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2397A - 패류 양식용 상자 - Google Patents

패류 양식용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2397A
KR20150012397A KR1020130087857A KR20130087857A KR20150012397A KR 20150012397 A KR20150012397 A KR 20150012397A KR 1020130087857 A KR1020130087857 A KR 1020130087857A KR 20130087857 A KR20130087857 A KR 20130087857A KR 20150012397 A KR20150012397 A KR 20150012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fish
main body
abalone
open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7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8500B1 (ko
Inventor
정용운
Original Assignee
정용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용운 filed Critical 정용운
Priority to KR1020130087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8500B1/ko
Publication of KR20150012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2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8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8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3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ponges, sea urchins or sea cucumb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복, 해삼, 가리비 등 각종 패류를 넣어 양식하기 위한 패류 양식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각형의 상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로 개방 가능하고, 내부에 다량의 패류가 부착되어 서식하기 위한 다수의 부착파판이 설치되며, 측벽에는 내부로 먹이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와 그 투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문이 설치된 패류 양식용 상자 다수개가 연속하여 적층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개폐문이 상호 연동하여 개폐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복 치패 등 패류의 먹이 공급이 용이하고, 유지·관리가 편리하여 보다 향상된 전복의 양식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패류 양식용 상자가 다수개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전복 등의 패류 성장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어민들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패류 양식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양식용 상자는, 상부가 개구된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바닥과 측벽으로 이루어진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 개구를 막도록 결합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의 바닥과 상기 덮개부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는 일측에 먹이를 공급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문이 설치되고 상기 내부공간에는 패류가 부착되기 위한 다수의 부착파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패류 양식용 상자{CASE FOR ABALONE FARMING}
본 발명은 전복, 해삼, 가리비 등 각종 패류를 넣어 양식하기 위한 패류 양식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각형의 상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로 개방 가능하고, 내부에 다량의 패류가 부착되어 서식하기 위한 다수의 부착파판이 설치되며, 측벽에는 내부로 먹이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와 그 투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문이 설치된 패류 양식용 상자 다수개가 연속하여 적층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개폐문이 상호 연동하여 개폐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복 치패 등 패류의 먹이 공급이 용이하고, 유지·관리가 편리하여 보다 향상된 전복의 양식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패류 양식용 상자가 다수개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전복 등의 패류 성장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어민들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패류 양식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패류 가두리형 양식장은 현재까지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보통의 양식장 구조는 사각틀 형태로 이루어지는 평판체 모습의 프레임을 낱개적 또는 평면상에서 상하, 좌우 방향으로 수개의 프레임들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집단적으로 배치시키고 이 프레임들 각각에 독립된 보호망을 현수시킨 후 양식장소 즉, 해상 또는 담수지의 수상에서 부상시켜 어/패류나 해초류 등을 양식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양식이 이루어지는 패류는 조개와 전복 그리고 굴 등의 쌍패류와 소라와 고동 등 권패류로 나뉘어지며 매우 다양한 종이 바다에 서식하고 있다.
특히 전복은 어민들의 큰 소득자원이 될 뿐만 아니라 해외로 수출되어 소득증대의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복의 종류는 현재 전세계적으로 약 100여종 이상이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 연안에는 참전복(Haliotis discus hannai)을 비롯하여 말전복, 까막전복, 시볼트전복, 오분자기 및, 마대오분자기 등이 분포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참전복은 동해안, 서해안, 남해안에서 서식하는 중요한 양식대상종으로써 1976년부터 본격적인 인공 종묘생산이 실시된 이후, 해마다 생산량이 증가되어 1995년에는 2,000만 마리 이상의 종묘가 생산, 방류되거나 양식용으로 공급되어 오고 있다.
주지하다시피 상기 전복은 새로운 고부가가치 어종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지자체 이후 각 자치단체에서는 연안자원의 조성사업 일환으로 선호하는 대상 생물 중 부가가치가 큰 전복이 인기 어종으로 많이 선호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기존의 어린 치패를 방류하는 경우 생존률이 매우 낮기 때문에 어린 치패를 어느 정도 성장시킨 후에 방류함으로써 그 생존율을 높여줄 수 있고, 이에 따라 어린 치패를 중간 양성시키는 업체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전복 종묘를 바다에 방류해 수확하는 것보다 채롱이나 수조에서 고밀도로 양식하는 것이 성장이 빠르고 생존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최근에는 육상 전복양식장도 계속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전복 종묘생산의 대량생산 시스템이나 사육 시설물의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실험없이 시설기구를 사용하여 전복양식을 하고 있기 때문에 생산량을 저하시키거나 전복의 사육환경을 악화시키는 경우가 있고, 이에 따라 전복의 성장장애 요인이 발생하여 생산률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전복의 상태를 나쁘게 하여 커다란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상기와 같은 패단을 막기 위해 전복의 양식을 위한 쉘터가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는 바, 상기 쉘터의 종래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하게 접혀져 상하방향으로 연속되게 접철부(101)가 형성된 파판(102)이 구비되고, 상기 파판(102)의 접철부(101)에 형성된 경사면에 일정거리를 두고 다수의 홀(103)이 형성된 구조이다.
즉,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쉘터(104)는 전복 양식장의 바닥에 설치되어, 쉘터(104)의 배면에 전복이 양식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파판(102)에 형성된 다수의 홀(103)을 통해 전복을 사육하기 위한 사육수가 순환됨과 더불어 치패가 이동되는 통로가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쉘터(104)의 경우 파판(102)에 다수의 홀(103)만이 기계를 통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쉘터(104)의 전체면적을 고르게 활용하기 어렵고, 치패가 이동할 수 있는 홀(103)이 상기 접철부(101)의 경사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동거리가 길어 이동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이동에 따른 치패의 스트레스가 가중되어 전복의 성장에 장애가 생기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쉘터(104)의 하부를 통과하는 사육수의 흐름이 일정함에 따라 정체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에 사육환경이 나빠지고 배설물 등이 한 곳에 모이게 되고, 이에 따라 치패들이 적정하게 분산되어 자라는 것이 아니라 한 곳에 밀집된 상태로 자라기 때문에 그 성장에 나쁜 영향을 끼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쉘터(104)의 경우 사육자가 먹이를 주기 위해서는 쉘터(104)를 일일이 들어올려 쉘터(104)의 하부에 먹이를 주어야 하기 때문에 빛을 싫어하는 치패에게 스트레스를 가중시키는 원인이 되고, 사육자에게도 먹이를 주는데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결국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쉘터(104)는 적층 및 운반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취급이 매우 불편하게 되었던 것이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7081호 "전복 및 해삼 양식용 쉘터"와 같은 기술에서는 저부 공간에 다수의 격벽들에 의해 전복 및 해삼의 은신 및 서식 공간이 형성되어 쉘터마다 보다 많은 양의 전복 및 해삼의 은신처를 제공하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와 같은 기술은 저부가 개방된 구조이기 때문에 전복 등이 파도나 조류 등에 의해 유실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고, 쉘터 다수개가 네 모서리 부분에 돌출되게 형성된 다리를 통해 단순한 구조로 적층되도록 하고 있어 유지, 관리가 어려움과 동시에 먹이 공급이 용이하지 못한 구조를 이루고 있었던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8600호 "전복 보관 및 운반용 상자"와 같은 기술에서는 전복의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사각형상의 본체케이스와, 상기 본체케이스의 상측을 덮는 덮개부로 구성되고, 상기 덮개부가 상기 본체케이스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으면서 개폐동작을 원활하게 하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전복을 보관 및 운반하는 목적에는 어느 정도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겠으나, 단순한 상자 형태의 밀폐 공간을 제공하고 있는 기술로써 전복 치패를 양식하기 위해 먹이를 공급하기 위한 수단과 치패가 부착하여 서식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전복 등의 패류 성장효율을 높일 수 있는 양식 환경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복, 해삼, 가리비 등 각종 패류를 수용할 수 있는 사각형의 상자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패류가 부착하여 서식하는 다수의 부착판이 형성된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측벽에는 내부로 먹이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와 개폐문이 설치되며, 상기 개폐문이 상호 연동하도록 패류 양식용 상자 다수개가 적층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전복 등 패류의 먹이 공급이 용이함과 동시에 유지·관리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다수의 패류 양식용 상자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게 구성되어 보다 향상된 전복의 양식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전복 등의 패류 성장효율을 높임으로써 어민들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패류 양식용 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양식용 상자는, 상부가 개구된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바닥과 측벽으로 이루어진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 개구를 막도록 결합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의 바닥과 상기 덮개부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는 일측에 먹이를 공급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문이 설치되고 상기 내부공간에는 패류가 부착되기 위한 다수의 부착파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양식용 상자는, 상기 본체부 및 상기 덮개부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본체부는 사방의 측벽을 따라 다수개의 측면통공이 연속되게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는 가장자리부를 따라 상측으로 돌출되고 하측으로 움푹하게 형성된 끼움부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상단 가장자리부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양식용 상자는, 상기 본체부는 상기 덮개부의 끼움부 내측 방향에 걸리도록 저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턱이 더 구비되어 상기 패류 양식용 상자 다수개가 연속하여 적층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양식용 상자는, 상기 다수개의 패류 양식용 상자가 적층된 상태에서 각각의 상기 개폐문이 상호 연동하여 개폐되도록 상기 다수개의 패류 양식용 상자 각각의 개폐문을 수직하게 연결하는 연결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양식용 상자는, 상기 덮개부는 상기 다수개의 패류 양식용 상자가 적층된 상태에서 상호간에 로프 연결이 가능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다수의 로프연결고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양식용 상자는 전복, 해삼, 가리비 등 각종 패류가 햇빛 등에 쉽게 노출되지 않도록 내부 공간에 다수의 부착파판이 설치되고, 간편하게 개폐 가능한 먹이공급 투입구가 설치되어 전복 등의 패류 먹이 공급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전복의 양식환경과 성장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다수의 패류 양식용 상자가 적층된 상태로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게 구성되고, 본체부와 덮개부의 바닥 및 측벽 전체가 통공으로 이루어져 내부공간에서 외부로 해수 및 분비물이 쉽게 통과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취급에 따른 유지·관리가 매우 편리함과 동시에 어민들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복 양식용 쉘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류 양식용 상자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류 양식용 상자의 저부를 보이기 위한 저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류 양식용 상자의 적층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의 A-A'에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류 양식용 상자의 운반을 위한 로프 체결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예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패류 양식용 상자(1)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류 양식용 상자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류 양식용 상자의 저부를 보이기 위한 저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류 양식용 상자의 적층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A-A'에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류 양식용 상자의 운반을 위한 로프 체결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예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류 양식용 상자(1)는, 상부가 개구된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바닥(11)과 측벽(12)으로 이루어진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상부 개구를 막도록 결합되는 덮개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부(1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를 이루는 상자형으로 형성된다. 이에 상기 본체부(10)는 전복 등의 패류가 수용되어 양식되기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0)의 어느 일측 측벽(12)에서 측면 방향으로 개구된 투입구(12a)가 형성된다.
상기 투입구(12a)는 전복의 먹이를 공급하기 위한 먹이 공급구로 사용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부(10)는 상기 투입구(12a)를 개폐하는 개폐문(13)이 설치되어 전복 등의 패류가 상기 투입구(12a)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예방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부(10) 및 상기 덮개부(20)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각각의 가장자리부 제외하고 상기 본체부(10)의 바닥(11) 부분 전체와 상기 덮개부(20)의 표면 전체가 다수의 리브를 통해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통공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 패류 양식용 상자(1)는 상부와 하부 양측으로 해수가 원활하게 유통되는 것과 동시에 전복 등에서 배설되는 배설물이 상기 본체부(20) 내부에 쌓이지 않고 외부로 쉽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개폐문(13)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투입구(12a)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본체부(10)의 측벽(12) 일측에서 여닫이 또는 미닫이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도 2에는 상기 개폐문(13)이 여닫이 형태로 설치되어 있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문(13)의 일측이 수직한 힌지축을 갖는 경첩 등에 의해 상기 투입구(12a)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타측이 회전되며 개폐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에는 상기 투입구(12a)의 일측 부분 즉,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상기 개폐문(13)의 타측 부분과 연접하는 부분에는 상기 개폐문(13)이 닫힌 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한 잠금쇠(13b)가 설치되어 상기 개폐문(13)이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쉽게 열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전복 등의 패류가 분실되는 염려가 줄어들게 된다.
아울러, 상기 개폐문(13)은 다수의 통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개폐문(13)은 격자형을 이루는 다수의 리브살에 의해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개폐문(13)을 통해 해수가 원활하게 유통되고, 패류의 분비물이 쉽게 통과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본체부(10) 사방의 측벽(12) 전체 부분으로 필요 산소량이 충분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20)의 내부공간에는 패류가 부착된 상태로 자유롭게 이동하며 서식할 수 있도록 다수의 부착파판(14)이 구비된다.
상기 부착파판(14)은 각종 조류 및 플랑크톤과 같은 패류의 먹이가 부착되어 서식할 수 있도록 표면이 평탄면을 이루도록 일정 폭을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본체부(20)의 내부공간 사방의 측벽(12) 중 상기 개폐문(13)이 설치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측벽(12)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수직하게 연장되도록 다수개 설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부착파판(14)이 측면 방향으로 배치된 이유는 전복들이 산란 기간동안 공간의 둘레 부분을 따라 은신처를 찾아 무리를 짓는 습성에 따라 전복이 자유롭게 이동하며 먹이를 섭취할 수 있는 부착 공간을 최대한 제공하여 전복의 양식환경과 성장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본체부(10)는 사방의 측벽을 따라 다수개의 측면통공(12b)이 연속되게 형성된다. 상기 다수개의 측면통공(12b)은 상기 본체부(10)의 사방의 측벽(12) 전체 부분을 따라 연속되게 연장되도록 형성되되, 그 통공의 형상은 사각형, 원형, 마름모꼴, 다각형 등 매우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을 것으로, 이와 같은 형상 및 배열 구조는 굳이 한정되지 않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 패류 양식용 상자(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의 바닥(11)과 상기 덮개부(20)의 가장자리부를 제외한 단면부 전체가 다수개의 통공으로 이루어진 것과 더불어 상기 본체부(10) 사방의 측벽(12) 부분에 형성된 다수개의 측면통공(12b)을 통해 전복의 양식 환경에 매우 중요한 해수 순환과 산소 공급이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전복의 양식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덮개부(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의 상부 개구를 막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덮개부(20)는 상기 본체부(10)의 개구를 통해 내부공간에 수용된 전복 등의 패류를 양식하고 양식이 완료된 제품을 출하하기 위해 패류를 넣고 꺼내는 작업이 용이하도록 상기 본체부(10)의 상부로 간편하게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덮개부(20)는 상기 본체부(10)에 대응되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가장자리부를 제외한 전체 단면이 다수개의 통공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덮개부(20)는 가장자리부를 따라 상측으로 돌출되고, 하측으로 움푹하게 형성된 끼움부(21)가 형성되는데, 상기 끼움부(21)가 상기 본체부(10)의 상단 가장자리부(10a)에 대응하여 끼움 결합되면서 상기 덮개부(20)가 상기 본체부(10) 상부로 간편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류 양식용 상자(1)는 상기 패류 양식용 상자(1) 다수개가 연속하여 적층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상기 본체부(10)는 상기 덮개부(20)의 끼움부(21) 내측 방향에 걸리도록 저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턱(10b)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10b)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의 하단 가장자리부를 따라 일주하도록 저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20)의 끼움부(21) 내측면을 따라 끼워지며 지지될 수 있는 단턱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 상기 패류 양식용 상자(1)는 상기 본체부(10)의 걸림턱(10b)과 상기 덮개부(20)의 끼움부(21)가 서로 맞물려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패류 양식용 상자(1) 다수개가 상부로 연속하여 적층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패류 양식용 상자(1)는 내부에서 양식되는 전복 등의 패류가 쉽게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되는 것은 물론, 양식장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일반적인 쉘터에 비해 보다 많은 양의 전복을 양식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패류 양식용 상자(1)는 상기와 같이 패류 양식용 상자(1)가 적층된 상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덮개부(20)의 단면이 다수의 통공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데, 본 발명은 이에 그치지 않고 상기 본체부(10)의 바닥(11) 부분까지 격자형의 리브살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통공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상기 본체부(10)의 내부공간에서 바닥(11) 및 측벽(12)과 상기 덮개부(20)를 통해 외부로 해수 및 분비물이 쉽게 통과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동시에 전복이 안정적으로 서식할 수 있는 그늘진 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전복 양식에 필요한 적정 산소량과 양식 시설물 취급에 따른 유지·관리가 매우 편리하여 어민들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발생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류 양식용 상자(1)는 다수개의 상기 패류 양식용 상자(1) 각각의 개폐문(13)을 수직하게 연결하는 연결봉(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봉(30)은 원형의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와 같이 적층 가능한 다수개의 상기 패류 양식용 상자(1) 각각의 개폐문(13)을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개폐문(13) 각각은 상호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각각의 연결공이 형성된 걸이부(13a)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걸이부(13a)의 연결공은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상기 연결봉(30)은 상기 걸이부(13a)에 연속하게 이어지도록 상기 걸이부(13a) 각각의 연결공에 수직하게 연속 삽입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봉(30)에 의해 서로 연결된 각각의 상기 개폐문(13)은 상호 연동하여 개폐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봉(30)은 상기 걸이부(13a)의 연결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부로 빠지지 않도록 상기 연결봉(30)의 상단부 외주연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구(31)가 형성된다.
이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상기 패류 양식용 상자(1)가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봉(30)이 다수의 상기 걸이부(13a) 각각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연속 삽입된 경우, 상기 개폐문(13)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걸림구(31)가 최상층에 적층된 패류 양식용 상자(1)의 상기 덮개부(20) 상단에 지지되고, 상기 개폐문(13)이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걸림구(31)가 최상층에 적층된 패류 양식용 상자(1)의 개폐문(13) 상단에 걸리면서 상기 연결봉(30)이 상기 다수의 개폐문(13)에 연결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상호 연동 가능한 상기 개폐문(13)에 의해 미역, 다시마 또는 전복사료와 같은 먹이의 공급 및 교체 작업이 매우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부공간으로 공급된 먹이가 외부로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즉, 상기 다수개의 상기 패류 양식용 상자(1)가 다단으로 적층된 상태에서 먹이 등을 공급하거나, 전복 등의 제품 일부를 투입 및 출하하는 작업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덮개부(20)를 상기 본체부(10)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이 까다롭게 되기 때문에 상기 본체부(10)의 측벽(12) 부분으로 상기와 같은 개폐문(13)을 별도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패류의 먹이 공급과 제품의 투입 및 출하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작용효과가 발생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용효과는 다수개가 적층 가능하게 구성된 본 발명 패류 양식용 상자(1)와 그 본체부(10) 및 덮개부(20) 그리고, 상기 개폐문(13)과 상기 연결봉(30)과 같은 구성요소들의 유기적인 결합관계를 통해 발생되는 것으로, 전복 등의 패류를 양식하기 위한 종래의 쉘터 등에 비해 취급이 매우 편리한 장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개폐문(13)은 다수의 통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개폐문(13)은 격자형을 이루는 다수의 리브살에 의해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개폐문(13)을 통해 해수가 원활하게 유통되고, 패류의 분비물이 쉽게 통과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본체부(10) 사방의 측벽(12) 전체 부분으로 필요 산소량이 충분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류 양식용 상자(1)는 상기 덮개부(20)에 다수의 로프연결고리(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프연결고리(22)는 다수개의 상기 패류 양식용 상자(1)가 적층된 상태에서 상호간에 로프(R)를 통한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덮개부(20)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 즉, 길이 방향의 양측 각각에 다수개 설치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로프연결고리(22)는 길이 방향의 양측 각각에 한 쌍씩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는데,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서 한 쌍이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고, 최하층에 배치된 상기 패류 양식용 상자(1)의 저부를 받치는 형태로 체결될 수 있도록 로프(R)가 다수의 상기 로프연결고리(22)에 연속되게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패류 양식을 위해 다수의 상기 패류 양식용 상자(1)를 양식장에 구축하거나 철거하고자 하는 경우, 양식 장소에서 상부로 인양 가능한 별도의 견인고리(도면미도시)를 설치하여 상기 패류 양식용 상자(1)에 체결된 로프(R)와 연결함으로써 적층된 상태의 상기 패류 양식용 상자(1) 다수개를 해중에서 쉽게 인양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적층된 상태 그대로 운반이나 보관이 가능하게 되어 양식 작업 및 유통 과정에 따른 취급이 매우 편리한 효과가 발생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패류 양식용 상자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패류 양식용 상자
10 본체부 10a 상단 주연부
10b 걸림턱 11 바닥
12 측벽 12a 투입구
12b 측면통공 13 개폐문
13a 걸이부 13b 잠금쇠
14 부착파판 20 덮개부
21 끼움부 22 로프연결고리
30 연결봉 31 걸림구

Claims (5)

  1. 상부가 개구된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바닥과 측벽으로 이루어진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 개구를 막도록 결합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의 바닥과 상기 덮개부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는 일측에 먹이를 공급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문이 설치되고 상기 내부공간에는 패류가 부착되기 위한 다수의 부착파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양식용 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및 상기 덮개부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본체부는 사방의 측벽을 따라 다수개의 측면통공이 연속되게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는 가장자리부를 따라 상측으로 돌출되고 하측으로 움푹하게 형성된 끼움부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의 상단 가장자리부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양식용 상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덮개부의 끼움부 내측 방향에 걸리도록 저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걸림턱이 더 구비되어 상기 패류 양식용 상자 다수개가 연속하여 적층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양식용 상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패류 양식용 상자가 적층된 상태에서 각각의 상기 개폐문이 상호 연동하여 개폐되도록 상기 다수개의 패류 양식용 상자 각각의 개폐문을 수직하게 연결하는 연결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양식용 상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다수개의 패류 양식용 상자가 적층된 상태에서 상호간에 로프 연결이 가능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다수의 로프연결고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류 양식용 상자.
KR1020130087857A 2013-07-25 2013-07-25 패류 양식용 상자 KR101538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7857A KR101538500B1 (ko) 2013-07-25 2013-07-25 패류 양식용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7857A KR101538500B1 (ko) 2013-07-25 2013-07-25 패류 양식용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2397A true KR20150012397A (ko) 2015-02-04
KR101538500B1 KR101538500B1 (ko) 2015-07-22

Family

ID=52488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7857A KR101538500B1 (ko) 2013-07-25 2013-07-25 패류 양식용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85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94368A (zh) * 2017-09-22 2017-12-22 上海海洋大学 一种综合多营养级海水网箱养殖系统装置及养殖方法
KR102094109B1 (ko) * 2019-08-22 2020-03-27 주식회사 동백 비부착성 패류 수하식 양성 어구 및 이를 이용한 양식 방법
KR20210057909A (ko) * 2019-11-13 2021-05-24 강원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문어 축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축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420B1 (ko) * 2016-03-04 2018-08-09 박용민 생딸기 표면건조용 트레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933B1 (ko) * 2004-04-21 2006-06-30 김성근 해중어류 가두리 양식장
KR101314316B1 (ko) * 2011-08-25 2013-10-02 최영태 패류 양식장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94368A (zh) * 2017-09-22 2017-12-22 上海海洋大学 一种综合多营养级海水网箱养殖系统装置及养殖方法
CN107494368B (zh) * 2017-09-22 2019-09-03 上海海洋大学 一种综合多营养级海水网箱养殖系统装置及养殖方法
KR102094109B1 (ko) * 2019-08-22 2020-03-27 주식회사 동백 비부착성 패류 수하식 양성 어구 및 이를 이용한 양식 방법
KR20210057909A (ko) * 2019-11-13 2021-05-24 강원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문어 축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축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8500B1 (ko) 201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94368B (zh) 一种综合多营养级海水网箱养殖系统装置及养殖方法
KR101383911B1 (ko) 부착성 해양생물의 인공종묘 생산을 위한 구조물
JP6742614B2 (ja) 水産物養殖用トレー及びそれを積層した水産物養殖用トレー積層体
KR101538500B1 (ko) 패류 양식용 상자
CN105123565B (zh) 一种单体牡蛎外海深水养殖方法及装置
CN205455363U (zh) 一种多功能华贵栉孔扇贝养殖套网笼
JP2015177787A (ja) 被養殖生物の養殖方法およびその養殖施設
CN106070068A (zh) 捕食螨大量饲养方法
JP3405688B2 (ja) 貝の養殖方法とこの養殖方法に用いる貝の養殖具
JP2009159898A (ja) 貝類の養殖篭
JP3157283U (ja) 魚介藻類育成用収容体
JP5016694B2 (ja) 貝類養殖篭
JP2009072156A (ja) 垂下式海面養殖カゴ
JP2017055719A (ja) ナマコの種苗放流方法
CN110583544B (zh) 一种扇贝-刺参底层生态综合养殖装置及其使用方法
CN101507421A (zh) 一种肉食性鱼种高成活率培育方法及分规格喂食装置
CN210746720U (zh) 一种螃蟹养殖笼
CN102715102B (zh) 一种海水养殖网箱多用途网衣
KR20160133274A (ko) 사료통이 장착된 해삼 양식용 쉘터
CN210782606U (zh) 一种水产品养殖单个样品捕捞设备
JP6634143B1 (ja) 貝類の養殖方法およびこれに使用する観音開き式の養殖かご
JP2001120105A (ja) 連段養殖かご
KR101288013B1 (ko) 역류형 인공부화장치
CN107711655A (zh) 一种用于水产养殖的网箱及养殖方法
JP2009044968A (ja) 貝類の養殖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