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4764A - 장대한 해상 부체 설비 - Google Patents

장대한 해상 부체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4764A
KR20150004764A KR1020140083099A KR20140083099A KR20150004764A KR 20150004764 A KR20150004764 A KR 20150004764A KR 1020140083099 A KR1020140083099 A KR 1020140083099A KR 20140083099 A KR20140083099 A KR 20140083099A KR 20150004764 A KR20150004764 A KR 20150004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area
plant
lng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3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부요시 모리모토
Original Assignee
노부요시 모리모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부요시 모리모토 filed Critical 노부요시 모리모토
Publication of KR20150004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7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73Floating structures supporting industrial plants, such as factories, refineri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8Floating hydrocarbon production vessels, e.g.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vessels [FPS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7/00Buoyancy or ballast means
    • B63B2207/02Variable ballast or buoya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과제] 안전성 및 쾌적성의 향상을 도모한다. [해결수단] 길이(L) 350~550m, 폭(W) 45~80m, 깊이(D) 25~35m의 장대한 해상 부체 설비이며, 선창 내에 LNG 저장 탱크(Z21, Z22)를 설치한 탱크 영역(Z2)과, 천연가스 액화 플랜트(12)를 포함하는 공장 영역(Z1)이 평면 영역으로서 분리되어 있다.

Description

장대한 해상 부체 설비 {Large Marine Floating System}
본 발명은 장대한 해상 부체(浮體) 설비, 특히 장대한 배 형태의 해상 부체 설비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LNG 저장 탱크, 천연가스 액화 플랜트, LNG 재액화 플랜트, 전기공급 플랜트, 알루미늄 신지금(新地金), 2차 지금(地金) 생산 플랜트 등이 마련된 장대한 해상 부체 설비에 관한 것이다.
LNG는 연소 시에 질소 산화물이나 아황산 가스의 배출량이 적기 때문에, 클린 에너지로서 해마다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LNG는 천연가스를 -162℃ 정도로 냉각하여 액화한 것이며, 이것을 LNG 운반선에 의해 소비지에 해상 운송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에너지 가격이 뛰어 오르면서, 육상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대규모 해저 가스전의 개발 프로젝트가 현재 본격화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을 감안하여, 해상에 천연가스 액화 플랜트 및 LNG 저장 탱크를 설치한 해상 부체 설비를 마련하고, 이 해상 부체 설비에서 천연가스의 불순물을 제거하거나 천연가스를 액화하고, LNG를 저장 탱크에 저장하면서, LNG선이 도착한 시점에서, LNG 저장 탱크로부터 LNG를 반출(출하)하는 운송방식이 주목을 받고 있다.
육상에 액화 플랜트를 건설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해양 가스전으로부터 육상까지의 해저 파이프 라인 부설을 삭감할 수 있는 것이나, 연안부의 개발을 수반하지 않기 때문에 환경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는 것, 가스전 개발과는 다른 나라나 지역에서 LNG-FPSO를 건조하여 현지로 예항할 수 있기 때문에 노동자 확보가 비교적 용이하다는 것 등의 이점을 갖는다.
이것에 이용하는 것이 LNG-FPSO(Floating L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system)이라고 불리는 것이며, 해저 가스전으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를 해상에서 액화하여 LNG를 생산하고, 그것을 탱크에 저정하고, LNG 운반선에 실어내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LNG-FSRU(Floating L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는 LNG 운반선으로부터 수용한 LNG를 가스화하여 육상으로 내보내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LNG-FPSO는 생산한 대량의 LNG를 저장하기 위한 탱크를 구비하는데, 그 탱크 구조에는, 지금까지의 LNG 운반선의 건조에서 개발되어온 LNG 탱크 기술이 채용된다. 그러나, LNG-FPSO와 LNG 운반선에서는, LNG 저장 탱크의 사용방법은 동일하지 않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LNG 운반선의 경우, LNG 저장탱크는 화물이 가득 실어지거나 전혀 실어지지 않은 상태 중 어느 한 상태에서 운용되고, 일부만 실어지는 상태는 없으므로, 악천후에서도 탱크 내의 액체 화물이 격렬하게 출렁이는 현상(슬로싱 현상)은 일어나기 어렵다. 하역 작업시에만 탱크 액위가 크게 변화되나, 하역 작업은 대개 바람과 파도가 잔잔한 항구 내에서 행해지고 있었으므로, 슬로싱(sloshing)은 거의 무시할 수 있었다.
한편, LNG-FPSO는, 기상 조건이 엄격한 외양에 항상 계류되고, 그 LNG 저장 탱크의 액위는 LNG 생산량과 LNG 운반선에의 출하량의 균형으로 시시각각 변동되어, 일부만 실어진 상태가 일상적으로 발생되므로 슬로싱 현상은 일어나기 쉽다.
LNG-FPSO에서 중요한 또 다른 것은, LNG 운반선에 액체 화물을 싣는 것이, STS(ship to ship)로, 특히, LNG-FPSO에 LNG 운반선을 옆으로 대어(side by side) 로딩 암, 특수 호스 접속방식 등을 사용하여 행하는 것이 생각되어지고 있다. 지금까지의 LNG 운반선이 안전한 항구 내에 마련된 버스에 매어 두고 하역이 행해져고 있었던 것을 생각하면, 이와 같은 외양에서의 STS 하역은 리스크가 크고, LNG-FPSO와 그것에 접현하려고 하는 LNG 운반선 사이에서 충돌사고가 일어나서 선체를 손상시키거나, 로딩 암으로부터의 액체 화물의 누출에 의해 선체 손상 등의 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LNG-FPSO의 탱크 설계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리스크도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
LNG 운반선에서 종래부터 이용되어 온 LNG 저장 탱크에는, 자립 구형 탱크(MOSS 방식 탱크), 자립 각형 탱크(SPB 방식) 및 멤브레인 탱크가 있으며, LNG-FPSO의 저장 탱크로서도, 이들 3가지의 탱크 형식 중 어느 하나를 채용할 수 있다.
자립 구형 탱크의 경우, 이것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들어진 자립식 탱크이며, 그 적도부(赤道部)로부터 연장되는 스커트를 통해서, 이중 선각으로 만들어진 선창 내에 지지된다. 단열층은 탱크의 외면에 나타난다(외단열방식). 자립 구형 탱크는 구형이기 때문에, 선창(船倉) 내에의 놓임새가 좋지 않고, 용적 효율이 좋지 않은 결점이 있다. 이러한 방식의 탱크에서는, 외단열식이므로, 악천후에 적하가 출렁이는 경우에는, 단열층에 손상이 발생되는 일은 없다.
자립 각형 탱크는, 본체가 알루미늄 합금제의 사각형 탱크이며, 탱크를 보강하는 스트링거는 탱크의 내측에 마련되고, 단열재는 탱크의 외면에 마련된다. 이러한 것은, 각형 탱크와 배의 내각 사이에 보이드 스페이스가 필요하고, 그만큼, 탱크의 용적 효율이 작아진다. 한편, 탱크 내에 스트링거를 마련할 수 있으므로, 악천후시, 액체 화물의 슬로싱이 일어나기 어렵고, 일어난다고 해도, 탱크의 외면에 있는 단열층은 손상되지 않는다.
멤브레인 방식의 경우, 이것은 이중 선각구조로 만들어진 선창 내면에, 단열층을 사이에 두고 니켈강이나 스텐레스강의 박판(멤브레인)을 깔아서 LNG 탱크를 형성한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선창 용적의 대부분을 탱크 용적으로서 이용할 수 있고, 용적 효율이 우수하다. 반면, 액체 화물의 슬로싱에 의해, 멤브레인이나 단열층이 손상을 받기 쉬운 결점이 있다. 또한 보냉 공사, 특히 멤브레인끼리의 용접이 복잡하고, 건조에 오랜 공사기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 미국특허 5,697,312호 특허문헌 2 : 미국특허 7,137,365호
LNG-FPSO에 대해서는, 본 발명자가 아는 한 여러 척이 건조 중에 있다. LNG-FPSO는, LNG 저장 탱크 외에 천연가스 액화 플랜트도 설치하므로, 안전성에 특히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LNG-FPSO는, 기상조건이 엄격한 외양에 항상 계류되고, 그 LNG 저장 탱크의 액위는, LNG 생산량과 LNG 운반선에의 출하량의 균형으로 시시각각 변동되어, 일부만 실어진 상태가 일상적으로 발생되므로, 슬로싱 현상이 일어나기 쉽다.
더구나, 작업원에게 있어서는, 날씨에 좌우되면서, 해상 부체 설비 상에서 장기간 근무를 계속하는 일이 부득이하게 발생되어, 노동환경상 최대한의 개선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이들 과제를 해결하고, 종래의 LNG-FPSO 이상의 안전성 및 쾌적성의 향상을 담보한 해상 부체 설비를 제공함과 동시에, 생산한 LNG를 보다 유효하게 공장 설비, 전력공급설비에서 이용하는데 있다.
그 외의 과제는 이하의 설명에 의해 명백해질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청구항 1 기재의 발명>
길이 350~550m, 폭 45~80m, 깊이 25~35m의 장대한 해상 부체 구조를 갖는 부체 설비이며,
선창 내에 LNG 저장 탱크를 설치한 탱크 영역과, 천연가스 액화 플랜트 영역이, 평면적으로 봤을 때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대한 해상 부체 설비.
또한, 동력 설비 영역이나 거주 영역이 평면적으로 봤을 때 분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용효과)
LNG-FPSO와 LNG 운반선은, 모두 종래의 LNG선과 비교하여 한층 더 슬로싱 현상의 대책이 중요하다. 또한, LNG-FPSO는 LNG 저장 탱크 외에 천연가스 액화 플랜트, LNG 재액화 플랜트, 전기공급 플랜트, 알루미늄 신지금, 알루미늄 2차 지금, 철 스크랩 처리 플랜트, 생산 플랜트 등의 공장시설도 설치하므로, 안전성에 특히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작업원의 노동환경상 최대한의 개선을 도모할 필요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선창 내에 LNG 저장 탱크를 설치한 탱크 영역과, 천연가스 액화 플랜트를 포함하는 공장 영역이, 평면적으로 봤을 때 분리되어 있다. 이 최대의 이점은, 구체적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안전성이 높아지는 구조를 취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길이 350~550m, 폭 45~80m, 깊이 25~35m의 장대한 해상 부체 설비로 하면, 공장시설의 각 장치ㆍ기기ㆍ배관(이들을 "장치류"라고도 한다) 등을 안전한 스페이스를 가지고 배치할 수 있다. 또한, 각 장치류를 평면적 배치로 함으로써, 가스 비중차에 의한 가스 체류 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평면적 배치는 장치류의 보수 점검을 용이하게 한다.
장대화에 따라서 슬로싱에 대한 부담이 커지지만, LNG 탱크의 조합 배치를 최적화하는, 장대화에 따라서 탱크 용적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밸러스트 탱크 배 치 또는 운전조작의 최적화에 의해, 슬로싱의 대책이 가능하다.
길이 및 폭이 하한값 미만이면, 슬로싱 현상에 수반되는 요동, 안정성이 떨어진다. 또한, 길이, 폭 및 깊이가 충분히 크면, 필요한 저장 탱크 스페이스, 공장 스페이스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한편, 길이, 폭 및 깊이가 과도하게 크면, 필요 없는 스페이스가 발생됨과 동시에, 조선소에서 크기적으로 건조 한계에 도달하게 된다.
<청구항 2 기재의 발명>
상기 저장 탱크 영역의 적어도 위에는, LNG 저장 및 반출용 관련 배관계통 이외의 천연가스 액화용 공장 설비를 배치하지 않는 청구항 1 기재의 장대한 해상 부체 설비.
(작용효과)
저장 탱크 영역 내에 가스 비중이 공기보다 가벼운 가스, 거의 동일한 가스, 무거운 가스가 들어갈 가능성이 있으므로, 저장 탱크 영역의 적어도 위에는 LNG 저장 및 반출용 관련 배관계통 이외의 천연가스 액화용 공장 설비를 배치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청구항 3 기재의 발명>
길이 단위에서의 복수의 블록 건조방식에 의해, 적어도 탱크 영역과 길이방향으로 인접하는 공장 영역을 개별적으로 건조하고, 그 후에 탱크 영역과 공장 영역을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한 청구항 1 또는 2 기재의 장대한 해상 부체 설비. 이러한 경우, 탱크 영역에서의 탱크 수는 1~5개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탱크로 하는 경우, 탱크의 형식을 동일하게 하는 것 외에, 다르게 해도 된다.
(작용효과)
탱크 영역과 이와 길이방향으로 인접하는 공장 영역은 별개의 부체구조물로서 건조할 수 있다. 여기서, 길이단위에서의 복수의 블록 건조방식에 의해, 적어도 탱크 영역과 이와 길이방향으로 인접하는 공장 영역을 개별적으로, 시간적으로 동시 병행적으로 건조하고, 그 후에 탱크 영역과 공장 영역을 그 선각의 패럴렐 바디를 이용하여,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면, 전체적인 건조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장대한 해상 부체 설비를, 개조선을 이용하여 건조하는 경우, 공장 영역분에 대해서는, 대형 탱커선이나 광석 운반선을 이용하고, 이것에 약간의 개조를 가하는 한편, 주의 깊게 블록 건조한 탱크 영역의 신조 블랙과 서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 결과 대폭적인 비용 저감도 가능하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
전방을 공장 영역, 파워 설비 영역, 후방을 탱크 영역 및 최후방의 거주구로 하고, 상기 공장 영역의 후부의 갑판 상에, 적어도 선원, 감시요원 및 조작요원이 상기 공장 영역, 상기 탱크 영역 및 파워 설비 영역을 목시 또는 원격감시 가능한 컨트롤 설비실을 배치한 청구항 1 또는 2 기재의 장대한 해상 부체 설비.
(작용효과)
탱크 영역과 공장 영역을 분리하고, 그 경계에, 선원이 상기 공장 영역 및 상기 탱크 영역을 목시 및 감시 가능한 컨트롤실에 마련했으므로, 안전성이 높아진다. 또한, 컨트롤실은 단순히 감시실 이외에, 컨트롤 기기나 비상용 조작기기를 배치하여, 조작실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해상 부체 설비의 장대화로 인해 풍하현(風下舷)의 해면이 보다 안정되므로, 슬로싱 현상을 꺼리는 탱크 영역은 후방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구항 5 기재의 발명>
상기 저장 탱크는, 모스형 탱크, 멤브레인형 탱크 또는 독립 사각형 탱크로부터 선택되는 청구항 1 기재의 장대한 해상 부체 설비.
(작용효과)
상기 저장 탱크로서는, 모스형 탱크, 멤브레인형 탱크 또는 독립 사각형 탱크로부터 선택할 수 있고, 또한, 복수 종류의 탱크도 설치 가능하다.
<청구항 6 기재의 발명>
해상 부체 설비의 풍하현에 외부와의 이송장(移送場)이 마련되어 있는 청구항 1 기재의 장대한 해상 부체 설비.
(작용효과)
해상 부체 설비의 장대화로 인해 풍하현의 해면이 보다 안정되고, 그 해면을 이용하여 STS LNG 운반선에 액체 화물을 싣는 것과, STS(ship to ship), 물자의 이송, 작업원의 이송이 보다 안전하게 실시될 수 있다.
(작용효과)
본 발명의 "LNG선"이라는 용어는 LNG 운반선, FLNG선, FSRU선, SRV선 등, LNG를 이용한 공장선을 포함하는 광의로 사용되고 있다.
<청구항 7 기재의 발명>
저장 탱크에 저장한 저렴한 LNG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공장 영역이 천연가스 액화 플랜트 이외에, 재가스화 설비, 발전소 설비, 알루미늄 정련 또는 알루미늄 및 철의 스크랩 재생 설비의 1 또는 2 이상의 부가 설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장대한 해상 부체 설비는 다양한 기능을 가진 공장을 갖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LNG-FPSO 이상의 안전성 및 쾌적성을 담보한 해상 부체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LNG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LNG선의 평면도이다.
도 3은 3-3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예시도이다.
도 4는 4-4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FLNG(1) 설비는, 앞에서부터, 선수부(10), 천연가스 액화 플랜트(12)를 포함하는 공장 구역(Z1), LNG 저장 탱크 영역(Z2)(도시 예에서는, 이것은 3개의 자립 구형(모스형) 탱크(Z21, Z21, Z21)와 멤브레인식 탱브(Z22)로 더 나뉘어져 있다), 기관실(14), 선미부(16)의 순서대로 연결되어 있으며, 기관실 위에 거주구(18), 나아가 조타실(20)이 마련되어 있다. 탱크 구획은 가로 격벽(24)에 의해 복수의 구획으로 구분되어 있다.
선수부(10)에는 LNG-FPSO에 필요한 터릿(6)이 마련되어 있으며, 해저에 고정된 앵커로부터 연장되는 계류줄(7)은 이 터릿(6)에 접속되고, 일점 계류의 상태에서 각종 작업을 행한다. 터릿(6)에는, 해저로부터 솟아오르는 라이저 파이프(8)도 접속되고, 가스전에서 채취된 천연가스는, 이 파이프(8)를 통해서, 선상의 저장 탱크 영역(Z2)으로 보내진다.
또한, 계류 및 LNG 취입에는 외부에 설치된 터릿, 내부에 설치된 터릿을 모두 이용 가능하다.
천연가스 액화 플랜트(12)에서 정제, 액화된 천연가스는, LNG 저장 탱크 영역(Z2)에 마련된 여러개의 LNG 저장 탱크에 보내져서, 저장된다. 저장한 LNG의 배출 시에는, LNG-FPSO 설비(1)에 LNG 운반선을 옆으로 대고, 상갑판 상에 마련된 로딩 암 또는 특수 호스(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액체 화물을 LNG 운반선에 싣는다.
도 3 및 도 4는 LNG-FPSO의 중앙 탱크부 단면도이며, 개장 전의 원유/광석 전용선이 구비되어 있었던 외각(30)과 내각(31)으로 이루어진 이중 선각구조를 그대로 사용하고, 외각과 내각 사이의 스페이스(38)를 해수 밸러스트 탱크로서 이용한다. 내각(31)과 상갑판(32)으로 둘러싸인 스페이스도 좌우 한쌍의 세로 격벽(33)과 다수장의 가로 격벽(24)으로 여러개의 구획으로 구분되어 있다. 좌우의 세로 격벽(33, 33) 사이에 형성되는 중앙렬의 구획은, 원래 원유겸 광석창이었으며, 이들 구획을 이용하여, 여러개의 멤브레인식의 LNG 저장 탱크(Z22)를 형성한다. 좌우의 열구획(17)(원래의 원유 탱크)은 청수나 콘덴세이트, 파워 설비용 등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멤브레인식 탱크(Z22)는, 갑판 하의 주 탱크(22a)와 강판 상의 상자형의 머리부 탱크(22b)로 구성된다. 이 배가 원유/광석 전용선이었던 때, 상갑판에는, 광석을 싣기 위한 창구(해치 웨이)가 열려져 있어, 창구의 둘레를 둘러싸며 해치 코밍이 세워져 있었다. 개장 시에는, 이 해치 코밍에 덧붙이도록 하여 측벽을 위로 연장하고, 천장을 마련함으로써 머리부 탱크(22b)를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만들어지는 머리부 탱크(22b)는, 갑판 상에 열려져 있던 구멍(원래의 창구)을 통해서 주 탱크(22a)로 하나의 탱크를 형성하고 있다.
주 탱크(22a)는, 이중 바닥(34) 및 좌우의 세로 격벽(33, 33)의 내측에 단열층(35)을 형성하고, 나아가 그 위를 인바 등의 멤브레인(36)으로 액체가 새지 않도록 덮음으로써 형성된다. 머리부 탱크(22b)도, 마찬가지로 내면에 단열층(35)과 멤브레인(36)을 마련한다.
자립 구형(모스형) 탱크(Z21)는, 원통형의 지지구조(37)에 의해 구형 탱크를 선체에 고정하고, LNG의 하중을 탱크 자신이 지지하는 독립 탱크이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LNG 저장 탱크 영역(Z2)의 적어도 위에는, LNG 저장 및 반출용 관련 배관계통(40) 이외의 천연가스 액화용 공장 설비를 배치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천연가스 액화 플랜트(12)를 포함하는 공장 구역(Z1)에는, 냉각 박스(41), 가스 보일러(42), 컴프레서 및 터빈(43), 다른 설비(44, 46) 등이, 창내 또는 상갑판(32) 상 등의 요구되는 위치에 배치, 설치되어 있다. 47은 알루미늄 신지금, 2차 지금 생산 플랜트이다. 50은 파워 플랜트실이다.
이러한 경우, 공장 구역(Z1)에서는, 상갑판(32)의 하방에, 1~3 정도의 바닥(f)을 마련하여, 각종 설비를 배치하면, 각종 설비가 분산 배치됨으로써, 안전성이 높아진다. 또한, 천연가스 액화 플랜트(12)는, 예를 들어 우현 측에 1호기를, 좌현 측에 2호기를 배치하는 등, 좌우로 분산 배치함으로써, 한쪽의 천연가스 액화 플랜트가 정지된 경우, 다른 쪽의 천연가스 액화 플랜트를 운전함으로써, 생산이 끊이지 않게 운전할 수 있다.
상기 해상 부체 설비는, 길이 단위에서의 복수의 블록 건조방식에 의해, 적어도 탱크 영역과 이와 길이방향으로 인접하는 공장 영역을 개별적으로 건조하고, 그 후, 탱크 영역과 공장 영역을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얻을 수 있다. 즉, 탱크 영역(Z2)과 이와 길이방향으로 인접하는 공장 영역(Z1)은, 건조방식도 다르다. 그러므로, 길이 단위에서의 복수의 블록 건조방식에 의해, 적어도 탱크 영역(Z2)과 이와 길이방향으로 인접하는 공장 영역(Z1)을 개별적으로, 시간적으로 동시병행적으로 건조하고, 그 후에, 탱크 영역(Z2)과 공장 영역(Z1)을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면, 전체적인 건조시간도 대폭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필요하다면, 최후부 영역(Z3)도 분할 건조하여,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탱크 영역(Z2)과 공장 영역(Z1)을 분리한 경계에, 선원이 상기 공장 영역 및 상기 탱크 영역을 목시 또는 원격감시 가능한 컨트롤실(45)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감시에 의해, 안전성이 높아진다. 또한, 컨트롤실은 단순히 감시실 이외에, 컨트롤 기기나 비상용 조작기기를 배치하여, 조작실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해상 부체 설비의 장대화로 인해 풍하현의 해면이 보다 안정되므로, 슬로싱 현상을 꺼리는 탱크 영역은 전방 뿐 아니라, 후방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LNG 운반선에 액체 화물을 싣는 것(STS(ship to ship)), 물자의 이송, 작업원의 이송 등은, 부체 설비(1)의 후방에서 행할 수 있다.
또한, 부체 설비의 길이(L), 폭(W) 및 깊이(D)는 도시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는 적절히 조합시켜서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FLNG선(LNG-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system)), FSRU선, SRV선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LNG선은, 재가스화 설비를 포함하는데, 그 예로서, 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이나 SRV(Shuttle and Re-gasification Vessel)이 있다. FSRU에서는 재가스화 장치를 탑재하고, LNG 저장능력을 갖는 배를 해상에서 고정하고, 그 외의 LNG선으로부터 LNG를 받아들인다. FSRU에서 재가스화한 천연가스를, 육상의 파이프 라인으로 내보낸다. SRV는 다른 LNG선으로부터의 LNG 이송은 행하지 않고, 액화 기지에서 탑재한 LNG를 받아들이는 지점까지 운송하고, 갑판 상에서 재가스화하여 육상의 파이프 라인으로 가스를 내보낸다.
1 : FLNG(LNG-FPSO) 설비 6 : 터릿
10 : 선수부 12 : 천연가스 액화 플랜트
14 : 기관실 16 : 선미부
17 : 열 구역 18 : 거주구
20 : 조타실 Z21 : 자립 구형(모스형) 탱크
Z22 : 멤브레인식 탱크 24 : 가로 격벽
30 : 외각 31 : 내각
33 : 세로 격벽 45 : 컨트롤실
Z1 : 공장 구역 Z2 : LNG 저장 탱크 영역
L : 길이 W : 폭
D : 깊이

Claims (7)

  1. 길이 350~550m, 폭 45~80m, 깊이 25~35m의 장대한 해상 부체 구조를 갖는 부체 설비이며,
    선창 내에 LNG 저장 탱크를 설치한 탱크 영역과, 천연가스 액화 플랜트를 포함하는 공장 영역이, 평면적으로 봤을 때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대한 해상 부체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탱크 영역의 적어도 위에는, LNG 저장 및 반출용 관련 배관계통 이외의 천연가스 액화용 공장 설비를 배치하지 않는, 장대한 해상 부체 설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길이 단위에서의 복수의 블록 건조방식에 의해, 적어도 탱크 영역과 이에 길이방향으로 인접하는 공장 영역을 개별적으로 건조하고, 그 후에 탱크 영역과 공장 영역을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한, 장대한 해상 부체 설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방을 공장 영역, 후방을 탱크 영역 및 최후방의 거주구로 하고, 상기 공장 영역의 후부의 갑판 상에, 적어도 선원이 상기 공장 영역 및 상기 탱크 영역을 목시 또는 원격감시 가능한 컨트롤실을 마련하고 있는, 장대한 해상 부체 설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탱크는, 모스형 탱크, 멤브레인형 탱크 또는 독립 사각형 탱크로부터 선택되는, 장대한 해상 부체 설비.
  6. 제1항에 있어서,
    해상 부체 설비의 풍하현에 외부와의 이송장이 마련되어 있는, 장대한 해상 부체 설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장 영역이, 천연가스 액화 플랜트 이외에, 재가스화 설비, 발전소 설비, 알루미늄 또는 철의 스크랩 재생 설비의 1 또는 2 이상의 부가 설비를 포함하는, 장대한 해상 부체 설비.
KR1020140083099A 2013-07-03 2014-07-03 장대한 해상 부체 설비 KR201500047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39540A JP6381872B2 (ja) 2013-07-03 2013-07-03 長大海上浮体設備
JPJP-P-2013-139540 2013-07-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764A true KR20150004764A (ko) 2015-01-13

Family

ID=52131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3099A KR20150004764A (ko) 2013-07-03 2014-07-03 장대한 해상 부체 설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545980B2 (ko)
EP (1) EP3018050A4 (ko)
JP (1) JP6381872B2 (ko)
KR (1) KR20150004764A (ko)
EA (1) EA201690150A1 (ko)
SG (1) SG10201403815PA (ko)
WO (1) WO20150022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65105B2 (en) 2011-12-28 2018-05-08 Synaptics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low ground mass conditions in sensor devices
JP6381872B2 (ja) * 2013-07-03 2018-08-29 信吉 森元 長大海上浮体設備
ITFI20130297A1 (it) * 2013-12-09 2015-06-10 Nuovo Pignone Srl "gas turbine offshore installations"
AU2014224154B8 (en) * 2014-07-09 2015-07-02 Woodside Energy Technologies Pty Ltd System and method for heading control of a floating lng vessel using a set of real-time monitored cargo containment system strain data
AU2014224153B8 (en) * 2014-07-09 2015-07-02 Woodside Energy Technologies Pty Ltd System and method for heading control of a floating lng vessel using a set of real-time monitored hull integrity data
JP6577267B2 (ja) * 2015-07-06 2019-09-18 理研計器株式会社 ガス検知システム
JP2017114146A (ja) * 2015-12-21 2017-06-29 三井造船株式会社 浮体式生産貯蔵積出設備
JP6773413B2 (ja) * 2015-12-24 2020-10-21 三井海洋開発株式会社 浮体設備、浮体設備の係留方法、浮体設備のメンテナンス方法、及び、浮体設備における避難方法
CN108473184A (zh) * 2016-01-12 2018-08-31 埃克赛勒瑞特液化解决方案公司 天然气液化船
US10823335B2 (en) 2016-02-01 2020-11-03 Hyundai Heavy Industries Co., Ltd. Ship including gas re-vaporizing system
CN116654184A (zh) * 2016-04-07 2023-08-29 现代重工业株式会社 具有气体再汽化系统的船舶
CN114562678A (zh) 2016-07-01 2022-05-31 英格维蒂南卡罗来纳有限责任公司 用于增强气体存储和释放系统中的体积容量的方法
JP6337213B1 (ja) * 2016-10-24 2018-06-06 千代田化工建設株式会社 浮体式液化炭化水素ガスプラントの製造方法
JP2018111401A (ja) * 2017-01-11 2018-07-19 株式会社三井E&Sホールディングス 船形浮体構造物
WO2018175663A2 (en) 2017-03-21 2018-09-27 Zora Energy System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hipyard manufactured and ocean delivered nuclear platform
JP7078204B2 (ja) * 2017-05-10 2022-05-31 三井E&S造船株式会社 液化ガス燃料船
KR102172666B1 (ko) * 2018-08-01 2020-11-02 닛키 글로벌 가부시키가이샤 부유체 설비
SG11202103382TA (en) * 2018-10-11 2021-05-28 Jgc Corp Floating structure
WO2020115804A1 (ja) 2018-12-03 2020-06-11 日揮グロ-バル株式会社 天然ガス液化装置を備える浮体設備の製造方法
KR20210092198A (ko) 2018-12-03 2021-07-23 닛키 글로벌 가부시키가이샤 부체 설비
CN112912307A (zh) 2018-12-18 2021-06-04 日挥环球株式会社 浮动设备
WO2020202579A1 (ja) * 2019-04-05 2020-10-08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液化ガスタンクおよび液化ガス運搬船
CN110466671B (zh) * 2019-08-15 2021-08-17 广州文冲船厂有限责任公司 一种船舶大型尾铸结构的制造方法
CN114857485A (zh) * 2021-02-03 2022-08-05 中国石油天然气集团有限公司 组合式fsru设备
US11760446B2 (en) 2022-01-07 2023-09-19 New Fortress Energy Offshore LNG processing facility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530808A (ko) * 1954-05-10
US3848559A (en) * 1973-01-15 1974-11-19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Centralized cargo handling system for cryogenic vessels
NO773076L (no) * 1977-09-06 1979-03-07 Moss Rosenberg Verft As Flytende anlegg for off-shore flytendegjoering, mellomlagring og lasting av lng
TW310306B (ko) * 1993-04-09 1997-07-1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FI101060B (fi) 1995-05-12 1998-04-15 Kvaerner Masa Yards Oy Kaasutankkeri
JPH1199988A (ja) 1997-09-29 1999-04-13 Mitsubishi Heavy Ind Ltd 船体の分割引寄せ建造工法
AUPR462501A0 (en) 2001-04-27 2001-05-24 Maslen, Des Radial engine
US6546739B2 (en) * 2001-05-23 2003-04-15 Exmar Offshor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offshore LNG regasification
WO2006052896A1 (en) * 2004-11-08 2006-05-18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Liquefied natural gas floating storage regasification unit
JP4316638B2 (ja) * 2007-07-10 2009-08-19 信吉 森元 液化天然ガス運搬船およびの液化天然ガスの海上輸送方法
US20090208294A1 (en) * 2008-02-19 2009-08-20 Yao Aifeng Apparatus for off-shore processing of a hydrocarbon stream
KR100991994B1 (ko) * 2008-03-28 2010-11-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로딩/언로딩 시스템을 가지는 액화천연가스운반선
KR20110014155A (ko) * 2008-05-20 2011-02-10 쉘 인터내셔날 리써취 마트샤피지 비.브이. 탄화수소 스트림의 냉각 및 액화 방법, 탄화수소 스트림의 냉각 및 액화 장치, 및 그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플로팅 구조물, 케이슨 또는 해상 플랫폼
BR112012020620B1 (pt) * 2010-02-22 2021-03-16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embarcação para processamento de hidrocarboneto, e, método para a liquefação de uma corrente de hidrocarboneto gasoso.
JP2011219049A (ja) * 2010-04-14 2011-11-04 Mitsubishi Heavy Ind Ltd 浮体式液化天然ガス生産貯蔵積出設備
JP2011219051A (ja) * 2010-04-14 2011-11-04 Mitsubishi Heavy Ind Ltd 浮体式液化天然ガス生産貯蔵積出設備
JP2011235675A (ja) 2010-05-06 2011-11-24 Mitsubishi Heavy Ind Ltd 浮体式液化天然ガス生産貯蔵積出設備および液化天然ガス生産貯蔵積出方法
JP2012530010A (ja) 2010-05-07 2012-11-29 大宇造船海洋株式会社 Lng運搬船の電気生産装置及び方法
US8375876B2 (en) * 2010-12-04 2013-02-19 Argent Marine Management,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ainerized transport of liquids by marine vessel
US8915203B2 (en) * 2011-05-18 2014-12-23 Exxonmobil Upstream Research Company Transporting liquefied natural gas (LNG)
CN103764494B (zh) 2011-08-13 2016-08-03 森元信吉 Lng船
JP6381872B2 (ja) * 2013-07-03 2018-08-29 信吉 森元 長大海上浮体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18050A4 (en) 2017-03-15
US20150007763A1 (en) 2015-01-08
EA201690150A1 (ru) 2016-06-30
SG10201403815PA (en) 2015-02-27
WO2015002262A1 (ja) 2015-01-08
EP3018050A1 (en) 2016-05-11
JP6381872B2 (ja) 2018-08-29
JP2015013494A (ja) 2015-01-22
US9545980B2 (en) 2017-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4764A (ko) 장대한 해상 부체 설비
JP2015013494A5 (ko)
US9415841B2 (en) LNG ship
EP3254948B1 (en) Hydrocarbon processing vessel and method
EP298398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loating dockside liquefaction of natural gas
US20060156744A1 (en) Liquefied natural gas floating storage regasification unit
JP5785118B2 (ja) 船舶、洋上浮体式設備、及び液化天然ガス貯蔵方法
NO331660B1 (no) Anordning for flytende produksjon av LNG og fremgangsmate for a konvertere et LNG-skip til en slik anordning
AU2011335362A1 (en) Floating LNG plant
US20160031531A1 (en) LNG Ship or LPG Ship
US20170320548A1 (en) Lng ship
KR20120000973A (ko) 해양 구조물의 탑사이드 배치구조
KR20120001499A (ko) 해양 구조물의 탑사이드 배치구조
KR20120003659U (ko) 해상 구조물의 통행로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구조물구조
CN115743429A (zh) 一种flng船布置结构及用于支撑上部模块的支墩
TOYODA et al. Intrinsically safe cryogenic cargo containment system of IHI-SPB LNG tank
KR20190058122A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가 구비된 반 잠수식 구조물
SK50562016U1 (sk) Komplexný prepravný a skladovací systém dodávok LNG v logistickom reťazci LNG riečnej prepravy
SK50232016A3 (sk) Komplexný prepravný a skladovací systém dodávok LNG v logistickom reťazci LNG riečnej preprav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