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6046A - 포장 부재 및 포장 부재에 포장된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포장 부재 및 포장 부재에 포장된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6046A
KR20150006046A KR1020147033865A KR20147033865A KR20150006046A KR 20150006046 A KR20150006046 A KR 20150006046A KR 1020147033865 A KR1020147033865 A KR 1020147033865A KR 20147033865 A KR20147033865 A KR 20147033865A KR 20150006046 A KR20150006046 A KR 20150006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frame
packaging member
longitudinal direction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3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키 후지노
이사오 고이시
츠토무 사카구치
마사유키 다케우치
다이지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06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60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2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the lid and the hinge being made of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65D55/024Closures in which a part has to be ruptured to gain access to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25Containers made of sheet-like material and having a shape to accommodate cont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Manufacturing or assembling, recycling, reuse, transportation, packaging or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가능한 카트리지를 포장하는 포장 부재는, 상기 카트리지에 대한 진입부로서의 개구와, 상기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제1 오목부와, 상기 카트리지의 규제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카트리지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오목부에 마련되는 규제부를 포함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개구를 개방가능하게 막기 위하여 힌지부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를 포함한다. 상기 규제부는, 상기 교차 방향 및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프레임부에 진입하는 진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카트리지의 파지부가 상기 카트리지의 중심선보다 상기 힌지부로부터 더 멀리 있게 되는 위치에 상기 카트리지가 위치하도록 상기 카트리지의 위치를 규제한다.

Description

포장 부재 및 포장 부재에 포장된 카트리지{PACKING MEMBER AND CARTRIDGE PACKED IN THE PACKING MEMBER}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가능한 카트리지의 포장을 위한 포장 부재와, 포장 부재에 포장된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화상 형성 장치의 예는 전자 사진 복사기, 전자 사진 프린터(예를 들면, 레이저 빔 프린터, LED 프린터 등), 팩시밀리 장치 및 워드 프로세서 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카트리지는, 예를 들면 상 담지체인 전자 사진 감광체를 포함하거나, 전자 사진 감광체와 전자 사진 감광체에 작용하는 현상 수단을 하나의 유닛으로 일체적으로 조립함으로써 준비된,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하여 착탈가능한 카트리지이다.
또한, 포장 부재는 카트리지를 수송할 때에 외부로부터의 진동, 충격으로부터 카트리지를 보호하는 데에 이용된다.
전자 사진 프로세스를 이용한 프린터 등의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상 담지체인 전자 사진 감광체를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대전시키고, 상기 전자 사진 감광체의 선택적인 노광에 의해 잠상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잠상은 현상제로 현상되어, 현상제 상으로서 가시화된다. 그리고, 상기 현상제 상을 기록재(매체)에 전사한다.
전사된 현상제 상(developer image)에 열 및 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현상제 상을 기록재에 정착시켜서 화상을 기록하고 있다.
종래의 이러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현상제 보급 및 각종 프로세스 장치의 메인터넌스를 수반하고 있었다.
이러한 현상제 보급 작업 및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하는 수단으로서 전자 사진 감광체, 대전 수단, 현상 수단, 클리닝 수단 등의 모두 혹은 일부를 프레임 내에 프로세스 카트리지로서 일체적으로 조립한다.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가능하게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방식이 채용된다.
이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방식에 따르면,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메인터넌스를 유저 자신에 의한 교환의 형태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각별히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이렇게 착탈가능하게 한 카트리지에서는, 유저가 카트리지의 교환을 행한다. 이 경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부터 카트리지를 꺼내고, 새로운 카트리지와 교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생산 공장에서 출시된 신품의 카트리지는, 운반 시의 진동 및 충격으로부터 카트리지를 보호하기 위한 포장 부재에 포장된다. 그리고, 장치 본체에의 신품의 카트리지 장착 시에는, 포장 부재를 풀고, 그 후에 카트리지의 파지부를 파지해서 포장 부재로부터 카트리지를 꺼낸다. 그 후에,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카트리지를 장착한다.
카트리지를 포장하고, 운반 시의 진동 및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포장 부재에 대해서는, 일본 특허 제3639834호 및 일본 출원 공개(JP-A) 평4-114173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여러가지의 포장 부재가 제안된다.
이러한 포장 부재 중, 일본 출원 공개 평4-114173호의 구성에 의하면, 포장 부재는 카트리지의 외형에 따라 압출(성형) 형성된 부재이다. 포장 부재에는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어, 그 요철에 의해 카트리지를 지지한다. 또한, 포장 부재의 양 단부의 개구를 카트리지의 외형에 맞춰서 성형된 덮개(커버)로 막고 있다.
일본 특허 제3639834호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4-114173호
그러나, 일본 특허 제3639834호 및 일본 출원 공개 평4-114173호의 구성에서는 이하와 같은 과제가 있다.
포장 부재에 대하여 카트리지를 고정하기 위해서, 카트리지의 전자 사진 감광체의 축선 방향 양단 각각에 별도의 부재인 덮개를 배치함으로써, 카트리지의 상기 축선 방향의 위치 규제를 행하고 있다. 그 때문에, 포장 부재의 구성이 복잡하게 되고, 가격이 증가하였다. 또한, 포장 부재로부터 카트리지를 꺼낼 때, 포장 부재의 측면 개구로부터 포장 부재의 덮개를 상기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서, 포장 부재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카트리지를 포장 부재로부터 상기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서 꺼낸다. 즉, 유저가 포장 부재로부터 카트리지를 꺼내기 위해서, 복잡한 공정을 행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운반 시에 진동 및 충격으로부터 카트리지를 보호할 수 있는 포장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포장 부재에 포장되는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가능하며, 카트리지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를 포장하는 포장 부재로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카트리지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며, 상기 포장 부재는, (i) 상기 카트리지에 대한 진입부로서의 개구와, 상기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제1 오목부와, 상기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카트리지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오목부에 마련되는 규제부를 포함하는 프레임부와, (ii) 상기 개구를 개방가능하게 막기 위하여 힌지부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및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프레임부에 진입하는 진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파지부가 상기 카트리지의 중심선보다 상기 힌지부로부터 더 멀리 있게 되는 위치에 상기 카트리지가 위치하도록 상기 카트리지의 위치를 규제하는 포장 부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가능하며, 카트리지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를 포함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카트리지를 포장하는 포장 부재로서, (i) 상기 카트리지에 대한 진입부로서의 개구와, 상기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제1 오목부와, 상기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카트리지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오목부에 마련되는 규제부를 포함하는 프레임부와, (ii) 상기 개구를 개방가능하게 막기 위하여 힌지부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및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프레임부에 진입하는 진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파지부가 상기 제2 프레임보다 상기 힌지부로부터 더 먼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카트리지의 위치를 규제하는 포장 부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포장 부재에 포장되며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가능한 카트리지로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카트리지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마련되는, 상기 카트리지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장 부재는, (i) 상기 카트리지에 대한 진입부로서의 개구와, 상기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제1 오목부와, 상기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카트리지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오목부에 마련되는 규제부를 포함하는 프레임부와, (ii) 상기 개구를 개방가능하게 막기 위하여 힌지부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및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프레임부에 진입하는 진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파지부가 상기 카트리지의 중심선보다 상기 힌지부로부터 더 멀리 있게 되는 위치에 상기 카트리지가 위치하도록 상기 카트리지의 위치를 규제하는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포장 부재에 포장되며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가능한 카트리지로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카트리지를 파지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포장 부재는, (i) 상기 카트리지에 대한 진입부로서의 개구와, 상기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제1 오목부와, 상기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카트리지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오목부에 마련되는 규제부를 포함하는 프레임부와, (ii) 상기 개구를 개방가능하게 막기 위하여 힌지부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및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프레임부에 진입하는 진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파지부가 상기 제2 프레임보다 상기 힌지부로부터 더 먼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카트리지의 위치를 규제하는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이 이러한 목적, 특징 및 이점과,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아래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을 고려함으로써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 1의 포장 부재의 카트리지의 포장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2는 실시예 1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3은 실시예 1의 카트리지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4의 (a) 및 (b)는 실시예 1의 카트리지의 일례를 각각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5는 실시예 1의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
도 6은 실시예 1에서 카트리지가 카트리지 트레이에의 착탈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7은 실시예 1의 현상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8의 (a) 및 (b)는 실시예 1의 포장 부재를 각각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9의 (a) 및 (b)는 실시예 1의 포장 부재로부터 카트리지가 착탈가능한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10은 실시예 1의 포장 부재의 카트리지 포장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11의 (a) 및 (b)는 실시예 1의 카트리지 및 포장 부재의 카트리지 포장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12는 실시예 1에서 카트리지가 포장된 포장 부재의 포장 해체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13의 (a) 및 (b)는 실시예 2의 현상 장치의 일례를 각각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14는 실시예 2에서 현상 장치가 본체에 착탈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15는 실시예 2에서 현상 장치가 포장된 포장 부재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대해서 도 2 내지 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로서, 4개의 카트리지가 착탈가능한 풀 컬러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되는 카트리지의 개수는 4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모노크롬의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경우에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되는 카트리지의 개수는 1개이다. 또한,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로서 프린터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화상 형성 장치는 프린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복사기, 팩시밀리 장치 등의 다른 화상 형성 장치와, 이들 기기의 기능을 조합시킨 복합기 등의 다른 화상 형성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구성>
우선,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단면도를 도 2에 나타낸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화상 형성 장치(1)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이용한 4색 풀 컬러 레이저 프린터이며, 기록재 S에 컬러 화상 형성을 행한다. 화상 형성 장치(1)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방식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치 본체(2)에 착탈가능하게 장착하고, 기록재 S에 컬러 화상을 형성한다.
여기서, 화상 형성 장치(1)에 관해서, 개폐 도어(3)를 마련한 측(표면)을 전면(표면), 전면(표면)과 반대 측(표면)을 후면(표면)이라고 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를 전면에서 보아서 우측을 구동측, 좌측을 비구동측이라고 한다.
장치 본체(2)에는 제1 카트리지 PY, 제2 카트리지 PM, 제3 카트리지 PC, 제4 카트리지 PK로 구성되는 4개의 카트리지 P가 수평 방향에 배치된다. 각각의 제1 내지 제4 카트리지 P(PY 내지 PK)는 동일한 전자 사진 프로세스 기구를 가지지만, 서로 색이 다른 현상제(토너)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4 카트리지 P(PY 내지 PK)에는 장치 본체(2)의 구동 출력부(도시 생략)로부터 회전 구동력이 전달된다. 또한, 각각의 제1 내지 제4 카트리지 P(PY 내지 PK)에는 장치 본체(2)로부터 바이어스 전압(대전 바이어스, 현상 바이어스 등)이 공급된다(도시 생략).
각각의 제1 내지 제4 카트리지 P(PY 내지 PK)는 전자 사진 감광체(4)(이하, 감광 드럼이라고 칭한다)를 포함하고, 이 감광 드럼(4)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대전 수단 및 클리닝 수단을 포함하는 제1 프레임을 포함한다. 제1 프레임을 클리닝 유닛(8)이라고 한다.
또한, 각각의 제1 내지 제4 카트리지 P(PY 내지 PK)는 감광 드럼(4) 상의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수단을 포함하는 제2 프레임인 현상 장치(9)를 포함한다.
클리닝 유닛(8)과 현상 장치(9)는 서로 결합된다. 대전 수단으로서는 대전 롤러(5)가 이용된다. 클리닝 수단으로서는 클리닝 블레이드(7)가 이용된다. 현상 수단으로서는 현상제 담지체(6)(이하, 현상 롤러라고 한다)가 이용된다. 카트리지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1 프로세스 카트리지 PY는 현상(장치) 프레임(29) 내에 옐로우(Y)의 토너를 수용하고 있어, 감광 드럼(4)의 표면에 옐로우의 토너 상을 형성한다. 제2 프로세스 카트리지 PM은 현상 프레임(29) 내에 마젠타(M)의 토너를 수용하고 있어, 감광 드럼(4)의 표면에 마젠타의 토너 상을 형성한다. 제3 프로세스 카트리지 PC는 현상 프레임(29) 내에 시안(C)의 토너를 수용하고 있어, 감광 드럼(4)의 표면에 시안의 토너 상을 형성한다. 제4 프로세스 카트리지 PK는 현상 프레임(29) 내에 블랙(K)의 토너를 수용하고 있어, 감광 드럼(4)의 표면에 블랙의 토너 상을 형성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프로세스 카트리지 P(PY, PM, PC, PK)의 상방에는, 노광 수단으로서의 레이저 스캐너 유닛 LB가 마련되어져 있다. 이 레이저 스캐너 유닛 LB는 화상 정보에 대응해서 레이저 광 Z를 출력한다. 그리고, 레이저 광 Z는 각 카트리지 P의 노광 창부(10)를 통과해서 감광 드럼(4)의 표면을 레이저 광 Z로 주사 노광한다.
제1 내지 제4 카트리지 P(PY, PM, PC, PK)의 하방으로는 전사 부재로서의 중간 전사 벨트 유닛(11)을 마련하고 있다. 이 중간 전사 벨트 유닛(11)은 구동 롤러(13), 턴 롤러(14), 텐션 롤러(15)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들에 의해 걸쳐 펼쳐진 전사 벨트(12)를 포함한다. 각각의 제1 내지 제4 프로세스 카트리지 P(PY 내지 PK)의 감광 드럼(4)은 그 하면이 전사 벨트(12)의 상측 표면에 접하고 있다. 그로 인한 접촉부가 1차 전사부이다. 전사 벨트(12)의 내측에는 연관된 감광 드럼(4)에 대향시켜서 1차 전사 롤러(16)를 마련하고 있다. 턴 롤러(14)의 맞은 편에는, 전사 벨트(12)와 접촉하여 2차 전사 롤러(17)를 마련하고 있다. 그에 따른 전사 벨트(12)와 2차 전사 롤러(17)의 접촉부가 2차 전사부이다.
중간 전사 벨트 유닛(11)의 하방으로는 급송 유닛(18)을 마련하고 있다. 이 급송 유닛(18)은 기록재 S가 적재된 급지 트레이(19)를 포함하고, 급지 롤러(20) 등을 포함한다.
도 2에서의 장치 본체(2)의 좌측 상부에는 정착 유닛(21)과 용지 배출 유닛(22)을 마련하고 있다. 장치 본체(2)의 상측 표면에서는 용지 배출 트레이(23)를 규정하고 있다.
기록재 S에는 상기 정착 유닛(21)에 마련되어진 정착 수단에 의해 토너 상이 정착되고, 기록재 S는 상기 배출 트레이(23)에 배출된다.
<화상 형성 동작>
다음으로, 풀 컬러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동작은 다음과 같다. 제1 내지 제4 카트리지 P(PY 내지 PK)의 감광 드럼(4)이 소정의 속도로 (도 3의 화살표 D 방향 및 도 2에서 반시계 방향으로)회전 구동된다. 전사 벨트(12) 또한 감광 드럼(4)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도 2에서 화살표 C 방향)으로 감광 드럼(4)의 속도에 대응하는 속도로 회전 구동된다.
레이저 스캐너 유닛 LB 또한 구동된다. 레이저 스캐너 유닛 LB의 구동에 동기하여, 각 카트리지 P의 감광 드럼(4)의 표면을 대전 롤러(5)에 의해 소정의 극성 및 소정의 전위로 대전한다. 스캐너 유닛 LB는 연관된 신호에 따라 각 감광 드럼(4)의 표면을 레이저 광 Z로 주사 및 노광한다. 이에 의해, 각 감광 드럼(4)의 표면에 연관된 색의 화상 신호에 따른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정전 잠상은 소정의 속도로 (도 3의 화살표 E 방향, 또는 도 2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현상 롤러(6)에 의해 현상된다.
상기와 같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 동작에 의해, 제1 카트리지 PY의 감광 드럼(4)에는 풀 컬러 화상의 옐로우 성분에 대응하는 옐로우의 토너 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그 토너 상이 전사 벨트(12) 위로 1차 전사된다.
마찬가지로, 제2 카트리지 PM의 감광 드럼(4)에는 풀 컬러 화상의 마젠타 성분에 대응하는 마젠타 토너 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그 토너 상이 전사 벨트(12) 위에 이미 전사되어 있는 옐로우의 토너 상에 중첩되어서 1차 전사된다.
마찬가지로, 제3 카트리지 PC의 감광 드럼(4)에는 풀 컬러 화상의 시안 성분에 대응하는 시안 토너 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그 토너 상이 전사 벨트(12) 위에 이미 전사되어 있는 옐로우 및 마젠타의 토너 상에 중첩되어서 1차 전사된다.
마찬가지로 제4 카트리지 PK의 감광 드럼(4)에는 풀 컬러 화상의 블랙 성분에 대응하는 블랙 토너 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그 토너 상이 전사 벨트(12) 위에 이미 전사되어 있는 옐로우, 마젠타 및 시안의 토너 상에 중첩되어서 1차 전사된다.
이렇게 하여, 전사 벨트(12) 위에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의 4색 풀 컬러 화상의 미정착 토너 상이 형성된다.
한편, 소정의 제어 타이밍에서, 기록재 S가 1매씩 분리되어서 급송된다. 그 기록재 S는 소정의 제어 타이밍으로 2차 전사 롤러(17)와 전사 벨트(12)의 접촉부인 2차 전사부에 도입된다. 이에 의해, 기록재 S가 상기 2차 전사부에 반송되어가는 과정에서, 전사 벨트(12) 상의 4색의 중첩된 토너 상이 기록재 S의 표면에 일괄 전사된다.
<카트리지의 구성>
도 4의 (a), (b)는 각 카트리지 P(PY, PM, PC, PK)를 다른 각도(방향)로부터 본 개략 사시도이다. 아래의 설명에서, 각 카트리지 P(PY 내지 PK)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일괄적으로 카트리지 P로 표기한다.
카트리지 P는 감광 드럼(4)의 회전 축선 a의 방향을 길이 방향(화살표 X 방향)으로 하여 연장하는 대략 직방체 형상이며, 클리닝 유닛(f)과, 현상 장치(9)와, 구동측 커버 부재(24)와, 비구동측 커버 부재(25)를 포함한다.
도 4의 (a)는 카트리지 P를 구동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고, 도 4의 (b)는 비구동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카트리지 P는 클리닝 유닛(8)에 고정된 구동측 커버 부재(24)와 비구동측 커버 부재(25)가 현상 장치(9)의 요동 중심(도 4의 (a)의 일점 쇄선에 의해 표시된 축선 a)을 중심으로 해서 현상 장치(9)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2 프레임 구성을 가진다. 또한, 상세 내용은 후술하지만, 현상 장치(9)는 스프링(도시 생략) 등에 의해 일정 방향(도 3의 화살표 W1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리닝 유닛(드럼 유닛)(8)은 감광 드럼(4)과, 대전 롤러(5)와, 클리닝 블레이드(7)를 포함하는 클리닝 용기(26), 파지부(45)에 의해 구성된다. 도 4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광 드럼(4)은 구동측 커버 부재(24) 및 비구동측 커버 부재(2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있고, 드럼 구동 커플링(4a)으로부터 장치 본체(2)의 모터(도시 생략)의 구동력을 얻어서 (도 3의 화살표 D 방향으로) 회전 구동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전 롤러(5)는 클리닝 용기(26)의 대전 롤러 베어링(27)에 의해 양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감광 드럼(4)의 표면에 접촉해서 감광 드럼(4)의 회전에 의해 구동된다. 이때, 감광 드럼(4)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키기 위해서, 대전 롤러(5)의 양 단부 각각은 대전 롤러 가압 스프링(28)에 의해 감광 드럼(4)에 가압된다. 클리닝 블레이드(7)는 클리닝 용기(26)에 고정되고, 탄성 고무 단부를 감광 드럼(4)의 회전 방향(도 3의 화살표 D 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접촉시켜서 배치하고 있다. 화상 형성 시에는, 클리닝 블레이드(7)가 감광 드럼(4) 위에 잔류한 전사 잔여 토너를 긁어서 감광 드럼(4)의 표면을 클리닝한다. 이때, 전사 잔여 토너를 완전히 긁어내기 위해서 클리닝 블레이드(7)의 단부는 감광 드럼(4)의 표면에 대하여 소정의 압력으로 접촉하고 있다.
또한, 클리닝 블레이드(7)에 의해 감광 드럼(4)의 표면으로부터 긁어 내어진 전사 잔여 토너는 폐(잔여) 토너로서 클리닝 용기(26)의 잔여 토너 수용부(26a)에 수용된다. 이것을 위하여, 클리닝 용기(26)에는, 자신과 감광 드럼(4)이나 클리닝 블레이드(7) 사이의 틈으로부터의 잔여 토너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잔여 토너 회수 시트 부재(70)를 감광 드럼(4)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고정하고 있다. 또한, 클리닝 블레이드(7)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 각각에 클리닝 블레이드 단부 시일 부재(도시 생략)가 마련되어져 있다.
파지부(45)는 유저가 카트리지 P를 파지하는 개소이며, 클리닝 용기(26)에 대하여 일체적으로, 또는 별도의 부품으로서 장착되어 있다. 단, 화상 형성 장치(1)의 구성에 따라서는, 후술하는 장치 본체(2)에 대한 카트리지 P의 착탈 자세가 본 실시예와 상이한 경우가 있다. 그 경우, 파지부(45)는 현상 프레임(29)에 마련되어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카트리지 P는 대략 직방체이다. 6개의 면 중에서, 면(58)은 토너 상을 감광 드럼(4)으로부터 전술한 중간 전사 벨트 유닛(11)으로 전사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노출부(4b)를 포함한다. 면(58)에 대향하는 면(59)은, 상술한 파지부(45)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도 4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P는, 후술하는 포장 부재(46)에 카트리지 P가 포장되었을 때에 포장 부재(46) 내에서의 위치가 규제되는 부위로서 이하의 부위를 포함한다. 즉, 제1 피규제부(24b, 25b, 24g, 25g)는 포장 부재(46)에 대하여 연직 하방향(Z2 방향)과 수평 방향(Y1, Y2 방향)으로 위치 규제된다. 또한, 제2 피규제부(26c)의 이동은 포장 부재(46)에 대하여 연직 상방향(Z1 방향)으로 규제된다. 또한, 제3 피규제부(24f, 25f)의 이동은 카트리지 P의 길이 방향(즉, 감광 드럼(4)의 축선 방향, X1, X2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한편, 상기의 각 피규제부를 이용한 카트리지 P의 포장 부재(46) 내에서의 위치 규제에 관해서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카트리지의 착탈 구성>
다음으로, 카트리지 P의 장치 본체(2)에의 착탈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카트리지 트레이(43)가 장치 본체(2)로부터 끌어내어져, 카트리지 P가 카트리지 트레이(43)에 착탈가능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카트리지 P의 카트리지 트레이(43)에의 착탈 동작을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2) 내에는 카트리지 P가 장착가능한 카트리지 트레이(43)가 마련되어져 있다. 카트리지 트레이(43)는 장치 본체(2)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인 G1, G2 방향에서 직선 이동가능하도록(밀고 당겨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카트리지 트레이(43)는 장착 위치와, 카트리지 트레이(43)가 장착 위치부터 끌어 내어진 위치를 취할 수 있다.
우선, 카트리지 P의 장치 본체(2)에의 장착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개폐 도어(3)를 열고, 그 후에 카트리지 트레이(43)를 도 5의 화살표 G1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끌어 내어진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 카트리지 P는 화살표 H1 방향으로부터 카트리지 트레이(43)에 장착되어 유지된다. 카트리지 P를 유지한 카트리지 트레이(43)를 도 6의 화살표 G2 방향으로 이동시켜, 카트리지 트레이(43)는 장착 위치로 이동된다. 그리고, 개폐 도어(3)를 닫아서 카트리지 P의 장치 본체(2)에의 장착 동작이 완료한다.
다음으로, 카트리지 P의 장치 본체(2)로부터의 제거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술한 카트리지 P의 장치 본체(2)에의 장착 동작과 마찬가지로, 카트리지 트레이(43)를 끌어 내어진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 카트리지 P가 도 6의 화살표 H2 방향으로 제거되어, 카트리지 P의 장치 본체(2)로부터의 제거 동작이 완료한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카트리지 P는 장치 본체(2)에 착탈가능하다. 또한, 포장 부재(46)로부터 장치 본체(2)에 카트리지 P를 장착하는 과정은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현상 장치의 구성>
도 3,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 장치(9)는 현상 수단으로서의 현상 롤러(6)가 길이 방향으로서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로로 긴 형상이다. 현상 롤러(6) 이외에, 현상 장치(9)는 현상 프레임(29), 현상 블레이드(31), 현상 장치 단부 시일 부재(34R, 34L), 가요성 시트 부재(35) 및 공급 롤러 축 시일(37R, 37L)에 의해 구성된다(도 7).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 프레임(29)은 토너를 수용하기 위한 토너 수용실(29c)을 포함하고, 토너 수용실(29c)로부터 토너를 배출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개구부(29b)를 포함한다. 현상 롤러(6) 및 현상제 공급 롤러(33)는 개구부(29b)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현상 롤러(6)의 축의 양 단부(코어 재료(6a))는 각각 현상 프레임(29)의 양 측면에 장착되는 구동측 베어링(38)과 비구동측 베어링(39)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현상 롤러(6)의 코어 재료(6a)와 현상제 공급 롤러(33)의 코어 재료(33a)의 구동측 단부에는, 각각 현상 롤러 기어(40)와 공급 롤러 기어(41)가 배치되어, 현상 장치 구동 입력 기어(42)로 결합되고 있다. 현상 장치 구동 입력 기어(42)는 현상 장치 구동 커플링(42a)을 포함하고 있어, 장치 본체(2) 측의 구동 출력 커플링(도시 생략)이 걸어 맞추어져 장치 본체(2)의 구동 모터(도시 생략)의 구동력의 전달이 되어, 현상 롤러(6)와 현상제 공급 롤러(33)가 소정의 속도로 회전 구동된다. 현상 블레이드(31)는 두께 0.1㎜ 정도의 탄성을 가지는 금속 박판이며, 현상 블레이드(31)의 폭 방향의 자유단은 현상 롤러(6)의 회전 방향(도 3에서의 화살표 E 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접촉하고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 장치 단부 시일 부재(34R, 34L)는 현상 프레임(29)의 개구부의 양 단부에 배치되어, 각각의 현상 블레이드(31) 및 현상 롤러(6)와, 제2 프레임인 현상 프레임(29) 사이의 틈으로부터의 토너 누설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가요성 시트 부재(35)는, 상기 시트 부재(35)가 현상 프레임(29)의 개구부에서의 현상 블레이드(31)와 대향하는 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현상 롤러(6)와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현상 프레임(29)과 현상 롤러(6) 사이의 틈으로부터의 토너 누설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공급 롤러 축 시일(37R, 37L)은 현상제 공급 롤러(33)의 코어 재료(33a)에서의 현상 프레임(29)의 외측의 노출부에 장착되고 있어, 현상 프레임(29)에 마련되어진 코어 재료 관통 구멍(29d)과 코어 재료(33a) 사이의 틈으로부터의 토너 누설을 방지하고 있다.
현상 장치(현상 유닛)(9)는 도 4에 나타낸 요동 중심(축선 a)을 중심으로 현상 롤러(6)가 감광 드럼(4)에 접촉하는 방향(도 3의 화살표 W1 방향)에 가압 스프링(도시 생략)에 의해 항상 가압되고 있다. 화상 형성 시에는, 구동에 의해 현상제 공급 롤러(33)와 현상 롤러(6)가 회전해서 서로 마찰되어, 현상 프레임(29) 내의 토너가 현상 롤러(6) 위에 담지된다. 현상 블레이드(31)는 현상 롤러(6)의 주위면에 형성되는 토너층의 두께를 규제함과 함께, 접촉압에 의해 현상 롤러(6)와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 대전에 의한 전하를 토너에 부여한다. 그리고 현상 롤러(6)와 감광 드럼(4)의 접촉부에서 현상 롤러(6) 상의 전하를 띤 토너가 정전 잠상에 부착되어, 잠상이 현상된다.
또한, 비 화상 형성 시에는, 현상 롤러(6)가 감광 드럼(4)으로부터 이간하여, 현상 롤러(6)의 표면이 변형되는 것을 막고 있다. 즉, 현상 장치(9)는 클리닝 유닛(8)에 대하여 이동가능하여 현상 롤러(6)를 감광 드럼(4)에 대하여 접촉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포장 부재의 구성>
포장 부재(46)의 구성에 대해서 도 1, 도 8, 도 9,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카트리지 P의 포장 부재(46) 내에서의 포장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의 (a), (b)는 각각 본 실시예의 포장 부재(46)를 다른 각도로부터 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 9의 (a), (b)는 각각 본 실시예의 카트리지 P의 포장 부재(46)로부터의 제거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는 다른 각도로부터 본 개략 사시도이다. 여기서, 포장 부재(46)의 길이 방향은 포장 부재(46)에 카트리지 P를 수용했을 때의 카트리지 P의 길이 방향(X1, X2 방향)과 동일 방향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의 포장 부재(46)의 카트리지 포장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8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 부재(46)는 프레임부(47)와 덮개부(48), 힌지부(49)로 구성된다. 프레임부(47)와 덮개부(48)는, 힌지부(49)의 회전축(49a) 이후에 서로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다(도 1). 포장 부재(46)를 구성하는 프레임부(47), 덮개부(48), 힌지부(49) 각각은 플라스틱(수지 재료)의 박판(시트),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으로 구성되고, 이 수지 재료는 진공 성형, 프레스 성형 또는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 수지 재료를 진공 성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저비용으로 가공가능하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부(47)는 제1 개구(47c1)를 가지는 오목 형상의 제1 오목부(47c)를 포함한다. 또한, 덮개부(48)는 제2 개구(48b1)를 가지는 오목 형상의 제2 오목부(48b)를 포함한다. 또한, 프레임부(47) 및 덮개부(48)에는, 제1 오목부(47c), 제2 오목부(48b)를 각각 둘러싸도록 플랜지부(47a, 48a)가 형성된다. 프레임부(47)와 덮개부(48)는, 힌지부(49)에서 연결되어 일체 형성된다. 그리고, 덮개부(48)는, 덮개부(48)가 프레임부(47)의 제1 개구(47c1)를 덮을 수 있는 폐쇄 위치(도 1, 도 11)와, 제1 개구(47c1)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도 12)에 위치할 수 있다.
포장 부재(46)에의 카트리지 P의 장착에 대해서 설명한다. 카트리지 P는, 도 9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 부재(46)의 프레임부(47)에서 제1 상태로 지지된다. 이것의 상세에 대해서 후술한다. 여기서, 제1 상태에서는, 도 9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개구(47c1)를 통해 화살표 Z2 방향으로 포장 부재(46)에 삽입된 카트리지 P가 포장 부재(46)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제1 상태에서는, 카트리지 P가 프레임부(47)에 의해 유지되고, 프레임부(47)가 카트리지 P의 감광 드럼(4)의 노출부(4b)(도 4의 (b) 참조)를 덮는다. 또한, 이 제1 상태에서는, 감광 드럼(4)의 노출부(4b)가 프레임부(47)의 내면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고, 유저가 카트리지 P의 파지부(45)를 파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의 (a), (b)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프레임부(47)에 대하여 덮개부(48)를 힌지부(49)의 회전축(49a)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부(47)의 플랜지부(47a)와 덮개부(48)의 플랜지부(48a)를 접촉시킨다. 그 후, 프레임부(47)의 플랜지부(47a)와 덮개부(48)의 플랜지부(48a)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접합시킨다. 이에 의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부(47)의 제1 오목부(47c)와 덮개부(48)의 제2 오목부(48b)가 함께 접합부(46a)(도 1, 도 10)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포장 부재(46) 내부에 수용 공간(46b)을 만들어, 포장 부재(46)는, 카트리지 P를 수용 공간(46b)에 내포하는 것이 가능해 지는 제2 상태(포장 상태)가 된다(도 10). 이러한 제2 상태에서, 덮개부(48)의 제2 오목부(48b)는 거의 직방체인 카트리지 P의 파지부(45)를 수용하도록 카트리지 P의 전체, 또는, 카트리지 P의 일부를 덮고 있다. 또한, 접합부(46a)는 힌지부(49)로부터 대향하는 위치에 개봉부(46a1)를 포함한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유저는 접합부(46a)의 개봉부(46a1)로부터 포장 부재(46)를 개봉한다(연다). 또한, 프레임부(47)와 덮개부(48)가 개봉부(46a1)에서 접합되지 않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포장에 의해, 카트리지 P 전체가 프레임부(47)와 덮개부(48)로 덮여져서 포장 상태로 된다(도 1, 도 10 참조). 또한, 도 1에서는, 프레임부(47)의 플랜지부(47a)와 덮개부(48)의 플랜지부(48a)가 서로 접합하여 카트리지 P를 수용하는 접합부(46a)는, 카트리지 P를 길이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높이 c의 대략 1/2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지만,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접합부가 카트리지 P의 높이 c의 상부 지점 위에 마련되어도 된다. 또한, 카트리지 P는 거의 직방체이며, 포장 부재(46)는 서로 유사한 형상인 프레임부(47)와 덮개부(48)를 포함한다. 그러나, 카트리지 P는 어떠한 형상이어도 되고, 카트리지 P의 전체 혹은 카트리지 P의 보호해야 할 일부가 포장 부재(46)로 덮여져 있으면 포장 부재(46)는 어떤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프레임부(47)의 플랜지부(47a)와 덮개부(48)의 플랜지부(48a) 사이의 접합 수단으로서는, (열)용착 접착제 접합, 양면 테이프를 이용한 접합, 후킹(hooking)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접합 수단은 플랜지부(47a, 48a)가 서로 접합될 수 있을 것만을 요구하며, 상기 수단에 한정되는지 않는다. 즉, 프레임부(47)과 덮개부(48)가 별도의 부재이고, 플랜지부(47a, 48a)가 접합되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포장 상태에서의, 포장 부재(46)에 의한 카트리지 P의 위치 규제에 대해서 설명한다. 카트리지 P의 X1, X2 방향의 위치 규제를 행하기 위해서, 도 8의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부(47)의 내면에 카트리지 P의 길이 방향 양 단부에 대응하여 형성된 한 쌍의 제3 규제부(47f)를, 도 9의 (a), (b)에 도시하는 카트리지 P의 제3 피규제부(24f, 25f)에 접촉시킨다. 따라서, 카트리지 P의 X1, X2 방향의 위치는 앞서 설명한 제1 상태로 규제된다. 또한, 도 4의 (a), (b)에 도시하는 카트리지 P의 Y1, Y2 방향 및 Z2 방향의 위치 규제를 행하기 위해서, 포장 부재(46)는 도 8의 (a), (b)에 도시하는 프레임부(47)의 상측 표면에 형성된 제1 위치 규제부(47g, 47b)를 포함한다. 여기서, Z2 방향에서는 카트리지 P가 프레임부(47)에 진입한다. 또한, Y1, Y2 방향은 카트리지 P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직교하는) 방향이며, 카트리지 P가 프레임부(47)에 진입하는 Z2 방향과 교차하는(직교하는) 방향이다.
그리고, 제1 위치 규제부(47g, 47b)를, 도 9의 (a), (b)에 도시하는 제1 피규제부(24g, 25g, 24b, 24a)에 접촉시킨다. 따라서, 카트리지 P의 Y(Y1, Y2) 방향의 위치는 앞서 설명한 제1 상태로 규제된다. 또한, 도 8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부(48)에는 제2 규제부(48c)가 형성된다. 또한, 도 9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규제부(48c)는 포장 부재(46)의 포장 상태(제2 상태)에서 카트리지 P의 제2 피규제부(20c)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카트리지 P는, 포장 상태(제2 상태)에서 제2 피규제부(26c)가 덮개부(48)의 제2 규제부(48c)와 접촉한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 P가 제1 규제부(47b)으로부터 이간하는 Z1 방향에서의 카트리지 P의 이동을 규제함으로써, 카트리지의 위치 규제가 행해진다. 즉, 도 9의 (a), (b)에 도시하는 제1 상태에서는 카트리지 P가 중력 방향에 대하여 반대인 Z1 방향에서는 규제되지 않고 있다. 상술한 포장 상태(제2 상태)에서, 포장 부재(46)는 도 8에 나타내는 규제부(47f, 47b, 48g, 47g) 이외의 부분에서는 카트리지 P에 접하지 않고 있다. 그 때문에, 포장 부재(46)는 운반 시의 진동 및 충격이 발생했을 때, 각 규제부 이외의 부분에서 탄성 변형 및 소성 변형이 발생하여, 포장 부재(46)는 운반 시의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그러므로, 포장 부재(46)는 운반 시의 진동 및 충격을 감광 드럼(4) 및 프로세스 수단에 직접 전해주지 않아서, 카트리지 P를 보호하는 보호 부재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감광 드럼(4)을 보호하는 드럼 셔터를 카트리지 P로부터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포장 부재(46)의 각 규제부는 카트리지 P의 감광 드럼(4)의 잠상을 형성하는 영역이 아니라면 카트리지 P의 어느 위치에서 접촉해도 된다. 예를 들면, 규제부를 현상 프레임(29)에 접촉시켜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단, 제3 피규제부(24b, 25b)의 강성이 높게 형성되어 있는 경우, 운반 시의 충격 등에 의해 카트리지 P가 파손되는 것이 적어진다. 또한, 제1 상태에서, 이미 카트리지 P는 포장 부재(46)의 프레임부(47)에 의해 X1, X2 방향과, Y1, Y2 방향과, Z1 방향에 대하여 위치가 규제된다. 즉, 포장 부재(46)에 카트리지 P를 고정하기 위해서,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포장 부재(46)의 상태가 변할 때에, 카트리지 P는 덮개부(48)를 씌우기만 하면 되고, 조립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규제부(47f, 47b, 48c, 47g)는 포장 부재(46)에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별도의 부재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 장치(9)는 전술한 바와 같이 클리닝 유닛(8)에 고정된 구동측 커버 부재(24)와 비구동측 커버 부재(2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그 때문에,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 장치(9)는 카트리지 P의 운반 시에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에 의해 가압력에 거스르는 시계 방향 방향(화살표 W2 방향)으로 회동할 가능성이 있다. 이때, 현상 장치(9)는, 현상 장치(9)가 가압력에 의해 가압된 자세로 복귀하는 회동 운동을 발생시켜, 현상 장치(9)가 클리닝 유닛(8)에 충돌하고, 감광 드럼(4)과 현상 롤러(6) 사이의 마찰 메모리가 화상 불량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현상 장치(9)가 스프링 등의 압박 수단을 포함하는 경우에 관해서 서술했지만, 현상 장치(9)가 압박 수단을 포함하지 않는 구성에서도, 카트리지 P의 운반 시에 마찬가지의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여기서, 카트리지 P의 운반 시에 부재(46) 내의 현상 장치(9)가 클리닝 유닛(8)에 대하여 이동하기 어려운 고정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의 (a), (b)는 카트리지 P가 포장 부재(46)에 포장된 포장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1의 (a)는 현상 장치(9)가 클리닝 프레임(유닛)(9)에 대하여 스프링(도시 생략) 등에 의해 반-시계 방향(화살표 w1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로, 현상 롤러(6)가 감광 드럼(4)에 접촉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것에 대해서 도 11의 (b)는 현상 장치(9)가 클리닝 프레임(9)에 대하여 가압력에 거슬러서 시계 방향(화살표 W1 방향)으로 회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현상 장치(9)는 제4 피규제부(29d)를 포함한다. 또한, 포장 부재(46)의 덮개부(48)는 형성된 제4 규제부(48d)를 포함하고 있다. 즉,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축선 a(도 4의 (a) 참조)을 중심으로 한 시계 방향(화살표 W1 방향)에서, 제4 피규제부의 하류 측에 제4 규제부(48d)를 배치한다. 따라서, 포장 부재(46) 내에 카트리지 P를 포장했을 때, 제4 규제부(48d)로 현상 장치(9)의 제4 피규제부(29d)를 지지하여, 현상 장치(9)의 시계 방향(도 11의 (b)의 화살표 W2 방향)에서의 과도한 회동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현상 장치(9)의 일부로서 제4 피규제부(29d)를 마련하고, 포장 부재(46)의 덮개부(48)의 일부로서 제4 규제부(48d)를 형성함으로써, 현상 장치(9)의 시계 방향(도 11의 (b)의 화살표 W2 방향)에서의 과도한 회동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 P의 운반 시에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에 의한 현상 장치(9)와 클리닝 유닛(8)의 충돌 정도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현상 롤러(6)와 감광 드럼(4)의 마찰(슬라이딩)에 의한 감광 드럼(4) 상의 메모리의 정도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지부와 포장 부재의 관계>
카트리지 P의 파지부(45)와 포장 부재(46)의 위치 관계에 대해서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카트리지 P는 클리닝 유닛(8)의 일부로서 마련된 파지부(45)를 포함하고 있고, Y1 방향에서, 클리닝 유닛(8), 현상 장치(9), 힌지부(49)가 순서대로 배열되어 있는 자세로 포장된다. 단, 전술한 바와 같이, 파지부(45)는 현상 장치(9)의 일부로서 마련되어질 경우도 있다. 그 경우, 카트리지 P는 Y1 방향에서 힌지부(49), 클리닝 유닛(8), 현상 장치(9)가 배열되는 자세로 포장된다.
포장 부재(46)로부터의 카트리지 P의 제거 동작에 대해서 도 10, 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포장 부재(46)로부터 카트리지 P를 제거(착탈)가능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카트리지 P의 제거 동작은 덮개부(48)의 개봉, 파지부(45)의 파지, 카트리지 P의 제거 및 카트리지 P의 장치 본체(2)에의 장착의 순으로 행하여진다.
도 10에서, 유저는 프레임부(47)와 개방가능하게 결합된 덮개부(48)의 결합부(46a)를, 도시되지 않은 수단에 의해 개봉부(46a1)로부터 분리한다. 즉, 플랜지부(47a)가 위치하는 결합부(46a)로부터 플랜지부(48a)를 분리한다. 그리고, 유저는 덮개부(48)를 힌지부(49)의 회전축(49a)을 축으로 하여 도 12의 화살표 R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덮개부(48)가 약 180° 회동하는 것에 의해, 카트리지 P가 제거가능한 상태로 되어(도 12), 덮개부(48)의 개봉 동작이 완료한다. 또한, 카트리지 P가 제거가능하면, 덮개부(48)는 180° 회동하지 않고 있어도 된다. 여기서, 유저는, 힌지부(49)를 전방 측에 배치하는 것보다 개봉부(46a1)를 전방 측에 배치하는 경우에 포장 부재(46)의 개봉 조작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유저가 포장 부재(46)의 개봉부(46a1)를 전방 측에 배치한 상태로 개봉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다음으로, 유저는 파지부(45)를 파지한다. 유저에 의한 파지부(45)의 파지는, 유저가 덮개부(48)를 회동시킨 후, 파지부(45)를 파지하는 것으로 행하여진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파지부(45)는 개봉부(46a1) 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유저는 덮개부(48)를 개봉했을 때에 파지부(45)를 인식하기 쉽고, 또한 덮개부(48)에 의한 파지 동작을 저해하지 않고 파지부(45)의 파지를 부드럽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카트리지 P의 제거 이후에 장치 본체(2)에의 장착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동작은, 유저가 도 12에 나타내는 화살표 J 방향으로 카트리지 P를 이동시켜서 카트리지 P를 제거한 후에, 장치 본체(2)에 카트리지 P를 장착함으로써 행하여진다. 유저가 장치 본체(2)에 카트리지 P를 장착할 때, 도 5에 나타내는 카트리지 트레이(43)의 끌어 내어진 방향 G1에 대하여 장치 본체(2)보다 하류 측에 유저가 위치한다. 또한, 유저가 카트리지 P를 장치 본체(2)에 장착할 때의 카트리지 P의 자세는, 끌어 내어진 방향 G1에서 클리닝 유닛(8)이 현상 장치(8)보다 하류 측에 위치하는 자세이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카트리지 P의 장착 방향 H1에서 하류 측에 감광 드럼(4)이 위치하고, 상류 측에 파지부(45)가 위치한다. 이 자세는, 유저가 포장 부재(46)에 수용되어 있는 카트리지 P의 파지부(45)를 파지할 때의 카트리지 P의 자세와 같다. 즉, 유저는 포장 부재(46)로부터 유저가 카트리지 P를 제거한 그대로의 자세로 카트리지 P를 장치 본체(2)에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카트리지 P를 제거한 후에 장치 본체(2)에 장착할 때에 카트리지 P를 한쪽 손에서 다른 쪽 손으로 바꿔 쥐고, 손목이 꼬이는 불편함이 없어져서, 편리성이 향상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포장 부재(46)는, 운반 시의 진동 및 충격이 발생했을 때, 각 규제부 이외의 부분에서 탄성 변형 및 소성 변형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하여, 운반 시의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포장 부재(46)는 카트리지 P를 운반 시의 진동 및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카트리지 포장 부재로서 기능한다.
또한, 카트리지 P가 감광 드럼(4)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클리닝 프레임인 제1 프레임(8)과, 제1 프레임(8)에 의해 지지되어 프로세스 수단을 지지하는 현상 프레임인 제2 프레임(9)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포장 부재(46)는 제2 프레임(9)의 수용 공간(46b) 내에서의 이동을 규제하는 제4 규제부(48d)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카트리지 P는, 프로세스 수단이 감광 드럼(4)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에서의 제2 프레임(9)의 회전이 규제되어, 운반 시의 진동 및 충격이 억제된다.
또한, 카트리지 P는 감광 드럼(4)과의 대향부에 포장 부재로부터 카트리지 P를 제거하기 위하여 파지하는 파지부(45)를 가진다. 이때, 감광 드럼(4)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에서, 프레임부(47) 측에 감광 드럼(4)을, 덮개부(48) 측에 파지부(45)를 배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유저는 포장 부재(46)로부터의 카트리지 P의 개봉시에 사용성을 손상하지 않고 포장 부재(46)로부터 카트리지 P를 꺼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카트리지 P을 거의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하고, 감광 드럼(4)의 노출부로부터 대향하는 표면에 파지부(45)를 배치하는 구성이 채용되지만, 본 발명이 거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카트리지 P가 포장 부재(46)에 포장될 때, 프레임부(47)의 제1 오목부(47c)에 노출부(4b)가 수용되고, 덮개부(48)의 제2 오목부(48b)에 파지부(45)가 수용되는 구성에도 본 발명을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카트리지를 거의 삼각기둥의 형성으로 형성하고, 삼각면 이외의 면에 노출부를 마련한다. 이때, 파지부는 노출부에 대향하지 않는 면에 배치되게 한다. 이 경우에도, 카트리지가 포장 부재에 포장되었을 때, 프레임부의 오목부에 노출부가 수용되고, 덮개부의 오목부에 파지부가 수용되는 구성이 채용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카트리지 P을 포장하는 포장 부재(46) 및 포장 부재(46)에 포장된 카트리지 P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카트리지 P는 파지부(45)를 포함하는 제1 프레임인 클리닝 유닛(8)과, 제2 프레임인 현상 장치(9)로 구성된다. 또한, 포장 부재(46)는, 프레임부(47)와 덮개부(48)를 서로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인 힌지부(49)로 연결된 프레임부(47)와 덮개부(48)로 구성된다. 프레임부(47)는 제1 오목부(47c)를, 덮개부(48)는 제2 오목부(48b)을 포함한다. 그리고, 포장 부재(46)의 이들 부분(47, 48) 각각은, 힌지부(49)을 회전 중심으로 해서 회동하고, 제1 오목부(47c)와 제2 오목부(48b)는 카트리지 P을 수용하는 공간인 수용 공간(46b)을 형성한다. 카트리지 P는 포장 부재(46)의 수용 공간(46b)에 카트리지 P가 포장되었을 때에 아래와 같이 규제부(47g, 47b)로 위치 규제된다. 즉, 감광 드럼(4)의 축선 방향 X1, X2와 직교하는 방향에서, 또한, 카트리지 P이 프레임부(47)에 진입하는 진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힌지부(49), 현상 장치(9), 클리닝 유닛(8)의 배열된다. 이에 의해, 유저는 개봉부(46a1)가 위치하는 전방 측에 포장 부재(46)를 개봉했을 때에, 클리닝 유닛(8)의 파지부(45)가 유저에 대하여 가까운 위치에 있기 때문에, 파지부(45)를 인식하기 쉽다. 또한, 덮개부(48)가 파지 동작을 방해하지 않으므로, 유저는 파지부(45)를 파지하기 쉽다. 그 때문에, 유저는, 포장 부재(46)로부터 카트리지 P의 제거를 부드럽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그리고, 유저가 포장 부재(46)로부터 카트리지 P를 제거할 때의 카트리지 P의 자세와, 유저가 카트리지 P를 장치 본체(2)에 장착할 때의 카트리지 P의 자세가 대강 서로 일치하게 된다. 그 때문에, 카트리지 P를 포장 부재(46)로부터 제거해서 카트리지 P를 장치 본체(2)에 장착하는 사이에, 유저는, 유저가 카트리지 P를 한쪽 손에서 다른 쪽 손으로 이동하거나, 유저의 손목을 비트는 동작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에 의해 편리성이 크게 향상한다.
(실시예 2)
실시예 2를 도 13 내지 도 1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2에서는, 실시예 1에서 클리닝 유닛(8)과 현상 장치(9)로 각각 구성된 카트리지 P를 대신하여, 각각 현상 장치만으로 구성된 카트리지 Q(QY, QM, QC, QK)가 이용되고 있다. 그 때문에, 실시예 1 및 2에 공통되는 개소에 관해서는, 그 부분의 설명을 생략한다.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구성>
우선,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100)의 개략 단면도를 도 14에 나타낸다.
화상 형성 장치(1)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이용한 4색 풀 컬러 레이저 프린터이며, 기록재 S에 컬러 화상 형성을 행한다.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 Q를 장치 본체(102)에 착탈가능하며, 기록재 S에 컬러 화상을 형성한다.
단, 본 실시예에서는, 카트리지 Q를 장치 본체(102)에 착탈가능한 구성이 채용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클리닝 유닛(8)이 장치 본체(102)에 착탈가능한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기능을 가지는 장치 본체(102)의 그 밖의 부품은, 동일 참조 번호 또는 부호에 의해 표시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카트리지의 구성>
도 13의 (a), (b)는 본 실시예의 카트리지 Q를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a)는 구동 측에서 본 카트리지 Q의 개략 사시도이고, (b)는 비구동 측에서 본 카트리지 Q의 개략 사시도이다. 카트리지 Q는 파지부(145)를 포함한다. 파지부(145)는 유저가 파지하기 위한 개소이며, 현상 (장치) 프레임(129)에 일체적으로 또는 별도의 부품으로서 장착되어 있다. 또한, 카트리지 Q는 거의 직방체이다. 6개의 면 중에서, 면(158)은 현상 롤러(6) 상의 토너로 감광 드럼(4) 상의 정전 잠상을 현상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노출부(6b)를 포함한다. 면(158)에 대향하는 면(159)은 상술한 파지부(145)를 포함한다. 파지부(145)의 위치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카트리지 Q는 후술하는 포장 부재(146)에 카트리지 Q가 포장되었을 때에, 포장 부재(146) 내에서의 위치가 규제되는 부위로서, 제3 피규제부(139f, 144f), 제1 피규제부(129b, 144b, 139g, 144g), 제2 피규제부(129c)를 포함한다.
제3 피규제부(139f, 144f)는, 카트리지 Q의 현상 롤러(6)의 축선 방향인, 길이 방향(도 10의 X(X1, X2) 방향)에서 후술하는 포장 부재(146) 내에서의 카트리지 Q의 위치 규제에 이용할 수 있다. 제1 피규제부(139b, 144b) 및 제2 피규베주(129c)는 X1, X2 방향과의 직교(교차하는) Y1, Y2 방향과, 연직 하측 방향인 Z1 방향에서의 카트리지 Q의 위치 규제에 각각 이용할 수 있다. 상기의 각 피규제부를 이용한 카트리지 Q의 포장 부재(146) 내에서의 위치 규제에 관해서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기타의 구성은 실시예 1에서 설명한 현상 장치(9)의 구성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카트리지의 착탈 구성>
다음으로, 카트리지 Q의 장치 본체(102)에의 착탈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는 카트리지 트레이(43)가 장치 본체(102)로부터 끌어내어져, 카트리지 Q가 카트리지 트레이(43)에 착탈가능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며, 카트리지 Q의 카트리지 트레이(43)에의 착탈 동작을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장치 본체(102) 내에는 카트리지 Q를 장착가능한 카트리지 트레이(43)가 마련되어져 있다. 또한, 카트리지 트레이(43)에는, 미리 클리닝 유닛(8)이 장착된다. 카트리지 트레이(43)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102)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평 방향인 G1, G2 방향에서 직선 이동가능하게(밀고 당길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카트리지 트레이(43)는 장치 본체(102) 내의 장착 위치와, 카트리지 트레이(43)가 장착 위치부터 끌어 내어진 끌어 내어진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우선, 카트리지 Q의 장치 본체(102)에의 장착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개폐 도어(3)를 열고, 카트리지 트레이(43)를 도 14의 화살표 G1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카트리지 트레이(43)를 끌어 내어진 위치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카트리지 Q는 도 14의 화살표 H1 방향으로부터 카트리지 트레이(43)에 장착되어, 현상 롤러(6)의 노출부(6b)(도 13 참조)가 감광 드럼(4)의 대향부에 위치 결정된다. 다음으로, 카트리지 트레이(43)를 도 14의 화살표 G2 방향으로 이동시켜, 카트리지 트레이(43)를 장치 본체(102) 내의 장착 위치로 이동한다. 그리고, 개폐 도어(3)를 닫아서, 카트리지 Q의 장치 본체(102)에의 장착 동작이 완료한다.
한편, 카트리지 Q의 장치 본체(102)로부터의 제거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카트리지 트레이(43)를 도 14의 화살표 G1 방향으로 이동시켜, 끌어 내어진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 카트리지 Q가 도 14의 화살표 H2 방향으로 제거되어, 카트리지 Q의 장치 본체(102)로부터의 제거 동작이 완료한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카트리지 Q는 장치 본체(102)에 착탈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카트리지 트레이(43)에 미리 클리닝 유닛(8)이 장착되어 있지만,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장치 본체(102) 내에 미리 클리닝 유닛(8)이 배치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장 부재(143)로부터 카트리지 Q를 제거하고, 카트리지 Q를 장치 본체(102)에 장착할 때까지의 과정은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포장 부재의 구성>
포장 부재(146)의 구성에 대해서 도 1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한편, 실시예 1의 포장 부재(146)와 마찬가지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 부재(46)의 카트리지 Q의 포장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포장 부재(146)는 프레임부(147), 덮개부(148), 힌지부(149)로 구성된다. 프레임부(147)와 덮개부(148)는, 힌지부(149)의 회전축(149a) 이후에, 서로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다. 포장 부재(146)를 구성하는 프레임부(147), 덮개부(148), 힌지부(149) 각각은 플라스틱 박막(수지 재료),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으로 구성되며, 이 수지 재료는 진공 성형, 프레스 성형 또는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포장 부재(146)를 진공 성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저비용으로 가공가능하다.
또한, 포장 부재(146)는 포장 부재(146)를 개봉하기 위한 접합부(146a)를 포함한다. 접합부(146a)는 포장 부재(146)의 포장 상태에서 힌지부(149)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프레임부(147)는 제1 개구(147c1)가 설치된 오목 형상의 제1 오목부(147c)를 포함한다. 또한, 덮개부(148)는 제2 개구(148b1)가 설치된 오목 형상의 제2 오목부(148b)를 포함한다. 또한, 프레임부(147), 덮개부(148)에는, 제1 오목부(147c), 제2 오목부(148b)를 둘러싸도록 플랜지부(147a, 148a)가 각각 형성된다. 프레임부(147)와 덮개부(148)는 힌지부(149)에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덮개부(148)는 프레임부(147)의 제1 개구(147c1)를 덮개부(148)가 덮을 수 있는 폐쇄 위치(도 1, 도 11)와, 제1 개구(147c1)가 개방되는 개방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포장 부재(146)에의 카트리지 Q의 고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카트리지 Q는 포장 부재(146)의 프레임부(147)에 제1 상태로 지지된다. 이것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1 상태에서는, 제1 개구(147c1)를 통해서 포장 부재(146)로 삽입된 카트리지 Q가 포장 부재(146)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제1 상태에서는, 카트리지 Q가 프레임부(147)에 의해 유지되고, 프레임부(147)가 카트리지 Q의 현상 롤러(6)의 노출부(6b)를 덮고 있다. 또한, 이 제1 상태에서는, 현상 롤러(6)의 노출부(6b)는 프레임부(147)의 내면에 접하는 것이 방지되고, 프레임부(147)에 대하여 덮개부(148)를 힌지부(149)의 회전축(149a)을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유저가 카트리지 Q의 파지부(145)를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포장 상태(도시 생략)로부터, 프레임부(147)에 대하여 덮개부(148)를 힌지부(149)의 회전축(149a)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부(147)의 플랜지부(147a)와 덮개부(148)의 플랜지부(148a)를 접촉시킨다. 그 후, 서로 대향하는 프레임부(47)의 플랜지부(47a)와, 덮개부(48)의 플랜지부(48a)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접합한다. 이에 의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부(147)의 제1 오목부(147c)와 덮개부(148)의 제2 오목부(148b)가 함께 결합부(146a)를 형성하여, 포장 부재(146) 내부에 수용 공간(146b)을 만들어, 그 수용 공간(146b)에 포장 부재(146)를 수용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덮개부(148)의 제2 오목부(148b)는 거의 직방체인 카트리지 Q의 파지부(145)를 수용하도록 카트리지 Q의 전체, 또는, 카트리지 Q의 일부를 덮고 있다. 이상의 포장에 의해, 카트리지 Q 전체가 프레임부(147) 및 덮개부(148)로 덮여져서, 포장 상태(제2 상태)가 된다(도 15).
다음으로, 포장 상태에서의, 포장 부재(146)에 의한 카트리지 Q의 위치 규제에 대해서 설명한다. 카트리지 Q의 X(X1, X2) 방향의 위치의 규제를 행하기 위해서, 프레임부(147)의 내면에 형성된 한 쌍의 제3 규제부(도시 생략)를 도 13의 (a), (b)에 도시하는 카트리지 Q의 제3 피규제부(139f, 144f)에 접촉시킨다. 이에 따라, 카트리지 Q의 X1, X2 방향의 위치는 앞서 설명한, 제1 상태로 규제된다. 또한, 도 15에 나타내는 카트리지 Q의 Y1, Y2 방향, 및 Z2 방향에서의 위치 규제를 행한다. 그를 위해, 포장 부재(146)의 프레임부(148)의 내면에 형성된 제1 규제부(147g, 147b)를 도 13의 (a), (b)에 도시하는 제1 피규제부(144g, 144b)에 접촉시킨다. 이에 따라, 카트리지 Q의 Y1, Y2 방향 및 Z 방향의 위치는 앞서 설명한 제1 상태로 규제된다. 또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부(148)에는 제2 규제부(148c)가 형성된다. 또한, 제2 규제부(148c)는 포장 부재(146)의 포장 상태(제2 상태)에서 카트리지 Q의 제2 피규제부(129c)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카트리지 Q는, 포장 상태(제2 상태)에서, 제2 피규제부(129c)가 덮개부(148)의 제2 규제부(148c)와 접촉한다. 이에 의해, Z1 방향에서의 카트리지 Q의 위치 규제가 행해진다. 즉, 제1 상태에서는 카트리지 Q가 중력 방향의 반대인 Z1 방향에서는 규제되지 않는다. 전술한 포장 상태(제2 상태)에서, 포장 부재(146)는 도 15에 나타내는 규제부(144f, 147b, 148g, 147g)의 이외의 곳에서는, 카트리지 Q에 접하지 않고 있다. 그 때문에, 포장 부재(146)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운반 시에 진동 및 충격이 발생했을 때에 각 규제부 이외의 부분에서 탄성 변형 및 소성 변형이 발생하여, 포장 부재(146)가 운반 시의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그러므로, 포장 부재(146)는 운반 시의 진동 및 충격을 현상 롤러(6) 및 그 밖의 프로세스 수단에 직접 전하지 않아, 카트리지 Q를 보호하는 보호 부재로서 기능한다. 또한, 포장 부재(146)의 각 규제부는, 카트리지 Q의 현상 롤러(6)를 이용하여 현상이 이루어지는 영역을 제외한 부위라면, 카트리지 Q의 어느 위치에 접촉해도 된다. 단, 제3 피규제부(139b, 144b)의 강성이 높게 형성되어 있는 경우, 운반 시의 충격 등으로 카트리지 Q가 파손되는 경우가 적어진다. 또한, 제1 상태에서, 카트리지 Q는 포장 부재(146)의 프레임부(147)에 의해 길이 방향과, Y1, Y2 방향과, Z1 방향에서 이미 규제된다. 즉, 포장 부재(146)에 카트리지 Q를 고정하기 위해서,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포장 부재(146)의 상태가 변경될 때에, 카트리지 Q는 덮개부(148)를 씌우기만 하면 조립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3 규제부(144f, 147b, 148c, 147g)는 포장 부재(146)의 프레임부(147)와 덮개부(148)로 형성되었지만,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어도 된다.
<파지부와 포장 부재의 관계>
카트리지 Q의 파지부(145)와 포장 부재(146)의 위치 관계에 대해서 도 1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Y2 방향에서, 도 1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부(149)에 가장 가까운 카트리지 Q의 에지 라인을 제1 에지 라인(109a), 힌지부(149)로부터 가장 먼 카트리지 Q의 에지 라인을 제2 에지 라인(109b)이라고 한다. 또한, Y2 방향에서 제1 에지 라인(109a)과 제2 에지 라인(109b) 사이의 중간선이 중심선 m이다. 이 경우에, 파지부(145)는 도 15의 중심선 m의 우측(Y2 방향)에 배치된다. 또한, 이 경우에, 카트리지 Q가 포장 재료(146)에 포장되었을 때, 카트리지 Q는 파지부(145)가 중심선 m에 대하여 힌지부(149)의 대향하는 측에 배치되는 자세가 된다. 또한, 포장 부재(146)로부터의 카트리지 Q의 제거 동작은, 실시예 1에서 본 실시예의 카트리지 Q를 카트리지 P로 했을 경우와 마찬가지로 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카트리지 Q를 포장하는 포장 부재(146) 및 포장 부재(146)에 포장되는 카트리지 Q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카트리지 Q는 파지부(145)와, 상 담지체인 감광 드럼 및 감광 드럼에 작용할 수 있는 프로세스 수단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한다. 또한, 포장 부재(146)는 프레임부(147)와 덮개부(148)를 서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인 힌지부(149)로 연결된 프레임부(147)와 덮개부(148)로 구성된다. 프레임부(147)는 제1 오목부(147c)를 포함하고, 덮개부(148)는 제2 오목부(148b)를 포함한다. 그리고, 포장 부재(46)의 이들 부분(147, 148)은 각각 회전축(149)을 회전 중심으로 해서 회동하고, 제1 오목부(147c)와 제2 오목부(148b)는 카트리지 Q를 수용하는 공간인 수용 공간(146b)을 형성한다. 카트리지 Q가 수용 공간(46b)에 포장되었을 때에, 카트리지 Q는 아래와 같이 규제부(147g, 147b)에 의해 위치 규제된다. 즉, 현상 롤러(6)의 축선 방향 X1, X2와 직교하는 방향, 및 카트리지 Q가 프레임부(147)에 진입하는 진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힌지부(149)가 중심선 m보다 힌지부(149)로부터 더 떨어진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가 만들어진다. 이에 의해, 개봉부(146a1)가 위치한 전방 측에서 유저가 포장 부재(146)를 개봉할 경우, 파지부(145)가 유저에 더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유저가 파지부(145)를 인식하기 용이하다. 또한, 덮개부(148)가 파지 동작을 방해하지 않으므로, 유저는 파지부(145)를 파지하기 쉽다. 그 때문에, 유저는, 포장 부재(146)로부터 카트리지 Q의 제거를 부드럽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그리고, 유저가 포장 부재(146)로부터 카트리지 Q를 제거할 때의 카트리지 Q의 자세와, 유저가 장치 본체(102)에 카트리지 Q를 장착할 때의 카트리지 Q의 자세가 거의 서로 일치하게 된다. 그 때문에, 카트리지 Q를 포장 부재(146)로부터 제거하여 카트리지 Q를 장치 본체(102)에 장착하는 동안에, 유저는 유저가 카트리지 Q를 한쪽 손에서 다른 쪽 손으로 이동시키거나 유저의 손목을 비트는 동작을 가능한 정도까지 저감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르면, 편리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운반 시에 진동 및 충격으로부터 카트리지를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20)

  1.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 가능하며, 카트리지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를 포장하는 포장 부재로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카트리지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며,
    상기 포장 부재는,
    (i) 상기 카트리지에 대한 진입부로서의 개구와, 상기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제1 오목부와, 상기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카트리지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오목부에 마련되는 규제부를 포함하는 프레임부와,
    (ii) 상기 개구를 개방가능하게 막기 위하여, 힌지부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및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프레임부에 진입하는 진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파지부가 상기 카트리지의 중심선보다 상기 힌지부로부터 더 멀리 있게 되는 위치에 상기 카트리지가 위치하도록 상기 카트리지의 위치를 규제하는 포장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개구를 막았을 때에, 상기 제1 오목부와 함께 상기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파지부를 수용하는 제2 오목부를 포함하는 포장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프레임부 및 상기 덮개부와 일체적으로 성형되는 포장 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포장 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정전 잠상이 형성되는 감광 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길이 방향은 상기 감광 드럼의 축선 방향인 포장 부재.
  6. 카트리지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를 포함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며,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가능한 카트리지를 포장하는 포장 부재로서,
    (i) 상기 카트리지에 대한 진입부로서의 개구와, 상기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제1 오목부와, 상기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카트리지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오목부에 마련되는 규제부를 포함하는 프레임부와,
    (ii) 상기 개구를 개방가능하게 막기 위하여, 힌지부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및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프레임부에 진입하는 진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파지부가 상기 제2 프레임보다 상기 힌지부로부터 더 먼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카트리지의 위치를 규제하는 포장 부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개구를 막았을 때에, 상기 제1 오목부와 함께 상기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파지부를 수용하는 제2 오목부를 포함하는 포장 부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프레임부 및 상기 덮개부와 일체적으로 성형되는 포장 부재.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포장 부재.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정전 잠상이 형성되는 감광 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 방향은 상기 감광 드럼의 축선 방향인 포장 부재.
  11. 포장 부재에 포장되며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가능한 카트리지로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카트리지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는, 상기 카트리지를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포장 부재는,
    (i) 상기 카트리지에 대한 진입부로서의 개구와, 상기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제1 오목부와, 상기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카트리지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오목부에 마련되는 규제부를 포함하는 프레임부와,
    (ii) 상기 개구를 개방가능하게 막기 위하여 힌지부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및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프레임부에 진입하는 진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파지부가 상기 카트리지의 중심선보다 상기 힌지부로부터 더 멀리 있게 되는 위치에 상기 카트리지가 위치하도록 상기 카트리지의 위치를 규제하는 카트리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개구를 막았을 때에, 상기 제1 오목부와 함께 상기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파지부를 수용하는 제2 오목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프레임부 및 상기 덮개부와 일체적으로 성형되는 카트리지.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카트리지.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정전 잠상이 형성되는 감광 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길이 방향은 상기 감광 드럼의 축선 방향인 카트리지.
  16. 포장 부재에 포장되며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가능한 카트리지로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카트리지를 파지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포장 부재는,
    (i) 상기 카트리지에 대한 진입부로서의 개구와, 상기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제1 오목부와, 상기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카트리지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오목부에 마련되는 규제부를 포함하는 프레임부와,
    (ii) 상기 개구를 개방가능하게 막기 위하여 힌지부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카트리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및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프레임부에 진입하는 진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파지부가 상기 제2 프레임보다 상기 힌지부로부터 더 먼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카트리지의 위치를 규제하는 카트리지.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개구를 막았을 때에, 상기 제1 오목부와 함께 상기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파지부를 수용하는 제2 오목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프레임부 및 상기 덮개부와 일체적으로 성형되는 카트리지.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카트리지.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정전 잠상이 형성되는 감광 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 방향은 상기 감광 드럼의 축선 방향인 카트리지.
KR1020147033865A 2012-06-08 2013-06-07 포장 부재 및 포장 부재에 포장된 카트리지 KR201500060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31295 2012-06-08
JP2012131295A JP6112783B2 (ja) 2012-06-08 2012-06-08 梱包体
PCT/JP2013/066409 WO2013183793A1 (en) 2012-06-08 2013-06-07 Packing member and cartridge packed in the packing memb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6046A true KR20150006046A (ko) 2015-01-15

Family

ID=48771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3865A KR20150006046A (ko) 2012-06-08 2013-06-07 포장 부재 및 포장 부재에 포장된 카트리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423767B2 (ko)
EP (1) EP2858916B1 (ko)
JP (1) JP6112783B2 (ko)
KR (1) KR20150006046A (ko)
CN (1) CN104334469B (ko)
TW (2) TWI505976B (ko)
WO (1) WO20131837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9185B1 (ko) 2012-06-08 2018-11-15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포장 부재 및 포장 부재에 포장된 카트리지
JP6108728B2 (ja) * 2012-08-31 2017-04-05 キヤノン株式会社 梱包材及びカートリッジ
JP6415198B2 (ja) 2013-09-12 2018-10-31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CN105794017B (zh) * 2014-03-25 2019-06-28 三洋电机株式会社 电池系统
JP6855284B2 (ja) 2017-03-03 2021-04-07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CN115993761A (zh) 2017-06-15 2023-04-21 佳能株式会社 盒与电子照相图像形成装置
WO2019176890A1 (en) * 2018-03-15 2019-09-19 Canon Kabushiki Kaisha Packing member and packing unit
JP7306017B2 (ja) * 2019-03-28 2023-07-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包装装置及びその内側箱体
AU2020294030A1 (en) 2019-06-12 2021-12-02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attachment, and mounting kit
CN116339094A (zh) 2020-12-07 2023-06-27 佳能株式会社 调色剂容器和图像形成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17455A (en) * 1937-11-20 1940-10-08 Western Electric Co Package
JPS6144683A (ja) 1984-08-10 1986-03-04 Honshu Paper Co Ltd 感熱記録体
JPH02304460A (ja) * 1989-05-19 1990-12-18 Nec Corp プロセスユニットの梱包箱
JPH04114173A (ja) 1990-09-04 1992-04-1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梱包材
JPH05232752A (ja) * 1992-02-20 1993-09-10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5335770A (en) * 1992-08-06 1994-08-09 Moulded Fibre Technology, Inc. Molded pulp fiber interior package cushioning structures
DE69320738T2 (de) 1992-09-04 1999-02-18 Canon Kk Arbeitseinheit und Bilderzeugungsgerät
US6408142B1 (en) 1992-09-04 2002-06-18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H06186895A (ja) * 1992-12-16 1994-07-08 Ricoh Co Ltd 梱包箱
JP3530644B2 (ja) * 1995-07-31 2004-05-2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フレーム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029616A (ja) 1996-07-15 1998-02-03 Saidetsuku Kk 物品の搬送用容器
USD395234S (en) * 1996-07-25 1998-06-16 Sydek Kabushiki Kaisha Safeguard case for toner cartridge
JPH11242371A (ja) 1997-10-31 1999-09-07 Canon Inc コネクタ及びユニット及びプロセスカ―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321911B1 (en) * 2000-01-31 2001-11-27 Display Pack, Inc. Fragility package
US6920980B2 (en) * 2002-06-24 2005-07-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tainer
US7243815B2 (en) * 2002-09-23 2007-07-17 See The Shoes, Llc Thermoformed package
JP3639834B2 (ja) 2003-05-19 2005-04-20 キヤノン株式会社 梱包部材、及び、梱包部材を用いた梱包方法、及び、梱包部材の製造方法
JP4630615B2 (ja) 2004-03-30 2011-02-09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て方法
JP3885062B2 (ja) 2004-03-30 2007-02-2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110128B2 (ja) 2004-04-26 2008-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軸受部材
US7158749B2 (en) 2004-04-26 2007-01-02 Canon Kabushiki Kaisha Cleaning device, process cartridge, cleaning membe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3840232B2 (ja) 2004-05-06 2006-11-0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US20060042995A1 (en) * 2004-09-02 2006-03-02 Ade, Inc. Suspension packages
JP4856974B2 (ja) 2005-02-22 2012-01-18 キヤノン株式会社 帯電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7856192B2 (en) 2006-12-28 2010-12-21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4280772B2 (ja) 2006-12-28 2009-06-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094186B2 (ja) 2007-04-10 2012-12-1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288900B2 (ja) 2008-06-20 2013-09-1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10102006A (ja) 2008-10-22 2010-05-0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8328034B2 (en) * 2009-06-08 2012-12-11 3Rd Stone Design Inc. Food container
TWI442195B (zh) 2009-12-16 2014-06-21 Canon Kk 製程卡匣、感光滾筒單元、顯像單元及電子照片畫像形成裝置
JP5690655B2 (ja) 2011-05-26 2015-03-25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ユニット
EP3722885A1 (en) 2011-12-06 2020-10-14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detachably mountable to main assembly of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ssembling method for drive transmitting device for photosensitive drum,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919185B1 (ko) * 2012-06-08 2018-11-15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포장 부재 및 포장 부재에 포장된 카트리지
JP6108728B2 (ja) * 2012-08-31 2017-04-05 キヤノン株式会社 梱包材及びカートリッジ
JP6218493B2 (ja) 2012-09-06 2017-10-25 キヤノン株式会社 ユニット、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製造方法
US9002235B2 (en) * 2013-02-27 2015-04-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oner cartridge packaging
JP2014237472A (ja) * 2013-06-07 2014-12-18 キヤノン株式会社 梱包部材、梱包部材に梱包されたカートリッ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58916A1 (en) 2015-04-15
JP6112783B2 (ja) 2017-04-12
JP2013254175A (ja) 2013-12-19
TWI598276B (zh) 2017-09-11
WO2013183793A1 (en) 2013-12-12
CN104334469A (zh) 2015-02-04
US9423767B2 (en) 2016-08-23
EP2858916B1 (en) 2020-04-08
CN104334469B (zh) 2017-02-22
TWI505976B (zh) 2015-11-01
TW201406622A (zh) 2014-02-16
US20150114870A1 (en) 2015-04-30
TW201540618A (zh) 2015-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7037B1 (ko) 패키징된 카트리지
KR20150006046A (ko) 포장 부재 및 포장 부재에 포장된 카트리지
KR101919185B1 (ko) 포장 부재 및 포장 부재에 포장된 카트리지
US9304488B2 (en) Cartridge package and packageable process cartridge
JP2014013386A (ja) 梱包部材、梱包部材に梱包されたカートリッジ
JP6297187B2 (ja) 梱包材及びカートリッジ
JP2014081404A (ja) 梱包部材、梱包部材に梱包されたカートリッジ
JP2022074420A (ja)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