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9387B1 -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9387B1
KR102109387B1 KR1020130169292A KR20130169292A KR102109387B1 KR 102109387 B1 KR102109387 B1 KR 102109387B1 KR 1020130169292 A KR1020130169292 A KR 1020130169292A KR 20130169292 A KR20130169292 A KR 20130169292A KR 102109387 B1 KR102109387 B1 KR 102109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dishwasher
reflection module
mode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9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9222A (ko
Inventor
정민호
김미라
김성진
김형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9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9387B1/ko
Priority to US15/108,900 priority patent/US10149594B2/en
Priority to CN201480073649.4A priority patent/CN106102541B/zh
Priority to PCT/KR2014/012822 priority patent/WO2015102299A1/ko
Priority to EP14876302.2A priority patent/EP3090672B1/en
Publication of KR20150079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9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9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9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47L15/4282Arrangements to change or modify spray pattern or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rigidly-mounted spra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movably-mounted spraying devices
    • A47L15/22Rotary spraying devices
    • A47L15/23Rotary spraying devices moved by means of the spr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6Devices for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different phases of cleaning ; Contro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1/00Manual input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information entered by a user
    • A47L2301/04Operation mode, e.g. delicate washing, economy washing, reduced time, sterilizing, water softener regenerating, odor eliminating or servi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20Spray nozzles or spray arm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식기 세척기는 적어도 일 면에 개구가 형성된 세척조, 상기 세척조 내부에 마련되고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 상기 세척조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분사 노즐이 분사한 세척수를 반사시키는 반사 모듈 및 상기 반사 모듈이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반사 모듈을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A DISH WASHING MACHIN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H WASHING MACHINE}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기 세척기는 세척조 내에 바스켓에 수납된 식기에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여 식기에 잔존하는 이물질 등을 제거함으로써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일종이다. 식기 세척기는 식기 세척을 위해서 내부에 세척조가 마련되는 본체, 식기를 수납하는 바스켓, 세척수를 저수하는 섬프와,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 섬프의 세척수를 분사 노즐로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식기 세척기는 회전하는 분사 노즐을 이용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구조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회전하는 분사 노즐은 수압에 의해 회전하면서 회전 반경 내의 범위의 식기에 세척수를 분사함으로써 식기가 세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식기 세척기에는 세척조의 일 측에 고정되는 고정 노즐을 이용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구조가 마련되어 있을 수도 있다. 고정 노즐은 소정의 방향에서 식기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식기가 세척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내부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식기 세척기는 적어도 일 면에 개구가 형성된 세척조, 상기 세척조 내부에 마련되고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 상기 세척조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분사 노즐이 분사한 세척수를 반사시키는 반사 모듈 및 상기 반사 모듈이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반사 모듈을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레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반사 모듈이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이동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식기 세척기는 상기 반사 모듈 및 상기 이동체를 결합시키는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 부재는 핀 또는 볼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핀 또는 볼트는 상기 반사 모듈 및 상기 이동체 각각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 및 분리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반사 모듈에 마련되는 제1 결합 부재 및 상기 이동체에 마련되고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결합되는 제2 결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식기 세척기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및 구동 풀리와 아이들 풀리에 연결되어 회전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이동 모듈에 전달하는 벨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식기 세척기는 식기 세척기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제어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어 모드가 청소 모드인 경우 상기 반사 모듈이 상기 개구가 설치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사 모듈이 상기 개구에 근접한 경우 상기 반사 모듈을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사 모듈이 정지된 경우 상기 개구에 마련된 도어를 개폐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사 모듈이 정지된 경우 상기 반사 모듈이 상기 이동 모듈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제어 모드는 식기 세척 모드, 동작 대기 모드 및 청소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제어 모드가 상기 동작 대기 모드인 경우 상기 반사 모듈이 상기 분사 노즐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제어 모드가 상기 식기 세척 모드인 경우 상기 분사 노즐은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반사 모듈은 세척조 내에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분사 노즐은 상기 세척조에서 개구가 설치된 방향에 마련되거나 또는 상기 개구가 설치된 방향의 반대 방향에 마련될 수 있다.
식기 세척기는 상기 세척조를 내장하는 본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기 세척기는 상기 본체 외부에 마련되고 복수의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식기 세척기 제어 방법은 개폐 가능한 개구가 설치되는 세척조 및 상기 세척조 내부에 마련되고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반사 모듈을 포함하고 복수의 제어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모드에 따라 제어되는 식기 세척기를 제어할 수 있다.
식기 세척기 제어 방법은 상기 복수의 제어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한 제어 모드가 청소 모드인 경우 상기 반사 모듈을 상기 세척조의 개구가 설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사 모듈이 상기 개구에 근접한 경우 상기 반사 모듈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식기 세척기 제어 방법은 상기 반사 모듈이 정지된 경우 상기 개구에 마련된 도어를 개폐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할 수 있다.
식기 세척기 제어 방법은 상기 반사 모듈이 이동 모듈로부터 탈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동 모듈은 상기 반사 모듈이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반사 모듈을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모드는 식기 세척 모드, 동작 대기 모드 및 청소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식기 세척기 제어 방법은 상기 결정된 모드가 상기 식기 세척 모드인 경우 분사 노즐이 세척수를 분사하고 상기 반사 모듈은 이동하면서 상기 세척수를 반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분사 노즐은 상기 세척조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반사 모듈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식기 세척기 제어 방법은 상기 결정된 모드가 상기 동작 대기 모드인 경우 상기 반사 모듈을 상기 분사 노즐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레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반사 모듈이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이동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을 통하여 사용자는 용이하게 식기 세척기 내부를 청소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은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는 식기 세척기 내부의 반사 모듈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으므로 반사 모듈에 존재하는 이물질 등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식기 세척기가 식기를 세척할 시에 반사 모듈에 존재하는 이물질 등에 의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이물질 등에 의한 세척수의 반사 방향의 변경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식기 세척의 효율성을 재고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1은 식기 세척기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식기 세척기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식기 세척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노즐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고정 노즐 어셈블리 및 반사 모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반사 모듈 및 이동 모듈의 일 실시예에 대한 분해도이다.
도 7은 이동 모듈의 레일, 벨트, 구동 풀리와 리어 홀더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이동 모듈의 레일, 벨트, 구동 풀리와 리어 홀더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이동 모듈의 레일, 벨트, 아이들 풀리 및 프런트 홀더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이동 모듈의 레일, 벨트, 아이들 풀리 및 프런트 홀더의 일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이동 모듈의 벨트와 벨트 홀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이동 모듈의 일 실시예에 대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13은 반사 모듈과 이동체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반사 모듈과 이동체의 제1 실시예의 하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반사 모듈과 이동체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16은 반사 모듈과 이동체의 제2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17은 반사 모듈과 이동체의 제3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18은 반사 모듈과 이동체의 제4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19는 반사 모듈과 이동체의 제5 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20 내지 도 22는 반사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 및 도 24는 반사 모듈이 세척수를 반사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식기 세척기의 유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는 식기 세척기의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식기 세척기의 구조도이다.
도 27은 식기 세척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은 식기 세척기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9 및 도 30은 동작 대기 모드에서 식기 세척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1 내지 도 33은 식기 세척 모드에서 반사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4 내지 도 39는 청소 모드에서 반사 모듈을 청소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식기 세척기(1)의 일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조를 개괄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식기 세척기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식기 세척기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식기 세척기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식기 세척기(1)는 외관을 형성하고 내측에 세척조(30)가 마련되는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본체(10)의 형상은 도 1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기둥이나 다면 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육면체 이외의 다면체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식기 세척기(1)는 외형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의 외면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지시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0a)는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track-ball),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패들, 각종 레버(lever)나 핸들(handle), 조이스틱(joystick) 및 기타 다양한 입력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입력부(20a)는 식기 세척기(1)와 연결된 외부의 장치에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외부의 장치는 퍼스널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피씨, 개인용 디지털 보조장치(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및 리모콘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는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0b)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b)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zma display panel),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등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0b)는 삼차원 입체 영상을 표현할 수도 있다.
본체(10)의 일면에는 식기를 출납할 수 있는 도어(11)가 마련될 수 있다. 도어(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개폐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도어(11)의 일 말단에는 도어(11)의 몸체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 이동 시키는 힌지가 마련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도어(11)는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될 수도 있다. 도어(11)는 세척조(30)의 개구(11a) 전방에 마련되고, 사용자는 열린 도어(11) 및 개구(11a)를 통해 식기를 세척조(30) 내부에 수납할 수 있다. 도어(11)에는 사용자가 도어(11)의 개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손잡이(11b)가 마련될 수도 있다. 도어(11)에는 실시예에 따라서 입력부(20a) 또는 디스플레이부(20b)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20)가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0)는 손잡이(11b) 근처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체(10) 내부에는 식기가 세척되는 세척조(30)가 마련될 수 있다. 세척조(30)는 본체(10)의 외형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척조(30)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는 세척조(30)가 육면체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 일 실시예에 대해 도시되어 있으나 세척조(3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세척조(30)는 원기둥이나 다면 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육면체 이외의 다면체의 박스 형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세척조(30)는 반드시 본체(10)의 외형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다.
세척조(30)의 일면에는 적어도 하나 방향에 식기를 출납할 수 있는 개구(11a)가 마련될 수 있다. 개구(11a)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세척조(30)는 복수의 벽(31 내지 34) 및 바닥판(35)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 세척조(30)를 설명하면서 바닥판(35)이 위치하는 방향 및 구역을 하방향 또는 하부라 하고, 바닥판(35)이 위치하는 방향에 대치되는 방향을 상방향 또는 상부라고 한다. 개구(11a)가 위치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하고, 개구(11a)가 위치하는 방향에 대치되는 방향을 후방이라고 한다. 또한 개구(11a)의 맞은 편에 위치하는 벽을 후벽(32)이라고 하고, 개구(11a) 방향에서 보았을 때 좌측에 위치하는 벽을 좌측벽(33), 우측에 위치하는 벽을 우측벽(34)이라고 한다. 아울러 세척조(30)의 바닥판(35)의 맞은 편에 위치하는 벽을 상부벽(31)이라고 한다.
세척조(30) 내부에는 식기가 거치되는 식기수용부(12a,12b), 식기수용부(12a, 12b) 또는 반사 모듈(400)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 어셈블리(300), 세척조(30)의 내부를 이동하면서 노즐 어셈블리(300)의 분사 노즐(311,313,320)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식기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 모듈(400) 및 반사 모듈(400)을 이동시키는 이동 모듈(420)이 설치될 수 있다.
식기수용부(12a, 12b)는 내측에 핀 등이 형성된 바스켓의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바스켓은 세척수가 고이지 않고 통과될 수 있도록 와이어로 이루어진 와이어 랙(wire rack)일 수 있다. 식기수용부(12a, 12b)는 세척조(30)와 탈착될 수 있다. 식기수용부(12a, 12b)는 세척조(30) 내부 좌측벽(33) 및 우측벽(34)에 마련된 레일 및 롤러(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개구(11a) 밖으로 인출될 수도 있다. 식기수용부(12a, 12b)의 인출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식기수용부(12a, 12b)는 세척조(3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식기수용부(12a)와 세척조(30)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식기수용부(12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노즐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노즐 어셈블리(300)는 세척조(30)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 회전 노즐 어셈블리(311), 세척조(30)의 중심부에 마련되는 중간 회전 노즐 어셈블리(313) 및 세척조(30)의 하부에 마련되는 고정 노즐 에섬블리(320)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노즐 어셈블리(311, 313, 330 및 340)는 고압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식기를 세척할 수 있다.
상부 회전 노즐 어셈블리(311)는 상부 식기수용부(12a)의 상측에 마련되고, 수압에 의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상부 식기수용부(12a) 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다. 상부 회전 노즐 어셈블리(311)의 하단에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세척수가 분사되는 분사홀(312)이 마련될 수 있다. 상부 회전 노즐 어셈블리(311)는 상부 식기수용부(12a)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직접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중간 회전 노즐 어셈블리(313)는 상부 식기수용부(12a)와 하부 식기수용부(12b)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중간 회전 노즐 어셈블리(313)는 상부 회전 노즐(311)과 동일하게 수압에 의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상하 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다. 중간 회전 노즐 어셈블리(313)의 회전 방향은 상부 회전 노즐 어셈블리(311)의 회전 방향과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중간 회전 노즐 어셈블리(313)의 상단과 하단에는 분사홀(314)이 마련될 수 있다. 분사홀(314)을 통해 상부 식기수용부(12a)와 하부 식기수용부(12b)에 수용되는 식기에 세척수가 분사될 수 있다.
고정 노즐 어셈블리(3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조(30)의 일 측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노즐 어셈블리(320)는 세척조(30)의 후벽(32)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고정 노즐 어셈블리 및 반사 모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노즐 어셈블리(320)는 좌측 고정 노즐(330) 및 우측 고정 노즐(340)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 고정 노즐(330) 및 우측 고정 노즐(340) 각각에는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분사홀(331, 341)이 마련될 수 있다. 분사홀(331, 341)은 세척조(30)의 전방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고정 노즐 어셈블리(320)는 회전 노즐 어셈블리(311,313)와 상호 독립적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따라서 식기 세척기(1)는 특정한 방향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로만 식기 세척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고정 노즐 어셈블리(320)의 좌측 고정 노즐(330)과 우측 고정 노즐(340) 역시 상호 독립적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따라서 식기 세척기(1)는 특정 구역만을 세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고정 노즐 어셈블리(32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분사홀(331, 341)의 전방에 마련된 반사 모듈(400)에 의해 식기 측으로 반사될 수 있다. 반사 모듈(4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노즐 어셈블리(320)의 복수의 분사홀(331,341)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반사시킬 수 있도록 세척조(30)의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반사 모듈(400)의 길이 방향 일단부는 세척조(30)의 좌측벽(33)에 인접하고, 반사 모듈(400)의 길이 방향 타단부는 세척조(30)의 우측벽(34)에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반사 모듈(400)은 세척조(3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노즐 어셈블리(320)와 반사 모듈(400)을 포함하는 분사 구조는 사각 지대 없이 세척조(30)의 전 영역을 세척할 수 있다. 회전 노즐의 경우에 회전 반경의 범위 내에만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는 것과는 차별된다.
반사 모듈(400)은 고정 노즐 어셈블리(320)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상 방향 또는 하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만약 고정 노즐 어셈블리(320)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식기수용부(12b)의 하단에 배치된 경우, 반사 모듈(400)은 분사된 세척수를 상 방향으로 반사시켜 상부 식기수용부(12a)에 수납된 식기 또는 하부 식기수용부(12b)에 수납된 식기에 세척수가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고정 노즐 어셈블리(320)가 상부 식기수용부(12a)와 하부 식기수용부(12b) 사이에 배치된 경우, 반사 모듈(400)은 세척수를 상 방향 또는 하 방향으로 반사시켜 상부 식기수용부(12a) 또는 하부 식기수용부(12b)에 수납된 식기에 세척수가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고정 노즐 어셈블리(320)가 상부 식기수용부(12a)의 상단에 배치된 경우 반사 모듈(400)은 세척수를 하 방향으로 반사시켜 상부 식기수용부(12a) 또는 하부 식기수용부(12b)에 수납된 식기에 세척수가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좌측 고정 노즐(33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반사 모듈(400)에 의해 세척조(30)의 좌측 구역으로만 반사되고, 우측 고정 노즐(34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반사 모듈(400)에 의해 세척조(30)의 우측 영역으로만 반사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고정 노즐 어셈블리(320)의 좌측 고정 노즐(330)과 우측 고정 노즐(340)가 상호 독립적으로 세척수를 분사한다면, 식기 세척기(1)는 세척조(30)의 좌측과 우측을 독립적으로 분할 세척할 수도 있게 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식기 세척기(1)는 세척 영역을 더욱 세분하여 분할 세척할 수도 있다.
도 6은 반사 모듈 및 이동 모듈의 일 실시예에 대한 분해도이다. 이동 모듈(420)은 반사 모듈(400)을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 모듈(420)은 레일 어셈블리(430), 레일 어셈블리(430)의 레일(440)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체(490) 및 이동체(4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530)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 어셈블리(430)는 반사 모듈(400)의 이동을 안내하고 내부 공간(441)을 갖는 레일(440), 모터(530)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 풀리(500), 구동 풀리(500)에 연결되어 회전하고 레일(440)의 내부 공간(441)에 배치되는 벨트(520) 및 벨트(5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벨트(520)에 연결되는 아이들 풀리(5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레일 어셈블리(430)는 구동 풀리(5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레일(440)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리어 홀더(450) 및 아이들 풀리(5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레일(440)의 전단부에 결합되는 프런트 홀더(46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레일(44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레일(440)은 세척조(30)의 좌측벽(33)과 우측벽(34)을 기준으로 가운데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레일 어셈블리(4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레일(440)을 포함할 수도 있고, 복수의 레일을 포함할 수도 있다. 레일(440)은 하부에 개구(445)가 형성된 관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440)은 내부 공간(441), 상부벽(442), 서로 이격된 복수의 하부벽(444a, 444b), 양 측벽(443) 및 복수의 하부벽(444a, 444b)사이에 형성된 하부 개구(445)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개구(445)는 레일(440)의 길이 방향 일단부부터 타단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레일(440)이 이와 같은 형상을 구비한 경우 벨트(520)가 레일(400)의 내부 공간(441)에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벨트(520)가 세척조(30)의 식기에 접촉하여 구동을 방해 받거나 세척조(30)의 세척수에 접촉하여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개구(445)를 통하여 벨트(520)의 구동력을 반사 모듈(400)에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벨트(520)는 레일(400)의 내부 공간(441)에 배치될 수 있다. 벨트(520)는 구동 풀리(500)와 아이들 풀리(510)에 감겨서 폐곡선을 형성하고, 모터(530)가 구동되면 모터(530)의 회전 방향에 따라 회전 운동할 수 있다. 벨트(520)는 아라미드 섬유를 포함하는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벨트(520)의 내측면에는 벨트(520)의 구동력을 벨트 홀더(480)에 전달하는 치형(52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이동 모듈의 레일, 벨트, 구동 풀리와 리어 홀더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이동 모듈의 레일, 벨트, 구동 풀리와 리어 홀더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구동 풀리(500)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축(501)과 모터(530)의 구동 샤프트(531)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 샤프트 연결부(503)와 벨트(520)가 결합되는 벨트 결합부(502)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 홀더(450)는 레일(440)의 후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리어 홀더(450)는 구동 풀리(5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리어 홀더(450)는 구동 풀리(500)의 회전축(501)을 지지하는 풀리 지지면(451)과, 레일(440)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레일 지지면(452)과, 바닥판 커버(600)에 결합되기 위한 바닥판 체결홈(453)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리어 홀더(450)는 바닥판 체결홈(453) 대신에 바닥판 체결 돌기(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0은 이동 모듈의 레일, 벨트, 아이들 풀리 및 프런트 홀더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이동 모듈의 레일, 벨트, 아이들 풀리 및 프런트 홀더의 일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아이들 풀리(510)는 회전축(511)과, 벨트(520)가 결합되는 벨트 결합부(51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 홀더(460)는 프런트 탑 홀더(461), 프런트 탑 홀더(461)의 하부에 결합되는 프런트 바텀 홀더(465) 및 프런트 탑 홀더(461)와 프런트 바텀 홀더(465)의 사이에 배치되는 풀리 브라켓(467)을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 탑 홀더(461)는 아이들 풀리(510)의 회전축(511)을 지지하는 풀리 지지면(462)과, 레일(440)의 전단부를 지지하는 레일 지지면(463)을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 바텀 홀더(465)는 걸림 구조에 의해 프런트 탑 홀더(461)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프런트 바텀 홀더(465)는 세척조(30)의 바닥판(35)에 결합되는 바닥판 결합 돌기(466)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프런트 바텀 홀더(465)는 세척조(30)의 바닥판(35)에 결합되기 위한 바닥판 체결홈(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풀리 브라켓(467)은 레일(4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아이들 풀리(5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풀리 브라켓(467)은 아이들 풀리(510)의 회전축(511)을 지지하는 풀리 지지면(468)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440)과, 벨트(520)와, 구동 풀리(500)와, 리어 홀더(450)와, 아이들 풀리(510)와, 프런트 홀더(460)는 벨트(520)의 장력에 의해 상호 조립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벨트(520)의 장력에 의해 구동 풀리(500)가 레일(44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이 힘은 리어 홀더(450)의 풀리 지지면(451)을 통해 리어 홀더(450)에 전달되어서, 결과적으로 리어 홀더(450)가 레일(440)의 후단부에 밀착 결합되게 된다. 또한 벨트(520)의 장력에 의해 아이들 풀리(510)가 레일(44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이 힘은 프런트 홀더(460)의 풀리 지지면(462)를 통해 프런트 홀더(460)에 전달되어서, 결과적으로 프런트 홀더(460)가 레일(440)의 전단부에 밀착 결합되게 된다. 한편, 프런트 홀더(460)는 벨트(520)의 장력 유지를 유한 탄성 부재(4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470)는 리어 홀더(450)에 마련될 수도 있다. 탄성 부재(470)는 벨트(520)가 세척조(30) 내부의 열기에 의해 열팽창하여 벨트(520)의 장력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탄성 부재(470)의 일단부는 프런트 홀더(460)에 지지되고, 탄성 부재(470)의 타단부는 풀리 브라켓(467)에 지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런트 홀더(460)와,풀리 브라켓(467)에는 각각 탄성 부재 지지면(464,469)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470)는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도 11은 이동 모듈의 벨트와 벨트 홀더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동체(490)는 벨트(520)에 결합되어 선형 왕복 운동하도록 레일(400)의 내부 공간(441)에 배치 가능한 벨트 홀더(480) 및 벨트 홀더(480)에 결합되어 선형 왕복 운동하도록 레일(400)의 외부에 배치되고 반사 모듈(400)이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반사 모듈 홀더(490b)를 포함할 수 있다. 벨트 홀더(480) 및 반사 모듈 홀더(490a)는 볼트 등과 같은 체결 부재(490b)를 통해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
벨트 홀더(480)는 벨트(520)와 마찬가지로 레일(400)의 내부 공간(441)에 배치될 수 있다. 벨트 홀더(480)에는 벨트 홀더(480)가 벨트(520)의 운동에 따라 이동하도록 벨트(520)의 치형(521)에 결합되는 치형 결합부(481)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벨트 홀더(480)는 레일(400)에 지지되는 레그(482,483)를 포함할 수 있다. 레그(482,483)는 측방으로 돌출되어 레일(400)의 측벽들(443)에 지지되는 측방 레그(482)와 하방으로 돌출되어 레일(400)의 하부벽(444)에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레그(483)를 포함할 수 있다. 측방 레그(482)는 벨트 홀더(480)의 이동 시에 레일(400)과의 충돌 및 마찰로 인한 소음 및 진동을 저감하고 벨트 홀더(480)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측방 레그(482)는 판 스프링 종류의 탄성체일 수 있다. 벨트 홀더(480)는 체결 구조(484)를 포함할 수도 있다. 벨트 홀더(480)의 체결 구조(484)는 반사 모듈 홀더(490a)와 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 부재(490b)가 삽입되는 체결홀(485)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 모듈 홀더(490a)는 벨트 홀더(480)에 결합되어 벨트 홀더(480)와 함께 운동하며 벨트 홀더(480)의 구동력을 반사 모듈(400)에 전달할 수 있다. 도 12는 이동 모듈의 일 실시예에 대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 모듈 홀더(490a)는 레일(44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반사 모듈 홀더(490a)는 레일(440)의 외측면 전부를 감쌀 수도 있고, 외측면의 일부만을 감쌀 수도 있다. 반사 모듈 홀더(490a)는 레일(440)의 하부 개구(445)를 통해서 벨트 홀더(480)에 결합될 수 있다. 반사 모듈 홀더(490a)는 체결홀(490c)을 가질 수 있다. 반사 모듈 홀더(490a)의 체결홀(490c)은 벨트 홀더(480)의 체결홀(485)과 체결 부재(490b)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사 모듈 홀더(490a)와 벨트 홀더(480)가 결합될 수 있다. 반사 모듈 홀더(490a)는 반사 모듈(400)의 제1 결합 부재와 결합되는 결합 돌기부(491) 등과 같은 제2 결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결합 부재는 반사 모듈 홀더(490a)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 부재 및 제2 결합 부재는 서로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
이하 도 13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반사 모듈(400) 및 반사 모듈(400)과 이동체(49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여러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반사 모듈과 이동체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반사 모듈의 하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반사 모듈(400)은 반사부(401), 상부 지지부(405a), 회전 걸림부(409), 후방 지지부(405b), 보강 리브(406), 수평 지지부(407a), 수직 지지부(407b) 및 롤러(403)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부(401)는 고정 노즐들(330,340)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반사시킬 수 있다. 세척수를 반사시키도록 경사지게 마련되는 반사면(402a,402b)을 포함할 수 있다. 반사면(402a, 402b)은 각각 세척수의 반사 각도를 다르게 하도록 서로 상이한 경사를 구비할 수 있다. 서로 상이한 경사를 구비한 반사면(402a, 402b)은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상부 지지부(405a)는 반사부(401)의 상부 말단에서 절곡되어 마련될 수 있다. 회전 걸림부(409)는 바닥판 커버(600)의 회전 가이드(도 20 및 도 21의 610)에 의해 가압되어 반사 모듈(400)이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후방 지지부(405b)는 상부 지지부(405a)와 반사부(401)를 지지하기 위해 마련되고, 보강 리브(406)는 반사부(401)와 상부 지지부(405a)와 후방 지지부(405b)의 강도 보강을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수평 지지부(407a) 및 수직 지지부(407b)는 이동체(490)의 상면 및 측면에 의해 지지되어 반사 모듈(400)이 안정적으로 이동체(490)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롤러(403)는 반사 모듈(400)의 길이 방향 양 말단 또는 반사 모듈(400) 하단의 임의의 위치 등에 마련될 수 있으며 반사 모듈(40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반사 모듈(400)에 롤러(403)가 마련된 경우 세척조(30)의 바닥판(35)에는 롤러(403)를 지지하기 위한 롤러 지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부 지지부(405a), 회전 걸림부(409), 후방 지지부(405b), 보강 리브(406), 수평 지지부(407a), 수직 지지부(407b) 및 롤러(403)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반사부(401)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 결합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 결합부(410)는 반사부(401)의 길이 방향 중앙 근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레일 결합부(410)는 반사부(401)의 길이 방향 중앙 근처에만 형성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반사부(401)의 양 말단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될 수도 있고, 반사부(401)의 중앙 및 양 말단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레일 결합부(410)는 반사 모듈(400)에 하나만 마련될 수도 있고, 둘 이상 마련될 수도 있다. 레일 결합부(410)는 이동체(490)에 마련된 제2 결합 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제1 결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 부재는 결합홈(411)일 수 있다. 레일 결합부(410)는 회전 스토퍼부(4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스토퍼부(408)는 반사 모듈(400)이 바닥판 커버(600)의 회전 가이드(610)에 의해 회전할 때 반사 모듈(40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5는 반사 모듈과 이동체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의하면 제1 결합 부재는 제1 결합홈(411)일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홈(411)은 반사 모듈(400)의 레일 결합부(410)에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레일 결합부(410)의 제1 결합홈(411)은 탄성 변형이 가능한 제1 탄성 후크(411a, 411b) 사이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제1 결합홈(411)은 원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체(490)의 반사 모듈 홀더(490a)의 제2 결합 부재는 측방으로 돌출되는 제1 결합 돌기부(491)일 수 있다. 제1 결합 돌기부(491)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일 수 있다. 제1 결합 돌기부(491)는 레일 결합부(410)의 제1 결합홈(411)에 대응하여 이동체(490)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결합 돌기부(491)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결합 돌기부(491)는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1 결합 축부(491a)와 반사 모듈(40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제1 결합 축부(491a)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 이탈 방지부(491b)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탄성 후크(411a, 411b)는 이동체(490)의 결합 축부(491a)를 반사 모듈(400)의 제1 결합홈(411)에 삽입하거나 이탈하는 과정에서 다소 벌어져 이동체(490)의 제1 결합 축부(491a)가 제1 결합홈(411)의 위치까지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동체(490)의 제1 결합 축부(491a)가 제1 결합홈(411)의 위치까지 이동하면 제1 탄성 후크(411a, 411b)는 원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따라서 반사 모듈(400)은 이동체(490)에 장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제1 결합 돌기부(491)가 원통형이고, 제1 결합홈(411)이 원 형상을 구비한 경우 제1 결합 부재는 제1 결합 축부(491a)를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도 16은 반사 모듈과 이동체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제1 결합 부재는 제2 결합 돌기부(412)일 수 있다. 제2 결합 돌기부(412)는 반사 모듈(400)의 레일 결합부(410)에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2 결합 돌기부(412)는 제2 결합 축부(412a)와 반사 모듈(40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제2 결합 축부(412a)의 단부에 형성되는 이탈 방지부(412b)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체(490)의 반사 모듈 홀더(490a)의 제2 결합 부재는 제2 결합홈(492)일 수 있다. 제2 결합홈(492)은 레일 결합부(410)의 제2 결합 돌기부(412)에 대응하여 이동체(490)에 쌍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2 결합홈(492)은 도 15의 레일 결합부(410)의 제2 결합홈(411)과 동일하게 탄성 변형이 가능한 제2 탄성 후크(492a, 492b) 사이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동체(490)의 제2 결합홈(492)의 제2 탄성 후크(492a, 492b)는 상술한 바와 유사하게 레일 결합부(410)의 제2 결합 축부(412a)를 이동체(490)의 제2 결합홈(492)에 삽입하거나 이탈하는 과정에서 탄성 변형되었다가 삽입 또는 이탈이 완료되면 원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그 결과 반사 모듈(400)은 이동체(490)에 장착 또는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제1 실시예의 경우와 유사하게 제1 결합 부재는 제2 결합 축부(412a)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17은 반사 모듈과 이동체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의하면 반사 모듈(400)의 제1 결합 부재는 평면판(413b) 및 평면판(413b)에 마련된 제3 결합홈(413a)을 포함하는 제1 결합판부(413)일 수 있다. 제1 결합판부(413)는 레일 결합부(410)에 마련될 수 있다. 레일 결합부(410)에는 하나의 제1 결합판부(413)가 마련될 수도 있고,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 결합판부(413)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동체(490)의 제2 결합 부재는 이동체(490)의 외면에 마련되고 제3 결합홈(413a)에 대응하는 제4 결합홈(493)일 수 있다. 제4 결합홈(493)은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제3 결합홈(413a)과 제4 결합홈(493)은 제3 결합홈(413a)과 제4 결합홈(430)을 관통하여 삽입 가능한 체결 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체결 부재는 예를 들어 볼트(493a)나 핀일 수 있다. 볼트(493a) 등의 체결 부재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 결합부(410)의 어느 하나의 제3 결합홈(413a)에 삽입되고, 이어서 이동체(490)의 일면에 형성된 제4 결합홈(493)에 삽입되어 어느 하나의 제3 결합홈(413a)과 이동체(490)의 일면에 형성된 제4 결합홈(493)을 결합시킬 수 있다. 제3 결합홈(413a)과 제4 결합홈(493)에 삽입된 체결 부재는 이동체(490)를 관통하여 이동체(490)의 다른 면에 형성된 제4 결합홈(493)을 통과하고, 다시 레일 결합부(410)의 다른 하나의 제3 결합홈(413a)을 통과하여 이동체(490)의 다른 면에 형성된 제4 결합홈(493)과 다른 하나의 제3 결합홈(413a)을 결합시킬 수 있다. 체결 부재가 볼트(493a)인 경우 볼트(493a)의 일 말단에는 나사골 및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볼트(493a)의 말단에 너트(493c)가 결합하여 볼트(493a)가 임의적으로 제3 결합홈(413a) 및 제4 결합홈(493)에서 일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레일 결합부(410)과 이동체(490)를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반사 모듈(400)은 이동체(490)에 장착 또는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제1 결합 부재는 체결 부재를 축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18은 반사 모듈과 이동체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 의하면 반사 모듈(400)의 제1 결합 부재는 레일 결합부(410)의 제2 결합판부(414)에 마련된 복수의 제5 결합홈(414a)이고, 이동체(490)의 제2 결합 부재는 이동체(490)의 외면에 마련되고 복수의 제5 결합홈(414a)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제6 결합홈(494)일 수 있다. 제5 결합홈(414a)은 제2 결합판부(414)의 평면판(413b)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제5 결합홈(414a)과 제6 결합홈(494)은 제5 결합홈(414a)과 제6 결합홈(494) 양자 모두에 삽입되는 체결 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체결 부재는 예를 들어 볼트(494a)나 핀일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볼트(494a) 등의 체결 부재는 각각의 제5 결합홈(414a)에 삽입되고 이어서 각각의 제5 결합홈(414a)에 대응하는 각각의 제6 결합홈(494)에 삽입되어 각각의 제5 결합홈(414a)과 제6 결합홈(494)을 결합시킬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체결 부재의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제5 결합홈(414a)과 제6 결합홈(494) 내측면에는 체결 부재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골이 형성되어 각각의 제5 결합홈(414a)과 제6 결합홈(494)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반사 모듈(400)은 이동체(490)에 장착 또는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제1 결합 부재는 체결 부재를 축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19는 반사 모듈과 이동체의 제5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실시예에 의하면 제1 결합 부재는 제3 결합 돌기부(415)일 수 있다. 제3 결합 돌기부(415)는 탄성 평면판(415a)과 탄성 평면판(415a)에서 레일 결합부(410)의 내측 방향 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415b)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평면판(415a)은 레일 결합부(410)의 내측 방향 또는 외측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휘어진 탄성 평면판(415a)은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제3 결합 돌기부(415)는 레일 결합부(410)에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5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체(490)의 반사 모듈 홀더(490a)의 제2 결합 부재는 제7 결합홈(495)일 수 있다. 제7 결합홈(495)은 제3 결합 돌기부(415)의 돌기(415b)에 대응하여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7 결합홈(495)은 돌기(415b)가 삽입 가능하도록 반사 모듈 홀더(490a)의 소정의 위치에 마련되고 소정의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제7 결합홈(495)은 제3 결합 돌기부(415)에 대응하여 쌍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제3 결합 돌기부(415)의 탄성 평면판(415a)을 레일 결합부(410)의 외측 방향 또는 내측 방향으로 휘어지게 한 후, 돌기(415b)를 제7 결합홈(495)에 삽입하여 레일 결합부(410)와 반사 모듈 홀더(490a)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탄성 평면판(415a)의 탄성력에 의해 돌기(415b)와 제7 결합홈(495)은 안정적으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반사 모듈(400)은 이동체(490)에 장착 또는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제1 결합 부재는 돌기(415b)를 축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하 도 20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반사 모듈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0 내지 도 22는 반사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3 및 도 24는 반사 모듈이 세척수를 반사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식기 세척기(1)의 고정 분사 노즐(330,340)이 세척수를 분사하면 분사된 세척수는 반사 모듈(400)에 의해 식기 측으로 반사될 수 있다. 따라서 반사 모듈(400)은 고정 분사 노즐(330,340)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반사시킬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만약 고정 분사 노즐(300, 340)이 대략 수평하게 세척수를 분사하는 경우 반사 모듈(400)은 고정 분사 노즐(300, 340)과 대략 상호 수평하게 위치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바닥판 커버(600)는 반사 모듈(40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돌출된 회전 가이드(61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반사 모듈(400)에는 회전 가이드(610)에 간섭되도록 회전 걸림부(409)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걸림부(409)는 반사 모듈(400)의 회전축을 형성함과 동시에 반사 모듈(40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반사 모듈 홀더(490)의 결합 돌기부(493) 보다 상측에 형성된다. 회전 가이드(610)는 회전 걸림부(409)가 접촉되고 반사 모듈(400)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면(61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 모듈(400)이 레일(440)을 따라 고정 분사 노즐(300, 340)으로 이동하는 도중 회전 걸림부(409)에 도달하면 반사 모듈(400)의 회전 걸림부(409)는 회전 가이드(610)의 가이드면(611)에 간섭될 수 있다. 만약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 부재가 제1 결합홈(411)이고 제2 결합 부재는 제1 결합 돌기부(491)인 경우,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 모듈(400)은 반사 모듈 홀더(490)의 제1 결합 돌기부(49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 모듈(400)이 고정 분사 노즐(330,340)과 원격한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반사 모듈(400)에 의해 반사된 세척수가 이동하는 방향과, 반사 모듈(400)이 고정 분사 노즐(330,340)과 근접한 구간에 위치하는 경우 반사 모듈(400)에 의해 반사된 세척수가 이동하는 방향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하 도 25를 참조하여 유로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5는 식기 세척기의 유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25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세척조(30) 내부에는 세척수를 저수하는 섬프(100)와, 섬프(100)의 세척수를 펌핑하여 노즐 어셈블리(300)에 공급하는 순환 펌프(51)와, 섬프(100)의 세척수를 오물과 함께 본체(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 펌프(52)를 포함할 수 있다. 섬프(100)에는 순환 펌프(51)로 이동하는 세척수의 통로가 되는 순환관(51a)과 세척수 및 오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52a)가 마련될 수 있다. 순환 펌프(51)는 노즐 어셈블리(300)의 각각의 노즐(311, 313, 330 및 340)로 세척수를 분배하는 분배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분배 장치(200)는 노즐 어셈블리(300)와 호스(hose)로 연결되어 각각의 노즐(311, 313, 330 및 340)로 세척수를 분배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노즐(311, 313, 330 및 340)은 세척수를 식기 또는 반사 모듈(400)로 분사할 수 있다. 식기 세척에 이용된 세척수는 세척조(30) 하단으로 이동하여 섬프(100)에 저수될 수 있다.
이하 식기 세척기(1)의 세척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식기 세척기(1)는 급수 행정, 세척 행정, 배수 행정 및 건조 행정에 따라서 식기를 세척할 수 있다. 급수 행정은 급수관(미도시)을 통해 세척조(30) 내부로 세척수가 급수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세척조(30)에 급수되는 세척수는 세척조(30)의 바닥판(35)의 구배에 의해 세척조(30)의 하부에 마련된 섬프(100)로 유동하여 섬프(100)에 저수될 수 있다. 세척 행정은 식기 세척을 수행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세척 행정에서는 순환 펌프(51)가 가동되어 섬프(100)의 세척수를 펌핑하고, 펌핑한 세척수를 노즐 어셈블리(300)의 각 노즐(311, 313, 320)로 분배할 수 있다. 세척 행정에서 순환 펌프(51)에 의해 펌핑된 세척수는 분배 장치(200)를 통해 회전 노즐(311,313), 좌측 고정 노즐(330) 및 우측 고정 노즐(340) 중 적어도 하나로 분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좌측 고정 노즐(330)은 제 1 호스(271a)를 통해 분배 장치(200)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고, 상부 회전 노즐(311)과, 중간 회전 노즐(313)은 제 2 호스(271b)를 통해 분배 장치(200)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아울러 우측 고정 노즐(340)은 제 3 호스(271c)를 통해 분배 장치(200)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순환 펌프(51)의 펌핑력에 의해 각각의 분사 노즐(311, 313, 330 및 340)에서 세척수가 고압으로 분사될 수 있다. 분사된 세척수는 직접 식기에 도달하거나 또는 반사 모듈(400)에 의해 반사된 후 식기에 도달하여 식기를 세척할 수 있다. 분사 노즐(311, 313, 330 및 34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식기를 타격하며 식기에 묻은 오물을 제거하고, 오물과 함께 낙하하여 다시 섬프(100)에 저수될 수 있다. 순환 펌프(51)는 섬프(100)에 저수된 세척수를 다시 펌핑하여 식기 세척기의 유로 구조 내에서 순환시킴으로써 상술한 과정이 반복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세척 행정 중에 순환 펌프(51)는 가동 및 정지를 적어도 일 회 이상 반복할 수 있다. 순환 펌프(51)의 가동 및 정지는 미리 정의된 패턴을 기초로 수행될 수도 있다. 미리 정의된 패턴은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것일 수도 있고, 장치 설계자에 의해 정의된 것일 수도 있다. 세척 행정에서 세척수와 함께 섬프(100)로 낙하한 오물은 섬프(100)에 장착된 필터에 의해 포집될 수 있다. 따라서 오물은 순환되지 않고 섬프(100)에 남아 있게 된다. 배수 행정은 섬프(100)에 남아 있는 오물을 본체(10)의 외부로 배수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배수 행정은 배수 펌프(52)의 동작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배수 행정 시 오물과 함께 세척수가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건조 행정은 세척이 완료된 식기를 건조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건조 행정은 세척조(30)에 장착된 히터(미도시)의 가동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26은 식기 세척기의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식기 세척기의 구조도이다. 도 26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식기 세척기(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0), 제어부(700), 분사 구동부(710), 이동체 구동부(720), 분사 노즐(311, 313, 320), 이동체(490) 및 반사 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외면에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부(20a)나 디스플레이부(20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7은 식기 세척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20)는 사용자로부터 지시를 입력받기 위하여 복수의 버튼(21 내지 25, 27)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21 내지 25, 27)은 식기 세척기(1)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 버튼(21), 식기 세척 방법을 선택하기 위한 세척 방법 선택 버튼(22), 식기 세척기(1)가 청소 모드에서 동작하기 위한 청소 모드 선택 버튼(23), 세척하기 위한 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 세척 위치 선택 버튼(24), 각종 설정을 선택하기 위한 옵션 버튼(25) 및 식기 세척기(1)가 세척 동작 개시를 지시하기 위한 세척 개시 버튼(27)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20)는 세척 시간, 세척 잔여 시간, 현재 세척 중인 동작 모드 또는 각종 오류 등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0)의 입력부(20a)를 통해 입력받은 사용자의 지시 또는 미리 정의된 설정에 따라서 식기 세척기(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700)는 식기 세척기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제어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제어 모드에 따라서 식기 세척기(1)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제어 모드는 식기 세척 모드, 동작 대기 모드 및 청소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식기 세척 모드는 식기를 세척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모드이다. 식기 세척 모드의 경우 제어부(700)는 제어 명령을 분사 구동부(710) 또는 이동체 구동부(720)에 전달하여 식기가 세척되도록 할 수 있다. 동작 대기 모드는 식기 세척을 준비하거나 또는 새로운 지시 등을 입력받기 위해 대기하는 모드이다. 동작 대기 모드인 경우 제어부(700)는 동작하지 않는 각종 부품이나 장치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대기 전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청소 모드는 세척조(30) 내부를 세척하거나 또는 반사 모듈(400)을 청소하기 위한 각종 동작을 수행하는 모드이다. 또한 제어부(700)는 이외에도 다양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식기 세척기(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00)는 식기 세척 모드인 경우 도어(11)가 열리지 않도록 하고, 청소 모드인 경우 도어(11)가 열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반도체 칩 및 반도체 칩이 설치 가능한 인쇄회로기판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반도체 칩은 제어, 연산 및 저장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반도체 칩 및 인쇄회로기판은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식기 세척기(1)의 임의의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도체 칩 및 인쇄회로기판은 식기 세척기(1)의 도어(11)를 이루는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거나, 식기 세척기(1)의 본체(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분사 구동부(710)는 제어부(700)의 제어 명령에 따라서 세척수가 노즐(311, 313, 330 및 340)에 의해 분사되도록 하기 위한 구동력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분사 구동부(710)는 순환 펌프(51) 및 배수 펌프(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체 구동부(720)는 반사 모듈(400)이 결합된 이동체(490)를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생성하여 반사 모듈(400)인 세척조(30) 내에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동체 구동부(720)는 구동 풀리(500)와 연결된 모터(5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이동체 구동부(720)는 공기압식 액츄에이터 또는 유압식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8은 식기 세척기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식기 세척기(1)를 제어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먼저 식기 세척기(1)가 동작 대기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s10).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 식기 세척기(1)가 반드시 동작 대기 모드를 수행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 29 및 도 30은 동작 대기 모드에서 식기 세척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8 및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식기 세척기(1)의 전원 버튼(21)을 조작하면, 식기 세척기(1)에 전원이 인가되고, 제어부(700)는 대기 모드와 관련된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면 식기 세척기(1)는 식기 세척을 준비하는 대기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대기 모드에서 식기 세척기(1)는 입력부(20a) 등을 통해 사용자의 지시가 입력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도 30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대기 모드에서 세척조(10) 내부의 반사 모듈(400)의 위치가 초기화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반사 모듈(400)은 임의의 위치(400a)에서 고정 노즐 어셈블리(320) 근처에 마련된 초기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a).
도 31 내지 도 33은 식기 세척 모드에서 반사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만약 사용자가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 방법 선택 버튼(22) 및 세척 개시 버튼(27) 중 적어도 하나를 조작하여 식기 세척 모드가 선택된 경우(s20), 제어부(700)는 식기 세척 모드에 따른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제어 명령을 분사 구동부(710) 및 이동체 구동부(720)에 전달하여 식기 세척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s21). 식기 세척 모드에서 반사 모듈(400)은 도 32 및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530) 및 벨트(520)에 의해 이동하는 이동체(490)와 함께 고정 노즐 어셈블리(320)의 반대 방향(b) 또는 고정 노즐 어셈블리(320) 방향(c)으로 이동하면서 고정 노즐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를 식기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s22).
식기 세척이 종료되면 분사 구동부(710), 일례로 순환 펌프(51)의 동작이 종료되고 노즐 어셈블리(300)의 각 노즐(311, 313, 330 및 340)은 세척수를 더 이상 분사하지 않는다(s23). 아울러 이동체 구동부(720), 일례로 모터(530)의 동작 역시 종료되고 이동체(490) 및 이동체(490)에 결합된 반사 모듈(400) 역시 구동하지 않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반사 모듈(400)은 식기 세척이 완료된 후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위치로 이동(a)할 수도 있다(s40).
도 34 내지 도 39는 청소 모드에서 반사 모듈을 청소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만약 사용자가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 모드 선택 버튼(23)을 조작하여 청소 모드가 선택된 경우(s30), 제어부(700)는 청소 모드에 따른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제어 명령을 이동체 구동부(720)에 전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부(700)는 도어(11)의 개폐 가능 여부에 대한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도 있다. 도 35에 의하면 청소 모드에서 반사 모듈(400)은 세척조(30) 내에서 개구(11a)가 형성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s31). 만약 고정 노즐 어셈블리(320)가 세척조(30) 내에서 개구(11a)를 마주 보는 후벽(32)에 형성된 경우, 반사 모듈(400)은 고정 노즐 어셈블리(320)가 설치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d). 도 36에 의하면 개구(11a) 방향으로 이동하던 반사 모듈(400)은 개구 근처에서 정지할 수 있다(e). 이와 같은 반사 모듈(400)의 이동 및 정지는 제어부(700)의 제어 명령을 기초로 이동체 구동부(720)가 동작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 모듈(400)이 정지된 경우 도어(11)를 여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s32). 다시 말해서 사용자는 반사 모듈(400)의 이동이 종료된 후에 식기 세척기(1)의 도어(11)를 열어 반사 모듈(400)을 이동체(49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다. 도어(11)의 개폐 가능 여부는 제어부(700)에서 전달된 제어 신호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단계(s32)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어(11)가 열린 후 사용자는 반사 모듈(400)의 제1 결합 부재와 이동체(490)의 제2 결합 부재를 분리시켜 반사 모듈(400)을 이동체(49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 모듈(400)의 제1 결합홈(411)을 이동체(490)의 제1 결합 돌기부(491)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반사 모듈(400)과 이동체(490)를 분리할 수 있다(s33).
반사 모듈(400)이 분리된 경우 사용자는 분리한 반사 모듈(400)을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등을 이용하여 세척하여 청소할 수 있다(s34). 반사 모듈(400)의 청소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반사 모듈(400)의 제1 결합 부재와 이동체(490)의 제2 결합 부재를 이용하여 반사 모듈(400)을 다시 이동체(490)에 결합시킬 수 있다(s35). 실시예에 따라서 반사 모듈(400)이 다시 이동체(490)에 결합한 경우, 별도의 센서(미도시)가 반사 모듈(400)의 이동체(490) 결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제어부(70)는 반사 모듈(400)이 이동체(490)에 결합된 것을 감지하면 반사 모듈(400)을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반사 모듈(400)은 초기 위치로 이동(a)할 수도 있다(s40).
1 : 식기 세척기 10 : 본체
11 : 도어 12a,12b : 식기수용부
20 : 사용자인터페이스 20a : 입력부
30 : 세척조 31 : 상부벽
32 : 후벽 33 : 좌측벽
34 : 우측벽 35 : 바닥판
52 : 배수 펌프 100 : 섬프
200 : 분배 장치 300 : 노즐 어셈블리
400 : 반사 모듈 410 : 레일 결합부
420 : 이동 모듈 430 : 레일 어셈블리
440 : 레일 490 : 이동체
500 : 구동풀리 510 : 아이들풀리
520 : 벨트 530 : 모터
700 : 제어부

Claims (23)

  1. 적어도 일 면에 개구가 형성된 세척조;
    상기 세척조 내부에 마련되고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
    상기 세척조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분사 노즐이 분사한 세척수를 반사시키는 반사 모듈;
    상기 반사 모듈이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반사 모듈을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모듈; 및
    식기 세척기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제어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어 모드가 청소 모드인 경우 상기 반사 모듈이 상기 개구가 설치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레일;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반사 모듈이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이동체;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모듈 및 상기 이동체를 결합시키는 체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는 핀 또는 볼트를 포함하되, 상기 핀 또는 볼트는 상기 반사 모듈 및 상기 이동체 각각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 및 분리가 가능한 식기 세척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반사 모듈에 마련되는 제1 결합 부재 및 상기 이동체에 마련되고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결합되는 제2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6. 제1항에 있어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구동 풀리와 아이들 풀리에 연결되어 회전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이동 모듈에 전달하는 벨트;를 더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사 모듈이 상기 이동 모듈과 결합하면, 상기 반사 모듈이 초기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이동 모듈을 제어하는 식기 세척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사 모듈이 상기 개구에 근접한 경우 상기 반사 모듈을 정지시키는 식기 세척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사 모듈이 정지된 경우 상기 개구에 마련된 도어를 개폐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식기 세척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사 모듈이 정지된 경우 상기 반사 모듈이 상기 이동 모듈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식기 세척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어 모드는 식기 세척 모드, 동작 대기 모드 및 청소 모드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제어 모드가 상기 동작 대기 모드인 경우 상기 반사 모듈이 상기 분사 노즐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식기 세척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제어 모드가 상기 식기 세척 모드인 경우 상기 분사 노즐은 세척수를 분사하고 상기 반사 모듈은 세척조 내에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식기 세척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노즐은 상기 세척조에서 개구가 설치된 방향에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개구가 설치된 방향의 반대 방향에 설치되는 식기 세척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를 내장하는 본체;를 더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외부에 마련되고 복수의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17. 개폐 가능한 개구가 설치되는 세척조 및 상기 세척조 내부에 마련되고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반사 모듈을 포함하고 복수의 제어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모드에 따라 제어되는 식기 세척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어 모드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한 제어 모드가 청소 모드인 경우 상기 반사 모듈을 상기 세척조의 개구가 설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반사 모듈이 상기 개구에 근접한 경우 상기 반사 모듈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모듈이 정지된 경우 상기 개구에 마련된 도어를 개폐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제어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모듈이 이동 모듈로부터 탈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이동 모듈은 상기 반사 모듈이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반사 모듈을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식기 세척기 제어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드는 식기 세척 모드, 동작 대기 모드 및 청소 모드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제어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모드가 상기 식기 세척 모드인 경우 분사 노즐이 세척수를 분사하고 상기 반사 모듈은 이동하면서 상기 세척수를 반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분사 노즐은 상기 세척조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반사 모듈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식기 세척기 제어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모드가 상기 동작 대기 모드인 경우 상기 반사 모듈을 상기 분사 노즐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제어 방법.
  23. 삭제
KR1020130169292A 2013-12-31 2013-12-31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KR102109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292A KR102109387B1 (ko) 2013-12-31 2013-12-31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US15/108,900 US10149594B2 (en) 2013-12-31 2014-12-24 Dishwash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201480073649.4A CN106102541B (zh) 2013-12-31 2014-12-24 洗碗机和其控制方法
PCT/KR2014/012822 WO2015102299A1 (ko) 2013-12-31 2014-12-24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EP14876302.2A EP3090672B1 (en) 2013-12-31 2014-12-24 Dishwa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292A KR102109387B1 (ko) 2013-12-31 2013-12-31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9222A KR20150079222A (ko) 2015-07-08
KR102109387B1 true KR102109387B1 (ko) 2020-05-26

Family

ID=53493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9292A KR102109387B1 (ko) 2013-12-31 2013-12-31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49594B2 (ko)
EP (1) EP3090672B1 (ko)
KR (1) KR102109387B1 (ko)
CN (1) CN106102541B (ko)
WO (1) WO20151022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9387B1 (ko) 2013-12-31 2020-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US10905306B2 (en) * 2017-03-10 2021-02-02 Continental Clean Tech Limited Dish washing machine
CN109744965B (zh) * 2017-11-07 2021-12-07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清洗机及其界面操作方法
DE102020106839A1 (de) 2020-03-12 2021-09-16 Illinois Tool Works Inc. Spülmaschine zum reinigen von spülgutteilen in gestalt von trinkgefässen
DE102020108881A1 (de) 2020-03-31 2021-09-30 Illinois Tool Works Inc. Thekensystem zur übergabe von insbesondere zumindest teilweise unverpackten lebensmitteln sowie verfahren zum aufnehmen von kundenspezifischen und insbesondere kundenindividualisierten bestellungen bei einem thekensystem
CN112190214B (zh) * 2020-10-22 2024-03-29 惠州市瑞诚达五金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洗碗机的控制系统
US11857131B2 (en) * 2021-02-04 2024-01-02 Continental Clean Tech Limited Remote control dish washing machine
US11786100B2 (en) * 2021-04-23 2023-10-17 Illinois Tool Works Inc. Dishwasher, in particular in the form of a counter module for a counter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6130A (ja) * 2006-08-07 2008-02-21 Toto Ltd 食器洗浄機
US20130319487A1 (en) * 2012-06-05 2013-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h wash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36791A (en) 1937-03-02 1941-04-01 Laval Separator Co De Dishwashing machine
IT1177827B (it) * 1984-06-22 1987-08-26 Texas Instruments Italia Spa Dispositivo di bloccaggio a disimpegno ritardato,particolarmente per sporelli di macchine lavatrici o simili,comprendente una pasticca ptc ed un elemento bimetallico
SE9100157L (sv) * 1991-01-18 1992-07-19 Granuldisk Ab Munstycke till granuldiskmaskin
CN1552271A (zh) * 2003-06-06 2004-12-08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洗碗机上部洗涤水喷洒装置
US7445013B2 (en) 2003-06-17 2008-11-04 Whirlpool Corporation Multiple wash zone dishwasher
US7523758B2 (en) 2003-06-17 2009-04-28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having rotating zone wash sprayer
KR101269740B1 (ko) 2006-06-19 2013-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척 노즐 및 이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
US7935194B2 (en) * 2007-08-27 2011-05-03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targeted sensing
US7959744B2 (en) 2007-09-19 2011-06-14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targeted sensing and washing
US8932411B2 (en) 2010-08-06 2015-01-13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controlling zonal washing in a dishwasher
KR101876376B1 (ko) * 2012-01-06 2018-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102002414B1 (ko) * 2013-05-27 2019-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KR102109387B1 (ko) 2013-12-31 2020-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6130A (ja) * 2006-08-07 2008-02-21 Toto Ltd 食器洗浄機
US20130319487A1 (en) * 2012-06-05 2013-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h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324397A1 (en) 2016-11-10
KR20150079222A (ko) 2015-07-08
CN106102541A (zh) 2016-11-09
WO2015102299A1 (ko) 2015-07-09
EP3090672A4 (en) 2017-08-23
US10149594B2 (en) 2018-12-11
CN106102541B (zh) 2019-11-05
EP3090672B1 (en) 2018-11-07
EP3090672A1 (en) 2016-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9387B1 (ko)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US10143353B2 (en) Dishwash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10244918B2 (en) Dish wash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2061527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AU2014374589B2 (en) Dish washing machine
US9861252B2 (en) Dishwasher
EP3090675B1 (en) Dishwash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U2014347388B2 (en) Dishwash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60102611A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US11089937B2 (en) Dishwash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70056379A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US9833122B2 (en) Dishwasher having movement parts for the upper basket
KR102079942B1 (ko) 식기 세척기
US10221952B2 (en) Dish washing machine
GB2508730A (en) A dishwasher
WO2013068508A1 (en) Dishwasher comprising virtual buttons
KR102109384B1 (ko) 식기세척기
JP4412083B2 (ja) 食器洗浄機の設置方法
JP2004000790A (ja) 食器洗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