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7311A - 분류 설비, 분류 설비에서의 읽기 수단, 분류 설비에서의 물품의 분류 방법 - Google Patents

분류 설비, 분류 설비에서의 읽기 수단, 분류 설비에서의 물품의 분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7311A
KR20150017311A KR1020140100394A KR20140100394A KR20150017311A KR 20150017311 A KR20150017311 A KR 20150017311A KR 1020140100394 A KR1020140100394 A KR 1020140100394A KR 20140100394 A KR20140100394 A KR 20140100394A KR 20150017311 A KR20150017311 A KR 20150017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orting
display
storage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0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0974B1 (ko
Inventor
히로유키 모리
겐이치 우키수
노부히로 후지타
도모아키 우에다
지로 시바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150017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7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65G1/1371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with data rec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신뢰성이 높은 분류 작업을 실행할 수 있고, 작업자가 유저처별로 주문 물품을 확실히 분류할 수 있는 분류 설비, 읽기 수단, 물품의 분류 방법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유저로부터의 주문에 따라서 물품(2)을 분류하는 픽킹 설비(1)로서, 물품(2)의 분류 작업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셀 표시기(19)와 셀 표시기(19)의 제어를 지시하는 통괄 컨트롤러(51)와 통괄 컨트롤러(51)의 지시에 의해 셀 표시기(19)를 제어하는 존 컨트롤러(55)와 물품(2)의 분류 작업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선반측 태그(65)와 선반측 태그(65)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비접촉으로 읽어내는 태그 리더(60)를 구비하고, 태그 리더(60)는 선반측 태그(65)로부터 정보를 읽어내는 정보 읽기 기능과 선반측 태그(65)로부터 읽어낸 정보를 무선에 의해 존 컨트롤러(55)에 송신하는 정보 송신 기능을 가지고, 존 컨트롤러(55)는 태그 리더(60)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에 의해 셀 표시기(19)를 제어 가능하게 구성한다.

Description

분류 설비, 분류 설비에서의 읽기 수단, 분류 설비에서의 물품의 분류 방법{SORTING FACILITY, READING DEVICE AT THE SORTING FACILITY AND SORTING METHOD OF GOODS AT THE SORTING FACILITY}
본 발명은, 유저로부터의 주문에 따라서 물품을 분류하는 분류 설비, 분류 설비에서의 읽기 수단, 분류 설비에서의 물품의 분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분류 설비에는, 주문 물품의 주문 개수를 표시하는 개수 표시기, 픽킹 표시기, 투입 표시기, 혹은 임시 보관 표시기 등의 각종 표시 수단이 마련되어 있고, 작업자는 이들 표시 수단을 육안 확인으로 분류 작업을 행한다. 이 때문에, 이러한 분류 설비에서는, 표시기에 표시되어 있는 개수와 다른 개수의 물품을 분류해 버리는 경우, 혹은 주문을 받지 않은 물품을 분류해 버리는 경우 등이 있고, 작업자에 의한 분류 오류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여기에, 객관적인 판단에 의해, 작업자가 유저처(處)별로 주문 물품을 확실히 분류하는 것이 가능한 분류 설비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에 있어서는, 픽킹 선반의 각 물품 수납부에 있어서의 픽킹 표시기의 근방에, 상기 물품 수납부에 보관된 물품의 분류처에 관한 데이터가 기억된 ID 태그를 구비하고, 한편, 작업자의 손목에, 상기 작업자가 집품(集品) 중의 분류처가 기억되어 있음과 아울러, ID 태그에 접근했을 때에 상기 ID 태그에 기억된 상기 데이터를 읽어내는 태그 리더를 구비하고, 작업자가 물품 수납부로부터 물품을 픽킹했을 때, 태그 리더에 기억된 분류처가 ID 태그로부터 읽어낸 데이터 중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태그 리더는 픽킹 에러를 통지하고, 잘못된 물품의 꺼냄을 방지하고, 픽킹 작업의 신뢰성을 높이고 있다. 즉, 특허 문헌 1의 분류 설비에 있어서는, 주문 물품의 픽킹이, 태그 리더에 의한 ID 태그로부터의 데이터 읽기와, 픽킹 완료 버튼의 누름으로 확인된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06-232510호
그러나, 특허 문헌 1의 분류 설비에 있어서는, 태그 리더에 의한 ID 태그로부터의 데이터 읽기와, 픽킹 완료 버튼의 누름이, 시스템상에서 연동하지 않고, 예를 들면, 작업자에 의한 분류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태그 리더에 의해 경보음은 통지되지만, 한쪽의 픽킹 완료 버튼의 누름은 가능하고, 분류 에러가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문 물품의 분류가 정확하게 완료된 상태(태그 리더 상에서는 분류 에러가 발생하고 있음에 대해, 픽킹 완료 버튼(표시기) 상에서는 주문 물품의 분류가 완료된 상태)로 될 수 있음으로 해서, 분류 작업의 신뢰성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신뢰성이 높은 분류 작업을 실행할 수 있고, 작업자가 유저처별로 주문 물품을 확실히 분류할 수 있는 분류 설비, 분류 설비에서의 읽기 수단, 분류 설비에서의 물품의 분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으며, 다음으로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한다.
즉, 본 발명 중 청구항 1에 기재된 분류 설비는, 유저로부터의 주문에 따라서 물품을 분류하는 분류 설비로서, 상기 물품의 분류 작업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표시 수단의 동작의 제어를 지시하는 제어 지시 수단과, 상기 제어 지시 수단의 지시에 근거하여, 상기 표시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표시 제어 수단과, 상기 물품의 분류 작업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비접촉으로 읽어내는 읽기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읽기 수단은,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정보를 읽어내는 정보 읽기 기능과,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읽어낸 정보를 무선에 의해 상기 표시 제어 수단에 송신하는 정보 송신 기능을 가지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읽기 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표시 수단의 동작을 제어 가능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서는, 상기 읽기 수단이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읽어낸 정보를 무선에 의해 상기 표시 제어 수단으로 송신함에 의해,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제어 지시 수단을 통하지 않고, 상기 읽기 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표시 수단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분류 설비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 및 상기 기억 수단이, 상기 물품을 수납하는 물품 수납부에 마련됨과 아울러, 상기 읽기 수단이, 상기 물품 수납부에서 분류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에 장착되고, 상기 작업자가 상기 물품 수납부에서 분류 작업을 행함에 의해, 상기 읽기 수단이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정보를 읽어내고, 읽어낸 정보를 상기 표시 제어 수단에 송신함과 아울러,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이 상기 읽기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표시 수단을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서는, 작업자가 상기 물품 수납부에서 분류 작업을 행하면, 상기 작업자에 장착되어 있는 상기 읽기 수단이, 상기 물품 수납부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정보를 읽어냄과 아울러,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읽어낸 정보를 무선에 의해 상기 표시 제어 수단에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제어 지시 수단을 통하지 않고, 상기 읽기 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물품 수납부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표시 수단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분류 설비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 및 상기 기억 수단이, 분류처별로 물품의 분류를 행하기 위한 분류 용기에 대응시켜서 마련됨과 아울러, 상기 읽기 수단이, 상기 분류 용기에 대해서 분류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에 장착되고, 상기 작업자가 상기 분류 용기에 대해서 분류 작업을 행함에 의해, 상기 읽기 수단이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정보를 읽어내고, 읽어낸 정보를 상기 표시 제어 수단에 송신함과 아울러,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이 상기 읽기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표시 수단을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서는, 작업자가 상기 분류 용기에 대해서 분류 작업을 행하면, 상기 작업자에 장착되어 있는 상기 읽기 수단이, 상기 분류 용기에 대응하여 마련되어 있는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정보를 읽어냄과 아울러,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읽어낸 정보를 무선에 의해 상기 표시 제어 수단에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제어 지시 수단을 통하지 않고, 상기 읽기 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분류 용기에 대응하여 마련되어 있는 상기 표시 수단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분류 설비에 있어서, 분류처별로 물품의 분류를 행하기 위한 분류 용기에 분류해야 할 물품을, 미리 분류하여 임시 보관하는 임시 보관부를 가지고, 상기 표시 수단 및 상기 기억 수단이, 상기 임시 보관부에 마련됨과 아울러, 상기 읽기 수단이, 상기 분류 용기에 대해서 분류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에 장착되고, 상기 작업자가 상기 임시 보관부에 대해서 분류 작업을 행함에 의해, 상기 읽기 수단이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정보를 읽어내고, 읽어낸 정보를 상기 표시 제어 수단에 송신함과 아울러,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이 상기 읽기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표시 수단을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서는, 작업자가 분류해야 할 물품을 미리 분류하여 임시 보관부에 임시 보관하는 분류 작업(임시 보관 작업)을 행하면, 상기 작업자에 장착되어 있는 상기 읽기 수단이, 상기 임시 보관부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정보를 읽어냄과 아울러,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읽어낸 정보를 무선에 의해 상기 표시 제어 수단에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제어 지시 수단을 통하지 않고, 상기 읽기 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임시 보관부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표시 수단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분류 설비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은, 상기 읽기 수단에 의한 상기 기억 수단 내의 정보의 읽기가 가능한 읽기 가능 영역을 가지고, 상기 물품 수납부에 마련되는 기억 수단의 상기 읽기 가능 영역은, 상기 물품 수납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다른 기억 수단의 위치 관계에 따라서 조정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서는, 상기 물품 수납부에 마련되는 상기 기억 수단의 읽기 가능 영역이, 상기 물품 수납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다른 기억 수단의 읽기 가능 영역과 간섭하지 않는다.
또한,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분류 설비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은, 상기 읽기 수단에 의한 상기 기억 수단 내의 정보 읽기가 가능한 읽기 가능 영역을 가지고, 상기 분류 용기에 대응시켜서 마련되는 기억 수단, 혹은 상기 임시 보관부에 마련되는 기억 수단의 상기 읽기 가능 영역은, 상기 물품 수납부에 마련되는 기억 수단의 읽기 가능 영역에 대응시켜 조정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서는, 상기 물품 수납부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의 읽기 가능 영역의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상기 분류 용기에 대응시켜서 마련되는 기억 수단, 혹은 상기 임시 보관부에 마련되는 기억 수단에 있어서도 확실하게 정보를 읽어낼 수 있다.
또한,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분류 설비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이, 상기 물품 수납부, 상기 분류 용기, 혹은 상기 임시 보관부에 대해서, 위치 변경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서는, 상기 기억 수단을, 상기 물품 수납부, 상기 분류 용기, 혹은 상기 임시 보관부에 대해서 위치를 변경하여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분류 설비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이, 상기 물품 수납부, 상기 분류 용기, 혹은 상기 임시 보관부에 대해서 탈착 가능한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를 받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서는, 상기 기억 수단을, 상기 물품 수납부, 상기 분류 용기, 혹은 상기 임시 보관부에 대해서 탈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분류 설비에 있어서, 상기 물품 수납부에 마련되는 기억 수단은, 상기 읽기 수단에 의한 기억 수단 내의 정보 읽기가 가능한 읽기 가능 영역의 방향이, 그 기억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물품 수납부에서 분류 작업을 행하고 있는 작업자보다 하류측에서 분류 작업을 행하고 있는 작업자를 향하여 있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서는, 기억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물품 수납부에서 분류 작업을 행하고 있는 작업자뿐만이 아니라, 그 하류측에서 분류 작업을 행하고 있는 작업자에 있어서도, 기억 수단에서의 정보를 확실하게 읽어낼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분류 설비에 있어서, 상기 분류 용기에 대응시켜서 마련되는 기억 수단이, 분류 용기에 물품이 투입되었는지를 검지하는 투입 검지용의 기억 수단과, 분류 용기의 위치를 검지하는 위치 검지용의 기억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서는, 분류 용기에의 물품의 투입 상황 및 그 분류 용기의 위치를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분류 설비에 있어서, 분류 작업에서의 오작업을 통지하는 통지 수단이, 상기 분류 용기에 대응시켜서 마련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분류 용기에 대응시켜서 마련되는 읽기 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통지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서는, 분류 작업에서의 오작업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제어 지시 수단을 통하지 않고, 상기 읽기 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분류 용기에 대응하여 마련되어 있는 상기 통지 수단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분류 설비에 있어서, 분류 작업의 완료시에,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작하는 완료 조작 수단이, 물품 수납부, 분류 용기, 혹은 상기 임시 보관부에 대응시켜서 마련됨과 아울러, 상기 표시 제어 수단과 연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읽기 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분류 작업이 완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자동 완료 판단 기능과, 상기 완료 조작 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분류 작업이 완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수동 완료 판단 기능을 가지고, 상기 자동 완료 판단 기능과, 상기 수동 완료 판단 기능은, 상기 표시 제어 수단에 있어서 스윗칭 가능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서는, 분류 작업이 완료되었는지 아닌지의 판단을, 상기 읽기 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정보, 또는 상기 완료 조작 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행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2에 기재된 분류 설비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이, 상기 자동 완료 판단 기능과 상기 수동 완료 판단 기능의 스윗칭을 각 표시 수단 단위로 행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서는, 분류 작업이 완료되었는지 아닌지의 판단 방법을, 각 표시 수단 단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분류 설비에 있어서, 분류 작업의 완료시에,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작하는 완료 조작 수단이, 물품 수납부, 분류 용기, 혹은 상기 임시 보관부에 대응시켜서 마련됨과 아울러, 상기 표시 제어 수단과 연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읽기 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분류 작업이 완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자동 완료 판단 기능과, 상기 완료 조작 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분류 작업이 완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수동 완료 판단 기능을 가지고, 상기 읽기 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정보, 및 상기 완료 조작 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분류 작업이 완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서는, 분류 작업이 완료되었는지 아닌지의 판단을, 상기 읽기 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정보, 및 상기 완료 조작 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의 양 정보에 근거하여 행한다.
또한, 청구항 1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분류 설비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이, 분류 작업시에, 상기 표시 수단에 대해서, 분류해야 할 물품의 수량을 표시시키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분류 작업 완료시에, 상기 표시 수단에 대해서, 분류가 완료된 물품의 수량을 표시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서는, 분류 작업시뿐만 아니라, 분류 작업 완료시에 있어서도, 상기 표시 수단에 물품의 수량이 표시된다.
또한, 청구항 16에 기재된 분류 설비에 있어서의 읽기 수단은, 유저로부터의 주문에 따라서 분류되는 물품의 분류 작업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정보를 비접촉으로 읽어내는, 분류 설비에서의 읽기 수단으로서,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정보를 읽어내는 정보 읽기 기능과, 상기 물품의 분류 작업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의 동작의 제어를 지시하는 제어 지시 수단의 지시에 근거하여 상기 표시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표시 제어 수단에,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읽어낸 정보를 무선에 의해 송신하는 정보 송신 기능을 갖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서는, 상기 읽기 수단이,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정보를 읽어낼뿐만 아니라, 그 읽어낸 정보를, 표시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표시 제어 수단에 무선에 의해 송신한다.
또한, 청구항 17에 기재된 분류 설비에 있어서의 물품의 분류 방법은, 유저로부터의 주문에 따라서 물품을 분류하는 분류 설비에서의 물품의 분류 방법으로서, 상기 물품의 분류 작업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표시 수단의 동작의 제어를 지시하는 제어 지시 수단과, 상기 표시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표시 제어 수단과, 상기 물품의 분류 작업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비접촉으로 읽어내는 읽기 수단을 마련하고, 상기 읽기 수단이,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정보를 읽어냄과 아울러,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읽어낸 정보를 무선에 의해 상기 표시 제어 수단에 송신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이, 상기 제어 지시 수단의 지시에 근거하여, 상기 표시 수단의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읽기 수단으로부터 무선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표시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이다.
상기 방법에서는,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제어 지시 수단의 지시에 근거하여, 상기 표시 수단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읽기 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에 근거해서도, 상기 표시 수단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류 설비에 의하면, 읽기 수단과 표시 수단을 연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분류 에러시에 있어서의 읽기 수단의 동작과 표시 수단의 동작을 확실히 관련지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신뢰성이 높은 분류 작업을 실행할 수 있고, 작업자가 유저처별로 주문 물품을 확실히 분류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제어 수단은, 제어 지시 수단을 통하지 않고, 읽기 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표시 수단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읽기 수단과 표시 수단을 더 고속으로 연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대한 분류 설비의 일례인 픽킹 설비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상기 픽킹 설비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3은 상기 픽킹 설비의 주요부 평면 구성도이다.
도 4는 상기 픽킹 설비의 제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작업자가 픽킹 작업을 행할 때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작업자가 물품의 투입 작업을 행할 때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픽킹 설비에 있어서의 픽킹 작업시의 운용의 제 1 모드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8은 상기 픽킹 설비에 있어서의 픽킹 작업시의 운용의 제 2 모드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9는 상기 픽킹 설비에 있어서의 픽킹 작업시의 운용의 제 3 모드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대한 분류 설비의 일례인 임시 보관 선반을 갖는 픽킹 설비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11은 상기 임시 보관 선반을 갖는 픽킹 설비에 있어서의 임시 보관 픽킹 작업시의 운용의 제 2 모드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2는 상기 임시 보관 선반을 갖는 픽킹 설비에 있어서의 임시 보관 투입 작업시의 운용의 제 2 모드를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실시 형태 1]
우선, 본 발명에 대한 분류 설비의 일례인 픽킹 설비(1)에 대하여 설명한다.
[픽킹 설비(1)]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픽킹 설비(1)는, 개별의, 미리 등록된 유저(소비자, 중간 업자 등)로부터 오더(주문, 출하 계획 등)를 받은 물품(2)을, 유저의 오더가 할당된 집품 용기(10)(분류 용기의 일례)에 모아서 배송하는 설비이다.
픽킹 설비(1)는, 수집되는 물품(2)이 수납되는 수납 상자(12)가 보관되는 스토리지 라인(A)과, 픽킹된 물품(2)을 수납(투입)하는 집품 용기(10)를 반송하는 용기 반송 라인(B)과, 물품(2)을 투입하는 투입 대상의 집품 용기(10)인 것을 표시하는 투입 표시기(26)를 각각, 투입(표시) 대상의 집품 용기(10)에 맞추어, 용기 반송 라인(B)을 따라서 이동하고, 수집이 종료하면 용기 반송 라인(B)의 상류에 되돌리도록 순환 반송하기 위한 표시기 이동 라인(C)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토리지 라인(A))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토리지 라인(A)은, 플로우 랙(flow rack)(15)(물품 수납부의 일례)으로 구성된다. 플로우 랙(15)은, 1종류(1품목)의 물품(2)이 수납된 수납 상자(12)가 재치되는(수납되는) 셀(間口,16)을 복수열 갖는 선반(17)을 상하에 복수단 배치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토리지 라인(A)에는, 복수의 셀(16)마다, 집품 용기(10)에 수집하는 물품(2)의 꺼내기 작업을 실행하는 픽킹 존(P)이 설정되고, 픽킹 존(P)마다 픽킹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H)가 1명씩 배치되어 있다. 각 작업자(H)는, 후술하는 태그 리더(60)(읽기 수단의 일례)를 휴대한 상태에서 픽킹 작업을 행한다.
또한, 플로우 랙(15)의 각 선반(17)의 각 셀(16)의 전면에는, 픽킹하는 물품(2)의 수량(꺼내기 개수)을 표시하는 디지털 표시기(19A)와, 픽킹 작업이 있는 것을 표시하는 램프 및 버튼 스위치를 겸한 표시/완료 버튼(19B)(완료 조작 수단의 일례)으로 구성된 셀 표시기(19)(표시 수단의 일례)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각 셀(16)의 전측 상부에는, 후술하는 패시브 태그로 이루어지는 선반측 태그(65)(기억 수단의 일례)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플로우 랙(15)에는, 픽킹 존(P)마다, 상류 위치에, 픽킹 대상의 물품(2)(수납 상자(12))이 수납된 셀(16)이 존재하는 선반(17)의 단수(段數)를 각각 표시하는 복수개의 램프(20A)를 세로 방향으로 나열하여 이루어지는 베이(bay) 표시기(20)가 마련되어 있다.
(용기 반송 라인(B))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반송 라인(B)은, 작업자(H)를 사이에 두고 스토리지 라인(A)(플로우 랙(15))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플로우 랙(15)을 따라서 집품 용기(10)를 반송하는 롤러 구동 컨베이어 장치(21)로 구성된다. 아울러, 용기 반송 라인(B)은, 작업자(H)를 사이에 두고 스토리지 라인(A)(플로우 랙(15))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경우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작업자(H)를 사이에 두지 않고 스토리지 라인(A)(플로우 랙(15))과 동일한 측으로 치우치게 하여 배치되는 경우라도 상관없다.
용기 반송 라인(B)에는, 각 픽킹 존(P)에 대응하여, 픽킹 존(P)에서 꺼낸 물품(2)의 투입 대상으로 되는 복수의 집품 용기(10)를 구분하는 투입 존(Z)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롤러 구동 컨베이어 장치(21)의 측부에는, 투입 존(Z)마다, 투입 완료 테이프 스위치(23)(완료 조작 수단의 일례) 및 제 1 LED 램프(24A)(통지 수단의 일례)가 구비되고, 인접하는 투입 존(Z)마다, 제 2 LED 램프(24B)(통지 수단의 일례)가 구비되어 있다.
투입 완료 테이프 스위치(23)는, 작업자(H)가 집품 용기(10)에 대해서 물품(2)의 투입이 완료되었을 때에 누르는 스위치이다. 또한, 투입 완료 테이프 스위치(23)에는, 완료 버튼(28)(표시 수단, 완료 조작 수단의 일례)을 갖는 부속 표시기(27)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완료 버튼(28)은, 집품 용기(10)에 투입해야 할 모든 물품(2)이 투입되었을 때에 점멸함과 아울러, 작업자(H)가 집품 용기(10)에 대해서 물품(2)의 투입이 완료되었을 때에 누르는 스위치이다.
LED 램프(24A·24B)는, 설치되어 있는 투입 존(Z)내에 있어서, 예를 들면, 집품 용기(10)에의 물품(2)의 투입 오류(오작업의 일례) 등이 있는 경우에 점등 혹은 점멸하여, 투입 오류 등을 통지한다.
또한, 롤러 구동 컨베이어 장치(21)의 측부에는, 투입 존(Z)마다, 투입 존(Z)에 집품 용기(10)가 이동해 온 것을 검출하는 검출 리더(58)가 마련되어 있다. 검출 리더(58)는, 각 투입 존(Z)의 상류측 단부에 마련되고, 집품 용기(10)가 자기의 투입 존(Z)으로 이동해 왔을 때, 집품 용기(10)에 마련된 용기 위치 태그(67)(도 6 참조, 위치 검지용의 기억 수단의 일례)를 읽어낸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반송 라인(B)(롤러 구동 컨베이어 장치(21)) 상을 반송되는 집품 용기(10)에는, 집품 용기(10)에 걸림 가능한 돌기부를 갖는 어태치먼트(25)를 개재하여 투입 표시기(26)가 장착된다.
투입 표시기(26)는, 어태치먼트(25)상에 연결되어 있고, 표시 대상의 1대의 집품 용기(10)에 맞추어, 용기 반송 라인(B)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하는 표시기 이동 라인(C)에 의해 반송된다. 투입 표시기(26)는, 세로로 긴 상자 형상의 표시기 본체(30)와, 장축 방향의 표시기 본체(30)의 표면에 차례로 배치된 상류 존 표시 수단인 제 1 램프부(31)와, 표시 화면인 디지털 표시기(32)와, 자기 영역 표시 수단인 제 2 램프부(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투입 표시기(26)의 표시기 본체(30)에는, 표시기 컨트롤러(도시 안함) 및 안테나 내장의 무선기(도시 안함)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투입 표시기(26)의 표시기 본체(30)에는, 후술하는 패시브 태그로 이루어지는 용기측 태그(66)(투입 검지용의 기억 수단의 일례)가 장착되어 있다.
(표시기 이동 라인(C))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기 이동 라인(C)은, 용기 반송 라인(B)의 스토리지 라인(A)(플로우 랙(15))보다 상류(도 1의 우측)에서, 집품 용기(10)의 배면(단축 방향의 측면이고, 또한 스토리지 라인(A)의 작업자(H)와는 반대측의 측면)을 따라서, 투입 표시기(26)가 장착된 어태치먼트(25)가 접근하여, 어태치먼트(25)의 돌기부가 집품 용기(10)의 배면에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표시기 이동 라인(C)은, 용기 반송 라인(B)의 스토리지 라인(A)(플로우 랙(15))보다 하류(도 1의 좌측)에서, 투입 표시기(26)가 장착된 어태치먼트(25)가 집품 용기(10)에서 이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표시기 이동 라인(C)은, 투입 표시기(26)가 장착된 어태치먼트(25)를 집품 용기(10)에 접근시키는 한쪽 대기(pull-over)(기울임) 컨베이어(41)와, 투입 표시기(26)를 집품 용기(10)에 동기화하여 반송하는 왕로(往路) 반송 컨베이어(42)와, 투입 표시기(26)가 장착된 어태치먼트(25)를 집품 용기(10)로부터 이탈시키는 한쪽 대기(이탈) 컨베이어(43)와, 집품 용기(10)로부터 이탈시킨 어태치먼트(25)를 반송하는 귀로(復路) 반송 컨베이어(44)에 의해 순환 루프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픽킹 설비(1)의 제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픽킹 설비(1)의 제어 수단으로서, 통괄 컨트롤러(51)(제어 지시 수단의 일례)와, 통신 컨트롤러(52)와, 픽킹 존(P)마다 마련되는 존 컨트롤러(55)(표시 제어 수단의 일례)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픽킹 설비(1)에 있어서는, 작업자(H)와, 작업자(H)가 분류 작업을 행하는 존(픽킹 존(P) 및 투입 존(Z))을 관련짓기 위하여, 작업자(H)는 태그 리더(60)를 휴대하고, 플로우 랙(15)에는 선반측 태그(65)가 마련되며, 집품 용기(10)(투입 표시기(26))에는 용기측 태그(66)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픽킹 설비(1)에 있어서는, 집품 용기(10)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서, 집품 용기(10)에는 용기 위치 태그(67)(도 6)가 마련되어 있다.
(통괄 컨트롤러(51))
통괄 컨트롤러(51)에는, 통신 컨트롤러(52)와, 픽킹 존(P)마다의 존 컨트롤러(55)와, 롤러 구동 컨베이어 장치(21)(도 1)가 허브(56)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통괄 컨트롤러(51)는, 롤러 구동 컨베이어 장치(21)의 기동 및 정지를 실행하고, 각 유저로부터의 주문이 입력되면, 스토리지 라인(A)의 픽킹 데이터를 형성하여, 각 픽킹 존(P)의 존 컨트롤러(55)에 출력하고, 또한, 집품 용기(10)에 오더·넘버를 할당한다.
(통신 컨트롤러(52))
통신 컨트롤러(52)에는, 안테나(53)가 접속된 송수신 장치(54)가 접속되고, 안테나(53) 및 송수신 장치(54)를 통하여, 각 투입 표시기(26)의 무선기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실행한다.
(존 컨트롤러(55))
존 컨트롤러(55)에는, 담당하는 픽킹 존(이하, 자기 픽킹 존이라 칭함)(P)의 셀 표시기(19)와, 태그 리더(60)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기(57)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존 컨트롤러(55)에는, 베이 표시기(20)와, 자기 픽킹 존(P)에 마주하여 배치된 투입 존(대응 투입 존, 이하, 자기 투입 존이라 칭함)(Z)의 투입 완료 테이프 스위치(23) 및 부속 표시기(27)(완료 버튼(28))와, 이 자기 투입 존(Z)의 상류에 인접하는 상류 투입 존(Z)의 투입 완료 테이프 스위치(23) 및 부속 표시기(27)(완료 버튼(28))와, LED 램프(24A·24B)와, 상류 투입 존(Z)의 상류단에 마련된 검출 리더(58)와, 자기 투입 존(Z)의 상류단에 마련된 검출 리더(58)와, 자기 투입 존(Z)에 하류에 인접하는 하류 투입 존(Z)의 상류단에 마련된 검출 리더(58)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존 컨트롤러(55)에는, 미리, 자기 픽킹 존(P)과 자기 투입 존(Z)을 특정하는 넘버가 설정되고, 또한 자기 픽킹 존(P)의 셀(16)의 배열 및 각 셀(16)에 수납되어 있는 물품(2)의 데이터가 설정된다. 또한, 존 컨트롤러(55)에는, 통괄 컨트롤러(51)로부터, 유저에 할당된 오더·넘버 및 각 오더·넘버에 의해 특정되는 픽킹 데이터가 입력된다.
(태그 리더(60))
도 2 및 도 4 나타낸 바와 같이, 태그 리더(60)는, 리더 단말(61)과, 안테나(62)와, 배터리(63)로 구성되고, 작업자(H)에 의해서 휴대된다.
리더 단말(61)은, 태그 리더(60)의 본체를 구성하고, 태그 리더(60) 전체를 통괄하는 부분이다. 리더 단말(61)은, 선반측 태그(65) 및 용기측 태그(66)로부터 정보를 읽어내는 정보 읽기 기능과, 데이터 수신기(57)에 대해서 정보를 송신하는 정보 송신 기능과, 예를 들면, LED 램프 등으로 구성되고, 분류 에러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표시 기능을 가진다. 리더 단말(61)은, 예를 들면, 작업자(H)의 가슴에 장착된다.
안테나(62)는, 선반측 태그(65) 및 용기측 태그(66)로부터 정보를 읽어내기 위한 안테나이며, 리더 단말(61)과 케이블 등의 유선으로 접속되어 있다. 안테나(62)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예를 들면, 작업자(H)의 팔에 장착된다. 아울러, 안테나(62)는, 리더 단말(61)과 유선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무선에 의한 것이라도 상관없다. 또한, 안테나(62)는, 평판 형상의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선반측 태그(65) 및 용기측 태그(66)로부터 정보의 읽기가 가능한 형상이면 좋다.
배터리(63)는, 태그 리더(60)의 전원이며, 리더 단말(61)과 케이블 등의 유선으로 접속되어 있다. 배터리(63)는, 예를 들면, 작업자(H)의 허리에 장착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자(H)가 플로우 랙(15)의 수납 상자(12)로부터 물품(2)을 픽킹하는 경우에 있어서, 작업자(H)가 안테나(62)를 장착한 팔을 셀(16)에 삽입하면, 태그 리더(60)는, 수납 상자(12)의 상방(셀(16)의 상부)에 마련된 선반측 태그(65)로부터 비접촉으로 정보를 읽어낸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자(H)가 플로우 랙(15)으로부터 픽킹한 물품(2)을 집품 용기(10)에 투입하는 경우에 있어서, 작업자(H)가 안테나(62)를 장착한 팔을 집품 용기(10)에 삽입하면, 태그 리더(60)는, 집품 용기(10)의 전측 상방에 마련된 투입 표시기(26)의 측면에 부가된 용기측 태그(66)로부터 비접촉으로 정보를 읽어낸다.
또한, 태그 리더(60)는, 선반측 태그(65) 및 용기측 태그(66)로부터 비접촉으로 정보를 읽어내기 위한 정보 읽기 범위(정보 통신 범위)를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안테나(62)로부터 방사 형상으로 형성되는 통신 범위이며, 소정의 범위 내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태그 리더(60)의 정보 읽기 범위는, 후술하는 선반측 태그(65)의 읽기 가능 영역에 따라 설정되고, 분류 작업 중에는, 그 정보 읽기 범위가 변화하지 않고 일정 범위로 유지된다.
(선반측 태그(65))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반측 태그(65)는, 각 셀(16)의 위치 정보(플로우 랙(15)의 위치 정보) 등의 물품(2)의 분류 작업에 관한 정보가 기억되고, 플로우 랙(15)의 각 셀(16)의 전측 상부에 마련된다. 선반측 태그(65)가 태그 리더(60)에 의해 읽혀짐으로써, 작업자(H)가, 지시된 셀(16)에 재치되어 있는 수납 상자(12)로부터, 지시된 물품(2)이 픽킹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선반측 태그(65)는, 플로우 랙(15)에 대해서 탈착 가능한 지지 부재(도시 안함)에 의해, 플로우 랙(15)에 지지되어 있다. 이 선반측 태그(65)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는, 예를 들면, 자석 등으로 형성되고, 선반측 태그(65)를 플로우 랙(15)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도시 안함)와, 예를 들면, 스펀지 등으로 형성되고, 선반측 태그(65)와 상기 고정 부재의 사이를 완충하는 완충 부재(도시 안함)로 구성된다. 선반측 태그(65)는, 상기 지지 부재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플로우 랙(15)에 지지됨으로해서, 플로우 랙(15)의 임의의 위치에, 변경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셀(16)에 대한 작업자(H)의 팔의 삽입 위치가 우측으로 치우쳐 있는 경우는, 선반측 태그(65)의 장착 위치를 셀(16)의 우측 상부로 변경한다. 또한, 예를 들면, 선반측 태그(65)가 마련되어 있는 픽킹 존(P)보다 하류측의 픽킹 존(P)에서 픽킹을 행하는 작업자(H)가, 자기 픽킹 존(P)을 넘어서 픽킹을 행하는 경우에는, 선반측 태그(65)의 장착 위치를 셀(16)의 하류측 상부로 변경한다.
또한, 선반측 태그(65)는, 태그 리더(60)가 비접촉으로 선반측 태그(65)내의 정보를 읽어내는 것이 가능한 읽기 가능 영역(통신 가능 범위)을 가진다. 선반측 태그(65)의 읽기 가능 영역은, 선반측 태그(65)의 크기(설치 면적)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선반측 태그(65)의 크기를 크게 함으로써 상기 읽기 가능 영역은 넓어지고, 작게 함으로써 좁아진다.
또한, 선반측 태그(65)의 읽기 가능 영역은, 플로우 랙(15)에 마련되는 복수의 다른 선반측 태그(65)의 위치 관계에 따라서 조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선반측 태그(65)는 각 셀(16)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인접하는 셀(16)에 마련되는 선반측 태그(65)끼리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에는, 서로의 읽기 가능 영역이 간섭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서, 선반측 태그(65)의 읽기 가능 영역은, 인접하는 셀(16)에 마련되는 선반측 태그(65)의 읽기 가능 영역과 간섭하지 않도록, 선반측 태그(65)의 크기, 설치 위치에 의해 조정된다.
또한, 선반측 태그(65)의 읽기 가능 영역의 방향을, 그 선반측 태그(65)가 마련되어 있는 플로우 랙(15)에서 픽킹 작업을 행하고 있는 작업자(H)보다 하류측에서 픽킹 작업을 행하고 있는 작업자(H)를 향하여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선반측 태그(65)가 마련되어 있는 픽킹 존(P)보다 하류측의 픽킹 존(P)에서 픽킹을 행하는 작업자(H)가, 자기 픽킹 존(P)을 넘어서 픽킹을 행하는 경우에는, 선반측 태그(65)의 읽기 가능 영역의 방향을, 셀(16)의 하류측을 향하여 조정한다.
(용기측 태그(66))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측 태그(66)는, 집품 용기(10)의 위치 정보 등의 물품(2)의 분류 작업에 관한 정보가 기억되고, 투입 표시기(26)의 표시기 본체(30)의 전측면에 마련되어 있다. 용기측 태그(66)가 태그 리더(60)에 의해 읽혀짐으로써, 작업자(H)가, 지시된 집품 용기(10)에 지시된 물품(2)이 투입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지할 수 있다. 즉, 용기측 태그(66)는, 집품 용기(10)에 물품(2)이 투입되었는지를 검지하는 투입 검지용의 기억 수단이다.
또한, 용기측 태그(66)는, 태그 리더(60)가 비접촉으로 용기측 태그(66)내의 정보를 읽어내는 것이 가능한 읽기 가능 영역(통신 가능 범위)을 가진다. 용기측 태그(66)의 읽기 가능 영역은, 용기측 태그(66)의 크기(설치 면적)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선반측 태그(65)의 읽기 가능 영역은, 인접하는 셀(16)에 마련되는 선반측 태그(65)의 읽기 가능 영역과 간섭하지 않도록, 용기측 태그(66)의 읽기 가능 영역과 비교하여 좁게 조정된다. 또한, 태그 리더(60)의 정보 읽기 범위는, 선반측 태그(65)의 읽기 가능 영역에 따라서 설정되고, 분류 작업 중에는, 그 정보 읽기 범위가 변화하지 않고 일정 범위로 유지된다. 이 때문에, 용기측 태그(66)의 읽기 가능 영역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된 태그 리더(60)가 읽어낼 수 있도록, 플로우 랙(15)에 마련되는 선반측 태그(65)의 읽기 가능 영역에 대응시켜서 조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인접하는 다른 용기측 태그(66)의 읽기 가능 영역과 간섭하지 않을 정도로, 용기측 태그(66)의 크기를 크게 함으로써, 상기 읽기 가능 영역을 넓게 한다.
(용기 위치 태그(67))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위치 태그(67)는, 유저에 할당된 오더·넘버 등의 물품(2)의 분류 작업에 관한 정보가 기억되고, 집품 용기(10)의 측면에 마련되어 있다. 용기 위치 태그(67)가 검출 리더(58)에 의해 읽혀짐으로써, 자기의 투입 존(Z)에 이동해 온 집품 용기(10)를 검지할 수 있다. 즉, 용기 위치 태그(67)는, 집품 용기(10)의 위치를 검지하는 위치 검지용의 기억 수단이다. 아울러, 픽킹 설비(1)에 있어서는, 용기 위치 태그(67)를 집품 용기(10)에 마련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투입 표시기(26)에 마련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 검출 리더(58)는, 투입 표시기(26)측(표시기 이동 라인(C)측)에 마련된다.
(픽킹 작업전 준비)
다음으로, 픽킹 작업전 준비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H)는, 태그 리더(60)를 장착한 상태에서, 각 픽킹 존(P)에서 픽킹 작업을 행한다. 이 때문에, 작업자(H)가 휴대하는 태그 리더(60)와, 작업자(H)가 픽킹 작업을 행하는 픽킹 존(P)을 관련지을 필요가 있다. 여기서, 픽킹 설비(1)에 있어서는, 픽킹 작업의 개시 전에, 작업자(H)가 휴대하는 태그 리더(60)와, 작업자(H)가 픽킹 작업을 행하는 픽킹 존(P)에 마련되는 데이터 수신기(57)를 관련짓는다. 구체적으로는, 픽킹 작업의 개시 전에, 작업자(H)가, 팔에 장착한 태그 리더(60)의 안테나(62)로, 예를 들면, 패시브 태그로 이루어지는 관련짓기용 태그(도시 안함)를 읽어낸다. 이 관련짓기 태그는, 픽킹 존(P)마다 마련되어 있는데, 픽킹 존(P)의 위치 정보, 픽킹 존(P)에 마련되는 데이터 수신기(57)에 관한 정보 등이 기억되어 있다.
작업자(H)가 태그 리더(60)에 의해 관련짓기용 태그를 읽어내면, 팔에 장착되어 있는 태그 리더(60)의 안테나(62)를 플로우 랙(15)의 임의의 선반(17)에 삽입하여 임의의 선반측 태그(65)를 더 읽어낸다. 이에 의해, 읽어낸 선반측 태그(65)에 대응하는 셀 표시기(19)의 표시/완료 버튼(19B)이 점멸(혹은 점등)하면, 태그 리더(60)와, 데이터 수신기(57)가 관련지어진 것으로 된다.
(픽킹 작업시의 운용)
다음으로, 픽킹 설비(1)에 있어서의 픽킹 작업시의 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픽킹 설비(1)에 있어서는, 태그 리더(60)의 사용의 유무에 의해, 이하의 3개의 모드로 운용할 수 있다.
우선, 제 1 모드는, 작업자(H)가 태그 리더(60)를 사용하지 않고 픽킹 작업을 행하는 것이다. 즉, 종래의 방법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존 컨트롤러(55)가 검출 리더(58)에 의해 새로운 집품 용기(10)의 도착을 확인하면(S1-Yes), 각 표시기의 표시 및 점등이 이루어진다(S2). 구체적으로는, 픽킹 존(P)측에 있어서는, 셀 표시기(19)의 디지털 표시기(19A)에 물품(2)의 수량이 표시됨과 아울러, 표시/완료 버튼(19B)이, 예를 들면 황색으로 점등되고, 베이 표시기(20)의 램프(20A)가 점등된다. 투입 존(Z)측에 있어서는, 투입 완료 테이프 스위치(23)의 램프 및 투입 표시기(26)의 제 2 램프부(33)가, 예를 들면 황색으로 점등된다.
S2에 있어서, 각 표시기의 표시 및 점등이 이루어지면, 작업자(H)는, 셀 표시기(19)의 표시/완료 버튼(19B)이 점등되어 있는 셀(16)(수납 상자(12))로부터 지시된 수량의 물품(2)을 픽킹하고, 픽킹한 물품(2)을 투입 표시기(26)의 제 2 램프부(33)가 점등되어 있는 집품 용기(10)에 투입한다(S3). S3에 있어서, 물품(2)의 픽킹이 완료되면, 작업자(H)는, 셀 표시기(19)의 표시/완료 버튼(19B)을 누른다(S4). 이에 의해, 존 컨트롤러(55)는, 지시된 셀(16)(수납 상자(12))에 대한 픽킹 작업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셀 표시기(19)의 표시/완료 버튼(19B)을 소등한다. 이때, 존 컨트롤러(55)는, 셀 표시기(19)의 디지털 표시기(19A)에 있어서의 물품(2)의 수량 표시를 남긴 상태로, 셀 표시기(19)를 제어한다.
한편, S3에 있어서, 집품 용기(10)에 투입해야 할 모든 물품(2)이 투입되면, 투입 완료 테이프 스위치(23)에 마련되는 부속 표시기(27)의 완료 버튼(28)이 점멸하고(S5). 그 완료 버튼(28)의 점멸에 의해, 작업자(H)는, 투입 완료 테이프 스위치(23) 혹은 완료 버튼(28)을 누른다(S6). 이에 의해, 존 컨트롤러(55)는, 집품 용기(10)에 투입해야 할 모든 물품(2)이 투입되었다고 판단하고, 각 표시기를 소등한다(S7). 구체적으로는, 픽킹 존(P)측에 있어서는, 셀 표시기(19)의 디지털 표시기(19A)에 있어서의 물품(2)의 수량이 소등된다. 투입 존(Z)측에 있어서는, 투입 완료 테이프 스위치(23)에 마련되는 부속 표시기(27)(완료 버튼(28))가 소등된다. 투입 표시기(26)의 제 2 램프부(33)는, 다른 색(예를 들면, 통상시 황색으로 점등하는 경우는 백색)으로 점등되지만, 집품 용기(10)가 하류측의 투입 존(Z)에 이동했을 때에 소등된다.
이와 같이, 제 1 모드에 있어서는, 존 컨트롤러(55)가, 셀 표시기(19)의 표시/완료 버튼(19B) 및 투입 완료 테이프 스위치(23) 혹은 부속 표시기(27)의 완료 버튼(28)으로부터의 정보(신호)에 의해, 픽킹 작업 및 투입 작업이 완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표시 제어 수단의 수단 완료 판단 기능의 일례).
다음으로, 제 2 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2 모드는, 작업자(H)가 태그 리더(60)와, 셀 표시기(19)의 표시/완료 버튼(19B), 투입 완료 테이프 스위치(23) 및 부속 표시기(27)의 완료 버튼(28)을 병용하여 픽킹 작업을 행하는 것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존 컨트롤러(55)가 검출 리더(58)에 의해 새로운 집품 용기(10)의 도착을 확인하면(S11-Yes), 각 표시기의 표시 및 점등이 이루어진다(S12). 구체적으로는, 상기 S2와 동일하다.
S12에 있어서, 각 표시기의 표시 및 점등이 이루어지면, 작업자(H)는, 셀 표시기(19)의 표시/완료 버튼(19B)이 점등되어 있는 셀(16)(수납 상자(12))로부터 지시된 수량의 물품(2)을 픽킹하고, 픽킹한 물품(2)을 투입 표시기(26)의 제 2 램프부(33)가 점등되어 있는 집품 용기(10)에 투입한다(S13). 그리고, S13에 있어서, 작업자(H)가 물품(2)을 픽킹함과 동시에, 태그 리더(60)가, 지시된 셀(16)에 마련된 선반측 태그(65)로부터 정보를 읽어내고(S14), 읽어낸 정보를 데이터 수신기(57)를 통하여 존 컨트롤러(55)에 송신한다(S15). S15에 의해, 존 컨트롤러(55)가 태그 리더(60)로부터의 정보(신호)를 수신하면, 존 컨트롤러(55)는, 통괄 컨트롤러(51)를 통하지 않고, 「작업자(H)가, 지시된 셀(16)(수납 상자(12))에서, 지시된 물품(2) 및 수량을 픽킹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S16). S16에 있어서, 존 컨트롤러(55)가, 「작업자(H)가 지시된 셀(16)(수납 상자(12))에서, 지시된 물품(2) 또는 수량을 픽킹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S16-No), 존 컨트롤러(55)는, 셀 표시기(19)의 표시/완료 버튼(19B)을, 소정의 시간, 다른 색(예를 들면, 통상시 황색으로 점등하는 경우는 백색)으로 점멸시킨다(S17). 이때, 존 컨트롤러(55)는, 작업자(H)가 표시/완료 버튼(19B)을 눌러도, 표시/완료 버튼(19B)을 소등할 수 없도록, 셀 표시기(19)를 제어한다. 작업자(H)는, 이 표시/완료 버튼(19B)의 점멸을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물품(2)의 픽킹을 다시 시작한다(S13). 한편, S16에 있어서, 존 컨트롤러(55)가, 「작업자(H)가, 지시된 셀(16)(수납 상자(12))에서, 지시된 물품(2) 및 수량을 픽킹하고 있다」고 판단하면(S16-Yes), 존 컨트롤러(55)는, 셀 표시기(19)의 표시/완료 버튼(19B)을 점멸시킨다(S18). 이에 의해, 존 컨트롤러(55)는, 작업자(H)가 표시/완료 버튼(19B)을 눌러서, 표시/완료 버튼(19B)을 소등할 수 있도록, 셀 표시기(19)를 제어한다. S18에 의해, 표시/완료 버튼(19B)이 점멸되면, 작업자(H)는, 표시/완료 버튼(19B)을 누른다(S19). 이에 의해, 존 컨트롤러(55)는, 지시된 셀(16)(수납 상자(12))에 대한 픽킹 작업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표시/완료 버튼(19B)을 소등한다. 이때, 존 컨트롤러(55)는, 셀 표시기(19)의 디지털 표시기(19A)에 있어서의 물품(2)의 수량 표시를 남긴 상태로, 셀 표시기(19)를 제어한다.
한편, S13에 있어서, 작업자(H)가 픽킹한 물품(2)을 집품 용기(10)에 투입함과 동시에, 태그 리더(60)가, 지시된 집품 용기(10)에 대해서 마련된 용기측 태그(66)로부터 정보를 읽어내고(S20), 읽어낸 정보를 데이터 수신기(57)를 통하여 존 컨트롤러(55)에 송신한다(S21). S21에 의해, 존 컨트롤러(55)가 태그 리더(60)로부터의 정보(신호)를 수신하면, 존 컨트롤러(55)는, 통괄 컨트롤러(51)를 통하지 않고, 「작업자(H)가, 지시된 집품 용기(10)에, 지시된 물품(2) 및 수량을 투입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S22). S22에 있어서, 존 컨트롤러(55)가, 「작업자(H)가, 지시된 집품 용기(10)에, 지시된 물품(2) 및 수량을 투입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S22-No), 존 컨트롤러(55)는, 제 1 LED 램프(24A)(선행 픽킹의 경우는 제 2 LED 램프(24B))를 점등시킨다(S23). 이때, 존 컨트롤러(55)는, 작업자(H)가 투입 완료 테이프 스위치(23)를 눌러도, 투입 완료 테이프 스위치(23)의 램프를 소등할 수 없도록, 투입 완료 테이프 스위치(23)를 제어한다. 작업자(H)는, 이 제 1 LED 램프(24A)의 점등을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물품(2)의 투입을 다시 시작한다(S13). 한편, S22에 있어서, 존 컨트롤러(55)가, 「작업자(H)가, 지시된 집품 용기(10)에, 지시된 물품(2) 및 수량을 투입하고 있다」고 판단하면(S22-Yes), 존 컨트롤러(55)는, 투입 완료 테이프 스위치(23)에 마련되는 부속 표시기(27)의 완료 버튼(28)을 점멸시킨다(S24). 이에 의해, 존 컨트롤러(55)는, 작업자(H)가 투입 완료 테이프 스위치(23) 혹은 완료 버튼(28)을 눌러서, 부속 표시기(27)의 완료 버튼(28)을 소등할 수 있도록, 투입 완료 테이프 스위치(23) 및 부속 표시기(27)(완료 버튼(28))를 제어한다. S24에 의해, 부속 표시기(27)의 완료 버튼(28)이 점멸되면, 작업자(H)는, 투입 완료 테이프 스위치(23) 혹은 완료 버튼(28)을 누른다(S25). 이에 의해, 존 컨트롤러(55)는, 지시된 집품 용기(10)에 대한 물품(2)의 투입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부속 표시기(27)의 완료 버튼(28)을 소등한다. 또한, 제 1 모드와 동일하게 다른 각 표시기도 소등된다.
이와 같이, 제 2 모드에 있어서는, 존 컨트롤러(55)가, 태그 리더(60)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신호)와, 셀 표시기(19)의 표시/완료 버튼(19B), 투입 완료 테이프 스위치(23) 및 부속 표시기(27)의 완료 버튼(28)으로부터의 정보(신호)에 의해, 픽킹 작업 및 투입 작업이 완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다음으로, 제 3 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3 모드는, 작업자(H)가 태그 리더(60)만을 사용하여 픽킹 작업을 행하는 것이다. 이하, 제 3 모드에 있어서는, S31에서 S37, S40에서 S43는, 제 2 모드의 S11에서 S17, S20에서 S23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S36에 있어서, 존 컨트롤러(55)가, 「작업자(H)가, 지시된 셀(16)(수납 상자(12))에서, 지시된 물품(2) 및 수량을 픽킹하고 있다」고 판단하면(S36-Yes), 존 컨트롤러(55)는, 지시된 셀(16)(수납 상자(12))에 대한 픽킹 작업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셀 표시기(19)의 표시/완료 버튼(19B)을 소등한다(S38). 이때, 존 컨트롤러(55)는, 셀 표시기(19)의 디지털 표시기(19A)에 있어서의 물품(2)의 수량 표시를 남긴 상태로, 셀 표시기(19)를 제어한다.
한편, S42에 있어서, 존 컨트롤러(55)가, 「작업자(H)가, 지시된 집품 용기(10)에, 지시된 물품(2) 및 수량을 투입하고 있다」고 판단하면(S42-Yes), 존 컨트롤러(55)는, 지시된 집품 용기(10)에 대한 물품(2)의 투입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투입 완료 테이프 스위치(23)에 마련되는 부속 표시기(27)(완료 버튼(28))를 소등한다(S44). 아울러, 제 1 모드와 동일하게 다른 각 표시기도 소등된다.
이와 같이, 제 3 모드에 있어서는, 존 컨트롤러(55)가, 태그 리더(60)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신호)에 의해, 픽킹 작업 및 투입 작업이 완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표시 제어 수단의 자동 완료 판단 기능의 일례).
또한, 존 컨트롤러(55)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모드를, 각 선반(17)의 각 셀(16)(셀 표시기(19)) 단위, 혹은 각 투입 존(Z)(투입 완료 테이프 스위치(23), 부속 표시기(27)(완료 버튼(28))) 단위로 스윗칭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다음으로, 본 발명에 대한 분류 설비의 일례인 어소트(assort) 설비에 대하여 설명한다.
[어소트 설비]
상기 실시 형태 1에서는, 분류 설비의 일례로서 픽킹 설비(1)에 대해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어소트 설비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즉, 각 플로우 랙(15)에 주문이 있었던 유저를 할당하여, 집품 용기(10) 대신에, 물품(2)이 수납된 물품 용기를 롤러 구동 컨베이어 장치(21)에 의해 반송하면서, 이 물품 용기로부터 물품(2)을 플로우 랙(15)에 분류하는 설비로 한다.
아울러, 어소트 설비의 구성은 픽킹 설비(1)와 동일하지만, 플로우 랙(15)은, 어소트 작업이 실행되는 물품(2)이 투입되는 선반으로서 기능하고, 셀 표시기(19)는 어소트 표시기로서, 투입되는 물품(2)의 수량을 표시하는 표시기로서 기능하며, 투입 표시기(26)는 어소트 표시기로서, 상기 물품 용기로부터 꺼내는 물품(2)의 총 수량을 표시하는 표시기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작업자(H)가 플로우 랙(15)의 수납 상자(12)에 물품(2)을 투입하는 경우에, 작업자(H)가, 안테나(62)가 장착된 팔을 셀(16)에 삽입하면, 태그 리더(60)는, 수납 상자(12)의 상방(셀(16)의 상부)에 마련된 선반측 태그(65)로부터 비접촉으로 정보를 읽어낸다. 그리고, 존 컨트롤러(55)는, 통괄 컨트롤러(51)를 통하지 않고, 선반측 태그(65)로부터 읽어낸 정보에 근거하여, 플로우 랙(15)으로의 투입 작업이 완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또한, 작업자(H)가 플로우 랙(15)의 수납 상자(12)에 투입하는 물품(2)을 상기 물품 용기로부터 꺼내는 경우에, 작업자(H)가 안테나(62)가 장착된 팔을 상기 물품 용기에 삽입하면, 태그 리더(60)는, 상기 물품 용기의 전측 상방에 마련된 투입 표시기(26)의 측면에 부가된 용기측 태그(66)로부터 비접촉으로 정보를 읽어낸다. 그리고, 존 컨트롤러(55)는, 통괄 컨트롤러(51)를 통하지 않고, 용기측 태그(66)로부터 읽어낸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물품 용기로부터의 물품(2)의 꺼내기 작업이 완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실시 형태 3]
우선, 본 발명에 대한 분류 설비의 일례인 임시 보관(假置) 선반(71)을 갖는 픽킹 설비(70)에 대하여 설명한다. 아울러, 실시 형태 1의 픽킹 설비(1)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부호를 동일하게 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임시 보관 선반(71)을 갖는 픽킹 설비(70)]
(임시 보관 선반(71))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반송 라인(B)에는, 플로우 랙(15)을 따르는 롤러 구동 컨베이어 장치(21)를 따라서, 투입 존(Z)마다, 임시 보관 선반(71)(임시 보관부의 일례)이 마련되어 있다. 임시 보관 선반(71)은, 작업자(H)측에 개방되고, 롤러 구동 컨베이어 장치(21)에 의한 집품 용기(10)의 반송 방향으로 차례로 나열된 복수대의 임시 보관대(72·72…)로 구성된다. 임시 보관대(72)에는, 자기 투입 존(Z) 및 상류 투입 존(Z)(도 3 참조)에 있어서 픽킹 작업이 없는 경우에, 상류 투입 존(Z)보다 더 상류의 집품 용기(10)용의 물품(2)이 임시 보관된다.
또한, 각 임시 보관대(72)에는, 작업자(H)를 향하여 임시 보관 표시기(73)(표시 수단의 일례)가 마련되어 있다. 임시 보관 표시기(73)는, 임시 보관되는 물품(2)의 수량(총 수) 또는 오더·넘버를 표시하는 수량 표시기(73A)와, 색을 변경하여 표시 가능한 램프부를 갖는 완료 누름 단추 스위치(73B)(완료 조작 수단의 일례)로 구성되어 있다.
(임시 보관대측 태그(68))
또한, 각 임시 보관대(72)의 상부에는, 패시브 태그로 이루어지는 임시 보관대측 태그(68)(기억 수단의 일례)가 마련되어 있다. 임시 보관대측 태그(68)는, 각 임시 보관대(72)의 위치 정보(임시 보관 선반(71)의 위치 정보) 등의 물품(2)의 분류 작업(임시 보관 작업)에 관한 정보가 기억되고, 임시 보관 선반(71)의 상부에서 롤러 구동 컨베이어 장치(21)를 따라서 연장 설치되는 태그 지지 부재(74)에 마련되어 있다. 임시 보관대측 태그(68)가 태그 리더(60)에 의해 읽혀짐으로써, 작업자(H)가, 지시된 임시 보관대(72)에 물품(2)이 임시 보관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임시 보관대측 태그(68)는, 태그 지지 부재(74)에 대해서 탈착 가능한 지지 부재(도시 안함)에 의해, 태그 지지 부재(74)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임시 보관대측 태그(68)는, 태그 리더(60)가 비접촉으로 임시 보관대측 태그(68)내의 정보를 읽어내는 것이 가능한 읽기 가능 영역(통신 가능 범위)을 가지고, 그 읽기 가능 영역은, 플로우 랙(15)에 마련되는 선반측 태그(65)의 읽기 가능 영역에 대응시켜서 조정된다.
또한, 집품 용기(10)에는, 픽킹 존(P)(도 3 참조)의 셀(16)로부터 꺼낸 물품(2)을 투입하는 투입 대상의 집품 용기(10)인 것을 표시하는 투입 표시기(26)가, 지그(40)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지그(40)는, 측면에서 보아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일부가 집품 용기(10)의 측면에 걸려 있다. 또한, 투입 표시기(26)의 측면에는, 용기측 태그(66)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롤러 구동 컨베이어 장치(21)의 임시 보관 선반(71)측의 측부에는, 투입 존(Z)별로, 투입 존(Z)에 집품 용기(10)가 이동해 온 것을 검출하는 검출 리더(58)가 마련되어 있다. 검출 리더(58)는, 각 투입 존(Z)의 상류측 단부에 마련되고, 집품 용기(10)가 자기의 투입 존(Z)으로 이동해 왔을 때, 집품 용기(10)에 마련된 용기 위치 태그(67)를 읽어낸다.
또한, 롤러 구동 컨베이어 장치(21)를 따라서 집품 용기(10)의 높이까지 늘어뜨려져서 설치된(垂設) 지그(23A)상에는, 투입 완료 테이프 스위치(23) 및 도시하지 않는 부속 표시기(27)(완료 버튼(28))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지그(23A)의 측면에는, LED 램프(24A·24B)가 마련되어 있다.
다음으로, 픽킹 설비(70)의 제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픽킹 설비(70)의 제어 수단으로서는, 픽킹 설비(1)와 동일하게, 통괄 컨트롤러(51)와, 통신 컨트롤러(52)와, 픽킹 존(P)별로 마련되는 존 컨트롤러(55)가 구비되어 있다.
(존 컨트롤러(55))
존 컨트롤러(55)에는, 자기 픽킹 존(P)의 셀 표시기(19)와, 태그 리더(60)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기(57)와, 베이 표시기(20)와, 자기 투입 존(Z)의 투입 완료 테이프 스위치(23) 및 부속 표시기(27)(완료 버튼(28))와, 이 자기 투입 존(Z)의 상류에 인접하는 상류 투입 존(Z)의 투입 완료 테이프 스위치(23) 및 부속 표시기(27)(완료 버튼(28))와, LED 램프(24A·24B)와, 상류 투입 존(Z)의 상류단에 마련된 검출 리더(58)와, 자기 투입 존(Z)의 상류단에 마련된 검출 리더(58)와, 자기 투입 존(Z)에 하류에 인접하는 하류 투입 존(Z)의 상류단에 마련된 검출 리더(58)와, 자기 투입 존(Z)의 임시 보관 표시기(73)가 접속되어 있다.
다음으로, 픽킹 설비(70)에 있어서의 임시 보관 픽킹 작업시의 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픽킹 설비(70)에 있어서는, 픽킹 설비(1)의 픽킹 작업시의 운용과 동일하게, 태그 리더(60)의 사용 유무로부터 3개의 모드로 운용할 수 있다.
제 1 모드는, 작업자(H)가 태그 리더(60)를 사용하지 않고 임시 보관 픽킹 작업을 행하는 것(표시 제어 수단의 수동 완료 판단 기능의 일례), 제 2 모드는, 작업자(H)가 태그 리더(60)와, 셀 표시기(19)의 표시/완료 버튼(19B) 및 임시 보관 표시기(73)의 완료 누름 단추 스위치(73B)를 병용하여 임시 보관 픽킹 작업을 행하는 것, 제 3 모드는, 작업자(H)가 태그 리더(60)만을 사용하여 임시 보관 픽킹 작업을 행하는 것(표시 제어 수단의 자동 완료 판단 기능의 일례)이다.
또한, 존 컨트롤러(55)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모드를, 각 선반(17)의 각 셀(16)(셀 표시기(19)) 단위, 혹은 각 임시 보관대(72)(임시 보관 표시기(73)) 단위로 스윗칭할 수 있다.
이하, 제 2 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아울러, 제 1 모드는, 종래의 임시 보관 픽킹 작업의 운용이며, 제 3 모드는, 제 2 모드에 있어서, 셀 표시기(19)의 표시/완료 버튼(19B) 및 임시 보관 표시기(73)의 완료 누름 단추 스위치(73B)를 누르지 않고, 태그 리더(60)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신호)에 의해 자동적으로 임시 보관 픽킹 작업의 완료를 판단하는 운용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존 컨트롤러(55)가, 미작업의 집품 데이터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면(S51-Yes), 각 표시기의 표시 및 점등이 된다(S52). 구체적으로는, 픽킹 존(P)측에 있어서는, 셀 표시기(19)의 디지털 표시기(19A)에 물품(2)의 수량이 표시됨과 아울러, 표시/완료 버튼(19B)이, 예를 들면 황색으로 점등되고, 베이 표시기(20)의 램프(20A)가 점등된다. 투입 존(Z)측에 있어서는, 임시 보관 표시기(73)의 수량 표시기(73A)에 임시 보관하는 물품(2)의 수량(총 수)이 표시됨과 아울러, 완료 누름 단추 스위치(73B)가 예를 들면 황색으로 점등된다.
S52에 있어서, 각 표시기의 표시 및 점등이 이루어지면, 작업자(H)는, 셀 표시기(19)의 표시/완료 버튼(19B)이 점등하고 있는 셀(16)(수납 상자(12))로부터 지시된 수량의 물품(2)을 픽킹하고, 픽킹한 물품(2)을 임시 보관 표시기(73)의 완료 누름 단추 스위치(73B)가 점등되어 있는 임시 보관대(72)에 임시 보관한다(S53). 그리고, S53에 있어서, 작업자(H)가 물품(2)을 픽킹함과 동시에, 태그 리더(60)가, 지시된 셀(16)에 마련된 선반측 태그(65)로부터 정보를 읽어내고(S54), 읽어낸 정보를 데이터 수신기(57)를 통하여 존 컨트롤러(55)에 송신한다(S55). S55에 의해, 존 컨트롤러(55)가 태그 리더(60)로부터의 정보(신호)를 수신하면, 존 컨트롤러(55)는, 통괄 컨트롤러(51)를 통하지 않고, 「작업자(H)가, 지시된 셀(16)(수납 상자(12))에서, 지시된 물품(2) 및 수량을 픽킹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S56). S56에 있어서, 존 컨트롤러(55)가, 「작업자(H)가, 지시된 셀(16)(수납 상자(12))에서, 지시된 물품(2) 및 수량을 픽킹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S56-No), 존 컨트롤러(55)는, 셀 표시기(19)의 표시/완료 버튼(19B)을, 소정의 시간, 다른 색(예를 들면, 통상시 황색으로 점등하는 경우는 백색)으로 점멸시킨다(S57). 작업자(H)는, 이 셀 표시기(19)의 표시/완료 버튼(19B)의 점멸을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물품(2)의 픽킹을 다시 시작한다(S53). 한편, S56에 있어서, 존 컨트롤러(55)가, 「작업자(H)가, 지시된 셀(16)(수납 상자(12))에서, 지시된 물품(2) 및 수량을 픽킹하고 있다」고 판단하면(S56-Yes), 존 컨트롤러(55)는, 셀 표시기(19)의 표시/완료 버튼(19B)을 점멸시킨다(S58). 이 표시/완료 버튼(19B)의 점멸로, 작업자(H)는, 표시/완료 버튼(19B)을 누른다(S59). 이에 의해, 존 컨트롤러(55)는, 지시된 셀(16)(수납 상자(12))에 대한 픽킹 작업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표시/완료 버튼(19B)을 소등한다. 이때, 존 컨트롤러(55)는, 셀 표시기(19)의 디지털 표시기(19A)에 있어서의 물품(2)의 수량 표시를 남긴 상태로, 셀 표시기(19)를 제어한다.
한편, S53에 있어서, 작업자(H)가 픽킹한 물품(2)을 임시 보관대(72)에 임시 보관함과 동시에, 태그 리더(60)가, 지시된 임시 보관대(72)에 대해서 마련된 임시 보관대측 태그(68)로부터 정보를 읽어내고(S60), 읽어낸 정보를 데이터 수신기(57)를 통하여 존 컨트롤러(55)에 송신한다(S61). S61에 의해, 존 컨트롤러(55)가 태그 리더(60)로부터의 정보(신호)를 수신하면, 존 컨트롤러(55)는, 통괄 컨트롤러(51)를 통하지 않고, 「작업자(H)가, 지시된 임시 보관대(72)에, 지시된 물품(2) 및 수량을 임시 보관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S62). S62에 있어서, 존 컨트롤러(55)가, 「작업자(H)가, 지시된 임시 보관대(72)에, 지시된 물품(2) 및 수량을 임시 보관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S62-No), 존 컨트롤러(55)는, 임시 보관 표시기(73)의 완료 누름 단추 스위치(73B)의 램프부를 다른 색(예를 들면, 통상시 황색으로 점등하는 경우는 백색)으로 점멸시킨다(S63). 이때, 존 컨트롤러(55)는, 작업자(H)가 완료 누름 단추 스위치(73B)를 눌러도, 완료 누름 단추 스위치(73B)의 램프부를 소등할 수 없도록, 임시 보관 표시기(73)를 제어한다. 작업자(H)는, 이 완료 누름 단추 스위치(73B)의 점멸을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물품(2)의 임시 보관하기를 다시 시작한다(S63). 한편, S62에 있어서, 존 컨트롤러(55)가, 「작업자(H)가, 지시된 임시 보관대(72)에, 지시된 물품(2) 및 수량을 임시 보관하고 있다」고 판단하면(S62-Yes), 존 컨트롤러(55)는, 임시 보관 표시기(73)의 완료 누름 단추 스위치(73B)의 램프부를 점멸시킨다(S64). 이 완료 누름 단추 스위치(73B)의 램프부의 점멸로, 작업자(H)는, 완료 누름 단추 스위치(73B)를 누른다(S65). 이에 의해, 존 컨트롤러(55)는, 지시된 임시 보관대(72)에 대한 물품(2)의 임시 보관하기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완료 누름 단추 스위치(73B)의 램프부를 소등한다. 또한, 동시에, 존 컨트롤러(55)는, 셀 표시기(19)의 디지털 표시기(19A)에 있어서의 물품(2)의 수량의 표시를 소등한다.
다음으로, 픽킹 설비(70)에 있어서의 임시 보관 투입 작업시의 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임시 보관 투입 작업시의 운용은, 상기 임시 보관 픽킹 작업시의 운용과 동일하게, 태그 리더(60)의 사용 유무로부터 3개의 모드로 운용할 수 있다.
제 1 모드는, 작업자(H)가 태그 리더(60)를 사용하지 않고 임시 보관 투입 작업을 행하는 것(표시 제어 수단의 수동 완료 판단 기능의 일례), 제 2 모드는, 작업자(H)가 태그 리더(60)와 임시 보관 표시기(73)의 완료 누름 단추 스위치(73B), 투입 완료 테이프 스위치(23) 및 부속 표시기(27)의 완료 버튼(28)을 병용하여 임시 보관 투입 작업을 행하는 것, 제 3 모드는, 작업자(H)가 태그 리더(60)만을 사용하여 임시 보관 투입 작업을 행하는 것(표시 제어 수단의 자동 완료 판단 기능의 일례)이다.
또한, 존 컨트롤러(55)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모드를, 각 임시 보관대(72)(임시 보관 표시기(73)) 단위, 혹은 각 투입 존(Z)(투입 완료 테이프 스위치(23), 부속 표시기(27)(완료 버튼(28))) 단위로 스윗칭할 수 있다.
이하, 제 2 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아울러, 제 1 모드는, 종래의 임시 보관 투입 작업의 운용이며, 제 3 모드는, 제 2 모드에 있어서, 임시 보관 표시기(73)의 완료 누름 단추 스위치(73B), 투입 완료 테이프 스위치(23), 부속 표시기(27)의 완료 버튼(28)을 누르지 않고, 태그 리더(60)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신호)에 의해 자동적으로 임시 보관 투입 작업의 완료를 판단하는 운용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존 컨트롤러(55)가 검출 리더(58)에 의해 임시 보관 투입해야 할 집품 용기(10)의 도착을 확인하면(S71-Yes), 존 컨트롤러(55)는, 임시 보관 표시기(73)의 완료 누름 단추 스위치(73B)의 램프부를 점멸시킨다(S72).
S72에 있어서, 완료 누름 단추 스위치(73B)의 램프부가 점멸하면, 작업자(H)는, 완료 누름 단추 스위치(73B)의 램프부가 점멸하고 있는 임시 보관대(72)로부터 물품(2)을 꺼내고, 꺼낸 물품(2)을 투입 표시기(26)의 제 2 램프부(33)가 점등되어 있는 집품 용기(10)에 투입한다(S73). 그리고, S73에 있어서, 작업자(H)가 임시 보관대(72)로부터 물품(2)을 꺼냄과 동시에, 태그 리더(60)가, 지시된 임시 보관대(72)에 대해서 마련된 임시 보관대측 태그(68)로부터 정보를 읽어내고(S74), 읽어낸 정보를 데이터 수신기(57)를 통하여 존 컨트롤러(55)에 송신한다(S75). S75에 의해, 존 컨트롤러(55)가 태그 리더(60)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하면, 존 컨트롤러(55)는, 통괄 컨트롤러(51)를 통하지 않고, 「작업자(H)가 지시된 임시 보관대(72)로부터 물품(2)을 꺼내고 있는지」를 판단한다(S76). S76에 있어서, 존 컨트롤러(55)가, 「작업자(H)가 지시된 임시 보관대(72)로부터 물품(2)을 꺼내지 않았다」고 판단하면(S76-No), 존 컨트롤러(55)는, 임시 보관 표시기(73)의 완료 누름 단추 스위치(73B)의 램프부를, 소정의 시간, 다른 색(예를 들면, 통상시 황색으로 점등하는 경우는 백색)으로 점멸시킨다(S77). 이때, 존 컨트롤러(55)는, 작업자(H)가 완료 누름 단추 스위치(73B)를 눌러도, 완료 누름 단추 스위치(73B)의 램프부를 소등할 수 없도록, 임시 보관 표시기(73)를 제어한다. 작업자(H)는, 이 완료 누름 단추 스위치(73B)의 램프부의 점멸을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물품(2)의 꺼내기를 다시 시작한다(S73). 한편, S76에 있어서, 존 컨트롤러(55)가, 「작업자(H)가 지시된 임시 보관대(72)로부터 물품(2)을 꺼내고 있다」고 판단하면(S76-Yes), 존 컨트롤러(55)는, 임시 보관 표시기(73)의 완료 누름 단추 스위치(73B)의 램프부를 점멸시킨다(S78). 이 완료 누름 단추 스위치(73B)의 램프부의 점멸로, 작업자(H)는, 완료 누름 단추 스위치(73B)를 누른다(S79). 이에 의해, 존 컨트롤러(55)는, 지시된 임시 보관대(72)에 대한 물품(2)의 꺼내기 작업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완료 누름 단추 스위치(73B)의 램프부를 소등한다.
한편, S73에 있어서, 작업자(H)가 임시 보관대(72)로부터 꺼낸 물품(2)을 집품 용기(10)에 투입함과 동시에, 태그 리더(60)가, 지시된 집품 용기(10)에 대해서 마련된 용기측 태그(66)로부터 정보를 읽어내고(S80), 읽어낸 정보를 데이터 수신기(57)를 통하여 존 컨트롤러(55)에 송신한다(S81). S81에 의해, 존 컨트롤러(55)가 태그 리더(60)로부터의 정보(신호)를 수신하면, 존 컨트롤러(55)는, 통괄 컨트롤러(51)를 통하지 않고, 「작업자(H)가, 지시된 집품 용기(10)에, 지시된 물품(2) 및 수량을 투입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S82). S82에 있어서, 존 컨트롤러(55)가, 「작업자(H)가, 지시된 집품 용기(10)에, 지시된 물품(2)또는 수량을 투입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S82-No), 존 컨트롤러(55)는, 제 1 LED 램프(24A)를 점등시킨다(S83). 이때, 존 컨트롤러(55)는, 작업자(H)가 투입 완료 테이프 스위치(23) 혹은 부속 표시기(27)의 완료 버튼(28)을 눌러도, 부속 표시기(27)의 완료 버튼(28)을 소등할 수 없도록, 투입 완료 테이프 스위치(23) 및 부속 표시기(27)(완료 버튼(28))를 제어한다. 작업자(H)는, 이 제 1 LED 램프(24A)의 점등을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물품(2)의 투입을 다시 시작한다(S73). 한편, S82에 있어서, 존 컨트롤러(55)가, 「작업자(H)가, 지시된 집품 용기(10)에, 지시된 물품(2) 및 수량을 투입하고 있다」고 판단하면(S82-Yes), 존 컨트롤러(55)는, 투입 완료 테이프 스위치(23)에 마련되는 부속 표시기(27)의 완료 버튼(28)을 점멸시킨다(S84). 이 투입 완료 테이프 스위치(23)에 마련되는 부속 표시기(27)의 완료 버튼(28)의 점멸로, 작업자(H)는, 투입 완료 테이프 스위치(23) 혹은 완료 버튼(28)을 누른다(S85). 이에 의해, 존 컨트롤러(55)는, 지시된 집품 용기(10)에 대한 물품(2)의 투입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부속 표시기(27)의 완료 버튼(28)을 소등한다.
이상과 같이, 상기 실시예에 대한 픽킹 설비(1), 픽킹 설비(70), 상기 어소트 설비에 의하면, 태그 리더(60)와 각종 표시 수단(셀 표시기(19), 투입 완료 테이프 스위치(23)에 마련되는 부속 표시기(27)의 완료 버튼(28), 임시 보관 표시기(73))을 연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분류 에러시에 있어서의 태그 리더(60)의 동작과 각종 표시 수단의 동작을 확실히 관련지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신뢰성이 높은 분류 작업을 실행할 수 있고, 작업자가 유저처별로 주문 물품을 확실히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존 컨트롤러(55)는, 통괄 컨트롤러(51)를 통하지 않고, 태그 리더(60)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신호)에 근거하여, 각종 표시 수단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태그 리더(60)와 각종 표시 수단을 보다 고속으로 연동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자(H)에 장착되어 있는 태그 리더(60)와, 플로우 랙(15)에 마련되어 있는 셀 표시기(19)를 연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플로우 랙(15)에 있어서의 픽킹(어소트) 에러시의 태그 리더(60)의 동작과 셀 표시기(19)의 동작을 확실히 관련지을 수 있다. 이 때문에, 플로우 랙(15)에서의 픽킹(어소트) 작업에 있어서 신뢰성이 높은 픽킹(어소트)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H)에 장착되어 있는 태그 리더(60)와, 집품 용기(10)에 대응하여 투입 완료 테이프 스위치(23)에 마련되는 부속 표시기(27)의 완료 버튼(28)을 연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집품 용기(10)에 대한 투입 에러시의 태그 리더(60)의 동작과 투입 완료 테이프 스위치(23) 및 부속 표시기(27)의 완료 버튼(28)의 동작을 확실히 관련지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집품 용기(10)에 대한 투입 작업에 있어서 신뢰성이 높은 투입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H)에 장착되어 있는 태그 리더(60)와, 임시 보관대(72)에 마련되어 있는 임시 보관 표시기(73)를 연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임시 보관대(72)에 있어서의 임시 보관 에러시의 태그 리더(60)의 동작과 임시 보관 표시기(73)의 동작을 확실히 관련지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임시 보관대(72)에 대한 임시 보관 작업에 있어서 신뢰성이 높은 임시 보관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선반측 태그(65)의 읽기 가능 영역이, 플로우 랙(15)에 마련되는 복수의 다른 선반측 태그(65)의 읽기 가능 영역과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H)에 장착되어 있는 태그 리더(60)가, 선반측 태그(65)로부터 정보를 확실히 읽어낼 수 있다.
또한, 선반측 태그(65)의 읽기 가능 영역의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용기측 태그(66) 및 임시 보관대측 태그(68)에 있어서도 확실하게 정보를 읽어낼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H)에 장착되어 있는 태그 리더(60)의 설정 조건을 변경시키지 않고, 동일한 태그 리더(60)에 의해, 각종 기억 수단(선반측 태그(65), 용기측 태그(66) 및 임시 보관대측 태그(68))의 정보를 읽어낼 수 있다.
또한, 플로우 랙(15), 집품 용기(10) 혹은 임시 보관대(72) 상태, 작업자(H)의 작업 상태 혹은 작업자(H)가 태그 리더(60)에 의해 읽어내는 상태 등에 따라서, 탈착 가능하게 각종 기억 수단의 부착 위치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더 확실하게, 효율 좋게 각종 기억 수단으로부터 정보를 읽어낼 수 있다.
또한, 집품 용기(10)에 대해서 용기측 태그(66) 및 용기 위치 태그(67)를 마련함에 의해, 물품(2)의 선행 투입을 할 수 있고, 투입 작업의 작업 효율이 향상한다.
또한, 존 컨트롤러(55)는, 통괄 컨트롤러(51)를 통하지 않고, LED 램프(24A·24B)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음으로 해서, 분류 작업에 있어서의 오작업이 발생한 경우에, 작업자(H)에 대해서 표시 지연에 의한 대기 시간을 부여하지 않는다.
또한, 분류 작업이 완료되었는지 아닌지의 판단을, 태그 리더(60)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신호), 또는 각종 완료 조작 수단(표시/완료 버튼(19B), 투입 완료 테이프 스위치(23), 완료 버튼(28), 완료 누름 단추 스위치(73B))으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신호)에 근거하여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태그 리더(60) 혹은 각종 완료 조작 수단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 또는 고장시의 대책으로서 적절하게 스윗칭할 수 있다.
또한, 분류 작업이 완료되었는지 아닌지의 판단을, 태그 리더(60)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신호) 및 각종 완료 조작 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신호)의 양 정보(신호)에 근거하여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분류 작업이 완료되었는지 아닌지의 판단을 확실히 행할 수 있다.
또한, 분류 작업시뿐만 아니라, 분류 작업 완료시에 있어서도, 각종 표시 수단에 물품(2)의 수량이 표시됨으로 해서, 각종 완료 조작 수단을 조작한(누른) 다음이라도, 다시, 물품(2)의 수량을 확인할 수 있어, 분류 오류를 줄일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기억 수단을, 플로우 랙(15)(픽킹 작업, 어소트 작업)측과, 롤러 구동 컨베이어 장치(21)(임시 보관 선반(71))(투입 작업, 임시 보관 작업)측에 마련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플로우 랙(15)(픽킹 작업, 어소트 작업)측에만 마련해도 상관없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용기측 태그(66)를 투입 표시기(26)에 마련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어태치먼트(25) 혹은 집품 용기(10)에 마련해도 상관없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선반측 태그(65)를 탈착 가능한 지지 부재에 의해 위치 변경 가능하게 마련하고 있지만, 용기측 태그(66) 및 임시 보관대측 태그(68)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마련해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는, 고정 부재와 완충 부재로 구성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고정 부재만으로 구성해도 상관없다.
또한, 작업자(H)에 대한 태그 리더(60)의 장착 위치는, 본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각종 기억 수단의 정보를 확실히 읽어낼 수 있는 장착 위치이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투입 표시기(26)를 반송하는 표시기 이동 라인(C)을 갖는 픽킹 설비(1)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표시기 이동 라인(C)을 가지지 않는 픽킹 설비로 해도 상관없다. 아울러, 이 경우에는, 투입 표시기(26)는 집품 용기(10)로 일체로 반송된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 반송 라인(B)의 롤러 구동 컨베이어 장치(21)에 의해 반송되는 집품 용기(10)에 대해서, 물품(2)의 수집을 행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이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집품 용기(10)를 손으로 미는 픽킹 카트에 적재하고, 작업자(H)에 의해 픽킹 카트를 이동시키면서, 집품 용기(10)에 대한 물품(2)의 집품을 행하는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1, 70: 픽킹 설비(분류 설비)
2: 물품
10: 집품 용기(분류 용기)
15: 플로우 랙(물품 수납부)
19: 셀 표시기(표시 수단)
19B: 표시/완료 버튼(완료 조작 수단)
23: 투입 완료 테이프 스위치(완료 조작 수단)
24A: 제 1 LED 램프(통지 수단)
24B: 제 2 LED 램프(통지 수단)
28: 완료 스위치(표시 수단, 완료 조작 수단)
51: 통괄 컨트롤러(제어 지시 수단)
55: 존 컨트롤러(표시 제어 수단)
60: 태그 리더(읽기 수단)
65: 선반측 태그(기억 수단)
66: 용기측 태그(투입 검지용의 기억 수단)
67: 용기 위치 태그(위치 검지용의 기억 수단)
68: 임시 보관대측 태그(기억 수단)
71: 임시 보관 선반(임시 보관부)
73: 임시 보관 표시기(표시 수단)
73B: 완료 누름 단추 스위치(완료 조작 수단)

Claims (17)

  1. 유저로부터의 주문에 따라서 물품을 분류하는 분류 설비로서,
    상기 물품의 분류 작업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표시 수단의 동작의 제어를 지시하는 제어 지시 수단과,
    상기 제어 지시 수단의 지시에 근거하여, 상기 표시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표시 제어 수단과,
    상기 물품의 분류 작업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비접촉으로 읽어내는 읽기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읽기 수단은,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정보를 읽어내는 정보 읽기 기능과,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읽어낸 정보를 무선에 의해 상기 표시 제어 수단에 송신하는 정보 송신 기능을 가지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읽기 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표시 수단의 동작을 제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설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 및 상기 기억 수단이, 상기 물품을 수납하는 물품 수납부에 마련됨과 아울러, 상기 읽기 수단이, 상기 물품 수납부에서 분류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에 장착되고,
    상기 작업자가 상기 물품 수납부에서 분류 작업을 행함에 의해, 상기 읽기 수단이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정보를 읽어내고, 읽어낸 정보를 상기 표시 제어 수단에 송신함과 아울러,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이 상기 읽기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표시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설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 및 상기 기억 수단이, 분류처별로 물품의 분류를 행하기 위한 분류 용기에 대응시켜서 마련됨과 아울러, 상기 읽기 수단이, 상기 분류 용기에 대해서 분류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에 장착되고,
    상기 작업자가 상기 분류 용기에 대해서 분류 작업을 행함에 의해, 상기 읽기 수단이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정보를 읽어내고, 읽어낸 정보를 상기 표시 제어 수단에 송신함과 아울러,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이 상기 읽기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표시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설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류처별로 물품의 분류를 행하기 위한 분류 용기에 분류해야 할 물품을, 미리 분류하여 임시 보관하는 임시 보관부를 가지고,
    상기 표시 수단 및 상기 기억 수단이, 상기 임시 보관부에 마련됨과 아울러, 상기 읽기 수단이, 상기 분류 용기에 대해서 분류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에 장착되고,
    상기 작업자가 상기 임시 보관부에 대해서 분류 작업을 행함에 의해, 상기 읽기 수단이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정보를 읽어내고, 읽어낸 정보를 상기 표시 제어 수단에 송신함과 아울러,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이 상기 읽기 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표시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설비.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은, 상기 읽기 수단에 의한 상기 기억 수단 내의 정보의 읽기가 가능한 읽기 가능 영역을 가지고,
    상기 물품 수납부에 마련되는 기억 수단의 상기 읽기 가능 영역은, 상기 물품 수납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다른 기억 수단의 위치 관계에 따라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설비.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은, 상기 읽기 수단에 의한 상기 기억 수단 내의 정보의 읽기가 가능한 읽기 가능 영역을 가지고,
    상기 분류 용기에 대응시켜서 마련되는 기억 수단, 혹은 상기 임시 보관부에 마련되는 기억 수단의 상기 읽기 가능 영역은, 상기 물품 수납부에 마련되는 기억 수단의 읽기 가능 영역에 대응시켜서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설비.
  7.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은, 상기 물품 수납부, 상기 분류 용기, 혹은 상기 임시 보관부에 대해서, 위치 변경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설비.
  8. 제 2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은, 상기 물품 수납부, 상기 분류 용기, 혹은 상기 임시 보관부에 대해서 탈착 가능한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설비.
  9. 제 2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수납부에 마련되는 기억 수단은, 상기 읽기 수단에 의한 기억 수단 내의 정보의 읽기가 가능한 읽기 가능 영역의 방향이, 그 기억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물품 수납부에서 분류 작업을 행하고 있는 작업자보다 하류측에서 분류 작업을 행하고 있는 작업자를 향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설비.
  10. 제 3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용기에 대응시켜서 마련되는 기억 수단은,
    분류 용기에 물품이 투입되었는지를 검지하는 투입 검지용의 기억 수단과,
    분류 용기의 위치를 검지하는 위치 검지용의 기억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설비.
  11. 제 3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류 작업에서의 오작업을 통지하는 통지 수단이, 상기 분류 용기에 대응시켜서 마련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읽기 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통지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설비.
  12. 제 3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류 작업의 완료시에,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작하는 완료 조작 수단이, 물품 수납부, 분류 용기, 혹은 상기 임시 보관부에 대응시켜서 마련됨과 아울러, 상기 표시 제어 수단과 연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읽기 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분류 작업이 완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자동 완료 판단 기능과,
    상기 완료 조작 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분류 작업이 완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수동 완료 판단 기능을 가지고,
    상기 자동 완료 판단 기능과, 상기 수동 완료 판단 기능은, 상기 표시 제어 수단에서 스윗칭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설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자동 완료 판단 기능과, 상기 수동 완료 판단 기능의 스윗칭을 각 표시 수단 단위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설비.
  14. 제 3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류 작업의 완료시에,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작하는 완료 조작 수단이, 물품 수납부, 분류 용기, 혹은 상기 임시 보관부에 대응시켜서 마련됨과 아울러, 상기 표시 제어 수단과 연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읽기 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분류 작업이 완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자동 완료 판단 기능과,
    상기 완료 조작 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분류 작업이 완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수동 완료 판단 기능을 가지고,
    상기 읽기 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정보, 및 상기 완료 조작 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분류 작업이 완료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설비.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은,
    분류 작업시에, 상기 표시 수단에 대해서, 분류해야 할 물품의 수량을 표시시키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분류 작업 완료시에, 상기 표시 수단에 대해서, 분류가 완료된 물품의 수량을 표시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설비.
  16. 유저로부터의 주문에 따라서 분류되는 물품의 분류 작업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으로부터 상기 정보를 비접촉으로 읽어내는, 분류 설비에 있어서의 읽기 수단으로서,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정보를 읽어내는 정보 읽기 기능과,
    상기 물품의 분류 작업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의 동작의 제어를 지시하는 제어 지시 수단의 지시에 근거하여 상기 표시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표시 제어 수단에,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읽어낸 정보를 무선에 의해 송신하는 정보 송신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설비에서의 읽기 수단.
  17. 유저로부터의 주문에 따라서 물품을 분류하는 분류 설비에서의 물품의 분류 방법으로서,
    상기 물품의 분류 작업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표시 수단의 동작 제어를 지시하는 제어 지시 수단과,
    상기 표시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표시 제어 수단과,
    상기 물품의 분류 작업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비접촉으로 읽어내는 읽기 수단을 마련하고,
    상기 읽기 수단이,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정보를 읽어냄과 아울러,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읽어낸 정보를 무선에 의해 상기 표시 제어 수단에 송신하고,
    상기 표시 제어 수단이,
    상기 제어 지시 수단의 지시에 근거하여, 상기 표시 수단의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상기 읽기 수단으로부터 무선에 의해 송신되는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표시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류 설비에서의 물품의 분류 방법.
KR1020140100394A 2013-08-06 2014-08-05 분류 설비, 분류 설비에서의 읽기 수단, 분류 설비에서의 물품의 분류 방법 KR1018609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62964A JP6217222B2 (ja) 2013-08-06 2013-08-06 仕分け設備、仕分け設備における読取手段、仕分け設備における物品の仕分け方法
JPJP-P-2013-162964 2013-08-0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1919A Division KR101916610B1 (ko) 2013-08-06 2017-12-14 분류 설비, 분류 설비에서의 읽기 수단, 분류 설비에서의 물품의 분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311A true KR20150017311A (ko) 2015-02-16
KR101860974B1 KR101860974B1 (ko) 2018-05-24

Family

ID=5251625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0394A KR101860974B1 (ko) 2013-08-06 2014-08-05 분류 설비, 분류 설비에서의 읽기 수단, 분류 설비에서의 물품의 분류 방법
KR1020170171919A KR101916610B1 (ko) 2013-08-06 2017-12-14 분류 설비, 분류 설비에서의 읽기 수단, 분류 설비에서의 물품의 분류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1919A KR101916610B1 (ko) 2013-08-06 2017-12-14 분류 설비, 분류 설비에서의 읽기 수단, 분류 설비에서의 물품의 분류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217222B2 (ko)
KR (2) KR101860974B1 (ko)
CN (1) CN104386405B (ko)
TW (1) TWI6141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07806A (zh) * 2015-03-17 2015-06-17 成都尚作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分组模式加灯光标签的分拣系统及其实现方法
CN104815800A (zh) * 2015-03-17 2015-08-05 成都尚作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快速的基于灯光标签的分拣系统及其实现方法
JP6530309B2 (ja) * 2015-12-01 2019-06-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部品管理システム
AU2017218960B2 (en) 2016-08-24 2018-12-13 Shang Hai Pan Shi Tou Zi Guan Li You Xian Gong Si Map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CN107876408A (zh) * 2017-12-20 2018-04-06 昆明昆船逻根机场物流系统有限公司 一种旅客行李人工分拣系统及方法
CN108078288A (zh) * 2017-12-22 2018-05-29 薛凯洋 一种便于管理的旋转式货架
JP6844588B2 (ja) * 2018-06-26 2021-03-17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車
TWI689877B (zh) 2018-09-14 2020-04-0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揀貨及補貨方法、揀貨台車以及揀貨及補貨系統
CN109516054A (zh) * 2018-10-15 2019-03-26 宁波吉利汽车研究开发有限公司 物料拣选配送方法、装置及系统
CN109850460A (zh) * 2018-11-20 2019-06-07 上海快仓智能科技有限公司 用于拣选货物的协调控制方法和货物拣选系统
CN109625390B (zh) * 2018-12-21 2021-05-18 佛山市南海区微高软件有限公司 窗户部件分包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设备
DE102019202096A1 (de) * 2019-02-15 2020-08-20 Kardex Produktion Deutschland Gmbh Lagerverwaltungssystem, Kommissionier- und Lagersystem und Kommissionierverfahren mit Blickfanggebern, deren Farben automatisch umschaltbar sind
CN109878966A (zh) * 2019-03-07 2019-06-14 顺丰科技有限公司 物流仓储分拣系统及分拣方法
CN110282332B (zh) * 2019-06-24 2020-07-03 灵动科技(北京)有限公司 自动运输装置、及适用于物流场景下自动运输装置的拣货信息获取及显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32510A (ja) * 2005-02-28 2006-09-07 Ishida Co Ltd 仕分けシステム
JP4770738B2 (ja) * 2007-01-09 2011-09-14 株式会社ダイフク 仕分け設備
JP2009190881A (ja) * 2008-02-18 2009-08-27 Toshiba Tec Corp 物品管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
JP5359788B2 (ja) * 2009-10-30 2013-12-04 株式会社ダイフク 仕分け設備
JP5600465B2 (ja) * 2010-04-02 2014-10-01 トーヨーカネツ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ピッキングシステム
JP5218473B2 (ja) * 2010-05-27 2013-06-26 株式会社ダイフク ピッキング設備および投入表示器
CN201828939U (zh) * 2010-07-19 2011-05-11 北京物资学院 用于物流拣选作业的智能货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6610B1 (ko) 2018-11-07
CN104386405A (zh) 2015-03-04
TWI614195B (zh) 2018-02-11
KR20170142148A (ko) 2017-12-27
JP6217222B2 (ja) 2017-10-25
CN104386405B (zh) 2018-07-20
KR101860974B1 (ko) 2018-05-24
JP2015030612A (ja) 2015-02-16
TW201505942A (zh) 2015-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6610B1 (ko) 분류 설비, 분류 설비에서의 읽기 수단, 분류 설비에서의 물품의 분류 방법
JP6330883B2 (ja) 仕分け設備、仕分け設備における読取手段、仕分け設備における物品の仕分け方法
US20160229631A1 (en) Picking System
KR101730215B1 (ko) 피킹용 이동체 및 이것을 구비하는 피킹 설비와 피킹용 이동체의 사용방법
TWI494255B (zh) Pick up equipment
JP2017145144A (ja) 仕分け設備
TWI494256B (zh) Picking up equipment and input display
JP6269364B2 (ja) 仕分け設備及びその仕分け設備において用いる音声サポートシステム
CN207726114U (zh) 立体仓库管理控制系统
JP2013224186A (ja) ピッキング設備、集約棚、及びピッキング方法
JP5621714B2 (ja) ピッキング設備
JP6241275B2 (ja) 仕分け設備、仕分け設備における情報表示方法、仕分け設備における情報表示機構の表示部、仕分け設備における情報表示機構の情報処理部
JP5633347B2 (ja) ピッキング設備およびピッキング方法
JP5742444B2 (ja) ピッキング設備
JP5664439B2 (ja) 仕分け設備
JP5780323B2 (ja) ピッキング設備およびピッキング方法
JP5594223B2 (ja) ピッキング設備
JP5664438B2 (ja) 仕分け設備
JP5609414B2 (ja) ピッキング設備およびピッキング設備におけるバッテリの充電方法
CN219187775U (zh) 一种食品自动称重分拣设备
JP5712766B2 (ja) ピッキング設備
JP5742431B2 (ja) ピッキング設備
JP5482333B2 (ja) ピッキング設備およびピッキング方法
JP2012201472A (ja) ピッキング設備
JP2012229092A (ja) ピッキング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