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3659U - 해상 구조물의 통행로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구조물구조 - Google Patents

해상 구조물의 통행로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구조물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3659U
KR20120003659U KR2020100011838U KR20100011838U KR20120003659U KR 20120003659 U KR20120003659 U KR 20120003659U KR 2020100011838 U KR2020100011838 U KR 2020100011838U KR 20100011838 U KR20100011838 U KR 20100011838U KR 20120003659 U KR20120003659 U KR 2012000365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deck
passage
lng
marine
cargo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18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규
나종기
김한수
임윤빈
조봉현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118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3659U/ko
Publication of KR201200036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65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2Arrangement of bulkheads, e.g. defining cargo sp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해양구조물의 통행로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원들의 안전하고 원활한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통행로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구조물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통행로 구조는 상기 해상구조물의 메인 데크와 상기 메인 데크의 하부에 배치되는 카고탱크탱크의 트렁크 공간(trunk space)에 하나 이상의 통행로가 설치되고, 상기 통행로는 선체의 현측(shipside)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로 구조.

Description

해상 구조물의 통행로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구조물구조{PASSAGE WAY AND HULL STRUCTURE HAVING THE SAME FOR MARINE STRUCTURE}
본 고안은 해상 구조물의 통행로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원들의 안전하고 원활한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통행로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구조물구조에 관한 것이다.
천연가스는 육상 또는 해상의 가스배관을 통해 가스 상태로 운반되거나, 액화된 액화천연가스(LNG) 또는 액화석유가스(LPG)의 상태로 LNG 수송선에 저장된 채 원거리의 소비처로 운반된다. 액화천연가스는 천연가스를 극저온(대략 -163℃)으로 냉각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일 때보다 그 부피가 대략 1/600로 줄어들므로 해상을 통한 원거리 운반에 매우 적합하다.
이러한 LNG의 이송을 위한 선박에는 LNG 수송선(LNG CARRIER), LNG RV(Regasification Vessel), LNG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LNG 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F-LNG 등이 있다.
LNG 수송선은 LNG를 싣고 바다를 운항하여 육상 소요처에 LNG를 하역하고, LNG RV는 LNG를 싣고 바다를 운항하여 육상 소요처에 도착한 후 저장된 LNG를 재기화하여 천연가스 상태로 하역한다.
LNG FPSO는, 채굴된 천연가스를 해상에서 정제한 후 직접 액화시켜 카고탱크 내에 저장하고, 필요시 이 카고탱크 내에 저장된 LNG를 LNG 수송선으로 옮겨싣기 위해 사용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다. 또한, LNG FSRU는 육상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해상에서 LNG 수송선으로부터 하역되는 LNG를 카고탱크에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LNG를 기화시켜 육상 수요처에 공급함으로써 육상의 저장 및 생산설비를 생략할 수 있게 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다.
이와 같이 LNG와 같은 액체화물을 해상에서 수송하거나 보관하는 LNG 수송선, LNG RV, LNG FPSO, LNG FSRU 등의 해상 구조물 내에는 LNG를 극저온 상태로 저장하기 위한 카고탱크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이들 선박 및 플랜트를 모두 통칭하여 '해상 구조물'이라 한다.
이러한 해상 구조물의 선체(hull)에는 액화천연가스가 저장되는 카고탱크가 형성되고, 이러한 카고탱크의 상부에는 메인 데크가 설치된다. 그리고, 메인 데크의 상부에는 선원들의 원활한 통행 및 비상 탈출 등을 위한 통행로 구조가 설치된다.
하지만, LNG FPSO 등의 경우에는 메인 데크의 상면에 상부 모듈(topside module), 파이프 등과 같은 다양한 장비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메인 데크의 상부 측에 통행로를 위한 공간의 확보가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통행로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함과 더불어 메인 데크의 상부 측에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행로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구조물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측면은, 해상구조물의 통행로 구조에 있어서,상기 해상구조물의 메인 데크와 상기 메인 데크의 하부에 배치되는 카고탱크 사이의 트렁크 공간(trunk space)에 하나 이상의 통행로가 설치되고, 상기 통행로는 선체의 현측(shipside)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행로는 상기 트렁크 공간의 좌우 양측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한 쌍의 통행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측면은, 메인 데크 하부에 카고탱크를 가진 해양구조물구조로서, 상기 메인 데크의 하부에 한 쌍의 통행로가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통행로는 상기 메인 데크의 하부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데크의 하부에는 트렁크 공간(trunk space)이 배치되고, 상기 트렁크 공간의 좌우 양측에 한 쌍의 통행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고탱크는 중앙격벽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카고탱크의 저면 및 좌우 양측에는 워터 발라스트 탱크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메인 데크의 하부 좌우 양측에 통행로가 설치됨으로써 선원들의 원활한 통행, 화재 또는 폭발 사고 발생 시에 선원의 안전한 탈출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은 통행로가 메인 데크의 하부에 설치됨에 따라 메인 데크의 상부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행로 구조를 도시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통행로 구조(10)는 선체(1)의 메인 데크(2) 하부에 설치된다.
통행로 구조(10)는 메인 데크(2)의 하부 좌우 양측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한 쌍의 통행로(11)를 포함하고, 통행로(11)는 선체(1)의 현측(3, shipside)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통행로(11)는 선체(1)의 현측(3)에 인접하여 밀폐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데크(2)의 하부에는 트렁크 공간(15, trunk space)이 형성되고, 이 트렁크 공간(15)의 좌우 양측에 한 쌍의 통행로(11)가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한편, 본 고안의 통행로 구조(10)가 적용되는 해상구조물의 선체(1)는 메인데크(2)의 하부에 카고(4)가 형성되고, 카고탱크(4)의 내측에는 단열벽(5)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카고탱크(4)는 선체의 충돌 또는 좌초 등의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선박 외부로 화물이 유출될 가능성을 줄이기 위하여 내부셀(8) 및 외부스킨(9)으로 이루어진 이중셀 구조로 구성된다.
내부셀(8)은 외부스킨(9)에서 내측방향으로 이격되고, 내부셀(8)은 외부스킨(9)에 대해 복수개로 구획되며, 내부셀(8)과 외부스킨(9)은 스트링거 등과 같은 연결엘리먼트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카고탱크(4)는 그 중심부에 중앙격벽(4a)에 의해 구획될 수 있고, 카고탱크(4)의 저면 및 좌우 양측에는 워터 발라스트 탱크(6, water ballast tank)가 각각 배치된다.
한편, 메인 데크(2)의 상부에는 플랫폼 데크(7)가 배치되고, 플랫폼 데크(7)의 상부에는 상부모듈(topside module)이 설치되며, 플랫폼 데크(7)와 메인 데크(2) 사이에는 파이프 등과 같은 다양한 설비가 설치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 선체 2: 메인 데크
3: 현측 4: 카고탱크
5: 단열벽 6: 워터 발라스트 탱크
8: 내부셀 9: 외부스킨
10: 통행로 구조 11: 통행로
15: 트렁크 공간

Claims (5)

  1. 해상구조물의 통행로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해상구조물의 메인 데크와 상기 메인 데크의 하부에 배치되는 카고탱크 사이의 트렁크 공간(trunk space)에 하나 이상의 통행로가 설치되고, 상기 통행로는 선체의 현측(shipside)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로 구조.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행로는 상기 트렁크 공간의 좌우 양측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한 쌍의 통행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행로 구조.
  3. 메인 데크 하부에 카고탱크를 가진 해양 구조물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메인 데크의 하부에 한 쌍의 통행로가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통행로는 상기 메인 데크의 하부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구조.
  4. 청구항 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데크의 하부에는 트렁크 공간(trunk space)이 배치되고, 상기 트렁크 공간의 좌우 양측에 한 쌍의 통행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구조.
  5. 청구항 3항에 있어서,
    상기 카고탱크는 중앙격벽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카고탱크의 저면 및 좌우 양측에는 워터 발라스트 탱크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구조물구조.
KR2020100011838U 2010-11-17 2010-11-17 해상 구조물의 통행로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구조물구조 KR2012000365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838U KR20120003659U (ko) 2010-11-17 2010-11-17 해상 구조물의 통행로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구조물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838U KR20120003659U (ko) 2010-11-17 2010-11-17 해상 구조물의 통행로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구조물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659U true KR20120003659U (ko) 2012-05-25

Family

ID=46612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1838U KR20120003659U (ko) 2010-11-17 2010-11-17 해상 구조물의 통행로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구조물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365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0072U (ko) * 2013-06-27 2015-01-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 구조물의 대피시설물
KR20170000724U (ko) 2015-08-18 2017-02-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생산설비의 안전통행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0072U (ko) * 2013-06-27 2015-01-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 구조물의 대피시설물
KR20170000724U (ko) 2015-08-18 2017-02-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생산설비의 안전통행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69345B (zh) 烃处理船和方法
KR20150004764A (ko) 장대한 해상 부체 설비
EP2228294A1 (en) Vessel for transport of liquefied natural gas
JP2015013494A5 (ko)
US20190072234A1 (en) Cold-Box System And Apparatus For Power Management Aboard Ships
KR20100135354A (ko)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상부지지구조 및 그 방법
KR20120003659U (ko) 해상 구조물의 통행로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구조물구조
KR20160015874A (ko) 선박 계류 시스템 및 방법
KR200477411Y1 (ko) 해상 구조물의 비상탈출통로 구조
KR20120001499A (ko) 해양 구조물의 탑사이드 배치구조
KR20120000973A (ko) 해양 구조물의 탑사이드 배치구조
KR20200082578A (ko) 카고 매니폴드를 갖는 액체화물 운반선
KR20120031045A (ko)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상부지지구조 및 그 방법
KR20120048194A (ko) 화물창용 온도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구조물
KR101637415B1 (ko) 액체저장탱크의 압력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2372156B1 (ko) Lng선의 선미 측 진동 및 응력 감소 구조
KR20120031043A (ko)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상부지지구조 및 그 방법
KR20180000170U (ko) 안전 통행로를 갖는 해양 구조물 및 선박
KR20120021761A (ko) 선박용 수직형 저장탱크 설치수단
KR102291921B1 (ko) 액화천연가스 화물창 제조 작업용 개구 배치구조
KR20140052349A (ko)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사이드 셀 보강구조 및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사이드 셀 보강구조를 이용한 계류 시스템
KR20190026443A (ko) Lng 선박의 밸러스트 탱크 배치 구조
KR101542306B1 (ko) 질소주머니를 활용한 엘엔지 화물창 슬로싱 저감장치
KR20120000971A (ko) 안전밸브를 갖는 액화가스 저장탱크
KR101337273B1 (ko)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상부지지구조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