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9693B1 - 부체 설비 - Google Patents

부체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9693B1
KR102579693B1 KR1020217011898A KR20217011898A KR102579693B1 KR 102579693 B1 KR102579693 B1 KR 102579693B1 KR 1020217011898 A KR1020217011898 A KR 1020217011898A KR 20217011898 A KR20217011898 A KR 20217011898A KR 102579693 B1 KR102579693 B1 KR 102579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plant
natural gas
liquefied natural
flo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1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7103A (ko
Inventor
카즈아키 츠노다
타다후미 카나야마
Original Assignee
닛키 글로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키 글로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키 글로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97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7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9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9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8Floating hydrocarbon production vessels, e.g.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vessels [FPS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과제) 액화 천연 가스 플랜트를 구비한 부체 설비를 효율적으로 건조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부체 설비(1)는, 해상에 배치되는 부체부(10) 위에 액화 천연 가스 플랜트(2)를 마련하여 구성되고, 그 내부에는 선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액화 천연 가스 탱크(11)가 1열로 배열된 단배열부를 포함한다. 부체부(10)의 상면측에는, 각 액화 천연 가스 탱크로부터 배관이 인출되는 인출 위치인 탱크돔(110)이, 선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히 마련되고, 상기 탱크돔(110)의 나열의 상방측에, 플랜트 배관(221)군과 탱크 배관(222)군과 커넥팅부(111)를 적층 보지하는 배관 지지 가구부(3)가, 상기 선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부체 설비
본 발명은, 액화 천연 가스 플랜트를 구비한 부체 설비에 관한 것이다.
가스전으로부터 산출된 천연 가스(NG: Natural Gas)의 액화 처리를 행하는 설비로서, 해상에 선체 등의 부체부를 배치하고, 당해 부체부 위에 NG의 액화를 행하는 플랜트(액화 천연 가스 플랜트, 이하 「LNG 플랜트」라고도 함)를 마련한 FLNG(Floating LNG)라고 불리는 부체 설비가 알려져 있다.
FLNG는, 전체 길이가 수백 미터나 되고, 1년 이상의 기간에 걸쳐 건조되는 거대한 구조물이다. 특히 부체부 위에는, 다수의 기기를 조합하여 구성되는 LNG 플랜트가 배치되는 한편, 당해 부체부 내에는 복수의 LNG 탱크가 마련된다. 이 때문에, 부체부 내에 LNG 탱크를 건조한 후, 부체부 위에 LNG 플랜트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타이밍을 가능한 한 빠르게 하는 것이, FLNG의 건조 기간을 단축하는 포인트 중 하나가 된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LNG를 저장하는 탱크 영역과, 천연 가스 액화 플랜트를 포함하는 공장 영역을 별개의 부체 구조물로서 건조한 후, 이들의 부체 구조물을 길이 방향으로 맞붙이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한편으로 특허문헌 1에는, 탱크 영역 위에 천연 가스 액화 플랜트가 배치되는 부체 구조물을 건조하는 경우에 매우 적합한 구성에 대해서는 하등 기재되어 있지 않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5-13494호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하에 이루어진 것이며, 액화 천연 가스 플랜트를 구비한 부체 설비를 효율적으로 건조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부체 설비는, 해상에 배치되고, 선폭 방향보다도 선길이 방향으로 긴 평면 형상을 갖는 부체부와,
상기 부체부 위에 마련된 액화 천연 가스 플랜트와,
상기 부체부 내에 형성된 복수의 액화 천연 가스 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액화 천연 가스 탱크는, 상기 부체부의 선길이 방향을 따라 1열로 배열된 단배열부를 포함하는 것과,
당해 단배열부를 구성하는 액화 천연 가스 탱크가 형성된 부체부의 상면측에는, 각 액화 천연 가스 탱크에 연결되는 배관이 당해 상면측으로부터 인출되는 인출 위치인 탱크돔이, 상기 선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히 마련되어 있는 것과,
상기 액화 천연 가스 플랜트를 구성하는 기기는, 상기 탱크돔이 늘어서는 영역과 분리하여 마련된 플랜트 배치 영역에, 상기 선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있는 것과,
상기 탱크돔의 나열의 상방측에, 상기 액화 천연 가스 플랜트에서 취급되는 유체가 흐르는 플랜트 배관군과, 상기 액화 천연 가스 탱크를 유입출하는 유체가 흐르는 탱크 배관군과, 상기 탱크돔을 통하여 인출되는 배관과 상기 탱크 배관군의 커넥팅부를 적층 보지하는 배관 지지 가구부가, 상기 선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체 설비는 이하의 특징을 구비해도 좋다.
(a) 상기 플랜트 배치 영역에는, 상기 부체부의 갑판 위에, 상기 액화 천연 가스 플랜트의 구성 기기가 개별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
(b) 상기 배관 지지 가구부와, 상기 플랜트 배치 영역의 사이에는, 승무원의 통행용의 통로 및/또는 상기 액화 천연 가스 플랜트를 구성하는 기기의 반송용의 통로가 마련되어 있는 것.
(c) 상기 단배열부에 포함되지 않는 복수의 액화 천연 가스 탱크를 구비하고, 이들의 액화 천연 가스 탱크는, 상기 선폭 방향을 따라 상기 부체부 내를 복수로 구획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
본 발명은, 부체부에 액화 천연 가스 탱크를 건조하는 과정에서 마지막으로 설치되는 탱크돔의 상방측에, 액화 천연 가스 탱크를 유입출하는 유체가 흐르는 탱크 배관군이나, 탱크돔을 통하여 인출되는 배관과 탱크 배관군의 커넥팅부 등을 적층 보지하는 배관 지지 가구부를 마련한다. 이 배관 지지 가구부로부터 분리된 위치에 플랜트 배치 영역을 마련함으로써, 탱크돔이나 커넥팅부 등의 완성을 기다리지 않고 액화 천연 가스 플랜트의 건조에 착수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예에 따른 FLNG의 모식도이다.
도 2는, 종래예에 따른 FLNG의 횡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에 따른 FLNG의 모식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따른 FLNG의 횡단면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FLNG의 횡단면도이다.
도 6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FLNG의 횡단면도이다.
도 7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FLNG의 평면도이다.
도 8은, 각 실시 형태에 따른 FLNG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부체부로 로딩 아암을 설치하는 수법의 변형예에 따른 모식도이다.
처음으로, 도 1을 참조하면서 종래의 FLNG(1a)의 구성을 설명한다.
FLNG(1a)에 있어서 해상에 배치되는 부체부인 헐(Hull)(10)의 선수측에는, 계류 설비인 터릿(12)이 마련되어 있다. 터릿(12)은, 계류삭에 접속되어 헐(10)의 계류를 행함과 동시에, 채굴된 천연 가스(NG)의 수중 수송을 행하는 라이저에 접속되어 있다(계류삭이나 라이저는 도시하지 않음). 이하, 터릿(12)이 마련되어 있는 방향을 헐(10)의 전방으로 하여 설명을 행한다.
헐(10)의 본체 위의 예를 들면 선수측 좌현 근처의 위치에는, LNG 플랜트(2)나 LNG 탱크(11) 등에서 발생한 잉여된 가스를 연소하기 위한 플레어 스택(14)이 마련되어 있다.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헐(10)을 상면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선폭 방향의 중앙 영역에는, 헐(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파이프랙(22)이 마련되어 있다. 파이프랙(22)은, LNG 플랜트(2) 내에서 취급되는 각종 유체가 흐르는 복수의 플랜트 배관(221)(플랜트 배관군)을 보지하는 가구 구조체이다.
파이프랙(22)의 좌우 양편에 인접하는 영역은, LNG 플랜트(2)를 구성하는 기기가 배치되는 플랜트 배치 영역(20)으로 되어 있다(도 1(c)). 이들의 플랜트 배치 영역(20)에는, 각각, LNG 플랜트(2)를 구성하는 복수의 모듈(21)이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면 모듈(21)은, 공통의 가구 내에, NG에 대한 각종 처리 등을 행하는 프로세스부를 구성하는 기기군을 취입한 구분 단위이다. 각 모듈(21) 내에는, 탑조나 열교환기 등의 정기기, 펌프 등의 동기기, 각 정기기와 동기기의 사이나, 파이프랙(22)측의 배관과의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 배관 등, LNG 플랜트(2)를 구성하는 다수의 기기가 배치된다.
이들의 모듈(21)은, 헐(10)의 갑판 위에 배치된 주각부(211)를 통하여, 후술하는 탱크돔(110)의 상방측의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가구 내에 각종 기기군을 배치하여 모듈(21)을 구성하는 것은 필수의 요건이 아니다. 예를 들면, 팰릿 형상의 기대 위에 이들의 기기군을 배치하여 모듈(21)을 구성해도 좋다.
LNG 플랜트(2)를 구성하는 프로세스부로서는, 라이저로부터 수용한 NG에 포함되는 액체를 분리하는 기액 분리부, 산성 가스(이산화탄소나 황화수소 등)나 수분, 수은의 제거를 행하는 전처리부, 불순물이 제거된 NG의 증류 분리를 행하여, 메탄을 얻는 증류 분리부, 메탄의 액화를 행하는 액화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모듈(21)이나 파이프랙(22)이 마련되어 있는 영역보다도 후방측의 위치에는, 거주부(13)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1(a), (c),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헐(10)의 본체 내에는, 복수의 LNG 탱크(11)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LNG 탱크(11)는, 멤브레인 방식의 탱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FLNG(1a)에 있어서는, 슬로싱의 발생을 억제하고, 또한 헐(10) 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관점에서, 헐(10)을 선폭 방향으로 복수로 분할하여 복수의 LNG 탱크(11)를 마련하고 있다. 또한 선폭 방향으로 늘어서는 이들의 LNG 탱크(11)의 조(組)를, 복수조 늘어놓음으로써, 선길이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복수의 LNG 탱크(11)의 열이 배치되어 있다. 도 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FLNG(1a)는, 4기의 LNG 탱크(11)를 포함하는 열이 2열 마련되어 있다.
도 2는, 도 1(c)의 A-A'의 위치로부터 FLNG(1a)를 화살표 방향으로 본 종단 정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LNG 탱크(11)의 상면측에는, 탱크돔(110)이 설치되어 있다. 탱크돔(110)은, LNG 탱크(11)에 연결되는 각종 배관(로딩용 배관, 오프로딩용 배관, 런다운 배관이나 베이퍼 배관 등)이, 헐(10)의 상면측으로 인출되는 인출 위치이다. 예를 들면 탱크돔(110)은, LNG 탱크(11) 본체의 천장부를 관통하는 위치에 마련되고, 이들의 배관이 장착되는, 예를 들면 원통 형상 또는 4각 형상의 돔 본체나, 각 배관의 개폐 밸브 등을 구비한다.
도시의 편의상, 도 2에는 LNG 펌프(151)를 사용하여 각LNG 탱크(11) 내의 LNG를 전달하는 1개의 오프로딩용 배관(152)만이 탱크돔(110)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실제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탱크돔(110)을 통하여 다수의 배관이 헐(10)의 상면측으로 인출되어 있다.
또한, LNG 플랜트(2)를 구성하는 모듈(21)은, 헐(10)의 갑판에 마련된 주각부(211)를 통하여 고상(高床) 지지됨으로써, 탱크돔(110)과의 간섭을 피하고 있다.
탱크돔(110)을 통하여 헐(10)의 상면측으로 인출된 배관은, 각종의 본 배관에 접속된다. 예를 들면 오프로딩용 배관(152)은, LNG 수송선(5)으로 향하여 LNG를 전달하는 로딩 아암(41)으로 연결되는 오프로딩용 본관에 접속된다. 또한, 런다운용 배관은, LNG 플랜트(2)의 액화부에서 액화된 LNG를 각 LNG 탱크(11)로 유입시키는 런다운용 본관에 접속된다. 이하, 이들 오프로딩용 본관이나 런다운용 본관 등, LNG 탱크(11)를 유입출하는 유체가 흐르는 배관을 탱크 배관(222)이라고 부른다.
탱크돔(110)을 통하여 인출된 각종 배관과, 탱크 배관(222)은, 가지 배관을 통하여 접속된다.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탱크돔(110)에는 다수의 배관이 마련되고, 이들의 배관이 각각 탱크 배관(222)에 접속된다. 이 때문에, 실제의 탱크돔(110)의 주위는, 다수의 가지 배관이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뒤얽혀 배치된 상태로 되어 있다. 당해 가지 배관이 배치되어 있는 영역을 커넥팅부(111)라고 부른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팅부(111)를 통하여 탱크돔(110)측의 각 배관과 접속된 탱크 배관(222)은, 파이프랙(22)의 하부측에 배치된다. 파이프랙(22)에 있어서, 탱크 배관(222)이 배치되어 있는 하부측의 영역과, 플랜트 배관(221)이 보지되어 있는 상부측의 선반단의 사이의 공간은, 승무원이 통행하는 통로(223)로 되어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개략 구성을 갖는 종래의 FLNG(1a)를 건조할 때의 문제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헐(10) 내에 각 LNG 탱크(11)를 건조할 때, 이미 서술한 탱크돔(110)은 건조의 최종 공정에서 설치되는 기기이다. 또한, 탱크돔(110)이 설치된 후, 커넥팅부(111)에 있어서는, 탱크 배관(222)과 다수의 가지 배관을 접속하는 뒤얽힌 배관 설치 공사가 행해진다.
한편으로, 헐(10)의 선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LNG 탱크(11)의 열이 배치된 종래의 FLNG(1a)에 있어서는, 도 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모듈(21)의 하방측에 탱크돔(110)이 위치해 버릴 개연성이 높아진다. 이 때문에, 탱크돔(110)이나 커넥팅부(111)의 설치 공사가 대기 제약으로 되어 버리는 점에서, 헐(10) 위에 모듈(21)을 설치함으로써, FLNG(1a)의 건조 공기(工期)를 단축하고 있었다.
한편, 후술의 스틱 빌트 방식으로 LNG 플랜트(2)를 건조하는 경우에는, 상기 설치 공사가 제약이 되어 대형의 플랜트 기기(23)의 설치를 개시할 수 없다는 제약이 있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하의 실시 형태에 따른 FLNG(1)는, 탱크돔(110)이나 커넥팅부(111)의 설치와 LNG 플랜트(2)의 건조를 독립되게 행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도 3, 도 4를 참조하면서 당해 FLNG(1)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도 3(c)의 B-B'의 위치로부터 FLNG(1)를 화살표 방향으로 본 종단 정면도이다.
또한 이하 도 3~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하는 각 FLNG(1, 1b~1g)에 있어서, 이미 서술한 FLNG(1a)와 공통의 구성 요소에는, 도 1에서 사용한 것과 공통의 부호를 붙이고, 재차의 설명을 생략한다.
처음으로, 도 3, 도 4에 나타내는 FLNG(1)에는, 헐(10)의 갑판 위에, 플랜트 기기(LNG 플랜트(2)의 구성 기기)(23)를 개별적으로 배치한 소위 스틱 빌트(stick-built) 방식으로 건조된 LNG 플랜트(2)가 마련되어 있다. 모듈(21)에 의해 LNG 플랜트(2)를 건조하는 방식과 비교하여, 스틱 빌트 방식은, 모듈(21)을 구성하는 가구의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도 3(c),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예의 FLNG(1)에 있어서는, 헐(10) 내에 형성된 복수의 LNG 탱크(11)는, 헐(10)의 선길이 방향을 따라 1열로 나란히 배치되어 단배열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 경우, 각 LNG 탱크(11)의 탱크폭은, 슬로싱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의 치수로 설정된다.
또한 헐의 선폭 방향 전방의 예를 들면 중앙 영역에는, 헐(10)의 탱크돔(110)이 선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히 마련되어 있다. 중앙 영역에 탱크돔(110)을 마련함으로써, LNG 탱크(11) 내의 LNG를 균등하게 발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예의 FLNG(1)에 있어서는, 이 탱크돔(110)의 나열의 상방측에, 커넥팅부(111), 복수의 탱크 배관(222)(탱크 배관군), 복수의 플랜트 배관(221)(플랜트 배관군)을 적층 보지하는 배관 지지 가구부(3)가 마련되어 있다. 예를 들면 배관 지지 가구부(3)는, 헐(10)의 선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된 가늘고 긴 선반 형상의 가구 구조체이며, 하층측으로부터 차례로 탱크돔단(31), 커넥팅부단(32), 탱크 배관 지지단(33), 플랜트 배관 지지단(34)이 마련되어 있다.
도 3(b), (c),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관 지지 가구부(3)의 좌우 양현측에 위치하는 헐(10)의 갑판 위의 영역에는, 당해 배관 지지 가구부(3)의 설치 영역(즉 헐(10)의 선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탱크돔(110)이 늘어서는 영역)으로부터 분리하여 플랜트 배치 영역(20)이 마련되어 있다. 플랜트 배치 영역(20)에는, LNG 플랜트(2)를 구성하는 플랜트 기기(23)가 배치된다.
여기에서, 본 예의 배관 지지 가구부(3)에는, 종래의 FLNG(1a)의 파이프랙(22)에 마련되어 있었던 통로(223)가 없다. 그래서, 배관 지지 가구부(3)와 플랜트 배치 영역(20)의 사이에, 통로(16)를 설치해도 좋다. 당해 통로(16)는, 승무원의 통행용, 또는 LNG 플랜트(2)를 구성하는 플랜트 기기(23)의 반송용의 적어도 한쪽의 용도로 사용되도록 설치된다.
본 예의 FLNG(1)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가 있다. 헐(10)에 LNG 탱크(11)를 건조하는 과정에서 마지막으로 설치되는 탱크돔(110)의 상방측에, 플랜트 배관(221)이나, 탱크 배관(222), 커넥팅부(111)를 적층 보지하는 배관 지지 가구부(3)를 마련하고 있다(도 3(c), 도 4). 그리고, 이 배관 지지 가구부(3)로부터 분리된 위치에 플랜트 배치 영역(20)을 마련함으로써, 탱크돔(110)이나 커넥팅부(111) 등의 완성을 기다리지 않고 LNG 플랜트(2)의 건조에 착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관 지지 가구부(3)는, 탱크돔(110), 커넥팅부(111), LNG 플랜트(2)의 건조의 진척에 따라, 적시, 각 단을 쌓아 올리면서 설치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배관 지지 가구부(3)를 마련하는 위치는, 헐(10)의 선폭 방향의 중앙 영역에 한정되지 않는다. LNG의 발출에 지장이 없는 경우에는, 도 5에 나타내는 FLNG(1b)와 같이, 상기 중앙 영역보다도 뱃전측에 배관 지지 가구부(3)를 마련해도 좋다. 도 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선수측을 향하여 배관 지지 가구부(3)의 좌현측에도 플랜트 배치 영역(20)이 마련되어 있지만, 배관 지지 가구부(3)의 한쪽측(예를 들면 우현측)에만 플랜트 배치 영역(20)을 마련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좋다.
또한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배관 지지 가구부(3)의 양편에 통로(16)를 마련하는 것은 필수적이지 않다. 이 점, 도 5에는, 배관 지지 가구부(3)의 한쪽측에 배치된 플랜트 배치 영역(20)과의 사이에만, 통로(16)를 마련한 예도 병기되어 있다. 또한, 배관 지지 가구부(3)의 다른 한쪽측에 배치된 플랜트 배치 영역(20)과의 사이는, 플랜트 기기(23)의 반송용 통로로 해도 좋다. 나아가서는, 통로(16)와 플랜트 기기(23)의 반송용 통로를 병용해도 좋다.
플랜트 배치 영역(20)에 마련되는 LNG 플랜트(2)는, 스틱 빌트 방식으로 건조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의 FLNG(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트 배치 영역(20)에 모듈(21)을 배치하여 LNG 플랜트(2)를 건조해도 좋다. 모듈(21)은, LNG 플랜트(2)의 기기를 가구 내에 배치한 타입이라도 좋고, 팰릿 형상의 기대 위에 이들의 기기를 배치한 타입이라도 좋다.
그리고, 헐(10) 내에 복수의 LNG 탱크(11)를 배치할 때에는, 1열 배치(단배열부) 이외의 배치 부분을 포함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FLNG(1d)는, LNG 탱크(11)가 1열로 배치된 단배열부에 더하여, 헐(10)의 선폭 방향을 따라 복수열(본 예에서는2열)로 구획된 LNG 탱크(11)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 복수열로 구획된 LNG 탱크(11)의 상면측에는, 예를 들면 탱크돔(110)의 설치 위치를 피하여 모듈(21)이나 개별의 플랜트 기기(23)를 설치해도 좋다. 도 7에는, 2열 배치된 LNG 탱크(11)의 상면측의 탱크돔(110)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모듈(21)을 배치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탱크돔(110)의 설치 위치로부터, 배관 지지 가구부(3)의 탱크 배관 지지단(33)에 걸치는 가지 배관의 설치 영역이 커넥팅부(111)가 된다.
또한 도 3(c)에 나타내는 FLNG(1)에서는, 배관 지지 가구부(3)의 하방측의 영역(탱크돔(110)이 늘어서는 영역) 내, 대략 직선 형상으로 늘어서도록 복수의 탱크돔(110)을 배치한 예가 나타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8의 FLNG(1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팅부(111) 내의 가지 배관의 레이아웃상의 제약이나 다른 기기와의 간섭을 피한다는 목적으로, 헐(10)의 선폭 방향을 따라 보았을 때 서로 어긋난 위치에 이들 탱크돔(110)을 배치해도 좋다.
이 경우에도, 배관 지지 가구부(3)의 하방측의 영역에는, 헐(10)의 선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탱크돔(110)이 나란히 마련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도 9는, 헐의 대형화에 수반하여 FLNG(1f, 1g)측에 마련된 로딩 아암(41)이 LNG 수송선(5)에 닿기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예이다.
도 9(a)에 나타내는 FLNG(1f)는, 헐(10)의 선복으로부터 전방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아암 지지대(42)를 마련하고, 당해 아암 지지대(42) 위에 로딩 아암(41)을 배치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9(b)에 나타내는 FLNG(1g)는, 헐의 뱃전측의 갑판을 절결하여 오목부(43)를 형성하고, 당해 오목부(43) 내에 로딩 아암(41)을 배치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1, 1a~1g FLNG
10 헐
11 LNG 탱크
110 탱크돔
111 커넥팅부
152 오프로딩용 배관
16 통로
2 LNG 플랜트
20 플랜트 배치 영역
21 모듈
221 플랜트 배관
222 탱크 배관
23 플랜트 기기
3 배관 지지 가구부

Claims (4)

  1. 해상에 배치되고, 선폭 방향보다도 선길이 방향으로 긴 평면 형상을 갖는 부체부와,
    상기 부체부 위에 마련된 액화 천연 가스 플랜트와,
    상기 부체부 내에 형성된 복수의 액화 천연 가스 탱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액화 천연 가스 탱크는, 상기 부체부의 선길이 방향을 따라 1열로 배열된 단배열부를 포함하는 것과,
    당해 단배열부를 구성하는 액화 천연 가스 탱크가 형성된 부체부의 상면측에는, 각 액화 천연 가스 탱크에 연결되는 배관이 당해 상면측으로부터 인출되는 인출 위치인 탱크돔이, 상기 선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히 마련되어 있는 것과,
    상기 액화 천연 가스 플랜트를 구성하는 기기는, 상기 탱크돔이 늘어서는 영역의 좌우 양현측에 위치하는 상기 부체부의 갑판 위에 설치되어, 해당 영역과 분리하여 마련된 플랜트 배치 영역에, 상기 선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있는 것과,
    상기 탱크돔의 나열의 상방측에, 상기 액화 천연 가스 플랜트에서 취급되는 유체가 흐르는 플랜트 배관군과, 상기 액화 천연 가스 탱크를 유입출하는 유체가 흐르는 탱크 배관군과, 상기 탱크돔을 통하여 인출되는 배관과 상기 탱크 배관군의 커넥팅부를 적층 보지하는 배관 지지 가구부가, 상기 선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있는 것과,
    상기 배관 지지 가구부에는, 하층측으로부터 차례로, 상기 커넥팅부를 지지하는 커넥팅부단, 상기 탱크 배관군을 지지하는 탱크 배관 지지단, 및 상기 플랜트 배관군을 지지하는 플랜트 배관 지지단이 마련되고,
    상기 플랜트 배치 영역은, 상기 탱크돔 및 상기 커넥팅부를 회피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상기 탱크돔 및 상기 커넥팅부의 완성을 기다리지 않고 상기 액화 천연 가스 플랜트의 건조에 착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 설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트 배치 영역에는, 상기 부체부의 갑판 위에, 상기 액화 천연 가스 플랜트의 구성 기기가 개별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 설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지지 가구부와, 상기 플랜트 배치 영역의 사이에는, 승무원의 통행용의 통로 및/또는 상기 액화 천연 가스 플랜트를 구성하는 기기의 반송용의 통로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 설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배열부에 포함되지 않는 복수의 액화 천연 가스 탱크를 구비하고, 이들의 액화 천연 가스 탱크는, 상기 선폭 방향을 따라 상기 부체부 내를 복수로 구획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 설비.
KR1020217011898A 2018-12-18 2018-12-18 부체 설비 KR1025796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8/046498 WO2020129148A1 (ja) 2018-12-18 2018-12-18 浮体設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7103A KR20210097103A (ko) 2021-08-06
KR102579693B1 true KR102579693B1 (ko) 2023-09-18

Family

ID=71102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1898A KR102579693B1 (ko) 2018-12-18 2018-12-18 부체 설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2579693B1 (ko)
CN (1) CN112912307A (ko)
SG (1) SG11202104111UA (ko)
WO (1) WO20201291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82327A (ko) * 2021-10-20 2024-06-10 닛키 글로벌 가부시키가이샤 해상 설비
WO2024069923A1 (ja) * 2022-09-30 2024-04-04 日揮グローバル株式会社 プラント構成用のモジュール、モジュール接続体及びプラント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71094A (zh) * 2008-10-09 2011-08-31 吉宝岸外与海事科技中心私人有限公司 用于舱整合的现有船舶的船体转换
KR20100099907A (ko) * 2009-03-04 2010-09-1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탱크돔 보호용 이중상갑판 및 그것을 구비한 선박
KR20110016622A (ko) * 2009-08-12 2011-02-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단열패널 이송시스템
KR102055049B1 (ko) * 2010-02-22 2019-12-11 쉘 인터내셔날 리써취 마트샤피지 비.브이. 탄화수소 프로세싱 베슬 및 방법
NO336407B1 (no) * 2010-03-01 2015-08-17 Aker Engineering & Technology Bærestruktur for understøttelse av utstyr
KR20130009064A (ko) * 2011-07-14 2013-01-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설비 배치구조를 갖는 선박
KR20140020018A (ko) * 2012-08-07 2014-02-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구조물의 파이프 랙 모듈 고정시스템 및 방법
JP6381872B2 (ja) 2013-07-03 2018-08-29 信吉 森元 長大海上浮体設備
KR20180115910A (ko) * 2017-04-14 2018-10-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 및 액화가스 운반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29148A1 (ja) 2020-06-25
SG11202104111UA (en) 2021-05-28
CN112912307A (zh) 2021-06-04
KR20210097103A (ko) 2021-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67804B1 (ja) 液化ガス貯蔵設備を備えた浮体構造物及びその設計方法
CN109969345B (zh) 烃处理船和方法
US9422037B2 (en) Floating LNG plant comprising a first and a second converted LNG carrier and a method for obtaining the floating LNG plant
KR102579693B1 (ko) 부체 설비
JP6689997B2 (ja) ガス再気化システムを備える船舶
US7152544B2 (en) Ballast system for tension leg platform
JP2008273342A (ja) 液体貨物船の貨物ポンプ装置
KR102436714B1 (ko) 부유식 탄화수소 저장 및/또는 가공 플랜트의 선체와 같이 이용하기 위한 선박 선체, 이러한 선박 선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이러한 선박 선체를 포함하는 선박, 또한 이러한 선박 선체를 가지는 이러한 선박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CN1257085C (zh) 从设置有储存罐的船上卸载的系统和从往返和再气化船输送天然气的方法
JP5863900B2 (ja) 液化ガス輸送船、及び、液化ガス輸送船の設計方法
KR101589196B1 (ko) 유체화물 처리시설을 갖는 해양구조물
KR20160031747A (ko) Lng 운반선을 이용한 lng fpso 및 그 개조방법
WO2023067741A1 (ja) 洋上設備
KR101363507B1 (ko) 액체 화물 운송선
JP2011219049A (ja) 浮体式液化天然ガス生産貯蔵積出設備
WO2020115805A1 (ja) 浮体設備
CN112703150B (zh) 天然气液化装置的设计方法及天然气液化装置
KR20130128872A (ko) 부유식 가스 처리 설비
KR20160121127A (ko) 선박에서의 액화천연가스 배출 시스템
KR20180063653A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기계실 환기 시스템
KR102577082B1 (ko) 부체식 구조물
KR20140026002A (ko) 해양 구조물의 탑 사이드 모듈 배치구조
KR20240088146A (ko) 탑사이드 무게중심을 낮춘 flng 구조
KR101488940B1 (ko) 부유식 해상구조물 및 그것의 건조 방법
KR20190047807A (ko)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 및 액화가스 운반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