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6024A - 엘리베이터의 탈출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탈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6024A
KR20120106024A KR1020110023835A KR20110023835A KR20120106024A KR 20120106024 A KR20120106024 A KR 20120106024A KR 1020110023835 A KR1020110023835 A KR 1020110023835A KR 20110023835 A KR20110023835 A KR 20110023835A KR 20120106024 A KR20120106024 A KR 20120106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escape
escape door
opening
ceil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3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일식
Original Assignee
윤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일식 filed Critical 윤일식
Priority to KR1020110023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6024A/ko
Publication of KR20120106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60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7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o permit passengers to leave an elevator car in case of failure, e.g. moving the car to a reference floor or unlocking the door

Landscapes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탈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탈출문이 엘리베이터 천정에서 완전히 분리될 수 있는 구조의 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탈출장치{ESCAPE DEVICE FOR AN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탈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탈출문이 엘리베이터 천정에서 완전히 분리될 수 있는 구조의 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기존의 엘리베이터 탈출문을 윗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탈출문이 열린 상태의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엘리베이터 탈출문(3)은 엘리베이터의 천정판(10)의 중앙에 주로 형성된다. 천정판(10)에서 보이는 좌우 실선(5)은 엘리베이터 내부의 조명등(1)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라인이다. 즉,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명등(1)이 설치라인(5)을 따라 볼트 등의 체결구로 천정판(10)에 고정된다. 탈출문(3)은 이런 양쪽 설치라인(5) 사이에 설치되고, 경첩식에 의해 회전하여 여닫히게 되어있다. 엘리베이터 내부로부터 도둑이나 승객이 탈출문(3)을 통해 엘리베이터 천정 위로 올라가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탈출문(3)은 반드시 외부에서 열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이런 탈출문은 정전으로 인한 엘리베이터 정지와 같은 사고시 승객을 안전하게 대피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이런 탈출문(3)이 엘리베이터 천정판의 중앙에 형성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내부에서 천정을 보면 사각형의 라인이 보이게되고, 이는 엘리베이터 내부의 장식적 미감을 해치게 되기 때문에, 모든 엘리베이터는 천정판의 탈출문이 보이지 않도록 중간천정(7)을 설치하여 이를 가린다(도 2 참조). 이런 중간천정(7)은 쉽게 빼낼 수 있도록 양쪽 받침틀 사이에 얹혀지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런 기존의 엘리베이터 탈출구조에서는, 탈출문(3)을 가리기 위한 중간천정(7)이 필요하기 때문에, 제조가격이 상승할 뿐만 아니라 내부구조가 복잡해지고, 탈출작업을 할때에도 탈출문(3) 외에 중간천정(7)도 같이 제거해야 하므로, 탈출에 걸리는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엘리베이터의 탈출문을 기존의 조명등(1) 설치라인(5)에 일치되게 형성함으로써 천정판의 미적 외관을 해치지 않고, 결국 이때문에 중간천정이 불필요한 엘리베이터 탈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천정에 설치되는 탈출장치는,
탈출문에 해당하는 개구부(12)가 형성된 엘리베이터의 천정판(10);
상기 천정판(10)의 개구부(12)를 가리는 크기를 갖고 천정판(10)과는 완전히 분리된 판형 탈출문(20); 및
상기 탈출문(20)을 상기 천정판(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체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12)의 4변 중의 마주보는 양쪽 변(14)이 엘리베이터 내부의 조명등(1) 설치라인(5)과 일치하며, 상기 탈출문(20)이 상기 개구부의 양쪽 변(14) 위에 얹혀지는 형태로 개구부(12)를 덮어 가린다.
한편, 본 발명의 체결구가 다수의 체결구(30)이고, 이들 체결구(30)는 상기 개구부(12)의 양쪽 변(14)에 대응하는 탈출문(20)의 양쪽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탈출문(20)을 천정판(10)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체결구(30)로는 손잡이가 달린 나비볼트가 좋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탈출문(20) 체결구는 경첩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본 본 발명의 탈출장치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탈출문의 체결흔적이 기존의 조명등(1) 설치라인(5)에 일치되어 조명등의 조명갓에 의해 가려지므로, 천정판의 미적 외관을 해치지 않게되고 중간천정도 없앨 수 있어, 제조비가 절감되고 내부구조도 단순해진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중간천정이 불필요하므로 엘리베이터의 내부 천정이 더 높아지고, 이로인해 더 넓은 엘리베이터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내부공간의 편의성을 더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엘리베이터 탈출문을 윗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탈출문이 열린 상태의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탈출구조를 윗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탈출구조를 윗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엘리베이터의 천정에 설치되는 탈출장치는 크게 3부분으로 구성된다. 즉, 엘리베이터의 천정판(10)과, 천정판(10)과는 완전히 분리된 판형 탈출문(20)과, 탈출문(20)을 천정판(10)에 결합하기 위한 체결구(30)로 구성된다.
천정판(10)은 탈출문(20)에 대응하는 개구부(12)를 갖는데, 이 개구부(12)는 4변 중의 2개의 마주보는 양쪽 변(14)이 엘리베이터 내부의 조명등(1) 설치라인(5)과 일치되어야 한다. 나머지 2개 변은 필요한 탈출문의 크기에 맞게 적절한 간격을 가지면 된다.
또, 탈출문(20)은 일반 판 구조면 되고, 그 크기는 천정판(10)의 개구부(12)를 가리는 정도면 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출문(20)의 양쪽 2개 변에 단턱부를 만들고, 이에 대응하는 개구부(12)의 양쪽 변에도 단턱부를 만들어 맞물리게 하면, 탈출문(20)이 조립된 상태에서 전혀 움직이지 않으므로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런 단턱부 없이 편평한 모양의 판을 탈출문(20)으로 해도 괜찮다.
탈출문(20)은 다수의 체결구(30)에 의해 천정판(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탈출문(20)을 열 때는 체결구(30)를 풀면 된다. 따라서, 이런 체결구(30)는 가급적 작업자가 아무런 도구 없이도 열 수 있는 구조를 취하여, 구체적으로는 손잡이가 달린 나비볼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체결구(30)는 개구부(12)의 양쪽 변(14)에 대응하는 탈출문(20)의 양쪽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되면 체결 흔적이 조명등의 설치라인(5)을 따라 배치되어 조명등의 조명갓에 가려지므로, 엘리베이터의 내부에서 체결흔적을 전혀 볼 수 없게된다.
지금까지, 탈출문(20)이 다수의 체결구(30), 구체적으로는 나비볼트에 의해 천정판에 결합되는 것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탈출문(20)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경첩(도시 안됨)으로 천정판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경첩 반대쪽을 들어서 탈출문을 열 수 있다.

Claims (4)

  1. 엘리베이터의 천정에 설치되는 탈출장치에 있어서:
    탈출문에 해당하는 개구부(12)가 형성된 엘리베이터의 천정판(10);
    상기 천정판(10)의 개구부(12)를 가리는 크기를 갖고 천정판(10)과는 완전히 분리된 판형 탈출문(20); 및
    상기 탈출문(20)을 상기 천정판(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체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12)의 4변 중의 마주보는 양쪽 변(14)이 엘리베이터 내부의 조명등(1) 설치라인(5)과 일치하며, 상기 탈출문(20)이 상기 개구부의 양쪽 변(14) 위에 얹혀지는 형태로 개구부(12)를 덮어 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탈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가 다수의 체결구(30)이고, 이들 체결구(30)는 상기 개구부(12)의 양쪽 변(14)에 대응하는 탈출문(20)의 양쪽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탈출문(20)을 천정판(10)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탈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30)가 손잡이가 달린 나비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탈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가 탈출문(20)을 여닫기 위한 경첩이고, 이 경첩을 중심으로 탈출문을 회전시켜 상기 천정판의 개구부를 여닫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탈출장치.
KR1020110023835A 2011-03-17 2011-03-17 엘리베이터의 탈출장치 KR201201060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835A KR20120106024A (ko) 2011-03-17 2011-03-17 엘리베이터의 탈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835A KR20120106024A (ko) 2011-03-17 2011-03-17 엘리베이터의 탈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6024A true KR20120106024A (ko) 2012-09-26

Family

ID=47112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3835A KR20120106024A (ko) 2011-03-17 2011-03-17 엘리베이터의 탈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602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03252A (zh) * 2015-05-08 2015-07-29 吴江骏达电梯部件有限公司 一种电梯逃生装置
CN106744178A (zh) * 2016-11-30 2017-05-31 立达博仕电梯(苏州)有限公司 一种带有安全通道的电梯系统
CN111232802A (zh) * 2020-03-05 2020-06-05 宿州迅驰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梯轿厢
KR102183371B1 (ko) * 2020-08-19 2020-11-26 주성필 크린 엘리베이터 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03252A (zh) * 2015-05-08 2015-07-29 吴江骏达电梯部件有限公司 一种电梯逃生装置
CN106744178A (zh) * 2016-11-30 2017-05-31 立达博仕电梯(苏州)有限公司 一种带有安全通道的电梯系统
CN111232802A (zh) * 2020-03-05 2020-06-05 宿州迅驰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梯轿厢
KR102183371B1 (ko) * 2020-08-19 2020-11-26 주성필 크린 엘리베이터 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50555A1 (en) Cover assembly for an electrical floor box
KR20120106024A (ko) 엘리베이터의 탈출장치
CN105201314A (zh) 方便擦窗的多功能隐藏式铰链
RU2004128783A (ru) Дверная рама шахтной двери с системой управления лифтом и способ доступа к блоку управления
KR100981759B1 (ko) 가구용 슬라이딩 도어의 댐퍼 고정장치
KR20170062768A (ko) 외관이 미려하고 설치가 용이한 손 끼임 방지용 안전도어
US20130069391A1 (en) Access to truck sleeper for trim operations
EP2463132B1 (en) Vehicular back door having antitheft structure
KR20090076184A (ko) 문틀구조
JP5377107B2 (ja) エレベータのホールランタン
KR20130004169U (ko) 탑차 적재함용 내장형 도어 개폐 구조물
MXPA01010563A (es) Guarnecido de puerta para vehiculos.
KR20170048113A (ko) 문틀 처짐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스크린도어 비상문
CN104494470A (zh) 驾驶室后排座盒
CN103469821B (zh) 一种井盖
KR20120124766A (ko) 도어 트림의 장착 구조
KR101261194B1 (ko) 다목적 수납 기능을 갖는 운전석 보호격벽
KR20080004263U (ko) 양문 여닫이식 천장등
CN210828858U (zh) 易开合的空调维修门
JP7413015B2 (ja) 建具
KR200370704Y1 (ko) 덕트용 개폐식 액세스도어
JP2011037617A (ja) エレベータのかご室
JP5739620B2 (ja) ホーム柵装置
JP6960265B2 (ja) 建具
KR20080004262U (ko) 양문 여닫이식 천장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