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8846B1 - 고정노즐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고정노즐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8846B1
KR102088846B1 KR1020130169542A KR20130169542A KR102088846B1 KR 102088846 B1 KR102088846 B1 KR 102088846B1 KR 1020130169542 A KR1020130169542 A KR 1020130169542A KR 20130169542 A KR20130169542 A KR 20130169542A KR 102088846 B1 KR102088846 B1 KR 102088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washing water
injection
dishwash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9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9334A (ko
Inventor
정현동
이창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9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8846B1/ko
Priority to EP14199877.3A priority patent/EP2888983B1/en
Priority to US14/584,340 priority patent/US9993133B2/en
Priority to CN201410858502.8A priority patent/CN104739344B/zh
Publication of KR20150079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9334A/ko
Priority to US15/984,848 priority patent/US1023159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8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8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movably-mounted spra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47L15/4282Arrangements to change or modify spray pattern or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rigidly-mounted spra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Abstract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는 본체,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 세척조의 일측에 고정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는 고정노즐어셈블리, 고정노즐어셈블리는,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갖는 노즐바디, 노즐바디의 전면에 결합되는 노즐전면커버를 포함하고, 노즐전면커버는, 노즐전면커버와 노즐바디와의 결합부위로 이물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결합부위를 덮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리브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고정노즐어셈블리에 오염물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정노즐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식기 세척기{Fixed Nozzle Assembly and Dish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세척조의 일 측에 고정된 분사 노즐과, 세척조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분사 노즐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를 식기 측으로 반사하는 베인을 갖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 세척기는 내부에 세척조가 마련되는 본체와, 식기를 수납하는 바스켓과, 세척수를 저수하는 섬프와,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과, 섬프의 세척수를 분사 노즐로 공급하는 펌프를 구비하고, 식기에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여 식기를 세척하는 가전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기에는 회전하는 분사 노즐을 갖는 로터 타입의 분사 구조가 채용되고 있다. 회전 노즐은 수압에 의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한다. 이러한 회전 노즐은 회전 반경 내의 범위에만 세척수를 분사하므로 세척수가 분사되지 않는 영역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수가 분사되지 않는 영역이 발생되지 않도록 소위 리니어 타입의 분사 구조가 제안되고 있다.
리니어 타입의 분사 구조는 세척조의 일 측에 고정되는 고정 노즐과, 세척조의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고즐 분사 노즐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를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는 베인을 구비하여, 반사판의 이동에 따라 세척조의 전체 영역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고정 노즐은 세척조의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분사홀들을 갖고 세척조의 후벽 측에 고정되고, 베인은 복수의 분사홀들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를 반사시키도록 세척조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세척조의 전후 방향으로 선형 왕복 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리니어 타입의 분사 구조는 베인을 구동시킬 수 있는 구동 장치를 더욱 구비한다. 구동 장치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일례로, 모터와, 모터에 연결되어 베인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벨트와, 베인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을 포함하고, 모터가 구동되면 벨트가 회전하면서 베인이 레일 상을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섬프에 저수된 세척수를 분사 노즐들에 분배하는 분배 장치에 있어서, 리니어 타입의 분사 구조에는, 로터 타입의 분사 구조와 비교하여 볼 때, 다른 구조의 분배 장치가 선호될 수 있다.
세척조의 하부에 배치되는 분사 노즐이 회전 노즐인 경우에, 분배 장치의 아웃렛이 상측을 향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분배 장치의 아웃렛과 회전 노즐을 연결하는 유로의 길이를 짧게 하고 세척수의 압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그러나, 세척조의 하부에 배치되는 분사 노즐이 고정 노즐인 경우에, 고정 노즐은 세척조의 후벽에 인접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분배 장치의 아웃렛은 굳이 상측을 바라보도록 마련될 필요가 없으며, 오히려 상측을 바라보도록 마련되면 분배 장치의 아웃렛과 고정 노즐을 연결하는 유로는 분배 장치의 아웃렛에서 시작하자 마자 바로 후방 측으로 절곡되어야 하므로 세척수의 압력 손실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리니어 타입의 분사 구조에서 분사 노즐들은 고정되어 있으므로, 전체 분사 노즐들 중에 일부의 분사 노즐에만 세척수를 분배함으로써 세척조의 일부 영역에만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할 세척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리니어 타입의 분사 구조를 갖는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고정노즐어셈블리에 대한 이물침투를 최소화한 식기세척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의 일측에 고정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는 고정노즐어셈블리;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는,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갖는 노즐바디; 상기 노즐바디의 전면에 결합되는 노즐전면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전면커버는, 상기 노즐전면커버와 상기 노즐바디와의 결합부위로 이물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결합부위를 덮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노즐전면커버의 배면에서 후방을 향해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노즐바디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노즐바디의 일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리브는, 하측을 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리브의 연장형성되는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리브하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노즐바디는, 상기 분사노즐의 외주면을 지지하며, 상기 가이드리브와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며 배치되는 노즐지지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노즐지지리브의 적어도 일부와 상하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노즐지지리브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노즐지지리브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일정간격은, 3mm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노즐지지리브와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호 엇갈리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노즐바디의 하부와 마주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리브의 연장형성되는 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리브상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노즐바디는, 상기 분사노즐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노즐전면커버와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노즐측면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노즐측면커버는, 상기 노즐전면커버측 단부를 따라 적어도 일부 형성되며, 인접한 노즐측면커버의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절곡지게 단차지도록 형성되는 오목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노즐전면커버는, 상기 노즐전면커버가 상기 노즐측면커버에 결합되도록 상기 오목결합부에 대응되어, 상기 노즐측면커버의 내주면에서 외측으로 절곡지게 단차지도록 형성되는 볼록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노즐전면커버와 상기 노즐바디의 결합으로, 세척수가 유입되도록 상기오목결합부와 상기 볼록결합부가 형성하는 유입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노즐바디의 하부와 마주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리브의 연장형성되는 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리브상면;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바디는, 상기 유입유로로 유입되는 세척수가 상기 노즐전면커버의 내측면과 상기 리브상면을 따라 상기 노즐바디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는, 상기 세척조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노즐바디는, 상기 노즐바디의 후면에 결합되는 노즐후면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후면커버는, 상기 노즐바디의 단부와 접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노즐후면커버가 상기 노즐바디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후면커버결합부; 상기 분사노즐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노즐유로의 일측을 형성하며, 상기 노즐바디에 삽입되어 상기 후면커버결합부보다 상기 노즐바디의 내측에 배치되는 후방유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는, 상기 노즐바디로 세척수가 유입되는 노즐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유로면은 상기 노즐유입구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노즐유로가 좁아지도록 구배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세척조에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가 고정되도록 상기 세척조의 바닥에 마련되는 바닥판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 커버의 상면은 기준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세척조의 중심을 향하도록 구배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고정노즐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는,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분사노즐과 사이에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노즐측면커버를 갖는 노즐바디; 상기 노즐바디의 전면에 결합되는 노즐전면커버; 상기 내부공간으로 외부로부터의 이물투입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리브는, 상기 복수의 분사노즐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노즐바디의 하부를 차폐하는 노즐지지리브; 상기 노즐전면커버의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노즐전면커버로부터 연장형성되는 가이드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즐지지리브와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호 엇갈리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노즐지지리브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노즐지지리브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노즐지지리브의 적어도 일부와 상하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노즐지지리브와 마주보는 가이드리브상면과, 상기 가이드리브상면의 타측면에 마련되는 가이드리브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리브상면과 상기 가이드리브하면은 상기 가이드리브의 길이방향에 대해 각각 하측과 상측으로 구배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노즐바디는, 상기 분사노즐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노즐전면커버와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노즐측면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측면커버는, 상기 노즐측면커버측 단부를 따라 적어도 일부형성되며, 인접한 노즐측면커버의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절곡지게 단차지도록 형성되는 오목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전면커버는, 상기 노즐전면커버가 상기 노즐측면커버에 결합되도록 상기 오목결합부에 대응되어, 상기 노즐측면커버의 내주면에서 외측으로 절곡지게 단차지도록 형성되는 볼록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노즐전면커버와 상기 노즐바디의 결합으로, 세척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오목결합부와 상기 볼록결합부가 형성하는 유입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바디는, 상기 유입유로로 유입되는 세척수가 상기 노즐전면커버의 내측면과 상기 가이드리브의 상면을 따라 상기 노즐바디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고정노즐어셈블리는 피세척물을 세척하는 식기세척기의 고정노즐어셈블리에 있어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노즐측면커버를 갖고, 내부에 세척수가 유동하는 유로가 마련되는 노즐바디; 상기 노즐바디 전면에서 상기 노즐측면커버에 결합되며, 상기 노즐바디와 결합되는 부분에 외부로부터 세척수가 유입되도록 유입유로를 형성하는 노즐전면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전면커버는, 상기 유입유로로부터 유입되는 세척수가 상기 노즐바디내부의 이물을 세척하고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세척수를 안내하도록 상기 노즐전면커버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연장형성되는 가이드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정노즐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식기 세척기를 통해 분사노즐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어, 고정노즐어셈블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하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유로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고정 노즐 어셈블리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고정 노즐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
도 4a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고정 노즐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4b, 4c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고정 노즐 어셈블리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5a, 5b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고정 노즐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
도 5c는 도 5b의 일부에 대해 확대한 도면.
도 6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분배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분배 장치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분배 장치의 개폐 부재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분배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분배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모터는 생략됨).
도 12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분배 장치의 캠 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분배 장치의 마이크로 스위치의 온 및 오프의 시간과, 개폐 부재의 회전 위치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분배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 2 아웃렛만 개방되어 회전 노즐들로만 세척수가 분배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분배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 3 아웃렛만 개방되어 우측 고정노즐어셈블리로만 세척수가 분배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분배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 1 아웃렛과, 제 3 아웃렛만 개방되어 좌측 고정노즐어셈블리과, 우측 고정노즐어셈블리로만 세척수가 분배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분배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 1 아웃렛만 개방되어 좌측 고정노즐어셈블리들로만 세척수가 분배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18a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세척조의 바닥판과, 바닥판 커버와, 모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18b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바닥판과, 바닥판 커버와, 모터의 단면도.
도 19a는 도 18a에서 씰링부재를 추가한 도면.
도 19b는 도 18b에서 씰링부재를 추가한 도면.
도 20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베인과, 레일 어셈블리와, 분사 노즐 어셈블리와, 바닥판 커버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21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베인과, 구동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 구동 장치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22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벨트와, 벨트 홀더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레일과, 벨트와, 벨트 홀더와, 베인 홀더를 도시한 단면도.
도 24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레일과, 벨트와, 구동 풀리와, 리어 홀더를 도시한 도면.
도 25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레일과, 벨트와, 구동 풀리와, 리어 홀더를 도시한 단면도.
도 26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레일과, 벨트와, 아이들 풀리와, 프런트 홀더를 도시한 도면.
도 27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레일과, 벨트와, 아이들 풀리와, 프런트 홀더를 도시한 단면도.
도 28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베인과, 베인 홀더를 도시한 도면.
도 29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베인을 도시한 사시도.
도 30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베인과, 베인 홀더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31 내지 도 33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베인이 회전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34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베인 이동 구간에서 베인이 세척수를 반사시키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35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베인 미이동 구간에서 베인이 세척수를 반사시키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36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섬프와, 코스 필터와, 파인 필터를 도시한 도면.
도 37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섬프와, 코스 필터와, 파인 필터와, 마이크로 필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38은 도 36의 Ⅰ-Ⅰ 선에 따른 단면도.
도 39는 도 38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40은 도 38의 Ⅱ-Ⅱ 선에 따른 단면도.
도 41은 도 40의 C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42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섬프와, 코스 필터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코스 필터의 잠금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43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코스 필터를 도시한 측면도.
도 44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섬프와 코스 필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코스 필터의 잠금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45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섬프와, 코스 필터와, 마이크로 필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6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코스 필터와, 마이크로 필터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47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세척조의 하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4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단면도.
도 4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사유닛과 전환유닛의 사시도.
도 5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사유닛과 전환유닛의 상면도.
도 5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사유닛과 전환유닛의 측면도.
도 5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사유닛의 사시도.
도 5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의 확대도.
도 5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의 상면도.
도 5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의 단면사시도.
도 5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의 단면도.
도 5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의 일부확대도.
도 5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의 상면도.
도 5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의 단면사시도.
도 6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의 단면도.
도 6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의 상면도.
도 6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의 단면사시도.
도 6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의 단면도.
도 64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의 단면도.
도 65, 66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의 제조과정에 관한 도면.
도 6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의 단면도.
도 68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의 사시도
도 6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의 단면도.
도 70, 71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72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의 일부에 대한 확대도.
도 73, 74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의 동작에 관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하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전체 구조를 개괄적으로 설명한다.
식기 세척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30)와, 식기를 수납하도록 세척조(30)의 내부에 마련되는 바스켓들(12a,12b)과,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들(311,313,320)과, 세척수를 저수하는 섬프(100)와, 섬프(100)의 세척수를 펌핑하여 분사 노즐들(311,313,320)에 공급하는 순환 펌프(51)와, 섬프(100)의 세척수를 오물과 함께 본체(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 펌프(52)와, 세척조(30)의 내부를 이동하며 세척수를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는 베인(400)과, 베인(400)을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420)를 포함한다.
세척조(30)는 식기를 출납할 수 있도록 전방이 개구된 대략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세척조(30)의 전방 개구는 도어(1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세척조(30)는 상부벽(31)과, 후벽(32)과, 좌측벽(33)과, 우측벽(34)과, 바닥판(35)을 가질 수 있다.
바스켓들(12a,12b)은 세척수가 고이지 않고 통과될 수 있도록 와이어로 이루어진 와이어 랙일 수 있다. 바스켓들(12a,12b)은 세척조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바스켓들(12a,12b)은 세척조(3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바스켓(12a)과, 세척조(30)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바스켓(12b)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사 노즐들(311,313,320)은 고압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식기를 세척할 수 있다. 분사 노즐들(311,313,320)은 세척조(30)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 회전 노즐(311)과, 세척조(30)의 중심부에 마련되는 중간 회전 노즐(313)과, 세척조(30)의 하부에 마련되는 고정노즐어셈블리(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회전 노즐(311)은 상부 바스켓(12a)의 상측에 마련되고, 수압에 의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아래 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부 회전 노즐(311)의 하단에는 분사홀들(312)이 마련될 수 있다. 상부 회전 노즐(311)은 상부 바스켓(12a)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직접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중간 회전 노즐(313)은 상부 바스켓(12a)과 하부 바스켓(12b)의 사이에 마련되고, 수압에 의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상하 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중간 회전 노즐(313)의 상단과 하단에는 분사홀들(314)이 마련될 수 있다. 중간 회전 노즐(313)은 상부 바스켓(12a)과 하부 바스켓(12b)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직접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고정노즐어셈블리(320)는 회전 노즐들(311,313)과는 달리 움직이지 않도록 마련되고, 세척조(30)의 일 측에 고정된다. 고정노즐어셈블리(320)는 대략 세척조(30)의 후벽(32)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세척조(30)의 전방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노즐어셈블리(32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직접 식기를 향하지 않을 수 있다.
고정노즐어셈블리(32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베인(400)에 의해 식기 측으로 반사될 수 있다. 고정노즐어셈블리(320)는 하부 바스켓(12b)의 아래에 배치되고, 베인(400)은 고정노즐어셈블리(320)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상측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즉, 고정노즐어셈블리(32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베인(400)에 의해 하부 바스켓(12b)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반사될 수 있다.
고정노즐어셈블리(320)는 각각 세척조(30)의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분사홀들(331,341)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분사홀들(331,341)은 전방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베인(400)은 고정노즐어셈블리(320)의 복수의 분사홀들(331,341)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모두 반사시킬 수 있도록 세척조(30)의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즉, 베인(400)의 길이 방향 일단부는 세척조(30)의 좌측벽(33)에 인접하고, 베인(400)의 길이 방향 타단부는 세척조(30)의 우측벽(34)에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인(400)은 고정노즐어셈블리(32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 방향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즉, 베인(400)은 세척조(3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고정노즐어셈블리(320)와 베인(400)을 포함하는 리니어 분사 구조는 사각 지대 없이 세척조(30)의 전 영역을 세척할 수 있다. 회전 노즐들의 경우에 회전 반경의 범위 내에만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는 것과는 차별된다.
고정노즐어셈블리(320)는 세척조(30)의 좌측에 배치되는 좌측 고정 노즐(330)과, 세척조(30)의 우측에 배치되는 우측 고정 노즐(340)을 포함할 수 있다.
후에 상술하겠으나, 회전 노즐들(311,313)과, 고정노즐어셈블리(320)는 상호 독립적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나아가, 좌측 고정 노즐(330)과, 우측 고정 노즐(340) 역시 상호 독립적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좌측 고정 노즐(33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베인(400)에 의해 세척조(30)의 좌측 영역으로만 반사되고, 우측 고정 노즐(34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베인(400)에 의해 세척조(30)의 우측 영역에만 반사될 수 있다.
따라서, 식기 세척기는 세척조(30)의 좌측과 우측을 독립적으로 분할 세척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와는 달리 반드시 좌측과 우측으로만 분할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에 따라 더욱 세분하여 분할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주요 구성에 대해 이하에서 차례로 상술한다.
도 3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유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고정 노즐 어셈블리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고정 노즐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행정, 유로 구조, 고정 노즐 어셈블리의 구조 및 세척수 분배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식기 세척기는 급수 행정과, 세척 행정과, 배수 행정과, 건조 행정을 가질 수 있다.
급수 행정에서, 급수관(미도시)을 통해 세척조(30) 내부로 세척수가 급수될 수 있다. 세척조(30)에 급수되는 세척수는 세척조(30)의 바닥판(35)의 구배에 의해 세척조(30)의 하부에 마련된 섬프(100)로 유동되고 섬프(100)에 저수될 수 있다.
세척 행정에서, 순환 펌프(51)가 가동되어 섬프(100)의 세척수를 펌핑할 수 있다. 순환 펌프(51)에 의해 펌핑된 세척수는 분배 장치(200)를 통해 회전 노즐들(311,313)과, 좌측 고정 노즐(330)과, 우측 고정 노즐(340)로 분배될 수 있다. 순환 펌프(51)의 펌핑력에 의해 분사 노즐들(311,313,320)에서 세척수가 고압으로 분사되어 식기를 세척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회전 노즐(311)과, 중간 회전 노즐(313)은 제 2 호스(271b)를 통해 분배 장치(200)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좌측 고정 노즐(330)은 제 1 호스(271a)를 통해 분배 장치(200)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우측 고정 노즐(340)은 제 3 호스(271c)를 통해 분배 장치(200)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분배 장치(200)는 총 4 개의 분배 모드를 갖도록 마련된다.
제 1 모드에서, 분배 장치(200)는 제 2 호스(271b)를 통해 회전 노즐들(311,313)로만 세척수를 공급한다.
제 2 모드에서, 분배 장치(200)는 제 3 호스(271c)를 통해 우측 고정 노즐(340)로만 세척수를 공급한다.
제 3 모드에서, 분배 장치(200)는 제 1 호스(271a)와, 제 3 호스(271c)를 통해 좌측 고정 노즐(330)과, 우측 고정 노즐(340)로만 세척수를 공급한다.
제 4 모드에서, 분배 장치(200)는 제 1 호스(271a)를 통해 좌측 고정 노즐(330)로만 세척수를 공급한다.
다만, 분배 장치(200)는 본 실시예와는 달리 더 다양한 분배 모드를 갖도록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분사 노즐들(311,313,32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식기를 타격하며 식기에 묻은 오물을 제거하고, 오물과 함께 낙하하여 다시 섬프(100)에 저수될 수 있다. 순환 펌프(51)는 섬프(100)에 저수된 세척수를 다시 펌핑하여 순환시킨다. 세척 행정 중에 순환 펌프(51)는 가동 및 정지를 수차례 반복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세척수와 함께 섬프(100)로 낙하한 오물은 섬프(100)에 장착된 필터에 의해 포집되어 분사 노즐들(311,313,320)로 순환되지 않고 섬프(100)에 남아 있게 된다.
배수 행정에서, 배수 펌프(52)가 가동하여 섬프(100)에 남아 있는 오물과 세척수를 함께 본체(10)의 외부로 배수할 수 있다.
건조 행정에서, 세척조(30)에 장착된 히터(미도시)가 가동되어 식기를 건조할 수 있다.
도 4a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고정 노즐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4b, 4c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고정 노즐 어셈블리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고정노즐어셈블리(320)에 대해 상술한다.
고정노즐어셈블리(320)는 세척조의 바닥판(35)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바닥판 커버(600)에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좌측 고정노즐어셈블리(330)와 우측 고정노즐어셈블리(360)는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므로, 좌측 고정노즐어셈블리(330)를 중심으로 상술한다.
좌측 고정노즐어셈블리(330)는 노즐바디(332), 노즐전면커버(350)와, 노즐후면커버(355)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바디(332)는 외관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며,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340)을 갖고, 내부에 세척수가 유동하도록 노즐유로(333)가 마련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노즐유로(333)는 이후 설명하는 노즐후면커버(355)와 결합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분사노즐(340)은 세척수가 지나도록 분사유로(342)가 마련되며, 분사유로(342)를 통해 세척조 내부로 세척수를 분사하게 된다. 분사노즐(340)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고정노즐어셈블리(320)는 내부공간으로 외부로부터의 이물투입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리브(348, 352)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348, 352)는 이후 설명하는 노즐지지리브(348)와, 가이드리브(35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분사노즐(340) 사이에는 분사노즐(340)을 지지하는 노즐지지리브(348)가 마련될 수 있다. 노즐지지리브(348)는 분사노즐(340)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의 압력에 의해 분사노즐(34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분사노즐(340)의 외주면을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노즐바디(332)는 노즐측면커버(344)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측면커버(344)는 분사노즐(34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이후 설명하는 노즐전면커버(350)와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노즐측면커버(344)는 노즐바디(332)와 함께 사출형성될 수 있고, 노즐바디(33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노즐측면커버(344)는 분사노즐(340)의 상방과 측방을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노즐측면커버(344)와 분사노즐(340)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이격리브(345)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격리브(345)는 분사노즐(340)과 노즐측면커버(344)를 이격시킴과 동시에 양 구성이 상호간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노즐바디(332)의 전면에는 노즐전면커버(350)가 결합될 수 있다. 노즐전면커버(350)는 분사노즐(340)의 분사유로(342)와 연통되는 배출홀(352)을 갖고, 노즐바디(332)의 전면에서 노즐바디(332)의 내부를 가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노즐전면커버(350)는 노즐측면커버(344)에 결합되며, 그 결합되는 방법 및 구성에 대해서는 이후 자세하게 설명한다.
노즐전면커버(350)의 후면에는 가이드리브(352)가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리브(352)는 노즐바디(332)내부로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노즐바디(332)내부로 유입된 이물이 세척수와 함께 외부로 유출되게 가이드하도록 마련된다.
노즐후면커버(355)는 노즐바디(332)의 후방에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노즐후면커버(355)는 노즐바디(332)와 결합되어 노즐유로(333)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5a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고정 노즐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노즐바디(332)의 내부에는 분사노즐(340)의 분사유로(342)와 연통하여, 분사노즐(340)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노즐유로(333)와, 노즐유로(333)에 세척수가 유입되는 노즐유입구(334)와, 고정노즐어셈블리(320)를 후술할 바닥판 커버(600)에 결합하도록 노즐바디(332)에 형성되는 결합홀(336)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후면커버(355)는 노즐바디(332)와 결합되어 노즐유로(333)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노즐바디(332) 내부에는 노즐바디유로면(333a)이 마련되고, 노즐후면커버(355)의 일측면에 마련되는 후방유로면(333b)이 마련되는 데, 노즐바디(332)와 노즐후면커버(355)의 결합을 통해 노즐바디유로면(333a)과 후방유로면(333b)이 결합함으로서, 노즐유로(333)를 형성하게 된다.
즉, 노즐유로(333)는 그 일측은 노즐바디(332)에 의해 형성되고, 타측은 노즐후면커버(355)에 의해 형성된다.
후방유로면(333b)은 노즐유입구(334)에서 멀어질수록 노즐유로(333)의 내측을 향하도록 구배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후방유로면(333b)은 노즐유입구(334)에서 멀어지는 방향에 대해 노즐유로(333)가 좁아지도록 구배지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노즐유입구(334)에서 유입되는 세척수가 노즐유로(333)를 통해 복수의 분사노즐(340)로 공급되는 과정에 있어서, 노즐유입구(334)로부터 멀리 배치된 분사노즐(340)에 공급되는 세척수의 압력이, 노즐유입구(334)로부터 가깝게 배치된 분사노즐(340)에 공급되는 세척수의 압력에 비해 작아지는 것을 보상하게 된다.
후방유로면(333b)은 인접한 노즐후면커버(355)보다 볼록하게 형성되어 마련될 수 있다. 그 타측면은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후방유로면(333b)이 형성되는 부분은 노즐후면커버(355)에서 음각형태로 형성되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노즐후면커버(355)는 자세하게는 노즐측면커버(344)에 결합된다. 노즐후면커버(355)와 노즐측면커버(344)의 결합은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열융착방법에 의해 양 구성이 결합된다.
노즐후면커버(355)는 노즐측면커버(344)에 결합되도록 후면커버결합부(357)를 포함할 수 있다. 후면커버결합부(357)는 노즐바디(332)의 단부와 접하도록 마련되어, 노즐후면커버(355)가 노즐바디(332)에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후방유로면(333b)은 노즐바디(332)에 삽입되어, 후면커버결합부(357)보다 노즐바디(332)의 내측으로 배치되도록 마련된다. 즉, 노즐유로(333)를 형성하는 후방유로면(333b)이 후면커버결합부(357)보다 노즐바디(332)의 내측에 마련됨에 따라, 노즐유로(333)는 외부에 영향을 덜 받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후방유로면(333b)이 후면커버결합부(357)보다 노즐바디(332)의 내측에 형성됨에 따라, 적용되는 세척수의 공급량에 따라 노즐유로(333)의 설계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어 작업의 편리성을 가져다 준다.
도 5b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고정 노즐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노즐전면커버(350)의 후면에는 가이드리브(352)가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리브(352)는 노즐바디(332)내부로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노즐바디(332)내부로 유입된 이물이 세척수와 함께 외부로 유출되게 가이드하도록 마련된다.
가이드리브(352)는 노즐전면커버(350)의 배면에서 후방을 향해 연장형성 되도록 마련되고, 노즐바디(332)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노즐바디(332)의 일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가이드리브(352)는 노즐지지리브(348)의 적어도 일부와 상하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가이드리브(352)는 노즐지지리브(348)의 하부에 배치되고, 노즐지지리브(348)와 상하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노즐지지리브(348)는 노즐바디(332)에서 복수의 분사노즐(340)사이를 연결하도록 마련되고, 그 전방측 단부는 노즐전면커버(350)와 일정간격의 갭(G)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상적으로는 노즐전면커버(350)와 노즐바디(332)가 완벽하게 결합되어 노즐바디(332)의 내부로 이물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할 수 있으나, 노즐전면커버(350)와 노즐바디(332)사이에 일정한 갭(G)을 두어 이물이 노즐바디(332)의 내부로 유입되더라도, 세척수의 유입을 통해 노즐바디(332)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이유로 노즐전면커버(350)와 노즐지지리브(348)사이에는 일정한 갭(G)을 가지게 된다. 가이드리브(352)는 노즐전면커버(350)와 노즐지지리브(348)사이에 마련되는 일정한 갭(G)을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덮도록 마련되어, 노즐바디(332)의 하부에서 갭(G)을 통해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 가이드리브(352)와 노즐지지리브(348)는 상하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즉, 가이드리브(352)와 노즐지지리브(348)는 상호 엇갈리는 방향으로 각각 노즐전면커버(350)와, 노즐바디(332)로부터 연장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리브(352)와 노즐지지리브(348)는 일정간격(h) 이격될 수 있는 데, 이는 노즐전면커버(350)와 노즐바디(332)로 유입되는 세척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가이드리브(352)와 노즐지지리브(348)간의 이격은 3mm이상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정노즐어셈블리(320) 내부로 유입되는 세척수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간격이면 이를 만족한다.
가이드리브(352)는 노즐바디(332)를 향하는 리브상면(352a)과, 리브상면(352a)의 타측면에서 하측을 향하도록 마련되는 리브하면(352b)을 포함할 수 있다.
리브상면(352a)은 가이드리브(352)가 연장형성되는 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리브상면(352a)은 노즐전면커버(35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노즐바디(332)로 유입되는 세척수 또는 이물이 리브상면(352a)을 따라 흐르게 되어, 고정노즐어셈블리(320)의 외부로 배출 될 수 있도록 한다.
리브하면(352b)은 가이드리브(352)가 연장형성되는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리브하면(352b)은 노즐전면커버(35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세척조의 하부로부터 유입되는 세척수 또는 이물이 리브하면(352b)을 따라 흐르게 되어, 고정노즐어셈블리(32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도 5c는 도 5b의 일부에 대해 확대한 도면이다.
노즐전면커버(350)는 노즐바디(332)의 노즐측면커버(344)에 결합될 수 있다. 노즐전면커버(350)와 노즐측면커버(344)는 이상적으로 노즐바디(332)의 내부가 밀폐되도록 결합되나, 세척수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내부의 이물과 함께 노즐바디(332)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결합한다.
노즐측면커버(344)는 오목결합부(344a)를 포함할 수 있다.
오목결합부(344a)는 노즐측면커버(344)측 단부를 따라 적어도 일부형성되며, 인접한 노즐측면커버(344)의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절곡지게 단차지도록 형성된다.
노즐전면커버(350)는 볼록결합부(350a)를 포함할 수 있다.
볼록결합부(350a)는 노즐전면커버(350)가 노즐측면커버(344)에 결합되도록 오목결합부(344a)에 대응되어, 노즐측면커버(344)의 내주면에서 외측으로 절곡지게 단차지도록 형성된다.
오목결합부(344a)와 볼록결합부(350a)는 그 사이로 소량의 세척수가 지나갈 수 있도록 유입유로(354)를 형성하게 된다.
유입유로(354)를 통해 유입되는 세척수는 소량이 유입되므로, 노즐전면커버(350)의 내측면과 가이드리브(352)의 리브상면(352a)을 따라 흐르게 된다. 이러한 흐름을 통해 유입유로(354)를 통해 노즐바디(332)내부로 유입되는 세척수는 노즐바디(332) 내부에 유입된 이물과 함께 노즐바디(332)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는 좌측 고정노즐어셈블리(330)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우측 고정노즐어셈블리(360)도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우측 고정노즐어셈블리(360)는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노즐(340)과, 분사노즐(340)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노즐유로(333)와, 노즐유로(333)에 세척수가 유입되는 노즐유입구(334)와,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노즐유로(333)를 형성하는 노즐바디(332)와, 노즐바디(332)와 노즐유로(333)를 형성하도록 노즐바디(332)의 후방에 결합되는 노즐후면커버(355)와, 노즐바디(332)의 전방에 결합되는 노즐전면커버(350)와, 우측 고정노즐어셈블리(360)를 바닥판 커버에 결합하도록 노즐바디(332)에 형성되는 결합홀(33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분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분배 장치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분배 장치의 개폐 부재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분배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분배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분배 장치(200)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갖도록 마련된다.
분배 장치(200)는 대략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갖고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210)과, 하우징(2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개폐 부재(220)와, 개폐 부재(220)를 회전시키는 모터(230)와, 모터(230)와 하우징(210)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260)와, 개폐 부재(200)와 함께 회전하도록 모터(230)와 개폐 부재(200)에 결합되는 캠 부재(240)와, 개폐 부재(200)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도록 캠 부재(240)에 접촉되는 마이크로 스위치(250)를 포함한다.
하우징(210)은 세척조(30)의 양 측벽(33,34,도 2)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하우징(210)의 길이 방향을 축 방향이라고 한다. 하우징(210)의 축 방향 일단부에는 하우징(210)의 내부로 세척수가 유입되는 인렛(211)이 형성된다. 하우징(210)의 축 방향 타단부에는 모터(230)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인렛(211)은 세척조(30)의 우측벽(34)을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인렛(211)에는 순환 펌프(51)가 연결되어 순환 펌프(51)가 가동하면 섬프(100)에 저수된 세척수가 인렛(211)을 통해 하우징(2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하우징(210)의 원주면에는 복수의 아웃렛들(212a,212b,212c)이 형성된다. 복수의 아웃렛들(212a,212b,212c)은 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다. 복수의 아웃렛들(212a,212b,212c)은 제 1 아웃렛(212a)과, 제 2 아웃렛(212b)과, 제 3 아웃렛(212c)을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의 아웃렛들(212a,212b,212c)은 세척조(30)의 후벽(32,도 2)을 향하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아웃렛들(212a,212b,212c)이 세척조(30)의 후벽(32)을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는 이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 장치(200)의 하우징(210)이 원통 형상을 갖고, 하우징(210)이 양 측벽(33,34)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며, 개폐 부재(220)가 하우징(210)의 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아웃렛들(212a,212b,212c)을 개폐하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부연하면, 종래의 식기 세척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분배 장치는 반구 형상의 하우징과, 하우징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평판 디스크 타입의 개폐 장치를 가지므로, 아웃렛들을 분배 장치의 상부에 구성할 수 밖에 없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 장치(200)는 그 아웃렛들(212a,212b,212c)이 세척조(30)의 후벽(32)을 향하도록 마련되므로, 분배 장치(200)에서 세척조(30)의 후벽(32)에 인접하게 배치된 고정노즐어셈블리(320)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압력 손실이 저감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왜냐하면, 아웃렛들(212a,212b,212c)과 고정노즐어셈블리(320)을 연결하는 유로가 급한 절곡부 없이 완만하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아웃렛들이 분배 장치의 상측을 향하도록 마련된 종래의 분배 장치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노즐어셈블리(320)에 적용한다면, 아웃렛들에 연결된 유로는 시작하자 마자 바로 후방 측으로 급하게 절곡되어야 하므로 압력 손실이 크게 된다.
제 1 아웃렛(212a)과, 제 2 아웃렛(212b)과, 제 3 아웃렛(212c)는 세척조(30)의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차례로 배열된다.
즉, 제 1 아웃렛(212a)은 상대적으로 좌측 고정 노즐(330)에 가깝고, 제 3 아웃렛(212c)은 상대적으로 우측 고정 노즐(340)에 가깝게 배치되고, 제 2 아웃렛(212b)은 그 가운데에 배치된다.
제 1 아웃렛(212a)은 제 1 호스(271a,도 3)를 통해 좌측 고정 노즐(330)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아웃렛(212b)은 제 2 호스(271b,도 3)를 통해 회전 노즐들(311,313)에 연결될 수 있다. 제 3 아웃렛(212c)은 제 3 호스(271c,도 3)를 통해 우측 고정 노즐(34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아웃렛(212a,212b,212c)은 상대적으로 자신에게 가까운 분사 노즐(311,313,320)에 연결되므로, 호스(271a,271b,271c)의 길이가 짧아지고 엉김이 발생하지 않으며 세척수의 압력 손실이 저감될 수 있다.
하우징(210)에는 섬프(100)에 결합되기 위한 섬프 결합부(223)가 마련되고, 섬프(100)에는 섬프 결합부(223)에 결합되는 분배 장치 결합부(109,도 3)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섬프 결합부(223)는 홈 형상으로 마련되고, 분배 장치 결합부(109)는 돌기 형상으로 마련된다. 섬프 결합부(223)와 분배 장치 결합부(109)가 결합됨으로써, 분배 장치(200)와 섬프(100)의 위치가 정렬될 수 있다.
개폐 부재(220)는 하우징(210)의 내부에서 하우징(210)의 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아웃렛들(212a,212b,212c)을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따라서, 개폐 부재(220)는 실질적으로 분사 노즐들(311,313,320)에 세척수를 분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개폐 부재(220)는 대략 중공의 원통 형상을 갖는다. 개폐 부재(220)는 하우징(210)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회전 바디(221)와, 아웃렛들(212a,212b,212c)을 폐쇄하도록 회전 바디(221)에 결합되는 실링 부재들(225)을 포함한다.
회전 바디(221)의 원주면에는 연통홀들(222)이 형성될 수 있다. 연통홀들(222)은 아웃렛들(212a,212b,212c)에 대응되도록 위치되는 경우에 아웃렛들(212a,212b,212c)로 세척수가 원활히 유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바디(221)의 원주면에는 개폐 부재(220)가 하우징(210)의 내부에서 회전할 시에 하우징(210)과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개폐 부재(220)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우징(210)의 내주면과, 회전 바디(222)의 외주면을 소정 간격 이격시키는 이격 돌기들(224)이 형성될 수 있다. 이격 돌기들(224)에 의해 하우징(210)의 내주면과, 회전 바디(222)의 외주면은 항상 일정 간격을 갖도록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회전 바디(221)의 원주면에는 실링 부재들(225)이 결합되는 걸림홀들(223)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홀들(223)에는 실링 부재들(225)의 걸림 돌기부들(227)이 결합된다. 걸림홀들(223)은 실링 부재들(225)의 걸림 돌기부들(227)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호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중앙의 걸림홀(223)은 대략 십자 형상을 갖고, 양 측의 걸림홀들(223)은 일자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중앙의 실링 부재(225)의 걸림 돌기부(227)는 십자 형상을 갖고, 양 측의 걸림 돌기부들(227)은 일자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상들이 다르게 마련되는 이유는 조립 시에 중앙에 결합되는 실링 부재(225)와, 양 측에 결합되는 실링 부재들(225)들의 형상이 다른 경우에 이를 용이하게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회전 바디(221)의 축 방향 양단부 중에 하우징(220)의 인렛(211)에 대응되는 일단부는 개방된다. 회전 바디(221)의 축 방향 양단부 중에 나머지 타단부에는 캠 부재(240)의 캠 샤프트(241)가 결합되는 캠 샤프트 결합부(229)가 마련된다.
실링 부재들(225)은 아웃렛들(212a,212b,212c)을 폐쇄하도록 회전 바디(221)의 원주면에 결합된다. 실링 부재들(225)은 회전 바디(221)의 걸림홀들(223)에 결합된다. 실링 부재들(225)은 회전 바디(221)의 걸림홀들(223)에 반경 방향으로 다소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것은 실링 부재들(225)이 아웃렛들(212a,212b,212c)에 밀착하여 아웃렛들(212a,212b,212c)의 실링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즉, 실링 부재들(225)은 회전 바디(221)에 밀착되는 개방 위치와, 아웃렛들(212a,212b,212c)에 밀착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한다. 실링 부재들(225)은 하우징(210)의 내부로 세척수가 유입되면, 세척수의 수압에 의해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아웃렛들(212a,212b,212c)의 밀폐력이 향상되어, 분배 장치(200)의 신뢰성이 제고될 수 있다.
실링 부재(225)는 아웃렛들(212a,212b,212c)에 밀착되도록 곡면 형상을 갖는 실링부(226,도 8)와, 회전 바디(221)의 걸림홀(223)에 삽입되도록 실링부(226)에서 돌출되는 걸림 돌기부(227)를 포함한다.
실링 부재(225)가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걸림 돌기부(227)와 걸림홀(223)은 다소 유격을 갖도록 마련된다. 대신에, 걸림 돌기부(227)의 단부에는 실링 부재(225)가 걸림홀(223)에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걸림홀(223) 보다 큰 직경을 갖는 스토퍼부(228)가 형성될 수 있다.
실링 부재(225)는 수지 재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실링 부재(225)는 걸림 돌기부(227)를 강하게 가압하여 걸림홀(223)에 삽입하는 방식으로 용이하게 회전 바디(221)에 조립할 수 있고, 조립된 이후에는 스터퍼부(228)가 걸림홀(223)에 걸리게 되어 수동으로 힘을 가하지 않는 한 회전 바디(221)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도 11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분배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모터는 생략됨). 도 12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분배 장치의 캠 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분배 장치의 마이크로 스위치의 온 및 오프의 시간과, 개폐 부재의 회전 위치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분배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 2 아웃렛만 개방되어 회전 노즐들로만 세척수가 분배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분배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 3 아웃렛만 개방되어 우측 고정노즐어셈블리로만 세척수가 분배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분배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 1 아웃렛과, 제 3 아웃렛만 개방되어 좌측 고정노즐어셈블리와, 우측 고정노즐어셈블리로만 세척수가 분배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분배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 1 아웃렛만 개방되어 좌측 고정노즐어셈블리로만 세척수가 분배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모터(230)가 작동되면, 모터 샤프트(231)를 통해 회전력이 캠 부재(240)에 전달되고, 캠 부재(240)가 회전한다. 모터(230)는 일 방향으로만 회전하는 일 방향 모터일 수 있다.
편의상, 도 12를 기준으로, 캠 부재(240)가 회전 중심(242)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고 가정한다. 캠 부재(240)가 회전하면 캠 샤프트(241)를 통해 회전력이 개폐 부재(220)에 전달되어 개폐 부재(220)가 함께 회전한다.
캠 부재(240)에는 마이크로 스위치(250)의 접촉 단자(251)가 접촉되도록 마련된다. 캠 부재(240)는 마이크로 스위치(250)를 온 및 오프 시키도록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볼록부들(243a,243b,243c)과, 반경 방향으로 함몰되는 오목부들(244a,244b,244c)를 포함한다.
볼록부들(243a,243b,243c)은 반시계 방향으로 차례로 배열된 제 1 볼록부(243a), 제 2 볼록부(243b), 제 3 볼록부(243c)를 포함하고, 오목부들(244a,244b,244c)은 반시계 방향으로 차례로 배열된 제 1 오목부(244a), 제 2 오목부(244b), 제 3 오목부(244c)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 스위치(250)는 접촉 단자(251)가 캠 부재(240)의 볼록부들(243a,243b,243c)에 접촉할 때 온되고, 캠 부재(240)의 오목부들(244a,244b,244c)에 접촉할 때 오프 되도록 마련된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모터(230)가 구동하면, 마이크로 스위치(250)는 번갈아 온 및 오프가 될 수 있다.
한편, 분배 장치(200)는 마이크로 스위치(250)의 온 및 오프의 시간에 따라 개폐 부재(220)의 회전 위치들을 지정하고, 개폐 부재(220)를 지정된 회전 위치들 중에 필요한 특정 회전 위치로 회전시키도록 모터(230)를 회전시키거나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더 구비한다. 제어부는 전자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부재(220)의 6 개의 회전 위치들(P1,P2,P3,P4,P5,P6)을 지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마이크로 스위치(250)가 5 초 동안 온 되었다가 오프 되는 시점에서의 개폐 부재(220)의 회전 위치를 개폐 부재(220)의 6 개의 회전 위치들(P1,P2,P3,P4,P5,P6) 중에 제 1 회전 위치(P1)로 지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마이크로 스위치(250)가 5 초 동안 온 되었다가 오프 되는 시점은 유일하므로 마이크로 스위치(250)가 5 초 동안 온 되는 구간은 기준 리셋 구간이 될 수 있다.
또한, 5 초 동안 온 되었다가 5 초 동안 오프 되었다가 다시 온 되는 시점에서의 개폐 부재(220)의 회전 위치를 제 2 회전 위치(P2)로 지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회전 위치(P1)에서 제 6 회전 위치(P6)까지 지정할 수 있다.
개폐 부재(220)의 6 개의 회전 위치들(P1,P2,P3,P4,P5,P6)에서 마이크로 스위치(250)의 접촉 단자(251)는 각각 도 12에 도시한 접촉 단자 위치(T1,T2,T3,T4,T5,T6)에 위치하게 된다.
제어부에는 이와 같은 마이크로 스위치(250)의 온 및 오프의 시간에 따른 개폐 부재(220)의 회전 위치 정보가 롬 형태로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에는 개폐 부재(220)의 각각의 회전 위치에 따른 분배 장치(200)의 아웃렛들(212a,212b,212c)의 개폐 정보와, 아웃렛들(212a,212b,212c)의 개폐에 따른 분사 노즐들(311,313,340,350)의 분사 정보가 역시 롬 형태로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특정 분사 노즐(311,313,340,350)을 입력하면, 제어부는 그에 따라 개폐 해야 하는 아웃렛(212a,212b,212c)을 결정하고, 그에 따라 개폐 부재(220)의 특정 회전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개폐 부재(220)를 결정된 특정 회전 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해 모터(230)를 구동시키고, 개폐 부재(220)가 결정된 특정 회전 위치로 회전 완료되면 모터(230)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개폐 부재(220)가 제 1 회전 위치(P1)에 있을 때,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아웃렛(212b)만 개방되고, 따라서, 회전 노즐들(311,313)에만 세척수가 분배될 수 있다.
개폐 부재(220)가 제 2 회전 위치(P2)에 있을 때,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아웃렛(212c)만 개방되고, 따라서, 우측 고정 노즐(340)에만 세척수가 분배될 수 있다.
개폐 부재(220)의 제 3 회전 위치(P3)와, 제 4 회전 위치(P4)는 사용하지 않는다.
개폐 부재(220)가 제 5 회전 위치(P5)에 있을 때,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아웃렛(212a)과 제 3 아웃렛(212c)만 개방되고, 따라서, 좌측 고정 노즐(330)과, 우측 고정 노즐(340)에만 세척수가 분배될 수 있다.
개폐 부재(220)가 제 6 회전 위치(P6)에 있을 때,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아웃렛(212a)만 개방되고, 따라서, 좌측 고정 노즐(330)에만 세척수가 분배될 수 있다.
도 18a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세척조의 바닥판과, 바닥판 커버와, 모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18b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바닥판과, 바닥판 커버와, 모터의 단면도, 도 19a는 도 18a에서 씰링부재를 추가한 도면, 도 19b는 도 18b에서 씰링부재를 추가한 도면, 도 20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베인과, 레일 어셈블리와, 분사 노즐 어셈블리와, 바닥판 커버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바닥판 커버에 대해 설명한다.
식기 세척기(1)는 세척조(30)의 바닥판(35)에 후방 일 측에 결합되는 바닥판 커버(600)를 포함한다.
바닥판 커버(600)는 바닥판(35)에 형성되는 모터 통과홀(37) 및 유로 통과홀들(38)을 실링하는 역할과, 베인(400)을 구동하는 모터(530)를 지지하는 역할과, 식기 세척기(1)의 레일 어셈블리(430)와, 노즐 어셈블리(300)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노즐 어셈블리(300)는 상부 회전 노즐(311)과, 중간 회전 노즐(313)과, 좌측 고정 노즐(330)과, 우측 고정 노즐(340)을 포함한다.
레일 어셈블리(430)는 베인(400)의 이동을 안내하는 것으로서, 자세한 구성은 후술한다.
바닥판(35)의 후방에는 바닥판 커버(600)가 결합되도록 돌출된 바닥판 돌출부(36)가 형성될 수 있다. 바닥판 돌출부(36)에는 베인(400)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530)가 통과하는 모터 통과홀(37)과, 노즐 어셈블리(300)와 분배 장치(200,도 3)를 연결하는 유로가 통과하는 유로 통과홀들(38)이 형성될 수 있다.
모터(530)는 바닥판 커버(600)의 밑면에 장착되고, 바닥판 커버(600)를 바닥판(35)에서 분리할 때 모터(530)는 모터 통과홀(37)을 통해 바닥판 커버(600)와 함께 인출될 수 있다.
유로 통과홀들(38)에는 구체적으로 바닥판 커버(600)의 호스 연결부들(652a,652b,652c)이 통과할 수 있다.
바닥판 커버(600)는 모터(530)의 구동 샤프트(531)가 통과하는 샤프트 통과홀(640)과, 분배 장치(200)에서 연장된 호스들(271a,271b,271c)이 결합되도록 아래로 돌출되고 바닥판 돌출부(36)의 유로 통과홀들(38)에 삽입되는 호스 연결부들(652a,652b,652c)과, 노즐 어셈블리(300)의 유입구들(315,333,343)이 결합되도록 위로 돌출되는 노즐 유입구 연결부들(651a,651b,651c)과, 노즐 어셈블리(300)와 레일 어셈블리(430)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홀들(620)과, 베인(400)의 회전을 가이드하도록 돌출되는 회전 가이드(610)를 포함한다.
바닥판 커버(600)는 바닥판 돌출부(36)의 상면에 밀착 결합된다. 바닥판 커버(600)의 호스 연결부들(652a,652b,652c)에는 고정캡들(680)이 결합되어 바닥판 커버(600)가 바닥판 돌출부(36)에 고정될 수 있다.
바닥판 커버(600)와, 바닥판 돌출부(36)의 사이에는 바닥판 돌출부(36)의 모터 통과홀(36)과, 유로 통과홀들(38)을 통해 세척조(30) 내부의 세척수가 세어 나가지 않도록 실링 부재(670)가 마련될 수 있다. 실링 부재(670)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닥판 커버(600)의 밑면에는 베인(400)을 구동시키는 모터(530)가 장착되는 모터 장착부(630)가 마련될 수 있다. 모터(530)의 구동 샤프트(531)는 바닥판 커버(600)의 샤프트 통과홀(640)을 관통하여 세척조(30)의 내부로 돌출될 수 있다. 모터(530)의 구동 샤프트(531)에는 후술하는 구동 풀리(500,도 21)가 결합되어 구동 샤프트(531)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샤프트 통과홀(640)에는 샤프트 통과홀(640)로 세척조(30) 내부의 세척수가 세어 나가지 않도록 실링 부재(660)가 마련될 수 있다. 실링 부재(660)는 구동 샤프트(531)의 원활한 회전과 함께 실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메카니컬 실링 장치일 수 있다.
바닥판 커버(600)의 상면은 기준 수평면(H,도 19)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θ, 도 19)로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이는 바닥판 커버(600) 위에 오물이 쌓이거나, 고정 분사 노즐들(320) 측으로 오물이 진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1)에서 고정 분사 노즐들(320)는 회전 노즐들(311,313)과는 달리 움직이지 않으므로 오물이 잔존 및 정체될 수 있는 바, 상기와 같은 구조로써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닥판 커버(600)의 상면과 기준 수평면(H)과의 경사각(θ)은 대략 3°이상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바닥판 커버(600)의 단부는 바닥판(35)과 소정 간격(S,도 19) 이격 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제조 및 조립 상의 오차로 바닥판 커버(600)를 바닥판(35)과 완전히 밀착시키는 것이 어렵고, 오히려 바닥판 커버(600)의 단부와, 바닥판(35)의 사이에 형성되는 미세한 틈새로 오물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바닥판 커버(600)의 단부와 바닥판(35)과의 간격(S)는 대략 5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바닥판 커버(600)에는 레일 어셈블리(430)와, 노즐 어셈블리(300)가 결합될 수 있다. 바닥판 커버(600)와, 레일 어셈블리(430)와, 노즐 어셈블리(300)는 체결 부재(690)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바닥판 커버(600)와, 노즐 어셈블리(300)와, 레일 어셈블리(430)에는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홀(620,453,347)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써, 레일 어셈블리(430)와, 노즐 어셈블리(300)가 상호 고정되고, 상호 정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1)에서 노즐 어셈블리(300)의 고정 분사 노즐들(32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는 직접 식기를 향하지 않고 레일 어셈블리(430)에 결합되는 베인(400)에 의해 반사되어 식기를 향하므로, 고정 분사 노즐들(320)와 레일 어셈블리(430)의 정확한 위치 정렬이 요구되는 바, 이와 같은 결합 구조를 통해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바닥판 커버(600)의 단부는 바닥판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으며, 다른 방법으로 바닥판 커버(600)의 단부에 씰링부재(6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씰링부재(602)는 바닥판 커버(600)의 단부에 마련되어, 바닥판과 바닥판 커버(600)가 밀착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바닥판 커버(600)의 단부와 바닥판 사이에 형성되는 미세한 틈새로 오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씰링부재(602)는 고무, 가스켓과 같은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스펀지와 같은 변형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바닥판 커버(600)는 산화피막과 같이 외부 표면을 부식시키는 공정을 거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을 통해 바닥판 커버(600) 표면을 흐르는 세척수가 쉽게 증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표면부식공정에 대해서는 바닥판 커버(600)에 대해서만 예를 들어 설명하나, 세척조 내부의 다른 구성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1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베인과, 구동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 구동 장치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벨트와, 벨트 홀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레일과, 벨트와, 벨트 홀더와, 베인 홀더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레일과, 벨트와, 구동 풀리와, 리어 홀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레일과, 벨트와, 구동 풀리와, 리어 홀더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레일과, 벨트와, 아이들 풀리와, 프런트 홀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레일과, 벨트와, 아이들 풀리와, 프런트 홀더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1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베인과, 그 구동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1)는 고정노즐어셈블리(320)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반사시키는 베인(400)을 포함한다. 베인(400)은 고정 분사 노즐들(32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 방향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1)는 베인(400)을 선형 왕복 운동시키는 구동 장치(420)를 포함한다.
구동 장치(420)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530)와, 베인(400)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 어셈블리(430)를 포함하다.
레일 어셈블리(430)는 베인(400)의 이동을 안내하고 내부 공간(441)을 갖는 레일(440)과, 모터(530)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 풀리(500)와, 구동 풀리(500)에 연결되어 회전하고 레일(440)의 내부 공간(441)에 배치되는 벨트(520)와, 벨트(5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벨트(520)에 연결되는 아이들 풀리(510)와, 벨트(520)에 결합되어 선형 왕복 운동하도록 레일(400)의 내부 공간(441)에 배치되는 벨트 홀더(480)와, 벨트 홀더(480)에 결합되어 선형 왕복 운동하도록 레일(400)의 외부에 배치되고 베인(400)이 결합되는 베인 홀더(490)와, 구동 풀리(5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레일(440)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리어 홀더(450)와, 아이들 풀리(5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레일(440)의 전단부에 결합되는 프런트 홀더(460)를 포함한다.
레일(44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레일(440)은 세척조(30)의 좌측벽(33)과 우측벽(34)을 기준으로 가운데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레일(440)은 대략 하부에 개구(445)가 형성된 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레일(440)은 내부 공간(441)과, 상부벽(442)과, 하부벽(444)과, 양 측벽들(443)과, 하부벽(444)에 형성된 하부 개구(445)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개구(445)는 레일(440)의 길이 방향 일단부부터 타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레일(440)을 이와 같이 관 형상으로 마련하는 이유는 벨트(520)가 레일(400)의 내부 공간(441)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벨트(520)가 세척조(30)의 식기에 접촉하여 구동을 방해 받거나 세척조(30)의 세척수에 접촉하여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레일(440)의 하부벽(444)에 개구(445)를 형성하는 이유는 레일(440)의 내부 공간(441)에 배치된 벨트(520)와, 레일(400)의 외부에 마련되는 베인(400)을 연결하여 벨트(520)의 구동력을 베인(400)에 전달하기 위함이다.
벨트(520)는 구동 풀리(500)와, 아이들 풀리(510)에 감겨서 폐곡선을 형성하고, 모터(530)가 구동되면 모터(530)의 회전 방향에 따라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벨트(520)는 인장 강도와 비용 등을 고려하여 아라미드 섬유를 포함하는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벨트(520)의 내측면에는 벨트(520)의 구동력을 벨트 홀더(480)에 전달하는 치형(521)이 형성될 수 있다.
벨트 홀더(480)는 벨트(520)와 마찬가지로 레일(400)의 내부 공간(441)에 배치되고, 벨트(520)의 치형(521)에 결합되어 벨트(520)와 함께 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벨트 홀더(480)는 벨트(520)의 치형(521)에 결합되는 치형 결합부(481)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벨트 홀더(480)는 레일(400)에 지지되는 레그들(482,483)을 포함할 수 있다. 레그들(482,483)은 측방으로 돌출되어 레일(400)의 측벽들(443)에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방 레그들(482)과, 하방으로 돌출되어 레일(400)의 하부벽(444)에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레그들(483)을 포함할 수 있다.
측방 레그들(482)은 벨트 홀더(480)의 이동 시에 레일(400)과의 충돌 및 마찰로 인한 소음 및 진동을 저감하고 벨트 홀더(480)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측방 레그들(482)은 일종의 판 스프링 종류의 탄성체일 수 있다. 즉, 측방 레그들(482)은 이완 형상과 압축 형상 사이에서 탄성 변형되는 곡면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벨트 홀더(480)는 베인 홀더(490)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부(484)를 가질 수 있다. 체결부(484)는 체결 부재(496)가 삽입되는 체결홀(485)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인 홀더(490)는 벨트 홀더(480)에 결합되어 벨트 홀더(480)와 함께 운동하며 벨트 홀더(480)의 구동력을 베인(400)에 전달한다. 베인 홀더(490)는 레일(44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마련된다.
베인 홀더(490)는 레일(440)의 하부 개구(445)를 통해서 벨트 홀더(480)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베인 홀더(490)는 벨트 홀더(480)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홀(491)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베인 홀더(490)의 체결홀(491)과, 벨트 홀더(480)의 체결홀(485)에 체결 부재(496)를 체결함으로써 베인 홀더(490)와, 벨트 홀더(480)를 결합할 수 있다.
체결 부재(496)는 아래에서 위를 향하여 진행하며 베인 홀더(490)의 체결홀(491)과, 벨트 홀더(480)의 체결홀(485)에 차례로 체결될 수 있다.
베인 홀더(490)에는 베인(40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돌기부(493)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돌기부(493)는 측방으로 돌출되는 결합 축부(494)와, 베인(40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결합 축부(494)의 단부에 형성되는 이탈 방지부(495)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풀리(500)는 회전축(501)과, 모터(530)의 구동 샤프트(530)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 샤프트 연결부(503)와, 벨트(520)가 결합되는 벨트 결합부(502)를 포함한다.
리어 홀더(450)는 구동 풀리(5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레일(440)의 후단부에 결합된다. 리어 홀더(450)는 구동 풀리(500)의 회전축(501)을 지지하는 풀리 지지면(451)과, 레일(440)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레일 지지면(452)과, 바닥판 커버(600)에 결합되기 위한 체결홀(453)을 포함한다.
아이들 풀리(510)는 회전축(511)과, 벨트(520)가 결합되는 벨트 결합부(512)를 포함한다.
프런트 홀더(460)는 프런트 탑 홀더(461)와, 프런트 탑 홀더(461)의 하부에 결합되는 프런트 바텀 홀더(465)와, 프런트 탑 홀더(461)와 프런트 바텀 홀더(465)의 사이에 레일(4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아이들 풀리(5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풀리 브라켓(467)을 포함한다.
프런트 탑 홀더(461)는 아이들 풀리(510)의 회전축(511)을 지지하는 풀리 지지면(462)과, 레일(440)의 전단부를 지지하는 레일 지지면(463)을 포함한다.
프런트 바텀 홀더(465)는 걸림 구조에 의해 프런트 탑 홀더(461)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프런트 바텀 홀더(465)는 세척조(30)의 바닥판(35)에 결합되는 결합 돌기(466)를 가질 수 있다.
풀리 브라켓(467)은 아이들 풀리(510)의 회전축(511)을 지지하는 풀리 지지면(468)을 포함한다.
한편, 레일(440)과, 벨트(520)와, 구동 풀리(500)와, 리어 홀더(450)와, 아이들 풀리(510)와, 프런트 홀더(460)는 벨트(520)의 장력에 의해 상호 조립될 수 있다.
즉, 벨트(520)의 장력에 의해 구동 풀리(500)가 레일(44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이 힘은 리어 홀더(450)의 풀리 지지면(451)을 통해 리어 홀더(450)에 전달되어서, 결과적으로 리어 홀더(450)가 레일(440)의 후단부에 밀착 결합되게 된다.
또한, 벨트(520)의 장력에 의해 아이들 풀리(510)가 레일(44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이 힘은 프런트 홀더(460)의 풀리 지지면(462)를 통해 프런트 홀더(460)에 전달되어서, 결과적으로 프런트 홀더(460)가 레일(440)의 전단부에 밀착 결합되게 된다.
한편, 프런트 홀더(460)는 벨트(520)의 장력 유지를 유한 탄성 부재(4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벨트(520)가 세척조(30) 내부의 열기에 의해 열팽창하게 되면 벨트(520)가 늘어나서 벨트(520)의 장력이 감소되고, 벨트(520)의 장력이 감소되면 베인(400)이 원활하게 구동될 수 없기 때문이다.
탄성 부재(470)의 일단부는 프런트 홀더(460)에 지지되고, 탄성 부재(470)의 타단부는 풀리 브라켓(467)에 지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런트 홀더(460)와, 풀리 브라켓(467)에는 각각 탄성 부재 지지면(464,469)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470)는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프런트 홀더(460)는 레일 지지면(463)에 의해 레일(440)에 지지되므로, 탄성 부재(470)의 탄성력은 풀리 브라켓(467)에 작용할 수 있다. 즉, 탄성 부재(470)의 탄성력에 의해 풀리 브라켓(467)은 레일(44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다.
이때, 풀리 브라켓(467)은 벨트(520)의 장력에 의해 레일(440)에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으므로, 풀리 브라켓(467)은 벨트(520)의 장력과, 탄성 부재(470)의 탄성력이 균형을 이루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즉, 벨트(520)가 늘어나서 장력이 감소되고 탄성 부재(470)의 탄성력이 벨트(520)의 장력 보다 크게 되면, 풀리 브라켓(467)은 탄성 부재(470)의 탄성력에 의해 레일(44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같이 풀리 브라켓(467)이 레일(44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벨트(520)가 다시 팽팽하게 당겨져서 벨트(520)의 장력이 회복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열 팽창에 의해 벨트(520)가 늘어나는 경우에도 풀리 브라켓(467)이 이동하여 벨트(520)를 당겨줌으로써 벨트(520)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고, 구동 장치(420)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레일 어셈블리(430)의 조립 순서를 설명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520)에 벨트 홀더(480)를 결합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520)와 벨트 홀더(480)의 조립체를 레일(440)의 내부 공간(441)에 배치한다. 다음으로, 벨트(520)와 벨트 홀더(480)의 조립체에 베인 홀더(490)를 체결 부재(496)를 통해 결합한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440)의 길이 방향 후단부에 리어 홀더(450)를 조립한다. 다음으로, 벨트(520)에 구동 풀리(500)를 결합한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440)의 길이 방향 전단부에 프런트 탑 홀더(461)를 결합한다. 다음으로, 벨트(520)와, 아이들 풀리(510)와, 풀리 브라켓(467)과, 탄성 부재(470)를 결합한다. 다음으로, 벨트(520)와, 아이들 풀리(510)와, 풀리 브라켓(467)과, 탄성 부재(470)의 조립체를 프런트 탑 홀더(461)의 내부에 밀어 넣는다. 다음으로, 프런트 탑 홀더(461)에 프런트 바텀 홀더(465)를 결합한다.
도 28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베인과, 베인 홀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베인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베인과, 베인 홀더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인에 대해 설명한다.
베인(400)은 레일(440)에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베인(400)은 고정노즐어셈블리(320)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반사시키는 반사부(401)와, 반사부(401)에서 절곡되는 상부 지지부(410)와, 상부 지지부(410)에서 절곡되는 후방 지지부(411)와, 반사부(401)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 마련되는 캡부(404)와, 바닥판 커버(600)의 회전 가이드(610,도 31)에 간섭되도록 마련되는 회전 걸림부(409)와, 반사부(401)와 상부 지지부(410)와 후방 지지부(411)의 강도 보강을 위해 마련되는 보강 리브(414)와, 베인 홀더(490)의 상면에 지지되는 수평 지지부(412)와, 베인 홀더(490)의 측면에 지지되는 수직 지지부(413)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부(401)는 세척수를 반사시키도록 경사지게 마련되는 반사면들(402a,402b)을 포함한다. 반사면들(402a,402b)은 세척수의 반사 각도를 다르게 하도록 서로 다른 경사를 갖고 길이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는 반사면(402a)과, 반사면(402b)을 포함할 수 있다.
캡부(404)는 베인 홀더(49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405)과, 베인(400)이 바닥판 커버(600)의 회전 가이드(610)에 의해 회전할 때 베인(40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회전 스토퍼부(408)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인(400)의 결합홈(405)에는 베인 홀더(490)의 결합 돌기부(493)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 돌기부(493)의 결합 축부(494)가 베인(400)의 결합홈(405)에 삽입될 수 있다. 결합 축부(494)는 베인(40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인(400)의 결합홈(405)은 탄성 후크들(407)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탄성 후크들(407)는 베인 홀더(490)의 결합 축부(494)를 베인(400)의 결합홈(405)에 밀어 넣거나 빼는 과정에서 다서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었다가 삽입 또는 이탈이 완료되면 원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써, 베인(400)은 베인 홀더(490)에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할 수 있다.
베인(400)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는 베인(40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롤러들(415)이 마련될 수 있다. 세척조(30)의 바닥판(35)에는 롤러들(415)을 지지하는 롤러 지지부(39,도 47)가 마련될 수 있다.
도 31 내지 도 33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베인이 회전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4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베인 이동 구간에서 베인이 세척수를 반사시키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5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베인 미이동 구간에서 베인이 세척수를 반사시키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1 내지 도 3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베인의 이동 구간과 미이동 구간 및 회전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1)는 고정 분사 노즐들(320)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베인(400)이 식기 측으로 반사시킨다. 고정 분사 노즐들(320)는 대략 수평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므로 고정 분사 노즐들(320)와 베인(400)은 대략 상호 수평하게 위치된다. 따라서, 고정 분사 노즐들(320)이 배치된 영역에는 베인(400)이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즉, 식기 세척기(1)는 베인(400)이 이동할 수 있는 베인 이동 구간(I1)과, 베인(400)이 이동할 수 없는 베인 미이동 구간(I2)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1)의 베인(400)은 베인 미이동 구간(I2)에 수납된 식기를 세척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바닥판 커버(600)에는 베인(40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돌출된 회전 가이드(610)가 형성되고, 베인(400)에는 회전 가이드(610)에 간섭되도록 회전 걸림부(409)가 형성된다. 회전 걸림부(409)는 베인(400)의 회전축을 형성함과 동시에 베인(40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베인 홀더(490)의 결합 돌기부(493) 보다 상측에 형성된다.
회전 가이드(610)는 회전 걸림부(409)가 접촉되고 베인(400)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면(611)을 포함한다.
베인(400)이 베인 이동 구간(I1)에서 베인 미이동 구간(I2)에 도달했을 때 베인(400)의 회전 걸림부(409)가 바닥판 커버(600)의 회전 가이드(610)의 가이드면(611)에 간섭되면, 베인(400)은 베인 홀더(490)의 결합 돌기부(493)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미이동 구간(I2)의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반사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6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섬프와, 코스 필터와, 파인 필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7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섬프와, 코스 필터와, 파인 필터와, 마이크로 필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8은 도 36의 Ⅰ-Ⅰ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9는 도 38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0은 도 38의 Ⅱ-Ⅱ 선에 따른 단면도. 도 42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섬프와, 코스 필터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코스 필터의 잠금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3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코스 필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4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섬프와 코스 필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코스 필터의 잠금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5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섬프와, 코스 필터와, 마이크로 필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6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코스 필터와, 마이크로 필터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7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세척조의 하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1)는 세척수를 저수하는 섬프(100)와, 섬프(100)의 세척수를 분사 노즐들(311,313,320)로 순환시키는 순환 펌프(51)와, 섬프(100)의 세척수를 오물과 함께 본체(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 펌프(52)와, 세척수에 포함된 오물을 거르기 위한 필터들(120,130,140)을 포함한다.
세척조(30)의 바닥판(35)에는 세척수를 섬프(100)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50,도 47)가 형성되고, 세척조(30)의 바닥판(35)은 세척수가 자중에 의해 배수구(50) 측으로 안내되도록 배수구(50) 측으로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섬프(100)는 대략 상면이 개구된 반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섬프(100)는 바닥부(101)와, 측벽부(103)와, 바닥부(101)와 측벽부(103)에 형성되고 세척수가 저수되는 저수 챔버(110)와, 순환 펌프(51)가 연결되는 순환 포트(107)와, 배수 펌프(52)가 연결되는 배수 포트(108)를 포함한다.
필터들(120,130,140)들은 바닥판(35)의 배수구(50)에 장착되는 파인 필터(120,fine filter)와, 섬프(100)에 장착되는 코스 필터(140,coarse filter) 및 마이크로 필터(130,micro filter)를 포함한다.
코스 필터(140)는 대략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코스 필터(140)는 섬프(100)의 측벽부(103)의 내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코스 필터(140)는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오물을 거르는 필터부(142)와, 코스 필터(140)의 장착을 위한 손잡이(141)를 가질 수 있다. 코스 필터(140)의 필터부(142)는 코스 필터(140)의 원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코스 필터(140)는 마이크로 필터(130)의 통과홀(139)와, 파인 필터의 통과홀(121)을 관통하여 섬프(100)에 장착된다. 코스 필터(140)의 상부는 세척조(30)의 내부로 돌출되고 하부는 섬프(100)의 오물 포집 챔버(111)로 돌출된다. 오물 포집 챔버(111)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파인 필터(120)는 상대적으로 중간 크기 이상의 오물을 거르는 필터부(121)와, 코스 필터(140)가 통과하는 통과홀(122)을 가질 수 있다. 파인 필터(120)는 세척조(30)의 바닥판(35)의 배수구(50) 위에 대략 수평하게 장착될 수 있다. 파인 필터(120)는 세척수가 자중에 의해 통과홀(122) 측으로 안내되도록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세척조(30)의 세척수는 파인 필터(120)의 경사를 따라 코스 필터(140)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다만, 일부의 세척수 및 오물은 파인 필터(120)의 필터부(121)를 통과하여 바로 섬프(100)의 저수 챔버(110)로 유동할 수 있다.
마이크로 필터(130)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 이상의 오물을 거르고 편평한 형상을 갖는 필터부(131)와, 필터부(131)를 지지하는 프레임들(132,133,135)과, 코스 필터(140)가 통과하는 통과홀(139)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들(132,133,135)은 상부 프레임(132)과, 하부 프레임(133)과, 측부 프레임들(135)을 포함한다. 마이크로 필터(130)는 하부 프레임(133)이 섬프(100)의 바닥부(101)에 밀착하고, 측부 프레임들(135)이 섬프(100)의 측벽부(103)에 밀착되도록 섬프(100)에 장착된다.
마이크로 필터(130)는 섬프(100)의 저수 챔버(110)를 오물 포집 챔버(111)와, 순환 챔버(112)로 구획할 수 있다. 오물 포집 챔버(111)에는 배수 펌프(52)가 연결되고, 순환 챔버(112)에는 순환 펌프(51)가 연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코스 필터(140)는 그 하부가 오물 포집 챔버(110)로 돌출되도록 마련되므로, 코스 필터(140)를 통과한 세척수 및 세척수에 포함된 오물은 오물 포집 챔버(110)로 유입된다.
오물 포집 챔버(111)로 유입된 세척수는 마이크로 필터(130)를 통과하여 순환 챔버(112)로 유동할 수 있다. 다만, 오물 포집 챔버(111)로 유입된 세척수에 포함된 오물은 마이크로 필터(130)를 통과하지 못하므로 순환 챔버(112)로 유동하지 못하고 그대로 오물 포집 챔버(111)에 남아 있게 된다.
오물 포집 챔버(110)에 포집된 오물은 배수 펌프(52)가 가동되면 세척수와 함께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오물 포집 챔버(110)의 오물이 마이크로 필터(130)와 섬프(100)의 틈새를 통해 순환 챔버(112)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이크로 필터(130)는 섬프(100)의 바닥부(101) 및 측벽부(103)에 밀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마이크로 필터(130)의 하부 프레임(133)에는 하부 실링홈(134)이 형성되고, 측부 프레임(135)에는 측부 실링 돌기(136)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섬프(100)의 바닥부(101)에는 하부 실링홈(134)에 삽입되는 하부 실링 돌기(102)가 형성되고, 섬프(100)의 측벽부(103)에는 측부 실링 돌기(136)가 삽입되는 측부 실링 홈(104)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하방 및 측방의 돌기 및 홈 구조로써, 마이크로 필터(130)와 섬프(100)의 실링이 강화될 수 있다.
한편, 코스 필터(140)는 섬프(100)에 수직 하방으로 삽입된 후에 풀림 위치에서 잠금 위치로 회전되어 섬프(10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코스 필터(140)의 외주면에는 장착 돌기(143)가 형성되고, 섬프(100)의 측벽부(103)의 내측면에는 코스 필터(140)가 풀림 위치에서 잠금 위치로 회전하면 장착 돌기(143)가 수평 방향으로 삽입되는 장착홈(105)이 형성될 수 있다.
장착 돌기(143)는 코스 필터(140)의 풀림 위치에서 잠금 위치로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향하는 상향 경사면(144)을 가질 수 있다. 장착홈(105)은 코스 필터(140)의 풀림 위치에서 잠금 위치로의 회전 방향에 따라 하향하는 하향 경사면(106)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써, 코스 필터(140)가 풀림 위치에서 잠금 위치로 회전할 시에 장착 돌기(143)의 상향 경사면(144)이 장착홈(105)의 하향 경사면(106)을 타고 미끄러지면서 코스 필터(140)가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코스 필터(140)는 풀림 위치에서 잠금 위치로 회전할 시에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마이크로 필터(130)를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코스 필터(140)는 마이크로 필터(130)를 하방으로 가압하도록 수평하게 형성되는 하방 가압면(145)을 가질 수 있다. 마이크로 필터(130)는 하방 가압면(145)에 의해 가압되도록 수평하게 형성되는 하방 대응면(137)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코스 필터(140)가 풀림 위치에서 잠금 위치로 회전할 시에 마이크로 필터(130)를 하방으로 가압함으로써, 마이크로 필터(130)의 하부 프레임(133)과, 섬프(100)의 바닥부(101)의 실링이 더욱 강화될 수 있고, 마이크로 필터(130)의 들뜸이 방지 될 수 있다.
또한, 코스 필터(140)는 풀림 위치에서 잠금 위치로 회전할 시에 마이크로 필터(130)를 측방으로 가압하도록 외주면의 일부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팽창되어 형성되는 측방 가압면(146)을 가질 수 있다. 즉, 코스 필터(140)는 배부름 형상 또는 타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마이크로 필터(130)는 측방 가압면(146)에 의해 측방으로 가압되는 측방 대응면(138)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코스 필터(140)가 풀림 위치에서 잠금 위치로 회전하면 마이크로 필터(130)가 측방으로 가압되어 마이크로 필터(130)의 측부 프레임(135)과, 섬프(100)의 측벽부(103)의 실링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
한편,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스 필터(140)는 세척조(30)의 양 측벽들(33,34) 중에 일 측벽에 치우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코스 필터(140)는 우측벽(34) 보다 좌측벽(33)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코스 필터(140)의 배치로서, 코스 필터(140)를 분리할 때 레일(440)에 간섭됨이 없이 코스 필터(14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4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단면도, 도 4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사유닛과 전환유닛의 사시도, 도 5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사유닛과 전환유닛의 상면도, 도 5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사유닛과 전환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8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801)과, 캐비닛(801)의 내부에 마련되어 식기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세척조(803)를 포함한다. 세척조(803)의 하부에는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843)를 포함한다.
캐비닛(801)의 전면은 세척조(803)에 식기를 수납하거나 세척조(803)로부터 식기를 인출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으며, 세척조(803)를 개폐하도록 도어(802)가 설치된다. 도어(802)는 캐비닛(801)의 전면 하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하며 세척조(803)를 개폐한다.
세척조(803) 내에는 상측이 개방되어 식기가 수용되는 수납부가 마련되어 있는 한 쌍의 식기 바스켓(804)이 세척조(803)의 상부 및 하부에 진퇴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식기 바스켓(804)은 식기 바스켓(804)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랙(805a,805b)에 의해 개방되어 있는 캐비닛(801)의 전면을 통해 인출 및 수납된다.
식기 바스켓(804)은 그 내부에 수납된 식기가 식기 바스켓(804)의 외부로 노출되어 세척될 수 있도록 격자 형상으로 배치된 와이어에 의해 형성된다.
세척조(803)의 적어도 한 면에는 식기 바스켓(804)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유닛(810,860,870)이 장착된다.
분사 유닛(810,860,870)은 세척조(803)의 내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된다. 분사 유닛(810,860,870)은 세척조(803)의 적어도 한 면에 마련되며, 식기 바스켓(804)의 하단, 상단, 측면 중 적어도 일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분사 유닛(810,860,870)은 세척조(803)의 적어도 한 면에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분사 유닛(810,860,870)이 위치한 곳의 반대 방향을 향해 물을 분사할 수 있다.
분사 유닛(810, 860, 870)은 분사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인 제 1 분사 유닛(810)만 1차 워터젯과 2차 워터젯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하부 식기 바스켓(804b)의 하측에는 제 1 분사 유닛(810)과 전환유닛(820)이 위치하며, 제 1 분사 유닛(810)과 전환유닛(820)에 의해 1차 워터젯과 2차 워터젯이 형성되어 식기를 세척한다. 상부 식기 바스켓(804a)의 하측과 상측에는 회전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 2 분사 유닛(860,870)이 마련될 수 있다. 즉, 분사 유닛(810. 160. 170)은 선형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선형분사방식과, 회전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는 회전분사방식이 함께 사용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분사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분사 유닛(810,860,870)은 선형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 1 분사 유닛(810)과, 회전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 2 분사 유닛(860,8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분사 유닛(810)의 전면에는 전환유닛(820)이 마련되어 세척수의 분사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제 1 분사 유닛(810)은 하부 식기 바스켓(804b)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 분사 유닛(860,870)은 하부 식기 바스켓(804b)과 상부 식기 바스켓(804a)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부 식기 바스켓(804a)의 상측에는 제 2 분사 유닛(860)이 추가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제 1 분사 유닛(810)은 식기 바스켓(804) 하단과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 1개 이상의 1차 워터젯(Water Jet)이 형성되도록 물을 분사할 수 있다.
분사 유닛(810,860,870)에서 분사된 세척수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전환유닛(820)이 세척조(803) 내에 마련된다. 전환유닛(820)은 분사되는 세척수의 경로 내측에 마련되어 세척수의 방향을 전환시킨다. 제 1 분사 유닛(81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방향을 제 1 방향이라고 정의하고, 전환유닛(820)에 의해 전환된 세척수의 방향을 제 2 방향이라고 정의한다. 일 예로, 전환유닛(820)은 제 1 분사 유닛(810)과 대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분사 유닛(810)이 식기 바스켓(804)의 하단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경우, 전환유닛(820)은 식기 바스켓(804)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전환유닛(820)은 식기 바스켓(804) 외부에 위치하여 제 1 분사 유닛(810)에서 멀어지는 방향 또는 제 1 분사 유닛(81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선형(linear) 운동을 할 수 있다. 제 1 분사 유닛(810)에서 분사되는 1차 워터젯(Water Jet)은 전환유닛(820)을 향하도록 분사되고, 전환유닛(820)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어 식기 바스켓(804) 내부에 위치한 식기를 향해 2차 워터젯(Water Jet)을 형성함으로써, 실질적으로 2차 워터젯(Water Jet)을 이용하여 식기를 세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분사 유닛(810)이 세척조 후면에 장착되어 있고, 제 1 분사 유닛(810)과 평행한 방향으로 전환유닛(820)이 위치할 수 있다. 전환유닛(820)은 제 1 분사 유닛(810)과 가까운 방향에서 멀어지는 방향, 또는 그 반대로 선형(Linear) 왕복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식기세척기(800)는 전환유닛(820)이 세척조(803)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유닛은 전환유닛(820)에 결합되는 가이드 부재(831)와 전환유닛(820)을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발생장치(835)와 풀리(83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 유닛은 풀리(834)와 전환유닛(820)을 연결하는 연결부재(8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전환유닛(820)의 이동이 가능하나, 위와 같은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전환유닛(820)이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면 만족한다.
전환 유닛(820)은 양 측에 롤러(832)를 포함하여, 세척조 내부에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전환 유닛(820)은 스틸 또는 플라스틱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전환 유닛(820)은 전환 유닛(820)이 세척조(803)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동시키는 구동 유닛과 결합할 수 있다. 구동 유닛은 전환 유닛(820)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해 전환 유닛(820)의 일측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부재(83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부재(831)는 레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가이드 부재는 별도의 추가 부품 없이 식기 바스켓(804)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 부재는 별도의 추가 부품 없이 세척조(803)의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환 유닛(820)의 롤러(832)는 구동 유닛의 가이드 부재(831)에 결합되며, 가이드 부재(831)을 따라서, 세척조(803)의 전면과 후면 사이를 이동 가능하다. 구동 유닛의 가이드 부재(831)은 세척조(803)의 양 측벽(803a,803b)에 결합된다. 전환 유닛(820)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835)는 풀리(834)와 결합된다. 풀리(834)는 연결부재(833)를 통해 전환 유닛(820)과 연결된다. 연결부재(833)는 와이어 로프 또는 탄소 재질의 가늘고 긴 끈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연결부재로 벨트 또는 볼 스크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전환유닛(820)을 통해 식기 바스켓(804) 내부의 가로(8) 또는 세로(9)로 배치되는 식기에 대해 다양한 방향으로 세척이 가능하다.
세척조(803)에는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터(844)와 히터 설치홈(845)이 마련될 수 있다. 세척조(803)의 바닥에 히터 설치홈(845)이 마련되고, 히터 설치홈(845)에 히터(844)가 설치된다.
섬프(843)는 세척조(803)의 바닥 중앙에 마련되어 세척수를 모아서 펌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섬프(843)는 세척수를 고압으로 펌핑하는 세척펌프(842)와, 세척펌프(842)를 구동하는 펌프모터(84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세척조(803)의 바닥에는 세척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 펌프(846)가 마련된다.
세척펌프(842)는 제 1 공급관(806)을 통하여 제 2 분사유닛(860,870)으로 세척수를 펌핑하고, 제 2 공급관(808)을 통해 제 1 분사 유닛(810)으로 세척수를 펌핑한다. 도면에는 제 1 공급관(806)과 제 2 공급관(808)이 따로 섬프(113)에 결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 1 공급관(806)과 제 2 공급관(808)은 하나의 관에서 분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공급관(806)의 경우 연결부(미도시)와 연결되며, 연결부(미도시)가 분사 유닛(810,860,870)과 연결될 수 있다.
섬프(843)는 세척수의 오염도를 검출하는 탁도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800)의 제어부(미도시)는 탁도센서(미도시)를 이용하여 세척수의 오염도를 검출하고, 세척 단계 또는 헹굼 단계의 진행 횟수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오염도가 높은 경우 세척 또는 헹굼 단계를 증가시키고, 오염도가 낮은 경우 세척 또는 헹굼 단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사유닛의 사시도이다.
제 1 분사유닛(900)은 전환유닛(820)에 대응되도록 1차 워터젯을 생성하도록 마련된다.
제 1 분사유닛(900)은 세척조(803)에 결합되는 분사바디(910)와,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유로(924)가 마련되는 분사노즐(920)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사바디(910)는 세척조(803)에 결합되어, 유입관(960)으로부터 유입되는 세척수가 복수의 분사노즐(920)에 대해 분배될 수 있도록 그 내부에 분배유로(912)가 형성된다.
유입관(960)은 공급관(808)을 통해 세척펌프를 통해 펌핑되는 세척수가 제 1 분사유닛(900)으로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유입관(960)은 유입홀(960a)이 구비되어 있어, 공급관(808)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를 분사바디(910)로 안내하게 된다. 유입관(960)은 공급관(808)과 결합되어 세척수가 제 1 분사유닛(900)으로 유입되게 된다.
분배유로(912)는 유입관(960)의 유입홀(960a)과, 이후 설명하는 분사노즐(920)의 분사유로(924)와 각각 연통하는 구성으로서, 유입홀(960a)을 통해 유입되는 세척수를 복수의 분사노즐(920)로 분배하도록 마련된다.
분사노즐(920)은 분사바디(910)에 마련되며, 유입관(960)을 통해 분사바디(910)로 공급된 세척수를 전환유닛(820)을 향해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도 5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의 확대도, 도 5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의 상면도, 도 5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의 단면사시도, 도 5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의 단면도, 도 5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의 일부확대도이다.
분사노즐(920)은 세척조 내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된다.
분사노즐(920)에는 세척수가 지나도록 분사유로(924)를 형성하는 노즐내벽(923)이 마련될 수 있다. 노즐내벽(923)은 분사노즐(920) 내부에 마련되어, 세척수를 세척조로 안내하는 분사유로(924)를 형성한다.
노즐내벽(923)이 형성하는 분사유로(924)는 세척수의 진행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지점에서의 분사유로(924)의 단면적은, 제 1 지점보다 세척수 진행방향에 대해 하류에 마련되는 제 2 지점에서의 분사유로(924)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 지점에서의 세척수 진행방향과 수직한 단면에서의 분사유로(924)의 단면적.을 제 1 넓이라 하고, 제 1 지점보다 하류에 있는 제 2 지점에서의 세척수 진행방향과 수직한 단면에서의 분사유로(924)의 단면적을 제 2 넓이라 할 때, 제 1 넓이는 제 2 넓이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노즐내벽(923)은 복수의 유로내벽(923a)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유로내벽(923a)은 세척수의 진행방향에 대해 수직한 단면이 호의 형상으로 마련된다. 복수의 유로내벽(923a)의 곡률반경은 상호 다르게 마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도록 마련된다.
또한 복수의 유로내벽(923a)의 곡률반경의 중심(926a)은 각각 다르게 마련될 수 있으며, 상호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로내벽(923a)이 4개가 마련되어 방사상으로 마련되나, 이후 설명하는 제 3 실시예에서와 같이 유로내벽(923a)이 10개 마련될 수도 있고, 그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복수의 유로내벽(923a)은 곡률반경의 중심(926a)이 상호간에 이격되도록 마련됨으로서, 복수의 유로내벽(923a)이 상호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맞닿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복수의 유로내벽(923a)의 곡률반경의 중심(926a)이 상호간에 이격됨에 따라, 복수의 유로내벽(923a) 중 어느 하나의 유로내벽(923a)의 일단부는 인접한 유로내벽(923a)의 타단부와의 접촉이 노즐내벽(923)에 대해 돌출형성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노즐내벽(923)은 복수의 유로내벽(923a)이 상호 맞닿아 분사유로(924)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94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돌출부(940)는 인접한 노즐내벽(923)보다 분사유로(924)측으로 돌출형성되도록 마련된다. 복수의 돌출부(940)는 세척수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노즐내벽(923)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이격배치되도록 마련된다.
복수의 돌출부(940)는 세척수의 진행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정도가 크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복수의 돌출부(940)는 제 1 지점에서 노즐내벽(923)으로부터 제 1 높이 돌출되고, 제 1 지점보다 세척수의 진행방향에 대해 하류에 마련된 제 2 지점에서 노즐내벽(923)으로부터 제 2 높이 돌출될 때, 제 2 높이는 제 1 높이보다 높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돌출부(940)의 돌출되는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분사유로(924)를 향해 볼록한 곡면의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된다.
복수의 돌출부(940)는 산부(942)와, 측면부(944)를 포함할 수 있다.
산부(942)는 분사유로(924)를 향해 노즐내벽(923)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산부(942)는 돌출부(940)중에서 분사유로(924)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의미한다. 산부(942)는 양측의 측면부(944)에 의해 뾰족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분사유로(924)측으로 볼록한 곡면의 형상을 가진다.
측면부(944)는 산부(942)의 양측면에 마련되어 노즐내벽(923)과 산부(942)를 연결하도록 마련된다.
측면부(944)는 노즐내벽(923)과 산부(942)를 잇도록 마련되며, 곡선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측면부(944)는 복수의 유로내벽(923a) 중 인접한 유로내벽(923a)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해 다른 관점에서 설명한다.
상기 설명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거나, 상세히 부가할 수 있다.
분사노즐(920)은 노즐몸체(922)와, 노즐몸체(922) 내부에 형성되는 분사유로(924)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사유로(924)는 분사노즐(920) 내부에서 세척수가 이동하여, 세척조(803)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된다. 분사유로(924)는 복수의 서브유로(926)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서브유로(926)는 상호간에 적어도 일부가 겹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분사유로(924)의 단면적의 넓이는 복수의 서브유로(926)가 독립적으로 형성되었을 때 그 단면적의 넓이의 총합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복수의 서브유로(926)는 분사노즐(92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서브유로축(926a)을 중심으로 각각 형성되고, 복수의 서브유로축(926a)간의 거리는 복수의 서브유로(926) 중 어느 하나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서브유로축(926a)는 위에서 설명한 곡률반경의 중심(926a)과 동일한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분사유로(924)의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에 비해, 분사유로(924)의 외곽선인 분사유로(924)의 둘레에 대한 분사유로(924)의 단면적의 비가 줄어들게 되어 수력직경이 작아지게 된다.
복수의 서브유로(926)의 단면적의 크기는 각각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각 복수의 서브유로(926)는 단면적의 크기가 동일하게 형성된다.
분사유로(924)는 분사노즐(9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분사노즐축(924a)을 가지고, 복수의 서브유로(926)는 각 서브유로(926)의 중심이 되는 서브유로축(926a)을 가진다. 복수의 서브유로축(926a)은 분사노즐축(924a)을 중심으로 하여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서브유로축(926a)이 동일한 간격으로 사각형을 이루도록 네개의 서브유로(926)가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복수의 서브유로(926)의 중심이 되는 서브유로축(926a)은 분사노즐축(924a)에 대해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복수의 서브유로(926)의 배치와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서브유로(926)의 서브유로축(926a)은 세척수의 진행방향에 대해 분사노즐축(924a)과 이격거리가 짧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세척수는 분배유로(912)로부터 유입되어 분사유로(924)를 거쳐 세척조(803)로 분사되게 되는 데, 복수의 서브유로(926)의 중심이 되는 복수의 서브유로축(926a)은 이러한 진행방향에 대해 분사유로(924)의 중심이 되는 분사노즐축(924a)과 이격거리가 짧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단면적의 관점에서 본다면, 복수의 서브유로(926)의 단면은 상호간의 겹치는 면적이 세척수의 진행방향을 따라 넓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각 유로를 지나는 세척수는 분사노즐축(924a)을 향해 일정각도 수렴하게 되고, 세척수의 직진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분사유로(924)는 분배유로(912)와 연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분사유로(924)는 분배유로(912)와 연통되는 부분인 유입구(928)와, 세척조(803)와 연통되는 유출구(930)를 각 단부로 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서브유로(926)는 유입구(928)와 유출구(930)를 공통으로 하여 세척수가 유출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유입구(928)는 원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유출구(930)는 복수의 원형이 겹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928)로부터 유출구(930)에 이르기까지 분사유로(924)는 단차가 없이 단면의 형상이 변형되도록 마련되어 유로저항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분사노즐(920)은 돌출부(940)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940)는 분사노즐(920)에서 분사유로(924)의 분사유로(924)축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돌출부(940)의 돌출형태 및 돌출크기는 한정되지 않는다. 돌출부(940)는 분사유로(924)축을 중심으로 노즐몸체(922)의 내벽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940)를 통해 분사유로(924)가 그 둘레의 길이에 비해 작은 단면적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복수의 서브유로(926) 중 어느 하나의 서브유로(926)가 형성하는 제 1 곡면(946a)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서브유로(926)가 형성하는 제 2 곡면(946b)이 있을 때, 돌출부(940)는 제 1 곡면(946a)과 제 2 곡면(946b)이 만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940)는 복수의 서브유로(926) 상호간의 적어도 일부를 구획할 수 있다.
돌출부(940)는 세척수의 진행방향에 대해 분사노즐축(924a)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돌출부(940)는 분사유로(924)의 유입구(928)에서 유출구(930)에 이르기까지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940)의 돌출정도는 유입구(928)에서보다 유출구(930)에서의 돌출정도가 커지도록 마련되어, 유입구(928)에서보다 유출구(930)에서의 분사유로(924) 둘레의 길이를 크게 할 수 있다.
돌출부(940)는 분사노즐축(924a) 방향으로 돌출되는 산부(942)와, 산부(942)로부터 노즐몸체(922)에 이르는 측면부(944)를 포함할 수 있다.
산부(942)는 세척수의 진행방향을 따라 노즐몸체(922)로부터 돌출되어 분사노즐축(924a)에 가까워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산부(942)는 유로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라운딩처리를 통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측면부(944)는 산부(942)로부터 노즐몸체(922)에 이르는 부분이며, 분사유로(924)의 유로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곡면은 오목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곡면의 곡률은 인접한 분사노즐(920)의 내부단면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측면부(944)는 인접한 노즐몸체(922)의 내벽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리브(950)는 분사노즐(920)의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리브(950)는 분사노즐(920)에서의 수압에 의한 분사노즐(920)의 틀어짐이나, 휨을 방지하기 위해 분사노즐(920)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한다. 가이드리브(950)는 분사바디(910)와 분사노즐(920)을 잇도록 마련되며, 분사노즐(92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분사노즐의 길이는 한정되지 않으나, 기존의 분사유로의 단면이 원형인 분사노즐의 세척수 직진도를 위해서는 수력직경의 10배에 해당하는 길이가 필요하였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복수의 유로내벽으로 형성되는 경우 대략 수력직경의 5배의 해당하는 길이만 있어도 기존의 분사노즐과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복수의 유로내벽의 수를 추가하거나 기타 추가형상에 의해 수력직경의 2배에 해당하는 길이의 분사노즐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수력직경의 2배에 해당하는 길이의 분사노즐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해당하는 분사노즐의 범주에 포함된다.
이하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분사유닛 및 이를 갖는 식기세척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의 구성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5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의 상면도, 도 5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의 단면사시도, 도 6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의 단면도이다.
분사노즐(1020)은 세척조 내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된다.
분사노즐(1020)에는 세척수가 지나도록 분사유로(1024)를 형성하는 노즐내벽(1023)이 마련될 수 있다. 노즐내벽(1023)은 분사노즐(1020) 내부에 마련되어, 세척수를 세척조로 안내하는 분사유로(1024)를 형성한다.
노즐내벽(1023)이 형성하는 분사유로(1024)는 세척수의 진행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지점에서의 분사유로(1024)의 단면적은, 제 1 지점보다 세척수 진행방향에 대해 하류에 마련되는 제 2 지점에서의 분사유로(1024)의 단면적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 지점에서의 세척수 진행방향과 수직한 단면에서의 분사유로(1024)의 단면적을 제 1 넓이라 하고, 제 1 지점보다 하류에 있는 제 2 지점에서의 세척수 진행방향과 수직한 단면에서의 분사유로(1024)의 단면적을 제 2 넓이라 할 때, 제 1 넓이는 제 2 넓이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노즐내벽(1023)은 복수의 유로내벽(1023a)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유로내벽(1023a)은 세척수의 진행방향에 대해 수직한 단면이 호의 형상으로 마련된다. 복수의 유로내벽(1023a)의 곡률반경은 상호 다르게 마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도록 마련된다.
또한 복수의 유로내벽(1023a)의 곡률반경의 중심(1027a)은 각각 다르게 마련될 수 있으며, 상호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유로내벽(1023a)이 10개 마련될 수도 있고, 그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복수의 유로내벽(1023a)은 곡률반경의 중심(1027a)이 상호간에 이격되도록 마련됨으로서, 복수의 유로내벽(1023a)이 상호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맞닿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복수의 유로내벽(1023a)의 곡률반경의 중심(1027a)이 상호간에 이격됨에 따라, 복수의 유로내벽(1023a) 중 어느 하나의 유로내벽(1023a)의 일단부는 인접한 유로내벽(1023a)의 타단부와의 접촉이 노즐내벽(1023)에 대해 돌출형성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노즐내벽(1023)은 복수의 유로내벽(1023a)이 상호 맞닿아 분사유로(1024)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104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돌출부(1040)는 인접한 노즐내벽(1023)보다 분사유로(1024)측으로 돌출형성되도록 마련된다. 복수의 돌출부(1040)는 세척수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노즐내벽(1023)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이격배치되도록 마련된다.
복수의 돌출부(1040)는 세척수의 진행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정도가 크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복수의 돌출부(1040)는 제 1 지점에서 노즐내벽(1023)으로부터 제 1 높이 돌출되고, 제 1 지점보다 세척수의 진행방향에 대해 하류에 마련된 제 2 지점에서 노즐내벽(1023)으로부터 제 2 높이 돌출될 때, 제 2 높이는 제 1 높이보다 높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돌출부(1040)의 돌출되는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분사유로(1024)를 향해 볼록한 곡면의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된다.
복수의 돌출부(1040)는 산부(1042)와, 측면부(1044)를 포함할 수 있다.
산부(1042)는 분사유로(1024)를 향해 노즐내벽(1023)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산부(1042)는 돌출부(1040)중에서 분사유로(1024)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의미한다. 산부(1042)는 양측의 측면부(1044)에 의해 뾰족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분사유로(1024)측으로 볼록한 곡면의 형상을 가진다.
측면부(1044)는 산부(1042)의 양측면에 마련되어 노즐내벽(1023)과 산부(1042)를 연결하도록 마련된다.
측면부(1044)는 노즐내벽(1023)과 산부(1042)를 잇도록 마련되며, 곡선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측면부(1044)는 복수의 유로내벽(1023a) 중 인접한 유로내벽(1023a)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대해 다른 관점에서 설명한다.
제 1 분사유닛(1000)은 세척조(803)에 결합되는 분사바디(1010)와,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유로(1024)가 마련되는 분사노즐(1020)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사노즐(1020)은 노즐몸체(1022)와, 노즐몸체(1022) 내부에 형성되는 분사유로(1024)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사유로(1024)는 분사노즐(1020) 내부에서 세척수가 이동하여, 세척조(803)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된다. 분사유로(1024)는 메인유로(1026)와 복수의 서브유로(1027)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유로(1026)는 분사노즐(10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메인유로(1026)축을 중심으로 하는 유로이다. 메인유로(1026)의 단면은 여러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원형의 형상을 가진다.
복수의 서브유로(1027)는 메인유로(1026)의 가상의 외곽선에 대해 인접한 중심축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서브유로(1027)의 중심을 지나는 서브유로축(1027a)은 메인유로(1026)의 가상의 외곽선에 인접하도록 마련되어, 복수의 서브유로(1027)의 단면의 일부가 메인유로(1026)의 단면과 겹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서브유로(1027)는 메인유로(1026)의 주변을 따라 그 단면적의 일부가 겹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서브유로축(1027a)는 위에서 설명한 곡률반경의 중심(1027a)과 동일한 구성이다.
복수의 서브유로(1027)의 개수나 배치는 한정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메인유로(1026)에 대해 그 외곽선을 따라 균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서브유로(1027)의 서브유로축(1027a)은 세척수의 진행방향에 대해 메인유로(1026)축과 이격거리가 짧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세척수는 분배유로(1012)로부터 유입되어 분사유로(1024)를 거쳐 세척조(803)로 분사되게 되는 데, 복수의 서브유로(1027)의 중심이 되는 복수의 서브유로축(1027a)은 이러한 진행방향에 대해 메인유로(1026)축과 이격거리가 짧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단면적의 관점에서 본다면, 복수의 서브유로(1027)의 단면과 메인유로(1026)의 단면이 겹치는 면적은 세척수의 진행방향을 따라 넓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각 유로를 지나는 세척수는 분사노즐(1020)축을 향해 일정각도 수렴하게 되고, 세척수의 직진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분사유로(1024)는 분배유로(1012)와 연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분사유로(1024)는 분배유로(1012)와 연통되는 부분인 유입구(1028)와, 세척조(803)와 연통되는 유출구(1030)를 각 단부로 하여 형성될 수 있다. 메인유로(1026)과 복수의 서브유로(1027)은 유입구(1028)와 유출구(1030)를 공통으로 하여 세척수가 유출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유입구(1028)는 원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유출구(1030)는 복수의 원형이 겹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1028)로부터 유출구(1030)에 이르기까지 분사유로(1024)는 단차가 없이 단면의 형상이 변형되도록 마련되어 유로저항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분사노즐(1020)은 돌출부(1040)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040)는 분사노즐(1020)에서 분사유로(1024)의 메인유로축(1026a)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된다. 돌출부(1040)의 돌출형태 및 돌출크기는 한정되지 않는다. 돌출부(1040)는 메인유로축(1026a)을 중심으로 노즐몸체(1022)의 내벽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1040)를 통해 분사유로(1024)가 그 둘레의 길이에 비해 작은 단면적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복수의 서브유로(1027) 중 어느 하나의 서브유로(1027)가 형성하는 제 1 곡면(1046a)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서브유로(1027)가 형성하는 제 2 곡면(1046b)이 있을 때, 돌출부(1040)는 제 1 곡면(1046a)과 제 2 곡면(1046b)이 만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040)는 복수의 서브유로(1027) 상호간의 적어도 일부를 구획할 수 있다.
돌출부(1040)는 세척수의 진행방향에 대해 메인유로축(1026a)측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돌출부(1040)는 분사유로(1024)의 유입구(1028)에서 유출구(1030)에 이르기까지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040)의 돌출정도는 유입구(1028)에서보다 유출구(1030)에서의 돌출정도가 커지도록 마련되어, 유입구(1028)에서보다 유출구(1030)에서의 분사유로(1024) 둘레의 길이를 크게 할 수 있다.
돌출부(1040)는 메인유로축(1026a) 방향으로 돌출되는 산부(1042)와, 산부(1042)로부터 노즐몸체(1022)에 이르는 측면부(1044)를 포함할 수 있다.
산부(1042)는 세척수의 진행방향을 따라 노즐몸체(1022)로부터 돌출되어 메인유로축(1026a)에 가까워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산부(1042)는 유로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라운딩처리를 통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측면부(1044)는 산부(1042)로부터 노즐몸체(1022)에 이르는 부분이며, 분사유로(1024)의 유로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곡면은 오목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곡면의 곡률은 인접한 분사노즐(1020)의 내부단면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측면부(1044)는 인접한 노즐몸체(1022)의 내벽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분사유닛 및 이를 갖는 식기세척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의 구성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6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의 상면도, 도 6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의 단면사시도, 도 6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의 단면도이다.
제 1 분사유닛(1100)은 세척조(803)에 결합되는 분사바디(1110)와,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유로(1124)가 마련되는 분사노즐(1120)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사노즐(1120)은 노즐몸체(1122)와, 노즐몸체(1122) 내부에 형성되는 분사유로(1124)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사유로(1124)는 분사노즐(1120) 내부에서 세척수가 이동하여, 세척조(803)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된다. 분사유로(1124)는 제 1 유로(1126)와, 제 1 유로(1126)의 주위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 2 유로(1128)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유로(1126)는 분사노즐(112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유로축(1126a)을 중심으로 하는 유로이다. 제 1 유로(1126)의 단면은 여러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원형의 형상을 가진다.
복수의 제 2 유로(1128)는 제 1 유로(1126)와 인접하도록 형성되며, 제 1 유로(1126)와 독립적인 유출구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 유로(1128)는 세척수가 분배유로로부터 유입되어 제 2 유로(1128)로 유입 및 안내되는 안내관(1128a)과, 제 1 유로(1126)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관(1128b)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1 유로(1126)는 그 중심을 지나는 제 1 유로축(1126a)을 가질 수 있고, 안내관(1128a)을 지나는 세척수는 안내관(1128a)보다 제 1 유로축(1126a)방향으로 절곡된 절곡관(1128b)을 지나면서 방향이 변경되어 제 1 유로(1126)를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에 대해 직진성을 부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 유로(1128)는 제 1 유로(1126)에 대해 그 주변을 따라 복수개가 마련되므로, 제 1 유로(1126)의 분사방향에 대해 보다 나은 직진성을 갖도록 여러방향에서 분사방향을 조정해주는 기능을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분사노즐(1120)은 선형분사방식인 제 1 분사유닛(900,1000,1100)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회전분사방식인 제 2 분사유닛(860,870)에 대해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분사유닛 및 이를 갖는 식기세척기를 통해 분사노즐의 직진성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분사유닛의 크기를 축소할 수 있어 식기세척기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이하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갖는 식기세척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64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의 단면도, 도 65, 66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의 제조과정에 관한 도면이다.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분사노즐(1200)은 세척조 내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된다.
분사노즐(1200)에는 제 1 분사노즐(1210)과, 제 2 분사노즐(1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분사노즐(1210)은 세척수의 진행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작아지는 제 1 분사유로(1210a)를 갖도록 마련된다. 제 2 분사노즐(1220)은 제 1 분사유로(1210a)와 연통하는 제 2 분사유로(1220a)를 갖도록 마련된다. 제 1 분사유로(1210a)와 제 2 분사유로(1220a)는 연통하도록 마련되며, 중심선이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 1 분사유로(1210a)는 노즐유로(1202)와 연통되어, 노즐유로(1202)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를 전달받을 수 있게 마련된다.
제 1 분사노즐(1210)은 제 1 분사유로(1210a)를 형성하는 제 1 노즐내벽(12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노즐내벽(1212)은 세척수의 진행방향에 따라 유로의 중심을 향해 구배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제 1 분사유로(1210a)는 세척수의 진행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2 분사노즐(1220)은 제 2 분사유로(1220a)를 형성하는 제 2 노즐내벽(12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노즐내벽(1222)은 유로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배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제 2 분사유로(1220a)는 세척수의 진행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커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제 2 노즐내벽(1222)이 구배되는 정도는 한정되지 않고, 세척수의 진행방향과 나란하게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제 1 노즐내벽(1212)과 제 2 노즐내벽(1222)은 세척수의 진행방향을 따라 단차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 2 분사노즐(1220)은 제 1 분사유로(1210a) 하류의 단면적보다 제 2 분사유로(1220a) 상류의 단면적이 작도록 제 2 분사유로(1220a)상에 마련되는 단차부(12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노즐내벽(1212)과 제 2 노즐내벽(1222)이 단차부(1224)를 통해 단차를 가지고 연결됨으로서, 제 1 노즐내벽(1212)이 형성하는 제 1 분사유로(1210a)를 지나는 세척수는, 제 2 노즐내벽(1222)이 형성하는 제 2 분사유로(1220a)를 지나면서 유속이 빨라지게 된다.
제 1 노즐내벽(1212)은 복수의 제 1 유로내벽(1212a)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 1 유로내벽(1212a)은 세척수의 진행방향에 대해 수직한 단면이 호의 형상으로 마련된다. 복수의 제 1 유로내벽(1212a)의 곡률반경은 상호 다르게 마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도록 마련된다.
또한 복수의 제 1 유로내벽(1212a)의 곡률반경의 중심은 각각 다르게 마련될 수 있으며, 상호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유로내벽(1212a)이 4개가 마련되어 상호간에 대칭되도록 방사상으로 마련되나, 그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복수의 제 1 유로내벽(1212a)은 곡률반경의 중심이 상호간에 이격되도록 마련됨으로서, 복수의 제 1 유로내벽(1212a)이 상호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맞닿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복수의 제 1 유로내벽(1212a)의 곡률반경의 중심이 상호간에 이격됨에 따라 복수의 제 1 유로내벽(1212a) 중 어느 하나의 제 1 유로내벽(1212a)의 일단부는 인접한 제 1 유로내벽(1212a)의 타단부와의 접촉이 제 1 노즐내벽(1212)에 대해 돌출형성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제 1 노즐내벽(1212)은 복수의 제 1 유로내벽(1212a)이 상호 맞닿아 제 1 분사유로(1210a)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복수의 제 1 돌출부(1216)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 1 돌출부(1216)는 인접한 제 1 노즐내벽(1212)보다 제 1 분사유로(1210a)측으로 돌출형성되도록 마련된다. 복수의 제 1 돌출부(1216)는 세척수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제 1 노즐내벽(1212)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이격배치되도록 마련된다.
복수의 제 1 돌출부(1216)의 돌출되는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1 분사유로(1210a)를 향해 볼록한 곡면의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된다. 즉, 제 1 돌출부(1216)의 제 1 분사유로(1210a)측 단부를 라운드지도록 마련할 수 있다.
제 2 노즐내벽(1222)은 복수의 제 2 유로내벽(1222a)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 2 유로내벽(1222a)은 세척수의 진행방향에 대해 수직한 단면이 호의 형상으로 마련된다. 복수의 제 2 유로내벽(1222a)의 곡률반경은 상호 다르게 마련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도록 마련된다.
또한 복수의 제 2 유로내벽(1222a)의 곡률반경의 중심은 각각 다르게 마련될 수 있으며, 상호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유로내벽(1222a)이 4개가 마련되어 상호간에 대칭되도록 방사상으로 마련되나, 그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복수의 제 2 유로내벽(1222a)은 곡률반경의 중심이 상호간에 이격되도록 마련됨으로서, 복수의 제 2 유로내벽(1222a)이 상호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맞닿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복수의 제 2 유로내벽(1222a)의 곡률반경의 중심이 상호간에 이격됨에 따라 복수의 제 2 유로내벽(1222a) 중 어느 하나의 제 2 유로내벽(1222a)의 일단부는 인접한 제 2 유로내벽(1222a)의 타단부와의 접촉이 제 2 노즐내벽(1222)에 대해 돌출형성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제 2 노즐내벽(1222)은 복수의 제 2 유로내벽(1222a)이 상호 맞닿아 제 2 분사유로(1220a)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복수의 제 2 돌출부(1226)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 2 돌출부(1226)는 인접한 제 2 노즐내벽(1222)보다 제 2 분사유로(1220a)측으로 돌출형성되도록 마련된다. 복수의 제 2 돌출부(1226)는 세척수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제 2 노즐내벽(1222)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이격배치되도록 마련된다.
복수의 제 2 돌출부(1226)의 돌출되는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2 분사유로(1220a)를 향해 볼록한 곡면의 형상을 가지도록 마련된다. 즉, 제 2 돌출부(1226)의 제 2 분사유로(1220a)측 단부를 라운드지도록 마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노즐내벽(1212)과, 제 2 노즐내벽(1222)이 각각 복수의 제 1 유로내벽(1212a)과, 제 2 유로내벽(1222a)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면이 원형인 내벽을 갖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세척수가 유동하는 유로의 단부에는 세척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세척수분사구(1232)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수분사구(1232)는 분사노즐(1200)의 단부에 마련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분사노즐(1200)의 단부에서 인접한 분사노즐(1200)보다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1230)에 마련된다. 즉, 세척수분사구(1232)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분사노즐(1200)의 내측으로 오목한 부분에 배치됨으로서, 세척수분사구(1232)를 보호할 수 있게된다. 세척수분사구(1232)가 외부에 노출되는 경우 외부로부터 영향을 받아 변형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세척수분사가 일정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데, 본 실시예에서와 같은 구성을 통해 세척수분사구(1232)를 보호하고, 세척수의 분사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1200)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각각 제 1 분사유로(1210a)와 제 2 분사유로(1220a)를 형성하는 제 1 노즐내벽(1212)과, 제 2 노즐내벽(1222)은 상호 마주하게 마련되는 제 1 코어(1240)와 제 2 코어(124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1 코어(1240)와 제 2 코어(1242)는 세척수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와 분사노즐(1200)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의 캐비티를 갖고, 상호간에 마주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제 1 코어(1240)의 분사유로에 대응되는 부분과, 제 2 코어(1242)의 분사유로에 대응되는 부분의 직경이 상호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코어(1240)에서 분사유로를 형성하는 부분의 단부에서의 직경과, 제 2 코어(1242)에서 분사유로를 형성하는 부분의 단부에서의 직경은 상호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 코어(1240)와 제 2 코어(1242)를 결합하고, 캐비티에 성형재료를 주입하여 분사노즐(1200)을 사출성형할 수 있다.
제 1 코어(1240)와 제 2 코어(1242)가 맞물리는 부분에 의해 파팅면(1244)이 형성될 수 있다. 파팅면(1244)은 분사유로상에 형성될 수 있다. 사출성형에 있어서, 코어간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파팅면(1244)에는 버(burr)가 발생할 수 있게 되는 데, 파팅면(1244)을 분사유로의 토출구인 세척수분사구(1232)가 아닌, 분사유로상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세척수분사구(1232)에 파팅면(1244)이 형성되어, 버(burr)가 발생하는 경우 세척수를 분사시 세척수의 분사방향이 원하는 방향으로 분사되지 않고 변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조과정에서 버(burr)가 발생하더라도, 파팅면(1244) 이후에 마련되는 제 2 노즐내벽(1222)에 의해 세척수의 분사방향을 재조정할 수 있게 되어 세척수분사의 제어가 용이하게 된다.
제 1 코어(1240)와 제 2 코어(1242)는 파팅면(1244)을 향하는 방향으로 분사유로의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구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 코어(1240)와 제 2 코어(1242)에 의해 형성되는 분사노즐(1200)의 분사유로는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이 복수의 유로내벽을 가지고 형성되는 노즐내벽을 갖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고, 단면이 원형인 형상의 노즐내벽을 가지는 분사노즐(12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는 제 6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6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의 단면도이다.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분사노즐(1250)은 제 1 분사노즐(1260)과 제 2 분사노즐(1270)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내벽은 제 1 노즐내벽(1262)과, 제 2 노즐내벽(1272)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사노즐(1250)은 노즐내벽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노즐팁(1280)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팁(1280)은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분사노즐(1250)의 제 1 분사유로(1260a) 또는 제 2 분사유로(1270a)를 유동하는 세척수의 지속적인 유동에 의한 분사노즐(1250)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또한 분사노즐(1250)의 사출시 발생할 수 있는 버(burr)등에 의해 세척수 유동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노즐팁(1280)은 노즐내벽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노즐내벽 전체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노즐팁(1280)의 단면형상은 노즐내벽의 형상에 따라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1 노즐내벽(1262)과 제 2 노즐내벽(1272)이 각각 복수의 제 1 유로내벽(1264)과 복수의 제 2 유로내벽(1274)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이에 대응되도록 마련된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면이 원형인 노즐내벽으로 구성되는 경우 노즐팁(1280)의 단면도 원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노즐내벽의 형상의 한정되지 않고, 노즐내벽을 보호할수 있도록 구성되면 이를 만족한다.
노즐팁(1280)은 제 5 실시예에서의 사출방법에 부가적으로 인서트사출을 통해 노즐내벽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조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노즐팁(1280)이 노즐내벽을 적어도 일부 덮도록 마련되면 이를 만족한다.
이하는 제 7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68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의 사시도, 도 6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의 단면도이다.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분사노즐(1300)은 고정노즐어셈블리(1340)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세척조의 용량이나, 수납되는 식기등에 따라 세척수의 압력이나, 세척수가 분사되는 양을 다르게 적용할 수 있어야 하는데, 분사노즐(1300)이 고정노즐어셈블리(134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고정노즐어셈블리(1340) 자체를 변경해야 하므로, 비효율적이게 된다. 그러므로 분사노즐(1300)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마련할 수 있다.
분사노즐(1300)은 고정노즐어셈블리(1340)에 결합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에 나사산부(1310)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노즐어셈블리(1340)에는 나사산부(1310)에 대응되도록 나사홈부(1320)가 형성될 수 있다. 나사산부(1310)와 나사홈부(1320)의 길이는 동일하게 마련되어, 분사노즐(1300)을 고정노즐어셈블리(1340)에 결합시, 과도하게 삽입되거나 헐겁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나사홈부(1320)의 단부에는 나사산부(1310)가 일정구간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스토퍼부(1330)가 마련되어, 나사산부(1310)가 나사홈부(1320)로 무리하게 삽입되어 분사유로(1302)가 변형되거나, 분사노즐(1300)의 방향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는 제 8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70, 71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72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의 일부에 대한 확대도이다.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분사노즐(1350)은 서브분사홀(1364)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분사홀(1364)은 분사노즐(1350)을 관통하여, 분사노즐(1350)의 외부와, 분사노즐(1350) 내부의 분사유로(1360)가 연통하도록 마련된다.
서브분사홀(1364)의 배치는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분사노즐(1350)의 유로를 중심으로 상하로 관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서브분사홀(1364)은 개폐부재(1370)에 의해 개폐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개폐부재(1370)는 서브분사홀(1364)을 개방하는 개방위치(P1)와, 서브분사홀(1364)을 폐쇄하는 폐쇄위치(P2)를 진퇴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개폐부재(1370)는 개폐부재몸체(1372)와, 개폐부재몸체(1372)의 하부에 마련되어 이후 설명하는 베인(1380)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돌기부(1374)와, 개폐부재몸체(1372)의 상부에 마련되어 서브분사홀(1364)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베인(1380)은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세척조의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베인(1380)이 분사노즐(1350)측으로 이동하면서, 개폐부재(1370)의 가압돌기부(1374)를 가압하게 된다. 자세하게는 베인(1380)에서 세척수가 절곡되는 반사면(1382)이 개폐부재(1370)측으로 길게 연장형성되도록 마련되는 데, 베인(1380)이 분사노즐(1350)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길게 연장형성된 반사면(1382)에 의해 개폐부재(1370)의 가압돌기부(1374)를 가압하게 된다.
가압돌기부(1374)를 가압받는 개폐부재(1370)는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개폐부가 서브분사홀(1364)을 개방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분사유로(1360)를 지나는 세척수는 세척수분사구(1362) 뿐만 아니라 서브분사홀(1364)을 통해서도 배출되어, 고정노즐어셈블리의 상부로 분사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베인(1380)의 이동에 의해 개폐부재(1370)는 폐쇄위치(P2)에서 개방위치(P1)로 이동하게 되고, 서브분사홀(1364)이 개방되면서 서브분사홀(1364)을 통해 세척수가 분사된다.
베인(1380)에 의해서만 세척수가 절곡되는 경우, 베인(1380)의 이동경로상의 상부부분만 영향을 받게 되는 데, 이러한 경우 베인(1380)의 이동경로상에 없는 고정노즐어셈블리의 상부의 경우에는 세척수에 의한 세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그러나 서브분사홀(1364)을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면서, 세척수를 고정노즐어셈블리의 상측으로 분기시킬 수 있어, 세척수의 영향을 받지 않는 사각영역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동작을 통해 고정노즐어셈블리에 누적될 수 있는 오염물질을 세척할 수 있게 되어, 식기세척기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게 되며, 오염물질로 인한 악취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는 제 9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73, 74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베인(1410)은 고정노즐어셈블리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를 바스켓으로 절곡시키고,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베인(1410)과 더불어 고정된 상태로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서브베인(1420)을 포함한다.
서브베인(1420)은 분사노즐(1400)의 단부에서 세척수의 진행방향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대기위치(P1)와, 세척수의 진행방향상에 배치되어 세척수의 방향을 반사키시는 반사위치(P2)를 회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서브베인(1420)의 동작은 베인(1410)의 이동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자세하게는 베인(1410)이 분사노즐(1400)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서브베인(1420)에서 세척수가 절곡되는 반사면(1420a)의 배면(1420b)을 가압하게 되고, 서브베인(1420)은 베인(1410)의 가압으로 인해 회동하여 대기위치(P1)로부터 반사위치(P2)로 동작하게 된다.
서브베인(1420)이 대기위치(P1)에 있는 경우에는 분사노즐(1400)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가 이동하는 베인(1410)에 의해 바스켓으로 절곡되고, 서브베인(1420)이 반사위치(P2)에 있는 경우에는 분사노즐(1400)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가 대기위치(P1)로부터 회동한 서브베인(1420)에 의해 절곡되어 고정노즐어셈블리의 상부를 향할 수 있도록 한다.
베인(1410)에 의해 세척수가 절곡되는 경우, 베인(1410)의 이동경로상의 상부부분만 영향을 받게 되는 데, 이러한 경우 베인(1410)의 이동경로상에 없는 고정노즐어셈블리의 상부의 경우에는 세척수에 의한 세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그러나 서브베인(1420)이 대기위치(P1)로부터 반사위치(P2)로 이동하면서, 세척수의 진행방향을 직각 이상으로 절곡시킬 수 있게 되어, 세척수의 영향을 받지 않는 사각영역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동작을 통해 고정노즐어셈블리 또는 분사노즐에 누적될 수 있는 오염물질을 세척할 수 있게 되어, 식기세척기의 수명을 길게 할 수 있게 되며, 오염물질로 인한 악취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식기세척기의 일부구성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각각 설명하였으나, 이는 독립적이지 않고 함께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설명한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식기 세척기 10 : 본체
11 : 도어 12a,12b : 바스켓
30 : 세척조 31 : 상부벽
32 : 후벽 33 : 좌측벽
34 : 우측벽 35 : 바닥판
36 : 바닥판 돌출부 37 : 모터 통과홀
38 : 유로 통과홀 39 : 롤러 지지부
50 : 배수구 51 : 순환 펌프
52 : 배수 펌프
100 : 섬프 101 : 바닥부
102 : 하부 실링 돌기 103 : 측벽부
104 : 측부 실링 홈 105 : 장착홈
106 : 하향 경사면 107 : 순환 포트
108 : 배수 포트 109 : 분배 장치 결합부
110 : 저수 챔버 111 : 오물 포집 챔버
112 : 순환 챔버 120 : 파인 필터
121 : 필터부 122 : 통과
130 : 마이크로 필터 131 : 필터부
132 : 상부 프레임 133 : 하부 프레임
134 : 하부 실링홈 135 : 측부 프레임
136 : 측부 실링 돌기 137 : 하방 대응면
138 : 측방 대응면 139 : 통과홀
140 : 코스 필터 141 : 손잡이
142 : 필터부 143 : 장착 돌기
144 : 상향 경사면 145 : 하방 가압면
146 : 측방 가압면
200 : 분배 장치 210 : 하우징
211 : 인렛 212a,212b,212c : 제1,2,3아웃렛
223 : 섬프 결합부 220 : 개폐 부재
221 : 회전 바디 222 : 연통홀
223 : 걸림홀 224 : 이격 돌기
225 : 실링 부재 226 : 실링부
227 : 결합 돌기부 228 : 스토퍼부
229 : 캠 샤프트 결합부 230 : 모터
231 : 모터 구동 샤프트 240 : 캠 부재
241 : 캠 샤프트 242 : 회전 중심
243a,243b,243c : 볼록부 244a,244b,244c : 오목부
250 : 마이크로 스위치 251 : 접촉 단자
260 : 지지 부재 271a : 제 1 호스
271b : 제 2 호스 271c : 제 3 호스
300 : 노즐 어셈블리 311 : 상부 회전 노즐
312 : 분사홀 313 : 중간 회전 노즐
314 : 분사홀 315 : 회전 노즐 유입구
320 : 고정노즐어셈블리 330 : 좌측고정노즐어셈블리
332 : 노즐바디 333 : 노즐유로
333a : 노즐바디유로면 333b : 후방유로면
334 : 노즐유입구 336 : 결합홀
340 : 분사노즐 342 : 분사유로
344 : 노즐측면커버 344a : 오목결합부
345 : 이격리브 348 : 노즐지지리브
352 : 가이드리브 352a : 리브상면
352b : 리브하면 350 : 노즐전면커버
350a : 볼록결합부
352 : 배출홀 354 : 유입유로
355 : 노즐후면커버 357 : 후면커버결합부
360 : 우측고정노즐어셈블리 362 : 노즐바디
363 : 노즐유로 364 : 노즐유입구
370 : 분사노즐 380 : 노즐전면커버
385 : 노즐후면커버
400 : 베인 401 : 반사부
402a,402b : 반사면 404 : 캡부
405 : 결합홈 407 : 탄성 후크
408 : 회전 스토퍼부 409 : 회전 걸림부
410 : 수평 지지부 411 : 수직 지지부
412 : 상부 지지부 413 : 측방 지지부
414 : 보강 리브 415 : 롤러
420 : 구동 장치 430 : 레일 어셈블리
440 : 레일 441 : 내부 공간
442 : 상부벽 443 : 측벽
444 : 하부벽 445 : 하부 개구
450 : 리어 홀더 451 : 풀리 지지면
452 : 레일 지지면 453 : 바닥판 커버 체결홀
460 : 프런트 홀더 461 : 프런트 탑 홀더
462 : 풀리 지지면 463 : 레일 지지면
464 : 탄성 부재 지지면 465 : 프런트 바텀 홀더
466 : 결합 돌기 467 : 풀리 브라켓
468 : 풀리 지지면 469 : 탄성 부재 지지면
470 : 탄성 부재 480 : 벨트 홀더
481 : 치형 결합부 482 : 측방 레그
483 : 하부 레그 484 : 체결부
485 : 체결홀 490 : 베인 홀더
491 : 체결홀 492 : 상부 지지부
493 : 결합 돌기부 494 : 결합 축부
495 : 이탈 방지부 496 : 체결 부재
500 : 구동 풀리 501 : 회전축
502 : 벨트 결합부 503 : 샤프트 결합부
510 : 아이들 풀리 511 : 회전축
512 : 벨트 결합부 520 : 벨트
521 : 치형 530 : 모터
531 : 구동 샤프트
600 : 바닥판 커버 610 : 회전 가이드
611 : 가이드면 620 : 체결홀
630 : 모터 장착부 640 : 샤프트 통과홀
651a : 좌측 고정 노즐 유입구 연결부 651b : 회전 노즐 유입구 연결부
651c : 우측 고정 노즐 유입구 연결부 652a,652b,652c : 호스 연결부
660 : 샤프트 통과홀 실링 부재 670 : 바닥판 실링 부재
680 : 고정 캡 690 : 체결 부재
800 : 식기세척기 801 : 캐비닛
802 : 도어 803 : 세척조
810, 860, 870 : 분사유닛 820 : 전환유닛
843 : 섬프
900 : 제 1 분사유닛 910 : 분사바디
912 : 분배유로 920 : 분사노즐
922 : 노즐몸체 923 : 노즐내벽
923a : 유로내벽 924 : 분사유로
924a : 분사유로축 926 : 서브유로
926a : 서브유로축 928 : 유입구
930 : 유출구 940 : 돌출부
942 : 산부 944 : 측면부
946a : 제 1 곡면 946b : 제 2 곡면
950 : 가이드리브 960 : 유입관
960a : 유입홀
1000 : 제 1 분사유닛 1010 : 분사바디
1012 : 분배유로 1020 : 분사노즐
1022 : 노즐몸체 1023 : 노즐내벽
1023a : 유로내벽 1024 : 분사유로
1026 : 메인유로 1026a : 메인유로축
1027 : 서브유로 1027a : 서브유로축
1028 : 유입구 1030 : 유출구
1040 : 돌출부 1042 : 산부
1044 : 측면부 1046a : 제 1 곡면
1046b : 제 2 곡면
1100 : 제 1 분사유닛 1110 : 분사바디
1120 : 분사노즐 1122 : 노즐몸체
1124 : 분사유로 1126 : 제 1 유로
1126a : 제 1 유로축 1128 : 제 2 유로
1128a : 안내관 1128b: 절곡관
1200 : 분사노즐 1210 : 제 1 분사노즐
1210a : 제 1 분사유로 1212 : 제 1 노즐내벽
1212a : 제 1 유로내벽 1216 : 제 1 돌출부
1220 : 제 2 분사노즐 1220a : 제 2 분사유로
1222 : 제 2 노즐내벽 1222a : 제 2 유로내벽
1224 : 단차부 1226 : 제 2 돌출부
1230 : 오목부 1232 : 세척수분사구
1240 : 제 1 코어 1242 : 제 2 코어
1244 : 파팅면
1250 : 분사노즐 1260 : 제 1 분사노즐
1260a : 제 1 분사유로 1262 : 제 1 노즐내벽
1270 : 제 2 분사노즐 1270a : 제 2 분사유로
1272 : 제 2 노즐내벽 1280 : 노즐팁
1300 : 분사노즐 1310 : 나사산부
1320 : 나사홈부 1330 : 스토퍼부
1350 : 분사노즐 1360 : 분사유로
1362 : 세척수분사구 1364 : 서브분사홀
1370 : 개폐부재 1372 : 개폐부재몸체
1374 : 가압돌기부 1376 : 개폐부
1380 : 베인 1382 : 반사면
1400 : 분사노즐 1410 : 베인
1420 : 서브베인
H : 바닥판 커버의 기준면 I1 : 베인 이동 구간
I2 : 베인 미이동 구간
P1,P2,P3,P4,P5,P6 : 개폐 부재의 회전 위치
S : 바닥판 커버와 바닥판의 이격 간격
T1,T2,T3,T4,T5,T6 : 접촉 단자의 위치

Claims (25)

  1.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의 일측에 고정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는 고정노즐어셈블리;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는,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갖는 노즐바디;
    상기 노즐바디의 전면에 결합되는 노즐전면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전면커버는,
    상기 노즐전면커버와 상기 노즐바디와의 결합부위로 이물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결합부위를 덮도록 마련되는 가이드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노즐바디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노즐바디의 일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노즐전면커버의 배면에서 후방을 향해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리브는,
    하측을 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리브의 연장형성되는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리브하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바디는,
    상기 분사노즐의 외주면을 지지하며, 상기 가이드리브와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며 배치되는 노즐지지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노즐지지리브의 적어도 일부와 상하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노즐지지리브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노즐지지리브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간격은,
    3mm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지지리브와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호 엇갈리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노즐바디의 하부와 마주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리브의 연장형성되는 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리브상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바디는,
    상기 분사노즐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노즐전면커버와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노즐측면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측면커버는,
    상기 노즐전면커버측 단부를 따라 적어도 일부 형성되며, 인접한 노즐측면커버의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절곡지게 단차지도록 형성되는 오목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전면커버는,
    상기 노즐전면커버가 상기 노즐측면커버에 결합되도록 상기 오목결합부에 대응되어, 상기 노즐측면커버의 내주면에서 외측으로 절곡지게 단차지도록 형성되는 볼록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전면커버와 상기 노즐바디의 결합으로, 세척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오목결합부와 상기 볼록결합부가 형성하는 유입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노즐바디의 하부와 마주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리브의 연장형성되는 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리브상면;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바디는,
    상기 유입유로로 유입되는 세척수가 상기 노즐전면커버의 내측면과 상기 리브상면을 따라 상기 노즐바디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는,
    상기 세척조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바디는,
    상기 노즐바디의 후면에 결합되는 노즐후면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후면커버는,
    상기 노즐바디의 단부와 접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노즐후면커버가 상기 노즐바디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후면커버결합부;
    상기 분사노즐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노즐유로의 일측을 형성하며, 상기 노즐바디에 삽입되어 상기 후면커버결합부보다 상기 노즐바디의 내측에 배치되는 후방유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는,
    상기 노즐바디로 세척수가 유입되는 노즐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유로면은 상기 노즐유입구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노즐유로가 좁아지도록 구배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에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가 고정되도록 상기 세척조의 바닥에 마련되는 바닥판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 커버의 상면은 기준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세척조의 중심을 향하도록 구배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8.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고정노즐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노즐어셈블리는,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분사노즐과 사이에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노즐측면커버를 갖는 노즐바디;
    상기 노즐바디의 전면에 결합되는 노즐전면커버;
    상기 내부공간으로 외부로부터의 이물투입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리브는,
    상기 복수의 분사노즐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노즐바디의 하부를 차폐하는 노즐지지리브;
    상기 노즐전면커버의 후면에 형성되어, 상기 노즐전면커버로부터 연장형성되는 가이드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노즐바디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노즐바디의 일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지지리브와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호 엇갈리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노즐지지리브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노즐지지리브의 적어도 일부와 상하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노즐지지리브와 마주보는 가이드리브상면과, 상기 가이드리브상면의 타측면에 마련되는 가이드리브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리브상면과 상기 가이드리브하면은 상기 가이드리브의 길이방향에 대해 각각 하측과 상측으로 구배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바디는,
    상기 분사노즐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노즐전면커버와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노즐측면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측면커버는,
    상기 노즐측면커버측 단부를 따라 적어도 일부형성되며, 인접한 노즐측면커버의 외주면에서 내측으로 절곡지게 단차지도록 형성되는 오목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전면커버는,
    상기 노즐전면커버가 상기 노즐측면커버에 결합되도록 상기 오목결합부에 대응되어, 상기 노즐측면커버의 내주면에서 외측으로 절곡지게 단차지도록 형성되는 볼록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전면커버와 상기 노즐바디의 결합으로, 세척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오목결합부와 상기 볼록결합부가 형성하는 유입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바디는,
    상기 유입유로로 유입되는 세척수가 상기 노즐전면커버의 내측면과 상기 가이드리브의 상면을 따라 상기 노즐바디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5. 피세척물을 세척하는 식기세척기의 고정노즐어셈블리에 있어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노즐측면커버를 갖고, 내부에 세척수가 유동하는 유로가 마련되는 노즐바디;
    상기 노즐바디 전면에서 상기 노즐측면커버에 결합되며, 상기 노즐바디와 결합되는 부분에 외부로부터 세척수가 유입되도록 유입유로를 형성하는 노즐전면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전면커버는,
    상기 유입유로로부터 유입되는 세척수가 상기 노즐바디내부의 이물을 세척하고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세척수를 안내하도록 상기 노즐전면커버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연장형성되는 가이드리브;고,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노즐바디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노즐바디의 일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노즐어셈블리.
KR1020130169542A 2013-12-31 2013-12-31 고정노즐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식기 세척기 KR102088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542A KR102088846B1 (ko) 2013-12-31 2013-12-31 고정노즐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식기 세척기
EP14199877.3A EP2888983B1 (en) 2013-12-31 2014-12-22 Dishwasher
US14/584,340 US9993133B2 (en) 2013-12-31 2014-12-29 Fixed nozzle assembly and dish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CN201410858502.8A CN104739344B (zh) 2013-12-31 2014-12-31 固定喷嘴组件及具有该固定喷嘴组件的餐具清洗机
US15/984,848 US10231596B2 (en) 2013-12-31 2018-05-21 Fixed nozzle assembly and dish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542A KR102088846B1 (ko) 2013-12-31 2013-12-31 고정노즐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식기 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9334A KR20150079334A (ko) 2015-07-08
KR102088846B1 true KR102088846B1 (ko) 2020-03-13

Family

ID=52144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9542A KR102088846B1 (ko) 2013-12-31 2013-12-31 고정노즐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993133B2 (ko)
EP (1) EP2888983B1 (ko)
KR (1) KR102088846B1 (ko)
CN (1) CN1047393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32134B1 (fr) * 2015-02-03 2017-05-19 Exel Ind Dispositif de distribution pour un pulverisateur agricole
CN105615808B (zh) * 2016-01-26 2019-01-22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用于洗碗机的喷臂装置及具有它的洗碗机
US10130238B2 (en) * 2016-07-07 2018-11-20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Turbidity sensor assembly including an integral water level indicator
KR102622707B1 (ko) * 2016-08-29 2024-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102627717B1 (ko) * 2016-09-01 2024-01-23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JP6857804B2 (ja) * 2017-06-19 2021-04-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食器洗い機
KR20190125912A (ko) 2018-04-30 2019-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노즐
CN116211198A (zh) * 2018-04-30 2023-06-06 Lg电子株式会社 清洁器的吸嘴
KR102625905B1 (ko) 2018-07-30 2024-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노즐
USD937506S1 (en) 2019-10-04 2021-11-30 Whirlpool Corporation Sprayer assembly
USD956372S1 (en) * 2019-11-26 2022-06-28 Whirlpool Corporation Spray arm for a dish treating appliance
US20230101450A1 (en) * 2021-09-30 2023-03-30 Midea Group Co., Ltd. High speed reusable beverage container washing system with pop-up sprayer
US20230180990A1 (en) * 2021-12-13 2023-06-15 Champion Industries, Inc. Soaker sinks and fluid distribution assembli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50529A1 (en) * 2003-06-17 2005-07-14 Vanderroest Chad T. Dishwasher having rotating zone wash sprayer
KR101142165B1 (ko) * 2007-05-04 2012-05-03 일렉트로룩스 홈 프로덕츠 인코퍼레이티드 식기 세척기용 스프레이 암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12826A (en) * 1949-04-27 1955-07-12 Schleyer Victor Washing machine
US2873141A (en) * 1955-12-28 1959-02-10 Myllenberg Sven Bertil Liquid spraying mechanisms, particularly for dish washing machines
US3921651A (en) * 1973-05-04 1975-11-25 Adamation Inc Pot-washing machine
SE8105833L (sv) * 1981-10-02 1983-04-03 Electrolux Ab Sprutmunstycke
DE102006018539A1 (de) * 2006-04-21 2007-10-25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eschirrspülmaschine, insbesondere Haushalt-Geschirrspülmaschine
JP4752960B2 (ja) * 2009-07-09 2011-08-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食器洗い機
KR101737056B1 (ko) * 2012-06-05 2017-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50529A1 (en) * 2003-06-17 2005-07-14 Vanderroest Chad T. Dishwasher having rotating zone wash sprayer
KR101142165B1 (ko) * 2007-05-04 2012-05-03 일렉트로룩스 홈 프로덕츠 인코퍼레이티드 식기 세척기용 스프레이 암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82103A1 (en) 2015-07-02
CN104739344A (zh) 2015-07-01
US9993133B2 (en) 2018-06-12
EP2888983B1 (en) 2021-09-15
KR20150079334A (ko) 2015-07-08
US20180263460A1 (en) 2018-09-20
US10231596B2 (en) 2019-03-19
CN104739344B (zh) 2019-11-26
EP2888983A1 (en) 201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8846B1 (ko) 고정노즐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식기 세척기
CN104622403B (zh) 喷射单元、喷射喷嘴及其制造方法、以及洗碗机
KR102091523B1 (ko) 분사유닛, 분사노즐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갖는 식기세척기
KR102306964B1 (ko) 식기 세척기
KR102079942B1 (ko) 식기 세척기
KR20150079398A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US10221952B2 (en) Dish washing machine
KR20150080358A (ko) 식기세척기
KR20170100304A (ko) 식기 세척기
KR102129315B1 (ko) 식기세척기
EP3090676B1 (en) Dish washer
KR102343467B1 (ko) 식기 세척기
US9861254B2 (en) Dish washing machine
KR101768229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의 섬프 청소장치
KR102324207B1 (ko) 식기 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