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9756A - 우수한 전체 성형성 및 굽힘 특성을 갖는 자동차용 고강도 냉간 압연 강판 - Google Patents

우수한 전체 성형성 및 굽힘 특성을 갖는 자동차용 고강도 냉간 압연 강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9756A
KR20240019756A KR1020237036779A KR20237036779A KR20240019756A KR 20240019756 A KR20240019756 A KR 20240019756A KR 1020237036779 A KR1020237036779 A KR 1020237036779A KR 20237036779 A KR20237036779 A KR 20237036779A KR 20240019756 A KR20240019756 A KR 20240019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ngth
steel sheet
rolled steel
cold rolled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6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하엘 슈바르첸브루너
에디프 오체르 아르만
토마스 헤베스베르거
Original Assignee
뵈스트알파인 스탈 게엠베하
도요타 모터 유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뵈스트알파인 스탈 게엠베하, 도요타 모터 유럽 filed Critical 뵈스트알파인 스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40019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975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18Hardening; Quenching with or without subsequent temp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2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5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M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8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Si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26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36Cold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63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following hot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47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heat treatment
    • C21D8/0273Final recrystallisation annea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vana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niobium or tantal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bo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8Martens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원소들(단위: 중량%)로 구성된 조성을 갖는 고강도 냉간 압연 강판에 관한 것이다: C 0.08 내지 0.14, Mn 2.5 내지 3.0, Si 0.7 내지 1.1, Cr 0.05 내지 0.4, 선택적으로 Al ≤ 0.2, Nb ≤ 0.1, Mo ≤ 0.1, V ≤ 0.1, Ti ≤ 0.1, Ca ≤ 0.05, Cu ≤ 0.1, Ni ≤ 0.2, B ≤ 0.005, 불순물을 제외한 Fe 잔부. 강은 항복비 ≤ 0.72 및 굽힘성(Ri/t) ≤ 2.0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강판의 제조 방법 및 강판을 포함하는 자동차 구조 부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우수한 전체 성형성 및 굽힘 특성을 갖는 자동차용 고강도 냉간 압연 강판
본 발명은 자동차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고강도 강판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적어도 980 MPa의 인장 강도를 갖고 우수한 전체 성형성 및 우수한 굽힘 특성을 갖는 냉간 압연 강판에 관한 것이다.
매우 다양한 적용을 위해, 차체 질량 감소는 연료 소비 감소를 야기시키기 때문에, 특히 자동차 산업에서 경량 구조물에 대해 증가된 강도 수준은 전제 조건이다.
자동차 차체 부품은 종종 강판에서 스탬핑되어 얇은 판의 복잡한 구조 부재를 형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부품은 복잡한 구조 부품에 대한 성형성이 너무 낮기 때문에, 통상적인 고강도 강으로부터 제조할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다상 변형 유도 가소성 보조 강(multi phase Transformation Induced Plasticity aided steel)(TRIP 강)은 특히 자동차 차체 구조 부품에 사용하기 위해 지난 몇 년 동안 상당한 관심을 받았다.
TRIP 강은 TRIP 효과를 생성할 수 있는 준-안정성 잔류 오스테나이트 상을 포함하는 다상 미세구조를 갖는다. 강이 변형될 때, 오스테나이트는 마르텐사이트로 변태되어 현저한 가공 경화를 야기시킨다. 이러한 경화 효과는 재료의 넥킹(necking)에 저항하고 판 형성 작업에서 실패를 지연시키는 작용을 한다. TRIP 강의 미세구조는 이의 기계적 특성을 크게 변경할 수 있다.
WO2018/09090 A1호에는 우수한 에지 크래킹(edge cracking)에 대한 내성 및 높은 정공 팽창비와 함께 높은 항복비(국부 성형성)를 갖는 고강도 TBF 강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강은 몇 가지 매력적인 특성을 개시하지만, 전체 성형성 및 굽힘 특성과 관련하여 개선된 특성 프로파일을 갖는 980 MPa 강판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의 B-필러 힌지(B-pillar hinge), 루프 레일(roof rail), 도어 패널(door panel) 또는 유사한 부품은 이러한 재료를 사용할 것이다.
본 발명은 980 내지 1180 MPa의 인장 강도 및 우수한 전체 성형성 및 우수한 굽힘 특성을 갖는 고강도 (TBF) 강판에 관한 것이다. 또한, 연속 어닐링 라인(Continuous Annealing Line)(CAL)에서 산업 규모로 강판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 본 발명은 전체 성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항복비 및 굽힘성 둘 모두가 중요한, 복잡한 구조 부재로 가공될 수 있는 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자동차의 B-필러 힌지, 루프 레일, 도어 패널 또는 유사한 부품에 특히 적합하다.
도 1은 굽힘성 Ri/t가 항복비에 대해 플롯팅된 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다.
강판은 하기 합금 원소들(단위: 중량%)로 구성되는 조성을 가지고:
C 0.08 내지 0.14
Mn 2.5 내지 3.0
Si 0.7 내지 1.1
Cr 0.05 내지 0.4
선택적으로
Al ≤ 0.2
Nb ≤ 0.1
Mo ≤ 0.1
V ≤ 0.1
Ti ≤ 0.1
Ca ≤ 0.05
Cu ≤ 0.1
Ni ≤ 0.2
B ≤ 0.005
잔부는 철 및 불순물로 구성된다.
청구된 합금의 화학적 성분의 한계 뿐만 아니라 개별 원소의 중요성 및 서로 간의 이들의 상호작용은 하기에서 간략히 설명된다. 강의 화학 조성에 대한 모든 백분율은 명세서 전반에 걸쳐 중량%(wt%)로 제공된다. 경질 상의 양은 부피%(vol.%)로 제공된다. 개별 원소의 상한 및 하한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한계 내에서 자유롭게 조합될 수 있다. 수치 값의 산술 정밀도는 본 출원에 제공된 모든 값에 대해 1 또는 2 자리수(digit)만큼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0.1%로 주어진 값은 또한 0.10 또는 0.100%로 표현될 수 있다.
C: 0.08 내지 0.14%
C는 오스테나이트를 안정화시키고 잔류 오스테나이트 상 내에 충분한 탄소를 얻는 데 중요하다. C는 또한 원하는 강도 수준을 얻는 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0.1 %C 당 대략 100 MPa의 인장 강도의 증가가 예상될 수 있다. C가 0.08% 미만인 경우, 980 MPa의 인장 강도를 달성하기 어렵다. C가 0.14%를 초과하면, 용접성이 손상된다. 상한은 0.13 또는 0.12%일 수 있다. 하한은 0.09, 또는 0.10%일 수 있다. 바람직한 범위는 0.09 내지 0.12%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 당량 CEL(=C+Si/50+Mn/25+P/2+Cr/25)은 0.20 내지 0.30의 범위여야 한다.
Mn: 2.5 내지 3.0%
망간은 고용 강화 원소로서, Ms 온도를 낮추어 오스테나이트를 안정화시키고 냉각 동안 페라이트 및 펄라이트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Mn은 Ac3 온도를 낮추고 오스테나이트 안정성에 중요하다. 2.5% 미만의 함량에서, 요망되는 양의 잔류 오스테나이트를 얻는 것이 어려울 수 있고, 980 MPa의 인장 강도 및 오스테나이트화 온도는 통상적인 산업 어닐링 라인에 대해 너무 높을 수 있다. 또한, 더 낮은 함량에서, 폴리고날 페라이트(polygonal ferrite)의 형성을 피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Mn의 양이 3.0% 초과인 경우, Mn이 액체 상에 축적되어 굽힘을 일으켜 잠재적으로 작업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분리(segregation)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한은 3.0, 2.9, 2.8 또는 2.7%일 수 있다. 하한은 2.5, 또는 2.6%일 수 있다.
Si: 0.7 내지 1.1%
Si는 고용 강화 원소로서 작용하고, 얇은 강판의 강도를 확보하는 데 중요하다. Si는 시멘타이트 석출을 억제하고 오스테나이트 안정화에 필수적이다. 그러나, 함량이 너무 높으면, 스트립 표면에 너무 많은 산화규소가 형성될 것이고, 이는 CAL에서 롤 상의 클래딩(cladding) 및 후속하여 제조되는 강판의 표면 결함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상한은 1.1%이고, 1.05, 1.0 또는 0.95%로 제한될 수 있다. 하한은 0.75 또는 0.80%일 수 있다. 바람직한 범위는 0.7 내지 1.0%이다.
Cr: 0.05 내지 0.4%
Cr은 강판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Cr은 페라이트를 형성하고 펄라이트 및 베이나이트의 형성을 지연시키는 원소이다. Ac3 온도 및 Ms 온도는 Cr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단지 약간 낮아진다. Cr은 안정화된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양을 증가시킨다. Cr의 양은 0.4%로 제한된다. 상한은 0.35, 0.30 또는 0.25%일 수 있다. 하한은 0.10, 또는 0.15%일 수 있다. 바람직한 범위는 0.1 내지 0.3%이다.
Al: ≤ 0.2%
Al은 페라이트 형성을 촉진하고 또한 일반적으로 탈산제(deoxidizer)로 사용된다. Ms 온도는 Al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Al의 추가 결점은 이것이 Ac3 온도의 급격한 증가를 초래하여 CAL에서 강을 오스테나이트화시키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든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Al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0.2%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0.06% 미만으로 제한된다.
Nb: ≤ 0.1%
Nb는 결정립 크기에 대한 이의 영향으로 인해 강도 및 인성을 개선하기 위해 저합금 강(low alloyed steel)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Nb는 NbC의 석출로 인해 매트릭스 미세구조 및 잔류 오스테나이트 상을 미세화함으로써 강도 신도 균형을 증가시킨다. 강은 ≤ 0.1%의 양으로 Nb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Nb의 의도적인 첨가는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상한은 ≤ 0.03%로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한은 0.01, 또는 0.005%로 제한될 수 있다.
Mo: ≤ 0.1%
몰리브덴은 강도를 개선시키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이는 탄화물 조대화 동역학을 감소시킴으로써 NbC 석출물의 이점을 추가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Mo의 의도적인 첨가는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상한은 ≤ 0.03%로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한은 0.02, 또는 0.01%로 제한될 수 있다.
V: ≤ 0.1%
V의 기능은 석출 경화 및 결정립 미세화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Nb의 기능과 유사하다. 강은 ≤ 0.1%의 양으로 V를 함유할 수 있다. 상한은 0.09, 0.07, 0.05, 0.03, 또는 0.01%로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V의 의도적인 첨가는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상한은 ≤ 0.01%로 제한될 수 있다.
Ti: ≤ 0.1%
Ti는 탄화물, 질화물 또는 탄질화물을 형성함으로써 결정립 크기에 대한 이의 영향으로 인해, 강도 및 인성을 개선하기 위해 저합금 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특히, Ti는 강한 질화물 형성제이고, 강에서 질소를 결합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효과는 0.1% 초과로 포화되는 경향이 있다. 상한은 0.09, 0.07, 0.05, 0.03, 또는 0.01%로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Ti의 의도적인 첨가는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상한은 ≤ 0.005%로 제한될 수 있다.
Ca: ≤ 0.05%
Ca는 비금속 개재물(non-metallic inclusion)의 개질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한은 0.05%이고, 0.04, 0.03, 0.01%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Ca의 의도적인 첨가는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상한은 ≤ 0.004%로 제한될 수 있다.
Cu: ≤ 0.1%
Cu는 사용된 스크랩의 신중한 선택에 의해 ≤ 0.1%로 제한되는 바람직하지 않은 불순물 원소이다. 상한은 ≤ 0.06%로 제한될 수 있다.
Ni: ≤ 0.2%
Ni는 사용된 스크랩의 신중한 선택에 의해 ≤ 0.2%로 제한되는 바람직하지 않은 불순물 원소이다. 상한은 ≤ 0.08%로 제한될 수 있다.
B: ≤ 0.005%
B는 사용된 스크랩의 신중한 선택에 의해 ≤ 0.005%로 제한되는 바람직하지 않은 불순물 원소이다. B는 경도를 증가시키지만 굽힘성을 감소시킬 수 있고, 따라서 본 제안된 강에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B는 추가로 스크랩 재활용을 더욱 어렵게 할 수 있고, B의 첨가는 또한 작업성을 악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B의 의도적인 첨가는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상한은 ≤ 0.0006%로 제한될 수 있다.
다른 불순물 원소는 정상 발생량으로 강에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P, S, As, Zr, Sn의 양을 하기 선택적인 최대 함량으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 ≤ 0.02%
S ≤ 0.005%
As ≤ 0.010%
Zr ≤ 0.005%
Sn ≤ 0.015%
질소 함량을 하기 범위로 제어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N: ≤ 0.015 %, 바람직하게는 0.003 내지 0.008%
이러한 범위에서 질소의 안정적인 고정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산소 및 수소는
O: ≤ 0.0003
H: ≤ 0.0020
로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강도 TRIP-보조 베이나이트 페라이트(TBF) 강판은 매트릭스에 임베딩된 잔류 오스테나이트 개재물로 주로 구성된 미세조직을 갖는다.
미세구조 구성요소는 하기에서 부피%(vol.%)로 표시된다.
강은 베이나이트 페라이트(BF)의 매트릭스를 포함한다. 따라서, 베이나이트 페라이트의 양은 일반적으로 ≥ 50%이다. 미세구조는 또한 템퍼드 마르텐사이트(tempered martensite)(TM)를 함유할 수 있다. 구성요소 BF 및 TM은 서로 구별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두 구성요소 모두의 총 함량은 70 내지 90%로 제한될 수 있다. 양은 일반적으로 75 내지 85%의 범위이다.
마르텐사이트는 최종 미세구조에 존재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이의 안정성에 따라, 일부 오스테나이트가 과시효 단계(overaging step)의 말미에 냉각 동안 마르텐사이트로 변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마르텐사이트는 ≤ 15%, 바람직하게는 ≤ 10%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양은 일반적으로 5 내지 10%의 범위이다. 이러한 비-템퍼드 마르텐사이트 입자는 종종 잔류 오스테나이트 입자와 밀접하게 접촉하고, 따라서 이들은 종종 마르텐사이트-오스테나이트(MA) 입자로 지칭된다.
잔류 오스테나이트는 원하는 TRIP 효과를 얻기 위한 전제 조건이다. 따라서,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양은 2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의 범위여야 한다. 잔류 오스테나이트의 양은 문헌[Proc. Int. Conf. on TRIP-aided high strength ferrous alloys (2002), Ghent, Belgium, p.61-64]에 상세히 기재된 포화 자화 방법에 의해 측정되었다.
폴리고날 페라이트(PF)는 요망되는 미세구조 성분이 아니고, 따라서 ≤ 10%, 바람직하게는 ≤ 5%, ≤ 3% 또는 ≤ 1%로 제한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강에는 PF가 존재하지 않는다.
청구된 강의 기계적 특성은 중요하며, 하기 요건들 중 적어도 하나가 충족되어야 한다:
인장 강도(Rm) 980 내지 1180 MPa
항복 강도(Rp0.2) 580 내지 750 MPa
총 신도(A50) ≥ 11%
항복비(Rp0.2/Rm) ≤ 0.72
굽힘성(Ri/t) ≤ 2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모든 요건들이 동시에 충족된다.
인장 강도(Rm)의 상한은 1160, 1140, 1120, 또는 1100 MPa로 추가로 제한될 수 있다. 하한은 990 또는 1000 MPa로 추가로 제한될 수 있다.
항복 강도(Rp0.2)의 상한은 740, 730, 720, 710, 700, 890, 680, 670, 또는 660 MPa로 추가로 제한될 수 있다. 바람직한 간격은 580 내지 700 MPa이다.
항복비(Rp0.2/Rm)의 상한은 0.71, 0.70, 0.69, 0.68, 0.67, 0.66, 또는 0.65로 추가로 제한될 수 있다. 하한은 0.50, 0.51, 0.52, 0.53, 0.54, 0.55, 0.56, 0.57 또는 0.58일 수 있다.
Rm, Rp0.2 값 뿐만 아니라 총 신도(A50)는 일본 산업 표준 JIS Z 2241: 2011에 따라 도출되며, 여기서 샘플은 스트립의 횡방향으로 얻어진다.
굽힘성 Ri/t의 상한은 1.9, 1.8, 1.7, 1.6 또는 1.5로 추가로 제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Ri/t ≤ 1.7, 더욱 바람직하게는 ≤ 1.5이다. Ri/t의 하한은 0.5, 0.6, 0.7, 0.8, 0.9, 또는 1.0일 수 있다.
굽힘성은 균열의 발생이 없는 최소 굽힘 반경으로 정의되는 한계 굽힘 반경(Ri)과 판 두께(t)의 비에 의해 평가된다. 이를 위해, JIS Z2248에 따라 강판을 구부리기 위해 90°V-형상 블록이 사용된다. 샘플 크기는 35 × 100 mm이다. 굽힘 값 Ri/t는 한계 굽힘 반경(mm)을 두께(mm)로 나눔으로써 얻어진다.
본 발명의 강판의 기계적 특성은 주로 합금 조성 및 미세조직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미세구조는 CAL에서의 열처리에 의해, 특히 과시효 단계에서 등온 처리 온도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제안된 강은 상기 제안된 조성으로 전로 용융(converter melting)에 의한 통상적인 야금 및 이차 야금의 강 슬래브를 제조함으로써 생산될 수 있다. 슬래브는 오스테나이트 범위에서 열간 압연 스트립으로 열간 압연된다. 바람직하게는, 슬래브를 1000℃ 내지 1280℃의 온도로 재가열함으로써, 열간 압연 마무리 온도가 850℃ 이상인 오스테나이트 범위에서 슬래브를 완전히 압연하여 열간 압연 강 스트립을 얻는다. 그 후, 열간 압연 스트립은 500 내지 650℃ 범위의 코일링 온도에서 코일링된다. 선택적으로, 코일형 스트립을 산세척(pickling)과 같은 스케일 제거 공정으로 처리한다. 코일형 스트립은 이후 500 내지 650℃, 바람직하게는 550 내지 650℃ 범위의 온도에서 5 내지 30h의 기간 동안 배치 어닐링된다. 그 후, 어닐링된 강 스트립을 35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대략 40 내지 60%의 감소율로 냉간 압연한다. 연속 어닐링 라인(CAL)에서 냉간 압연 강 스트립을 추가로 처리한다.
CAL에서 어닐링 사이클은 800 내지 890℃, 바람직하게는 840 내지 860℃의 온도로의 가열, 80 내지 180초,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40초 동안의 소킹(soaking), 5 내지 15℃/s의 속도로 700 내지 750℃의 온도까지 저속 가스 제트 냉각, 20 내지 60℃/s,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s의 속도로 405 내지 460℃의 과시효 온도까지 급속 가스 냉각, 150 내지 1000초 동안 유지, 이후 실온까지 냉각을 포함한다. 과시효 온도는 450, 440, 430 또는 420℃로 상향 제한될 수 있다. 하한은 405, 406, 407, 408, 409, 또는 410℃일 수 있다. 과시효 온도에 대한 바람직한 범위는 405 내지 420℃이다.
실시예
강 I1 내지 I3, 및 참조 강 R1 내지 R3을 전로 용융에 의한 통상적인 야금 및 이차 야금에 의해 제조하였다. 조성은 표 1에 나타나 있으며, 추가의 원소들은 불순물로서만 존재하였고, 본 명세서에 명시된 최저 수준 미만이었다.
표 1은 조사된 강판의 조성을 개시한다.
표 1. 조사된 강판의 조성
강 합금의 슬래브를 연속 주조기에서 제조하였다. 슬래브를 재가열하고 표 2에 제시된 두께로 열간 압연하였다. 열간 압연 마무리 온도는 약 900℃이었으며, 코일링 온도는 약 550℃였다. 열간 압연 스트립의 인장 강도를 감소시켜 냉간 압연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열간 압연 스트립을 산세척하고 약 620 내지 625℃에서 10시간의 시간 동안 배치 어닐링하였다. 이후 스트립을 5개의 스탠드 냉간 압연 밀에서 약 1.4 mm(I1, I3, R1, R2) 또는 1 mm(I2, R3)의 최종 두께로 냉간 압연하고, 최종적으로 연속 어닐링을 수행하였다.
표 2는 열간 및 냉간 압연 파라미터를 개시한다. 배치 어닐링을 약 10h 동안 열간 압연 단계와 냉간 압연 단계 사이에서 수행하였다.
표 2. 열간 및 냉간 압연 파라미터
어닐링 사이클은 약 850℃의 온도로 가열, 약 120초 동안 소킹, 약 10℃/s의 속도로 약 720℃의 온도까지 저속 가스 제트 냉각,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약 40℃/s의 속도로 405℃ 초과의 과시효 온도까지, 및 본 발명이 아닌 실시예의 경우 약 390℃ 내지 395℃까지 급속 가스 냉각, 과시효 온도에서의 등온 유지 및 주위 온도까지 최종 냉각으로 구성되었다.
CAL에서의 처리의 세부사항은 표 3에 제공된다. 상이한 과시효 온도는 표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강의 항복 강도 및 굽힘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표 3. CAL에서의 처리 파라미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재료는 표 4에 제시된 바와 같이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모든 강은 980 내지 1180 MPa 범위의 인장 강도를 갖는다. 총 신도는 모든 강에 대해 11% 초과였다.
본 발명의 강 I1 내지 I3은 750 MPa 미만의 항복 강도를 갖는다. 특히, 모든 본 발명의 실시예는 0.72 미만의 항복비와 함께 2.0 미만의 굽힘성(Ri/t)을 개시한다는 것이 주목될 수 있다. 가장 높은 Ri/t는 1.5이었고, 가장 높은 항복비는 0.64였다. 참조 강 R1 내지 R3은 항복 강도, 및 굽힘성과 조합된 항복비의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한다.
도 1은 굽힘성 Ri/t가 항복비에 대해 플롯팅된 다이어그램이다. 실시예 I1 내지 I3은 "보호 영역"으로 표시된 청구항 1의 청구된 경계 내에 있는 반면, 참조예 R1 내지 R3은 이의 외부에 있다.
표 4. 기계적 특성
Rm 및 Rp0.2 값은 유럽 표준 EN 10002 파트 1에 따라 도출되며, 여기서 샘플은 스트립의 길이 방향으로 얻었다. 신도(A50)는 스트립의 횡방향으로 얻어진 샘플에 대해 일본 산업 표준 JIS Z 2241: 2011에 따라 도출된다.
Ri/t를 JIS Z2248에 따라 V 굽힘 시험에서 결정하였다. 제조된 스트립의 샘플(35 × 100 mm)을 V 굽힘 시험에 적용하여 한계 굽힘 반경(Ri)을 알아내었다. 균열의 발생을 조사하기 위해 샘플을 눈으로 및 25배 배율의 광학 현미경 둘 모두로 조사하였다. Ri/t를, 한계 굽힘 반경(Ri)을 냉간 압연 스트립의 두께(t)로 나눔으로써 결정하였다. Ri는 3회 굽힘 시험 후 재료가 균열을 나타내지 않는 가장 큰 반경이다.
본 발명의 재료는 자동차의 고강도 구조 부품에 널리 적용될 수 있다. 고강도 강판은 높은 수요의 전체 성형성 및 굽힘성을 갖는 부품의 제조에 특히 매우 적합하다. 이는 자동차의 B-필러 힌지, 루프 레일 또는 도어 패널에 특히 적합하다.

Claims (10)

  1. 고강도 냉간 압연 강판으로서,
    a) 하기 원소들로 구성된 조성(단위: 중량%):
    C 0.08 내지 0.14
    Mn 2.5 내지 3.0
    Si 0.7 내지 1.1
    Cr 0.05 내지 0.4
    선택적으로
    Al ≤ 0.2
    Nb ≤ 0.1
    Mo ≤ 0.1
    V ≤ 0.1
    Ti ≤ 0.1
    Ca ≤ 0.05
    Cu ≤ 0.1
    Ni ≤ 0.2
    B ≤ 0.005
    불순물을 제외한 Fe 잔부,
    b) 하기를 포함하는 다상 미세구조(단위: 부피%):
    잔류 오스테나이트 2 내지 20
    마르텐사이트 ≤ 15
    베이나이트 페라이트
    및 템퍼드 마르텐사이트 50 내지 90
    폴리고날 페라이트 ≤ 10,
    c) 인장 강도(Rm) 980 내지 1180 MPa
    항복 강도(Rp0.2) 580 내지 750 MPa
    항복비(Rp0.2/Rm) ≤ 0.72
    d) 35 × 100 mm의 크기를 갖는 샘플에 대한 값 Ri/t ≤ 2.0의 90°V 굽힘 시험에 따른 굽힘성(bendability)(여기서, Ri는 mm 단위의 굽힘 반경이며, t는 강판의 mm 단위의 두께임)
    을 갖는 고강도 냉간 압연 강판.
  2. 제1항에 있어서, 미세구조가 하기 요건들(부피%) 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모든 요건들을 충족시키는, 고강도 냉간 압연 강판:
    잔류 오스테나이트 5 내지 15
    마르텐사이트 5 내지 10
    베이나이트 페라이트 및 템퍼드 마르텐사이트 70 내지 90
    폴리고날 페라이트 (polygonal ferrite) ≤ 5.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조성이 하기(중량%)를 충족시키는, 고강도 냉간 압연 강판:
    C 0.09 내지 0.12
    Mn 2.5 내지 2.9
    Si 0.7 내지 1.0
    Cr 0.1 내지 0.3
    Al 0.005 내지 0.1
    선택적으로
    Nb ≤ 0.1
    Mo ≤ 0.1
    V ≤ 0.1
    Ti ≤ 0.1
    Ca ≤ 0.05
    Cu ≤ 0.1
    Ni ≤ 0.2
    B ≤ 0.005
    불순물을 제외한 Fe 잔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계적 특성이 하기 요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시키는, 고강도 냉간 압연 강판:
    인장 강도(Rm) 1000 내지 1100 MPa
    항복 강도(Rp0.2) 580 내지 700 MPa
    총 신도(A50) ≥ 11%
    항복비(Rp0.2/Rm) 0.50 내지 0.70
    굽힘성(Ri/t) ≤ 1.7.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계적 특성이 하기 요건들을 충족시키는, 고강도 냉간 압연 강판:
    인장 강도(Rm) 1000 내지 1100 MPa
    항복 강도(Rp0.2) 580 내지 700 MPa
    총 신도(A50) ≥ 11%
    항복비(Rp0.2/Rm) 0.50 내지 0.70
    굽힘성(Ri/t) ≤ 1.5.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냉간 압연 판의 두께가 0.9 내지 1.6 mm인, 고강도 냉간 압연 강판.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Nb, Mo, V, Ti 및 Ca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원소들 중 적어도 하나가 단지 불순물로서만 존재하며, 바람직하게는 Nb, Mo, V, Ti 및 Ca의 군의 모든 원소들이 단지 불순물로서만 존재하는, 고강도 냉간 압연 강판.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냉간 압연 강 스트립 또는 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을 갖는 강 슬래브(steel slab)를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슬래브를 오스테나이트 범위에서 열간 압연 스트립으로 열간 압연하는 단계;
    c) 500 내지 650℃ 범위의 코일링 온도에서 상기 열간 압연 스트립을 코일링하는 단계;
    d) 선택적으로, 상기 코일링된 강 스트립에 대해 스케일 제거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e) 500 내지 650℃ 범위의 온도에서 5 내지 30h의 기간 동안 배치 어닐링하는 단계;
    f) 35 내지 90%의 감소율로 상기 어닐링된 강 스트립을 냉간 압연하는 단계;
    g) 연속 어닐링 라인에서 상기 스트립을 800℃ 내지 890℃의 온도로 가열하고 80 내지 180초 동안 소킹시키는 단계;
    h) 상기 스트립을 5 내지 15℃/s의 속도로 700 내지 750℃의 온도까지 서서히 냉각시킨 후, 상기 스트립을 20 내지 60℃/s의 속도로 405 내지 460℃의 과시효 온도(overaging temperature)까지 급속으로 냉각시키고, 150 내지 1000s 동안 유지시키는 단계;
    i) 실온까지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고강도 냉간 압연 강 재료를 포함하는, 자동차 구조 부품.
  10. 제9항에 있어서, 구조 부품이 자동차의 B-필러 힌지, 루프 레일, 또는 도어 패널인, 자동차 구조 부품.
KR1020237036779A 2021-04-07 2022-04-05 우수한 전체 성형성 및 굽힘 특성을 갖는 자동차용 고강도 냉간 압연 강판 KR202400197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21504311 2021-04-07
SE2150431A SE544819C2 (en) 2021-04-07 2021-04-07 High strength cold rolled steel sheet for automotive use having excellent global formability and bending property
PCT/EP2022/059016 WO2022214488A1 (en) 2021-04-07 2022-04-05 High strength cold rolled steel sheet for automotive use having excellent global formability and bending proper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9756A true KR20240019756A (ko) 2024-02-14

Family

ID=81308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6779A KR20240019756A (ko) 2021-04-07 2022-04-05 우수한 전체 성형성 및 굽힘 특성을 갖는 자동차용 고강도 냉간 압연 강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40167137A1 (ko)
EP (1) EP4320281A1 (ko)
JP (1) JP2024513104A (ko)
KR (1) KR20240019756A (ko)
CN (1) CN117480271A (ko)
SE (1) SE544819C2 (ko)
WO (1) WO2022214488A1 (ko)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77743A (ja) * 1990-03-27 1991-12-09 Kawasaki Steel Corp 超高張力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法
KR20130027793A (ko) * 2011-09-08 2013-03-18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연성이 우수한 인장강도 1180MPa급 초고강도 냉연강판, 용융도금강판 및 그 제조 방법
EP2831296B2 (en) * 2012-03-30 2020-04-15 Voestalpine Stahl GmbH High strength cold rolled steel sheet and method of producing such steel sheet
KR20160001485A (ko) * 2014-06-27 2016-01-06 현대제철 주식회사 냉연강판 및 그 제조 방법
WO2018009090A1 (ru) 2016-07-07 2018-01-11 Артем Ромаевич ОГАНОВ Компьютерно реализуемый способ поиска кристаллических структур
MX2019001148A (es) * 2016-08-10 2019-06-10 Jfe Steel Corp Lamina de acero de alta resistencia y metodo para su fabricacion.
SE1651545A1 (en) * 2016-11-25 2018-03-06 High strength cold rolled steel sheet for automotive use
SE1950072A1 (en) * 2019-01-22 2020-07-21 Voestalpine Stahl Gmbh Cold rolled steel sheet
JP2022520485A (ja) * 2019-02-18 2022-03-30 タタ、スティール、アイモイデン、ベスローテン、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機械的特性が改善された高強度鋼
EP3754034B1 (en) * 2019-06-17 2022-03-02 Tata Steel IJmuiden B.V. Heat treatment of cold rolled steel strip
EP3754035B1 (en) * 2019-06-17 2022-03-02 Tata Steel IJmuiden B.V. Method of heat treating a cold rolled steel stri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14488A1 (en) 2022-10-13
CN117480271A (zh) 2024-01-30
US20240167137A1 (en) 2024-05-23
SE544819C2 (en) 2022-12-06
EP4320281A1 (en) 2024-02-14
JP2024513104A (ja) 2024-03-21
SE2150431A1 (en) 2022-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11553B2 (en) High-strength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EP2157203B1 (en) High-strength steel sheet superior in formability
US8430975B2 (en) High strength galvanized steel sheet with excellent formability
EP1870483B1 (en) Hot-rolled steel sheet,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and workedd article formed therefrom
EP3653736B1 (en) Hot-rolled steel strip and manufacturing method
KR20080038202A (ko) 연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 시트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시트
JP4362318B2 (ja) 耐遅れ破壊特性に優れた高強度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90352750A1 (en) High strength cold rolled steel sheet for automotive use
CN110621794B (zh) 具有优异延展性和可拉伸翻边性的高强度钢片
CN113316649A (zh) 高强度高延展性的复相的冷轧钢带或板
JP6037087B1 (ja) 高強度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247908B2 (ja) 延性と耐遅れ破壊特性に優れた高強度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3348255A (zh) 冷轧钢板
EP3686293B1 (en) A high strength high ductility complex phase cold rolled steel strip or sheet
WO2021172297A1 (ja) 鋼板、部材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US20240167137A1 (en) High strength cold rolled steel sheet for automotive use having excellent global formability and bending property
SE542818C2 (en) A high strength high ductility complex phase cold rolled steel strip or sheet
US20240132989A1 (en) Coiling temperature influenced cold rolled strip or steel
KR20230129244A (ko) 개선된 아연 접착력을 갖는 아연 또는 아연-합금 코팅된스트립 또는 강
WO2023001835A1 (en) High strength cold rolled steel strip sheet for automotive use having good withstandability to retained austentite decomposition
KR20230129177A (ko) 코일링 온도에 영향을 받는 냉간 압연 스트립 또는강
JP2004211200A (ja) プレス成形性に優れた高強度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283911A (ja) 加工性に優れた高強度ステンレス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