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0075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0075A
KR20160040075A KR1020150078919A KR20150078919A KR20160040075A KR 20160040075 A KR20160040075 A KR 20160040075A KR 1020150078919 A KR1020150078919 A KR 1020150078919A KR 20150078919 A KR20150078919 A KR 20150078919A KR 20160040075 A KR20160040075 A KR 20160040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ne
unit
nozzle
injection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8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8435B1 (ko
Inventor
조황묵
박준홍
서응렬
이건웅
이승목
이창욱
박남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5846763.9A priority Critical patent/EP3200668B1/en
Priority to PCT/KR2015/010061 priority patent/WO2016052921A1/en
Priority to CN201580065190.8A priority patent/CN106998989B/zh
Priority to US14/870,472 priority patent/US10231598B2/en
Publication of KR20160040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0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8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8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2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convey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rigidly-mounted spra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9Water recirculation
    • A47L15/4221Arrangements for redirection of washing water, e.g. water diverters to selectively supply the spray a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47L15/4282Arrangements to change or modify spray pattern or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4Arrangements for changing the height of ra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 효율이 향상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 세척기는 식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세척조와, 세척조 내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분사유닛과, 세척조 내부를 이동하며 분사유닛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를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도록 마련되는 반사유닛을 포함하고, 반사유닛은,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을 따라 왕복 직선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베인과, 제1베인과 연동하도록 마련되는 제2베인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세척 효율이 향상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는 식기에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여 식기를 세척하는 장치로써, 식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세척조(tub)와, 세척조 내부에 식기를 수납하도록 장착되는 식기 바구니와,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가 집수되는 집수통(sump)과, 세척수를 세척조 내부로 분사하기 위한 펌프 및 노즐 등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기에는 회전하는 분사 노즐을 갖는 로터 타입의 분사 구조가 채용되고 있다. 회전 노즐은 수압에 의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한다.
그런데, 이러한 회전 노즐은 회전 반경 내의 범위에만 세척수를 분사하므로 세척수가 분사되지 않는 영역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수가 분사되지 않는 영역이 발생되지 않도록 소위 리니어 타입의 분사 구조가 제안되고 있다.
리니어 타입의 분사 구조는 세척조의 일 측에 고정되는 고정 노즐과, 세척조의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고정 노즐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를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는 베인을 구비하여, 반사판의 이동에 따라 세척조의 전체 영역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고정 노즐은 세척조의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분사홀들을 갖고 세척조의 후벽 측에 고정되고, 베인은 복수의 분사홀들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를 반사시키도록 세척조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세척조의 전후 방향으로 선형 왕복 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리니어 타입의 분사 구조는 베인을 구동시킬 수 있는 구동장치를 구비한다. 구동장치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일례로 모터와, 모터에 연결되어 베인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벨트와, 베인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을 포함하여, 모터가 구동되면 벨트가 회전하면서 베인이 레일 상을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리니어 타입의 분사 구조는 고정 노즐에서 분사된 수류가 베인을 타격하기 위하여 베인의 높이가 일정 이상을 유지해야 하고, 베인의 높이는 내부 용적을 감소시키고, 그에 따라 로딩 가능한 최대 접시 사이즈가 축소될 수 있다.
한편, 식기 바구니는 세척조의 상하측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식기 바구니에는 그릇, 접시 등의 여러 가지 종류 및 크기의 식기를 수용하여 세척할 수 있도록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기능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리니어 타입의 분사 유닛을 갖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세척 효율이 향상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베인유닛과 유로 전환 장치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리니어 타입의 분사 구조를 갖는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노즐 타격 거리의 축소를 통해 베인의 높이를 낮춰 리니어 타입의 컴팩트화를 구현하여 식기 로딩 용적을 확대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다양한 식기의 구성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바스켓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리니어 타입의 분사 유닛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리니어 타입 분사 유닛의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식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 내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분사유닛; 상기 세척조 내부를 이동하며 상기 분사유닛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를 상기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도록 마련되는 반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유닛은, 직선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베인과, 상기 제1베인의 이동방향으로 상기 제1베인과 나란히 배치되는 제2베인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베인은 제1방향과 제1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2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2베인은 상기 제1베인과 연동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분사유닛은, 상기 세척조의 중심으로부터 일측면을 향하는 상기 제1방향과 상기 세척조의 중심으로부터 타측면을 향하는 상기 제2방향으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마련되는 분사노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반사유닛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 어셈블리는,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이 설치되도록 마련되는 홀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홀더 유닛은, 상기 레일이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홀더 프레임과, 상기 홀더 프레임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프론트 홀더와, 상기 홀더 프레임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리어 홀더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식기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식기바스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홀더와 리어 홀더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바스켓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유닛은, 상기 제1베인과 상기 제2베인 사이를 연결하는 이동레일과, 상기 제1베인 및 상기 제2베인이 상기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레일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유닛을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모터 어셈블리를 포함하고,상기 모터 어셈블리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에 연결되는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반사유닛에 전달하도록 마련되는 제2기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기어는 상기 이동레일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 유닛은 상기 제1베인 및 상기 제2베인이 상기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베인 홀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인 홀더는 상기 제1베인 및 제2베인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결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베인 및 상기 제2베인은 상기 결합 돌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분사유닛은, 상기 세척조 후방에 마련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고정노즐과, 상기 고정노즐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세척조의 전방 및 후방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분사노즐이 형성되는 분사 케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분사 케이스의 일측에서 상기 제1방향으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형성되는 제1노즐과, 상기 분사 케이스의 타측에서 상기 제2방향으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형성되는 제2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 케이스는, 세척수가 상기 제1노즐을 통해 분사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분사유로와, 세척수가 상기 제2노즐을 통해 분사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분사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분사유로와 상기 제2분사유로는 격벽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 케이스는 상기 제1베인 및 상기 제2베인을 회전시키도록 마련되는 회전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분사유로 및 상기 제2분사유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마련되는 유로전환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전환유닛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전환유닛은,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 유로를 전환하도록 마련되는 유로 전환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 전환 홀더는 상기 반사유닛의 이동 방향으로 가압되면, 상기 반사유닛의 이동 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전환시키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반사유닛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센서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식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의 중심으로부터 일측면을 향하는 제1방향과 상기 1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분사유닛; 상기 세척조 내부에서 선형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세척조의 적어도 일부로 세척수를 반사시키도록 마련되는 제1베인과, 상기 제1베인과 나란하게 이동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세척조의 다른 일부로 세척수를 반사시키도록 마련되는 제2베인;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베인과 제2베인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1방향과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레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베인과 상기 제2베인 사이를 연결하는 이동 레일과, 상기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베인 홀더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베인 및 제2베인은 상기 베인 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유닛은, 상기 세척조 후방에 마련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고정노즐과, 상기 고정노즐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세척조의 전방 및 후방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분사노즐이 형성되는 분사 케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제1방향으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상기 분사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노즐과, 상기 제2방향으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상기 분사 케이스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 케이스는, 세척수가 상기 제1노즐을 통해 분사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분사유로와, 세척수가 상기 제2노즐을 통해 분사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분사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분사유로와 상기 제2분사유로는 격벽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분사유로와 상기 제2분사유로는 실링 부재에 의해 실링된다.
또한, 상기 분사 케이스는 상기 제1베인 및 상기 제2베인을 회전시키도록 마련되는 회전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분사유로 및 상기 제2분사유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마련되는 유로전환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전환유닛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전환유닛은,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 유로를 전환하도록 마련되는 유로 전환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 전환 홀더는 상기 반사유닛의 이동 방향으로 가압되면, 상기 반사유닛의 이동 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전환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베인과 제2베인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센서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조에 식기를 수납하도록 마련되며, 설치 위치가 가변되도록 마련되는 식기 바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베인과 제2베인은, 상기 식기 바스켓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식기 바스켓과의 결합을 위한 홀더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조는 상기 식기 바스켓의 설치 위치가 가변되도록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식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의 중심으로부터 일측면을 향하는 제1방향으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형성되는 제1노즐; 상기 제1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형성되는 제2노즐; 상기 제1노즐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를 상기 식기측으로 반사시키도록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베인과, 상기 제2노즐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를 상기 식기측으로 반사시키도록 상기 제1베인의 이동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베인; 상기 제1노즐과 상기 제1노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마련되는 유로전환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분사유닛은, 상기 세척조 후방에 마련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고정노즐과, 상기 고정노즐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세척조의 전방 및 후방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분사노즐이 형성되는 분사 케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분사 케이스는, 세척수가 상기 제1노즐을 통해 분사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분사유로와, 세척수가 상기 제2노즐을 통해 분사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분사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분사유로와 상기 제2분사유로는 격벽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분사유로와 상기 제2분사유로는 실링 부재에 의해 실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전환유닛은,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 유로를 전환하도록 마련되는 유로 전환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 전환 홀더는 상기 반사유닛의 이동 방향으로 가압되면, 상기 반사유닛의 이동 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전환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노즐과 제2노즐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센서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전환유닛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유닛과 상기 제1베인과 상기 제2베인은 상기 식기 바스켓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조에 식기를 수납하도록 마련되며, 설치 위치가 가변되도록 마련되는 식기 바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베인과 제2베인은, 상기 식기 바스켓과의 결합을 위한 홀더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마련되며 식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 내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분사유닛; 상기 세척조에 식기를 수납하도록 마련되며, 설치 위치가 가변되도록 마련되는 식기 바스켓; 상기 식기 바스켓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분사유닛에서 분사된 세척수의 방향을 전환시키도록 분사되는 세척수의 경로 상에 마련되는 반사유닛; 상기 반사유닛이 상기 식기 바스켓 하부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상기 세척조의 일측에 고정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반사유닛에 전달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식기 바스켓의 가변하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이한 높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기어를 갖는 기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어 유닛은,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제2기어와, 상기 제1기어와 제2기어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연결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사유닛은, 상기 세척조의 내부를 이동하며 상기 분사유닛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상기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는 베인; 상기 베인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베인에 전달하도록, 구동 풀리와 아이들 풀리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벨트; 상기 구동 풀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벨트의 장력에 의해 상기 레일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리어 홀더; 및 상기 아이들 풀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벨트의 장력에 의해 상기 레일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프런트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연결기어 중 하나의 연결 기어는 상기 구동 풀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연결기어들은, 상기 제1기어에 연결되는 제1연결기어와, 상기 제2기어에 연결되는 제2연결기어와, 상기 제2연결기어와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감속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연결기어와 제2연결기어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연결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연결기어 중 하나는, 상기 구동 풀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어 유닛은 상기 식기 바스켓의 일 측에 일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척조는 상기 식기 바스켓의 높이가 가변되도록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레일은, 제1위치에서 상기 식기 바스켓을 지지하는 제1가이드레일과, 상기 제1레일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에서 상기 식기 바스켓을 지지하는 제2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기어는, 상기 식기 바스켓이 상기 제1위치 일 때 상기 모터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기어는, 상기 식기 바스켓이 상기 제2위치 일 때 상기 모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터는 상기 세척조의 후방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사유닛은, 상기 세척조 후방에 마련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고정노즐과, 상기 고정노즐에 연결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식기 바스켓의 가변하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이한 높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를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분사노즐이 형성되는 분사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사케이스는, 그 내부에 상기 복수의 연결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리니어 타입의 분사 유닛을 통해 세척수가 도달하지 못하는 사각지대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베인유닛과 유로 전환 장치에 의해 노즐 타격 거리의 축소 및 베인의 높이를 낮춰 리니어 타입의 컴팩트화를 구현하고, 그에 따른 식기 로딩 용적을 확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리니어 타입 분사 유닛의 구동장치에 의해 바스켓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식기의 구성을 수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바스켓에 마련되는 분사 유닛의 왕복 운동으로 인해 세척수의 분사효율을 높이고, 분사 유닛의 위치를 제어하여 식기 바스켓 내에서 분할 분사 또는 집중 분사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유로 손실이 적어 에너지 절감이 가능하고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세척조에 장착되는 식기 바스켓을 도시한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분사유닛과 반사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분사유닛과 반사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분사유닛의 유로전환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분사유닛의 모터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터어셈블리와 분사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8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사유닛과 유로전환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9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터 어셈블리의 제1기어에 연결되는 제2기어에 동작되는 베인의 이동을 도시한 도면,
도 10 은 도 8 의 A 부분의 확대도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사유닛의 유로전환유닛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유닛 및 제1베인에 의해 제2분사유로를 통해 세척수가 분사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12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유닛의 유로전환홀더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13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유닛에 의해 세척수가 제1분사유로로 분사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14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반사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5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반사유닛의 회전베인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16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반사유닛의 회전베인유닛을 이동을 도시한 도면,
도 17 내지 도 19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회전베인유닛의 회전베인의 회전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20 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유닛이 설치된 분사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1 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유닛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2 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분사유닛과 유로전환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23 내지 도 24 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유닛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25 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분사유닛과 유로전환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26 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7 내지 도 29 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유닛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30 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분사유닛과 반사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31 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분사유닛과 유로전환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3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3 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분사유로에 따른 베인유닛의 이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4 내지 도 37 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유닛의 세척수 분사에 의한 베인유닛의 이동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38 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분사유닛과 반사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39 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분사유닛과 반사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0 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분사바디와 분사케이스의 연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1 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모터 어셈블리에 의해 이동하는 베인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2 내지 도 45 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베인유닛의 이동에 따른 세척수의 반사를 도시한 도면,
도 46 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분사유닛과 반사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47 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반사유닛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8 내지 도 49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모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0 내지 도 51 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모터 어셈블리의 구동에 따른 반사유닛의 이동을 도시한 도면,
도 52 는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상이한 높이로 설치 가능한 식기바스켓에 설치되는 분사유닛과 반사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53 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반사유닛의 모터어셈블리와 세척조의 구동유닛의 연결을 도시한 도면,
도 54 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구동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5 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구동유닛을 도시한 단면도,
도 56 내지 도 57 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구동유닛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58 은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59 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 세척조에 장착되는 식기 바스켓을 도시한 도면,
도 60 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분사 유닛과 반사 유닛, 그리고 동력전달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61 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분사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62 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반사 유닛과 동력전달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3 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반사 유닛의 벨트와, 벨트 홀더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4 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세척수 분사 유닛 및 동력전달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65 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의 기어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66 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의 모터 및 기어유닛의 연결을 도시한 도면,
도 67 내지 도 68 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상이한 높이로 설치되는 식기 바스켓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전체 구조를 개괄적으로 설명한다.
식기 세척기(1A)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A)과, 캐비닛(10A)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11A)와, 식기를 수납하도록 세척조(11A) 내부에 마련되는 식기 바스켓(20A)들과, 세척조(11)의 내부에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분사유닛(200A)과, 세척조 내부를 이동하며 세척수를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도록 마련되는 반사유닛(100A)을 포함한다.
캐비닛(10A)의 전면은 세척조(11A)에 식기를 수납하거나 세척조(11A)로부터 식기를 인출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으며, 세척조(11)를 개폐하도록 도어(12A)가 설치된다.
도어(12A)는 캐비닛(10A)의 전면 하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하며 세척조(11A)를 개폐할 수 있다. 세척조(11A)는 상부벽(11Ac)과, 후벽(11Aa)과, 좌우측벽(11Ad,11Ae)과, 바닥판(11Ab)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A)의 세척조(11A) 하부에는 세척수를 저수하는 섬프(15A)와, 섬프(15A)의 세척수를 펌핑하도록 마련되는 순환펌프(14A)와, 섬프(15A)의 세척수를 오물과 함께 캐비닛(10A)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펌프(13A)가 마련된다.
식기 바스켓(20A)들은 세척수가 고이지 않고 통과될 수 있도록 와이어로 이루어진 와이어 랙일 수 있다. 식기 바스켓(20A)들은 세척조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식기 바스켓(20A)의 전면 상측에는 식기 바스켓(20A)의 착탈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23A)가 마련될 수 있다.
식기 바스켓(20A)은 세척조(11A)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식기 바스켓(21A)과, 세척조(11A)의 중심측에 배치되는 제2 식기 바스켓(22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식기 바스켓(21A)은 세척조(11A)의 바닥판(11Ab)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고정 레일(41A)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고정 레일(41A)은 세척조(11A)의 좌우측벽(11Ad,11Ae)에 세척조(11A)의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 식기 바스켓(21A)의 양측에는 고정 레일(41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고정 롤러(53A)가 설치된다.
따라서, 제1 식기 바스켓(21A)의 고정 롤러(53A)가 고정 레일(41A)에 결합되어 제1 식기 바스켓(21A)을 세척조(11A)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착탈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한편, 세척조(11A)의 중심측에 배치되는 제2식기 바스켓(22A)은 세척조(11A)의 중심측에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42A)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42A)은 세척조(11A)의 좌우측벽(11Ad,11Ae)에 전후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식기 바스켓(22A)의 양측면에는 가이드 레일(42A)과의 결합을 위한 가이드 유닛(50A)이 마련된다. 가이드 유닛(50A)은 제2 식기 바스켓(22A)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가이드 브라켓(51A)과, 가이드 브라켓(51A)에 형성되는 가이드 롤러(52A)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식기 바스켓(22A)의 가이드 롤러(52A)가 가이드 레일(42A)에 결합되어 제2 식기 바스켓(22A)을 세척조(11A)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착탈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한편, 분사 유닛(200A)은 고압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식기를 세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분사 유닛(200A)은 세척조(11A)의 상부벽(11Ac)에 마련되며, 회전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는 회전 노즐(16A)과, 세척조(11A)의 하부에 마련되는 제1분사 유닛(210A)과, 세척조(11A)의 중심부에 배치되며 제2 식기 바스켓(22)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분사 유닛(220A)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의 회전 노즐(16A)은 제2 식기 바스켓(22A)의 상측에서 수압에 의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아래 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 노즐(16A)의 하단에는 복수의 분사홀들(16Aa)이 마련될 수 있다. 회전 노즐(16A)은 제2 식기 바스켓(22A)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직접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제1분사 유닛(210A)은 세척조(11A)의 일측에 고정되어 마련되는 것으로, 제1분사 유닛(210A)은 세척조(11A)의 후벽(11Aa)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세척조(11A)의 전방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분사 유닛(210A)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직접 식기를 향하지 않을 수 있다.
제1분사 유닛(210A)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제1 반사유닛(110A)에 의해 제1식기 바스켓(21A)의 식기 측으로 반사될 수 있다. 제1 분사유닛(210A)은 세척조(11A) 후벽(11Aa)에서 전방을 향해 마련되는 제1고정 노즐(211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사유닛(110A)은 제1고정 노즐(211A)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제1 식기 바스켓(21A)의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베인(111A)을 포함한다. 베인(111A)은 세척조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베인(111A)의 길이 방향 일단부는 세척조(11A)의 좌측벽(11Ad)에 인접하고, 베인(111A)의 길이 방향 타단부는 세척조(11A)의 우측벽(11Ae)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베인(111A)은 제1고정 노즐(211A)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 방향을 따라 선형 왕복 이동 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베인(111A)은 제1레인(112A)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이러한 제1고정 노즐(211A)과 베인(111A)을 포함하는 선형 분사 구조는 세척조(11A) 하단에서 상측 방향으로 사각 지대 없이 세척조(11A)의 전 영역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여, 회전 노즐(16A)의 회전 반경 범위 내에서만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는 것과 차별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조(11A)의 중심측에는 제2식기바스켓(22A)이 위치될 수 있다.
제2식기바스켓(22A)에는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제2분사유닛(220A)과, 제2 분사유닛(220A)으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를 식기 방향으로 반사시키도록 마련되는 제2 반사유닛(120A)이 설치될 수 있다.
제2 분사유닛(220A)은 세척조(11A)의 후벽(11Aa)에 마련되는 제2고정 노즐(221A)과, 제2고정 노즐(221A)에 연결되도록 제2 식기 바스켓(22A)의 후방에 설치되는 분사 케이스(22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고정 노즐(221A)은 세척조(11A)의 후벽(11Aa)에 고정되어 세척수를 세척조(11A)분사하도록 마련된다. 분사 케이스(222A)의 후면에는 제2고정노즐(221A)이 연결되기 위한 고정노즐 연결부(224A)가 형성된다. 분사 케이스(222A)는 제2 식기 바스켓(22A)의 후면에 배치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사 케이스(222A)는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분사 바디(240A)와, 분사 바디(240A)의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분사노즐(230A)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사 케이스(222A)의 하측에는 분사 바디(240A)와의 연결을 위해 전방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분사 바디 연결부(223A)가 마련될 수 있다.
분사노즐(230A)은 분사 바디(240A)의 좌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노즐(231A)과, 분사 바디(240A)의 우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노즐(232A)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분사 바디(240A)의 좌측 즉, 세척조(11A)의 중심으로부터 좌측벽(11Ad)을 향하는 방향을 제1방향(A)으로 하고, 분사 바디(240A)의 우측 즉, 세척조(11a)의 중심으로부터 우측벽(11Ae)을 향하는 방향을 제2방향(B)이라 한다.
따라서, 분사 노즐(230A)은 제1방향(A)을 향해 형성되는 제1노즐(231A)과, 제2방향(B)을 향해 형성되는 제2노즐(232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노즐(231A)과 제2노즐(232A)은 분사 바디(240A)의 좌우측에 복수개로 형성되며, 서로 대칭되어 배치될 수 있다.
분사 노즐(230A)이 형성되는 분사 바디(240A)의 내부에는 후술하게 되는 분사유로(700A)가 형성될 수 있다.(도 8 참고)
또한, 제2분사유닛(220A)은 제1노즐(231A)과 제2노즐(232A)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유로전환유닛(600A)을 포함할 수 있다.
유로전환유닛(600A)은 분사 케이스(222A)와 분사 바디(240A)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분사 바디(240A)의 후단에는 분사 케이스(222A)의 분사 바디 연결부(223A)에 대응되는 분사 케이스 연결부(241A)가 형성된다. 유로전환유닛(600A)은 분사바디(240A)의 분사케이스 연결부(241A)와 분사 케이스(222A)의 분사 바디 연결부(223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분사유닛(220A)의 유로전환유닛(600A)은 유로전환부재(610A)와, 유로전환홀더(620A), 그리고 실링부재(630A)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전환부재(610A)는 분사유로(700A)를 개폐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유로전환부재(610A)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로전환부재(610A)는 분사유로(700A)로의 완벽한 밀폐를 위해 그 외측이 고무 등을 포함하는 실링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로전환부재(610A)는 일측 단부는 유로전환회전축(612A)이 마련되고, 타측 단부는 유로전환이동축(613A)이 마련된다.
유로전환부재(610A)의 유로전환회전축(612A)은 분사 바디(240A)의 회전축 고정홈(243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유로전환부재(610A)는 유로전환회전축(612A)을 중심으로 유로전환이동축(613A)이 회전하면서 분사유로(700A)를 개폐할 수 있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유로전환부재(610A)의 유로전환이동축(613A)은 유로전환홀더(620A)에 고정된다. 유로전환홀더(620A)는 중심의 이동 슬릿(623A)을 기준으로 제1방향(A)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가압부(621A)와, 제2방향(B)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가압부(622A)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전환이동축(613A)은 제1가압부(621A)와 제2가압부(622A)에 의해 제1방향(A) 또는 제2방향(B)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유로전환이동축(613A)의 이동에 의해 유로전환부재(610A)는 유로전환회전축(612A)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된다.
예를 들어, 유로전환홀더(620A)의 제1가압부(621A)가 제2방향(B)으로 가압되면 유로전환부재(610A)는 유로전환회전축(612A)을 중심으로 유로전환이동축(613A)이 제2방향(B)으로 회전되면서 이동되고, 제2가압부(622A)가 제1방향(A)으로 가압되면 유로전환부재(610A)는 유로전환회전축(612A)을 중심으로 유로전환이동축(613A)은 제1방향(A)으로 회전되어 이동되게 된다.
한편, 분사바디(240A)의 분사케이스 연결부(241A)에는 유로전환홀더(620A)가 설치되기 위한 홀더 설치부(242A)가 형성된다. 홀더 설치부(242A)는 분사바디(240A)의 좌우측에 각각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분사바디(240A)와 분사 케이스(222A) 사이에는 분사유로(700A)로의 완벽한 실링을 위한 실링부재(630A)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2분사유닛(220A)은 제2식기 바스켓(22A)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분사유닛(220A)을 통해 세척조(11A)의 제1방향(A)과 제2방향(B)으로 분사되는 세척수는 제2식기 바스켓(22A)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반사유닛(120A)을 통해 상측의 식기로 반사될 수 있다.
제2반사유닛(120A)은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베인유닛(121A)을 포함한다. 베인유닛(121A)은 분사노즐(230A)의 제1노즐(231A)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를 반사시키도록 배치되는 제1베인(121Aa)과, 제2노즐(232A)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를 반사시키도록 배치되는 제2베인(121A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베인(121Aa)과 제2베인(121Ab)의 길이 방향 일단부는 세척조(11A)의 선단과 인접하고, 타단부는 세척조(11A)의 후단과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베인(121Aa)과 제2베인(121Ab)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베인(121Aa)과 제2베인(121Ab)은 서로 연결되어 연동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베인(121Aa)과 제2베인(121Ab)은 제1노즐(231A)과 제2노즐(232A)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를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면(122A,123A)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제1베인(121Aa)은 제1반사면(122A)을 포함하고, 제2베인(121Ab)은 제2반사면(123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베인(121Aa)과 제2베인(121Ab)은 베인 연결부(124A)에 의해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베인 연결부(124A)는 제1베인(121Aa)과 제2베인(121Ab)의 단부를 연결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베인 연결부(124A)는 제1베인(121Aa)과 제2베인(121Ab)의 선단을 연결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베인(121Aa)은 세척조(11A)의 제1방향(A)과 제1방향(A)과 반대측을 향하는 제2방향(B)을 따라 왕복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베인(121Ab)은 제1베인(121Aa)을 따라 세척조(11A)의 제1방향(A)과 제2방향(B)으로 왕복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베인(121Aa)과 제2베인(121Ab) 사이에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지지리브(127A)가 설치될 수 있다. 지지리브(127A)는 제1베인(121Aa)과 제2베인(121Ab)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된다. 지지리브(127A)는 제1베인(121Aa)과 제2베인(121Ab)의 이동 시 간격을 유지하고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리브는 두 개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지지리브의 개수는 베인유닛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2반사유닛(120A)은 베인유닛(121A)을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모터 어셈블리(400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어셈블리(400A)는 분사 케이스(222A)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400A)는 세척조(11A)의 후벽(11Aa)에 고정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401A)와, 모터(401A)의 모터축(402A)에 연결되는 제1기어부(411A)와, 제1기어부(411A)에 결합되어, 모터(401A)의 구동력을 제2반사유닛(120A)의 베인유닛(121A)에 전달하도록 마련되는 제2기어(131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기어부(411A)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외주면에 제1기어(411Aa)가 형성된다. 제1기어부(411A)의 후단에는 세척조(11A)에 고정된 모터(401A)와 결합되기 위한 모터연결부(412A)가 형성된다.
세척조(11A)의 후벽(11Aa)에는 모터(401A)를 설치하기 위한 모터 설치부(410A)가 마련될 수 있다.
모터 설치부(410A)는 세척조(11A)의 후벽(11Aa) 중심에 위치될 수 있으며, 제2고정노즐(221A) 보다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모터 설치부(410A)는 제2고정노즐(221A)로부터 하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조(11A) 후벽(11Aa)에 형성된 모터 설치부(410A)의 모터(401A)에 제1기어부(411A)의 모터연결부(412A)가 결합되어 모터(401A)의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제1기어부(411A)의 제1기어(411Aa)는 제2기어(131A)에 전달되어 제2반사유닛(120A)의 제1베인(121Aa)과 제2베인(121Ab)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모터 어셈블리(400A)의 제2기어(131A)는 제2반사유닛(120A)에 형성될 수 있다.
제1베인(121Aa)과 제2베인(121Ab)의 후단에는 모터 어셈블리(400A)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제1베인(121Aa)과 제2베인(121Ab)을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이동 레일(130A)이 설치될 수 있다. 제2기어(131A)는 이동 레일(130A)에 형성될 수 있다. 제2기어(131A)는 이동 레일(130A)의 저면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반사유닛(120A)은 제1베인(121Aa)과 제2베인(121Ab)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레일 어셈블리(300A)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 어셈블리(300A)는 제2분사유닛(220A)의 분사 케이스(222A)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레일 어셈블리(300A)는 레일(310A)과, 레일(310A)이 설치되도록 마련되는 홀더 유닛(500A)을 포함할 수 있다.(도 4 참고)
레일(310A)은 홀더유?(500A)에 연결되어 마련되고, 그 길이를 연장하도록 마련되는 연장레일(311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레일(310A)은 세척조(11A)의 제1방향(A) 및 제2방향(B)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다. 레일(310A)은 제2반사유닛(120A)의 제1베인(121Aa)과 제2베인(121Ab)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레일(310A)은 세척조(11A)의 선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레일(310A)이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홀더 유닛(500A)은 레일(310A)을 제2식기 바스켓(22A)의 저면에 연결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홀더 유닛(500A)은 선단부에 위치하는 레일(310A)과 후단부에 위치하는 레일(310A) 사이를 연결하는 홀더 프레임(530A)과, 홀더 프레임(530A)의 선단에 위치되는 프론트 홀더(510A)와, 홀더 프레임(530A)의 후단에 위치되는 리어 홀더(520A)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홀더(510A)와 리어 홀더(520A)는 홀더 프레임(530A)의 양측 단부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홀더(510A)와 리어 홀더(520A)의 상단에는 제2식기 바스켓(22A)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511A,521A)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홀더 유닛(500A)의 프론트 홀더(510A)는 제2식기 바스켓(22A)의 선단과 결합홈(511A)에 의해 연결되고, 리어 홀더(520A)는 제2식기 바스켓(22A)의 후단과 결합홈(521A)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분사 케이스(222A)는 그 하부에 마련되는 기어 브라켓(420A)과, 기어 브라켓(420A)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기어브라켓 커버(421A)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기어 브라켓(420A)은 분사 케이스(222A)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기어 브라켓(420A)은 분사 케이스(222A)의 하부에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기어 브라켓(420A)은 모터 어셈블리(400A)의 제1기어부(411A)가 설치되도록 마련된다. 기어 브라켓(420A)에는 제1기어부(411A)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기어부 수용홈(424A)이 형성될 수 있다.
기어 브라켓(420A)과 기어브라켓 커버(421A)는 고정홈(425A)과 고정돌기(426A)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기어 브라켓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기어 브라켓 커버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기어 브라켓과 기어 브라켓 커버는 볼트, 후크 등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조립할 수도 있다.
기어브라켓 커버(421A)는 제1기어부(411A)가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회전 지지부(427A)를 포함한다.
또한, 기어 브라켓(420A)에는 레일(310A)이 설치될 수 있는 레일 설치부(423A)가 형성될 수 있다.(도 7 참고)
한편, 레일 설치부(423A)에 설치되는 레일(310A)에는 제2반사유닛(120A)의 베인 유닛(121A)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이렇게, 제2분사유닛(220A)의 분사 케이스(222A)에 레일 어셈블리(300A)의 레일(310A)이 설치되고, 레일 어셈블리(300A)의 홀더유닛(500A)에 의해 제2반사유닛(120A)은 제2식기 바스켓(22A)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분사 케이스(222A)의 고정노즐 연결부(224A)는 제2고정노즐(221A)에 대응되고, 분사 케이스(222A)의 하측에 마련되는 기어 브라켓(420A) 제1기어부(411A)의 모터연결부(412A)는 세척조(11A) 모터 설치부(410A)에 설치된 모터(401A)에 대응되도록 마련된다.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분사유닛(220A)의 분사유로(700A)는 다음과 같다.
제2분사유닛(220A)의 분사유로(700A)는 분사 케이스(222A)에 연결되는 분사바디(240A)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분사 바디(240A)의 내부에는 제1분사유로(710A)와 제2분사유로(720A)가 마련된다. 제1분사유로(710A)는 분사유로(700A)로 공급되는 세척수가 제1노즐(231A)을 통해 분사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2분사유로(720A)는 분사유로(700A)로 공급되는 세척수가 제2노즐(232A)을 통해 분사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분사유로(710A)와 제2분사유로(720A)는 격벽(730A)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분사 바디(240A)의 내부에는 세척조(11A)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격벽(730A)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격벽(730A)을 중심으로 제1노즐(231A) 측에는 제1분사유로(710A)가 형성되고, 제2노즐(232A) 측에는 제2분사유로(720A)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분사유로(710A)와 제2분사유로(720A) 중 어느 하나의 분사유로(700A)로 세척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유로전환유닛(600A)이 마련된다.
유로전환유닛(600A)은 분사 바디(240A)의 후단, 즉 격벽(730A)의 후단에 배치될 수 있다. 유로전환유닛(600A)은 유로전환부재(610A)와, 유로전환홀더(620A)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전환부재(610A)는 분사유로(700A)를 개폐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유로전환부재(610A)는 일측 단부는 유로전환회전축(612A)이 마련되고, 타측 단부는 유로전환이동축(613A)이 마련된다.
유로전환부재(610A)의 유로전환회전축(612A)은 분사 바디(240A)의 회전축 고정홈(243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유로전환부재(610A)의 회전축 고정홈(243A)은 격벽(730A)의 단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유로전환부재(610A)는 유로전환회전축(612A)을 중심으로 유로전환이동축(613A)이 회전하면서 제1분사유로(710A)와 제2분사유로(720A) 중 어느 하나를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때, 유로전환부재(610A)의 유로전환이동축(613A)은 유로전환홀더(620A)에 고정된다. 유로전환홀더(620A)는 중심의 이동 슬릿(623A)을 기준으로 제1방향(A)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가압부(621A)와, 제2방향(B)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가압부(622A)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전환이동축(613A)은 제1가압부(621A)와 제2가압부(622A)에 의해 제1방향(A) 또는 제2방향(B)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유로전환이동축(613A)의 이동에 의해 유로전환부재(610A)는 유로전환회전축(612A)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된다.
유로전환홀더(620A)의 제1가압부(621A)와 제2가압부(622A)는 제1베인(121Aa)과 제2베인(121Ab)의 이동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하게 된다.
예를 들어, 유로전환홀더(620A)의 제1가압부(621A)가 제2방향(B)으로 가압되면 유로전환부재(610A)는 유로전환회전축(612A)을 중심으로 유로전환이동축(613A)이 제2방향(B)으로 회전되면서 이동되고, 제2가압부(622A)가 제1방향(A)으로 가압되면 유로전환부재(610A)는 유로전환회전축(612A)을 중심으로 유로전환이동축(613A)은 제1방향(A)으로 회전되어 이동되게 된다.
이때, 제1베인(121Aa)과 제2베인(121Ab)에는 센서유닛(800)이 마련될 수 있다. 센서유닛(800)은 제1베인(121Aa)과 제2베인(121Ab)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한편, 제1베인과 제2베인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어셈블리(400A)에 의해 이동되도록 마련된다.
제2식기 바스켓(22A)의 하부에 마련되는 제2반사유닛(120A)은 모터 어셈블리(400A)에 의해 모터(401A)의 동력을 전달받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세척조(11A) 후벽(11Aa)에 설치되는 모터(401A)가 회전하면 모터연결부(412A)에 의해 연결된 제1기어부(411A)가 회전하고, 제1기어부(411A)의 회전에 의해 제1기어(411Aa)는 회전하게 된다.
제1기어(411Aa)에 맞물려 연결되는 제2기어(131A)는 제1기어(411Aa)의 회전에 의해 레일(310A)을 따라 제1방향(A) 및 제2방향(B)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2기어(131A)는 제1베인(121Aa)과 제2베인(121Ab) 사이를 연결하는 이동레일(310A)의 저면에 형성된다.
이때, 제1베인(121Aa)과 제2베인(121Ab)은 레일(310A)에 레일 결합부(132A)를 통해 이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렇게, 제2기어(131A)의 이동에 의해 제1베인(121Aa)과 제2베인(121Ab)은 세척조(11A)의 제1방향(A)과 제2방향(B)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베인(121Aa)과 제2베인(121Ab)의 이동은 센서유닛(800)에 의해 위치가 감지되어 제어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유닛(600A)에 의한 유로전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제2고정노즐(221A)을 통해 세척수가 공급되면 분사 케이스(222A) 및 분사 바디(240A)의 내부로 세척수가 공급된다.
분사 바디(240A)의 내부로 공급되는 세척수는 분사유로(700A) 중 유로전환유닛(600A)의 유로전환부재(610A)에 의해 개방된 상태의 제2분사유로(720A)로 유입되어 제2노즐(232A)을 통해 분사된다.
제2노즐(232A)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는 제2베인(121Ab)의 제2반사면(123A)에 반사되어 상측의 제2식기 바스켓(22A)내의 식기로 분사된다.
이때, 제2베인(121Ab)은 모터 어셈블리(400A)에 의해 레일(310A)을 따라 제2방향(B)으로 이동하면서 제2노즐(232A)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를 식기측으로 반사시킨다.
이렇게, 제2베인(121Ab)이 제2방향(B)으로 이동하면 제2베인(121Ab)과 연동하는 제1베인(121Aa)도 제2방향(B)으로 이동한다.(도 11 참고)
제1베인(121Aa)이 제2방향(B)으로 이동하여 제1노즐(231A) 측으로 가까이 이동하면서 제1베인(121Aa)은 유로전환홀더(620A)의 제1가압부(621A)를 가압한다.
제1가압부(621A)가 가압되어 제2방향(B)으로 이동하면서 유로전환홀더(620A)의 유로전환이동축(613A)이 유로전환회전축(612A)을 중심으로 제2방향(B)으로 이동한다.
유로전환부재(610A)는 제2분사유로(720A)를 막고 제1분사유로(710A)를 개방하게 된다.
세척수는 개방된 제1분사유로(710A)로 유입되어 제1노즐(231A)을 통해 분사된다.
제1노즐(231A)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는 제1베인(121Aa)의 제1반사면(122A)에 반사되어 상측의 제2식기 바스켓(22A)내의 식기로 분사된다.
이때, 제1베인(121Aa)은 모터 어셈블리(400A)에 의해 레일(310A)을 따라 제1방향(A)으로 이동하면서 제1노즐(231A)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를 식기측으로 반사시키게 된다.
한편, 제1베인(121Aa)과 제2베인(121Ab)은 센서유닛(800)에 의해 위치가 감지되어 모터(401A)의 구동력을 제어하고, 그에 따라 제1베인(121Aa)과 제2베인(121Ab)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센서유닛(800A)은 제1베인(121Aa)에 마련되는 제1센서부(810A)와 제2베인(121Ab)에 마련되는 제2센서부(82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센서부(810A)는 제1베인(121Aa)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마련되고, 제2센서부(820A)는 제2베인(121Ab)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제1베인(121Aa)과 제2베인(121Ab)의 이동 방향은 센서유닛(800)에 의해 전환되며, 제1방향(A)과 제2방향(B)을 왕복 이동하여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제1베인(121Aa)과 제2베인(121Ab)을 포함하는 제2반사유닛(120A)은 제2식기 바스켓(22A)에 설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2분사유닛(220A)의 제1베인(121Aa)과 제2베인(121Ab)은 식기 세척기(1A)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1식기 바스켓(21A)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반사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반사유닛의 회전베인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6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반사유닛의 회전베인유닛을 이동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 내지 도 19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회전베인유닛의 회전베인의 회전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12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2반사유닛(120B)은 소정 각도로 회전이 가능하여 분사되는 세척수의 이동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2분사유닛(220A)은 분사 케이스(222A)와, 분사 케이스(222A)에 연결되어 내부에 분사유로(700A)가 형성되고, 그 양측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시키기 위한 분사 노즐(230A)이 마련되는 분사 바디(240A)를 포함한다. 분사노즐(230A)은 분사바디(240A)의 좌측과 우측면에 각각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분사노즐(230A)은 제1노즐(231A)과 제2노즐(232A)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사 바디(240A)의 내부에는 분사유로(700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분사유닛(220A)은 제1노즐(231A)과 제2노즐(232A)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유로전환유닛(600A)을 포함할 수 있다.
유로전환유닛(600A)의 구체적인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제2반사유닛(120B)은 소정 각도로 회전이 가능하여 분사되는 세척수의 이동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2분사유닛(220A)을 통해 세척조(11A)의 제1방향(A)과 제2방향(B)으로 분사되는 세척수는 제2식기 바스켓(22A)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반사유닛(120B)을 통해 상측의 식기로 반사될 수 있다.
제2반사유닛(120B)은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을 따라 왕복 선형 이동과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베인유닛(121B)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베인유닛(121B)은 분사노즐(230A)의 제1노즐(231A)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를 반사시키도록 배치되는 제1회전베인(121Ba)과, 제2노즐(232A)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를 반사시키도록 배치되는 제2회전베인(121B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회전베인(121Ba)과 제2회전베인(121Bb)은 서로 연결되어 연동하도록 마련된다. 제1회전베인(121Ba)과 제2회전베인(121Bb)은 베인 연결부(124B)에 의해 연결된다. 제1회전베인(121Ba)과 제2회전베인(121Bb)은 베인 연결부(124B)에 의해 소정 간격 이격되어 마련된다. 베인 연결부(124B)는 제1회전베인(121Ba)과 제2회전베인(121Bb)의 선단부를 연결하도록 마련된다.
제1회전베인(121Ba)과 제2회전베인(121Bb)은 후단부를 연결하는 이동레일(130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레일(130B)은 베인 연결부(124B)에 대응되는 길이로 제1회전베인(121Ba)과 제2회전베인(121Bb)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이동레일(130B)의 저면에는 후술하게 되는 모터어셈블리(400A)의 제1기어(411Aa)에 대응되는 제2기어(131B)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베인 연결부(124B)와 이동레일(130B) 사이에는 보강리브(127B)가 마련될 수 있다. 보강리브(127B)는 베인 연결부(124B)와 이동레일(130B) 사이를 일정 간격으로 연결하도록 마련되며, 제1회전베인(121Ba)과 제2회전베인(121Bb)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베인 연결부(124B)와 이동레일(130B)의 모서리에는 회전베인유닛(121B)을 레일어셈블리(300A)에 이동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베인 홀더(132B)가 마련될 수 있다.
베인 홀더(132B)는 베인 연결부(124B)와 제1회전베인(121Ba)의 연결부위, 베인 연결부(124B)와 제2회전베인(121Bb)의 연결부위, 이동레일(130B)과 제1회전베인(121Ba)의 연결부위, 그리고 이동레일(130B)과 제2회전베인(121Bb)의 연결부위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베인 홀더(132B)는 레일어셈블리(300A)의 레일(310A)이 관통되어 이동하게 형성되는 레일 결합홀(134Bb)과, 회전베인(121Ba,121Bb)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마련되는 회전돌기(133B)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 결합홀(134B)은 베인 홀더(132B)가 레일(310A)을 따라 제1방향(A)과 제2방향(B)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베인 홀더(132B)의 좌우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돌기(133B)는 제1회전베인(121Ba)과 제2회전베인(121Bb)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베인 홀더(132B)의 내측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제1회전베인(121Ba)과 제2회전베인(121Bb)의 길이 방향 일단부는 세척조(11A)의 선단과 인접하고, 타단부는 세척조(11A)의 후단과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회전베인(121Ba)과 제2회전베인(121Bb)의 양 단부에는 베인 홀더(132B)의 회전돌기(133B)에 결합되는 회전돌기 결합홈(122Ba,122Bb)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회전베인(121Ba)과 제2회전베인(121Bb)은 베인 홀더(132B)의 회전돌기(133B)에 양단부의 회전돌기 결합홈(122Ba,122Bb)이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된다.
제1회전베인(121Ba)과 제2회전베인(121Bb)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회전베인(121Ba)과 제2회전베인(121Bb)은 서로 연결되어 연동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1회전베인(121Ba)과 제2회전베인(121Bb)은 분사유닛(220A)으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를 반사시키기 위한 회전반사면(128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회전베인(121Aa)과 제2회전베인(121Ab)은 제1노즐(231A)과 제2노즐(232A)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를 반사시키기 위한 회전반사면(128B)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제1베인(121Aa)은 제1회전반사면(128Ba)을 포함하고, 제2베인(121Ab)은 제2회전반사면(128B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회전베인(121Ba)은 세척조(11A)의 제1방향(A)과 제1방향(A)의 반대측을 향하는 제2방향(B)을 따라 왕복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회전베인(121Bb)은 제1회전베인(121Ba)을 따라 연동하도록 마련된다.
제1회전베인(121Ba)과 제2회전베인(121Bb)은 레일어셈블리(300A)의 레일(310A)을 따라 제1방향(A) 및 제2방향(B)으로 왕복 운동한다.
그리고, 제1회전베인(121Ba)과 제2회전베인(121Bb)은 세척조(11A) 중심부의 분사노즐(230A) 근처에서 회전되게 된다. 제1회전베인(121Ba)과 제2회전베인(121Bb)은 중심에서 분사되는 세척수가 반사되어 세척조(11A)의 중심측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회전베인(121Ba)과 제2회전베인(121Bb)의 회전 위치는 레일어셈블리(300A)의 중심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회전베인이 중심에서 회전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제1회전베인(121Ba)과 제2회전베인(121Bb)은 그 중심에 회전을 가이드 하기 위한 회전가이드홀(125B)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회전베인(121Ba)은 제1회전가이드홀(125Ba)이 형성되고, 제2회전베인(121Bb)은 제2회전가이드홀(125B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분사바디(240A)의 양측에는 회전가이드(270B)가 형성된다. 회전가이드(270B)는 분사바디(240A)의 좌우 양측에 각각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회전가이드(270B)는 분사바디(240A)의 제1노즐(231A)과 제2노즐(232A) 보다 길게 형성된다.
회전가이드(270B)는 외측 단부 상면이 하향으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회전 가이드면(271B)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회전베인(121Ba)의 제1회전가이드홀(125Ba)과 제2회전베인(121Bb)의 제2회전가이드홀(125Bb)에 회전가이드(270B)가 삽입되어 제1회전베인(121Ba)과 제2회전베인(121Bb)을 이동 반대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제1회전베인(121Ba)과 제2회전베인(121Bb)이 회전하게 된다.
한편, 도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전베인(121Ba)과 제2회전베인(121Bb)은 모터어셈블리(400A)에 의해 레일(310A)을 따라 왕복 이동하게 된다.
모터어셈블리(400A)의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모터(401A)의 구동력은 제1기어부(411A)의 제1기어(411Aa)에 전달되고, 제1기어(411Aa)의 회전은 제1기어(411Aa)에 맞물리는 제2기어(131B)를 이동시키게 된다.
제2기어(131B)는 제1기어(411Aa)의 회전에 의해 레일(310A)을 따라 제1방향(A)과 제2방향(B)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2기어(131B)가 형성된 이동레일(130B)에 연결된 제1회전베인(121Ba)과 제2회전베인(121Bb)도 제1방향(A)과 제2방향(B)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회전베인(121Ba)과 제2회전베인(121Bb)의 이동은 센서유닛(800B)에 의해 감지되어 제어될 수 있다. 센서유닛(800B)은 제1회전베인(121Ba)과 제2회전베인(121Bb)의 이동 위치가 감지되도록 홀더 프레임(530A)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회전베인유닛(121B)의 회전 동작은 다음과 같다.
모터(401A)의 회전에 의해 제1기어(411Aa)가 회전하면 제1기어(411Aa)에 맞물려 제2기어(131B)가 제1방향(A)으로 이동한다. 이때, 세척수는 분사바디(240A) 내부의 제2분사유로(720A)로 공급되어 제2노즐(232A)을 통해 분사된다.
제2회전베인(121Bb)은 제1위치(P1)에서 제1각도(θ1)로 이동하게 된다. 제1위치(P1)는 제2회전베인(121Bb)이 회전하지 않는 상태로 이동하는 위치인 것으로 한다. 제1각도(θ1)는 제2회전베인(121Bb)이 회전되지 않는 각도로 한다. 제2회전베인(121Bb)이 회전하지 않는 제1각도(θ1)는 제2노즐(232A)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가 상측으로 반사될 수 있도록 대략 세척수와 수직한 각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회전베인(121Bb)이 제2노즐(232A)측으로 더 이동하여 제2위치(P2)로 이동하면, 회전가이드(270B)는 제2회전베인(121Bb)의 회전 가이드홀(125B)로 삽입된다. 회전가이드(270B)의 회전 가이드면(271B)은 제2회전베인(121Bb)의 후면 하단에 형성되는 회전접촉면(129B)에 접촉되어 제2회전베인(121Bb)을 회전시킨다.
제2회전베인(121Bb)은 회전 돌기(133B)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제2각도(P2)를 형성한다. 제2각도(P2)는 제2노즐(232A)에서 분사되는 세척수가 세척조(11A)의 중심으로 반사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제2회전베인(121Bb)이 세척조(11A)의 제2방향(B)으로 이동하여 제2위치(P2)에서 제1위치(P1)로 이동하면, 제2회전베인(121Bb)은 세척수를 세척조(11A)의 중심으로 반사시키는 제2각도(θ2)에서 세척조(11A)의 상측으로 반사시키는 제1각도(θ1)를 가지도록 회전된다.
한편,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전베인(121Ba)의 동작은 제2회전베인(121Bb)의 이동 및 회전 동작과 동일하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세척수는 분사바디(240A) 내부의 제1분사유로(710A)로 공급되어 제2노즐(232A)을 통해 분사된다.
도 20 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유닛이 설치된 분사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1 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유닛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22 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분사유닛과 유로전환유닛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3 내지 도 24 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유닛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19를 참조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19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유닛(600C)은 분사바디(240A)의 분사케이스 연결부(241A)와 분사 케이스(222A)의 분사 바디 연결부(223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유로전환유닛(600C)은 유로전환부재(610C)와, 유로전환홀더(620C), 그리고 실링부재(630C)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전환부재(610C)는 분사유로(700A)를 개폐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유로전환부재(610C)는 부채꼴 형상의 유로전환판(611C)을 포함할 수 있다.
유로전환판(611C)은 분사유로(700A)로의 완벽한 밀폐를 위해 그 외측이 고무 등을 포함하는 실링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로전환부재(610C)는 전방에 유로전환판(611C)이 마련되고, 후방에는 유로전환판(611C)을 회전시키기 위한 유로전환회전축(612C)이 마련된다.
유로전환회전축(612C)은 분사바디(240A)의 회전축 고정홈(243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회전축 고정홈(243A)은 분사유로(700A)를 제1분사유로(710A)와 제2분사유로(720A)로 구획하기 위한 격벽(730A)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분사바디(240A)의 분사케이스 연결부(241A)에는 유로전환홀더(620C)가 설치되기 위한 홀더 설치부(242A)가 형성된다. 홀더 설치부(242A)는 분사바디(240A)의 좌우 측에 각각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분사바디(240A)와 분사 케이스(222A) 사이에는 분사유로(700A)로의 완벽한 실링을 위한 실링부재(630A)가 마련될 수 있다.
유로전환이동축(613C)은 유로전환홀더(620C)의 중심에 형성된다. 유로전환홀더(620C)는 중심의 이동 슬릿(623C)을 기준으로 제1방향(A)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가압부(621C)와, 제2방향(B)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가압부(622C)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전환이동축(613C)은 제1가압부(621C)와 제2가압부(622C)에 의해 제1방향(A) 또는 제2방향(B)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유로전환이동축(613C)의 이동에 의해 유로전환부재(610C)는 유로전환회전축(612C)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된다.
예를 들어, 유로전환홀더(620C)의 제1가압부(621C)가 제2방향(B)으로 가압되면 유로전환부재(610C)의 유로전환판(611C)은 유로전환회전축(612C)을 중심으로 유로전환이동축(613C)이 제2방향(B)으로 회전되면서 이동되어 제2분사유로(720A)를 폐쇄하고, 제2가압부(622C)가 제1방향(A)으로 가압되면 유로전환부재(610C)의 유로전환판(611C)은 유로전환회전축(612C)을 중심으로 유로전환이동축(613C)은 제1방향(A)으로 회전되어 이동되어 제1분사유로(710A)를 폐쇄하게 된다.
도 23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유닛(600C)에 의한 유로전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제2고정노즐(221A)을 통해 세척수가 공급되면 분사 케이스(222A) 및 분사 바디(240A)의 내부로 세척수가 공급된다.
분사 바디(240A)의 내부로 공급되는 세척수는 분사유로(700A) 중 유로전환유닛(600C)의 유로전환부재(610C)에 의해 개방된 상태의 제1분사유로(710A)로 유입되어 제1노즐(231A)을 통해 분사된다.
제1노즐(231A)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는 제1베인(121Aa)의 제1반사면(122A)에 반사되어 상측의 제2식기 바스켓(22A)내의 식기로 분사된다.
이때, 제1베인(121Aa)은 모터 어셈블리(400A)에 의해 레일(310A)을 따라 제2방향(B)으로 이동하면서 제2노즐(232A)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를 식기측으로 반사시킨다.
한편, 제1베인(121Aa)이 제1노즐(231A)에 근접하면 센서유닛(800C)이 유로전환홀더(620C)의 제1가압부(621C)와 접촉한다. 센서유닛(800C)은 모터 어셈블리(400A)를 제어하여 제1베인(121Aa)의 이동 방향을 전환시킨다.
제1베인(121Aa)의 이동 방향이 전환되어 제1방향(A)으로 이동하면 제2베인(121Ab)도 제1방향(A)으로 이동한다.
제1가압부(621A)가 가압되어 제1방향(A)으로 이동하면서 유로전환홀더(620C)의 유로전환이동축(613C)이 유로전환회전축(612C)을 중심으로 제1방향(A)으로 이동한다.
유로전환부재(610C)는 제2분사유로(710A)를 막고 제1분사유로(710A)를 개방하게 된다.
세척수는 개방된 제1분사유로(710A)로 유입되어 제1노즐(231A)을 통해 분사된다.
제1노즐(231A)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는 제1베인(121Aa)의 제1반사면(122A)에 반사되어 상측의 제2식기 바스켓(22A)내의 식기로 분사된다.
이때, 제1베인(121Aa)은 모터 어셈블리(400A)에 의해 레일(310A)을 따라 제1방향(A)으로 이동하면서 제1노즐(231A)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를 식기측으로 반사시키게 된다.
한편, 제1베인(121Aa)과 제2베인(121Ab)은 센서유닛(800C)에 의해 위치가 감지되어 모터(401A)의 구동력을 제어하고, 그에 따라 제1베인(121Aa)과 제2베인(121Ab)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1베인(121Aa)과 제2베인(121Ab)의 이동 방향은 센서유닛(800C)에 의해 전환되며, 제1방향(A)과 제2방향(B)을 왕복 이동하여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25 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분사유닛과 유로전환유닛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6 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7 내지 도 29 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유닛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24를 참조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24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25 내지 도 2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유닛(600D)은 유로전환모터(700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로전환유닛(600D)은 유로전환유닛(600D)은 분사바디(240A)의 분사케이스 연결부(241A)와 분사 케이스(222A)의 분사 바디 연결부(223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유로전환유닛(600D)은 유로전환부재(610D)와, 실링부재(630D), 그리고 유로전환부재(610D)를 구동시키도록 마련되는 유로전환모터(700D)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전환부재(610D)는 분사유로(700A)를 개폐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유로전환부재(610D)는 판 형성의 유로전환판(611D)을 포함할 수 있다.
유로전환판(611D)은 분사유로(700A)로의 완벽한 밀폐를 위해 그 외측이 고무 등을 포함하는 실링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로전환판(611D)의 일측 단부에는 유로전환판(611D)의 회전시 회전 중심이 되는 유로전환회전축(612D)이 마련된다.
유로전환회전축(612D)은 분사바디(240A)의 회전축 고정홀(243D)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회전축 고정홀(243D)은 분사유로(700A)를 제1분사유로(710A)와 제2분사유로(720A)로 구획하기 위한 격벽(730A)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유로전환유닛(600D)의 실링부재(630D)는 분사바디(240A)와 분사 케이스(222A) 사이에 마련되어 분사유로(700A)를 완벽하게 실링할 수 있다.
한편, 유로전환판(611D)은 유로전환회전축(612D)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유로전환판(611D)을 회전시키도록 마련되는 유로전환모터(700D)는 기어 브라켓커버(241A)의 유로전환모터 설치부(425D)에 설치될 수 있다.
유로전환모터 설치부(425D)에 설치되는 유로전환모터(700D)는 모터축(701D)이 분사바디(240A)의 회전축 고정홀(243D)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유로전환모터(700D)의 모터축(701D)은 유로전환판(611D)의 유로전환회전축(612D)에 연결 설치되어, 유로전환모터(700D)의 회전력을 유로전환판(611D)에 전달할 수 있다.
도 27 내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유닛(600D)에 의한 유로전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제2고정노즐(221A)을 통해 세척수가 공급되면 분사 케이스(222A) 및 분사 바디(240A)의 내부로 세척수가 공급된다.
분사 바디(240A)의 내부로 공급되는 세척수는 분사유로(700A) 중 유로전환유닛(600D)의 유로전환부재(610D)에 의해 개방된 상태의 제1분사유로(710A)로 유입되어 제1노즐(231A)을 통해 분사된다.
이때, 유로전환판(611D)은 제2분사유로(720A)를 폐쇄한다.
제1노즐(231A)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는 제1베인(121Aa)의 제1반사면(122A)에 반사되어 상측의 제2식기 바스켓(22A)내의 식기로 분사된다.
제1베인(121Aa)은 모터 어셈블리(400A)에 의해 레일(310A)을 따라 제2방향(B)으로 이동하면서 제2노즐(232A)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를 식기측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한편, 제1베인(121Aa)이 제1노즐(231A)에 근접하여 센서유닛(800D)과 접촉한다.
센서유닛(800D)은 모터 어셈블리(400A)를 제어하여 제1베인(121Aa)과 제2베인(121Ab)의 이동 방향을 전환하게 한다.
또, 센서유닛(800D)은 유로전환유닛(600D)의 유로전환모터(700D)를 구동시켜 유로전환판(611D)을 회전시킨다.
유로전환판(611D)의 회전에 의해 제2분사유로(720A)는 개방되고 제1분사유로(710A)가 폐쇄된다.
세척수는 개방된 제2분사유로(720A)로 유입되어 제2노즐(232A)을 통해 분사된다.
제2노즐(232A)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는 제2베인(121Ab)의 제2반사면(123A)에 반사되어 상측의 제2식기 바스켓(22A)내의 식기로 분사된다.
따라서, 제1베인(121Aa)과 제2베인(121Ab)의 이동 방향 및 분사유로(700A)의 방향 전환은 센서유닛(800D)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제1베인(121Aa)과 제2베인(121Ab)은 제1방향(A)과 제2방향(B)을 왕복 이동하여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30 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분사유닛과 반사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31 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분사유닛과 유로전환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3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유닛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3 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분사유로에 따른 베인유닛의 이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4 내지 도 37 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유닛의 세척수 분사에 의한 베인유닛의 이동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29를 참조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29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30 내지 도 3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반사유닛(120E)은 분사유닛(220A)에 의해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력에 의해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반사유닛(120E)은 제2분사유닛(220A)을 통해 세척조(11A)의 제1방향(A)과 제2방향(B)으로 분사되는 세척수를 상측의 식기로 반사시키도록 마련된다.
반사유닛(120E)은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베인유닛(121E)을 포함한다. 베인유닛(121E)은 분사노즐(230A)의 제1노즐(231A)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를 반사시키도록 배치되는 제1베인(121Ea)과, 제2노즐(232A)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를 반사시키도록 배치되는 제2베인(121E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베인(121Ea)과 제2베인(121Eb)은 서로 연결되어 연동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베인(121Ea)과 제2베인(121Eb)은 제1노즐(231A)과 제2노즐(232A)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를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면(122E,123E)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제1베인(121Ea)은 제1반사면(122E)을 포함하고, 제2베인(121Eb)은 제2반사면(123E)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반사유닛(120A)은 제1베인(121Ea)과 제2베인(121Eb)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레일 어셈블리(300E)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 어셈블리(300E)는 제2분사유닛(220A)의 분사 케이스(222A)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레일 어셈블리(300E)는 레일(310E)과, 레일(310E)이 설치되도록 마련되는 홀더 유닛(500A)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310E)은 홀더유?(500A)에 연결되어 마련되고, 그 길이를 연장하도록 마련되는 연장레일(311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레일(310E)은 세척조(11A)의 제1방향(A) 및 제2방향(B)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다. 레일(310E)은 제2반사유닛(120A)의 제1베인(121Ea)과 제2베인(121Eb)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한편, 레일 어셈블리(300E)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베인(121Ea)과 제2베인(121Eb)은 유로전환유닛(600E)에 의해 전환되는 제1분사유로(710A)와 제2분사유로(720A) 중 어느 하나로 분사되는 세척수의 수압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유로전환유닛(600E)은 유로전환부재(610E)와, 실링부재(630E), 그리고 유로전환부재(610E)를 구동시키도록 마련되는 유로전환모터(700E)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전환부재(610E)는 분사유로(700E)를 개폐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유로전환부재(610E)는 판 형성의 유로전환판(611E)을 포함할 수 있다.
유로전환판(611E)의 일측 단부에는 유로전환판(611E)의 회전시 회전 중심이 되는 유로전환회전축(612E)이 마련된다. 유로전환회전축(612E)은 분사바디(240A)의 회전축 고정홀(243E)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회전축 고정홀(243E)은 분사유로(700A)를 제1분사유로(710A)와 제2분사유로(720A)로 구획하기 위한 격벽(730A)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유로전환유닛(600D)의 실링부재(630D)는 분사바디(240A)와 분사 케이스(222A) 사이에 마련되어 분사유로(700A)를 완벽하게 실링할 수 있다.
한편, 유로전환판(611E)은 유로전환회전축(612E)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유로전환모터(700E)의 모터축(701E)은 유로전환판(611E)의 유로전환회전축(612E)에 연결 설치되어, 유로전환모터(700E)의 회전력을 유로전환판(611E)에 전달할 수 있다.
도 33 내지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실시예에 따른 유로전환유닛(600E)에 의한 유로전환과 그에 따른 베인유닛(121E)의 이동 동작은 다음과 같다.
제2고정노즐(221A)을 통해 세척수가 공급되면 분사 케이스(222A) 및 분사 바디(240A)의 내부로 세척수가 공급된다. 분사 바디(240A)의 내부로 공급되는 세척수는 분사유로(700A) 중 유로전환유닛(600E)에 의해 개방된 상태의 제2분사유로(720A)로 유입되어 제2노즐(232A)을 통해 분사된다.
유로전환판(611E)은 제1분사유로(710A)를 폐쇄한다.
제2노즐(232A)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는 제2베인(121Eb)의 제2반사면(123E)에 반사되어 상측의 식기로 분사된다.
제2베인(121Ea)은 제2노즐(232A)로 분사되는 세척수의 수압에 의해 레일(310E)을 따라 제2방향(B)으로 이동한다. 제2베인(121Eb)은 제2노즐(232A)로부터 L1 에서 L2로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이때, 제1베인(121Ea)은 제1노즐(231A)로부터 L’1 에서 L’2로 거리가 가까워지게 된다.(도 34 내지 도 35 참고)
한편, 제1베인(121Ea)이 제1노즐(231A)에 가까워져 센서유닛(800E)과 접촉하면, 센서유닛(800E)은 유로전환유닛(600E)의 유로전환모터(700E)를 구동시켜 유로전환판(611E)을 회전시킨다.
유로전환판(611E)의 회전에 의해 제2분사유로(720A)는 폐쇄되고 제1분사유로(710A)는 개방된다.
세척수는 개방된 제1분사유로(710A)로 유입되어 제1노즐(231A)을 통해 분사된다. 제1노즐(231A)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는 제1베인(121Eba)의 제1반사면(122E)을 가압하고 세척수의 수압에 의해 제1베인(121Ea)은 제1방향(A)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38 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분사유닛과 반사유닛을 나타내는 도면, 도 39 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분사유닛과 반사유닛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0 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분사바디와 분사케이스의 연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1 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모터 어셈블리에 의해 이동하는 베인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2 내지 도 45 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베인유닛의 이동에 따른 세척수의 반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37을 참조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7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38 내지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반사유닛(120A)은 모터 어셈블리(400A)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베인유닛(121A)을 포함한다.
한편, 분사유닛(220F)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는 모터 어셈블리(400A)에 의해 좌우 이동하는 베인유닛(121A)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분사유닛(220F)는 분사케이스(220F)와, 분사케이스(222F)의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분사 바디(240F)와, 분사 바디(240F)의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분사노즐(230F)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사 케이스(222F)의 후면에는 제2고정노즐(221A)이 연결되기 위한 고정노즐 연결부(224F)가 형성된다. 분사 케이스(222F)는 분사 케이스(222F)의 하측에는 분사 바디(240F)와의 연결을 위해 전방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분사 바디 연결부(223F)가 마련될 수 있다.
분사노즐(230F)은 분사 바디(240F)의 좌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노즐(231F)과, 분사 바디(240F)의 우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노즐(232F)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분사 바디(240F)의 좌측 즉, 세척조(11A)의 중심으로부터 좌측벽(11Ad)을 향하는 방향을 제1방향(A)으로 하고, 분사 바디(240F)의 우측 즉, 세척조(11a)의 중심으로부터 우측벽(11Ae)을 향하는 방향을 제2방향(B)이라 한다.
그리고, 분사 노즐(230F)이 형성되는 분사 바디(240F)의 내부에는 세척수가 공급되는 분사유로(700F)가 형성될 수 있다.
분사유로(700F)는 제1분사유로(710F)와 제2분사유로(720F)를 포함한다. 제1분사유로(710F)와 제2분사유로(720B)는 격벽(730F)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제1분사유로(710F)는 제1노즐(231F)을 통해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고, 제2분사유로(720F)는 제2노즐(232F)을 통해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된다.
분사바디(240F)와 분사 케이스(222F) 사이에는 실링을 위한 실링부재(630F)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고정노즐(221A)을 통해 분사케이스(222F)로 유입되는 세척수는 분사케이스(222F)에 연결된 분사바디(240F)를 통해 제1분사유로(710F)와 제2분사유로(720F)로 공급되고, 제1노즐(231F)과 제2노즐(232F)로 동시에 분사된다.
제1노즐(231F)과 제2노즐(232F)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는 상시 분사될 수 있다.
제2반사유닛(120A)의 베인유닛(121A)은 레일 어셈블리(300A)와 모터 어셈블리(400A)에 의해 세척조(11A)의 제1방향(A)과 제2방향(B)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레일 어셈블리(300A)의 레일(310A)을 따라 좌우 왕복 이동하는 제1베인(121Aa)과 제2베인(121Ab)은 제1노즐(231F)과 제2노즐(232F)로부터 동시에 분사되는 세척수를 상측의 식기로 분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1 내지 도 4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 케이스(222F)를 통해 분사바디(240F)내부로 공급되는 세척수는 제1분사유로(710F)와 제2분사유로(720F)로 유입된다.
제1분사유로(710F)의 세척수는 제1노즐(231F)을 통해 제1방향(A)으로 분사된다. 제2분사유로(720F)의 세척수는 제2노즐(232F)을 통해 제2방향(B)으로 분사된다. 세척수는 제1노즐(231F)과 제2노즐(232F)을 통해 동시 분사된다.
이때, 베인유닛(121A)은 모터 어셈블리(400A)에 의해 이동이 제어된다.
모터 어셈블리(400A)는 제1베인(121Aa)과 제2베인(121Ab)을 제2방향(B)으로 이동시킨다.
제1베인(121Aa)과 제2베인(121Ab)이 제2방향(B)으로 이동되면, 제1베인(121Aa)은 제1노즐(231F)로부터 d’1 에서 d’2 로 가까워지고, 제2베인(121Ab)은 제2노즐(232F)로부터 d1 에서 d2로 멀어지게 된다.
이러한 제1베인(121Aa)과 제2베인(121Ab)의 이동은 제1노즐(231F)과 제2노즐(232F)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를 반사시켜 각각 상측의 식기측으로 반사하여 공급하게 된다.
한편, 제1베인(121Aa)과 제2베인(121Ab)은 센서유닛(800F)에 의해 이동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제1베인(121Aa)과 제2베인(121Ab)의 이동은 센서유닛(800F)에 의해 감지되어 모터 어셈블리(400A)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한편, 제1베인(121Aa)과 제2베인(121Ab)이 제1방향(A)으로 이동시에도 제1노즐(231F)과 제2노즐(232F)에는 상시로 세척수가 분사된다.
도 46 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분사유닛과 반사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47 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반사유닛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8 내지 도 49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모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0 내지 도 51 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모터 어셈블리의 구동에 따른 반사유닛의 이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46을 참조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46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46 내지 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7실시예에 따른 반사유닛(120G)을 구동시키도록 마련되는 모터 어셈블리(400G)는 세척조(11A)의 후벽(11Aa)에 설치된 모터설치부(410G)의 모터(401G)와, 모터(401G)의 동력을 전달하도록 마련되는 벨트어셈블리(500G)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분사유닛(220A)은 세척조(11A)의 후벽(11Aa)에 마련되는 제2고정 노즐(221A)과, 제2고정 노즐(221A)에 연결되도록 제2 식기 바스켓(22A)의 후방에 설치되는 분사 케이스(22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고정 노즐(221A)은 세척조(11A)의 후벽(11Aa)에 고정되어 세척수를 세척조(11A)로 분사하도록 마련된다. 분사 케이스(222A)의 후면에는 제2고정노즐(221A)이 연결되기 위한 고정노즐 연결부(224A)가 형성된다.
분사 케이스(222A)는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분사 바디(240A)와, 분사 바디(240A)의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분사노즐(230A)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사 케이스(222A)의 하측에는 분사 바디(240A)와의 연결을 위해 전방이 개구되어 형성되는 분사 바디 연결부(223A)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2반사유닛(120G)은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베인유닛(121G)을 포함한다. 베인유닛(121G)은 분사노즐(230A)의 제1노즐(231A)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를 반사시키도록 배치되는 제1베인(121Ga)과, 제2노즐(232A)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를 반사시키도록 배치되는 제2베인(121G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베인(121Ga)과 제2베인(121Gb)은 서로 연결되어 연동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베인(121Ga)과 제2베인(121Gb)은 베인 연결부(124G)에 의해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베인 연결부(124G)는 제1베인(121Ga)과 제2베인(121Gb)의 단부를 연결하도록 마련된다.
한편, 제2반사유닛(120G)은 베인유닛(121G)을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모터 어셈블리(400G)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400G)는 분사 케이스(222A)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400G)는 세척조(11A)의 후벽(11Aa)에 고정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401G)와, 모터(401G)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베인유닛(121G)에 전달하도록 마련되는 벨트어셈블리(500G)를 포함할 수 있다.
벨트어셈블리(500G)는 모터(401G)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풀리(531Ga) 및 제2풀리(531Gb)와, 제1풀리(531Ga) 및 제2풀리(531Gb)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벨트(510G)와, 벨트(510G)와 베인유닛(121G)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링크(550G)를 포함할 수 있다.
벨트어셈블리(500G)는 세척조(11A)의 후벽(11Aa)에 설치되는 벨트 프레임(501G)에 설치될 수 있다. 벨트 프레임(501G)은 일측은 세척조(11A)의 후벽(11Aa)에 고정되고 타측은 분사 케이스(222A)의 하측에 마련되는 벨트프레임브라켓(229G)에 고정될 수 있다.
벨트 프레임(501G)에는 세척조(11A) 후벽(11Aa)의 모터 설치부(410G)에 설치된 모터(401G)에 대응되는 모터 설치구(502G)가 형성될 수 있다.
벨트 프레임(501G)의 전방에는 벨트(510G)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벨트 레일(507G)이 형성된 벨트 설치부(505G)가 마련될 수 있다. 벨트 설치부(505G)의 양측 단부에는 벨트(510G)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한 제1풀리(531Ga)와 제2풀리(531Gb)가 설치되기 위한 풀리 설치구(506G)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풀리(531Ga)는 모터(401G)와 모터연결부재(540G)를 통해 연결되어 모터(401G)의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1풀리(531Ga)는 벨트(510G)와 연결되어 벨트(510G)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벨트(510G)의 타측 단부는 제2풀리(531G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2풀리(531Gb)는 제2풀리브라켓(541G)에 의해 벨트 설치부(505G)의 풀리설치구(506G)에 설치될 수 있다.
벨트 설치부(505G)의 전방에는 벨트(510G)를 보호하기 위한 벨트 커버(520G)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베인유닛(121G)의 제1베인(121Ga)과 제2베인(121Gb)의 후단에는 모터 어셈블리(400G)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제1베인(121Ga)과 제2베인(121Gb)을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이동레일(130G)이 설치될 수 있다.
이동레일(130G)은 제1베인(121Ga) 후방의 레일 결합부(132G)와 제2베인(121Gb) 후방의 레일 결합부(132G)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된다. 이동레일(130G)은 레일어셈블리(300G)를 보호할 수 있도록 전방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레일(130G)에는 벨트어셈블리(500G)의 벨트(510G)과 연결을 위한 벨트 결합부(133G)가 형성될 수 있다. 벨트 결합부(133G)는 이동레일(130G)의 후면에 소정 위치에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벨트 결합부(133G)는 연결링크(550G)에 의해 벨트(510G)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연결링크(550G)는 일단에 형성되는 제1연결부(551G)와 타단에 형성되는 제2연결부(552G)를 포함한다.
제1연결부(551G)는 이동레일(130G)의 벨트 결합부(133G)에 결합되고, 제2연결부(552G)는 벨트(510G)에 고정된 연결링크 고정부재(560G)에 결합된다.
연결링크(550G)의 제1연결부(551G)와 제2연결부(552G)는 이동레일(130G)의 벨트 결합부(133G)와 벨트(510G)의 연결링크 고정부재(560G)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모터 어셈블리(400G)의 모터(401G)가 회전하면, 모터(401G)에 연결된 제1풀리(531Ga)가 회전하고, 제1풀리(531Ga)의 회전에 의해 벨트(510G)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벨트(510G)에 연결된 연결링크(550G)에 의해 베인유닛(121G)의 이동레일(130G)이 이동 가능하게 된다.
도 52 는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상이한 높이로 설치 가능한 식기바스켓에 설치되는 분사유닛과 반사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53 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반사유닛의 모터어셈블리와 세척조의 구동유닛의 연결을 도시한 도면, 도 54 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구동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5 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구동유닛을 도시한 단면도,도 56 내지 도 57 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구동유닛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51을 참조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51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52 내지 도 5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7실시예에 따른 제2분사유닛(220H)은 제2식기바스켓(22A)의 하부에서 제2분사유닛(220H)으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를 식기측으로 반사시키도록 설치된다.
제2분사유닛(220H)은 세척조(11A) 후벽(11Aa)에 고정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고정노즐(221A)과, 고정노즐(221A)에 연결되도록 제2식기바스켓(22A)에 설치되는 분사케이스(222H)와, 분사케이스(222H)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분사바디(240H)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사케이스(222H)는 그 후면에 복수의 고정노즐 연결구(224H)가 형성되고, 고정노즐연결구(224H)를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를 전방으로 분사하도록 분사바디(240H)에는 제1노즐(231H)과 제2노즐(232H)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노즐연결구(224H)는 세척조(11A)의 제2고정노즐(221A)에 연결되어, 제2고정노즐(221A)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분사케이스(222H) 내부로 유입한다. 분사케이스(222H)의 내부로 유입된 세척수는 분사케이스(222H)의 분사바디 연결부(223H)를 통해 연결된 분사바디(240H)로 공급한다.
한편, 고정노즐연결구(224H)는 제2식기바스켓(22A)의 가변하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이한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노즐연결구(224H)는 분사케이스(222H)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1고정노즐연결구(224Ha)와, 제1고정노즐연결구(224Ha)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고정노즐연결구(224H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식기바스켓(22A)이 제1위치(P1)에 위치 시 제2고정노즐(221A)과 제1고정노즐연결구(224Ha)에 연결되고, 제2식기바스켓(22A)이 제1위치(P1) 보다 높은 제2위치(P2)에 위치 시 제2고정노즐(221A)과 제2고정노즐연결구(224Hb)가 연결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분사케이스(222H)의 내부에는 제1고정노즐연결구(224Ha)와 제2고정노즐연결구(224Hb) 사이를 이동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밸브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분사유닛(220H)의 제2고정노즐(221A)로부터 세척수가 공급되면, 제2고정노즐(221A)과 연결되는 분사케이스(222H)의 제1고정노즐연결구(224Ha)와 제2고정노즐연결구(224Hb)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세척수가 공급되고, 분사노즐(230H)의 제1노즐(231H)과 제2노즐(232H)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세척수가 분사된다.
분사노즐(230H)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는 제2반사유닛(120A)을 통해 상측의 식기로 반사된다.
이때, 제2반사유닛(120A)은 제2식기바스켓(22A)의 하부에 마련되어, 제2식기바스켓(22A)의 설치 높이의 가변 시 제2식기바스켓(22A)과 함께 이동하게 된다.
한편, 제2반사유닛(120A)은 베인유닛(120A)을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모터어셈블리(400A)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유닛(400H)과, 구동유닛(400H)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베인유닛(120A)을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모터어셈블리(400A)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유닛(400H)은 세척조(11A)의 후벽(11Aa)에 마련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400Ha)를 포함한다.
모터(400Ha)는 세척조(11A)의 후벽(11Aa)에 마련되는 모터 설치부(410H)에 설치될 수 있다. 모터(400Ha)는 모터 설치부(410H)의 후방에 배치된다. 모터(400Ha)의 모터축(400Hb)은 모터 설치부(410H)의 회전 지지축(402Ha)에 결합될 수 있다. 모터 설치부(410H)에는 모터(400Ha)가 설치되기 위한 회전 지지축(402Ha)과, 회전 지지축(402Ha)의 상측에 위치하는 회전축(401Ha)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 설치부(410H)에는 모터(400Ha)의 회전력을 모터어셈블리(400A)로 전달하기 위한 제1모터연결부(401H)와 제2모터연결부(402H)가 설치될 수 있다. 제1모터연결부(401H)는 모터 설치부(410H)의 회전축(401Ha)에 설치되고, 제2모터연결부(402H)는 회전 지지축(402Ha)에 설치된다. 제1모터연결부(401H)와 제2모터연결부(402H)는 서로 맞물리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조(11A) 후벽(11Aa)의 모터(400Ha)가 회전하면 모터축(400Hb)에 연결된 제1모터연결부(401H)와 제1모터연결부(401H)에 맞물린 제2모터연결부(402H)는 함께 회전하게 된다.
한편, 모터 설치부(410H)의 전방에는 모터 설치부커버(411H)가 결합될 수 있다. 모터 설치부커버(411H)는 제1,2모터 연결부(401H,402H)를 보호하도록 마련된다. 모터 설치부커버(411H)는 제1모터연결부(401H)와 제2모터연결부(402H)가 모터어셈블리(400A)의 모터연결부(412A)와 연결 가능하도록 관통형성되는 제1설치구(411Ha)와 제2설치구(411Hb)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설치구(411Ha)는 제2설치구(411Hb)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어셈블리(400A)의 모터연결부(412A)는 제2식기바스켓(22A)의 설치 위치에 따라 제1모터연결부(401H)와 제2모터연결부(402H) 중 어느 하나에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모터연결부(412S)가 마련되는 제1기어부(411A)와, 제1기어부(411A)에 맞물려 베인유닛(120A)을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제2기어(131A)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식기바스켓(22A)을 제1위치(P1)에 위치시킬 경우, 제2식기바스켓(22A)의 후방에 마련되는 모터어셈블리(400A)의 모터연결부(412A)는 세척조(11A)의 제1모터연결부(401H)에 결합된다.
제1모터연결부(401H)에 결합된 모터연결부(412A)에 의해 모터(400Ha)의 회전력이 제1기어부(411A)를 통해 베인유닛(120A)으로 전달되고, 제1기어부(411A)의 제1기어(411Aa)와 이동레일(130A)의 제2기어(131A)가 맞물려 이동할 수 있다.
또, 제2식기바스켓(22A)을 제2위치(P2)에 위치시킬 경우, 모터어셈블리(400A)의 모터연결부(412A)는 세척조(11A)의 제2모터연결부(402H)에 결합된다.
제2모터연결부(402H)에 결합된 모터연결부(412A)에 의해 모터(400Ha)의 회전력은 제1기어부(411A)를 통해 베인유닛(120A)으로 전달되고, 제1기어부(411A)의 제1기어(411Aa)와 이동레일(130A)의 제2기어(131A)가 맞물려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2모터연결부(402H)는 모터(400Ha)에 연결된 제1모터연결부(401H)의 회전에 의해 맞물려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도 58 및 도 59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전체 구조를 개괄적으로 설명한다.
식기 세척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캐비닛(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11)와, 식기를 수납하도록 세척조(11)의 내부에 마련되는 식기 바스켓들(20)과, 세척조(11)의 내부에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분사유닛(200)과, 세척조 내부를 이동하며 세척수를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도록 마련되는 반사유닛(100)과, 반사유닛(100)이 이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300)를 포함한다.
캐비닛(10)의 전면은 세척조(11)에 식기를 수납하거나 세척조(11)로부터 식기를 인출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으며, 세척조(11)를 개폐하도록 도어(12)가 설치된다.
도어(12)는 캐비닛(10)의 전면 하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하며 세척조(11)를 개폐한다. 세척조(11)는 상부벽(11c)과, 후벽(11a)과, 좌우측벽(11d,11e)과, 바닥판(11b)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의 세척조(11) 하부에는 세척수를 저수하는 섬프(15)와, 섬프(15)의 세척수를 펌핑하도록 마련되는 순환펌프(14)와, 섬프(15)의 세척수를 오물과 함께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펌프(13)가 마련된다.
식기 바스켓(20)들은 세척수가 고이지 않고 통과될 수 있도록 와이어로 이루어진 와이어 랙일 수 있다. 식기 바스켓(20)들은 세척조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식기 바스켓(20)의 전면 상측에는 식기 바스켓(20)의 착탈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23)이 마련될 수 있다.
식기 바스켓(20)들은 세척조(11)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식기 바스켓(21)과, 세척조(11)의 중심에 배치되는 제2 식기 바스켓(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식기 바스켓(21)은 세척조(11)의 바닥판(11b)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고정 레일(41)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고정 레일(41)은 세척조(11)의 좌우측벽(11d,11e)에 세척조(11)의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 식기 바스켓(21)의 양측에는 고정 레일(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고정 롤러(53)가 설치된다.
따라서, 제1 식기 바스켓(21)의 고정 롤러(53)가 고정 레일(41)에 결합되어 제1 식기 바스켓(21)을 세척조(11)의 전후 방향으로 착탈 할 수 있다.
한편, 세척조(11)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식기 바스켓(22)은 다양한 크기 및 종류의 식기를 수납할 수 있도록 설치 높이가 가변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식기 바스켓(22)을 세척조(11)에 설치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42)은 세척조(11)의 좌우측벽(11d,11e)에 전후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42)은 제2 식기 바스켓(22)을 제1위치(P1)에서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제1가이드 레일(42a)과, 제1가이드 레일(42a)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가이드 레일(42b)을 포함한다. 제2가이드 레일(42b)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식기 바스켓(22)은 제1위치(P1) 보다 상측으로 이격되는 제2위치(P2)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2 식기 바스켓(22)이 제1위치(P1)에 위치할 때는 크기 및 부피가 큰 접시 등의 식기를 수납할 수 있으며, 제2 식기 바스켓(22)이 제1위치(P1) 보다 상측에 위치한 제2위치(P2)에 위치할 때는 크기 및 부피가 작은 그릇 또는 수저 등을 수납할 수 있다.
제2 식기 바스켓(22)의 양측면에는 가이드 레일(42)과의 결합을 위한 가이드 유닛(50)이 마련된다. 가이드 유닛(50)은 제2 식기 바스켓(22)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가이드 브라켓(51)과, 가이드 브라켓(51)의 상측 전후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1가이드 롤러(52a)와 제2가이드 롤러(52b) 그리고 제2가이드 롤러(52b)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3가이드 롤러(52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브라켓(51)은 가이드 레일(42)과 제2 식기 바스켓(22)의 원활한 슬라이딩 이동을 위해 제2 식기 바스켓(22)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1가이드 롤러(52a)와 제2가이드 롤러(52b)는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식기 바스켓(22)의 제1가이드 롤러(52a)와 제2가이드 롤러(52b)가 제1가이드 레일(42a)에 결합되어 이동하면, 제2 식기 바스켓(22)은 제1위치(P1)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2 식기 바스켓(22)의 제1가이드 롤러(52a)와 제2가이드 롤러(52b)가 제2가이드 레일(42b)에 결합되어 이동하면, 제2 식기 바스켓(22)은 제2위치(P2)에 위치한다.
이때, 제3가이드 롤러(52c)는 제1가이드 레일(42a)에 결합되어 제2 식기 바스켓(22)이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분사 유닛(200)은 고압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식기를 세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분사 유닛(200)은 세척조(11)의 상부벽(11c)에 마련되며, 회전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는 회전 노즐(16)과, 세척조(11)의 하부에 마련되는 제1분사 유닛(210)과, 세척조(11)의 중심부에 배치되도록 제2 식기 바스켓(22)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분사 유닛(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의 회전 노즐(16)은 제2 식기 바스켓(22)의 상측에서 수압에 의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아래 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 노즐(16)의 하단에는 복수의 분사홀들(16a)이 마련될 수 있다. 회전 노즐(16)은 제2 식기 바스켓(22)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직접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제1분사 유닛(210)은 세척조(11)의 일측에 고정되어 마련되는 것으로, 제1분사 유닛(210)은 세척조(11)의 후벽(11a)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세척조(11)의 전방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분사 유닛(21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직접 식기를 향하지 않을 수 있다.
제1분사 유닛(21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제1 반사유닛(110)에 의해 제1식기 세척기(1)의 식기 측으로 반사될 수 있다. 제1 분사유닛(210)은 세척조(11) 후벽(11a)에서 전방을 향해 마련되는 제1고정 노즐(2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반사유닛(110)은 제1고정 노즐(211)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제1 식기 바스켓(21)의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제1베인(111)을 포함한다. 제1베인(111)은 세척조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제1베인(111)의 길이 방향 일단부는 세척조(11)의 좌측벽(11d)에 인접하고, 제1베인(111)의 길이 방향 타단부는 세척조(11)의 우측벽(11e)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베인(111)은 제1고정 노즐(211)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 방향을 따라 선형 왕복 이동 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1베인(111)은 제1레인(112)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이러한 제1고정 노즐(211)과 제1베인(111)을 포함하는 선형 분사 구조는 세척조(11) 하단에서 상측 방향으로 사각 지대 없이 세척조(11)의 전 영역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하여, 회전 노즐(16)의 회전 반경 범위 내에서만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는 것과 차별될 수 있다.
도 60 내지 도 6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 세척기(1)의 세척조(11)에 장착 높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 식기 바스켓(22)은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제2 분사유닛(220)과, 제2 분사유닛(220)으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를 식기측 방향으로 반사시키도록 마련되는 제2 반사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분사유닛(220)은 세척조(11)의 후방에 마련되는 제2고정 노즐(221)과, 제2고정 노즐(221)에 연결되도록 제2 식기 바스켓(22)에 일체로 마련되는 분사 케이스(222)를 포함한다.
제2고정 노즐(221)은 세척조(11)의 후벽(11a)에 고정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분사 케이스(222)는 제2 식기 바스켓(22)의 후면에 배치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사 케이스(222)는 그 후방에 복수의 연결구(223a,223b)가 형성되고, 연결구(223a,223b)를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를 전방으로 분사하도록 그 전방에 복수의 노즐(225)이 형성될 수 있다.
분사 노즐(225)은 분사 케이스(222)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세척조(11)의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고, 적어도 한 개 이상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복수의 연결구(223)는 제2 식기 바스켓(22)의 가변하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이한 높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식기 바스켓(22)이 제1위치(P1)에 위치 시 제2고정 노즐(221)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1연결구(223a)와, 제2 식기 바스켓(22)이 제2위치(P2)에 위치 시 제2고정 노즐(221)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2연결구(223b)를 포함한다. 제1연결구(223a)는 제2연결구(223b) 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분사 케이스(222)의 내부에는 제1연결구(223a)와 제2연결구(223b) 사이를 회전 이동하여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밸브(224)가 마련될 수 있다. 밸브(224)는 분사 케이스(222)의 제1연결구(223a)에 제2고정 노즐(221)이 연결되면 하측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여 제1연결구(223a)를 개방하고 제2연결구(223b)를 폐쇄시키고, 제2연결구(223b)와 제2고정 노즐(221)이 연결되면 상측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여 제2연결구(223b)를 개방하고 제1연결구(223a)를 폐쇄한다.
따라서, 제2 분사유닛(220)의 제2고정 노즐(221)로부터 세척수가 분사되면, 제2고정 노즐(221)과 연결되는 분사 케이스(222)의 연결구(223)를 통해 세척수가 공급되고, 분사 노즐(225)을 통해 세척조(11)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세척수가 분사된다.
이렇게, 제2 분사유닛(220)을 통해 전방으로 분사되는 세척수는 제2 식기 바스켓(22)의 하부에 일체로 마련되는 제2 반사유닛(120)을 통해 상측으로 반사된다.
도 62 내지 도 6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반사유닛(120)은 제2 분사유닛(220)으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를 제2 식기 바스켓(22)측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반사유닛(120)은 제2 식기 바스켓(22)의 하부에 일체로 마련되므로, 제2 식기 바스켓(22) 설치 높이의 가변시 제2 식기 바스켓(22)과 함께 이동하게 된다.
한편, 제2 반사유닛(120)은 제2 식기 바스켓(22)의 하부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전달장치(300)는 세척조(11)의 일측에 고정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301)와, 모터(301)의 구동력을 제2 반사유닛(120)에 전달하도록 마련되는 기어 유닛(310)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301)는 세척조(11)의 후벽(11a)에 마련되며, 세척조(11)의 후벽(11a)에는 모터(301)의 모터축(302)이 노출될 수 있도록 모터 설치구(11f)가 형성될 수 있다.
모터(301)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기어 유닛(310)은 제2 식기 바스켓(22)의 후방에 고정될 수 있다. 기어 유닛(310)은 제2 식기 바스켓(22)의 설치 높이 가변 시 함께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기어 유닛(310)은 제2 식기 바스켓(22)에 고정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기어 케이스(300a)와, 기어 케이스(300a) 내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기어(311,312)들을 포함한다.
복수의 기어(311,312)는 상이한 높이로 형성되는 제1기어(311)와, 제1기어(311)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기어(312)와, 제1기어(311)와 제2기어(312)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연결기어(320)를 포함 할 수 있다.
연결기어(320)는 제1기어(311)에 연결되는 제1연결기어(321)와, 제2기어(312)에 연결되는 제2연결기어(322)와, 제1연결기어(321)와 제2연결기어(322)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축(320a)과, 연결축(320a)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제3기어(313)와, 제3기어(313)와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4기어(3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4기어(314)는 후술하게 되는 반사유닛(100)의 구동 풀리(131)와 연결된다.
제3기어(313)와 제4기어(314) 사이에는 모터(301)의 회전력을 감속시키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감속기어(324)가 형성될 수 있다.
제3기어(313)와 제4기어(314) 사이의 감속기어(324)는 제3기어(313)에 연결되는 제1감속기어(324a)와 제1감속기어(324a)와 제4기어(314) 사이를 연결하는 제2감속기어(324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터(301)와 구동 풀리(131) 사이에 2 개의 감속기어가 마련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모터의 성능 및 크기에 따라 감속기어의 개수와 형상은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제1기어(311)는 기어 케이스(300a)의 상측 단부에 배치되고, 제2기어(312)는 제1기어(311)의 하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기어(311)와 제2기어(312)는 제2 식기 바스켓(22)의 제1위치(P1)와 제2위치(P2)에 대응되도록 제1위치(P1)와 제2위치(P2) 만큼의 이격 간격을 갖는다.
따라서, 제2 식기 바스켓(22)이 제1위치(P1)에 위치 시에는 기어 유닛(310)의 제1기어(311)가 모터(301)의 모터축(302)에 결합되고, 제2 식기 바스켓(22)이 제2위치(P2)에 위치 시에는 기어 유닛(310)의 제2기어(312)가 모터(301)의 모터축(302)에 결합되게 된다.
이때, 제1기어(311)에 연결되는 제1연결기어(321)와 제2기어(312)에 연결되는 제2연결기어(322)의 구동력은 연결축(320a)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제3기어(313)에 전달된다.
이렇게, 동력전달장치(300)를 통해 전달되는 모터(301)의 구동력은 제2 반사유닛(120)에 전달되어 제2 반사유닛(120)이 구동되도록 한다.
제2 반사유닛(120)은 세척조(11)의 내부를 이동하면서 제2 분사유닛(220)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도록 마련되는 제2베인(121)과, 제2베인(121)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122)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122)은 제2베인(121)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레일(122)의 저면에는 개구(122a)가 형성되고, 개구(122a)와 연통하는 내부에는 내부 공간(122b)이 형성될 수 있다.
레일(122)의 내부 공간(122b)에는 벨트(140)가 마련된다. 벨트(1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아이들 풀리(180)와 구동 풀리(131)를 포함한다. 구동 풀리(131)는 모터(301)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300)의 제4기어(314)에 연결될 수 있다.
제4기어(314)에는 구동 풀리(131)와 결합되기 위한 회전 샤프트(330)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 샤프트(330)는 제4기어(314)에 마련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구동 풀리와 연결을 위해 마련되는 샤프트는 제3기어와, 제3기어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감속기어 중 하나에 마련될 수도 있다.
제2 반사유닛(120)은 아이들 풀리(180)에 결합되어 선형 왕복 운동하도록 레일(122)의 내부 공간(122b)에 배치되는 벨트 홀더(160)와, 벨트 홀더(160)에 결합되어 선형 왕복 운동하도록 레일(122)의 외부에 배치되고 제2베인(121)이 결합되는 베인 홀더(150)와, 구동 풀리(13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레일(122)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리어 홀더(130)와, 아이들 풀리(18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레일(122)의 전담부에 결합되는 프런트 홀더(190)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122)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레일(122)은 세척조(11)의 전 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레일(122)의 내부 공간(122b)에는 벨트(140)가 배치되어 벨트(140)가 세척조(11) 내부에서 식기 등과 접촉하여 구동을 방해 받거나 세척수에 접촉하여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벨트(140)는 구동 풀리(131)와 아이들 풀리(180)에 감겨 폐곡선을 형성하고, 동력전달장치(300)의 모터(301)의 회전 방향에 따라 회전 운동 할 수 있다. 벨트 홀더(160)는 벨트(140)와 마찬가지로 레일(122)의 내부 공간(122b)에 배치되고, 벨트(140)의 치형(141)에 결합되어 벨트(140)와 함께 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 벨트 홀더(160)에는 벨트(140)의 치형(141)에 대응되는 형상의 치형 결합부(164)가 형성될 수 있다.
또, 벨트 홀더(160)는 레일(122)에 지지되기 위한 복수의 레그들(160a,160b)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레그들(160a,160b)은 측방으로 돌출되어 레일(122)의 측벽에 지지되는 측방 레그들(160a)과, 하방으로 돌출되어 레일(122)의 하벽에 지지되는 하방 레그들(160b)을 포함할 수 있다.
측방 레그들(160a)은 벨트 홀더(160)의 이동 시에 레일(122)과의 충돌 및 마찰로 인한 소음 및 진동을 저감하고 벨트 홀더(160)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측방 레그들(160a)은 일종의 판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벨트 홀더(160)는 베인 홀더(150)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부(161)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161)는 체결부재(152)가 삽입되는 체결홀(151)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인 홀더(150)는 벨트 홀더(160)에 결합되어 벨트 홀더(160)와 함께 운동하며 벨트 홀더(160)의 구동력을 제2베인(121)에 전달한다. 베인 홀더(150)는 세척조(11)의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레일(122)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마련된다.
베인 홀더(150)는 레일(122)의 개구(122a)를 통해서 벨트 홀더(160)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베인 홀더(150)는 벨트 홀더(160)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홀(151)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베인 홀더(150)의 체결홀(151)과 벨트 홀더(160)의 체결홀(151)에 체결부재(152)를 체결함으로써 베인 홀더(150)와 벨트 홀더(160)를 결합할 수 있다.
체결부재(152)는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진행하며 베인 홀더(150)의 체결홀(151)과 벨트 홀더(160)의 체결홀(162)에 차례로 체결될 수 있다.
구동 풀리(131)는 동력전달장치(300)의 회전 샤프트(330)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도록 마련되는 회전축(131a)과, 벨트(140)가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벨트 결합부(132)를 포함한다.
리어 홀더(130)는 구동 풀리(13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레일(122)의 후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아이들 풀리(180)는 회전축(181)과, 벨트(140)가 결합되는 벨트 결합부(182)를 포함한다.
프런트 홀더(190)는 레일(122)의 전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프런트 홀더(190)는 레일(1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아이들 풀리(18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풀리 브라켓(191)을 포함할 수 있다.
풀리 브라켓(191)은 아이들 풀리(180)의 회전축(181)을 지지하는 풀리 지지면(192)을 포함한다.
이러한, 레일(122), 벨트(140), 구동 풀리(131), 리어 홀더(130), 아이들 풀리(180), 프런트 홀더(190)는 벨트(140)의 장력에 의해 상호 조립될 수 있다.
벨트(140)의 장력에 의해 구동 풀리(131)가 레일(122)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이 힘은 리어 홀더(130)의 풀리 지지면(192)을 통해 리어 홀더(130)에 전달되어서, 결과적으로 리어 홀더(130)가 레일(122)의 후단부에 밀착 결합하게 된다.
또, 벨트(140)의 장력에 의해 아이들 풀리(180)가 레일(122)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이 힘은 프런트 홀더(190)의 풀리 지지면(192)을 통해 프런트 홀더(190)에 전달되어서, 결과적으로 프런트 홀더(190)가 레일(122)의 전단부에 밀착 결합되게 된다.
한편, 프런트 홀더(190)는 벨트(140)의 장력 유지를 위한 탄성부재(19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93)의 일단부는 프런트 홀더(190)에 지지되고, 탄성부재(193)의 타단부는 풀리 브라켓(191)에 지지될 수 있다. 탄성부재(193)는 압축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93)의 탄성력에 의해 풀리 브라켓(191)은 레일(12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때, 풀리 브라켓(191)은 벨트(140)의 장력에 의해 레일(122)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으므로, 풀리 브라켓(191)은 벨트(140)의 장력과 탄성부재(193)의 탄성력이 균형을 이루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즉, 벨트(140)가 늘어나서 장력이 감소되고 탄성부재(193)의 탄성력이 벨트(140)의 장력 보다 크게 되면, 풀리 브라켓(191)은 탄성부재(193)의 탄성력에 의해 레일(12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같이 풀리 브라켓(191)이 레일(12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벨트(140)가 다시 팽팽하게 당겨져서 벨트(140)의 장력이 회복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열 팽창에 의해 벨트(140)가 늘어나는 경우에도 풀리 브라켓(191)이 이동하여 벨트(140)를 당겨줌으로써 벨트(140)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고, 그에 따른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프런트 홀더(190)에는 제2 반사유닛(120)을 제2 식기 바스켓(22)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고정 브라켓(194)이 마련될 수 있다. 고정 브라켓(194)은 프런트 홀더(190)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제1브라켓(194a)과, 제1브라켓(194a)으로부터 절곡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브라켓(194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브라켓(194b)에는 제2 식기 바스켓(22)과 고정을 위한 고정홀(194c)이 형성된다. 고정홀(194c)은 제2 식기 바스켓(22)의 하단에 제2브라켓(194b)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가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반사유닛(120)은 고정 브라켓에 의해 식기 바스켓에 고정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2반사유닛은 식기 바스켓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세척조(11)에 장착되는 제2 식기 바스켓(22)은 결합되는 가이드 레일(42)의 위치에 따라 제1위치(P1)와 제2위치(P2)로 가변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제2 식기 바스켓(22)에 고정되는 분사 케이스(222)와 기어 유닛(310)은 제2 식기 바스켓(22)의 위치 가변에 의해 함께 이동되어 세척조(11) 내에서 위치가 가변되게 된다.
이때, 분사 케이스(222)와 기어 유닛(310)은 세척조(11) 후벽에 고정되어 마련되는 고정 노즐(211)과 모터축(302)에 연결되어야 한다.
도 6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 케이스(222)는 제2 식기 바스켓(22)의 설치 위치에 따라 분사 케이스(222) 후방의 제1연결구(223a)와 제2연결구(223b)에 각각 삽입 또는 분리되도록 마련된다.
또, 기어 유닛(310)의 제1기어(311)와 제2기어(312) 역시 제2 식기 바스켓(22)의 설치 위치에 따라 모터축(302)에 각각 삽입 또는 분리되도록 마련된다.
이때, 분사 케이스(222)의 제1연결구(223a)와 제2연결구(223b)의 형성 위치는 기어 유닛(310)의 제1기어(311)와 제2기어(312)의 형성 위치와 수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 식기 바스켓(22)이 제1위치(P1)에 위치하는 경우, 고정 노즐(211)에는 분사 케이스(222)의 제1연결구(223a)가 연결되어 세척수를 공급받는다.
모터(301)의 모터축(302)은 기어 유닛(310)의 제1기어(311)에 연결되어 모터(301)의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1기어(311)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은 제1기어(311)에 연결된 제1연결기어(321)와 제1연결기어(321)에 연결된 연결축(320a)을 통해 제3연결기어(320)에 전달되고, 제3연결기어(320)와 제4연결기어(320)를 통해 감속하여 구동 풀리(131)에 전달되게 된다.
또한, 제2 식기 바스켓(22)이 제2위치(P2)에 위치하는 경우, 고정 노즐(211)에는 분사 케이스(222)의 제2연결구(223b)가 연결되어 세척수를 공급받는다.
모터축(302)은 기어 유닛(310)의 제2기어(312)에 연결되어 모터(301)의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2기어(312)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은 제2기어(312)에 연결된 제2연결기어(322)와 제2연결기어(322)에 연결된 연결축(320a)을 통해 제3연결기어(320)에 전달되고, 제3연결기어(320)와 제4연결기어(320)를 통해 감속되어 구동 풀리(131)에 전달되게 된다.
한편, 모터(301)의 모터축(302)은 제1기어(311) 및 제2기어(31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교차되는 돌기와 홈으로 형성되는 제1결합부(303)를 포함한다.
그리고, 모터축(302)의 제1결합부(303)와 기어 유닛(310)을 연결하도록 제1기어(311)와 제2기어(312)의 후방에는 제2결합부(311a)가 마련된다.
제2결합부(311a)는 제1결합부(303)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그 후면은 교차되는 돌기와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는 십자 형상인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7 내지 도 6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 세척기(1)의 제2 식기 바스켓(22)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 분사유닛(220)과 제2 반사유닛(120)은 동력전달장치(300)에 의해 모터(301)의 동력을 전달받아 제2 식기 바스켓(22)의 높이 가변 시에도 구동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식기 바스켓(22)이 제1위치(P1)에 위치할 때는 세척조(11) 상부벽(11c)과 제2 식기 바스켓(22) 사이의 제1간격(l1)이 형성되고, 제2 식기 바스켓(22)이 제2위치(P2)에 위치할 때는 세척조(11) 상부벽(11c)과 제2 식기 바스켓(22) 사이의 제2간격(l2)이 형성된다. 제1간격(l1)은 제2간격(l2)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식기 바스켓(22)이 제1위치(P1)에 위치할 경우 크기 및 부피가 큰 접시 등의 식기를 수납할 수 있으며, 제2 식기 바스켓(22)이 제1위치(P1) 보다 상측에 위치한 제2위치(P2)에 위치할 때는 크기 및 부피가 작은 그릇 또는 수저 등을 수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1A : 식기 세척기 10,10A : 캐비닛
11,11A : 세척조 12,12A : 도어
15,15A : 섬프 16,16A : 회전 노즐
20,20A : 식기 바스켓 41,41A : 고정 레일
42,42A : 가이드 레일 50,50A : 가이드 유닛
100,100A : 반사유닛 200,200A : 분사유닛
202,222A : 분사 케이스 221,221A : 고정노즐
223,223A : 연결구 224 : 밸브
225,230A : 분사노즐 300 : 동력전달장치
301 : 모터 302 : 모터축
310 : 기어 유닛 311 : 제1기어
312 : 제2기어 320 : 연결 기어
121A : 베인유닛 130A : 이동레일
131A : 제2기어 132A : 레일 결합부
231A : 제1노즐 232A : 제2노즐
300A : 레일어셈블리 310A : 레일
400A : 모터어셈블리 401A : 모터
410A : 모터설치부 500A : 홀더유닛
600A : 유로전환유닛 610A : 유로전환부재
620A : 유로전환홀더 630A : 실링부재

Claims (55)

  1. 식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 내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분사유닛;
    상기 세척조 내부를 이동하며 상기 분사유닛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를 상기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도록 마련되는 반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유닛은,
    직선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베인과,
    상기 제1베인의 이동방향으로 상기 제1베인과 나란히 배치되는 제2베인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인은 제1방향과 제1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2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2베인은 상기 제1베인과 연동하도록 마련되는 식기세척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유닛은,
    상기 세척조의 중심으로부터 일측면을 향하는 상기 제1방향과 상기 세척조의 중심으로부터 타측면을 향하는 상기 제2방향으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마련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유닛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 어셈블리는,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이 설치되도록 마련되는 홀더 유닛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 유닛은,
    상기 레일이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홀더 프레임과,
    상기 홀더 프레임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프론트 홀더와,
    상기 홀더 프레임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리어 홀더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식기바스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홀더와 리어 홀더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바스켓에 결합되는 식기세척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유닛은,
    상기 제1베인과 상기 제2베인 사이를 연결하는 이동레일과,
    상기 제1베인 및 상기 제2베인이 상기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레일 결합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유닛을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는 모터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 어셈블리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에 연결되는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반사유닛에 전달하도록 마련되는 제2기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어는 상기 이동레일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유닛은 상기 제1베인 및 상기 제2베인이 상기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베인 홀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인 홀더는 상기 제1베인 및 제2베인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결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베인 및 상기 제2베인은 상기 결합 돌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유닛은,
    상기 세척조 후방에 마련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고정노즐과,
    상기 고정노즐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세척조의 전방 및 후방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분사노즐이 형성되는 분사 케이스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분사 케이스의 일측에서 상기 제1방향으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형성되는 제1노즐과,
    상기 분사 케이스의 타측에서 상기 제2방향으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형성되는 제2노즐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케이스는,
    세척수가 상기 제1노즐을 통해 분사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분사유로와,
    세척수가 상기 제2노즐을 통해 분사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분사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분사유로와 상기 제2분사유로는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식기세척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케이스는 상기 제1베인 및 상기 제2베인을 회전시키도록 마련되는 회전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사유로 및 상기 제2분사유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마련되는 유로전환유닛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전환유닛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전환유닛은,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 유로를 전환하도록 마련되는 유로 전환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 전환 홀더는 상기 반사유닛의 이동 방향으로 가압되면, 상기 반사유닛의 이동 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전환시키도록 마련되는 식기세척기.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유닛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센서유닛을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9. 식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의 중심으로부터 일측면을 향하는 제1방향과 상기 제1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분사유닛;
    상기 세척조 내부에서 선형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세척조의 적어도 일부로 세척수를 반사시키도록 마련되는 제1베인과,
    상기 제1베인과 나란하게 이동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세척조의 다른 일부로 세척수를 반사시키도록 마련되는 제2베인;
    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인과 제2베인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1방향과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레일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인과 상기 제2베인 사이를 연결하는 이동 레일과,
    상기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베인 홀더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인 및 제2베인은 상기 베인 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식기세척기.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유닛은,
    상기 세척조 후방에 마련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고정노즐과,
    상기 고정노즐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세척조의 전방 및 후방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분사노즐이 형성되는 분사 케이스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제1방향으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상기 분사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노즐과,
    상기 제2방향으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상기 분사 케이스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노즐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케이스는,
    세척수가 상기 제1노즐을 통해 분사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분사유로와,
    세척수가 상기 제2노즐을 통해 분사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분사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분사유로와 상기 제2분사유로는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식기세척기.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사유로와 상기 제2분사유로는 실링 부재에 의해 실링되는 식기세척기.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케이스는 상기 제1베인 및 상기 제2베인을 회전시키도록 마련되는 회전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사유로 및 상기 제2분사유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마련되는 유로전환유닛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전환유닛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30.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전환유닛은,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 유로를 전환하도록 마련되는 유로 전환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 전환 홀더는 상기 반사유닛의 이동 방향으로 가압되면, 상기 반사유닛의 이동 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전환시키도록 마련되는 식기세척기.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인과 제2베인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센서유닛을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3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에 식기를 수납하도록 마련되며, 설치 위치가 가변되도록 마련되는 식기 바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베인과 제2베인은,
    상기 식기 바스켓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식기 바스켓과의 결합을 위한 홀더유닛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는 상기 식기 바스켓의 설치 위치가 가변되도록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34. 식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의 중심으로부터 일측면을 향하는 제1방향으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형성되는 제1노즐;
    상기 제1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방향으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형성되는 제2노즐;
    상기 제1노즐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를 상기 식기측으로 반사시키도록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베인과,
    상기 제2노즐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를 상기 식기측으로 반사시키도록 상기 제1베인의 이동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베인;
    상기 제1노즐과 상기 제1노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마련되는 유로전환유닛을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유닛은,
    상기 세척조 후방에 마련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고정노즐과,
    상기 고정노즐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세척조의 전방 및 후방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분사노즐이 형성되는 분사 케이스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케이스는,
    세척수가 상기 제1노즐을 통해 분사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분사유로와,
    세척수가 상기 제2노즐을 통해 분사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2분사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분사유로와 상기 제2분사유로는 격벽에 의해 구획되는 식기세척기.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사유로와 상기 제2분사유로는 실링 부재에 의해 실링되는 식기세척기.
  38.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전환유닛은,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 유로를 전환하도록 마련되는 유로 전환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 전환 홀더는 상기 반사유닛의 이동 방향으로 가압되면, 상기 반사유닛의 이동 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전환시키도록 마련되는 식기세척기.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노즐과 제2노즐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도록 마련되는 센서유닛을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40.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전환유닛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41.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유닛과 상기 제1베인과 상기 제2베인은 상기 식기 바스켓에 설치되는 식기 세척기.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에 식기를 수납하도록 마련되며, 설치 위치가 가변되도록 마련되는 식기 바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베인과 제2베인은,
    상기 식기 바스켓과의 결합을 위한 홀더유닛을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43.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마련되며 식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 내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분사유닛;
    상기 세척조에 식기를 수납하도록 마련되며, 설치 위치가 가변되도록 마련되는 식기 바스켓;
    상기 식기 바스켓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분사유닛에서 분사된 세척수의 방향을 전환시키도록 분사되는 세척수의 경로 상에 마련되는 반사유닛;
    상기 반사유닛이 상기 식기 바스켓 하부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상기 세척조의 일측에 고정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반사유닛에 전달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식기 바스켓의 가변하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이한 높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기어를 갖는 기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유닛은,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제2기어와,
    상기 제1기어와 제2기어 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연결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치기.
  45.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유닛은,
    상기 세척조의 내부를 이동하며 상기 분사유닛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상기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는 베인;
    상기 베인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베인에 전달하도록, 구동 풀리와 아이들 풀리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벨트;
    상기 구동 풀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벨트의 장력에 의해 상기 레일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리어 홀더; 및
    상기 아이들 풀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벨트의 장력에 의해 상기 레일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프런트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기어 중 하나의 연결 기어는 상기 구동 풀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기어들은, 상기 제1기어에 연결되는 제1연결기어와, 상기 제2기어에 연결되는 제2연결기어와, 상기 제2연결기어와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감속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기어와 제2연결기어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연결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49.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기어 중 하나는, 상기 구동 풀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50.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유닛은 상기 식기 바스켓의 일 측에 일체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51.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는 상기 식기 바스켓의 높이가 가변되도록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레일은, 제1위치에서 상기 식기 바스켓을 지지하는 제1가이드레일과, 상기 제1레일로부터 이격되는 제2위치에서 상기 식기 바스켓을 지지하는 제2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52.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는, 상기 식기 바스켓이 상기 제1위치 일 때 상기 모터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기어는, 상기 식기 바스켓이 상기 제2위치 일 때 상기 모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53.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세척조의 후방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5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유닛은,
    상기 세척조 후방에 마련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고정노즐과,
    상기 고정노즐에 연결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식기 바스켓의 가변하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이한 높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를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분사노즐이 형성되는 분사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55.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케이스는,
    그 내부에 상기 복수의 연결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KR1020150078919A 2014-10-02 2015-06-04 식기세척기 KR102458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846763.9A EP3200668B1 (en) 2014-10-02 2015-09-24 Dish washing machine
PCT/KR2015/010061 WO2016052921A1 (en) 2014-10-02 2015-09-24 Dish washing machine
CN201580065190.8A CN106998989B (zh) 2014-10-02 2015-09-24 洗碗机
US14/870,472 US10231598B2 (en) 2014-10-02 2015-09-30 Dish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33208 2014-10-02
KR1020140133208 2014-10-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0075A true KR20160040075A (ko) 2016-04-12
KR102458435B1 KR102458435B1 (ko) 2022-10-26

Family

ID=55801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8919A KR102458435B1 (ko) 2014-10-02 2015-06-04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200668B1 (ko)
KR (1) KR102458435B1 (ko)
CN (1) CN10699898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2407A1 (en) * 2020-02-12 2021-08-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hwash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59398B2 (en) * 2016-12-27 2018-12-25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rack system
US11006813B2 (en) 2018-03-21 2021-05-18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US10716449B2 (en) * 2018-03-21 2020-07-21 Whirlpool Corporation Low profile rack and wash assembly for dishwasher
CN110638404A (zh) * 2018-06-27 2020-01-03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盛放成套餐具的洗碗机搁架
CN109674414A (zh) * 2019-01-24 2019-04-26 北京米浪科技有限公司 洗涤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36791A (en) * 1937-03-02 1941-04-01 Laval Separator Co De Dishwashing machine
EP2671494A1 (en) * 2012-06-05 2013-1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h wash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77095A (en) * 1961-01-23 1965-04-06 G M Gibson Corp Method for washing articles
US3915182A (en) * 1973-11-08 1975-10-28 Tappan Co Spray deflector for dishwashers
JP2002238825A (ja) * 2001-02-21 2002-08-27 Hoshizaki Electric Co Ltd 食器洗浄機
JP2004254830A (ja) * 2003-02-25 2004-09-16 Toshiba Corp 食器洗浄機
CN2746984Y (zh) * 2004-07-23 2005-12-21 郭建涛 自动立体喷射机构
JP2008279137A (ja) * 2007-05-11 2008-11-20 Hoshizaki Electric Co Ltd コンベア型食器洗浄機
JP2010263941A (ja) * 2009-05-12 2010-11-25 Panasonic Corp 食器洗浄機
EP2786691B1 (en) * 2013-04-05 2020-0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h washing machine
CN203677024U (zh) * 2013-12-20 2014-07-02 海尔集团公司 一种应用于洗碗机的清洗装置及洗碗机
CN203763025U (zh) * 2014-03-21 2014-08-13 周华明 带旋转式数控喷嘴的洗碗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36791A (en) * 1937-03-02 1941-04-01 Laval Separator Co De Dishwashing machine
EP2671494A1 (en) * 2012-06-05 2013-1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h washing machi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2407A1 (en) * 2020-02-12 2021-08-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hwasher
US11819176B2 (en) 2020-02-12 2023-1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hwash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8435B1 (ko) 2022-10-26
CN106998989A (zh) 2017-08-01
EP3200668B1 (en) 2020-01-29
EP3200668A4 (en) 2017-09-13
CN106998989B (zh) 2019-11-05
EP3200668A1 (en) 2017-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40075A (ko) 식기세척기
KR102002414B1 (ko) 식기 세척기
US10231596B2 (en) Fixed nozzle assembly and dish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EP2786691B1 (en) Dish washing machine
CN104622403B (zh) 喷射单元、喷射喷嘴及其制造方法、以及洗碗机
US10231598B2 (en) Dish washing machine
KR102306964B1 (ko) 식기 세척기
KR20150079335A (ko) 식기 세척기
KR102091523B1 (ko) 분사유닛, 분사노즐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갖는 식기세척기
CN108697298B (zh) 洗碗机
KR20180025761A (ko) 식기세척기
KR20160104336A (ko) 식기세척기
KR20150079222A (ko)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KR102129315B1 (ko) 식기세척기
KR20150080358A (ko) 식기세척기
EP3090676B1 (en) Dish washer
KR102330103B1 (ko) 식기세척기
KR102401640B1 (ko) 식기 세척기
KR20180025735A (ko) 식기 세척기
KR20160094753A (ko) 식기 세척기
KR20150079381A (ko) 식기 세척기
KR20160042628A (ko) 식기 세척기
KR101669972B1 (ko) 식기 세척기
KR101691838B1 (ko) 식기 세척기
KR102396038B1 (ko) 식기 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