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2241A -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2241A
KR20150012241A KR1020147028894A KR20147028894A KR20150012241A KR 20150012241 A KR20150012241 A KR 20150012241A KR 1020147028894 A KR1020147028894 A KR 1020147028894A KR 20147028894 A KR20147028894 A KR 20147028894A KR 20150012241 A KR20150012241 A KR 201500122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target
target devic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path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8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츠야 시모지
도시노리 가네모토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012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22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local intradevic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3Terminal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4Enhancement of application control based on intercepted application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4Multichannel or multilink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4Negotiation of communication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제1 통신로에 의해, 제1 통신로와는 다른 제2 통신로에 의한 무선 통신을 행하게 하는 대상의 장치인 제1 제어 대상 장치 및 제2 제어 대상 장치 중 적어도 한쪽 제어 대상 장치로부터 취득된, 처리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 중에서 제1 통신로에 의해 제1 제어 대상 장치 및 제2 제어 대상 장치 각각으로부터 취득된 접속 정보 중,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하는 결정부와,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에 대하여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를 송신시키는 송신 제어부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본 발명은,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 전화나 스마트폰 등의 기기의 고기능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기기 중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에 의한 통신이나, IEEE 802.15.1(「Bluetooth」(등록상표)라 불리는 경우도 있음)에 의한 통신 등, 복수의 통신 수단에 의해 통신이 가능한 것도 등장하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 핸드오버라 불리는 기술이 점차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핸드오버 기술이란,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대응한 복수의 통신 수단을 자동적으로 전환하여 통신을 행하는 기술이다. 핸드오버 기술이 이용되는 기기에서는, 예를 들어 제1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로를 사용하여 제2 통신 방식의 인증 정보를 전송하고, 그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제2 통신 방식의 인증 설정이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따라서, 핸드오버 기술이 이용되는 기기는, 예를 들어 인증 처리나 설정 처리를 유저에게 의식시키지 않고, 자동적으로 제2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로를 사용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핸드오버에 관한 기술도 개발되고 있다. 보안성 있는 데이터 통신에 필요해지는 데이터를, 시큐리티 디바이스를 매개하여 기기 간에 공유시키는 기술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을 들 수 있다.
일본 특허공개 제2007-129320호 공보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은,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각 기기가, 기기 간에 있어서의 데이터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와, 보안성 있는 데이터 통신에 필요해지는 데이터의 공유에 관한 시큐리티 디바이스의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가, 하나의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구성인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NFC 태그나 비접촉 IC(Integrated Circuit) 카드 등이 부착된 기기 등, 기기가 구비하는 컨트롤러와 NFC 태그의 사이가 접속되어 있지 않을 때(컨트롤러가, NFC 태그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없을 때)에는, 기기 간에 데이터를 공유할 수는 없다.
또한, NFC Forum의 기술 사양인 Connection Handover 사양은, 통신을 행하는 기기가 양쪽 모두 컨트롤러와의 접속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P2P(Peer to Peer) 프로토콜에 대응하고 있을 것, 또는 통신을 행하는 기기 중 적어도 한쪽 기기가 컨트롤러와의 접속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기기일 것(예를 들어, 한쪽이 리더/라이터 기능을 갖고, 다른 쪽이 태그만을 갖고 있는 경우)을 전제로 하고 있다. 따라서, Connection Handover 사양을 기준으로 한 기기를 사용하는 유저는, 예를 들어 개개의 기기가 NFC의 어떤 기능을 서포트하고 있는지(예를 들어, P2P 대응인지, 태그 기능만인지, 리더/라이터 기능만인지)를 의식해야만 한다. 또한, Connection Handover 사양에서는, 통신을 행하는 기기의 조합에 따라서는, 핸드오버(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대응한 복수의 통신 수단을 자동적으로 전환하여 통신하는 것)를 실현할 수 없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이나, NFC Forum의 기술 사양인 Connection Handover 사양에 관한 기술을 이용하였다고 해도, 통신을 행하게 하는 대상의 장치(이하, '제어 대상 장치'라 하는 경우가 있음) 사이에 있어서, 통신을 행하게 할 수 있다고는 할 수 없다.
본 발명에서는, 제어 대상 장치 간에 있어서의 통신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신규이면서도 개량된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통신로에 의해, 상기 제1 통신로와는 다른 제2 통신로에 의한 무선 통신을 행하게 하는 대상의 장치인 제1 제어 대상 장치 및 제2 제어 대상 장치 중 적어도 한쪽 제어 대상 장치로부터 취득된, 상기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처리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상기 제2 제어 대상 장치 중에서 상기 제1 통신로에 의해 상기 제1 제어 대상 장치 및 상기 제2 제어 대상 장치 각각으로부터 취득된 상기 제2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접속 정보 중,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 정보를 송신하는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인,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하는 결정부와, 상기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에 대하여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 정보를 송신시키는 송신 제어부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통신로에 의해, 상기 제1 통신로와는 다른 제2 통신로에 의한 무선 통신을 행하게 하는 대상의 장치인 제1 제어 대상 장치 및 제2 제어 대상 장치 중 적어도 한쪽 제어 대상 장치로부터 취득된, 상기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처리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상기 제2 제어 대상 장치 중에서 상기 제1 통신로에 의해 상기 제1 제어 대상 장치 및 상기 제2 제어 대상 장치 각각으로부터 취득된 상기 제2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접속 정보 중,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 정보를 송신하는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인,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하는 스텝과, 상기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에 대하여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 정보를 송신시키는 스텝을 갖는 정보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통신로에 의해, 상기 제1 통신로와는 다른 제2 통신로에 의한 무선 통신을 행하게 하는 대상의 장치인 제1 제어 대상 장치 및 제2 제어 대상 장치 중 적어도 한쪽 제어 대상 장치로부터 취득된, 상기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처리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상기 제2 제어 대상 장치 중에서 상기 제1 통신로에 의해 상기 제1 제어 대상 장치 및 상기 제2 제어 대상 장치 각각으로부터 취득된 상기 제2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접속 정보 중,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 정보를 송신하는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인,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하는 스텝, 상기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에 대하여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 정보를 송신시키는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 대상 장치 간에 있어서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능력 정보가 나타내는 내용의 일례를 제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의 제1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의 제2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의 일례를 제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의 제3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의 제4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의 일례를 제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의 제5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의 제6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의 일례를 제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의 일례를 제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1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제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제시하는 설명도이다.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하기에 나타내는 순서로 설명을 행한다.
1.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
2.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
3.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그램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 전에, 우선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를 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1]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의 개요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이나 Connection Handover 사양에 관한 기술을 이용하였다고 해도, 제어 대상 장치 간에 있어서, 통신을 행하게 할 수 있다고는 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제1 통신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제1 통신로에 의해, 무선 통신을 행하게 하는 대상의 장치인 제1 제어 대상 장치 및 제2 제어 대상 장치 중 적어도 한쪽 제어 대상 장치로부터 취득된, 처리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 중에서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를 송신하는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한다(결정 처리).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결정한 제어 대상 장치(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를 송신하는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에 대하여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를 송신시킨다(송신 제어 처리).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통신로란, 예를 들어 유저에 의한 특유의 접속 설정을 필요하지 않고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와 제어 대상 장치 각각이 일대일로 통신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통신로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통신로로서는, 예를 들어 13.56[㎒] 등 소정의 주파수의 반송파를 통신에 사용하는 NFC에 의해 형성되는 통신로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통신로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통신로는, 적외선을 통신에 사용하는 적외선 통신에 의해 형성되는 통신로이어도 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통신로가, NFC에 의해 형성되는 통신로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 능력 정보란,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 능력 정보로서는, 예를 들어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 능력 정보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으면, 임의의 데이터이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세션이 확립된 제1 통신로에 의해 제1 제어 대상 장치 및 제2 제어 대상 장치 각각으로부터 능력 정보를 취득함으로써, 제1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처리 능력 정보,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처리 능력 정보 중 적어도 한쪽에 대응하는 처리 능력 정보를 취득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능력 정보란, 통신에 관한 능력을 나타내는 데이터(또는, 데이터군)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능력 정보가 나타내는 통신에 관한 능력으로서는,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처리 능력과, 대응하고 있는 통신 방식(제1 통신로를 형성하는 통신 방식과는 다른 통신 방식)을 나타내는 통신 능력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능력 정보가 하나의 데이터이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능력 정보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 능력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 능력 정보는, 그 데이터를 구성하는 데이터의 일부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능력 정보가 하나의 데이터이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능력 정보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 능력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제1 통신로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능력 정보를 취득함으로써,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 능력 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능력 정보가 데이터군이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능력 정보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 능력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 능력 정보는, 그 데이터군을 구성하는 데이터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능력 정보가 데이터군이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능력 정보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 능력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능력 정보를 취득하는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 능력 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능력 정보가 데이터군이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능력 정보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 능력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접속 정보(후술함)의 취득에 관한 통신과는 다른 트랜잭션의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 능력 정보를 취득하여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능력 정보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 능력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능력 정보에 포함되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 능력 정보에 의해, 그 능력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대상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처리 능력을 특정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능력 정보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 능력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그 능력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대상 장치가,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을 갖지 않는다고 간주함으로써, 그 능력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대상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처리 능력을 특정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능력 정보에 포함되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접속 정보(후술함)에 의해, 그 능력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대상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통신 능력을 특정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제1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처리 능력 정보,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처리 능력 정보 중 적어도 한쪽에 대응하는 처리 능력 정보를 취득하는 방법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 능력 정보는, 제1 제어 대상 장치 및 제2 제어 대상 장치 중 적어도 한쪽 제어 대상 장치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제1 통신로의 세션의 확립에 관한 통신에 의해 취득되어도 된다. 제1 통신로가 NFC에 의해 형성되는 통신로인 경우에 있어서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통신로의 세션의 확립에 관한 통신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링에 관한 통신이 개시되고 나서, 세션이 확립될 때까지의 통신"을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통신로의 세션의 확립에 관한 통신에 관련된 처리의 구체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가, 제1 통신로에 의해 제1 제어 대상 장치 및 제2 제어 대상 장치 각각으로부터 능력 정보를 취득함으로써, 제1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처리 능력 정보,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처리 능력 정보 중 적어도 한쪽에 대응하는 처리 능력 정보를 취득하는 경우를, 주로 예로 들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접속 정보란, 제1 통신로를 형성하는 통신 방식과는 다른 통신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제2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능력 정보가 하나의 데이터인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접속 정보는, 그 데이터를 구성하는 데이터의 일부이며,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능력 정보가 데이터군인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접속 정보는, 그 데이터군을 구성하는 데이터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능력 정보가 하나의 데이터인 경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제1 통신로에 의해 능력 정보를 취득함으로써, 접속 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능력 정보가 데이터군이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능력 정보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 능력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 능력 정보를 취득하는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에 의해 접속 정보를 취득하여도 되고,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 능력 정보의 취득에 관한 통신과는 다른 트랜잭션의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에 의해, 접속 정보를 취득하여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2 통신로란,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가 제어 대상 장치 각각과 일대일로 통신하기 위해 소정의 접속 설정이 필요한 통신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통신로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2 통신로로서는, 예를 들어 IEEE 802.15.1을 사용한 무선 통신이나, IEEE 802.11b(「Wi-Fi」라 불리는 경우도 있음) 등의 무선 LAN(Local Area Network)을 사용한 무선 통신, ZigBee(등록상표)에 의한 무선 통신, ANT+에 의한 무선 통신, TransferJet(등록상표)에 의한 무선 통신 등을 들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능력 정보가 나타내는 내용의 일례를 제시하는 설명도이다. 여기서, 도 1은, 제1 통신로가 NFC에 의해 형성되는 통신로이며, 또한, 도 1에 도시한 능력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대상 장치가 제2 통신로를 형성할 수 있는 복수의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통신 능력을 갖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능력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능력 정보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 능력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능력 정보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능력 정보는, 예를 들어 "디바이스 명(닉네임명)"과, "NFC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가부"(도 1에 도시한 A)와, "NFC 프로파일 정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 1"(도 1에 도시한 B1),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 2"(도 1에 도시한 B2), …와, "애플리케이션 정보", …를 갖는다. 여기서, 도 1의 A로 예시하는 "NFC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가부"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 능력 정보에 해당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NFC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로서는,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대상 장치가 수신한 데이터나, NFC 태그 등의 외부 장치가 수신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대상 장치가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한 데이터를 들 수 있다. 또한, 도 1의 B1, B2, …로 예시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 1",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정보 2", …각각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접속 정보에 해당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능력 정보를, 제1 제어 대상 장치, 제2 제어 대상 장치 각각으로부터 취득함으로써, 각 제어 대상 장치에 있어서의 처리 능력과, 통신 능력을 특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능력 정보는, 도 1에 도시한 내용의 데이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능력 정보는, 도 1에 도시한 "디바이스명(닉네임명)", "NFC 프로파일 정보", "애플리케이션 정보", … 중 1 또는 2 이상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능력 정보는, 도 1의 A로 예시하는 "NFC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가부", 즉,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 능력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능력 정보에 복수의 접속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예(제어 대상 장치가, 복수의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통신 능력을 갖고 있음을 나타내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능력 정보는, 하나의 접속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능력 정보가 하나의 데이터인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능력 정보는, 도 1에 도시한 각 내용(또는, 상기 변형예에 관한 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로 구성되는 데이터군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접속 정보가, 도 1의 B1로 예시하는 내용을 나타내는 데이터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결정 처리 및 송신 제어 처리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가, 제1 통신로에 의해 제1 제어 대상 장치 및 제2 제어 대상 장치 각각으로부터 능력 정보를 취득함으로써, 제1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처리 능력 정보,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처리 능력 정보 중 적어도 한쪽에 대응하는 처리 능력 정보를 취득하는 경우를, 주로 예로 들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1) 결정 처리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가 구비하는 제1 통신부(후술함), 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된 외부 통신 디바이스를 통하여, 제1 제어 대상 장치 및 제2 제어 대상 장치 각각과 제1 통신로를 통해 통신을 행함으로써, 제1 제어 대상 장치 및 제2 제어 대상 장치 각각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를 취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능력 정보를 송신시키기 위한 송신 명령을 포함하는 능력 정보 송신 요구를, 제1 통신부(후술함) 등으로 송신시킴으로써 그 능력 정보 송신 요구에 따라서 제어 대상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능력 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개시 통지를 유저에 대하여 통지시켜도 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개시 통지로서는, 예를 들어 제어 대상 장치에의 터치 조작(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 또는 상기 외부 통신 디바이스와, 제어 대상 장치의 거리를, 통신 가능한 거리로 하기 위한 조작 일례. 이하, 마찬가지)을 유저에게 요구하는 취지의 통지를 들 수 있다(제1 통신로가, NFC에 의해 형성되는 통신로인 경우의 예).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문자나 화상 등을 사용함에 따른 시각적인 통지 방법이나, 음성(음악이나 비프음 등을 포함함. 이하, 마찬가지)을 사용한 청각적인 통지 방법 등에 의해, 개시 통지나 후술하는 각종 통지를 유저에 대하여 통지시킨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가 통지를 행하게 하는 대상으로서는, 예를 들어 자 장치(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가 구비하는 표시부(후술함)나 음성 출력부(후술함), 및/또는 외부 표시 장치나 외부 음성 출력 장치 등의 외부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가 능력 정보를 취득하는 능력 정보의 취득원으로서는, 예를 들어 제어 대상 장치를 들 수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능력 정보의 취득원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능력 정보의 취득원은, 제어 대상 장치에 부착되어 있는 NFC 태그나 비접촉 IC 카드, 제어 대상 장치에 부착되어 있지 않은 단체의 NFC 태그나 비접촉 IC 카드 등이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능력 정보의 취득원이 상기와 같은 NFC 태그 등인 경우, 능력 정보에 포함되는 처리 능력 정보는, 예를 들어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능력 정보의 취득원이 제어 대상 장치일 때에 있어서도,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없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가,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없는 경우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와 같은 경우를 들 수 있다.
·제어 대상 장치가, NFC 태그 등과의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수단을 갖지 않는 경우(「접속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요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함)
·제어 대상 장치가 구비하는 제어부(후술함) 등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NFC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핸드오버에 대응하고 있지 않는 경우(「수신된 접속 정보를 해석할 수 있는 요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및/또는 「해석한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다른 통신을 개시할 수 있는 요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함)
제1 제어 대상 장치 및 제2 제어 대상 장치 각각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가 취득되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취득된 능력 정보에 포함될 수 있는 처리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 중에서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를 송신하는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이하,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라 하는 경우가 있음)를 결정한다. 여기서, 접속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함으로써, 접속 정보를 이동시키는 방향이 정해지고, 또한, 송신하는 접속 정보에 의해 제2 통신로를 형성하는 통신 방식이 정해진다. 또한, 송신하는 접속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에 따라, 정보의 종별을 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제1 제어 대상 장치 및 제2 제어 대상 장치 중 적어도 한쪽 제어 대상 장치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제1 통신로의 세션의 확립에 관한 통신에 의해, 처리 능력 정보를 취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통신로의 세션의 확립에 관한 통신에 의해 처리 능력 정보가 취득된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취득된 처리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 중에서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취득된 처리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취득된 제1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와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의 양쪽에, 처리 능력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등, 제1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처리 능력 정보와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처리 능력 정보의 양쪽이 취득된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제1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처리 능력 정보와,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처리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있어서의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의 유무의 조합을 판정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능력 정보가 취득된 경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도 1의 A로 예시하는 "NFC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가부"(처리 능력 정보의 일례)에 따라,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의 유무의 조합을 판정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판정된 조합에 기초하여,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 중에서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한다.
여기서, 판정되는 조합으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의 제1 조합 내지 제3 조합을 들 수 있다.
·제1 조합: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 중 어느 한쪽이,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을 갖는 조합
·제2 조합: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의 양쪽이,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을 갖는 조합
·제3 조합: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의 양쪽이,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을 갖지 않은 조합
또한, 예를 들어 한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에 처리 능력 정보가 포함되고,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에 처리 능력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등, 한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처리 능력 정보가 취득되고,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처리 능력 정보가 취득되지 않는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그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가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을 갖지 않는다고 간주한다. 또한, 상기의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간주된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있어서의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과, 한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처리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있어서의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의 유무의 조합을 판정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판정된 조합에 기초하여,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한다.
여기서, 한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처리 능력 정보가 취득되고,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처리 능력 정보가 취득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판정되는 조합으로서는, 상기 제1 조합, 또는 상기 제3 조합을 들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와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의 양쪽에, 처리 능력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등, 제1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처리 능력 정보와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처리 능력 정보의 양쪽이 취득되지 않는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의 양쪽이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을 갖지 않는다고 간주한다. 또한, 상기의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간주된 제1 제어 대상 장치에 있어서의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과, 간주된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있어서의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에 기초하여,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있어서의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의 유무의 조합을 판정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판정된 조합에 기초하여,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한다.
여기서, 제1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처리 능력 정보 및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처리 능력 정보가 취득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판정되는 조합으로서는, 상기 제3 조합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조합에 있어서의 결정 처리,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2 조합에 있어서의 결정 처리, 및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3 조합에 있어서의 결정 처리 각각의 일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1) 결정 처리의 제1 예: 제1 조합에 있어서의 결정 처리
예를 들어, 한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처리 능력 정보가,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처리 능력 정보가,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음을 나타내지 않는 경우 등,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 중 어느 한쪽이,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그 한쪽 제어 대상 장치를,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로서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제1 제어 대상 장치가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을 갖고 있으며, 제2 제어 대상 장치가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을 갖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제1 제어 대상 장치를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로서 결정한다. 또한, 예를 들어 제2 제어 대상 장치가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을 갖고 있으며, 제1 제어 대상 장치가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을 갖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제2 제어 대상 장치를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로서 결정한다.
제1 조합에 있어서,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이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함으로써,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는, 후술하는 송신 제어 처리에 있어서 송신되는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를 수신하고,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1 조합에 있어서,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이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함으로써,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는,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통신로를 통해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즉, 제1 조합에 있어서,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이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함으로써,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 중 어느 한쪽이, NFC 태그 등이 부착된 기기인 경우이더라도,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는, 제2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유저는,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가 제2 통신로를 통해 통신을 행하기 위한 인증 처리나 설정 처리를 의식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제1 조합에 있어서,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이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함으로써, 제어 대상 장치 간에 있어서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1-2) 결정 처리의 제2 예: 제2 조합에 있어서의 결정 처리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의 양쪽이,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는, 모두, 후술하는 송신 제어 처리에 있어서 송신되는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를 수신하고,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 중, 더 늦게 취득된 처리 능력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대상 장치를,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로서 결정한다.
여기서, 더 늦게 취득된 처리 능력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대상 장치를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로서 결정하는 경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송신 제어 처리에 있어서, 처리 능력 정보의 취득에 관한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에 의해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를 송신하고, 그 접속 정보를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에 처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어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가, 상기 처리 능력 정보의 취득에 관한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에 의해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를 수신하고, 처리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와,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는, 다시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개시할 필요는 없다(또는, 다시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개시할 필요가 없을 가능성이 높음). 그로 인해, 예를 들어 제1 통신로가 NFC에 의해 형성되는 통신로인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유저에게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에의 터치 조작을 다시 행하게 하지 않고,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에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를 처리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통신로가 NFC에 의해 형성되는 통신로인지 여부에 의하지 않고,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후술하는 송신 제어 처리에 있어서, 처리 능력 정보의 취득에 관한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이 아니라, 다시 개시된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에 의해,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를 송신시켜도 된다. 다시 개시된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에 의해,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를 송신시키는 경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개시 통지를 유저에 대하여 통지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조합에 있어서 더 늦게 취득된 처리 능력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대상 장치를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로서 결정함으로써,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제어 대상 장치 간에 있어서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조합에 있어서의 결정 처리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제1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에 포함되는 접속 정보와,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에 포함되는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도 1의 B1로 예시한 바와 같은 접속 정보에 포함되는 유효 플래그에 기초하여, 유효 플래그가 유효인 접속 정보(도 1에 도시한 예에서는 유효 플래그가 "Enable"인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가 이용하는 접속 정보는, 유효 플래그가 유효인 접속 정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도 1의 B1로 예시하는 "스테이터스 정보"나 "유효 기한 정보", "이 인터페이스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가부" 등, 접속 정보에 포함되는 다른 데이터에 기초하여, 유효한 접속 정보를 판정하고, 유효라고 판정된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하여도 된다. 여기서,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장치에서는, 소비 전력을 저감하기 위해서, 무선 통신 기능을 항상 기동시키지 않고, 필요에 따라서 무선 통신 기능을 선택적으로 기동시키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스테이터스 정보는, 상기와 같은 무선 통신 기능의 기동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유효 기한 정보란, 접속 정보가 유효한 상태(접속 정보의 사용을 허가하는 상태)를 제어하는 데이터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유효 기한 정보로서는, 터치 조작의 횟수에 따라 유효한 상태를 제어하는 유효 터치 횟수를 나타내는 데이터나, 기간에 따라 유효한 상태를 제어하는 유효 시간 데이터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효 기한 정보가, 유효 시간이 1분을 나타내는 데이터인 경우에는, 그 유효 기한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대상 장치가 제2 통신로에서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접속 수취 시간이 1분인 것을, 접속 정보의 상태에 따라 나타내게 된다. 또한, 도 1의 B1로 예시하는 "이 인터페이스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가부"는, 접속 정보에 의해 형성되는 제2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예를 들어, 접속 정보에 포함되는 "이 인터페이스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가부"(도 1에 도시한 B1)가 제2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음을 나타내지 않는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그 접속 정보를 유효한 접속 정보라고 판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인터페이스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로서는,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대상 장치가 수신한 데이터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대상 장치의 외부 통신 인터페이스인 외부 인터페이스가 수신하여,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대상 장치가 외부 인터페이스로부터 취득한 데이터를 들 수 있다.
또한, 제2 통신로를 형성할 수 있는 통신 방식 중에는, 예를 들어 IEEE 802.15.1과 같이 통신의 개시에 인증을 필요로 하는 통신 방식이나, IEEE 802.15.1이나 ZigBee(등록상표)와 같이, 마스터(능동적으로 통신을 행하는 측), 슬레이브(수동적으로 통신을 행하는 측) 등의 통신에 있어서의 역할이 정해져 있는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이 있을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함으로써, 제2 통신로를 통한 통신이 정상적으로 성립되도록,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통신의 개시에 인증을 필요로 하는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를, 후술하는 송신 제어 처리에 있어서 송신시키는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의 양쪽을,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한다. 상기의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후술하는 송신 제어 처리에 있어서,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의 양쪽에,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가 송신된다. 따라서,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는, 예를 들어 도 1의 B1로 예시하는 접속 정보에 포함되는 "인증 방식"이나 "인증 정보"에 의해 인증을 행한 다음에, 제2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마스터, 슬레이브 등의 통신에 있어서의 역할이 정해져 있는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를, 후술하는 송신 제어 처리에 있어서 송신시키는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접속 정보에 포함되는 통신에 있어서의 역할을 나타내는 데이터(예를 들어, 마스터/슬레이브를 나타내는 플래그 등)에 기초하여, 마스터에 해당하는 제어 대상 장치를 특정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 중, 특정된 제어 대상 장치를,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로서 결정한다.
여기서,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의 양쪽이 마스터에 해당되는 경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각각 설정되어 있는 우선도에 기초하여, 우선도가 높은 제어 대상 장치를,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로서 결정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설정되어 있는 우선도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것이어도 되고, 유저 조작 등에 기초하여 설정(또는 재설정)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의 양쪽이 마스터에 해당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의 결정 방법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의 양쪽이 마스터에 해당되는 경우에 있어서, 더 늦게 취득된 능력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대상 장치를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로서 결정하여도 된다.
예를 들어 상기한 바와 같이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함으로써,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는, 후술하는 송신 제어 처리에 있어서 송신되는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를 수신하고,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함으로써,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는, 제2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정상적으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조합에 있어서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함으로써,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제어 대상 장치 간에 있어서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1-3) 결정 처리의 제3 예: 제3 조합에 있어서의 결정 처리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의 양쪽이,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을 갖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처리 능력 정보를 이용하였다고 해도,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할 수는 없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제1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제어 대상 장치에 있어서의 그 접속 정보에 기초하는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의 유무를 판정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있어서의 그 접속 정보에 기초하는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의 유무를 판정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데이터의 처리 능력의 유무의 판정 결과", 또는 "그 판정 결과와, 능력 정보의 취득 순서, 설정되어 있는 우선도, 혹은 유저 조작"에 기초하여,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취득된 각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에 포함되는, 접속 정보에 의해 형성되는 제2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데이터(예를 들어, 도 1의 B1로 예시하는 "이 인터페이스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가부")에 기초하여, 각 제어 대상 장치에 있어서의 그 접속 정보에 기초하는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의 유무를 판정한다. 데이터의 처리 능력의 유무의 판정 결과가, 한쪽 제어 대상 장치가 접속 정보에 기초하는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을 갖고 있으며,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가 접속 정보에 기초하는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을 갖고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그 한쪽 제어 대상 장치를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로서 결정한다.
또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의 유무의 판정 결과가,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의 양쪽이 접속 정보에 기초하는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을 갖고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제어 대상 장치를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로서 결정하여도, 그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는, 후술하는 송신 제어 처리에 있어서 송신되는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를 처리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의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가 통신을 행할 수 없다는 취지의 에러를, 유저에 대하여 통지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에러 통지로서는, 예를 들어 에러 메시지나 에러 화상을 포함하는 에러 화면을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는 것이나, 에러 메시지를 나타내는 음성을 출력시키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의 유무의 판정 결과가,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의 양쪽이 접속 정보에 기초하는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을 갖고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처리 능력 정보의 취득 순서, 설정되어 있는 우선도, 혹은 유저 조작에 기초하여,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한다.
처리 능력 정보의 취득 순서에 기초하여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하는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더 늦게 취득된 처리 능력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대상 장치를,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로서 결정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더 먼저 취득된 처리 능력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대상 장치를,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로서 결정하여도 된다.
또한, 설정되어 있는 우선도에 기초하여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하는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각각 설정되어 있는 우선도에 기초하여, 우선도가 높은 제어 대상 장치를,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로서 결정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우선도는,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대하여 설정되는 우선도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우선도는, 제2 통신로에 관한 통신 방식에 대하여 설정되는 우선도이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우선도가 제2 통신로에 관한 통신 방식에 대하여 설정되는 우선도인 경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상기 제2 예에 따른 결정 처리와 마찬가지로, 우선도가 더 높은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한다.
또한, 유저 조작에 기초하여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하는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선택하는 선택 조작을 행하는 취지의 통지를 유저에 대하여 행하게 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선택 조작을 행하는 취지의 통지로서는, 예를 들어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한 선택 화면을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조작부(후술함)로부터 전달되는 선택 조작에 따른 조작 신호나, 리모트 컨트롤러 등의 외부 조작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되는 선택 조작에 따른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그 조작 신호가 나타내는 제어 대상 장치를,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로서 결정한다.
여기서,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의 양쪽이,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을 갖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는, 모두, 후술하는 송신 제어 처리에 있어서 송신되는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를,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하고, 처리할 수는 없다. 따라서, 상기의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후술하는 송신 제어 처리에 있어서, 제1 통신로와는 다른 제3 통신로를 통한 통신에 의해,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를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에 대하여 송신시킨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3 통신로는, 각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에 포함되는 접속 정보가 나타내는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형성되는 통신로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3 통신로로서는, 예를 들어 IEEE 802.15.1을 사용한 무선 통신이나, IEEE 802.11b 등의 무선 LAN을 사용한 무선 통신 등을 들 수 있다.
제1 제어 대상 장치가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로서 결정된 경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제1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에 포함되는 접속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3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 대상 장치가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로서 결정된 경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에 포함되는 접속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제2 제어 대상 장치와 제3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 중 어느 쪽인가가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로서 결정되었다고 해도,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는, 후술하는 송신 제어 처리에 있어서 송신되는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를 수신하고,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3 조합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함으로써,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제어 대상 장치 간에 있어서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의 유무의 조합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상기 제1 예에 따른 처리, 상기 제2 예에 따른 처리, 또는 제3 예에 따른 처리를 행한다. 상기 제1 예에 따른 처리, 상기 제2 예에 따른 처리, 또는 제3 예에 따른 처리를 행함으로써,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결정 처리는, 상기 제1 예에 따른 처리 내지 제3 예에 따른 처리에 한정되지 않는다.
(1-4) 결정 처리의 제4 예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능력 정보에는, 복수의 접속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제1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에 포함되는 접속 정보와,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에 포함되는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제2 통신로에 있어서의 통신 방식을 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제1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에 포함되는 유효한 접속 정보가 나타내는 통신 방식과,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에 포함되는 유효한 접속 정보가 나타내는 통신 방식을 비교하여, 양쪽 제어 대상 장치가 대응하고 있는 통신 방식을, 제2 통신로에 있어서의 통신 방식으로서 결정한다. 또한, 양쪽 제어 대상 장치가 대응하고 있는 통신 방식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설정되어 있는 우선도에 따라서, 더 우선도가 높은 통신 방식을 제2 통신로에 있어서의 통신 방식으로서 결정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도 1의 B1로 예시하는 "유효 플래그"나 "스테이터스 정보", "유효 기한 정보", "이 인터페이스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가부" 등, 접속 정보에 포함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유효한 접속 정보를 판정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후술하는 송신 제어 처리에 있어서, 결정된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를,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에 송신시킨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양쪽 제어 대상 장치가 대응하고 있는 통신 방식을 제2 통신로에 있어서의 통신 방식으로서 결정함으로써,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제2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정상적으로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결정된 통신 방식에 있어서의 통신 거리가, 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거리보다도 짧은 통신 방식인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제어 대상 장치끼리를 근접시키는 취지의 통지를 유저에 대하여 행하여도 된다. 여기서, 상기 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거리로서는, 예를 들어 제1 통신로를 형성하는 통신 방식에 있어서의 통신 거리 등의 미리 설정되어 있는 거리나, 유저 조작 등에 의해 설정(또는 재설정)된 거리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결정된 통신 방식이, 제1 통신로를 형성하는 통신 방식에 있어서의 통신 속도보다도 빠르고, 제1 통신로를 형성하는 통신 방식에 있어서의 통신 거리보다도 짧은 통신 방식(예를 들어, TransferJet(등록상표) 등)인 경우에, 제어 대상 장치끼리를 근접시키는 취지의 통지를 유저에 대하여 행하여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대상 장치끼리를 근접시키는 취지의 통지로서는, 예를 들어 제어 대상 장치끼리를 근접시키는 취지의 가이드 화면을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는 것이나, 제어 대상 장치끼리를 근접시키는 취지의 가이드 음성을 출력시키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1-5) 결정 처리의 제5 예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제1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에 포함되는 접속 정보와,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에 포함되는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가 통신 가능한 통신 방식을 유저에 대하여 통지시켜도 된다.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가 통신 가능한 통신 방식을 유저에 대하여 통지시키는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유저 조작에 기초하여, 제2 통신로에 있어서의 통신 방식을 결정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가 통신 가능한 통신 방식의 통지로서는, 예를 들어 양쪽 제어 대상 장치가 대응하고 있는 통신 방식 중, 하나의 통신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한 선택 화면을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조작부(후술함)로부터 전달되는 유저 조작에 따른 조작 신호나, 리모트 컨트롤러 등의 외부 조작 디바이스로부터 송신되는 유저 조작에 따른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그 조작 신호가 나타내는 통신 방식을, 제2 통신로에 있어서의 통신 방식으로서 결정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후술하는 송신 제어 처리에 있어서, 결정한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를,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에 송신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양쪽 제어 대상 장치가 대응하고 있는 통신 방식 중 유저 조작에 기초하는 통신 방식을, 제2 통신로에 있어서의 통신 방식으로서 결정함으로써,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제2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정상적으로 행하게 할 수 있다.
(1-6) 결정 처리의 제6 예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능력 정보에는, 유효 기한(예를 들어, 횟수나 시간에 관한 조건)을 나타내는 정보(데이터; 도 1의 B1로 예시하는 유효 기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에 대하여 송신시키는 접속 정보(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에 포함되는, 유효 기한을 나타내는 정보가 나타내는 유효 기한 내에, 그 접속 정보가 송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취득된 접속 정보를 무효의 상태로 하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유효 기한을 나타내는 정보가 나타내는 유효 기한에 관한 통지(예를 들어, 수 분 이내에 터치 조작 등을 행할 필요가 있음을 나타내는 통지나, 유효 터치의 잔여 횟수를 나타내는 통지 등)를 행하게 하여도 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접속 정보에 포함되는 유효 플래그를 무효의 상태로 함(예를 들어, 도 1의 B1의 예에서는, "Disable"로 함)으로써, 접속 정보를 무효의 상태로 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접속 정보를 무효의 상태로 하는 처리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취득된 접속 정보를 삭제함으로써, 취득된 접속 정보를 무효의 상태로 하여도 된다.
상기와 같이 취득된 접속 정보를 무효의 상태로 함으로써,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유효 기한이 경과한 접속 정보에 기초하는 제어 대상 장치 간의 통신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취득된 접속 정보를 무효의 상태로 함으로써,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더 엄격하게 제어 대상 장치 간에 있어서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취득된 접속 정보를 무효의 상태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 접속 정보의 유효 기한이 만료된 것을, 유저에 대하여 통지시켜도 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접속 정보의 유효 기한이 만료된 것에 관한 통지로서는, 예를 들어 접속 정보의 유효 기한이 만료된 취지를 나타내는 경고 화면을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는 것이나, 다시 각 제어 대상 장치에 대한 터치 조작을 행하는 취지의 가이드 화면을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1-7) 결정 처리의 제7 예
또한,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2 제어 대상 장치가, 제2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행할 수 없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행할 수 없는 경우로서는,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2 제어 대상 장치가, 공통의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경우나, 공통의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애플리케이션에 호환성이 없는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취득된 각 제어 대상 장치의 능력 정보(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접속 정보나, 애플리케이션 정보 등, 능력 정보에 포함되는 각종 데이터)를 대조하여, 제2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제2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행할 수 있다고 판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가 통신을 행할 수 없다는 취지의 에러를, 유저에 대하여 통지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에러 통지로서는, 예를 들어 에러 메시지나 에러 화상을 포함하는 에러 화면을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는 것이나, 에러 메시지를 나타내는 음성을 출력시키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2) 송신 제어 처리
상기 (1)의 처리(결정 처리)에 있어서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가 결정되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결정된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에 대하여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를 송신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상기 (1)의 처리(결정 처리)에 있어서 판정된,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의 유무의 조합에 대응하는 통신로에 의해, 접속 정보를 송신시킨다.
(2-1) 상기 (1)의 처리(결정 처리)에 있어서 상기 제1 조합 또는 상기 제2 조합이라고 판정된 경우
상기 (1)의 처리(결정 처리)에 있어서 상기 제1 조합 또는 상기 제2 조합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는, 제1 통신로에 의해 접속 정보를 수신하고,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의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제1 통신로에 의해 접속 정보를 송신시킨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가 접속 정보를 송신시키는 제1 통신로는, 처리 능력 정보의 취득에 관한 제1 통신로이어도 되고, 다시 형성된 제1 통신로이어도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제1 통신로가 NFC에 의해 형성되는 통신로인 경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가, 처리 능력 정보의 취득에 관한 제1 통신로에 의해 접속 정보를 송신시킴으로써 유저에게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에의 터치 조작을 다시 행하게 하지 않고,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에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를 처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처리 능력 정보를 취득한 제1 통신로에 의해,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를,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에 대하여 송신시킬 수 있는 경우에는, 처리 능력 정보의 취득에 관한 제1 통신로에 의해 접속 정보를 송신시킨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처리 능력 정보를 취득한 제1 통신로에 의해,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를,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에 대하여 송신시킬 수 없는 경우에,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다시 행하게 하여 제1 통신로를 다시 형성시킨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다시 형성된 제1 통신로에 의해,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를,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에 대하여 송신시킨다.
여기서, 처리 능력 정보를 취득한 제1 통신로에 의해, 접속 정보를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에 대하여 송신시킬 수 없는 경우로서는, 예를 들어 하기의 (a) 내지 (e)와 같은 경우를 들 수 있다.
(a) 상기 (1)의 처리(결정 처리)에 있어서 결정된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의 장치가,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 중, 더 빨리 취득된 처리 능력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대상 장치인 경우
(b) 제2 통신로에 의해 P2P 통신을 행하는 데 있어서 이용되는 통신 방식(제2 통신로를 형성하는 통신 방식)이, 예를 들어 IEEE 802.15.1이나 ZigBee(등록상표)와 같이, 노드끼리 주종 관계를 갖는 통신 방식인 경우
(c) 제2 통신로를 형성하는 통신 방식이, 상호 인증을 필요로 하는 통신 방식이며, 상호 인증에 필요한 인증 데이터(예를 들어, 도 1의 B1로 예시하는 인증 방식, 인증 정보)의 교환이 행해지는 경우
(d) 제2 통신로를 형성하는 통신 방식이, 통신로 암호화를 행하는 통신 방식이며, 통신로 암호화에 필요한 세션 키의 교환이 행해지는 경우
(e)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를 통하여, 하나의 제어 대상 장치의 스테이터스 정보(예를 들어, 도 1의 B1로 예시하는 스테이터스 정보)가 다른 제어 대상 장치에 전달되고,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가, 그 다른 제어 대상 장치로부터 송신된, 그 하나의 제어 대상 장치의 스테이터스의 변경을 요구하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b)의 경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1)의 처리(결정 처리)에 있어서, 각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노드끼리의 주종 관계를 판정하고,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한다. 또한, 상기 (c)의 경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1)의 처리(결정 처리)에 있어서, 각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 장치끼리가 상호 인증을 행하기 위해 인증 데이터를 교환할 필요가 있는지를 판정하고,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한다. 또한, 상기 (d)의 경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1)의 처리(결정 처리)에 있어서, 각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 장치끼리가 통신로 암호화를 위한 세션 키를 교환할 필요가 있는지를 판정하고,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한다. 또한, 상기 (e)의 경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수신된 스테이터스의 변경을 요구하는 신호에 기초하여, 스테이터스의 변경처의 제어 대상 장치를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로서 결정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b) 내지 (d) 각각의 판정 결과, 상기 (e)의 결정 결과에 기초하여,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가,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 중, 더 빨리 취득된 능력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대상 장치인 경우에, 능력 정보를 취득한 제1 통신로에 의해, 접속 정보를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에 대하여 송신시킬 수 없다고 판정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처리 능력 정보를 취득한 제1 통신로에 의해,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를,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에 대하여 송신시킬 수 있는 경우에 있어서,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다시 행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통신로를 다시 형성하는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전술한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개시 통지를 유저에 대하여 통지시켜도 된다. 또한, 상기 (c)의 경우에는, 인증 결과(예를 들어, 성공/실패)가 유저에 대하여 통지되어도 된다.
(2-2) 상기 (1)의 처리(결정 처리)에 있어서 상기 제3 조합이라고 판정된 경우
상기 (1)의 처리(결정 처리)에 있어서 상기 제3 조합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는, 제1 통신로에 의해 접속 정보를 수신하고, 처리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의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접속 정보에 기초하는 제3 통신로(제1 통신로와는 다른 통신로)에 의해 접속 정보를 송신시킨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1)의 처리(결정 처리)에 있어서 판정된,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의 유무의 조합에 대응하는 통신로에 의해, 접속 정보를 송신시킨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송신 제어 처리는, 상기 (1)의 처리(결정 처리)에 있어서 판정된,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의 유무의 조합에 대응하는 통신로에 의해, 접속 정보를 송신시키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1)의 처리(결정 처리)에 있어서의 조합의 판정 결과에 의하지 않고, 제3 통신로를 통한 통신에 의해, 접속 정보를 송신시켜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상기 (1)의 처리(결정 처리)에 있어서 결정된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를,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에 대하여 송신시킨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로서, 예를 들어 상기 (1)의 처리(결정 처리) 및 상기 (2)의 처리(송신 제어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1)의 처리(결정 처리)에 있어서,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를 송신하는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하고, 상기 (2)의 처리(송신 제어 처리)에 있어서, 결정된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에 대하여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를 송신시킨다. 또한, 상기 (1)의 처리(결정 처리)에 있어서 결정되는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는,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 중,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를 수신하여, 그 접속 정보를 처리하는 것이 가능한 제어 대상 장치이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1)의 처리(결정 처리) 및 상기 (2)의 처리(송신 제어 처리)를 행함으로써,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는,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1)의 처리(결정 처리) 및 상기 (2)의 처리(송신 제어 처리)를 행함으로써, 예를 들어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의 한쪽 또는 양쪽이, NFC 태그 등이 부착된 기기인 경우이더라도,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는, 제2 통신로를 통해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제어 대상 장치 간에 있어서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가 제어 대상 장치 간에 있어서의 통신을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제어 대상 장치 간에 있어서의 핸드오버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에 대하여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를 송신시키므로, 유저는,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가 제2 통신로를 통해 통신을 행하기 위한 인증 처리나 설정 처리를 의식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유저의 편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2]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의 구체예
다음으로, 전술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A)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있어서의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의 유무의 조합이 상기 제1 조합인 경우, (B) 그 조합이 상기 제2 조합인 경우, (C) 그 조합이 상기 제3 조합인 경우,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제1 통신로에 의해 취득되는, 제1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와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 중, 적어도 한쪽 능력 정보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 능력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를 주로 예로 들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능력 정보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 능력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그 처리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그 능력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대상 장치에 있어서의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의 유무를 판정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능력 정보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 능력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그 능력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대상 장치가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을 갖지 않는다고 간주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제1 제어 대상 장치 및 제2 제어 대상 장치 중 적어도 한쪽 제어 대상 장치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제1 통신로의 세션의 확립에 관한 통신에 의해, 처리 능력 정보를 취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통신로의 세션의 확립에 관한 통신에 의해, 처리 능력 정보를 취득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의 일례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D)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의 다른 예에 있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가, 스마트폰 등의 가반형 통신 장치인 경우를 예로 들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가 통신을 제어하는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인, 제1 제어 대상 장치가 PC(Personal Computer)이며, 제2 제어 대상 장치가 프린터인 경우를 주로 예로 들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가 가반형 통신 장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대상 장치가, PC와 프린터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를 「정보 처리 장치(100)」라 하고,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제어 대상 장치를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라 하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2 제어 대상 장치를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라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통신로가, NFC에 의해 형성되는 통신로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A) 상기 제1 조합에 있어서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
(A-1)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의 제1 예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의 제1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정보 처리 장치(100),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 및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를 갖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는,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있어서의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의 유무의 조합이 상기 제1 조합인 경우에 있어서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는,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가,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갖지 않고,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가,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도 2에 도시한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0)가 NFC에 있어서의 이니시에이터 기능(소위, 리더/라이터 기능. 이하, 마찬가지)과, NFC에 있어서의 타깃 기능(소위, 카드 기능, 이하, 마찬가지)을 갖고,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가, NFC에 있어서의 타깃 기능을 갖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는,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를 기억하는 NFC 태그가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는,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가, IEEE 802.15.1에 대응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2에서는, 스텝 S104의 처리가, 상기 (1)의 처리(결정 처리)에 해당되고, 스텝 S106의 처리가, 상기 (2)의 처리(송신 제어 처리)에 해당된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부착된 NFC 태그와의 사이에서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행하고,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 A를 취득한다(S100).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부착된 NFC 태그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은,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0)가 리더/라이터의 역할을 함으로써 행해진다. 또한, 능력 정보 A로서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포맷의 데이터를 들 수 있지만, 능력 정보 A는, 도 1에 도시한 포맷의 데이터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와의 사이에서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행하고,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 B를 취득한다(S102).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은,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0)가 리더/라이터의 역할을 함으로써 행해진다. 또한, 능력 정보 B로서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포맷의 데이터를 들 수 있지만, 능력 정보 B는, 도 1에 도시한 포맷의 데이터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텝 S100에 있어서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 A가 취득되고, 스텝 S102에 있어서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 B가 취득되면, 정보 처리 장치(100)는, 능력 정보 A와 능력 정보 B에 기초하여,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한다(S104). 여기서, 도 2에 도시한 예에서는,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가,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갖고 있지 않고,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가,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따라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스텝 S104에 있어서,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를,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로서 결정한다.
스텝 S104에 있어서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가 결정되면, 정보 처리 장치(100)는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인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대하여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 A(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를 제1 통신로에 의해 송신시킨다(S106). 여기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스텝 S102에 있어서 능력 정보 B를 취득한 제1 통신로에 의한 접속 정보의 송신이 가능한 경우에는, 능력 정보 B를 취득한 제1 통신로에 의해 접속 정보를 송신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능력 정보 B를 취득한 제1 통신로에 의해 접속 정보를 송신시킴으로써 정보 처리 장치(100)는, 다시 유저에게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대한 터치 조작을 행하게 하지 않고, 접속 정보를 송신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능력 정보 B를 취득한 제1 통신로에 의해 접속 정보를 송신시키는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100)는 유저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스텝 S106의 처리는, 능력 정보 B를 취득한 제1 통신로에 의해 접속 정보 A를 송신시키는 처리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0)는,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와의 사이에서 다시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행하고, 다시 형성된 제1 통신로에 의해 접속 정보 A를 송신시켜도 된다.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와의 사이에서 다시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행하는 경우,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개시 통지를 유저에 대하여 통지시킨다.
여기서, 도 2에서는,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는,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므로,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는, 스텝 S106에 있어서 송신된 접속 정보 A를 수신하고, 수신된 접속 정보 A를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스텝 S106에 있어서 송신된 접속 정보 A를 수신한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는, 수신된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 A를 이용하여,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의 사이에서 제2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개시한다(S108). 도 2에 도시한 예에서는,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는,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의 사이에서, IEEE 802.15.1에 대응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한 통신을 행한다.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가,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갖지 않고,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가,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의 사이에서, 제2 통신로를 통한 통신이 행해진다. 따라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제어 대상 장치 간에 있어서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A-2)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의 제2 예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의 제2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정보 처리 장치(100),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 및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를 갖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3은,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있어서의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의 유무의 조합이 상기 제1 조합인 경우에 있어서의 처리의 다른 예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은,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가,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며,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가,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갖고 있지 않은 예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도 3에 도시한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0)가 NFC에 있어서의 이니시에이터 기능과, NFC에 있어서의 타깃 기능을 갖고,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가, NFC에 있어서의 타깃 기능을 갖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는,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를 기억하는 NFC 태그가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는,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가, IEEE 802.15.1에 대응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3에서는, 스텝 S204의 처리가, 상기 (1)의 처리(결정 처리)에 해당되고, 스텝 S206의 처리가, 상기 (2)의 처리(송신 제어 처리)에 해당된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의 사이에서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행하고,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 A를 취득한다(S200).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은,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0)가 리더/라이터의 역할을 함으로써 행해진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부착된 NFC 태그와의 사이에서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행하고,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 B를 취득한다(S202).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부착된 NFC 태그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은,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0)가 리더/라이터의 역할을 함으로써 행해진다.
스텝 S200에 있어서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 A가 취득되고, 스텝 S202에 있어서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 B가 취득되면, 정보 처리 장치(100)는 능력 정보 A와 능력 정보 B에 기초하여,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한다(S204). 여기서, 도 3에 도시한 예에서는,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가,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며,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가,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갖고 있지 않다. 따라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스텝 S204에 있어서,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를,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로서 결정한다.
스텝 S104에 있어서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가 결정되면, 정보 처리 장치(100)는,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인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대하여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 B(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를 제1 통신로에 의해 송신시킨다(S206).
여기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스텝 S200에 있어서 능력 정보 A를 취득한 제1 통신로에 의한 접속 정보의 송신이 가능한 경우에는, 능력 정보 A를 취득한 제1 통신로에 의해 접속 정보를 송신시킨다. 그러나, 제1 통신로가 NFC에 의해 형성되는 통신로인 경우에는, 통신 가능 거리의 관계상, 스텝 S202의 처리가 행해지는 단계에서, 능력 정보 A를 취득한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은 종료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스텝 S200에 있어서 능력 정보 A를 취득한 제1 통신로에 의한 접속 정보의 송신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100)는,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의 사이에서 다시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행하고, 다시 형성된 제1 통신로에 의해 접속 정보 B를 송신시킨다.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의 사이에서 다시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행하는 경우,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개시 통지를 유저에 대하여 통지시킨다.
여기서, 도 3에서는,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는,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므로,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는, 스텝 S206에 있어서 송신된 접속 정보 B를 수신하고, 수신된 접속 정보 B를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스텝 S206에 있어서 송신된 접속 정보 B를 수신한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는, 수신된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 B를 이용하여,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와의 사이에서 제2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개시한다(S208). 도 3에 도시한 예에서는,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는,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와의 사이에서, IEEE 802.15.1에 대응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한 통신을 행한다.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가,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며,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가,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갖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의 사이에서, 제2 통신로를 통한 통신이 행해진다. 따라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제어 대상 장치 간에 있어서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있어서의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의 유무의 조합이 상기 제1 조합인 경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제1 예에 따른 처리나, 도 3에 도시한 제2 예에 따른 처리를 행한다. 또한,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있어서의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의 유무의 조합이 상기 제1 조합인 경우에 있어서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처리는, 상기 제1 예에 따른 처리나 상기 제2 예에 따른 처리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의 일례를 제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4는,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있어서의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의 유무의 조합이 상기 제1 조합인 경우에 있어서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이, 도 2에 도시한 구성인 경우에 있어서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정보 처리 장치(100)와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부착된 NFC 태그 사이의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정보 처리 장치(100)와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 사이의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으로 나타내고 있다.
정보 처리 장치(100)와,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부착된 NFC 태그는,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접속 처리를 행한다(S300).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접속 처리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통신로의 세션의 확립에 관한 통신에 관련된 처리에 해당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접속 처리로서는, 예를 들어 리더/라이터의 역할을 하는 하나의 장치가 폴링을 행하고, 다른 장치가 그 폴링에 대한 응답을 행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폴링에 대한 응답을 수신함으로써, 리더/라이터의 역할을 하는 하나의 장치는,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이 가능한 장치가 존재하는 것을 인식한다. 스텝 S300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0)가 리더/라이터의 역할을 한다.
스텝 S300의 처리가 행해지면, 정보 처리 장치(100)는, 능력 정보를 송신시키는 송신 명령을 포함하는 능력 정보 송신 요구를 제1 통신로에 의해 송신한다(S302). 여기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ASK(Amplitude Shift Keying; 진폭 편이 변조)를 행함으로써, 능력 정보 송신 요구를 송신한다.
스텝 S302에 있어서 송신된 능력 정보 송신 요구를 수신한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부착된 NFC 태그는, 그 능력 정보 송신 요구에 기초하여, 기억하고 있는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 A를, 제1 통신로에 의해 송신한다(S304).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부착된 NFC 태그는, 예를 들어 부하 변조를 행함으로써, 능력 정보 A를 송신한다.
스텝 S304에 있어서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부착된 NFC 태그로부터 송신된 능력 정보 A를 수신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와의 사이에서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개시 통지를 유저에 대하여 통지시킨다(S306). 여기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대한 터치 조작을 행하는 취지의 가이드 화면을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는 것이나,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대한 터치 조작을 행하는 취지의 가이드 음성을, (자 장치가 구비하거나, 또는 외부의) 음성 출력 디바이스로 출력시키는 것 등에 의해, 개시 통지를 유저에 대하여 통지시킨다.
스텝 S306의 처리를 행하면, 정보 처리 장치(100)와,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는,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접속 처리를 행한다(S308). 스텝 S308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0)가 리더/라이터의 역할을 하고,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스텝 S306의 처리가 행해진 후에 폴링을 개시한다.
스텝 S308의 처리가 행해지면, 정보 처리 장치(100)는 스텝 S302와 마찬가지로, 능력 정보 송신 요구를 제1 통신로에 의해 송신한다(S310).
스텝 S310에 있어서 송신된 능력 정보 송신 요구를 수신한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는, 그 능력 정보 송신 요구에 기초하여, 기억하고 있는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 B를, 스텝 S304와 마찬가지로, 제1 통신로에 의해 송신한다(S312).
여기서, 제1 통신로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100)와 통신을 행한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는, 예를 들어 IEEE 802.15.1에 대응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등의 제2 통신로를 형성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의 활성화 및 통신 채널의 예약을 행하여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통신로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100)와 통신을 행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대상 장치가, 제2 통신로를 형성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의 활성화 및 통신 채널의 예약을 행함으로써,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는, 제어 장치 간에 있어서의 제2 통신로를 통한 통신이 보다 원활하게 행해진다.
또한, 제2 통신로를 형성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의 활성화 및 통신 채널의 예약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설정되어 있는 소정의 시간, 예약된 통신 채널에 의한 제2 통신로를 통한 통신이 확립되지 않았을 때에는,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는, 예를 들어 그 통신 채널의 해방 및 그 통신 인터페이스의 비활성화를 행하여도 된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시간은, 미리 설정된 것이어도 되고, 유저 조작 등에 기초하여 설정(또는 재설정)된 것이어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통신로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100)와 통신을 행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대상 장치가, 제2 통신로를 형성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의 비활성화 및 통신 채널의 해방을 행함으로써,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대상 장치는, 소비 전력의 저감이나, 통신 자원의 유효 이용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2 통신로를 형성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의 활성화 및 통신 채널의 예약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능력 정보 송신 요구가 새롭게 수신되었을 때에는,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는, 예를 들어 그 통신 채널의 해방 및 그 통신 인터페이스의 비활성화를 행하여도 된다. 능력 정보 송신 요구가 새롭게 수신된 경우에는,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는, 그 능력 정보 송신 요구에 기초하여,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 B를 송신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통신로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100)와 통신을 행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대상 장치가, 새롭게 수신된 능력 정보 송신 요구에 기초하여, 제2 통신로를 형성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의 비활성화, 통신 채널의 해방 및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 B를 송신함으로써, 제어 대상 장치 간에 있어서 더 유연한 통신이 행해지는 정보 처리 시스템이 실현된다.
제1 통신로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100)와 통신을 행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대상 장치는,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은 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이하, 마찬가지).
스텝 S312에 있어서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로부터 송신된 능력 정보 B를 수신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스텝 S304에 있어서 수신한 능력 정보 A 및 스텝 S312에 있어서 수신한 능력 정보 B에 기초하여,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한다(S314). 여기서, 도 4는, 도 2에 도시한 구성인 경우에 있어서의 처리의 일례이므로,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가,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갖지 않고,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가,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따라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스텝 S314에 있어서,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를,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로서 결정한다.
스텝 S314에 있어서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가 결정되면, 정보 처리 장치(100)는,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인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대하여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 A를 송신한다(S316). 여기서, 스텝 S308에 있어서 접속된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이 가능한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100)는 능력 정보 B를 수신한 그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에 의해, 접속 정보 A를 송신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스텝 S308과 마찬가지의 처리를 다시 행하여,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와의 사이에서 다시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행하고, 다시 형성된 제1 통신로에 의해,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대하여 접속 정보 A를 송신하여도 된다. 또한,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와의 사이에서 다시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행하는 경우,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스텝 S306과 마찬가지로,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개시 통지를 유저에 대하여 통지시킨다.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는, 스텝 S316에 있어서 송신된 접속 정보 A의 수신 결과에 따른 응답 신호를 송신한다(S318).
스텝 S318에 있어서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로부터 송신된 응답 신호를 수신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응답 신호에 기초하는 통지를 유저에 대하여 행하게 한다(S320). 응답 신호에 기초하는 통지로서는, 예를 들어 접속 정보 A의 송신이 정상적으로 행해진 것을 나타내는 완료 통지(응답 신호가, 접속 정보 A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경우)나, 접속 정보 A의 송신이 정상적으로 행해지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에러 통지(응답 신호가, 접속 정보 A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완료 화면이나 에러 화면을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는 것 등에 의해, 응답 신호에 기초하는 통지를 행하게 한다. 또한, 응답 신호가 접속 정보 A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경우, 정보 처리 장치(100)는, 다시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대한 터치 조작을 행하는 취지의 가이드 화면을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거나, 그 터치 조작을 행하는 취지의 가이드 음성을 출력시키는 등, 유저를 가이드하기 위한 통지를 행하여도 된다.
스텝 S316에 있어서 송신된 접속 정보 A를 수신한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는,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 A를 이용하여,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의 사이에서 제2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개시한다(S322).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는,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와의 사이에서, 제2 통신로를 통한 통신이 행해진다. 여기서, 도 4에서는, 스텝 S314의 처리가 상기 (1)의 처리(결정 처리)에 해당되고, 스텝 S316의 처리가 상기 (2)의 처리(송신 제어 처리)에 해당된다. 따라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제어 대상 장치 간에 있어서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는, 도 4에 도시한 처리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4에서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이, 도 2에 도시한 구성인 경우에 있어서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이,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구성인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100)는,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를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로 결정하여,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대하여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 B를 송신한다. 또한, 상기의 경우에는,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는,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 B를 이용하여,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와의 사이에서 제2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에서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100)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를 행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대상 장치(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제어 대상 장치, 및/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2 제어 대상 장치)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대상 장치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를 행하는 경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대상 장치는,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정보 처리 장치와의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에 의해, 그 정보 처리 장치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를 행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정보 처리 장치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를 행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고 판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대상 장치는,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정보 처리 장치에 기록되는 특정한 포맷을 통하여, 접속 정보를 이동시키는 방향이나, 통신 방식, 정보의 종별 등을 결정한다.
(B) 상기 제2 조합에 있어서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의 다른 예로서, 상기 제2 조합에 있어서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B-1)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의 제3 예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의 제3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정보 처리 장치(100),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 및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를 갖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5는,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있어서의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의 유무의 조합이 상기 제2 조합인 경우에 있어서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는,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가,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며,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도,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도 5에 도시한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0),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 및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 각각이, NFC에 있어서의 이니시에이터 기능과, NFC에 있어서의 타깃 기능을 갖고, 또한 장치 간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는,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가, 예를 들어 IEEE 802.15.1이나 IEEE 802.11b 등의 복수의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5에서는, 스텝 S404의 처리가, 상기 (1)의 처리(결정 처리)에 해당되고, 스텝 S406의 처리가, 상기 (2)의 처리(송신 제어 처리)에 해당된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의 사이에서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행하고,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 A를 취득한다(S400).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은, 정보 처리 장치(100) 또는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가 리더/라이터의 역할을 함으로써 행해진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와의 사이에서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행하고,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 B를 취득한다(S402).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은,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0) 또는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가 리더/라이터의 역할을 함으로써 행해진다.
스텝 S400에 있어서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 A가 취득되고, 스텝 S402에 있어서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 B가 취득되면, 정보 처리 장치(100)는 능력 정보 A와 능력 정보 B에 기초하여,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한다(S404). 여기서, 도 5에 도시한 예에서는,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의 양쪽이,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스텝 S404에 있어서, 예를 들어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 중, 더 늦게 취득된 능력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대상 장치인,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를,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로서 결정한다.
또한, 스텝 S404의 처리는,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 중, 더 늦게 취득된 능력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대상 장치를,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로서 결정하는 처리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0)는, 스텝 S404에 있어서,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에 포함되는 접속 정보와,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에 포함되는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하여도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1)의 처리(결정 처리)에 해당하는 스텝 S404의 처리에 있어서,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가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로서 결정된 경우를 예로 들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2 조합에 있어서의 상기 (1)의 처리(결정 처리)에 있어서,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가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로서 결정된 경우의 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스텝 S404에 있어서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가 결정되면, 정보 처리 장치(100)는, 도 2에 도시한 스텝 S106과 마찬가지로,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인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대하여,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 A(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를 제1 통신로에 의해 송신시킨다(S406).
여기서, 도 5에 도시한 예에서는,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는, 제2 통신로를 형성 가능한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복수 갖고 있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에 포함되는 접속 정보가 나타내는 통신 방식과,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에 포함되는 접속 정보가 나타내는 통신 방식을 비교하여, 양쪽 제어 대상 장치가 대응하고 있는 통신 방식을, 제2 통신로에 있어서의 통신 방식으로서 결정한다. 또한, 양쪽 제어 대상 장치가 대응하고 있는 통신 방식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설정되어 있는 우선도에 따라서, 보다 우선도가 높은 통신 방식을 제2 통신로에 있어서의 통신 방식으로서 결정한다. 그리고, 정보 처리 장치(100)는, 결정된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 A를, 제1 통신로에 의해 송신시킨다.
도 5에서는,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는,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므로,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는, 스텝 S406에 있어서 송신된 접속 정보 A를 수신하고, 수신된 접속 정보 A를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스텝 S406에 있어서 송신된 접속 정보 A를 수신한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는, 수신된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 A를 이용하여,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의 사이에서 제2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개시한다(S408). 도 5에 도시한 예에서는,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는,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의 사이에서, 접속 정보 A가 나타내는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한 통신을 행한다.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의 양쪽이,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는,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와의 사이에서, 제2 통신로를 통한 통신이 행해진다. 따라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제어 대상 장치 간에 있어서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B-2)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의 제4 예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의 제4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정보 처리 장치(100),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 및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를 갖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6은,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있어서의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의 유무의 조합이 상기 제2 조합인 경우에 있어서의 처리의 다른 예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6은,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가,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며,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도,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도 6에 도시한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0),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 및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 각각이, NFC에 있어서의 이니시에이터 기능과, NFC에 있어서의 타깃 기능을 갖고, 또한 장치 간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는,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가, 예를 들어 IEEE 802.15.1에 대응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와, IEEE 802.11b에 대응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가, 예를 들어 IEEE 802.15.1에 대응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6에서는, 스텝 S504의 처리가, 상기 (1)의 처리(결정 처리)에 해당되고, 스텝 S506의 처리가, 상기 (2)의 처리(송신 제어 처리)에 해당된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도 5에 도시한 스텝 S400과 마찬가지로,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의 사이에서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행하고,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 A를 취득한다(S500).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도 5에 도시한 스텝 S402와 마찬가지로,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와의 사이에서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행하고,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 B를 취득한다(S502).
스텝 S500에 있어서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 A가 취득되고, 스텝 S502에 있어서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 B가 취득되면, 정보 처리 장치(100)는 능력 정보 A와 능력 정보 B에 기초하여,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한다(S504). 여기서, 도 6에 도시한 예에서는,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의 양쪽이,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스텝 S504에 있어서, 예를 들어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에 포함되는 접속 정보와,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에 포함되는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한다.
여기서, 스텝 S504에 있어서의 능력 정보에 기초하는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의 결정 처리의 구체예를 예시한다.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 A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100)는,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가, IEEE 802.15.1에 대응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와, IEEE 802.11b에 대응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 B에 의해, 정보 처리 장치(100)는,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가, IEEE 802.15.1에 대응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각 능력 정보에 포함되는 접속 정보(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 1의 B1로 예시하는 스테이터스 정보)에 의해, 각 제어 대상 장치가 구비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의 기동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의 예에서는,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가 구비하는 IEEE 802.15.1에 대응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와, IEEE 802.11b에 대응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의 양쪽이 정지 상태이며,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가 구비하는 IEEE 802.15.1에 대응하는 통신 인터페이스가 기동 상태인 것으로 한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취득된 능력 정보 A, 능력 정보 B로부터 상기의 상태를 특정함으로써,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가 모두 대응하는 IEEE 802.15.1을, 제2 통신로를 형성하는 통신 방식으로서 결정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IEEE 802.15.1에 따라 형성되는 제2 통신로에 의해,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통신을 행하게 하기 위해서는,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가 구비하는 IEEE 802.15.1에 대응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기동 상태로 할 필요가 있다고 판정한다.
상기와 같은 결정 등을 행함으로써, 정보 처리 장치(100)는, 스텝 S504에 있어서,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를,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로서 결정한다.
스텝 S504에 있어서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가 결정되면, 정보 처리 장치(100)는, 도 3에 도시한 스텝 S206과 마찬가지로,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인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대하여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 B(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를 제1 통신로에 의해 송신시킨다(S506).
도 6에서는,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는,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므로,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는, 스텝 S506에 있어서 송신된 접속 정보 B를 수신하고, 수신된 접속 정보 B를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스텝 S506에 있어서 송신된 접속 정보 B를 수신한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는, 수신된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 B를 이용하여,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의 사이에서 제2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개시한다(S508). 도 6에 도시한 예에서는,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는,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의 사이에서, IEEE 802.15.1에 대응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한 통신을 행한다.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의 양쪽이,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는,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와의 사이에서, 제2 통신로를 통한 통신이 행해진다. 따라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제어 대상 장치 간에 있어서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있어서의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의 유무의 조합이 상기 제2 조합인 경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제3 예에 따른 처리나, 도 6에 도시한 제4 예에 따른 처리를 행한다. 또한,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있어서의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의 유무의 조합이 상기 제2 조합인 경우에 있어서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처리는, 상기 제3 예에 따른 처리나 상기 제4 예에 따른 처리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의 일례를 제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7은,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있어서의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의 유무의 조합이 상기 제2 조합인 경우에 있어서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이, 도 6에 도시한 구성인 경우에 있어서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정보 처리 장치(100)와,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는,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접속 처리를 행한다(S600). 스텝 S600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0) 또는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가 리더/라이터의 역할을 한다.
스텝 S600의 처리가 행해지면, 정보 처리 장치(100)는 도 4에 도시한 스텝 S302와 마찬가지로, 능력 정보를 송신시키는 송신 명령을 포함하는 능력 정보 송신 요구를 제1 통신로에 의해 송신한다(S602).
스텝 S602에 있어서 송신된 능력 정보 송신 요구를 수신한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는, 도 4에 도시한 스텝 S304와 마찬가지로, 그 능력 정보 송신 요구에 기초하여, 기억하고 있는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 A를, 제1 통신로에 의해 송신한다(S604).
스텝 S604에 있어서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로부터 송신된 능력 정보 A를 수신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도 4에 도시한 스텝 S306과 마찬가지로,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와의 사이에서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개시 통지를 유저에 대하여 통지시킨다(S606).
스텝 S606의 처리를 행하면, 도 4에 도시한 스텝 S308과 마찬가지로, 정보 처리 장치(100)와,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는,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접속 처리를 행한다(S608).
스텝 S608의 처리가 행해지면, 정보 처리 장치(100)는 도 4에 도시한 스텝 S310과 마찬가지로, 능력 정보 송신 요구를 제1 통신로에 의해 송신한다(S610).
스텝 S610에 있어서 송신된 능력 정보 송신 요구를 수신한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는, 도 4에 도시한 스텝 S312와 마찬가지로, 그 능력 정보 송신 요구에 기초하여, 기억하고 있는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 B를, 제1 통신로에 의해 송신한다(S612).
스텝 S612에 있어서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로부터 송신된 능력 정보 B를 수신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스텝 S604에 있어서 수신한 능력 정보 A 및 스텝 S612에 있어서 수신한 능력 정보 B에 기초하여,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한다(S614).
여기서, 도 7은, 도 6에 도시한 구성인 경우에 있어서의 처리의 일례이므로,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의 양쪽이,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스텝 S614에 있어서, 예를 들어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에 포함되는 접속 정보와,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에 포함되는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한다.
이하에서는, 스텝 S614의 처리에 있어서,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가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로서 결정된 경우를 예로 들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스텝 S614의 처리에 있어서,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가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로서 결정된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스텝 S616으로부터의 처리가 아니라, 도 4에 도시한 스텝 S316으로부터의 처리를 행한다.
스텝 S614에 있어서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가 결정되면, 정보 처리 장치(100)는,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의 사이에서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개시 통지를 유저에 대하여 통지시킨다(S616). 여기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대한 터치 조작을 행하는 취지의 가이드 화면을 표시 화면에 표시시키는 것이나,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대한 터치 조작을 행하는 취지의 가이드 음성을, (자 장치가 구비하거나, 또는 외부의) 음성 출력 디바이스로 출력시키는 것 등에 의해, 개시 통지를 유저에 대하여 통지시킨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와,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는, 스텝 S600과 마찬가지로,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접속 처리를 행한다(S618).
스텝 S618의 처리가 행해지면, 정보 처리 장치(100)는,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인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대하여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 B를, 제1 통신로에 의해 송신한다(S620).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는, 스텝 S620에 있어서 송신된 접속 정보 B의 수신 결과에 따른 응답 신호를, 제1 통신로에 의해 송신한다(S622).
스텝 S622에 있어서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로부터 송신된 응답 신호를 수신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도 4에 도시한 스텝 S320과 마찬가지로, 응답 신호에 기초하는 통지를 유저에 대하여 행하게 한다(S624).
스텝 S620에 있어서 송신된 접속 정보 B를 수신한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는,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 B를 이용하여,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와의 사이에서 제2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개시한다(S626).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는,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와의 사이에서, 제2 통신로를 통한 통신이 행해진다. 여기서, 도 7에서는, 스텝 S614의 처리가 상기 (1)의 처리(결정 처리)에 해당되고, 스텝 S620의 처리가 상기 (2)의 처리(송신 제어 처리)에 해당된다. 따라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제어 대상 장치 간에 있어서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는, 도 7에 도시한 처리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0)는 스텝 S614에 있어서,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 중, 더 늦게 취득된 능력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대상 장치를,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로 하여도 된다. 상기와 같이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하는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100)는,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 중, 더 늦게 취득된 능력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대상 장치인,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를,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로서 결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에서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100)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를 행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의 구성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대상 장치(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제어 대상 장치, 및/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2 제어 대상 장치)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C) 상기 제3 조합에 있어서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의 다른 예로서, 상기 제3 조합에 있어서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C-1)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의 제5 예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의 제5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정보 처리 장치(100),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 및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를 갖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8은,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있어서의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의 유무의 조합이 상기 제3 조합인 경우에 있어서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8은,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가,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갖지 않고,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도,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갖지 않은 예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도 8에 도시한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0)가 NFC에 있어서의 이니시에이터 기능과, NFC에 있어서의 타깃 기능을 갖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는,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를 기억하는 NFC 태그가 부착되고,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를 기억하는 NFC 태그가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는,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가, IEEE 802.15.1에 대응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8에서는, 스텝 S704의 처리가, 상기 (1)의 처리(결정 처리)에 해당되고, 스텝 S708의 처리가, 상기 (2)의 처리(송신 제어 처리)에 해당된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도 2에 도시한 스텝 S100과 마찬가지로,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부착된 NFC 태그 사이에서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행하고,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 A를 취득한다(S700).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부착된 NFC 태그와의 사이에서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행하고,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 B를 취득한다(S702).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부착된 NFC 태그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은,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0)가 리더/라이터의 역할을 함으로써 행해진다.
스텝 S700에 있어서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 A가 취득되고, 스텝 S702에 있어서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 B가 취득되면, 정보 처리 장치(100)는 능력 정보 A와 능력 정보 B에 기초하여,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한다(S704). 여기서, 도 8에 도시한 예에서는,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의 양쪽이,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갖고 있지 않다. 따라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스텝 S704에 있어서, 예를 들어 능력 정보의 취득 순서, 설정되어 있는 우선도, 혹은 유저 조작에 기초하여,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1)의 처리(결정 처리)에 해당하는 스텝 S704의 처리에 있어서,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가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로서 결정된 경우를 예로 들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3 조합에 있어서의 상기 (1)의 처리(결정 처리)에 있어서,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가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로서 결정된 경우의 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스텝 S704에 있어서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가 결정되면, 정보 처리 장치(100)는,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인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와의 사이에서, 제3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개시한다(S706).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스텝 S702에 의해 취득된,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에 포함되는 접속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와 통신을 행한다. 도 8에 도시한 예에서는,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는, IEEE 802.15.1에 대응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에 포함되는 접속 정보가 나타내는 IEEE 802.15.1을, 제3 통신로를 형성하기 위한 통신 방식으로서 결정하고, 그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IEEE 802.15.1에 의한 통신을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와의 사이에서 개시한다.
또한,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0)가, IEEE 802.15.1에 대응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와 통신 가능한 통신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 등, 정보 처리 장치(100)와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의 일례)가 통신을 행할 수 없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상기의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가 통신을 행할 수 없다는 취지의 에러를, 유저에 대하여 통지한다.
스텝 S706에 있어서,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인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와의 사이에서 제3 통신로를 통한 통신이 개시되면, 정보 처리 장치(100)는,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인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대하여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 A(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를 제3 통신로에 의해 송신시킨다(S708).
여기서, 도 8에서는,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는, 제3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므로,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는, 스텝 S708에 있어서 송신된 접속 정보 A를 수신하고, 수신된 접속 정보 A를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스텝 S708에 있어서 송신된 접속 정보 A를 수신한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는, 수신된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 A를 이용하여,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의 사이에서 제2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개시한다(S710). 도 8에 도시한 예에서는,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는,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의 사이에서, IEEE 802.15.1에 대응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한 통신을 행한다.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의 양쪽이,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갖지 않은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는,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한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와의 사이에서, 제2 통신로를 통한 통신이 행해진다. 따라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제어 대상 장치 간에 있어서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C-2)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의 제6 예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의 제6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정보 처리 장치(100),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 및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를 갖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9는,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있어서의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의 유무의 조합이 상기 제3 조합인 경우에 있어서의 처리의 다른 예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9는,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가,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갖지 않고,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도,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갖지 않은 예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도 9에 도시한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0)가, NFC에 있어서의 이니시에이터 기능과, NFC에 있어서의 타깃 기능을 갖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는,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를 기억하는 NFC 태그가 부착되고,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를 기억하는 NFC 태그가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는,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가, IEEE 802.15.1에 대응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9에서는, 스텝 S804의 처리가, 상기 (1)의 처리(결정 처리)에 해당되고, 스텝 S808의 처리가, 상기 (2)의 처리(송신 제어 처리)에 해당된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도 2에 도시한 스텝 S100과 마찬가지로,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부착된 NFC 태그와의 사이에서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행하고,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 A를 취득한다(S800).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도 8에 도시한 스텝 S702와 마찬가지로,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부착된 NFC 태그와의 사이에서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행하고,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 B를 취득한다(S802).
스텝 S800에 있어서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 A가 취득되고, 스텝 S802에 있어서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 B가 취득되면, 정보 처리 장치(100)는, 도 8에 도시한 스텝 S704와 마찬가지로, 능력 정보 A와 능력 정보 B에 기초하여,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한다(S804). 이하에서는, 상기 (1)의 처리(결정 처리)에 해당하는 스텝 S804의 처리에 있어서,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가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로서 결정된 경우를 예로 들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 S804에 있어서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가 결정되면, 정보 처리 장치(100)는, 도 8에 도시한 스텝 S706과 마찬가지로,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인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의 사이에서, 제3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개시한다(S806).
스텝 S806에 있어서,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인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의 사이에서 제3 통신로를 통한 통신이 개시되면, 정보 처리 장치(100)는,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인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대하여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 B(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를 제3 통신로에 의해 송신시킨다(S808).
여기서, 도 9에서는,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는, 제3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갖고 있으므로,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는, 스텝 S808에 있어서 송신된 접속 정보 B를 수신하고, 수신된 접속 정보 B를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스텝 S808에 있어서 송신된 접속 정보 B를 수신한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는, 수신된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 B를 이용하여,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의 사이에서 제2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개시한다(S810). 도 9에 도시한 예에서는,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는,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의 사이에서, IEEE 802.15.1에 대응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에 의한 통신을 행한다.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의 양쪽이,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갖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는,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한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와의 사이에서, 제2 통신로를 통한 통신이 행해진다. 따라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제어 대상 장치 간에 있어서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있어서의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의 유무의 조합이 상기 제3 조합인 경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한 제5 예에 따른 처리나, 도 9에 도시한 제6 예에 따른 처리를 행한다. 또한,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있어서의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의 유무의 조합이 상기 제3 조합인 경우에 있어서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처리는, 상기 제5 예에 따른 처리나 상기 제6 예에 따른 처리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의 일례를 제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10은,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있어서의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의 유무의 조합이 상기 제3 조합인 경우에 있어서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이, 도 9에 도시한 구성인 경우에 있어서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0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정보 처리 장치(100)와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부착된 NFC 태그 사이의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정보 처리 장치(100)와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 사이의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0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정보 처리 장치(100)와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부착된 NFC 태그 사이의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정보 처리 장치(100)와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 사이의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으로 나타내고 있다.
정보 처리 장치(100)와,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부착된 NFC 태그는, 도 4에 도시한 스텝 S300과 마찬가지로,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접속 처리를 행한다(S900).
스텝 S900의 처리가 행해지면, 정보 처리 장치(100)는 도 4에 도시한 스텝 S302와 마찬가지로, 능력 정보를 송신시키는 송신 명령을 포함하는 능력 정보 송신 요구를 제1 통신로에 의해 송신한다(S902).
스텝 S902에 있어서 송신된 능력 정보 송신 요구를 수신한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부착된 NFC 태그는, 도 4에 도시한 스텝 S304와 마찬가지로, 그 능력 정보 송신 요구에 기초하여, 기억하고 있는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 A를, 제1 통신로에 의해 송신한다(S904).
스텝 S904에 있어서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로부터 송신된 능력 정보 A를 수신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도 4에 도시한 스텝 S306과 마찬가지로,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와의 사이에서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개시 통지를 유저에 대하여 통지시킨다(S906).
스텝 S906의 처리를 행하면, 정보 처리 장치(100)와,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부착된 NFC 태그는,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행하기 위한 접속 처리를 행한다(S908). 스텝 S908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00)가 리더/라이터의 역할을 한다.
스텝 S908의 처리가 행해지면, 정보 처리 장치(100)는, 도 4에 도시한 스텝 S310과 마찬가지로, 능력 정보 송신 요구를 제1 통신로에 의해 송신한다(S910).
스텝 S910에 있어서 송신된 능력 정보 송신 요구를 수신한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부착된 NFC 태그는, 도 4에 도시한 스텝 S312와 마찬가지로, 그 능력 정보 송신 요구에 기초하여, 기억하고 있는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 B를, 제1 통신로에 의해 송신한다(S912).
스텝 S912에 있어서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부착된 NFC 태그로부터 송신된 능력 정보 B를 수신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스텝 S904에 있어서 수신한 능력 정보 A 및 스텝 S912에 있어서 수신한 능력 정보 B에 기초하여,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한다(S914).
여기서,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구성인 경우에 있어서의 처리의 일례이므로,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의 양쪽이,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갖고 있지 않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스텝 S914에 있어서, 예를 들어 능력 정보의 취득 순서, 설정되어 있는 우선도, 혹은 유저 조작에 기초하여,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한다.
이하에서는, 스텝 S914의 처리에 있어서,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가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로서 결정된 경우를 예로 들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스텝 S914의 처리에 있어서,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가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로서 결정된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스텝 S916으로부터의 처리가 아니라, 도 4에 도시한 스텝 S316으로부터의 처리를 행한다.
스텝 S914에 있어서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가 결정되면, 정보 처리 장치(100)는,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의 사이에서 제3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개시한다(S916).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스텝 S904에 있어서 취득된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 A에 포함되는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의 사이에서 제3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행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스텝 S914에 있어서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가 결정된 경우에, 결정된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유저에 대하여 통지하여도 된다.
스텝 S916의 처리가 행해지면, 정보 처리 장치(100)는,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인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대하여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 B를, 제3 통신로에 의해 송신한다(S918).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는, 스텝 S918에 있어서 송신된 접속 정보 B의 수신 결과에 따른 응답 신호를, 제3 통신로에 의해 송신한다(S920).
스텝 S920에 있어서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로부터 송신된 응답 신호를 수신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도 4에 도시한 스텝 S320과 마찬가지로, 응답 신호에 기초하는 통지를 유저에 대하여 행하게 한다(S922).
스텝 S918에 있어서 송신된 접속 정보 B를 수신한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는,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 B를 이용하여,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와의 사이에서 제2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개시한다(S924).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는,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한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와의 사이에서, 제2 통신로를 통한 통신이 행해진다. 여기서, 도 10에서는, 스텝 S914의 처리가 상기 (1)의 처리(결정 처리)에 해당되고, 스텝 S918의 처리가 상기 (2)의 처리(송신 제어 처리)에 해당된다. 따라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제어 대상 장치 간에 있어서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가, 도 10에 도시한 처리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D)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의 다른 예
상기 (A) 내지 상기 (C)에서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의 일례로서, "제1 통신로에 의해 취득되는, 제1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와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 중, 적어도 한쪽 능력 정보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 능력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제1 제어 대상 장치 및 제2 제어 대상 장치 중 적어도 한쪽 제어 대상 장치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제1 통신로의 세션의 확립에 관한 통신에 의해, 처리 능력 정보를 취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어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의 다른 예로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가, 제1 통신로의 세션의 확립에 관한 통신에 의해 처리 능력 정보를 취득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의 일례를 제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11은,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있어서의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의 유무의 조합이 상기 제1 조합인 경우에 있어서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이, 도 2에 도시한 구성인 경우에 있어서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도 11에 도시한 스텝 S1000 내지 S1008, 및 스텝 S1016 내지 1024 각각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통신로의 세션의 확립에 관한 통신에 관련된 처리에 해당된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폴링 신호를 송신한다(S1000). 여기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정기적 또는 부정기적으로, 폴링 신호를 송신하여도 되고, 폴링을 개시하는 것을 나타내는 유저 조작이 검출된 경우나, 적외선 센서 등의 센서에 의해 외부 장치가 검출된 경우에, 폴링 신호를 송신하여도 된다.
스텝 S1000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100)로부터 송신된 폴링 신호를 수신한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는, 폴링 응답 신호를 송신한다(S1002).
스텝 S1002에 있어서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로부터 송신된 폴링 응답 신호를 수신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속성 정보의 송신을 요구하는 속성 요구를 송신한다(S1004).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속성 정보로서는, 예를 들어 자 장치가 대응 가능한 통신 속도를 나타내는 정보(데이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 능력 정보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속성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이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속성 요구에는,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 능력 정보의 송신을 요구하는 처리 능력 정보 송신 요구가 포함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 능력 정보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속성 정보에 포함되는 정보인 경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속성 요구는,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 능력 정보의 송신을 요구하는 처리 능력 정보 송신 요구의 역할을 하여도 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속성 요구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 능력 정보 송신 요구를, 다른 트랜잭션의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에 의해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텝 S1004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100)로부터 송신된 속성 요구를 수신한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는, 속성 정보와 처리 능력 정보를 송신한다(S1006).
정보 처리 장치(100)와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의 사이에서 스텝 S1000 내지 S1006의 처리가 행해지면, 정보 처리 장치(100)와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는, 세션 확립 처리를 행한다(S1008). 스텝 S1008의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정보 처리 장치(100)와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제1 통신로는, 세션이 확립된 제1 통신로로 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세션 확립 처리로서는, 예를 들어 NFC Logical Link Control Protocol(LLCP) Technical Specification Version 1.1의 "5.6 Connection-oriented Transport Mode Procedures"로 규정되어 있는 처리를 들 수 있다.
스텝 S1008의 처리가 행해지면, 정보 처리 장치(100)는, 도 4에 도시한 스텝 S302와 마찬가지로, 능력 정보를 송신시키는 송신 명령을 포함하는 능력 정보 송신 요구를 제1 통신로에 의해 송신한다(S1010).
스텝 S1010에 있어서 송신된 능력 정보 송신 요구를 수신한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는, 도 4에 도시한 스텝 S304와 마찬가지로, 그 능력 정보 송신 요구에 기초하여, 기억하고 있는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 A를, 제1 통신로에 의해 송신한다(S1012).
스텝 S1012에 있어서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로부터 송신된 능력 정보 A를 수신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도 4에 도시한 스텝 S306과 마찬가지로,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와의 사이에서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개시 통지를 유저에 대하여 통지시킨다(S1014).
스텝 S1014의 처리를 행하면, 정보 처리 장치(100)는, 스텝 S1000과 마찬가지로, 폴링 신호를 송신한다(S1016).
스텝 S1016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100)로부터 송신된 폴링 신호를 수신한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는, 스텝 S1002와 마찬가지로, 폴링 응답 신호를 송신한다(S1018).
스텝 S1018에 있어서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로부터 송신된 폴링 응답 신호를 수신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스텝 S1004와 마찬가지로, 속성 정보의 송신을 요구하는 속성 요구를 송신한다(S1020).
스텝 S1020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100)로부터 송신된 속성 요구를 수신한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는, 스텝 S1006과 마찬가지로, 속성 정보와 처리 능력 정보를 송신한다(S1022).
정보 처리 장치(100)와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와의 사이에서 스텝 S1016 내지 S1022의 처리가 행해지면, 정보 처리 장치(100)와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는, 스텝 S1008과 마찬가지로, 세션 확립 처리를 행한다(S1024). 스텝 S1024의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정보 처리 장치(100)와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제1 통신로는, 세션이 확립된 제1 통신로로 된다.
스텝 S1024의 처리가 행해지면, 정보 처리 장치(100)는, 도 4에 도시한 스텝 S302와 마찬가지로, 능력 정보 송신 요구를 제1 통신로에 의해 송신한다(S1016).
스텝 S1016에 있어서 송신된 능력 정보 송신 요구를 수신한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는, 도 4에 도시한 스텝 S304와 마찬가지로, 그 능력 정보 송신 요구에 기초하여, 기억하고 있는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 B를, 제1 통신로에 의해 송신한다(S1018).
스텝 S1018에 있어서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로부터 송신된 능력 정보 B를 수신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스텝 S1006에 있어서 수신한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대응하는 처리 능력 정보 및 스텝 S1022에 있어서 수신한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대응하는 처리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한다(S1030). 여기서, 도 11은, 도 2에 도시한 구성인 경우에 있어서의 처리의 일례이므로,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가,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갖지 않고,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가,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따라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스텝 S1030에 있어서,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를,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로서 결정한다.
스텝 S1030에 있어서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가 결정되면, 정보 처리 장치(100)는, 도 4에 도시한 스텝 S316과 마찬가지로,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인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대하여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 A를 송신한다(S1032).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는, 도 4에 도시한 스텝 S318과 마찬가지로, 스텝 S1032에 있어서 송신된 접속 정보 A의 수신 결과에 따른 응답 신호를 송신한다(S1034).
스텝 S1034에 있어서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로부터 송신된 응답 신호를 수신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도 4에 도시한 스텝 S320과 마찬가지로, 응답 신호에 기초하는 통지를 유저에 대하여 행하게 한다(S1036).
스텝 S1036에 있어서 송신된 접속 정보 A를 수신한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는, 도 4에 도시한 스텝 S322와 마찬가지로,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 A를 이용하여,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의 사이에서 제2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개시한다(S1038).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서는,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한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와의 사이에서, 제2 통신로를 통한 통신이 행해진다. 여기서, 도 11에서는, 스텝 S1030의 처리가 상기 (1)의 처리(결정 처리)에 해당되고, 스텝 S1032의 처리가 상기 (2)의 처리(송신 제어 처리)에 해당된다. 따라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제어 대상 장치 간에 있어서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가, 제1 통신로의 세션의 확립에 관한 통신에 의해 처리 능력 정보를 취득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있어서의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의 유무의 조합이 상기 제1 조합인 경우에 있어서의 처리에 적용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가, 제1 통신로의 세션의 확립에 관한 통신에 의해 처리 능력 정보를 취득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는, 도 7에 도시한 접속 처리(도 7의 스텝 S600, S608)에 있어서, 도 11에 도시한 스텝 S1000 내지 S1008과 마찬가지의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있어서의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의 유무의 조합이 상기 제2 조합인 경우에 있어서의 처리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가, 제1 통신로의 세션의 확립에 관한 통신에 의해 처리 능력 정보를 취득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는, 도 10에 도시한 접속 처리(도 10의 스텝 S900, S908)에 있어서, 도 11에 도시한 스텝 S1000 내지 S1008과 마찬가지의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있어서의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의 유무의 조합이 상기 제3 조합인 경우에 있어서의 처리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가, 제1 통신로의 세션의 확립에 관한 통신에 의해 처리 능력 정보를 취득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가, 상기 제2 조합인 경우에 있어서의 처리, 또는 상기 제3 조합인 경우에 있어서의 처리에 적용되는 경우, 도 7, 도 10에 있어서 정보 처리 장치(100)가 각 제어 대상 장치로부터 취득하는 능력 정보는, 예를 들어 접속 정보를 포함하고 처리 능력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정보로 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
다음으로, 전술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0)의 구성의 일례를 제시하는 블록도이다. 여기서, 도 12에서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를 함께 나타내고 있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제1 통신부(102)와, 제2 통신부(104)와, 제어부(106)를 구비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도시생략)이나, RAM(Random Access Memory. 도시생략), 기억부(도시생략), 유저가 조작 가능한 조작부(도시생략), 다양한 화면을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도시생략) 등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데이터의 전송로로서의 버스(bus)에 의해 상기 각 구성 요소 간을 접속한다.
여기서, ROM(도시생략)은, 제어부(106)가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연산 파라미터 등의 제어용 데이터를 기억한다. RAM(도시생략)은, 제어부(106)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기억부(도시생략)는, 정보 처리 장치(100)가 구비하는 기억 수단이며, 예를 들어 UI(User Interface)를 구성하는 데이터나, 애플리케이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기억한다. 여기서, 기억부(도시생략)로서는, 예를 들어 하드디스크(Hard Disk) 등의 자기 기록 매체나,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기억부(도시생략)는, 정보 처리 장치(100)로부터 탈착할 수도 있다.
또한, 조작부(도시생략)로서는, 후술하는 조작 입력 디바이스를 들 수 있고, 표시부(도시생략)로서는, 후술하는 표시 디바이스를 들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예]
도 13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제시하는 설명도이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MPU(150)와, ROM(152)과, RAM(154)과, 기록 매체(156)와, 입출력 인터페이스(158)와, 조작 입력 디바이스(160)와, 표시 디바이스(162)와, 제1 통신 인터페이스(164)와, 제1 통신 인터페이스(166)를 구비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데이터의 전송로로서의 버스(168)에 의해 각 구성 요소 간을 접속한다.
MPU(150)는, 예를 들어 MPU(Micro Processing Unit)나, 각종 처리 회로 등에 의해 구성되고, 정보 처리 장치(100)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106)로서 기능한다. 또한, MPU(150)는, 정보 처리 장치(100)에 있어서, 예를 들어 후술하는 결정부(110) 및 송신 제어부(112)의 역할을 한다.
ROM(152)은, MPU(150)가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연산 파라미터 등의 제어용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RAM(154)은, 예를 들어 MPU(150)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기록 매체(156)는, 기억부(도시생략)로서 기능하며, 예를 들어 UI를 구성하는 데이터나, 애플리케이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기억한다. 여기서, 기록 매체(156)로서는, 예를 들어 하드디스크 등의 자기 기록 매체나,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를 들 수 있다. 또한, 기록 매체(156)는, 정보 처리 장치(100)로부터 탈착할 수도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58)는, 예를 들어 조작 입력 디바이스(160)나, 표시 디바이스(162)를 접속한다. 조작 입력 디바이스(160)는 조작부(도시생략)로서 기능하고, 또한 표시 디바이스(162)는 표시부(도시생략)로서 기능한다. 여기서, 입출력 인터페이스(158)로서는,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단자나,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각종 처리 회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조작 입력 디바이스(160)는,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0) 위에 구비되고, 정보 처리 장치(100)의 내부에서 입출력 인터페이스(158)와 접속된다. 조작 입력 디바이스(160)로서는, 예를 들어 버튼, 방향 키, 조그다이얼 등의 회전형 셀렉터, 혹은 이들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표시 디바이스(162)는,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장치(100) 위에 구비되고, 정보 처리 장치(100)의 내부에서 입출력 인터페이스(158)와 접속된다. 표시 디바이스(162)로서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나 유기 EL 디스플레이(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또는 OLED 디스플레이(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라고도 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158)가 정보 처리 장치(100)의 외부 장치로서의 조작 입력 디바이스(예를 들어, 키보드나 마우스 등)나, 표시 디바이스, 제1 통신로나 제3 통신로를 통해 통신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 각종 통신 디바이스 등의, 외부 디바이스와 접속할 수도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표시 디바이스(162)는,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등, 표시와 유저 조작이 가능한 디바이스이어도 된다.
제1 통신 인터페이스(164)는, 정보 처리 장치(100)가 구비하는 제1 통신 수단이며, 제1 통신로를 통하여,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나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 등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제1 통신부(102)로서 기능한다. 여기서, 제1 통신 인터페이스(164)로서는,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안테나 회로와 반송파 송신 회로를 갖는 NFC 인터페이스를 들 수 있다.
제1 통신 인터페이스(164)를 구성하는 무선 통신 안테나 회로는, 외부 장치와의 사이에서 제1 통신로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무선 통신 안테나 회로는, 예를 들어 송수신 안테나로서의 소정의 인덕턴스를 갖는 코일 및 소정의 정전 용량을 갖는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공진 회로와, 복조 회로로 구성된다. 그리고, 무선 통신 안테나 회로는, 예를 들어 13.56㎒의 자계(반송파)를 수신함으로써, 외부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 등을 복조한다.
또한, 제1 통신 인터페이스(164)를 구성하는 반송파 송신 회로는, 예를 들어ASK 등의 변조를 행하는 변조 회로와, 그 변조 회로의 출력을 증폭하는 증폭 회로를 구비하고, 무선 통신 안테나 회로의 송수신 안테나로부터 반송파 신호를 실은 반송파를 송신한다. 반송파 송신 회로를 구비함으로써, 정보 처리 장치(100)는 NFC에 있어서의 이니시에이터 기능을 갖고, 소위 리더/라이터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반송파 송신 회로가 무선 통신 안테나 회로로부터 송신하는 반송파 신호로서는, 예를 들어 능력 정보 송신 요구나, 접속 정보 등을 나타내는 신호를 들 수 있다. 또한, 반송파 송신 회로는, 예를 들어 MPU(150)에 의해 반송파의 송신이 제어된다.
제1 통신 인터페이스(164)는,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은 무선 통신 안테나 회로와 반송파 송신 회로로 구성되는 NFC 인터페이스를 구비함으로써, 제1 통신로를 형성하는 제1 통신부(102)로서 기능한다. 또한, 제1 통신 인터페이스(164)는, NFC 인터페이스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통신로가 적외선 통신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100)는, 적외선 포트 및 송수신 회로 등에 의해 구성되는 적외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1 통신 인터페이스(164)로서 구비한다.
제2 통신 인터페이스(166)는, 정보 처리 장치(100)가 구비하는 제2 통신 수단이며, 제3 통신로를 통하여,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나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 서버 등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제2 통신부(104)로서 기능한다. 여기서, 제2 통신 인터페이스(164)로서는, 예를 들어 IEEE 802.15.1 포트 및 송수신 회로나, IEEE 802.11b 포트 및 송수신 회로 등을 들 수 있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한 구성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은, 도 13에 도시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접속되어 있는 외부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이나 제3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행하는 구성인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100)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164), 및/또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166)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DSP(Digital Signal Processor)와 음성 출력 디바이스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음성 출력 디바이스로서는, 예를 들어 증폭기(앰프) 및 스피커 등을 들 수 있다. DSP와 음성 출력 디바이스를 더 구비하는 경우에는, 정보 처리 장치(100)는, 음성 출력 디바이스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에 의해,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개시 통지나 에러 통지 등의 각종 통지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조작 디바이스(160)나 표시 디바이스(162)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을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도 12를 참조하여, 정보 처리 장치(100)의 구성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통신부(102)는 제1 통신로를 통하여,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나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 등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1 통신부(102)로서는, 예를 들어 NFC 인터페이스나, 적외선 통신 인터페이스 등, 제1 통신로를 형성하는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통신 디바이스를 들 수 있다.
제2 통신부(104)는, 제3 통신로를 통하여,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나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 등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2 통신부(104)로서는, 예를 들어 IEEE 802.15.1 포트 및 송수신 회로나, IEEE 802.11b 포트 및 송수신 회로 등, 제3 통신로를 형성하는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통신 디바이스를 들 수 있다.
제어부(106)는, 예를 들어 MPU나 각종 처리 회로 등으로 구성되고, 정보 처리 장치(100) 전체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어부(106)는, 예를 들어 결정부(110)와, 송신 제어부(112)를 구비하고,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를 주도적으로 행하는 역할을 한다.
결정부(110)는, 상기 (1)의 처리(결정 처리)를 주도적으로 행하는 역할을 하고, 제1 통신로에 의해 제1 제어 대상 장치 및 제2 제어 대상 장치 중 적어도 한쪽 제어 대상 장치로부터 취득된, 처리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 중에서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결정부(110)는, 예를 들어 취득된 능력 정보에 포함될 수 있는 처리 능력 정보, 또는 제1 통신로의 세션의 확립에 관한 통신에 의해 취득된 처리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취득된 제1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와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의 양쪽에, 처리 능력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등, 제1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처리 능력 정보와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처리 능력 정보의 양쪽이 취득된 경우에는, 결정부(110)는, 예를 들어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대응하는 처리 능력 정보와,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대응하는 처리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있어서의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의 유무의 조합을 판정한다. 또한, 취득된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능력 정보에 처리 능력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등,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처리 능력 정보가 취득되지 않는 경우에는, 결정부(110)는, 예를 들어 그 제어 대상 장치가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을 갖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여,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와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있어서의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의 유무의 조합을 판정한다. 그리고, 결정부(110)는, 판정된 조합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상기 (1-1) 내지 상기 (1-3)에 나타낸 제1 예에 따른 처리, 제2 예에 따른 처리, 제3 예에 따른 처리를 행함으로써,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한다.
또한, 결정부(110)는, 예를 들어 제1 제어 대상 장치(200A)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와, 제2 제어 대상 장치(200B)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에 기초하거나, 또는 유저 조작에 기초하여, 제2 통신로에 있어서의 통신 방식을 결정한다.
또한, 다른 장치에 있어서 접속 정보의 사용을 허가하는 유효 기한을 나타내는 정보가 접속 정보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결정부(110)는, 예를 들어 유효 기한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접속 정보를 선택적으로 무효의 상태로 한다. 또한, 다른 장치에 있어서 접속 정보의 사용을 허가하는 유효 기한을 나타내는 정보가 접속 정보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결정부(110)는, 예를 들어 유효 기한을 나타내는 정보에 관한 통지를 유저에 대하여 행하게 하여도 된다. 여기서, 유효 기한을 나타내는 정보에 관한 통지로서는, 예를 들어 유효 기한을 나타내는 정보가 나타내는 유효 기한에 관한 통지나, 취득된 접속 정보의 유효 기한이 만료된 것을 나타내는 통지 등을 들 수 있다.
송신 제어부(112)는, 상기 (2)의 처리(송신 제어 처리)를 주도적으로 행하는 역할을 하고, 결정부(110)에 있어서 결정된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에 대하여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를 송신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송신 제어부(112)는, 예를 들어 결정부(110)에 있어서 판정된,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의 유무의 조합에 대응하는 통신로에 의해, 접속 정보를 송신시킨다. 또한, 송신 제어부(112)는, 예를 들어 결정부(110)에 있어서 결정된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를 송신시킨다.
여기서, 제1 통신로에 의해 접속 정보를 송신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에 대하여, 그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처리 능력 정보의 취득에 관한 제1 통신로에 의해 접속 정보를 송신시킬 수 있을 때에는, 송신 제어부(112)는, 예를 들어 그 처리 능력 정보의 취득에 관한 제1 통신로에 의해 접속 정보를 송신시킨다. 또한, 제1 통신로에 의해 접속 정보를 송신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에 대하여 그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처리 능력 정보의 취득에 관한 제1 통신로에 의해 접속 정보를 송신시킬 수 없을 때에는, 송신 제어부(112)는, 예를 들어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와의 사이에 있어서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다시 행하게 한다. 그리고, 송신 제어부(112)는, 다시 형성된 제1 통신로에 의해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에 대하여 접속 정보를 송신시킨다.
또한, 제1 통신로에 의해 접속 정보를 송신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송신 제어부(112)가 접속 정보를 송신시키는 제1 통신로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송신 제어부(112)는, 제1 통신로에 의해 접속 정보를 송신시키는 경우에 있어서,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에 대하여 그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처리 능력 정보의 취득에 관한 제1 통신로에 의해 접속 정보를 송신시킬 수 있을 때에 있어서도,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와의 사이에 있어서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다시 행하게 하여도 된다.
제어부(106)는, 예를 들어, 결정부(110)와 송신 제어부(112)를 구비함으로써,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를 주도적으로 행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개시 통지나, 에러 통지, 유효 기한을 나타내는 정보에 관한 통지 등의 각종 통지를 표시부(도시생략)나 외부 표시 장치 등에 행하게 하는, 통지 제어부(도시생략)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통지 제어부(도시생략)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서는, 예를 들어, 통지 제어부(도시생략)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각종 통지를 행한다.
또한,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제어부를 구성하는 결정부(110), 송신 제어부(112), 통지 제어부(도시생략) 중에 1 또는 2 이상을 개별로 구비(예를 들어, 각각을 개별의 처리 회로로 실현)할 수도 있다.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한 구성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예를 들어, 상기 (1)의 처리(결정 처리) 및 상기 (2)의 처리(송신 제어 처리))를 행한다. 따라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한 구성에 의해, 제어 대상 장치 간에 있어서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은, 도 12에 도시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접속되어 있는 외부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이나 제3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행하는 구성인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제1 통신부(102), 및/또는 제2 통신부(104)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이어도 된다. 제1 통신부(102), 및/또는 제2 통신부(104)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이더라도,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외부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 및/또는 제3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제어 대상 장치 등의 외부 장치와의 사이에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1 통신부(102), 및/또는 제2 통신부(104)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이더라도,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도 12에 도시한 정보 처리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제어 대상 장치 간에 있어서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음성을 출력할 수 있는 음성 출력부(도시생략)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여기서, 음성 출력부(도시생략)로서는, 예를 들어 DSP 및 음성 출력 디바이스를 들 수 있다. 음성 출력부(도시생략)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음성 출력부(도시생략)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각종 통지를 유저에 대하여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로서, 예를 들어 상기 (1)의 처리(결정 처리) 및 상기 (2)의 처리(송신 제어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1)의 처리(결정 처리)에 있어서,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를 송신하는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하고, 상기 (2)의 처리(송신 제어 처리)에 있어서, 결정된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에 대하여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를 송신시킨다. 또한, 상기 (1)의 처리(결정 처리)에 있어서 결정되는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는,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 중,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를 수신하여, 그 접속 정보를 처리하는 것이 가능한 제어 대상 장치이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1)의 처리(결정 처리) 및 상기 (2)의 처리(송신 제어 처리)를 행함으로써,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는,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통신로를 통해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가, 상기 (1)의 처리(결정 처리) 및 상기 (2)의 처리(송신 제어 처리)를 행함으로써, 예를 들어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의 한쪽 또는 양쪽이, NFC 태그 등이 부착된 기기인 경우이더라도,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는, 제2 통신로를 통해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제어 대상 장치 간에 있어서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가 제어 대상 장치 간에 있어서의 통신을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제어 대상 장치 간에 있어서의 핸드오버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에 대하여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를 송신시키므로, 유저는,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제2 제어 대상 장치가 제2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행하기 위한 인증 처리나 설정 처리를 의식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유저의 편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 형태로서 정보 처리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 형태는,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는, 예를 들어 휴대 전화나 스마트폰 등의 통신 장치나, PC 등의 컴퓨터, 태블릿형 장치, 영상/음악 재생 장치(또는 영상/음악 기록 재생 장치), 게임기, 디지털 스틸 카메라나 디지털 비디오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 등, 다양한 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은 기기에 내장하는 것이 가능한, 처리 IC에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로서 제어 대상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 형태는,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는, 예를 들어 PC 등의 컴퓨터나, 휴대 전화나 스마트폰 등의 통신 장치, 태블릿형 장치, 프린터, 영상/음악 재생 장치(또는 영상/음악 기록 재생 장치), 게임기, 디지털 스틸 카메라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 등, 다양한 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그램)
컴퓨터를,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예를 들어, 상기 (1)의 처리(결정 처리) 및 상기 (2)의 처리(송신 제어 처리) 등,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있어서 실행됨으로써, 제어 대상 장치 간에 있어서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음은 명확하며, 이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이라 이해된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는, 컴퓨터를,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되는 것을 예시하였지만, 본 실시 형태는, 또한 상기 프로그램을 기억시킨 기록 매체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은, 본 실시 형태의 일례를 제시하는 것이며,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또한, 이하와 같은 구성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1]
제1 통신로에 의해, 상기 제1 통신로와는 다른 제2 통신로에 의한 무선 통신을 행하게 하는 대상의 장치인 제1 제어 대상 장치 및 제2 제어 대상 장치 중 적어도 한쪽 제어 대상 장치로부터 취득된, 상기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처리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상기 제2 제어 대상 장치 중에서 상기 제1 통신로에 의해 상기 제1 제어 대상 장치 및 상기 제2 제어 대상 장치 각각으로부터 취득된 상기 제2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접속 정보 중,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 정보를 송신하는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인,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하는 결정부와,
상기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에 대하여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 정보를 송신시키는 송신 제어부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상기 제1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처리 능력 정보와, 상기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처리 능력 정보가 취득된 경우,
상기 결정부는,
상기 제1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처리 능력 정보와, 상기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처리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상기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의 유무의 조합을 판정하고,
판정된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3]
상기 결정부는,
한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처리 능력 정보가, 상기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처리 능력 정보가, 상기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음을 나타내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한쪽 제어 대상 장치를, 상기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로서 결정하는, 상기 [2]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4]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한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하여 상기 처리 능력 정보를 취득한 상기 제1 통신로에 의해 상기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 정보를 송신시킬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한쪽 제어 대상 장치와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다시 행하게 하여, 상기 한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하여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 정보를 송신시키는, 상기 [3]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5]
상기 결정부는,
한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처리 능력 정보가, 상기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처리 능력 정보도, 상기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상기 제2 제어 대상 장치 중, 더 늦게 취득된 상기 처리 능력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대상 장치를, 상기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로서 결정하는, 상기 [2]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6]
상기 결정부는,
한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처리 능력 정보가, 상기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처리 능력 정보도, 상기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 정보와, 상기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하는, 상기 [2]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7]
상기 결정부는,
상기 제1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처리 능력 정보가, 상기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음을 나타내지 않고, 상기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처리 능력 정보도, 상기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음을 나타내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 및 상기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 각각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제어 대상 장치, 상기 제2 제어 대상 장치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접속 정보에 기초하는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의 유무를 판정하고,
데이터의 처리 능력의 유무의 판정 결과, 또는 상기 판정 결과와, 상기 처리 능력 정보의 취득 순서, 설정되어 있는 우선도, 혹은 유저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하는, 상기 [2]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8]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 정보에 기초하는 제3 통신로에 의해,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 정보를 송신시키는, 상기 [7]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9]
한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처리 능력 정보가 취득되고,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처리 능력 정보가 취득되지 않는 경우,
상기 결정부는,
상기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가 상기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을 갖지 않는다고 간주하고,
간주된 상기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과, 상기 한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처리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상기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의 유무의 조합을 판정하고,
판정된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0]
상기 결정부는, 상기 제1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 정보와, 상기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통신로에 있어서의 통신 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송신 제어부는, 결정된 상기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 정보를 송신시키는,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1]
상기 결정부는,
상기 제1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 정보와, 상기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상기 제2 제어 대상 장치가 통신 가능한 통신 방식을 유저에 대하여 통지시키고,
유저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통신로에 있어서의 통신 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송신 제어부는, 결정된 상기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 정보를 송신시키는,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2]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제1 통신로에 의해 상기 제1 제어 대상 장치 및 상기 제2 제어 대상 장치 각각으로부터 취득된, 통신에 관한 능력을 나타내는 능력 정보에 포함되고,
취득된 상기 제1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능력 정보와 상기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능력 정보 중, 적어도 한쪽 상기 능력 정보에는, 상기 처리 능력 정보가 포함되는, 상기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3]
상기 처리 능력 정보는, 상기 제1 제어 대상 장치 및 상기 제2 제어 대상 장치 중 적어도 한쪽 제어 대상 장치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제1 통신로의 세션의 확립에 관한 통신에 의해 취득되고,
상기 접속 정보는, 세션이 확립된 상기 제1 통신로에 의해, 상기 제1 제어 대상 장치 및 상기 제2 제어 대상 장치 각각으로부터 취득되는, 상기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4]
상기 접속 정보에는, 다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정보의 사용을 허가하는 유효 기한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유효 기한을 나타내는 정보가 나타내는 유효 기한에 관한 통지를 행하게 하는, 상기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5]
상기 접속 정보에는, 다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정보의 사용을 허가하는 유효 기한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유효 기한을 나타내는 정보가 나타내는 유효 기한 내에, 상기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 정보가 송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취득된 상기 접속 정보를 무효의 상태로 하는, 상기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6]
상기 결정부는, 취득된 상기 접속 정보의 유효 기한이 만료된 것을 통지시키는, 상기 [15]에 기재된 정보 처리 장치.
[17]
제1 통신로에 의해, 상기 제1 통신로와는 다른 제2 통신로에 의한 무선 통신을 행하게 하는 대상의 장치인 제1 제어 대상 장치 및 제2 제어 대상 장치 중 적어도 한쪽 제어 대상 장치로부터 취득된, 상기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처리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상기 제2 제어 대상 장치 중에서 상기 제1 통신로에 의해 상기 제1 제어 대상 장치 및 상기 제2 제어 대상 장치 각각으로부터 취득된 상기 제2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접속 정보 중,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 정보를 송신하는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인,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하는 스텝과,
상기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에 대하여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 정보를 송신시키는 스텝을 갖는, 정보 처리 방법.
[18]
제1 통신로에 의해, 상기 제1 통신로와는 다른 제2 통신로에 의한 무선 통신을 행하게 하는 대상의 장치인 제1 제어 대상 장치 및 제2 제어 대상 장치 중 적어도 한쪽 제어 대상 장치로부터 취득된, 상기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처리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상기 제2 제어 대상 장치 중에서 상기 제1 통신로에 의해 상기 제1 제어 대상 장치 및 상기 제2 제어 대상 장치 각각으로부터 취득된 상기 제2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접속 정보 중,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 정보를 송신하는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인,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하는 스텝,
상기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에 대하여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 정보를 송신시키는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100: 정보 처리 장치
102: 제1 통신부
104: 제2 통신부
106: 제어부
110: 결정부
112: 송신 제어부
200A: 제1 제어 대상 장치
200B: 제2 제어 대상 장치

Claims (18)

  1. 정보 처리 장치로서,
    제1 통신로에 의해, 상기 제1 통신로와는 다른 제2 통신로에 의한 무선 통신을 행하게 하는 대상의 장치인 제1 제어 대상 장치 및 제2 제어 대상 장치 중 적어도 한쪽 제어 대상 장치로부터 취득된, 상기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처리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상기 제2 제어 대상 장치 중에서 상기 제1 통신로에 의해 상기 제1 제어 대상 장치 및 상기 제2 제어 대상 장치 각각으로부터 취득된 상기 제2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접속 정보 중,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 정보를 송신하는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인,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하는 결정부와,
    상기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에 대하여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 정보를 송신시키는 송신 제어부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처리 능력 정보와, 상기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처리 능력 정보가 취득된 경우,
    상기 결정부는,
    상기 제1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처리 능력 정보와, 상기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처리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상기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의 유무의 조합을 판정하고,
    판정된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하는, 정보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한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처리 능력 정보가, 상기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처리 능력 정보가, 상기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음을 나타내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한쪽 제어 대상 장치를, 상기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로서 결정하는, 정보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한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하여 상기 처리 능력 정보를 취득한 상기 제1 통신로에 의해 상기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 정보를 송신시킬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한쪽 제어 대상 장치와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다시 행하게 하여, 상기 한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하여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 정보를 송신시키는, 정보 처리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한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처리 능력 정보가, 상기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처리 능력 정보도, 상기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상기 제2 제어 대상 장치 중, 더 늦게 취득된 상기 처리 능력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대상 장치를, 상기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로서 결정하는, 정보 처리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한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처리 능력 정보가, 상기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처리 능력 정보도, 상기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 정보와, 상기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하는, 정보 처리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제1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처리 능력 정보가, 상기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음을 나타내지 않고, 상기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처리 능력 정보도, 상기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음을 나타내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 및 상기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 각각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제어 대상 장치, 상기 제2 제어 대상 장치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접속 정보에 기초하는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의 유무를 판정하고,
    데이터의 처리 능력의 유무의 판정 결과, 또는 상기 판정 결과와, 상기 처리 능력 정보의 취득 순서, 설정되어 있는 우선도, 혹은 유저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하는, 정보 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 정보에 기초하는 제3 통신로에 의해,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 정보를 송신시키는, 정보 처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한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처리 능력 정보가 취득되고,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처리 능력 정보가 취득되지 않는 경우,
    상기 결정부는,
    상기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가 상기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을 갖지 않는다고 간주하고,
    간주된 상기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과, 상기 한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처리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상기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처리 능력의 유무의 조합을 판정하고,
    판정된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하는, 정보 처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제1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 정보와, 상기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통신로에 있어서의 통신 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송신 제어부는, 결정된 상기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 정보를 송신시키는, 정보 처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제1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 정보와, 상기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상기 제2 제어 대상 장치가 통신 가능한 통신 방식을 유저에 대하여 통지시키고,
    유저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통신로에 있어서의 통신 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송신 제어부는, 결정된 상기 통신 방식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 정보를 송신시키는, 정보 처리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제1 통신로에 의해 상기 제1 제어 대상 장치 및 상기 제2 제어 대상 장치 각각으로부터 취득된, 통신에 관한 능력을 나타내는 능력 정보에 포함되고,
    취득된 상기 제1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능력 정보와 상기 제2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능력 정보 중, 적어도 한쪽 상기 능력 정보에는, 상기 처리 능력 정보가 포함되는, 정보 처리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능력 정보는, 상기 제1 제어 대상 장치 및 상기 제2 제어 대상 장치 중 적어도 한쪽 제어 대상 장치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제1 통신로의 세션의 확립에 관한 통신에 의해 취득되고,
    상기 접속 정보는, 세션이 확립된 상기 제1 통신로에 의해, 상기 제1 제어 대상 장치 및 상기 제2 제어 대상 장치 각각으로부터 취득되는, 정보 처리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정보에는, 다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정보의 사용을 허가하는 유효 기한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유효 기한을 나타내는 정보가 나타내는 유효 기한에 관한 통지를 행하게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정보에는, 다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정보의 사용을 허가하는 유효 기한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유효 기한을 나타내는 정보가 나타내는 유효 기한 내에, 상기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 정보가 송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취득된 상기 접속 정보를 무효의 상태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취득된 상기 접속 정보의 유효 기한이 만료된 것을 통지시키는, 정보 처리 장치.
  17. 정보 처리 방법으로서,
    제1 통신로에 의해, 상기 제1 통신로와는 다른 제2 통신로에 의한 무선 통신을 행하게 하는 대상의 장치인 제1 제어 대상 장치 및 제2 제어 대상 장치 중 적어도 한쪽 제어 대상 장치로부터 취득된, 상기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처리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상기 제2 제어 대상 장치 중에서 상기 제1 통신로에 의해 상기 제1 제어 대상 장치 및 상기 제2 제어 대상 장치 각각으로부터 취득된 상기 제2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접속 정보 중,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 정보를 송신하는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인,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하는 스텝과,
    상기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에 대하여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 정보를 송신시키는 스텝을 갖는, 정보 처리 방법.
  18. 프로그램으로서,
    제1 통신로에 의해, 상기 제1 통신로와는 다른 제2 통신로에 의한 무선 통신을 행하게 하는 대상의 장치인 제1 제어 대상 장치 및 제2 제어 대상 장치 중 적어도 한쪽 제어 대상 장치로부터 취득된, 상기 제1 통신로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처리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제어 대상 장치와 상기 제2 제어 대상 장치 중에서 상기 제1 통신로에 의해 상기 제1 제어 대상 장치 및 상기 제2 제어 대상 장치 각각으로부터 취득된 상기 제2 통신로를 통한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접속 정보 중,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 정보를 송신하는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인,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를 결정하는 스텝,
    상기 송신 대상의 제어 대상 장치에 대하여 다른 쪽 제어 대상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접속 정보를 송신시키는 스텝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KR1020147028894A 2012-04-27 2013-03-26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500122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03448 2012-04-27
JP2012103448 2012-04-27
PCT/JP2013/058682 WO2013161484A1 (ja) 2012-04-27 2013-03-26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2241A true KR20150012241A (ko) 2015-02-03

Family

ID=49482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8894A KR20150012241A (ko) 2012-04-27 2013-03-26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375615B2 (ko)
EP (2) EP3503594B1 (ko)
JP (3) JP5888409B2 (ko)
KR (1) KR20150012241A (ko)
CN (2) CN110267239B (ko)
WO (1) WO20131614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94826B2 (ja) * 2008-07-14 2012-03-14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報知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375615B2 (en) * 2012-04-27 2019-08-06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6305023B2 (ja) * 2013-11-13 2018-04-0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5113260A1 (zh) * 2014-01-29 2015-08-06 华为终端有限公司 通信连接建立方法及媒介设备
EP3709765B1 (en) * 2015-02-06 2023-04-26 Sony Group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JP2017120584A (ja) * 2015-12-28 2017-07-0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649621B2 (ja) * 2016-05-17 2020-02-1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遠隔操作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遠隔操作方法および遠隔操作プログラム
JP6849329B2 (ja) * 2016-07-05 2021-03-24 キヤノン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JP6816554B2 (ja) * 2017-02-22 2021-01-20 オムロン株式会社 制御システム、制御装置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9134292A (ja) * 2018-01-31 2019-08-08 東芝映像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受信機
JP7336249B2 (ja) * 2019-04-23 2023-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モバイル端末、プログラム
US11150861B1 (en) * 2020-06-25 2021-10-19 Coscreen,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taneous multi-user screen and window sharing, capturing and coordination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428275T1 (de) * 1998-07-28 2009-04-15 Canon Kk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nachrichtenubertragung in einem netzwerk
JP4162205B2 (ja) * 2002-12-17 2008-10-08 日立ソフトウエア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無線通信機器指定方法およびシステム
FI117313B (fi) * 2004-04-05 2006-08-31 Nokia Corp Viestinkäsittely
CN1735222A (zh) * 2004-08-10 2006-02-15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离线点到点对等通信的方法和装置
JP2007129320A (ja) 2005-11-01 2007-05-24 Sony Corp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976246A (zh) * 2005-11-28 2007-06-06 国际商业机器公司 允许移动设备预订和获取服务的方法、装置及移动设备
US7522571B2 (en) 2006-02-14 2009-04-21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to enable direct link discovery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8497762B2 (en) * 2006-03-07 2013-07-30 Tyco Fire & Security Gmbh Network control
JP2007267128A (ja) * 2006-03-29 2007-10-11 Toshiba Corp 電子機器および通信制御方法
JP2008060977A (ja) 2006-08-31 2008-03-13 Brother Ind Ltd 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及び無線通信プログラム
JP4983165B2 (ja) * 2006-09-05 2012-07-25 ソニー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デバイス、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4841519B2 (ja) * 2006-10-30 2011-12-21 富士通株式会社 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鍵管理装置、中継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941087B2 (ja) * 2007-05-14 2012-05-30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
JP2008306603A (ja) 2007-06-08 2008-12-18 Canon Inc 通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アクセスポイント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090167486A1 (en) * 2007-12-29 2009-07-02 Shah Rahul C Secure association between devices
JP4524703B2 (ja) 2008-02-29 2010-08-1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506856B2 (ja) 2008-03-10 2010-07-21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US7772569B2 (en) * 2008-04-01 2010-08-10 The Jackson Laboratory 3D biplane microscopy
US7920495B2 (en) * 2008-06-25 2011-04-05 Nokia Corporation Channel management via link parameter adjustment
US7958233B2 (en) * 2008-09-26 2011-06-07 Media Patents, S.L. Method for lawfully intercepting communication IP packets exchanged between terminals
US8600303B2 (en) * 2008-11-25 2013-12-03 Nec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ntrolling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US8493887B2 (en) 2008-12-30 2013-07-23 Qualcomm Incorporated Centralized control of peer discovery pilot transmission
US20110082939A1 (en) 2009-10-02 2011-04-07 Michael Peter Montemurro Methods and apparatus to proxy discovery and negotiations between network entities to establish peer-to-peer communications
EP2797349B1 (en) * 2009-11-30 2018-09-26 Sun Patent Trust Communication device with several antennas, communication method, and position determination method
CA2786596C (en) 2010-01-06 2017-03-2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ed/coordinated intra-home communications
CN105282866B (zh) 2010-02-26 2019-07-16 Lg电子株式会社 电子设备及其操作方法
US8812657B2 (en) * 2010-04-15 2014-08-19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assisted peer discovery
US8358596B2 (en) * 2010-09-20 2013-01-22 Research In Motion Limited Communications system providing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application module associations for respective wireless communications formats and related methods
US9961182B2 (en) * 2010-09-23 2018-05-01 Blackberry Limited Communications system providing data transfer using selective wireless communications formats and related methods
KR101735334B1 (ko) * 2010-11-25 2017-05-15 삼성전자 주식회사 와이파이 P2P 디바이스(Wi-Fi Peer to Peer Device)의 디스커버리(Discovery) 방법 및 장치
US9264490B2 (en) * 2010-12-23 2016-02-16 Intel Corporation Providing regulatory information to a group owner for channel selection in a wireless peer-to-peer network
US9265078B2 (en) * 2011-05-02 2016-02-1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access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WO2012173423A2 (ko) * 2011-06-15 2012-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데이터통신장치 및 무선데이터통신방법
US8874038B2 (en) * 2011-06-29 2014-10-28 Broadcom Corporation Secure communications via NFC device
KR20130079105A (ko) * 2011-12-22 2013-07-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랜을 위한 효율적인 스캐닝 방법
EP2803242A1 (en) * 2012-01-12 2014-11-19 Marvell World Trade Ltd. Systems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a wi-fi display (wfd) session
US10375615B2 (en) * 2012-04-27 2019-08-06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WO2013187728A1 (ko) * 2012-06-14 2013-12-19 삼성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쉐어링을 위한 공용 지역 이동 네트워크 선택 방법
KR101742716B1 (ko) * 2013-04-03 2017-06-01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Ue 성능을 획득하는 방법, 단말, 및 기지국
CN108023623B (zh) * 2016-11-04 2022-05-2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终端信息上报、获取方法、终端及基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03594A1 (en) 2019-06-26
CN110267239B (zh) 2022-07-22
WO2013161484A1 (ja) 2013-10-31
CN110267239A (zh) 2019-09-20
US10638396B2 (en) 2020-04-28
JP6217774B2 (ja) 2017-10-25
EP3503594B1 (en) 2020-08-05
US10375615B2 (en) 2019-08-06
US20150133048A1 (en) 2015-05-14
CN104247464B (zh) 2019-05-03
JP2016158243A (ja) 2016-09-01
JPWO2013161484A1 (ja) 2015-12-24
JP5888409B2 (ja) 2016-03-22
JP2018014758A (ja) 2018-01-25
EP2843973A1 (en) 2015-03-04
CN104247464A (zh) 2014-12-24
US20190253950A1 (en) 2019-08-15
EP2843973A4 (en) 2015-12-30
JP6579176B2 (ja) 2019-09-25
EP2843973B1 (en) 2019-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79176B2 (ja) 情報処理装置
JP702864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1556216A (zh) 配置无线连接的方法及执行该方法的图像形成装置
US2014004542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data in mobile device having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JP6040617B2 (ja) 通信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4853326A (zh) 云名片分享方法及装置
US10225703B2 (en) Communication circuit,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acquiring available services in an active communication mode and a passive communication mode using NFC
WO2015015916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6264406B2 (ja) 通信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983835B2 (ja) 表示装置、連携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49750B2 (ja) 表示装置、連携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5032977A (ja) 画像伝送システム及び画像伝送装置
JP6320706B2 (ja) 表示制御装置、携帯端末装置、ファイル連携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7494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6009722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7005303A (ja) 受信装置及び受信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