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5226B1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5226B1
KR102455226B1 KR1020160022710A KR20160022710A KR102455226B1 KR 102455226 B1 KR102455226 B1 KR 102455226B1 KR 1020160022710 A KR1020160022710 A KR 1020160022710A KR 20160022710 A KR20160022710 A KR 20160022710A KR 102455226 B1 KR102455226 B1 KR 102455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ne
belt
power transmission
nozzle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2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0304A (ko
Inventor
김진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2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5226B1/ko
Priority to EP17756817.7A priority patent/EP3352640B1/en
Priority to PCT/KR2017/001991 priority patent/WO2017146479A1/en
Priority to CN201780013265.7A priority patent/CN108697298B/zh
Priority to US15/442,015 priority patent/US10568489B2/en
Publication of KR20170100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0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5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5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47L15/4282Arrangements to change or modify spray pattern or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rigidly-mounted spra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46Details of the tub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89Spray-pressure measuring or regul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30Variation of electrical, magnetical or optical quantit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34Other automatic det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20Spray nozzles or spray arms

Abstract

식기 세척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식기 세척기는 식기가 수납되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의 일 측에 마련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 상기 세척조의 내부를 이동하며 상기 노즐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상기 식기를 향해 반사시키는 베인; 상기 베인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베인을 지지하는 베인 홀더; 상기 베인을 왕복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 상기 구동원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베인으로 전달하도록 구동되는 벨트; 및 상기 베인의 이동 방향이 전환될 때, 일단부는 상기 베인 홀더에 대해 회전하고, 타단부는 상기 벨트와 함께 회전 이동하는 방향 전환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DISH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 측에 고정된 분사 노즐과, 세척조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분사 노즐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를 식기 측으로 반사하는 베인을 갖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 세척기는 내부에 세척조가 마련되는 본체와, 식기를 수납하는 바스켓과, 세척수를 저수하는 섬프와,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과, 섬프의 세척수를 분사 노즐로 공급하는 펌프를 구비하고, 식기에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여 식기를 세척하는 가전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기에는 회전하는 분사 노즐을 갖는 로터 타입의 분사 구조가 채용되고 있다. 회전 노즐은 수압에 의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한다. 이러한 회전 노즐은 회전 반경 내의 범위에만 세척수를 분사하므로 세척수가 분사되지 않는 영역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수가 분사되지 않는 영역이 발생되지 않도록 소위 리니어 타입의 분사 구조가 제안되고 있다.
리니어 타입의 분사 구조는 세척조의 일 측에 고정되는 고정 노즐과, 세척조의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고정 분사 노즐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를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는 베인을 구비하여, 반사판의 이동에 따라 세척조의 전체 영역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리니어 타입의 분사 구조는 베인을 구동시킬 수 있는 구동 장치를 더욱 구비한다. 구동 장치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베인을 왕복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베인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여야 했다. 일례로, 구동 장치는 베인을 왕복 구동시키기 위해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여, 일 방향으로의 구동은 시간을 통해 제어를 하고, 일 방향과 반대되는 타 방향으로의 구동은 센서의 위치를 확인하여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의 구동 장치는 베인을 왕복 구동시키기 위해 정역회전이 가능한 모터와 이를 제어할 별도의 제어장치를 필요로 하였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리니어 타입의 분사 구조를 갖는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별도의 제어장치 없이 베인을 왕복 구동시킬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비교적 단순한 구성을 통해 베인을 왕복 구동시킬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베인의 오작동을 감지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생산성 및 품질이 향상된 염가형 벨트를 구비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식기가 수납되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의 일 측에 마련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 상기 세척조의 내부를 이동하며 상기 노즐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상기 식기를 향해 반사시키는 베인; 상기 베인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베인을 지지하는 베인 홀더; 상기 베인을 왕복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 상기 구동원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베인으로 전달하도록 구동되는 벨트; 및 상기 베인의 이동 방향이 전환될 때, 일단부는 상기 베인 홀더에 대해 회전하고, 타단부는 상기 벨트와 함께 회전 이동하는 방향 전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 전환 부재는, 상기 일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베인 홀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핀; 상기 타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벨트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와 상기 회전핀을 연결하는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 전환 부재는 상기 벨트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벨트는 선형 이동구간 및 회전 이동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 전환 부재는 상기 벨트가 회전 이동하는 구간에서 상기 벨트의 회전 이동의 중심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베인에 대해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방향 전환 부재는 상기 벨트의 선형 이동구간에서 상기 베인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 기어유닛은, 상기 구동원과 연결된 제1 기어; 및 상기 제1 기어와 연결되며, 상기 구동원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벨트를 회전시키는 제2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원은 단방향 회전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식기 세척기는 상기 베인의 정상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인은 자석을 수용하는 자석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자석을 감지하는 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노즐에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벨트는 복수의 동력전달부와, 상기 복수의 동력전달부 중 일부를 상호 연결하는 와이어와, 상기 복수의 동력전달부 중 나머지 일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동력전달부는 상기 연결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 전환 부재는 상기 복수의 동력전달부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방향 전환 부재는 상기 타단부가 상기 동력전달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식기가 수납되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의 일 측에 고정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 상기 세척조의 내부에서 왕복 이동하며 상기 노즐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상기 식기를 향해 반사시키는 베인; 상기 베인을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 및 상기 구동원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베인으로 전달하도록 마련되며, 선형 이동구간 및 회전 이동구간을 포함하는 벨트; 일단부가 상기 베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벨트에 고정되어, 상기 베인과 상기 벨트를 연결하는 방향 전환 부재; 및 상기 베인의 이동 경로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베인의 경로 이탈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베인은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자석을 수용하는 자석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노즐에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식기 세척기는 상기 벨트를 회전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벨트의 회전 이동구간에 마련되는 구동 기어유닛 및 아이들 기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벨트의 회전 이동구간에서, 상기 방향 전환 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구동 기어유닛 및 상기 아이들 기어의 회전 중심을 회전축으로 회전하며, 상기 방향 전환 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구동 기어유닛 및 상기 아이들 기어의 외주를 따라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식기가 수납되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의 일 측에 고정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 상기 세척조의 내부에서 왕복 이동하며 상기 노즐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상기 식기를 향해 반사시키는 베인; 상기 베인을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 상기 구동원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베인으로 전달하도록 구동 기어유닛과 아이들 기어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되는 벨트; 및 상기 베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베인의 이동 방향이 전환될 때 상기 베인에 대해 회전하는 방향 전환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벨트는, 복수의 동력전달부; 상기 복수의 동력전달부 중 일부를 상호 연결하는 와이어; 및 상기 복수의 동력전달부 중 나머지 일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스테인리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식기 세척기는 별도의 제어장치 없이 베인을 왕복 구동시킬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식기 세척기는 단방향 회전만 가능한 모터를 사용해 베인을 왕복 구동시킬 수 있어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식기 세척기는 감지센서를 통해 베인의 오작동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세척 성능을 보장할 수 있고, 누수를 방지할 수 있어 사용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식기 세척기는 베인의 구동장치에 마련된 벨트를 사출성형방식으로 형성한 후 연결부재를 통해 양단을 연결하여 제작하므로, 생산성 및 품질이 향상되어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베인을 안정적으로 왕복 구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기 세척기의 하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식기 세척기의 세척조의 바닥판과, 바닥판 커버와, 구동원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식기 세척기의 바닥판과, 바닥판 커버와, 구동원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식기 세척기의 베인과, 레일 어셈블리와, 분사 노즐들과, 바닥판 커버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식기 세척기의 베인과, 구동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 구동 장치의 구성과 베인 홀더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식기 세척기의 레일과, 벨트와, 베인 홀더와, 구동 기어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식기 세척기의 구동 기어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식기 세척기의 벨트와, 베인 홀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벨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식기 세척기의 베인의 이동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에 도시된 식기 세척기의 반사부재와 베인 홀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반사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에 도시된 식기 세척기의 반사부재와, 베인 홀더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1)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기 세척기(1)의 하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1)를 설명한다.
식기 세척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30)와, 식기를 수납하도록 세척조(30)의 내부에 마련되는 바스켓들(12a, 12b)과,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들(51, 53, 55)과, 세척수를 저수하는 섬프(60)와, 섬프(60)의 세척수를 펌핑하여 분사 노즐들(51, 53, 55)에 공급하는 순환 펌프(61)와, 섬프(60)의 세척수를 오물과 함께 본체(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 펌프(62)와, 세척조(30)의 내부를 이동하며 세척수를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는 베인(100)과, 베인(100)을 구동시키는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11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조(30)는 식기를 출납할 수 있도록 전방이 개구된 대략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세척조(30)의 전방 개구는 도어(1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세척조(30)는 상부벽(31)과, 후벽(32)과, 좌측벽(33)과, 우측벽(34)과, 바닥판(35)을 가질 수 있다.
바스켓들(12a, 12b)은 세척수가 고이지 않고 통과될 수 있도록 와이어로 이루어진 와이어 랙일 수 있다. 바스켓들(12a, 12b)은 세척조(3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바스켓들(12a, 12b)은 세척조(3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바스켓(12a, 12b)과, 세척조(30)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바스켓(12b)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사 노즐들(51, 53, 55)은 고압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식기를 세척할 수 있다. 분사 노즐들(51, 53, 55)은 세척조(30)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 회전 노즐(51)과, 세척조(30)의 중심부에 마련되는 중간 회전 노즐(53)과, 세척조(30)의 하부에 마련되는 고정 노즐(55)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회전 노즐(51)은 상부 바스켓(12a)의 상측에 마련되고, 수압에 의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아래 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부 회전 노즐(51)의 하단에는 분사홀들(52)이 마련될 수 있다. 상부 회전 노즐(51)은 상부 바스켓(12a)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직접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중간 회전 노즐(53)은 상부 바스켓(12a)과 하부 바스켓(12b)의 사이에 마련되고, 수압에 의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상하 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중간 회전 노즐(53)의 상단과 하단에는 분사홀들(54)이 마련될 수 있다. 중간 회전 노즐(53)은 상부 바스켓(12a)과 하부 바스켓(12b)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직접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고정 노즐(55)은 회전 노즐들(51, 53)과는 달리 움직이지 않도록 마련되고, 세척조(30)의 일 측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노즐(55)은 대략 세척조(30)의 후벽(32)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세척조(30)의 전방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노즐(55)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직접 식기를 향하지 않을 수 있다.
고정 노즐(55)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베인(100)에 의해 식기 측으로 반사될 수 있다. 고정 노즐(55)은 하부 바스켓(12b)의 아래에 배치되고, 베인(100)은 고정 노즐(55)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상측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즉, 고정 노즐(55)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베인(100)에 의해 하부 바스켓(12b)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반사될 수 있다.
고정 노즐(55)은 각각 세척조(30)의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분사홀들(56)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분사홀들(56)은 전방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상부 회전 노즐(51) 및 중간 회전 노즐(53)은 고정 노즐(55)에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
베인(100)은 고정 노즐(55)의 복수의 분사홀들(56)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모두 반사시킬 수 있도록 세척조(30)의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즉, 베인(100)의 길이 방향 일단부는 세척조(30)의 좌측벽(33)에 인접하고, 베인(100)의 길이 방향 타단부는 세척조(30)의 우측벽(34)에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인(100)은 고정 노즐(55)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 방향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즉, 베인(100)은 세척조(3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선형 왕복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노즐(55)과 베인(100)을 포함하는 리니어 분사 구조는 사각 지대 없이 세척조(30)의 전 영역을 세척할 수 있다.
식기 세척기(1)는 급수 행정과, 세척 행정과, 배수 행정과, 건조 행정을 가질 수 있다.
급수 행정에서, 급수관(미도시)을 통해 세척조(30)의 내부로 세척수가 급수될 수 있다. 세척조(30)에 급수되는 세척수는 세척조(30)의 바닥판(35)의 구배에 의해 세척조(30)의 하부에 마련된 섬프(60)로 유동되고, 섬프(60)에 저수될 수 있다.
세척 행정에서, 순환 펌프(61)가 가동되어 섬프(60)의 세척수를 펌핑할 수 있다. 순환 펌프(61)에 의해 펌핑된 세척수는 분배 장치(미도시)를 통해 회전 노즐들(51, 53)과 고정 노즐(55)로 분배될 수 있다. 순환 펌프(61)의 펌핑력에 의해 분사 노즐들(51, 53, 55)에서 세척수가 고압으로 분사되어 식기를 세척할 수 있다.
분사 노즐들(51, 53, 55)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식기를 타격하며 식기에 묻은 오물을 제거하고, 오물과 함께 낙하하여 다시 섬프(60)에 저수될 수 있다 순환 펌프(61)는 섬프(60)에 저수된 세척수를 다시 펌핑하여 순환시킨다. 세척 행정 중에 순환 펌프(61)는 가동 및 정지를 수차례 반복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세척수와 함께 섬프(60)로 낙하한 오물은 섬프(60)에 장착된 필터에 의해 포집되어 분사 노즐들(51, 53, 55)로 순환되지 않고 섬프(60)에 남아 있게 된다.
배수 행정에서, 배수 펌프(62)가 가동하여 섬프(60)에 남아 있는 오물과 세척수를 함께 본체(10)의 외부로 배수할 수 있다.
건조 행정에서, 세척조(30)에 장착된 히터(미도시)가 가동되어 식기를 건조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식기 세척기(1)의 세척조(30)의 바닥판(35)과, 바닥판 커버(70)와, 구동원(101)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식기 세척기(1)의 바닥판(35)과, 바닥판 커버(70)와, 구동원(101)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식기 세척기(1)의 베인(100)과, 레일 어셈블리(120)와, 분사 노즐들(51, 53, 55)과, 바닥판 커버(70)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1)의 바닥판 커버(70)에 대해 설명한다.
식기 세척기(1)는 세척조(30)의 바닥판(35)에 후방 일 측에 결합되는 바닥판 커버(7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판 커버(70)는 바닥판(35)에 형성되는 구동원 통과홀(37) 및 유로 통과홀들(38)을 실링하는 역할과, 베인(100)을 구동하는 구동원(101)을 지지하는 역할과, 식기 세척기(1)의 레일 어셈블리(120)와, 분사 노즐들(51, 53, 55)을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레일 어셈블리(120)는 베인(100)의 이동을 안내하는 것으로서, 자세한 구성은 후술한다.
바닥판(35)의 후방에는 바닥판 커버(70)가 결합되도록 돌출된 바닥판 돌출부(36)가 형성될 수 있다. 바닥판 돌출부(36)에는 베인(10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원(101)이 통과하는 구동원 통과홀(37)과, 분사 노즐들(51, 53, 55)과 분배 장치(미도시)를 연결하는 유로가 통과하는 유로 통과홀들(38)이 형성될 수 있다.
구동원(101)은 바닥판 커버(70)의 하부면에 장착되고, 바닥판 커버(70)를 바닥판(35)에서 분리할 때 구동원 통과홀(37)을 통해 바닥판 커버(70)와 함께 인출될 수 있다.
유로 통과홀들(38)에는 구체적으로 바닥판 커버(70)의 호스 연결부들(72)이 통과할 수 있다.
바닥판 커버(70)는 구동원(101)의 구동 샤프트(102)가 통과하는 샤프트 통과홀(71)과, 분배 장치에서 연장된 호스들(63)이 결합되도록 아래로 돌출되고 바닥판 돌출부(36)의 유로 통과홀들(38)에 삽입되는 호스 연결부들(72)과, 분사 노즐들(51, 53, 55)의 유입구들(57)이 결합되도록 상측으로 돌출되는 노즐 유입구 연결부들(73)과, 고정 노즐(55)과 레일 어셈블리(120)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홀들(74)과, 베인(100)의 회전을 가이드하도록 돌출되는 회전 가이드(75)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판 커버(70)는 바닥판 돌출부(36)의 상면에 밀착 결합된다. 바닥판 커버(70)의 호스 연결부들(72)에는 고정캡들(76)이 결합되어 바닥판 커버(70)가 바닥판 돌출부(36)에 고정될 수 있다.
바닥판 커버(70)와, 바닥판 돌출부(36)의 사이에는 바닥판 돌출부(36)의 구동원 통과홀(37)과, 유로 통과홀들(38)을 통해 세척조(30) 내부의 세척수가 세어 나가지 않도록 실링 부재(77)가 마련될 수 있다. 실링 부재(77)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닥판 커버(70)의 하부면에는 베인(100)을 구동시키는 구동원(101)이 장착되는 구동원 장착부(78)가 마련될 수 있다. 구동원(101)의 구동 샤프트(102)는 바닥판 커버(70)의 샤프트 통과홀(71)을 관통하여 세척조(30)의 내부로 돌출될 수 있다. 구동원(101)의 구동 샤프트(102)에는 후술하는 구동 기어유닛(130)이 결합되어 구동 샤프트(102)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샤프트 통과홀(71)에는 샤프트 통과홀(71)로 세척조(30) 내부의 세척수가 세어 나가지 않도록 실링 부재(79)가 마련될 수 있다. 실링 부재(79)는 구동 샤프트(102)의 원활한 회전과 함께 실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메카니컬 실링 장치일 수 있다.
바닥판 커버(70)에는 레일 어셈블리(120)와, 고정 노즐(55)이 결합될 수 있다. 바닥판 커버(70)와, 레일 어셈블리(120)와, 고정 노즐(55)은 체결부재(80)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바닥판 커버(70)와, 고정 노즐(55)과, 레일 어셈블리(120)에는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홀(74, 58, 17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써, 레일 어셈블리(120)와, 고정 노즐(55)이 상호 고정되고, 상호 정렬될 수 있다.
바닥판 커버(70)는 베인(100)의 정상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센서(106)는 베인(100)이 레일(121) 상에서 정상 구동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이를 제어부(미도시)로 전달하고, 제어부는 베인(100)이 오작동되는 경우 식기 세척기(1)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일례로, 베인(100)이 레일(121) 상에서 이탈한 경우, 감지센서(106)는 베인(100)이 오작동되는 경우로 판단하여 이를 제어부에 알리고, 제어부는 식기 세척기(1)의 구동을 정지하여 분사 노즐들(51, 53, 55)에서의 분사를 중단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누수 및 소음을 예방할 수 있어 식기 세척기(1)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감지센서(106)는 후술할 베인(100)에 마련되는 자석을 감지할 수 있는 홀센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광센서, 압력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감지센서(106)는 고정 노즐(55)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베인(100)이 고정 노즐(55) 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1)는 고정 노즐(55)에서 분사되는 세척수가 직접 식기를 향하지 않고 레일 어셈블리(120)에 결합되는 베인(100)에 의해 반사되어 식기를 향하므로, 고정 노즐(55)과 레일 어셈블리(120)의 정확한 위치 정렬이 요구되는 바, 이와 같은 결합 구조를 통해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식기 세척기(1)의 베인(100)과, 구동 장치(110)를 도시한 도면으로, 구동 장치(110)의 구성과 베인 홀더(160)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식기 세척기(1)의 레일(121)과, 벨트(140)와, 베인 홀더(160)와, 구동 기어유닛(130)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식기 세척기(1)의 구동 기어유닛(13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식기 세척기(1)의 벨트(140)와, 베인 홀더(160)를 도시한 도면이다.
식기 세척기(1)는 고정 노즐(55)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반사시키는 베인(100)을 포함한다. 베인(100)은 고정 노즐(55)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 방향을 따라 선형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식기 세척기(1)는 베인(100)을 선형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장치(110)를 포함한다.
구동 장치(110)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101)과, 베인(100)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 어셈블리(120)를 포함한다.
레일 어셈블리(120)는 베인(100)의 이동을 안내하고 내부 공간(122)을 갖는 레일(121)과, 구동원(101)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 기어유닛(130)과, 구동 기어유닛(130)에 연결되어 회전하고 레일(121)의 내부 공간(122)에 배치되는 벨트(140)와, 벨트(1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벨트(140)에 연결되는 아이들 기어(150)와, 구동 기어유닛(13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레일(121)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리어 홀더(170)와, 베인(100)의 이동 방향을 전환시키는 방향 전환 부재(180)를 포함한다.
레일(121)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레일(121)은 세척조(30)의 좌측벽(33)과 우측벽(34)을 기준으로 대략 가운데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레일(121)은 대략 하부에 개구(126)가 형성된 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레일(121)은 내부 공간(122)과, 상부벽(123)과, 하부벽(124)과, 양 측벽들(125)과, 하부벽(124)에 형성된 개구(126)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126)는 레일(121)의 길이 방향 일단부로부터 일단부와 반대되는 타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레일(121)의 내부 공간(122)에 배치된 벨트(140)와, 레일(121)의 외부에 마련되는 베인(100)을 연결하여 벨트(140)의 구동력을 베인(100)에 전달할 수 있다.
구동 기어유닛(130)은 구동원(101)의 구동 샤프트(102)에 연결되는 제1 기어(131)와, 제1 기어(131)와 맞물려 회전함과 동시에 벨트(140)와 연결되어 벨트(140)를 회전시키는 제2 기어(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어(131)는 구동 샤프트(102)에 연결되어 구동원(101)에서 발생한 동력에 의해 회전한다. 제1 기어(131)는 제2 기어(132)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기어 이(gear tooth)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기어(132)는 회전축(132a)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제1 기어(131)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기어 이(gear tooth)가 마련된 제1 연결부(133)와, 벨트(140)와 연결되어 벨트(140)를 회전시키는 제2 연결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부(134)는 벨트(140)를 슬립(slip) 없이 회전시켜 동력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벨트(140)의 내측면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 연결부(134)는 후술할 복수의 동력전달부(141)와 대응되도록 형성된 동력전달부 수용홈(135)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벨트(140)의 내주면과 대략 면 접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벨트(140)는 구동 기어유닛(130)과 아이들 기어(150)에 감겨서 폐곡선을 형성하고, 구동원(101)이 구동되면 구동원(101)의 회전 방향에 따라 회전 운동할 수 있다. 벨트(140)는 제2 기어(132)와 맞물리는 복수의 동력전달부(141)와, 복수의 동력전달부(141) 중 일부를 상호 연결하는 와이어(142)와, 복수의 동력전달부(141) 중 나머지 일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4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동력전달부(141)는 대략 구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동력전달부(141)는 제2 기어(132)의 제2 연결부(134)에 마련된 동력전달부 수용홈(135)과 대략 면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벨트(140)는 복수의 동력전달부(141)를 통해 제2 기어(132)에 맞물려 제2 기어(132)와 함께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복수의 동력전달부(141)는 후술할 연결부재(143)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오목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력전달부(141a)는 오목부를 포함하지 않도록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연결부재(143)는 복수의 동력전달부(141a)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와이어(142)는 복수의 동력전달부(141) 중 일부를 상호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와이어(142)는 후술할 연결부재(143)를 통해 연결되는 동력전달부(141) 이외의 동력전달부(141)를 상호 연결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2개의 와이어(142)가 복수의 동력전달부(141)를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하나의 와이어가 복수의 동력전달부를 상호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며, 3개 이상의 와이어를 사용하여 복수의 동력전달부를 상호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복수의 동력전달부(141)와 와이어(142)는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동력전달부(141)와 와이어(142)는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복수의 동력전달부(141)와 와이어(142)는 폐곡선 형상이 아닌 대략 직선 형상으로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동력전달부(141)와 와이어(142)는 반복적으로 배치되며 길게 연장된 형태로 양단을 가지도록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이 경우, 대략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동력전달부(141)와 와이어(142)의 양단은 연결부재(143)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즉, 폐곡선 형상이 아닌 대략 직선 형상으로 일체로 마련된 복수의 동력전달부(141)와 와이어(142)는 양단에 배치된 동력전달부(141)를 연결부재(143)를 통해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여 페곡선 형상으로 만들 수 있다.
연결부재(143)는 복수의 동력전달부(141) 중 일부를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벨트(140)의 전체적인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동력전달부(141)와 와이어(142)가 반복적으로 배치되며 길게 연장된 형태로 사출 성형된 복수의 동력전달부(141)와 와이어(142)의 조합체는 복수 개가 상호 연결 부재(143)를 통해 연결되어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143)는 강도가 높은 스테인리스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벨트(140)를 복수의 동력전달부(141)와 와이어(142)를 일체로 사출 성형한 후 필요한 길이만큼 준비하여 연결부재(143)를 통해 연결하여 제조하는 경우, 생산성이 향상되어 제조 단가를 저감시킬 수 있다. 아울러, 종래와 같이 용접 등의 방법으로 연결한 벨트에 비해 강도가 높아져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리어 홀더(170)는 구동 기어유닛(13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레일(121)의 후단부에 결합된다. 리어 홀더(170)는 구동 기어유닛(13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171)와, 바닥판 커버(70)에 결합되기 위한 체결홀(172)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171)는 제1 기어(131)의 축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기어 구멍(173)과, 제2 기어(132)의 축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 기어 구멍(174)을 포함할 수 있다.
아이들 기어(150)는 회전축(151)과, 벨트(140)와 결합되는 벨트 결합부(152)를 포함한다.
방향 전환 부재(180)는 일단부가 베인(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는 벨트(140)에 고정될 수 있다. 방향 전환 부재(180)는 벨트(140)가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더라도 베인(100)이 이동 방향을 변경하며 세척조(30) 내에서 왕복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방향 전환 부재(180)는 베인(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핀(181)과, 벨트(140)에 고정되는 고정부(182)와, 회전핀(181)과 고정부(182)를 연결하는 회전부(18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핀(181)은 방향 전환 부재(180)의 일단부에 마련되며, 베인(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베인(100)이 선형 이동할 때에는 회전하지 않고 벨트(140)를 따라 선형 이동하며, 베인(100)이 이동 방향을 변경할 때에는 베인(100)에 대해서 회전하여 베인(100)이 위치 이동을 하지 않고 제자리에 머무르도록 할 수 있다.
고정부(182)는 방향 전환 부재(180)의 타단부에 마련되며, 벨트(140)에 고정되어 벨트(140)와 함께 회전 구동한다. 고정부(182)는 벨트(140)가 구동 기어유닛(130) 또는 아이들 기어(150)를 통과하는 경우, 벨트(14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벨트(140)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182)는 복수의 동력전달부(141) 중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141)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와이어(142)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회전부(183)는 회전핀(181)과 고정부(182)를 연결한다. 회전부(183)는 고정부(182)로부터 방향 전환 부재(180)의 회전 중심인 회전핀(181)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부(183)는 벨트(140)가 구동 기어유닛(130) 또는 아이들 기어(150)를 통과할 때, 회전핀(181)에 인접한 일단부를 중심으로 고정부(182)에 인접한 타단부가 회전 구동된다.
이러한 방향 전환 부재(18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140)와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140)와 일체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방향 전환 부재(180)의 고정부(182a)는 동력전달부(141, 141a)와 대략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된다. 즉, 고정부(182a)는 제2 기어(132)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제2 기어(132)에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향 전환 부재(180)가 제2 기어(132) 또는 아이들 기어(150)를 통과하는 경우, 고정부(182a)는 제2 기어(132) 또는 아이들 기어(15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 구동될 수 있다. 이렇게 벨트(140)와 방향 전환 부재(180)를 일체로 형성하는 경우, 구동원(101)의 동력을 베인으로(100) 더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방향 전환 부재(180)는 벨트(140)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구동 기어유닛(130)의 제2 기어(132) 또는 아이들 기어(150)를 통과할 때, 베인(100)의 이동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이때, 방향 전환 부재(180)의 회전핀(181)을 중심으로하는 고정부(182)의 회전 구동의 반경은 구동 기어유닛(130)의 제2 기어(132) 또는 아이들 기어(150)의 반경과 대략 유사하다.
도 11 내지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식기 세척기(1)의 베인(100)의 이동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베인(100)의 이동방향이 전환되는 과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도 11 내지 도 14에서는 방향 전환 부재(180)가 구동 기어유닛(130)의 제2 기어(132)를 통과하는 과정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있으며, 방향 전환 부재(180)가 아이들 기어(150)를 통과하는 경우는 제2 기어(132)를 통과하는 경우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방향 전환 부재(180)가 벨트(140)와 함께 선형 이동할 때, 베인(100)은 벨트(140)와 함께 선형 이동한다.
반면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방향 전환 부재(180)가 제2 기어(132) 또는 아이들 기어(150)를 통과할 때, 베인(100)과 연결된 회전핀(181)은 회전만 하며 위치 이동을 하지 않고, 고정부(182)만 벨트(140)와 함께 제2 기어(132) 또는 아이들 기어(150)의 외주를 따라 회전 이동한다. 따라서, 도 11 및 도 12와 같은 상황에서, 베인(100)은 고정부(182)가 회전 이동하는 동안 잠시 정지하게 된다.
이후, 도 14를 참조하면, 방향 전환 부재(180)가 제2 기어(132) 또는 아이들 기어(150)를 통과한 후, 베인(100)은 도 11에 도시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식기 세척기(1)의 경우, 비교적 저렴한 단방향 회전만 가능한 구동원(101)을 사용하더라도, 베인(100)의 이동방향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5는 도 1에 도시된 식기 세척기(1)의 반사부재(190)와 베인 홀더(16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반사부재(19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에 도시된 식기 세척기(1)의 반사부재(190)과, 베인 홀더(160)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베인(100)은 베인 홀더(160)와 반사부재(19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인(100)은 베인(100)의 대략 중심부에 마련되며, 베인(100)을 선형 왕복 이동시키도록 레일(121)의 외부에 결합되는 베인 홀더(16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인 홀더(160)는 방향 전환 부재(180)와 연결되어 벨트(140)의 구동력을 베인(100)에 전달한다. 베인 홀더(160)는 레일(121)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마련된다.
베인 홀더(160)는 방향 전환 부재(180)의 회전핀(18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핀 결합구(161)를 포함한다. 회전핀 결합구(161)는 레일(121)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126)를 고려하여 베인 홀더(160)의 하부면에 마련될 수 있다.
베인 홀더(160)에는 베인(100)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된 결합 돌기부(162)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돌기부(162)는 측방으로 돌출되는 결합 축부(163)와, 베인(10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결합 축부(163)의 단부에 형성되는 이탈 방지부(164)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부재(190)는 레일(121)에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반사부재(190)는 고정 노즐(55)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반사시키는 반사부(191)와, 반사부(191)에서 절곡되는 상부 지지부(192)와, 상부 지지부(192)에서 절곡되는 후방 지지부(193)와, 반사부(19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대략 중앙부에 마련되는 캡부(194)와, 바닥판 커버(70)의 회전 가이드(75)에 간섭되도록 마련되는 회전 걸림부(195)와, 반사부(191)와 상부 지지부(192)와 후방 지지부(193)의 강도 보강을 위해 마련되는 보강 리브(196)와, 베인 홀더(160)의 상면에 지지되는 수평 지지부(197)와, 베인 홀더(160)의 측면에 지지되는 수직 지지부(198)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부(191)는 세척수를 반사시키도록 경사지게 마련되는 반사면들(191a, 191b)을 포함한다. 반사면들(191a, 191b)은 세척수의 반사 각도를 다르게 하도록 서로 다른 경사를 가지고 길이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열되는 제1 반사면(191a)과, 제2 반사면(191b)을 포함할 수 있다.
캡부(194)는 베인 홀더(16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194a)과, 반사부재(190)가 바닥판 커버(70)의 회전 가이드(75)에 의해 회전할 때 반사부재(19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회전 스토퍼부(194b)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부재(190)의 결합홈(194a)에는 베인 홀더(160)의 결합 돌기부(162)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 돌기부(162)의 결합 축부(163)가 반사부재(190)의 결합홈(194a)에 삽입될 수 있다. 결합 축부(163)는 반사부재(19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부재(190)의 결합홈(194a)은 탄성 후크들(194aa)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탄성 후크들(194aa)은 베인 홀더(160)의 결합 축부(163)를 반사부재(190)의 결합홈(194a)에 밀어 넣거나 빼는 과정에서 다시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었다가 삽입 또는 이탈이 완료되면 원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써, 반사부재(190)는 베인 홀더(160)에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할 수 있다.
반사부재(190)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는 베인(10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롤러들(199)이 마련될 수 있다. 세척조(30)의 바닥판(35)에는 롤러들(199)을 지지하는 롤러 지지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반사부재(190)는 하부에 베인(100)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는 감지센서(106)에 의해 감지될 수 있는 자석(미도시)이 수용되는 자석수용부(107)가 마련될 수 있다. 자석수용부(107)는 일정한 자기력으로 동작이 가능하도록 감지센서(106)를 향하는 부분이 커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자석수용부(107)는 내부에 자석을 수용한 상태에서 체결홀을 통해 반사부재(190)에 결합될 수 있다. 자석수용부(107)는 바닥판 커버(70)에 마련된 감지센서(106)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감지센서(106)는 베인(100)이 근접하는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어 베인(100)의 정상 작동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1)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베인(100)을 왕복 이동시킬 수 있어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베인(100)의 오작동 유무를 감지할 수 있어 구동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베인(100)을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벨트(140)를 일체로 사출한 후 연결부재(143)를 통해 연결하여 제조하므로 강도가 상승하고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식기 세척기 10; 본체
30; 세척조 35; 바닥판
60; 섬프 51, 53; 회전 노즐
55; 고정 노즐 70; 바닥판 커버
100; 베인 101; 구동원
106; 감지센서 107; 자석수용부
110; 구동 장치 120; 레일 어셈블리
121; 레일 131; 제1 기어
132; 제2 기어 140; 벨트
141, 141a; 동력전달부 142; 와이어
143; 연결부재 150; 아이들 기어
160; 베인 홀더 170; 리어 홀더
180; 방향 전환 부재 181; 회전핀
182, 182a; 고정부 183; 회전부재
190; 반사부재 199; 롤러들

Claims (20)

  1. 식기가 수납되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의 일 측에 마련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
    상기 세척조의 내부를 선형 왕복 이동하며 상기 노즐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상기 식기를 향해 반사시키는 베인;
    상기 베인을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
    상기 구동원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베인으로 전달하도록 구동되는 벨트; 및
    상기 베인의 이동 방향이 전환될 때, 일단부는 상기 베인에 대해 회전하고, 타단부는 상기 벨트와 함께 회전 이동하는 방향 전환 부재로서, 상기 일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베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핀, 상기 타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벨트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벨트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와 상기 회전핀을 연결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방향 전환 부재;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레일;
    상기 베인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베인을 지지하는 베인 홀더;를 더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선형 이동구간 및 회전 이동구간을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전환 부재는 상기 벨트가 회전 이동하는 구간에서 상기 벨트의 회전 이동의 중심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베인에 대해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식기 세척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전환 부재는 상기 벨트의 선형 이동구간에서 상기 베인을 이동시키는 식기 세척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과 연결된 제1 기어; 및
    상기 제1 기어와 연결되며, 상기 구동원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벨트를 회전시키는 제2 기어를 포함하는 구동 기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은 단방향 회전 모터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의 정상 작동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은 자석을 수용하는 자석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자석을 감지하는 홀센서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노즐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식기 세척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복수의 동력전달부와, 상기 복수의 동력전달부 중 일부를 상호 연결하는 와이어와, 상기 복수의 동력전달부 중 나머지 일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동력전달부는 상기 연결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전환 부재는 상기 복수의 동력전달부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되는 식기 세척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전환 부재는 상기 타단부가 상기 동력전달부의 형상을 갖는 식기 세척기.
  16. 식기가 수납되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의 일 측에 고정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
    상기 세척조의 내부에서 왕복 이동하며 상기 노즐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상기 식기를 향해 반사시키는 베인;
    상기 베인을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 및
    상기 구동원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베인으로 전달하도록 마련되며, 선형 이동구간 및 회전 이동구간을 포함하는 벨트;
    일단부에 상기 베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핀이 마련되고, 타단부에 상기 벨트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벨트에 고정되는 고정부가 마련되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회전핀을 연결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인과 상기 벨트를 연결하는 방향 전환 부재; 및
    상기 베인의 이동 경로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베인의 경로 이탈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베인은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자석을 수용하는 자석수용부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노즐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식기 세척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를 회전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벨트의 회전 이동구간에 마련되는 구동 기어유닛 및 아이들 기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벨트의 회전 이동구간에서, 상기 방향 전환 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구동 기어유닛 및 상기 아이들 기어의 회전 중심을 회전축으로 회전하며, 상기 방향 전환 부재의 타단부는 상기 구동 기어유닛 및 상기 아이들 기어의 외주를 따라 회전 이동하는 식기 세척기.
  19. 식기가 수납되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의 일 측에 고정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
    상기 세척조의 내부에서 왕복 이동하며 상기 노즐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상기 식기를 향해 반사시키는 베인;
    상기 베인을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
    상기 구동원에서 발생된 동력을 상기 베인으로 전달하도록 구동 기어유닛과 아이들 기어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되는 벨트; 및
    상기 베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베인의 이동 방향이 전환될 때 상기 베인에 대해 회전하며, 일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베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핀, 타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벨트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벨트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와 상기 회전핀을 연결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방향 전환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벨트는,
    복수의 동력전달부;
    상기 복수의 동력전달부 중 일부를 상호 연결하는 와이어; 및
    상기 복수의 동력전달부 중 나머지 일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스테인리스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KR1020160022710A 2016-02-25 2016-02-25 식기 세척기 KR102455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710A KR102455226B1 (ko) 2016-02-25 2016-02-25 식기 세척기
EP17756817.7A EP3352640B1 (en) 2016-02-25 2017-02-23 Dish washing machine
PCT/KR2017/001991 WO2017146479A1 (en) 2016-02-25 2017-02-23 Dish washing machine
CN201780013265.7A CN108697298B (zh) 2016-02-25 2017-02-23 洗碗机
US15/442,015 US10568489B2 (en) 2016-02-25 2017-02-24 Dish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710A KR102455226B1 (ko) 2016-02-25 2016-02-25 식기 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304A KR20170100304A (ko) 2017-09-04
KR102455226B1 true KR102455226B1 (ko) 2022-10-17

Family

ID=59678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2710A KR102455226B1 (ko) 2016-02-25 2016-02-25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68489B2 (ko)
EP (1) EP3352640B1 (ko)
KR (1) KR102455226B1 (ko)
CN (1) CN108697298B (ko)
WO (1) WO20171464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31781B2 (en) 2017-09-29 2020-01-14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discretely directable tubular spray elements
CN110236463B (zh) * 2018-03-09 2022-05-27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洗碗机
US11497374B2 (en) 2020-02-19 2022-11-15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wall-mounted rotatable conduit
US11412912B2 (en) 2020-09-21 2022-08-16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tubular spray element slip ring alignment
US11826001B2 (en) 2022-02-15 2023-11-28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tubular spray element including elongated metal tube and retaining tab for mounting support member thereto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36791A (en) * 1937-03-02 1941-04-01 Laval Separator Co De Dishwashing machine
FR2433114A1 (fr) * 1978-08-08 1980-03-07 Salvati Renato Nouveau dispositif actionneur d'une pompe, particulierement adapte pour les pompes aspirantes-foulantes de grands debits et/ou capables de vaincre des hauteurs de colonnes de fluide relativement elevees
PL170900B1 (pl) 1990-11-01 1997-02-28 Nippon Kayaku Kk Sposób wytwarzania 6-(3-dwumetyloaminopropionylo)-forskolinu PL PL PL
JP3064486B2 (ja) * 1991-06-04 2000-07-12 株式会社東芝 駆動力伝達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駆動力伝達装置を備えた伸展構造物
JPH051053U (ja) * 1991-06-24 1993-01-08 王子製紙株式会社 往復運動装置
CA2658856C (en) * 2006-07-26 2011-09-20 Premark Feg L.L.C. Drive systems for warewashers
CN101057773A (zh) * 2007-01-23 2007-10-24 丁光辉 轮篮式沉浮分离洗碗机
CN101744598B (zh) * 2008-12-10 2011-08-31 金脑博士实验室有限公司 自动洗碗机的碗盘进给机构
CN201798716U (zh) * 2010-07-29 2011-04-20 清远市建巢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自动洗碗机
CN201798715U (zh) * 2010-09-21 2011-04-20 刘思铆 立式洗碗机
KR101737056B1 (ko) 2012-06-05 2017-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102002414B1 (ko) * 2013-05-27 2019-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KR102128283B1 (ko) * 2013-11-11 2020-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US10034595B2 (en) * 2013-11-11 2018-07-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hwash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091523B1 (ko) 2013-11-12 2020-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분사유닛, 분사노즐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갖는 식기세척기
KR102061525B1 (ko) 2013-12-31 2020-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102127709B1 (ko) * 2013-12-31 2020-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46479A1 (en) 2017-08-31
KR20170100304A (ko) 2017-09-04
CN108697298A (zh) 2018-10-23
EP3352640B1 (en) 2020-07-08
US10568489B2 (en) 2020-02-25
EP3352640A1 (en) 2018-08-01
US20170245728A1 (en) 2017-08-31
CN108697298B (zh) 2021-07-27
EP3352640A4 (en) 2018-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5226B1 (ko) 식기 세척기
KR102306964B1 (ko) 식기 세척기
US10362924B2 (en) Jet unit, jet nozz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h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US10231596B2 (en) Fixed nozzle assembly and dish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102002414B1 (ko) 식기 세척기
KR102079942B1 (ko) 식기 세척기
US10697553B2 (en) Dish washing machine
US11272827B2 (en) Jet unit, jet nozz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h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102127709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50182096A1 (en) Dish washing machine
US9861254B2 (en) Dish washing machine
KR102089973B1 (ko) 식기세척기
KR102337985B1 (ko) 식기 세척기
KR102355621B1 (ko) 식기 세척기
EP3089642B1 (en) Dish washing machine
US20070272284A1 (en) Dishwasher
EP3189766A1 (en) Dishwasher
KR20130035133A (ko) 식기 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