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2198A - 부체 설비 - Google Patents

부체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2198A
KR20210092198A KR1020217011896A KR20217011896A KR20210092198A KR 20210092198 A KR20210092198 A KR 20210092198A KR 1020217011896 A KR1020217011896 A KR 1020217011896A KR 20217011896 A KR20217011896 A KR 20217011896A KR 20210092198 A KR20210092198 A KR 20210092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tility
facility
plant
natural gas
fl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1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다후미 카나야마
카즈아키 츠노다
켄타로 타카기
Original Assignee
닛키 글로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키 글로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키 글로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92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21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8Floating hydrocarbon production vessels, e.g.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vessels [FPS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과제) 액화 천연 가스 플랜트를 구비한 부체 설비의 설계 및 건조를 간소화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천연 가스를 액화하는 액화 천연 가스 플랜트(2)와, 당해 액화 천연 가스 플랜트(2)에 유틸리티를 공급하는 플랜트용 유틸리티 설비(31)가, 해상에 배치되는 부체부(10) 위에 마련된다. 한편, 서로 공통의 기능을 갖는 유틸리티 설비로서, 부체부(10)에 유틸리티를 공급하는 제2 유틸리티 설비(32b)는 부체부(10) 내, 액화 천연 가스 플랜트(2)에 유틸리티를 공급하는 제1 유틸리티 설비(32a)는 부체부(10) 위에 나누어 마련된다.

Description

부체 설비
본 발명은, 액화 천연 가스 플랜트를 구비한 부체 설비에 관한 것이다.
가스전으로부터 산출된 천연 가스(NG: Natural Gas)의 액화 처리를 행하는 설비로서, 해상에 선체 등의 부체부를 배치하고, 당해 부체부 위에 NG의 액화를 행하는 플랜트(액화 천연 가스 플랜트, 이하 「LNG 플랜트」라고도 함)를 마련한 FLNG(Floating LNG)라고 불리는 부체 설비가 알려져 있다.
부체부나 LNG 플랜트의 가동시에는, 물(해수, 청수)이나 질소, 공기 등의 각종 유틸리티가 사용되기 때문에, FLNG에는 이들 유틸리티의 공급 등을 행하는 유틸리티 설비가 다수, 탑재되어 있다.
FLNG는, 전체 길이가 수백 미터나 되고, 1년 이상의 기간에 걸쳐 건조되는 거대한 구조물이다. 이 때문에, LNG 플랜트나 부체부측의 설비뿐만 아니라, 유틸리티 설비를 포함시킨 각 설비의 레이아웃이, FLNG의 설계나 건조의 난이도를 좌우하는 요인 중 하나가 된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LNG를 저장하는 탱크 영역과, 천연 가스 액화 플랜트를 포함하는 공장 영역을 별개의 부체 구조물로서 건조한 후, 이들의 부체 구조물을 길이 방향으로 맞붙이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당해 특허문헌 1에 있어서는, 유틸리티 설비 중 하나인 가스 보일러는, 부체부인 선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으로 특허문헌 1에는, 내부에 탱크가 형성된 부체부의 상면측에 LNG 플랜트를 배치한 부체 설비에 있어서의 유틸리티 설비의 배치에 대해서는 하등 기재되어 있지 않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5-13494호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하에 이루어진 것이며, 액화 천연 가스 플랜트를 구비한 부체 설비의 설계 및 건조를 간소화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부체 설비는 해상에 배치되는 부체부와,
상기 부체부 위에 마련된 액화 천연 가스 플랜트와,
상기 액화 천연 가스 플랜트에 유틸리티를 공급하는 플랜트용 유틸리티 설비와,
서로 공통의 기능을 갖는 유틸리티 설비로서, 상기 부체부에 유틸리티를 공급하는 제1 유틸리티 설비, 및 상기 액화 천연 가스 플랜트에 유틸리티를 공급하는 제2 유틸리티 설비를 구비하고,
상기 제플랜트용 유틸리티 설비, 및 제2 유틸리티 설비는, 상기 부체부 위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유틸리티 설비는 상기 부체부 내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체 설비는 이하의 특징을 구비해도 좋다.
(a) 상기 플랜트용 유틸리티 설비는, 해수 펌프, 열교환기, 냉각수 펌프로 이루어지는 냉각수 공급 설비군으로부터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설비를 포함하고, 상기 공통의 기능을 갖는 유틸리티 설비는, 청수 제조 장치, 질소 제조 장치, 공기 압축 장치, 연료유 공급 장치, 유압 공급 장치, 소화수 공급 설비, 소화 매체 공급 설비, 이너트 가스 발생 장치로 이루어지는 설비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를 포함하는 것.
(b) 상기 액화 천연 가스 플랜트는, 가구 내 또는 기대 위에, 당해 액화 천연 가스 플랜트를 구성하는 기기군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의 모듈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
(c) 상기 부체부 내에는, 복수의 액화 천연 가스의 탱크가 마련되고, 이들의 액화 천연 가스 탱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부체부의 선길이 방향을 따라 1열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것과, 상기 부체부의 선폭 방향의 중앙 영역에는, 상기 각 탱크에 연결되는 배관이 당해 부체부의 상면측으로 인출되는 인출 위치가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모듈은, 이들의 인출 위치를 사이에 끼우고, 상기 선폭 방향의 좌우 양현의 영역으로 나누어 배치되어 있는 것.
본 발명은, 유틸리티의 공급처에 따라 유틸리티 설비의 설치 장소를 부체부의 내외로 나누고 있기 때문에, 각 유틸리티 설비, 나아가서는 FLNG의 설계, 제조에 수반하는 부담을 분담, 경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예에 따른 FLNG의 모식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따른 FLNG의 모식도이다.
도 3은, FLNG의 건조 공정에 따른 설명도이다.
처음으로, 도 1을 참조하면서 종래의 FLNG(1a)의 구성을 설명한다.
FLNG(1a)에 있어서 해상에 배치되는 부체부인 헐(Hull)(10)의 선수측에는, 계류 설비인 터릿(12)이 마련되어 있다. 터릿(12)은, 계류삭에 접속되어 헐(10)의 계류를 행함과 동시에, 채굴된 천연 가스(NG)의 수중 수송을 행하는 라이저에 접속되어 있다(계류삭이나 라이저는 도시하지 않음). 이하, 터릿(12)이 마련되어 있는 방향을 헐(10)의 전방으로 하여 설명을 행한다.
헐(10)의 본체 위의 예를 들면 선수측 좌현 근처의 위치에는, LNG 플랜트(2)나 LNG 탱크(11) 등에서 발생한 잉여된 가스를 연소하기 위한 플레어 스택(14)이 마련되어 있다.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헐(10)을 상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선폭 방향의 중앙 영역에는, 헐(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파이프랙(22)이 마련되어 있다. 파이프랙(22)은, LNG 플랜트(2) 내에서 취급되는 각종의 유체가 흐르는 배관군을 보지(保持)하는 가구 구조체이다.
파이프랙(22)의 좌우 양편에는, 각각, LNG 플랜트(2)를 구성하는 복수의 모듈(21)이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면 모듈(21)은, 공통의 가구 내에, NG에 대한 각종 처리 등을 행하는 프로세스부를 구성하는 기기군을 취입한 구분 단위이다. 각 모듈(21) 내에는, 탑조나 열교환기 등의 정기기, 펌프 등의 동기기, 각 정기기와 동기기의 사이나, 파이프랙(22)측의 배관과의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 배관 등의 다수의 기기군이 배치된다.
또는, 가구 내에 각종 기기군을 배치하여 모듈(21)을 구성하는 것은 필수의 요건이 아니다. 예를 들면, 팰릿 형상의 기대 위에 이들의 기기군을 배치하여 모듈(21)을 구성해도 좋다.
LNG 플랜트(2)를 구성하는 프로세스부로서는, 라이저로부터 수용한 NG에 포함되는 액체를 분리하는 기액 분리부, 산성 가스(이산화탄소나 황화수소 등)나 수분, 수은의 제거를 행하는 전처리부, 불순물이 제거된 NG의 증류 분리를 행하여, 메탄을 얻는 증류 분리부, 메탄의 액화를 행하는 액화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모듈(21)이나 파이프랙(22)이 마련되어 있는 영역보다도 후방측의 위치에는, 거주부(13)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헐(10)의 본체 내에는, 복수의 LNG 탱크(11)가 형성되어 있다. LNG 탱크(11)는, 멤브레인 방식의 탱크에 의해 구성되고, 본 예의 FLNG(1a)에서는 이들 복수의 LNG 탱크(11)는, 헐(10)의 선길이 방향을 따라 2열로 나란히 마련되어 있다(도 1(c)).
전술한 구성을 구비하는 FLNG(1a)에 있어서, LNG 플랜트(2)를 가동시킬 때에는, 전력, 냉각수(해수나 해수에 의해 냉각된 청수 등), 열매(증기나 온수, 핫 오일 등), 공기나 질소 등의 각종 유틸리티가 사용된다.
또한, 헐(10)측의 기관부나 LNG 탱크(11), 거주부(13) 등에 있어서도 전력, 청수(음용수나 냉각수용), 공기, 질소 등의 유틸리티가 소비된다.
전술한 각종 유틸리티의 공급을 행하는 유틸리티 설비의 배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는, 헐(10) 내에 스페이스의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FLNG(1a)의 대형화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이들의 유틸리티 설비를 헐(10) 내에 마련하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생각되고 있었다.
즉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NG 플랜트(2)에 유틸리티를 공급하는 플랜트용 유틸리티 설비(31), 헐(10)과 LNG 플랜트(2)의 쌍방에 유틸리티를 공급하는 공통 유틸리티 설비(32)의 대부분이 헐(10) 내에 배치되어 있었다.
또한 종래도, 대형의 발전기 등을 포함하는 발전 설비는, LNG 플랜트(2)와 함께 헐(10)의 갑판 위에 배치되는 한편, LNG 플랜트(2)의 가동 개시시나 비상시에 사용되는 전력의 발전을 행하는 소형의 발전기는, 헐(10) 내에 마련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증기, 온수, 핫 오일 가열용의 보일러에 대해서도, 종래, 헐(10) 위에 마련하는 케이스, 또는 헐(10) 내에 마련하는 케이스 모두 있었다. 그래서,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발전 설비나 변전 설비, 보일러 등은, 하기의 플랜트용 유틸리티 설비(31), 공통 유틸리티 설비(32)에 포함시키고 있지 않다.
재차, 종래 구성의 FLNG(1a)의 특징을 종합하면, 플랜트용 유틸리티 설비(31) 및 공통 유틸리티 설비(32)의 대부분이 헐(10) 내에 마련되어 있었다.
그러나, LNG 플랜트(2)와 헐(10)은 각각 전업의 회사가 설계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헐(10)의 설계를 행하는 조선 회사가, LNG 플랜트(2)측에 공급되는 유틸리티의 설비의 설계를 실시하는 것은, FLNG(1a)의 설계 프로세스를 복잡화하는 요인으로 되어 있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LNG 플랜트(2)를 구성하는 각 모듈(21)과, 헐(10)은, 서로 떨어진 야드(패브리케이션 야드와 조선 독)에서 건조되는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LNG 플랜트(2)(모듈(21))의 건조시에 발생한 유틸리티 설비에 대한 사양 변경의 요구를, 원격지에서 건조되어 있는 헐(10)측의 공통 유틸리티 설비(32)에 반영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았다.
이상으로 설명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하의 실시 형태에 따른 FLNG(1)는, 유틸리티의 공급처에 따라 각종 유틸리티 설비의 배치 위치를 최적화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하, 도 2, 도 3을 참조하면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FLNG(1)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 이미 서술한 FLNG(1a)와 공통의 구성 요소에는, 도 1에서 사용한 것과 공통의 부호를 붙이고, 재차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FLNG(1)는, 종래의 FLNG(1a)에 있어서, 헐(10) 내에 마련되어 있었던 플랜트용 유틸리티 설비(31)를 헐(10)의 갑판 위에 마련하고 있다. 플랜트용 유틸리티 설비(31)로서는, 냉각수 공급 설비를 구성하는 해수 펌프, 열교환기, 냉각수 펌프로 이루어지는 냉각수 공급 설비군으로부터 선택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비가 포함된다.
특히 LNG 플랜트(2)에 있어서는, NG의 액화시에 있어서 발생하는 열의 제거를 주된 목적으로 하여 대량의 냉각수를 사용한다. 냉각수로서는, 예를 들면 해수에 의해 냉각된 청수가 사용된다. 이 냉각수의 공급을 행하는 냉각수 공급 설비에는, 해중으로부터 해수를 퍼올리는 해수 펌프, 퍼올린 해수를 사용하여 냉각수를 냉각하는 열교환기, 냉각수를 LNG 플랜트(2)로 보내는 냉각수 펌프 등을 구비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냉각수 공급 설비의 구성은,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해수 펌프를 사용하여 퍼올린 해수를 직접, 냉각수로서 이용하는 것이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해수 펌프가 냉각수 공급 설비를 구성한다.
냉각수나 그 냉각을 행하는 해수는, 비교적 사용량이 많은 유틸리티이며, 다른 유틸리티 설비와 비교하여 냉각수 공급 설비 내에 마련되는 기기(해수 펌프, 열교환기, 냉각수 펌프 등)도 대형의 것이 사용된다. 또한, 이들의 기기는 설치 대수도 많을 뿐만 아니라, 각 기기 사이를 접속하는 배관도 대경이 된다. 이 때문에, 헐(10) 내에 스페이스의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당해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FLNG(1a) 전체의 대형화를 억제하는 것이 상식적인 사고방식이었다(도 1(a)).
한편으로, 대형의 기기를 비교적 많이 포함하고, 구조도 복잡한 냉각수 공급 설비는, 설계 프로세스를 복잡화시켜, 모듈(21)이나 헐(10)의 제조 공정의 유연성(쌍방의 사양 변경을 신속하게 반영하는 것 등)을 저하시키는 큰 요인 중 하나로 되어 있었다.
그래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FLNG(1)는, 대형화의 억제를 희생으로 했다고 해도 헐(10) 위에 플랜트용 유틸리티 설비(31)를 배치하는 것을 우선하고 있는 점에 첫 번째 특징을 갖고 있다.
여기에서, 플랜트용 유틸리티 설비(31)로부터 공급되는 유틸리티를 헐(10)측에서 사용하는 것은 완전히 금지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플랜트용 유틸리티 설비(31)로부터 공급되는 유틸리티로부터 일부(예를 들면 30퍼센트 이하의 양)를 발출하고, 헐(10)에 공급하는 배관을 마련하는 정도이면, 헐(10)이나 모듈(21)의 설계, 건조 공정에 큰 영향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또한, 이미 서술한 냉각수 설비군에 포함되는 전 종류의 설비를 플랜트용 유틸리티 설비(31)로서 헐(10) 위에 배치하는 것은 필수의 요건이 아니다. 설계 및 건설상의 부담을 고려하면서, 그 일부의 종류의 설비를 헐 내에 배치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도 2(a), (b)에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예의 FLNG(1)는, 헐(10) 내에 마련된 종래예의 공통 유틸리티 설비(32)를 대신하여, 헐(10)로의 유틸리티 공급 행하는 헐측 유틸리티 설비(제1 유틸리티 설비)(32b)와, LNG 플랜트(2)로의 유틸리티 공급을 행하는 플랜트측 유틸리티 설비(제2 유틸리티 설비)(32a)가 나누어 마련되어 있는 점에 두 번째 특징을 갖는다.
이들 헐측 유틸리티 설비(32b)와 플랜트측 유틸리티 설비(32a)의 각각에는, 서로 공통의 기능을 갖는 유틸리티 설비가 마련된다. 구체예를 들면, 해수로부터 청수를 제조하는 청수 제조 장치, 공기로부터 질소를 제조하는 질소 제조 장치, 계장용 공기의 공급 등을 행하는 공기 압축 장치, 발전기나 보일러에 연료유를 공급하는 연료유 공급 장치, 유압 구동 기기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유압 공급 장치, 소화수의 공급을 행하는 소화수 공급 설비, 소화액 등의 소화 매체의 공급을 행하는 소화 매체 공급 설비, 연료의 연소 배기 가스 등으로부터 이너트 가스(불활성 가스)를 얻는 이너트 가스 발생 장치로 이루어지는 설비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유틸리티 설비가, 헐측 유틸리티 설비(32b), 및 플랜트측 유틸리티 설비(32a)의 쌍방에 마련된다.
그리고, 플랜트측 유틸리티 설비(32a)는 헐(10)의 갑판 위에 마련되고, 헐측 유틸리티 설비(32b)는 헐(10) 내에 마련된다.
전술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헐(10)의 설계시에, LNG 플랜트(2)측에서 사용되는 유틸리티에 따른 설비(31, 32a)의 설계를 행할 필요가 없다. 또한, 각 유틸리티 설비(31, 32a, 32b)의 각각의 사양 변경에 수반하는 영향을 받는 일 없이, 헐(10) 및 모듈(21)을 독립되게 건조할 수 있다.
도 3은, FLNG(1)의 제조 공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LNG 플랜트(2)는, 패브리케이션 야드측에서 복수의 모듈(21)로 분할된 상태에서 제조된다. 이때, 헐(10) 위에 설치되는 유틸리티 설비(31, 32a)에 대해서도 패브리케이션 야드에서 모듈화하여 제조해도 좋다. 한편, 헐(10)은, 조선 독에서 헐측 유틸리티 설비(32b)와 함께 건조된다.
그리고, 소정의 타이밍에서 모듈(21)이나 유틸리티 설비(31, 32a)가, 조선 독으로 수송되고, 헐(10) 위에 설치되어 FLNG(1)가 구성된다.
여기에서, 플랜트용 유틸리티 설비(31), 플랜트측 유틸리티 설비(32a)의 배치 위치를 헐(10) 위에 설정한 것에 의한 FLNG(1)의 제조 공정으로의 영향에 대해서 설명한다.
종래, 헐(10) 내의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설치되어 있었던 플랜트용 유틸리티 설비(31)를 갑판측으로 이동시키면, 당해 플랜트용 유틸리티 설비(31)를 설치하기 위한 새로운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종래예에서는 헐(10) 내에 마련되어 있었던 공통 유틸리티 설비(32)를 대신하여, 헐측 유틸리티 설비(32b)와는 별도로 플랜트측 유틸리티 설비(32a)를 마련하면, 헐(10) 위에 확보해야 할 새로운 스페이스는 더욱 넓어지게 된다.
새로운 설치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수법으로서는, 실시 형태에 따른 헐(10)의 선길이(L)를, 도 1에 나타낸 종래예에 있어서의 헐(10)의 선길이(L0)보다도 길게 하는 것이 생각된다.
이때 도 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종래, 2열로 나누어 헐(10)의 폭 가득 배치되어 있었던 LNG 탱크(11)를, 슬로싱의 영향이 없는 탱크폭의 범위에서 1열로 배치하고 있다. 한편으로, FLNG(1) 전체에서의 탱크 용량을 종래와 동등하게 유지로 하기 때문에, 헐(10)의 선길이가 길어진 것을 이용하여, 당해 길이 방향을 따른 LNG 탱크(11)의 설치수를 늘리고 있다.
LNG 탱크(11)의 건조에 있어서는, 헐(10) 내에 탱크 구조를 형성한 후, 당해 LNG 탱크(11)에 연결되는 각종 배관(로딩용 배관, 오프로딩용 배관이나 베이퍼 배관 등)을 갑판보다도 상방으로 인출하는 인출 위치가 되는 탱크돔(110)의 설치가 최종 공정이 된다. 이 탱크돔(110)의 설치를 끝내지 않으면, 당해 탱크돔(110)의 설치 위치의 상방측에 구조물을 배치하는 작업을 개시할 수 없다.
LNG 탱크(11) 내로부터 균등하게 LNG의 전달를 행하는 관점 등에서, 탱크돔(110)은, 헐(10)의 선폭 방향을 따라 각 LNG 탱크(11)를 보았을 때의 중앙 위치에 마련되는 경우가 많다.
이때, 도 1(c)에 나타내는 종래예에 따른 FLNG(1a)와 같이, LNG 탱크(11)가 2열 배치되어 있으면, 각 모듈(21)의 하방측에 탱크돔 탱크돔(110)이 위치해 버리는 개연성이 높아진다. 이 때문에, 탱크돔(110)의 설치 대기가 제약이 되어, 헐(10) 위로의 모듈(21) 설치를 개시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의 FLNG(1)는, 도 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열로 마련된 각 헐(10)에 있어서의 탱크돔(110)의 배치 위치에 대하여, 복수의 모듈(21)이, 좌우 양현의 영역으로 나누어 배치되어 있다. 이 결과, 탱크돔(110)의 설치 완료를 기다리지 않고, 헐(10) 위로의 모듈(21)의 설치를 개시할 수 있다는 메리트도 있다. 또한, LNG 탱크(11)의 배열로서, 2열 배치와 1열 배치를 조합해도 좋다.
또한, 1열로 배치된 LNG 탱크(11)의 탱크돔(110)을 사이에 끼운 LNG 플랜트(2)의 건조는, 패브리케이션 야드 등에서 건조된 모듈(21)을 설치하는 수법에 적용하는 경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헐(10)의 갑판 위에 LNG 플랜트(2)의 구성 기기를 조립해 가는, 소위 스틱 빌트(stick-built)의 건조법에 적용해도 좋다. 이 경우에도, 탱크돔(110)의 설치 완료를 기다리지 않고, LNG 플랜트(2)의 건조를 개시할 수 있는 영역이 넓어지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FLNG(1)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가 있다. 유틸리티의 공급처에 따라 플랜트용 유틸리티 설비(31), 플랜트측 유틸리티 설비(32a), 헐측 유틸리티 설비(32b)의 설치 장소를 헐(10)의 내외로 나누고 있기 때문에, 이들의 유틸리티 설비(31, 32a, 32b)의 설계, 제조에 수반하는 부담을 분담, 경감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실시 형태에 따른 유틸리티 설비(31, 32a, 32b)의 배치는 신조의 FLNG(1)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기존의 LNG 수송선의 양현에 부체부를 증설하고, 당해 부체부 위에 LNG 플랜트(2)를 마련하여 FLNG(1)를 마련하는 경우에도 본 기술은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LNG 수송선측에 설치되어 있는 기설의 유틸리티 설비가 헐측 유틸리티 설비(32b)가 되고, 증설되는 부체부 위에 LNG 플랜트(2)와 함께 설치되는 유틸리티 설비가 LNG 플랜트(2)의 유틸리티 설비(31, 32a)가 된다.
1, 1a FLNG
10 헐
11 LNG 탱크
2 LNG 플랜트
21 모듈
31 플랜트용 유틸리티 설비
32 공통 유틸리티 설비
32a 플랜트측 유틸리티 설비
32b 헐측 유틸리티 설비

Claims (4)

  1. 해상에 배치되는 부체부와,
    상기 부체부 위에 마련된 액화 천연 가스 플랜트와,
    상기 액화 천연 가스 플랜트에 유틸리티를 공급하는 플랜트용 유틸리티 설비와,
    서로 공통의 기능을 갖는 유틸리티 설비로서, 상기 부체부에 유틸리티를 공급하는 제1 유틸리티 설비, 및 상기 액화 천연 가스 플랜트에 유틸리티를 공급하는 제2 유틸리티 설비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트용 유틸리티 설비, 및 제2 유틸리티 설비는, 상기 부체부 위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유틸리티 설비는 상기 부체부 내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 설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트용 유틸리티 설비는, 해수 펌프, 열교환기, 냉각수 펌프로 이루어지는 냉각수 공급 설비군으로부터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설비를 포함하고, 상기 공통의 기능을 갖는 유틸리티 설비는, 청수 제조 장치, 질소 제조 장치, 공기 압축 장치, 연료유 공급 장치, 유압 공급 장치, 소화수 공급 설비, 소화 매체 공급 설비, 이너트 가스 발생 장치로 이루어지는 설비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 설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화 천연 가스 플랜트는, 가구 내 또는 기대 위에, 당해 액화 천연 가스 플랜트를 구성하는 기기군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의 모듈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 설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체부 내에는, 복수의 액화 천연 가스의 탱크가 마련되고, 이들의 액화 천연 가스 탱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부체부의 선길이 방향을 따라 1열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것과,
    상기 부체부의 선폭 방향의 중앙 영역에는, 상기 각 탱크에 연결되는 배관이 당해 부체부의 상면측으로 인출되는 인출 위치가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모듈은, 이들의 인출 위치를 사이에 끼우고, 상기 선폭 방향의 좌우 양현의 영역으로 나누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 설비.
KR1020217011896A 2018-12-03 2018-12-03 부체 설비 KR202100921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44442 WO2020115805A1 (ja) 2018-12-03 2018-12-03 浮体設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2198A true KR20210092198A (ko) 2021-07-23

Family

ID=70974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1896A KR20210092198A (ko) 2018-12-03 2018-12-03 부체 설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210092198A (ko)
CN (1) CN112955376A (ko)
SG (1) SG11202104515TA (ko)
WO (1) WO202011580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13494A (ja) 2013-07-03 2015-01-22 信吉 森元 長大海上浮体設備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88141B2 (ja) * 2003-11-18 2009-07-01 三井造船株式会社 ガスハイドレート輸送船
JP5254716B2 (ja) * 2008-09-08 2013-08-0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浮体構造物
JP2011219049A (ja) * 2010-04-14 2011-11-04 Mitsubishi Heavy Ind Ltd 浮体式液化天然ガス生産貯蔵積出設備
KR101018741B1 (ko) * 2010-12-30 2011-03-04 삼성물산 주식회사 해상 제티 구조물을 이용한 엘엔지 재기화 설비
AU2014251176B2 (en) * 2013-04-12 2016-10-27 Excelerate Liquefaction Solu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floating dockside liquefaction of natural gas
RU2658192C2 (ru) * 2013-04-12 2018-06-19 Нобуеси Моримото Судно для спг или снг
JP6183611B2 (ja) * 2014-02-26 2017-08-2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運搬船
JP2017047718A (ja) * 2015-08-31 2017-03-09 三井造船株式会社 浮体式洋上設備、及び浮体式洋上設備の電力供給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13494A (ja) 2013-07-03 2015-01-22 信吉 森元 長大海上浮体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955376A (zh) 2021-06-11
SG11202104515TA (en) 2021-05-28
WO2020115805A1 (ja) 2020-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8790B1 (ko) 벙커링 선박
EP3746643B1 (en) Offshore electrical power plant
JP6585305B2 (ja) 天然ガス液化船
KR20210145031A (ko) 선박용 연료 공급 시스템
KR101707512B1 (ko) 이중연료로 추진되는 시추선
KR102160476B1 (ko) 부유 저장식 가스 발전플랜트의 배치구조
KR102016030B1 (ko)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KR102053936B1 (ko) Lng 벙커링 시스템
KR102579693B1 (ko) 부체 설비
KR20210092198A (ko) 부체 설비
KR102054582B1 (ko) 가스 재기화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CN203549383U (zh) 用于天然气液化、再汽化的浮式存储装置
KR20150122830A (ko) Lng-수소 복합 생산 시스템
KR101707513B1 (ko) 이중연료로 추진되는 시추선
KR102054583B1 (ko) 가스 재기화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057779B1 (ko) 가스 재기화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279534B1 (ko) 선박용 lng 연료 공급 시스템
KR102487245B1 (ko) 가스 재기화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645626B1 (ko) 액화 천연 가스의 출하 방법
KR20190131819A (ko) 가스 재기화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230084000A (ko) 액화 가스 저장 탱크 설치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297875B1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 및 부유식 해양 구조물에서의 lng 하역 방법
KR20140144846A (ko) 선박 또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
KR20140139368A (ko) 발전 장치를 구비한 flng 선박
KR20150138994A (ko)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