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1605A - 정보 표시체 및 그 정보 표시체에 이용되는 연결 부재 - Google Patents

정보 표시체 및 그 정보 표시체에 이용되는 연결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1605A
KR20150001605A KR20140048195A KR20140048195A KR20150001605A KR 20150001605 A KR20150001605 A KR 20150001605A KR 20140048195 A KR20140048195 A KR 20140048195A KR 20140048195 A KR20140048195 A KR 20140048195A KR 20150001605 A KR20150001605 A KR 20150001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information display
mounting member
connecting member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48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8972B1 (ko
Inventor
마사키 타카바야시
Original Assignee
코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린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001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9/00Hat, scarf, or safety pins or the like
    • A44B9/12Safety-pi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00Cardboard or like show-cards of foldable or flexible material
    • G09F1/10Supports or holders for show-car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6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by clam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상황에 따라 피복으로의 장착 수단을 선택할 수 있음과 함께, 일방의 장착 수단을 사용한 경우에 타방의 장착 수단이 방해가 되지 않는 정보 표시 표찰을 제공한다.
정보 표시 부재에 마련된 제1 장착부에 대해서 연결 부재를 통하여 제2 장착 부재를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정보 표시체에 있어서, 제1 장착부에 피장착물에 핀고정하기 위한 핀을 마련하고, 제2 장착 부재에 피장착물을 협지하기 위한 한 쌍의 협지부와 그 한 쌍의 협지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한 쌍의 협지부의 개구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뻗는 조작부를 마련하며, 제2 장착 부재를 조작부를 회전시킴으로써 한 쌍의 협지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제1 장착부가 연결 부재에 대해서 통부에 핀을 꽂았다 뺐다 함으로써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장착 부재가 연결 부재에 대해서 조작부의 회전 방향을 통부의 관통 방향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향한 상태로 연결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정보 표시체 및 그 정보 표시체에 이용되는 연결 부재{INFORMATION DISPLAY BODY AND CONNECTION MEMBER USED IN THE INFORMATION DISPLAY BODY}
본 발명은, 정보 표시체 및 그 정보 표시체에 이용되는 연결 부재에 관한 것이다.
주지와 같이, 학교에서 사용되는 명찰이나 회의나 회합에 있어서 배포되는 식별 표찰 등의 정보 표시 표찰은, 안전핀을 구비한 양태의 것이 많아, 정보 표시 표찰을 피복에 장착하려고 하면, 피복에 대해서 안전핀의 핀을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을 뚫을 필요가 있어, 사용자가 경원시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로 인하여, 피복에 대해서 구멍을 뚫지 않고 장착할 수 있는 정보 표시 표찰이 다수 개발되고 있으며, 예를 들면, 후술하는 특허문헌 1에는, 일단을 고정하고 타단을 개폐하도록 한 2개의 시트의 고정단에 클립의 병판(柄板)을 고정함과 함께, 각 개폐단에 서로 걸어 장착하는 스냅식 계착구(係着具)를 마련하여 상기 개폐단을 함께 결합하여, 2개의 시트 사이에 있는 상기 스냅식 계착구의 연결 부재가 명찰판 상부에 뚫은 구멍에 삽입 통과되도록 되어 있는 클립 장착 명찰이 개시되어 있다.
또, 안전핀을 구비한 정보 표시 표찰을 피복에 대해서 구멍을 뚫지 않고 장착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후술하는 특허문헌 2에는, 피복의 일부에 명찰 지지부를 마련하고, 이 명찰 지지부에 명찰에 마련된 안전핀의 샤프트부를 그 길이 방향의 직각 방향으로부터 꽂아 넣어 착탈가능하게 거는 것이 가능한 계지부를 마련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실용신안공개공보 소56-142085호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10-123960호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클립 장착 명찰에 있어서는, 클립으로 피복을 사이에 끼워 장착하기 때문에, 피복에 구멍을 뚫을 필요가 없지만, 피복의 소재에 따라서는 쉽게 떨어져 버리고, 또, 학교에서 사용되는 명찰은, 사용자가 활발한 아동이기 때문에, 그 격렬한 움직임에 견디지 못하고 떨어져 버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방법에 있어서는, 미리 피복에 대해서 안전핀의 샤프트부를 지지하는 계지부를 장착하기 위하여 피복에 가공을 실시할 필요가 있어, 학교나 회사 등의 제복과 같이 빈번하게 착용되는 피복에 정보 표시 표찰의 장착 수단으로서는 유용하지만, 회의나 회합 등에 있어서 배포되는 정보 표시 표찰과 같이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정보 표시 표찰의 장착 수단으로서는 유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상황에 따라 피복으로의 장착 수단을 선택할 수 있음과 함께, 일방의 장착 수단을 사용한 경우에 타방의 장착 수단이 방해가 되지 않는 정보 표시 표찰을 얻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하여, 그 구현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시행 착오적으로 시작(試作)·실험을 거듭한 결과, 정보 표시 부재에 마련된 제1 장착부에 대해서 연결 부재를 통하여 제2 장착 부재를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정보 표시체에 있어서, 제1 장착부에 피장착물에 핀고정하기 위한 핀을 마련하고, 제2 장착 부재에 피장착물을 협지하기 위한 한 쌍의 협지부와 그 한 쌍의 협지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한 쌍의 협지부의 개구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뻗는 조작부를 마련하며, 제2 장착 부재를 조작부를 회전시킴으로써 한 쌍의 협지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제1 장착부가 연결 부재에 대해서 통부에 핀을 꽂았다 뺐다 함으로써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장착 부재가 연결 부재에 대해서 조작부의 회전 방향을 통부의 관통 방향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향한 상태로 연결되도록 하면, 상황에 따라 피복으로의 장착 수단을 선택할 수 있음과 함께, 일방의 장착 수단을 사용한 경우에 타방의 장착 수단이 방해가 되지 않는다는 괄목할만한 지견을 얻어,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해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관한 정보 표시체는, 정보 표시 부재에 마련된 제1 장착부에 대해서 연결 부재를 통하여 제2 장착 부재를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정보 표시체로서, 제1 장착부가 피장착물에 핀고정하기 위한 핀을 가지고 있고, 제2 장착 부재가 피장착물을 협지하기 위한 한 쌍의 협지부와 상기 한 쌍의 협지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한 쌍의 협지부의 개구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뻗는 조작부를 가지고 있음과 함께 상기 조작부를 회전시킴으로써 한 쌍의 협지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제1 장착부가 연결 부재에 대해서 통부에 핀을 꽂았다 뺐다 함으로써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제2 장착 부재가 연결 부재에 대해서 조작부의 회전 방향을 통부의 관통축과 수직으로 교차 또는 입체 교차하는 방향을 향한 상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정보 표시체에 있어서, 제2 장착 부재가 연결 부재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정보 표시체에 있어서, 제2 장착 부재가 연결 부재의 통부의 관통축을 포함하는 평면과 상이한 평면 상을 회전하여, 제2 장착 부재를 연결 부재에 대해서 회전시켰을 때에 양 부재가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연결 부재는, 상기 어느 정보 표시체에 이용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정보 표시체는, 정보 표시 부재에 마련된 제1 장착부에 대해서 제2 장착 부재를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정보 표시체로서, 제1 장착부가 피장착물에 핀고정하기 위한 핀을 가지고 있고, 제2 장착 부재가 피장착물을 협지하기 위한 한 쌍의 협지부와 상기 한 쌍의 협지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한 쌍의 협지부의 개구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뻗는 조작부를 가지고 있음과 함께 조작부를 회전시킴으로써 한 쌍의 협지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조작부에 회전 방향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향하여 관통하는 통부가 형성되어 있고, 제2 장착 부재가 제1 장착부의 핀을 통부에 꽂았다 뺐다 함으로써 상기 제1 장착부에 대해서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장착부가 연결 부재에 대해서 통부에 핀을 꽂았다 뺐다 함으로써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제2 장착 부재가 연결 부재에 대해서 조작부의 회전 방향을 통부의 관통 방향과 수직으로 교차 또는 입체 교차하는 방향을 향한 상태로 연결되도록 구성했으므로, 피장착물에 대해서 정보 표시 부재를 제1 장착부로 장착한 경우에는, 정보 표시 부재로부터 연결 부재 및 제2 장착 부재를 분리할 수 있어, 제2 장착 부재 및 연결 부재가 방해가 되지 않고, 한편, 피장착물에 대해서 정보 표시 부재를 제2 장착 부재로 장착한 경우에는, 제1 장착부가 연결 부재에 대해서 핀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음과 함께, 제2 장착 부재가 연결 부재에 대해서 조작부의 회전 방향에 대해서 수직으로 뻗는 평면이 통부의 관통 방향에 대해서 항상 평행으로 위치결정된 상태가 되어, 정보 표시 부재, 제1 장착부, 연결 부재 및 제2 장착 부재가 측면에서 볼 때 직선적으로 위치결정되기 때문에, 정보 표시체 전체가 평탄 형상이 되어 방해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산업상 이용성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관한 정보 표시체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정보 표시체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정보 표시체를 분해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제2 장착 부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일방측 협지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내는 일방측 협지체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나타내는 일방측 협지체를 나타낸 중앙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에 나타내는 타방측 협지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4에 나타내는 타방측 협지체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0은 도 4에 나타내는 타방측 협지체를 나타낸 중앙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4에 나타내는 조작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4에 나타내는 조작체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3은 도 4에 나타내는 조작체를 나타낸 중앙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4에 나타내는 제2 장착 부재의 양 협지체를 폐쇄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4에 나타내는 제2 장착 부재의 양 협지체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에 나타내는 연결 부재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17은 도 1에 나타내는 연결 부재를 나타낸 중앙 종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에 나타내는 정보 표시체의 사용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9는 실시형태 2에 관한 제2 장착 부재 및 연결 부재를 나타낸 중앙 종단면도이다.
도 20은 실시형태 2에 관한 제2 장착 부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나타내는 제2 장착 부재를 나타낸 중앙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정보 표시체(1)는,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복 등의 피장착물에 핀고정하기 위한 제1 장착부(2)를 구비한 정보 표시 부재(3)와, 피장착물을 협지하기 위한 제2 장착 부재(4)와, 제1 장착부(2)와 제2 장착 부재(4)의 사이에 개재하여 제1 장착부(2)와 제2 장착 부재(4)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5)로 구성되어 있다.
정보 표시 부재(3)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름이나 번호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 표시부(6)와, 정보 표시부(6)를 피장착물에 대해서 핀고정하기 위한 제1 장착부(2)로 구성되어 있다.
정보 표시부(6)는, 정보가 표시된 카드(7)와, 카드(7)를 수납할 수 있는 케이스부(8)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부(8)는, 사각 형상의 시트를 2중으로 겹쳐 윗변을 제외한 주변을 접착함으로써 포켓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방의 시트의 윗변에 제1 장착부(2)를 장착하기 위한 정면에서 볼 때 사다리꼴 형상의 통형 장착부(9)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부(8)는, 외부로부터 카드(7)에 표시된 정보를 육안으로 볼 수 있도록 일부 또는 전부가 투명으로 되어 있다.
제1 장착부(2)는, 탄성을 가지는 금속제의 선재를 가공하여 이루어지는 이른바 안전핀이다. 구체적으로는, 선재는, 코일부(10)로부터 한 쌍의 축부(11, 12)가 V자 형상으로 뻗는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고, 일방측의 축부(11)는 선단이 바늘 형상으로 성형된 핀(13)으로 되어 있으며, 타방측의 축부(12)의 선단에 핀(13)을 걸 수 있는 계지부(14)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계지부(14)에 핀(13)을 걸을 때에는, V자 형상으로 뻗는 한 쌍의 축부(11, 12)를 선재의 탄성에 저항하여 평행으로 위치결정하도록 변형시킬 필요가 있다.
제2 장착 부재(4)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방측 협지체(15)와 그 일방측 협지체(15)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타방측 협지체(16)와 그 타방측 협지체(16)의 후부에 끼워넣은 조작체(17)(조작부)로 구성되어 있다.
일방측 협지체(15)는, 도 4~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측에 피장착물을 협지하는 협지부(18)가 마련되고, 후방측에 직사각형의 끼워맞춤창(19)이 마련되며, 끼워맞춤창(19)의 양측에는 측벽(20, 20)이 마련되고, 양 측벽(20, 20)에는 지지축(21)이 가설되어 있다. 또, 일방측 협지체(15)의 협지부(18)에는, 타방측 협지체(16)와 대향하는 면에 협지 톱니(22)가 마련되어 있다. 타방측 협지체(16)는, 도 4 및 도 8~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측에 피장착물을 협지하는 협지부(23)가 마련되고, 후방측에 하방으로 돌출된 일방측 협지체(15)의 끼워맞춤창(19)에 끼워지는 형상의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오목 형상 끼워맞춤판(24)이 마련되어 있다. 또, 타방측 협지체(16)의 협지부(23)에는, 일방측 협지체(15)의 협지 톱니(22)와 맞물리도록 협지 톱니(25)가 마련되어 있다. 조작체(17)는, 도 4 및 도 11~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부에 일방측 협지체(15)의 지지축(21)에 회동 가능하게 끼워 장착되는 베어링부(26)가 횡단하여 형성되고 있고, 베어링부(26)의 하부에는 끼워맞춤판(24)의 상면을 가압하는 캠(27)이 형성되어 있으며, 후부에 제1 끼워맞춤부(2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작체(17)의 제1 끼워맞춤부(28)는, 일방측 협지체(15)의 외면에 이어지는 면(도 13 참조)에 형성된 일방측 개구(29)가 타방측 협지체(16)의 외면에 이어지는 면(도 13 참조)에 형성된 타방측 개구(30)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통공 형상으로 되어 있고, 이로써, 제1 끼워맞춤부(28)의 내주에는, 양 개구(29, 30)의 직경의 차이에 따라 단차(31)가 형성된다. 또한, 일방측 협지체(15)의 양 측벽(20, 20)에는, 지지축(21)보다 후방에 위치결정하여 조작체(17)의 회전에 의하여 타방측 협지체(16)가 개폐하도록 유도하는 지지 선반(32)이 가설되어 있고, 또, 타방측 협지체(16)의 끼워맞춤판(24) 후부에는, 일방측 협지체(15)의 지지 선반(32)을 슬라이딩하면서 타방측 협지체(16)의 협지부(23)를 개폐시키는 슬라이딩축(33)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장착 부재(4)는,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방측 협지체(16)의 끼워맞춤판(24)을 일방측 협지체(15)의 전방으로부터 지지축(21)의 아래를 향하여 통과시키고 일방측 협지체(15)의 끼워맞춤창(19)에 끼워넣도록 위치결정하여, 타방측 협지체(16)의 슬라이딩축(33)을 일방측 협지체(15)의 지지 선반(32)에 맞닿게 하여 얹은 상태로 한 후에 타방측 협지체(16)의 후방으로부터 지지축(21)에 조작체(17)의 베어링부(26)를 끼워넣어 조작체(17)를 지지축(21)을 중심으로 하여 돌려, 조작체(17)의 캠(27)을 타방측 협지체(16)의 끼워맞춤판(24)의 상면에 얹기 전의 상태로 위치결정하면, 일방측 협지체(15)의 협지부(18)와 타방측 협지체(16)의 협지부(23)가 개구한 상태로 유지되고, 조작체(17)의 캠(27)을 타방측 협지체(16)의 끼워맞춤판(24)의 상면에 얹어 일방측 협지체(15)와 타방측 협지판(16)과 조작체(17)가 측면에서 볼 때 직선적으로 위치결정된 상태로 하면, 일방측 협지체(15)의 협지부(18)와 타방측 협지체(16)의 협지부(23)가 폐구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장착 부재(4)에 있어서의 조작체(17)는, 한 쌍의 협지부(18, 23)를 폐구한 상태에 있어서, 한 쌍의 협지부(18, 23)가 개구했을 때의 개구 방향(도 15 중, 화살표(A)로 나타냄.)과 반대 방향으로 뻗도록 위치결정되고, 또, 조작체(17)의 제1 끼워맞춤부(28)는, 한 쌍의 협지부(18, 23)를 폐쇄한 상태로부터 개방할 때에 조작체(17)를 회전시키는 방향(도 14 중, 화살표(B)로 나타냄.)으로 뻗도록 개구되어 있다.
연결 부재(5)는, 도 1,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보 표시 부재(3)에 마련된 제1 장착부(2)의 핀(13)을 꽂고 빼는 통부(34)와, 통부(34)의 중앙 부분에 일방면이 고정된 편평 형상의 원반부(35)와, 원반부(35)의 타방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원통 형상의 제2 끼워맞춤부(36)로 구성되어 있다. 원반부(35)는, 통부(34)에 대해서 일방면의 둘레 가장자리의 일부가 고정되어 있으며, 통부(34)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 부재(5)의 제2 끼워맞춤부(36)는, 통부(34)의 관통 축에 대해서 수직으로 입체 교차하도록 뻗은 상태가 된다. 또, 제2 끼워맞춤부(36)는, 선단측의 외경이 기단측의 외경보다 약간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2 끼워맞춤부(36)의 선단측의 외경은, 조작체(17)의 일방측 개구(29)의 내경보다 약간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2 끼워맞춤부(36)의 선단 부분에는, 선단으로부터 기단측을 향하여 절결되어 이루어지는 한 쌍의 노치(37, 37)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정보 표시체(1)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제1 장착부(2)의 핀(13)을 계지부(14)로부터 분리한 상태로 하고, 제1 장착부(2)의 타방측의 축부(12)를 정보 표시부(6)의 장착부(9)에 통과시킴으로써, 정보 표시부(6)에 제1 장착부(2)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제1 장착부(2)의 계지부(14)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핀(13)을 연결 부재(5)의 통부(34)에 통과시킨 후에 그 핀(13)을 계지부(14)에 걸음으로써, 제1 장착부(2)에 연결 부재(5)를 핀(13)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한다. 다음으로, 연결 부재(5)의 제2 끼워맞춤부(36)를 제2 장착 부재(4)의 제1 끼워맞춤부(28)에 대해서 끼워넣음으로써, 연결 부재(5)에 제2 장착 부재(4)를 장착한다. 이로써, 제2 장착 부재(4)는, 조작체(17)의 회전 방향을 통부(34)의 관통축과 수직으로 입체 교차하는 방향을 향한 상태로 연결 부재(5)에 연결되고, 또, 제2 장착 부재(4)가 연결 부재(5)에 대해서 제2 끼워맞춤부(36)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해진다. 또한, 연결 부재(5)의 제2 끼워맞춤부(36)를 제2 장착 부재(4)의 제1 끼워맞춤부(28)에 끼워넣을 때에는, 제2 끼워맞춤부(36)를 제1 끼워맞춤부(28)의 일방측 개구(29)측으로부터 꽂아 끼워넣고, 이 때, 제2 끼워맞춤부(36)의 선단측의 외경이 제1 끼워맞춤부(28)의 일방측 개구(29)의 내경보다 약간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 끼워맞춤부(36)의 선단측이 노치(37)의 간극을 좁히도록 변형되어 제1 끼워맞춤부(28)에 끼워넣어진 후, 제2 끼워맞춤부(36)의 선단측이 제1 끼워맞춤부(28)의 내주의 단차(31)에 걸린 상태가 되어 쉽게 떨어지지 않게 된다. 또, 연결 부재(5)에 대해서 제2 장착 부재(4)를 제2 끼워맞춤부(36)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시켰을 때에, 제2 장착 부재(4)는 연결 부재(5)와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2 중,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장착 부재(4)의 일방측 협지체(15)의 표면이 연결 부재(5)의 통부(34)와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정보 표시체(1)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정보 표시체(1)를 건네 받은 사용자는, 피장착물에 대해서 정보 표시 부재(3)를 제1 장착부(2)로 장착할지, 또는, 제2 장착 부재(4)로 장착할지를 선택한다.
그리고, 피장착물에 대해서 정보 표시 부재(3)를 제1 장착부(2)로 장착하기로 선택한 사용자는, 제1 장착부(2)의 계지부(14)로부터 핀(13)을 분리하고 그 핀(13)으로부터 연결 부재(5)를 빼냄으로써 정보 표시 부재(3)로부터 연결 부재(5) 및 제2 장착 부재(4)를 분리한다. 그리고, 제1 장착부(2)의 핀(13)을 이용하여 피장착물에 정보 표시 부재(3)를 핀고정한다. 이로써, 피장착물에 대해서 제1 장착부(2)에 의하여 정보 표시 부재(3)를 장착할 때에, 제2 장착 부재(4) 및 연결 부재(5)는 방해가 되지 않는다.
한편, 피장착물에 대해서 정보 표시 부재(3)를 제2 장착 부재(4)로 장착하기로 선택한 사용자는, 정보 표시 부재(3)에 마련된 제1 장착부(2)에 연결 부재(5)를 통하여 제2 장착 부재(4)를 연결시킨 상태로, 제2 장착 부재(4)의 조작체(17)를 조작하여 한 쌍의 협지부(18, 23)를 개폐시킴으로써, 제2 장착 부재(4)를 이용하여 피장착물에 정보 표시 부재(3)를 사이에 끼워 고정할 수 있다. 이 때, 연결 부재(5)가 통부(34)를 통하여 제1 장착부(2)의 핀(1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음과 함께, 제2 장착 부재(4)가 한 쌍의 협지부(18, 23)를 폐구한 상태에 있어서 그 한 쌍의 협지부(18, 23)의 개구 방향을 통부(34)의 관통 방향에 대해서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향한 상태로 위치결정되기 때문에, 정보 표시 부재(3), 제1 장착부(2), 연결 부재(5) 및 제2 장착 부재(4)가 측면에서 볼 때 일직선 상에 위치결정됨으로써, 정보 표시체(1)가 평탄 형상이 되어 방해가 되지 않는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정보 표시체(1)에 의하면, 제2 장착 부재(4)에 마련된 제1 끼워맞춤부(28)와 연결 부재(5)에 마련된 제2 끼워맞춤부(36)가 원형상이기 때문에, 연결 부재(5)에 대해서 제2 장착 부재(4)가 제2 끼워맞춤부(36)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어, 정보 표시체(1)의 장착 장소의 자유도가 증가한다. 예를 들면,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셔츠의 덧단(38)에 대해서 정보 표시체(1)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덧단(38)의 전측에 위치하는 옷감을 측방으로부터 제2 장착 부재(4)로 사이에 끼워넣고, 제2 장착 부재(4)에 대해서 통부(34)의 관통축이 수평을 향하도록 연결 부재(5)를 회전시키면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끼워맞춤부(28)와 제2 끼워맞춤부(36)를 원형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연결 부재(5)에 대해서 제2 장착 부재(4)를 회전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끼워맞춤부(28)와 제2 끼워맞춤부(36)를 서로 끼워맞추는 다각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단, 이 경우에는, 연결 부재(5)에 대해서 제2 장착 부재(4)를 회전시킬 수 없게 되지만, 연결 부재(5)에 대해서 제2 장착 부재(4)를 소정 각도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끼워맞춤부(28)를 통공 형상으로 형성함과 함께 제2 끼워맞춤부(36)를 돌기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끼워맞춤부(28)와 제2 끼워맞춤부(36)가 간단히 착탈가능하도록 끼워맞춰지는 구조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연결 부재(5)의 제2 끼워맞춤부(36)를 통부(34)의 관통축과 입체 교차하도록 돌출시키고 있지만, 통부(34)의 관통축과 교차하도록 돌출시켜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결 부재(5)에 대해서 제2 장착 부재(4)를 제2 끼워맞춤부(36)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시켰을 때에 제2 장착 부재(4)의 외면이 연결 부재(5)에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 있지만, 적어도 제2 장착 부재(4)가 한 쌍의 협지부(18, 23)가 폐구한 상태에서 회전시켰을 때에 간섭하지 않도록 구성하면 되고, 또한 제2 장착 부재(4)가 한 쌍의 협지부(18, 23)가 개구한 상태에서 회전시켰을 때에 간섭하지 않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 연결 부재(5)에 대해서 제2 장착 부재(4)를 어느 각도로 회전시켰다고 해도, 제2 장착 부재(4)가 한 쌍의 협지부(18, 23)을 개폐시켰을 때에 간섭하지 않도록 형성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정보 표시 부재(3)로서 제1 장착부(2)가 정보 표시부(6)에 대해서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채용하고 있지만, 제1 장착부(2)가 정보 표시부(6)에 대해서 고정된 것을 채용해도 된다.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는 상기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양 끼워맞춤부의 변형예이며, 도 19에 있어서, 도 1~도 18과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1 끼워맞춤부(39)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장착 부재(4)의 일방측 협지체(15)에 있어서의 협지부(18)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조작체(17)의 회전 방향과 평행으로 뻗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2 끼워맞춤부(40)는, 연결 부재(5)의 원반부(35)에 있어서의 이면을 오목 형상으로 절결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장착 부재(4)는 연결 부재(5)의 제1 끼워맞춤부(39)에 대해서 제2 끼워맞춤부(40)를 끼워넣음으로써 착탈·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실시형태 3
본 실시형태는 상기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제2 장착 부재의 변형예이며, 도 20 및 도 21에 있어서, 도 1~도 18과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2 장착 부재(41)는, 상기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제2 장착 부재(4)의 조작체(17)에 연결 부재(5)의 통부(34)가 일체적으로 성형된 양태의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체(17)의 선단에 제1 장착부(2)의 핀(13)을 꽂고 뺄 수 있는 통부(42)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부(42)는, 조작체(17)의 회전 방향 및 한 쌍의 협지부(18, 23)의 개구 방향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1 정보 표시체
2 제1 장착부
3 정보 표시 부재
4 제2 장착 부재
5 연결 부재
6 정보 표시부
7 카드
8 케이스부
9 장착부
10 코일부
11 일방측의 축부
12 타방측의 축부
13 핀
14 계지부
15 일방측 협지체
16 타방측 협지체
17 조작체
18 협지부
19 걸어맞춤창
20 측벽
21 지지축
22 협지 톱니
23 협지부
24 걸어맞춤판
25 협지 톱니
26 베어링부
27 캠
28 제1 끼워맞춤부
29 일방측 개구
30 타방측 개구
31 단차
32 지지 선반
33 슬라이딩축
34 통부
35 원반부
36 제2 끼워맞춤부
37 노치
38 덧단
39 제1 끼워맞춤부
40 제2 끼워맞춤부
41 제2 장착 부재
42 통부

Claims (5)

  1. 정보 표시 부재에 마련된 제1 장착부에 대해서 연결 부재를 통하여 제2 장착 부재를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정보 표시체로서, 제1 장착부가 피장착물에 핀고정하기 위한 핀을 가지고 있고, 제2 장착 부재가 피장착물을 협지하기 위한 한 쌍의 협지부와 상기 한 쌍의 협지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한 쌍의 협지부의 개구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뻗는 조작부를 가지고 있음과 함께 상기 조작부를 회전시킴으로써 한 쌍의 협지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제1 장착부가 연결 부재에 대해서 통부에 핀을 꽂았다 뺐다 함으로써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제2 장착 부재가 연결 부재에 대해서 조작부의 회전 방향을 통부의 관통축과 수직으로 교차 또는 입체 교차하는 방향을 향한 상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 장착 부재가 연결 부재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정보 표시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제2 장착 부재가 연결 부재의 통부의 관통축을 포함하는 평면과 상이한 평면 상을 회전하여, 제2 장착 부재를 연결 부재에 대해서 회전시켰을 때에 양 부재가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 있는 정보 표시체.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정보 표시체에 이용되는 연결 부재.
  5. 정보 표시 부재에 마련된 제1 장착부에 대해서 제2 장착 부재를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정보 표시체로서, 제1 장착부가 피장착물에 핀고정하기 위한 핀을 가지고 있고, 제2 장착 부재가 피장착물을 협지하기 위한 한 쌍의 협지부와 상기 한 쌍의 협지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한 쌍의 협지부의 개구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뻗는 조작부를 가지고 있음과 함께 조작부를 회전시킴으로써 한 쌍의 협지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조작부에 회전 방향과 수직으로 교차 또는 입체 교차하는 방향을 향하여 관통하는 통부가 형성되어 있고, 제2 장착 부재가 제1 장착부의 핀을 통부에 꽂았다 뺐다 함으로써 상기 제1 장착부에 대해서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체.
KR1020140048195A 2013-06-27 2014-04-22 정보 표시체 및 그 정보 표시체에 이용되는 연결 부재 KR1020989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35043A JP6191861B2 (ja) 2013-06-27 2013-06-27 情報表示体及び該情報表示体に用いられる連結部材
JPJP-P-2013-135043 2013-06-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605A true KR20150001605A (ko) 2015-01-06
KR102098972B1 KR102098972B1 (ko) 2020-04-08

Family

ID=52187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8195A KR102098972B1 (ko) 2013-06-27 2014-04-22 정보 표시체 및 그 정보 표시체에 이용되는 연결 부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91861B2 (ko)
KR (1) KR102098972B1 (ko)
CN (1) CN104252813B (ko)
TW (1) TWI6102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98094B1 (ja) * 2018-05-22 2019-10-30 グラパックジャパン株式会社 組立式回転画像表示体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42085A (en) 1980-04-09 1981-11-06 Fujitsu Ltd Print row detection method
JPH10123960A (ja) 1996-10-22 1998-05-15 Ozaki Shoji Kk 名札保持部付き衣服
JP3077456U (ja) * 2000-11-02 2001-05-18 孝彦 木原 名札固定具
US6260244B1 (en) * 1998-11-05 2001-07-17 J-Sen Limited Plastic clip
US20040045133A1 (en) * 2002-09-06 2004-03-11 Buettell Bruce J. Double clamp card attachment
JP2004173846A (ja) * 2002-11-26 2004-06-24 Nishikei:Kk 名札装着具
JP2008261464A (ja) * 2007-04-13 2008-10-30 Osaka Clip:Kk クリップ
US20100031476A1 (en) * 2008-08-10 2010-02-11 Coldiron Audra Apparel accessory clamp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6436Y2 (ja) * 1980-03-24 1983-10-22 株式会社大阪クリップ クリツプ付き名札
JPH04130981U (ja) * 1991-05-24 1992-12-01 忠雄 酒井 名 札
JPH0727327B2 (ja) * 1992-03-05 1995-03-29 株式会社丸善製作所 合成樹脂製クリップ
JP3077456B2 (ja) 1993-06-28 2000-08-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トラッキング制御装置
JP3436754B2 (ja) * 2001-12-06 2003-08-18 株式会社丸善製作所 名札類保持用ダブルクリップ
JP2004037493A (ja) * 2002-06-28 2004-02-05 Kokuyo Co Ltd カード取付具
TW534416U (en) * 2002-07-12 2003-05-21 Jr-Shian Yu Improved structure of name card clip
JP2005338239A (ja) * 2004-05-25 2005-12-08 Kokuyo Co Ltd 表示プレート
TWM305410U (en) * 2006-08-25 2007-01-21 Shu-Min Chiang Improved extendible joint seat structure for identification card
CN201259757Y (zh) * 2008-09-12 2009-06-17 昝全立 组合式吊牌
CN201758907U (zh) * 2010-07-02 2011-03-16 朱方勇 一种新型胸牌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42085A (en) 1980-04-09 1981-11-06 Fujitsu Ltd Print row detection method
JPH10123960A (ja) 1996-10-22 1998-05-15 Ozaki Shoji Kk 名札保持部付き衣服
US6260244B1 (en) * 1998-11-05 2001-07-17 J-Sen Limited Plastic clip
JP3077456U (ja) * 2000-11-02 2001-05-18 孝彦 木原 名札固定具
US20040045133A1 (en) * 2002-09-06 2004-03-11 Buettell Bruce J. Double clamp card attachment
JP2004173846A (ja) * 2002-11-26 2004-06-24 Nishikei:Kk 名札装着具
JP4310454B2 (ja) * 2002-11-26 2009-08-12 株式会社西敬 名札装着具
JP2008261464A (ja) * 2007-04-13 2008-10-30 Osaka Clip:Kk クリップ
US20100031476A1 (en) * 2008-08-10 2010-02-11 Coldiron Audra Apparel accessory cla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8972B1 (ko) 2020-04-08
JP2015011102A (ja) 2015-01-19
TW201501096A (zh) 2015-01-01
CN104252813A (zh) 2014-12-31
TWI610280B (zh) 2018-01-01
CN104252813B (zh) 2018-05-01
JP6191861B2 (ja) 2017-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0012B2 (en) Pocket insert badge with magnetic retention
ES2566010T3 (es) Carcasa de etiqueta colgante
US8146528B2 (en) Manual prescription use recording device
GB2435301A (en) A housing supporting an electronic tag for a zippered container
US20130220842A1 (en) Badge Holder With Ejector
US9412286B2 (en) Fastening arrangement for an electronic price label
US20160005339A1 (en) Wristband assembly with cover seal
CA2973646A1 (en) Electronic price label and a battery unit for an electronic price label
KR20150001605A (ko) 정보 표시체 및 그 정보 표시체에 이용되는 연결 부재
US9015975B2 (en) Messaging sign having a reversible fastening system for moveable display articles
JP2006065840A (ja) 自動販売機におけるダミー容器用の表示体の取付構造
US2013034446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uplable ornaments
US20150206462A1 (en) Messaging Sign Having a Reversible Fastening System For Moveable Display Articles
US2015023920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uplable ornaments
KR20140122668A (ko) 클립 및 그 클립을 장착한 정보 표시 표찰
WO2016116663A1 (en) Electronic price label and a battery unit for an electronic price label
ES2641846T3 (es) Elemento expositor para la exhibición de información en una empuñadura desplazable
US2348627A (en) Badge
KR200463838Y1 (ko) 원형판 회전식 현황 체크기
JP6945823B1 (ja) ヘルメット用取付具
JP3141076U (ja) 表示パネル
JP2005181780A (ja) 被固定用クリップおよびピン付き名札ケース
JP3136365U (ja) マグネットクリップ
NZ532051A (en) Attachment plate of a flexible, bendable material
JP3056701U (ja) 物品における情報表示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