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4322A - 가구용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가구 - Google Patents

가구용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4322A
KR20160054322A KR1020140153776A KR20140153776A KR20160054322A KR 20160054322 A KR20160054322 A KR 20160054322A KR 1020140153776 A KR1020140153776 A KR 1020140153776A KR 20140153776 A KR20140153776 A KR 20140153776A KR 20160054322 A KR20160054322 A KR 20160054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hort
furniture
long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3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8877B1 (ko
Inventor
김용철
Original Assignee
김용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철 filed Critical 김용철
Priority to KR1020140153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8877B1/ko
Publication of KR20160054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4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8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8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2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47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용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가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구용 손잡이는, 하나의 장변과 두 개의 단변을 가지게 절취된 손잡이 결합부를 구비한 가구용 패널에 결합되는 가구용 손잡이로서, 상기 손잡이 결합부의 장변에 결합되는 패널결합부 및 손가락이 삽입되는 삽입공간부를 구비한 손잡이본체; 및 상기 손잡이본체의 단부가 삽입되는 손잡이본체결합부 및 상기 손잡이 결합부의 단변 및 장변이 결합되는 패널결합부를 각각 구비하여 상기 손잡이본체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단부캡;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본체는, 상기 손잡이 결합부의 전방에 구비되는 단폭부; 및 상기 단폭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가지며 상기 단폭부의 배후에 이격 배치되는 장폭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 단부캡은, 상기 손잡이본체의 단폭부의 단부가 삽입되는 단폭부삽입부; 및 상기 장폭부의 단부가 삽입되는 장폭부삽입부;를 각각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체결부재 및 접착제의 사용을 배제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구용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가구{HANDLE FOR FURNITURE AND FURNITUR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구용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가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길이 조절이 용이하고, 스크류 또는 접착제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는 가구용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가구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가구는 사물을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는 기구로서 주로 가정에 구비되는 가정용 가구 또는 회사에 구비되는 사무용 가구를 포함한다.
이러한 가구는, 통상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가구본체와, 상기 가구본체의 수납공간을 회동 개폐하는 도어 또는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개폐하는 드로어를 구비한다.
상기 가구의 도어 또는 드로어에는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손잡이가 구비된다.
상기 가구용 손잡이 중 일부는 주로 볼트 또는 스크류 등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도어 또는 드로어에 결합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체결부재를 이용하는 가구용 손잡이에 있어서는, 체결부재의 결합에 많은 시간 및 노력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손잡이가 도어 또는 드로어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충격적 접촉시 부상의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일부에서는 가구용 패널의 일 측을 절취하고 가구용 손잡이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가구용 패널의 절취부에 접착하는 손잡이가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접착제를 이용하는 가구용 손잡이에 있어서는, 가구용 손잡이와 가구용 패널이 주로 접착제의 접착력에 의해 결합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어, 사용 기간이 일정 시간을 경과할 경우 접착제의 접착력이 약화되어 가구용 손잡이가 가구용 패널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접착제의 사용 후 접착제의 경화시간 동안 대기하여야 하므로 접착제에 기인한 대기시간이 연장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접착제의 유해성분에 의해 환경 및 인체에 직, 간접적인 악영향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가구용 손잡이의 가구용 패널의 외면에 접촉되게 배치되는 부분은 강도가 상대적으로 미흡하여 일정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변형이 발생하게 되어 가구용 패널로부터 이격 또는 들뜨게 되는 소위 "들뜸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10-1141463(2012.04.23)
따라서, 본 발명은, 체결부재 및 접착제의 사용을 배제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가구용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가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 사용기간이 경과하여도 초기의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가구용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가구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변형 발생을 억제하여 변형에 기인한 들뜸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가구용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가구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하나의 장변과 두 개의 단변을 가지게 절취된 손잡이 결합부를 구비한 가구용 패널에 결합되는 가구용 손잡이로서, 상기 손잡이 결합부의 장변에 결합되는 패널결합부 및 손가락이 삽입되는 삽입공간부를 구비한 손잡이본체; 및 상기 손잡이본체의 단부가 삽입되는 손잡이본체결합부 및 상기 손잡이 결합부의 단변 및 장변 일부가 결합되는 패널결합부를 각각 구비하여 상기 손잡이본체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단부캡;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본체는, 상기 손잡이 결합부의 전방에 구비되는 단폭부; 상기 단폭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가지며 상기 단폭부의 배후에 이격 배치되는 장폭부; 및 상기 단폭부와 상기 장폭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본체결합부는, 상기 손잡이본체의 단폭부의 단부가 삽입되는 단폭부삽입부; 및 상기 장폭부의 단부가 삽입되는 장폭부삽입부;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손잡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단부캡의 패널삽입부는, 상기 단폭부삽입부 및 장폭부삽입부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그 내부에 상기 손잡이 결합부의 단변이 삽입되는 단변삽입부; 및 상기 단폭부삽입부, 장폭부삽입부 및 상기 단변삽입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장변삽입부;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변삽입부는, 상기 손잡이 결합부의 단변에 접촉되는 단변접촉부 및 상기 손잡이 결합부의 양 측 판면에 각각 접촉되는 양 측벽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단변접촉부에는 상기 단변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복수의 돌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복수의 리브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폭부삽입부 및 장폭부삽입부는 상기 단변삽입부의 양 측벽부에 미리 설정된 깊이로 함몰 형성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변삽입부의 양 측벽부의 하부에는 상기 단변접촉부의 단부에 비해 연장되어 상기 손잡이 결합부의 장변에 각각 접촉되는 연장부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 연장부는 상기 장변접촉부의 양 측벽부일 수 있다.
상기 삽입공간부는 상기 연결부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패널결합부는 상기 연결부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폭부삽입부 및 장폭부삽입부는, 상기 단폭부 및 장폭부의 내측 및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내측리브 및 외측리브를 각각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폭부삽입부 및 장폭부삽입부는 상기 각 외측리브의 단부에서 상기 단폭부 및 장폭부를 감싸게 절곡된 절곡리브를 각각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폭부삽입부 및 장폭부삽입부는, 상기 각 외측리브 및 내측리브를 연결하는 연결리브를 각각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의 저부면은 상기 손잡이 결합부의 장변에 직접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본체 및 단부캡은 상기 가구용 패널과 소정의 죔새를 가지고 압입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본체 및 단부캡은 상기 가구용 패널의 두께방향 및 상기 손잡이 결합부의 장변방향에 대해 각각 압입 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본체 및 단부캡은 상호 소정의 죔새를 가지고 압입 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가구본체; 및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또는 드로어; 및 상기 도어 또는 드로어에 구비되는 상기 가구용 손잡이;를 포함하는 가구가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부재 및 접착제의 사용을 배제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 및 접착제를 사용하지 아니하므로 사용 기간이 일정 시간을 경과하여도 체결부재의 풀림 현상 또는 접착제의 접착력 저하에 기인하여 가구용 손잡이가 가구용 패널로부터 분리될 염려가 없다.
또한, 가구용 패널의 외면에 접촉되는 부분의 강도(강성)이 우수하여 일정 사용 기간이 경과되어도 주변부의 변형이 발생될 염려가 없고, 변형에 기인한 들뜸 현상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의 가구용 패널의 결합 전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가구용 손잡이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손잡이본체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손잡이본체의 우측면도,
도 5는 도 2의 손잡이본체의 평면도,
도 6은 도 2의 단부캡(제1단부캡)의 정면도,
도 7은 도 6의 단부캡의 배면도,
도 8은 도 6의 단부캡의 평면도,
도 9는 도 6의 단부캡의 저면도,
도 10은 도 1의 결합상태의 Ⅹ-Ⅹ선에 따른 단면도,
도 11은 도 8의 단부캡의 변형례,
도 12는 도 11의 단부캡의 저면도,
도 13은 도 8의 단부캡의 변형례,
도 14는 도 13의 단부캡의 저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를 구비한 가구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는, 하나의 장변(126)과 두 개의 단변(127)을 가지게 절취된 손잡이 결합부(125)를 구비한 가구용 패널(120)에 결합되는 가구용 손잡이(150)로서, 상기 손잡이 결합부(125)의 장변(126)에 결합되는 패널결합부(154) 및 손가락이 삽입되는 삽입공간부(156)를 구비한 손잡이본체(151); 및 상기 손잡이본체(151)의 단부가 삽입되는 손잡이본체결합부(181) 및 상기 손잡이 결합부(125)의 단변(127) 및 장변(126) 일부가 결합되는 패널결합부(191)를 각각 구비하여 상기 손잡이본체(151)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단부캡(180);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본체(151)는, 상기 손잡이 결합부(125)의 전방에 구비되는 단폭부(161); 및 상기 단폭부(161)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가지며 상기 단폭부(161)의 배후에 이격 배치되는 장폭부(163);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본체결합부(181)는, 상기 손잡이본체(151)의 단폭부(161)의 단부가 삽입되는 단폭부삽입부(183); 및 상기 장폭부(163)의 단부가 삽입되는 장폭부삽입부(185);를 각각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구용 패널(120)은 가구본체의 수납공간을 회동 개폐하는 도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구용 패널(120)은 상기 가구본체의 수납공간을 전후로 슬라이딩 하며 개폐하는 드로어의 전면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구용 패널(120)은, 예를 들면, 직사각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구용 패널(120)은, 예를 들면, 목재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구용 패널(120)은, 예를 들면, 엠디에프(MDF : Medium density Fiberboard)로 형성되는 패널본체(120a)와, 상기 패널본체(120a)의 외면에 부착되는 데코레이션시트(120b)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구용 패널(120)의 일측 변부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150)가 결합될 수 있게 손잡이 결합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결합부(125)는, 두께방향을 따라 관통되고 판면방향을 따라 일 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결합부(125)는, 하나의 장변(126)과 두 개의 단변(127)을 구비한 직사각 형상을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150)는, 상기 손잡이 결합부(125)의 장변(126)에 결합되는 패널결합부(154) 및 손가락이 삽입되는 삽입공간부(156)를 구비한 손잡이본체(151)와, 상기 손잡이본체(151)의 단부가 결합되는 손잡이본체결합부(181) 및 상기 손잡이 결합부(125)의 단면 및 장변(126) 일부가 결합되는 패널결합부(191)를 구비하여 상기 손잡이본체(151)의 양 단부에 결합되는 단부캡(18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본체(151)는, 예를 들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 결합부(125)의 전방에 구비되는 단폭부(161); 및 상기 단폭부(161)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가지며 상기 단폭부(161)의 배후에 이격 배치되는 장폭부(163);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 단부캡(180)은, 상기 손잡이본체(151)의 단폭부(161)의 단부가 삽입되는 단폭부삽입부(183); 및 상기 장폭부(163)의 단부가 삽입되는 장폭부삽입부(185);를 각각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본체(151)는 상기 단폭부(161)와 상기 장폭부(163)를 연결하는 연결부(16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본체(151)는 단면 형상이 동일하므로, 예를 들면, 압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본체(151)는, 예를 들면, 모재(152)와, 상기 모재(152)의 표면에 부착된 데코레이션시트(153)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본체(151)의 데코레이션시트(153)는, 예를 들면, 상기 가구용 패널(120)의 데코레이션시트(120b)와 동일한 재질 및/또는 동일한 모양(색,무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손잡이본체(151)는 압출에 의해 긴 길이로 형성된 모재로부터 미리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면 되기 때문에, 별도의 금형을 제작하지 아니하여도 되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가구용 패널(120)에 원하는 길이(장변(126))의 손잡이 결합부(125)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 결합부(125)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모재를 절단하여 손잡이본체(151)를 형성하면 되므로, 사용자의 요구에 대응하여 원하는 크기(길이)의 가구용 손잡이(150)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만족도를 제고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부(165)는 상기 단폭부(161) 및 장폭부(163)의 각 하부와 상기 패널결합부(154)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본체(151)의 패널결합부(154)는, 예를 들면, 상기 손잡이 결합부(125)에 소정의 죔새를 가지고 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본체(151)의 패널결합부(154)는, 예를 들면, 상기 손잡이 결합부(125)의 외폭(또는 두께, t1)보다 동일하거나 약간 작은 내폭(t2)를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65)는 상기 단폭부(161) 및 장폭부(163)의 각 상부와 상기 삽입공간부(156)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165)는 상기 패널결합부의 천장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삽입공간부(156)의 바닥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65)의 저부면은 상기 손잡이 결합부(125)의 장변(126)에 면접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부캡(180)은,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본체(151)의 일 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1단부캡(180a)(도면상 우측 단부캡) 및 타 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2단부캡(180b)(도면상 좌측 단부캡)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단부캡(180a) 및 제2단부캡(180b)은 상호 대칭이고 구성이 유사하므로 단부캡(180)에 대한 설명은 제1단부캡(180a)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상기 제1단부캡(180a)은, 상기 손잡이본체(151)의 일 단부가 삽입되는 손잡이본체결합부(181) 및 상기 손잡이 결합부(125)의 단변(127) 및 장변(126) 일부가 삽입되는 패널결합부(19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본체결합부(181)는, 상기 손잡이본체(151)의 단폭부(161)의 일 단부가 삽입되는 단폭부삽입부(183) 및 장폭부(163)의 일 단부가 삽입되는 장폭부삽입부(18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단폭부삽입부(183)는 상기 단폭부(161)의 내측 및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내측리브(184a) 및 외측리브(184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단폭부삽입부(183)는 상기 내측리브(184a) 및 외측리브(184b)를 연결하는 연결리브(184c)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단폭부삽입부(183)는 상기 외측리브(184b)의 단부에서 상기 단폭부(161)의 단부를 감싸게 절곡된 절곡리브(184d)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절곡리브(184d)는 상기 단폭부(161)의 모서리를 감싸게 되므로 시간이 경과하여도 상기 단폭부(161)의 모서리가 외측으로 변형되어 상기 가구용 패널(120)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소위 들뜸현상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장폭부삽입부(185)는 상기 장폭부(163)의 내측 및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내측리브(186a) 및 외측리브(186b)를 각각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장폭부삽입부(185)는, 상기 장폭부(163)의 외측 및 내측에 각각 배치된 외측리브(186b) 및 내측리브(186a)를 연결하는 연결리브(186c)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장폭부삽입부(185)는 상기 장폭부(163)의 외측에 구비된 외측리브(186b)의 단부에서 상기 장폭부(163)를 감싸게 절곡된 절곡리브(186d)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폭부삽입부(183)와 상기 장폭부삽입부(185) 사이에는 상기 단폭부삽입부(183)와 상기 장폭부삽입부(185)를 연결하는 리브연결부(18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연결부(188)는 상기 단폭부삽입부(183)의 내측리브(184a)와 장폭부삽입부(185)의 내측리브(186a)를 서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각 내측리브(184a,186a)의 변형이 억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손잡이본체(151)와 상기 단부캡(180)의 결합이 공고하게 될 수 있다.
상기 리브연결부(188)의 내면에는 상기 연결부(165)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본체결합부(181)와 상기 손잡이본체(151)는, 예를 들면, 소정의 죔새를 가지고 서로 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부캡(180)의 패널삽입부(191)는, 상기 단폭부삽입부(183) 및 장폭부삽입부(185)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그 내부에 상기 손잡이 결합부(125)의 단변(127)이 삽입되는 단변삽입부(193); 및 상기 단폭부삽입부(183), 장폭부삽입부(185) 및 상기 단변삽입부(193)의 하측에 형성되는 장변삽입부(196);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부캡(180)은 상기 손잡이 결합부(125)에 소정의 죔새를 가지고 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변삽입부(193)는, 상기 손잡이 결합부(125)의 단변(127)에 면접촉되는 단변접촉부(194) 및 상기 손잡이 결합부(125)의 양 측 판면에 각각 접촉되는 양 측벽부(19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단변접촉부(194)는, 예를 들면, 상기 손잡이 결합부(125)의 단변(127)에 소정의 죔새로 밀착(압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폭부삽입부(183) 및 장폭부삽입부(185)는 상기 단변삽입부(193)의 양 측벽부(195)에 반대측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깊이로 함몰 형성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변삽입부(193)의 양 측벽부(195)의 하부에는 상기 단변접촉부(194)의 단부에 비해 연장되어 상기 손잡이 결합부(125)의 장변(126)에 각각 접촉되는 연장부(195a)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 연장부(195a)는 상기 장변삽입부(196)를 형성하는 양 측벽부일 수 있다.
상기 손잡이본체(151) 및 단부캡(180)은 상기 손잡이 결합부(125)의 장변 방향에 대해 각각 압입 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손잡이본체(151) 및 단부캡(180)은 상호 결합된 후 상기 손잡이 결합부(125)에 장변 방향에 대해 소정의 죔새를 가지고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본체(151) 및 단부캡(180)의 두 단변접촉부(194) 사이의 거리(L2)는, 상기 손잡이 결합부(125)의 두 단변(127) 사이의 거리(L1, 도 1 참조)와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부캡(180)은,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 결합부(125)의 단변(127)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21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단부캡(180)의 결합시 상기 단부캡(180)과 상기 가구용 패널(120)의 결합이 더욱 공고하게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부(21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돌기(212)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212)는 상기 단변접촉부(194)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212)는, 예를 들면, 상기 단변접촉부(194)의 일 측(도면상 상부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212)는 복수의 열을 이루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기(212)는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단변접촉부(194)의 표면에 적절하게 산포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10)는 복수의 리브(214)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214)는, 예를 들면, 상기 단변접촉부(194)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단부캡(180)의 폭방향으로 긴 길이를 가지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214)는, 예를 들면, 상기 단변접촉부(194)의 일 측(도면상 상부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214)는, 예를 들면, 복수의 열을 이루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214)는, 예를 들면, 서로 다른 열의 리브(214)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를 구비한 가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인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일부 구성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구는,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가구본체(110);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도어(130) 또는 드로어(140); 및 상기 도어(130) 또는 드로어(140)에 구비되는 상기 가구용 손잡이(15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구본체(110)는, 예를 들면,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구비하여 내부에 수납공간(1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공간(111)은, 예를 들면, 상기 가구본체(110)의 내부 상측에 형성되는 상부수납공간(112)과, 상기 상부수납공간(112)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수납공간(114)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가구본체(110)의 상부영역에는, 예를 들면, 상기 상부수납공간(112)을 개폐하는 도어(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30)는, 예를 들면, 상기 가구본체(110)의 양 측에 각각 힌지결합된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 도어(13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손잡이(15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 도어(130)의 가구용 손잡이는, 예를 들면, 서로 다른 높이에 각각 형성되는 제1가구용 손잡이(150a) 및 제2가구용 손잡이(150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가구용 손잡이(150a) 및 제2가구용 손잡이(150b)는, 예를 들면, 서로 다른 길이를 구비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각 도어(130)의 가구용 손잡이(150a,150b)가 서로 다른 길이를 구비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동일한 길이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가구본체(110)의 하부영역에는 하부수납공간(1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구본체(110)의 하부영역에는 상기 하부수납공간(114)을 개폐하는 드로어(1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구용 손잡이(150)는, 상기 드로어(140)의 전면판(141a)에 결합된 가구용 손잡이(150c)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드로어(140)의 전면판(141a)의 상부 중앙에는 손잡이 결합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드로어(140)의 전면판(141a)의 상부 중앙에 가구용 손잡이(150c)가 장착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상기 드로어(140)의 전면판(141a)의 하부 중앙에 가구용 손잡이(미도시)가 장착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손잡이본체(151)의 양 단부에 상기 단부캡(180)을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호 결합된 손잡이본체(151) 및 단부캡(180)을 상기 손잡이 결합부(125)의 입구측에 배치하고, 상기 손잡이 결합부(125)의 각 단변(127)이 상기 각 단부캡(180)의 단변삽입부(193)에 삽입되게 상기 손잡이본체(151) 및 단부캡(180)을 상기 가구용 패널(120) 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각 단부캡(180)의 단변삽입부(193)의 내부로 상기 손잡이 결합부(125)의 각 단변(127)이 삽입된 후, 상기 손잡이 결합부(125)의 장변(126)이 상기 손잡이본체(151)의 패널결합부(154)의 내부에 삽입됨과 아울러 각 단부캡(180)의 장변삽입부(196)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본체(151) 및 각 단부캡(180)은 상기 가구용 패널(120)의 두께방향 및 손잡이 결합부(125)의 장변 방향에 대해 소정의 죔새를 가지고 각각 압입 결합됨으로써, 시간이 경과되어도 초기의 결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각 단부캡(180)은 손잡이본체(151)의 단폭부(161) 및 장폭부(163)의 외측 모서리를 감싸는 절곡리브(184d,186d)를 각각 구비함으로써, 손잡이본체(151)의 단폭부(161) 및 장폭부(163)의 모서리가 외측으로 변형되어 가구용 패널(120)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들뜸현상이 억제될 수 있어 외관 모서리의 들뜸에 기인한 외관 품위가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
110 : 가구본체 111: 수납공간
120 : 가구용 패널 120 a : 패널본체
120b,153 : 데코레이션시트 125 : 손잡이결합부
126 : 장변 127 : 단변
130 : 도어 140 : 드로어
141a : 전면판 150,150a,150b,150c : 가구용 손잡이
151 : 손잡이 본체 152 : 모재
154,191 : 패널결합부 156 : 삽입공간부
161 : 단폭부 163 : 장폭부
165 : 연결부 180 : 단부캡
180a : 제1단부캡 180b : 제2단부캡
181 : 손잡이본체결합부 183 : 단폭부삽입부
184a,186a : 내측리브 184b,186b : 외측리브
184c,186c : 연결리브 184d,186d : 절곡리브
188 : 리브연결부 193 : 단변삽입부
194 : 단변접촉부 195 : 측벽부
195a : 연장부 196 : 장변삽입부
210 : 돌출부 212 : 돌기
214 : 리브

Claims (12)

  1. 하나의 장변과 두 개의 단변을 가지게 절취된 손잡이 결합부를 구비한 가구용 패널에 결합되는 가구용 손잡이로서,
    상기 손잡이 결합부의 장변에 결합되는 패널결합부 및 손가락이 삽입되는 삽입공간부를 구비한 손잡이본체; 및
    상기 손잡이본체의 단부가 삽입되는 손잡이본체결합부(181) 및 상기 손잡이 결합부의 단변 및 장변 일부가 결합되는 패널결합부를 각각 구비하여 상기 손잡이본체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단부캡;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본체는, 상기 손잡이 결합부의 전방에 구비되는 단폭부; 상기 단폭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가지며 상기 단폭부의 배후에 이격 배치되는 장폭부; 및 상기 단폭부와 상기 장폭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본체결합부는, 상기 손잡이본체의 단폭부의 단부가 삽입되는 단폭부삽입부; 및 상기 장폭부의 단부가 삽입되는 장폭부삽입부;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손잡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캡의 패널삽입부는, 상기 단폭부삽입부 및 장폭부삽입부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그 내부에 상기 손잡이 결합부의 단변이 삽입되는 단변삽입부; 및 상기 단폭부삽입부, 장폭부삽입부 및 상기 단변삽입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장변삽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손잡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변삽입부는, 상기 손잡이 결합부의 단변에 접촉되는 단변접촉부 및 상기 손잡이 결합부의 양 측 판면에 각각 접촉되는 양 측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폭부삽입부 및 장폭부삽입부는 상기 단변삽입부의 양 측벽부에 미리 설정된 깊이로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손잡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변접촉부에는 상기 단변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손잡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폭부삽입부 및 장폭부삽입부는, 상기 단폭부 및 장폭부의 내측 및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내측리브 및 외측리브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손잡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폭부삽입부 및 장폭부삽입부는 상기 각 외측리브의 단부에서 상기 단폭부 및 장폭부를 감싸게 절곡된 절곡리브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손잡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폭부삽입부 및 장폭부삽입부는, 상기 각 외측리브 및 내측리브를 연결하는 연결리브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손잡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저부면은 상기 손잡이 결합부의 장변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손잡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본체 및 단부캡은 상기 가구용 패널과 소정의 죔새를 가지고 압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손잡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본체 및 단부캡은 상기 가구용 패널의 두께방향 및 상기 손잡이 결합부의 장변방향에 대해 각각 압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손잡이.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본체 및 단부캡은 소정의 죔새를 가지고 압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손잡이.
  12.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가구본체; 및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또는 드로어; 및
    상기 도어 또는 드로어에 구비되는 제1항의 가구용 손잡이;를 포함하는 가구.
KR1020140153776A 2014-11-06 2014-11-06 가구용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가구 KR101678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776A KR101678877B1 (ko) 2014-11-06 2014-11-06 가구용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776A KR101678877B1 (ko) 2014-11-06 2014-11-06 가구용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322A true KR20160054322A (ko) 2016-05-16
KR101678877B1 KR101678877B1 (ko) 2016-11-23

Family

ID=56109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3776A KR101678877B1 (ko) 2014-11-06 2014-11-06 가구용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88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281Y1 (ko) * 2019-07-30 2020-03-12 박광호 가구 도어틀용 손잡이 도어프레임
KR200493462Y1 (ko) * 2020-09-02 2021-04-02 박광호 가구용 손잡이 마감캡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922Y1 (ko) * 2004-09-14 2004-12-03 서효석 사물함용 록킹커버
JP2010075590A (ja) * 2008-09-29 2010-04-08 Sun Wave Ind Co Ltd 扉用金属製取手
KR101141463B1 (ko) 2011-09-14 2012-05-04 주식회사 네오퍼스 측면 마감구 일체형 3면 접촉 끼움 고정식 가구용 손잡이
KR20130003993U (ko) * 2011-12-23 2013-07-03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 감시카메라용 모니터 겸용 승강장 위치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922Y1 (ko) * 2004-09-14 2004-12-03 서효석 사물함용 록킹커버
JP2010075590A (ja) * 2008-09-29 2010-04-08 Sun Wave Ind Co Ltd 扉用金属製取手
KR101141463B1 (ko) 2011-09-14 2012-05-04 주식회사 네오퍼스 측면 마감구 일체형 3면 접촉 끼움 고정식 가구용 손잡이
KR20130003993U (ko) * 2011-12-23 2013-07-03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 감시카메라용 모니터 겸용 승강장 위치표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281Y1 (ko) * 2019-07-30 2020-03-12 박광호 가구 도어틀용 손잡이 도어프레임
KR200493462Y1 (ko) * 2020-09-02 2021-04-02 박광호 가구용 손잡이 마감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8877B1 (ko) 201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15973S1 (en) Front door panel for an automobile
USD930545S1 (en) Rear door panel for automobiles
USD848953S1 (en) Connector assembly
USD930544S1 (en) Front door panel for automobiles
USD865399S1 (en) Mattress cover
USD900982S1 (en) Drain stopper with debris catch
USD549805S1 (en) Drain trap with lower opening
KR101491913B1 (ko) 미닫이문용 손잡이
USD936472S1 (en) Door stopper
USD927282S1 (en) Door handle
USD899193S1 (en) Home plate bowl
KR101678877B1 (ko) 가구용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가구
US8695853B2 (en) Household appliance having ice water dispenser
USD885881S1 (en) Door stopper
USD891916S1 (en) Door stop
KR101900592B1 (ko) 붙박이장의 슬라이딩 도어 손잡이
JP5713500B2 (ja) 引手
USD940354S1 (en) Frame for an indoor wall with built-in home appliances
KR200436994Y1 (ko) 피자 포장용 상자
USD916641S1 (en) Door step plate for a vehicle
USD916639S1 (en) Door step plate for a vehicle
KR200485330Y1 (ko) 가구용 문 조립체
USD899473S1 (en) Rail
JP5877378B2 (ja) 収納家具
USD1023346S1 (en) Door panel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