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5162B1 - 스마트 식기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식기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5162B1
KR101755162B1 KR1020160102821A KR20160102821A KR101755162B1 KR 101755162 B1 KR101755162 B1 KR 101755162B1 KR 1020160102821 A KR1020160102821 A KR 1020160102821A KR 20160102821 A KR20160102821 A KR 20160102821A KR 101755162 B1 KR101755162 B1 KR 101755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nozzle
water
washing
communication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2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영환
Original Assignee
신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환 filed Critical 신영환
Priority to KR1020160102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51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5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5162B1/ko
Priority to PCT/KR2017/008475 priority patent/WO201803072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63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using remote monitoring or controlling of the dishwasher operation, e.g. network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21Regulation of operational steps within the washing processe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from the detergent nature or from the condition of the crocker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6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internal components of the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2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 A47L15/13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irculation and agitation of the cleaning liquid in the cleaning chamber containing a stationary basket using sonic or ultrasonic w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14Water pressure or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03Water recirculation, e.g. control of distributing valves for redirection of water f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05Drain or recirculation pump, e.g. regulation of the pump rotational speed or flow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10Air circulation, e.g. air intake or ven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식기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식기세척장치는, 싱크대의 일측에 제1 통신패드가 형성되는 본체부와, 내측에 식기 또는 세척수를 수용하고,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통신패드와 통신하는 제2 통신패드를 통해 상기 식기 또는 상기 세척수에 대한 수용정보를 전송하고,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받는 수용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통신패드를 통해 상기 수용정보를 수신하여 기 설정된 방향 및 수압으로 상기 세척수를 공급하거나, 기 설정된 방향 및 기압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세척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싱크대 물받이통의 물의 상태를 감지하여 노즐을 가변시켜 세척수의 분무형태나 분무세기를 조절하여 세척 및 건조를 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식기세척장치{SMART DISHWASHER}
본 발명은 스마트 식기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싱크대 물받이통의 물의 상태를 감지하여 노즐을 가변시켜 세척하고, 건조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식기 세척기는 가정에서 설거지를 줄여 여성의 노동력을 줄이는 혁신적인 발명이다. 오늘날 식기 세척기는 접시나 식기를 세제와 함께 수압에 의해 세척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80371호(2015년07월09일 공개)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일 면에 개구가 형성된 세척조, 상기 세척조 내부에 마련되고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 상기 세척조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고 상기 분사 노즐이 분사한 세척수를 반사시키는 반사 모듈 및 상기 반사 모듈이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반사 모듈을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모듈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싱크대와는 별도의 공간에 식기 세척기를 구비해야 한다는 한계가 있으며, 한 번에 여러 식기를 모았다가 사용해야 한다는 점에서 불편함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싱크대 물받이통의 물의 상태를 감지하여 노즐을 가변시켜 세척수의 분무형태나 분무세기를 조절하여 세척 및 건조를 할 수 있으며, 별도의 공간을 사용하지 않고 싱크대를 이용하여 식기세척기를 구현함으로써 부엌공간을 활용할 수 있으며, 세척수의 오염도를 감지하여 세척모드 및 배수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 스마트 식기세척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식기세척장치는, 싱크대의 일측에 제1 통신패드가 형성되는 본체부와, 내측에 식기 또는 세척수를 수용하고,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통신패드와 통신하는 제2 통신패드를 통해 상기 식기 또는 상기 세척수에 대한 수용정보를 전송하고,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받는 수용부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통신패드를 통해 상기 수용정보를 수신하여 기 설정된 방향 및 수압으로 상기 세척수를 공급하거나, 기 설정된 방향 및 기압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세척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 통신패드와 통신하는 상기 제2 통신패드와, 바닥면의 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구개폐부와, 상기 식기 또는 상기 세척수에 의한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부와, 하나 이상의 회전돌기로 구성되어 기 설정된 속도로 회전하면서 상기 세척수에 기 설정된 회전력을 유도하는 회전부와, 상기 수용정보를 상기 제2 통신패드를 통해 전송하고, 세척모드인 경우 상기 회전부를 구동시키고, 배수모드인 경우 상기 식기 또는 상기 세척수에 의한 무게에 따라 상기 세척수의 양을 조절하여 상기 개폐부를 구동시키는 수용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부는 수전으로부터 상기 세척수의 공급을 개폐하는 수전개폐부와, 노즐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노즐구동부와, 팬을 구동시켜 공기를 배출하는 건조부와, 상기 수용정보를 이용하여 세척모드인 경우 상기 노즐의 위치를 가변시키고, 건조모드인 경우 상기 건조부를 구동시키는 세척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구동부는 상기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과, 상기 노즐의 일측에 형성되어 회동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노즐의 타측에 형성되어 회동하는 제2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와 연결되어 제1 구동축과, 상기 제2 지지부와 연결되어 제2 구동축과, 상기 제1 구동축과 연결되어 상기 노즐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구동모터와, 상기 제2 구동축과 연결되어 상기 노즐을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 내부에 안착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바닥면에는 복수의 관통공과, 기 설정된 높이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복수의 배수홈이 형성되어, 상기 식기를 지지하는 거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싱크대 물받이통의 물의 상태를 감지하여 노즐을 가변시켜 세척수의 분무형태나 분무세기를 조절하여 세척 및 건조를 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공간을 사용하지 않고 싱크대를 이용하여 식기세척기를 구현함으로써 부엌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세척수의 오염도를 감지하여 세척모드 및 배수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식기세척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스마트 식기세척장치 중 수용부의 세부 구성도,
도 3은 도2에 따른 수용부의 측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도 1에 따른 스마트 식기세척장치 중 세척부의 세부 구성도,
도 5는 도 4에 따른 세척부 중 노즐구동부의 세부 구성도,
도 6은 도 1에 따른 스마트 식기세척장치 중 수용부에 안착되는 거치부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식기세척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식기세척장치(100)는 본체부(110), 수용부(120) 및 세척부(130)를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싱크대가 형성되고, 내부에 그릇이나 세척수를 수용할 수 있다. 본체부(110)는 금속재로 형성되고, 배수구로 세척수가 흐를 수 있도록 적합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부(110)의 내부에는 수용부(120)가 안착될 수 있다. 본체부(110)에 수용된 수용부(120)는 본체부(110)의 싱크대 일측에 형성된 제1 통신패드(111)와 통신을 한다. 이 경우, 본체부(110)는 제1 통신패드(111)를 통해 수용부(120) 내부에 수용된 식기의 위치, 무게, 세척수의 온도, 무게, pH농도 등을 포함하는 수용정보 수신하여 세척부(130)로 전송한다.
수용부(120)는 내부가 비어있는 바구니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부(110)에 안착된다. 수용부(120)는 내부에 수용된 식기 또는 세척수에 대한 수용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식기의 위치, 무게를 감지하거나, 세척수의 온도, 무게, pH 농도를 포함하는 수용정보를 획득하여 제1 통신패드(111)를 통해 세척부(130)로 전송한다. 수용부(120)는 세척모드, 배수모드, 건조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세척모드는 세척수를 이용하여 수용된 식기를 세척하는 것이고, 배수모드는 세척 후 세척수를 배수구로 배출하는 것이고, 건조모드는 배수 후 식기를 건조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세척부(130)는 본체부(110)의 상부에 형성되어 본체부(110)의 제1 통신패드(111)를 통해 수용부(120)의 수용정보를 수신한다. 세척부(130)는 세척모드, 배수모드, 건조모드로 동작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세척부(130)가 세척모드인 경우 세척수를 공급 또는 차단한다. 세척부(130)는 수용부(120) 내부에 수용된 식기의 무게 및 위치에 따라 공급하는 세척수의 수압, 방향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세척부(130)는 기 설정된 패턴으로 세척수를 공급 및 차단시켜 세척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세척부(130)는 공급되는 세척수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세척부(130)가 배수모드인 경우 세척수의 공급을 차단한다. 이 경우, 세척부(130)는 수용부(120) 내부에 수용된 세척수가 배수구를 통해 배출될 때까지 세척수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세척부(130)는 수용정보를 통해 수용부(120)가 배수모드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세척부(130)가 건조모드인 경우 수용부(120)의 수용정보에 따라 기 설정된 방향 및 기압으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세척부(130)는 세척수의 공급을 차단하고, 팬을 구동시켜 공기를 배출시킨다. 세척부(130)는 수용부(120) 내 식기의 위치에 따라 공기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세척부(130)는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스마트 식기세척장치 중 수용부의 세부 구성도이고, 도 3은 도2에 따른 수용부의 측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수용부(120)는 제2 통신패드(121), 배출구개폐부(122), 무게감지부(123), 회전부(124) 및 수용제어부(125)를 포함한다.
제2 통신패드(121)는 수용부(120)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제1 통신패드(111)와 통신한다. 구체적으로, 제2 통신패드(121)는 수용부(120) 내부에서 감지되는 식기 또는 세척수의 배출구 개폐 여부, 무게, 회전부(124)의 동작여부, 오염도,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수용정보를 제1 통신패드(111)로 전송한다. 제2 통신패드(121)는 제1 통신패드(111)와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통신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적외선 블루투스 통신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통신패드(121)는 제1 통신패드(111)와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1 통신패드(111)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이 중 일부를 무선으로 제2 통신패드(121)를 통해 수용부(120)로 공급할 수 있다. 제2 통신패드(121)와 제1 통신패드(111)는 전자기 유도에 의해 전원을 전송 또는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통신패드(121)를 통해 수신된 전력은 내부의 배터리(도시하지 않음)에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배출구개폐부(122)는 바닥면의 배출구를 개폐한다. 배출구개폐부(122)는 수용부(120)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수용부(120) 내부의 무게가 기 설정치를 초과하면 배출구를 개방시키거나, 세척이 완료되면 배출구를 개방시킬 수 있다. 배출구개폐부(122)는 배출구를 전부 또는 일부만 개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배수를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배출구개폐부(122)는 배출구를 상승시키면서 이격된 공간으로 내부의 세척수를 배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무게감지부(123)는 수용부(120) 내부에 수용된 식기 또는 세척수에 의한 무게를 감지한다. 무게감지부(123)는 압전소자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무게감지부(123)는 세척부(130)에서 공급하는 세척수의 양을 이용하여 수용부(120) 내 식기의 무게를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말해, 식기와 세척수가 모두 수용된 상태에서 세척부(130)로부터 공급된 세척수의 무게를 빼면 식기의 무게를 구할 수 있다. 무게감지부(123)에서 감지된 무게정보는 수용정보에 포함되며, 세척부(130)에서 세척수의 공급량을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회전부(124)는 수용부(120) 내측면에 하나 이상의 회전돌기로 구성되어 기 설정된 속도로 회전하면서 세척수에 기 설정된 회전력을 유도한다. 회전부(124)는 세척수가 기 설정치만큼 수용된 상태에서 구동될 수 있다. 회전부(124)는 회전돌기를 회전시켜 물살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회전부(124)에 의해 식기에 물살이 접촉하면서 식기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수용제어부(125)는 식기 또는 세척수에 대한 수용정보를 제2 통신패드(121)를 통해 전송한다. 또한, 수용제어부(125)는 세척모드, 배수모드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수용제어부(125)는 세척모드인 경우 회전부(124)를 구동시켜 세척수에 회전력을 유도시키게 한다. 이 경우, 회전부(124)의 회전속도, 회전시간은 기 설정된 패턴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수용제어부(125)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세척모드를 진행한 후, 배출구개폐부(122)를 제어하여 배수되는 세척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용부(120) 내 무게에 따라 세척수의 배출량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식기세척장치(100)의 수용부(120)는 오염도감지부(126), 초음파발생부(127), 온도감지부(128) 및 전열부(129)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오염도감지부(126)는 수용부(120) 내부의 세척수의 오염도를 감지한다. 여기서, 세척수의 오염도는 pH 농도, 용존 산소 농도(DO), 그리고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BOD), 화학적 산소 요구량(DOD)을 감지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오염도감지부(126)는 세척수의 오염도를 감지하여 세척의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오염도감지부(126)는 기 설정된 오염설정치를 초과하는 경우 이를 수용제어부(125)에 출력한다. 수용제어부(125)는 수용부(120) 내부 세척수의 오염도가 기 설정치를 초과하면 배출구개폐부(122)를 제어하여 오염된 세척수를 배출시킬 수 있다.
초음파발생부(127)는 수용부(120) 내측면에 형성되어 기 설정된 패턴의 초음파를 발생시킨다. 초음파발생부(127)는 회전부(124)와 별개로 동작하여 세척수에 초음파 진동을 유도시켜 식기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초음파발생부(127)는 회전부(124)와 동시 또는 이시에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용제어부(125)는 세척모드인 경우 회전부(124)와 초음파발생부(127)를 제어할 수 있다.
온도감지부(128)는 수용부(12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온도감지부(128)는 수용부(120) 내부의 세척수의 온도를 감지한다. 세척수의 온도에 따라 세척력이 달라지기 때문에 세척수가 기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이러한 온도정보는 세척부(130)로 전송되어 새롭게 공급되는 세척수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전열부(129)는 수용부(120)의 내부에 형성되어 수용부(120)를 가열한다. 전열부(129)는 식기의 세척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가열시켜 세척수의 온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전열부(129)는 발열체 성분으로 기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는 가열되지 않는 성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화상을 입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스마트 식기세척장치 중 세척부의 세부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세척부 중 노즐구동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세척부(130)는 수전개폐부(131), 노즐구동부(132), 건조부(133) 및 세척제어부(134)를 포함한다.
수전개폐부(131)는 수전으로부터 세척수의 공급을 개폐한다. 수전개폐부(131)는 전기식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수동으로 동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수전개폐부(131)는 수도관과 연결되어 세척수의 공급을 허용하거나 차단하고, 온수 또는 냉수의 공급을 차단한다.
노즐구동부(132)는 노즐(132-1)의 위치를 가변시킨다. 노즐구동부(132)는 노즐(132-1)을 평면상에서 x축, y축으로 가변시킬 수 있다. 노즐구동부(132)의 세척수의 양, 세기,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구동부(132)는 노즐(132-1), 제1 지지부(132-21), 제2 지지부(132-22), 제1 구동축(132-31), 제2 구동축(132-32), 제1 구동모터(132-41) 및 제2 구동모터(132-42)를 포함한다.
노즐(132-1)은 수전개폐부(131)를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를 분사한다. 노즐(132-1)은 후술하는 제1 지지부(132-21), 제2 지지부(132-22)에 의해 각도가 조절된다. 또한, 노즐(132-1)은 후술하는 세척제어부(134)에 의해 세척수의 배출세기, 온도 등이 제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노즐(132-1)은 세척수노즐(132-11) 및 건조노즐(132-12)을 포함할 수 있다. 세척수노즐(132-11)은 세척수가 분사되는 노즐(132-1)을 의미하고, 건조노즐(132-12)은 건조를 이한 공기가 분사되는 노즐을 의미한다. 또한, 세제노즐(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세제노즐은 세척을 위한 세제를 분사할 수 있다.
제1 지지부(132-21)는 노즐(132-1)의 일측에 형성되어 회동한다. 이는 노즐(132-1)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하게 하기 위함이다. 제1 지지부(132-21)는 일단이 노즐(132-1)의 일측과 연결되고, 타단이 후술하는 제1 구동축(132-31)이 연결될 수 있도록 장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지지부(132-21)의 타단에 장홈이 형성되는 것은 노즐(132-1)이 제1 방향과 수직인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움직임이 용이하도록 공간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 방향이 x축 방향이면, 제2 방향은 y축 방향을 의미한다.
제2 지지부(132-22)는 노즐(132-1)의 타측에 형성되어 회동한다. 이는 노즐(132-1)을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하게 하기 위함이다. 제2 지지부(132-22)는 일단이 노즐(132-1)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단이 후술하는 제2 구동축(132-32)이 연결될 수 있도록 장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지지부(132-22)의 타단에 장홈이 형성되는 것은 노즐(132-1)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움직임이 용이하도록 공간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제1 구동축(132-31)은 일단이 제1 지지부(132-21)와 연결되고 타단이 후술하는 제1 구동모터(132-41)의 출력단과 연결된다. 제1 구동축(132-31)은 제1 구동모터(132-41)의 출력에 의해 노즐(132-1)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1 지지부(132-21)를 당기거나 미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제1 구동축(132-31)과 제1 구동모터(132-41)는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노즐(132-1)의 위치 및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제2 구동축(132-32)은 일단이 제2 지지부(132-22)와 연결되고 타단이 후술하는 제2 구동모터(132-42)의 출력단과 연결된다. 제2 구동축(132-32)은 제2 구동모터(132-42)의 출력에 의해 노즐(132-1)을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2 지지부(132-22)를 당기거나 미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제2 구동축(132-32)과 제2 구동모터(132-42)는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노즐(132-1)의 위치 및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제1 구동모터(132-41)는 제1 구동축(132-31)과 연결되어 노즐(132-1)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경우, 제1 구동모터(132-41)와 제1 구동축(132-31)은 회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구동모터(132-41)는 전기에 의해 구동되며, AC 또는 DC 전원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제1 구동모터(132-41)의 출력은 사용자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제1 구동모터(132-41)를 액추에이터와 같은 형태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구동모터(132-42)는 제2 구동축(132-32)과 연결되어 노즐(132-1)을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경우, 제2 구동모터(132-42)와 제2 구동축(132-32)은 회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구동모터(132-42)는 전기에 의해 구동되며, AC 또는 DC 전원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제2 구동모터(132-42)의 출력은 사용자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제2 구동모터(132-42)를 액추에이터와 같은 형태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세척부(130)는 건조부(133)를 포함한다. 건조부(133)는 팬을 구동시켜 기 설정된 온도와 기압의 공기를 배출한다. 건조부(133)는 세척부(130)가 건조모드인 경우에 동작하는 것으로, 팬을 구동시켜 도 5의 건조노즐(132-12)을 통해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건조부(133)는 수용부(120)에 수용된 식기의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건조부(133)는 열풍을 이용하여 식기의 물기를 증발시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건조부(133)는 기 설정된 분사압으로 식기의 물기를 털어내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건조부(133)는 내부에 전열기능 또는 냉각기능을 하는 열교환기(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세척제어부(134)는 세척부(1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로직이 저장된 회로기판이다. 세척제어부(134)는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제1 통신패드(111) 또는 제2 통신패드(121)와 통신할 수 있다. 세척제어부(134)는 수용부(120)의 식기 또는 세척수에 대한 수용정보를 이용하여 세척모드인 경우 노즐(132-1)의 위치를 가변시키면서 세척수의 공급을 제어한다. 세척제어부(134)는 건조모드인 경우 건조부(133)를 구동시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세척제어부(134)는 배수모드인 경우 세척수의 공급 및 공기의 배출을 차단할 수 있다. 세척제어부(134)는 수용정보에 따라 세척모드, 건조모드, 배수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세척부(130)는 접근감지부(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근감지부(135)는 조도센서 또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접근감지부(135)는 세척제어부(134)가 세척모드 또는 건조모드로 동작시키도록 하기 위해 수용부(120)의 접근상태 또는 식기의 수용상태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접근감지부(135)를 통해 수용부(120)의 식기가 수용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세척제어부(134)는 세척모드로 동작하여 세척수를 공급하여 식기를 세척하도록 한다. 또한, 접근감지부(135)를 통해 수용부(120)의 식기가 수용되지 않은 경우 세척ㅈ어부는 세척수의 공급 및 공기의 배출을 차단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따른 스마트 식기세척장치 중 수용부에 안착되는 거치부의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스마트 식기세척장치(100)는 거치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거치부(140)는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형성되어, 수용부(120)에 안착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거치부(140)는 식기를 기 설정된 각도로 정렬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예를 들어, 거치부(140)의 바닥면에는 복수의 관통공(141)이 형성되어 배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거치부(140)의 바닥면에는 기 설정된 높이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부(142)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42)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부(142)의 위치 및 배열은 사용자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돌출부(142)는 식기를 기 설정된 각도로 배열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거치부(140)의 측면에는 복수의 배수홈(143)이 형성될 수 있다. 배수홈(143)은 바닥면이 수용부(120)에 의해 막혀진 경우 세척수가 넘치는 경우 측면으로 배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배수홈(143)은 세로 방향으로 복수 개의 장공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사용자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0 : 스마트 식기세척장치
110 : 본체부
111 : 제1 통신패드
120 : 수용부
121 : 제2 통신패드
122 : 배출구개폐부
123 : 무게감지부
124 : 회전부
125 : 수용제어부
126 : 오염도감지부
127 : 초음파발생부
128 : 온도감지부
129 : 전열부
130 : 세척부
131 : 수전개폐부
132 : 노즐구동부
132-1 : 노즐
132-11 : 세척수노즐
132-12 : 건조노즐
132-21 : 제1 지지부
132-22 : 제2 지지부
132-31 : 제1 구동축
132-32 : 제2 구동축
132-41 : 제1 구동모터
132-42 : 제2 구동모터
133 : 건조부
134 : 세척제어부
135 : 접근감지부
140 : 거치부
141 : 관통공
142 : 돌출부
143 : 배수홈

Claims (5)

  1. 싱크대의 일측에 제1 통신패드가 형성되는 본체부;
    내측에 식기 또는 세척수를 수용하고,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통신패드와 통신하는 제2 통신패드를 통해 상기 식기 또는 상기 세척수에 대한 수용정보를 전송하고,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받는 수용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통신패드를 통해 상기 수용정보를 수신하여 기 설정된 방향 및 수압으로 상기 세척수를 공급하거나, 기 설정된 방향 및 기압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세척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 통신패드와 통신하는 상기 제2 통신패드와, 바닥면의 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구개폐부와, 상기 식기 또는 상기 세척수에 의한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부와, 하나 이상의 회전돌기로 구성되어 기 설정된 속도로 회전하면서 상기 세척수에 기 설정된 회전력을 유도하는 회전부와, 상기 수용정보를 상기 제2 통신패드를 통해 전송하고, 세척모드인 경우 상기 회전부를 구동시키고, 배수모드인 경우 상기 식기 또는 상기 세척수에 의한 무게에 따라 상기 세척수의 양을 조절하여 상기 배출구개폐부를 구동시키는 수용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식기세척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수전으로부터 상기 세척수의 공급을 개폐하는 수전개폐부;
    노즐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노즐구동부;
    팬을 구동시켜 공기를 배출하는 건조부; 및
    상기 수용정보를 이용하여 세척모드인 경우 상기 노즐의 위치를 가변시키고, 건조모드인 경우 상기 건조부를 구동시키는 세척제어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식기세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구동부는,
    상기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
    상기 노즐의 일측에 형성되어 회동하는 제1 지지부;
    상기 노즐의 타측에 형성되어 회동하는 제2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와 연결되어 제1 구동축;
    상기 제2 지지부와 연결되어 제2 구동축;
    상기 제1 구동축과 연결되어 상기 노즐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구동모터; 및
    상기 제2 구동축과 연결되어 상기 노즐을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스마트 식기세척장치.
  5.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내부에 안착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바닥면에는 복수의 관통공과, 기 설정된 높이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복수의 배수홈이 형성되어, 상기 식기를 지지하는 거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기 설정된 패턴의 초음파를 발생하여 상기 식기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초음파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식기세척장치.
KR1020160102821A 2016-08-12 2016-08-12 스마트 식기세척장치 KR101755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821A KR101755162B1 (ko) 2016-08-12 2016-08-12 스마트 식기세척장치
PCT/KR2017/008475 WO2018030723A1 (ko) 2016-08-12 2017-08-05 스마트 식기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821A KR101755162B1 (ko) 2016-08-12 2016-08-12 스마트 식기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5162B1 true KR101755162B1 (ko) 2017-07-19

Family

ID=59427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2821A KR101755162B1 (ko) 2016-08-12 2016-08-12 스마트 식기세척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55162B1 (ko)
WO (1) WO201803072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5676B1 (ko) * 2017-11-16 2018-04-04 신영환 가정용 자동식기세척장치
KR20230157635A (ko) * 2022-05-10 2023-11-17 하현일 상하 이동이 가능한 식기세척기
KR20230157643A (ko) * 2022-05-10 2023-11-17 하현일 살균 및 건조기능이 부가된 식기세척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9362A (ja) * 1999-03-31 2000-10-10 Hitachi Maxell Ltd 食器洗浄機、処理装置及び処理システム
KR200220950Y1 (ko) * 2000-11-16 2001-04-16 정승욱 싱크대용 초음파 세척기
JP2006132097A (ja) * 2004-11-02 2006-05-25 Inax Corp 吐水制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29832B2 (ja) * 2004-07-21 2010-03-10 株式会社サトー 食器洗い乾燥機および食器洗い乾燥方法並びに食器洗い乾燥システム
KR102083802B1 (ko) * 2013-12-31 2020-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9362A (ja) * 1999-03-31 2000-10-10 Hitachi Maxell Ltd 食器洗浄機、処理装置及び処理システム
KR200220950Y1 (ko) * 2000-11-16 2001-04-16 정승욱 싱크대용 초음파 세척기
JP2006132097A (ja) * 2004-11-02 2006-05-25 Inax Corp 吐水制御システ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5676B1 (ko) * 2017-11-16 2018-04-04 신영환 가정용 자동식기세척장치
WO2019098441A1 (ko) * 2017-11-16 2019-05-23 신영환 가정용 자동식기세척장치
KR20230157635A (ko) * 2022-05-10 2023-11-17 하현일 상하 이동이 가능한 식기세척기
KR20230157643A (ko) * 2022-05-10 2023-11-17 하현일 살균 및 건조기능이 부가된 식기세척기
KR102712737B1 (ko) * 2022-05-10 2024-09-30 하현일 살균 및 건조기능이 부가된 식기세척기
KR102717948B1 (ko) * 2022-05-10 2024-10-15 하현일 상하 이동이 가능한 식기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30723A1 (ko) 2018-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73534A1 (en) Washing or washing/sterilizing and drying or drying/sterilizing with optional independent sterilization apparatus with robotic arms
KR101755162B1 (ko) 스마트 식기세척장치
US20080060689A1 (en) Washing apparatus for an electric shaver
KR101366262B1 (ko)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KR102359482B1 (ko) 초음파 식기 세척기
US7614409B2 (en) Dishwasher
KR20080007189A (ko) 스팀 로봇청소기
EP2764815B1 (en) Dishwash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7677239B2 (en) Kitchen-range, an oven and a self-cleaning assembly
JP6868768B2 (ja) 食器洗い機
JP2007289234A (ja) 流し台組込み型水切り乾燥装置
JP6913855B2 (ja) 食器洗い機
KR100722017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JP2949170B2 (ja) 食器洗浄装置
JP2007185221A (ja) 乾燥装置
JP4802212B2 (ja) 食器乾燥機
US20060054197A1 (en) Dishwasher
JP3757346B2 (ja) 食器洗浄機
JP6906142B2 (ja) 食器洗い機
JP2002065571A (ja) 食器洗い乾燥機
KR102355076B1 (ko) 자동화 초음파 살균 세척기
KR101845676B1 (ko) 가정용 자동식기세척장치
JPS6211565Y2 (ko)
JP5763318B2 (ja) 食器洗浄機
KR20240023878A (ko)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