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9399A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9399A
KR20140139399A KR1020130162089A KR20130162089A KR20140139399A KR 20140139399 A KR20140139399 A KR 20140139399A KR 1020130162089 A KR1020130162089 A KR 1020130162089A KR 20130162089 A KR20130162089 A KR 20130162089A KR 20140139399 A KR20140139399 A KR 20140139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am
reflector
holder
belt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2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2414B1 (ko
Inventor
박찬영
이창욱
홍승기
서영수
유수형
홍관우
경용수
이제원
강대욱
강정훈
김성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2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2414B1/ko
Priority to US14/282,723 priority patent/US9565988B2/en
Priority to EP16190492.5A priority patent/EP3132733B1/en
Priority to CN201810344664.8A priority patent/CN108464797B/zh
Priority to EP14170050.0A priority patent/EP2807970B1/en
Priority to CN201410227757.4A priority patent/CN104173010B/zh
Publication of KR20140139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9399A/ko
Priority to US15/390,031 priority patent/US10045680B2/en
Priority to US16/058,184 priority patent/US1050691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movably-mounted spraying devices
    • A47L15/22Rotary spra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47L15/4282Arrangements to change or modify spray pattern or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rigidly-mounted spra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6Devices for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different phases of cleaning ; Controlling device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식기 세척기는 세척조의 일 측벽에 고정되는 분사 유닛과, 분사 유닛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를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고 분사 유닛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 방향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하는 반사판 어셈블리를 갖는다. 또한, 반사판 어셈블리를 구동하는 구동 장치와, 구동 장치의 구동력을 반사판 어셈블리에 전달하는 캠 유닛을 갖는다. 구동 장치는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와, 폐곡선을 형성하고 모터에 의해 순환 운동하는 벨트를 포함하고, 캠 유닛은 벨트에 맞물려 벨트의 동력을 반사판 어셈블리에 전달한다. 캠 유닛은 벨트의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에 교대로 맞물려서 반사판 어셈블리가 왕복 운동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DISH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척조의 내부에서 선형 왕복 운동하며 세척수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반사판을 갖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 세척기는 내부에 세척조가 마련되는 본체와, 식기를 수납하는 바스켓과, 세척수를 포집하고 저장하는 섬프와, 세척수를 펌핑하는 세척 펌프와,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유닛과, 세척 펌프와 분사 유닛을 연결하는 연결 유로를 구비하고, 식기에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여 식기를 세척하는 가전 기기이다.
여기서, 분사 유닛은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일례로 분사 유닛은 세척조 내부에서 회전하도록 마련되거나 세척조 내부에서 선형 왕복 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분사 유닛 자체는 세척조 내부의 일 지점에 고정되어 대략 수평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고, 분사 유닛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를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이 선형 왕복 운동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반사판이 이동 경로의 종점에 도달하면 별도의 제어 없이도 스스로 방향 전환하는 식기 세척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반사판의 이동 경로에 식기가 위치되어 반사판과 식기가 간섭하는 경우에 식기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는 식기 세척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반사판을 구동시키는 모터로 정역방향 회전 모터뿐만 아니라 단방향 회전 모터를 사용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반사판의 구동 시에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이 저감된 구동 장치를 갖는 식기 세척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식기 세척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의 내부에 마련되고 식기를 수납하는 바스켓;과, 상기 세척조에 고정되고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유닛;과, 상기 분사 유닛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를 상기 바스켓에 수납된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고,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하는 반사판 어셈블리;과, 상기 반사판 어셈블리를 구동시키도록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순환 운동하고, 일 방향으로 진행하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 1 부분과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는 제 2 부분을 갖는 벨트; 및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 중 어느 하나에 맞물려서 상기 벨트의 동력을 상기 반사판 어셈블리에 전달하고, 상기 반사판 어셈블리에 이동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소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반사판 어셈블리의 이동 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전환시키도록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 중 다른 하나에 맞물리는 캠 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캠 유닛은, 제 1 경사면과, 상기 벨트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치형을 갖고,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 1 캠;과, 상기 제 1 경사면과 상호 작용하는 제 2 경사면을 갖고,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 2 캠; 및 상기 제 2 캠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사판 어셈블리는 상기 제 2 캠의 회전 운동을 구속하도록 돌출되는 구속 돌기 또는 구속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캠과 상기 제 2 캠은 각각 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판 어셈블리는 상기 제 1 캠의 삽입홀과 상기 제 2 캠의 삽입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캠과 상기 제 2 캠을 지지하는 지지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캠의 치형은 상기 제 1 캠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부 구간에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는 정역방향 회전 모터이거나 또는 단방향 회전 모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식기 세척기는 상기 반사판 어셈블리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세척조의 양 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스토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기 세척기는 상기 반사판 어셈블리의 운동을 안내하고, 내부 통로를 갖는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사판 어셈블리는, 세척수를 반사시키는 경사면을 갖는 반사판;과, 상기 반사판이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의 외측에 마련되는 반사판 홀더; 및 상기 캠 유닛이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의 내부 통로에 마련되는 벨트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내부 통로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개구를 포함하고, 반사판 홀더와 상기 벨트 홀더는 상기 개구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벨트 홀더는, 상부 바디;와, 상기 상부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바디와의 사이에 상기 캠 유닛이 배치되는 하부 바디; 및 상기 가이드 레일에 지지되는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식기 세척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의 내부에 마련되고 식기를 수납하는 바스켓;과, 상기 세척조에 고정되고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유닛;와, 상기 분사 유닛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를 상기 바스켓에 수납된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고,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하는 반사판 어셈블리;과, 상기 반사판 어셈블리의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반사판 어셈블리를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로서, 상기 반사판 어셈블리의 구동 중에 상기 반사판 어셈블리에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소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반사판 어셈블리의 이동 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구동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 장치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연결되는 구동 풀리;와, 상기 구동 풀리에 연결되는 종동 풀리;와, 상기 구동 풀리와 상기 종동 풀리를 연결하고, 상기 구동 풀리와 상기 종동 풀리의 사이에서 순환 운동하는 벨트;와, 상기 벨트에 맞물리는 치형을 갖는 제 1 캠;과, 상기 제 1 캠에 상호 작용하는 제 2 캠; 및 상기 제 2 캠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캠은 상기 벨트가 형성하는 폐곡선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벨트의 치형에 맞물릴 수 있다.
또한, 상기 벨트는 상기 구동 풀리 측에서 상기 종동 풀리 측으로 진행하는 제 1 부분과, 상기 종동 풀리 측에서 상기 구동 풀리 측으로 진행하는 제 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캠은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에 교대로 맞물릴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는 정역방향 회전 모터이거나 또는 단방향 회전 모터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식기 세척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의 내부에 마련되고 식기를 수납하는 바스켓;과, 상기 세척조에 고정되고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유닛;과, 상기 분사 유닛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를 상기 바스켓에 수납된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 및 상기 반사판을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장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벨트;와, 상기 벨트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벨트 홀더;와, 상기 벨트 홀더의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벨트 홀더와 상기 반사판을 연결시키는 반사판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벨트 홀더는 상기 벨트에 결합되는 벨트 홀더 바디부와, 상기 가이드 레일에 지지되도록 상기 벨트 홀더 바디부에서 돌출되는 탄성 레그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 레그들은 탄성 변형되는 곡면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레그들은 상기 벨트 홀더 바디부에 최대로 근접되고 탄성력이 최대로 축적되는 압축 형상과, 상기 벨트 홀더 바디부에서 최대로 이격되고 탄성력이 최소가 되는 이완 형상의 사이에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레그들은 상기 벨트 홀더 바디부에 접하는 접합 단부와, 상기 벨트 홀더 바디부에서 이격되는 이격 단부와, 상기 접합 단부와 상기 이격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격 단부는 상기 접합 단부 보다 상기 벨트 홀더의 길이 방향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벨트 홀더의 길이 방향 일 측을 전방부라고 하고, 길이 방향 타 측을 후방부라고 하면, 상기 탄성 레그들은 상기 벨트 홀더의 전방부의 폭 방향 양 측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 탄성 레그들과, 상기 벨트 홀더의 후방부의 폭 방향 양 측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 탄성 레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벨트 홀더 바디부와 상기 탄성 레그들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부벽과, 양 측벽들과, 바닥벽과, 내부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벨트 홀더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벨트 홀더의 상기 탄성 레그들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양 측벽들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판 홀더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외측에 상기 가이드 레일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의 바닥벽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벨트 홀더와 상기 반사판 홀더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판은 상기 세척수의 분사 방향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반사판이 이동 경로의 종점에 도달하면 스스로 이동 방향을 반대로 바꾸어 이동하므로 방향 전환을 위한 별도의 제어가 불필요하다.
또한, 반사판이 이동 중에 식기에 걸리게 되어도 반사판이 스스로 방향을 전환하므로 식기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반사판을 구동시키는 모터로 정역방향 회전 모터뿐만 아니라 단방향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반사판의 구동 시에 진동 및 소음 발생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벨트 홀더의 구성이 단순해지고 부품 수가 절감되며 조립이 용이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분사 유닛과 반사판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구동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벨트 홀더와 벨트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벨트 홀더와 캠 유닛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제 1 캠과 제 2 캠의 상호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제 1 캠의 평면도.
도 9 내지 도 11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반사판 어셈블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벨트와, 벨트 홀더와, 가이드 레일과, 반사판 홀더와, 반사판이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벨트와, 벨트 홀더와, 가이드 레일과, 반사판 홀더와, 반사판이 결합된 상태의 평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벨트와, 벨트 홀더와, 가이드 레일과, 반사판 홀더와, 반사판이 결합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벨트 홀더의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벨트 홀더의 탄성 레그가 이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벨트 홀더의 탄성 레그가 압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분사 유닛과 반사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구동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벨트 홀더와 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식기 세척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12)와, 세척조(12)의 내부에 마련되고 식기를 수납하는 바스켓(14a,14b)과, 세척수를 포집하고 저장하는 섬프(20)와,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유닛(41,42,43)을 포함한다.
세척조(12)는 대략 박스 형상으로 마련되고, 식기를 출납할 수 있도록 개방된 전면을 갖는다. 세척조(12)의 개방된 전면은 도어(1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11)는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바스켓(14a,14b)은 상부 바스켓(14a)과 하부 바스켓(14b)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바스켓(14a)은 상부 랙(13a)에 지지될 수 있고, 하부 바스켓(14b)은 하부 랙(13b)에 지지될 수 있다. 상부 랙(13a)과 하부 랙(13b)은 세척조(12)의 내부에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섬프(20)에는 저장된 물을 분사 유닛(41,42,43)으로 펌핑하는 세척 펌프(21)가 마련될 수 있다. 세척 펌프(21)에 의해서 펌핑된 세척수는 제 1 공급관(31)을 통해서 제 1 분사 유닛(41)과 제 2 분사 유닛(42)으로 공급되거나, 제 2 공급관(32)을 통해서 제 3 분사 유닛(43)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세척조(12)의 하부에는 세척수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15)와, 세척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 펌프(22)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분사 유닛(41)은 상부 바스켓(14a)의 상측에 마련되고, 제 2 분사 유닛(42)은 상부 바스켓(14a)와 하부 바스켓(14b)의 사이에 마련되고, 제 3 분사 유닛(43)은 하부 바스켓(14b)의 아래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 1 분사 유닛(41)은 회전축(41a)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되고, 제 2 분사 유닛(42)은 회전축(42a)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분사 유닛(41)은 상부 바스켓(14a)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고, 제 2 분사 유닛(42)은 상부 바스켓(14a) 및 하부 바스켓(14b)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한편, 제 3 분사 유닛(43)은 제 1 분사 유닛(41)과 제 2 분사 유닛(42)과는 달리 세척조(12)의 일 측에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3 분사 유닛(43)은 대략 수평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며, 따라서 제 3 분사 유닛(43)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직접 식기를 향하지 않을 수 있다.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분사 유닛(43)은 세척수가 분사되는 복수의 노즐(44a,44b)과, 복수의 노즐(44a,44b)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복수의 헤드(45a,45b)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노즐(44a,44b)은 대략 세척조의 일 측면에서 반대 측면까지 각각 소정 간격 이격되고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헤드(45a,45b)는 좌측의 헤드(45a)와 우측의 헤드(45b)를 포함할 수 있고, 좌측의 헤드(45a)에는 노즐(44a)이 마련되고, 우측의 헤드(45b)에는 노즐(44b)이 마련될 수 있다.
제 2 공급관(32)은 좌측의 헤드(45a)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공급관(32a)과, 우측의 헤드(45b)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공급관(32b)으로 분기될 수 있다.
제 3 분사 유닛(43)의 노즐(44a,44b)에서 대략 수평 방향으로 분사된 세척수는 세척조(12)의 내부에 배치되는 반사판(60)에 의해 방향 전환되어 하부 바스켓(14b)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나아갈 수 있다.
반사판(60)은 제 3 분사 유닛(43)의 노즐(44a,44b)들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를 모두 커버하도록 제 3 분사 유닛(43)의 노즐(44a,44b)들의 배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반사판(60)은 세척수를 반사시키기 위한 경사면(61)을 갖는다. 경사면(61)은 반사판(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경사각이 달라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경사면(61a)은 경사면(61b) 보다 큰 경사각을 갖도록 마련되고, 반사판(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경사면(61a)과 경사면(61b)이 교대로 마련될 수 있다.
반사판(60)의 길이 방향 양 단부에는 반사판(60)의 균형을 잡기 위한 롤러(62)가 마련될 수 있다. 롤러(62)는 세척조(12)에 마련되는 지지 레일(1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반사판(60)은 반사판 홀더(70)와 벨트 홀더(80)와 함께 반사판 어셈블리(50)를 구성한다.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판 홀더(70)는 가이드 레일(200)의 외측에 가이드 레일(200)을 감싸듯이 마련된다.
여기서, 가이드 레일(200)은 반사판(60)의 운동을 안내 하기 위한 것으로서, 반사판(60)의 운동 방향을 따라 세척조(20)의 내부에 길게 마련된다. 가이드 레일(200)은 상부벽(230)과, 측벽(240)과, 바닥벽(250)과,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 통로(210)를 갖는다. 바닥벽(250)에는 개구(220)가 형성된다.
반사판 홀더(70)에는 반사판(60)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반사판 홀더(70)는 가이드 레일(200) 상을 미끄러지듯이 이동할 수 있다.
벨트 홀더(80)는 가이드 레일(200)의 내부 통로(210)에 마련된다. 이동 캐리어(80)의 내부에는 후술할 캠 유닛(100)이 장착된다. 벨트 홀더(80)는 상부 바디(81)와, 상부 바디(81)에 결합되는 하부 바디(86)와, 가이드 레일(200)의 바닥벽(250)에 지지되는 바퀴(89)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바디(81)와 하부 바디(86)는 다양한 결합 방식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부 바디(81)와 하부 바디(86)는 걸림 홀(84,도 6)과 걸림 돌기(87,도 6)의 걸림 구조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부 바디(81)의 장착 돌기(85)가 하부 바디(86)의 장착 홈(88)에 삽입될 수 있다.
벨트 홀더(80)는 가이드 레일(200)의 하부에 형성되는 개구(220)를 통해 반사판 홀더(70)와 결합될 수 있다. 벨트 홀더(80)와 반사판 홀더(70)는 나사 등의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벨트 홀더(80)는 장착된 캠 유닛(10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고, 전달받은 동력을 다시 반사판 홀더(70)에 전달한다.
반사판 홀더(70)에는 반사판(60)이 장착되므로, 결국 반사판(60)을 포함하는 반사판 어셈블리(50)는 가이드 레일(200)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이때, 반사판 어셈블리(50)는 제 3 분사 유닛(43)에서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사 노즐(44a,44b)은 세척조의 일 측면에서 반대 측면까지 소정 간격으로 일렬로 배열되고, 반사판 어셈블리(50)는 분사 노즐(44a,44b)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 방향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하므로, 제 3 분사 유닛(43)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는 사각 지대 없이 세척조(12) 내부에 고르게 분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 1 분사 유닛(41)과 제 2 분사 유닛(42)은 회전 구조이고, 제 3 분사 유닛(43)은 반사판 선형 왕복 구조를 갖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반사판 선형 왕복 구조를 갖는 분사 유닛을 위치에 관계없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한 식기 세척기에 대해서는 두루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식기 세척기(1)는 반사판 어셈블리(50)를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300)를 더 구비한다.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장치(300)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310)와, 모터(310)에 연결되어 모터(31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풀리(320)와, 구동 풀리(320)에 연결되어 구동 풀리(320)와 함께 회전하는 종동 풀리(330)와, 구동 풀리(320)와 종동 풀리(330)를 연결하고 구동 풀리(320)와 종동 풀리(330)의 사이에서 순환 운동하는 벨트(340)와, 벨트(340)에 맞물려서 벨트(340)의 동력을 반사판 어셈블리(50)에 전달하는 캠 유닛(100,도 6)을 포함한다.
모터(310)는 전기력을 역학적인 회전력으로 전환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터(310)는 정역방향 회전 모터이거나 단방향 회전 모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반사판 어셈블리(50)는 모터(310) 및 벨트(340)의 회전 방향과 무관하게 스스로 방향 전환하도록 마련되므로 모터(310)는 굳이 정역방향 회전 모터일 필요가 없으며 단방향 회전 모터이어도 무관하다.
벨트(340)는 구동 풀리(320)와 종동 풀리(330)에 감겨서 폐곡선을 형성하고, 모터(310)가 회전하면 모터(31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순환 운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의 벨트(340)에서 구동 풀리(320) 측에서 종동 풀리(330) 측으로 진행하는 부분을 제 1 부분(341)이라고 칭하고, 종동 풀리(330) 측에서 구동 풀리(320) 측으로 진행하는 부분을 제 2 부분(342)라고 칭한다.
벨트(340)의 내측면에는 치형(350)이 형성된다. 벨트(34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일례로 고무 재질일 수 있다. 벨트(340)의 동력은 캠 유닛(100)을 통해 반사판 어셈블리(50)에 전달된다.
도 6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이동 캐리어와 캠 유닛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제 1 캠과 제 2 캠의 상호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제 1 캠의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여, 캠 유닛(100)의 구조에 대해 상술한다.
캠 유닛(100)은 제 1 캠(110)과, 제 1 캠(110)과 상호 작용하는 제 2 캠(120)과, 제 2 캠(120)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130)을 포함한다.
제 1 캠(110)의 하측에 제 2 캠(120)이 마련되고 제 2 캠(120)의 하측에 스프링(130)이 마련될 수 있다.
제 1 캠(110)은 제 1 캠 경사면(111)과, 제 1 캠 상부 지지면(112)과, 제 1 캠 하부 지지면(113)과, 벨트(34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도록 벨트(340)의 치형(350)에 맞물리는 치형(115)을 갖는다.
제 2 캠(120)은 제 1 캠 경사면(111)과 상호 작용하는 제 2 캠 경사면(121)과, 제 2 캠 상부 지지면(122)과, 제 2 캠 하부 지지면(123)을 갖는다.
또한, 제 1 캠(110)과 제 2 캠(120)은 각각 벨트 홀더(80)의 지지축(82)이 삽입되는 삽입홀(114,124)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축(82)은 벨트 홀더(80)의 상부 바디(81)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었으나, 이와는 달리 벨트 홀더(80)의 하부 바디(86)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도 무관하다.
지지축(82)은 제 1 캠(1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제 2 캠(120)을 승강 가능하게 지지한다.
지지축(82)에는 제 2 캠(120)의 회전 운동을 구속하기 위한 구속 돌기(83)가 마련되고, 제 2 캠(120)에는 구속 돌기(83)가 삽입되는 구속 홈(125)이 마련된다. 따라서, 제 2 캠(120)은 회전 운동이 제한되고 승강 운동만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제 1 캠(110)은 회전 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지지축(82)에 구속 홈이 마련되고 제 2 캠에 구속 돌기가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캠(110)의 치형(115)은 제 1 캠(110)의 원주면(116)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캠(110)의 치형(115)은 원주 방향을 따라 원주면(116) 전체에 형성되는 것은 아니고 일부 구간에만 형성된다.
즉, 제 1 캠(110)의 원주면은 치형(115)이 형성되는 치형 구간(X)과 치형(115)이 형성되지 않는 무치형 구간(Y)을 가질 수 있다. 대략 치형 구간(X)은 무치형 구간(Y) 보다 작게 마련되고, 제 1 캠(110)의 치형(115)은 벨트의 제 1 부분(341) 또는 제 2 부분(342) 중 어느 하나에만 택일적으로 맞물릴 수 있고 제 1 부분(341)과 제 2 부분(342)에 동시에 맞물리지는 않는다.
도 9 내지 도 11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반사판 어셈블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구동 장치의 구동 시의 반사판 어셈블리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캠(110)의 치형(115)이 벨트(340)의 제 1 부분(341)에 맞물린 상태일 때, 벨트(340)의 제 1 부분(341)의 동력은 제 1 캠(110)의 치형(115)을 통해 제 1 캠(110)으로 전달된다.
제 1 캠(110)에 전달된 동력은 제 1 캠(110)의 제 1 캠 경사면(111)과, 제 2 캠(120)의 제 2 캠 경사면(121)을 통해서 제 2 캠(120)으로 전달된다.
제 2 캠(120)에 전달된 동력은 지지축(82)를 통해서 벨트 홀더(80)에 전달된다. 벨트 홀더(80)는 반사판 홀더(70)에 결합되고, 반사판 홀더(70)에는 반사판(60)이 장착되어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반사판(60)이 벨트(340)의 제 1 부분(341)의 진행 방향으로 선형 이동한다(F).
한편, 반사판 어셈블리(50)의 이동 중에 반사판 어셈블리(50)에 이동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소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면, 제 2 캠(120)이 스프링(130)의 탄성력을 이기고 하강하면서 제 1 캠(110)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소정 크기 이상의 외력은 최소한 반사판(60)에 가해지는 세척수의 수압 보다는 큰 외력을 의미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캠(110)의 제 1 캠 경사면(111)이 제 2 캠(120)의 제 2 캠 경사면(121)을 가압하는 상황에서 제 2 캠(120)은 외력에 의해 병진 운동이 제한되므로, 제 2 캠(120)은 스프링(130)의 탄성력을 이기고 하강하게 된다.
이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캠(110)은 지지축(82)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제 1 캠(110)의 치형(115)은 벨트(340)의 제 1 부분(341)에서 이탈하게 된다.
제 1 캠(110)이 소정 각도 회전한 후에 제 2 캠(120)은 스프링(130)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상승하고, 제 1 캠(110)의 치형(115)은 벨트(340)의 제 2 부분(342)에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반사판 어셈블리(50)는 벨트(340)의 제 2 부분(342)의 진행 방향을 따라 선형 이동할 수 있게 된다(R).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반사판 어셈블리(50)는 이동 중에 반대 방향으로 소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면 모터(310)의 회전 방향을 반대로 바꾸어 주지 않아도 스스로 이동 방향을 전환한다.
따라서, 반사판 어셈블리(50)의 이동 중에 식기에 간섭한 경우 반사판 어셈블리(50)는 이동 방향을 유턴하여 이동할 수 있고 따라서 식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식기 세척기(1)의 사용 중에 식기가 바스켓(14a,14b)의 반사판 어셈블리(50)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경우에 식기를 보호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으나, 식기 세척기는 이러한 경우에 외부에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에러 메시지는 시각적인 또는 청각적인 메시지일 수 있다.
사용자는 에러 메시지를 통해 식기가 바스켓(14a,14b) 상의 정 위치에 배치되지 않고 반사판 어셈블리(50)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어 있음을 인식하고 식기의 위치를 바로 잡을 수 있다.
한편, 식기 세척기(1)에는 반사판 어셈블리(50)의 이동 구간의 시점과 종점 부근에 반사판 어셈블리(50)를 가압하여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스토퍼부(91,92,도 1)가 구비될 수 있다.
반사판 어셈블리(50)는 이동 구간의 시점과 종점에서 상기 스토퍼부(91,92)에 의해 간섭 및 가압되어 스스로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스토퍼부(91,92)는 반사판 어셈블리(50)에 이동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외력을 가할 수 있도록 반사판 어셈블리(50)의 이동 구간의 시점과 종점 부근에 마련되는 소정의 물리적 구조이면 충분하고, 그 형상에 제한이 없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반사판 어셈블리(50)는 모터(31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기만 하면 시점과 종점 사이를 무한 왕복 운동할 수 있고, 시점과 종점에서 반사판 어셈블리(50)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별도의 제어 방법이 불필요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반사판 어셈블리(50)는 시점과 종점 사이의 일 지점에서 식기 등의 이물질에 간섭되는 경우에도 스스로 방향을 전환하므로, 식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벨트와, 벨트 홀더와, 가이드 레일과, 반사판 홀더와, 반사판이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벨트와, 벨트 홀더와, 가이드 레일과, 반사판 홀더와, 반사판이 결합된 상태의 평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벨트와, 벨트 홀더와, 가이드 레일과, 반사판 홀더와, 반사판이 결합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 및 반사판 구동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반사판(60)을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310,도 3)와, 모터(310)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 풀리(320,도 3)와,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동 풀리(320)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벨트(340)와, 벨트(340)에 결합되어 벨트(340)와 함께 운동하는 벨트 홀더(500)와, 벨트 홀더(500)의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200)과, 벨트 홀더(500)와 반사판(60)을 연결시키는 반사판 홀더(7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310)와, 구동 풀리(320)와, 벨트(340)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벨트 홀더(500)는 벨트(340)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벨트(340)가 운동하면 벨트 홀더(500)가 벨트(340)와 함께 운동한다.
가이드 레일(200)은 벨트 홀더(500)의 선형 운동을 안내하도록 세척수의 분사 방향을 따라 스트레이트하게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200)은 내부가 빈 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가이드 레일(200)은 상부벽(230,도 14)과, 양 측벽들(240,도 14)과, 바닥벽(250,도 14)과, 내부 공간(210,도 14)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바닥벽(250)에는 벨트 홀더(500)와 반사판 홀더(70)의 결합을 위해 개구(220)가 형성된다.
반사판 홀더(70)는 벨트 홀더(500)와 반사판(60)을 연결시켜서 벨트 홀더(500)의 운동을 반사판(6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반사판 홀더(70)는 가이드 레일(200)의 외측에 가이드 레일(200)을 감싸는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반사판 홀더(70)는 가이드 레일(200)의 바닥벽(250)의 개구(220)를 통해 벨트 홀더(50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벨트 홀더(500)는 개구(220) 측으로 연장되는 결합 돌기부(516)를 포함하고, 반사판 홀더(70)는 결합 돌기부(516)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결합홀(72)를 포함한다. 또한, 결합 돌기부(516)의 내부에는 결함홈(516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 부재(550)를 반사판 홀더(70)의 결합홀(72)과, 벨트 홀더(500)의 결합홈(516a)에 체결함으로써, 반사판 홀더(70)와 벨트 홀더(500)를 결합할 수 있다.
반사판 홀더(70)와 반사판(60)은 끼움 구조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즉, 반사판 홀더(70)는 양 측으로 돌출되는 반사판 결합축(71)을 갖고, 반사판(60)은 반사판 결합축(71)이 삽입되는 축결합공(63)을 가질 수 있다.
반사판 홀더(70)의 반사판 결합축(71)이 반사판(60)의 축결합공(63)에 삽입됨으로써, 반사판(60)이 반사판 홀더(7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반사판(60)은 반사판 결합축(71)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반사판 홀더(7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써, 벨트(240)의 구동력이 벨트 홀더(500)와, 반사판 홀더(70)를 거쳐서 반사판(60)에 전달되고, 반사판(60)이 가이드 레일(200)을 따라서 선형 왕복 운동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벨트 홀더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벨트 홀더의 탄성 레그가 이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벨트 홀더의 탄성 레그가 압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벨트 홀더(500)의 구성에 대해 상술한다.
벨트 홀더(50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벨트 홀더 바디부(510)와, 벨트(340)가 결합되는 벨트 결합부(515)와, 가이드 레일(200)에 지지되도록 벨트 홀더 바디부(510)에서 돌출되는 탄성 레그들(530)을 포함할 수 있다.
벨트 결합부(515)는 벨트(340)의 치형(350)이 삽입되는 치형 삽입홈(516)을 포함할 수 있다. 벨트(340)의 치형(350)은 벨트 결합부(515)에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벨트 결합부(515)는 벨트 홀더 바디부(510)에 고정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벨트 홀더 바디부(5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벨트 결합부(515)에 벨트(340)가 결합된 상태에서 벨트(340)가 운동하면 벨트 홀더(500)가 벨트(340)와 함께 운동할 수 있다.
탄성 레그들(530)은 벨트 홀더(500)가 운동할 때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즉, 탄성 레그들(530)은 벨트 홀더(500)가 운동할 때 가이드 레일(200)과의 충돌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탄성 레그들(530)은 벨트 홀더 바디부(510)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고, 가이드 레일(200)의 측벽들(240)의 내측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탄성 레그들(530)의 개수는 그 제한이 없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모두 4 개의 탄성 레그들(530)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벨트 홀더(500)의 길이 방향(W)의 일 측을 전방부(511)라고 하고, 벨트 홀더(500)의 길이 방향(W) 타 측을 후방부(512)라고 하면, 벨트 홀더(500)의 전방부의 폭 방향(D) 양 측에 탄성 레그들(530a)이 마련되고, 벨트 홀더(500)의 후방부의 폭 방향 양 측에 탄성 레그들(530b)이 마련된다.
이와 같이, 전방부와 후방부의 폭 방향 양 측에 탄성 레그들(530)이 마련됨으로써, 벨트 홀더(500)의 균형을 유지하기가 용이할 수 있고, 벨트 홀더(500)가 가이드 레일(200)의 정중앙부에 위치되어 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 레그들(530)은 일종의 판 스프링 종류의 탄성 부재일 수 있다. 즉, 탄성 레그들(530)은 탄성 변형되는 곡면판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탄성 레그들(530)은 벨트 홀더 바디부(510)에서 최대로 이격되고 탄성력이 최소가 되는 이완 형상(도 16)과, 벨트 홀더 바디부(510)에 최대로 근접하고 탄성력이 최대가 되는 압축 형상(도 17)의 사이에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탄성 레그들(530)은 벨트 홀더(500)가 운동하면서 좌우로 흔들릴 때 가이드 레일(200)에 의해 가압되어 압축 형상으로 탄성 변형되었다가 가압이 사라지면 탄성력에 의해 다시 이완 형상으로 원복될 수 있는 것이다.
세부적으로, 탄성 레그(530)는 벨트 홀더 바디부(510)에 접하는 접합 단부(531)와, 벨트 홀더 바디부(510)에서 이격되는 이격 단부(532)와, 접합 단부(531)와 이격 단부(532)를 연결하는 연결부(5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연결부(533)는 완만한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탄성 레그(530)는 그 양 단부 중에 하나의 단부는 벨트 홀더 바디부(510)에 접하고 나머지 하나의 단부는 벨트 홀더 바디부(510)에 접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이격 단부(532)는 접합 단부(531) 보다 벨트 홀더(500)의 길이 방향(W)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벨트 홀더(500)가 진행할 때 가이드 레일(200)로부터의 저항을 덜 받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탄성 레그들(530)은 벨트 홀더 바디부(5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벨트 홀더(500)는 수지 재질로 일체로 사출될 수 있다. 따라서, 벨트 홀더 바디부(510)에 바퀴 등을 별도로 결합하는 방식 보다 부품 수가 절감되고 조립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설명한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식기 세척기 10 : 본체
11 : 도어 12 : 세척조
13a,13b : 상,하부 랙 14a,14b : 상,하부 바스켓
15 : 히터 16 : 지지 레일
20 : 섬프 21 : 세척 펌프
22 : 배수 펌프 31 : 제 1 공급관
32,32a,32b : 제 2 공급관 41 : 제 1 분사 유닛
41a : 회전축 42 : 제 2 분사 유닛
42a : 회전축 43 : 제 3 분사 유닛
44a,44b : 노즐 45a,45b : 헤드
50 : 반사판 어셈블리 60 : 반사판
61 : 경사면 62 : 롤러
63 : 축결합공 64 : 커버
70 : 반사판 홀더 71 : 반사판 결합축
72 : 결합홀 73 : 가이드 홈
80 : 벨트 홀더 81 : 상부 바디
82 : 지지축 83 : 구속 돌기
84 : 걸림홀 85 : 장착 돌기
86 : 하부 바디 87 : 걸림 돌기
88 : 장착홈 89 : 바퀴
91 : 스토퍼부 92 : 스토퍼부
100 : 캠 유닛 110 : 제 1 캠
111 : 제 1 캠 경사면 112 : 제 1 캠 상부 지지면
113 : 제 1 캠 하부 지지면 114 : 삽입홀
115 : 치형 116 : 원주면
120 : 제 2 캠 121 : 제 2 캠 경사면
122 : 제 2 캠 상부 지지면 123 : 제 2 캠 하부 지지면
124 : 삽입홀 125 : 구속홈
130 : 스프링 200 : 가이드 레일
210 : 내부 통로 220 : 개구
230 : 상부벽 240 : 측벽
250 : 바닥벽 300 : 구동 장치
310 : 모터 320 : 구동 풀리
330 : 종동 풀리 340 : 벨트
341 : 제 1 부분 342 : 제 2 부분
350 : 치형 500 : 벨트 홀더
510 : 벨트 홀더 바디부 511 : 전방부
512 : 후방부 515 : 벨트 결합부
516 : 치형 삽입홈 516 : 결합 돌기부
516a : 결합홈 517 : 가이드 돌기
530,530a,530b : 탄성 레그들 531 : 접합 단부
532 : 이격 단부 533 : 연결부
550 : 체결 부재 W : 길이 방향
D : 폭 방향 X : 치형 구간
Y : 무치형 구간

Claims (29)

  1.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의 내부에 마련되고 식기를 수납하는 바스켓;
    상기 세척조에 고정되고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유닛;
    상기 분사 유닛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를 상기 바스켓에 수납된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고,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하는 반사판 어셈블리;
    상기 반사판 어셈블리를 구동시키도록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순환 운동하고, 일 방향으로 진행하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 1 부분과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는 제 2 부분을 갖는 벨트; 및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 중 어느 하나에 맞물려서 상기 벨트의 동력을 상기 반사판 어셈블리에 전달하고, 상기 반사판 어셈블리에 이동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소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반사판 어셈블리의 이동 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전환시키도록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 중 다른 하나에 맞물리는 캠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 유닛은,
    제 1 경사면과, 상기 벨트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치형을 갖고,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 1 캠;
    상기 제 1 경사면과 상호 작용하는 제 2 경사면을 갖고,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 2 캠; 및
    상기 제 2 캠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 어셈블리는 상기 제 2 캠의 회전 운동을 구속하기 위한 구속 돌기 또는 구속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캠과 상기 제 2 캠은 각각 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판 어셈블리는 상기 제 1 캠의 삽입홀과 상기 제 2 캠의 삽입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캠과 상기 제 2 캠을 지지하는 지지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캠의 치형은 상기 제 1 캠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부 구간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정역방향 회전 모터이거나 또는 단방향 회전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 어셈블리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세척조의 양 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스토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 어셈블리의 운동을 안내하고, 내부 통로를 갖는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 어셈블리는,
    세척수를 반사시키는 경사면을 갖는 반사판;
    상기 반사판이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의 외측에 마련되는 반사판 홀더; 및
    상기 캠 유닛이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의 내부 통로에 마련되는 벨트 홀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내부 통로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판 홀더와 상기 벨트 홀더는 상기 개구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홀더는,
    상부 바디;
    상기 상부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바디와의 사이에 상기 캠 유닛이 배치되는 하부 바디; 및
    상기 가이드 레일에 지지되는 바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2.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의 내부에 마련되고 식기를 수납하는 바스켓;
    상기 세척조에 고정되고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유닛;
    상기 분사 유닛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를 상기 바스켓에 수납된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고,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하는 반사판 어셈블리;
    상기 반사판 어셈블리의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반사판 어셈블리를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로서, 상기 반사판 어셈블리의 구동 중에 상기 반사판 어셈블리에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소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반사판 어셈블리의 이동 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구동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에 연결되는 구동 풀리;
    상기 구동 풀리에 연결되는 종동 풀리;
    상기 구동 풀리와 상기 종동 풀리를 연결하고, 상기 구동 풀리와 상기 종동 풀리의 사이에서 순환 운동하는 벨트;
    상기 벨트에 맞물리는 치형을 갖는 제 1 캠;
    상기 제 1 캠에 상호 작용하는 제 2 캠; 및
    상기 제 2 캠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캠은 상기 벨트가 형성하는 폐곡선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벨트의 치형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상기 구동 풀리 측에서 상기 종동 풀리 측으로 진행하는 제 1 부분과, 상기 종동 풀리 측에서 상기 구동 풀리 측으로 진행하는 제 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캠은 상기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에 교대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정역방향 회전 모터이거나 또는 단방향 회전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7.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의 내부에 마련되고 식기를 수납하는 바스켓;
    상기 세척조에 고정되고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유닛;
    상기 분사 유닛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를 상기 바스켓에 수납된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 및
    상기 반사판을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장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벨트;
    상기 벨트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벨트 홀더;
    상기 벨트 홀더의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벨트 홀더와 상기 반사판을 연결시키는 반사판 홀더; 를 포함하고,
    상기 벨트 홀더는 상기 벨트에 결합되는 벨트 홀더 바디부와, 상기 가이드 레일에 지지되도록 상기 벨트 홀더 바디부에서 돌출되는 탄성 레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레그들은 탄성 변형되는 곡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레그들은 상기 벨트 홀더 바디부에 최대로 근접되고 탄성력이 최대로 축적되는 압축 형상과, 상기 벨트 홀더 바디부에서 최대로 이격되고 탄성력이 최소가 되는 이완 형상의 사이에서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레그들은 상기 벨트 홀더 바디부에 접하는 접합 단부와, 상기 벨트 홀더 바디부에서 이격되는 이격 단부와, 상기 접합 단부와 상기 이격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 단부는 상기 접합 단부 보다 상기 벨트 홀더의 길이 방향 내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홀더의 길이 방향 일 측을 전방부라고 하고, 길이 방향 타 측을 후방부라고 하면,
    상기 탄성 레그들은 상기 벨트 홀더의 전방부의 폭 방향 양 측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 탄성 레그들과, 상기 벨트 홀더의 후방부의 폭 방향 양 측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제 2 탄성 레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2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홀더 바디부와 상기 탄성 레그들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24.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부벽과, 양 측벽들과, 바닥벽과, 내부 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홀더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홀더의 상기 탄성 레그들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양 측벽들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27.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 홀더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외측에 상기 가이드 레일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28.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바닥벽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벨트 홀더와 상기 반사판 홀더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2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상기 세척수의 분사 방향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KR1020130162089A 2013-05-27 2013-12-24 식기 세척기 KR102002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089A KR102002414B1 (ko) 2013-05-27 2013-12-24 식기 세척기
US14/282,723 US9565988B2 (en) 2013-05-27 2014-05-20 Dishwasher
EP16190492.5A EP3132733B1 (en) 2013-05-27 2014-05-27 Dishwasher
CN201810344664.8A CN108464797B (zh) 2013-05-27 2014-05-27 洗碗机
EP14170050.0A EP2807970B1 (en) 2013-05-27 2014-05-27 Dishwasher
CN201410227757.4A CN104173010B (zh) 2013-05-27 2014-05-27 洗碗机
US15/390,031 US10045680B2 (en) 2013-05-27 2016-12-23 Dishwasher
US16/058,184 US10506911B2 (en) 2013-05-27 2018-08-08 Dishwa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59858 2013-05-27
KR1020130059858 2013-05-27
KR1020130162089A KR102002414B1 (ko) 2013-05-27 2013-12-24 식기 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9399A true KR20140139399A (ko) 2014-12-05
KR102002414B1 KR102002414B1 (ko) 2019-07-23

Family

ID=50819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2089A KR102002414B1 (ko) 2013-05-27 2013-12-24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9565988B2 (ko)
EP (2) EP2807970B1 (ko)
KR (1) KR102002414B1 (ko)
CN (2) CN10846479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34453A (zh) * 2016-01-18 2016-05-04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以及洗碗机的门控制装置
CN106618421A (zh) * 2016-12-28 2017-05-10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207B1 (ko) * 2013-12-31 2021-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KR102109387B1 (ko) * 2013-12-31 2020-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KR102061525B1 (ko) 2013-12-31 2020-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US9861254B2 (en) 2013-12-31 2018-01-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h washing machine
KR20150080358A (ko) * 2013-12-31 2015-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102089973B1 (ko) * 2013-12-31 2020-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102127709B1 (ko) 2013-12-31 2020-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43093B1 (ko) * 2015-02-23 2021-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73055B1 (ko) * 2015-02-26 2022-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102455226B1 (ko) * 2016-02-25 2022-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KR102614488B1 (ko) * 2016-08-12 2023-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CN107348929B (zh) * 2017-07-16 2020-01-03 蔡璟 一种用于洗碗机的智能旋转支架
KR102592831B1 (ko) * 2018-12-07 2023-10-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그를 위한 주행 제어 방법
CN111407197A (zh) * 2019-01-04 2020-07-14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清洗机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90913A (en) * 1937-03-02 1938-08-23 Separator Ab Improvements in dish-washing machine
DE1191528B (de) * 1958-05-06 1965-04-22 Viktor Bercovitz Zusammenlegbarer Koerper, wie Sitzmoebel od. dgl. mit mindestens einem aufblasbaren Hohlkoerper
JPH07116102A (ja) * 1993-10-25 1995-05-09 Hitachi Ltd 食器洗い機
JPH09206269A (ja) * 1996-02-01 1997-08-12 Hitachi Ltd 食器洗い機
JP2008188172A (ja) * 2007-02-02 2008-08-21 Hoshizaki Electric Co Ltd コンベア型食器洗浄機
JP2009240545A (ja) * 2008-03-31 2009-10-22 Panasonic Corp 食器乾燥機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04084A (en) 1953-10-19 1955-03-15 James Inc Dishwashing machine
DE1191527B (de) 1961-01-23 1965-04-22 George Mikulasek Gibson Geschirrspuelmaschine
JP2812582B2 (ja) * 1991-05-21 1998-10-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産業用ロボットの制御装置
CN2507397Y (zh) * 2001-11-13 2002-08-28 朱天赉 洗碗机
CN100425193C (zh) * 2006-05-24 2008-10-15 林修鹏 一种清洗碗筷的方法及其洗碗机
US8215323B2 (en) * 2006-07-26 2012-07-10 Premark Feg L.L.C. Drive systems for conveyor-type warewashers
FR2959010B1 (fr) * 2010-04-16 2013-01-18 Sagem Defense Securite Mesure gyroscopique dans un systeme de navigation
CN102227157B (zh) * 2011-04-14 2013-08-21 北京泰拓精密清洗设备有限公司 通过式毛刷清洗机
CN202537454U (zh) * 2012-02-16 2012-11-21 李林 一种新型洗碗机
US20130319847A1 (en) * 2012-06-05 2013-12-05 Intermolecular,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LOW RESISTIVITY Ag THIN FILM USING COLLIMATED SPUTTERING
KR101737056B1 (ko) * 2012-06-05 2017-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90913A (en) * 1937-03-02 1938-08-23 Separator Ab Improvements in dish-washing machine
DE1191528B (de) * 1958-05-06 1965-04-22 Viktor Bercovitz Zusammenlegbarer Koerper, wie Sitzmoebel od. dgl. mit mindestens einem aufblasbaren Hohlkoerper
JPH07116102A (ja) * 1993-10-25 1995-05-09 Hitachi Ltd 食器洗い機
JPH09206269A (ja) * 1996-02-01 1997-08-12 Hitachi Ltd 食器洗い機
JP2008188172A (ja) * 2007-02-02 2008-08-21 Hoshizaki Electric Co Ltd コンベア型食器洗浄機
JP2009240545A (ja) * 2008-03-31 2009-10-22 Panasonic Corp 食器乾燥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34453A (zh) * 2016-01-18 2016-05-04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以及洗碗机的门控制装置
CN106618421A (zh) * 2016-12-28 2017-05-10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45680B2 (en) 2018-08-14
EP2807970B1 (en) 2016-11-16
CN104173010A (zh) 2014-12-03
US20180344128A1 (en) 2018-12-06
US20170105599A1 (en) 2017-04-20
US20140345655A1 (en) 2014-11-27
EP3132733A1 (en) 2017-02-22
CN104173010B (zh) 2018-05-18
KR102002414B1 (ko) 2019-07-23
EP3132733B1 (en) 2019-02-06
US10506911B2 (en) 2019-12-17
CN108464797A (zh) 2018-08-31
EP2807970A1 (en) 2014-12-03
US9565988B2 (en) 2017-02-14
CN108464797B (zh) 202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2414B1 (ko) 식기 세척기
KR101737056B1 (ko) 식기세척기
KR102088846B1 (ko) 고정노즐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식기 세척기
CN105919528B (zh) 洗碗机
KR102306964B1 (ko) 식기 세척기
KR20150079335A (ko) 식기 세척기
CN108697298B (zh) 洗碗机
KR20160040075A (ko) 식기세척기
KR20150054610A (ko) 분사유닛, 분사노즐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갖는 식기세척기
KR102129315B1 (ko) 식기세척기
KR20150080358A (ko) 식기세척기
EP3090676B1 (en) Dish washer
KR20090057711A (ko) 식기 수납체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KR102330103B1 (ko) 식기세척기
JP4434616B2 (ja) 食器洗浄機
KR20160042628A (ko) 식기 세척기
KR20150009402A (ko) 식기세척기
KR20150079381A (ko) 식기 세척기
KR20180025735A (ko) 식기 세척기
KR20150009399A (ko) 식기세척기
KR20150006261A (ko) 식기세척기
JP3918747B2 (ja) 食器洗浄機
KR20170010562A (ko) 식기세척기
KR20150094257A (ko) 식기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