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4201A - 미닫이문용 손잡이 - Google Patents

미닫이문용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4201A
KR20150004201A KR1020130077381A KR20130077381A KR20150004201A KR 20150004201 A KR20150004201 A KR 20150004201A KR 1020130077381 A KR1020130077381 A KR 1020130077381A KR 20130077381 A KR20130077381 A KR 20130077381A KR 20150004201 A KR20150004201 A KR 20150004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door
frame
base
slid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7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1913B1 (ko
Inventor
강서익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077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1913B1/ko
Publication of KR20150004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15Knobs or handles which do not operate the bolt or lock, e.g. non-movable; Mounting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Landscapes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닫이문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삽입되는 제1핸들과, 이와 대향하여 반대측으로 삽입되는 제2핸들과, 제1핸들과 제2핸들을 결합하여 손잡이를 도어에 고정하는 결합수단으로 이루어 지며, 손잡이를 고정시키는 결합수단을 내부로 은폐시켜 미관을 좋게하며 결합수단이 돌출되지 않도록하여 돌출된 결합수단에 의해 발생하는 위험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손잡이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닫이문용 손잡이{Sliding Door Handle}
본 발명은 미닫이문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좌우로 슬라이드되는 미닫이문에 손잡이를 고정시킬 때, 손잡이를 고정시키는 결합수단을 내부로 은폐시켜 미관을 좋게하고, 결합수단이 풀려도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되어 결합수단에 의해 발생되는 위험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손잡이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미닫이문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닫이문의 손잡이는 미닫이문의 양측에 홈을 파서 양 홈으로 손잡이를 삽입하여 설치하는 것으로써, 손잡이는 내측으로 요입홈이 형성되고 외주연에 플랜지가 형성되며 플랜지에는 피스나 나사와 같은 고정 부재가 삽입되는 고정공이 형성된다. 이러한 손잡이는 미닫이문에 형성된 홈에 요입홈을 억지 끼움 방식으로 플랜지의 저면이 미닫이문에 밀착되게 끼워준 뒤, 플랜지에 형성된 고정공을 통해 고정 부재로 체결하여 미닫이문 표면에 고정시킨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손잡이는 미닫이문의 양측면에 홈을 따로 파고 각 홈에 손잡이를 따로 설치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상당히 소요될 뿐만 아니라 양측 홈의 위치가 정확하게 맞지 않게되면 손잡이의 위치가 동일하지 않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 홈의 크기가 손잡이의 요홈부와 동일하게 형성되지 않게 되면 홈과 요홈부 사이에 이격공간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손잡이가 유동하게 되면 고정 부재를 체결할 때 과실이 발생하여 정위치에 체결되지 않게되고, 고정 부재를 풀고 다시 체결하고자 하여도 이미 미닫이문에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와 겹치거나 올바르지 않게 체결되어 제대로 고정되지 않게 된다는 문제도 있다.
또한, 플랜지에 고정 부재가 체결되므로 고정 부재가 외부에 노출되어 미관상 좋지 못할 뿐만 아니라, 고정 부재가 풀리게 되면 고정 부재가 돌출되거나 손잡이가 미닫이문에 밀착되지 못하고 이격이 발생하여 손잡이가 돌출되므로, 돌출된 고정 부재나 손잡이에 의류나 신체가 걸려 손상을 입을 수 있다는 문제도 있다.
또, 고정 부재가 돌출되는 것을 우려하여 고정 부재를 플랜지가 아닌 손잡이 요홈부 내측에 체결하여 고정하는 경우에는, 반대측에 설치되는 손잡이의 고정 부재와 충돌할 수 있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손잡이가 도어의 홈을 관통하며 결합되는 구조가 마련되어 양측 손잡이가 동일한 위치에 놓이도록 하는 미닫이문용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홈의 크기가 손잡이가 동일하게 형성되지 않고 홈과 손잡이 사이에 이격공간이 발생하게되어 위치가 불안정하게 설치되더라도, 손잡이를 다시 체결하여 정위치에 놓을 수 있는 미닫이문용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이 다른 목적이다.
또, 손잡이를 도어에 고정할 때, 고정 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은폐시켜 미관상 좋을 뿐만 아니라, 고정 부재가 풀리더라도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의류나 신체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미닫이문용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목적이다.
게다가, 고정 부재가 양측으로 체결되더라도 반대측의 고정 부재와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미닫이문용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이 또 다른 목적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문용 손잡이는, 미닫이문에 설치되는 손잡이에 있어서, 도어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를 열거나 닫도록 하기 위한 제1핸들과, 상기 관통구멍의 반대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도어의 반대측에서 상기 도어를 열거나 닫도록 하기 위한 제2핸들 및 상기 제1핸들과 상기 제2핸들을 결합하여 상기 도어에 고정하는 결합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문용 손잡이는 도어를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구멍의 양측에 제1핸들과 제2핸들을 삽입하여 결합하므로, 각기 따로 설치하던 종래보다 작업공정을 줄여 작업시간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아니라 손잡이를 동일한 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홈의 크기가 손잡이가 동일하게 형성되지 않고 홈과 손잡이 사이에 이격공간이 발생하게되어 위치가 불안정하게 설치되더라도, 손잡이를 다시 체결하여 정위치에 놓을 수 있는 미닫이문용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이 다른 목적이다.
또한, 제1핸들과 제2핸들을 볼트와 너트를 서로 결합하여 도어에 고정하므로 도어에 손실을 입히지 않을 수 있고, 설치시에 손잡이의 위치가 불안정하게 설치되더라도, 결합수단을 풀고 다시 체결하여 정위치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설치가 용이한 효과도 있다.
또, 결합수단을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은폐시켜 미관을 좋게 할 뿐만 아니라, 결합수단이 풀리더라도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의류나 신체가 결합수단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게다가, 볼트가 양측으로 체결되더라도 각각의 볼트에 대응하여 너트가 체결되므로 볼트끼리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더욱이, 끼움부에 경사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그립감을 좋게하여, 도어를 열고 닫을 때 각 진행방향으로 힘을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게되므로 도어를 열고 닫는 효율을 높일 수 있는효과도 있다.
이에 더하여, 프레임과 베이스를 각기 다른 소재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재료비를 절감하여 제작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문용 손잡이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분해도.
도 2는 도 1의 제1핸들의 분해도 및 결합된 상태의 배면을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제2핸들의 분해도
도 4는 제1프레임과 제1베이스의 반단면도 및 부분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문용 손잡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미닫이문용 손잡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미닫이문용 손잡이는 미닫이문에 설치되는 손잡이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핸들(1), 제2핸들(2) 및 결합수단(3)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4)에 설치된다.
상기 제1핸들(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4)에 형성된 관통구멍(4a)에 삽입되어 사용자가 상기 도어(4)를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파지되는 것으로서, 제1프레임(11), 제1베이스2(21) 및 제1브래킷(31)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11)은 상기 관통구멍(4a)에 삽입되며 상기 도어(4)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끼움부(11a), 제1플랜지부(11b) 및 제1결합돌기(11c)가 형성된다.
상기 제1끼움부(11a)는 상기 관통구멍(4a)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중앙을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제1플랜지부(11b)는 상기 도어(4)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끼움부(11a)의 일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플랜지부(11b)는 상기 제1프레임(11)이 상기 관통구멍(4a)에 삽입됨에따라 상기 도어(4)의 표면에 안착된다.
상기 제1결합돌기(11c)는 후술하는 제1브래킷(31)과 결합되는 것으로서, 도 2에 확대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플랜지부(11b)의 배면, 즉 상기 제1끼움부(11a)가 형성된 측면의 상, 하단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프레임(11)은 상기 제1끼움부(11a)의 내측벽(W)이 외측을 향하여 경사지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제1프레임(11)과 제1베이스(21)이 결합된 상태의 반단면을 나타낸 도면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끼움부(11a)의 내측벽(W)이 상기 제1플랜지부(11b)와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닌, 수직선(L)보다 바깥쪽으로 벌어지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베이스(21)는 상기 제1프레임(11)의 하부를 이루도록 상기 제1프레임(11)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저면부(21a), 제1절곡부(21b) 및 제1안착턱(21c)이 형성된다.
상기 제1저면부(21a)는 상기 제1베이스(21)의 바닥을 이루는 판재로 형성된다.
상기 제1절곡부(21a)는 상기 제1프레임(11)의 하부가 안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저면부(21a)의 외곽에서 상측으로 절곡되며 연장형성된다.
상기 제1안착턱(21c)은 상기 제1프레임(11)의 제1끼움부(11a)가 안착되며 끼워지는 것으로서, 상기 제1절곡부(21b)의 상단 내곽을 따라 홈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프레임(11)의 내측벽(W)이 경사가 형성되어, 상기 제1프레임(11)의 하부를 이루는 제1베이스(21)와 일체형으로 제작하기 어려우므로, 상기 제1프레임(11)과 상기 제1베이스(21)는 각기 제작된다.
한편, 상기 제1베이스(21)는 공구홈(21d)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공구홈(21d)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도시된 공구가 삽입되는 구멍으로서, 상기 제1베이스(21)의 내측 바닥면에 상기 볼트(3a)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멍으로 형성되어 상기 공구가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베이스(21)에 의해 은폐된 상기 볼트(3a)를 체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브래킷(31)은 상기 제1베이스(21)의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프레임(11)과 상기 제1베이스(21)를 결합하는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베이스(21)의 하부, 즉 제1저면부(21a)의 외측면에 접촉되고, 양단이 상기 제1절곡부(21b)를 감싸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며, 볼트홈(31a)과 제1결합플랜지(31b)가 형성된다.
상기 볼트홈(31a)은 후술하는 볼트(3a)가 끼워지는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브래킷의 상측과 하측 일지점에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플랜지(31b)는 상기 제1프레임(11)의 양단에 형성된 제1결합돌기(11c)에 각각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체결볼트(B)로 체결됨에 따라, 상기 제1베이스(21)가 상기 제1프레임(11)과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브래킷(31)은 상기 제1베이스(21)에 접촉함에 따라 상기 제1베이스(21)에 의해서 상기 볼트(3a)를 은폐시킨다.
상기 제2핸들(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구멍(4a)의 반대측에 삽입되어 사용자가 반대측에서 상기 도어(4)를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파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핸들(1)과 동일한 형태로 제작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2프레임(12), 제2베이스(22) 및 제2브래킷(32)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프레임(12)은 상기 관통구멍(4a)에 삽입되며 상기 도어(4)의 반대측 표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끼움부(12a), 제2플랜지부(12b) 및 제2결합돌기(11c)가 형성된다.
상기 제2끼움부(12a)는 상기 관통구멍(4a)의 반대측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중앙을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제2플랜지부(12b)는 상기 도어(4)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끼움부(12a)의 일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플랜지부(12b)는 상기 제2프레임(12)이 상기 관통구멍(4a)의 반대측에 삽입됨에따라 상기 도어(4)의 반대측 표면에 안착된다.
상기 제2결합돌기(12c)는 후술하는 제2브래킷(32)과 결합되는 것으로서, 도 3에 확대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플랜지부(12b)의 배면, 즉 상기 제2끼움부(12a)가 형성된 측면의 상, 하단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프레임(12)은 상기 제1프레임(11)과 마찬가지로 내측벽(W)이 외측을 향하여 경사지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제2베이스(22)는 상기 제2프레임(12)의 하부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저면부(22a), 제2절곡부(22b) 및 제2안착턱(22c)이 형성된다.
상기 제2저면부(22a)는 상기 제2베이스(22)의 바닥을 이루는 판재로 형성된다.
상기 제2절곡부(22a)는 상기 제2프레임(12)의 하부가 안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저면부(22a)의 외곽에서 상측으로 절곡되며 연장형성된다.
상기 제2안착턱(22c)은 상기 제2프레임(12)의 제2끼움부(12a)가 안착되며 끼워지는 것으로서, 상기 제2절곡부(22b)의 상단 내곽을 따라 홈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핸들(1)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2핸들(2)은 상기 제1프레임(11)과 상기 제1베이스(21)가 각기 제작된다.
상기 제2브래킷(31)은 상기 제2베이스(22)의 후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2프레임(12)과 상기 제2베이스(22)를 결합하는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베이스(22)의 하부, 즉 제2저면부(22a)의 외측면에 접촉되고, 양단이 상기 제2절곡부(22b)를 감싸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며, 너트홈(32a)과 제2결합플랜지(32b)가 형성된다.
상기 너트홈(32a)은 후술하는 너트(3b)가 끼워지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트홈(31a)과 대응하여 상기 제2브래킷(31)의 상측과 하측 일지점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너트홈(32a)은 상기 너트(3b)가 억지끼움 되도록 상기 너트(3b)와 동일한 형태의 홈으로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육각형 모양의 너트(3b)가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너트홈(32a)은 육각형의 홈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너트(3b)는 상기 너트홈(32a)에 억지끼움되어 상기 볼트(3a)로 체결할 때, 유동되지 않고 상기 너트홈(32a)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플랜지(32b)는 상기 제2프레임(12)의 양단에 형성된 제2결합돌기(12c)에 각각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체결볼트(B)로 체결됨에 따라, 상기 제2베이스(22)가 상기 제1프레임(12)과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2브래킷(32)은 상기 제2베이스(22)에 접촉함에 따라 상기 제21베이스(22)에 의해서 상기 너트(3b)를 은폐시킨다.
상기 결합수단(3)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핸들(1)과 상기 제2핸들(2)을 결합하는 것으로서, 볼트(3a) 및 너트(3b)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볼트(3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브래킷(31)에 형성된 상기 볼트홈(31a)에 끼워진다. 이때, 상기 볼트(3a)는 상기 제1베이스(21)에 의해 은폐된다.
상기 너트(3b)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브래킷(32)에 형성된 상기 너트홈(32a)에 수용된다. 이때, 상기 너트(3b)는 상기 제2베이스(22)에 의해 은폐되며, 상기 제1브래킷(31)의 볼트(3a)와 체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결합수단(3)은 상기 제1핸들(1)과 상기 제2핸들(2)을 상기 도어(3)에 고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수단(3)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볼트(3a)는 상기 제1핸들(1)에, 상기 너트(3b)는 상기 제2핸들(2)에 구성될 수 있지만, 상기 볼트(3a)와 상기 너트(3b)가 교차로 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핸들(1)의 상측에는 상기 볼트(3a)가 결합되고, 하측에는 상기 너트(3b)가 결합되며, 이와 반대로 상기 제2핸들(2)의 상측에는 또 다른 너트(3b)가 결합되고, 하측에는 또 다른 볼트(3a)가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다른 한편, 상기 제1핸들(1)은 시트(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시트(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핸들(1)의 내측, 즉 상기 제1베이스(21)의 바닥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1베이스(21)의 바닥면을 덮는다. 이와 같이, 상기 제2핸들(2)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미설명 부호 'H'는 본 발명에 의한 손잡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미닫이문용 손잡이의 작용을 첨부된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어(4)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구멍(4a)의 양측으로 제1핸들(1)과 제2핸들(2)을 삽입한다.
이때, 상기 제1핸들(1)의 제1브래킷(31)과 상기 제2핸들(2)의 제2브래킷(32)이 서로 마주보도록 삽입된다. 여기서, 제1베이스(21)에 형성된 제1공구홈(21d)을 통해 미도시된 공구를 삽입하고, 상기 공구로 상기 제1브래킷(31)의 볼트홈(31a)에 끼워져 있는 볼트(3a)를 상기 제2브래킷(32)의 너트홈(32a)에 수용되어 있는 너트(3b)와 체결한다. 이때, 상기 볼트(3a)와 상기 너트(3b)는 제1베이스(21)와 제2베이스(22)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내부에 은폐되어 있으며, 서로 체결됨에 따라 상기 제1핸들(1)과 상기 제2핸들(2)을 상기 도어(4)의 표면에 밀착시키며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1베이스(21)에는 시트(5)를 부착하여, 상기 제1공구홈(21d)을 은폐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4)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상기 관통구멍(4a)의 양측에 상기 제1핸들(1)과 상기 제2핸들(2)을 삽입하여 결합하므로, 각기 따로 설치하던 종래보다 작업공정을 줄여 작업시간을 효율적으로 줄이고, 동일한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핸들(1)과 상기 제2핸들(2)을 상기 볼트(3a)와 상기 너트(3b)로 결합하여 상기 도어(4)에 고정하므로, 상기 도어(4)의 표면에 손실을 입히지 않으며, 설치시에 정위치에 놓이지 않고 기울거나, 어긋나더라도 상기 결합수단(3)을 정위치에서 다시 체결할 수 있으므로 설치가 용이하다.
또, 상기 결합수단(3)을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제1베이스(21)나 제2베이스(22)로 은폐시켜 미관을 좋게할 뿐만 아니라, 상기 결합수단(3)이 풀리게 되어도 차폐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사용자의 의류나 신체가 상기 결합수단(3)에 걸려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볼트(3a)를 양측에 체결하더라도 각기 대응하여 상기 너트(3b)가 체결되므로, 상기 볼트(3a)끼리 서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1끼움부(11a)나 상기 제2끼움부(12a)에 경사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의 그립감을 좋게하므로 상기 도어(4)를 열거나 닫을 때 각 진행방향으로 사용자의 힘을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게되어 상기 도어(4)를 여닫는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1,2프레임(11,12)과 제1,2베이스(21,22)를 각기 다른 소재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재료비를 절감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것은 아니며,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므로, 이러한 균등한 실시 예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하는 것이다.
1 : 제1핸들 2 : 제2핸들
3 : 결합수단 3a : 볼트
3b : 너트 4 : 도어
4a : 관통구멍 5 : 시트
11 : 제1프레임 12 : 제2프레임
21 : 제1베이스 22 : 제2베이스
31 : 제1브래킷 32 : 제2브래킷

Claims (7)

  1. 미닫이문에 설치되는 손잡이에 있어서,
    도어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를 열거나 닫도록 하기 위한 제1핸들;
    상기 관통구멍의 반대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도어의 반대측에서 상기 도어를 열거나 닫도록 하기 위한 제2핸들; 및
    상기 제1핸들과 상기 제2핸들을 결합하여 상기 도어에 고정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미닫이문용 손잡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핸들은,
    상기 관통구멍에 삽입되는 제1끼움부와, 상기 제1끼움부의 일단에서 외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도어의 표면에 안착되는 제1플랜지부가 마련된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의 제1끼움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1프레임의 하부를 이루는 제1베이스; 및
    상기 제1베이스와 상기 제1프레임을 결합하는 제1브래킷;을 포함하는 미닫이문용 손잡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제1끼움부의 내측벽이 외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닫이문용 손잡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핸들은,
    상기 관통구멍의 반대측으로 삽입되는 제2끼움부와, 상기 제2끼움부의 일단에서 외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도어의 표면에 안착되는 제2플랜지부가 마련된 제2프레임;
    상기 제2프레임의 제2끼움부에 끼워지는 제2베이스; 및
    상기 제2베이스와 상기 제2프레임을 결합하는 제2브래킷;을 포함하는 미닫이문용 손잡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제1브래킷에 형성된 볼트홈에 끼워지는 볼트; 및
    상기 볼트와 대응하여 상기 제2브래킷에 형성된 너트홈에 수용되고, 상기 볼트와 체결되어 상기 제1핸들과 상기 제2핸들을 결합하는 너트;를 포함하는 미닫이문용 손잡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이스는, 상기 제1저면부의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공구가 삽입되는 공구홈을 포함하는 미닫이문용 손잡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핸들은,
    상기 제1베이스의 내측 바닥면에 부착되어 상기 바닥면을 덮는 시트;를 더 포함하는 미닫이문용 손잡이.
KR20130077381A 2013-07-02 2013-07-02 미닫이문용 손잡이 KR101491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7381A KR101491913B1 (ko) 2013-07-02 2013-07-02 미닫이문용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7381A KR101491913B1 (ko) 2013-07-02 2013-07-02 미닫이문용 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201A true KR20150004201A (ko) 2015-01-12
KR101491913B1 KR101491913B1 (ko) 2015-02-11

Family

ID=52476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7381A KR101491913B1 (ko) 2013-07-02 2013-07-02 미닫이문용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191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9301A (ko) * 2015-03-10 2016-09-21 강예진 미닫이문용 손잡이 조립체
KR20160109379A (ko) * 2015-03-11 2016-09-21 강예진 미닫이문용 손잡이
KR20160111117A (ko) 2015-03-16 2016-09-26 주식회사 씨쓰리 미닫이문용 손잡이
JP2018145666A (ja) * 2017-03-03 2018-09-20 株式会社Lixil 引手
KR200490113Y1 (ko) 2018-10-31 2019-09-26 주식회사 금오하이텍 미닫이 도어용 손잡이 구조
KR200491312Y1 (ko) 2019-01-17 2020-03-18 백선영 미닫이 도어용 손잡이
US20230240505A1 (en) * 2022-02-03 2023-08-03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Pocket handle blend for an applian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3623A (ja) * 2002-04-02 2003-10-15 Best Oume:Kk ドアの両面用引き手
KR100592470B1 (ko) * 2005-04-02 2006-06-26 배병래 가구용 손잡이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9301A (ko) * 2015-03-10 2016-09-21 강예진 미닫이문용 손잡이 조립체
KR20160109379A (ko) * 2015-03-11 2016-09-21 강예진 미닫이문용 손잡이
KR20160111117A (ko) 2015-03-16 2016-09-26 주식회사 씨쓰리 미닫이문용 손잡이
JP2018145666A (ja) * 2017-03-03 2018-09-20 株式会社Lixil 引手
KR200490113Y1 (ko) 2018-10-31 2019-09-26 주식회사 금오하이텍 미닫이 도어용 손잡이 구조
KR200491312Y1 (ko) 2019-01-17 2020-03-18 백선영 미닫이 도어용 손잡이
US20230240505A1 (en) * 2022-02-03 2023-08-03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Pocket handle blend for an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1913B1 (ko) 2015-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1913B1 (ko) 미닫이문용 손잡이
US10401079B2 (en) Handle assembly for a refrigerator
US8215731B2 (en) Handle assembly for a domestic appliance
US20060207062A1 (en) Refrigerator handle assembly with exchangeable and caps
JP2011042327A (ja) プルハンドル用装飾キャップの取付け構造
KR101771422B1 (ko) 미닫이문용 손잡이
JP5713500B2 (ja) 引手
JP2019015079A (ja) 扉の連結構造
JP2018152513A (ja) 化粧部材の組み付け構造
KR200272173Y1 (ko) 미닫이 문용 손잡이
KR20160054322A (ko) 가구용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가구
KR200358404Y1 (ko) 문 손잡이 설치구조
WO2020211647A1 (zh) 一种带装饰条的洗衣机上盖
CN218866665U (zh) 一种家用电器的显示屏结构及家用电器
KR20120124766A (ko) 도어 트림의 장착 구조
JP2018153038A (ja) 化粧部材の組み付け構造
JPH0611327Y2 (ja) 引 手
KR20130083759A (ko) 문틀 손잡이
JP4032869B2 (ja) ケーブル収納体
KR101884682B1 (ko) 미닫이문용 손잡이 조립체
KR200304961Y1 (ko) 탄성 걸림구를 갖는 가구용 손잡이
KR20100130306A (ko) 분전함용 도어
JP5179213B2 (ja) 物掛け具及びその取り付け方法
JP2004225272A (ja) サッシ枠、開口部構造及び建物
JPWO2019244532A1 (ja) ヒンジ、扉装置及びヒンジ用スペー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