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7819A - 알부틴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알부틴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7819A
KR20150007819A KR1020130082350A KR20130082350A KR20150007819A KR 20150007819 A KR20150007819 A KR 20150007819A KR 1020130082350 A KR1020130082350 A KR 1020130082350A KR 20130082350 A KR20130082350 A KR 20130082350A KR 20150007819 A KR20150007819 A KR 20150007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arbutin
lotion
composition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2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8282B1 (ko
Inventor
김기호
김영희
김진국
박혜림
이수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Priority to KR1020130082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8282B1/ko
Priority to PCT/KR2014/006107 priority patent/WO2015005642A1/ko
Priority to CN201480039406.9A priority patent/CN105407863B/zh
Publication of KR20150007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7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8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8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알부틴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색소 침착 질환 및 예방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7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알부틴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피부 색소 침착 질환 및 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티로시나아제 활성억제효과 및 멜라닌 생합성 억제효과를 통해 우수한 미백효과를 나타내며, 안정성 면에서도 우수하여 화장품 화장료 및 약학 조성물로써 적용 할 수 있다.

Description

알부틴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Composition for skin-whitening comprising Arbutin derivative}
본 발명은 알부틴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하기 화학식 (1)의 알부틴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피부 색소 침착 질환 및 예방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기미, 주근깨 등 피부에 생기는 색소 침착은 표피 내에서 멜라닌의 증가에 기인하고 있고, 피부색을 결정하는 중요 요인도 멜라닌에 의한 것이다. 멜라닌은 표피 기저층에 존재하는 멜라노사이트 내의 멜라노좀이라는 소기관에서 만들어진다. 즉, 자외선에 의하여 멜라노사이트의 유사분열이 일어나고 이어서 멜라노사이트가 활성화된다. 활성화된 멜라노사이트에서는 티로시나아제의 합성이 촉진되고 멜라닌의 생성이 항진되어 이를 표피 밖으로 운반, 배출하게 된다(V. J. Hearing and M. Jimenez., Int. J. Biochem, 19(20), p.1141, 1987., I. Koiso., Fragrance J. 6, p39, 1990).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멜라닌은 알칼리 난용성의 흑색 멜라닌(뉴멜라닌)과 알칼리 가용성의 황색 내지는 적색 멜라닌(페오멜라닌)의 혼합물이다(Y. Tomita., Fragrance J, 6, p20, 1990.) 일반적으로 멜라닌 중합체라고 하면 뉴멜라닌을 지칭할 때가 많으며, Prota(G. Prota., J. Invest. Dermatol., 75, p122, 1980.)와 Pavel(S. Pavel et al., Cancer Detection and Prevention, 6, p311., 1983.)등의 연구에 의해 뉴멜라닌은 이제껏 생각되어 왔던 5,6-디하이드록시 인돌뿐만 아니라, 별개의 멜라닌 단량체인 5,6-디하이드록시 인돌-2-카르보산이나, 각종 멜라닌 중간 대사산물로부터 생성된다는 것을 알았다. 멜라노좀내에 있어서의 멜라닌 생성과정은 티로신이 효소 티로시나제에 의해 산화되어 도파→도파퀴논→도파크롬→5,6-디하이드록시인돌→인돌-5,6-퀴논이 되고, 이어서 인돌-5,6-퀴논의 중합에 의해 멜라닌을 생성하는 것으로 되어있다. 그 중에서 티로신-도파퀴논까지는 효소 티로시나제가 관여하고, 그 이후는 자동산화의 기여가 크다고 되어 있다. 일광욕 등에서 생기는 색소침착 즉, 흑화현상은 태양광선 중의 자외선에 의해 멜라닌 생성이 증가한 결과라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분명히 밝혀져 있는 멜라노사이트 내에서의 멜라닌 생성과정으로부터 멜라닌 생성억제의 작용기전을 살펴보면, 멜라노사이트에 대한 세포독성에 의해서 결과적으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기전, 멜라노사이트 내의 멜라닌 생성을 저해함으로써 멜라닌 생성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기전의 두 가지로 대별된다. 최근에 발표되어 진 사실에 의하면 멜라닌의 생합성에 관여하는 중요한 효소로 티로시나아제 뿐 만 아니라 티로시나아제-릴레이티드 프로테인 1(Tyrosinase related protein 1 ; TRP-1) 및 티로시나아제-릴레이티드 프로테인 2(TRP-2, Dopachrome tautomerase)에 의해서도 멜라닌이 생성된다는 것이 새로이 밝혀져 이러한 효소들을 저해할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하는 것도 피부색소침착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Marmol V. at al., FEBS Letter, 327, p.307, 1993 ; Winder A.J. at al., Pigment Cell Research, 7, p.305, 1994).
현재까지 개발된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제로는 티로시나아제 활성자리의 구리이온에 대한 킬레이트 형성물질, 퀴논류를 페놀류로 환원시키는 비타민 C 또는 코직산 등의 환원제, 그리고 티로시나아제 자체를 변형시키는 바이설파이드 제제 등이 알려져 있다. 그밖에도 하이드로퀴논, 레티놀 또는 하이드로코르티솔 등이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저해하여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티로시나아제 활성억제효과 및 멜라닌 생합성 억제효과를 통해 우수한 미백효과를 나타내며, 안정성 면에서도 우수한 알부틴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알부틴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이용한 알부틴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알부틴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이용한 알부틴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색소 침착 질환 및 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알부틴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알부틴 유도체는 p-hydroxyphenyl 2,3,4,6-tetra-O-acethyl-β-D-glucoside으로, 알부틴 유도체는 알려진 다양한 유기화학적인 방법으로 합성되어 질 수 있으며 (한국특허공개번호 2002-0095422참조)이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알부틴 유도체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001 내지 50 중량% 함유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알부틴 유도체를 0.1% 미만 사용 시 그 효과가 미미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알부틴 유도체는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또는 멜라닌 생합성을 억제함으로써 피부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알부틴 유도체는 미백 기능성 원료로 사용되는 알부틴보다 더 높은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효과(표 1)와 멜라닌 생합성 억제효과(표 3)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본 발명의 알부틴 유도체가 우수한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험예의 알부틴 유도체의 온도 안정성 평가(표 4) 및 광안정성 평가(표 5)에서 미백 기능성 원료로 사용되는 알부틴은 색변화가 나타난 반면에 본 발명의 알부틴 유도체는 색변화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본 발명의 알부틴 유도체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안정하며 안정성 또한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또는 바디클린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 ~ 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3 중량 % 로 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알부틴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색소 침착 질환 및 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부 색소 침착 질환은 멜라닌 색소의 합성 증가로 피부에 국소적으로 발생하고, 기미, 주근깨, 흑색점, 모반, 약물에 의한 색소 침착, 염증 후 색소 침착, 및 피부염에서 발생하는 과색소 침착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알부틴 유도체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5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알부틴 유도체를 0.1% 미만 사용 시 그 효과가 미미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알부틴 유도체는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또는 멜라닌 생합성을 억제함으로써 피부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알부틴 유도체는 미백 기능성 원료로 사용되는 알부틴보다 더 높은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효과(표 1)와 멜라닌 생합성 억제효과(표 3)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본 발명의 알부틴 유도체가 우수한 피부 색소 침착 질환 및 예방용 약학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알부틴 유도체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제형 이외에도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사용방법에 따라 바람직한 형태일 수 있으며, 특히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채택하여 제형화 하는 것이 좋다. 구체적인 제형의 예로는 과립제(GRANULES), 로션제(LPTIONS), 리니멘트제(LINIMENTS), 리모나데제(LEMONADES), 방향수제(AROMATIC WATERS), 산제(POWDERS), 시럽제(SYRUPS), 안연고제(OPHTALMIC OINTMENTS), 액제(LIQUIDS AND SOLUTIONS), 에어로솔제(AEROSOLS), 엑스제(EXTRACTS), 엘릭실제(ELIXIRS), 연고제(OINTMENTS), 유동엑스제(FLUIDEXTRACTS), 유제(EMULSIONS), 현탁제(SUSPESIONS), 전제(DECOCTIONS), 침제(INFUSIONS), 점안제(OPHTHALMIC SOLUTIONS), 정제(TABLETS), 좌제(SUPPOSITIORIES), 주사제(INJECTIONS), 주정제(SPIRITS), 카타플라스마제(CATAPLSMA), 캅셀제(CAPSULES), 크림제(CREAMS), 트로키제(TROCHES), 틴크제(TINCTURES), 파스타제(PASTES), 환제(PILLS),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알부틴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색소 침착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이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가 있으며, 이들은 1종 이상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알부틴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색소 침착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1일 0.0001 내지 100㎎/㎏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외용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한 투여량은 예시하기 위한 일예에 불과하며 상기 범위에 한정되진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알부틴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색소 침착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의 투여방법으로는 일반적으로 비강 내 또는 비경구 투여에 의해 전신적으로 또는 국소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 경로는 경구, 경피, 정맥내, 구강내, 비강내, 시상하부내(intrahypothalamic), 뇌실내(intracerebroventricular), 경막내(intrathecal), 소장내, 직장내, 결장내, 혹은 안구내(intraocular) 투여가 가능 하지만,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화장료와 함께 배합되는 성분인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는 다음과 같은 조성물 군에서 선택되어 배합될 수 있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 (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 (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 (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 (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 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해초 엑기스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녹조 엑기스 등을 들 수 있으며, 또,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아르긴산칼륨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해초 엑기스에 포함된다. 해초 엑기스는 해초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여 취득할 수 있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인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는 다음과 같은 조성물 군에서 선택되어 배합될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지성분 중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 = 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 = 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 = 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ㆍPOP (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ㆍ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삼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알부틴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색소 침착 질환 및 예방용 조성물은 기존에 미백 기능성 원료로 널리 사용되는 알부틴보다 더 뛰어난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저해 효과 및 멜라닌 생합성을 억제효과를 나타냄으로써 뛰어난 미백효과를 가지므로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피부 색소 침착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약학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안정성 면에서도 기존의 미백 기능성 원료인 알부틴과는 달리 매우 안정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기존의 미백 기능성 원료인 알부틴을 화장료 제형화 할 시에 심한 변색을 일으키는 단점을 본 발명의 알부틴 유도체를 화장료 조성물로 함유하면서 안정성을 개선하였다.
도 1은 알부틴 유도체의 세포 독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알부틴 유도체의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 알부틴 유도체(p- hydroxyphenyl 2,3,4,6- tetra -O- acethyl -β-D-glucoside)의 합성
Pentaacetyl glucopyranoside(PAG) 390g(시그마알드리치, 미국), 하이드로퀴논 110g(시그마알드리치, 미국), 톨루엔 1L(시그마알드리치, 미국), 트리에틸아민 10g(시그마알드리치, 미국) 혼합액에 촉매인 파라톨루엔술폰산(시그마알드리치, 미국)0.1g 을 천천히 가한 후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반응 온도를 60 ℃에서 5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끝난 후 물 2L, 에칠아세테이트 3L을 가하고 유기층을 분리한 후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진공증발기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법(column chromatography)에 따라 분리, 정제하여 알부틴 유도체 240g 을 얻었다.
실험예 1 : 머쉬룸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
머쉬룸 티로시나아제의 저해활성은 일반적으로 분광학적인 방법으로 측정되어지며 본 실험에서는 바니 등의 방법에 따라 측정되어졌다(Vanni A. at al., Annali di Chimica, 80(35), 1990). 0.1M 포타슘 포스페이트 완충액(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6.8) 1.0㎖, 0.3㎎/㎖ L-티로신(L-tyrosine)수용액 1.0㎖ 및 1250unit/㎖ 머쉬룸 티로시나아제(mushroom tyrosinase) 0.1㎖를 혼합한 후 여기에 시료용액을 농도에 따라 각각 0.2㎖를 첨가하여 37℃에서 10분간 효소반응을 진행 시켰고, 양성대조군으로 알부틴(arbutin, 바이오랜드 사)을 사용하였다. 반응용액의 흡광도를 480nm에서 측정하여 시료의 효소 저해활성을 하기 식 1에 따라 계산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식 1]
Figure pat00004
A :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반응용액의 480nm에서 흡광도
B : 시료를 첨가한 반응용액의 480nm에서 흡광도
실험물질 농도(mM) 머쉬룸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효과(%)

알부틴 유도체 (실시예 1)
0.25 50.30
0.5 66.72
1 74.23

알부틴
0.25 47.28
0.5 62.34
1 72.87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알부틴 유도체 p-hydroxyphenyl 2,3,4,6-tetra-O-acethyl-β-D-glucoside는 미백 기능성 원료로 널리 사용되는 알부틴보다 모든 농도에서 더 높은 머쉬룸 티로시나아제 활성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2 : B16 멜라노마 세포를 이용한 세포 독성 측정
알부틴 유도체를 시료로 사용하여 B16 멜라노마 세포의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B16 멜라노마 세포(ATCC CRL6323)를 10% 소혈청을 첨가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 1x105 세포의 밀도로 접종하고 하루 동안 5% CO2, 37℃에서 배양시켰다. 그 후 새 DMEM 10% 배지로 갈아준 후 시료를 농도별로 웰에 처리하여 3일간 배양하였다. 3일 후 배지를 제거하고 0.33㎎/㎖의 MTT((3-[4,5-dimethylthiazole-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Sigma M5655)를 1㎖ 처리하여 37℃에서 4시간 반응시키고, 그 후 MTT를 제거한 후 DMSO(dimethylsulfoxide)를 1mL 첨가하여 발색정도를 575nm에서 흡광도로 측정하였다. 모든 실험은 3회 반복하여 통계 처리하여 평균값을 구하였고, 그 결과는 표 2와 도 1에 나타내었다.
실험물질 농도(mM) 세포생존율(%)

알부틴 유도체 (실시예 1)
0.25 119.10
0.5 114.32
1 100.15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알부틴 유도체 p-hydroxyphenyl 2,3,4,6-tetra-O-acethyl-β-D-glucoside는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안전한 물질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B16 멜라노마 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 측정
B16 멜라노마 세포를 이용한 멜라노제네시스(melanogenesis) 저해 효과는 푸쿠다 등(Fukuda et al., J. Soc. Cosmetic Chem., 42(361), 1991)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모든 농도에 따른 웰 수는 트리플렛으로 준비하였다. B16 멜라노마 세포(ATCC CRL6323)를 10% 소혈청을 첨가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에 1x105 세포의 밀도로 접종하고 하루 동안 5% CO2, 37℃에서 배양시켰다. 그 후 α-MSH(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멜라닌세포자극호르몬, 0.34㎍/㎖, Sigma사)가 처리된 DMEM 10% 배지로 갈아준 후 알부틴 유도체(p-hydroxyphenyl 2,3,4,6-tetra-O-acethyl-β-D-glucoside)와 알부틴을 농도별로 웰에 처리하여 3일간 배양하여, 3일 후 15㎖ 플라스크 튜브에 배지를 수거하고 세포들은 트립신을 처리하여 떼어낸 후 배지를 수거한 튜브로 옮겼다. 3,000rpm에서 30분 동안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을 버리고 1N NaOH 250㎖를 처리하여 끓는 물에서 10분 처리 후 가볍게 원심분리하였다. 다시 10분간 초음파 분해(sonication)하여 완전히 멜라닌을 용해한 후 47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3과 도 2에 나타내었다.
실험물질 농도(mM)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알부틴 유도체 (실시예 1)
0.25 46.22
0.5 71.53
1 79.87

알부틴
0.25 31.17
0.5 33.00
1 42.99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알부틴 유도체 p-hydroxyphenyl 2,3,4,6-tetra-O-acethyl-β-D-glucoside는 미백 기능성 원료로 널리 사용되는 알부틴보다 모든 농도에서 높은 멜라닌 생성 억제 활성을 나타냈다.
실험예 4 : 알부틴유도체의 안정성 평가
화장품의 안정성은 화장품의 기능을 발휘하기 위하여 화학적, 물리적 변화가 일어나지 않아야 함을 말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안정성 실험을 통해 검증할 수 있다. 변색, 퇴색, 변취, 오염, 결정 석출 등의 화학적 변화와 분리, 침전, 응집, 발분, 발한, 겔화, 줄 얼룩, 증발, 고화, 연화 등의 물리적 변화를 일으키지 않아야 한다. 위와 같은 현상은 사용성에 큰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화장품이 갖는 미적외관, 이미지의 손실에도 영향을 준다(J.Y.Yoo, S.H.Park, et al., Kor. J. Dermatol. 41(9), pp1136-1141, 2003). 이에 알부틴 유도체를 에탄올에 용해 후 그 안정성을 관찰하여 추후 화장품 산업에 적용가능성을 살펴보았다.
4 - 1. 온도안정성 측정
온도 안정성 실험은 화장품을 일정한 온도조건에 방치하여 시간에 따른 상태변화에 대해 관찰하는 것이다. 알부틴 유도체를 50 중량% 에탄올에 용해 후 일정한 온도 조건에 방치하여 시간에 따른 색상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설정온도는 0 ℃, 25 ℃, 40 ℃로 하였고, 제조 직후부터 일주일 간격으로 4주 동안 관찰하였다. 그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1주 2주 3주 4주
0 알부틴 - - - -
알부틴 유도체 - - - -
25 알부틴 - - - +
알부틴 유도체 - - - -
40 알부틴 - - + +
알부틴 유도체 - - - -
- : 색변 없음 + : 미비한 색변 ++ : 약한 색변 +++ : 강한 색변
상기 표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알부틴 유도체는 알부틴과 비교하였을 때 0 ℃, 25 ℃, 40 ℃ 온도 조건 모두에서 색변이 일어나지 않아 온도에 안정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4 - 2. 광안정성 측정
화장품은 주로 가정, 상점 등의 각종 광(光)이 존재하는 경우에 보관 및 사용되고 있다. 또한 대부분 용기가 없는 상태로 보관되므로 광안정성은 화장품의 안정성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할 수 있다. 현재 대부분의 화장품의 광안정성 시험은 옥외(일광)노출시험과 실내(인공광)노출시험을 실행하고 있다. 본 실험예에서는 알부틴 유도체를 50 중량% 에탄올에 용해 후 옥외(일광)노출 실험을 통해 광안정성을 확인하였다. 제조 직후부터 일주일 간격으로 4주 동안 옥외 또는 실내에 방치하여 색상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1주 2주 3주 4주
옥외 알부틴 - + + ++
알부틴 유도체 - - - -
실내 알부틴 - - + +
알부틴 유도체 - - - -
- : 색변 없음 + : 미비한 색변 ++ : 약한 색변 +++ : 강한 색변
실험 결과 표 5에 보이는 바와 같이, 알부틴 유도체는 알부틴과 달리 제조 후 한 달이 지난 후 까지도 옥외(일광)노출 실험에서 색변이 일어나지 않아 광안정성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 알부틴 유도체의 미백임상실험
피부미백에 대한 알부틴 유도체의 미백활성을 임상에서 보기 위하여 하기 표 6의 실시제형예 1(시험군) 및 비교제형예(대조군)의 로션을 건강한 피부를 가진 19 ~ 22세의 여성을 대상으로 인공색소 침착을 유도한 뒤 이중맹검법과 무작위화된 인체시험 방법을 적용하여 6주간 시험 제형을 사용하게 한 후 알부틴 유도체의 피부 미백 효과를 평가하였다.
번호 원 료 참조실시예 1 비교제형예
1 실시예 1 0.5 -
2 시토 스테롤 1.70 1.70
3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1.50 1.50
4 세테아레스-4 1.2 1.2
5 콜레스테롤 1.5 1.5
6 디세틸포스페이트 0.4 0.4
7 농글리세린 5.0 5.0
8 선플라우어오일 10.0 10.0
9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0.2
10 산탄검 0.3 0.3
11 방부제 미량 미량
12 향료 미량 미량
13 정제수 잔량 잔량
실험예 5 - 1. 육안 평가
제형 사용 전과 사용 1주, 2주, 4주, 6주 후 시점에서 피부 미백 효과를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1 ~ 7점 척도를 사용하여 2명의 관찰자가 평가하였다(표 7 및 표 8). 시험군과 대조군을 시점별로 반복 평가하였고 시험 결과를 반복측정 분산분석법을 적용하여 군간, 시점별 차이를 검정하였다(p<0.05).
관찰자 1에 의한 육안 평가
Group week N 평가값 S.E.Mean S.D


시험군
0주 20 6.4200 0.1432 0.3986
1주 20 5.4700 0.1625 0.7862
2주 20 4.3200 0.1755 0.7749
4주 20 4.0100 0.1965 0.7906
6주 20 3.8200 0.2150 0.9823

대조군
0주 20 6.7400 0.1322 0.7425
1주 20 5.7800 0.1982 0.9210
2주 20 5.2100 0.1875 0.8356
4주 20 4.2300 0.2022 0.9213
6주 20 3.9800 0.1821 0.8751
관찰자 2에 의한 육안 평가
Group Week N 평가값 S.E.Mean S.D


시험군
0주 20 6.5000 0.1520 0.6246
1주 20 5.9400 0.1435 0.6943
2주 20 4.7600 0.1515 0.6878
4주 20 4.2100 0.1643 0.6446
6주 20 4.0900 0.1793 0.7654


대조군
0주 20 6.5000 0.1405 0.6476
1주 20 6.3900 0.1439 0.6298
2주 20 5.7700 0.1546 0.6644
4주 20 5.2600 0.1389 0.6278
6주 20 4.2500 0.1674 0.6456
임상 실험 결과 알부틴 유도체가 첨가된 제형을 사용한 경우가 사용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개선 효과를 보였다.
실험예 5 - 2. 색차계를 이용한 멜라닌 지수 측정
색차계(MPA-580)를 이용하여 시험군과 대조군의 제형 사용전과 사용 1주, 2주, 4주, 6주 후 시점에서 멜라닌 지수 측정을 통해 피부색 개선 정도를 평가하였고, 시험군과 대조군의 멜라닌 지수를 각 시점별로 평가한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시험군과 대조군의 멜라닌 지수
Group Week N 멜라닌지수 S.E.Mean S.D


시험군
0주 20 203.69 9.1236 41.2364
1주 20 199.84 9.0875 39.8754
2주 20 194.67 8.8741 39.3255
4주 20 183.25 8.3514 36.1023
6주 20 173.41 7.9560 32.0587


대조군
0주 20 213.65 8.7546 40.2257
1주 20 201.86 8.7135 37.1456
2주 20 200.44 7.1469 32.8979
4주 20 197.71 7.8793 31.6984
6주 20 194.35 7.2568 33.2695
각 시점별 멜라닌 지수 분석 결과 알부틴 유도체를 첨가한 제형을 사용한 시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멜라닌 지수가 감소하였다.
제형예 1 : 유연 화장수( 스킨 )
하기와 같이,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알부틴 유도체를 함유한 유연 화장수(스킨)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번호 원 료 함 량
1 실시예 1 3.0
2 글리세린 3.0
3 부틸렌 글리콜 2.0
4 프로필렌 글리콜 2.0
5 폴리옥시에칠렌(60)경화 피마자유 1.00
6 에탄올 10.0
7 트리에탄올아민 0.1
8 방부제 미량
9 색소 미량
10 향료 미량
11 정제수 잔량
제형예 2 : 영양화장수(로션)
하기와 같이,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알부틴 유도체를 함유한 영양화장수(로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번호 원료 함 량
1 실시예 1 1.0
2 시토 스테롤 1.70
3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1.50
4 세테아레스-4 1.2
5 콜레스테롤 1.5
6 디세틸포스페이트 0.4
7 농글리세린 5.0
8 선플라우어오일 10.0
9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10 산탄검 0.3
11 방부제 미량
12 향료 미량
13 정제수 잔량
제형예 3 : 영양크림
하기와 같이, 실시예 1에서 알부틴 유도체를 함유한 영양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번호 원료 함 량
1 실시예 1 1.0
2 시토 스테롤 4.0
3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3.0
4 세테아레스-4 2.0
5 콜레스테롤 3.0
6 디세틸포스페이트 0.4
7 농글리세린 5.0
8 선플라우어오일 22.0
9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5
10 트리에탄올아민 0.5
11 방부제 미량
12 향료 미량
13 정제수 잔량
제형예 4 : 에센스
하기와 같이,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알부틴 유도체를 함유한 에센스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번호 원 료 함 량
1 실시예 1 1.0
2 시토 스테롤 1.70
3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1.50
4 세테아레스-4 2.0
5 콜레스테롤 3.0
6 디세틸포스페이트 0.4
7 농글리세린 5.0
8 선플라우어오일 22.0
9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5
10 트리에탄올아민 0.5
11 방부제 미량
12 향료 미량
13 정제수 잔량
제형예 5 : 파운데이션
하기와 같이,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알부틴 유도체를 함유한 파운데이션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번호 원료 함 량
1 실시예 1 1.0
2 밀납 2.0
3 사이크로메치콘 2.0
4 유동파라핀 5.0
5 스쿠알란 5.0
6 스테아린산 2.0
7 친유성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3.0
8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9 글리세린 4.0
10 프로필렌글리콜 3.0
11 부틸렌글리콜 3.0
12 트리에탄올아민 1.0
13 알루미늄마그네슘실리케이트 0.5
14 안료 12
15 방부제 미량
16 향료 미량
17 정제수 잔량
제형예 6 : 친수성 연고
하기와 같이,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알부틴 유도체를 함유한 친수성 연고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번호 원료 함량(중량%)
1 실시예 1 0.5
2 백색 바세린 250
3 스테아릴 알콜 220
4 에칠(또는 메칠)p-옥시벤조에이트 0.25
5 프로필렌 글리콜 120
6 라우릴 황산 나트륨 15
7 프로필 p-옥시벤조에이트 0.15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조성물의 제형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Claims (9)

  1. 하기 화학식 (1)의 알부틴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5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부틴 유도체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5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부틴 유도체는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또는 멜라닌 생합성을 억제함으로써 피부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또는 바디클린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5. 하기 화학식 (1)의 알부틴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색소 침착 질환 및 예방용 약학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6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색소 침착 질환은 멜라닌 색소의 합성 증가로 피부에 국소적으로 발생하고, 기미, 주근깨, 흑색점, 모반, 약물에 의한 색소 침착, 염증 후 색소 침착, 및 피부염에서 발생하는 과색소 침착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색소 침착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약학 조성물.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알부틴 유도체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5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색소 침착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약학 조성물.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알부틴 유도체는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또는 멜라닌 생합성을 억제함으로써 피부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색소 침착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약학 조성물.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색소 침착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KR1020130082350A 2013-07-12 2013-07-12 알부틴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628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350A KR101628282B1 (ko) 2013-07-12 2013-07-12 알부틴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PCT/KR2014/006107 WO2015005642A1 (ko) 2013-07-12 2014-07-08 알부틴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CN201480039406.9A CN105407863B (zh) 2013-07-12 2014-07-08 含熊果苷衍生物的皮肤美白用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350A KR101628282B1 (ko) 2013-07-12 2013-07-12 알부틴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819A true KR20150007819A (ko) 2015-01-21
KR101628282B1 KR101628282B1 (ko) 2016-06-08

Family

ID=52280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2350A KR101628282B1 (ko) 2013-07-12 2013-07-12 알부틴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628282B1 (ko)
CN (1) CN105407863B (ko)
WO (1) WO20150056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0930B1 (ko) * 2016-08-24 2023-12-08 (주)아모레퍼시픽 3-클로로-N-[트랜스-4-(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실]-N-[[3-(4-피리디닐)페닐]메틸]벤조[b]티오펜-2-카복사마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CN110615826B (zh) * 2018-06-18 2023-09-29 因科斯医药公司 化妆料组合物及药学组合物
CN108771645B (zh) * 2018-08-21 2021-02-09 广东博然堂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藜麦洗发水及其制造方法
CN108771644B (zh) * 2018-08-27 2021-03-16 铜仁学院 一种海藻酸/海藻酸钠作为酪氨酸酶抑制剂的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9732A (ko) * 2007-12-26 2009-07-0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알부틴 베타유도체를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5488B2 (ja) * 1986-03-28 1995-05-17 三井石油化学工業株式会社 テトラヒドロピラン誘導体の製法
EP1043321A1 (en) * 1999-03-29 2000-10-11 Nisshin Flour Milling Co., Lt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tetrahydropyran derivatives
US7754864B2 (en) * 2002-10-10 2010-07-13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Tyrosinase activity controlling agent,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external preparation containing the same
KR100460453B1 (ko) * 2003-01-16 2004-12-08 주식회사 한솔케미칼 아르부틴 제조용 중간체의 제조방법
CN101274951B (zh) * 2008-05-19 2011-11-23 南京理工大学 α-熊果苷中间体和1,2-顺式糖苷衍生物及其立体选择性合成方法
CN103159805A (zh) * 2011-12-14 2013-06-19 南京华狮化工有限公司 一种α-熊果苷的合成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9732A (ko) * 2007-12-26 2009-07-0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알부틴 베타유도체를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org Med Chem Lett., Vol. 19, No. 21, pp. 6157-6160 (2009.1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05642A1 (ko) 2015-01-15
CN105407863B (zh) 2018-02-13
KR101628282B1 (ko) 2016-06-08
CN105407863A (zh) 2016-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3892B1 (ko) 단삼 추출물로부터 항산화, 미백, 주름개선에 유용한 유효 성분인 탄시논 i 및 탄시논 iia을 다향 함유한 정제물을 생산하는 제조방법
KR101628282B1 (ko) 알부틴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744579B1 (ko) 수련, 캐모마일꽃, 모링가 및 마치현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79589B1 (ko) 후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4-o-메틸호노키올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094306B1 (ko) 타이모퀴논류 화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191724B1 (ko) 대청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0535875B1 (ko)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20090097483A (ko) 독성을 경감시킨 반묘 함유 복합 생약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백반증의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KR20170016408A (ko) 성숙한 잣구과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또는 모공수축용 화장료 조성물
KR20070041927A (ko) 항산화, 항암, 미백 활성을 나타내는 도화 추출물을함유하는 조성물
KR100865071B1 (ko)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1536224B1 (ko) 굴피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조성물
KR101912996B1 (ko) 주름조개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46347B1 (ko) 솔방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1724018B1 (ko) 모시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29831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655395B1 (ko) 굴피나무의 수피, 심재, 가지 또는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30588B1 (ko) 천연 비타민 및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0622286B1 (ko)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조성물
KR101730624B1 (ko) 모시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70123B1 (ko) 잣외종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98201B1 (ko) 몽우리청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KR101371126B1 (ko) 행인으로부터 강력한 티로시나제 억제활성을 나타내는 정유성분을 대량으로 추출하는 정유 추출분획물의 제조방법 및 이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96609B1 (ko) 오미자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개선용 화장품 조성물
KR20160020384A (ko) 잣구과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