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0612U - 선박 출입구용 서랍식 도어 조립체 - Google Patents

선박 출입구용 서랍식 도어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0612U
KR20150000612U KR2020130006259U KR20130006259U KR20150000612U KR 20150000612 U KR20150000612 U KR 20150000612U KR 2020130006259 U KR2020130006259 U KR 2020130006259U KR 20130006259 U KR20130006259 U KR 20130006259U KR 20150000612 U KR20150000612 U KR 2015000061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way
drawer
ship
ent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62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태욱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62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0612U/ko
Publication of KR201500006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61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08Ports or like openings in vessels' sides or at the vessels' bow or ster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54Horizontally-sliding wings disappearing in pockets in the wall; Pocke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출입구에 적용되는 도어 조립체의 개폐 타입과 설치 구조를 새롭게 개선하여 제작과 설치에 따른 비용 및 공수를 절감하고, 특히 출입구 앞의 통로에 대한 여유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선박 출입구용 서랍식 도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판넬에 출입구를 전부 막는 구조로 배치되는 도어와; 상기 판넬과 접하는 일측 벽부에 형성되어 출입구의 개폐를 위한 도어의 개폐 이동시 도어를 수납하는 수납홈과; 상기 수납홈에 고정되는 구조로 도어와 연결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박 출입구용 서랍식 도어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선박 출입구용 서랍식 도어 조립체{Drawer Door Assembly for Doorway of Ship}
본 고안은 선박 출입구용 서랍식 도어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출입구에 적용되는 도어 조립체의 개폐 타입과 설치 구조를 새롭게 개선하여 제작과 설치에 따른 비용 및 공수를 절감하고, 특히 출입구 앞의 통로에 대한 여유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a ~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의 선체에는 선원이나 화물 등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출입구(10)에는 개폐 기능을 담당하는 파일럿 도어 조립체(12)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출입구(10)가 형성되어 있는 판넬(14)과 이와 접하는 일측 벽부(16)에는 파일럿 도어 조립체(12)를 지지 고정하기 위한 고정 브라켓(18)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파일럿 도어 조립체(12)의 도어(22)는 서로 연결되는 힌지부재(24)를 중심으로 제1 분할 도어(26)와 제2 분할 도어(28)가 접혀짐 및 펴짐 동작을 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중 제2 분할도어(28)는 고정 브라켓(18)과 힌지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1 분할 도어(26)와 제2 분할 도어(28)의 저면에는 제1 및 제2 힌지러그(30, 32)가 각각 고정 구비되어 있고, 이러한 제1 및 제2 힌지 러그(30, 32)에는 제1 및 제2힌지 링크(34, 36)의 일단이 각각 힌지 연결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및 제2힌지 링크(34, 36)의 타단은 고정 브라켓(18)에 힌지 연결된 회동링크(38)와 힌지 연결 있고, 제2 힌지 러그(32)와 고정 브라켓 간(18)에는 로드(40)를 구비한 실린더(42)와 각각 힌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파일럿 도어 조립체(12)가 닫힌 상태에서 열림 시, 먼저 실린더(42)의 동작을 통해 로드(40)가 당겨지게 되면, 제2 분할 도어(28)와 함께 회동링크(38)가 하강하면서 회동을 하게 된다. 그로 인해 제1 및 제2 힌지 링크(34, 36)도 하향 회동하게 되면서 펴진 형태로 출입구(10)를 막고 있던 제1 분할 도어(26)와 제2 분할 도어(28)가 힌지부재(24)를 중심으로 접히게 되면서 출입구(10)가 개방되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 (도 1c 참조).
그런데, 위와 같은 구조를 취하는 파일럿 도어 조립체(12)는, 먼저 제1 분할 도어(26)와 제2 분할 도어(28)를 각각 개별적으로 제작하여야 하고, 이를 연결하는 힌지 및 연결 부품과, 고정 설치 위한 부품 등의 과다 사용이 불가피함으로써 비용과 공수 절감이 어렵다. 아울러 그로 인해 제작과 설치가 신속 용이하지 못함은 물론, 특히 설치를 위한 조립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위와 같이 구조를 취하는 파일럿 도어 조립체(12)를 사용하게 되면, 출입구(10)의 개방시 도어(22)가 접혀진 형태로 출입구(10) 앞의 일측에 노출 배치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파일럿 도어 조립체(12)의 배치 폭(T) 만큼 출입구(10) 앞의 일측 공간을 차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출입구(10)의 앞 통로 폭이 상당히 좁아지게 된다 (도 1c 참조).
위와 같이 출입구(10)의 앞 통로 폭이 좁아지게 되면, 작업자가 출입구(10)의 앞 통로를 빠른 통과시, 자칫 작업자의 옷 또는 작업자가 착용한 장비가 걸리게 되거나 도어(22)와 부딪힐 수 있어 안전상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아울러, 각종 장비의 이동시 도어(22)와의 간섭이 발생하여 출입구(10)를 통과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도어(22)의 접힙 동작시, 제1 분할 도어(26)와 제2 분할 도어(28)의 사이에 신체의 끼임이 발생하는 안전사고도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20-0334986호(등록일: 2003년 11월 24일)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10-0066157호(공개일: 2010년 06월 17일)
본 고안은 배경기술에서 제시하고 있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출입구에 적용되는 도어 조립체의 개폐 타입과 설치 구조를 새롭게 개선하여 제작과 설치에 따른 비용 및 공수를 절감하고, 특히 출입구 앞의 통로에 대한 여유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선박 출입구용 서랍식 도어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서는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판넬에 출입구를 전부 막는 구조로 배치되는 도어와; 상기 판넬과 접하는 일측 벽부에 형성되어 출입구의 개폐를 위한 도어의 개폐 이동시 도어를 수납하는 수납홈과; 상기 수납홈에 고정되는 구조로 도어와 연결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박 출입구용 서랍식 도어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로드를 구비한 실린더로 이루어져 있는 선박 출입구용 서랍식 도어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도어에 고정되는 랙과, 상기 랙과 맞물리게 되는 피니언이 구비된 모터로 이루어지는 선박 출입구용 서랍식 도어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수납홈 측 벽부와 도어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구조를 이루며 외면이 주름부로 형성되는 보호커버가 로드를 감싸는 수용 구조로 구비되어 있는 선박 출입구용 서랍식 도어 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선박 출입구용 서랍식 도어 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종래와 같이 도어를 각각 개별적으로 제작하여야 하는 점과, 이를 연결하는 힌지, 및 연결 고정을 위한 많은 부속 부품들의 사용이 대폭 삭제되어 비용과 공수 절감이 실현되고 그로 인해 제작과 설치가 신속 용이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선박 출입구용 서랍식 도어 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출입구의 개방시에 도어가 접혀진 상태로 출입구의 일측에 노출 배치되어 공간을 차지하게 되는 구조가 아니라 수납되는 구조이므로 출입구 앞의 일측 공간을 확보하게 됨으로써, 작업자가 출입구의 앞 통로를 빠른 이동시 걸림이나 도어와의 부딪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위와 같은 효과에 의해 각종 장비의 통과시에도 도어와의 간섭 이 방지 되어 출입구를 통과하는데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도 1a ~ 도 1c은 일반적인 선박 출입구용 서랍식 도어 장치의 개폐 동작을 순차적으로 각각 보여주는 개략도 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 1의 선박 출입구용 서랍식 도어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도 2a는 출입구가 닫힌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b는 출입구가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 2의 선박 출입구용 서랍식 도어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도 3a는 출입구가 닫힌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3b는 출입구가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박 출입구용 서랍식 도어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 1의 선박 출입구용 서랍식 도어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도 2a에서는 출입구가 닫힌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b에서는 출입구가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서랍식 도어 장치(S1)는 도면에서 보듯이, 종래와 마찬가지로 판넬(14)의 출입구(10) 앞에는 출입구(10)를 전부 가릴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된 도어(50)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판넬(14)과 접하고 있는 벽부(16)에는 수납홈(52)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수납홈(52)에는 도어(50)의 일면에 구비된 고정부(54)와 연결되는 구조로 동력전달수단(56)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동력전달수단(56)의 동작시 도어(50)는 수납홈(52)으로부터 수납되는 개폐 동작을 취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수단(56)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로드(58)를 구비하는 실린더(60)가 사용되는데, 예컨대 로드(58)가 사용될 경우 수납홈(52) 측 벽부(16)와 도어(50)의 고정부(54)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구조로 로드(58)를 수용하는 보호커버(62)가 갖추어져 있다.
이러한, 상기 보호커버(62)는 로드(58)와의 직접적인 충돌이나 접촉을 방지하는 기능을 발휘하게 되며, 길이방향에 대한 압축과 신장이 용이하도록 보호커버(62)의 외면이 주름부(64)로 형성되어 있다 (도 2b 참조).
따라서, 도 2a의 상태에서 실린더(60)의 동작으로 인해 로드(58)가 당겨지게 되면, 그와 함께 도어(50)도 로드(58)의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수납홈(52)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는 구조로 출입구가 개방되게 된다.
[실시예 2]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 2의 선박 출입구용 서랍식 도어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도 3a에서는 출입구가 닫힌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3b에서는 출입구가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서랍식 도어 장치(S2)는 도면에서 보듯이, 판넬(14)의 출입구(10)의 앞에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출입구(10)을 전면을 전부 가릴 수 있는 면적으로 도어(50)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판넬(14)과 접하는 벽부(16)에는 실시예1과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는 수납홈(5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수납홈(52)에는 도어(22)와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는 동력전달수단(70)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동력전달수단(70)의 동작시 도어(50)는 수납홈(52)으로부터 수납되는 개폐 동작을 취하게 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70)은 모터(72)와, 모터(72)에 구비되는 피니언(74)과, 피니언(74)과 맞물리는 구조로 도어(50)에 고정되는 랙(76)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 3a의 상태에서 모터(72)가 구동을 하여 피니언(74)이 시계방향인 정회전을 하게 되면 랙(76)은 후진 이동하게 되고, 그로 인해 랙(76)과 함께 이동하게 되는 도어(50)는 수납홈(52)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는 구조로 출입구(10)가 개방된다 (도 3b 참조).
위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선박 출입구용 서랍식 도어 장치(S1, S2)를 적용하게 되면, 먼저 종래와 같이 도어(22)를 제작시에 제1 분할 도어(26)와 제2 분할 도어(28)를 각각 개별적으로 제작하여야 하는 점과, 이를 연결하는 힌지 및 연결 부품과, 고정 설치를 위한 부속 부품들의 사용이 대폭 삭제되어 비용과 공수 절감이 실현되고 제작과 설치가 신속 용이하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이 구조를 취하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박 출입구용 서랍식 도어 장치(S1, S2)를 사용하게 되면, 종래와 같이 출입구(10)의 개방시에 도어(22)가 접혀진 상태로 출입구(10)의 일측에 노출 배치되는 구조가 아니라 벽부(16)에 수납되는 구조이므로 출입구(10) 앞의 일측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출입구(10) 앞의 일측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출입구(10)의 앞 통로 폭이 종래의 통로 폭에 비해 넓어지게 됨으로써, 종래에 제기되었던 제반 문제를 모두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기술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여러 가지로 변경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의 변형 또는 변경은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를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10 : 출입구 12 : 파일럿 도어 조립체
14 : 판넬 16 : 벽부
18 : 고정 브라켓 22, 50 : 도어
24 : 힌지부재 26 : 제1 분할도어
28 : 제2 분할도어 30 : 제1 힌지러그
32 : 제2 힌지러그 34 : 제1 힌지링크
36 : 제2 힌지링크 40, 58 : 로드
42, 60 : 실린더 52 : 수납홈
54 : 고정부 56, 70 : 동력전달수단
62 : 보호커버 64 : 주름부
72 : 모터 74 : 피니언
76 : 랙

Claims (4)

  1.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판넬에 출입구를 전부 막는 구조로 배치되는 도어와;
    상기 판넬과 접하는 일측 벽부에 형성되어 출입구의 개폐를 위한 도어의 개폐 이동시 도어를 수납하는 수납홈과;
    상기 수납홈에 고정되는 구조로 도어와 연결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출입구용 서랍식 도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로드를 구비한 실린더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출입구용 서랍식 도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도어에 고정되는 랙과, 상기 랙과 맞물리게 되는 피니언이 구비된 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출입구용 서랍식 도어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홈 측 벽부와 도어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구조를 이루며 외면이 주름부로 형성되는 보호커버가 로드를 감싸는 수용 구조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출입구용 서랍식 도어 장치.
KR2020130006259U 2013-07-26 2013-07-26 선박 출입구용 서랍식 도어 조립체 KR2015000061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259U KR20150000612U (ko) 2013-07-26 2013-07-26 선박 출입구용 서랍식 도어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259U KR20150000612U (ko) 2013-07-26 2013-07-26 선박 출입구용 서랍식 도어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612U true KR20150000612U (ko) 2015-02-10

Family

ID=52571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6259U KR20150000612U (ko) 2013-07-26 2013-07-26 선박 출입구용 서랍식 도어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061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67878A (zh) * 2018-11-30 2019-01-25 红塔烟草(集团)有限责任公司 密闭门自动开启装置及复烤设备
KR102606033B1 (ko) 2023-04-07 2023-11-24 삼화건설환경(주) 하상 유도형 어도를 갖는 하천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67878A (zh) * 2018-11-30 2019-01-25 红塔烟草(集团)有限责任公司 密闭门自动开启装置及复烤设备
KR102606033B1 (ko) 2023-04-07 2023-11-24 삼화건설환경(주) 하상 유도형 어도를 갖는 하천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96238B2 (ja) 車両用ドアの開閉装置
KR20140050276A (ko)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직선형 센터레일 링크 구조
US20170314306A1 (en) Door assembly with collapsible carrier
KR20150000612U (ko) 선박 출입구용 서랍식 도어 조립체
CN109823411A (zh) 长头卡车发动机罩翻转限位及锁止装置
EP2677613A1 (en) Harness cover for vehicle door
WO2005070807A3 (en) Operating device comprising an elevator door folding around a vertical axis
MX2008010357A (es) Construccion de techo abierto.
KR20120106024A (ko) 엘리베이터의 탈출장치
KR101405767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와이어링 하네스 체인-도어 연결장치
KR101676433B1 (ko) 알루미늄 프레임을 이용한 슬라이딩 자동문
KR20110008992A (ko) 윙바디 차량의 윙개폐보조장치
FI126413B (fi) Laivapalo-ovi
KR101415404B1 (ko) 자동차용 도어체커
KR101589061B1 (ko) 차량용 글러브박스 하우징 조립장치
CN113928573B (zh) 一种具备导向缓冲功能的滑动整流罩
JP6395814B2 (ja) 自動車の車体に回動可能に取り付けるための改良したアバットメントを有するテールゲート
JP5796239B2 (ja) 車両用ドアの開閉装置
KR100405605B1 (ko) 자동차의 후드 장착 구조
JP6232770B2 (ja) アウトスライド扉開閉装置
JP4631592B2 (ja) 穴閉鎖プラグ
JP2007191006A (ja) 貨物運搬車における開閉装置
US9067545B2 (en) Spring clip for use in a bracket assembly
KR20080042974A (ko) 자동차용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캐리어 구동수단결합구조
CN201971340U (zh) 冷藏集装箱及其弹簧扣连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