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6539A - 글레이징 벽을 위한 연결 조인트, 및 글레이징 벽 - Google Patents

글레이징 벽을 위한 연결 조인트, 및 글레이징 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6539A
KR20150016539A KR1020147034019A KR20147034019A KR20150016539A KR 20150016539 A KR20150016539 A KR 20150016539A KR 1020147034019 A KR1020147034019 A KR 1020147034019A KR 20147034019 A KR20147034019 A KR 20147034019A KR 20150016539 A KR20150016539 A KR 20150016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onnecting joint
support
fixing means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4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0352B1 (ko
Inventor
베아트리체 모텔르
쟝-프랑소와 오탱
Original Assignee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filed Critical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150016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6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8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 E06B3/62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of rubber-like elastic cleats
    • E06B3/6202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by means of borders, cleats, or the like of rubber-like elastic cleats positioned between adjoining panes without separate glazing ba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04B2/721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47Molded j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Finishing Wall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글레이징 벽의 2개의 패널(2, 2') 사이의 이러한 연결 조인트(6)는 각 패널(2, 2')의 한 면(23, 21')과 협력하도록 의도되고, 제 1 외부 면(7A) 및 제 2 외부 면(7B)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부(7)와; 장착부의 제 1 외부 면(7A) 상에 위치된 제 1 고정 수단(8)과; 장착부의 제 2 외부 면(7B) 상에 위치된 제 2 고정 수단(9)을 갖는다. 이동 죠를 갖는 인장력 테스트 기계를 이용하여 유리 패널 상에서 측정된, 제 1 고정 수단(8)의 직각에서의 분리력은 100mm/min의 이동 죠의 이동 속도 동안 3 내지 20N/cm인 한편, 이동 죠를 갖는 인장력 테스트 기계를 이용하여 유리 패널 상에서 측정된, 제 2 고정 수단(9)의 직각에서의 분리력은 100mm/min의 이동 죠의 이동 속도 동안 30N/cm 이상이다.

Description

글레이징 벽을 위한 연결 조인트, 및 글레이징 벽{CONNECTING JOINT FOR GLAZED WALL AND GLAZED WALL}
본 발명은 글레이징 벽의 2개의 패널 사이의 연결 조인트, 및 그러한 연결 조인트를 포함하는 글레이징 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그 면들 중 적어도 하나 상에 그러한 연결 조인트를 포함하는 패널, 특히 유리로 만들어진 패널과, 글레이징 벽을 장착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글레이징 벽은 서로 병치된 복수의 패널을 포함하고, 여기서 각 패널은 단일의, 적층되거나 다중 글레이징일 수 있다. 글레이징 벽은 내부 분할부(partition)로서 또는 외부와 연결하는 벽으로서 건설 산업에 사용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미적인, 특히 가장 큰 가능한 시야 표면을 갖는 벽을 얻기 위해, 연속적인 패널의 인접한 에지들 사이의 연결을 확립하고 공기 및 잡음의 투과를 방지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 조인트의 도움으로 글레이징 벽의 패널을 조립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하나의 알려진 해법은 실리콘 유형의 접착성 본딩된 조인트를 갖는 글레이징 벽의 연속적인 패널의 에지를 조립하는 것으로 구성되며, 이것은 작은 단면으로 인해 글레이징 벽의 미관을 확보한다. 하지만, 이러한 해법은 구현하기 어렵다. 이것은 실리콘 조인트가 펌프에 의해 생성되며, 이것이 깨끗한 외관을 얻기 위해 손재주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글레이징 벽의 패널이 다중 글레이징인 경우에, 글레이징의 후방으로의 액세스는 가능하지 않은데, 이것은 실리콘 조인트의 설치 및 마무리를 더 복잡하게 만든다. 실리콘 조인트를 갖는 조립체의 다른 결점은 분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중간 패널을 제거하기 위해, 그 의도가 다른 패널을 재설치하는 것이면, 실리콘 조인트를 제거하고, 그런 후에 패널의 에지를 세척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른 알려진 해법은 양면 접착제 조인트를 가지고 연속적인 패널의 에지를 조립하는 것이다. 유리하게, 양면 접착제 조인트는 작은 단면을 갖고, 이것은 글레이징 벽의 미관을 확보한다. 하지만, 접착제 테이프를 패널의 에지에 접착성 본딩하는 것은 패널의 만족스러운 수직 정렬을 얻기 위해 특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더욱이, 이러한 조립체는 분해하기 어려운데, 이는 접착제를 접착 분리(disband)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들 결점에서, 본 발명은 미관의 관점에서 신중하면서, 특히 글레이징 벽의 투명 외관을 확보하면서, 글레이징 벽의 쉬운 장착 및 조립 해제(disassembly)를 허용하여 글레이징 벽의 연속적인 패널 사이에 접착제 조인트를 제공함으로써 더 특히 극복하도록 의도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은 글레이징 벽의 제 1 패널과 제 2 패널 사이의 연결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연결 조인트는 각 패널의 면과 협력하도록 적응되고, 제 1 외부 면 및 제 2 외부 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와; 지지부의 제 1 외부 면 상에 배치된 제 1 고정 수단과; 지지부의 제 2 외부 면 상에 배치된 제 2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연결 조인트에 있어서, 이동 죠(jaw)의 100 mm/min 변위 속도로 이동-죠 인장력 테스트 기계를 통해 유리 패널 상에서 측정된, 제 1 고정 수단의 직각 분리력은 3 내지 20 N/cm에 있고, 바람직하게 3 내지 15N/cm에 있는 한편, 이동 죠의 100 mm/min 변위 속도로 이동-죠 인장력 테스트 기계를 통해 유리 패널 상에서 측정된, 제 2 고정 수단의 직각 분리력은 30N/c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이동 죠의 100 mm/min 변위 속도로 이동-죠 인장력 테스트 기계를 통해 유리 패널 상에서 측정된, 제 1 고정 수단의 직각 분리력은 5 내지 15 N/cm에 있다.
바람직하게, 이동 죠의 100 mm/min 변위 속도로 이동-죠 인장력 테스트 기계를 통해 유리 패널 상에서 측정된, 제 2 고정 수단의 직각 분리력은 30 내지 40 N/cm에 있다.
본 발명의 정황에서, 고정 수단은 패널의 면, 특히 에지 또는 메인 면과의 접착성 본딩에 의해 협력할 수 있는 접착제의 층일 수 있다. 변형으로서, 패널의 양각 패턴과의 상보성에 의해 협력할 수 있는 기계적 고정 수단일 수 있다. 특히, 양각 패턴은 패널의 면, 특히 에지에 형성된 길이 방향 그루브일 수 있고, 내부 부피에 힘 설치(force fit)하여 기계적 고정 수단을 수용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고정 수단이 접착제의 층일 때, 직각 분리력은 또한 직각 벗겨짐 힘(peeling force)으로 언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조인트는, 패널이 인접한 패널에 대해 변위될 때 장착된 상태에서 글레이징 벽의 양호한 접착 및 용이한 접착 해제(decohesion) 모두를 보장하기 위해 직각 분리력이 조정되는 제 1 고정 수단에 의해 글레이징 벽의 패널들 사이에 분리가능한 고정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불량한 정렬의 경우에 서로에 대해 패널을 재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글레이징 패널의 용이한 장착을 초래하고, 중간 패널이 글레이징 벽으로부터 쉽게 추출될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한 분해를 초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조인트는 패널들 사이의 가역적인 연결을 보장하여, 글레이징 벽의 급속한 장착/분해를 허용한다. 내부 분할부의 경우에, 동일한 패널을 재사용함으로써 공간을 재조직화하는 것이 이에 따라 가능하다. 제 1 고정 수단과 제 2 고정 수단 사이에서의 직각 분리력에서의 차이로 인해, 연결 조인트는 그 사이에 배치되는 2개의 패널 중 하나 상에 제 2 고정 수단에 의해 강하게 고정될 수 있어서, 글레이징 벽의 분리 동안 이러한 패널에 고정된 상태로 여전히 남아있다.
본 발명의 범주에서, 접착제의 층의 경우에 고정 수단의 직각 분리력, 또는 직각의 벗겨짐 힘은 첨부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죠 인장력 테스트 기계를 통해 종래에 측정된다. 테스트는 고정되는 유리 기판에 대해, 증발될 고정 수단을 운반하는 휘기 쉬운 지지부의 분리를 90도의 각도로 야기하기 위해 필요한 힘을 측정하는 것에 있다.
직각 분리력이 결정되도록 의도되는 각 고정 수단(8, 9) 에 대해, 3개의 테스트 부품(103)은 첨부된 도면 15 및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된다. 각 테스트 부품(103)은 유리 기판(105)을 포함하고, 유리 기판의 한 면(106) 상에는 고정 수단(8, 9)을 지탱하는 휘기 쉬운 지지 요소(7)가 고정된다. 면(106)은 유리 기판의 에지 또는 그 메인 면일 수 있다. 구현예로서, 휘기 쉬운 지지 세그먼트(7)는 250mm ± 1mm의 길이와 10mm ± 1mm의 폭을 갖거나, 롤로서 전달된 상업용 제품인 경우, 폭은 롤의 폭이다. 유리 기판(105)의 면(106)은 190mm의 길이와 10mm 이상의 폭을 갖는다. 면(106) 상의 휘기 쉬운 지지 세그먼트(7)의 적용 상태는 고정 수단(8, 9)의 공급자에 의해 권고된 것이다. 이것은, 특히 프레싱 동안 및 프레싱에 의해 접착제 층의 경우에 접착제 본딩 상태, 특히 압력에 관한 권고를 수반한다; 또는 기계적 고정 수단의 경우에 고정 상태에 관한 권고, 특히 기판 상에 형성된 양각 패턴 및 가공 방식.
테스트 동안 휘기 쉬운 지지부(7)의 임의의 인장력 연장을 회피하기 위해, 알루미늄 스트립(107)이 제공된다. 스트립(107)은 평가될 고정 수단보다 더 단단하게 접착제의 층을 가지고 휘기 쉬운 지지부(7) 상에 고정되어, 테스트 동안 실패하는 연결은 특징적인 것으로 의도되는 고정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것이다. 더욱이, 2개의 기준선들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테스트 부품(103) 상에서 유입되는데, 즉 테스트 부품의 단부로부터 25mm 떨어진 제 1 기준선(t1), 및 제 1 기준선(t1)으로부터 140mm 떨어진 제 2 기준선(t2) 상에서 유입된다. 각 테스트 부품(103)에 대해, 테스트는 상대 습도의 50% ± 5% 및 23℃ ± 2℃에서 조절된 방에서 22시간 동안 상주한 후에 수행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력 테스트 기계(100)는 기계의 프레임워크(101)에 대해 이동가능한 하부 죠(102)와, 프레임워크(101)에 대해 고정되는 상부 죠(104)를 포함한다. 상부 죠(104)는 휘기 쉬운 지지 세그먼트(7)의 일단부를 클램핑한다. 테스트 부품(103)의 변위는 약 90도의 분리각(a)을 유지하도록 기판(105)에 고정된 슬레이브 케이블(110)에 의해 하부 죠(102)의 이동에 대해 슬레이빙된다(slaved). 하부 죠(102)의 변위 속도는 100mm/min ± 1mm/min으로 조절된다. 기계(100)는 이동 하부 죠(102)의 변위의 기능으로서 힘의 변동을 제공하는 리코더가 설치된다.
인장력 테스트 기계(100)의 도움으로, 고정 수단(8, 9)의 직각 분리력을 측정하기 위한 동작 모드는 다음과 같다.
먼저, 테스트 부품(103)은 도 14에 도시된 장치를 얻도록 인장력 테스트 기계(100)에 도입된다. 이 ?문에, 휘기 쉬운 지지 세그먼트(7)의 부분은 제 2 기준선(t2)을 통과하지 않고도 테스트 부품으로부터 분리되고, 휘기 쉬운 지지 세그먼트(7)의 단부는, 분리된 영역의 한계가 죠의 축에 있을 때까지 상부 죠(104)에 고정된다. 하부 죠(102)는 하강되어, 휘기 쉬운 지지 세그먼트(7)의 약간의 응력을 받는 것을 얻게 되고, 그런 후에 슬레이빙 케이블(110)은 기판(105)에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으로부터, 인장력 테스트 기계(100)는 100mm/min ± 1mm/min의 하부 죠(102)의 속도에서 시작하고, 뉴튼 단위의 분리력은 하부 죠(102)의 변위의 함수로서 리코딩된다. 각 테스트 부품(103)에 대해, 뉴튼 단위의 평균 분리력은 분리된 제 1의 25 mm에 대응하여 힘/변위 곡선(경도에서의 변위 및 위도에서의 힘)의 부분의 제거 이후에 100mm의 길이에 걸쳐 결정된다. 평균 분리력의 결정은 곡선의 매끄러움 이후에, 또는 횡축에 평행한 어느 한 측부 상에 그래픽적으로 균형 투사되고 만입된 표면들을 시도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고, 종축과 평행한 이것의 교차는 분리력의 평균값을 제공한다.
이 결과는 고정 수단의 폭의 cm당 뉴튼 단위로 표현된 평균 분리력(N/cm)에 의해 주어진다. 더 엄밀하게는, 접착제의 층에 대해, 직각 분리력은 접착제의 층의 폭의 cm당 뉴튼 단위로 표현된다. 양각 패턴과 협력하는 기계적 고정 수단에 대해, 직각 분리력은 기판의 표면 상의 양각 패턴의 폭의 cm당 뉴튼 단위로 표현된다. 따라서, 그루브에 힘 설치로 수용된 기계적 고정 수단의 경우에, 직각 분리력은 기판의 표면 상의 그루브의 개구부의 폭의 cm당 뉴튼 단위로 표현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 1 고정 수단은 지지부의 제 1 외부 면 상에 배치된 접착제의 제 1 층이고, 제 2 고정 수단은 지지부의 제 2 외부 면 상에 배치된 접착제의 제 2 층이고, 이동 죠의 100mm/min 변위 속도로 이동-죠 인장력 테스트 기계를 통해 유리 패널 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측정된 접착제의 제 1 층의 직각 벗겨짐 힘은 3 내지 20N/cm, 바람직하게 3 내지 15 N/cm에 있는 한편, 이동 죠의 100mm/min 변위 속도로 이동-죠 인장력 테스트 기계를 통해 유리 패널 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측정된 접착제의 제 2 층의 직각 벗겨짐 힘은 30N/cm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 1 고정 수단은 지지부의 제 1 외부 면에 의해 지탱되고 패널의 양각 패턴과의 형태 상보성에 의해 협력할 수 있는 기계적 고정 수단이고, 제 2 고정 수단은 지지부의 제 2 외부 면 상에 배치된 접착제의 층이고, 이동 죠의 100mm/min 변위 속도로 이동-죠 인장력 테스트 기계를 통해 유리 패널 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측정된 접착제의 제 1 층의 직각 벗겨짐 힘은 3 내지 20N/cm, 바람직하게 3 내지 15 N/cm에 있는 한편, 이동 죠의 100mm/min 변위 속도로 이동-죠 인장력 테스트 기계를 통해 유리 패널 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측정된 접착제의 제 2 층의 직각 벗겨짐 힘은 30N/cm 이상이다.
하나의 특징에 따라, 연결 조인트의 제 1 및 제 2 고정 수단 중 적어도 하나는 기계적 고정 수단인데, 이러한 기계적 고정 수단은 지지부의 대응하는 외부 면에 의해 지탱된 중공(들) 및 융기부(들)의 세트를 포함하여, 지지부는 패널의 그루브에서 힘 설치하여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에 따라, 연결 조인트는 단일 지지부를 포함하고, 지지부의 제 1 외부 면 상에 배치된 제 1 고정 수단은 제 1 패널의 면과 협력하도록 의도되는 한편, 지지부의 제 2 외부 면 상에 배치된 제 2 고정 수단은 제 2 패널의 면과 협력하도록 의도된다.
하나의 변형에 따라, 연결 조인트는 제 1 지지부 및 제 2 지지부를 포함하고, 이들 지지부는 서로를 향하는 제 1 외부 면을 갖고, 제 1 고정 수단에 의해 함께 연결되고, 제 1 지지부의 제 2 외부 면 상에 배치된 제 2 고정 수단은 제 1 패널의 면과 협력하도록 의도되는 한편, 제 2 지지부의 제 2 외부 면 상에 배치된 제 2 고정 수단은 제 2 패널의 면과 협력하도록 의도된다.
다른 변형에 따라, 연결 조인트는 제 1 지지부 및 제 2 지지부를 포함하고, 이들은 서로를 향하는 제 2 외부 면을 갖고 제 2 고정 수단에 의해 함께 연결되고, 제 1 지지부의 제 1 외부 면 상에 배치된 제 1 고정 수단은 제 1 패널의 면과 협력하도록 의도되는 한편, 제 2 지지부의 제 1 외부 면 상에 배치된 제 1 고정 수단은 제 2 패널의 면과 협력하도록 의도된다.
하나의 특징에 따라, 연결 조인트는 각 패널의 하나의 에지와 협력하도록 의도되고, 이것은 서로에 대한 연장부에서, 패널들을 단부마다 조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하나의 변형에 따라, 연결 조인트는 하나의 패널의 에지 및 다른 패널의 메인 면과 협력하도록 의도되고, 이것은 서로에 대해 횡방향으로 패널들을 조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T 또는 L을 형성한다.
유리하게, 연결 조인트의 지지부 또는 각 지지부는 폴리머 물질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연결 조인트 또는 각 연결 조인트는 투명 또는 반투명 열가소성 폴리머, 특히 열가소성 탄성중합체(TPE)로 구성된다. 적절한 물질의 예들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특히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비닐 코폴리머, 특히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올리핀 코폴리머, 특히 에틸렌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코폴리머; 아크릴 폴리머 및 코폴리머; 폴리우레탄; 및 이들의 조합 또는 혼합물을 포함한다. 적절한 혼합물은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혼합물; 폴리우레탄/폴리카르보네이트 혼합물; 폴리우레탄/폴리에스테르 혼합물을 포함한다. 다른 적절한 혼합물은 예를 들어, 스티렌-부타디엔 코폴리머; 폴리클로로프렌; 니트릴 고무; 부틸 고무; 실리콘 고무; 폴리우레탄 고무; 아크릴레이트 고무; 천연 고무; 열가소성 고무, 특히 스티렌 블록 코폴리머, 에테르-우레탄 블록 코폴리머, 에스테르-우레탄 블록 코폴리머, 에테르-에스테르 블록 코폴리머, 에테르-아미드 블록 코폴리머;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하나의 유리한 특징에 따라, 연결 조인트 또는 연결 조인트의 각 지지부는 건설 산업에서 그 힘에서의 요건을 충족하도록 내화제 및 특정한 열가소성 폴리머, 특히 TPE 와 같은 냄새 제거 특성을 갖는 자가-구별 물질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연결 조인트 또는 연결 조인트의 각 지지부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공동을 포함한다. 특히, 지지부 또는 각 지지부는 하나 이상의 부피 공동을 포함한다. 변형으로서, 지지부 또는 각 지지부는 복수의 내부 미세 공동을 포함하고, 특히 지지부 또는 각 지지부는 폴리머 형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들 2가지 경우에서, 각 지지부의 구조에서의 하나 이상의 내부 공동의 존재는 글레이징 벽에서 사용하기 위해 선호가능한 연결 조인트 변형 및 에너지 흡수 특성을 전달한다. 한 편으로, 연결 조인트는, 심지어 이들 패널들의 면 상에 불규칙부(irregularities)가 있더라도 그 사이에 배치되는 2개의 패널의 면과 연속적인 접촉을 보장하기 위해 변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 조인트는 패널들 사이의 양호한 밀봉을 보장하고, 공기와 잡음의 투과에 대해 효율적인 배리어를 형성한다. 더욱이, 패널의 제조 허용오차에 대한 요건의 레벨은 낮아질 수 있다. 다른 한 편으로, 연결 조인트는 글레이질 벽의 패널들 사이의 흡수 에너지, 특히 충격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고, 이것은 패널의 일련의 균열, 및 진동 에너지를 회피할 수 있게 하고, 이것은 글레이징 벽의 방음 성능을 개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하나의 특징에 따라, 연결 조인트 또는 연결 조인트의 각 지지부는 평행사변형 단면을 갖는다. 연결 조인트의 고정 수단은 지지부의 4개의 외부 면들 중 2개의 외부 면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유리하게, 지지부는 가능한 가장 작은 폭을 갖는 직사각형 단면을 갖고, 연결 조인트의 고정 수단은 직사각형 단면의 길이를 형성하는 2개의 면 상에 설치된다. 따라서, 2개의 인접한 패널들 사이의 연결 조인트의 크기는 제한되고, 이것은 글레이징 벽의 미관과 투명도를 개선한다.
변형으로서, 연결 조인트 또는 연결 조인트의 각 지지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볼록한 단면을 갖는다. 지지부의 볼록 부분은 패널에 형성된 그루브에 유리하게 수용되며, 지지부의 단면과 실질적으로 상보적인 볼록한 단면을 갖는다. 그러한 장치는 2개의 인접한 패널 사이에 연결 조인트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게 하고, 이에 따라 글레이징 벽의 미관 및 투명도를 개선한다.
실시예가 무엇이든지간에, 연결 조인트는 유리하게, 2개의 인접한 패널의 면들 사이의 거리가 5mm 미만, 바람직하게 약 2mm 미만이 되도록 적응된다.
다른 변형에 따라, 지지부 또는 각 지지부는 팽이의 형태이다. 지지부의 팽이 단면은, 연결 조인트가 인접한 패널의 에지와 협력하고 이들이 챔퍼링(chamfered)될 때 특히 유리하다. 이것은 연결 조인트가 그 사이에 삽입되는 패널의 2개의 에지의 전체 표면에 매칭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유리한 특징에 따라, 연결 조인트는 인접한 패널의 에지들 사이의 전체 갭을 채우고, 패널의 메인 면과 동일 평면상에 있다. 글레이징 벽의 표면과의 연결 조인트의 이러한 동일 평면 상의 배치는 글레이징 벽의 미관에 기여하고, 특히 세척에 관해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하는데, 이는 먼지가 패널들 사이에 증착될 위험을 제거하기 때문이다.
일실시예에서, 연결 조인트는 열가소성 폴리머, 특히 폴리비닐 클로하이드(PVC)로 만들어진 프로파일링된(profiled) 섹션을 포함하고, 이것은 제 1 양면 접착 테이프 및 제 2 양면 접착 테이프를 가지고, 각각 외부 면들 중 2개에 코팅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부피 공동을 포함하고, 이동 죠의 100mm/min 변위 속도로 이동-죠 인장력 테스트 기계를 통해 유리 패널 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측정된 제 1 접착 테이프의 바깥쪽으로 향하는 접착층의 직각 벗겨짐 힘은 3 내지 20 N/cm, 바람직하게 3 내지 15 N/cm에 있는 한편, 이동 죠의 100 mm/min 변위 속도로 이동-죠 인장력 테스트 기계를 통해 유리 패널 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측정된 제 2 접착 테이프의 바깥쪽으로 향하는 접착층의 직각 벗겨짐 힘은 30 N/cm 이상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실시예에서, 연결 조인트의 지지부는 제 1 접착 테이프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스택에 의해 형성되고, 제 1 접착 테이프의 접착층은 열가소성 폴리머로 만들어진 프로파일링된 섹션쪽으로 향하고, 프로파일링된 섹션은 열가소성 폴리머로 만들어지고, 제 2 접착 테이프의 접착층은 열가소성 폴리머로 만들어진 프로파일링된 섹션쪽으로 향한다. 접착 테이프의 지지부는 특히, 폴리에스테르 또는 아크릴 폼(foam)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로파일링된 섹션의 대응하는 외부 면과 각 접착 테이프 사이의 접착 프라이머(primer)의 층의 도움으로 열가소성 폴리머로 만들어진 프로파일링된 섹션 및 각 접착 테이프 사이에서 강한 접착이 얻어진다. 예로서, 프로파일링된 섹션이 PVC로 만들어질 때, 폴리아미드 수지를 주원료로 하는 프라이머의 층은 PVC로 만들어진 프로파일링된 섹션의 외부 면 상의 접착 테이프의 접착을 개선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하나의 특징에 따라, 열가소성 폴리머로 만들어진 프로파일링된 섹션은 사변형 단면을 갖고, 제 1 및 제 2 접착 테이프는 프로파일링된 섹션의 2개의 대향하는 외부 면 상에 위치된다. 유리하 특징에 따라, 연결 조인트의 열가소성 폴리머로 만들어진 프로파일링된 섹션은 압출된 프로파일링된 섹션이다.
하나의 특징에 따라, 연결 조인트의 지지부는 지지부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하는 연장부에 저항성이 있는 금속 또는 다른 물질의 스트랜드를 그 안에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스트랜드는 특히 열가소성 폴리머로 만들어진 프로파일링된 섹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스트랜드는 연결 조인트의 연장부에 대한 강성도 및 저항성을 개선하다. 특히, 이러한 스트랜드의 존재로 인해, 인장력을 스트랜드에 가함으로써 패널의 면 상에 연결 조인트를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한데, 이는 예를 들어 연결 조인트의 과부하 또는 응력을 받도록 하지 않고도 이를 풀기 위한 것이며, 이것은 일단 설치되면 연결 조인트의 기계적 특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제 1 패널 및 제 2 패널과, 전술한 연결 조인트를 포함하는 글레이징 벽에 관한 것으로, 이들은 각 패널의 면과 협력한다.
글레이징 벽의 각 패널은 단일 기판에 의해 형성된 단일 글레이징일 수 있다. 변형으로서, 각 패널은 함께 조립된 복수의 기판을 포함하는 다중 글레이징 또는 적층된 글레이징일 수 있다. 하나의 유리한 특징에 따라, 글레이징 벽의 각 패널에 대해, 패널 또는 패널의 각 기판은 유리 또는 강성 폴리머,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로 만들어진다.
하나의 특징에 따라, 글레이징 벽의 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는 특히 그 에지에 형성된 그루브를 포함하고, 이러한 그루브는 연결 조인트의 지지부의 부분의 단면에 실절적으로 상보적인 단면을 갖는다. 유리하게, 그루브 및 지지부의 상보적인 단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목하다.
다른 특징에 따라, 연결 조인트의 고정 수단들 중 하나는 기계적 고정 수단이고, 글레이징 벽의 패널들 중 하나는 특히 그 에지에 형성된 그루브를 포함하고, 이것은 내부 부피에서 힘 설치하여 기계적 고정 수단을 수용하도록 적응된다.
본 발명은 또한 특히 유리로 만들어진 패널에 관한 것으로, 그 면들 중 적어도 하나, 특히 그 에지 중 적어도 하나 상에 전술한 연결 조인트를 포함하고, 제 1 및 제 2 고정 수단 중 하나는 패널의 면과 협력하는 한편, 제 1 및 제 2 고정 수단 중 다른 하나는 다른 패널에 대한 연결을 위해 이용가능하다. 다른 패널에 대한 연결을 위해 이용가능한 고정 수단이 접착제의 층일 때, 접착제의 층은 유리하게 제거가능한 보호 테이프(선형)로 커버된다.
유리하게, 적어도 하나의 연결 조인트로 사전 조립되는 전술한 패널은, 특히 유리 패널일 때, 패널들에 대한 기존의 생산 라인을 과도하게 변형하지 않고도 산업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것은, 패널을 성형하기 위한 모듈 뒤에 제조 라인의 마지막에서 패널의 면들 중 하나 상에 연결 조인트를 설치하기 위한 추가 모듈의 일체화가 비교적 쉽기 때문이다. 더욱이, 고정 수단이 다른 패널과 협력하도록 이용가능한 연결 조인트가 그 면들 중 한 면 상에 제공되는 그러한 패널은 글레이징 벽의 간단하고 단단한 장착을 허용한다. 이것은, 그 연결 조인트와 사전 조립된 이들 패널의 배치에서 시작하여, 제 2 패널의 대응하는 면을 향하는 한 패널의 연결 조인트가 제공된 면을 위치시키기 위해 연속적인 패널의 각 쌍에 대해 주의하면서, 패널을 나란히 위치시키는 것으로도 족하기 ?문이다.
바람직하게, 전술한 패널에서, 제 2 고정 수단은 더 높은 직각 분리력을 갖고, 이것은 패널의 면과 협력하는 한편, 제 2 고정 수단은 더 낮은 직각 분리력을 갖고, 이것은 다른 패널과의 연결을 위해 이용가능하다. 이것은 사전 조립되는 패널에 대해 연결 조인트을 분리할 위험을 제한하는데, 이는 패널과 협력하는 더 높은 분리력으로 고정 수단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적어도 2개의 패널을 포함하는 글레이징 벽을 장착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 패널은, 제 1 패널의 연결 조인트가 제공된 면이 제 2 패널의 대응하는 면을 향하는 방식으로 위치되는 단계와,
- 2개의 패널은 이용가능한 고정 수단 또는 각 이용가능한 고정 수단을 활성화하도록 패널의 면들을 서로를 향해 압력 힘을 가함으로써 고정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히, 그 에지들 중 하나 상에서 연결 조인트가 제공되는 패널의 경우에, 인접한 패널의 각 쌍의 패널들은, 제 1 패널의 연결 조인트가 제공된 에지가 제 2 패널의 대응하는 자유 에지를 향하는 방식으로 위치된다. 2개의 패널은 제 2 패널의 자유 에지에 대해 제 1 패널에 의해 지탱된 연결 조인트의 이용가능한 고정 수단을 프레스함으로써 고정된다.
2개의 대향하는 에지 상에 연결 조인트가 제공되는 패널의 경우에, 인접한 패널의 각 쌍의 패널은, 제 1 패널의 연결 조인트가 제공된 하나의 에지가 제 2 패널의 연결 조인트가 제공된 하나의 에지를 향하는 방식으로 위치된다. 2개의 패널의 고정은 제 2 패널에 의해 지탱된 연결 조인트의 이용가능한 고정 수단에 대해 제 1 패널에 의해 지탱된 연결 조인트의 이용가능한 고정 수단을 프레스함으로써 수행된다.
본 발명은 또한 패널의 면 상에 전술한 연결 조인트를 설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연결 조인트는 패널의 면에 대향하여 위치되고, 제 1 고정 수단 및 제 2 고정 수단으로부터 하나는 패널의 상기 면을 향하고, 패널의 상기 면을 향하는 고정 수단을 활성화하도록 패널의 면에 횡방향으로, 패널의 면에 대해 연결 조인트를 프레스하기 위해 힘이 가해진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에 따라, 조인트는 패널의 면에 대향하여 점진적으로 위치되고, 패널의 면에 대해 이를 프레스하기위해 연결 조인트 상에 가해진 힘은 패널의 면에 대향하여 방금 위치된 연결 조인트의 세그먼트 상에 국부적으로 가해진다. 이러한 경우에, 동일한 압력 힘은 바람직하게 연결 조인트의 전체 길이에 걸쳐 가해진다.
일실시예에서, 연결 조인트는 패널의 면 당에 설치되기 전에 자체적으로 감겨지고, 방법은, 연결 조인트가 패널의 면에 대향하여 풀리고 압력 힘은 패널의 면에 대향하여 방금 풀린 연결 조인트의 세그먼트 상에 국부적으로 가해진다.
패널의 상기 면을 향하는 고정 수단이 제거가능한 보호 테이프(선형)로 커버된 접착제의 층일 때, 방법은, 연결 조인트가 패널의 면에 대향하여 설치되기 전에 보호 테이프를 제거하는 종래의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패널의 면 상에 전술한 연결 조인트를 설치하는 툴에 관한 것으로, 패널의 면에 대향하여 연결 조인트를 위치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 1 고정 수단 및 제 2 고정 수단으로부터 하나는 패널의 상기 면을 향하는, 위치시키기 위한 수단과, 패널의 면에 횡방향으로 패널의 면에 대해 연결 조인트를 프레스하기 위해 힘을 가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특히, 패널의 면 상에 설치되기 전에 자체적으로 감겨지는 연결 조인트를 설치하는 일실시예에서, 툴은,
- 위치 지정 수단은 패널의 면에 대향하여 연결 조인트의 점진적인 풀려짐을 위한 이동 수단이고,
- 압력 힘을 가하기 위한 수단은, 패널의 면에 대향하여 방금 풀릴 때, 위치 지정 수단에 운동학적으로 링크되고, 연결 조인트의 연속적인 세그먼트들 상에 일정한 힘을 가하기 위해 구성되도록 이루어진다.
패널의 면이 패널의 에지에 있을 때, 툴을 위치시키기 위한 수단은 유리하게 에지에 대향하여 연결 조인트의 중심을 두는 수단을 포함한다. 툴은 또한 연결 조인트의 고정 수단을 보호하는 제거가능한 보호 테이프(선형)를 제거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장점은 본 발명에 따라 연결 조인트, 글레이징 벽 및 패널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한 다음의 설명에서 나타날 것이고, 이것은 단지 예로서 주어지고,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질 것이다.
본 발명은 미관의 관점에서 신중하면서, 특히 글레이징 벽의 투명 외관을 확보하면서, 글레이징 벽의 쉬운 장착 및 조립 해제를 허용하여 글레이징 벽의 연속적인 패널 사이에 접착제 조인트를 제공함으로써 더 특히 극복하도록 의도된 연결 조인트 및 글레이징 벽에 효과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서로 병치되고 연결 조인트에 의해 부분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투명 패널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글레이징 벽의 분해도.
도 2는 도 1의 라인 II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a는 2개의 패널의 고정을 보여주는 도 2와 유사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도 2와 유사한 단면도.
도 3a는 2개의 패널의 고정을 보여주는 도 3과 유사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대한 도 2와 유사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대한 도 2와 유사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에에 대한 도 2와 유사한 단면도.
도 6a는 2개의 패널의 고정을 보여주는 도 6과 유사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대한 도 2와 유사한 단면도.
도 7a는 2개의 패널의 고정을 보여주는 도 7과 유사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대한 도 2와 유사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대한 도 2와 유사한 단면도.
도 9a는 2개의 패널의 고정을 보여주는 도 9와 유사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대한 도 2와 유사한 단면도.
도 10a는 2개의 패널의 고정을 보여주는 도 10과 유사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대한 도 2와 유사한 단면도.
도 11a는 2개의 패널의 고정을 보여주는 도 11과 유사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대한 도 2와 유사한 단면도.
도 12a는 2개의 패널의 고정을 보여주는 도 12와 유사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대한 도 2와 유사한 단면도.
도 13a는 2개의 패널의 고정을 보여주는 도 13과 유사한 단면도.
도 14는, 고정 수단의 직각 분리력을 측정하기 위해 본 발명의 범주에 사용된 장치의 개략도로서, 측정은 이동-죠 인장력 테스트 기계를 통해 유리 패널 상에서 수행되는, 개략도
도 15는 도 14의 장치에 사용된 테스트 부품을 확대한 축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6은 도 14의 테스트 부품을 위에서 본 도면으로서, 측정 동안 사용되는 기준선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도면의 좌측상에서 향하는 패널을 본 시야와, 도면의 우측 상에서 프로파일에서 패널을 본 시야를 포함하는, 패널의 에지 상에서 본 발명에 따라 연결 조인트를 설치하기 위한 툴 및 설치 단계를 도시한 분해도.
도 1 내지 도 16의 도면은 개략적이다. 특히, 명백함을 위해, 다양한 요소의 상대적인 치수는 이들 도면에서 엄격하게 예상되지 않았다.
도 1에 표시된 글레이징 벽(1)은 서로 병치된 복수의 투명 패널(2, 2', 2" 등)을 포함한다. 예로서, 글레이징 벽(1)은 방의 층(10)과 천장(11) 사이에 배치되는 빌딩의 방의 내부 분할부이다. 이 예에서, 각 패널(2, 2', 2" 등)은 직사각형 형태를 갖는 템퍼링된(tempered) 유리의 모노리식 창유리에 의해 형성되고, 그 길이 방향 치수는 방의 높이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메인 면은 22, 24, 22', 24", 22", 24"로 표시되고, 각 패널(2, 2',또는 2")의 길이 방향 에지는 21, 23, 21', 23', 21", 23"으로 표시된다. 인접한 패널의 각 쌍에 대해, 2개의 패널은 인접하고, 그 길이 방향 에지는 서로 대향한다. 특히, 패널(2)의 길이 방향 에지(23)는 패널(2')의 길이 방향 에지(21')에 대향하는 한편, 패널(2')의 길이 방향 에지(23')는 패널(2")의 길이 방향 에지(21")에 대향한다. 인접한 패널의 각 쌍에 대해, 글레이징 벽(1)은 2개의 패널의 길이 방향 에지들 사이에 연결 조인트(6)를 포함하며, 이것은 각 에지와 협력한다. 바람직하게, 연결 조인트(6)는 패널의 길이 방향 에지의 전체 길이에 걸쳐 실질적으로 연장하여, 공기 및 잡음의 투과를 효율적으로 방지한다.
연결 조인트(6)는 열가소성 폴리머, 특히 열가소성 탄성중합체(TPE)로 만들어진 적어도 하나의 투명 또는 반투명 지지부를 포함하고, 이러한 지지부는 제 1 외부 면 상의 제 1 고정 수단(8)과, 제 2 외부 면 상의 제 2 고정 수단(9)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 1 고정 수단의 직각 분리력은 3 내지 15 N/cm에 있는 한편, 제 2 고정 수단의 직각 분리력은 30N/cm 이상이다. 아래에 설명되는 각 실시예에서, 직각 분리력(또는 접착제의 층의 경우에 직각 벗겨짐 힘)의 값은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측정 방법에 따라 주어진다.
도 2에 표시된 제 1 실시예에서, 연결 조인트(6)는 차동 접착 시스템을 갖는 양면 접착 테이프이고, 이것은 직사각형 단면 및 3개의 내부 부피 공동(71)을 갖는 단일 지지부(7)를 포함한다. 직사각형 단면의 길이를 형성하는 지지부(7)의 2개의 외부 면은 7A 및 7B로 표시된다. 면(7A)은 7.0N/cm의 직각 벗겨짐 힘을 갖는 아크릴 접착제의 층(8)으로 코팅되는 한편, 면(7B)은 36.7N/cm의 직각 벗겨짐 힘을 갖는 아크릴 접착제의 층(9)으로 코팅된다. 글레이징 분할부(1)의 장착된 상태에서, 접착제의 층(8)은 패널(2)의 에지(23)와 협력하고, 접착제의 층(9)은 패널(2')의 에지(21')와 협력한다.
도 2a는 글레이징 벽(1)의 조립 동안 패널(2, 2')의 고정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2')은 에지(21') 상의 연결 조인트(6)로 초기에 사전 조립되는 한편, 패널(2)은 에지(23) 상에 연결 조인트를 갖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글레이징 벽(1)의 패널(2, 2', 2" 등)은 모두 초기에 그 에지(21, 21', 21", 등) 상의 연결 조인트(6)로 사전 조립되고, 그 에지(23, 23', 23", 등) 상의 연결 조인트를 갖지 않는다. 각 패널(2, 2', 2", 등)에 대해, 더 높은 직각 벗겨짐 힘으로 접착제의 층(9)은 패널의 에지(21, 21', 21", 등)와 협력하는 한편, 낮은 직각 벗겨짐 힘으로 접착제의 층(8)은 제거가능한 보호 테이프(5)로 커버되고, 다른 패널과의 연결을 위해 이용가능하다. 글레이징 벽(1)의 장착은, 연결 조인트(6)가 제공되는 패널(2')의 에지(21')가 패널(2)의 자유 에지(23)와 대향하고, 그런 후에 보호 테이프(5)가 에지(23 및 21')의 압력(F2)을 가함으로써 도 2a의 화살표(F1)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제거되어, 접착제의 층(8)을 활성화하는 방식으로 패널(2 및 2')을 위치시킴으로써 얻어진다.
각 연결 조인트(6)의 접착제의 층(8)의 비교적 낮은 벗겨짐 힘으로 인해, 글레이징 벽(1)의 장착 동안 패널을 서로에 대해 재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일단 글레이징 벽(1)이 장착되면, 전체 벽을 분할하지 않고도 중간 패널을 추출하는 것은 용이하다. 접착제의 층(8)에 관해 접착제의 층(9)의 더 높은 벗겨짐 힘으로 인해, 각 패널의 연결 조인트(6)는 패널의 에지(21, 21', 21", 등)에 단단히 고정되고, 글레이징 벽(1)의 분할 동안 이러한 에지에 고정된다.
도 3에 표시된 제 2 실시예에서, 연결 조인트(6)는 2개의 지지부(7 및 7')를 포함하고, 이들 2개의 지지부 양쪽 모두는 동일한 직사각형 단면과, 복수의 미세 공동(71, 71')을 포함하는 폼형 구조를 갖는다. 직사각형 단면의 길이를 형성하는 지지부(7)의 2개의 외부 면은 7A 및 7B로 표시되고, 지지부(7')의 2개의 유사한 면은 7'A 및 7'B로 표시된다. 지지부(7 및 7')는 서로에 대향하는 면(7A 및 7'A)을 갖고, 7.0N/cm의 직각 벗겨짐 힘을 갖는 아크릴 접착제의 층(8)에 의해 3개의 면에서 함께 연결된다. 지지부(7 및 7')의 면(7B 및 7B') 각각은 36.7N/cm의 직각 벗겨짐 힘을 갖는 아크릴 접착제의 층(9)으로 코팅된다. 글레이징 분할부(1)의 장착된 상태에서, 지지부(7)의 외부 면(7B)에 의해 지탱된 접착제의 층(9)은 패널(2)의 에지(23)와 협력하고, 지지부(7')의 외부 면(7'B)에 의해 지탱된 접착제의 층(9)은 패널(2')의 에지(21')와 협력한다.
도 3a는 글레이징 벽(1)의 조립 동안 패널(2, 2')의 고정을 도시한다. 패널(2)은 초기에 에지(23) 상에서 연결 조인트의 부분(61)으로 사전 조립되고, 그 부분은 접착제의 층(8 및 9)으로 코팅된 지지부(7)에 의해 형성되고, 더 높은 직각 벗겨짐 힘을 갖는 접착제의 층(9)은 패널의 에지(23)와 협력하는 한편, 낮은 직각 벗겨짐 힘을 갖는 접착제의 층(8)은 제거가능한 보호 테이프(5)로 커버된다. 대칭적으로, 패널(2')은 초기에 에지(21') 상에서 연결 조인트의 부분(62)으로 사전 조립되고, 그 부분은 접착제의 층(8 및 9)으로 코팅된 지지부(7')에 의해 형성되고, 더 높은 직각 벗겨짐 힘을 갖는 접착제의 층(9)은 패널의 에지(21')와 협력하는 한편, 낮은 직각 벗겨짐 힘을 갖는 접착제의 층(8)은 제거가능한 보호 테이프(5)로 커버된다. 물론, 변형으로서, 연결 조인트의 하나의 부분(61 또는 62)만이 접착제의 층(8)을 포함하는 한편, 다른 부분(62 또는 61)이 접착제의 층(8)을 갖지 않는 다는 것이 인식가능하다. 글레이징 벽(1)의 장착은, 패널(2)의 에지(23)가 패널(2')의 에지(21')에 대향하고, 그런 후에 보호 테이프 또는 테이프들(5)이 에지(23 및 21')의 압력(F2)을 서로를 향해 가함으로써 도 3a의 화살표(F1)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제거되어, 접착제의 층 또는 층들(8)을 활성화하고, 그 면(7A 및 7'A) 상에 지지부(7 및 7')를 고정하는 방식으로 패널(2 및 2')을 위치시킴으로써 얻어진다.
도 4에 표시된 제 3 실시예는, 지지부(7 및 7')가 36.7N/cm의 직각 벗겨짐 힘을 갖는 아크릴 접착제의 층(9)에 의해 그 대향 면(7B 및 7'B) 상에서 함께 연결되는 한편, 지지부(7 및 7')의 면(7A 및 7'A) 각각이 패널의 에지와 협력하는, 7.0N/cm의 직각 벗겨짐 힘을 갖는 아크릴 접착제의 층(8)으로 코팅된다는 점에서 도 3의 제 2 실시예와 상이하다. 글레이징 분할부(1)의 장착된 상태에서, 지지부(7)의 외부 면(7A)에 의해 지탱된 접착제의 층(8)은 패널(2)의 에지(23)와 협력하고, 지지부(7')의 외부 면(7'A)에 의해 지탱된 접착제의 층(8)은 패널(2')의 에지(21')와 협력한다. 글레이징 벽(1)의 조립 동안 패널(2 및 2')의 고정은, 더 낮고 더 높은 직각 벗겨짐 힘을 갖는 접착제의 층(8 및 9)의 상이한 장소를 갖는 도 3a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이 제 3 실시예에 대해서 표시되지 않았다.
도 5에 표시된 제 4 실시예에서, 연결 조인트(6)는 팽이의 형태의 단면을 갖는 단일 지지부(7)와 내부 부피 공동(71)을 포함한다. 팽이의 2개의 오목한 부분들 사이에 중간 부분을 형성하는 지지부(7)의 외부 면은 7A 및 7B로 표시된다. 면(7A)은 7.0N/cm의 직각 벗겨짐 힘을 갖는 아크릴 접착제의 층(8)으로 코팅되는 한편, 면(7B)은 36.7N/cm의 직각 벗겨짐 힘을 갖는 아크릴 접착제의 층(9)으로 코팅된다. 글레이징 분할부(1)의 장착된 상태에서, 접착제의 층(8)은 패널(2)의 에지(23)와 협력하고, 접착제의 층(9)은 패널(2')의 에지(21')와 협력한다. 챔퍼링된 에지(23 및 21')에 상보적인 팽이 단면으로 인해, 연결 조인트(6)는 2개의 에지(23 및 21')의 표면과 완벽히 매칭되고, 패널(2 및 2') 사이의 전체 갭을 채운다. 유리하게, 연결 조인트는 패널(2 및 2')의 메인 면(22, 24 및 22', 24')과 동일 평면에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레이징 벽(1)의 조립 동안 패널(2 및 2')의 고정은 도 2a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수행된다.
도 6에 표시된 제 5 실시예에서, 연결 조인트(6)는 원형 단면을 갖는 단일 지지부(7) 및 2개의 내부 부피 공동(71)을 포함한다. 지지부(7)의 2개의 대각선으로 대향하는 외부 면은 7A 및 7B로 표시된다. 면(7A)은 7.0N/cm의 직각 벗겨짐 힘을 갖는 아크릴 접착제의 층(8)으로 코팅되는 한편, 면(7B)은 36.7N/cm의 직각 벗겨짐 힘을 갖는 아크릴 접착제의 층(9)으로 코팅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패널(2, 2')의 각 에지(23 및 21')는 각각 25 및 25'로 표시된 길이 방향 그루브를 구비하고, 이것은 지지부의 각 면(7A 및 7B)의 프로파일에 실질적으로 상보적인 볼록 단면을 갖는다. 각 그루브(25 및 25')는 길이 방향 에지(23, 21')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어, 에지(23, 21')의 2개의 나머지 표면 부분에 의해 어느 한 측부 상에 경계지어진다. 글레이징 분할부(1)의 장착된 상태에서, 지지부(7)는 면(7A) 상의 에지(23)의 그루브(25), 및 면(7B) 상의 에지(21')의 그루브(25')에 수용된다. 접착제의 층(8)은 패널(2)의 에지(23)에 형성된 그루브(25)와 협력하는 한편, 접착제의 층(9)은 패널(2')의 에지(21')에 형성된 그루브(25')와 협력한다.
도 6a는 글레이징 벽(1)의 조립 동안 패널(2 및 2')의 고정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2')은 초기에 에지(21')의 그루브(25')에 수용되는 연결 조인트(6)와 사전 조립되는 한편, 패널(2)은 에지(23) 상의 연결 조인트를 갖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글레이징 벽(1)의 패널(2, 2', 2" 등)은 모두 초기에 에지(21, 21', 22", 등) 상의 연결 조인트(6)와 사전 조립되고, 그 에지(23, 23', 23", 등) 상의 연결 조인트를 갖지 않는다. 각 패널(2, 2', 2", 등)에 대해, 더 높은 직각 벗겨짐 힘을 갖는 접착제의 층(9)은 패널의 에지(21, 21', 21", 등)에 형성된 그루브와 협력하는 한편, 낮은 직각 벗겨짐을 갖는 접착제의 층(8)은 제거가능한 보호 테이프(5)로 코팅되고, 다른 패널에 대한 연결을 위해 이용가능하다. 글레이징 벽(1)의 장착은, 연결 조인트(6)가 제공된 패널(2')의 에지(21')가 패널(2)의 자유 에지(23)에 대향하며, 보호 테이프(5)가 에지(23 및 21')의 압력(F2)을 서로를 향해 가함으로써 도 6a의 화살표(F1)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제거된 후에, 패널(2)의 에지(23)에 형성된 그루브(25)에 연결 조인트의 지지부(7)를 삽입하고 접착제의 층(8)을 활성화하는 방식으로 패널(2 및 2')을 위치시킴으로써 얻어진다.
도 7에 표시된 제 6 실시예에서, 연결 조인트(6)는 양쪽 모두가 동일한 반원형 또는 평철(planoconvex) 단면을 갖는 2개의 지지부(7 및 7')와, 각각 71 및 71'로 표시된 내부 부피 공동을 포함한다. 반원형 단면의 평면 측부를 형성하는 지지부(7)의 외부 면은 7A로 표시되고, 반원형 단면의 볼록 측부를 형성하는 지지부(7)의 외부 면은 7B로 표시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지지부(7')의 유사한 면은 7'A, 7'B로 표시된다. 지지부(7 및 7')는 서로에 대향하는 평면 면(7A 및 7'A)을 갖고, 7.0N/cm의 직각 벗겨짐 힘을 갖는 아크릴 접착제의 층(8)에 의해 그 평면 면 상에서 함께 연결된다. 지지부(7 및 7')의 볼록 면(7B 및 7'B) 각각은 36.7N/cm의 직각 벗겨짐 힘을 갖는 아크릴 접착제의 층(9)으로 코팅된다. 이전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패널(2, 2')의 에지(23 및 21') 각각은 각각 25 및 25'로 표시된 길이 방향 그루브를 구비하고, 이러한 길이 방향 그루브는 지지부(7 및 7')의 각각의 볼록 면(7B 및 7'B)의 프로파일에 실질적으로 상보적인 볼록 단면을 갖는다. 글레이징 분할부(1)의 장착된 상태에서, 지지부(7)는 면(7B) 상의 에지(23)의 그루브(25)에 수용되고, 지지부(7')는 면(7'B) 상의 에지(21')의 그루브(25')에 수용된다. 지지부(7)의 외부 면(7B)에 의해 지탱된 접착제의 층(9)은 패널(2)의 에지(23)에 형성된 그루브(25)와 협력하는 한편, 지지부(7')의 외부 면(7'B)에 의해 지탱된 접착제의 층(9)은 패널(2')의 에지(21')에 형성된 그루브(25')와 협력한다.
도 7a는 글레이징 벽(1)의 조립 동안 패널(2 및 2')의 고정을 도시한다. 패널(2)은 초기에 에지(23) 상에 연결 조인트의 부분(61)으로 사전 조립되고, 그 부분은 접착제의 층(8 및 9)으로 코팅된 지지부(7)에 의해 형성되고, 더 높은 직각 벗겨짐 힘을 갖는 접착제의 층(9)은 패널의 에지(23)와 협력하는 한편, 낮은 직각 벗겨짐 힘을 갖는 접착제의 층(8)은 제거가능한 보호 테이프(5)로 커버된다. 대칭적으로, 패널(2')은 초기에 에지(21') 상에 연결 조인트의 부분(62)으로 사전 조립되고, 그 부분은 접착제의 층(8 및 9)으로 코팅된 지지부(7')에 의해 형성되고, 더 높은 직각 벗겨짐 힘을 갖는 접착제의 층(9)은 패널의 에지(21')와 협력하는 한편, 낮은 직각 벗겨짐 힘을 갖는 접착제의 층(8)은 제거가능한 보호 테이프(5)로 커버된다. 물론, 변형으로서, 연결 조인트의 하나의 부분(61)만이 접착제의 층(8)을 포함하는 한편, 다른 부분(62 또는 61)은 접착제의 층(8)을 갖지 않는다. 글레이징 벽(1)의 장착은, 패널(2)의 에지(23)가 패널(2')의 에지(21')에 대향하고, 보호 테이프 또는 테이프들(5)이 에지(23 및 21')의 압력(F2)을 서로를 향해 가함으로써 도 7a의 화살표(F1)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제거되어, 접착제의 층 또는 층들(8)을 활성화하고, 그 면(7A 및 7'A) 상에 지지부(7 및 7')를 고정하는 방식으로 패널(2 및 2')을 위치시킴으로써 얻어진다.
도 8에 표시된 제 7 실시예는, 지지부(7 및 7')가 36.7N/cm의 직각 벗겨짐 힘을 갖는 아크릴 접착제의 층(9)에 의해 7B 및 7'B로 표시된 대향하는 평면 면 상에서 함께 연결되는 한편, 7A 및 7'A로 표시된 지지부(7 및 7')의 볼록 면 각각은 7.0N/cm의 직각 벗겨짐 힘을 갖는 아크릴 접착제의 층(8)으로 코팅된다는 점에서 도 7의 제 6 실시예와 상이하다. 글레이징 분할부(1)의 장착된 상태에서, 지지부(7)는 면(7A) 상의 에지(23)의 그루브(25)에 수용되고, 지지부(7')는 면(7'A) 상의 에지(21')의 그루브(25')에 수용된다. 지지부(7)의 외부 면(7A)에 의해 지탱된 접착제의 층(8)은 패널(2)의 에지(23)에 형성된 그루브(25)와 협력하는 한편, 지지부(7')의 외부 면(7'A)에 의해 지탱된 접착제의 층(8)은 패널(2')의 에지(21')에 형성된 그루브(25')와 협력한다. 글레이징 벽(1)의 조립 동안 패널(2 및 2')의 고정은, 더 낮고 더 높은 직각 벗겨짐 힘을 갖는 접착제의 층(8 및 9)의 상이한 장소를 갖는 도 7a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이 제 7 실시예에 대해서 표시되지 않았다.
도 9에 표시된 제 8 실시예에서,연결 조인트(6)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단일 지지부(7)와, 3개의 내부 부피 공동(71)을 포함한다. 직사각형 단면의 길이를 형성하는 지지부(7)의 2개의 외부 면 중 하나는 7B로 표시되고, 지지부(7)의 외부 면의 나머지에 의해 형성된 외부 면은 7A로 표시된다. 면(7B)은 36.7N/cm의 직각 벗겨짐 힘을 갖는 아크릴 접착제의 층(9)으로 코팅되는 한편, 면(7A)은 립의 형태인 융기부(83) 및 중공(81)의 세트에 의해 형성된 기계적 고정 수단(8)을 지탱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패널(2')의 에지(21')는 길이 방향 그루브(25')를 구비하고, 이러한 길이 방향 그루브는 그루브(25')의 길이 방향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는 면(7B)을 갖는 지지부(7)를 힘 설치하여 수용하도록 적응된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고정 수단(8) 및 그루브(25')는, 직각 분리력이 15N/cm 이하가 되는 방식으로 크기가 정해진다(dimensioned). 글레이징 분할부(1)의 장착된 상태에서, 접착제의 층(9)은 패널(2)의 에지(23)와 협력하고, 고정 수단(8)은 패널(2')의 에지(21')에 형성된 그루브(25')와 협력한다.
도 9a는 글레이징 벽(1)의 조립 동안 패널(2 및 2')의 고정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2')은 초기에 에지(21') 상의 연결 조인트(6)로 사전 조립되는 한편, 패널(2)은 에지(23) 상의 연결 조인트를 갖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글레이징 벽(1)의 패널(2, 2', 2", 등)은 모두 초기에 에지(21, 21', 21", 등) 상의 연결 조인트(6)로 사전 조립되고, 에지(23, 23', 23", 등) 상의 연결 조인트를 갖지 않는다. 각 패널(2, 2', 2", 등)에 대해, 고정 수단(8)은 패널의 에지(21, 21', 21", 등)에 형성된 그루브와 협력하는 한편, 접착제의 층(9)은 제거가능한 보호 테이프(5)로 커버되고, 다른 패널과의 연결을 위해 이용가능하다. 글레이징 벽(1)의 장착은, 연결 조인트(6)가 제공된 패널(2')의 에지(21')가 패널(2)의 자유 에지(23)에 대향하고, 보호 테이프(5)가 에지(23 및 21')의 압력(F2)을 서로를 향해 가함으로써 도 9a의 화살표(F1)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제거된 후에, 접착제의 층(9)을 활성화하는 방식으로 패널(2 및 2')을 위치시킴으로써 얻어진다.
도 10에 표시된 제 9 실시예에서, 연결 조인트(2)는 2개의 지지부(7 및 7')를 포함하고, 이들 2개의 지지부는 모두 동일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단면과 3개의 내부 부피 공동을 갖고, 이들 각각은 지지부(7)에 대해 71로 표시되고, 지지부(7')에 대해 71'로 표시된다. 직사각형 단면의 길이를 형성하는 지지부(7)의 2개의 외부 면 중 하나는 7B로 표시되고, 지지부(7)의 외부 표면의 나머지에 의해 형성된 외부 면은 7A로 표시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지지부(7')의 유사한 면은 7'B 및 7'A로 표시된다. 지지부(7 및 7')는 서로 대향하는 면(7B 및 7'B)을 갖고, 36.7N/cm의 직각 벗겨짐 힘을 갖는 아크릴 접착제의 층(9)에 의해 이들 면 상에서 함께 연결된다. 지지부(7 및 7')의 면(7A 및 7'A) 각각은 립의 형태인 융기부(83) 및 중공(81)의 세트에 의해 형성된 기계적 고정 수단(8)을 지탱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패널(2, 2')의 각 에지(23 및 21')는 각각 25 및 25'로 표시된 길이 방향 그루브를 구비한다. 그루브(25)는 그루브(25)의 길이 방향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는 면(7B)을 갖는 지지부(7)를 힘 설치하여 수용하도록 적응된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고정 수단(8) 및 그루브(25)는, 직사각형 힘이 15N/cm 이하인 방식으로 크기가 정해진다. 유사하게, 그루브(25')는 그루브(25')의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는 면(7'B)을 갖는 지지부(7')를 힘 설치하여 수용하도록 적응된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고정 수단(8) 및 그루브(25')는, 직각 분리력이 15N/cm 이하가 되는 방식으로 크기가 정해진다. 글레이징 분할부(1)의 장착된 상태에서, 지지부(7)는 패널(2)의 에지(23)에 형성된 그루브(25)에 수용되는 한편, 지지부(7')는 패널(2')의 에지(21')에 형성된 그루브(25')에 수용되어, 고정 수단(8)은 그루브(25')와 협력한다.
도 10a는 글레이징 벽(1)의 조립 동안 패널(2 및 2')의 고정을 도시한다. 패널(2)은 초기에 에지(23) 상에서 연결 조인트의 부분(61)으로 사전 조립되고, 그 부분은 면(7A) 상의 고정 수단과 면(7B) 상의 접착제의 층(9)을 포함하는 지지부(7)에 의해 형성되고, 그 층은 제거가능한 보호 테이프(5)로 커버된다. 대칭적으로, 패널(2')은 초기에 에지(21') 상에서 연결 조인트의 부분(62)으로 사전 조립되고, 그 부분은 면(7A) 상의 고정 수단(8)과, 면(7B) 상의 접착제의 층(9)을 포함하는 지지부(7')에 의해 형성되고, 그 층은 제거가능한 보호 테이프(5)로 커버된다. 물론, 변형으로서, 연결 조인트의 하나의 부분(61 또는 62)만이 접착제의 층(9)을 포함하는 한편, 다른 부분(62 또는 61)이 접착제의 층(9)을 갖지 않는다는 것이 인식가능하다. 글레이징 벽(1)의 장착은, 패널(2)의 에지(23)가 패널(2')의 에지(21')에 대향하고, 보호 테이프 또는 테이프들(5)이 에지(23 및 21')의 압력(F2)을 서로를 향해 가함으로써 도 10a의 화살표(F1)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제거되어, 접착제의 층 또는 층들(8)을 활성화하고, 면(7B 및 7'B) 상에 지지부(7 및 7')를 고정하는 방식으로 패널(2 및 2')을 위치시킴으로써 얻어진다.
도 11에 표시된 제 10 실시예에서, 연결 조인트(6)는 2개의 지지부(7 및 7')를 포함하고, 이들 지지부 모두는 동일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단면과, 복수의 미세 공동(71, 71')을 포함하는 폼형 구조를 갖는다. 직사각형 단면의 길이를 형성하는 지지부(7)의 2개의 외부 면은 7A 및 7B로 표시되고, 지지부(7')의 2개의 유사한 면은 7'A 및 7'B로 표시된다. 지지부(7 및 7')는 서로 대향하는 면(7A 및 7'A)을 갖고, 노치형(notched type)의 기계적 고정 수단에 의해 이들 면에서 함께 연결된다. 더 엄밀하게, 지지부(7)의 면(7a)은 중공(81) 및 융기부(83)의 세트를 지탱하고, 이것은 지지부(7')의 면(7'A)의 중공(81) 및 융기부(83)의 세트와 상보적인 형태에 의해 협력할 수 있다. 고정 수단(8)의 직각 분리력은 15N/cm 이하이다. 그 부분에 대해, 지지부(7 및 7')의 면(7B 및 7'B) 각각은 36.7N/cm의 직각 벗겨짐 힘을 갖는 아크릴 접착제의 층(9)으로 코팅된다. 글레이징 분할부(1)의 장착된 상태에서, 지지부(7)의 외부 면(7B)에 의해 지탱된 접착제의 층(9)은 패널(2)의 에지(23)와 협력하고, 지지부(7')의 외부 면(7'B)에 의해 지탱된 접착제의 층(9)은 패널(2')의 에지(21')와 협력한다.
도 12에 표시된 제 11 실시예에서, 연결 조인트(6)는 복수의 미세 공동(71)을 포함하는 폼형 구조를 갖는 단일 지지부(7)를 포함한다. 지지부(7)는 십자가-형태의 단면을 갖고, 이 중 2개의 대향하는 분기(72)는 패널(2, 2') 사이의 스페이서로서 사용되도록 의도된다. 십자가-형태의 단면의 다른 2개의 분기 각각에서 지지부(7)의 외부 면은 각각 7A, 7B로 표시된다. 면(7A)은 중공(81) 및 융기부(83)의 세트에 의해 형성된 제 1 기계적 고정 수단(8)을 포함하고, 면(7B)은 중공(91) 및 융기부(93)의 세트에 의해 형성된 제 2 기계적 고정 수단(9)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패널(2, 2')의 각 에지(23 및 21')는 각각 25 및 25'로 표시된 길이 방향 그루브를 구비한다. 그루브(25)는 제 1 고정 수단(8)을 지탱하는 지지부(7)의 면(7A)을 힘 설치하여 수용하도록 적응된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제 1 고정 수단(8) 및 그루브(25)는, 직각 분리력이 15N/cm 이하가 되는 방식으로 크기가 결정된다. 유사하게, 그루브(25')는 제 2 고정 수단(9)을 지탱하는 지지부(7)의 면(7B)을 힘 설치하여 수용하도록 적응된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제 2 고정 수단(9)alc 그루브(25')는, 직각 분리력이 30N/cm 이상이 되는 방식으로 크기가 결정된다. 글레이징 분할부(1)의 장착된 상태에서, 지지부(7)는 패널(2)의 그루브(25) 및 패널(2')의 그루브(25') 모두에 수용되어, 제 1 고정 수단(8)은 그루브(25')와 협력하고, 제 2 고정 수단(9)은 그루브(25')와 협력한다.
도 13에 표시된 제 12 실시예에서, 연결 조인트(6)는 2개의 지지부를 포함하고, 이들 지지부 모두는 실질적으로 사변형 단면을 갖고, 각각 지지부(7)에 대해 71로 표시되고 지지부(7')에 대해 71'로 표시되는 3개의 부피 공동을 갖는다. 사변형 단면의 한 변 근처에서의 지지부(7)의 외부 면은 7A로 표시되고, 지지부(7)의 외부 표면의 나머지에 의해 형성된 외부 면은 7B로 표시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지지부(7')의 유사한 면은 7'B, 7'A로 표시된다. 지지부(7 및 7')는 서로 대향하는 면(7A 및 7'A)을 갖고, 기계적 고정 수단(8)에 의해 이들 면 상에서 함께 연결된다. 더 엄밀하게는, 지지부(7)의 면(7A)은 지지부(7')의 면(7'A)의 융기부(83)와 상보적인 형태에 의해 협력할 수 있는 중공(81)을 지탱한다. 고정 수단(8)의 직각 분리력은 15N/cm 이하이다. 지지부(7 및 7')의 면(7B 및 7'B) 각각은 립의 형태인 융기부(93) 및 중공(91)의 세트에 의해 형성된 기계적 고정 수단(9)을 지탱한다. 이러한 실시예서, 패널(2, 2')의 각 에지(23 및 21')는 각각 25 및 25'로 표시된 길이 방향 그루브를 구비한다. 그루브(25)는 그루브(25)의 길이 방향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는 면(7A)을 갖는 지지부(7)를 힘 설치하여 수용하도록 적응된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고정 수단(9) 및 그루브(25)는, 직각 분리력이 30N/cm 이상이 되는 방식으로 크기가 정해진다. 유사하게, 그루브(25')는 지지부(7')를 힘 설치하여 수용하도록 적응된 직사각형 단면을 갖고, 그 면(7'A)은 그루브(25')의 길이 방향 개구부를 통해 노출된다. 고정 수단(9) 및 그루브(25')는, 직각 분리력이 30N/cm 이상이 되는 방식으로 크기가 정해진다. 글레이징 분할부(1)의 장착된 상태에서, 지지부(7)는 패널(2)의 에지(23)에 형성된 그루브(25)에 수용되어, 고정 수단(9)은 그루브(25)와 협력하는 한편, 지지부(7')는 패널(2')의 에지(21')에 형성된 그루브(25')에 수용되어, 그 고정 수단(9)은 그루브(25')와 협력한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조인트(6)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 및 툴의 예를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 유리 패널(2)은 흡입기(suckers)(200)를 포함하는 그리핑(gripping) 디바이스에 의해 수직으로 유지된다. 표시된 예에서, 연결 조인트(6)는 패널의 에지(21) 상에 위치된다. 연결 조인트(6)는 초기에 패널의 에지(21) 위에 위치된 스풀(202) 주위에서 자체적으로 감겨진다. 스풀(202)은 섀시(204)에 고정되고, 이러한 섀시는 또한 예를 들어, 수동으로 작동됨으로써 패널의 에지(21)를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의도된 요소(205)를 지탱한다. 요소(205)의 슬라이딩의 자동적인 작동 수단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요소(205)는 패널의 에지(21)에 대향하여 연결 조인트(6)를 위치시키기 위한 롤러(206)의 2개의 쌍을 포함하고, 제 1 고정 수단 및 제 2 고정 수단으로부터 하나는 에지(21)를 향하고, 이들 롤러(206)는 에지(21)에 대해 연결 조인트(6)의 안내 및 중심화(centering)를 보장한다. 요소(205)는 또한 에지(21)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 방향으로 패널의 에지(21)에 대해 연결 조인트(6)를 프레스하기 위해 힘(F)을 가하기 위한 롤러(208)를 포함한다. 스풀(202), 섀시(204) 및 요소(205)를 포함하는 조립체는 이동가능하고, 도 17의 화살표(V)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2)을 따라 변위되도록 의도되어, 패널의 에지(21)를 따라 요소(205)가 슬라이딩하도록 하여, 에지(21)를 따라 연결 조인트(6)를 점진적으로 가하게 한다. 변위(V) 도중에, 연결 조인트(6)는 스풀(202)로부터 감겨지지 않는다. 롤러(208)는 에지(21)에 대향하여 방금 감겨지지 않은 연결 조인트(6)의 세그먼트 상에 국부적으로 힘(F)을 가하고, 이러한 힘(F)은 변위(V) 동안 일정하게 유지된다.
에지(21)와 협력하도록 의도되는 연결 조인트(6)의 고정 수단이 제거가능한 보호 테이프(선형)에 의해 초기에 보호된 접착제의 층일 때, 설치는 또한 보호 테이프를 제거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이러한 제거 디바이스(미도시)는 스풀(202)과 요소(205) 사이의 연결 조인트(6) 상에서 작용한다.
본 발명은 기재되고 표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패널(2, 2', 2", 등)은 직사각형이 아닌 임의의 형태, 및 템퍼링된 유리의 모노리식 창유리 이외의 임의의 유형일 수 있다. 특히, 유리는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강성 폴리머로 대체될 수 있다. 각 패널은 또한 유리 또는 강성 폴리머로 만들어진 복수의 기판을 포함하는 적층되거나 자웅 글레이징일 수 있다. WO01/79644 A1 및 WO 03/040507 A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폴리비닐 부티랄(PVB)에 기초한 폴리머 적층 삽입물에 의해 조립된 적어도 2개의 기판을 각각 포함하는 적층된 글레이징 사이, 또는 가스 층에 의해 분리되고 평평한 스트립에 의해 그 에지 상에서 조립된 적어도 2개의 기판을 각각 포함하는 다중 글레이징 사이의 연결을 위해, 평평한 스트립의 적층 삽입물을 중첩시키면서, 연결 조인트가 글레이징의 단일 기판의 에지 또는 글레이징의 복수의 기판의 에지와 협력하기 위한 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패널은 투명하고, 반투명하거나 불투명할 수 있다.
더욱이, 연결 조인트는 패널의 에지(21, 23, 21', 23', 등) 뿐 아니라 또한 메인 면(22, 24, 22', 24', 등)과 협력할 수 있다. 특히, 연결 조인트는 T-형태 또는 L-형태의 구성을 생성하도록 제 1 패널의 하나의 에지 및 제 2 패널의 하나의 메인 면과 협력할 수 있다. 더 일반적으로, 연결 조인트는 글레이징 벽의 임의의 원하는 기하학적 구조(geometry)를 생성하도록 패널 사이의 각진 연결을 보장할 수 있다.
더욱이, 연결 조인트의 각 지지부는 패널의 면과의 협력을 위해 적응되는, 전술한 것 이외의 임의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가 무엇이든지 간에, 연결 조인트의 각 지지부는 또한 동일하게 부피 공동 또는 복수의 미세 공동을 잘 포함할 수 있다.

Claims (23)

  1. 글레이징 벽(1)의 제 1 패널(2)과 제 2 패널(2') 사이의 연결 조인트(6)로서, 상기 연결 조인트(6)는 각 패널(2, 2')의 면(23, 21')과 협력하도록 적응되고,
    - 제 1 외부 면(7A, 7'A) 및 제 2 외부 면(7B, 7'B)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7, 7')와,
    - 지지부의 제 1 외부 면(7A, 7'A) 상에 배치된 제 1 고정 수단(8)과,
    - 지지부의 제 2 외부 면(7B, 7'B) 상에 배치된 제 2 고정 수단(9)을
    포함하는, 연결 조인트(6)에 있어서,
    이동 죠(mobile jaw)의 100 mm/min 변위 속도로 이동-죠 인장력 테스트 기계를 통해 유리 패널 상에서 측정된, 제 1 고정 수단(8)의 직각 분리력(right-angle separation force)은 3 내지 20N/cm, 바람직하게 3 내지 15N/cm에 있는 한편, 이동 죠의 100 mm/min 변위 속도로 이동-죠 인장력 테스트 기계를 통해 유리 패널 상에서 측정된, 제 2 고정 수단(9)의 직각 분리력은 30N/c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조인트.
  2. 제 1항에 있어서, 제 1 고정 수단은 지지부(7, 7')의 제 1 외부 면(7A, 7'A) 상에 배치된 제 1 접착제의 층(8)이고, 제 2 고정 수단은 지지부(7, 7')의 제 2 외부 면(7B, 7'B) 상에 배치된 제 2 접착제의 층(9)이고, 이동 죠의 100 mm/min 변위 속도로 이동-죠 인장력 테스트 기계를 통해 유리 패널 상에서 측정된, 제 1 접착제의 층(8)의 직각 벗겨짐 힘(right-angle peeling force)은 3 내지 20N/cm, 바람직하게 3 내지 15N/cm인 한편, 이동 죠의 100 mm/min 변위 속도로 이동-죠 인장력 테스트 기계를 통해 유리 패널 상에서 측정된, 제 2 접착제의 층(9)의 직각 벗겨짐 힘은 30N/c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조인트.
  3. 제 1항에 있어서, 제 1 고정 수단은 지지부(7, 7')의 제 1 외부 면(7A, 7'A)에 의해 지탱되고 패널(2, 2')의 양각 패턴(25, 25')과 상보적인 형태에 의해 협력할 수 있는 기계적 고정 수단(8)이고, 제 2 고정 수단은 지지부(7, 7')의 제 2 외부 면(7B, 7'B) 상에 배치된 제 2 접착제의 층(9)이고, 이동 죠의 100 mm/min 변위 속도로 이동-죠 인장력 테스트 기계를 통해 유리 패널 상에서 측정된, 기계적 고정 수단(8)의 직각 분리력은 3 내지 20N/cm, 바람직하게 3 내지 15N/cm인 한편, 이동 죠의 100 mm/min 변위 속도로 이동-죠 인장력 테스트 기계를 통해 유리 패널 상에서 측정된, 접착제의 층(9)의 직각 분리력은 30N/c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조인트.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고정 수단(8) 및 제 2 고정 수단(9)은 지지부(7, 7')의 대응하는 외부 면(7A, 7'A, 7B, 7'B)에 의해 지탱된 중공(들)(81, 91) 및 융기부(들)(83, 93)의 세트를 포함하는 기계적 고정 수단이어서, 지지부(7, 7')는 패널(2, 2')의 그루브(25, 25')에서의 힘 설치하여(force fit) 수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조인트.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일 지지부(7)를 포함하고, 지지부의 제 1 외부 면(7A) 상에 배치된 제 1 고정 수단(8)은 제 1 패널(2)의 면(23)과 협력하도록 의도되는 한편, 지지부의 제 2 외부 면(7B) 상에 배치된 제 2 고정 수단(9)은 제 2 패널(2')의 면(21')과 협력하도록 의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조인트.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지지부(7) 및 제 2 지지부(7')를 포함하고, 제 1 지지부(7) 및 제 2 지지부(7')는 서로를 향하는 제 1 외부 면(7A, 7'A)을 갖고, 제 1 고정 수단(8)에 의해 함께 연결되고, 제 1 지지부(7)의 제 2 외부 면(7B) 상에 배치된 제 2 고정 수단(9)은 제 1 패널(2)의 면(23)과 협력하도록 의도되는 한편, 제 2 지지부(7')의 제 2 외부 면(7'B) 상에 배치된 제 2 고정 수단(9)은 제 2 패널(2')의 면(21')과 협력하도록 의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조인트.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지지부(7) 및 제 2 지지부(7')를 포함하고, 제 1 지지부(7) 및 제 2 지지부(7')는 서로를 향하는 제 2 외부 면(7A, 7'A)을 갖고, 제 2 고정 수단(9)에 의해 함께 연결되고, 제 1 지지부(7)의 제 1 외부 면(7A) 상에 배치된 제 1 고정 수단(8)은 제 1 패널(2)의 면(23)과 협력하도록 의도되는 한편, 제 2 지지부(7')의 제 1 외부 면(7'A) 상에 배치된 제 1 고정 수단(8)은 제 2 패널(2')의 면(21')과 협력하도록 의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조인트.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부(7, 7') 또는 각 지지부(7, 7')는 열가소성 폴리머, 특히 열가소성 탄성중합체(TPE)로 만들어진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조인트.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부(7, 7') 또는 각 지지부(7, 7')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공동(71, 7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조인트.
  10. 제 9항에 있어서, 지지부(7, 7') 또는 각 지지부(7, 7')는 복수의 미세 공동(71, 71')을 포함하는 폴리머 폼(foam)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조인트.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부(7, 7') 또는 각 지지부(7, 7')는 사변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조인트.
  12.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부(7, 7') 또는 각 지지부(7, 7')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볼록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조인트.
  13.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부(7, 7') 또는 각 지지부(7, 7')는 팽이(diabolo)의 형태인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조인트.
  14. 제 1 패널(2) 및 제 2 패널(2')을 포함하는 글레이징 벽(1)으로서,
    각 패널(2, 2')의 면(23, 21')과 협력하는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연결 조인트(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레이징 벽.
  15. 제 14항에 있어서, 연결 조인트(6)는 패널(2, 2')의 에지(23, 21') 사이의 갭을 채우고, 패널의 메인 면(22, 24, 22, 24')과 동일 평면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레이징 벽.
  16. 제 14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각 패널(2, 2')에 대해, 패널의 기판 또는 각 기판은 유리 또는 강성 폴리머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레이징 벽.
  17. 제 14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패널(2, 2') 중 적어도 하나는 연결 조인트(6)의 지지부(7, 7')의 부분의 단면과 실질적으로 상보적인 단면을 갖는 그루브(25, 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레이징 벽.
  18. 제 14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조인트(6)의 제 1 고정 수단(8) 및 제 2 고정 수단(9)은 기계적 고정 수단이고, 패널(2, 2') 중 하나는 내부 부피에 힘 설치된 기계적 고정 수단을 수용하도록 적응되는 그루브(25, 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레이징 벽.
  19. 면(23, 21') 중 적어도 하나 상에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연결 조인트(6, 61, 62)를 포함하는, 특히 유리로 만들어진 패널(2, 2')로서,
    제 1 고정 수단(8) 및 제 2 고정 수단(9) 중 하나는 패널(2, 2')의 면(23, 21')과 협력하는 한편, 제 1 고정 수단(8) 및 제 2 고정 수단(9) 중 다른 하나는 다른 패널과의 연결을 위해 이용가능한, 패널.
  20. 제 19항에 기재된 적어도 2개의 패널(2, 2')을 포함하는 글레이징 벽(1)을 장착하는 방법으로서,
    - 제 1 패널의 연결 조인트(6)가 제공된 면(3, 21')이 제 2 패널(2, 2')의 대응하는 면(21', 23)을 향하게 하는 방식으로 패널(2, 2')이 위치되는 단계와;
    - 이용가능한 고정 수단(8, 9) 또는 각 이용가능한 고정 수단(8, 9)을 활성화하도록 패널의 면(23, 21')의 압력(F2)을 서로를 향해 가함으로써 2개의 패널(2, 2')이 고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레이징 벽을 장착하는 방법.
  21. 패널(2, 2')의 면(23, 21') 상에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연결 조인트(6, 61, 62)를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연결 조인트는 패널의 면에 대향하여 위치되고, 제 1 고정 수단(8)과 제 2 고정 수단(9) 중 하나는 패널의 상기 면을 향하고, 패널의 상기 면을 향하는 고정 수단을 활성화하도록 패널의 면의 횡방향으로 패널의 면에 대해 연결 조인트를 프레스하기 위해 힘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조인트를 설치하는 방법.
  22. 패널(2, 2')의 면(23, 21') 상에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연결 조인트(6, 61, 62)를 설치하는 툴(tool)로서,
    패널의 면에 대향하여 연결 조인트를 위치시키는 수단으로서, 제 1 고정 수단(8)과 제 2 고정 수단(9) 중 하나는 패널의 상기 면(23, 21')을 향하는, 연결 조인트를 위치시키는 수단과,
    패널의 면의 횡방향으로 패널의 면에 대해 연결 조인트를 프레스하기 위해 힘을 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조인트를 설치하는 툴.
  23. 제 22항에 있어서, 위치시키는 수단은 패널의 면에 대향하는 연결 조인트를 점진적으로 푸는(unrolling) 이동 수단이고, 압력을 가하는 수단은 위치시키는 수단에 운동학적으로 링크되고, 이들이 패널의 면에 대향하여 방금 풀렸을 때 연결 조인트의 연속적인 세그먼트 상에 일정한 힘을 가하기 위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조인트를 설치하는 툴.
KR1020147034019A 2012-06-04 2013-05-29 글레이징 벽을 위한 연결 조인트, 및 글레이징 벽 KR1021203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255176 2012-06-04
FR1255176A FR2991370B1 (fr) 2012-06-04 2012-06-04 Joint de liaison pour paroi vitree et paroi vitree
PCT/FR2013/000136 WO2013182760A1 (fr) 2012-06-04 2013-05-29 Joint de liaison pour paroi vitrée et paroi vitré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539A true KR20150016539A (ko) 2015-02-12
KR102120352B1 KR102120352B1 (ko) 2020-06-08

Family

ID=46826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4019A KR102120352B1 (ko) 2012-06-04 2013-05-29 글레이징 벽을 위한 연결 조인트, 및 글레이징 벽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410357B2 (ko)
EP (1) EP2855814B1 (ko)
JP (1) JP6240175B2 (ko)
KR (1) KR102120352B1 (ko)
CN (1) CN104583522B (ko)
FR (1) FR2991370B1 (ko)
PL (1) PL2855814T3 (ko)
TR (1) TR201807302T4 (ko)
WO (1) WO20131827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44838B1 (fr) 2015-09-03 2020-02-12 AGC Glass Europe Porte de meuble d'enceinte réfrigérée
EP3344839B1 (fr) * 2015-09-04 2019-08-07 AGC Glass Europe Baie vitrée super isolante
WO2017098528A1 (en) * 2015-12-10 2017-06-15 Saint-Gobain Glass France Method of installing glass panel
DE202016101223U1 (de) * 2016-03-07 2017-06-08 Holzbau Schmid Gmbh & Co. Kg Einrichtung zum Schließen einer Öffnung für Brandschutzzwecke
TR201820804A2 (tr) * 2018-12-27 2019-02-21 Femas Metal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Davlumbaz cam veya kapak bağlantı mekanizmas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3938B1 (en) * 1998-03-24 2001-07-24 Scm Group S.P.A. Panel edge banding device
JP2002508432A (ja) * 1997-12-12 2002-03-19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取外し可能な接着テープ積層体および分離可能なファスナー
JP2006028809A (ja) * 2004-07-13 2006-02-02 Central Glass Co Ltd 移動式間仕切り壁
JP2009520895A (ja) * 2005-12-23 2009-05-28 サン−ゴバン グラス フランス ガラス壁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49498C (da) * 1983-04-07 1986-12-01 Inter Ikea As Beklaedning af braedder til f.eks. gulve eller paneler
US4895746A (en) * 1989-03-01 1990-01-2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tack of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ated sheets
US5694730A (en) * 1996-10-25 1997-12-09 Noranda Inc. Spline for joining boards
AT405560B (de) * 1997-06-18 1999-09-27 Kaindl M Anordnung mit bauteilen und bauteile
FR2807783B1 (fr) 2000-04-13 2002-12-20 Saint Gobain Vitrage Vitrage isolant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FR2830897B1 (fr) 2001-10-17 2006-11-17 Saint Gobain Vitrage isolant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DE10233731A1 (de) * 2002-07-24 2004-04-08 M. Kaindl Anordnung von Bauteilen mit Verbindungselementen
GB0225372D0 (en) * 2002-10-31 2002-12-11 City Glass London Ltd Glazing joint
DE10317790A1 (de) * 2003-04-16 2004-11-04 Tesa Ag Doppelseitiges Klebeband, insbesondere auch für das wiederablösbare Verkleben von flexiblen CDs auf gekrümmten Oberflächen
DE102004006327B4 (de) * 2004-02-10 2009-12-31 Promat Gmbh Glaswand
DE202005001118U1 (de) * 2005-01-25 2005-03-31 Schmid Holzbau Gmbh & Co Kg Glasschiebewand
GB2432617B (en) * 2005-11-22 2010-06-16 Komfort Office Environments Plc A gasket
DE102006010699A1 (de) * 2006-03-08 2007-09-20 Schott Ag Brandschutzverglasung
KR100853038B1 (ko) * 2007-02-15 2008-08-19 임태형 글라스 월 가스켓
US8043460B2 (en) * 2007-04-20 2011-10-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Reversible dry adhesives
EP2014734A1 (de) * 2007-07-12 2009-01-14 Peter Georg Berger Klebeband
DE102010038429A1 (de) * 2010-07-26 2012-01-26 Tesa Se Haftklebrige Dichtung
GB2515515B (en) * 2013-06-26 2019-12-04 Fusion Partitions Ltd Joint uni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8432A (ja) * 1997-12-12 2002-03-19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カンパニー 取外し可能な接着テープ積層体および分離可能なファスナー
US6263938B1 (en) * 1998-03-24 2001-07-24 Scm Group S.P.A. Panel edge banding device
JP2006028809A (ja) * 2004-07-13 2006-02-02 Central Glass Co Ltd 移動式間仕切り壁
JP2009520895A (ja) * 2005-12-23 2009-05-28 サン−ゴバン グラス フランス ガラス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524029A (ja) 2015-08-20
PL2855814T3 (pl) 2018-08-31
CN104583522B (zh) 2018-09-07
KR102120352B1 (ko) 2020-06-08
JP6240175B2 (ja) 2017-11-29
EP2855814A1 (fr) 2015-04-08
TR201807302T4 (tr) 2018-06-21
US9410357B2 (en) 2016-08-09
FR2991370B1 (fr) 2014-05-16
FR2991370A1 (fr) 2013-12-06
WO2013182760A1 (fr) 2013-12-12
EP2855814B1 (fr) 2018-04-04
US20150135627A1 (en) 2015-05-21
CN104583522A (zh) 2015-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16539A (ko) 글레이징 벽을 위한 연결 조인트, 및 글레이징 벽
US9663946B2 (en) Curtain wall mullions, transoms and systems
US9212482B2 (en) Curtain wall mullions, transoms and systems
MXPA04004777A (es) Metodo para encristalar un bastidor de marco de ventana aislada.
KR20170005081A (ko) 패널 시스템 및 방법
EP3669041B1 (en) Doors comprising glazed uni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A2526134A1 (en) Door, method of making the door and panel component made therefrom
JP6737888B2 (ja) ペイン及び少なくとも1つのリフトレールを有している装置、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使用
EP3371387A1 (en) Curtain wall mullions, transoms and systems
CA2741229C (en) Sealant joint backer support
EP2450517A1 (en) Door and window system consisting of thermally-insulated aluminium profiles with concealed glazing bead, gasket of which is on thereof
CA2950781C (en) Curtain wall mullions, transoms and systems
EP3314065B1 (en) Curtain wall mullions, transoms and systems
CN220353297U (zh) 地板面板样品模块
CN210885824U (zh) 一种易洁淋浴房用钢化玻璃
CN215166876U (zh) 一种防火玻璃隔断墙
GB2546068A (en) Perimeter glazing insert
GB2500004A (en) Sealing strip assembly
AU2013207654A1 (en) Method of manufacture of transparent support
KR20220153882A (ko) 접착형 보양재
SE0701882L (sv) Platta samt metod för ytbehandling av platta av pressat fibermaterial
GB2516063A (en) A fascia system
KR20080073182A (ko) 연성소재의 유리 단면 접합 방법 및 연성소재 단면접합유리
IE20030948A1 (en) Building industry membrane, and building
CA2419186A1 (en) Trimming accessories,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trimming surfa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