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5874A - 선박 계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 계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5874A
KR20160015874A KR1020140098786A KR20140098786A KR20160015874A KR 20160015874 A KR20160015874 A KR 20160015874A KR 1020140098786 A KR1020140098786 A KR 1020140098786A KR 20140098786 A KR20140098786 A KR 20140098786A KR 20160015874 A KR20160015874 A KR 20160015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oring
ship
main deck
vessel
offshor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8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9192B1 (ko
Inventor
김상훈
곽인덕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8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9192B1/ko
Publication of KR20160015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5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9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9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63B21/14Hawse-holes; Hawse-pipes; Hawse-hole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선박 계류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선박 계류 시스템은,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마련되는 계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메인 데크 측부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hole); 상기 홀로부터 계류 선박의 메인 데크 높이까지 하방으로 연장되는 파이프; 및 상기 파이프를 관통하는 계류 라인을 포함하여, 상기 계류 라인이 상기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메인 데크로부터 상기 계류 선박의 메인 데크 높이로 하방 연장되어 상기 계류 선박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박 계류 시스템 및 방법{Mooring System And Method Of Ship}
본 발명은 선박 계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메인 데크 측부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hole)과, 홀로부터 계류 선박의 메인 데크 높이까지 하방으로 연장되는 파이프와, 파이프를 관통하는 계류 라인을 포함하여, 계류 라인이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메인 데크로부터 계류 선박의 메인 데크 높이로 하방 연장되어 계류 선박에 연결되는 선박 계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산지와 소비처가 달라 운송이 필요한 경우, 대상물이 상온에서 원래 액상인 경우도 있으나, 운송시 부피를 줄이기 위해 액화시켜 운송하기도 한다. 액체 상태로 운반되는 대표적인 물질로는 원유, 액화천연가스(LNG), 액화이산화탄소, 액화석유가스(LPG) 등이 있다.
예를 들어 천연가스는, 육상 또는 해상의 가스배관을 통해 가스 상태로 운반되거나, 또는 액화된 액화천연가스(LNG)의 상태로 LNG 수송선에 저장된 채 원거리의 소비처로 운반된다. 액화천연가스는 천연가스를 극저온(약 -163℃)으로 냉각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가스 상태의 천연가스일 때보다 그 부피가 대략 1/600로 줄어들게 되므로 해상을 통한 원거리 운반에 적합하다.
이러한 액화천연가스를 원거리 수송하는 데에는 극저온의 LNG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탱크가 설치된 액화가스 운반선이 사용된다. 근래에는 효율적이고 안전한 액화가스의 운반 및 사용을 위해 LNG RV(Regasification Vessel), LNG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나 LNG 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와 같은 부유식 해상 구조물들도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액화가스 운반선에서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들이나 지상의 터미널로부터 액화가스를 공급받아 저장한 후, 수요지로 이동하여 저장된 액화가스를 공급하는 선적 및 하역(Loading and Unloading)이 행해진다. 이 과정에서 액화가스 운반선과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나 지상의 터미널 사이에는 액화가스의 이송을 위한 관로(管路)가 연결되는데, 그에 앞서 액화가스 운반선은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나 지상의 터미널에 계류된다.
도 1에는 선박이 부유식 구조물에 계류된 단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고, 도 2는 그 중 a 부분을 확대한 모습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류될 선박(S)과 부유식 구조물(F)의 메인 데크 높이에는 단차가 있고, 이러한 단차를 극복하여 선박을 계류시키기 위해 부유식 구조물(F)에는 메인 데크(UD)보다 낮은 계류용 데크(mooring deck)(D2)를 설치하게 된다.
부유식 구조물의 선체 측면을 따라 이러한 별도의 계류용 데크를 마련하는 것은 자재 및 노동력을 필요로 하여 이로 인한 선박 건조 비용 상승을 초래하며, 선체의 구조적 취약성과 선내 공간 배치 효율 저하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계류용 데크를 마련하지 않고도 메인 데크 높이의 차이가 있는 선박을 계류시킬 수 있는 계류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마련되는 계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메인 데크 측부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hole);
상기 홀로부터 계류 선박의 메인 데크 높이까지 하방으로 연장되는 파이프; 및
상기 파이프를 관통하는 계류 라인을 포함하여,
상기 계류 라인이 상기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메인 데크로부터 상기 계류 선박의 메인 데크 높이로 하방 연장되어 상기 계류 선박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계류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이 형성되는 상기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메인 데크에 마련되어 상기 계류 라인을 하방으로 방향 전환시키는 제1 계류장치와, 하방 연장된 상기 파이프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계류 선박에 연결되는 상기 계류 라인을 지지하는 제2 계류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은 LNG-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를 포함하고, 상기 계류 선박은 LNGC(Liquefied Natural Gas Carrier)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는 메인 데크 하부에 계류 선박을 계류시키기 위한 별도의 무어링(mooring) 데크가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계류 선박을 계류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메인 데크 측부에 적어도 하나의 홀(hole)을 마련하고, 상기 홀로부터 계류 선박의 메인 데크 높이까지 파이프를 하방으로 연장시켜,
상기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메인 데크로부터 상기 계류 선박의 메인 데크 높이로 상기 파이프를 관통하여 계류 라인을 하방 연장시켜 상기 계류 선박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계류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선박 계류 시스템 및 방법에서는 FPSO와 같은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메인 데크에 복수의 홀(hole)을 마련하고, 홀로부터 계류 선박의 메인 데크 높이까지 파이프를 하방으로 연장시켜, 파이프를 통해 메인 데크로부터 계류 선박의 메인 데크 높이로 계류 라인을 하방 연장시켜 계류 선박에 연결하게 된다.
이와 같은 시스템을 통해 FPSO와 같은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메인 데크 외에 별도의 계류용 데크를 설치하지 않고도 계류 선박과의 높이 차이를 극복하여 계류시킬 수 있으며, 계류용 데크 설치에 따른 자재 및 인력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계류용 데크를 설치함에 따른 공간 배치와 설계상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선체의 구조적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메인 데크 하부에 계류용 데크가 마련된 해양 구조물에 계류 선박이 계류된 단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계류 단면 중 a 부분을 확대한 모습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계류 시스템에 따라 해양 구조물에 계류 선박이 계류된 단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계류 단면 중 b 부분을 확대한 모습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계류 시스템에 따라 해양 구조물에 계류 선박이 계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고, 도 4는 그 중 b 부분을 확대한 모습이다.
본 실시예에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F)은 LNG-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일 수 있고, 계류 선박(S)은 LNGC(Liquefied Natural Gas Carrier)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LNG-FPSO에 LNGC를 side by side 방식으로 계류시키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메인 데크의 높이 차이가 있는 선박 또는 특수 선박들을 계류시키기 위해 널리 적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선박 계류 시스템은,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F)에 마련되는 계류 시스템으로써,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F)의 메인 데크(MDf) 측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홀(hole, 100)과, 각각의 홀(100)로부터 계류 선박(S)의 메인 데크(MDs) 높이까지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파이프(200), 또는 트렁크(trunk)를 마련한다.
이러한 파이프(200)를 관통하도록 계류 라인(ML)을 마련하여, 계류 라인(ML)이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메인 데크(MDf)로부터 계류 선박의 메인 데크(MDs) 높이로 하방 연장되어 계류 선박(S)에 연결된다. 파이프(200), 또는 트렁크를 통해 계류 선박의 메인 데크(MDs)에 유사한 높이까지 계류 라인(ML)을 낮출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계류 라인(ML)에 장력(tension)이 집중되는 것을 막아 FPSO의 메인 데크(MDf)와 높이 차가 있는 경우에도 선박을 계류시킬 수 있게 된다.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메인 데크(MDf)로부터 계류 라인(ML)을 하방으로 방향 전환시킬 수 있도록 메인 데크에서 각각의 홀(100) 부분에는 제1 계류장치(300)가 마련된다. 또한 하방 연장된 파이프(200)의 하단부에는 선체의 측벽(side shell) 부분에, 계류 선박(S)에 연결되는 계류 라인(ML)을 지지하도록 초크(chock)나 제2 계류장치(400)를 각각 설치한다. 제1 계류장치(300) 및 제2 계류장치는, 예를 들어 스탠드 롤러나 페어리더(fair leader)와 같은 mooring fitting일 수 있다.
즉, FPSO의 메인 데크(MDf)의 제1 계류장치(300)로부터 계류 라인(ML)이 홀(100)과 파이프(200)를 따라 계류 선박의 메인 데크(MDs)에 유사한 높이까지 하방 연장되고, FPSO의 측벽 부에 마련된 제2 계류장치(400) 또는 초크에 감긴 후 계류 선박(S)에 연결된다. 계류 선박의 메인 데크(MDs)에도 초크(500) 등의 장비가 마련되어, 계류 라인(ML)이 고정된다.
FPSO의 측벽에는 계류 선박이 side by side로 계류될 때 선체 간의 충격과 마찰 등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펜더(fender, 600) 등도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선체 메인 데크 측부에 계류 라인이 관통할 수 있는 홀과 파이프를 마련하여 계류 선박의 메인 데크 높이까지 계류 라인을 하방 연장시킨 후 계류 선박에 연결하여 계류시킴으로써, FPSO 등 해양 구조물의 메인 데크 하부에 계류 선박을 계류시키기 위한 별도의 무어링(mooring) 데크를 마련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메인 데크 측부에 복수의 홀(hole)을 마련하고, 홀로부터 계류 선박의 메인 데크 높이까지 파이프를 하방으로 연장시켜, 파이프를 통해 메인 데크로부터 계류 선박의 메인 데크 높이로 계류 라인을 하방 연장시켜 계류 선박에 연결하게 된다. 이를 통해 별도의 계류용(mooring) 데크를 마련할 필요가 없고, 계류 라인이 지나가는 곳에만 홀과 파이프를 설치하면 되므로 자재 낭비를 막고, 선체가 구조적으로 취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선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F: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
MDf: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메인 데크
S: 계류 선박
MDs: 계류 선박의 메인 데크
ML: 계류 라인
100: 홀
200: 파이프
300: 제1 계류장치
400: 제2 계류장치
500: 계류 선박의 초크
600: 펜더

Claims (5)

  1.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마련되는 계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메인 데크 측부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hole);
    상기 홀로부터 계류 선박의 메인 데크 높이까지 하방으로 연장되는 파이프; 및
    상기 파이프를 관통하는 계류 라인을 포함하여,
    상기 계류 라인이 상기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메인 데크로부터 상기 계류 선박의 메인 데크 높이로 하방 연장되어 상기 계류 선박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계류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이 형성되는 상기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메인 데크에 마련되어 상기 계류 라인을 하방으로 방향 전환시키는 제1 계류장치; 및
    하방 연장된 상기 파이프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계류 선박에 연결되는 상기 계류 라인을 지지하는 제2 계류장치를 더 포함하는 선박 계류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은 LNG-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를 포함하고,
    상기 계류 선박은 LNGC(Liquefied Natural Gas Carri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계류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는 메인 데크 하부에 계류 선박을 계류시키기 위한 별도의 무어링(mooring) 데크가 마련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계류 시스템.
  5.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계류 선박을 계류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메인 데크 측부에 적어도 하나의 홀(hole)을 마련하고, 상기 홀로부터 계류 선박의 메인 데크 높이까지 파이프를 하방으로 연장시켜,
    상기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메인 데크로부터 상기 계류 선박의 메인 데크 높이로 상기 파이프를 관통하여 계류 라인을 하방 연장시켜 상기 계류 선박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계류 방법.
KR1020140098786A 2014-08-01 2014-08-01 선박 계류 시스템 및 방법 KR101629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786A KR101629192B1 (ko) 2014-08-01 2014-08-01 선박 계류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786A KR101629192B1 (ko) 2014-08-01 2014-08-01 선박 계류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5874A true KR20160015874A (ko) 2016-02-15
KR101629192B1 KR101629192B1 (ko) 2016-06-10

Family

ID=55356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8786A KR101629192B1 (ko) 2014-08-01 2014-08-01 선박 계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919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734U (ko) 2016-04-20 2017-10-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펜더 대빗 장치
KR20180121167A (ko) * 2017-04-28 2018-11-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 및 액화가스 운반선
WO2020058342A1 (en) * 2018-09-18 2020-03-26 Single Buoy Moorings Inc. Hydrocarbon production vessel
KR20200134032A (ko) 2019-05-21 2020-12-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계류 및 완충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590A (ja) * 1996-07-12 1998-02-03 Sumitomo Heavy Ind Ltd 非常用曳航装置
KR20110029229A (ko) * 2009-09-15 2011-03-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상부유구조물 및 그 해상부유구조물과 셔틀간의 계류삭에 의한 접안 방법
KR20120054349A (ko) * 2010-11-19 2012-05-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중간고리를 이용한 선박 예인장치 및 예인방법
KR101384034B1 (ko) 2013-04-19 2014-04-1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용 벨 마우스의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590A (ja) * 1996-07-12 1998-02-03 Sumitomo Heavy Ind Ltd 非常用曳航装置
KR20110029229A (ko) * 2009-09-15 2011-03-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상부유구조물 및 그 해상부유구조물과 셔틀간의 계류삭에 의한 접안 방법
KR20120054349A (ko) * 2010-11-19 2012-05-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중간고리를 이용한 선박 예인장치 및 예인방법
KR101384034B1 (ko) 2013-04-19 2014-04-1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용 벨 마우스의 설치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734U (ko) 2016-04-20 2017-10-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펜더 대빗 장치
KR20180121167A (ko) * 2017-04-28 2018-11-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 및 액화가스 운반선
WO2020058342A1 (en) * 2018-09-18 2020-03-26 Single Buoy Moorings Inc. Hydrocarbon production vessel
KR20200134032A (ko) 2019-05-21 2020-12-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계류 및 완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9192B1 (ko) 2016-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59407B2 (en) Floating LNG Plant
CN109969345B (zh) 烃处理船和方法
US10359229B2 (en) 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 commissioning system and method
US10197220B2 (en) Integrated storage/offloading facility for an LNG production plant
KR101629192B1 (ko) 선박 계류 시스템 및 방법
KR20100135354A (ko)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상부지지구조 및 그 방법
KR102125113B1 (ko)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 및 액화가스 운반선
KR20170031651A (ko) 액화가스 수송선, 및 액화가스 수송선의 설계방법
KR20200082578A (ko) 카고 매니폴드를 갖는 액체화물 운반선
KR101337272B1 (ko)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상부지지구조 및 그 방법
KR20150059940A (ko) Lng 저장탱크용 드립 트레이 구조체
KR20120031045A (ko)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상부지지구조 및 그 방법
Hoog et al. LNG transfer in harsh environments-introduction of a new concept
KR102170040B1 (ko)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
KR20140052349A (ko)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사이드 셀 보강구조 및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사이드 셀 보강구조를 이용한 계류 시스템
KR101337273B1 (ko)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상부지지구조 및 그 방법
WO20160011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off-shore storing and transporting a conditioned hydrocarbon liquid
KR102297866B1 (ko) Flng 및 flng용 저장탱크 내부의 액화천연가스 양 제어 방법
KR20160068088A (ko) Lng 운용 해양구조물의 저장 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lng 해양 구조물의 선창 구조
KR101498243B1 (ko) 부유식 해상구조물
KR20210006797A (ko) 해양 구조물의 데크용 배수 장치
KR20180000170U (ko) 안전 통행로를 갖는 해양 구조물 및 선박
Homann et al. OTC-19866-PP
KR20150115230A (ko) 복합형 lng 이송라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