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3653A -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기계실 환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기계실 환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3653A
KR20180063653A KR1020160163672A KR20160163672A KR20180063653A KR 20180063653 A KR20180063653 A KR 20180063653A KR 1020160163672 A KR1020160163672 A KR 1020160163672A KR 20160163672 A KR20160163672 A KR 20160163672A KR 20180063653 A KR20180063653 A KR 20180063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exhaust
duct
deck
t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길영선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3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3653A/ko
Publication of KR20180063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36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7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침수 위험이 적으며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킨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기계실 환기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기계실 환기 시스템은,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선체부(2)의 상갑판(2a) 아래로 복수의 내부 갑판(2a ~ 2e)에 의해 복수의 독립된 층의 공간으로 마련한 기계실(4)을 환기시키기 위한 환기 시스템으로서, 선체부(2)의 좌우 중심에 중첩되거나 또는 좌우 중심에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상갑판(2a) 위에 전후 방향으로 멀리 떨어뜨려서 탑재되는 흡기탑(100) 및 배기탑(200); 상기 상갑판(2a)과 제2 갑판(2b) 사이를 상하방향으로 상부 공간(310)과 하부 공간(320)으로 구획하는 중간 갑판(300); 상기 중간 갑판(300)에 의해 구획된 상부 공간(310)에 상기 흡기탑(100) 및 배기탑(200)과 각각 연결되어서 수평으로 설치되는 가로형 흡기 공통 덕트(110) 및 가로형 배기 공통 덕트(210); 상기 가로형 흡기 공통 덕트(110) 및 가로형 배기 공통 덕트(210)로부터 각각 복수 개로 분기되는 가로형 흡기 가지 덕트(110a) 및 가로형 배기 가지 덕트(210a); 상기 가로형 흡기 가지 덕트(110a) 및 가로형 배기 가지 덕트(210a)에 각각 연결되어 기계실(4)의 각 층으로 하향 연장되는 세로형 흡기 덕트(120) 및 세로형 배기 덕트(220);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기계실 환기 시스템{Ventilation System for Floating Offshore Structure}
본 발명은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기계실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조가 간단하고 침수 위험이 적으며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킨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유식 해양 구조물로서는, 해상에 정박한 채 해저 유전으로부터 원유가스를 채굴하여 전처리, 액화 및 저장하고, 저장된 액화가스를 천연가스 운반선에 하역할 수도 있도록 만들어진 FLNG(LNG-FPSO), 해상에 정박한 채 해저 유전에서 원유를 채굴하여 저장하고 운반선으로 하역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unit) 등, 여러 가지 형태의 것이 있다.
예를 들어, FLNG 선박은, 상갑판을 기준으로 아래쪽의 선체부(Hull Part)에는 LNG, LPG 및 응축물(Condensate)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탱크가 갖추어지고, 위쪽의 갑판 상부(Top side)에는 채굴한 원유가스를 처리하고 액화하여 생산물을 생산하기 위한 공정 모듈(processing module), 저장된 생산물의 하역을 위한 하역설비, 작업자가 생활하기 위한 거주구(Living Quarter) 등이 탑재된다.
이러한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선체에서, 저장 탱크를 제외한 선미 또는 선수의 하부의 선체에는 엔진 룸, 보일러, 청수 장치, 밸러스트 펌프, 모터, 변압기 등의 전기설비, 가스 압축기, 공기 압축기 등의 기계장비를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기계실(Machinery Space)이 마련된다.
기계실은 여러 개의 독립된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독립 공간을 환기시키기 위한 환기 시스템을 함께 구비하게 된다.
환기 시스템은, 기계실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한편,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도입시킴으로써, 기계실의 각 공간에 작업자가 안전하게 출입하고 체류를 가능케 하며 공기가 필요한 설비에는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종래의 환기 시스템을 보인 것으로서, 도 1에는 개략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선체 뒤에서 바라본 개략 배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기계실(4)은, 선체부(2)의 상갑판(2a) 아래로 복수의 내부 갑판(2a ~ 2e)에 의해 복수의 독립된 층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층마다 하나 이상의 독립 공간(도시 생략)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환기 시스템은, 별도의 흡기탑(10)과 배기탑(20)을 상갑판(2a)의 상부로부터 외부로 크게 돌출시킨 형태로 설치하며, 흡기탑(10)으로부터 각 층의 기계실(4)로 통하도록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는 흡기 덕트(12), 그리고 배기탑(20)으로부터 각 층의 기계실로 통하도록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는 배기 덕트(22)를 구비한다.
흡기탑(10)과 배기탑(20)은 서로 멀리 떨어뜨려 배치하여 배기탑(20)에서 나온 오염 공기가 다시 흡기탑(1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흡기탑(10)과 배기탑(20)을 환기가 필요한 구역마다 단독으로 설치함으로써 상갑판(2a) 위쪽에는 여러 개의 흡기탑(10)과 배기탑(20)이 존재하게 된다.
그런데 FLNG와 같은 부유식 해양 구조물은 상갑판(2a) 위쪽에 각종의 공정설비를 탑재한 갑판상부(Top Side)가 마련되므로, 그것들을 피해 흡기탑(10)와 배기탑(20)를 여러 개씩 배치하려면 공간적 제약이 많이 따른다. 특히, 갑판상부의 공정설비 중에는 화기가 존재하거나 화기의 접근이 제한되는 위험 영역(Hazard Area)이 있으므로 흡기탑(10)이나 배기탑(20)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한정적이고, 그것에 의해 다른 장비나 통로 구조물들의 배치와 충돌하여 최적의 선박설계에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흡기 덕트(12)나 배기 덕트(22)는 일반적으로 헐덕트(hull duct) 형태, 즉, 덕트의 일측이 선각(船殼) 격벽을 따라 설치되어 선체의 좌, 우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므로, 흡기탑(10)이나 배기탑(20)은 그 직상부인 선체의 좌, 우측 가장자리에 설치하여야 하였다.
이처럼 흡기탑(10)과 배기탑(20)을 선체의 좌, 우측 가장자리에 설치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탑(10)과 배기탑(20)의 통풍구(유입구 또는 배출구)를 침수에 대비하여 '침수 위험선'보다 높게 위치시켜야 하므로 흡기탑(10)과 배기탑(20)을 지나치게 높게 구축하여야 하는 폐단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1-007084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307571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2015-000005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흡기탑과 배기탑을 하나씩만 설치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침수 위험이 적고 통풍구를 높은 위치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 높이를 줄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기계실 환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기계실 환기 시스템은,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선체부(2)의 상갑판(2a) 아래로 복수의 내부 갑판(2a ~ 2e)에 의해 복수의 독립된 층의 공간으로 마련한 기계실(4)을 환기시키기 위한 환기 시스템으로서, 선체부(2)의 좌우 중심에 중첩되거나 또는 좌우 중심에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상갑판(2a) 위에 전후 방향으로 멀리 떨어뜨려서 탑재되는 흡기탑(100) 및 배기탑(200); 상기 상갑판(2a)과 제2 갑판(2b) 사이를 상하방향으로 상부 공간(310)과 하부 공간(320)으로 구획하는 중간 갑판(300); 상기 중간 갑판(300)에 의해 구획된 상부 공간(310)에 상기 흡기탑(100) 및 배기탑(200)과 각각 연결되어서 수평으로 설치되는 가로형 흡기 공통 덕트(110) 및 가로형 배기 공통 덕트(210); 상기 가로형 흡기 공통 덕트(110) 및 가로형 배기 공통 덕트(210)로부터 각각 복수 개로 분기되는 가로형 흡기 가지 덕트(110a) 및 가로형 배기 가지 덕트(210a); 상기 가로형 흡기 가지 덕트(110a) 및 가로형 배기 가지 덕트(210a)에 각각 연결되어 기계실(4)의 각 층으로 하향 연장되는 세로형 흡기 덕트(120) 및 세로형 배기 덕트(22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기계실 환기 시스템에서, 상기 흡기탑(100) 및 배기탑(200)은 선체의 좌우 중심 부분에 좌우의 침수 위험선을 벗어난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기계실 환기 시스템에서, 중간 갑판(300)에 의해 구획된 하부 공간(320)에는 보강 기둥(60)들을 이격시켜 배치하고, 이격된 보강 기둥(60)들 사이에 기계 또는 전기 설비를 탑재할 수 있는 장비 설치 룸(62)이 마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기계실 환기 시스템에서, 상기 흡기탑(100) 및 배기탑(200)은 거주구에 일측면이 접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기계실 환기 시스템에 의하면, 상갑판과 제2 갑판 사이를 상하방향으로 중간 갑판으로 구획하고, 구획된 상부 공간에 흡기 공통 덕트 및 배기 공통 덕트를 마련한 후, 각 흡기 공통 덕트 및 배기 공통 덕트로부터 가지 덕트를 분기하여 각 기계실에 연결함으로써, 각 기계실의 세로형 흡기 덕트마다 흡기탑을 설치할 필요없이 하나의 흡기탑만 설치하여도 되므로, 구조가 간단해지고 나머지 영역을 공정 설비 탑재를 위한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흡기탑(100) 및 배기탑(20)이 선체의 좌우방향 중심선에 중첩하거나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침수 위험이 없으므로 통풍구를 높은 위치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 높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중간 갑판에 의해 구하여 마련한 하부 공간을 활용하여 기계 또는 전기 설비를 탑재할 수 있는 별도의 장비 설치 룸을 마련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는 없던 새로운 설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환기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체 뒤에서 바라본 개략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환기 시스템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환기 시스템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시스템의 흡기 시스템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시스템의 배기 시스템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종래의 상갑판과 제2 갑판 사이의 보강 기둥의 설치 형태를 보인 선체 배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갑판과 제2 갑판 사이의 보강 기둥의 설치 형태를 보인 선체 배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환기 시스템을 보인 것으로서, 도 3에는 평면도(선미 부분만을 도시하였음)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배면도(선미 쪽에서 선수 쪽을 바라본 도면)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흡기 시스템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배기 시스템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부유식 해양 구조물은 선체부(2)의 상갑판(2a) 아래로 복수의 내부 갑판(2a ~ 2e)에 의해 복수의 독립된 층의 공간으로 기계실(4)이 마련되어 각종의 기계, 전기 설비가 설치된다.
기계실(4)은 격벽(4a)에 의해 다른 공간(예; LNG 저장 탱크, LPG 저장 탱크 등)과 격리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기계실 환기 시스템에서, 흡기탑(100)은, 선체부(2)의 좌우 중심에 중첩되거나 또는 좌우 중심에 근접한 위치에서 상갑판(2a) 위에 탑재한다.
배기탑(200)은, 상기 흡기탑(100)으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멀리 떨어진 위치의 상갑판(2a) 위에, 선체부(2)의 좌우 중심에 중첩되거나 또는 좌우 중심에 근접한 위치에 탑재한다.
바람직하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탑(100) 및 배기탑(200)은, 선체의 좌우 중심 부분에 좌우의 침수 위험선을 벗어난 내측에 배치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흡기탑(100) 및 배기탑(200)의 침수 가능성을 없애고, 그 높이를 낮출 수가 있다.
또한, 흡기탑(100) 및 배기탑(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갑판(2a) 위에 선원 주거용으로 마련되는 거주구(6) 구획에 일측면이 접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갑판상부(Top Side)에 다른 공정 설비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많이 확보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갑판(제1 갑판)(2a)과 제2 갑판(2b) 사이를 중간 갑판(300)으로 상하방향으로 구획하여, 중간 갑판(300)의 위쪽에 상부 공간(310)을 마련하고, 중간 갑판(300)의 아래쪽에 하부 공간(320)을 마련한다.
상기 중간 갑판(300)에 의해 구획된 상부 공간(310)에는, 가로형 흡기 공통 덕트(110)와 가로형 배기 공통 덕트(210)가 배치된다.
가로형 흡기 공통 덕트(110)는 일측이 흡기탑(100)에 연결되어서 상부 공간(310)에 전후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가로형 배기 공통 덕트(210)는 일측이 배기탑(200)에 연결되어서 상부 공간(310)에 전후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이러한 가로형 흡기 공통 덕트(110) 및 가로형 배기 공통 덕트(210)로부터는 각각 복수 개의 가로형 흡기 가지 덕트(110a) 및 가로형 배기 가지 덕트(210a)가 분기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가로형 흡기 가지 덕트(110a) 및 가로형 배기 가지 덕트(210a)는 가로형 흡기 공통 덕트(110) 및 가로형 배기 공통 덕트(210)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기계실(4) 측의 덕트와 연결된다.
기계실(4) 측의 덕트는, 각각 복수 개의 세로형 흡기 덕트(120) 및 세로형 배기 덕트(220)로 이루어진다.
세로형 흡기 덕트(120) 및 세로형 배기 덕트(220)는 기계실(4)의 각 층으로 하향 연장되어 각 기계실에 새로운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거나 각 기계실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배출시킨다.
가로형 흡기 가지 덕트(110a) 및 가로형 배기 가지 덕트(210a)는 이러한 세로형 흡기 덕트(120) 및 세로형 배기 덕트(220)를 향해 연장되어 각각의 상단부에 연결된다.
세로형 흡기 덕트(120)와 세로형 배기 덕트(220)는 기계실 내부의 공기 흐름을 원활히 하여 새로운 공기와 오염 공기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배치한다. 이를 위해, 세로형 흡기 덕트(120)와 세로형 배기 덕트(220)는 선체부(2)의 반대측 측면에 각각 일측면이 접하는 형태로 멀리 떨어뜨려 배치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기계실 환기 시스템의 흡기 시스템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4를 병행하여 참조한다.
상갑판(제1 갑판)(HULL DECK)(2a)과 제2 갑판(2ND DECK)(2b) 사이에 중간 갑판(300)으로 구획된 상부 공간(310)에는 가로형 흡기 공통 덕트(110)와 가로형 흡기 가지 덕트(110a)가 배치된다.
흡기탑(100)은 가로형 흡기 공통 덕트(110)에 연결된다.
가로형 흡기 가지 덕트(110a)에는 세로형 흡기 덕트(120)가 연결되어 있다.
세로형 흡기 덕트(120)는, 각 층별 기계실로 연장되어 해당 층의 기계실마다 공기를 유입시킨다. 도 5에서 세로형 흡기 덕트(120)는 각 층별 갑판(2b, 2c, 2d, 2e)을 통과하여 연장되고, 각 층마다 흡기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공기를 공급한다.
이와 같이, 상갑판(2a)과 제2 갑판(2b) 사이를 상하방향으로 중간 갑판(300)으로 구획하고, 구획된 상부 공간(310)에 흡기를 공통으로 유입시킬 수 있는 가로형 흡기 공통 덕트(110)를 마련한 후, 가로형 흡기 공통 덕트(110)로부터 가로형 흡기 가지 덕트(110a)를 분기하여 각 기계실의 세로형 흡기 덕트(120)에 연결함으로써, 각 기계실의 세로형 흡기 덕트(120)마다 흡기탑을 설치할 필요없이 하나의 흡기탑(100)만 설치하여도 된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기계실 환기 시스템의 배기 시스템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4를 병행하여 참조한다.
흡기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상갑판(2a)과 제2 갑판(2b) 사이에 중간 갑판(300)으로 구획된 상부 공간(310)에는 가로형 배기 공통 덕트(210)와 가로형 배기 가지 덕트(210a)가 배치된다.
배기탑(200)은 가로형 배기 공통 덕트(210)에 연결된다.
가로형 배기 가지 덕트(210a)에는 세로형 배기 덕트(220)가 연결되어 있다.
세로형 배기 덕트(220)는, 각 층별 기계실로 연장되어 해당 층의 기계실마다 연결되어 공기를 배출시킨다. 도 6에서 세로형 배기 덕트(220)는 각 층별 갑판(2b, 2c, 2d, 2e)을 통과하여 연장되고, 각 층의 오염된 공기를 세로형 배기 덕트(220)에 형성된 배기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배기탑(200)으로 배출한다.
이와 같이, 상갑판(2a)과 제2 갑판(2b) 사이를 상하방향으로 중간 갑판(300)으로 구획하고, 구획된 상부 공간(310)에 배기를 공통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가로형 배기 공통 덕트(210)를 마련한 후, 가로형 배기 공통 덕트(210)와 세로형 배기 덕트(220)를 가로형 배기 가지 덕트(210a)로 연결함으로써, 각 기계실의 세로형 배기 덕트(220)마다 배기탑을 설치할 필요없이 하나의 배기탑(200)만 설치하여도 된다.
다음으로, 도 7에는 종래의 상갑판과 제2 갑판 사이의 보강 기둥의 설치 형태를 보인 선체 배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종래에는 상갑판(2a)과 제2 갑판(2b)을 보강하기 위해, 보강 기둥(50)을 촘촘히 배치하여 상갑판(2a)과 제2 갑판(2b) 사이의 넓은 간격을 보강하여야 하였다. 따라서, 상갑판(2a)과 제2 갑판(2b) 사이의 공간은 쓸모없는 공간이 될 수밖에 없었다.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상갑판과 제2 갑판 사이의 보강 기둥의 설치 형태를 보인 선체 배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환기 시스템에 의하면, 상갑판(2a)과 제2 갑판(2b) 사이에 중간 갑판(300)이 배치되는 구조에 의해, 중간 갑판(300)과 제2 갑판(2b)의 간격이 좁아져서 지지 강성이 증가하므로 보강 기둥(60)을 넓게 벌려 배치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보강 기둥(60)을 넓게 유지하여 확보된 공간은 기계 또는 전기 설비를 탑재할 수 있는 장비 설치 룸(62)을 마련할 수 있다.
장비 설치 룸(62)은, 예를 들어 넓은 영역을 차지하는 변압기를 설치할 수 있는 변압기 설치 룸(Transformer room)이나 가스 컴프레서 조정설비 룸(Gas compressor VSD room)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2: 선체부
2a : 상갑판
2b: 제2 갑판
2c ~ 2e : 제3 ~ 제5 갑판
60: 보강 기둥
62: 장비 설치 룸
100: 흡기탑
110: 가로형 흡기 공통 덕트
110a: 가로형 흡기 가지 덕트
120: 세로형 흡기 덕트
200: 배기탑
210: 가로형 배기 공통 덕트
210a: 가로형 배기 가지 덕트
220: 세로형 배기 덕트
300: 중간 갑판
310: 상부 공간
320: 하부 공간

Claims (4)

  1.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선체부(2)의 상갑판(2a) 아래로 복수의 내부 갑판(2a ~ 2e)에 의해 복수의 독립된 층의 공간으로 마련한 기계실(4)을 환기시키기 위한 환기 시스템으로서,
    선체부(2)의 좌우 중심에 중첩되거나 또는 좌우 중심에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상갑판(2a) 위에 전후 방향으로 멀리 떨어뜨려서 탑재되는 흡기탑(100) 및 배기탑(200);
    상기 상갑판(2a)과 제2 갑판(2b) 사이를 상하방향으로 상부 공간(310)과 하부 공간(320)으로 구획하는 중간 갑판(300);
    상기 중간 갑판(300)에 의해 구획된 상부 공간(310)에 상기 흡기탑(100) 및 배기탑(200)과 각각 연결되어서 수평으로 설치되는 가로형 흡기 공통 덕트(110) 및 가로형 배기 공통 덕트(210);
    상기 가로형 흡기 공통 덕트(110) 및 가로형 배기 공통 덕트(210)로부터 각각 복수 개로 분기되는 가로형 흡기 가지 덕트(110a) 및 가로형 배기 가지 덕트(210a); 및
    상기 가로형 흡기 가지 덕트(110a) 및 가로형 배기 가지 덕트(210a)에 각각 연결되어 기계실(4)의 각 층으로 하향 연장되는 세로형 흡기 덕트(120) 및 세로형 배기 덕트(2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기계실 환기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흡기탑(100) 및 배기탑(200)은 선체의 좌우 중심 부분에 좌우의 침수 위험선을 벗어난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기계실 환기 시스템.
  3. 제1항에서,
    중간 갑판(300)에 의해 구획된 하부 공간(320)에는 보강 기둥(60)들을 이격시켜 배치하고, 이격된 보강 기둥(60)들 사이에 기계 또는 전기 설비를 탑재할 수 있는 장비 설치 룸(62)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기계실 환기 시스템.
  4. 제1항에서,
    상기 흡기탑(100) 및 배기탑(200)은 거주구에 일측면이 접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기계실 환기 시스템.
KR1020160163672A 2016-12-02 2016-12-02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기계실 환기 시스템 KR201800636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672A KR20180063653A (ko) 2016-12-02 2016-12-02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기계실 환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672A KR20180063653A (ko) 2016-12-02 2016-12-02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기계실 환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653A true KR20180063653A (ko) 2018-06-12

Family

ID=62622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672A KR20180063653A (ko) 2016-12-02 2016-12-02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기계실 환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365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84681A (zh) * 2021-03-05 2021-06-18 王维玉 一种适用于碹窑民居的加固型被动式通风系统及其施工工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0847A (ko) 2008-09-05 2011-06-24 사이뼁 소시에떼아노님 바닥-표면 연결 파이프와 앵커 라인을 위한 2개의 부이와 끼워맞춰지는 터릿을 포함하는 부유 지지체
KR101307571B1 (ko) 2012-03-21 2013-09-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듀얼 터렛 계류 시스템
KR20150000050U (ko) 2013-06-26 2015-01-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터릿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0847A (ko) 2008-09-05 2011-06-24 사이뼁 소시에떼아노님 바닥-표면 연결 파이프와 앵커 라인을 위한 2개의 부이와 끼워맞춰지는 터릿을 포함하는 부유 지지체
KR101307571B1 (ko) 2012-03-21 2013-09-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듀얼 터렛 계류 시스템
KR20150000050U (ko) 2013-06-26 2015-01-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터릿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84681A (zh) * 2021-03-05 2021-06-18 王维玉 一种适用于碹窑民居的加固型被动式通风系统及其施工工艺
CN112984681B (zh) * 2021-03-05 2022-05-06 王维玉 一种适用于碹窑民居的加固型被动式通风系统及其施工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5049B1 (ko) 탄화수소 프로세싱 베슬 및 방법
JP6067804B1 (ja) 液化ガス貯蔵設備を備えた浮体構造物及びその設計方法
JP6381872B2 (ja) 長大海上浮体設備
KR102428698B1 (ko) 액화가스 저장설비를 구비한 부체 구조물
US20100139547A1 (en) Piping structure for oil tanker
JP2015013494A5 (ko)
WO2012007900A1 (en) A ship including a tank space
JP2007203980A (ja) 貨物船の凹部船底構造
JP2015229430A (ja) Lng船
KR20180063653A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기계실 환기 시스템
JP2008183105A (ja) 船舶
JP2017154702A (ja) 生産設備を備える浮体構造物
KR20200014765A (ko) 해상 부체 구조물
KR100802584B1 (ko) 상갑판에 연료유 저장탱크를 갖는 선박
KR20180028645A (ko) Lng 재기화 선박
KR20110134164A (ko) 선박
KR20090112267A (ko) 착탈식 연료유 탱크가 배치된 컨테이너선
JP2005104187A (ja) タンカーのダクト装置
KR102327406B1 (ko) 컨테이너선의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JP7370885B2 (ja) 船舶
KR20240013503A (ko) 연료탱크 선박 모듈
JPH06336187A (ja) 液化ガス運搬船の船体構造
KR20240030930A (ko) 컨테이너선
Kim et al. T-Shape Barge Design for Transportation and Mating of Sakhalin II Topsides
JP2023087277A (ja) 液化ガス運搬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