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0582A - 2 와이어 용접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2 와이어 용접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0582A
KR20150010582A KR20140073529A KR20140073529A KR20150010582A KR 20150010582 A KR20150010582 A KR 20150010582A KR 20140073529 A KR20140073529 A KR 20140073529A KR 20140073529 A KR20140073529 A KR 20140073529A KR 20150010582 A KR20150010582 A KR 20150010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wire
filler wire
short
referenc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73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4488B1 (ko
Inventor
히데오 시오자키
도시아키 나카마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헨
Publication of KR20150010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0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4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4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24Circuits or methods for feeding welding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95Monitoring or automatic control of welding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0Other electric circuits therefor; Protective circuits; Remote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 Arc Welding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2 와이어 용접에 있어서, 필러 와이어(6)가 송급 변동에 의해 모재(2)와 비단락 상태로 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다.
소모 전극(1)과 모재(2) 사이에 아크(3)를 발생시켜 용융지(2)를 형성하고, 필러 와이어(6)가 용융지(2)와 단락 상태로 되도록 송급하여 용접하는 2 와이어 용접 제어 방법에 있어서, 용접 중에 필러 와이어(6)와 용융지(2)가 비단락 상태로 된 것을 판별하고, 이 비단락 상태가 제1 기준값(Tt1) 이상 계속되고 있을 때(시각 t4∼t5의 기간)에는, 필러 와이어(6)의 송급 속도(Fw)를 정상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Fc)로부터 가속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Fh)로 가속시킨다. 이에 의해, 송급 변동에 의해 필러 와이어(6)가 비단락 상태로 되어도, 빠르게 단락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2 와이어 용접 제어 방법{2 WIRE WELDING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소모 전극과 모재 사이에 아크를 발생시켜 용융지를 형성하고, 필러 와이어가 용융지와 단락 상태로 되도록 송급하여 용접하는 2 와이어 용접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모 전극(이하, 용접 와이어라 함)과 모재 사이에 아크를 발생시켜 용융지를 형성함과 함께, 그 용융지에 단락 상태에서 필러 와이어를 송급하여 용접하는 2 와이어 용접 방법(특허문헌 1 참조)이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이 2 와이어 용접 방법에서는, 용접 와이어의 용융 금속에 필러 와이어의 용융 금속이 더해지므로, 용융 금속량이 증가하고, 고속이며 고효율인 용접이 가능해진다. 특히, 2 와이어 용접 방법에 의해 고속 용접을 행할 때에는, 험핑 비드로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러 와이어를 소모 전극 아크보다도 후방으로부터 용융지에 단락시켜 송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것은, 필러 와이어를 소모 전극 아크 중에 송급하여 용융하면, 용융지는 거의 냉각되지 않고, 또한, 필러 와이어에 의해 용융지 후반부의 융기를 압박할 수도 없으므로 험핑 비드를 억제하는 효과는 없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필러 와이어를 아크 주연부의 용융지의 후방부에 단락시켜 송급하고, 용융지의 열에 의해 용융하도록 하면 용융지가 냉각되고, 또한, 필러 와이어에 의해 용융지 후반부가 억제되어 험핑 비드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2 와이어 용접 방법에서는, 필러 와이어에는 과열시키는 전류를 통전하지 않고 차가운 상태에서 용융지와 단락시킴으로써 용융지를 냉각하도록 하고 있다.
2 와이어 용접 방법에서는, 용접 와이어와 모재 사이에 아크를 발생시키는 방법으로서, 탄산 가스 아크 용접법, MAG 용접법, MIG 용접법, 펄스 아크 용접법, 교류 아크 용접법 등의 다양한 소모 전극식 아크 용접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필러 와이어는 기본적으로 와이어 선단이 용융지와 단락하고 있고, 용융지로부터의 열에 의해 용융한다. 따라서, 필러 와이어와 용융지 사이에는 아크는 발생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소모 전극식 아크 용접법으로서 펄스 아크 용접법을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지만, 다른 용접법이어도 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모재와 용융지는 대략 동일한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도 7은 펄스 아크 용접을 사용한 2 와이어 용접 방법에 있어서의 전류·전압 파형도이다. 도 7의 (A)는 용접 와이어를 통전하는 용접 전류(Iw)의 시간 변화를 나타내고, 도 7의 (B)는 용접 와이어와 모재(용융지) 사이에 인가하는 용접 전압(Vw)의 시간 변화를 나타내고, 도 7의 (C)는 필러 와이어의 송급 속도(Fw)를 나타낸다. 용접 와이어의 송급 속도는, 도시하지 않지만, 소정값으로 정속 송급되고 있다. 필러 와이어와 용융지 사이에는 전압은 인가되어 있지 않고, 전류도 통전하고 있지 않다. 필러 와이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용융지와 단락한 상태에서 송급되고 있다. 필러 와이어가 용융지와 이격해도, 전압이 인가되어 있지 않으므로, 필러 와이어와 용융지 사이에는 아크는 발생하지 않는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시각 t1∼t2의 피크 기간(Tp) 중에는, 도 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접 와이어로부터 용적을 이행시키기 위해 임계값 이상의 대전류값의 피크 전류(Ip)가 통전되고, 도 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접 와이어와 용융지 사이에 아크 길이에 비례한 피크 전압(Vp)이 인가된다.
시각 t2∼t3의 베이스 기간(Tb) 중에는, 도 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적을 형성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임계값 미만의 소전류값의 베이스 전류(Ib)가 통전되고, 도 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전압(Vb)이 인가된다. 시각 t1∼t3까지의 기간을 1주기[펄스 주기(Tf)]로 하여 반복해서 용접이 행해진다. 시각 t3∼t4의 피크 기간(Tp) 및 시각 t4∼t5의 베이스 기간(Tb)은, 다시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의 동작을 반복한다.
한편, 도 7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러 와이어의 송급 속도(Fw)는, 일정값의 정상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Fc)로 용융지와 단락한 상태에서 송급된다. 정상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Fc)는, 안정적으로 용융하기 위해 용접 와이어의 송급 속도의 10∼30% 정도의 범위로 설정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양호한 펄스 아크 용접을 행하기 위해서는, 아크 길이를 적정값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크 길이를 적정값으로 유지하기 위해 이하와 같은 용접 전원의 출력 제어(아크 길이 제어)가 행해진다. 아크 길이는, 도 7의 (B)에서 파선으로 나타내는 용접 전압 평균값(Vav)과 대략 비례 관계에 있다. 이로 인해, 용접 전압 평균값(Vav)을 검출하고, 이 검출값이 적정 아크 길이에 상당하는 용접 전압 설정값과 동등해지도록 도 7의 (A)의 파선으로 나타내는 용접 전류 평균값(Iav)을 변화시키는 출력 제어를 행한다. 용접 전압 평균값(Vav)이 용접 전압 설정값보다도 클 때에는 아크 길이가 적정값보다도 길 때이므로, 용접 전류 평균값(Iav)을 작게 하여 와이어 용융 속도를 작게 하고 아크 길이가 짧아지도록 한다. 반대로, 용접 전압 평균값(Vav)이 용접 전압 설정값보다도 작을 때에는 아크 길이가 적정값보다도 짧을 때이므로, 용접 전류 평균값(Iav)을 크게 하여 와이어 용융 속도를 크게 하고 아크 길이가 길어지도록 한다. 상기한 용접 전압 평균값(Vav)으로서는, 일반적으로 용접 전압(Vw)을 저역 통과 필터(컷오프 주파수 1∼10㎐ 정도)에 통과시킨 값이 사용된다. 또한, 용접 전류 평균값(Iav)을 변화시키는 조작량으로서, 피크 기간(Tp), 펄스 주기(Tf), 피크 전류(Ip) 또는 베이스 전류(Ib)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화시키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펄스 주기(Tf)를 조작량으로 하여 피드백 제어할 때에는, 피크 기간(Tp), 피크 전류(Ip) 및 베이스 전류(Ib)는 소정값으로 설정된다(주파수 변조 제어 방식이라고 불림). 또한, 피크 기간(펄스 폭)(Tp)을 조작량으로 하여 피드백 제어할 때에는, 피크 전류(Ip), 베이스 전류(Ib) 및 펄스 주기(Tf)가 소정값으로 설정된다(펄스 폭 변조 제어 방식이라고 불림).
특허문헌 2에 나타내는 TIG 필러 용접에 있어서는, 필러 와이어와 모재 사이에 미소 전압(비단락 검출 전압)을 인가하고, 필러 와이어와 모재 사이에 전류가 통전되지 않게 된 것에 의해 필러 와이어 끊어짐을 판별하여 경보를 발하는 것이다. 즉, 필러 와이어와 모재 사이에 아크가 발생하지 않는 수 V의 비단락 검출 전압을 인가하면, 필러 와이어와 모재가 단락 상태에 있을 때에는 전류가 통전되고, 이격 상태(비단락 상태)에 있을 때에는 전류가 통전되지 않는다. 이 전류의 통전에 의해, 필러 와이어가 단락 상태에 있는지 비단락 상태에 있는지를 판별하고 있다. 그리고, 비단락 상태에 있다고 판별하였을 때에는, 필러 와이어의 잔량이 0으로 되어 필러 와이어 끊어짐으로 된 것을 판별하고 있다.
상기한 바에 있어서는 전류의 통전에 의해 단락 상태 또는 비단락 상태를 판별하고 있지만, 이하와 같이 하여 전압값에 의해 판별할 수도 있다. 즉, 필러 와이어와 모재 사이에 아크가 발생하지 않는 수 V(예를 들어 5V)의 비단락 검출 전압을 인가하면, 필러 와이어와 모재가 단락 상태에 있을 때에는 필러 와이어와 모재 사이의 전압(필러 와이어 전압)은 0V로 되고, 비단락 상태에 있을 때에는 5V로 된다. 따라서, 이 필러 와이어 전압의 값에 의해 단락 상태 또는 비단락 상태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필러 와이어와 모재가 단락 상태에 있을 때에 통전하는 전류값은, 필러 와이어를 과열시키지 않도록 0.05∼1.0A 정도의 범위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하면, 상술한 험핑 비드를 억제하는 효과가 감소하는 일은 없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2-170958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5-305441호 공보
장시간의 용접을 반복하고 있으면, 필러 와이어의 송급로(라이너) 내부에 필러 와이어가 깎인 부스러기가 점차 축적되어, 송급의 변동이 커지게 된다. 이 결과, 용접 중에 필러 와이어의 비단락 상태가 때때로 발생하게 된다. 이 비단락 상태가 일정 기간보다도 짧은 경우에는, 용접 비드에의 영향은 그다지 없다. 그러나, 이 비단락 상태가 일정 기간을 초과하면 용접 비드가 악화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필러 와이어의 송급의 변동에 기인하여 비단락 상태가 발생해도, 용접 비드가 나빠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2 와이어 용접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의 발명은,
소모 전극과 모재 사이에 아크를 발생시켜 용융지를 형성하고, 필러 와이어가 상기 용융지와 단락 상태로 되도록 송급하여 용접하는 2 와이어 용접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접 중에 상기 필러 와이어와 상기 용융지가 비단락 상태로 된 것을 판별하고, 이 비단락 상태가 미리 정한 제1 기준값 이상 계속되고 있을 때에는 상기 필러 와이어의 송급 속도를 미리 정한 정상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로부터 미리 정한 가속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로 가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와이어 용접 제어 방법이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상기 필러 와이어와 상기 용융지 사이가 상기 단락 상태 또는 상기 비단락 상태에 있는지의 판별을, 상기 필러 와이어와 상기 용융지 사이에 비단락 판별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2 와이어 용접 제어 방법이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상기 가속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는, 시간의 경과에 수반하여 그 값이 빨라지도록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2 와이어 용접 제어 방법이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상기 필러 와이어와 상기 용융지 사이가 상기 제1 기준값 이상의 상기 비단락 상태로부터 상기 단락 상태로 복귀한 것을 판별하였을 때에는, 상기 필러 와이어의 송급 속도를 상기 정상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로 되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2 와이어 용접 제어 방법이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상기 필러 와이어와 상기 용융지 사이가 상기 제1 기준값 이상의 상기 비단락 상태로부터 상기 단락 상태로 복귀한 것을 판별하였을 때에는, 상기 필러 와이어의 송급 속도를 상기 용접이 종료될 때까지 상기 가속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2 와이어 용접 제어 방법이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상기 비단락 상태의 계속 시간이 상기 제1 기준값보다도 긴 값의 미리 정한 제2 기준값에 도달하였을 때에는, 상기 용접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2 와이어 용접 제어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단락 상태를 빠르게 단락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서는, 필러 와이어의 송급의 변동에 기인하여 비단락 상태가 발생해도, 용접 비드가 나빠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2 와이어 용접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전류·전압 파형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2 와이어 용접 제어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용접 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2 와이어 용접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전류·전압 파형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2 와이어 용접 제어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용접 장치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관한 2 와이어 용접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전류·전압 파형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관한 2 와이어 용접 제어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용접 장치의 블록도.
도 7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 펄스 아크 용접을 사용한 2 와이어 용접 방법에 있어서의 전류·전압 파형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2 와이어 용접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전류·전압 파형도이다. 도 1의 (A)는 용접 와이어를 통전하는 용접 전류의 평균값(Iav)의 시간 변화를 나타내고, 도 1의 (B)는 용접 와이어와 모재(용융지) 사이에 인가하는 용접 전압의 평균값(Vav)의 시간 변화를 나타내고, 도 1의 (C)는 필러 와이어의 송급 속도(Fw)의 시간 변화를 나타내고, 도 1의 (D)는 필러 와이어와 모재(용융지) 사이에 인가하는 필러 와이어 전압(Vf)의 시간 변화를 나타낸다. 용접 와이어의 송급 속도는, 도시하지 않지만, 소정값으로 정속 송급되고 있다. 도 1의 (A)에 나타내는 용접 전류 평균값(Iav) 및 도 1의 (B)에 나타내는 용접 전압 평균값(Vav)은, 상술한 도 7에 나타내는 펄스 파형을 평균화한 것이며, 대략 일정값으로 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의 (C)에 나타내는 필러 와이어의 송급 속도(Fw)는, 필러 와이어가 용융지와 단락 상태로 되도록 정상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Fc)로 설정되어 있다. 필러 와이어와 용융지 사이에는 예를 들어 5V의 비단락 검출 전압이 인가되어 있고, 도 1의 (D)에 나타내는 필러 와이어 전압(Vf)은 필러 와이어가 비단락 상태에 있을 때에는 5V로 되고, 단락 상태에 있을 때에는 0V로 된다.
시각 t1∼t2의 기간 및 시각 t3∼t5의 기간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필러 와이어의 라이너가 소모되어 송급의 변동이 발생하여, 필러 와이어가 비단락 상태로 된 기간이다. 이 이외의 기간은, 필러 와이어는 단락 상태에 있다. 시각 t1∼t2의 비단락 기간은 미리 정한 제1 기준값(Tt1)(초) 미만의 시간 길이의 경우이며, 시각 t3∼t5의 비단락 기간은 제1 기준값(Tt1)을 초과하는 시간 길이의 경우이다. 이 제1 기준값(Tt1)은, 필러 와이어가 비단락 상태로 되어도 용접 비드에 거의 영향이 없는 시간 길이로 설정된다. 제1 기준값(Tt1)은, 예를 들어 0.05∼0.2초 정도로 설정된다.
도 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접 전류 평균값(Iav)은 전 기간 중 대략 일정값으로 되어 있다. 도 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접 전압 평균값(Vav)도 전 기간 중 대략 일정값으로 되어 있다. 도 1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러 와이어 전압(Vf)은, 시각 t1∼t2의 기간 및 시각 t3∼t5의 기간 중에는 5V로 되고, 그 이외의 기간 중에는 0V로 된다.
도 1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러 와이어의 송급 속도(Fw)는, 시각 t1∼t2의 기간 및 시각 t3∼t5의 기간 이외의 기간 중에는 미리 정한 정상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Fc)로 된다. 시각 t1∼t2의 비단락 상태는 제1 기준값(Tt1) 미만이므로, 필러 와이어의 송급 속도(Fw)는 정상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Fc)인 상태 그대로이다. 시각 t3∼t4의 기간은 비단락 상태가 제1 기준값(Tt1) 미만의 기간이므로 필러 와이어의 송급 속도(Fw)는 정상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Fc)인 상태 그대로이다. 시각 t4에 있어서 비단락 상태의 계속 시간이 제1 기준값(Tt1)에 도달하면, 필러 와이어의 송급 속도는 미리 정한 가속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Fh)로 스텝 형상으로 빨라진다. 시각 t5에 있어서, 필러 와이어가 단락 상태로 복귀하면, 필러 와이어의 송급 속도(Fw)는 정상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Fc)로 되돌아간다. 따라서, 필러 와이어의 비단락 상태의 계속 시간이 제1 기준값(Tt1) 이상으로 되는 시각 t4∼t5의 기간 중에만, 필러 와이어의 송급 속도(Fw)는 가속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Fh)로 된다. 이 가속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Fh)는, 비단락 상태를 빠르게 단락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해, 정상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Fc)보다도 30∼100% 빠른 속도로 설정된다. 가속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Fh)가 지나치게 빠르면, 단락 상태로 복귀하였을 때에 필러 와이어의 용융이 부족하여 불안정해지게 된다.
상기한 바에 있어서는, 도 1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각 t4∼t5의 기간 중의 가속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Fh)가 일정값인 경우를 나타냈지만, 시간의 경과에 수반하여 그 값이 소정값에 도달할 때까지는 빨라지도록 변화시켜도 된다. 즉, 시각 t4로부터 경사를 가지고 빨라져 소정값에 수렴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비단락 상태가 길게 계속될수록 가속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Fh)의 값이 빨라지므로, 단락 상태로 복귀시키는 작용이 강해진다. 반대로, 비단락 상태가 조기에 단락 상태로 복귀하였을 때에는, 가속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Fh)의 값은 그다지 빨라져 있지 않으므로, 단락 상태로 복귀한 후의 필러 와이어의 용융이 재빠르게 안정화된다.
필러 와이어의 송급이 안정되어 있을 때에는, 용접 중에 비단락 상태가 발생하는 일은 거의 없다. 따라서, 도 1과 같이 비단락 상태가 발생할 때에는, 필러 와이어의 송급의 변동이 있는 경우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제1 기준값(Tt1) 이상의 비단락 상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그 변동이 큰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로 인해, 용접 중의 비단락 상태의 발생이 있을 때에는, 그 빈도 및 그 계속 시간에 기초하여 경보를 발하도록 하고 있다. 경보가 발한 경우에는, 용접 작업자는 워크의 용접을 종료한 후에, 필러 와이어용 라이너를 신품으로 교환하는 등의 송급계의 유지 보수를 행하게 된다.
도 2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2 와이어 용접 제어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용접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용접 와이어(1)와 용융지(2) 사이의 아크(3)가, 소모 전극식 펄스 아크 용접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이며, 출력 제어(아크 길이 제어)가 상술한 주파수 변조 제어인 경우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각 블록에 대해 설명한다.
전원 주 회로(PM)는, 3상 200V 등의 상용 전원(도시는 생략)을 입력으로 하여, 후술하는 구동 신호(Dv)에 따라 인버터 제어에 의해 출력 제어를 행하고, 아크(3)를 발생시키기 위한 용접 전압(Vw) 및 용접 전류(Iw)를 출력한다. 이 전원 주 회로(PM)는, 도시는 생략하지만, 상용 전원을 정류하는 1차 정류 회로, 정류된 직류를 평활하는 콘덴서, 평활된 직류를 상기한 구동 신호(Dv)에 따라 고주파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 회로, 고주파 교류를 아크(3)를 발생시키기 위해 적정한 전압값으로 강압하는 고주파 트랜스, 강압된 고주파 교류를 정류하는 2차 정류 회로, 정류된 직류를 평활하는 리액터를 구비하고 있다.
비단락 검출 전압 인가 회로(VS)는, 정전압원(도시는 생략)과 저항기(도시는 생략)가 직렬로 된 구성이며, 필러 와이어(6)와 용융지(2) 사이에 접속된다. 이 정전압원의 값은, 상술한 비단락 검출 전압(Vs)으로 된다. 이 비단락 검출 전압(Vs)은, 필러 와이어(6)가 비단락 상태로 되어도 아크가 발생하지 않는 값으로 설정되고, 1∼8V 정도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비단락 검출 전압(Vs)=5V 및 저항기=50Ω으로 설정한다. 필러 와이어(6)와 용융지(2) 사이의 전압을 필러 와이어 전압(Vf)이라고 표기하면, 필러 와이어(6)와 용융지(2)가 비단락 상태에 있을 때에는 필러 와이어 전압(Vf)=5V로 되고, 단락 상태에 있을 때에는 Vf=0V로 된다. 단락 상태에 있을 때에는, 0.1A의 전류가 필러 와이어(6)에 통전된다.
용접 와이어(1)는 용접 와이어 송급 모터(WM)에 결합된 용접 와이어 송급 롤(5)의 회전에 의해 용접 토치(4) 내를 송급되고, 상기한 전원 주 회로(PM)로부터 급전 칩(도시는 생략)을 통해 급전되어, 모재(용융지)(2)와의 사이에 아크(3)가 발생한다.
필러 와이어(6)는 필러 와이어 송급 모터(FM)에 결합된 필러 와이어 송급 롤(8)의 회전에 의해 필러 와이어용 라이너(7) 내를 송급되고, 상기한 비단락 검출 전압 인가 회로(VS)로부터 급전 칩(도시는 생략)을 통해 비단락 검출 전압(Vs)이 급전되어, 아크(3)에 의해 형성된 용융지(2)와 단락한 상태에서 용융된다. 도 2에 있어서는, 용접 토치(4)와 필러 와이어용 라이너(7)가 다른 구성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1개의 용접 토치로부터 2개의 와이어[용접 와이어(1) 및 필러 와이어(6)]가 송급되도록 해도 된다.
비상 정지 회로(ST)는, 비상 정지 시에 High 레벨로 되는 비상 정지 신호(St)를 출력한다.
전압 검출 회로(VD)는, 상기한 용접 전압(Vw)을 검출하여, 전압 검출 신호(Vd)를 출력한다. 전압 평활 회로(VAV)는, 이 전압 검출 신호(Vd)를 입력으로 하여, 평균화(컷오프 주파수 1∼10㎐ 정도의 저역 통과 필터를 통과시킴)하여, 용접 전압 평균값 신호(Vav)를 출력한다. 전압 설정 회로(VR)는, 미리 정한 용접 전압 설정 신호(Vr)를 출력한다. 전압 오차 증폭 회로(EV)는, 이 용접 전압 설정 신호(Vr)와 상기한 용접 전압 평균값 신호(Vav)의 오차를 증폭하여, 전압 오차 증폭 신호(Ev)를 출력한다.
전압/주파수 변환 회로(VFC)는, 상기한 전압 오차 증폭 신호(Ev)의 값에 비례한 주파수의 신호로 변환하여, 이 주파수(펄스 주기)마다 단시간 High 레벨로 되는 펄스 주기 신호(Tf)를 출력한다. 이 전압/주파수 변환 회로(VFC)에 의해 상술한 주파수 변조 제어를 행하고 있다. 피크 기간 설정 회로(TPR)는, 미리 정한 피크 기간 설정 신호(Tpr)를 출력한다. 피크 기간 타이머 회로(TP)는, 상기한 펄스 주기 신호(Tf) 및 상기한 피크 기간 설정 신호(Tpr)를 입력으로 하여, 펄스 주기 신호(Tf)가 High 레벨로 변화한 시점으로부터 피크 기간 설정 신호(Tpr)에 의해 정해지는 기간만큼 High 레벨로 되는 피크 기간 신호(Tp)를 출력한다. 따라서, 이 피크 기간 신호(Tp)는, 그 주기가 펄스 주기로 되고, 피크 기간 동안은 High 레벨로 되고, 베이스 기간 동안은 Low 레벨로 되는 신호이다.
피크 전류 설정 회로(IPR)는, 미리 정한 피크 전류 설정 신호(Ipr)를 출력한다. 베이스 전류 설정 회로(IBR)는, 미리 정한 베이스 전류 설정 신호(Ibr)를 출력한다. 전류 설정 전환 회로(SI)는, 상기한 피크 기간 신호(Tp), 상기한 피크 전류 설정 신호(Ipr) 및 상기한 베이스 전류 설정 신호(Ibr)를 입력으로 하여, 피크 기간 신호(Tp)가 High 레벨(피크 기간)일 때에는 피크 전류 설정 신호(Ipr)를 전류 설정 신호(Ir)로서 출력하고, Low 레벨(베이스 기간)일 때에는 베이스 전류 설정 신호(Ibr)를 전류 설정 신호(Ir)로서 출력한다. 전류 검출 회로(ID)는, 상기한 용접 전류(Iw)를 검출하여, 전류 검출 신호(Id)를 출력한다. 전류 오차 증폭 회로(EI)는, 상기한 전류 설정 신호(Ir)와 상기한 전류 검출 신호(Id)의 오차를 증폭하여, 전류 오차 증폭 신호(Ei)를 출력한다. 구동 회로(DV)는, 이 전류 오차 증폭 신호(Ei) 및 상기한 비상 정지 신호(St)를 입력으로 하여, 비상 정지 신호(St)가 Low 레벨일 때에는 전류 오차 증폭 신호(Ei)에 기초하여 PWM 변조 제어를 행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한 전원 주 회로(PM) 내의 인버터 회로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Dv)를 출력하고, 비상 정지 신호(St)가 High 레벨일 때에는 구동 신호(Dv)를 출력하지 않는다.
용접 와이어 송급 속도 설정 회로(WR)는, 미리 정한 용접 와이어 송급 속도 설정 신호(Wr)를 출력한다. 용접 와이어 송급 제어 회로(WC)는, 이 용접 와이어 송급 속도 설정 신호(Wr) 및 상기한 비상 정지 신호(St)를 입력으로 하여, 비상 정지 신호(St)가 Low 레벨일 때에는 용접 와이어 송급 속도 설정 신호(Wr)의 값에 상당하는 송급 속도로 용접 와이어(1)를 송급하기 위한 용접 와이어 송급 제어 신호(Wc)를 상기한 용접 와이어 송급 모터(WM)에 출력하고, 비상 정지 신호(St)가 High 레벨일 때에는 용접 와이어 송급 제어 신호(Wc)를 출력하지 않는다.
필러 와이어 전압 검출 회로(VFD)는, 상기한 필러 와이어 전압(Vf)을 검출하여, 필러 와이어 전압 검출 신호(Vfd)를 출력한다. 비단락 판별 회로(SD)는, 이 필러 와이어 전압 검출 신호(Vfd)를 입력으로 하여, 이 값이 미리 정한 단락 판별 기준값(2.5V) 미만일 때에는 단락 상태라고 판별하여 Low 레벨로 되고, 이상일 때에는 비단락 상태에 있다고 판별하여 High 레벨로 되는 비단락 판별 신호(Sd)를 출력한다. 제1 기준값 설정 회로(TT1)는, 미리 정한 제1 기준값 설정 신호(Tt1)를 출력한다. 비단락 후기 판별 회로(SDD)는, 상기한 비단락 판별 신호(Sd) 및 이 제1 기준값 설정 신호(Tt1)를 입력으로 하여, 비단락 판별 신호(Sd)를 제1 기준값 설정 신호(Tt1)에 의해 정해지는 기간만큼 온딜레이한 비단락 후기 판별 신호(Sdd)를 출력한다. 이 비단락 후기 판별 신호(Sdd)는, 비단락 상태의 계속 시간이 제1 기준값 설정 신호(Tt1)의 값보다도 길어진 기간(도 1의 시각 t4∼t5의 기간)만큼 High 레벨로 되는 신호이다.
정상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 설정 회로(FCR)는, 미리 정한 정상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 설정 신호(Fcr)를 출력한다. 가속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 설정 회로(FHR)는, 미리 정한 가속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 설정 신호(Fhr)를 출력한다.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 설정 전환 회로(SF)는, 상기한 정상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 설정 신호(Fcr), 상기한 가속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 설정 신호(Fhr) 및 상기한 비단락 후기 판별 신호(Sdd)를 입력으로 하여, 비단락 후기 판별 신호(Sdd)가 High 레벨일 때에는 가속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 설정 신호(Fhr)를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 설정 신호(Fr)로서 출력하고, Low 레벨일 때에는 정상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 설정 신호(Fcr)를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 설정 신호(Fr)로서 출력한다. 필러 와이어 송급 제어 회로(FCT)는, 이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 설정 신호(Fr) 및 상기한 비상 정지 신호(St)를 입력으로 하여, 비상 정지 신호(St)가 Low 레벨일 때에는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 설정 신호(Fr)의 값에 상당하는 송급 속도로 필러 와이어(6)를 송급하기 위한 필러 와이어 송급 제어 신호(Fct)를 상기한 필러 와이어 송급 모터(FM)에 출력하고, 비상 정지 신호(St)가 High 레벨일 때에는 필러 와이어 송급 제어 신호(Fct)를 출력하지 않는다.
도 2에 있어서, 가속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Fh)가 시간 경과에 수반하여 점차 커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가속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 설정 회로(FHR)를 이하와 같이 변경하면 된다. 즉, 가속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 설정 회로(FHR)는, 상기한 비단락 후기 판별 신호(Sdd)를 입력으로 하여, 비단락 후기 판별 신호(Sdd)가 High 레벨로 변화한 시점으로부터의 시간 경과에 수반하여 점차 커지는 가속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 설정 신호(Fhr)를 출력한다. 도 2는 아크 길이 제어를 주파수 변조 제어에 의해 행하는 경우이지만, 펄스 폭 변조 제어 등의 다른 변조 제어를 사용해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 1에 따르면, 용접 중에 필러 와이어와 용융지가 비단락 상태로 된 것을 판별하고, 이 비단락 상태가 미리 정한 제1 기준값 이상 계속되고 있을 때에는, 필러 와이어의 송급 속도를 미리 정한 정상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로부터 미리 정한 가속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로 가속시킨다. 이에 의해, 비단락 상태를 빠르게 단락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러 와이어의 송급의 변동에 기인하여 비단락 상태가 발생해도, 용접 비드가 나빠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 1에서는, 아크를 펄스 아크 용접에 의해 발생시키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소모 전극식 아크 용접 전반을 사용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는 필러 와이어와 용융지 사이가 제1 기준값 이상의 비단락 상태로부터 단락 상태로 복귀하였을 때에는, 필러 와이어의 송급 속도를 용접이 종료될 때까지 가속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로 유지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형태 1에서는, 단락 상태로 복귀하면 정상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로 되돌리고 있었지만, 실시 형태 2에서는 가속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2 와이어 용접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전류·전압 파형도이다. 도 3의 (A)는 용접 와이어를 통전하는 용접 전류의 평균값(Iav)의 시간 변화를 나타내고, 도 3의 (B)는 용접 와이어와 모재(용융지) 사이에 인가하는 용접 전압의 평균값(Vav)의 시간 변화를 나타내고, 도 3의 (C)는 필러 와이어의 송급 속도(Fw)의 시간 변화를 나타내고, 도 3의 (D)는 필러 와이어와 모재(용융지) 사이의 필러 와이어 전압(Vf)의 시간 변화를 나타낸다. 용접 와이어의 송급 속도는, 도시하지 않지만, 소정값으로 정속 송급되고 있다. 도 3은 상술한 도 1과 대응하고 있고, 시각 t5 이후의 동작만이 다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시각 t5 이후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시각 t3∼t4의 기간은 비단락 상태가 제1 기준값(Tt1) 미만의 기간이므로 필러 와이어의 송급 속도(Fw)는 정상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Fc)인 상태 그대로이다. 시각 t4에 있어서 비단락 상태의 계속 시간이 제1 기준값(Tt1)에 도달하면, 필러 와이어의 송급 속도는 가속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Fh)로 스텝 형상으로 빨라진다. 시각 t5에 있어서, 필러 와이어가 단락 상태로 복귀해도, 필러 와이어의 송급 속도(Fw)는 가속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Fh)를 당해 워크의 용접 종료까지 유지한다. 따라서, 필러 와이어의 비단락 상태의 계속 시간이 제1 기준값(Tt1) 이상으로 되는 시각 t4로부터 용접 종료까지의 기간 중에는, 필러 와이어의 송급 속도(Fw)는 가속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Fh)로 된다.
상기한 바에 있어서는, 도 3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각 t4 이후의 가속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Fh)가 일정값인 경우를 나타냈지만,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시간의 경과에 수반하여 그 값이 소정값에 도달할 때까지 빨라지도록 변화시켜도 된다. 즉, 시각 t4로부터 경사를 가지고 빨라져 소정값에 수렴하도록 해도 된다.
도 4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관한 2 와이어 용접 제어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용접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상술한 도 2와 대응하고 있고, 동일 블록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도 2의 비단락 후기 판별 회로(SDD)를 제2 비단락 후기 판별 회로(SDD2)로 치환한 것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이 블록에 대해 설명한다.
제2 비단락 후기 판별 회로(SDD2)는, 비단락 판별 신호(Sd) 및 제1 기준값 설정 신호(Tt1)를 입력으로 하여, 비단락 판별 신호(Sd)가 High 레벨로 변화한 시점으로부터 제1 기준값 설정 신호(Tt1)에 의해 정해지는 기간만큼 경과하였을 때에는 High 레벨로 세트되고, 용접이 종료되면 Low 레벨로 리셋되는 비단락 후기 판별 신호(Sdd)를 출력한다. 이 비단락 후기 판별 신호(Sdd)는, 비단락 상태의 계속 시간이 제1 기준값 설정 신호(Tt1)의 값에 도달한 시점 이후의 기간(도 3의 시각 t4 이후의 기간)은 High 레벨로 되는 신호이다.
상술한 실시 형태 2에 따르면, 필러 와이어와 용융지 사이가 제1 기준값 이상의 비단락 상태로부터 단락 상태로 복귀한 것을 판별하였을 때에는, 필러 와이어의 송급 속도를 용접이 종료될 때까지 가속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로 유지한다. 제1 기준값 이상의 비단락 상태가 발생하는 경우는, 필러 와이어의 송급에 큰 변동이 있는 경우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필러 와이어의 송급 속도를 단락 상태에 있어서도 빠르게 함으로써, 다시 비단락 상태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실시 형태 3]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서는, 비단락 상태의 계속 시간이 제1 기준값보다도 긴 값의 미리 정한 제2 기준값에 도달하였을 때에는, 비상 정지를 걸어 용접을 정지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관한 2 와이어 용접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전류·전압 파형도이다. 도 5의 (A)는 용접 와이어를 통전하는 용접 전류의 평균값(Iav)의 시간 변화를 나타내고, 도 5의 (B)는 용접 와이어와 모재(용융지) 사이에 인가하는 용접 전압의 평균값(Vav)의 시간 변화를 나타내고, 도 5의 (C)는 필러 와이어의 송급 속도(Fw)의 시간 변화를 나타내고, 도 5의 (D)는 필러 와이어와 모재(용융지) 사이의 필러 와이어 전압(Vf)의 시간 변화를 나타낸다. 용접 와이어의 송급 속도는, 도시하지 않지만, 소정값으로 정속 송급되고 있다. 도 5는 상술한 도 1과 대응하고 있고, 시각 t5 이후의 동작만이 다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시각 t5 이후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각 t3∼t4의 기간은 비단락 상태가 제1 기준값(Tt1) 미만의 기간이므로 필러 와이어의 송급 속도(Fw)는 정상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Fc)인 상태 그대로이다. 시각 t4에 있어서 비단락 상태의 계속 시간이 제1 기준값(Tt1)에 도달하면, 필러 와이어의 송급 속도는 가속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Fh)로 스텝 형상으로 빨라진다. 그리고, 시각 t5에 있어서 비단락 상태의 계속 시간이 제1 기준값보다도 긴 값으로 미리 정한 제2 기준값(Tt2)에 도달하면, 비상 정지가 걸려 용접을 정지한다. 용접의 정지라 함은, 용접 전압(Vw) 및 용접 전류(Iw)의 출력을 정지하고, 용접 와이어(1)의 송급을 정지하고, 필러 와이어(6)의 송급을 정지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시각 t5에 있어서,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접 전류 평균값(Iav)은 0A로 되고,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접 전압 평균값(Vav)은 0V로 되고, 도 5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러 와이어의 송급 속도(Fw)는 0으로 되고, 도 5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러 와이어 전압(Vf)은 0V로 된다.
상기한 제2 기준값(Tt2)은, 비단락 상태가 이 시간 길이 이상 계속되면 용접 결함으로 되는 값으로서 설정된다. 그 설정 범위는, 0.3∼1.0초 정도이다.
도 6은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관한 2 와이어 용접 제어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용접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상술한 도 2와 대응하고 있고, 동일 블록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도 2의 비상 정지 회로(ST)를 제2 비상 정지 회로(ST2)로 치환한 것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이 블록에 대해 설명한다.
제2 비상 정지 회로(ST2)는, 비단락 판별 신호(Sd)를 입력으로 하여, 비단락 판별 신호(Sd)가 High 레벨로 변화한 시점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이 미리 정한 제2 기준값(Tt2)에 도달하였을 때에는, High 레벨로 되는 비상 정지 신호(St)를 출력한다.
상술한 실시 형태 3에 따르면, 필러 와이어의 비단락 상태의 계속 시간이 제1 기준값보다도 긴 값의 미리 정한 제2 기준값에 도달하였을 때에는, 용접을 정지한다. 이에 의해, 용접 비드가 불량해진다고 판별할 수 있었을 때에는, 용접을 정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불필요한 용접을 행할 필요가 없고, 필러 와이어의 라이너 등의 송급계의 유지 보수를 실시한 후에 용접의 재개를 조기에 행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은 실시 형태 1을 바탕으로 하여 비상 정지 기능을 추가하였지만, 실시 형태 2를 바탕으로 하여 추가해도 된다.
1 : 용접 와이어
2 : 모재, 용융지
3 : 아크
4 : 용접 토치
5 : 용접 와이어 송급 롤
6 : 필러 와이어
7 : 필러 와이어용 라이너
8 : 필러 와이어 송급 롤
DV : 구동 회로
Dv : 구동 신호
EI : 전류 오차 증폭 회로
Ei : 전류 오차 증폭 신호
EV : 전압 오차 증폭 회로
Ev : 전압 오차 증폭 신호
Fc : 정상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
FCR : 정상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 설정 회로
Fcr : 정상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 설정 신호
FCT : 필러 와이어 송급 제어 회로
Fct : 필러 와이어 송급 제어 신호
Fh : 가속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
FHR : 가속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 설정 회로
Fhr : 가속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 설정 신호
FM : 필러 와이어 송급 모터
Fr :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 설정 신호
Fw : 송급 속도
Iav : 용접 전류 평균값
Ib : 베이스 전류
IBR : 베이스 전류 설정 회로
Ibr : 베이스 전류 설정 신호
ID : 전류 검출 회로
Id : 전류 검출 신호
Ip : 피크 전류
IPR : 피크 전류 설정 회로
Ipr : 피크 전류 설정 신호
Ir : 전류 설정 신호
Iw : 용접 전류
PM : 전원 주 회로
SD : 비단락 판별 회로
Sd : 비단락 판별 신호
SDD : 비단락 후기 판별 회로
Sdd : 비단락 후기 판별 신호
SDD2 : 제2 비단락 후기 판별 회로
SF :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 설정 전환 회로
SI : 전류 설정 전환 회로
ST : 비상 정지 회로
St : 비상 정지 신호
ST2 : 제2 비상 정지 회로
Tb : 베이스 기간
Tf : 펄스 주기(신호)
TP : 피크 기간 타이머 회로
Tp : 피크 기간(신호)
TPR : 피크 기간 설정 회로
Tpr : 피크 기간 설정 신호
TT1 : 제1 기준값 설정 회로
Tt1 : 제1 기준값(설정 신호)
Tt2 : 제2 기준값
VAV : 전압 평활 회로
Vav : 용접 전압 평균값(신호)
Vb : 베이스 전압
VD : 전압 검출 회로
Vd : 전압 검출 신호
Vf : 필러 와이어 전압
VFC : 전압/주파수 변환 회로
VFD : 필러 와이어 전압 검출 회로
Vfd : 필러 와이어 전압 검출 신호
Vp : 피크 전압
VR : 전압 설정 회로
Vr : 용접 전압 설정 신호
VS : 비단락 검출 전압 인가 회로
Vs : 비단락 검출 전압
Vw : 용접 전압
WC : 용접 와이어 송급 제어 회로
Wc : 용접 와이어 송급 제어 신호
WM : 용접 와이어 송급 모터
WR : 용접 와이어 송급 속도 설정 회로
Wr : 용접 와이어 송급 속도 설정 신호

Claims (13)

  1. 소모 전극과 모재 사이에 아크를 발생시켜 용융지를 형성하고, 필러 와이어가 상기 용융지와 단락 상태로 되도록 송급하여 용접하는 2 와이어 용접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접 중에 상기 필러 와이어와 상기 용융지가 비단락 상태로 된 것을 판별하고, 이 비단락 상태가 미리 정한 제1 기준값 이상 계속되고 있을 때에는 상기 필러 와이어의 송급 속도를 미리 정한 정상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로부터 미리 정한 가속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로 가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와이어 용접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 와이어와 상기 용융지 사이가 상기 단락 상태 또는 상기 비단락 상태에 있는지의 판별을, 상기 필러 와이어와 상기 용융지 사이에 비단락 판별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와이어 용접 제어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는, 시간의 경과에 수반하여 그 값이 빨라지도록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와이어 용접 제어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 와이어와 상기 용융지 사이가 상기 제1 기준값 이상의 상기 비단락 상태로부터 상기 단락 상태로 복귀한 것을 판별하였을 때에는, 상기 필러 와이어의 송급 속도를 상기 정상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로 되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와이어 용접 제어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 와이어와 상기 용융지 사이가 상기 제1 기준값 이상의 상기 비단락 상태로부터 상기 단락 상태로 복귀한 것을 판별하였을 때에는, 상기 필러 와이어의 송급 속도를 상기 용접이 종료될 때까지 상기 가속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와이어 용접 제어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단락 상태의 계속 시간이 상기 제1 기준값보다도 긴 값의 미리 정한 제2 기준값에 도달하였을 때에는, 상기 용접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와이어 용접 제어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 와이어와 상기 용융지 사이가 상기 제1 기준값 이상의 상기 비단락 상태로부터 상기 단락 상태로 복귀한 것을 판별하였을 때에는, 상기 필러 와이어의 송급 속도를 상기 정상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로 되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와이어 용접 제어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 와이어와 상기 용융지 사이가 상기 제1 기준값 이상의 상기 비단락 상태로부터 상기 단락 상태로 복귀한 것을 판별하였을 때에는, 상기 필러 와이어의 송급 속도를 상기 용접이 종료될 때까지 상기 가속 필러 와이어 송급 속도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와이어 용접 제어 방법.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단락 상태의 계속 시간이 상기 제1 기준값보다도 긴 값의 미리 정한 제2 기준값에 도달하였을 때에는, 상기 용접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와이어 용접 제어 방법.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단락 상태의 계속 시간이 상기 제1 기준값보다도 긴 값의 미리 정한 제2 기준값에 도달하였을 때에는, 상기 용접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와이어 용접 제어 방법.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단락 상태의 계속 시간이 상기 제1 기준값보다도 긴 값의 미리 정한 제2 기준값에 도달하였을 때에는, 상기 용접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와이어 용접 제어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단락 상태의 계속 시간이 상기 제1 기준값보다도 긴 값의 미리 정한 제2 기준값에 도달하였을 때에는, 상기 용접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와이어 용접 제어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단락 상태의 계속 시간이 상기 제1 기준값보다도 긴 값의 미리 정한 제2 기준값에 도달하였을 때에는, 상기 용접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와이어 용접 제어 방법.
KR1020140073529A 2013-07-18 2014-06-17 2 와이어 용접 제어 방법 KR1021344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49010A JP6144137B2 (ja) 2013-07-18 2013-07-18 2ワイヤ溶接制御方法
JPJP-P-2013-149010 2013-07-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0582A true KR20150010582A (ko) 2015-01-28
KR102134488B1 KR102134488B1 (ko) 2020-07-15

Family

ID=52309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3529A KR102134488B1 (ko) 2013-07-18 2014-06-17 2 와이어 용접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144137B2 (ko)
KR (1) KR102134488B1 (ko)
CN (1) CN1042897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05398B (zh) * 2021-05-25 2022-09-23 唐山松下产业机器有限公司 一种脉冲双丝焊错相位控制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5441A (ja) 1992-04-30 1993-11-1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溶接ワイヤ切れ検出方法
JP2011212698A (ja) * 2010-03-31 2011-10-27 Daihen Corp アーク溶接方法
JP2012170958A (ja) 2011-02-18 2012-09-10 Daihen Corp 2ワイヤ溶接制御方法
JP2013094850A (ja) * 2011-11-07 2013-05-20 Panasonic Corp アーク溶接制御方法およびアーク溶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59248Y2 (ko) * 1976-03-26 1982-12-17
US8440934B2 (en) * 2007-10-16 2013-05-14 Daihen Corporation Arc start control method
JP5851798B2 (ja) * 2011-10-28 2016-02-03 株式会社ダイヘン 消耗電極アーク溶接のくびれ検出時電流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5441A (ja) 1992-04-30 1993-11-1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溶接ワイヤ切れ検出方法
JP2011212698A (ja) * 2010-03-31 2011-10-27 Daihen Corp アーク溶接方法
JP2012170958A (ja) 2011-02-18 2012-09-10 Daihen Corp 2ワイヤ溶接制御方法
JP2013094850A (ja) * 2011-11-07 2013-05-20 Panasonic Corp アーク溶接制御方法およびアーク溶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89790B (zh) 2018-04-13
JP2015020186A (ja) 2015-02-02
CN104289790A (zh) 2015-01-21
KR102134488B1 (ko) 2020-07-15
JP6144137B2 (ja) 2017-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47348B1 (en) Polarity switching method in consumable electrode AC pulse arc welding
JP4965311B2 (ja) 消耗電極交流アーク溶接のくびれ検出制御方法
KR102124223B1 (ko) 펄스 아크 용접의 출력 제어 방법
JP2003311409A (ja) パルスアーク溶接のアーク長制御方法
JP2013094840A (ja) 消耗電極アーク溶接のくびれ検出制御方法
JP6112605B2 (ja) 溶接電源のくびれ検出制御方法
JP2009195952A (ja) 消耗電極アーク溶接の短絡判別方法
JP2014083571A (ja) 短絡期間の溶接電流制御方法
JP6245734B2 (ja) 短絡期間の溶接電流制御方法
KR20150010582A (ko) 2 와이어 용접 제어 방법
JP5410189B2 (ja) 2ワイヤ溶接制御方法
JP5706710B2 (ja) 2ワイヤ溶接制御方法
JP5943460B2 (ja) 消耗電極アーク溶接のアークスタート制御方法
JP5851798B2 (ja) 消耗電極アーク溶接のくびれ検出時電流制御方法
JP2016144826A (ja) パルスアーク溶接の出力制御方法
JP5871360B2 (ja) 消耗電極アーク溶接のくびれ検出制御方法
JP2016002564A (ja) パルスアーク溶接制御方法
JP2016128186A (ja) パルスアーク溶接の出力制御方法
EP3974092B1 (en) Arc welding method
JP7489582B2 (ja) アーク溶接方法およびアーク溶接装置
US20220055136A1 (en) Arc welding method and arc welding device
JP6516285B2 (ja) 2ワイヤ溶接制御方法
JP4850638B2 (ja) 極性切換短絡アーク溶接方法
JP2014184457A (ja) 溶接電源の出力制御方法
JP2022185997A (ja) パルスアーク溶接電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