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4759A - 절삭 인서트와 밀링 공구 - Google Patents

절삭 인서트와 밀링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4759A
KR20150004759A KR20140082683A KR20140082683A KR20150004759A KR 20150004759 A KR20150004759 A KR 20150004759A KR 20140082683 A KR20140082683 A KR 20140082683A KR 20140082683 A KR20140082683 A KR 20140082683A KR 20150004759 A KR20150004759 A KR 20150004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edge
edge
corner
cutting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82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마스 소그스트룀
쇠렌 시외베리
Original Assignee
산드빅 인터렉츄얼 프로퍼티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드빅 인터렉츄얼 프로퍼티 에이비 filed Critical 산드빅 인터렉츄얼 프로퍼티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50004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7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02Plate-like cutting inserts with special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FMAKING GEARS OR TOOTHED RACKS
    • B23F21/00Tool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achines for manufacturing gear teeth
    • B23F21/12Milling tools
    • B23F21/16Hobs
    • B23F21/163Hobs with inserted cut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23C3/28Grooving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02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utter
    • B23C5/08Disc-type c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FMAKING GEARS OR TOOTHED RACKS
    • B23F17/00Special methods or machines for making gear teeth,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23F17/005Special methods or machines for making gear teeth,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for machining tooth fillet or tooth ro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FMAKING GEARS OR TOOTHED RACKS
    • B23F21/00Tool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achines for manufacturing gear teeth
    • B23F21/12Milling tools
    • B23F21/14Profile cutters of disc type
    • B23F21/143Profile cutters of disc type with inserted cut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04Overall shape
    • B23C2200/0416Irreg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04Overall shape
    • B23C2200/0433Parallelogram
    • B23C2200/0438Parallelogram roun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04Overall shape
    • B23C2200/0472Trapez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24Cross section of the cutting edge
    • B23C2200/243Cross section of the cutting edge bevelled or chamfer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19Rotary cutting tool
    • Y10T407/1906Rotary cutting tool including holder [i.e., head]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 Y10T407/1942Peripherally spaced to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24Cutters, for shaping with chip breaker, guide or defl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24Cutters, for shaping with chip breaker, guide or deflector
    • Y10T407/245Cutters, for shaping with chip breaker, guide or deflector comprising concave surface in cutting face of tool

Abstract

저면(11), 칩면을 형성하며 연장 평면에 평행하게 연장된 반대쪽의 상면 (12) 및 상면과 저면 사이의 에지 측면 (13)을 포함하는 다수의 절삭 인서트(4)를 포함하며, 작업물에 슬롯을 밀링 가공하는 밀링 공구. 제 1 메인 절삭 에지(15)와, 에지 선(L)을 따라 연장된 전방 절삭 에지(17), 제 1 메인 절삭 에지와 전방 절삭 에지 사이에서 연장되어 연결하는 제 1 코너 절삭 에지(18)를 포함하며, 에지 측면과 칩면 사이에서 연장된 절삭 에지. 상기 제 1 코너 절삭 에지는 볼록한 형상을 갖고, 절삭 인서트의 후방부에 대하여, 전방 절삭 에지로 부터 전방으로 에지 선의 연장선을 형성하고 제 1 코너 절삭 에지의 지점까지 접선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선의 다른 쪽 위치로 확장된다.

Description

절삭 인서트와 밀링 공구{A CUTTING INSERT AND A MILLING TOOL}
본 발명은 작업물에 슬롯 밀링가공을 위해 형성된 밀링 공구용 절삭 인서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절삭 인서트는, 스플라인 조인트, 소위 스플라인, 예를들어 ISO14에 따른 스플라인 조인트의 내측 또는 외측의 치형 슬롯의 밀링 가공용으로 형성된다. 스플라인 조인트는 토크 전달을 위한 구성이며, 샤프트와 허브를 포함한다. 밀링 공구는 슬리팅(slitting) 커터 공구 및/또는 호브(hob) 밀링 공구를 포함한다. 보다 특히,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절삭 인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작업물에 슬롯을 밀링 가공하도록 형성된 밀링 공구에 관한 것이다.
작동 치형을 갖는 기어횔 또는 비작동 치형을 갖는 스플라인 조인트의 슬롯 절삭 가공에서, 오늘날의 기술을 사용하여, 인접한 치형(83)들 사이에 치형 슬롯(82)의 소위 이뿌리의 최종 형상, 즉 치형 슬롯(82)의 바닥면(81)과 스플라인 조인트의 샤프트(80)의 치형 슬롯(82)의 바닥의 영역을 (도 18 참조) 제공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어렵다. 이러한 어려움은 또한 스플라인 조인트의 허브(90)에도 존재한다. 오늘날, 그러한 슬롯의 가공은 이뿌리의 형상 또는 최종 형상이 후속적인 가공 단계들에 의해 달성되는 여러 단계들로 수행되며, 다른 밀링 인서트를 사용한 밀링가공과, 최종 가공 전에 작업물의 이전 측정의 요건들을 실시하는 다른 장치 및 다른 장비들에서의 연삭을 포함한다.
ISO14에 따라 형성된 스플라인 조인트는 소위 바닥 가이드(bottom guide)를 가지며, 그것은 스플라인 조인트의 센터링이 샤프트(80)의 치형 슬롯(82)의 바닥면(81)에 의해 실시됨을 의미한다. 이들 바닥면(81)들은 또한 허브(90)에 대한 샤프트(80)의 접촉면을 형성한다. 동시에 이러한 스플라인 조인트들에는, 샤프트(80)의 치형(83)의 외주면(91)과 허브(90)의 치형 슬롯(92) 사이에 갭이 있다.
샤프트(80)와 허브(hub)(90)의 중요한 접촉면들은 큰 여유를 가져야 하며, 그것은 가장 흔하게는 표면들을 연삭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접촉면들을 형성하는 샤프트(80)의 바닥면(81)이 연삭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샤프트(80)가 치형 슬롯(82)의 바닥면(81)과 각각의 인접한 치형(83)의 플랭크면(85) 사이에 언더컷(undercut)(84)을 갖는 것이 요구된다.
통상적으로, 샤프트는 가이드면의 최종 반경보다 큰 반경으로 하나씩 갭을 가공하여 제조된다. 이것은 중앙 샤프트에서 작업물을 회전시키면서 샤프트가 길이방향으로 전진하도록 이송되는 슬리팅 커터에 의해 수행된다. 이러한 작업은 또한 호브 공구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그러한 공구에서, 절삭 인서트들은 원기둥형의 공구 바디를 따라 나선형으로 수회전 배치된다. 공구가 회전됨과 동시에, 작업물(샤프트)도 회전하며, 동시에 샤프트나 공구는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이송된다.
다음 단계에서, 상기한 언더컷(84)을 예를들어 슬리트 커팅, 호빙 또는 다른 적당한 방법으로 형성한다.
제 3 단계에서, 상기 표면들은 요구되는 원형 및 원기둥 형상을 얻도록 가공되며, 가이드 표면들은, 이 경우 치형들 사이의 샤프트 바닥 또는 접촉면들은 최종 반경을 갖게 된다.
EP-B-580591은 기어휠의 슬롯 밀링 가공에 의해 거친 절삭 가공을 하도록 형성된 밀링 공구를 보여준다. 상기 밀링 공구는 다수의 세그먼트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세그먼트들은 하나씩 배열된 다수의 절삭날들을 포함한다. 상기 세그먼트들은 다르고 거친 가공, 반-미세 가공 및 최종 가공을 위해 형성된다. EP-B-580591는 거친 가공용 절삭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한 절삭날 각각은 저면, 칩면을 형성하는 반대쪽 상면, 상기 상면과 저면 사이의 에지 측면을 포함한다. 샤프트는 저면과 상면을 관통하여 연장된다. 절삭 에지는 에지 측면과 칩면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으며, 부분적으로 작업물과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절삭 에지는 상대적으로 짧은 제 1 측면 절삭 에지, 상대적으로 짧은 제 2 측면 절삭 에지와 함께 상대적으로 긴 전방 절삭 에지를 포함하며, 그 전방 절삭 에지는 제 1 및 제 2 측면 절삭 에지들을 접하면서 연결한다. 상기 전방 절삭 에지는 다른 곡률의 디자인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전방 절삭 에지의 디자인은 절삭날의 강도와 칩 제거능에 영향을 주는 기능을 갖는다.
US 2008/0206007는 터빈 디스크에 슬롯을 밀링 가공에 의해 거친 절삭 가공을 하는 다른 밀링 공구를 보여준다. 각각의 슬롯은 후속적인 최종 가공 후에 터빈 디스크에 터빈 블레이드를 수납 및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밀링 공구는 절삭 에지를 갖는 다수의 절삭 인서트들을 포함하며, 절삭 인서트는 제 1 측면 절삭 에지, 제 2 측면 절삭 에지, 및 전방 절삭 에지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 절삭 에지는 제 1 측면 절삭 에지와 제 2 측면 절삭 에지를 연결한다.
DE-929 588는 치형 가공용 밀링 공구를 보여준다. 상기 밀링 공구는 다수의 절삭 인서트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절삭 인서트는 전방 절삭 에지와 공동 측면의 절삭 에지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 절삭 에지는 공동 측면 절삭 에지와 직접 접한다.
EP 1356885는 캠샤프트 가공을 위한 밀링 공구에 장착되도록 형성된 다른 종류의 절삭 인서트를 보여준다. 상기 절삭 인서트는 저면, 그 반대쪽의 상면 및 칩면을 형성하는 에지 측면을 포함한다. 절삭 인서트의 부착을 위한 주 클램핑 방향은 밀링 공구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US 2003/0165363는 캠샤프트 가공을 위해 밀링 공구에 장착되도록 형성된 추가적인 예의 절삭 인서트를 보여준다.
US 2003/0005803는 캠샤프트 가공을 위해 밀링 공구에 장착되도록 형성된 다른 예의 절삭 인서트를 보여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플라인 조인트의 보다 효율적인 제조를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플라인 조인트의 보다 효율적인 제조를 허용하는 절삭 인서트와 밀링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상기 절삭 에지가, 밀링 가공을 하는 동안에 작업물과 맞물리게 형성되고 제 1 메인 절삭 에지와 전방 절삭 에지 사이에 배치된 제 1 코너 절삭 에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코너 절삭 에지는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코너 절삭 에지는, 후방부에 대하여, 전방 절삭 에지로 부터, 에지 선의 제 1 연장선을 형성하는 가상선의 다른쪽에 있는 위치까지 전방으로 확장되고, 전방 절삭 에지의 끝으로 부터 제 1 코너 절삭 에지의 제 1 지점까지 접선방향으로 더 확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제부에 기재된 절삭 인서트에 의해 달성된다.
그러한 제 1 코너 절삭 에지에 의해, 작업물의 슬롯, 예를들어 샤프트 또는 허브 형태의 스플라인 조인트의 치형 슬롯을 밀링 가공하는 다수의 가공 공정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하나의 같은 가공 공정에서, 즉 공구의 교체 없이, 슬롯, 그 슬롯의 바닥면, 및 바닥면과 슬롯의 한 측면, 즉 치형의 플랭크면 사이의 언더컷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절삭 인서트에 의해, 상기한 적어도 두개의 초기 가공 단계들은 단일의 가공 단계로 대체될 수 있다. 표면들, 특히 바닥면의 후속적인 마무리는 슬롯이 밀링 가공된 다음에 직접 수행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스플라인 조인트의 제조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허용한다. 상기 제 1 메인 절삭 에지는 전방 절삭 에지 보다 더 긴 것이 유익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1 코너 절삭 에지는 전방 절삭 에지로 부터 적어도 제 1 지점까지 일정한 반경을 갖는다. 그러한 일정한 반경은 언더컷의 균일한 표면과 균일한 칩 유동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1 코너 절삭 에지는, 절삭 인서트의 길이방향 축선과 중앙부에 대하여, 제 1 메인 절삭 에지로 부터, 제 1 메인 절삭 에지의 연장선을 형성하는 가상선의 다른 쪽에 있는 위치까지 외측으로 확장되고, 제 1 메인 절삭 에지의 끝으로 부터 제 1 코너 절삭 에지의 지점까지 접선방향으로 더 확장된다. 이렇게 하여, 상기 언더컷은 바닥면에 접하는 치형으로의 연장부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1 코너 절삭 에지는, 그 제 1 코너 절삭 에지와 제 1 메인 절삭 에지 사이에서 만곡된 전이부를 형성하는 제 1 전이 구역에 의해 제 1 메인 절삭 에지와 연결된다. 이렇게 하여, 제 1 메인 절삭 에지와 제 1 코너 절삭 에지 사이의 매끄러운 전이부가 얻어지며, 이것은 절삭 인서트의 긴 수명에 기여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1 코너 절삭 에지는 제 1 경계 구역에 의해 전방 절삭 에지와 연결되며, 이것은 제 1 코너 절삭 에지와 전방 절삭 에지 사이에 만곡된 전이부를 형성한다. 이렇게 하여, 제 1 코너 절삭 에지와 전방 절삭 에지 사이의 매끈한 전이부가 얻어지며, 이것은 절삭 인서트의 긴 수명에 기여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절삭 에지는, 상기 밀링 가공하는 동안에 작업물과 맞물리도록 형성된 제 2 메인 절삭 에지와, 상기 제 2 메인 절삭 에지와 전방 절삭 에지를 그 사이에서 연장되어 연결하며 밀링 가공하는 동안에 작업물과 맞물리도록 형성된 제 2 코너 절삭 에지를 포함하며, 제 2 코너 절삭 에지는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 후방부에 대하여, 전방 절삭 에지로 부터 에지 선의 제 2 연장선을 형성하는 가상선의 다른 쪽에 있는 위치까지 전방으로 확장되고, 전방 절삭 에지의 끝으로 부터 제 2 코너 절삭 에지의 제 2 지점까지 접선방향으로 더 확장된다. 이러한 절삭 인서트에 의해, 같은 가공 공정에서, 즉 공구의 교체 없이 샤프트의 슬롯 또는 스플라인 조인트의 허브, 슬롯의 바닥면, 및 두개의 인접한 치형들과 바닥면 사이의 언더컷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2 코너 절삭 에지는, 그 제 2 코너 절삭 에지와 제 2 메인 절삭 에지 사이에서 만곡된 전이부를 형성하는 제 2 전이 구역에서 제 2 메인 절삭 에지와 연결된다. 이렇게 하여, 제 2 메인 절삭 에지와 제 2 코너 절삭 에지 사이에 매끄러운 전이부가 얻어지며, 이것은 절삭 인서트의 긴 수명에 기여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2 코너 절삭 에지는, 제 2 코너 절삭 에지와 전방 절삭 에지 사이에서 만곡된 전이부를 형성하는 제 2 경계 구역에서 전방 절삭 에지와 연결된다. 이렇게 하여, 제 2 코너 절삭 에지와 전방 절삭 에지 사이에 매끄러운 전이부가 얻어지며, 이것은 절삭 인서트의 긴 수명에 기여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2 코너 절삭 에지는, 절삭 인서트의 길이방향 축선과 중앙부에 대하여, 제 2 메인 절삭 에지로 부터 제 2 메인 절삭 에지의 연장선을 형성하는 가상선의 다른 쪽에 있는 위치까지 외측으로 확장되고, 제 2 메인 절삭 에지로 부터 제 2 코너 절삭 에지의 지점까지 접선방향으로 더 확장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1 메인 절삭 에지와 제 2 메인 절삭 에지는 제 1 코너 절삭 에지와 제 2 코너 절삭 에지 각각에 까지 서로를 향하여 수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길이방향 축선은 제 1 메인 절삭 에지와 제 2 메인 절삭 에지 각각과 수렴각을 형성하며, 상기 수렴각은 15°- 45°사이에 있다. 예를들어, 상기 수렴각은 15°- 45°사이로 될 수 있으며, 이것은 호브 공구에 절삭 인서트를 사용하기에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1 메인 절삭 에지와 제 2 메인 절삭 에지는 길이방향 축선에 대하여 대칭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1 메인 절삭 에지와 제 2 메인 절삭 에지 각각은 전방 절삭 에지 보다 더 길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방 절삭 에지는 오목하다. 이렇게 하여, 두개의 언더컷에 의해 둘러싸인 볼록한 바닥면이 두개의 치형들 사이에서 슬롯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방 절삭 에지는 볼록하다. 이렇게 하여, 두개의 언더컷에 의해 둘러싸인 오목한 바닥면이 두개의 인접한 치형들 사이에서 슬롯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방 절삭 에지는 직선형이다. 이렇게 하여, 두개의 언더컷에 의해 둘러싸인 직선형의 바닥면이 두개의 인접한 치형들 사이에서 슬롯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에지 측면은 관통 샤프트에 평행한 두께를 가지며, 상기 상면은 길이방향 축선과 관통 샤프트에 직각의 연장부를 가지며, 상기 연장부는 두께 보다 더 길다. 이러한 형상은 절삭 인서트의 소위 반경 방향 장착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절삭 인서트는 길이방향 축선에 평행하게 연장된, 저면의 길이방향 홈을 포함한다. 그러한 홈은 밀링 공구의 시트 지지면의 리지와 상호 작용하여 밀링 공구에 절삭 인서트를 정확하게 배치하고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공구 바디와, 그 공구 바디에 장착되는 전기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다수의 절삭 인서트를 포함하고, 회전 축선에서 회전하도록 형성된, 작업물에 슬롯을 밀링 가공하도록 형성된 밀링 공구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각각의 절삭 인서트의 길이방향 축선은 회전 축선과 교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공구 바디는 각각의 절삭 인서트용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는 회전 축선에 평행한 지지 평면을 따라 연장된 지지면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지지면은 절삭 인서트의 저면의 길이방향 홈과 상호작용하는 리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여러 실시예들에 대한 기재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다수의 절삭 인서트를 포함하는 밀링 공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밀링 공구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밀링 공구의 다른 각도에서 본 정면도.
도 4는 다수의 절삭 인서트를 포함하는 다른 밀링 공구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밀링 공구의 정면도.
도 6은 도 4의 밀링 공구의 측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절삭 인서트의 사시도.
도 7b는 도 7a의 절삭 인서트의 평면도.
도 7c는 도 7a의 절삭 인서트의 정면도.
도 7d는 도 7a의 절삭 인서트의 측면도.
도 7e는 도 7a의 절삭 인서트의 저면도.
도 7f는 도 7a의 절삭 인서트에 의해 가공된 작업물의 단면도.
도 7g는 도 7a의 절삭 인서트의 위에서 본 확대도.
도 7h는 도 7a의 절삭 인서트의 정면부의 위에서 본 다른 확대도.
도 8a-8f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절삭 인서트에 대한, 도 7a-7f에 대응된 6개의 다른 도면이다.
도 9a-9f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절삭 인서트에 관한 도 7a-7f에 대응된 6개의 다른 도면이다.
도 10a-10f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절삭 인서트에 관한 도 7a-7f에 대응된 6개의 다른 도면이다.
도 11a-11f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절삭 인서트에 관한 도 7a-7f에 대응된 6개의 다른 도면이다.
도 12a-12f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절삭 인서트에 관한 도 7a-7f에 대응된 6개의 다른 도면이다.
도 13a-13f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절삭 인서트에 관한 도 7a-7f에 대응된 6개의 다른 도면이다.
도 14a-14f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절삭 인서트에 관한 도 7a-7f에 대응된 6개의 다른 도면이다.
도 15a-15f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절삭 인서트에 관한 도 7a-7f에 대응된 6개의 다른 도면이다.
도 16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변형예의 절삭 인서트의 평면도.
도 17은 작업물과 맞물린, 도 18의 절삭 인서트의 평면도.
도 18은 스플라인 조인트의 단면도.
도 1-3은 도 17에 도시된 작업물(2)에 슬롯, 예를들어 스플라인 조인트, 소위 스플라인 및 랙의 치형 슬롯을 가공하기 위해 형성된 밀링 공구(1) 및 치형이 형성된 요소를 보여준다. 스플라인 조인트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같이 샤프트(80)와 허브(90)를 포함한다. 상기 샤프트(80)는 외측 치형 슬롯(82)을 가지며, 허브(90)는 내측 치형 슬롯(92)을 갖는다. 상기 치형 슬롯(82,92)은 샤프트(80)와 스플라인 조인트의 길이방향 축선(Y)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작업물(2)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작업물 스핀들에 고정된다. 도 1-3에 도시된 밀링 공구(1)는 소위 슬롯 커터 형태로 되어 있으며 공구 바디(3)를 포함하고, 상기 공구바디(3)는 강으로 제조되며 교체가능한 다수의 절삭 인서트(4)를 포함한다. 상기 공구 바디(3)는 밀링 공구(1)가 회전방향(R1)으로 회전하는 회전 축선(C1)을 규정한다.
도 4-6은 다른 밀링 공구(1)를 보여주며, 예를 들면 스플라인 조인트, 소위 스플라인, 및 랙의 치형 슬롯을 작업물(2)에 밀링가공하도록 형성되는 다른 밀링 공구(1)와 그와 같은 치형이 형성된 요소를 보여준다. 도 4-6에 도시된, 밀링 공구(1)는 소위 호브 공구(hob tool)이며, 공구 바디(3)를 포함하고, 그 공구 바디는 강으로 제조될 수 있고 다수의 교체가능한 절삭 인서트(4)를 갖는다. 상기 공구 바디(3)는 밀링 공구(1)가 회전방향(R1)으로 회전하는 회전 축선(C1)을 규정한다.
도 1-6의 밀링 공구의 공구 바디(3)는 다수의 분리된 시트(8)들을 포함하며 회전 축선(C1)을 중심으로 확장된 외주면(7)을 갖고, 상기 시트(8)들은 외주면(7)에 배치된다. 각각의 시트(8)는 절삭 인서트(4)들을 하나씩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시트(8)와 절삭 인서트(4)들은 라인 x를 따라 차례로 배치된다(도 2와 5 참조). 도 1-3에 도시된 밀링 공구(1)에서, 라인 x는 회전 축선(C1)에 직각인 평면에 놓인다. 도 3-5에 도시된, 호브 공구 형태인 밀링 공구(1)에서, 절삭 인서트(4)는 라인 x를 따라 공구 바디(3)에 배치된다. 이러한 밀링 공구에서 라인 x는 나선형 형상으로 되고, 회전 축선(C1)에 직각인 평면에 대하여 피치각(β)을 갖고 일정한 피치를 갖는다. 상기 피치각(β)은 1-10°이다.
도 7a-19를 참고하여 절삭 인서트(4)의 다른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밀링 공구(1)의 절삭 인서트(4)들 모두는 동일하지만, 밀링 공구(1)에서 다른 위치에 다른 절삭 인서트를 이용할 수도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절삭 인서트(4)들은 공구 바디(3) 보다 경질의 재료, 예를들어 초경합금으로 제조된다.
도 7a-7g에 있어서, 도시된 제 1 실시예의 절삭 인서트(4)는 저면(11)과 그 반대쪽의 상면(12) 및 에지 측면(13)을 포함하며, 상기 상면은 연장 평면(P)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칩면을 형성하고, 에지 측면은 상면(12)과 저면(11) 사이에서 연장된다. 관통 축선(A)이 절삭 인서트(4)의 중앙부(4B)와 연장 평면(P)에 직각인 저면(11) 및 상면(12)을 관통하여 연장된다. 길이방향의 축(S)은 상기 관통 축선(A)에 직각으로 교차한다. 상기 절삭 인서트(4)는 또한 후방부(4A)와 전방부(4C)를 포함한다. 길이방향 축선(S)은 상기 후방부(4A)와 중앙부(4B) 및 전방부(4C)를 관통하여 연장된다. 제 1 실시예에 따라, 후방부는 상면(12)과 저면(11) 사이의 뒷면(14)을 형성한다. 상기 뒷면(14)은 적어도 연장 평면(P)에서 또는 연장 평면(P)와 같은 레벨에서 길이방향 축선(S)에 직각으로 연장된다.
절삭 인서트(4)는 에지 측면(13)과 칩면, 즉 상면(12) 사이에서 연장된 절삭 에지를 또한 포함한다. 상기 절삭 에지는 제 1 메인 절삭 에지(15), 제 2 메인 절삭 에지(16), 전방 절삭 에지(17), 제 1 코너 절삭 에지(18), 및 제 2 코너 절삭 에지(19)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코너 절삭 에지(18)는 제 1 메인 절삭 에지(15)와 전방 절삭 에지(17) 사이에 배치된다. 제 2 코너 절삭 에지(19)는 제 2 메인 절삭 에지(16)와 전방 절삭 에지(17) 사이에 배치된다. 제 1 코너 절삭 에지(18), 전방 절삭 에지(17) 및 제 2 코너 절삭 에지(19)들은 전방부(4C)에 배치된다.
절삭 인서트(4)는 포지티브(positive) 절단 형상을 가지며, 그것은 연장 평면(P)에 대한 수직선이 절삭 에지를 따라, 즉 제 1 메인 절삭 에지(15), 제 2 메인 절삭 에지(16), 전방 절삭 에지(17), 제 1 코너 절삭 에지(18) 및 제 2 코너 절삭 에지(19)를 따라 에지 측면(13)과 예각의 여유각(γ)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유각(γ)은 전체 절삭 에지를 따라 동일할 수 있지만, 변화될 수 있고, 제 1 메인 절삭 에지(15), 제 2 메인 절삭 에지(16), 전방 절삭 에지(17), 제 1 코너 절삭 에지(18) 및/또는 제 2 코너 절삭 에지(19)를 따라 다르게 될 수도 있다. 유익하게는, 각각의 절삭 인서트(4)의 길이방향 축선(S)은 도 4-6에 도시된 공구 바디(3)와 함께 도 1-3에 도시된 공구 바디(3)의 회전 축선(C1)과 교차한다. 다시 말해서, 절삭 인서트(4)의 칩면의 연장 평면(P)은 회전 축선(C1)에 대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되어 있다.
특히, 도 7c 와 7e에 도시되어 있듯이, 절삭 인서트(4)의 저면(11)은 길이방향 축선(S)에 평행하게 연장된 길이방향 홈(20)을 포함한다. 길이방향 홈(20)은 회전 축선(C1)에 대하여 절삭 인서트(4)가 밀링 공구(1)에 장착될 때, 반경방향 또는 기본적으로 반경방향의 연장부를 갖는다. 길이방향 홈(20)은 바닥면(21)과 두개의 측면(22)을 포함한다. 상기 측면(22)은 바닥면(21)을 저면(11)과 연결한다.
상기 바닥면(21)과 측면(22)들은, 도 1과 4에 도시되어 있듯이 절삭 인서트(4)가 공구 바디(3)에 장착될 때, 공구 바디(3)의 시트(8)의 제 1 지지면(24)으로 부터 상방향으로 연장된 리지(23)의 대응 표면과 상호작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면(22)은 서로에 대하여 각도를 이루고서 형성된다. 그 각도는 리지(23)의 대응된 측면들의 각도와 동일하거나 같다. 게다가, 절삭 인서트(4)가 시트(8)에 장착될 때, 길다란 홈(20)과 리지(23)는 서로 맞물리게 된다. 이러한 연결에서, 측면(22)들은 리지(23)의 대응된 측면들에 대해 접촉한다. 상기 바닥면(21)과 리지(23)의 대응된 상면 사이에 갭이 있을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각각의 절삭 인서트(4)는 웨지(25)에 의해 시트(8)에 장착되며, 상기 웨지는 고정나사(26)에 의해 내측으로, 거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눌려진다. 상기 웨지(25)가 내측으로 변위될 때, 웨지는 제 1 지지면(24)과 리지(23)에 대하여 하방으로 절삭 인서트(4)를 누름과 동시에, 뒷면(14)이 제 2 지지면(27)에 대하여 접촉하는 식으로 제 2 지지면(27)에 대하여 내측으로 누른다. 절삭 인서트(4)가 시트(8)에 장착될 때, 절삭 인서트(4)의 상면(12) 또는 칩면의 상기 연장 평면 P는 밀링 공구(1)의 회전 축선(C1)에 대하여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에지 측면(13)은 관통 축선(A)에 평행한 두께를 갖는다. 상기 상면(12)은 길이방향 축선 S과 관통 축선 A에 직각인 연장부를 갖는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두께보다 더 길다.
상기 제 1 메인 절삭 에지(15)와 제 2 메인 절삭 에지(16)들은 모두 밀링 가공중에 작업물(2)과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메인 절삭 에지(15, 16)들은 가공될 치형 슬롯의 플랭크면을 밀링가공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으로 상기 제 1 메인 절삭 에지(15) 및 코너 절삭 에지(18)와, 다른 한편으로는 제 2 메인 절삭 에지(16) 및 코너 절삭 에지(19)는 제 1 실시예에서 대칭선을 형성하는 길이방향 축선(S)에 대하여 대칭이다. 상기 제 1 메인 절삭 에지(15)와 제 2 메인 절삭 에지(16)는 전방 절삭 에지(17)를 향하여 서로를 향해 수렴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메인 절삭 에지(15)와 제 2 메인 절삭 에지(16)는 전방 절삭 에지(17)를 향하여 메인 절삭 에지 전체를 따라 수렴한다. 상기 길이방향 축선(S)는 제 1 메인 절삭 에지(15)와 제 2 메인 절삭 에지(16) 각각과 수렴각(α)을 형성한다. 특히 도 4-6에 도시된 호브 공구용 절삭 인서트(4)들 각각에 대하여, 상기 수렴각(α)은 15-32°의 간격을 이룬다. 그러나, 상기 수렴각(α)은 제 1 및 제 2 메인 절삭 에지(15, 16)들 전체를 따라 일정할 필요는 없고, 변화될 수 있다(도 10b와 11b 참조).
더욱이, 상기 수렴각(α)은 용도에 따라 위에 주어진 것과 다른 값을 가질 수도 있으며, 15-45°의 간격으로 될 수도 있다. 스플라인 조인트 또는 스플라인의 밀링 가공의 경우에, 상기 수렴각(α)은 30-45°의 간격으로 되거나, 예를들어 기준에 따라 30°, 37.5° 또는 45°로 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메인 절삭 에지(15)와 제 2 메인 절삭 에지(16)는 길이방향 축선(S)에 대하여 대칭이 아님을 주목해야 한다. 예를들어, 제 1 메인 절삭 에지(15)의 수렴각(α)은 제 2 메인 절삭 에지(16)의 수렴각(α)과 소량만큼 다를 수 있다. 예를들어 이러한 비대칭인 절삭 인서트들은 스플라인 조인트의 지배적인 하중 방향을 최적화하는 것이 필요할 때 이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 1 메인 절삭 에지(15)와 제 2 메인 절삭 에지(16)는 전방 절삭 에지(17)보다 길게 또는 상당히 길게 될 수 있다. 상기 전방 절삭 에지(17)는 에지 선(L)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전방 절삭 에지(17), 제 1 코너 절삭 에지(18), 및 제 2 코너 절삭 에지(19)들은 또한 밀링 가공하는 동안에 작업물(2)과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상기 전방 절삭 에지(17), 제 1 코너 절삭 에지(18), 및 제 2 코너 절삭 에지(19)들은 작업물(2)의 두개의 인접한 치형 슬롯(82)들 사이의 개쉬(gash)에 바닥면의 최종 형상을 제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치형 슬롯(82)은 두개의 언더컷(84)을 가지며, 제 1 언더컷(84)은 바닥면(81)과 치형 슬롯(82)의 제 1 플랭크면(85) 사이에 형성되고, 그리고 제 2 언더컷(84)은 바닥면(81)과 치형 슬롯(82)의 제 2 플랭크면(85) 사이에 형성된다(도 7f와 18 참조).
상기 제 1 코너 절삭 에지(18)와 제 2 코너 절삭 에지(19)는 볼록한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 1 코너 절삭 에지(18)는 후방부(4A)에 대하여 전방 절삭 에지(17)로 부터, 가상선의 다른 쪽에 있는 위치를 향하여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상선은 전방 절삭 에지(17)의 단부로 부터 제 1 코너 절삭 에지(18)의 제 1 지점(P')까지 접선 방향으로 더 연장되고 에지 선(L)의 제 1 연장선(L')을 형성하며, 상기 제 1 연장선 (L')은 상면(12)의 제 1 코너 절삭 에지(18) 내측에 있고, 이것은 도 7g와 7h에 특히 잘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 코너 절삭 에지(19)는 후방부(4A)에 대하여, 전방 절삭 에지(17)로 부터, 가상선의 다른 쪽에 있는 위치를 향하여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상선은 전방 절삭 에지(17)의 단부로 부터 제 2 코너 절삭 에지(19)의 제 2 지점(P'') 까지 접선방향으로 더 연장되고 에지 선(L)의 제 2 연장선(L'')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연장선(L'') 은 상면(12)의 제 2 코너 절삭 에지(19) 내측에 위치한다.
더욱이, 상기 제 1 코너 절삭 에지(18)는 길이방향 축선(S)과 중앙부(4B)에 대하여, 제 1 메인 절삭 에지(15)로 부터 가상선의 다른 쪽에 있는 위치까지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가상선은 제 1 메인 절삭 에지(15)의 연장선(15L)을 형성하고 제 1 메인 절삭 에지(15)의 끝에서 제 1 코너 절삭 에지의 지점(15P)까지 접선방향으로 더 연장되며, 상기 연장선(15L)은 상면(12)의 제 1 코너 절삭 에지(18) 내측에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코너 절삭 에지(18)는 길이방향 축선(S)과 중앙부(4B)에 대하여 제 2 메인 절삭 에지(16)로 부터 가상선의 다른 쪽에 있는 위치까지 외측으로 확장되며, 가상선은 제 2 메인 절삭 에지(16)의 연장선(16L)을 형성하고 제 2 메인 절삭 에지(16)의 끝에서 제 2 코너 절삭 에지의 지점(16P)까지 접선방향으로 더 연장되며, 상기 연장선(16L)은 상면(12)의 제 2 코너 절삭 에지(19)의 내측에 있다.
이와 같이 볼록하게 돌출된 코너 절삭 에지(18, 19)에 의해, 상기 언더컷(84)들은 밀링 가공될 치형 슬롯에 확보된다.
제 1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코너 절삭 에지(18)와 제 2 코너 절삭 에지(19)는 전방 절삭 에지(17)로 부터 각각 적어도 제 1 지점(P')과 제 2 지점(P'')까지, 바람직하게는 각각 상기 지점(P', P'')을 지나는 일정한 반경을 갖는다.
상기 제 1 코너 절삭 에지(18)는 제 1 전이 구역(15')에 의해 제 1 메인 절삭 에지(15)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전이 구역은 절삭 에지의 일부와, 제 1 메인 절삭 에지(15)와 제 1 코너 절삭 에지(18) 사이의 만곡된 또는 굽은 전이부를 형성한다. 상기 제 2 코너 절삭 에지(19)는 제 2 전이 구역(16')에 의해 제 2 메인 절삭 에지(16)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전이 구역은 절삭 에지의 일부와, 제 2 메인 절삭 에지(16)와 제 2 코너 절삭 에지(19) 사이의 만곡된 또는 굽은 전이부를 형성한다. 이들 전이 구역(15',16')들은 반경을 가짐으로써, 제 1 코너 절삭 에지(18)와 제 1 메인 절삭 에지(15) 사이 그리고 제 2 코너 절삭 에지(19)와 제 2 메인 절삭 에지(16) 사이에 매끄러운 전이부가 얻어진다
상기 제 1 코너 절삭 에지(18)는 제 1 경계 구역(18')에 의해 전방 절삭 에지(17)와 연결되며, 상기 제 1 경계 구역은 절삭 에지의 일부와, 제 1 코너 절삭 에지(18)와 전방 절삭 에지(17) 사이에 만곡된 또는 굽은 전이부를 형성한다. 상기 제 2 코너 절삭 에지(19)는 제 2 경계 구역(19')에 의해 전방 절삭 에지(17)와 연결되고, 상기 제 2 경계 구역은 절삭 에지의 일부와, 제 2 코너 절삭 에지(19)와 전방 절삭 에지(17) 사이에 만곡된 또는 굽은 전이부를 형성한다. 이들 경계 구역(18', 19')들은 반경을 가짐으로써, 제 1 코너 절삭 에지(18)와 전방 절삭 에지(17) 사이 그리고 제 2 코너 절삭 에지(19)와 전방 절삭 에지(17) 사이에 매끄러운 전이부가 얻어진다.
제 1 실시예에서, 상기 전방 절삭 에지(17)는 오목하다. 이러한 방식에서, 두개의 언더컷(84)들에 의해 둘러싸이는 볼록한 바닥면(81)이 인접한 치형(83)들 사이에서 슬롯(82)에 제공될 수 있다(도 7f, 18 참조).
도 8a-8f는 제 2 실시예의 절삭 인서트(4)를 보여주며, 그것은 전방 절삭 에지(17)가 볼록한 점에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절삭 인서트(4)와 다르다. 그런 방식으로, 두개의 언더컷(84)에 의해 둘러싸인 오목한 바닥면(81)이 두개의 인접한 치형(83)들 사이에서 슬롯(82)들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도 8f,18 참조). 상기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에 도시된 길이방향 홈(20)이 결여된, 바닥면(11)이 평탄한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제 2 실시예에 따른 절삭 인서트(4)는 평탄한 제 1 지지면(24)을 갖는 시트(8)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도 9a-9f는 제 3 실시예의 절삭 인서트(4)를 보여주며, 그것은 전방 절삭 에지(17)가 직선형인 점에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절삭 인서트(4)와 다르다(도 9f, 18 참조). 이런 식으로, 두개의 언더컷(84)에 의해 둘러싸인 직선형의 바닥면(81)이 두개의 인접한 치형(83)들 사이에서 슬롯(82)에 제공될 수 있다.
도 10a-10f는 제 4 실시예의 절삭 인서트(4)를 보여주며, 그것은 제 1 메인 절삭 에지(15)와 제 2 메인 절삭 에지(16)가 오목한 점에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절삭 인서트(4)와 다르다. 이들 메인 절삭 에지(15, 16)들은 인벌류트 곡선(involute curve)을 따른 치형 플랭크를 제공하기에 적합하다.
도 11a-11f는 제 5 실시예의 절삭 인서트(4)를 보여주며, 그것은 제 1 메인 절삭 에지(15)와 제 2 메인 절삭 에지(16)가 볼록한 점에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절삭 인서트(4)와 다르다. 이들 메인 절삭 에지(15, 16)들은 소위 반전된 인벌류트 곡선을 따른 치형 플랭크를 제공하기에 적합하다. 더욱이, 제 5 실시예에 따른 절삭 인서트(4)의 전방 절삭 에지(17)가 제 2 실시예의 전방 절삭 에지(17)와 유사하게 볼록하다.
도 12a-12f는 제 6 실시예의 절삭 인서트(4)를 보여주며, 그것은 에지 측면(13)이 제 1 에지면(13')과 상승된 제 2 에지면(13'')을 포함하는 점에서 제 3 실시예에 따른 절삭 인서트(4)와 다르며, 상기 제 2 에지면은 절삭 에지의 경계를 이루며 제 1 에지면(13')에서 벗어난 평면이다. 그러한 상승된 제 2 에지면(13'')은, 소위 선반 연삭으로 제 2 에지면(13'') 만이 절삭 인서트(4)의 최종 마무리와 관련하여 연삭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절삭 인서트(4)의 제조를 단순화한다.
도 13a-13f는 제 7 실시예의 절삭 인서트(4)를 보여주며, 그것은 절삭 에지의 경계를 이루는 상승된 주변 칩면(12')과 중앙 칩면(12")을 포함하는 점에서 제 6 실시예에 따른 절삭 인서트(4)와 다르며, 상기 중앙 칩면은 주변 칩면(12') 내측에 위치하고 주변 칩면(12')에서 벗어난 평면이다. 특히, 상기 중앙 칩면(12'')은 주변 칩면(12') 보다 낮은 레벨에 있다. 그러한 주변 칩면(12')은, 소위 선반 연삭으로 절삭 인서트(4)의 제조를 단순화한다. 절삭 인서트(4)를 마무리하고 최종 연삭함에 있어서 많은 재료를 제거하는 가공을 할 필요가 없고 주변 칩면(12')의 층만을 가공하면 된다.
도 14a-14f는 제 8 실시예의 절삭 인서트(4)를 보여주며, 그것은 제 2 코너 절삭 에지(19)가 에지 선(L)의 연장부를 지나 그로 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지 않은 점에서 제 3 실시예에 따른 절삭 인서트(4)와 다르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 2 코너 절삭 에지(19)는, 제 2 코너 절삭 에지(19)의 접선과 전방 절삭 에지(17)의 접선이 평행하고 제 2 경계 지점(19')에서 서로 일치하도록 전방 절삭 에지(17)에 접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제 2 코너 절삭 에지(19)는, 제 2 코너 절삭 에지(19)의 접선과 제 2 메인 절삭 에지(16)의 접선이 평행하고 제 2 전이 지점(16')에서 서로 일치하도록 제 2 메인 절삭 에지(16)를 지나 외측으로 연장되고 제 2 메인 절삭 에지(16)와 접한다. 제 2 코너 절삭 에지(19)의 이러한 변경은 대신에 제 1 메인 절삭 에지(18)에 대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도 15a-15f는 제 9 실시예의 절삭 인서트(4)를 보여주며, 그것은 제 2 코너 절삭 에지(19)가 제 2 메인 절삭 에지(16)를 지나거나 외측으로 연장되지 않는 점에서 제 8 실시예의 절삭 인서트(4)와 다르다. 다시 말해서, 제 2 코너 절삭 에지(19)가 결여되고, 전방 절삭 에지(17)가 제 2 메인 절삭 에지(16)와 접하면서 제 2 절삭 에지로 변환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제 2 코너 절삭 에지(19)의 이러한 변경은 대신에 제 1 메인 절삭 에지(18)에 대해 만들어질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도 16은 제 2 실시예의 변형예를 보여주고 있으며, 그것은 절삭 인서트 (4) 가 관통 축선 A에서 180°회전될 수 있고 2개 세트의 절삭 에지들을 갖는 인덱스가능한 절삭 인서트(4)로서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제 2 실시예의 절삭 인서트(4)와 다르다. 이러한 인덱스가능성은 모든 실시예들의 절삭 인서트(4)에 대하여 구성될 수 있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상기 인덱스가능한 절삭 인서트(4)에서, 상기 후방부(4A)는 2개의 절삭 에지들의 후방부(4A)를 구성하는 중앙 영역으로 형성된다.
상기 인덱스가능한 절삭 인서트(4)는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않은) 고정나사에 의해 절삭 인서트(4)를 고정하기 위한 중앙 고정홀(28)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나사는 고정홀(28)을 통해 공구 바디(3)의 시트의 제 1 지지면(24)의 나사식 홀속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대안적인 고정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삭 인서트(4)들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한 청구범위내에서 변경 및 변형될 수 있다.
1 밀링 공구 2 작업물
3 공구 바디 4 절삭 인서트
4A 후방부 4B 중앙부
4C 전방부 7 외주면
8 시트 11 저면
12 상면 12' 중앙 칩면
12'' 주변 칩면 13 에지 측면
13' 제 1 에지면 13'' 제 2 에지면
14 뒷면 15 제 1 메인 절삭 에지
15' 제 1 전이 구역 15L 연장선
15P 지점 16 제 2 메인 절삭 에지
16' 제 2 전이 구역 16L 연장선
16P 지점 17 전방 절삭 에지
18 제 1 코너 절삭 에지
18' 제 1 경계 구역 19 제 2 코너 절삭 에지
19' 제 2 경계 구역 20 길이방향 홈
21 바닥면 22 측면
23 리지 24 제 1 지지면
25 웨지 26 고정나사
27 제 2 지지면 28 중앙 고정홀
C1 회전 축선 R1 회전 방향
A 관통축선 S 길이방향 축선
P 연장 평면 L 에지 선
L' 제 1 연장선 L'' 제 2 연장선
P' 제 1 지점 P'' 제 2 지점
x 라인 α 수렴각
β 앵글 피치 γ 여유각
r 반경 80 축
81 바닥면 82 치형 슬롯
83 치형 84 언더컷
85 플랭크면 90 허브
91 외주면 92 치형 슬롯

Claims (22)

  1. 작업물(2)에 슬롯을 밀링가공하기 위해 형성된 밀링공구용 절삭 인서트로서,
    상기 절삭 인서트(4)는
    저면(11),
    칩면을 형성하고 연장 평면(P)에 평행하게 연장된 반대쪽의 상면(12),
    상기 상면(12)과 상기 저면(11) 사이의 에지 측면 (13),
    상기 연장 평면(P)에 직각으로 상기 상면(12)과 상기 저면(11)을 통하여 연장된 관통 축선(A),
    상기 절삭 인서트(4)의 후방부(4A)를 통하여 연장되고 상기 관통 축선(A)에 직각으로 상기 관통 축선을 교차하는 길이방향 축선(S), 및
    상기 에지 측면(13)과 상기 칩면 사이에서 연장된 절삭 에지를 포함하며,
    상기 절삭 에지는
    상기 밀링가공 동안에 상기 작업물(2)과 맞물리도록 형성된 제 1 메인 절삭 에지 (15), 및
    상기 밀링가공 동안에 상기 작업물(2)과 맞물리도록 형성되고 에지 선(L)을 따라 연장된 전방 절삭 에지(17)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 평면(P)에 대한 수직선이 상기 절삭 에지를 따라 상기 에지 측면(13)과 예각의 여유각(γ)을 형성하고,
    상기 절삭 에지는, 상기 밀링가공 동안에 상기 작업물(2)과 맞물리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메인 절삭 에지(15)와 상기 전방 절삭 에지(17) 사이에 배치된 제 1 코너 절삭 에지(18)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코너 절삭 에지(18)는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코너 절삭 에지(18)는, 상기 후방부(4A)에 대하여, 상기 전방 절삭 에지(17)로부터, 상기 에지 선(L)의 제 1 연장선(L')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전방 절삭 에지(17)의 끝으로부터 상기 제 1 코너 절삭 에지(18)의 제 1 지점(P')까지 접선방향으로 더 연장된 가상선의 다른 쪽에 있는 위치까지 전방으로 연장되는 밀링공구용 절삭 인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너 절삭 에지(18)는 상기 전방 절삭 에지(17)로부터 적어도 상기 제 1 지점까지 일정한 반경(r)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공구용 절삭 인서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너 절삭 에지(18)는, 상기 절삭 인서트(4)의 상기 길이방향 축선(S)과 중앙부(4B)에 대하여, 상기 제 1 메인 절삭 에지(15)로부터, 상기 제 1 메인 절삭 에지(15)의 연장선(15L)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제 1 메인 절삭 에지(15)의 끝으로부터 상기 제 1 코너 절삭 에지(18)의 지점(15P)까지 접선방향으로 더 연장된 가상선의 다른 쪽에 있는 위치까지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공구용 절삭 인서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너 절삭 에지(18)는, 상기 제 1 코너 절삭 에지(18)와 상기 제 1 메인 절삭 에지(15) 사이에서 만곡된 전이부를 형성하는 제 1 전이 구역(15')에 의해 상기 제 1 메인 절삭 에지(15)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공구용 절삭 인서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너 절삭 에지(18)는, 상기 제 1 코너 절삭 에지(18)와 상기 전방 절삭 에지(17) 사이에서 만곡된 전이부를 형성하는 제 1 경계 구역 (18')에 의해 상기 전방 절삭 에지(17)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공구용 절삭 인서트.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 에지는, 밀링가공 동안에 상기 작업물(2)과 맞물리도록 형성된 제 2 메인 절삭 에지(16)와, 밀링가공 동안에 상기 작업물(2)과 맞물리도록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 2 메인 절삭 에지(16)와 상기 전방 절삭 에지(17) 사이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 2 메인 절삭 에지(16)와 상기 전방 절삭 에지(17)를 연결하는 제 2 코너 절삭 에지(19)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코너 절삭 에지(19)는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후방부(4A)에 대하여, 상기 전방 절삭 에지(17)로부터, 상기 에지 선(L)의 제 2 연장선(L")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전방 절삭 에지(17)의 끝으로부터 상기 제 2 코너 절삭 에지(19)의 제 2 지점(P")까지 접선방향으로 더 연장된 가상선의 다른 쪽에 있는 위치까지 전방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공구용 절삭 인서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코너 절삭 에지(19)는 상기 제 2 코너 절삭 에지(19)와 상기 제 2 메인 절삭 에지(16) 사이에서 만곡된 전이부를 형성하는 제 2 전이 구역(16')에서 상기 제 2 메인 절삭 에지(16)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공구용 절삭 인서트.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코너 절삭 에지(19)는, 상기 제 2 코너 절삭 에지(19)와 상기 전방 절삭 에지(17) 사이에서 만곡된 전이부를 형성하는 제 2 경계 구역(19')에서 상기 전방 절삭 에지(17)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 공구용 절삭 인서트.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코너 절삭 에지(19)는, 상기 절삭 인서트(4)의 길이방향 축선(S)과 중앙부(4B)에 대하여, 상기 제 2 메인 절삭 에지(16)로부터, 상기 제 2 메인 절삭 에지(16)의 연장선(16L)을 형성하고 또한 상기 제 2 메인 절삭 에지(16)로부터 상기 제 2 코너 절삭 에지(19)의 지점(16P)까지 접선방향으로 더 연장된 가상선의 다른 쪽에 있는 위치까지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공구용 절삭 인서트.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인 절삭 에지(15)와 상기 제 2 메인 절삭 에지(16)는, 각각, 상기 제 1 코너 절삭 에지(18)와 상기 제 2 코너 절삭 에지(19) 까지 서로를 향하여 수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공구용 절삭 인서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 축선(S)은 상기 제 1 메인 절삭 에지(15)와 상기 제 2 메인 절삭 에지(16) 각각과 수렴각(α)을 형성하며, 상기 수렴각(α)은 15°- 45°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공구용 절삭 인서트.
  12. 제 6 항 내지 제 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인 절삭 에지(15)와 상기 제 2 메인 절삭 에지(16)는 상기 길이방향 축선(S)에 대하여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공구용 절삭 인서트.
  13. 제 6 항 내지 제 12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인 절삭 에지(15)와 상기 제 2 메인 절삭 에지(16) 각각은 상기 전방 절삭 에지(17) 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공구용 절삭 인서트.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절삭 에지(17)는 오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공구용 절삭 인서트.
  15.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절삭 에지(17)는 볼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공구용 절삭 인서트.
  16.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절삭 에지(17)는 직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공구용 절삭 인서트.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측면(13)은 상기 관통 축선(A)에 평행한 두께를 가지며, 상기 상면(12)은 상기 길이방향 축선(S)과 상기 관통 축선(A)에 직각인 연장부를 가지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두께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공구용 절삭 인서트.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 인서트(4)는 상기 길이방향 축선(S)에 평행하게 연장된, 상기 저면(11)의 길이방향 홈(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공구용 절삭 인서트.
  19. 작업물에 슬롯을 밀링가공하도록 형성된 밀링 공구로서,
    상기 밀링 공구는 회전 축선선(C1)에서 회전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밀링 공구는 공구 바디(3)와, 상기 공구 바디(4)에 장착되는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다수의 절삭 인서트(4)를 포함하는 밀링 공구.
  20. 제 19 항에 있어서, 각각의 절삭 인서트(4)의 상기 길이방향 축선(S)은 상기 회전 축선선(C1)과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 공구.
  21.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 바디(3)는 각각의 절삭 인서트(4)용의 시트(8)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8)는 상기 회전 축선선(C1)에 평행한 지지 평면을 따라 연장된 제 1 지지면(2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 공구.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24)은 상기 절삭 인서트(4)의 상기 저면(11)의 길이방향 홈(20)과 상호작용하는 리지(ridge: 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 공구.
KR20140082683A 2013-07-03 2014-07-02 절삭 인서트와 밀링 공구 KR201500047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1350827A SE1350827A1 (sv) 2013-07-03 2013-07-03 Skärinsats och fräsverktyg
SE1350827-0 2013-07-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759A true KR20150004759A (ko) 2015-01-13

Family

ID=51178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82683A KR20150004759A (ko) 2013-07-03 2014-07-02 절삭 인서트와 밀링 공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358621B2 (ko)
EP (1) EP2821170B1 (ko)
JP (1) JP2015013367A (ko)
KR (1) KR20150004759A (ko)
CN (1) CN104275520B (ko)
BR (1) BR102014016383A2 (ko)
RU (1) RU2014127118A (ko)
SE (1) SE13508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356732U (zh) * 2011-12-11 2012-08-01 富泰华精密电子(郑州)有限公司 切槽刀
SE537377C2 (sv) * 2012-07-05 2015-04-14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Skärinsats och fräsverktyg för fräsning av ett spår i ett arbetsstycke
CN105195799B (zh) * 2015-10-28 2018-06-15 中国电建集团河南工程有限公司 一种垫铁位置刨制机及垫铁位置刨制方法
CN106112083B (zh) * 2016-08-31 2018-09-04 四川航天烽火伺服控制技术有限公司 一种深孔端面环槽成形刀
EA033730B1 (ru) * 2017-12-06 2019-11-20 Joint Stock Company Sverdlovsk Instr Plant Сборная червячно-модульная фреза (чмф) с механическим креплением сменных твердосплавных пластин (стп)
RU2693578C2 (ru) * 2017-12-11 2019-07-03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Свердловский инструментальный завод" Сборная червячно-модульная фреза
CN109551232B (zh) * 2018-12-27 2020-09-25 南京高速齿轮制造有限公司 提高外花键加工效率的铣滚复合加工方法
CN113333801A (zh) * 2021-05-21 2021-09-03 科益展智能装备有限公司 刀头结构及刀具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29667A (en) * 1926-10-15 1927-05-24 James D Knipple Metal-cutting tool
DE929588C (de) 1937-09-17 1955-06-30 Gleason Works Verfahren zum Schneiden von Zahnraedern, insbesondere Kegelraedern und Fraeswerkzeuge zur Ausfuehrung dieses Verfahrens
US5158400A (en) 1991-04-10 1992-10-27 The Gleason Works Rotary disc cutter and method of making same
DE10017645A1 (de) 2000-04-08 2001-10-11 Sandvik Ab Schneideinsatz für Nockenwellenfräser
IL144138A (en) 2001-07-04 2006-06-11 Daniel Ulianitsky Milling and cutting application for it
DE10218630A1 (de) 2002-04-25 2003-11-06 Sandvik Ab Fräser mit Feineinstellung
DE10338784B4 (de) * 2003-08-23 2005-08-25 Depo Gmbh & Co.Kg. Schneidplatte für einen Fingerfräser
CN1287938C (zh) * 2004-08-19 2006-12-06 株洲硬质合金集团有限公司 三面刃铣刀
DE102005050210B4 (de) * 2005-10-20 2010-11-11 Kennametal Widia Produktions Gmbh & Co. Kg Schneideinsatz und Fräser
SE530189C2 (sv) * 2006-04-25 2008-03-25 Seco Tools Ab Gängskär med hel yta av PCBN samt gängverktyg och metod för formning av gänga
PL3351326T3 (pl) 2007-02-26 2022-02-14 Greenleaf Technology Corporation Sposób obróbki skrawaniem szczeliny
JP2009241212A (ja) * 2008-03-31 2009-10-22 Sumitomo Electric Hardmetal Corp ニック付き刃先交換式チップ
SE535540C2 (sv) * 2011-02-11 2012-09-18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Fräsverktyg för kuggfräsning
SE535541C2 (sv) * 2011-02-11 2012-09-18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Skärinsats för ett fräsverktyg som är utformat för kuggfräsning
SE536294C2 (sv) * 2011-04-08 2013-08-06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Fräsverktyg utformat för hobbning av ett arbetsstycke
CN102837048A (zh) * 2011-06-21 2012-12-26 无锡雨田精密工具有限公司 切槽刀片
CN102248190B (zh) * 2011-06-28 2013-04-10 株洲钻石切削刀具股份有限公司 仿形切削刀片及仿形切削刀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02014016383A2 (pt) 2015-11-17
JP2015013367A (ja) 2015-01-22
CN104275520B (zh) 2018-01-02
EP2821170A1 (en) 2015-01-07
EP2821170B1 (en) 2017-09-27
US20150016901A1 (en) 2015-01-15
CN104275520A (zh) 2015-01-14
SE1350827A1 (sv) 2015-01-04
US9358621B2 (en) 2016-06-07
RU2014127118A (ru) 2016-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4759A (ko) 절삭 인서트와 밀링 공구
KR20140005814A (ko) 밀링 인서트 및 밀링 공구
JP6022798B2 (ja) ミーリング工具及びミーリング・インサート・キット
US8961075B2 (en) Milling tool as well as set of milling inserts of a milling tool
JP6128997B2 (ja) ミーリングインサート
EP2487001B1 (en) Cutting insert for a milling tool
US20120321404A1 (en) Method for Gear Pre-Cutting of a Plurality of Different Bevel Gears and Use of an According Milling Tool
US8882414B2 (en) Method and system for milling a bevel gear tooth system in a continuous miling process
KR20160006606A (ko) 절삭 인서트 및 파워 스카이빙 공구
KR102007596B1 (ko) 인서트식 공구 및 스레드 밀
JP2005523170A (ja) 歯車ホブ・カッター・システム
KR20170015925A (ko) 스레드 밀링 커터
JP7200111B2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肩削りフライス工具
JP3729634B2 (ja) スロアウエイホブ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353622A (ja) 曲がり歯傘歯車用カッタ
JP2004150480A (ja) ハイポイド歯車および歯切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