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3426A - 고강도 냉연 강판 및 그러한 강판을 생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고강도 냉연 강판 및 그러한 강판을 생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3426A
KR20140143426A KR1020147030603A KR20147030603A KR20140143426A KR 20140143426 A KR20140143426 A KR 20140143426A KR 1020147030603 A KR1020147030603 A KR 1020147030603A KR 20147030603 A KR20147030603 A KR 20147030603A KR 20140143426 A KR20140143426 A KR 20140143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rolled steel
cold rolled
high strength
strength c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0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4693B1 (ko
Inventor
토마스 헤베스베르거
다니엘 크리찬
슈테판 파울
안드레아스 피힐러
Original Assignee
뵈스트알파인 스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뵈스트알파인 스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뵈스트알파인 스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143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3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6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26Methods of annea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In, Mg, or other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22C38/001 - C22C38/60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2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2Bai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8Martens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및 건축 재료 등의 적용에 적합한 고강도 냉연 강판, 특히 성형성이 탁월한 고강도 강판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780MPa 이상의 인장 강도를 지니는 냉연 강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강도 냉연 강판 및 그러한 강판을 생산하는 방법{HIGH STRENGTH COLD ROLLED STEEL SHEET AND METHOD OF PRODUCING SUCH STEEL SHEET}
본 발명은 자동차, 및 건축 재료 등에서의 적용에 적합한 고강도 냉연 강판, 특히 성형성(formability)이 탁월한 고강도 강판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780MPa 이상의 인장 강도를 지니는 냉연 강판에 관한 것이다.
매우 다양한 적용을 위하여, 증가된 강도 수준이 특히 자동차 산업에서 경량 구조물을 위한 전제 조건인데, 그 이유는 차체 질량 감소가 연료 소비 감소를 유발하기 때문이다.
자동차 바디 부품들은 흔히 강판을 스탬핑 가공하여 얇은 시트의 복합 구조 부재들을 형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부품은 통상의 고강도 강으로부터는 생산될 수 없는데, 그 이유는 복합 구조 부품의 경우에는 성형성이 너무 낮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다상의 변태 유기 소성강(Transformation Induced Plasticity aided steel: TRIP 강)이 지난 수년 동안 상당한 관심을 얻고 있다.
TRIP 강은 다상 미세구조를 지니는데, 이러한 구조는 준안정 보유된 오스테나이트 상을 포함하고 이는 TRIP 효과를 만들 수 있다. 강이 변형될 때, 오스테나이트는 마르텐사이트로 변태되며, 이는 상당한 가공 경화(work hardening)를 유발한다. 이러한 경화 효과는 재료에서의 네킹(necking)에 저항하고 시트 성형 작업시 파단(failure)을 지연시키는 작용을 한다. TRIP 강의 미세구조는 이의 기계적 특성을 크게 바꿀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강이 변형될 때 오스테나이트의 마르텐사이트로의 변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보유된 오스테나이트 상의 체적%, 크기 및 형태가 TRIP 강 미세구조의 가장 중요한 양태들이다. 오스테나이트를 실온에서 화학적으로 안정화시키는 여러 방식들이 있다. 저합금 TRIP 강에서, 오스테나이트는 이의 탄소 함량 및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의 작은 크기를 통해 안정화된다. 오스테나이트를 안정화시키는데 필요한 탄소 함량은 약 1중량%이다. 그러나, 강 중의 높은 탄소 함량은 용접성을 손상시키기 때문에 많은 적용에서 사용될 수 없다.
따라서, 실온에서 오스테나이트를 안정화시키기 위해서는 오스테나이트 내로 탄소를 집중시키는 특정 가공 루트가 필요하다. 또한, 일반적인 TRIP 강 화학은, 오스테나이트 안정화를 도울 뿐만 아니라 오스테나이트로 탄소를 분할하는 미세구조의 생성을 돕는 소량으로 첨가되는 다른 원소들을 함유한다. 가장 일반적인 첨가는 1.5중량%의 Si와 Mn 둘 모두이다. 베이나이트 변태 중 오스테나이트가 분해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규소 함량은 1중량% 이상이어야 할 필요가 있음이 고려된다. 강 중의 규소 함량은, 규소가 세멘타이트 중에서 불용성이기 때문에 중요하다. US 2009/0238713호에는 이러한 TRIP 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높은 규소 함량은 열연 강의 불량한 표면 품질 및 냉연 강의 불량한 도금성(coatability)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규소의 다른 원소들로의 부분적인 또는 완전한 대체가 연구되고 있으며, 전도 유망한 결과들이 Al-기반 합금 설계에 대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알루미늄의 사용에 의한 단점은 주조 동안의 편석(segregation) 거동인데, 이러한 편석 거동은 슬래브(slab)의 중앙 위치에서 Al의 결핍을 초래하여 최종 미세구조에서 마르텐사이트 밴드의 형성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매트릭스 상에 좌우하여, 하기 주요 유형의 TRIP 강이 언급된다.
TPF: 다각형 페라이트의 매트릭스를 지니는 TRIP 강
앞서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TPF 강은 베이나이트 및 보유된 오스테나이트로부터의 개재물을 지니는 비교적 연질의 다각형 페라이트로부터 매트릭스를 함유한다. 보유된 오스테나이트는 변형시 마르텐사이트로 변태되어, 요망되는 TRIP 효과를 유발하는데, 이는 강이 강도와 인발가공성(drawability)의 탁월한 조합을 달성하게 한다. 그러나, 이들의 장출 성형성(stretch flangability)은 보다 균질의 미세구조 및 보다 강한 매트릭스를 지니는 TBF, TMF 및 TAM 강들에 비해서는 더 낮다.
TBF: 베이나이틱 페라이트의 매트릭스를 지니는 TRIP 강
TBF 강은 베이나이틱 페라이트 매트릭스가 탁월한 장출 성형성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오랫동안 공지되어 있으며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게다가, TPF 강과 유사하게, 준안정 보유된 오스테나이트 아일랜드(island)들의 마르텐사이트로의 변형 유기 변태(strain-induced transformation)에 의해 보장되는 TRIP 효과는 강의 인발가공성을 상당히 개선시킨다.
TMF: 마르텐사이틱 페라이트의 매트릭스를 지니는 TRIP 강
TMF 강은 또한 강한 마르텐사이틱 매트릭스 내에 매립되는 준안정 보유된 오스테나이트의 작은 아일랜드들을 함유하는데, 이는 이러한 강이 TBF 강에 비해서 훨씬 더 우수한 장출 성형성을 달성하게 한다. 이러한 강이 또한 TRIP 효과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들의 인발가공성은 TBF 강에 비해 더 낮다.
TAM: 어닐링된 마르텐사이트의 매트릭스를 지니는 TRIP 강
TAM 강은 새로운 마르텐사이트의 리어닐링(re-annealing)에 의해 얻어지는 침상(needle-like) 페라이트로부터 매트릭스를 함유한다. 우세한 TRIP 효과는 변형시 마르텐사이트 내로의 준안정 보유된 오스테나이트 개재물들의 변태에 의해 다시 가능해진다. 이들의 강도, 인발가공성 및 장출 성형성의 전도 유망한 조합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강은 이의 복잡하며 값비싼 2단 열 사이클(double-heat cycle)로 인해서 주목할만한 산업적 관심을 얻지는 못하였다.
본 발명은 780MPa 이상의 인장 강도를 지니고 탁월한 성형성을 지니는 고강도 냉연 강판 및 산업 규모로 이를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통상의 산업적 어닐링 라인에서의 생산에 적합한 특성을 지니는 냉연 TPF 강판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서, 강은 우수한 성형 특성을 지닐 뿐만 아니라 이와 동시에 Ac3-온도, Ms-온도, 오스템퍼링(austempering) 시간 및 온도 및 그 밖의 인자들, 예컨대, 산업적 어닐링 라인에서 강판의 가공성 및 열연 강판의 표면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스티키 스케일(sticky scale)에 대하여 최적화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된다.
이하 명세서에서, 하기 약어들은 다음과 같다:
PF= 다각형 페라이트,
B= 베이나이트,
BF= 베이나이틱 페라이트,
TM= 템퍼링된 마르텐사이트.
RA= 보유된 오스테나이트
Rm= 인장 강도(MPa)
Ag= 균일 연신율, UEl(%)
A80= 총 연신율(%)
Rp0.2= 항복 강도(MPa)
HR= 열연 감소율(%)
Tan= 어닐링 온도(℃)
tan= 어닐링 시간(s)
CR1= 냉각 속도(℃/s)
TQ= 켄칭 온도(℃)
CR2= 냉각 속도(℃/s)
TRJ= 급속 냉각의 정지 온도(℃)
TOA= 오버에이징(overageing)/오스템퍼링 온도(℃)
tOA= 오버에이징/오스템퍼링 시간(s)
CR3= 냉각 속도(℃/s)
냉연 고강도 TPF 강판은 하기 원소들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지닌다(중량%):
Figure pct00001
불순물을 제외한 나머지는 Fe임.
원소들의 제한치에 대한 이유는 하기에 설명된다.
원소 C, Mn, Si 및 Cr은 하기 기재된 이유로 본 발명에 필수적이다:
C: 0.1 - 0.3 %
C는 오스테나이트를 안정화시키며, 보유된 오스테나이트상 내에서 충분한 탄소를 얻는데 중요한 원소이다. C는 또한 요망되는 강도 수준을 얻는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0.1%의 C당 대략 100MPa의 인장 강도의 증가가 예상될 수 있다. C가 0.1% 미만이면, 780MPa의 인장 강도를 획득하기 어렵다. C가 0.3%를 초과하면, 용접성이 손상된다. 이러한 이유들로, 바람직한 범위는 요망되는 강도 수준에 좌우하여 0.1 - 0.25 %, 0.13 - 0.17 %, 0.15 - 0.19 % 또는 0.19 - 0.23 %이다.
Mn: 1.4 - 2.7 %
망간은 고용강화(solid solution strengthening) 원소이며, 이는 Ms 온도를 낮춤으로써 오스테나이트를 안정화시키며 냉각 동안 펄라이트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Mn은 Ac3 온도를 낮춘다. 1.4% 미만의 함량에서, 780MPa 이상의 인장 강도를 얻기 어려울 수 있다. 1.7% 미만의 함량에서는 이미 780MPa 이상의 인장 강도를 얻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Mn의 양이 2.7%보다 높다면, 편석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고, 작업력이 저하될 수 있다. 상한치는 또한 테이블 외에서 그리고 코일에서 소모 시 냉각 동안 미세구조에 대한 Mn의 영향에 의해 결정되는데, 그 이유는 높은 Mn 함량이 냉연에 바람직하지 않은 마르텐사이트 분획의 형성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바람직한 범위는 1.5 - 2.5 %, 1.5 - 1.7 %, 1.5 - 2.3 %, 1.7 - 2.3 %, 1.8 - 2.2 %, 1.9 - 2.3 % 및 2.3 - 2.5 %이다.
Si: 0.4 - 1.0 %
Si는 고용강화 원소로서 작용하며, 박강판의 강도를 보장하는데 중요하다. Si는 세멘타이트 중에서 불용성이며, 그에 따라서, 석출하는 세멘타이트로부터 Si가 확산되는 시간이 주어져야 하기 때문에 베이나이트 변태 동안 카바이드의 형성을 크게 지연시키는 작용을 할 것이다. Si는 강판의 기계적 특성을 개선시킨다. 그러나, 높은 Si는 표면 상에서 Si 산화물을 형성시키는데, 이는 롤 상에 피클(pickle)을 생성시켜 표면 결함을 초래할 수 있다. 추가로, 높은 Si 함량의 경우에는 아연도금(galvanizing)이 매우 어렵다. 즉, 표면 결함의 위험이 증가된다. 이에 따라서, Si는 1.0%로 제한된다. 따라서, 바람직한 범위는 0.4 - 0.9 %, 0.4 - 0.8 %, 0.5 - 0.9 %, 0.5 - 0.7 % 및 0.75 - 0.90 %이다.
Cr: 0.1 - 0.9 %
Cr은 강판의 강도를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이다. Cr은 페라이트를 형성하며 펄라이트 및 베이나이트의 형성을 억제하는 원소이다. Ac3 온도 및 Ms 온도는 Cr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단지 약간 저하된다. 이러한 유형의 강에서, 보유된 오스테나이트의 양은 크롬 함량에 의해 증가된다. 그러나, 베이나이트 변태의 억제로 인해, 더 긴 유지 시간이 요구되어 정상적인 라인 속도를 이용할 때, 통상의 산업적 어닐링 라인 상에서 가공이 어려워지거나 불가능하다. 이러한 이유로, Cr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0.8%로 제한된다. 따라서, 바람직한 범위는 0.15 - 0.6 %, 0.15 - 0.35 %, 0.3 - 0.7 %, 0.5 - 0.7 %, 0.4 - 0.8 %, 및 0.25 - 0.35 %이다.
Si + Cr: ≥ 0.9
Si와 Cr은 또한 이들이 주조 동안 망간 편석의 효과를 저하시키는 마르텐사이트 밴딩의 위험성을 감소시키는데 효율적이다. 또한, 그리고 완전히 예상치않게도, 조합되는 단서로 Si와 Cr은 보유된 오스테나이트의 양을 증가시켜 이후에 연성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이유로, Si + Cr의 양은 ≥ 0.9%여야한다. 그러나, 너무 많은 Si + Cr의 양은 베이나이트 형성의 강한 지연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Si + Cr는 바람직하게는 1.4%로 제한된다. 따라서, 바람직한 범위는 1.0 - 1.4 %, 1.05 - 1.30 % 및 1.1 - 1.2 %이다.
Si/Cr = 1 - 5
Si와 Cr은 세멘타이트 형성을 억제하고, Cr은 베이나이트 형성 속도에 대하여 강한 지연 효과를 지니기 때문에, Si는 세멘타이트 석출의 강한 억제와 베이나이트 형성 속도의 적은 지연 사이에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 Cr와 적어도 동일한 양으로 강에 존재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Si는 Cr보다 더 많은 양으로 존재한다. 따라서, Si/Cr에 대한 바람직한 범위는 1 - 5, 1.5 - 3, 1.7 - 3, 1.7 - 2.8, 2 - 3 및 2.1 - 2.8이다.
C, Mn, Si 및 Cr에 더하여, 강은 미세구조를 조절하고/거나 변태 속도에 영향을 미치고/거나 기계적 특성들 중 하나 이상을 미세하게 조정하기 위해서 하기 원소들 중 하나 이상을 임의로 함유할 수 있다.
Al: ≤ 0.8
Al은 페라이트 형성을 촉진시키며, 또한 흔히 탈산제로서 사용된다. Si와 같이 Al은 세멘타이트 내에 불용성이며, 그에 따라서 베이나이트 형성 동안 세멘타이트 형성을 상당히 지연시킨다. Al의 첨가는 보유된 오스테나이트 중의 탄소 함량을 상당히 증가시킨다. 그러나, Ms 온도는 Al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된다. Al의 추가의 단점은 Ac3 온도의 극적인 증가를 유발한다는 점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TPF 합금은 2-상 영역으로 어닐링될 수 있기 때문에, 상당량의 Al이 사용될 수 있다. Al은 TRIP 강 등급에서 Si의 대체를 위해 성공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Al의 주요 단점은 주조 동안 이의 편석 거동이다. 주조 동안, Mn은 슬래브의 중앙에서 풍부하고, Al-함량은 감소된다. 따라서, 중앙에서 현저한 오스테나이트 안정화된 영역 또는 밴드가 형성된다. 이는 가공의 말미에 마르텐사이트 밴딩을 야기하며, 낮은 응력에서 내부 균열이 마르텐사이트 밴드에 형성된다. 다른 한 편으로, Si 및 Cr은 또한 주조 동안 풍부해진다. 따라서, 마르텐사이트 밴딩에 대한 경향은 Si 및 Cr과의 합금에 의해서 감소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Mn 풍부로 인해 오스테나이트 안정화가 이러한 원소들에 의해 저하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Al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0.6%, 바람직하게는 0.1%, 가장 바람직하게는 0.06% 미만으로 제한된다.
Nb: < 0.1
Nb는 결정 입도 성장(grain size development)에 대한 그의 현저한 영향으로 인해 강도 및 인성의 개선을 위해서 저합금 강에 흔히 사용된다. Nb는 NbC의 석출로 인해 매트릭스 미세구조 및 보유된 오스테나이트 상을 조질함으로써 강도 연신율 균형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Nb의 첨가는, 우수한 깊은 인발가공성을 지니는 고강도 강판을 얻는데 이용될 수 있다. 0.1% 초과의 함량에서 효과는 포화된다.
따라서, 바람직한 범위는 0.01 - 0.08 %, 0.01 - 0.04 % 및 0.01 - 0.03 %이다. 더욱 더 바람직한 범위는 0.02 - 0.08 %, 0.02 - 0.04 % 및 0.02 - 0.03 %이다.
Mo: < 0.3
Mo는 강도를 개선시키기 위해서 첨가될 수 있다. Nb와 함께 Mo의 첨가는, 미세한 NbMoC 카바이드의 석출을 유발하며, 이는 강도와 연성의 조합에서 추가 개선을 유발한다.
Ti: < 0.2; V: < 0.2
이러한 원소들은 석출 경화에 효과적이다. Ti는 0.01 - 0.1 %, 0.02 - 0.08 % 또는 0.02 - 0.05 %의 바람직한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V는 0.01 - 0.1 % 또는 0.02 - 0.08 %의 바람직한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Cu: < 0.5; Ni: < 0.5
이러한 원소들은 고용 강화 원소들이며, 내부식성에 대하여 긍정적인 효과를 지닐 수 있다. 이러한 원소들은, 필요 시, 0.05 - 0.5 % 또는 0.1 - 0.3 %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B: < 0.005
B는 페라이트의 형성을 억제하며, 강판의 용접성을 개선시킨다. 주목할만한 효과를 지니기 위해서는, 0.0002% 이상이 첨가되어야 한다. 그러나, 과량은 용접성을 저하시킨다.
바람직한 범위는 < 0.004%, 0.0005- 0.003 % 및 0.0008 -0.0017 %이다.
Ca: < 0.005; Mg: < 0.005; REM: < 0.005
이러한 원소들은, 강 중의 개재물들의 형태를 제어하고, 이에 의해서 강판의 구멍 확장성(hole expansibility) 및 장출 성형성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첨가될 수 있다.
바람직한 범위는 0.0005 - 0.005 % 및 0.001 - 0.003 %이다.
Si > Al
본 발명에 따른 고강도 냉연 강판은 규소 기반 설계를 지닌다. 즉, Si의 양은 Al의 양보다 더 많은데, 바람직하게는, Si > 1.3 Al, 더욱 바람직하게는 Si > 2Al, 가장 바람직하게는 Si > 3Al이다.
Mn + 3Cr
본 발명의 강판에서 베이나이트 형성의 너무 강한 억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Mn + 3Cr의 비율을 ≤ 3.8, 바람직하게는 ≤ 3.6, 더욱 바람직하게는 ≤ 3.4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p0 .2)/(Rm)
본 발명의 강판에서, 요망되는 성형성을 얻기 위해서 (Rp0 .2)/(Rm) ≤ 0.7, 바람직하게는 (Rp0 .2)/(Rm) ≤ 0.75의 항복 비율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강도 냉연 TPF 강판은
보유된 오스테나이트 5 - 22
베이나이트 + 베이나이틱 페라이트 + 템퍼링된 마르텐사이트 ≤ 80
다각형 페라이트 ≥10
를 포함하는 다상 미세구조물을 지닌다(체적%).
보유된 오스테나이트(RA)의 양은 5 - 22 %, 바람직하게는 6 - 22 %, 더욱 바람직하게는 6 - 16 %이다. TRIP 효과 때문에, 높은 연신율이 필수인 경우에는 보유된 오스테나이트가 전제 조건이다. 다량의 보유된 오스테나이트는 장출 성형성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강판에서, 매트릭스는 일반적으로 50%를 초과하는 양을 지니는 연질의 다각형 페라이트(PF)로 주로 구성된다. 단지 소량의 베이나이틱 페라이트(BF)가 일반적으로 최종 미세구조물에 존재한다. 불충분한 국부적 오스테나이트 안정성의 결과로, 구조는 또한 실온으로의 냉각 동안 형성되는 일부 소량의 새로운 마르텐사이트를 함유할 수 있다.
고강도 냉연 TPF 강판은, 하기 기계적 특성들을 지닌다:
인장 강도(Rm) ≥ 780MPa
총 연신율(A80) ≥ 12%, 바람직하게는 ≥13%, 더욱 바람직하게는 ≥14%
Rm 및 A80 값은 유럽 표준 EN 10002 Part 1에 따라 유추되었으며, 여기서 샘플은 스트립의 길이 방향에서 취해졌다.
강판의 성형성은 강도-연신율 균형(Rm × A80)에 의해 평가되었다.
본 발명의 강판은 하기 조건을 충족한다:
Rm × A80 ≥ 13000 MPa%
본 발명의 강판의 기계적 특성은 합금 조성 및 미세구조에 의해 주로 조절될 수 있다.
한 가지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고강도 냉연 강판은 780MPa 이상의 인장 강도를 지니며, 강은
Figure pct00002
를 포함하며,
강판은 하기 요건들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한다: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780MPa 이상의 인장 강도를 지니는 고강도 냉연 강판에 대한 전형적인 조성은
Figure pct00005
일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고강도 냉연 강판은 980MPa 이상의 인장 강도를 지니며, 강은
Figure pct00006
을 포함하고,
강판은 하기 요건들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한다: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980MPa 이상의 인장 강도를 지니는 고강도 냉연 강판에 대한 전형적인 조성은
Figure pct00009
일 수 있다.
추가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고강도 냉연 강판은 1180MPa 이상의 인장 강도(Rm)를 지닌다. 이러한 구체예에서, 강은
Figure pct00010
를 포함하며, 하기 요건들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한다: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1180MPa 이상의 인장 강도를 지니는 고강도 냉연 강판에 대한 전형적인 조성은 하기와 같을 수 있다:
Figure pct00013
본 발명의 고강도 냉연 강판은 통상의 산업적 어닐링 라인을 이용하여 생산될 수 있다.
가공은
a)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조성물을 지니는 냉연 스트립을 제공하는 단계;
b) 760℃ 내지 Ac3 + 20℃인 어닐링 온도(Tan)에서 냉연 스트립을 어닐링하는 단계; 이어서
c) 펄라이트 형성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냉각 속도로 어닐링 온도(Tan)에서부터 300℃ 내지 475℃, 바람직하게는 350℃ 내지 475℃인 냉각 정지 온도(TRJ)로 냉연 스트립을 냉각시키는 단계; 이어서
d) 320℃ 내지 480℃인 오버에이징/오스템퍼링 온도(TOA)에서 냉연 스트립을 오스템퍼링하는 단계; 및
e) 냉연 스트립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는 단계
를 포함한다.
공정은 바람직하게는 하기 단계들을 추가로 포함할 것이다:
단계 b)에서, 어닐링은 최대 100초, 바람직하게는 60초의 어닐링 유지 시간(tan)동안 760℃ 내지 820℃인 어닐링 온도(Tan)에서 수행되고,
단계 c)에서, 냉각은, 어닐링 온도(Tan)에서부터 600℃ 내지 750℃의 켄칭 온도(TQ)까지의 약 3 - 20℃/s의 제 1 냉각 속도 CR1, 및 켄칭 온도(TQ)에서부터 급속 냉각의 정지 온도(TRJ)까지의 약 20 - 100℃/s의 제 2 냉각 속도 CR2로서, 두 개의 개별 냉각 속도를 지니는 냉각 패턴에 따라 수행될 수 있으며,
단계 d)에서, 강판의 오스템퍼링은 350℃ 내지 475℃인 오버에이징/오스템퍼링 온도(TOA), 및 50초 내지 600초의 오버에이징/오스템퍼링 시간(tOA)에서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c)와 단계 d) 사이에는 강판에 외부 가열이 가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고강도 냉연 강판을 생산하는 한 가지 가능한 방법에서, 단계 d)에서의 오스템퍼링은 375℃ 내지 475℃인 오버에이징/오스템퍼링 온도(TOA)에서 ≤200s의 오버에이징/오스템퍼링 시간(tOA) 동안 수행된다.
본 발명의 고강도 냉연 강판을 생산하는 또 다른 가능한 방법에서, 단계 d)에서의 오스템퍼링은 350℃ 내지 450℃인 오버에이징/오스템퍼링 온도(TOA)에서 ≥200s의 오버에이징/오스템퍼링 시간(tOA) 동안 수행된다.
열 처리 조건들을 조절하는 이유들이 하기에 기재된다.
어닐링 온도(Tan) = 760℃ 내지 Ac3 온도 + 20℃:
어닐링 온도에 의해서 어닐링 동안 재결정화, 세멘타이트의 용해 및 페라이트 및 오스테나이트의 양이 제어된다. 낮은 어닐링 온도(Tan)는 재결정화되지 않는 미세구조 및 세멘타이트의 불충분한 용해를 초래한다. 높은 어닐링 온도는 충분한 오스테나이트화 및 결정 성장을 초래한다. 이는 냉각 동안 불충분한 페라이트 형성을 초래할 수 있다.
320℃ 내지 480℃인 오스템퍼링 온도(TOA):
오스템퍼링 온도(TOA)를 상기 언급된 범위로 제어함으로써, 베이나이트의 양, 세멘타이트의 바람직하지 않은 석출, 및 그에 따라서, 보유된 오스테나이트(RA)의 양 및 안정성이 제어될 수 있다. 오스템퍼링 온도(TOA)가 낮을수록, 베이나이트 형성 속도가 저하될 것이며, 너무 소량의 베이나이트가 불만족스럽게 안정화된 보유된 오스테나이트를 초래할 수 있다. 오스템퍼링 온도(TOA)가 높을수록, 베이나이트 형성 속도는 증가되지만, 일반적으로 베이나이트의 양은 감소되며, 이는 불만족스럽게 안정화된 보유된 오스테나이트를 초래할 수 있다. 오스템퍼링 온도의 추가 증가는 세멘타이트의 바람직하지 않은 석출을 초래할 수 있다.
300℃ 내지 475℃인 급속 냉각의 냉각 정지 온도(TRJ):
급속 냉각의 냉각 정지 온도(TRJ)를 제어함으로써, 오스템퍼링 전 변태의 추가 제어가 가능하고, 이는 수득되는 상이한 구성성분들의 양의 미세 조정에 적용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냉각 속도(CR1, CR2):
어닐링 온도(Tan)로부터 급속 냉각의 정지 온도(TRJ)로의 어닐링된 스트립의 냉각에 대한 냉각 패턴은 두 개의 개별적인 냉각 단계들을 지닐 수 있다. 어닐링 온도(Tan)에서부터 600℃ 내지 750℃인 켄칭 온도(TQ)까지 약 3 - 20℃의 제 1 냉각 속도(CR1)를 제어하고, 켄칭 온도(TQ)에서부터 급속 냉각의 정지 온도(TRJ)까지 약 20 - 100℃의 제 2 냉각 속도(CR2)를 제어함으로써, 다각형 페라이트의 양, 그리고 연장되어, 오스테나이트의 양이 제어될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냉각 패턴에 의해서, 펄라이트의 형성이 방지되는데, 그 이유는 펄라이트는 강판의 성형 특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이다. 그러나, 소량의 펄라이트가 켄칭된 스트립에 존재할 수 있다. 최대 1%의 펄라이트가 존재할 수 있지만, 켄칭된 스트립은 펄라이트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3 냉각 속도 CR3:
어닐링 라인에 전형적으로 적용된 오스템퍼링 온도(TOA)에서부터 실온까지의 냉각 스케쥴은 강판의 미세구조 및 기계적 특성에 무시할만한 영향을 지닌다.
실시예
표 I에 따른 화학적 조성을 지니는 다수의 시험 합금 A-Q를 제조하였다. 강판을 제조하고, 표 II에 명시된 파라미터에 따라 통상의 산업적 어닐링 라인을 이용하여 열 처리에 주어지게 하였다. 강판의 미세구조를 다수의 다른 기계적 특성들과 함께 검사하였고, 그 결과는 표 III에 나타나 있다. 표 I 및 표 III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본 발명이 아닌 실시예가 Y 또는 N으로 각각 표시되어 있다.
Figure pct00014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6
산업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자동차와 같은 차량을 위한 탁월한 성형성을 지니는 고강도 강판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8)

  1. a)
    Figure pct00017

    불순물을 제외한 나머지 Fe
    의 원소들로 이루어진 조성물(중량%)
    b)
    보유된 오스테나이트 5 - 22
    베이나이트 + 페라이틱 베이나이트 + 템퍼링된 마르텐사이트 ≤80
    다각형 페라이트 ≥ 10
    로 이루어진 다상 미세구조물(체적%)
    c)
    인장 강도(Rm) ≥ 780MPa
    총 연신율(A80) ≥ 12%, 바람직하게는 ≥ 13%
    의 기계적 특성을 포함하고,
    임의로 Rm × A80 ≥ 13000 MPa%의 조건을 충족하는, 고강도 냉연 강판.
  2. 제 1항에 있어서, 하기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하는, 고강도 냉연 강판:
    Figure pct00018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하기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하는, 고강도 냉연 강판:
    Figure pct00019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하는, 고강도 냉연 강판:
    Figure pct00020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유된 오스테나이트(RA)의 최대 크기가 ≤6㎛, 바람직하게는 ≤3㎛인, 고강도 냉연 강판.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상 미세구조물이
    보유된 오스테나이트 6 - 16
    베이나이트 + 페라이틱 베이나이트 + 템퍼링된 마르텐사이트 ≤80
    다각형 페라이트 ≥10
    를 포함하는(체적%), 고강도 냉연 강판.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이
    Figure pct00021

    를 포함하고, 강판이 하기 요건들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하는, 고강도 냉연 강판:
    Figure pct00022


    Figure pct00023
  8.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이
    Figure pct00024

    Figure pct00025

    을 포함하고, 강판이 하기 요건들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하는, 고강도 냉연 강판:
    Figure pct00026


    Figure pct00027
  9.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이
    Figure pct00028

    을 포함하고, 강판이 하기 요건들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하는, 고강도 냉연 강판:
    Figure pct00029


    Figure pct00030
  10.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이
    Figure pct00031

    Figure pct00032

    을 포함하고, 강판이 하기 요건들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하는, 고강도 냉연 강판:
    Figure pct00033


    Figure pct00034
  11.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이
    Figure pct00035

    을 포함하고, 강판이 하기 요건들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하는, 고강도 냉연 강판:
    Figure pct00036


    Figure pct00037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율 Mn + 3 x Cr이 ≤ 3.8, 바람직하게는 ≤ 3.6, 가장 바람직하게는 ≤ 3.4인, 고강도 냉연 강판.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Si > Al, 바람직하게는 Si > 1.3 Al, 더욱 바람직하게는 Si > 5Al, 가장 바람직하게는 Si > 10Al의 양인, 고강도 냉연 강판.
  14.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Si/Cr의 비율이 1 - 5, 바람직하게는 1.5 - 3, 더욱 바람직하게는 1.7 - 3, 가장 바람직하게는 1.7-2.8인, 고강도 냉연 강판.
  15.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융 아연 도금(hot dip galvanizing) 층이 제공되지 않는, 고강도 냉연 강판.
  16.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고강도 냉연 강판을 생산하는 방법으로서,
    a)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성물을 지니는 냉연 강 스트립을 제공하는 단계;
    b) 760℃ 내지 Ac3 + 20℃인 어닐링 온도(Tan)에서 냉연 강 스트립을 어닐링하는 단계; 이어서
    c) 펄라이트 형성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냉각 속도로 어닐링 온도(Tan)에서부터 300℃ 내지 475℃, 바람직하게는 350℃ 내지 475℃인 급속 냉각의 냉각 정지 온도(TRJ)로 냉연 강 스트립을 냉각시키는 단계; 이어서
    d) 320℃ 내지 480℃인 오버에이징(overageing)/오스템퍼링(austempering) 온도(TOA)에서 냉연 강 스트립을 오스템퍼링하는 단계; 이어서
    e) 냉연 강판 스트립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강도 냉연 강판을 생산하는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단계 d)에서의 오스템퍼링이 375℃ 내지 450℃인 오버에이징/오스템퍼링 온도(TOA)에서 ≤200s의 시간 동안 수행되는, 고강도 냉연 강판을 생산하는 방법.
  18. 제 16항에 있어서, 단계 d)에서의 오스템퍼링이 350℃ 내지 475℃인 오버에이징/오스템퍼링 온도(TOA)에서 ≥200s의 시간 동안 수행되는, 고강도 냉연 강판을 생산하는 방법.
KR1020147030603A 2012-03-30 2013-04-02 고강도 냉연 강판 및 그러한 강판을 생산하는 방법 KR1020446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PCT/EP2012/055913 2012-03-30
EP2012055913 2012-03-30
PCT/EP2013/056940 WO2013144373A1 (en) 2012-03-30 2013-04-02 High strength cold rolled steel sheet and method of producing such steel she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426A true KR20140143426A (ko) 2014-12-16
KR102044693B1 KR102044693B1 (ko) 2019-11-14

Family

ID=48044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0603A KR102044693B1 (ko) 2012-03-30 2013-04-02 고강도 냉연 강판 및 그러한 강판을 생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27683B2 (ko)
JP (1) JP6232045B2 (ko)
KR (1) KR102044693B1 (ko)
CN (1) CN104169444B (ko)
ES (1) ES2746285T5 (ko)
WO (1) WO201314437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0576A (ko) * 2016-08-08 2018-12-07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강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31299B2 (en) 2012-03-30 2020-04-29 Voestalpine Stahl GmbH High strength cold rolled steel sheet and method of producing such steel sheet
ES2648415T5 (es) 2012-03-30 2021-02-15 Voestalpine Stahl Gmbh Chapa de acero de alta resistencia laminada en frío y procedimiento de fabricación de dicha chapa de acero
DE102014017275A1 (de) * 2014-11-18 2016-05-19 Salzgitter Flachstahl Gmbh Hochfester lufthärtender Mehrphasenstahl mit hervorragenden Verarbeitungseigenschaft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andes aus diesem Stahl
DE102014017274A1 (de) * 2014-11-18 2016-05-19 Salzgitter Flachstahl Gmbh Höchstfester lufthärtender Mehrphasenstahl mit hervorragenden Verarbeitungseigenschaft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andes aus diesem Stahl
SE539519C2 (en) 2015-12-21 2017-10-03 High strength galvannealed steel sheet and method of producing such steel sheet
WO2017109541A1 (en) * 2015-12-21 2017-06-29 Arcelormittal Method for producing a high strength coated steel sheet having improved ductility and formability, and obtained coated steel sheet
WO2017125773A1 (en) * 2016-01-18 2017-07-27 Arcelormittal High strength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formabilit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6762868B2 (ja) * 2016-03-31 2020-09-3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5755382A (zh) * 2016-03-31 2016-07-13 苏州睿昕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耐腐蚀汽车配件合金钢材料及其制备方法
CN105755353A (zh) * 2016-03-31 2016-07-13 苏州睿昕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耐腐蚀汽车配件合金钢材料及其制备方法
US11293073B2 (en) 2017-03-10 2022-04-05 Tata Steel Limited Hot rolled steel product with ultra-high strength minimum 1100MPA and good elongation 21%
KR101999018B1 (ko) * 2017-12-24 2019-07-10 주식회사 포스코 저온인성이 우수한 후강판 및 그 제조방법
CN108315671B (zh) * 2018-05-14 2019-09-17 东北大学 屈服强度1000MPa级低屈强比超高强钢及其制备方法
DE102018114653A1 (de) * 2018-06-19 2019-12-19 Thyssenkrupp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lastoptimierter Blechbauteile
ES2911661T3 (es) 2019-06-17 2022-05-20 Tata Steel Ijmuiden Bv Tratamiento térmico de un fleje de acero laminado en frío de alta resistencia
EP3754037B1 (en) 2019-06-17 2022-03-02 Tata Steel IJmuiden B.V. Method of heat treating a high strength cold rolled steel strip
PT3754035T (pt) 2019-06-17 2022-04-21 Tata Steel Ijmuiden Bv Método de tratamento térmico de uma tira de aço laminada a frio
ES2911655T3 (es) 2019-06-17 2022-05-20 Tata Steel Ijmuiden Bv Tratamiento térmico de un fleje de acero laminado en frío
CN110724877B (zh) * 2019-10-30 2021-05-28 鞍钢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用1180MPa级高塑性贝氏体复相钢板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2099A (ja) * 2003-04-14 2004-11-25 Nippon Steel Corp 耐水素脆化、溶接性、穴拡げ性および延性に優れた高強度薄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39395A (ko) * 2008-09-10 2011-04-15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WO2011093319A1 (ja) * 2010-01-26 2011-08-0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高強度冷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168816A (ja) * 2010-02-16 2011-09-01 Nippon Steel Corp 延性及び耐食性に優れた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0529A (en) 1994-03-08 1995-11-28 Sumitomo Metal Industries, Ltd. High tensile strength steel sheet having improved formability
JP4524850B2 (ja) * 2000-04-27 2010-08-1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延性および歪時効硬化特性に優れた高張力冷延鋼板および高張力冷延鋼板の製造方法
US7981224B2 (en) * 2003-12-18 2011-07-19 Nippon Steel Corporation Multi-phase steel sheet excellent in hole expandability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4698968B2 (ja) 2004-03-30 2011-06-0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塗膜密着性と加工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
JP2005325393A (ja) * 2004-05-13 2005-11-24 Jfe Steel Kk 高強度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529549B2 (ja) 2004-06-15 2010-08-2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延性と穴広げ加工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4716359B2 (ja) * 2005-03-30 2011-07-0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均一伸び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889769B2 (ja) 2005-03-31 2007-03-07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塗膜密着性、加工性及び耐水素脆化特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並びに自動車用鋼部品
DE102005051052A1 (de) * 2005-10-25 2007-04-26 Sms Demag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Warmband mit Mehrphasengefüge
KR100990772B1 (ko) 2005-12-28 2010-10-29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초고강도 박강판
JP5114860B2 (ja) 2006-03-30 2013-01-0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溶融亜鉛めっき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CN100510143C (zh) 2006-05-29 2009-07-08 株式会社神户制钢所 延伸凸缘性优异的高强度钢板
JP5223366B2 (ja) 2007-02-08 2013-06-2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成形性および溶接性に優れた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591443B2 (ja) * 2007-05-10 2014-09-17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成形性に優れた高強度溶融亜鉛めっき鋼板
JP4910898B2 (ja) 2007-06-13 2012-04-04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262664B2 (ja) * 2008-12-12 2013-08-14 新日鐵住金株式会社 Cr含有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76409A (ko) 2008-12-26 2010-07-06 주식회사 포스코 고항복비형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5323563B2 (ja) * 2009-03-31 2013-10-23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加工性および形状凍結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
CN101550514B (zh) * 2009-05-15 2011-04-13 东北大学 一种热轧相变诱发塑性钢板及其制备方法
CN101928875A (zh) 2009-06-22 2010-12-29 鞍钢股份有限公司 具有良好成形性能的高强度冷轧钢板及其制备方法
JP5333021B2 (ja) * 2009-08-06 2013-11-06 新日鐵住金株式会社 延性、溶接性及び表面性状に優れた高強度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5589893B2 (ja) * 2010-02-26 2014-09-17 新日鐵住金株式会社 伸びと穴拡げに優れた高強度薄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537394B2 (ja) 2010-03-03 2014-07-0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温間加工性に優れた高強度鋼板
JP5482513B2 (ja) * 2010-06-30 2014-05-07 新日鐵住金株式会社 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447305B2 (ja) 2010-09-02 2014-03-19 新日鐵住金株式会社 鋼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32099A (ja) * 2003-04-14 2004-11-25 Nippon Steel Corp 耐水素脆化、溶接性、穴拡げ性および延性に優れた高強度薄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39395A (ko) * 2008-09-10 2011-04-15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WO2011093319A1 (ja) * 2010-01-26 2011-08-04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高強度冷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168816A (ja) * 2010-02-16 2011-09-01 Nippon Steel Corp 延性及び耐食性に優れた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0576A (ko) * 2016-08-08 2018-12-07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강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59935A1 (en) 2015-03-05
CN104169444A (zh) 2014-11-26
JP6232045B2 (ja) 2017-11-15
ES2746285T3 (es) 2020-03-05
KR102044693B1 (ko) 2019-11-14
ES2746285T5 (es) 2022-12-19
US10227683B2 (en) 2019-03-12
WO2013144373A1 (en) 2013-10-03
JP2015516510A (ja) 2015-06-11
CN104169444B (zh) 201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4693B1 (ko) 고강도 냉연 강판 및 그러한 강판을 생산하는 방법
KR102060522B1 (ko) 고강도 냉연 강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60534B1 (ko) 고강도 냉연 강판 및 그의 제조 방법
EP3707289B1 (en) Cold rolled and heat treated steel shee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JP2022160585A (ja) 冷間圧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EP3559299A1 (en) High-strength cold rolled steel sheet having high formabilit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KR20100046057A (ko)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용융 아연 도금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JP2008156680A (ja) 高降伏比を有する高強度冷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5363922B2 (ja) 伸びと伸びフランジ性のバランス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
KR20200012953A (ko) 저비용 및 고성형성 1180 MPa 등급 냉간 압연 어닐링된 이중상 강판 및 이의 제조 방법
EP3728679B1 (en) Cold rolled and heat treated steel shee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US20190352750A1 (en) High strength cold rolled steel sheet for automotive use
JP4501716B2 (ja) 加工性に優れた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117381B2 (ja) 冷間圧延された被覆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CN113388773A (zh) 1.5GPa级高成形性抗氢脆超高强汽车钢及制备方法
JP5302840B2 (ja) 伸びと伸びフランジ性のバランス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
JP7508469B2 (ja) せん断加工性に優れた超高強度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0151855A1 (en) Cold rolled steel sheet
JP4848722B2 (ja) 加工性に優れた超高強度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2662409B2 (ja) 低温靭性の優れた極厚調質高張力鋼板の製造方法
JP2004323958A (ja) 耐二次加工脆性に優れる高張力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2831292B2 (en) High strength cold rolled steel sheet and method of producing such steel sheet
KR20240019756A (ko) 우수한 전체 성형성 및 굽힘 특성을 갖는 자동차용 고강도 냉간 압연 강판
EP4079901A1 (en) High-strength steel sheet having superior work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090070505A (ko) 드로잉성과 연신율이 우수한 고장력 복합조직형냉간압연강판, 용융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