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4961Y1 - 탄성 걸림구를 갖는 가구용 손잡이 - Google Patents

탄성 걸림구를 갖는 가구용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4961Y1
KR200304961Y1 KR20-2002-0033446U KR20020033446U KR200304961Y1 KR 200304961 Y1 KR200304961 Y1 KR 200304961Y1 KR 20020033446 U KR20020033446 U KR 20020033446U KR 200304961 Y1 KR200304961 Y1 KR 2003049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furniture
elastic
door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34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수
Original Assignee
박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수 filed Critical 박성수
Priority to KR20-2002-00334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49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49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49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2Handles

Landscapes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발공정에 의해 성형되는 가구용 손잡이의 후면 일측에 손잡이 본체로부터 연장되게 탄성편형태의 탄성걸림구가 설치되게 함으로써 가구용 패널에 대한 손잡이의 부착설치작업을 간편하게 함과 동시에 패널에 대해 보다 정교하고 긴밀하게 손잡이가 부착설치 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전면에 장식부(13)와 손걸이부(14)를 형성하고 후면 일측에는 끼움턱(11)을 형성한 손잡이 본체(1)로 되어 가구용 문짝(2)의 임의 위치에 부착 설치되는 가구용 손잡이(A)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본체(1)의 끼움턱(11) 대향측에는 본체(1)로부터 일정부분 연장되는 탄성편 형태의 탄성걸림구(12)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걸림구를 갖는 가구용 손잡이이다.

Description

탄성 걸림구를 갖는 가구용 손잡이 {Furniture grip with elastic stopper}
본 고안은 탄성걸림구를 갖는 가구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발 공정에 의해 성형되는 가구용 손잡이의 후면 일측에 손잡이 본체로부터 연장되게 탄성편 형태의 탄성 걸림구가 설치되게 함으로써 가구용 패널에 대한 손잡이의 부착설치작업을 간편하게 함과 동시에 패널에 대해 보다 정교하고 긴밀하게손잡이가 부착설치 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나 가구등에 사용되는 문짝의 경우, 그 개폐 동작을 위하여 손잡이가 부착 설치되고 있는 것인바, 이들 사용되고 있는 손잡이들은 그 대부분이 별도의 고정 나사를 이용하여 문작 외면에 고정되도록 하고 있는 것이어서 손잡이 부착을 위한 번거로운 작업 공정이 수반되게 되어 그만큼 작업공수(工手)의 증가로 인한 싱크나 가구의 제작 단가의 상승을 초래하게 될 뿐만 아니라 장기간에 걸쳐 손잡이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고정 나사가 풀리면서 손잡이의 부착 상태가 느슨해지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어 제품의 신뢰성에도 문제를 야기하게 되는 것이었다.
또한 근래 들어 상기와 같이 별도의 고정나사를 이용하지 않고 문짝 특정 위치에 손잡이 끼움부를 형성한 후 이 끼움부 내에 손잡이를 끼워 넣어 문짝에 손잡이가 설치되도록 한 경우도 있으나, 이는 단순히 손잡이 양측으로 걸림턱이 일정부분 돌출 형성되게 한 것으로, 설치시 걸림턱이 끼움부면을 강제적으로 밀고 통과한 후 끼움부 내측에 걸려 빠지지 않도록 하는 구성인바, 이 경우는 걸림턱 자체가 어떠한 탄성도 지니지 못한 관계로 손잡이 양측에 형성되는 걸림턱을 문짝에 형성되는 끼움부를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그 돌출 높이를 최소화하여야 하므로 끼움부 내 측단에 걸림턱에 의해 걸려 끼워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순간적으로 손잡이를 강하게 당기는 경우에는 손잡이가 문짝의 끼움부로부터 분리 이탈 되게 되는 등의 문제로 인해 손잡이가 설치된 싱크나 가구의 상품 신뢰성을 해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각종 싱크나 가구의 문짝에 손잡이를 부착 설치함에 있어 별도의 고정 나사나 또는 전혀 탄성을 갖지 않는 걸림턱에 의해 부착,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종래의 가구용 손잡이가 지닌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손잡이의 부착부측 일측에 손잡이 본체로부터 일정부분 연장되게 탄성편 형태의 걸림구를 설치하여 보다 간편하고 긴밀하게 손잡이를 부착 설치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걸림구의 뛰어난 탄성으로 인해 문짝에 형성되는 끼움부와 손잡이 걸림구간의 결합력이 높아 한번 설치된 상태에서 손잡이가 파손되기 전에는 문짝으로부터 분리 이탈되지 않아 손잡이는 물론 가구의 전체적인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탄성 걸림편을 갖는 가구용 손잡이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손잡이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손잡이의 설치상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손잡이의 설치상태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손잡이 본체 2: 문짝
11: 끼움턱 12: 탄성걸림구 13: 장식부
14: 손걸이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탄성 걸림편을 갖는 가구용 손잡이는, 전면에 장식부(13)와 손걸이부(14)를 형성하고 후면 일측 에는 끼움턱(11)을 형성한 손잡이 본체(1)로 되어 가구용 문짝(2)의 임의 위치에 부착 설치되는 가구용 손잡이(A)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본체(1)의 끼움턱(11) 대향측 에는 본체(1)로부터 일정부분 연장되는 탄성편 형태의 탄성걸림구(12)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탄성걸림편을 갖는 가구용 손잡이의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탄성걸림편을 갖는 가구용 손잡이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치상태 측면도이며,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탄성걸림편을 갖는 가구용 손잡이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가구용 손잡이(A)는, 전면에 장식부(13)와 손걸이부(14)가 형성되고, 그 후면 일측에 끼움턱(11)을 돌출 형성한 통상적인 구성으로 되는 손잡이 본체(1)의 상기 끼움턱(11) 대향측에 두께가 얇은 탄성편 형태의 탄성걸림구(12)를 일체로 연장 형성함으로써 손잡이 본체(1)가 문짝(2)의 끼움부(21) 내에 끼워질 때 탄성걸림구(12)가 끼움부(21) 내주면과 면접촉되는 과정에서 눌리면서 끼움부(21)내에 끼워진 후 다시 탄성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어 벌어지면서 그 선단부가 끼움부(21) 내주면 안쪽에 걸리는 상태로 되므로 본 고안의 가구용 손잡이(A)는 문짝(2)에 견고하고 정교하게 부착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본 고안에 의한 가구용 손잡이(A)는 손잡이 본체(1)에 형성된 탄성걸림구(12)가 탄성에 의해 항상 벌어져 그 선단부가 문짝(2)의 끼움부(21) 내측단에 걸려 부착,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손잡이(A)가 문짝(2)에 한번 조립되면 손잡이 본체(1)를 파손하기 전에는 문짝(2)으로부터 분리, 이탈되지 않게 되어 가구의 미감향상과 함께 손잡이는 물론 가구의 전체적인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탄성 걸림구(12)의 존재에 의해 본 고안의 가구용 손잡이(A)가 부착, 설치되는 끼움부(21)가 손잡이 본체(1)의 부착부의 크기와 거의 동일한 크기로 가공 형성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정교하고 긴밀한 조립상태의 유지가 가능하게 되어 문짝(2)의 끼움부(21)에 끼워진 손잡이(A)가 유동되는 일이 없이 항상 긴밀한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손잡이나 문짝은 물론 가구 제품 전체의 상품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비록 상기의 실시 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탄성걸림편을 갖는 가구용 손잡이에 의하면, 인발공정에 의해 성형되는 가구용 손잡이의 후면, 즉 끼움부측 일측에 손잡이 본체와 일체로 일정길이 연장되게 탄성편 역할을 하도록 탄성 걸림구를 형성하여 문짝에 대한 손잡이의 부착, 설치 작업이 간편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문짝에 부착, 설치된 상태에서는 탄성에 의해 벌어진 탄성걸이편이 문짝의 끼움부의 내측단에 긴밀하게 끼워져 걸린 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각종 싱크나 가구의 문짝에 대한 손잡이의 부착, 설치 작업이 간편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정교하고 견고한 설치 상태로 인해 손잡이의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전면에 장식부(13)와 손걸이부(14)를 형성하고 후면 일측 에는 끼움턱(11)을 형성한 손잡이 본체(1)로 되어 가구용 문짝(2)의 임의 위치에 부착 설치되는 가구용 손잡이(A)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본체(1)의 끼움턱(11) 대향측 에는 본체(1)로부터 일정부분 연장되는 탄성편 형태의 탄성걸림구(12)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걸림구를 갖는 가구용 손잡이.
KR20-2002-0033446U 2002-11-08 2002-11-08 탄성 걸림구를 갖는 가구용 손잡이 KR2003049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3446U KR200304961Y1 (ko) 2002-11-08 2002-11-08 탄성 걸림구를 갖는 가구용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3446U KR200304961Y1 (ko) 2002-11-08 2002-11-08 탄성 걸림구를 갖는 가구용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4961Y1 true KR200304961Y1 (ko) 2003-02-19

Family

ID=49330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3446U KR200304961Y1 (ko) 2002-11-08 2002-11-08 탄성 걸림구를 갖는 가구용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496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7369B2 (en) Handle assembly for a refrigerator
US8215731B2 (en) Handle assembly for a domestic appliance
KR100775657B1 (ko) 드로 래치
US4744126A (en) Combined pull and carry handle
KR101491913B1 (ko) 미닫이문용 손잡이
KR200304961Y1 (ko) 탄성 걸림구를 갖는 가구용 손잡이
US20020116785A1 (en) Pivoting-handle device
USD506916S1 (en) Multi-step oval rosette/oval door knob
JP3745845B2 (ja) ガス警報器
JP2003247361A (ja) 引戸の引手構造
KR200272173Y1 (ko) 미닫이 문용 손잡이
KR200385974Y1 (ko) 매립형 문손잡이
USD510696S1 (en) Multi-step oval rosette/oval door knob
USD499631S1 (en) Multi-step oval rosette/oval door knob
JPH09280217A (ja) 固定具
KR20090006232U (ko) 복수의 탄성걸림구를 갖는 가구용 손잡이
KR0128427Y1 (ko) 냉장고의 도어 손잡이 구조
KR20200072204A (ko) 헤어핀에 장착되는 액세서리부재
JP3377473B2 (ja) キャビネットの箱前幕板取付構造
CN214386778U (zh) 把手
KR100520057B1 (ko) 김치냉장고
KR200279071Y1 (ko) 개방이 용이한 문손잡이구조
KR100776652B1 (ko) 탈 장착 힌지를 구비한 커버
KR200302179Y1 (ko) 유리문 프레임
KR200349500Y1 (ko) 도어록의 잠금용 누름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