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3802B1 -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3802B1
KR102083802B1 KR1020130169290A KR20130169290A KR102083802B1 KR 102083802 B1 KR102083802 B1 KR 102083802B1 KR 1020130169290 A KR1020130169290 A KR 1020130169290A KR 20130169290 A KR20130169290 A KR 20130169290A KR 102083802 B1 KR102083802 B1 KR 102083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ne
light
unit
washing water
accommod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9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9221A (ko
Inventor
홍승기
이창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9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3802B1/ko
Priority to PCT/KR2014/012962 priority patent/WO2015102333A1/ko
Priority to US15/108,085 priority patent/US10420451B2/en
Priority to CN201480075543.8A priority patent/CN106028896B/zh
Priority to EP14876398.0A priority patent/EP3090674B1/en
Publication of KR20150079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9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6Devices for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different phases of cleaning ; Contro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47L15/4282Arrangements to change or modify spray pattern or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rigidly-mounted spra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9Water recirculation
    • A47L15/4221Arrangements for redirection of washing water, e.g. water diverters to selectively supply the spray a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04Crockery or tableware details, e.g. material, quantity,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10Water cloudiness or dirtiness, e.g. turbidity, foaming or level of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12Water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30Variation of electrical, magnetical or optical quantit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32Vibration or sound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03Water recirculation, e.g. control of distributing valves for redirection of water f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04Water pressure or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20Spray nozzles or spray arms

Abstract

세척수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부;와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분사된 세척수를 반사시키는 베인;과 베인에 반사된 세척수에 의해 세척되는 식기가 수용되는 거치부;와 거치부에 수용된 식기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감지부가 감지한 식기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위치 정보를 기초로 분사부 및 베인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DISHWASH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개시된 발명은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세척실의 내부에 거치된 식기를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는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기는 냉수 또는 온수의 세척수를 고압으로 식기에 분사하여 식기에 묻어 있는 오염물(음식 찌꺼기 등)을 제거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식기 세척기는 세척이 시작되면 세척조 내로 세척수를 급수하고, 급수된 세척수를 식기에 고압으로 분사한다. 이와 같이, 고압으로 분사된 세척수에 의하여 식기 세척기는 식기를 세척한다.
즉, 식기 세척기는 세척수를 식기에 분사하여 세척조 내부에 수용된 식기에 묻어 있는 오염물을 제거한다.
식기 세척실 내부에 식기가 거치된 영역을 검출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을 위한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식기 세척기는 세척수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부;와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분사된 세척수를 반사시키는 베인;과 베인에 반사된 세척수에 의해 세척되는 식기가 수용되는 거치부;와 거치부에 수용된 식기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감지부가 감지한 식기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위치 정보를 기초로 분사부 및 베인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는 베인에 설치되고 광 조사부에서 조사된 광 또는 식기에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광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광 감지부가 감지한 광 조사부에서 조사된 광의 양이 기준 광량 이상인 위치에 식기가 수용된 것으로 위치 정보를 생성하거나, 광 감지부가 감지한 식기에 반사된 광의 양이 기준 광량 이상인 위치에 식기가 수용된 것으로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광 감지부에서 감지된 광의 양에 기초하여 거치부의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이미지와 기준 이미지가 상이한 위치에 식기가 수용된 것으로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감지부는 베인에 설치되고 초음파 조사부에서 조사된 초음파 또는 식기에 반사된 초음파를 감지하는 초음파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초음파 감지부에서 감지된 초음파와 기준 초음파를 비교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베인은 광 또는 초음파를 반사하여 세척조 내부에 설치된 감지부로 전달하는 반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반사부는 입사되는 광 또는 초음파가 감지부를 향해 반사되도록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감지부에서 식기가 수용된 것으로 감지된 때, 베인에 위치에 대응되는 거치부의 위치에 식기가 수용된 것으로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식기 세척기는 세척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측정된 온도 변화에 기초하여 베인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식기 세척기는 세척수의 탁도를 측정하기 위한 탁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세척수의 탁도에 기초하여 베인의 이동을 제어하는 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세척수의 탁도에 따라 식기의 오염도를 판단하고 오염도에 대응하여 베인의 이동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식기가 수용된 위치에 분사된 세척수가 반사되도록 베인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분사부 중 세척수를 분사할 분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은 식기가 수용되는 거치부에 수용된 식기를 감지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부 및 이동 가능하고 분사된 세척수를 반사시키는 베인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여 식기를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베인과 함께 이동하면서 광 또는 초음파를 감지하는 단계;와 감지된 광 또는 초음파에 기초하여 식기의 수용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정보는 식기 수용 여부가 감지된 때, 베인에 대응되는 위치에 식기가 수용된 것으로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베인에 마련된 반사부에 의하여 반사된 광 또는 초음파를 감지하는 단계;와 감지된 광 또는 초음파에 기초하여 식기의 수용 여부를 감지하고, 식기 수용 여부가 감지될 때, 베인에 대응되는 위치에 식기가 수용된 것으로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기를 세척하는 단계는 베인의 위치에 따른 세척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세척수 정보에 기초하여 베인의 이동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세척수 정보는 세척수의 온도 또는 세척수의 탁도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식기를 세척하는 단계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식기가 수용된 위치에 분사된 세척수가 반사되도록 베인이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기를 세척하는 단계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분사부 중 세척수를 분사할 분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여 식기가 수용된 위치에 집중적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하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유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식기 세척기 하단의 분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분사부와 베인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베인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베인의 확대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인 구동부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베인 구동부의 분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인 구동부의 벨트와 벨트 홀더를 상세히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인이 세척수를 반사시키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광을 이용한 식기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초음파를 이용한 식기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인을 이용한 식기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위치 정보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6은 세척수 분사량 조절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7은 도15의 S630단계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하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1)의 전체 구조를 개괄적으로 설명한다.
식기 세척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20)와, 식기를 수용하도록 세척조(20)의 내부에 마련되는 거치부들(12a,12b)과,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부들(30,40,100)과, 세척수를 저수하는 섬프(60)와, 섬프(60)의 세척수를 펌핑하여 분사부들(30,40,100)에 공급하는 순환부(51)와, 섬프(60)의 세척수를 오물과 함께 본체(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부(52)와, 세척조(20)의 내부를 이동하며 세척수를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는 베인(200)과, 베인(200)을 구동시키는 베인 구동부(300)를 포함한다.
세척조(20)는 식기를 출납할 수 있도록 전방이 개구된 대략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세척조(20)의 전방 개구는 도어(1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세척조(20)는 상부벽(21)과, 후벽(22)과, 좌측벽(23)과, 우측벽(24)과, 바닥판(25)을 가질 수 있다.
거치부(12)은 세척조(20) 내부에 마련되며, 세척조(20)의 상측에 마련되는 1 거치부(12a)과 세척조(20) 하측에 마련되는 제2 거치부(12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거치부들(12a,12b)은 세척수가 고이지 않고 통과될 수 있도록 격자 형상의 와이어로 이루어진 와이어 랙일 수 있다.
슬라이더 레일(13a)은 제1 거치부(12a)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슬라이드 레일(13a)과 제2 거치부(12b)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슬라이드 레일(13b)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거치부(12a)은 세척조(20) 내부 상측에 제1 슬라이드 레일(13a)에 의하여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 거치부(12b)은 터브(11) 내부 하측에 제2 슬라이드 레일(13b)에 의하여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제1 거치부(12a)과 제2 거치부(12b)이 세척조(20) 내부에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사용자는 세척조(20)의 전면을 통하여 제1 거치부(12a) 또는 제2 거치부(12b)을 돌출시키고 식기를 제1 거치부(12a) 또는 제2 거치부(12b)에 수납 또는 인출할 수 있다.
식기 세척기(1)는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여 식기를 세척한다. 이를 위해, 식시 세척기에는 복수 개의 분사부들(30, 40, 100)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 세척기(1)는 상부 회전 분사부(30), 중간 회전 분사부(40), 선형 분사부(100)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상부 회전 분사부(30)는 상부 거치부(12a)의 상측에 마련되어, 수압에 의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아래 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부 회전 분사부(30)는 하단에 복수 개의 분사홀(31)를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부 회전 분사부(30)는 복수 개의 분사홀(31)에 통해 세척수를 상부 거치부(12a)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직접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분사홀(31)은 비스듬하게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으며, 분사되는 세척수의 반작용에 의하여 상부 회전 분사부(30)는 회전할 수 있다.
중간 회전 분사부(40)는 상부 거치부(12a)과 하부 거치부(12b)의 사이에 마련되어, 수압에 의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상하 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중간 회전 분사부(40)는 복수 개의 상부 분사홀(41) 및 복수 개의 하부 분사홀(42)을 구비하고 있을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상부 분사홀(41) 또는 복수 개의 상부 분사홀(41)은 비스듬하게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으며, 분사되는 세척수의 반작용에 의하여 중간 회전 분사부(40)는 회전할 수 있다.
선형 분사부(100)는 세척수를 베인(200) 방향으로 분사한다. 이때, 베인(200)에 분사된 세척수는 베인(200)에 의하여 식기 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선형 분사부(100)는 세척조(20)의 어디라도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 분사부(100)는 대략 세척조(20)의 후벽(22)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세척조(20)의 전방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선형 분사부(100)는 복수 개의 선형 분사부(100)을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 분사부(100)은 세척조(20)의 좌측에 배치되는 좌측 선형 분사부(110)와, 세척조(20)의 우측에 배치되는 우측 선형 분사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좌측 선형 분사부(110)는 좌우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고정 분사홀(111, 112, 113)을 구비할 수 있으며, 좌측 선형 분사부(110)에 구비된 고정 분사홀(111, 112, 113)은 세척수를 베인(200)의 좌측 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우측 선형 분사부(120)는 좌우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고정 분사홀(121, 122, 123)을 구비할 수 있으며, 우측 선형 분사부(120)에 구비된 고정 분사홀(121, 122, 123)은 세척수를 베인(200)의 우측 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다.
한편, 도 1, 도 2에서는 선형 분사부(100)가 하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상부 회전 분사부(30) 또는 중간 회전 분사부(40)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베인(200)은 선형 분사부(100)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식기가 수용된 거치부(12)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인(200)은 선형 분사부(100)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상측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즉, 선형 분사부(10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베인(200)에 의해 하부 거치부(12b)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반사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인(200)은 선형 분사부(100)의 복수의 분사홀들(111, 112, 113, 121, 122, 123)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모두 반사시킬 수 있도록 세척조(20)의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즉, 베인(200)의 길이 방향 일단부는 세척조(20)의 좌측벽(23)에 인접하고, 베인(200)의 길이 방향 타단부는 세척조(20)의 우측벽(24)에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베인(200)은 세척조(20)의 하단의 양측에는 베인(200)의 이동 방향을 따라 베인(200)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지지부(25)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지지부(25)에 의하여 베인(200)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베인 구동부(300)는 선형 분사부(10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 방향을 따라 베인(200)을 왕복 운동시킬 수 있다. 즉, 베인(200)은 세척조(2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할 수 있다. 베인 구동부(300)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따라서, 이러한 선형 분사부(100)와 베인(200)을 포함하는 리니어 분사 구조는 사각 지대 없이 세척조(20)의 전 영역을 세척할 수 있다. 즉 회전 분사부(30, 40)의 경우에 회전 반경의 범위 내에만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는 것과는 차별된다.
한편, 이하에서 베인(200)은 세척조(20)의 전방(도어의 방향)과 후벽(22) 사이를 선형으로 왕복 운동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선형 분사부(100)가 구비된 위치에 따라 선형으로 왕복 운동하는 방향은 변경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감지부(400)는 세척조(20) 내에 식기가 수용된 영역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감지부(400)는 세척조(20)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동 가능한 베인(200)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후에 상술하겠으나, 감지부(400a, 400b)는 베인(200)의 상측에 복수 개 구비되어 하부 거치부(12)에 식기가 수용된 위치를 더 정확히 감지할 수 있다. 이때, 감지부(400)는 각종 방법으로 식기의 수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광 또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식기의 수용 여부를 감지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섬프(60)는 회전 분사부(30, 40) 또는 선형 분사부(100)에 의하여 분사된 세척수를 수용한다. 이때, 섬프(60)의 내부에는 수용된 세척수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61) 또는 세척수의 탁도를 감지하기 위한 탁도 센서(62)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순환부(51)는 섬프(60) 내부에 수용된 세척수를 회전 분사부(30, 40) 또는 선형 분사부(100)에 고압으로 공급되고, 고압으로 공급된 세척수는 회전 분사부(30, 40) 또는 선형 분사부(100)를 통하여 식기에 분사되며, 분사된 세척수는 다시 섬프(60)에 수용된다. 이때, 순환부(51)는 세척수를 고압으로 공급하기 위한 순환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척수는 순환부(51)에 의하여 세척조(20) 내부를 순환하면서 식기를 세척하고, 세척, 행굼 등과 같은 각 행정이 종료되면 배수부(61)에 의하여 식기 세척기(1)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배수부(61)는 세척수를 식기 세척기 위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1)의 주요 구성에 대해 이하에서 차례로 상술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유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식기 세척기 하단의 분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분사부와 베인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유로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분배부(70)는 순환부(51)에 의하여 펌핑된 고압의 세척수를 분배할 수 있다. 분배부(70)는 좌측 선형 분사부(110)에 고압의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1 호스(71a), 우측 선형 분사부(120)에 고압의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2 호스(71c), 회전 분사부(30, 40)에 고압의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3호스(71b)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바닥판 커버(80)는 분배부(70)에서 연장된 호스들과 분사부의 세척수 유입구들을 연결하기 위한 복수 개의 연결부(83a, 83b, 83c), 및 복수 개의 분사부들(30, 40, 100) 및 베인 구동부(300)를 체결하기 위한 복수 개의 체결공(84a, 84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체결부재(85)에 의하여 복수 개의 분사부들(30, 40, 100), 베인 구동부(300), 및 바닥판 커버(80)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호스(71a)는 제1 연결부(83c)를 통해 촤측 선형 분사부(100)의 세척수 유입구(115)와 연결되어 촤측 선형 분사부(100)와 분배부(70) 사이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제2 호스(71c)는 제2 연결부(83c)를 통해 우측 선형 분사부(120)의 세척수 유입구(125)와 연결되어 우측 선형 분사부(120)와 분배부(70) 사이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제3 호스(71b)는 제3 연결부(83b)를 통해 회전 분사부(30, 40)와 연결되어, 회전 분사부(30, 40)와 분배부(70) 사이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분사부(30, 40)와, 선형 분사부(100)은 상호 독립적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나아가, 좌측 선형 분사부(110)와, 우측 선형 분사부(120) 역시 상호 독립적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베인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베인의 확대도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선형 분사부(100)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반사하는 베인(2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베인(200)은 레일(310)에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베인(200)은 선형 분사부(100)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반사시키는 세척수 반사부(211)와, 세척수 반사부(211)의 길이 방향 중앙에 마련되는 캡부(212)와, 베인 홀더(230)와 베인(200)이 결합되는 결림홈(405) 포함할 수 있다.
세척수 반사부(211)는 세척수를 반사시키도록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1 반사면 (211a), 및 제2 반사면(211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반사면 (211a)과 제2 반사면(211b)은 서로 다른 경사를 갖고, 길이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반사면(211a)과 제2 반사면(211b)의 경사가 서로 다름으로 베인(200)은 세척수를 다양한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캡부(212)는 베인 홀더(23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213)이 마련되어, 베인(200)과 베인 홀더(230)의 결합 돌기(231)와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결합 돌기부(231)는 측방으로 돌출되는 결합 축부(231a)와, 베인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결합 축부(231a)의 단부에 형성되는 이탈 방지부(231b)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인(200)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는 베인(20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롤러들(220)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롤러들(220)은 세척조(20)의 바닥판(35)에 마련된 지지부(36)와 접촉하여, 베인(200)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베인(200)의 이동을 원할하게 한다.
한편, 베인(200)의 상측에는 감지부(400)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센서부(530)는 거치부(12)에 식기의 수용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인 구동부(550)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베인 구동부(550)의 분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인 구동부(550)의 벨트(320)와 벨트 홀더(240)를 상세히 도시한 확대도이다.
베인 구동부(300)는 베인(200)을 선형 분사부(10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방향에 따라 선형 왕복 시킬 수 있다. 베인 구동부(300)는 베인(200)의 이동을 안내하고 내부 공간을 갖는 레일(310)과 레일(310) 내부에 마련된 벨트(320), 벨트(320)와 연결되어 벨트(320)를 구동시키는 구동 홀더(330)와, 벨트(320)와 연결된 종동 홀더(3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베인(200)과 베인 구동부(300)는 베인 홀더(230)에 의하여 결합할 수 있다.
레일(31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레일(310)은 세척조(20)의 좌측벽(23)과 우측벽(24)을 기준으로 가운데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레일(310)은 대략 하부에 개구가 형성된 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레일(310) 하부의 개구는 레일(310)의 길이 방향 일단부터 타단까지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벨트(320)가 레일(3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벨트(320)가 세척조(20)의 식기에 접촉하여 구동을 방해 받거나 세척조(20)의 세척수에 접촉하여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벨트(320)는 레일(310)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레일(310)의 내측에 마련된 벨트(320)는 종동 홀더(340) 내부에 마련된 종동 폴리(344)와 구동 홀더(330) 내부에 마련된 구동 폴리(333)에 감겨서 폐곡선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폴리(333)와 결합된 모터(335)가 구동되면 모터(335)의 회전 방향에 따라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벨트(320)는 인장 강도와 비용 등을 고려하여 아라미드 섬유를 포함하는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벨트(320)의 내측면에는 벨트(320)의 구동력을 벨트 홀더(240)에 전달하는 치형(321)이 형성될 수 있다.
벨트(320) 홀더(480)는 벨트(320)와 마찬가지로 레일(310)의 내부 공간(441)에 배치되고, 벨트(320)의 치형(521)에 결합되어 벨트(320)와 함께 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벨트(320) 홀더(480)는 벨트(320)의 치형(321)에 결합되는 치형 결합부(241)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벨트 홀더(240)는 레일(310)에 지지되는 레그들(243)을 포함할 수 있다. 레그들(243)은 측방으로 돌출되어 레일(310)의 측벽에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방 레그들(242)과, 하방으로 돌출되어 레일(310)의 하부벽에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레그들(243)을 포함할 수 있다.
측방 레그들(242)은 벨트 홀더(240)의 이동 시에 레일(310)과의 충돌 및 마찰로 인한 소음 및 진동을 저감하고 벨트 홀더(240)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측방 레그들(242)은 일종의 판 스프링 종류의 탄성체일 수 있다. 즉, 측방 레그들(242)은 이완 형상과 압축 형상 사이에서 탄성 변형되는 곡면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벨트 홀더(240)는 베인 홀더(230)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부(244)를 가질 수 있다. 체결부(244)의 하면에는 체결 부재(496)가 삽입되기 위한 홀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베인 홀더(230)는 벨트 홀더(240)에 결합되어 벨트 홀더(240)와 함께 운동하며 벨트 홀더(240)의 구동력을 베인(200)에 전달한다. 베인 홀더(230)는 레일(31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마련된다.
베인 홀더(230)는 레일(310)의 하부 개구를 통해서 벨트 홀더(240)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베인 홀더(230)는 벨트 홀더(240)와의 결합을 위한 홀을 가질 수 있다. 구동 홀더는 구동 폴리를 수용하기 위한 홀더 하우징(331), 벨트와 모터의 회전력에 기초하여 벨트를 회전시키는 모터,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구동 폴리(333)는 구동 홀더(330)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되며, 구동 폴리(333) 하단에는 모터(334)의 구동 샤프트(335)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 받기 위한 샤프트 연결부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모터(334)는 베인(200)을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생성한다. 더 구체적으로, 모터(334)에 의하여 생성된 회전력은 구동 샤프트(335)에 의하여 구동 폴리(333)로 전달되면, 구동 폴리(333)가 회전함에 따라 구동 폴리(333)와 결합된 벨트(330)가 회전한다. 이와 같이 벨트(330)가 회전하면, 벨트(330)와 결합된 벨트 홀더(240) 및 벨트 홀더(240)와 결합된 베인 홀더(230)가 선형으로 운동하게 된다.
이때, 모터(334)는 동 모터(334)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의 양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DC 모터, AC 모터 또는 스텝핑 모터를 채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종동 홀더(340)는 종동 탑 홀더(341)와, 종동 탑 홀더(341)의 하부에 결합되는 종동 바텀 홀더(345)와, 종동 탑 홀더(341)와 종동 바텀 홀더(345)의 사이에 레일(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종동 풀리(34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풀리 브라켓(342)을 포함한다. 이때, 프런트 바텀 홀더(345)는 걸림 구조에 의해 프런트 탑 홀더(341)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프런트 바텀 홀더(345)는 세척조(20)의 바닥판(35)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레일(310)과, 벨트(330)와, 구동 풀리(333)와, 종동 풀리(344)는 벨트(330)의 장력에 의해 상호 조립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인(200)이 세척수를 반사시키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인(200)은 베인 구동부(300)에 의하여 선형 분사부(100)의 세척수 분사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선형 분사부(10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베인(200)에 반사면에 의하여 상부로 반사되어, 하부 거치부(12b)에 수용된 식기에게 분사된다. 이때, 베인(200)은 베인 구동부(300)에 의하여 이동하면서 하부 거치부(12b)에 수용된 식기에 세척수를 고르게 분사할 수 있다.
도 9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9을 참조하면, 식기 세척기(1)는 조작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입력부(510), 식기 세척기(1)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520), 식기를 감지하는 감지부(400), 세척수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센서부(530), 식기 세척기(1)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540), 순환부(51), 분배부(70), 베인 구동부(300), 배수부(52)를 구동하는 구동부(550), 식기 세척기(1)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56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400)는 식기를 감지한다. 더 구체적으로, 감지부(400)는 거치부(12)의 소정 위치에 식기를 감지하고, 이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감지부(400)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부(560)는 식기의 수용 여부를 판단하고 식기의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감지부(400)는 식기 수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장치이면, 적용에 제한을 두지 않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광을 이용하여 식기를 감지하는 광 감지부(411), 초음파를 이용하여 식기를 감지하는 초음파 감지부(421)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감지부(400)는 식기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술한 것과 같이 세척조(20) 내부에서 이동 가능한 베인(200)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 가능한 베인(200)을 이용하여 소정 위치 별로 식기 수용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식기 세척기(1)는 식기 수용 위치를 더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감지부(400)는 베인(200)과 함께 이동하면서 식기의 수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감지부(400)를 상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400)는 베인(2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감지부(400)는 베인 구동부(300)에 의하여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감지부(400)는 상술한 베인 구동부(300)에 의하여 베인(200)과 함께 이동하면서, 세척조(20)의 거치부(12)의 각 위치에 식기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베인(200)에는 복수 개의 감지부(400)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조(20)의 좌측의 식기 수용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제1 감지부(400a) 및 세척조(20)의 우측 식기 수용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제2 감지부(400b)를 구비하고, 거치부(12)의 좌측과 우측의 식기 수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식기 세척기(1)가 복수 개의 감지부(400a, 400b)를 구비함으로써, 식기 세척기(1)는 식기가 수용된 위치를 더 정교하게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감지부(400)는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선형 분사부(100) 각각에 대응하여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8를 참조하면, 좌측 선형 분사부(11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베인(200)에 의해 세척조(20)의 좌측 영역으로만 반사되고, 우측 선형 분사부(12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베인(200)에 의해 세척조(20)의 우측 영역에만 반사될 수 있다. 즉, 식기 세척기(1)는 세척조(20)의 좌측과 우측을 독립적으로 분할 세척할 수 있다.
따라서, 식기 세척기(1)는 세척수의 낭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식기 세척에 소비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좌측 선형 분사부(110)와 우측 선형 분사부(120)가 각각 분할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필요에 따라 더욱 세분하여 분할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감지부(400)는 광을 수광하고, 수광된 광의 양에 따라 식기의 수용 여부를 감지하는 광 감지부(411), 초음파를 수신하고, 수신된 초음파의 크기에 따라 식기의 수용 여부를 감지하는 초음파 감지부(4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0 내지 11을 참조하여 감지부(400)의 구체적인 적용례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광을 이용한 식기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감지부(400)는 광 감지부(411)와 광 조사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광 감지부(411)는 베인(200)에 마련되어, 광을 이용하여 식기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 감지부(411)는 광을 수광하고, 수광된 광의 양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전기적 신호는 제어부(560)에 의하여 해석되어 식기의 위치 정보의 생성에 이용될 수 있다.
이때, 광 감지부(411)는 재료 구성 방식에 따라 단일형 소자로 구성되는 경우와 혼성형 소자로 구성되는 경우로 구분될 수 있다.
단일형 소자로 구성되는 경우는, 광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부분과 전기적 신호를 읽고 처리하는 부분이 단일 소재의 반도체로 구성되거나, 단일 공정으로 제조되는 경우에 해당하며, 예를 들어, 수광 소자인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를 단일하게 이용하는 경우이다.
혼성형 소자로 구성되는 경우는, 광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부분과 전기적 신호를 읽고 처리하는 부분이 각기 다른 소재로 구성되거나, 다른 공정으로 제조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포토다이오드, CCD, CdZnTe 등의 수광 소자를 이용하여 광을 감지하고 CMOS ROIC(Read Out Intergrated Circuit)을 이용하여 전기적 신호를 읽고 처리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400)는 세척조(20)에는 광을 생성하여 조사하는 광 조사부(4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 감지부(411)에서 광을 감지하여 식기의 수용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균일하게 조사되는 광이 필요하다. 이에 감지부(400)는 광 조사부(413)를 더 포함하여, 세척저 내부의 소정의 방향으로 균일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여기서, 광 조사부(413)는 LD(Laser Diode) 또는 LED(Light-Emitting Diode) 등의 반도체 발광 소자 또는 할로겐 램프나 제논 램프 같은 방전 램프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광 조사부(413)는 일정 영역에 균일하게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발광 면적이 넓은 면 광원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조사부(413)는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광 조사부(413)에서 조사되는 광은 소정 파장을 갖는 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조사부(413)에서 조사되는 광은 레이저, 적외선(IR, infrared ray) 또는 가시광선 일 수 있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감지부(411)는 베인 구동부(300)에 의하여 베인(200)과 함께 이동하면서, 식기의 수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광 조사부(413)도 광 감지부(411)와 함께 베인(200)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 감지부(411)와 광 조사부(413)는 베인 구동부(300)에 의하여 베인과 함께 이동하면서, 광 조사부(413)는 거치부(12)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고, 광 감지부(411)는 식기에 의하여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고, 수광된 광의 양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식기가 수용된 위치에서는 광 조사부(413)에서 조사된 광은 식기에 의하여 반사되어 광 감지부(411)에 수광된다. 그러나, 식기가 수용되지 않은 위치에서는 세척조(20) 내부에서 간접적으로 반사된 광만이 입사된다. 즉, 식기의 수용 여부에 따라 광 감지부(411)에서 감지되는 광의 양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560)는 광 감지부(411)의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식기의 수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식기의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60)는 식기가 감지된 때에 베인(200)의 위치와 대응되는 거치부(12) 위치에 식기가 수용된 것으로 식기의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0b에서는 광 조사부(413)가 베인(200)에 위치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광 조사부(413)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세척조 내부에 어디에도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조사부(413)는 도 10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어(11)에 위치하거나, 중간 회전 분사부(40)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광 조사부(413)는 균일한 광을 조사하기 위하여 광의 조사 ?향을 베인(200)의 이동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 10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식기 세척기가 복수 개의 선형 분사부(100a, 100a)와 복수 개의 베인(200a, 200a)을 포함한 경우, 복수 개의 베인(200)이 같이 이동하면서 식기를 감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베인(200a)에는 광 조사부(413)가 마련되고, 제 2베인(200b)에는 광 감지부(411)가 마련되어, 제1 베인(200a)과 제2 베인(200b)이 함께 이동하면서 식기를 감지할 수도 있다.
한편, 광 조사부(413)의 위치에 따라 식기를 감지하는 방법이 상이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회전 분사부(40)에 광 조사부(413)가 위치한 경우와 같이 광 조사부(413)와 광 감지부(411) 사이에 식기가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식기가 수용된 위치에서는 식기에 의하여 광 조사부(413)에서 조사된 광이 반사되어 광 감지부(411)에서는 입사되지 않는다. 그러나, 식기가 수용되지 않은 위치에서는 광 조사부(413)에서 조사된 광이 광 감지부(411)에서 수광된다. 따라서, 제어부(560)는 광 감지부(411)와 광 조사부(413)의 위치에 따라 식기 수용 여부를 달리 판단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초음파를 이용한 식기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감지부(400)는 초음파 생성부(423)와 초음파 감지부(421)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감지부(421)는 베인(200)에 마련되어, 초음파를 이용하여 식기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초음파 감지부(421)는 초음파를 수신하고, 초음파 트랜스듀서를 이용하여 수신된 초음파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초음파 트랜스듀서(transducer)란 소정 형태의 에너지를 다른 형태의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로, 초음파 트랜스듀서는 전기 에너지와 파동 에너지로 변환하거나, 파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를 변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초음파 트랜스듀서는 압전 진동자나 박막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외부의 전원 공급 장치나 또는 내부의 축전 장치, 예를 들어 배터리 등과 같은 전원으로부터 교류 전류가 초음파 트랜스듀서의 압전 진동자나 박막에 인가되면, 인가되는 교류 전류에 따라서 압전 진동자나 박막 등이 소정의 주파수로 진동하고, 진동하는 주파수에 따라 소정 주파수의 초음파가 생성된다. 반대로 소정 주파수의 초음파가 압전 물질이나 박막에 수신되면, 압전 물질이나 박막은 수신된 초음파에 따라 진동하게 된다. 이때, 압전 물질이나 박막은 진동 주파수에 대응하는 주파수의 교류 전류를 출력한다.
여기서, 초음파 트랜스듀서는 예를 들어, 자성체의 자왜효과를 이용하는 자왜 초음파 트랜스듀서(Magnetostrictive Ultrasonic Transducer), 압전 물질의 압전 효과를 이용한 압전 초음파 트랜스듀서(Piezoelectric Ultrasonic Transducer) 및 미세 가공된 수백 또는 수천 개의 박막의 진동을 이용하여 초음파를 송수신하는 정전용량형 미세가공 초음파 트랜스듀서(Capacitive Micromachined Ultrasonic Transducer; cMUT)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초음파 생성부(423)는 초음파를 생성하여 세척조(20)에 조사한다. 구체적으로, 초음파 생성부(423)는 펄스 신호 또는 교류 전류를 진동 에너지로 변환하는 초음파 트랜스듀서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즉, 제어부(560)에 의하여 펄스 신호 또는 교류 전류가 초음파 트랜스듀서에 입력되면, 초음파 트랜스듀서는 펄스 신호 또는 교류 전류에 따라 진동하면서 초음파를 생성하여 세척조(20)에 조사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감지부(421)에 수신되는 초음파는 식기의 유무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진다. 구체적으로, 식기가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식기에 의하여 초음파가 반사되어 초음파 감지부(421)에 수신되나, 식기가 수용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초음파는 반사되지 않고 구형파 형태로 퍼진다. 따라서, 식기의 수용 여부에 따라 초음파 감지부(421)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는 달라진다.
한편, 도 11에서는 초음파 감지부(421)와 초음파 생성부(423)가 베인(200)에 함께 구비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초음파 생성부(423)와 초음파 감지부(421)는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초음파 감지부(421)와 초음파 생성부(423)의 위치에 따라, 제어부(560)는 초음파 감지부(421)에서 감지된 전기적 신호를 달리 해석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다른 실시예로, 감지부(400)는 이동하는 베인(200)에 의하여 반사되는 광 또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식기의 수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인을 이용한 식기 감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인의 사시도이고, 도 12b는 다른 일 실 실시예에 따른 베인의 평면도이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인(200)의 일측에는 광 또는 초음파를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부(260)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반사부(260a)의 재질은 감지부(400)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400)가 광 감지부(411)인 경우, 반사부는 거울과 같이 빛을 잘 반사시킬 수 있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감지부(400)가 초음파 감지부(421)인 경우, 반사부는 음향 임피던스가 높은 재질로 된 물질로 마련되어 입사되는 초음파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반사부(260)는 베인(20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마련될 수 있으며,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입사되는 광 또는 초음파가 감지부(400)를 향하여 반사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반사부(260)는 감지부(400)를 향해 광 또는 초음파가 반사되도록 도 13에 도시된 바와 소정의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감지부(411)는 반사부(260)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반사부(260)에 의하여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고, 수광된 광의 양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도 13에는 광 감지부(411)가 도어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광 감지부(411)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세척조(20) 내부 어디에도 위치할 수 있다. 아울러, 광 감지부(421)의 위치에 따라 반사부(260)의 경사, 반사부(260)의 크기, 반사부(260)의 위치, 반사부(260)의 곡률은 변경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광 조사부(413)는 식기가 수용될 수 있는 거치부의 방향을 향하여 광을 조사할 수 있으며, 베인(200)의 위치에 따라 광 조사부(413)가 조사하는 광의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광 조사부(413)에서 생성된 광이 소정의 방향으로 조사되면, 조사된 방향에 식기가 있는 경우, 식기에 의하여 광이 반사되어 반사부(260)에 입사되고, 감지부(400)는 반사부(260)에 의하여 반사되어 입사된 광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그러나, 광이 조사된 방향에 식기가 없는 경우, 광 조사부(413)에서 조사된 광은 조사된 방향으로 직진하게 됨으로 광 감지부(411)에서는 광이 감지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560)는 광 감지부(411)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식기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광 조사부(413)는 다양한 위치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조사부(413)는 베인(200)에 마련되어, 거치부(12)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거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회전 분사부(40)에 마련되어 광을 조사할 수도 있다. 이때, 광 조사부(413)와 광 감지부(411) 사이에 식기가 수용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식기를 감지하는 방식이 달라질 수 있다.
아울러, 초음파를 감지하여 식기의 수용 여부를 감지하는 초음파 감지부(421) 또한, 상술한 광 감지부(411)와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식기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부(530)는 세척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세척수 정보는 세척수의 온도, 또는 세척수의 탁도 등과 같은 세척수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말한다.
이를 위해, 센서부(530)는 세척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61)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61)는 온도를 측정하는 방법에 따라 접촉 방식과 비접촉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접촉 방식의 온도 센서(61)는 섬프(60)에 수용된 세척수와 직접 접촉하여 세척수와 온도 센서(61)가 열적 평형 상태에 도달한 경우 세척수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 방식의 온도 센서(61)는 유리제온 온도계, 압력식 온도계, 바이메탈식 온도계, 또는 저항식 온도계 중 하나 일 수 있다.
비접촉 방식의 온도 센서(61)는 세척수와 직접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세척수에서 나오는 열 또는 빛을 감지하고, 열 또는 빛과 열 에너지의 관계를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비접촉 방식의 온도 센서(61)는 방사 온도계, 광고온계, 색온도계, 적외선 온도계 중 하나 일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온도 센서(61)는 접속 방식의 온도 센서(61)로, 섬프(60)에 마련되어 섬프(60)에 수용된 세척수와 접촉하여 세척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센서부(530)는 세척수의 탁도를 감지하는 탁도 센서(62)를 포함할 수 있다. 탁도 센서(62)는 세척수의 탁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탁도 센서(62)는 섬프(60)에 수용된 세척수에 빛을 조사하고, 세척수를 통과한 광의 양에 기초하여 세척수의 탁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탁도 센서(62)에서 세척수에 조사하는 빛은 가시광선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온도 센서(61) 및 탁도 센서(62)는 섬프(60)에 내부에 구비되어, 세척수의 온도 및 탁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 및 탁도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560)에 전달할 수 있다.
입력부(510)는 식기 세척기(1)의 본체의 전면에 마련되어, 사용자로부터 식기 세척기(1)에 대한 조작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입력부(510)는, 예를 들어, 조이스틱(joystick), 키보드(keyboard), 키패드(keypad),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트랙볼(tr교류k ball), 마우스, 태블릿(tablet) 등일 수 있다. 이중 어느 하나가 입력부(510)로 이용될 수도 있고, 이들 중 적어도 두 개가 조합되어 입력부(510)를 구성할 수도 있다.
표시부(520)는 식기 세척기(1)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520)는 식기 세척기(1)의 세척 진행 상황, 세척 종료시까지 남은 시간 등과 같은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표시부(520)는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s), OLED(OrganicLight Emitting Diodes), AMOLED(교류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플러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표시부(520)가 터치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현된 경우, 표시부(520)는 입력부(510)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540)는 식기 세척기(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자기 디스크(magnetic disc), 반도체 디스크(solid state disk)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미도시) 뿐만 아니라 식기 세척기(1)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임시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D-램, S-램 등의 휘발성 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550)는 후술할 제어부(56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식기 세척기(1)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을 구동한다. 구체적으로, 구동부(550)는 세척수를 공급하는 순환부(51), 세척수를 분배하는 분배부(70), 세척수를 반사하는 베인(200)을 이동시키는 베인 구동부(300), 세척수를 배출하는 배수부(52)를 구동하는 구동 전류를 생성하는 구동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550)는 베인(200)을 양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베인 구동부(300)를 구동하기 위하여 H-브리지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60)는 식기 세척기(1)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560)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에 해당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도 구현될 수 있음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60)는 조작부(240)를 통하여 입력 받은 사용자의 조작 명령에 따라, 구동부(550)를 제어하여 식기 세척기(1)에 포함된 각 구성의 구동한다. 또한, 제어부(560)는 식기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식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식기가 수용된 위치에 집중적으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식기의 위치 정보는 거치부(12)에서 식기가 수용된 위치를 말한다. 이하, 식기 세척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식기 세척기(1)는 복수의 행정을 복합적으로 수행하여 식기를 세척할 수 있디. 예를 들어, 식기는 위치 정보 생성 행정과, 급수 행정과, 세척 행정과, 배수 행정과, 건조 행정을 통하여 세척될 수 있으며, 제어부(560)는 각 구성을 제어하여 각 행정들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생성 행정에서, 베인(200)은 베인 구동부(300)에 의하여 이동한다. 이때, 감지부(400)는 베인(200)의 이동에 따라 식기를 감지하고,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560)는 감지부(400)에서 식기가 감지된 때, 베인(200)의 위치에 기초하여 식기의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12)에 식기가 수용된 경우, 베인(200)과 감지부(400)는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각 위치의 식기 수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거치부(12)에 수용된 식기는 광 또는 초음파를 반사시킴으로써, 식기가 수용된 위치와 식기가 수용되지 않은 위치에서 감지되는 광 또는 초음파는 서로 다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감지부(400)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식기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60)는 기준 신호와 감지부(400)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비교하여 식기 수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기준 신호는 식기가 수용되지 않은 위치에서 감지부(400)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 또는 식기가 수용된 위치에서 감지부(400)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일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준 신호는 식기가 수용되지 않은 위치에서 감지부(400)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인 것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도 12a와 같이 식기가 수용된 경우, 식기가 수용된 A영역과 B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베인(200)이 위치하는 경우 감지부(400)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는 기준 신호와 상이하다. 이에, 제어부(560)는 제어부(560)는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신호와 감지부(400)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가 상이한 A영역, B 영역에 식기가 위치한 것으로 식기의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위치 정보 생성 행정은 식기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 것으로 식기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어부(560)는 광 감지부(411)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세척조(20) 내부의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이미지와 기준 이미지가 상이한 위치에 식기가 수용된 것으로 식기의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기준 이미지는 식기가 하나도 수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획득된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이를 위해 광 감지부(411)는 복수 개의 픽셀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픽셀은 각각 광을 수광하고, 수광된 광의 양에 따라 전기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급수 행정에서, 급수관(미도시)을 통해 세척조(20) 내부로 세척수가 급수될 수 있다. 세척조(20)에 급수되는 세척수는 세척조(20)의 바닥판(35)의 구배에 의해 세척조(20)의 하부에 마련된 섬프(60)로 유동되고 섬프(60)에 저수될 수 있다.
세척 행정에서, 분사부(30, 40, 10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식기를 타격하며 식기에 묻은 오물을 제거하고, 오물과 함께 낙하하여 다시 섬프(60)에 저수될 수 있다. 순환부(51) 는 섬프(60)에 저수된 세척수를 다시 펌핑하여 순환시킨다. 세척 행정 중에 순환부(51) 는 가동 및 정지를 수차례 반복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세척수와 함께 섬프(60)로 낙하한 오물은 섬프(60)에 장착된 필터에 의해 포집되어 분사부들(30,40,100)로 순환되지 않고 섬프(60)에 남아 있게 된다.
이때, 순환부(51)에 의해 펌핑된 세척수는 분배부(70)를 통해 회전 분사부(30, 40)과, 좌측 선형 분사부(110)과, 우측 선형 분사부(120)로 분배될 수 있다. 이때, 분배부(70)는 복수 개의 호스(71a, 71b, 71c) 중 선택된 호스에만 세척수가 분배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척 행정에서 베인(200)은 베인 구동부(300)에 의하여 선형 이동하면서, 선형 분사부(10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를 식기 방향으로 반사시킨다. 이때, 베인(200)의 이동은 제어부(560)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어부(560)는 식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식기가 수용된 위치에 세척수가 집중적으로 분사되도록 식기가 수용된 위치에서 베인(200)의 이동을 느리게 하고, 식기가 수용되지 않은 위치에서 베인(200)의 이동을 빠르게 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로, 제어부(560)는 식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식기가 수용된 위치에 세척수가 집중적으로 분사되도록 식기가 수용된 위치에서 베인(200)을 정지할 수도 있다.
또한, 분배부(70)는 세척수가 공급할 호스(71a, 71b, 71c)를 제어부(560)의 제어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세척수가 공급될 호스(71a, 71b, 71c)는 식기의 위치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b에 도시된 A영역과 같이 좌측 영역에만 식기가 수용된 경우에는, 우측 선형 분사부(120)에서 분사된 세척수가 베인(200)에 의하여 반사되더라도 식기를 세척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베인(200)이 A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을 때, 우측 선형 분사부(120)에서는 세척수가 분사되지 않도록, 제2 호스(71c)에는 세척수를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세척 행정에서, 제어부(560)는 센서부(530)에서 측정된 세탁수의 정보에 기초하여 베인(20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세탁수의 정보는 세탁수의 온도 또는 세탁수의 탁도 등은 세탁수와 관련된 정보를 말한다.
구체적으로, 세척수는 수용된 식기와 마찰함에 따라 온도가 변화한다. 즉, 열역학 제0 법칙에 따라 세척수의 열이 식기에 전달되고, 세척수는 식기에 전달된 열만큼 열을 손실한다. 이때, 식기의 클수록 세척수가 손실하는 열이 커진다. 따라서, 제어부(560)는 온도 센서(61)에서 검출된 온도에 기초하여 각 위치에 수용된 식기의 크기를 판단하고, 식기의 크기에 비례하여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베인(20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척수의 온도 변화에 따라 베인(200)의 이동을 결정함으로써, 식기 세척기(1)에 수용된 식기를 더 효율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아울러, 세척수의 탁도는 식기의 오염도에 따라 달라진다. 즉, 식기의 오염도가 클수록 식기를 세척한 세척수의 탁도는 증가한다. 따라서. 제어부(560)는 탁도 센서(62)를 이용하여 각 식기의 오염도를 판단할 수 있으며, 식기의 오염도에 비례하여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베인(20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척수의 탁도 변화에 따라 베인(200)의 이동을 결정함으로써, 식기 세척기(1)에 수용된 식기를 더 효율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식기가 수용된 위치에 집중적으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세척수를 분사하는 선형 분사부(100) 및 베인(200)의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세척수를 식기에 집중 분사하여 식기를 효율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식기의 위치 정보에 따라 베인(200)의 이동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식기 세척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식기의 위치 정보에 따라 세척수가 분사되는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세척수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배수 행정에서, 배수부(52)가 가동하여 섬프(60)에 남아 있는 오물과 세척수를 함께 본체(10)의 외부로 배수할 수 있다.
건조 행정에서, 세척조(20)에 장착된 히터(미도시)가 가동되어 식기를 건조할 수 있다.
한편, 식기 세척기는 위치 정보 생성 행정과, 급수 행정과, 세척 행정과, 배수 행정과, 건조 행정을 수행하여 식기를 세척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각 행정은 서로 동시에 진행될 수 있으며, 식기 세척을 위한 추가적인 행정이 추가될 수도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400)는 식기를 감지한다(S610). 이때, 베인(200)은 베인 구동부(300)에 의하여 세척조(20) 내부를 이동하며, 광 또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부(400)는 베인(200)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식기가 수용되어 있는지 감지할 수 있다.
즉, 감지부(4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광 조사부(413)에서 조사된 광, 식기에 의하여 반사된 광, 또는 반사부(260)에 의하여 반사된 광을 수광하고, 수광된 광의 양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거나, 초음파 조사부(423)에서 조사된 광, 식기에 의하여 반사된 초음파, 또는 반사부(260)에 의하여 반사된 초음파를 수신하고, 수신된 초음파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560)는 감지부(400)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식기의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S620). 구체적으로, 제어부(560)는 감지부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가 기준 신호와 상이한 때에, 베인(200)에 대응되는 위치에 식기가 수용된 것으로 판단하여 식기의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인(200)의 이동에 기초하여 식기의 위치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식기의 위치를 더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로, 제어부(560)는 광 감지부(411)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세척조(20) 내부의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이미지와 기준 이미지가 상이한 위치에 식기가 수용된 것으로 식기의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기준 이미지는 식기가 하나도 수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획득된 이미지일 수 있다.
제어부(560)는 식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식기를 세척한다(S630). 제어부(560)는 식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식기가 수용된 위치에 세척수가 집중적으로 분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식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세척수를 분사함으로써, 더 효과적으로 식기를 세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기 세척을 위하여 베인(200)은 전후로 이동하면서 선형 분사부(100)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식기에 반사한다. 이때, 식기의 효율적인 세척을 위하여, 제어부(560)는 센서부(530)를 이용하여 식기의 크기 또는 오염도 등을 감지하고, 식기의 크기와 오염도에 따라 세척수의 분사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 세척수 분사양 조절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6는 세척수 분사양 조절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베인(2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면서 세척수를 소정의 위치로 반사시킨다. 따라서, 각 위치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양은 베인(200)의 이동 속도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도 16를 참조하여, 베인(200)의 이동 속도를 결정하여 세척수 분사양을 조절하는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인(200)은 도어의 방향으로 전진 이동할 수 있다(S621). 이때, 선형 분사부(10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전진 이동하는 베인(200)에 의하여 식기가 수용된 방향으로 반사된다. 이와 같이 식기로 반사된 세척수는 식기에 묻은 오염물과 함께 세척조(20)의 하면으로 떨어져, 섬프(60)로 유입된다.
센서부(530)는 섬프(60) 내부로 유입된 세척수와 관련된 세척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S623). 이때, 세척수 정보는 세척수의 온도 또는 세척수의 탁도 등 일 수 있다.
제어부(560)는 수집된 세척수 정보에 기초하여 베인(200) 이동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S623). 상술한 바와 같이, 식기의 크기에 대응하여 세척수의 온도가 달라질 수 있으며, 식기의 오염도에 따라 세척수의 탁도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560)는 세척수의 온도 변화가 큰 위치에는 큰 식기가 수용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베인(200)의 이동 속도를 비교적 느리게 결정하고, 온도의 변화가 작은 위치에는 작은 식기가 수용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베인(200)의 이동 속도를 비교적 빠르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식기의 오염도에 따라 세척수의 탁도가 달라진다. 따라서, 제어부(560)는 세척수의 탁도 변화가 큰 위치에는 오염도가 높은 식기가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여 베인(200)의 이동 속도를 느리게 결정 할 수 있으며, 세척수의 탁도 변화가 작은 위치에는 오염도가 낮은 식기가 수용된 것으로 판단하여 베인(200)의 이동 속도를 빠르게 결정 할 수 있다.
도 17은 도15의 S630단계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인(200)은 제1 속도로 전진 이동(도어가 마련된 방향)하고(S701), 제어부(560)는 베인(200)에 위치가 식기 수용 위치인지 판단할 수 있다(S703). 이를 위해 식기 세척기(1)는 베인(20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을 마련하고 있을 수 있다.
베인(200)의 위치가 식기 수용 위치인 경우(S703의 예), 제어부(560)는 식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세척수의 분사 위치를 결정하고(S705), 분배부(70)를 제어하여 결정된 위치에서만 세척수가 분사할 수 있다(S707).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A 영역과 같이 좌측에만 식기가 수용되어 영역에 베인(200)이 위치한 경우, 제어부(560)는 좌측 선형 분사부(110)에서만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결정하고, 분배부(70)를 제어하여 좌측 선형 분사부(110)에만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베인(200)의 위치가 식기가 수용된 위치가 아닌 경우(S703 아니요), 제어부(560)는 제2 속도로 베인(200)을 후진 이동시킬 수 있다(S709). 이때, 제2 속도는 제1 속도를 빠른 속도이다. 이때, 제어부(560)는 세척수가 분사되지 않도록 분배부(7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식기가 수용되지 않는 C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베인(200)이 위치한 경우, 식기 세척기(1)는 세척수를 분사하지 않고 제2 속도로 전진할 수 있다. 베인(200)이 식기가 위치하지 않은 위치를 빠른 속도로 이동하기 때문에, 식기 세척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제어부(560)는 베인(200)이 제1 기준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하고(S713), 제 1 기준 위치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S712의 아니오), 제어부(560)는 다시 제1 속도로 베인(200)을 전진 이동시킨다(S701). 이때, 제1 기준 위치는 베인(200)이 전진하여 이동할 수 있는 최종 위치일 수 있다. 다만, 제1 기준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가 수용된 최종 위치인 B와 C의 경계가 제1 기준 위치가 될 수도 있다.
한편, 베인(200)이 제1 기준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도달한 경우(S713의 예), 베인(200)은 제1 속도로 후진 이동(도어가 마련된 반대 방향)하고(S715), 제어부(560)는 베인(200)에 위치가 식기 수용 위치인지 판단할 수 있다(S717).
베인(200)의 위치가 식기 수용 위치인 경우(S717의 예), 제어부(560)는 식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세척수의 분사 위치를 결정하고(S719), 분배부(70)를 제어하여 결정된 위치에서만 세척수가 분사할 수 있다(S721).
한편, 베인(200)의 위치가 식기가 수용된 위치가 아닌 경우(S717의 아니요), 제어부(560)는 제2 속도로 베인(200)을 후진 이동시킬 수 있다(S723). 이때, 제2 속도는 제1 속도를 빠른 속도이다. 이때, 제어부(560)는 세척수가 분사되지 않도록 분배부(7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제어부(560)는 베인(200)이 제2 기준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도달하였는지 판단하고(S727), 베인(200)이 제 2 기준 위치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S727의 아니오), 제어부(560)는 다시 제1 속도로 베인(200)을 후진 이동시킨다(S715). 이때, 제2 기준 위치는 베인(200)이 후진하여 이동할 수 있는 최종 위치일 수 있다. 다만, 제1 기준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베인(200)이 제 2 기준 위치에 도달하면(S727의 예) 종료한다.
1: 식기 세척기 10: 본체
12: 거치부 20: 세척조
30: 상부 회전 분사부 40: 중간 회전 분사부
60: 섬프 70: 분배부
100: 선형 분사부 200: 베인
300: 베인 구동부 400: 감지부
510: 입력부 520: 표시부
530: 센서부 540: 저장부
550: 구동부 560: 제어부

Claims (23)

  1. 세척수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부;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분사된 세척수를 반사시키는 베인;
    상기 베인에 반사된 세척수에 의해 세척되는 식기가 수용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에 수용된 식기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가 감지한 식기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분사부 및 상기 베인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식기가 수용된 위치에 상기 분사된 세척수가 반사되도록 상기 베인의 이동을 제어하는 식기 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베인에 설치되고 광 조사부에서 조사된 광 또는 상기 식기에 반사된 광을 수광하는 광 감지부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 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광 조사부에서 조사된 광의 양이 기준 광량 이상인 위치에 식기가 수용된 것으로 상기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식기 세척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 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식기에 반사된 광의 양이 기준 광량 이상인 위치에 식기가 수용된 것으로 상기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식기 세척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 감지부에서 감지된 광의 양에 기초하여 상기 거치부의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이미지와 기준 이미지가 상이한 위치에 식기가 수용된 것으로 상기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식기 세척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베인에 설치되고 초음파 조사부에서 조사된 초음파 또는 상기 식기에 반사된 초음파를 감지하는 초음파 감지부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음파 감지부에서 감지된 초음파와 기준 초음파를 비교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식기 세척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은,
    광 또는 초음파를 반사하여 세척조 내부에 설치된 상기 감지부로 전달하는 반사부를 더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는,
    입사되는 광 또는 초음파가 상기 감지부를 향해 반사되도록 곡률을 가지는 것인 식기 세척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식기가 수용된 것으로 감지된 때, 상기 베인에 위치에 대응되는 상기 거치부의 위치에 상기 식기가 수용된 것으로 상기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식기 세척기.
  11. 제1항에 있어서,
    세척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온도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베인의 이동을 제어하는 식기 세척기.
  12. 제1항에 있어서,
    세척수의 탁도를 측정하기 위한 탁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척수의 탁도에 기초하여 상기 베인의 이동을 제어하는 식기 세척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척수의 탁도에 따라 상기 식기의 오염도를 판단하고, 상기 오염도에 대응하여 상기 베인의 이동 속도를 결정하는 식기 세척기.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사부 중 세척수를 분사할 분사부를 결정하는 식기 세척기.
  16. 식기가 수용되는 거치부에 수용된 식기를 감지하여, 상기 식기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부 및 이동 가능하고 상기 분사된 세척수를 반사시키는 베인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식기를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식기를 세척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식기가 수용된 위치에 상기 분사된 세척수가 반사되도록 상기 베인이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베인과 함께 이동하면서 광 또는 초음파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광 또는 초음파에 기초하여 상기 식기의 수용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식기 수용 여부가 감지된 때, 상기 베인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식기가 수용된 것으로 생성되는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베인에 마련된 반사부에 의하여 반사된 광 또는 초음파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광 또는 초음파에 기초하여 상기 식기의 수용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식기 수용 여부가 감지될 때, 상기 베인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식기가 수용된 것으로 상기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를 세척하는 단계는,
    상기 베인의 위치에 따른 세척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세척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베인의 이동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정보는 상기 세척수의 온도 또는 상기 세척수의 탁도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인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22. 삭제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를 세척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사부 중 상기 세척수를 분사할 분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의 제어 방법.
KR1020130169290A 2013-12-31 2013-12-31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83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290A KR102083802B1 (ko) 2013-12-31 2013-12-31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PCT/KR2014/012962 WO2015102333A1 (ko) 2013-12-31 2014-12-29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US15/108,085 US10420451B2 (en) 2013-12-31 2014-12-29 Dishwash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201480075543.8A CN106028896B (zh) 2013-12-31 2014-12-29 洗碗机和其控制方法
EP14876398.0A EP3090674B1 (en) 2013-12-31 2014-12-29 Dishwash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290A KR102083802B1 (ko) 2013-12-31 2013-12-31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9221A KR20150079221A (ko) 2015-07-08
KR102083802B1 true KR102083802B1 (ko) 2020-03-03

Family

ID=53493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9290A KR102083802B1 (ko) 2013-12-31 2013-12-31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20451B2 (ko)
EP (1) EP3090674B1 (ko)
KR (1) KR102083802B1 (ko)
CN (1) CN106028896B (ko)
WO (1) WO20151023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300362D0 (en) 2013-01-09 2013-02-20 Reckitt Benckiser Uk Ltd Low cost senor system
US10034595B2 (en) * 2013-11-11 2018-07-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hwash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083802B1 (ko) 2013-12-31 2020-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755162B1 (ko) * 2016-08-12 2017-07-19 신영환 스마트 식기세척장치
KR102622707B1 (ko) * 2016-08-29 2024-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KR102391425B1 (ko) * 2016-09-01 2022-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JP2018102899A (ja) 2016-09-01 2018-07-05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かご位置推定装置、収納物検出装置及び収納物検出方法、並びに食器洗い機
KR102632049B1 (ko) * 2017-01-03 2024-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84467B1 (ko) 2017-08-11 2022-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CN107752937B (zh) * 2017-09-15 2020-02-1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残留物的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处理器及洗碗机
EP3498145A1 (en) * 2017-12-14 2019-06-19 Vestel Elektronik Sanayi ve Ticaret A.S. Spray arm assembly for dishwashing machine, dish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431199B1 (ko) * 2018-02-08 2022-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EP3533374A1 (en) * 2018-03-02 2019-09-04 Vestel Elektronik Sanayi ve Ticaret A.S. Improved dishwashing arrangement and method
CN108533868A (zh) * 2018-06-11 2018-09-14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配水器组件和洗涤电器
CN110811458B (zh) * 2018-08-09 2021-08-24 李亚锐 一种厨房设备
CN110876602B (zh) * 2018-09-06 2021-06-0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洗碗机的控制方法、装置以及洗碗机
KR102595022B1 (ko) * 2018-11-27 2023-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CN111938538A (zh) * 2019-05-15 2020-11-17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碗机及其控制方法
US11058281B2 (en) 2019-06-20 2021-07-13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including rack position sensor to control capture of rack images by a camera
US11026559B2 (en) 2019-09-30 2021-06-08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image-based fluid condition sensing
US11259681B2 (en) 2019-09-30 2022-03-01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image-based diagnostics
US11399690B2 (en) 2019-09-30 2022-08-02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cam-based position sensor
US11484183B2 (en) 2019-09-30 2022-11-01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image-based object sensing
US11191416B2 (en) 2019-09-30 2021-12-07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image-based position sensor
US11464389B2 (en) 2019-09-30 2022-10-11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image-based detergent sensing
CN110811465B (zh) * 2019-11-19 2020-12-0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洗碗机及洗碗机的控制方法
US11202550B2 (en) 2019-11-20 2021-12-21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thermal imaging system
US11185209B2 (en) 2019-11-20 2021-11-30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steam generator
CN110840362A (zh) * 2019-11-25 2020-02-28 广州易帮客环保科技有限公司 新型洗碗机水加热故障自检系统
CN113679317B (zh) * 2020-05-19 2023-01-06 松下家电(中国)有限公司 一种洗碗机清洗餐具方法
KR102196168B1 (ko) * 2020-07-03 2020-12-29 김성재 자동 배수 장치 및 초음파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세척 시스템
CN112716408A (zh) * 2020-12-31 2021-04-30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清洗方法及装置、处理器及清洗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19487A1 (en) * 2012-06-05 2013-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h wash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9100157L (sv) 1991-01-18 1992-07-19 Granuldisk Ab Munstycke till granuldiskmaskin
KR0144159B1 (ko) * 1996-03-27 1998-07-15 배순훈 식기세척기의 세척방법
KR0160245B1 (ko) * 1996-08-27 1998-12-01 강대은 주방용 설거지 장치
JPH1119019A (ja) 1997-07-03 1999-01-26 Sanyo Electric Co Ltd 自動食器洗浄機
CN1552271A (zh) 2003-06-06 2004-12-08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洗碗机上部洗涤水喷洒装置
US7475696B2 (en) * 2003-06-17 2009-01-13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having valved third-level sprayer
US7445013B2 (en) * 2003-06-17 2008-11-04 Whirlpool Corporation Multiple wash zone dishwasher
US20050013307A1 (en) * 2003-07-17 2005-01-20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 for bridging traffic on a PLC LAN segment
KR101269740B1 (ko) * 2006-06-19 2013-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척 노즐 및 이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
US7935194B2 (en) * 2007-08-27 2011-05-03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targeted sensing
US7959744B2 (en) 2007-09-19 2011-06-14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targeted sensing and washing
EP2510863B1 (de) * 2011-04-11 2014-03-26 Chemische Fabrik Dr. Weigert GmbH & Co. KG Geschirrspülmaschine mit variabler Direktbesprühung
KR102061527B1 (ko) * 2013-12-31 2020-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83802B1 (ko) 2013-12-31 2020-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US9585540B2 (en) * 2014-07-02 2017-03-07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ishwasher applian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a dishwasher applian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19487A1 (en) * 2012-06-05 2013-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h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028896A (zh) 2016-10-12
WO2015102333A1 (ko) 2015-07-09
EP3090674A4 (en) 2017-08-23
CN106028896B (zh) 2019-11-15
EP3090674A1 (en) 2016-11-09
US10420451B2 (en) 2019-09-24
KR20150079221A (ko) 2015-07-08
US20160324396A1 (en) 2016-11-10
EP3090674B1 (en) 2019-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3802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US10687683B2 (en) Washing or washing/sterilizing and drying or drying/sterilizing with optional independent sterilization apparatus with robotic arms
US20230233049A1 (en) Dishwasher with image-based diagnostics
KR101902100B1 (ko) 메이크업 브러쉬 세척 및 건조 장치
US20210093155A1 (en) Dishwasher with image-based fluid condition sensing
CN106028897B (zh) 洗碗机和其控制方法
AU2014347388B2 (en) Dishwash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1089937B2 (en) Dishwash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5979844B (zh) 洗碗机和其控制方法
KR20150079398A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70215670A1 (en) Dust sensor, dust measuring apparatus, robot clea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521849B1 (ko) 로봇 청소기
EP3433411B1 (en) Household washing machine
KR20180080039A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8206909A (ja) 食器洗い機
JP2008119152A (ja) 食器洗い機
KR102060142B1 (ko) 세척, 건조, 살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젖병 세척기
CN109561803A (zh) 具有基于超声波的器皿探测功能的洗碗机
JP5056772B2 (ja) 食器洗い機
KR20120073918A (ko) 엔코더를 이용한 비데 노즐 위치 측정 장치
SE1200533A1 (sv) Ångdiskmask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