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1527B1 -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1527B1
KR102061527B1 KR1020130169376A KR20130169376A KR102061527B1 KR 102061527 B1 KR102061527 B1 KR 102061527B1 KR 1020130169376 A KR1020130169376 A KR 1020130169376A KR 20130169376 A KR20130169376 A KR 20130169376A KR 102061527 B1 KR102061527 B1 KR 102061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vane
fixed nozzles
vanes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9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9270A (ko
Inventor
김형규
김형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9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1527B1/ko
Priority to EP14199878.1A priority patent/EP2888984B1/en
Priority to US14/585,400 priority patent/US9649008B2/en
Priority to CN201410849957.3A priority patent/CN104739343B/zh
Publication of KR20150079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9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47L15/4282Arrangements to change or modify spray pattern or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49Detection or prevention of malfunction, including accident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rigidly-mounted spra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movably-mounted spra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6Devices for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different phases of cleaning ; Contro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1/00Manual input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information entered by a user
    • A47L2301/08Other manual inpu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14Water pressure or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24Spray arms status, e.g. detection of spray arm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30Variation of electrical, magnetical or optical quantit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34Other automatic det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04Water pressure or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26Indication or alarm to the controlling device or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32Stopping or disabling machine operation, including disconnecting the machine from a network, e.g. from an electrical power supply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Abstract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의 막힘 여부를 결정하는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식기 세척기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 세척조의 내부에 마련되고 식기를 수납하도록 마련되는 바스켓; 세척조의 제 1 방향으로 고정되어 배열되고, 제 2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고정 노즐; 분사되는 세척수를 상기 바스켓에 수납된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도록 마련되고, 제 2 방향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하는 베인(Vane); 베인의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 및 베인이 제 1 방향과 평행한 상태로, 제 2 방향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하는지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DISH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세척조의 내부에서 선형 왕복 운동하며 세척수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반사판을 갖는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기 세척기는 내부에 세척조가 마련되는 본체와, 식기를 수납하는 바스켓과, 세척수를 포집하고 저장하는 섬프와, 세척수를 펌핑하는 세척 펌프와,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유닛과, 세척 펌프와 분사 유닛을 연결하는 연결 유로를 구비하고, 식기에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여 식기를 세척하는 가전 기기이다.
여기서, 분사 유닛은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일례로 분사 유닛은 세척조 내부에서 회전하도록 마련되거나 세척조 내부에서 선형 왕복 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분사 유닛 자체는 세척조 내부의 일 지점에 고정되어 대략 수평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고, 분사 유닛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를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이 선형 왕복 운동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의 일 측면에 의하면,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의 막힘 여부를 결정하는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식기 세척기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 세척조의 내부에 마련되고 식기를 수납하도록 마련되는 바스켓; 세척조의 제 1 방향으로 고정되어 배열되고, 제 2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고정 노즐; 분사되는 세척수를 상기 바스켓에 수납된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도록 마련되고, 제 2 방향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하는 베인(Vane); 베인의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 및 베인이 제 1 방향과 평행한 상태로, 제 2 방향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하는지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인은, 가이드 레일을 기준으로 양 측에 마련되는 복수의 자석을 포함하고, 세척조는, 복수의 자석을 감지하도록 내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홀 센서(Hall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인은, 가이드 레일을 기준으로 일단에 마련되는 제 1 자석; 및 타단에 마련되는 제 2 자석을 포함하고, 세척조는, 제 1 자석을 감지하는 제 1 홀 센서; 및 제 1 홀 센서로부터 제 1 방향으로 마련되고, 제 2 자석을 감지하는 제 2 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복수의 자석 각각이 감지되는 시점이 동일하면, 베인이 제 1 방향과 평행한 상태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복수의 자석은, 복수의 고정 노즐과의 거리가 서로 다른 적어도 두 개의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복수의 고정 노즐과의 거리가 서로 다른 적어도 두 개의 자석이 감지되는 시점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값과 동일하면, 베인이 제 1 방향과 평행한 상태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복수의 고정 노즐과의 거리가 서로 다른 적어도 두 개의 자석이 감지되는 순서를 기초로, 베인이 진행하는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베인이 상기 제 1 방향과 평행하지 않으면, 미리 정해진 압력으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복수의 고정 노즐을 제어할 수 있다.
복수의 고정 노즐은, 제 1 방향과 수직인 제 2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척조의 제 1 방향으로 고정되어 배열되고, 제 2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고정 노즐; 및 분사되는 세척수를 바스켓에 수납된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도록 마련되고, 제 2 방향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하는 베인(Vane)을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베인 양 측의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한 위치를 기초로, 베인이 제 1 방향과 평행한 상태로 제 2 방향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하는지 결정하고, 베인이 제 1 방향과 평행한 상태가 아니라면, 복수의 고정 노즐에 막힘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베인 양 측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세척조 내부에 마련된 복수의 홀 센서(Hall Sensor)에 의해, 베인 양 측에 마련된 복수의 자석을 감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인이 제 1 방향과 평행한 상태인지 결정하는 것은, 복수의 자석 각각이 동시에 감지되면, 베인이 제 1 방향과 평행한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인 양 측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베인에 마련된 복수의 자석 중 복수의 고정 노즐과의 거리가 서로 다른 적어도 두 개의 자석을 감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인이 상기 제 1 방향과 평행한 상태인지 결정하는 것은, 복수의 고정 노즐과의 거리가 서로 다른 적어도 두 개의 자석이 감지된 시점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값과 동일한지 비교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고정 노즐과의 거리가 서로 다른 적어도 두 개의 자석이 감지된 순서에 따라 베인이 진행하는 방향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고정 노즐에 막힘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복수의 고정 노즐을 통해 미리 정해진 압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인이 상기 제 1 방향과 평행한 상태인지 결정하는 것은, 베인이 선형 왕복 운동을 하는 제 2 방향과 수직인 상태인지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식기 세척기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 세척조의 내부에 마련되고 식기를 수납하도록 마련되는 바스켓; 세척조에 제 1 방향으로 고정되어 배열되고, 제 2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고정 노즐; 분사되는 세척수를 바스켓에 수납된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도록 마련되고, 제 2 방향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하는 베인; 베인의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 세척수의 수압을 감지하도록 베인에 마련되는 압력 센서; 및 압력 센서에 의해 감지된 세척수의 수압을 미리 정해진 값과 비교하여, 노즐의 막힘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식기 세척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 세척조의 내부에 마련되고 식기를 수납하도록 마련되는 바스켓; 세척조에 제 1 방향으로 고정되어 배열되고, 제 2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고정 노즐; 분사되는 세척수를 바스켓에 수납된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도록 마련되고, 제 2 방향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하는 베인; 베인의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 세척수의 분사 궤적을 감지하도록, 상기 세척조 내부에 마련되는 비전 센서(Vision Sensor); 및 비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세척수의 분사 궤적과 미리 정해진 궤적을 비교하여, 노즐의 막힘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식기 세척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 세척조의 내부에 마련되고 식기를 수납하도록 마련되는 바스켓; 세척조에 제 1 방향으로 고정되어 배열되고, 제 2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고정 노즐; 분사되는 세척수를 바스켓에 수납된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도록 마련되고, 제 2 방향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하는 베인; 베인의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 세척수의 유량을 감지하도록 복수의 고정 노즐에 마련되는 복수의 유량계; 및 유량계에 의해 감지된 세척수의 유량과 미리 정해진 값을 비교하여, 노즐의 막힘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의 일 측면에 의하면, 노즐 막힘 여부를 결정하여 식기 세척기의 이상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자동으로 노즐 막힘을 개선하는 동작을 수행하여 식기 세척기의 세척 불량을 개선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식기 세척기의 노즐 막힘을 개선하기 위한 구동을 반복하여도 노즐 막힘이 해결되지 않는 경우, 식기 세척기에 에러를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노즐 청소가 필요함을 알릴 수도 있다.
도 1은 식기 세척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하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유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고정 노즐 어셈블리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고정 노즐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식기 세척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블록도이다.
도 7a 및 7b는 노즐의 막힘에 따른 베인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8c는 자석 및 홀 센서를 이용하여 베인 양 측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10a 내지 10c는 자석 및 홀 센서를 이용하여 베인 양 측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12는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고정 노즐의 막힘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14는 유량계를 이용하여 고정 노즐의 막힘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식기 세척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하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식기 세척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구조를 개괄적으로 설명한다.
 식기 세척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30)와, 식기를 수납하도록 세척조(30)의 내부에 마련되는 바스켓들(12a,12b)과,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 노즐(311,313,330,340)과, 세척수를 저수하는 섬프(100)와, 섬프(100)의 세척수를 펌핑하여 복수의 분사 노즐(311,313,330,340)에 공급하는 순환 펌프(51)와, 섬프(100)의 세척수를 오물과 함께 본체(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 펌프(52)와, 세척조(30)의 내부를 이동하며 세척수를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는 베인(400)과, 베인(400)을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420)를 포함한다.
세척조(30)는 식기를 출납할 수 있도록 전방이 개구된 대략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세척조(30)의 전방 개구는 도어(1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세척조(30)는 상부벽(31)과, 후벽(32)과, 좌측벽(33)과, 우측벽(34)과, 바닥판(35)을 가질 수 있다.
바스켓들(12a,12b)은 세척수가 고이지 않고 통과될 수 있도록 와이어로 이루어진 와이어 랙일 수 있다. 바스켓들(12a,12b)은 세척조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바스켓들(12a,12b)은 세척조(3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바스켓(12a)과, 세척조(30)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바스켓(12b)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분사 노즐(311,313,330,340)은 고압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식기를 세척할 수 있다. 복수의 분사 노즐(311,313,330,340)은 세척조(30)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 회전 노즐(311)과, 세척조(30)의 중심부에 마련되는 중간 회전 노즐(313)과, 세척조(30)의 하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고정 노즐(330,3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회전 노즐(311)은 상부 바스켓(12a)의 상측에 마련되고, 수압에 의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아래 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부 회전 노즐(311)의 하단에는 분사홀들(312)이 마련될 수 있다. 상부 회전 노즐(311)은 상부 바스켓(12a)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직접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중간 회전 노즐(313)은 상부 바스켓(12a)과 하부 바스켓(12b)의 사이에 마련되고, 수압에 의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상하 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중간 회전 노즐(313)의 상단과 하단에는 분사홀들(314)이 마련될 수 있다. 중간 회전 노즐(313)은 상부 바스켓(12a)과 하부 바스켓(12b)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직접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복수의 고정 노즐(330,340)은 회전 노즐들(311,313)과는 달리 움직이지 않도록 마련되고, 세척조(30)의 일 측에 고정된다. 복수의 고정 노즐(330,340)은 대략 세척조(30)의 후벽(32)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세척조(30)의 전방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고정 노즐(330,34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직접 식기를 향하지 않을 수 있다.
복수의 고정 노즐(330,34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베인(400)에 의해 식기 측으로 반사될 수 있다. 복수의 고정 노즐(330,340)은 하부 바스켓(12b)의 아래에 배치되고, 베인(400)은 복수의 고정 노즐(330,340)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상측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즉, 복수의 고정 노즐(330,34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베인(400)에 의해 하부 바스켓(12b)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반사될 수 있다.
복수의 고정 노즐(330,340)은 각각 세척조(30)의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분사홀(331,341)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분사홀(331,341)은 전방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베인(400)은 복수의 고정 노즐(330,340)의 복수의 분사홀(331,341)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모두 반사시킬 수 있도록 세척조(30)의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즉, 베인(400)의 길이 방향 일단부는 세척조(30)의 좌측벽(33)에 인접하고, 베인(400)의 길이 방향 타단부는 세척조(30)의 우측벽(34)에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인(400)은 복수의 고정 노즐(330,34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 방향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즉, 베인(400)은 세척조(3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복수의 고정 노즐(330,340)과 베인(400)을 포함하는 리니어 분사 구조는 사각 지대 없이 세척조(30)의 전 영역을 세척할 수 있다. 회전 노즐들의 경우에 회전 반경의 범위 내에만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는 것과는 차별된다.
지금까지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식기 세척기의 개략적인 구조를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식기 세척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행정, 유로 구조, 고정 노즐의 구조 및 세척수 분배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유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고정 노즐 어셈블리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고정 노즐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식기 세척기는 급수 행정과, 세척 행정과, 배수 행정과, 건조 행정을 가질 수 있다.
급수 행정에서, 급수관(미도시)을 통해 세척조(30) 내부로 세척수가 급수될 수 있다. 세척조(30)에 급수되는 세척수는 세척조(30)의 바닥판(35)의 구배에 의해 세척조(30)의 하부에 마련된 섬프(100)로 유동되고 섬프(100)에 저수될 수 있다.
세척 행정에서, 순환 펌프(51)가 가동되어 섬프(100)의 세척수를 펌핑할 수 있다. 순환 펌프(51)에 의해 펌핑된 세척수는 분배 장치(200)를 통해 회전 노즐들(311,313)과, 좌측 고정 노즐(330)과, 우측 고정 노즐(340)로 분배될 수 있다. 순환 펌프(51)의 펌핑력에 의해 복수의 분사 노즐(311,313,330,340)에서 세척수가 고압으로 분사되어 식기를 세척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회전 노즐(311)과, 중간 회전 노즐(313)은 제 2 호스(271b)를 통해 분배 장치(200)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좌측 고정 노즐(330)은 제 1 호스(271a)를 통해 분배 장치(200)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우측 고정 노즐(340)은 제 3 호스(271c)를 통해 분배 장치(200)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식기 세척기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배 장치(200)는 총 3 개의 분배 모드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모드에서, 분배 장치(200)는 제 2 호스(271b)를 통해 회전 노즐들(311,313)로만 세척수를 공급한다.
 제 2 모드에서, 분배 장치(200)는 제 3 호스(271c)를 통해 우측 고정 노즐(340)로만 세척수를 공급한다.
제 3 모드에서, 분배 장치(200)는 제 1 호스(271a)와, 제 3 호스(271c)를 통해 복수의 고정 노즐(330,340)로만 세척수를 공급한다.
다만, 분배 장치(200)는 이와 같은 실시예와는 달리 더 다양한 분배 모드를 갖도록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복수의 분사 노즐(311,313,330,34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식기를 타격하며 식기에 묻은 오물을 제거하고, 오물과 함께 낙하하여 다시 섬프(100)에 저수될 수 있다. 순환 펌프(51)는 섬프(100)에 저수된 세척수를 다시 펌핑하여 순환시킨다. 세척 행정 중에 순환 펌프(51)는 가동 및 정지를 수차례 반복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세척수와 함께 섬프(100)로 낙하한 오물은 섬프(100)에 장착된 필터에 의해 포집되어 복수의 분사 노즐(311,313,330,340)로 순환되지 않고 섬프(100)에 남아 있게 된다.
배수 행정에서, 배수 펌프(52)가 가동하여 섬프(100)에 남아 있는 오물과 세척수를 함께 본체(10)의 외부로 배수할 수 있다.
건조 행정에서, 세척조(30)에 장착된 히터(미도시)가 가동되어 식기를 건조할 수 있다.
좌측 고정 노즐(330)과, 우측 고정 노즐(340)의 구조에 대해 상술한다.
좌측 고정 노즐(330)은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홀들(331)과, 분사홀들(331)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노즐 유로(332)와, 노즐 유로(332)에 세척수가 유입되는 노즐 유입구(333)와, 외관을 형성하는 노즐 바디(334)와, 노즐 유로(332)를 형성하도록 노즐 바디(334)의 후방에 결합되는 노즐 커버(335)와, 노즐 바디(334)의 전방에 결합되는 장식 부재(336)와, 좌측 고정 노즐(330)을 후술할 바닥판 커버(600, 도 19)에 결합하도록 노즐 바디(334)에 형성되는 결합홀(337)을 포함할 수 있다.
우측 고정 노즐(340)은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홀들(341)과, 분사홀들(341)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노즐 유로(342)와, 노즐 유로(342)에 세척수가 유입되는 노즐 유입구(343)와, 외관을 형성하는 노즐 바디(344)와, 노즐 유로(342)를 형성하도록 노즐 바디(344)의 후방에 결합되는 노즐 커버(345)와, 노즐 바디(344)의 전방에 결합되는 장식 부재(346)와, 우측 고정 노즐(340)을 후술할 바닥판 커버(600)에 결합하도록 노즐 바디(344)에 형성되는 결합홀(347)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좌측 고정 노즐(330)의 노즐 바디(334)와, 우측 고정 노즐(340)의 노즐 바디(344)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좌측 고정 노즐(330)과 우측 고정 노즐(340)은 일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좌측 고정 노즐(330)과, 우측 고정 노즐(340)이 일체로 마련됨으로써, 좌측 고정 노즐(330)과, 우측 고정 노즐(340)을 수평하게 정렬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고, 좌측 고정 노즐(330)과, 우측 고정 노즐(340)을 바닥판 커버(600)에 결합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한편, 식기 세척기가 우수한 세정력을 확보하려면, 노즐이 고압의 세척수를 원하는 양만큼 분사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때, 분사되는 세척수의 압력 및 유량은 식기 세척기의 제조 시에 미리 정해질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사용자가 별도의 입력을 통해 결정할 수도 있다.
그러나, 노즐 내부가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경우, 섬프로부터 공급된 세척수가 원하는 압력 또는 유량으로 분사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세척수에 의해 식기로부터 제거된 오물이 세척수와 함께 노즐 내부로 이동한다면, 노즐 유입구(343), 노즐 유로(332) 또는 분사홀(331, 341)들에 오물이 낄 수 있다. 노즐 내부에 잔존하는 오물은, 세척수가 분사홀(331, 341)들을 통해 외부로 분사되는 것을 일부 차단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원하는 압력 또는 유량으로 세척수가 분사되지 않아, 식기 세척기의 세정력이 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식기 세척기가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의 막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6은 노즐의 막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블록도이다.
입력부(500)는 사용자로부터 식기 세척을 위한 세척 코스(예를 들어, 표준 코스, 수동 코스 등), 세척수 온도, 행굼 추가 등의 운전 정보등의 입력을 인가 받을 수 있다. 이렇게 인가받은 입력은 제어부(600)로 전달되어, 입력에 따라 식기 세척기가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500)는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에 막힘이 없는 정상상태에서의 세척수 압력, 세척수 유량, 세척수 궤적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는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에 막힘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후술 하도록 한다.
센서(700)는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에 막힘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제어부(600)로 전달할 수 있다. 센서(700)는 자석을 감지하는 홀 센서(Hall Sensor;710), 압력 센서(720) 또는 비전 센서(Vision Sensor;73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700)를 이용하여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에 막힘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방법에 대하여는 후술하도록 한다.
제어부(6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식기 세척기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순환 펌프(51)를 구동시켜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로부터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세척을 마치고 섬프(100)에 저수된 세척수를 본체(10)의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배수 펌프(52)를 구동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동 장치(420)를 구동시켜 베인(400)이 세척수가 분사되는 방향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 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나아가, 제어부(600)는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의 막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베인(400)이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과 평행한 상태로 선형 왕복 운동하는지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7a 및 7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a 및 7b는 복수의 고정 노즐의 막힘에 따른 베인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는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의 내부가 막힘이 없는 정상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각각의 분사홀(331, 341)에서 동일한 수압을 가지는 세척수가 분사되는 경우, 베인(400)에 가해지는 압력은, 가이드 레일을 중심으로, 좌우측이 모두 동일하다. 따라서 베인(400)은 어느 한쪽에 기울어지지 않고, 분사홀(331, 341)이 배열되는 방향과 평행한 상태로 선형 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
도 7b는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 중 일부가 막힌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도 7b와 같이 6개의 분사홀(331, 341) 중 2개의 분사홀(341)이 막힌 경우, 분사홀(331, 341)마다 분사하는 세척수의 압력 또는 유량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인(400)의 좌측에 가해지는 압력보다 우측에 가해지는 압력이 더 적을 수 있다. 그 결과, 베인(400)이 좌측으로 기울게 된다.
이처럼, 분사홀(331, 341)이 배열되는 방향과 베인(400)이 놓여진 위치가 평행한지, 즉 베인(400)이 어느 한 방향으로 기울었는지 여부를 결정하여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의 막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분사홀(331, 341)이 배열되는 방향과 베인(400)이 놓여진 위치가 평행한지 결정하기 위해, 베인(400) 양 측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자석(800)과 홀 센서(Hall Sensor; 710)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인(400)의 양 단에 자석(800)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베인(400)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할 때, 베인(400)의 양 단이 이동하는 경로 상에 복수의 홀 센서(710)를 마련할 수 있다. 식기 세척기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인(400)의 좌측 끝에 제 1 자석(810)이 마련되고, 베인(400)의 우측 끝에 제 2 자석(820)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 1 자석(810)을 감지하기 위해, 세척조의 바닥판(35) 중 제 1 자석(810)의 이동경로 상에 제 1 홀 센서(711)가 마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자석(820)을 감지하기 위해, 세척조의 바닥판(35) 중 제 2 자석(820)의 이동경로 상에 제 2 홀 센서(712)가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홀 센서(711)와 제 2 홀 센서(712)는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로부터 동일한 거리만큼 떨어져서 마련될 수 있다.
도 8a 내지 8c는 자석 및 홀 센서를 이용하여 베인 양 측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베인(400)이 좌측으로 기울어진 경우를 전제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8a를 참조하면, 베인(400)은 좌측으로 기울어진 채로 세척조(30)의 전방으로 선형 운동한다. 베인(400)의 좌측에는 제 1 자석(810), 우측에는 제 2 자석(820)이 마련된다. 또한 세척조의 바닥판(35)에는 제 1 자석(810)을 감지하는 제 1 홀 센서(711), 제 2 자석(820)을 감지하는 제 2 홀 센서(712)가 마련된다.
도 8b와 같이, 베인(400)이 세척조(30)의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 1 자석(810)이 제 1 홀 센서(711)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베인(400)이 좌측으로 기울어졌기 때문에, 제 1 자석(810)이 제 2 자석(820)보다 먼저 감지된다.
시간이 흘러 베인(400)이 세척조(30)의 전방으로 더 이동하면, 도 8c와 같이, 제 2 자석(820)이 제 2 홀 센서(712)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이처럼, 베인(400)이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우, 제 1 자석(810)이 감지되는 시점과 제 2 자석(820)이 감지되는 시점에는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자석(810)과 제 2 자석(820)이 감지되는 시점이 다르다면, 베인(400)이 어느 한 방향으로 기울어졌음을 의미한다. 이는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이 막혔음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분사홀(331, 341)이 배열되는 방향과 베인(400)이 놓여진 위치가 평행하지 않은 경우,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의 막힘을 해결하기 위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0)는 고압의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의 막힘을 해결하기 위한 고압이란,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 내부에 잔존하는 이물질이 세척수에 의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을 정도의 압력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압력은 식기 세척기 제조 시에 미리 정해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미리 정해질 수도 있다.
고압의 세척수가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 내부로 유입되면, 세척수의 압력에 의해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 내부의 이물질이 세척수와 함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의 막힘을 해결할 수 있다.
도 9는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먼저 복수의 고정 노즐로부터 세척수를 분사한다.(1000) 회전 노즐(311, 313)은 식기 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직접 오물을 제거하나,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은 세척수를 베인(400)으로 분사한다. 베인(400)이 세척수를 식기측으로 반사시켜 오물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베인은 선형 왕복 운동하도록 제어된다.(1010) 베인(400)이 고정된 상태에서 세척수를 반사시키면, 식기 측의 특정 영역에 대하여만 식기 세척이 진행되기 때문이다. 베인(400)은 가이드 레일의 가이드에 의해 세척조(30)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며, 세척조(30)의 전 영역의 세척을 진행할 수 있다.
베인이 선형 왕복 운동 하는 동안, 베인에 마련된 제 1 자석 및 제 2 자석이 제 1 홀 센서 및 제 2 홀 센서에 의해 감지된다.(1020) 이를 위해, 제 1 자석(810)은 베인(400)의 일 단에 마련되고, 제 2 자석(820)은 베인(400)의 타 단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 1 홀 센서(711)는 세척조의 바닥판(35) 중 제 1 자석(810)의 이동경로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홀 센서(712)는 세척조의 바닥판(35) 중 제 2 자석(820)의 이동경로 상에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제 1 홀 센서(711)와 제 2 홀 센서(712)는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로부터 동일한 거리만큼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제 1 홀 센서에 의해 제 1 자석이 감지된 시점을 t1이라 하고 제 2 홀 센서에 의해 제 2 자석이 감지된 시점을 t2라 할 때, t1과 t2가 동일한지 판단한다.(1030) t1과 t2가 동일하다면, 베인(400)이 기울어지지 않고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의 배열방향과 평행한 상태로 선형 왕복 운동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즉,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에서는 원하는 압력으로 원하는 유량만큼의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반면, t1과 t2가 동일하지 않다면, 베인(400)이 어느 한 측으로 기울어져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불균형은, 각 분사홀(331, 341)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압력 또는 유량이 불균일하여 발생한다. 이는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에 막힘이 발생했음을 의미할 수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리 정해진 압력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1040) 이 때, 미리 정해진 압력이란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 내부에 잔존하는 이물질이 세척수에 의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을 정도의 압력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압력은 식기 세척기 제조 시에 미리 정해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미리 정해질 수도 있다.
이 때, 세척수는 1회 또는 복수 회 분사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압력으로 세척수를 분사한 후, 다시 제 1 자석(810) 및 제 2 자석(820)을 감지한다. 제 1 자석(810)과 제 2 자석(820)의 감지 시점이 동일하다면,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의 막힘이 해결된 것이므로 정상적인 식기 세척이 진행될 수 있다. 반면, 아직도 제 1 자석(810)과 제 2 자석(820)의 감지 시점이 다르다면,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의 막힘을 해결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압력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도 9는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의 막힘 여부를 결정하고, 막힘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항상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의 막힘을 해결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압력으로 세척수를 분사한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 막힘이 해결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에게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의 청소가 필요하다고 알릴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이 막힌 것으로 결정되면 미리 정해진 압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고, 다시 노즐 막힘 여부를 결정한다. 이 과정을 반복해도 계속해서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이 막힌 것으로 결정되면, 식기 세척기는 에러를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노즐 청소가 필요함을 알릴 수 있다. 이 때, 노즐 막힘이 결정되는 횟수는 식기 세척기 제조 전에 또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식기 세척기의 에러는 제어부(600)에 의해 모든 구동이 정지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표시부를 통해 에러 화면을 표시하거나, 에러의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a 내지 8c 및 9에서는 베인(400)의 좌측과 우측의 동일한 위치에 제 1 자석(810)과 제 2 자석(820)이 마련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과의 거리가 서로 다르게 제 3 자석(830)과 제 4 자석(840)이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0a 내지 10c는 자석 및 홀 센서를 이용하여 베인(400) 양 측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베인(400)이 좌측으로 기울어진 경우를 전제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a 내지 10c를 참조하면, 제 3 자석(830)은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로부터 먼 쪽, 즉 세척조(30)의 전면에 가깝도록 마련된다. 한편, 제 4 자석(840)은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로부터 가까운 쪽, 즉 세척조(30)의 후면에 가깝도록 마련된다.
도 8a 내지 8c와 같이, 도 10a 내지 10c에서도 제 3 자석(830)이 먼저 감지되고 제 4 자석(840)이 나중에 감지되는 것은 동일하다. 다만, 처음부터 제 3 자석(830)과 제 4 자석(840)이 베인(400) 상에 마련되는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베인(400)의 기울어짐 여부를 판단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베인(400) 상에 마련되는 자석들의 위치가 다를 때,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의 막힘 여부를 결정하여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의 막힘을 해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1은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먼저 복수의 고정 노즐로부터 세척수를 분사한다.(1100) 이에 대응하여, 베인은 선형 왕복 운동하도록 제어된다.(1110)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는 베인(400)에 의해 식기 측으로 반사되어 식기 세척을 진행할 수 있다.
베인이 선형 왕복 운동 하는 동안, 베인에 마련된 제 3 자석 및 제 4 자석이 제 3 홀 센서 및 제 4 홀 센서에 의해 감지된다.(1120) 이를 위해, 제 3 자석(830)은 베인(400)의 일 단에서 세척조(30)의 전면에 가깝도록 마련되고, 제 2 자석(820)은 베인(400)의 타 단에서 세척조(30)의 후면에 가깝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 3 홀 센서(713)는 세척조의 바닥판(35) 중 제 3 자석(830)의 이동경로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4 홀 센서(714)는 세척조의 바닥판(35) 중 제 4 자석(840)의 이동경로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제 3 홀 센서(713)는 도 9의 제 1 홀 센서(711)와 동일한 위치에 마련되고, 제 4 홀 센서(714)는 도 9의 제 2 홀 센서(712)와 동일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제 3 홀 센서에 의해 제 3 자석이 감지된 시점을 t3이라 하고 제 4 홀 센서에 의해 제 4 자석이 감지된 시점을 t4라 할 때, t3과 t4의 차의 절대 값이 미리 정해진 K와 동일한지 판단한다.(1130)
K는 베인(400)이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선형 왕복 운동 할 때, 제 3 자석(830)과 제 4 자석(840)이 감지되는 시점의 차이를 의미한다. 이 때 K는 베인(400)의 이동속도와, 제 3 자석(830) 및 제 4 자석(840)이 마련되는 위치를 고려하여, 미리 결정될 수 있다.
t3과 t4의 차의 절대 값이 미리 정해진 K와 동일하다면, 베인(400)이 기울어지지 않고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의 배열방향과 평행한 상태로 선형 왕복 운동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의 막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반면, t3과 t4의 차의 절대 값이 미리 정해진 K와 동일하지 않다면, 베인(400)이 어느 한 측으로 기울어져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이 막혀 세척수가 정상적으로 분사되지 않고 있음을 의미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복수의 고정 노즐의 막힘을 해결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압력으로 세척수를 분사(1140)하는 것은, 도 9를 통해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
또한, 반복적으로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이 막힌 것으로 결정되면, 에러를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노즐 청소가 필요함을 알리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압력으로 세척수를 분사한 후, 다시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에 막힘이 존재하는지 결정한다. 만약, 다시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에 막힘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막힘을 해결하기 위한 단계로 진입한다.
또한,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에 막힘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베인(400)의 진행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t3이 t4보다 큰지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t3이 t4보다 크다면, 제 3 자석(830)이 제 4 자석(840)보다 나중에 감지되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베인(400)이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과 가까워지는 방향, 즉 세척조(30)의 후면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반면에, t3이 t4보다 작다면, 제 3 자석(830)이 제 4 자석(840)보다 먼저 감지되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베인(400)이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과 멀어지는 방향, 즉 세척조(30)의 전면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1에서는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의 막힘을 해결한 후 베인(400)의 진행방향을 결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먼저 베인(400)의 진행방향을 결정한 후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의 막힘을 해결할 수도 있고, 두 단계가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는 제어부(600)가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의 막힘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베인(400)이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과 평행한 상태로 선형 왕복 운동하는지를 결정하는 경우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세척수의 수압을 감지하여,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의 막힘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
도 12는 압력 센서(720)를 이용하여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의 막힘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에서는 압력 센서(720)가 2개 마련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압력 센서(720)의 수에는 제한이 없다.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에 막힘이 발생하면 분사되는 세척수의 압력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수의 압력을 감지하여,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에 막힘이 없을 때 분사되는 세척수의 압력과 비교하면,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의 막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인(400)에 압력 센서(72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렇게 마련된 압력 센서(720)는 분사되는 세척수의 압력을 감지하고, 이를 기초로 제어부(600)는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의 막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특히 압력 센서(720)는, 베인(400)으로 분사되는 모든 세척수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면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일부 세척수에 대하여만 압력을 감지하는 경우, 모든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의 막힘 여부를 결정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2와 같이, 우측의 분사홀(331)에서 막힘이 발생한 경우, 베인(400) 우측에 마련된 압력 센서(720)에 인가되는 압력을 감지하면, 막힘이 없는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에서 분사되는 압력에 비해 낮게 감지될 수 있다. 이러한 차이를 이용하여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의 막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3은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9와 같이, 복수의 고정 노즐로부터 세척수를 분사한다.(1200) 또한 베인은 선형 왕복 운동하며 세척수를 식기 측으로 반사시킨다.(1210)
이 때, 베인에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압력 센서가 분사되는 세척수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1220) 압력 센서(720)는 분사되는 모든 세척수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면적 및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압력 센서 중 어느 하나에서 감지한 압력을 P1이라 하면, P1이 Pr과 동일한지 판단한다.(1230) 이 때, Pr은 막힘이 없는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압력을 의미한다.
또한, 앞서 언급한 압력 센서가 아닌 다른 압력 센서에서 감지한 압력을 P2라 할 때, P2가 Pr과 동일한지 판단한다. 만약, 압력 센서(720)가 n개 마련되는 경우라면, 모든 압력 센서(720)가 감지한 압력이 Pr과 동일한지 판단한다.
판단의 결과, 복수의 압력 센서(720) 중 어느 하나라도 감지한 압력이 Pr과 같지 않다면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에 막힘이 존재하는 것이므로,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의 막힘을 해결하기 위한 단계를 수행한다.
노즐 막힘을 해결하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압력의 세척수를 분사(1240)하는 것은 앞서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반복적으로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이 막힌 것으로 결정되면, 에러를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노즐 청소가 필요함을 알리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는 달리, 제어부(600)는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 궤적을 기초로,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의 막힘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노즐 막힘에 의해, 세척수의 압력 및 유량이 달라질 수 있고, 또한 분사 궤적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막힘이 없는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 궤적과 다른 궤적을 가지는 세척수가 감지되면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이 막힌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세척수의 분사 궤적을 감지하기 위해서 비전 센서(Vision Sensor;730)가 이용될 수 있으며, 비전 센서(730)는 세척수의 분사 궤적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비전 센서(730)를 이용하여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의 막힘 여부를 결정하고 노즐 막힘을 해소하는 것은, 압력 센서(720)를 이용하는 경우와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되므로 이하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600)는 분사된 세척수의 유량을 기초로,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의 막힘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식기 세척기는 유량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6과는 달리, 센서(700)를 대신하여 복수의 유량계(900)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4는 유량계를 이용하여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의 막힘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노즐의 막힘이 존재하면 분사되는 세척수의 압력 뿐만 아니라 유량에도 변화가 발생한다. 따라서, 노즐 막힘이 존재하지 않을 때의 세척수의 유량과 비교하면 노즐 막힘이 존재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유량계(900)는 각각의 분사홀(331, 341)에 마련될 수 있다. 분사홀(331, 341)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유량을 감지하고, 이를 기초로 제어부(600)는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의 막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유량계(900)를 이용하는 식기 세척기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분사되는 세척수의 유량을 감지할 수 있다면, 유량계(900)가 마련되는 는치는 제한되지 않는다.
도 15는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9 및 13과 같이, 복수의 고정 노즐들로부터 세척수를 분사(1300)하고, 분사된 세척수는 베인에 의해 식기측으로 반사될 수 있다.(1310)
이 때, 유량계(900)는 복수의 고정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의 유량을 감지할 수 있다.(1320) 도 14의 예와 같이, 6개의 분사홀(331, 341) 모두에 유량계(900)가 마련되는 경우, 총 감지되는 유량은 6개가 될 수 있다.
각각의 유량계에서 감지한 유량을 Qn이라 할 때(n은 자연수), Qn과 Qr을 비교한다.(1330) 이 때, Qr은 막힘이 없는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유량을 의미한다.
모든 유량계(900)에서 감지한 유량이 Qr과 동일하다면, 노즐 막힘을 해결하기 위한 단계로 진입하지 않는다.
그러나 어느 하나의 유량계(900)라도 Qr과 다른 유량을 감지했다면, 노즐 막힘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노즐 막힘을 해결하기 위한 단계로 진입할 수 있다.
노즐 막힘을 해결하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압력의 세척수를 분사(1340)하는 것은 앞서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반복적으로 복수의 고정 노즐(330, 340)이 막힌 것으로 결정되면, 에러를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노즐 청소가 필요함을 알리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330: 좌측 고정 노즐
340: 우측 고정 노즐
400: 베인
600: 제어부
700: 센서
710: 홀 센서
720: 압력 센서
730: 비전 센서
800: 자석
900: 유량계

Claims (20)

  1.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의 내부에 마련되고 식기를 수납하도록 마련되는 바스켓;
    상기 세척조의 제 1 방향으로 고정되어 배열되고, 제 2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고정 노즐;
    상기 분사되는 세척수를 상기 바스켓에 수납된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하는 베인(Vane);
    상기 베인의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베인이 제 1 방향과 평행한 상태로,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하는지 결정하고,
    상기 베인이 상기 제 1 방향과 평행한 상태가 아니라면, 상기 복수의 고정 노즐에 막힘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은,
    상기 가이드 레일을 기준으로 양 측에 마련되는 복수의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세척조는,
    상기 복수의 자석을 감지하도록 내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홀 센서(Hall Sensor)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은,
    상기 가이드 레일을 기준으로 일단에 마련되는 제 1 자석; 및
    타단에 마련되는 제 2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세척조는,
    상기 제 1 자석을 감지하는 제 1 홀 센서; 및
    상기 제 1 홀 센서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 2 자석을 감지하는 제 2 홀 센서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자석 각각이 감지되는 시점이 동일하면, 상기 베인이 상기 제 1 방향과 평행한 상태인 것으로 결정하는 식기 세척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석은,
    상기 복수의 고정 노즐과의 거리가 서로 다른 적어도 두 개의 자석을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고정 노즐과의 거리가 서로 다른 적어도 두 개의 자석이 감지되는 시점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값과 동일하면, 상기 베인이 상기 제 1 방향과 평행한 상태인 것으로 결정하는 식기 세척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고정 노즐과의 거리가 서로 다른 적어도 두 개의 자석이 감지되는 순서를 기초로, 상기 베인이 진행하는 방향을 결정하는 식기 세척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베인이 상기 제 1 방향과 평행하지 않으면, 미리 정해진 압력으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상기 복수의 고정 노즐을 제어하는 식기 세척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정 노즐은,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인 상기 제 2 방향으로 상기 세척수를 분사하는 식기 세척기.
  10. 세척조의 제 1 방향으로 고정되어 배열되고, 제 2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고정 노즐; 및 상기 분사되는 세척수를 바스켓에 수납된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하는 베인(Vane)을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베인 양 측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한 위치를 기초로, 상기 베인이 상기 제 1 방향과 평행한 상태로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하는지 결정하고,
    상기 베인이 상기 제 1 방향과 평행한 상태가 아니라면, 상기 복수의 고정 노즐에 막힘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 양 측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상기 세척조 내부에 마련된 복수의 홀 센서(Hall Sensor)에 의해, 상기 베인 양 측에 마련된 복수의 자석을 감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이 상기 제 1 방향과 평행한 상태인지 결정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자석 각각이 동시에 감지되면, 상기 베인이 상기 제 1 방향과 평행한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 양 측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은,
    상기 베인에 마련된 상기 복수의 자석 중 상기 복수의 고정 노즐과의 거리가 서로 다른 적어도 두 개의 자석을 감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이 상기 제 1 방향과 평행한 상태인지 결정하는 것은,
    상기 복수의 고정 노즐과의 거리가 서로 다른 적어도 두 개의 자석이 감지된 시점의 차이가 미리 정해진 값과 동일한지 비교하는 것을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정 노즐과의 거리가 서로 다른 적어도 두 개의 자석이 감지된 순서에 따라 상기 베인이 진행하는 방향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정 노즐에 막힘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복수의 고정 노즐을 통해 미리 정해진 압력으로 상기 세척수를 분사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이 상기 제 1 방향과 평행한 상태인지 결정하는 것은,
    상기 베인이 선형 왕복 운동을 하는 상기 제 2 방향과 수직인 상태인지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18.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의 내부에 마련되고 식기를 수납하도록 마련되는 바스켓;
    상기 세척조에 제 1 방향으로 고정되어 배열되고, 제 2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고정 노즐;
    상기 분사되는 세척수를 상기 바스켓에 수납된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하는 베인(Vane);
    상기 베인의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
    상기 세척수의 수압을 감지하도록 상기 베인에 마련되는 압력 센서; 및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세척수의 수압을 미리 정해진 값과 비교하고,
    상기 세척수의 수압을 기초로 상기 베인이 상기 제 1 방향과 평행한 상태가 아니라면, 상기 복수의 고정 노즐에 막힘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19.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의 내부에 마련되고 식기를 수납하도록 마련되는 바스켓;
    상기 세척조에 제 1 방향으로 고정되어 배열되고, 제 2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고정 노즐;
    상기 분사되는 세척수를 상기 바스켓에 수납된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하는 베인(Vane);
    상기 베인의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
    상기 세척수의 분사 궤적을 감지하도록, 상기 세척조 내부에 마련되는 비전 센서(Vision Sensor); 및
    상기 비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상기 세척수의 분사 궤적과 미리 정해진 궤적을 비교하고,
    상기 분사 궤적을 기초로 상기 베인이 상기 제 1 방향과 평행한 상태가 아니라면, 상기 복수의 고정 노즐에 막힘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20.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의 내부에 마련되고 식기를 수납하도록 마련되는 바스켓;
    상기 세척조에 제 1 방향으로 고정되어 배열되고, 제 2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고정 노즐;
    상기 분사되는 세척수를 상기 바스켓에 수납된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하는 베인(Vane);
    상기 베인의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
    상기 세척수의 유량을 감지하도록 상기 복수의 고정 노즐에 마련되는 복수의 유량계; 및
    상기 유량계에 의해 감지된 상기 세척수의 유량과 미리 정해진 값을 비교하고,
    상기 세척수의 유량을 기초로 상기 베인이 상기 제 1 방향과 평행한 상태가 아니라면, 상기 복수의 고정 노즐에 막힘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KR1020130169376A 2013-12-31 2013-12-31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61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376A KR102061527B1 (ko) 2013-12-31 2013-12-31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EP14199878.1A EP2888984B1 (en) 2013-12-31 2014-12-22 Dish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4/585,400 US9649008B2 (en) 2013-12-31 2014-12-30 Dish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1410849957.3A CN104739343B (zh) 2013-12-31 2014-12-31 洗碗机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376A KR102061527B1 (ko) 2013-12-31 2013-12-31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9270A KR20150079270A (ko) 2015-07-08
KR102061527B1 true KR102061527B1 (ko) 2020-01-02

Family

ID=52144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9376A KR102061527B1 (ko) 2013-12-31 2013-12-31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49008B2 (ko)
EP (1) EP2888984B1 (ko)
KR (1) KR102061527B1 (ko)
CN (1) CN1047393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802B1 (ko) * 2013-12-31 2020-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DE102018206443B4 (de) * 2018-04-26 2022-02-03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schirrspülmaschine
CN108926307A (zh) * 2018-05-31 2018-12-04 上海理工大学 一种碗具清洁装置
US11191416B2 (en) 2019-09-30 2021-12-07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image-based position sensor
US11464389B2 (en) 2019-09-30 2022-10-11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image-based detergent sensing
US11259681B2 (en) 2019-09-30 2022-03-01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image-based diagnostics
US11484183B2 (en) 2019-09-30 2022-11-01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image-based object sensing
US11026559B2 (en) 2019-09-30 2021-06-08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image-based fluid condition sensing
US11399690B2 (en) 2019-09-30 2022-08-02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cam-based position sensor
US11185209B2 (en) 2019-11-20 2021-11-30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steam generator
US11202550B2 (en) 2019-11-20 2021-12-21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thermal imaging system
CN112773291B (zh) * 2021-01-07 2022-04-26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用于洗碗机的控制方法、处理器、控制装置和洗碗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19487A1 (en) * 2012-06-05 2013-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h wash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8309A (ko) * 2002-10-31 2004-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CN1265758C (zh) * 2003-03-14 2006-07-2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餐具清洗机
KR100822467B1 (ko) * 2004-03-16 2008-04-16 아세릭 에이. 에스 식기세척기 및 그의 제어방법
JP2006055473A (ja) * 2004-08-23 2006-03-02 Sanyo Electric Co Ltd 食器洗い機
CN1891136A (zh) * 2005-07-07 2007-01-10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洗碗机及其控制方法
KR20090030988A (ko) * 2007-09-21 2009-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19487A1 (en) * 2012-06-05 2013-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h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649008B2 (en) 2017-05-16
EP2888984A1 (en) 2015-07-01
EP2888984B1 (en) 2017-02-01
US20150182098A1 (en) 2015-07-02
KR20150079270A (ko) 2015-07-08
CN104739343A (zh) 2015-07-01
CN104739343B (zh)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1527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AU2014374695B2 (en) Dish wash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2402029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28283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79269A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46175A (ko) 필터 막힘 감지수단을 갖는 식기 세척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70100304A (ko) 식기 세척기
JP2012029748A (ja) 食器洗い機
JP2012000355A (ja) 食器洗い機
KR20060010361A (ko) 식기 세척기의 탁도 센서 장착 구조
KR20080050836A (ko) 식기세척기
KR102493157B1 (ko) 식기세척기
KR101296003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의 물 공급 장치
JP2010162262A (ja) 食器洗い機
KR20060024597A (ko) 식기세척기의 구조
KR101307590B1 (ko)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KR102058074B1 (ko) 식기세척기
KR100693518B1 (ko) 식기 세척기 섬프의 거품 역류 방지 구조
KR101240787B1 (ko)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KR20060099488A (ko) 식기세척기
KR101213909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547552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78821A (ko) 식기세척기의 세척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척제어방법
KR20050105724A (ko) 식기 세척기의 에어 브레이크 구조
KR20070007556A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