a)에도 측면부(103)를 따라 열(h)이 일정하게 전달되므로 취사되는 조리대상물(w)이 적을 시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열이 전달되므로 낭비되는 열이 많아 열효율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내솥(100) 내의 열을 유지하되 상기 발열부(110b)의 열을 상기 내솥(100)으로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발열부(110b)와 대면되는 부분(103b)과 대면되지 않는 부분(103a)의 코팅층을 다르게 형성하거나, 디자인적 측면에서 미감을 향상하기 위해 상부(103a) 및 하부(103b)의 색상을 다르게 도장하는 경우에 경계면 처리의 난이도가 높아 제품의 생산성과 품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 제20-0366218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외주면에 단을 형성하여 조리시 열효율을 향상하며 외관의 개선을 통한 미감 향상으로 제품의 품질성이 향상되는 전기조리기용 내솥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기조리기의 내측에 형성되되 하부에 발열부가 구비된 장착공간에 삽입 배치되는 전기조리기용 내솥에 있어서, 내부에 조리대상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공간에 삽입 배치시 상기 발열부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부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되어 두께가 협소화되는 열유동저감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용 내솥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열유동저감부는 상기 내솥의 외주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유동저감부는 상기 내솥의 외주면을 소성 변형하도록 압연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열유동저감부는 상기 내솥 수용공간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 내용적의 30~60%가 되는 높이범위 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열유동저감부의 단면 두께가 최소인 부분의 상측 및 하측 중 어느 일측에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차부를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부에는 도장층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열유동저감부는 단면 두께가 최소인 부분의 상측 및 하측 중 타측에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내측에 조리대상물이 수용되도록 연장된 측면부가 구비된 내솥 몸체를 제조하는 제1단계; 상기 내솥 몸체의 외주면에 상기 내솥을 가열하도록 구비된 발열부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부측을 원주방향을 따라 함몰시켜 두께가 협소화되는 열유동저감부를 형성하는 제2단계; 및 상기 내솥 몸체의 외주면에 도장층을 형성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조리기용 내솥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열유동저감부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부에 도장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조리기용 내솥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내솥의 측면부에서 상기 발열부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부측에 두께가 협소화되는 상기 열유동저감부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측면부의 하부에서 상부로의 열전달 속도가 감소되어 상기 내솥의 하측에 실질적으로 열이 가두어지므로 상기 내솥 상단으로 유실되는 열량이 감소되고 상기 조리대상물로 전달되는 열량이 증가되어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조리대상물이 적은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가열될 수 있어 조리시간 절감 및 조리품질 향상으로 제품의 품질성이 향상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열유동저감부는 상기 내솥의 외주면을 소성 변형하도록 압연되어 형성되므로 별도의 금형 제작 없이 간단하게 제조될 수 있어 제품의 생산성 및 생산호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셋째, 상기 열유동저감부를 기준으로 그의 상부 및 하부에 상호 색상이 상이한 도장층이 형성되되 단차부로 인해 색상이 변화되는 부분의 경계가 뚜렷하게 표현되므로 외관이 고급화될 뿐만 아니라, 상기 열유동저감부의 상부 및 하부 사이의 경계를 침범한 색상을 보정처리하는 공정이 용이해지므로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조리기용 내솥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전기조리기용 내솥을 나타낸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종래의 전기조리기용 내솥에서 열전달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용 내솥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용 내솥을 나타낸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용 내솥에서 열전달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용 내솥을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용 내솥과 종래 전기조리기용 내솥의 주요부에서 시간에 따른 온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용 내솥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용 내솥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용 내솥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용 내솥에서 열전달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용 내솥(200)은 상기 본체의 장착공간에 삽입 배치되며, 상기 발열부(210a,210b)에 의해 가열되어 상기 내솥(200)의 내부에 수용된 조리대상물(w)로 열을 전달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발열부(210a,210b)가 상기 내솥(200)의 하면측과 측면부 하부측에 모두 배치된 것을 도시하였지만, 열판 히터 방식인 경우에 상기 발열부는 상기 내솥의 하면을 가열하도록 상기 장착공간의 하면에 배치된 열판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유도 가열 방식인 경우에 상기 발열부는 상기 내솥(200)에 구비되는 자성막을 유도가열하도록 상기 장착공간의 하면과 측면 하부측에 배치된 유도코일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발열부는 상기 내솥(200) 내부에 수용된 조리대상물(w)의 조리를 위한 메인 열원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미 조리 완료된 조리대상물을 보온하기 위해 상기 장착공간의 측면에 배치되는 사이드 히터와는 구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전기조리용 내솥(200)은 바닥부(205), 측면부(203), 그리고 플랜지부(20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내솥(200)은 내부에 조리대상물(w)이 수용되는 수용공간(201)이 형성되도록 원형의 플레이트로 형성된 바닥부(205)와 상기 바닥부(205)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된 측면부(203)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측면부(203)의 상단에는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절곡되도록 돌설된 복수개의 결합돌기로 이루어진 상기 플랜지부(202)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202)는 상기 전기조리기의 뚜껑 내측에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기조리기의 뚜껑은 조리시 상기 수용공간(201)을 밀폐하여 상기 수용공간(201) 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용공간(201)은 상기 바닥부(205)로부터 상기 플랜지부(202)와 상기 뚜껑이 결합되어 밀폐될 때 상기 조리대상물이 상기 뚜껑의 내측에 닿지 않는 높이범위까지의 공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측면부(203)에는 상기 내솥(200)이 상기 장착공간에 삽입 배치될 때 상기 발열부(210a,210b)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부측에 열유동저감부(20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열유동저감부(204)는 원주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되어 두께가 협소화되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측면부 하부(203b)와 상부(203a) 사이의 열전달 면적을 감소시킨다.
이때, 상기 측면부(203)의 두께를 협소화하여 상기 열유동저감부(204)를 형성하도록 함몰시키는 공정은 압연이나 절삭 가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발열부(210a,210b)에서 발생된 열(h)은 상기 내솥(200)의 바닥부(205) 및 측면부 하부(203b)로 전달되며, 측면부 하부(203b)로 전달된 열은 상기 측면부 상부(203a)로 전달된다. 이때, 감소된 열전달 면적으로 인해 상기 측면부 상부(203a)로 전달되는 열전달 속도가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열전달 속도의 감소는 상기 내솥(200)의 하측에 실질적으로 열(h)을 가두는 효과를 제공하여 상기 내솥(200) 상단으로 유실되는 열량을 감소시키고 상기 조리대상물(w)로 전달되는 열량을 증가시켜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열유동저감부(204)는 상기 발열부(210a,210b)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부측에 복수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내솥(200)의 상단으로의 열전달 속도가 더욱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열유동저감부(204)는 상기 내솥(200)의 외주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내솥(200)에 수용된 조리대상물(w)은 상기 내솥(200)의 내주면과 접촉된 부분부터 가열되고, 가열된 내주면측 조리대상물은 높은 온도로 인해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된다. 그리고, 상측으로 유동된 조리대상물은 중앙측을 거쳐 하측으로 유동되어 조리대상물 전체로 열이 전달되는 흐름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열유동저감부(204)는 내솥(200)의 외주면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되 내주면이 실질적으로 평탄하게 구비되므로 가열된 조리대상물(w)이 가열되고 상기 내솥의 내주면을 따라 유동되는 대류 과정이 원활하게 진행되어 상기 조리대상물 전체로 열이 빠르게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유동저감부(204)는 상기 내솥(200)의 외주면을 소성 변형하도록 압연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내솥(200)은 알루미늄 판재(일반압력밥솥) 혹은 알루미늄과 스테인레스가 접합된 클래드재(유도가열밥솥) 등의 열에 강하고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발생되지 않는 안정적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내솥(200)은 내측에 조리대상물(w)이 수용되도록 균일한 두께로 연장된 측면부(203)가 구비된 내솥 몸체를 제조하고, 상기 내솥 몸체의 외주면에서 상기 발열부(210a,210b)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부측을 원주방향을 따라 함몰시켜 두께가 협소화되는 열유동저감부(204)를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내솥 몸체는 클래드재 시트를 프레스 성형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형성된 상기 내솥 몸체의 외면과 내면을 1차 버핑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유동저감부(204)를 형성하도록 함몰시키는 공정이 압연을 통한 소성변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상기 측면부(203)의 내측을 따라 밀착되는 지지금형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지금형은 상기 내솥 몸체의 외주면을 압연할 때 내주면이 절곡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균일한 두께의 측면부를 가지도록 형성된 상기 내솥(200)을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외주면을 따라 함몰시키는 압연 과정을 거쳐 상기 열유동저감부(204)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금형 제작 없이 소성 변형을 통해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어 제품의 생산성 및 생산호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유동저감부(204)는 절삭 가공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내솥(200)이 프레스 성형으로 제작된 경우에는 진원도 유지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압연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열유동저감부(204)의 협소화된 두께를 균일하게 유지함으로써 상기 열유동저감부(204)로 저하되는 열전달속도를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내솥(200) 상측의 온도분포가 균등하게 유지되므로 조리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열유동저감부(204)는 상기 내솥 수용공간(201)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 내용적의 30~60%가 되는 높이범위 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열유동저감부(204)는 상기 내솥(200)에 채워진 조리대상물(w)의 용량이 적을 때에도 효과적인 가열을 가능하도록 하여 조리시간 절감 및 조리품질 향상으로 제품의 품질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세히, 내용적의 60%가 넘는 조리대상물(w)이 수용된 경우에는 상기 내솥(200)의 측면부와 상기 조리대상물(w)이 접하는 면적이 넓으므로 상기 내솥(200)의 상단으로 유실되는 열량이 적으며, 내용적의 30% 미만의 조리대상물(w)이 수용된 경우에는 내솥(200)의 측면부보다 바닥부에서 전달받는 열량이 많으므로, 관측된 실험결과에 따르면 내용적의 30~60% 사이에 열유동저감부(204)가 형성될 때 가장 두드러진 열효율의 상승이 나타났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열유동저감부(204)의 단차부(204b)를 기준으로 상부(203a) 및 하부(203b) 중 적어도 어느 일측부에는 도장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장층은 상부(203a) 및 하부(203b)에 상호 상이한 색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도장층은 상기 내솥(200)의 외면에 색감을 부여하도록 도포나 스프레이 분사 등으로 적층되는 도료와, 상기 내솥(200)의 부식이나 상기 도료를 벗겨짐을 방지하기 위해 적층되는 테프론 수지 등의 비활성물질로 이루어진 코팅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도장층은 도료 및 코팅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료 상측에 코팅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내솥(200)이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열유동저감부(204)의 하부(203b)에는 도료를 도포하고, 상부(203a)에는 도료 없이 노출된 스테인레스에 투명 코팅을 형성하거나 버핑으로 광택을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세히, 상기 내솥 몸체에 열유동저감부(204)를 형성하고, 상기 내솥(200)의 외주면에 도장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솥(200)의 외주면에 도장층을 형성할 시 상기 열유동저감부(204)의 단차부(204b)를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 중 어느 일측부에 도장층을 형성한 후 도장층이 형성된 상기 일측부의 표면을 마스킹하고 타측에 도장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열유동저감부(204)는 단면 두께가 최소인 최협소 지점(204a)의 상측 및 하측 중 어느 일측에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부(204b)를 포함하며, 타측에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204c)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최협소 지점(204a)의 상측에 단차부(204b)가 형성된 것을 예로 설명하지만, 최협소 지점(204a)의 하측에 단차부(204a)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열유동저감부(204)의 최협소 지점(204a)의 상측에 단차부(204b)가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측면부 하부(203b) 외주면에 도장층을 형성한 후 상기 측면부 상부(203a) 외주면에 도장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기 측면부 하부(203b) 및 바닥부에 도장층을 형성할 때 상기 경사부(204c)를 따라 상기 최협소 지점(204a)까지 도장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하부(203b)의 도장층이 상부(203a)로 침범하더라도 상기 단차부(204b)를 따라 연마함으로써 손쉬운 보정 작업이 가능하다.
상세히, 상기 단차부(204b)는 상기 측면부 상부(203a)와 하부(203b) 사이의 경계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상부(203a) 및 하부(203b) 외주면에 높이차를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상부(203a) 외주면에 연마기를 접촉시키더라도 하부(203b) 외주면에 닿지 않아 하부(203b)에 형성된 도장층을 손상시키고 않고 용이하게 연마할 수 있다.
물론, 최협소 지점(204a)의 하측에 단차부(204a)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측면부 하부(203b)로 침범한 도장층을 보정하는 작업이 용이해지므로 측면부 상부(203a)에 도장층을 먼저 형성하고 하부(203b)에 도장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도료나 코팅의 벗겨짐으로 인한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손쉬운 경계처리가 가능하여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유동저감부(204)를 기준으로 그의 상부(203a) 및 하부(203b)에 상호 상이한 도장층을 형성하되 단차부(204b)로 인해 색상이 변화되는 부분의 경계가 뚜렷하게 표현되므로 외관이 고급화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열유동저감부(204)는 상기 발열부(210a,210b)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부측에 한 곳으로 제한되지 않고, 다단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유동저감부(204)는 압연되는 위치를 변화하여 공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손쉽게 다단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으며, 다단으로 형성된 열유동저감부(204)를 기준으로 다양한 색상의 도장을 손쉽게 형성하고 색상이 변화되는 지점의 단차진 입체감을 통해 상기 내솥(200)의 외관이 더욱 고급화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용 내솥에서 가열시 주요부에서 나타난 시간에 따른 온도 변화를 측정한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열유동저감부를 통한 열효율 향상을 상세히 살펴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용 내솥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조리기용 내솥과 종래 전기조리기용 내솥의 주요부에서 시간에 따른 온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열유동저감부(204)는 협소화된 두께로 인해 상기 측면부(203)의 하부에서 상부로 열전달 속도를 감소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전기조리기용 내솥(200)에서 상기 열유동저감부(204)의 하부(T2) 및 상부(T1)에서 온도를 측정하고, 일정한 두께로 형성된 측면부를 가진 종래의 전기조리기용 내솥에서 상기 하부(T2) 및 상기 상부(T1)와 동일한 높이 지점의 온도를 측정한다. 그리고, 각 부분의 시간에 따른 온도 변화를 나타내면 도 8과 같다.
이때, 각각의 내솥에는 1400g, 26℃로 동일한 양과 온도의 물을 넣고 25분간 동일한 전력을 공급하여 가열하였으며, 상기 열유동저감부(204)에서 최협소 지점(204a)은 측면부(203)의 두께인 3mm를 기준으로 10%만큼 감소된 2.7mm의 두께로 함몰되었다.
여기서, 상기 열유동저감부(204)의 최협소 지점(204a)의 두께는 측면부(203)의 두께를 기준으로 5~30%로 감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최협소 지점(204a)의 두께가 상기 측면부(203)의 두께에서 5% 미만으로 감소되면 상기 열유동저감부(204)에서 발생되는 열전달 속도의 감소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30%를 초과하여 감소되면 상기 열유동저감부(204)의 강도가 저하되어 외부의 충격에 쉽게 변형 또는 파손될 수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a는 본 발명의 전기조리기용 내솥에서 상기 열유동저감부의 하부(T2)에서 측정한 온도 변화선이며, b는 종래의 전기조리기용 내솥에서 상기 하부와 동일한 높이 지점에서 측정한 온도 변화선이며, c는 종래의 전기조리기용 내솥에서 상기 열유동저감부의 상부(T1)와 동일한 높이 지점에서 측정한 온도 변화선이며, d는 본 발명의 전기조리기용 내솥에서 상기 열유동저감부의 상부(T1)에서 측정한 온도 변화선이다.
여기서, a와 b의 온도 변화선을 참조하면, 본 발명 내솥의 하부에서는 가열 후 종래 내솥의 하부보다 더 빠른 온도의 상승이 나타나고 있다. 상세히, 본 발명 내솥의 하부 온도는 가열 후 10분이 경과 되었을 때 100℃에 도달하였으나, 종래 내솥의 하부 온도는 가열 후 11분이 경과 되었을 때 100℃에 도달한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상기 열유동저감부(204)로 인한 열전달 면적의 감소로 인해 발열부에서 발생되어 상기 측면부 하부(203b)로 전달된 열이 상기 측면부 상부(203a)로 전달되는 것이 지연되고, 열의 전달 지연으로 상기 측면부 하부(203b)에 열이 정체되어 온도가 더 빠르게 상승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c와 d의 온도 변화선을 참조하면, 본 발명 내솥의 상부는 가열 후 종래 내솥의 상부보다 더 느린 온도의 상승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상기 열유동저감부(204)로 인한 열전달 면적의 감소로 인해 상기 측면부 하부(203b)에서 상부(203a)로의 열전달이 지연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열유동저감부(204)로 인한 열전달 면적의 감소는 상기 측면부 하부(203b)에서 상부(203a)로의 열전달을 감소시키게 되며, 상기 측면부 하부(203b)에서 열이 정체됨으로 인해 상기 내솥 내에 수용된 물로 전달되는 열량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상기 열유동저감부(204) 상측으로 전달되어 소실되는 열량이 감소된다.
이로 인해, 상기 열유동저감부(204)의 높이보다 조리대상물이 낮게 채워지는 경우에도 효율적인 가열이 가능하여 조리에 필요한 온도로 가열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어 조리시간 단축 및 조리품질 향상으로 제품의 품질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200: 전기조리기용 내솥 103,203: 측면부
104,205: 바닥부 102,202: 플랜지부
110a,110b,210a,210b: 발열부 204: 열유동저감부

Claims (8)

  1. 전기조리기의 내측에 형성되되 하부에 발열부가 구비된 장착공간에 삽입 배치되는 전기조리기용 내솥에 있어서,
    내부에 조리대상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공간에 삽입 배치시 상기 발열부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부측에 원주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되어 두께가 협소화되는 열유동저감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용 내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유동저감부는 상기 내솥의 외주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용 내솥.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유동저감부는 상기 내솥의 외주면을 소성 변형하도록 압연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전기조리기용 내솥.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유동저감부는 상기 내솥 수용공간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 내용적의 30~60%가 되는 높이범위 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용 내솥.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유동저감부의 단면 두께가 최소인 부분의 상측 및 하측 중 어느 일측에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부를 포함하되, 상기 단차부를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부에는 도장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용 내솥.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열유동저감부는 단면 두께가 최소인 부분의 상측 및 하측 중 타측에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용 내솥.
  7. 내측에 조리대상물이 수용되도록 연장된 측면부가 구비된 내솥 몸체를 제조하는 제1단계;
    상기 내솥 몸체의 외주면에 상기 내솥을 가열하도록 구비된 발열부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부측을 원주방향을 따라 함몰시켜 두께가 협소화되는 열유동저감부를 형성하는 제2단계; 및
    상기 내솥 몸체의 외주면에 도장층을 형성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조리기용 내솥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열유동저감부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부에 도장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조리기용 내솥의 제조방법.
KR1020130100532A 2013-08-23 2013-08-23 전기조리기용 내솥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55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0532A KR102055394B1 (ko) 2013-08-23 2013-08-23 전기조리기용 내솥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0532A KR102055394B1 (ko) 2013-08-23 2013-08-23 전기조리기용 내솥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520A true KR20150022520A (ko) 2015-03-04
KR102055394B1 KR102055394B1 (ko) 2019-12-12

Family

ID=53020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0532A KR102055394B1 (ko) 2013-08-23 2013-08-23 전기조리기용 내솥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539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10253A (zh) * 2016-04-14 2016-06-29 湛江喜红集团有限公司 电饭锅内壳自动上下料冲压生产线
CN107138641A (zh) * 2017-04-26 2017-09-08 广东华强电器集团有限公司 一种电饭锅中层全自动生产线
CN109199125A (zh) * 2017-07-07 2019-01-15 浙江苏泊尔家电制造有限公司 内锅、电饭煲和电压力锅
KR20190006288A (ko) 2017-07-10 2019-01-18 아바윈주식회사 면상 발열체를 이용한 조리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8153B2 (ja) * 1994-08-30 2001-10-15 株式会社日立ホームテック 電磁加熱炊飯器の炊飯容器
KR200366218Y1 (ko) 2004-08-12 2004-11-03 유호성 전자 유도 가열 밥솥용 내솥
JP2012200346A (ja) * 2011-03-24 2012-10-22 Zojirushi Corp 調理釜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方法によって製造した加熱調理器用調理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8153B2 (ja) * 1994-08-30 2001-10-15 株式会社日立ホームテック 電磁加熱炊飯器の炊飯容器
KR200366218Y1 (ko) 2004-08-12 2004-11-03 유호성 전자 유도 가열 밥솥용 내솥
JP2012200346A (ja) * 2011-03-24 2012-10-22 Zojirushi Corp 調理釜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方法によって製造した加熱調理器用調理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10253A (zh) * 2016-04-14 2016-06-29 湛江喜红集团有限公司 电饭锅内壳自动上下料冲压生产线
CN107138641A (zh) * 2017-04-26 2017-09-08 广东华强电器集团有限公司 一种电饭锅中层全自动生产线
CN109199125A (zh) * 2017-07-07 2019-01-15 浙江苏泊尔家电制造有限公司 内锅、电饭煲和电压力锅
KR20190006288A (ko) 2017-07-10 2019-01-18 아바윈주식회사 면상 발열체를 이용한 조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5394B1 (ko) 2019-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22520A (ko) 전기조리기용 내솥 및 그의 제조방법
CN109349911B (zh) 一种外表面具有部分凹凸花纹的汤锅制作工艺
CN207940630U (zh) 一种复合锅
JP2013255647A (ja) 非金属製鍋
CN105433764B (zh) 一种多用炒锅
CN205885311U (zh) 一种电磁加热的煎烤盘及电磁加热烹饪装置
CN207768208U (zh) 一种内胆加热结构及烤箱
CN205947638U (zh) 一种复合材料内锅及具有其的电加热烹饪器具
JP2015150396A (ja) 調理鍋の製造方法および調理鍋
KR100394832B1 (ko) 알루미늄 도금강판을 이용한 프라이팬 및 그 제조방법
KR101751320B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KR200493108Y1 (ko) 다기능 전기밥솥
KR20180002206U (ko) 수비드(sous-vide) 조리기
CN106562678A (zh) 一种电饭煲用铸铁内胆
EP2392237B1 (en) Cooking appliance adapted for low pressure cooking
CN207202689U (zh) 一种电磁感应加热烹饪装置
CN205947629U (zh) 一种复合材料内锅及具有其的电加热烹饪器具
CN205947628U (zh) 一种复合材料内锅及具有其的电加热烹饪器具
JPH09140566A (ja) 電磁誘導加熱式炊飯器
CN204813322U (zh) 陶瓷内锅、具有该陶瓷内锅的电压力锅以及电饭煲
CN205514079U (zh) 发热盘及烹饪器具
CN206213793U (zh) 一种电磁加热锅具
CN217118195U (zh) 一种板式加热器电烤箱
CN205923700U (zh) 一种复合材料内锅及具有其的电加热烹饪器具
JP2011200727A (ja) ジャー炊飯器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