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918A - 저밀도 열간 또는 냉간 압연 강, 상기 강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강의 용도 - Google Patents

저밀도 열간 또는 냉간 압연 강, 상기 강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강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918A
KR20150003918A KR1020147034966A KR20147034966A KR20150003918A KR 20150003918 A KR20150003918 A KR 20150003918A KR 1020147034966 A KR1020147034966 A KR 1020147034966A KR 20147034966 A KR20147034966 A KR 20147034966A KR 20150003918 A KR20150003918 A KR 20150003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temperature
less
rolling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4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드리게스 이안 알베르토 수아소
아스트리드 페를라드
사비에 가라뜨
Original Assignee
아르셀러미탈 인베스티가시온 와이 데살롤로 에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르셀러미탈 인베스티가시온 와이 데살롤로 에스엘 filed Critical 아르셀러미탈 인베스티가시온 와이 데살롤로 에스엘
Publication of KR20150003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9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46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metal immediately subsequent to continuous casting
    • B21B1/463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metal immediately subsequent to continuous casting in a continuous process, i.e. the cast not being cut before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03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02Winding-up or coi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5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M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36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436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4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 C21D8/04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to produce plates or strips for deep-draw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473Final recrystallisation annea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4Dispersions; Precipit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Parts Printed On Printed Circuit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600 MPa 이상의 기계적 강도와 20 % 이상의 파괴 신율을 가지는 압연 강판 뿐만 아니라, 상기 압연 강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판의 화학 조성은, 0.10 % ≤ C ≤ 0.30 %, 6.0 % ≤ Mn ≤ 15.0 %, 6.0 % ≤ Al ≤ 15.0 %, 선택적으로 Si ≤ 2.0 %, Ti ≤ 0.2 %, V ≤ 0.6 % 및 Nb ≤ 0.3 %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원소들을 포함하고, 조성의 잔부는 철과 제조 프로세스에서 기인하는 불가피한 불순물들을 포함한다. 망간 대 알루미늄의 중량 비는 Mn/Al > 1.0 이도록 되어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판의 미세조직은 페라이트, 오스테나이트, 및 표면 분율로서 최대 5 % 의 카파 석출물들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저밀도 열간 또는 냉간 압연 강, 상기 강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강의 용도{LOW-DENSITY HOT- OR COLD-ROLLED STEEL, METHOD FOR IMPLEMENTING SAME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600 MPa 이상의 기계적 강도 및 20 % 이상의 파단 신율을 가지는 압연 강 뿐만 아니라 상기 압연 강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환경 규제는 자동차 제조사들이 그들 차량의 CO2 배출을 계속해서 감소시키도록 강요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자동차 제조사들은 여러가지 옵션들을 가지고, 그 중 주요한 옵션들은 차량들의 중량을 감소시키거나 차량 엔진 시스템들의 효율성을 개선하는 것이다. 두 가지 접근법들의 조합에 의해 종종 진전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첫 번째 옵션, 즉 모터 차량들의 중량 감소에 관한 것이다. 이런 매우 특정한 분야에서, 두 가지 방향의 (two-track) 대안예가 있다:
Figure pct00001
첫 번째 방향은 강들의 기계적 강도 레벨들을 증가시키면서 강들의 두께들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구성된다. 불행하게도, 이 해결책은, 기계적 강도 증가와 연관된 연성의 불가피한 손실은 말할 것도 없이 임의의 자동차 부품들의 강성의 엄청난 (prohibitive) 감소 및 탑승자에게 불편한 조건들을 조성하는 청각적 문제점들의 발생 때문에 한계가 있다.
Figure pct00002
두 번째 방향은, 강들을 보다 가벼운 다른 금속들과 합금함으로써 강들의 밀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 합금들 중에서, 철-알루미늄 합금들로 불리는 저밀도 합금들은 중량을 크게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 유리한 (attractive) 기계적, 물리적 특성을 갖는다. 이 경우에, 저 밀도는 7.3 이하의 밀도를 의미한다.
철에 비하여 낮은 밀도 때문에, 알루미늄을 철에 부가하는 것은 자동차의 구조 부품들에 대한 실질적인 중량 감소를 기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 점과 관련하여, 특허 출원 EP2128293 은, 0.2 ~ 0.8 % 의 C, 2 ~ 10 % 의 Mn, 3 ~ 15 % 의 Al 로 된 조성과 99 % 미만의 페라이트와 1 % 초과의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함유한 조직을 가지는 열간 압연 또는 냉간 압연 판을 설명한다. 판은 600 ~ 1,000 MPa 범위의 기계적 강도, 7.2 미만의 밀도를 가지고 코팅가능하다. 열간 압연 판의 제조 방법은 1,000 ~ 1,200 ℃ 로 가열하고, 700 ~ 850 ℃ 의 최종 압연 온도로 압연하고, 600 ℃ 미만의 온도에서 권취하는 (coiling) 것으로 구성된다. 냉간 압연 판을 위해, 열간 압연 판이 40 ~ 90 % 의 압하로 냉간 압연되고, 1 ~ 20 ℃/s 의 속도로, 재결정화 온도와 900 ℃ 사이의 온도까지 10 ~ 180 초 동안 재가열된다. 이 특허 출원의 목적은 Mn/Al 비를 0.4 ~ 1.0 사이의 값으로 제한함으로써 "로핑 (roping)" 과 압연 균열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다. 1.0 의 비를 초과하면, 냉간 압연은 균열을 발생시킨다.
특허 출원 JP2006118000 은 높은 강도 뿐만 아니라 양호한 연성을 보이는 경량의 강을 설명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 제안된 강의 조성은 0.1 ~ 1.0 중량% 의 C, 3.0 중량% 미만의 Si, 10.0 ~ 50.0 중량% 의 Mn, 0.01 중량% 미만의 P, 0.01 중량% 미만의 S, 5.0 ~ 15.0 중량% 의 Al 및 0.001 ~ 0.05 중량% 의 N 을 함유하고, 잔부는 철과 불가피한 불순물들이고; 하기 식 (1) 이 충족된다면, 강은 7.0 이하의 밀도를 가질 것이다.
C ≤ -0.020XMn+Al/15+0.53 (1).
그것은 페라이트와 오스테나이트를 함유하는 미세조직을 가질 것이다. 기계적 강도와 총 신율의 곱은 다음 부등식을 충족시켜야 한다: TS x El ≥ 20,000 (MPa x %). 이러한 높은 농도의 합금 원소들 Mn 과 Al 을 갖는 강들의 압연 특징은 균열 발생의 주요 위험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허 출원 WO2007/024092 의 목적은, 용이하게 스탬핑될 수 있는 열간 압연 판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출원은, 기계적 강도와 신율의 곱이 24,000 MPa% 인, 0.2 ~ 1 % 의 C 와 8 ~ 15 % 의 Mn 을 함유하는 판에 관한 것이다. 이 출원은, 전적으로 오스테나이트인 조직이 압연하기에 특히 어려울지라도, 이 유형의 미세조직에 관한 것으로 보인다.
본 발명의 목적은,
Figure pct00003
7.3 이하의 밀도
Figure pct00004
600 MPa 이상의 기계적 강도
Figure pct00005
20 % 이상의 파단 신율
Figure pct00006
성형, 특히 압연을 위한 양호한 적합성
Figure pct00007
양호한 용접성 및 양호한 코팅가능성을 동시에 가지는 열간 압연 또는 냉간 압연 강판을 이용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 중 하나는, 또한, 제조 조건들에 비교적 민감하지 않으면서 종래의 산업상 적용과 호환가능한 이 판들의 제조 방법을 이용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대상은 압연 강판으로서, 강판의 밀도는 7.3 이하이고, 강판의 조성은, 중량 퍼센트로 표현했을 때 다음과 같고,
0.10 ≤ C ≤ 0.30 %
6.0 ≤ Mn ≤ 15.0 %
6.0 ≤ Al ≤ 15.0 %
선택적으로
Si ≤ 2.0%
Ti ≤ 0.2 %
V ≤ 0.6 %
Nb ≤ 0.3 %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원소들이고,
상기 조성의 잔부는 철과 프로세싱으로 인한 불가피한 불순물들로 구성되고, 망간의 중량 대 알루미늄의 중량 비는 Mn/Al > 1.0 이도록 되어있고, 상기 판의 미세조직은 페라이트, 오스테나이트, 및 면적 분율로 최대 5 % 의 카파 (Kappa) 석출물들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한 가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조성은, 중량 퍼센트로 표현했을 때, 다음을 포함한다:
0.18 ≤ C ≤ 0.21 %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조성은, 중량 퍼센트로 표현했을 때, 다음을 포함한다:
7.0 ≤ Mn ≤ 10.0 %.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조성은, 중량 퍼센트로 표현했을 때, 다음을 포함한다:
6.0 ≤ Al ≤ 12.0 %.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조성은, 중량 퍼센트로 표현했을 때, 다음을 포함한다:
6.0 ≤ Al ≤ 9.0 %.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조성은, 중량 퍼센트로 표현했을 때, 다음을 포함한다:
Si ≤ 1%.
바람직하게, 망간 함유량 대 알루미늄 함유량의 중량 비는, Mn/Al ≥ 1.1 이 되도록, 더욱 바람직하게, 비는 Mn/Al ≥ 1.5 가 되도록, 또는 더욱더 바람직하게, 비는 Mn/Al ≥ 2.0 이 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판은 다시 바람직하게 기계적 인장 강도가 600 MPa 이상이고 파단 신율은 20 % 이상이도록 되어있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7.3 이하의 밀도를 가지는 압연 강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 본 발명에 따른 조성을 가지는 강을 입수하고,
- 상기 강을 주조하여 반제품을 형성하고,
- 상기 반제품을 1,000 ℃ ~ 1,280 ℃ 의 온도 (Trech) 로 재가열하고,
- 페라이트의 존재 하에 적어도 하나의 패스 (pass) 로 상기 반제품을 열간 압연하여 판을 획득하고,
- 최종 압연 패스가 850 ℃ 이상인 최종 압연 온도 (TFL) 에서 수행되고,
- 상기 판을, 냉각 속도 (Vref1) 로, 600 ℃ 이하의 권취 온도 (Tbob) 로 냉각시키고,
- 그 후, 상기 냉각된 판을 온도 (Tbob) 로 권취하는 것으로 구성된 단계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 대상은, 상기 반제품이 얇은 슬래브들 또는 얇은 스트립의 형태로 직접 주조되도록 압연 판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최종 압연 온도 (TFL) 는 바람직하게 900 ~ 980 ℃ 이다.
냉각 속도 (Vref1) 는 바람직하게 55 ℃/s 이하이다.
권취 온도는 바람직하게 450 ~ 550 ℃ 이다.
본 발명의 부가적 목적은, 7.3 이하의 밀도를 가지는 냉간 압연 및 소둔된 (annealed) 강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 압연 강판을 입수하고, 그 후
- 상기 압연 판을 35 ~ 90 % 의 압하율로 냉간 압연하여 냉간 압연 판을 획득하고, 그 후
- 상기 판을 600 초 미만의 기간 (tm) 동안 800 ~ 950 ℃ 의 유지 온도 (Tm) 까지 속도 (Vc) 로 가열하고, 그 후
- 상기 판을 500 ℃ 이하의 온도까지 속도 (Vref2) 로 냉각하는 것으로 구성된 단계들을 포함한다.
온도 (Tm) 는 바람직하게 800 ~ 900 ℃ 이다.
냉각 속도 (Vref2) 는 바람직하게 30 ℃/s 이상이다.
냉각 속도 (Vref2) 는 바람직하게 500 ℃ ~ 460 ℃ 의 온도로 유지된다.
냉각된 판은 바람직하게 아연, 아연 합금 또는 아연계 합금으로 코팅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강판은 엔진 동력의 육상 차량들을 위한 구조 부품들 또는 스킨 (skin) 부품들의 제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장점들은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첨부 도면들은 비제한적인 예로서 제공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열간 압연 강판의 미세조직을 도시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조건들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열간 압연 강판의 미세조직을 도시한다.
도 3 은 ℃ 단위의 인장 온도의 함수로서 열간 압연 특징을 나타내는, 트랙션 (traction), 고온 하에 기계적 거동을 도시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조건들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열간 압연 강판의 미세조직을 도시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간 압연 강판의 미세조직을 도시한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열간 압연 강판에서 카파 석출물 식별을 가능하게 하는 구역 [110] 의 축선방향 회절 이미지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조건들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냉간 압연 판의 미세조직을 도시한다.
도 8 은 알루미늄 함유량의 함수로서 밀도 곡선을 도시한다.
본 발명은, 성형성, 기계적 강도, 용접성 및 만족스러운 코팅가능성의 기계적 특징들을 유지하면서 종래의 강들과 비교해 감소된 밀도를 가지고 (그것의 밀도는) 7.3 이하인 열간 압연 또는 냉간 압연 강판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페라이트, 오스테나이트 및 면적 분율로 최대 5 % 의 카파 석출물들을 포함하는 미세조직을 가지는 열간 압연 또는 냉간 압연 판을 획득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강을 열간 압연 또는 냉간 압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강의 화학 조성은 판의 기계적 거동 및 판의 프로세싱 양자에 대해 매우 중요하다. 하기 설명된 화학 조성들은 중량 퍼센트로 제공된다.
- 본 발명은, 탄소 함유량이 0.10 ~ 0.30% 임을 알려준다. 탄소는 감마 유도성 (gammagenous) 원소이다. 망간과 함께, 탄소는 오스테나이트의 발생을 촉진시키고, 알루미늄과 함께, 화학량론 (Fe,Mn)3AlCx 기반의 카파 석출물들의 발생을 촉진시키고, 여기에서 x 는 엄격하게 1 미만이다. 0.10 % 미만에서는, 600 MPa 의 기계적 강도가 달성되지 않는다. 탄소 함유량이 0.30 % 를 초과하면, 카파 석출물들의 형성은 과도해질 것이고, 예로 5 % 초과할 것이고, 강판의 압연은 균열을 이끌 것이다. 바람직하게, 탄소 함유량은 압연 균열의 발생 위험을 최소화하도록 0.21 % 이하로 제한될 것이다. 바람직하게, 최소 탄소 함유량은 보다 용이하게 600 MPa 의 기계적 강도를 달성하도록 또한 0.18 % 이상일 것이다.
- 망간 함유량은 6.0 % ~ 15.0 % 이어야 한다. 이 원소도 또한 감마 유도성이다. 망간을 부가하는 목적은 본질적으로 페라이트 이외에 오스테나이트를 함유하는 조직을 획득하는 것이다. 망간은 또한 고용체 경화 효과와 오스테나이트 안정화 효과를 갖는다. 망간 함유량 대 알루미늄 함유량의 비는 압연 후 획득되는 조직들에 강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6.0 % 미만의 망간 함유량에 대해, 20 % 의 파단 신율은 달성되지 않고 열간 압연 밀로부터 출구 및 소둔 라인 양자에서 오스테나이트는 급속 냉각 중 마텐자이트로 조기 변태될 위험을 안고 불충분하게 안정화될 것이다. 15.0 % 를 초과하면, 망간의 감마 유도성 효과 때문에, 망간은 과도하게 오스테나이트의 부피 분율을 증가시켜서, 사실상 오스테나이트 상의 탄소 농도 감소를 유발하는데, 이것은 600 MPa 의 강도를 달성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할 것이다. 바람직하게, 망간의 부가는 10.0 % 로 제한될 것이다. 하한치에 대해, 보다 용이하게 20 % 의 신율을 달성하도록 망간 함유량은 바람직하게 7.0 % 일 것이다.
- 알루미늄 함유량은 또한 6.0 % ~ 15.0 % 이어야 한다. 알루미늄은 알파 유도성 (alphagenous) 원소이고 따라서 오스테나이트 범위를 감소시키고, 이 원소는 탄소와 조합함으로써 카파 석출물들의 형성을 촉진하는 경향이 있다. 알루미늄은 2.7 의 밀도를 가지고 기계적 특성에 강한 영향을 미친다. 알루미늄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파단 신율은 감소할지라도 기계적 강도와 탄성 한계는 또한 증가하고, 이것은 전위 (dislocations) 이동도의 감소에 의해 설명된다. 6.0 % 미만에서, 알루미늄의 존재로 인해 영향을 받는 밀도 감소는 덜 이롭게 될 것이다. 15.0 % 를 초과하면, 5 % 초과의 면적 밀도를 갖는 비제어 카파 석출이 발생하고 재료의 연성에 악영향을 미친다. 바람직하게, 알루미늄 함유량은 취성 금속간 석출을 방지하도록 엄격하게 9.0 % 미만으로 제한될 것이다. 도 7 은, 카파 석출물들이 비제어 방식으로 형성된 미세조직을 도시한다.
- 망간의 함유량 대 알루미늄의 함유량의 중량 비는, 그것이 제조 사이클 동안 형성된 조직들의 성질 및 오스테나이트의 안정성을 좌우하므로 극히 중요하다. 1.0 이하의 비에서, 냉간 압연 판들의 열간 압연 후 그리고 재결정화 소둔 후 모두, 형성된 상들의 성질은 냉각 속도에 너무 많이 의존한다. 그것은 오스테나이트로부터 마텐자이트를 형성하는 위험, 또는 심지어 도 7 에 도시된 대로 페라이트 및 카파 석출물들을 위한 오스테나이트의 소멸을 야기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판의 미세조직은 마텐자이트의 존재를 배제하고 안정적인 오스테나이트의 존재를 보장한다. 게다가, 양호한 압연성과 제조 조건들에 민감하지 않은 판을 보장하기 위해서 비 Mn/Al ≤ 1.0 를 가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1.0 이상의 망간 함유량 대 알루미늄 함유량의 중량 비에서, 제조된 판은 열간 압연 및 냉간 압연 양자에 대해 용이하게 압연가능하도록 유지되면서 제조 조건들에 비교적 민감하지 않다. 이 감도의 감소는 비를 증가시킴으로써 개선될 수 있고, 그 결과로서 1.1 이상의 비, 바람직하게 1.5 이상의 비, 또는 더욱더 바람직하게 2.0 이상의 비가 바람직하다.
- 알루미늄과 같이, 규소는 강의 밀도를 감소시키고 적층 결함 에너지를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원소이다. 이 감소는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TRIP 효과를 획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규소의 함유량은 2.0 % 로 제한되는데 왜냐하면 그 레벨을 초과하면 이 원소는 표면 결함들을 발생시키는 강한 접착성 산화물을 형성하는 경향을 가지기 때문이다. 표면 산화물들의 존재는 예를 들어 잠재적인 용융 아연 도금 (hot-dip galvanizing) 작동 중 습윤성 결함을 이끈다. Si 함유량은 바람직하게 1 % 로 제한될 것이다.
- 티타늄, 바나듐 및 니오븀과 같은 미세 합금 원소들이 부가적 석출 경화를 획득하기 위해서 0.2 % 미만, 0.6 % 미만 및 0.3 % 미만의 각각의 양으로 부가될 수 있다. 티타늄과 니오븀은 특히 고형화 중 입도를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초과하면 포화 효과가 달성되기 때문에 몇 가지 제한이 필요하다.
세륨, 붕소, 마그네슘 또는 지르코늄과 같은 다른 원소들이, 다음 비율, Ce ≤ 0.1 %, B ≤ 0.01, Mg ≤ 0.010 및 Zr ≤ 0.010 으로,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부가될 수 있다. 표시된 최대 함유량 레벨까지, 이 원소들은 고형화 중 페라이트 입자를 미세화 (refine)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조성의 잔부는 철 및 프로세싱에 기인한 불가피한 불순물들로 구성된다.
- 본 발명에 따른 판의 미세조직은 페라이트, 오스테나이트 및 면적 분율로 최대 5 % 의 카파 석출물들로 구성된다. 페라이트는 온도에 따라 증가하는 탄소 용해성을 갖는다. 하지만, 알루미늄의 존재로 인해 이미 낮은 전위들의 이동도를 탄소가 추가로 감소시키기 때문에 고용체 중 탄소는 저밀도 강을 위해 크게 취화된다. 따라서, 페라이트에서 탄소 포화는 페라이트 내에서 쌍정화 메커니즘의 활성화를 이끌 수 있다. 따라서, 이 이론에 의해 구속되지 않고, 발명자들은, 오스테나이트와 석출물들이 효과적인 탄소 트랩들 (traps) 로서 작용하고 임계간 범위에서 압연을 용이하게 한다는 이론을 제기하고 있다. 이 접근법은 놀라운데, 왜냐하면 오스테나이트 및 석출물들에서 탄소의 용해성은 페라이트에서보다 높을지라도 이런 경질 상들의 형성은 틀림없이 압연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막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페라이트, 오스테나이트 및 면적 분율로서 최대 5 % 카파 석출물들을 함유한 이런 조직의 조합체는, 압연 중 그리고 구조 부품들의 제조 중 모두 압연성 면에서 필요한 연성을 판에 제공한다. 소둔 후 또는 권취 후 페라이트의 재결정화율은 90 % 초과, 이상적으로 100 % 일 것으로 명시된다. 재결정화된 페라이트 분율이 90 % 미만이면, 획득된 판은 본 발명에 의해 요구되는 20 % 신율을 보이지 않을 것이다.
수많은 금속조직 실험들 및 연구들은, 페라이트 입계들 둘레에서 스페로이드들 (spheroids) 로 카파 유형인 석출물들의 국부적인 존재가 판의 압연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발명자들이, 보여줄 수 있도록 한다.
카파 석출물들의 면적 분율은 5 % 만큼 높을 수 있는데, 5 % 를 초과하면 연성이 감소하고 본 발명의 20 % 의 파단 신율이 달성될 수 없기 때문이다. 게다가, 페라이트 입계들 둘레에서 비제어 카파 석출의 위험이 또한 있는데, 이것은 종래의 산업 규모 강 압연 공구들을 사용할 때 본 발명에 따른 판에 가해지는 압연력을 증가시킬 것이다. 따라서, 바람직한 목표 범위는 2 % 미만의 카파 석출물들일 것이다. 미세조직은 균일하기 때문에, 면적 분율이 부피 분율과 동일하다는 점이 명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간 압연 판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 본 발명에 따른 조성을 가지는 강의 입수.
- 이 강으로부터 반제품이 주조된다. 잉곳들 (ingots) 로 또는 계속해서 얇은 슬래브들 또는 얇은 스트립의 형태로, 즉 슬래브들에 대해 대략 220 ㎜ 부터 얇은 스트립에 대해 수십 밀리미터까지 범위의 두께로, 주조가 수행될 수 있다.
- 압연 중 겪게 되는 주요 변형들에 알맞은 모든 지점들에서 온도가 존재하도록 주조된 반제품들은 그 후 1,000 ℃ ~ 1,280 ℃ 의 온도로 재가열된다. 1,280 ℃ 를 초과하면, 특히 조대한 (rough) 페라이트 입자들이 형성되는 위험이 있고, 발명자들에 의해 수행되는 수많은 테스트들은 초기 페라이트 입도와 열간 압연 중 재결정화되는 이 입자들의 용량 사이 상관관계를 발견하였다. 초기 페라이트 입도가 클수록, 페라이트는 덜 용이하게 재결정화되는데, 이것은 1,280 ℃ 를 초과하는 재가열 온도는 페라이트의 재결정화 면에서 산업상 고비용이 들고 불리하기 때문에 1,280 ℃ 를 초과하는 재가열 온도는 회피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온도는 또한 "로핑" 으로 불리는 현상을 증폭시킬 수 있다. 로핑은 더 큰 크기의 입자들 내에서 작은 약간 오배향된 입자들 무리 때문에 발생한다. 이 현상은 압연 방향으로 밴드들에서 선호되는 변형 로케이션의 형태로 알아볼 수 있다. 그것은 복원된, 재결정화되지 않은 입자들 때문이다. 그것은 횡방향으로 분배되는 낮은 신율에 의해 측정된다.
1,000 ℃ 미만에서, 850 ℃ 를 초과하는 최종 압연 온도를 가지는 것은 점점 더 어려워진다. 바람직하게, 재가열 온도는 1,150 ~ 1,280 ℃ 이다.
다음 단계들은 로핑 현상을 회피하고 양호한 연성 및 양호한 스탬핑 품질을 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 페라이트의 존재 하에, 즉 부분적으로 또는 전적으로 페라이트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압연 패스로 압연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그 목적은, 쌍정화를 이끌 수 있는 페라이트에서 탄소 포화를 방지하는 것이다. 오스테나이트 입자들이 또한 효과적인 탄소 트랩들로서 역할을 하는데, 왜냐하면 오스테나이트에서 탄소의 용해성이 페라이트에서 탄소의 용해성보다 높기 때문이다.
- 최종 압연 패스는 850 ℃ 보다 높은 온도에서 수행되는데, 왜냐하면 이 온도 미만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강판이 도 3 에 도시된 대로 상당한 압연성 강하를 보이기 때문이고, 도 3 은 상이한 온도들에서 고온 조건 하에 트랙션되는 시편들 (test pieces) 의 네킹 (necking) 을 도시한다. 재결정화 및 압연에 유리한 조직을 가지기 위해서 900 ~ 980 ℃ 의 최종 압연 온도가 바람직하다.
- 이런 식으로 획득된 판은 그 후 냉각 속도 [Vref1] 로 권취 온도 (Tbob) 까지 냉각된다. 바람직하게, 냉각 속도 (Vref1) 는 카파 석출을 최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 55 ℃/s 이하일 것이다.
- 판은 그 후 600 ℃ 미만의 권취 온도에서 권취되는데, 왜냐하면 그 온도를 초과하면 카파 석출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고 도 2 및 도 4 에 도시된 대로 오스테나이트의 상당한 분해의 결과로서 5 % 초과의 카파 석출을 가질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 판은 450 ~ 550 ℃ 의 온도에서 권취된다.
이 스테이지에서, 열간 압연 판이 획득되고, 예를 들어, 대상물이 5 ㎜ 미만의 두께를 가지는 냉간 압연 판이라면, 다음 단계들이 수행된다:
- 35 ~ 90 % 의 두께 감소를 갖는 냉간 압연.
- 그 후, 냉간 압연 판은, 강하게 가공 경화된 초기 조직의 90 % 초과의 재결정화율을 보장하도록 600 초 미만의 기간 동안 800 ~ 950 ℃ 의 유지 온도 (Tm) 까지 바람직하게 3 ℃/s 초과의 가열 속도 (Vc) 로 가열된다.
- 그 후, 판은 속도 (Vref2) 로 500 ℃ 이하의 온도까지 냉각되어서, 카파 석출물들의 형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면적 함유량이 5 % 를 초과하지 않도록 30 ℃/s 초과의 냉각 속도가 바람직하다. 500 ℃ 미만에서, 예를 들어, 아연으로 용융 도금의 성막을 용이하게 하는 부가적 열 처리는 본 발명에 따른 판의 기계적 특성을 변화시키지 않을 것이다. 발명자들은, 아연 욕에 침지하기 전 홀드를 수행하도록, 500 ~ 460 ℃ 에서 속도 (Vref2) 로 냉각을 멈춤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판에 대해 명시된 특성이 불변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보여주었다. 단지 예시를 위해, 비제한적인 예들로서 제공된 하기 테스트들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들의 제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유리한 특징들을 보여줄 것이다.
실시예 1: 열간 압연 판
반제품들이 주조 강으로부터 프로세싱되었다. 중량 퍼센트로 표현했을 때, 반제품들의 조성은 하기 표 1 에 제공된다.
표 1 에서 보여주는 강들의 조성의 잔부는 철, 및 프로세싱으로부터 기인하는 불가피한 불순물로 구성된다.
Figure pct00008
제품들은 열간 압연 판들을 획득하기 위해서 열간 압연되었고 제조 조건들은 다음 약어들로 하기 표 2 에 제공된다:
Figure pct00009
Trech: 재가열 온도
Figure pct00010
TFL: 최종 압연 온도
Figure pct00011
Vref1: 최종 압연 패스 후 냉각 온도
Figure pct00012
Tbob: 권취 온도
Figure pct00013
판들 (I1, I2) 은, 그것의 화학 조성과 제조 프로세스가 본 발명에 따르는 판들이다. 2 가지 화학 조성이 상이하고 상이한 Mn/Al 비를 갖는다. 참조 판들 (R1, R2, R3) 은 특히 Mn 함유량 뿐만 아니라 C 와 Mn 함유량 뿐만 아니라 Mn/Al 비에서 본 발명의 요건들을 충족시키지 않는 화학 조성을 갖는다. R2a 및 R2b 는 표 1 에서 동일 등급 R2 에 대해 수행된 2 가지 테스트이다. 페라이트의 존재 하에 적어도 하나의 압연 패스로 열간 압연이 수행되었다. 공기 냉각은 55 ℃/초 미만의 냉각 속도로 수행하였다.
표 3 은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보여준다:
Figure pct00014
페라이트: 권취 후 판의 미세조직에서 90 % 초과의 재결정화율로 재결정화된 페라이트의 존재 또는 부재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15
오스테나이트: 권취 후 판의 미세조직에서 오스테나이트의 존재 또는 부재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16
K: 5 % 미만의 면적 분율로 미세조직에서 카파 석출물들의 존재를 지정한다. 이 측정은 주사형 전자 현미경을 사용해 행해졌다.
Figure pct00017
Rm (MPa): 압연 방향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인장 테스트시 기계적 강도.
Figure pct00018
Atot (%): 압연 방향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인장 테스트시 파단 신율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19
추정 밀도: Al 함유량에 따라 도 8 을 기반으로 함.
Figure pct00020
균열: 열간 압연 후 육안으로 분명히 볼 수 있는 균열이 판에서 발생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21
X 는 측정이 수행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22
강판들 (I1, I2) 은 본 발명에 따른 판들이다. 판 (I1) 의 미세조직은 도 1 에 도시된다. 압연 후 이 판들 중 아무 것도 균열을 보이지 않는다. 기계적 강도는 600 MPa 를 초과하고, 그것의 파단 신율은 20 % 보다 크게 더 높고 판들은 용접가능하고 코팅가능하다. 페라이트와 오스테나이트의 존재는 주사형 전자 현미경을 사용해 확인되었고 카파 석출물들의 존재는 투과 전자 현미경을 사용한 관찰에 따라 획득된 회절 이미지를 인덱싱함으로써 확인되었다 (도 6 참조).
판 (R1) 은 6 % 미만의 Mn 함유량, 1 미만의 Mn/Al 비, 및 1,280 ℃ 초과의 재가열 온도를 갖는다. 이 판은 열간 압연 후 균열을 가졌다. 이 판의 압연성은 불충분하다. 문자 "X" 는, 인장 테스트가 없음을 의미한다.
판들 (R2a, R2b) 은 판 (R2) 으로부터 비롯되었고 1 미만의 Mn/Al 비와 6 % 미만의 망간 함유량을 갖는다. 판 (R2a) 은 600 ℃ 초과의 온도에서 권취되었고, 이것은 도 4 에 도시된 대로 카파 및 페라이트로 오스테나이트의 분해를 이끌었다. 신율은 요구된 20 % 를 달성하지 못하였다.
판 (R2B) 은 본 발명에 따른 압연 조건들을 부여받았지만, 화학 조성이 명시된 조건들, 즉 망간/알루미늄 비가 1 미만이어야 한다는 조건들을 만족시키지 못했기 때문에, 20 % 의 신율은 달성되지 않았다.
판 (R3) 은 1.0 미만의 Mn/Al 비를 가지고; 본 발명에 따른 압연 조건들 및 본 발명에 의해 명시된 범위 내의 합금 원소들에도 불구하고, 열간 압연 중 균열이 발생하였다.
실시예 2: 냉간 압연 및 소둔된 판
반제품들은 강 주조물로부터 준비되었다. 중량 퍼센트로 표현했을 때, 반제품들의 화학 조성은 하기 표 4 에 나타나 있다:
표 4 에 나타낸 강 조성의 잔부는 철, 및 프로세싱에 기인한 불가피한 불순물들로 구성된다.
Figure pct00023
I6 의 밀도는 도 8 에서 곡선을 기반으로 7.1 로 추정되었다.
제품들은 먼저 하기에 나타낸 조건들 하에 열간 압연되었다:
Figure pct00024
판들은 그 후 냉간 압연 및 소둔되었다. 제조 조건들은 다음과 같은 약어들로 표 5 및 표 6 에 나타나 있다:
Figure pct00025
Trech: 재가열 온도임.
Figure pct00026
TFL: 최종 압연 온도임.
Figure pct00027
Vref1: 최종 압연 패스 후 냉각 온도임.
Figure pct00028
Tbob: 권취 온도임.
Figure pct00029
Rate: 냉간 압연 중 압하율임.
Figure pct00030
Vc: 유지 온도 (Tm) 로 가열 속도임.
Figure pct00031
Tm: 재결정화 유지 온도임.
Figure pct00032
tm: 판이 온도 (Tm) 에서 유지되는 기간임.
Figure pct00033
Vref2: 500 ℃ 미만의 온도로 냉각 속도임.
Figure pct00034
판들 (I3a, I3b, I4, I5, I6) 은, 그것의 화학 조성 및 제조 방법이 본 발명에 따른 것인 판들이다.
표 7 은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35
페라이트: 소둔된 판의 미세조직에서 90 % 초과의 재결정화율로 재결정화된 페라이트의 존재 또는 부재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36
오스테나이트: 권취 후 판의 미세조직에서 오스테나이트의 존재 또는 부재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37
K: 5 % 미만의 면적 분율로 미세조직에서 카파 석출물들의 존재를 표시한다. 이 측정은 주사형 전자 현미경을 사용해 행해졌다. "없음 (NO)" 은 카파 석출물들의 부재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38
Rm (MPa): 압연 방향에 대해 종방향으로 인장 테스트시 기계적 강도이다.
Figure pct00039
Atot (%): 압연 방향에 대해 종방향으로 인장 테스트시 파단 신율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40
측정 밀도: 비중측정법에 의해 측정되고 도 8 에 도시된 밀도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41
균열: 압연 후 육안으로 분명히 볼 수 있는 균열이 판에서 발생하였는지 나타낸다.
Figure pct00042
표 7 의 냉간 압연 강판들은 본 발명에 따른 판들이다. 판 (I3a) 의 미세조직은 도 5 에 도시된다. 이 판들 중 아무 것도 압연 후 균열을 보이지 않았다. 이 판들의 기계적 강도는 600 MPa 를 초과하고, 판들의 파단 신율은 20 % 를 초과하고, 판들은 용접가능하고 판 (I3a) 은 460 ℃ 로 Zn 욕에서 용융 아연 도금으로 불리는 용융 도금 방법을 이용해 Zn 으로 코팅되었다. 미코팅 상태 (bare) 및 코팅 상태 양자의 판은 양호한 용접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강들은 특히 연속 아연도금에 양호한 적합성을 또한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강들은 자동차 산업에서 구조 부품들 또는 스킨 부품들에 대해 유리한 특성들의 양호한 조합을 가지고 있다 (저 밀도, 변형에 대해 양호한 적합성, 양호한 기계적 특성, 양호한 용접성 및 코팅으로 양호한 내식성).

Claims (22)

  1. 압연 강판으로서,
    7.3 이하의 밀도를 가지고, 상기 강판의 조성은, 중량 퍼센트로 표현했을 때,
    0.10 ≤ C ≤ 0.30 %
    6.0 ≤ Mn ≤ 15.0 %
    6.0 ≤ Al ≤ 15.0 % 의 원소들, 및
    선택적으로
    Si ≤ 2.0%
    Ti ≤ 0.2 %
    V ≤ 0.6 %
    Nb ≤ 0.3 %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원소들을 포함하고
    상기 조성의 잔부는 철과 프로세싱으로 인한 불가피한 불순물들로 이루어지고,
    Mn/Al > 1.0 이고, 상기 강판의 미세조직은 페라이트, 오스테나이트, 및 면적 분율로 최대 5 % 의 카파 (Kappa) 석출물들로 구성되는, 압연 강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조성은, 중량 퍼센트로 표현했을 때,
    0.18 ≤ C ≤ 0.21% 인, 압연 강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조성은, 중량 퍼센트로 표현했을 때,
    7.0 ≤ Mn ≤ 10.0 % 인, 압연 강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조성은, 중량 퍼센트로 표현했을 때,
    6.0 ≤ Al < 12.0 % 인, 압연 강판.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조성은, 중량 퍼센트로 표현했을 때,
    6.0 ≤ Al < 9.0 % 인, 압연 강판.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조성은, 중량 퍼센트로 표현했을 때,
    Si ≤ 1 % 인, 압연 강판.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카파 석출물들의 면적 분율은 2 % 이하인, 압연 강판.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인장 기계적 강도는 600 MPa 이상이고 상기 강판의 파단 신율은 20 % 이상인, 압연 강판.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Mn 함유량 대 Al 함유량의 비는, Mn/Al ≥ 1.1 이 되도록 된, 압연 강판.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Mn 함유량 대 Al 함유량의 비는, Mn/Al ≥ 1.5 가 되도록 된, 압연 강판.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Mn 함유량 대 Al 함유량의 비는, Mn/Al ≥ 2.0 이 되도록 된, 압연 강판.
  12. 7.3 이하의 밀도를 가지는 압연 강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을 가지는 강을 입수하는 단계,
    - 상기 강을 주조하여 반제품을 형성하는 단계,
    - 상기 반제품을 1,000 ℃ ~ 1,280 ℃ 의 온도 (Trech) 로 선택적으로 재가열하는 단계,
    - 페라이트의 존재 하에 적어도 하나의 압연 패스 (pass) 로 재가열된 상기 반제품을 압연하여 판을 획득하는 단계,
    - 최종 압연 온도 (TFL) 가 850 ℃ 이상인 단계,
    - 상기 판을, 냉각 속도 (Vref1) 로, 600 ℃ 이하의 권취 (coiling) 온도 (Tbob) 까지 냉각시키는 단계,
    - 그 후, 냉각된 상기 판을 권취하는 단계에 따른, 압연 강판의 제조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반제품은 얇은 슬래브들 또는 얇은 스트립의 형태로 직접 주조되는, 압연 강판의 제조 방법.
  14. 제 11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최종 압연 온도 (TFL) 는 900 ~ 980 ℃ 인, 압연 강판의 제조 방법.
  15.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냉각 속도 (Vref1) 는 55 ℃/s 이하인, 압연 강판의 제조 방법.
  16. 제 1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권취 온도는 450 ~ 550 ℃ 인, 압연 강판의 제조 방법.
  17. 7.3 이하의 밀도를 가지는 냉간 압연 및 소둔된 (annealed) 강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 제 1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압연 강판을 입수하는 단계, 그 후
    - 상기 판을 35 ~ 90 % 의 압하율로 냉간 압연하여 냉간 압연 판을 획득하는 단계, 그 후
    - 상기 판을 600 초 미만의 기간 (tm) 동안 800 ~ 950 ℃ 의 유지 온도 (Tm) 까지 속도 (Vc) 로 가열하는 단계, 그 후
    - 상기 판을 500 ℃ 이하의 온도까지 속도 (Vref2) 로 냉각하는 단계로 된, 냉간 압연 및 소둔된 강판의 제조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Tm) 는 800 ~ 900 ℃ 인, 냉간 압연 및 소둔된 강판의 제조 방법.
  19. 제 16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냉각 속도 (Vref2) 는 30 ℃/s 이상인, 냉간 압연 및 소둔된 강판의 제조 방법.
  20. 제 16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냉각 속도 (Vref2) 는 500 ℃ ~ 460 ℃ 의 온도에서 유지되는, 냉간 압연 및 소둔된 강판의 제조 방법.
  21. 제 1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판 금속은 그 후 아연, 아연 합금 또는 아연계 합금으로 코팅되는, 냉간 압연 및 소둔된 강판의 제조 방법.
  22. 강판의 용도로서,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거나 제 12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획득될 수 있는 강판을, 육상 모터 차량들을 위한 구조 부품들 또는 스킨 (skin) 부품들의 제조를 위해 사용하는 강판의 용도.
KR1020147034966A 2012-05-31 2013-05-27 저밀도 열간 또는 냉간 압연 강, 상기 강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강의 용도 KR201500039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FR2012/000220 WO2013178887A1 (fr) 2012-05-31 2012-05-31 Acier laminé a chaud ou a froid a faible densite, son procede de mise en oeuvre et son utilisation
FRPCT/FR2012/000220 2012-05-31
PCT/IB2013/001057 WO2013179115A1 (fr) 2012-05-31 2013-05-27 Acier lamine a chaud ou a froid a faible densite, son procede de mise en oeuvre et son utilisatio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0369A Division KR20160129916A (ko) 2012-05-31 2013-05-27 표면 처리 동박 및 그것을 사용한 적층판, 동박, 프린트 배선판, 전자 기기, 그리고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918A true KR20150003918A (ko) 2015-01-09

Family

ID=4870063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0838A KR20170053727A (ko) 2012-05-31 2013-05-27 저밀도 열간 또는 냉간 압연 강, 상기 강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강의 용도
KR1020147034966A KR20150003918A (ko) 2012-05-31 2013-05-27 저밀도 열간 또는 냉간 압연 강, 상기 강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강의 용도
KR1020167030369A KR20160129916A (ko) 2012-05-31 2013-05-27 표면 처리 동박 및 그것을 사용한 적층판, 동박, 프린트 배선판, 전자 기기, 그리고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0838A KR20170053727A (ko) 2012-05-31 2013-05-27 저밀도 열간 또는 냉간 압연 강, 상기 강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강의 용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0369A KR20160129916A (ko) 2012-05-31 2013-05-27 표면 처리 동박 및 그것을 사용한 적층판, 동박, 프린트 배선판, 전자 기기, 그리고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10900105B2 (ko)
EP (1) EP2855725B1 (ko)
JP (2) JP6074031B2 (ko)
KR (3) KR20170053727A (ko)
CN (1) CN104350169B (ko)
BR (1) BR112014029177B1 (ko)
CA (1) CA2873578C (ko)
ES (1) ES2594328T3 (ko)
HU (1) HUE028856T2 (ko)
IN (1) IN2014DN09576A (ko)
MA (1) MA37508B1 (ko)
MX (1) MX359361B (ko)
PL (1) PL2855725T3 (ko)
RU (1) RU2614491C2 (ko)
UA (1) UA111285C2 (ko)
WO (2) WO2013178887A1 (ko)
ZA (1) ZA20140810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28456B (zh) * 2015-06-30 2017-08-25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提高普冷铁素体轻质钢延展性的制造方法
CN104928568B (zh) * 2015-06-30 2017-07-28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铁素体低密度高强钢及其制造方法
WO2017203315A1 (en) * 2016-05-24 2017-11-30 Arcelormittal Cold rolled and annealed steel sheet,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and use of such steel to produce vehicle parts
CN106011653B (zh) * 2016-07-05 2018-02-06 东北大学 高强度高韧性低密度钢及其制造方法
CN106756571A (zh) * 2016-11-18 2017-05-31 扶绥县科学技术情报研究所 超细晶粒的高强度钢铁材料生产方法
CN106636915A (zh) * 2016-11-18 2017-05-10 扶绥县科学技术情报研究所 改善钢铁材料力学性质的生产方法
CN106756569A (zh) * 2016-11-18 2017-05-31 扶绥县科学技术情报研究所 提高钢铁材料强度的生产方法
CN106399841B (zh) * 2016-11-18 2018-07-03 扶绥县科学技术情报研究所 超细晶粒的强耐蚀钢铁材料生产方法
CN106756570A (zh) * 2016-11-18 2017-05-31 扶绥县科学技术情报研究所 超细晶粒的高韧性钢铁材料生产方法
CN106756478B (zh) * 2016-12-07 2018-03-27 钢铁研究总院 一种经济型耐海水腐蚀用低密度低合金钢及其制备方法
CA3048131C (en) * 2016-12-22 2021-10-19 Arcelormittal Cold rolled and heat treated steel sheet,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and use of such steel to produce vehicle parts
WO2019122960A1 (en) * 2017-12-19 2019-06-27 Arcelormittal Cold rolled and heat treated steel sheet,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and use of such steel to produce vehicle parts
CN109694997B (zh) * 2019-02-25 2021-08-06 上海大学 利用γ→α同素异构转变提升Fe-Mn-Al-C双相钢力学性能的热处理工艺
CN110592487B (zh) * 2019-10-22 2021-12-10 成都先进金属材料产业技术研究院股份有限公司 700MPa级奥氏体铁素体双相低密度铸钢及其制备方法
KR102415068B1 (ko) * 2020-09-07 2022-06-29 주식회사 포스코 고강도 저비중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WO2023105271A1 (en) * 2021-12-10 2023-06-15 Arcelormittal Low density hot rolled steel,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and use of such steel to produce vehicle parts
CN115537660B (zh) * 2022-09-30 2023-07-14 武汉钢铁有限公司 一种低密度高强度热轧弹簧扁钢及其生产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768846A1 (ru) 1978-12-13 1980-10-07 Институт Проблем Литья Ан Украинской Сср Сплав на основе железа
ATE114736T1 (de) 1988-07-08 1994-12-15 Famcy Steel Corp Anwendung von einer zweiphasigen eisen-mangan- aluminium-kohlenstofflegierung mit hoher dämpfungsfähigkeit.
JPH03140439A (ja) 1989-10-27 1991-06-14 Res Inst Electric Magnetic Alloys 低い比重、高い硬度および高い減衰能を有する吸振合金
JP2849059B2 (ja) 1995-09-28 1999-01-20 日鉱グールド・フォイル株式会社 印刷回路用銅箔の処理方法
FR2836930B1 (fr) 2002-03-11 2005-02-25 Usinor Acier lamine a chaud a tres haute resistance et de faible densite
JP4090467B2 (ja) 2002-05-13 2008-05-28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チップオンフィルム用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
JP2004098659A (ja) 2002-07-19 2004-04-02 Ube Ind Ltd 銅張積層板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59230B4 (de) 2002-12-17 2005-04-14 Thyssenkrupp Stahl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tahlprodukts
JP4235077B2 (ja) * 2003-06-05 2009-03-0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自動車用高強度低比重鋼板とその製造方法
JP2005120390A (ja) 2003-10-14 2005-05-12 Jfe Steel Kk 鋼帯製造ラインにおける鋼帯の乾燥方法
JP4084733B2 (ja) * 2003-10-14 2008-04-30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延性に優れた高強度低比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325388A (ja) * 2004-05-13 2005-11-24 Kiyohito Ishida 低比重鉄合金
JP4324072B2 (ja) 2004-10-21 2009-09-0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延性に優れた軽量高強度鋼とその製造方法
KR100711361B1 (ko) 2005-08-23 2007-04-27 주식회사 포스코 가공성이 우수한 고망간형 고강도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4654440B2 (ja) * 2005-09-22 2011-03-23 国立大学法人東北大学 低加工硬化型鉄合金
EP1995336A1 (fr) 2007-05-16 2008-11-26 ArcelorMittal France Acier à faible densité présentant une bonne aptitude à l'emboutissage
EP2090668A1 (en) * 2008-01-30 2009-08-19 Corus Staal BV Method of producing a high strength steel and high strength steel produced thereby
KR100985298B1 (ko) * 2008-05-27 2010-10-04 주식회사 포스코 리징 저항성이 우수한 저비중 고강도 열연 강판, 냉연강판, 아연도금 강판 및 이들의 제조방법
JP5403660B2 (ja) 2009-03-09 2014-01-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359361B (es) 2018-09-26
US10900105B2 (en) 2021-01-26
KR20170053727A (ko) 2017-05-16
ES2594328T3 (es) 2016-12-19
EP2855725B1 (fr) 2016-07-06
JP6074031B2 (ja) 2017-02-01
MX2014014613A (es) 2015-08-10
EP2855725A1 (fr) 2015-04-08
WO2013179115A1 (fr) 2013-12-05
MA20150361A1 (fr) 2015-10-30
CN104350169A (zh) 2015-02-11
RU2014153550A (ru) 2016-07-20
BR112014029177B1 (pt) 2019-03-26
WO2013179115A8 (fr) 2014-11-06
PL2855725T3 (pl) 2016-12-30
CA2873578C (fr) 2017-10-10
CN104350169B (zh) 2017-02-22
ZA201408109B (en) 2015-11-25
US20150147221A1 (en) 2015-05-28
MA37508B1 (fr) 2016-03-31
CA2873578A1 (fr) 2013-12-05
RU2614491C2 (ru) 2017-03-28
JP2017106108A (ja) 2017-06-15
IN2014DN09576A (ko) 2015-07-17
JP2015520298A (ja) 2015-07-16
JP6242990B2 (ja) 2017-12-06
HUE028856T2 (en) 2017-01-30
KR20160129916A (ko) 2016-11-09
BR112014029177A2 (pt) 2017-06-27
WO2013178887A1 (fr) 2013-12-05
UA111285C2 (uk) 2016-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42990B2 (ja) 熱間または冷間低密度圧延鋼、この実施方法および使用
KR101852277B1 (ko) 냉간 압연 강판, 제조 방법 및 차량
TWI441928B (zh) 均勻伸長和鍍覆性優異之高強度熔融鍍鋅鋼板及其製造方法
TWI399442B (zh) 加工性優異之高強度熔融鍍鋅鋼板及其製造方法
JP5318421B2 (ja) 高い強度および成型性を有するオーステナイト系鋼、該鋼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使用
KR102419630B1 (ko) 높은 항복 강도를 갖는 냉간-압연 판상 강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판상 냉간-압연 강 제품
RU2524027C1 (ru) Холоднодеформируемая сталь повышенной прочности и состоящее из нее плоское изделие
JP2015520298A5 (ko)
JP5549238B2 (ja) 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900963B1 (ko) 오스테나이트강의 제조 방법
EP3517636B1 (en) Cold-rolled steel plate for hot forming, having excellent corrosion-resistance and spot-weldability, hot-formed mem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7138710B2 (ja) 冷間圧延及び熱処理された鋼板、その製造方法及び車両部品の製造のためのそのような鋼の使用
JP6696208B2 (ja) 高強度鋼板の製造方法
US20210025041A1 (en) Method of production of a cold rolled and heat treated steel sheet to produce vehicle parts
WO2020158063A1 (ja) 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307618B2 (ja) 強度及び延性に優れた軽量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90124757A (ko) 매우 높은 강도를 갖는 열간 압연 강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30100739A (ko) 저밀도 냉간압연 및 어닐링된 강판, 그의 제조 방법, 및 차량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이러한 강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621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1028

Effective date: 20170419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201004235;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201004235;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616

Effective date: 20171020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301002802; JUDGMENT (SUPREME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1109

Effective date: 2018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