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2049B1 -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2049B1
KR102632049B1 KR1020170000918A KR20170000918A KR102632049B1 KR 102632049 B1 KR102632049 B1 KR 102632049B1 KR 1020170000918 A KR1020170000918 A KR 1020170000918A KR 20170000918 A KR20170000918 A KR 20170000918A KR 102632049 B1 KR102632049 B1 KR 102632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identifier
dishes
door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0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0039A (ko
Inventor
정민경
강유진
이인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0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049B1/ko
Priority to US16/475,936 priority patent/US11497378B2/en
Priority to EP17890488.4A priority patent/EP3545810B1/en
Priority to PCT/KR2017/012072 priority patent/WO2018128258A1/ko
Priority to CN201780087796.0A priority patent/CN110352030A/zh
Publication of KR20180080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0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95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the condition of the crockery or tableware, e.g. nature or quant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21Regulation of operational steps within the washing processe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from the detergent nature or from the condition of the crockery
    • A47L15/0031Water discharge ph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47Energy or water consumption, e.g. by saving energy or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rigidly-mounted spra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1Baskets, e.g. for conveyor-type, in-sink type or hood-type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04Crockery or tableware details, e.g. material, quantity,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26Loading door status, e.g. door latch opened or closed stat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30Variation of electrical, magnetical or optical quantit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02Water discharge, e.g. opening or closure of discharge valv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20Spray nozzles or spray arms

Abstract

식기 세척기는 도어 식별자가 부착된 도어, 도어에 의해 전방 개구가 개폐되는 세척조가 내부에 마련되는 본체, 세척조 내부에 출입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식기를 수납하고 바스켓 식별자가 부착된 바스켓, 바스켓 식별자와 도어 식별자를 감지하는 감지부,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노즐, 세척조 내부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반사시키는 베인, 베인을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바스켓의 식기 수납 영역 별로 세척이 수행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제어부는 식기가 수납된 식기 수납 영역을 판단하고, 식기가 수납된 식기 수납 영역이 세척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DISH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식기가 있는 영역을 선별하여 세척함으로써 세척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기 세척기는 내부에 세척조가 마련되는 본체와, 식기를 수납하는 바스켓과, 세척수를 저수하는 섬프와,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과, 섬프의 세척수를 노즐로 공급하는 순환 펌프를 구비하고, 식기에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여 식기를 세척하는 가전 기기이다.
식기 세척기가 세척, 헹굼 등의 공정을 신속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식기가 수납된 영역과 없는 영역이 구분되어 식기가 수납된 영역에 대해서 세척, 헹굼 등의 공정이 수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식기 세척기는 식기가 수납되지 않은 영역에 대해서도 세척, 헹굼 등을 공정을 수행하였으며, 식기의 수납이 감지되더라도 식기의 수납 위치가 감지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모든 영역에 대해 공정을 수행함에 따라 따라 세척 시간이 길어지고 세척력이 감소하였다. 따라서, 이를 해소하기 위한 적절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요구된다.
개시된 실시예는 식기가 수납된 영역을 검출하고, 식기가 수납된 영역에 대해 세척수를 공급하는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측면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도어 식별자가 부착된 도어; 도어에 의해 전방 개구가 개폐되는 세척조가 내부에 마련되는 본체; 세척조 내부에 출입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식기를 수납하고 바스켓 식별자가 부착된 바스켓; 바스켓 식별자와 도어 식별자를 감지하는 감지부;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노즐; 세척조 내부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반사시키는 베인; 베인을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바스켓의 식기 수납 영역 별로 세척이 수행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제어부는 식기가 수납된 식기 수납 영역을 판단하고, 식기가 수납된 식기 수납 영역이 세척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한다.
바스켓 식별자와 도어 식별자는 각각 제어부에 의해 구분되는 색상 또는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바스켓 식별자는 바스켓의 전방에 마련되고, 도어 식별자는 도어 내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감지부는 본체 상단에 마련되어 본체의 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바스켓 식별자의 위치 정보와 도어 식별자가 가려지는 일부분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도어 식별자가 가려지는 일부분의 위치 정보는 도어의 일단으로부터 도어 식별자가 가려지는 일부분까지의 x좌표를 포함하고, 바스켓 식별자의 위치 정보는 세척조의 전방 개구로부터 바스켓 식별자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y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식별자의 위치 정보는 도어 식별자가 가려지는 일부분의 너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스켓은 네 개의 식기 수납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식기가 수납된 복수개의 식기 수납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식기 세척기는 세척수가 저수된 섬프; 및 복수개의 노즐에 섬프에 저수된 세척수를 공급하는 분배 장치를 더 포함하되, 구동부는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분배 장치를 구동시키고, 제어부는 복수개의 노즐 중 식기가 수납된 식기 수납 영역에 대응하는 노즐이 세척수를 식기가 수납된 식기 수납 영역에 분사하도록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복수개의 노즐은 세척조의 하부 일측에 고정되고, 베인은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복수개의 노즐의 세척수 분사 방향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바스켓은 상부 바스켓과 하부 바스켓을 포함하고, 상부 바스켓과 하부 바스켓에는 상호 구분되는 바스켓 식별자가 각각 부착되고, 감지부는 상부 바스켓의 바스켓 식별자와 하부 바스켓의 바스켓 식별자를 감지하고, 제어부는 상부 바스켓의 바스켓 식별자에 대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부 바스켓의 반출 또는 반입을 판단하고, 하부 바스켓의 바스켓 식별자에 대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하부 바스켓의 반출 또는 반입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는 바스켓이 세척조에 반입되는 경우 식기 수납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복수개의 노즐, 복수개의 노즐로부터 분사된 세척수를 반사시키는 베인, 및 베인을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은 식기를 수납하는 바스켓에 부착된 바스켓 식별자를 감지하는 단계; 도어에 부착된 도어 식별자를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하는 단계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바스켓의 식기 수납 영역 별로 세척이 수행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식기가 수납된 식기 수납 영역을 판단하는 단계, 및 식기가 수납된 식기 수납 영역이 세척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식기가 수납된 식기 수납 영역을 판단하는 단계는,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바스켓 식별자의 위치 정보와 도어 식별자가 가려지는 일부분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바스켓 식별자의 위치 정보와 일부분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식기가 수납된 식기 수납 영역을 판단하되, 도어 식별자가 가려지는 일부분의 위치 정보는 도어의 일단으로부터 도어 식별자가 가려지는 일부분까지의 x좌표를 포함하고, 바스켓 식별자의 위치 정보는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세척조의 전방 개구로부터 바스켓 식별자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y좌표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식별자의 위치 정보는 도어 식별자가 가려지는 일부분의 너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스켓은 상부 바스켓과 하부 바스켓을 포함하고, 도어 식별자를 감지하는 단계 이전에, 상부 바스켓의 바스켓 식별자에 대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부 바스켓의 반출 또는 반입을 판단하고, 하부 바스켓의 바스켓 식별자에 대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하부 바스켓의 반출 또는 반입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은 도어 식별자를 감지하는 단계 이전에, 바스켓이 반입되는 것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스켓 식별자와 도어 식별자는 각각 제어부에 의해 구분되는 색상 또는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식기 세척기는 복수개의 노즐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분배 장치를 더 포함하고, 식기가 수납된 식기 수납 영역이 세척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복수개의 노즐 중 식기가 수납된 식기 수납 영역에 대응하는 노즐이 세척수를 식기가 수납된 식기 수납 영역에 분사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고, 구동부가 분배 장치를 구동하여 식기가 수납된 식기 수납 영역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식기 세척기는 식기 세척기의 본체 상단에 마련되어 본체의 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바스켓 식별자를 감지하는 단계는 카메라가 바스켓 식별자를 감지하고, 도어 식별자를 감지하는 단계는 카메라가 도어 식별자를 감지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식기가 수납된 영역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세척수가 공급됨에 따라, 식기의 세척력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식기가 수납된 영역에 대해서 선별적으로 세척수가 공급됨에 따라, 세척 또는 헹굼 등 공정의 수행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예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예시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하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도어의 내부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바스켓의 외관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 마련된 카메라의 상면, 하면, 및 측면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6은 상면 및 하면에서 바라본 카메라의 내부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베인 이동 구간에서 베인이 세척수를 반사시키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 세척기의 베인 미이동 구간에서 베인이 세척수를 반사시키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유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어 식별자와 바스켓 식별자가 마련된 식기 세척기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9의 하부 바스켓을 상부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3은 하부 바스켓의 제 2 영역에 식기가 수납된 경우, 완전 반출된 하부 바스켓과 일부 반입된 하부 바스켓을 위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4는 하부 바스켓의 제 3 영역에 식기가 수납된 경우, 완전 반출된 하부 바스켓과 일부 반입된 하부 바스켓을 위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5는 하부 바스켓의 복수의 영역, 예를 들어 제 2 영역 및 제 3 영역에 식기가 수납된 경우, 완전 반출된 하부 바스켓과 일부 반입된 하부 바스켓을 위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6은 하부 바스켓의 복수의 영역, 예를 들어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에 걸쳐 어느 한 식기가 수납된 경우, 완전 반출된 하부 바스켓과 일부 반입된 하부 바스켓을 위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7a는 제 1 영역에 식기가 수납된 경우 구동부의 구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b는 제 4 영역에 식기가 수납된 경우 구동부의 구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하부 바스켓의 각 식기 수납 영역에 식기가 수납된 경우, 베인과 분배 장치를 구동하는 알고리즘을 나타내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9는 상부 바스켓과 하부 바스켓의 식기 수납 여부에 따른 세척 제어의 수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식기 수납 영역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방법의 일 예시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식기 수납 영역을 판단하는 방법의 일 예시에 관한 순서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일부분이 다른 일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일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일 측면에 따른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구조를 설명한 이후에, 이를 기초로 하여 식기 세척기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예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예시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하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도어의 내부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바스켓의 외관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식기 세척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세척조(30)와, 식기를 수납하도록 세척조(30)의 내부에 마련되는 바스켓(12a, 12b)과, 본체(10)의 상단에 마련되어 바스켓(12a, 12b)의 출입 및 바스켓(12a, 12b) 내 수납된 식기를 감지하는 카메라(13)와,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311, 313, 330, 340)과, 세척수를 저수하는 섬프(100)와, 섬프(100)의 세척수를 펌핑하여 노즐(311, 313, 330, 340)에 공급하는 순환 펌프(51)와, 섬프(100)의 세척수를 이물질과 함께 본체(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 펌프(52)와, 세척조(30)의 내부를 이동하며 세척수를 식기 측으로 반사시키는 베인(400)과, 베인(400)을 구동시키는 구동 장치(42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조(30)는 식기를 수납할 수 있도록 전방이 개구된 형상을 가지며, 상부벽(31)과, 후벽(32)과, 좌측벽(33)과, 우측벽(34)과, 바닥판(35)을 포함한다. 세척조(30)의 전방 개구는 도어(11)에 의해 개폐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어(11)의 내측면에는 개방 시 카메라(13)에 의해 감지되는 도어 식별자(14)가 마련될 수 있다. 도어 식별자(14)는 도어(11)의 배경과 구분되는 색상이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바스켓(12a, 12b)은 세척수가 고이지 않고 통과될 수 있도록 와이어로 이루어진 와이어 랙으로 구성할 수 있다. 바스켓(12a, 12b)은 세척조(3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바스켓(12a, 12b)이 세척조(30) 내부에 설치된 경우, 바스켓(12a, 12b)은 도어(11)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세척조(30) 내외를 출입할 수 있다. 바스켓(12a, 12b)은 세척조(3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바스켓(12a)과, 세척조(30)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바스켓(12b)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바스켓(12a)과 하부 바스켓(12b)에는 반출 시 각각 카메라(13)에 의해 감지되는 바스켓 식별자(15a, 15b)가 마련될 수 있다. 상부 바스켓(12a)의 식별자(15a)와 하부 바스켓(12b)의 식별자(15b)는 상호 구분되고 배경과도 구분되는 색상이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부 바스켓(12a)의 식별자(15a)와 하부 바스켓(12b)의 식별자(15b)는 도어 식별자(14)와도 구분되는 색상이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바스켓 식별자(15a, 15b)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1)의 전방의 핸들(16) 상에 부착될 수 있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1)의 내부 전방에 부착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반출 시 카메라(13)에 의해 식별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순환 펌프(51)는 계자 권선(field coil)과 전기자(armature)로 구성되는 유니버설 모터(Universal Motor)나, 영구 자석과 전기 자석으로 구성되는 무정류자 직류 모터(Brushless Direct Motor; 이하, "BLDC 모터"라 한다) 등을 사용하여 세척수를 순환시킬 수 있다.
당해 예시에서는 회전 속도의 제어가 가능한 BLDC 모터를 사용하는 순환 펌프(51)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노즐(311, 313, 330, 340)은 고압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식기를 세척한다. 노즐(311, 313, 330, 340)은 세척조(30)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 노즐(311)과, 세척조(30)의 중심부에 마련되는 중간 노즐(313)과, 세척조(30)의 하부에 마련되는 하부 노즐(330, 3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노즐(311)은 상부 바스켓(12a)의 상측에 마련되고, 분사되는 세척수의 수압에 의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아래 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노즐(311)은 상부 바스켓(12a)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직접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부 노즐(311)의 하단에는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홀(312)이 마련된다.
중간 노즐(313)은 상부 바스켓(12a)과 하부 바스켓(12b)의 사이에 마련되고, 분사되는 세척수의 수압에 의해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상하 방향으로 분사할 수 있다. 따라서, 중간 노즐(313)은 상부 바스켓(12a)과 하부 바스켓(12b)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직접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중간 노즐(313)의 상단과 하단에는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홀(314)이 마련된다.
하부 노즐(330, 340)은 상부 노즐(311) 및 중간 노즐(313)과는 달리 움직이지 않도록 마련되어, 세척조(30)의 일 측에 고정될 수 있다. 하부 노즐 (330, 340)은 대략 세척조(30)의 후벽(32)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세척조(30)의 전방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노즐(330, 34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직접 식기를 향하지 않을 수 있다.
하부 노즐(330, 34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베인(400)에 의해 식기 측으로 반사될 수 있다. 하부 노즐(330, 340)은 하부 바스켓(12b)의 아래에 배치되고, 베인(400)은 하부 노즐(330, 340)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상측으로 반사시킨다. 즉, 하부 노즐(330, 34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베인(400)에 의해 하부 바스켓(12b)에 수납된 식기를 향해 반사된다.
하부 노즐(330, 340)은 각각 세척조(30)의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분사홀(331, 341)을 가진다. 복수의 분사홀(331, 341)은 전방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한다.
베인(400)은 하부 노즐(330, 340)에 마련된 복수의 분사홀(331,341)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모두 반사시킬 수 있도록 세척조(30)의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베인(400)의 길이 방향 일단부는 세척조(30)의 좌측벽(33)에 인접하고, 베인(400)의 길이 방향 타단부는 세척조(30)의 우측벽(34)에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인(400)은 하부 노즐(330, 34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 방향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즉, 베인(400)은 도어(11)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제 1 위치(P1)와 하부 노즐(330, 340)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제 2 위치(P2) 사이를 이동하며, 하부 노즐(330, 34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 방향을 변경하는 것으로, 세척조(3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한다.
여기서, 제 2 위치(P2)는 베인(400)과 하부 노즐(330, 340) 간의 간격을 최소화한 위치이다. 제 1 위치(P1)는 베인(400)이 제 2위치(P2)에서부터 이동한 시간을 이용하여 검출하는 베인(400)의 위치로, 베인(400)이 도어(11)에 접근하여 베인(400)과 하부 노즐(330, 340) 간의 간격을 최대화한 위치이다.
따라서, 하부 노즐(330, 340)과 베인(400)을 포함하는 리니어 타입의 분사 구조는 사각 지대 없이 세척조(30)의 전 영역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식기를 세척할 수 있다.
또한, 베인(400)은 제 1 위치(P1)와 제 2 위치(P2)의 사이의 미리 설정된 제 3 위치(P3)와 제 1 위치(P1) 사이에서 세척조(3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하며 하부 노즐(330, 34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 방향을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베인(400)은 제 3 위치(P3)와 제 2 위치(P2) 사이에서 세척조(3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하며 하부 노즐(330, 34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 방향을 변경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 3 위치(P3)는 베인(400)이 제 2위치에서부터 이동한 시간을 이용하여 검출하는 베인(400)의 위치로, 예를 들어, 제 1 위치(P1)와 제 2 위치(P2)의 중간 지점일 수 있다.
따라서, 하부 노즐(330, 340)과 베인(400)을 포함하는 리니어 타입의 분사 구조는 제 1 위치(P1)와 제 3 위치 사이의 전측 영역, 제 3 위치(P3)와 제 2 위치(P2) 사이의 후측 영역을 구분하여 세척수를 분사하고 식기를 세척할 수 있다.
따라서, 식기 세척기(1)는 세척조(30)의 전측 영역과 후측 영역을 독립적으로 분할하여 세척할 수 있다.
하부 노즐(330, 340)은 세척조(30)의 좌측에 배치되는 좌측 하부 노즐(330)과, 세척조(30)의 우측에 배치되는 우측 하부 노즐(340)을 포함한다.
상부 노즐(311) 및 중간 노즐(313)과, 하부 노즐(330, 340)은 상호 독립적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으며, 좌측 하부 노즐(330)과 우측 하부 노즐(340) 역시 상호 독립적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좌측 하부 노즐(33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베인(400)에 의해 세척조(30)의 좌측 영역으로만 반사되고, 우측 하부 노즐(34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베인(400)에 의해 세척조(30)의 우측 영역에만 반사될 수 있다.
따라서, 식기 세척기(1)는 세척조(30)의 좌측 영역과 우측 영역을 독립적으로 분할하여 세척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예시에서는 세척조(30)의 전측과 후측, 및 좌측과 우측으로 분할하여 세척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식기 세척기(1)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더욱 세분하여 분할 세척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카메라(13)는 본체(10) 상단에 마련되어 본체(10)의 전면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13)가 본체(10)의 전면을 촬영함으로써, 카메라(13)는 도어(11)가 개방된 경우 도어 식별자(14)를 촬영하고, 바스켓(12a, 12b)이 본체(10) 내부에서 반출된 경우 바스켓 식별자(15a, 15b)를 또한 촬영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 마련된 카메라의 상면, 하면, 및 측면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6은 상면 및 하면에서 바라본 카메라의 내부도이다.
카메라(13)는 이미지 센서 칩(13-1), 이미지 센서 칩(13-1)을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13-2), 이미지 센서 칩(13-1)과 카메라 제어부(13-2)가 장착되는 기판(13-3), 및 이미지 센서 칩(13-1)과 카메라 제어부(13-2)와 기판(13-3)을 둘러싸는 케이스(13-4)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3)의 케이스(13-4)는 본체(10) 상단에서 전면으로 돌출되되, 돌출된 위치에서 바닥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이미지 센서 칩(13-1)이 케이스(13-4) 하면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미지 센서 칩(13-1)은 식기 세척기(1)의 본체(10)의 전면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이미지 센서 칩(13-1)은 카메라 제어부(13-2)의 제어에 의해 영상을 촬영하고, 카메라 제어부(13-2)는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른 구성요소에 영상을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카메라 제어부(13-2)는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카메라(13)의 마련 위치와 형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체(10)의 전면을 촬영할 수 있는 어느 위치에든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식기 세척기(1)의 구조 역시 예시에 불과하며, 바스켓의 개수나 위치, 노즐들의 개수나 위치, 노즐들의 구조 등이 전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바, 다양한 설계 변경을 통해 식기 세척기(1)의 구조가 전술한 예시와 다르게 구현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베인 이동 구간에서 베인이 세척수를 반사시키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 세척기의 베인 미이동 구간에서 베인이 세척수를 반사시키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하부 노즐(330, 340)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베인(400)이 식기 측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하부 노즐(330, 340)은 대략 수평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므로 하부 노즐(330, 340)과 베인(400)은 대략 상호 수평하게 위치된다. 따라서, 하부 노즐(330, 340)이 배치된 영역에는 베인(400)이 이동할 수 없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 세척기(1)는 베인(400)이 이동할 수 있는 베인 이동 구간(I1)과, 베인(400)이 이동할 수 없는 베인 미이동 구간(I2)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 세척기(1)의 베인(400)은 베인 미이동 구간(I2)에 수납된 식기를 세척하기 위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인(400)이 베인 이동 구간(I1)에서 베인 미이동 구간(I2)에 도달했을 때 베인(400)이 베인 미이동 구간(I2)을 향하여 회전하면, 미이동 구간(I2)의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반사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식기 세척기(1)의 주요 구성들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차례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식기 세척기(1)의 행정, 유로 구조, 하부 노즐의 구조 및 세척수 분배 구조를 전술한 도면들과 함께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유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의한 식기 세척기(1)가 수행하는 행정은 급수 행정, 세척 행정, 배수 행정 및 건조 행정을 포함할 수 있다.
급수 행정에서, 급수관(미도시)을 통해 세척조(30) 내부로 세척수가 급수되면, 세척조(30)에 급수되는 세척수는 세척조(30)의 바닥판(35)의 구배에 의해 세척조(30)의 하부에 마련된 섬프(100)로 유동되고 섬프(100)에 저수된다.
세척 행정에서, 순환 펌프(51)가 동작하여 섬프(100)에 저수된 세척수를 펌핑한다. 순환 펌프(51)에 의해 펌핑된 세척수는 분배 장치(200)를 통해 상부 노즐(311), 중간 노즐(313), 좌측 하부 노즐(330), 우측 하부 노즐(340)로 분배된다. 순환 펌프(51)의 펌핑력에 의해 노즐 어셈블리(300)에서 세척수가 고압으로 분사되어 식기를 세척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노즐(311)과 중간 노즐(313)은 분배 장치(200)의 제 2호스(271b)를 통해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좌측 하부 노즐(330)은 분배 장치(200)의 제 1호스(271a)를 통해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우측 하부 노즐(340)은 분배 장치(200)의 제 3호스(271c)를 통해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당해 예시에서는 분배 장치(200)가 총 4개의 분배 모드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모드에서, 분배 장치(200)는 제 2호스(271b)를 통해 상부 노즐(311)과 중간 노즐(313)로 세척수를 공급한다.
제 2모드에서, 분배 장치(200)는 제 3호스(271c)를 통해 우측 하부 노즐(340)로 세척수를 공급한다.
제 3모드에서, 분배 장치(200)는 제 1호스(271a)와, 제 3호스(271c)를 통해 좌측 하부 노즐(330)과 우측 하부 노즐(340)로 세척수를 공급한다.
제 4모드에서, 분배 장치(200)는 제 1호스(271a)를 통해 좌측 하부 노즐(330)로 세척수를 공급한다.
한편, 분배 장치(200)는 전술한 예시와 달리 더 다양한 분배 모드를 갖도록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노즐(311, 313, 330, 34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식기를 타격하며 식기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고, 이물질과 함께 낙하하여 다시 섬프(100)에 저수될 수 있다. 순환 펌프(51)는 섬프(100)에 저수된 세척수를 다시 펌핑하여 순환시킨다. 세척 행정 중에 순환 펌프(51)는 동작 및 정지를 수 차례 반복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세척수와 함께 섬프(100)로 낙하한 이물질은 섬프(100)에 설치된 필터에 의해 포집되어 노즐(311, 313, 330, 340)로 순환되지 않고 섬프(100)에 남아 있게 된다.
배수 행정에서는, 배수 펌프(52)가 동작하여 섬프(100)에 남아 있는 이물질과 세척수를 함께 본체(10)의 외부로 배출한다.
건조 행정에서는, 세척조(30)에 장착된 히터(미도시)가 동작하여 식기를 건조한다.
이하, 전술한 식기 세척기(1)의 구조를 기초로 하여 식기 세척기(1)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식기 세척기(1)는 입력부(710), 감지부(720), 제어부(730), 메모리(740), 및 구동부(75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7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식기 세척기(1)의 급수 행정, 세척 행정, 배수 행정 및 건조 행정 등을 실시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입력부(710)는 세척 코스와 세척수 온도, 헹굼 추가 등의 운전 정보에 대한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세척 코스는 세척수를 급수하는 급수 행정, 급수 후 세척수를 식기에 분사시켜 세척하는 세척 행정, 세척수를 식기에 분사하기 전에 세척과 헹굼에 적정한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 행정, 세척 후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 행정, 세척 후 세척 완료된 식기를 건조시키는 건조 행정으로 이어지는 각 행정의 과정을 순서대로 동작시키는 표준 코스와, 사용자가 상황에 맞게 각 행정을 임의로 선택하여 동작시키는 수동 코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710)는 사용자의 가압이나 터치 등에 의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수도 있고,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밀거나 돌리는 방식의 조그셔틀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감지부(720)는 식기 세척기(1)에 부착된 다양한 식별자(14, 15a, 15b)를 감지하여 제어부(730)에 전달한다.
감지부(720)는 도 1과 관련하여 전술한 카메라(13)를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식별자(14, 15a, 15b)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감지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730)는 입력부(710)를 통해 입력된 명령에 따라 급수 행정과 세척 행정, 배수 행정, 건조 행정 등 식기 세척기(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730)는 각각 행정을 수행하기 위해 급수 밸브(49), 순환 펄프(51), 배수 펌프(52), 분배 장치(200)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730)는 감지부(72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에 기초하여 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730)는 감지부(720)가 바스켓 식별자(15a, 15b)를 감지한 경우, 감지부(72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바스켓 식별자(15a, 15b)가 상부 바스켓(12a)의 식별자(15a)인지 하부 바스켓(12b)의 식별자(15b)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바스켓(12a)의 식별자(15a)와 하부 바스켓(12b)의 식별자(15b)가 서로 다른 색상 또는 다른 패턴을 갖는 경우, 제어부(720)는 감지부(720)가 촬영한 영상을 기초로 상부 바스켓(12a)의 식별자(15a)와 하부 바스켓(12b)의 식별자(15b)를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730)는 감지부(72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바스켓(12a, 12b)의 출입 여부와 반출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720)가 촬영한 영상에서 상부 바스켓(12a)의 식별자(15a)가 감지되고 상부 바스켓(12a)의 식별자(15a)가 도어(11)로부터 먼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어부(730)는 상부 바스켓(12a)이 반출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30)는 상부 바스켓(12a)의 식별자(15a)가 도어(11)로부터 떨어진 거리를 측정할 수 있고, 상부 바스켓 식별자(15a)가 도어(11)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떨어진 어느 한 지점에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730)는 상부 바스켓(12a)이 완전 반출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720)가 촬영한 영상에서 상부 바스켓(12a)의 식별자(15a)가 감지되고 상부 바스켓(12a)의 식별자(15a)가 도어(11)에 가까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어부(730)는 상부 바스켓(12a)이 반입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부(720)가 촬영한 영상에서 상부 바스켓(12a)의 식별자(15a)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730)는 상부 바스켓(12a)이 완전 반입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730)는 상부 바스켓(12a)과 마찬가지로 하수 바스켓(12b)의 반출과 반입 또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30)는 감지부(72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하부 바스켓(12b)에 수납된 식기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730)는 하부 바스켓(12b)이 완전 반출된 경우, 감지부(720)가 촬영한 영상에 기초하여 바스켓 식별자(15b)의 위치와, 도어 식별자(14)가 가려지는 일부분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730)는 바스켓 식별자(15b)의 위치와 도어 식별자(14)가 가려지는 일부분의 위치에 기초하여 하부 바스켓(12b) 내 식기가 수납된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식기가 수납된 영역을 판단하는 자세한 방법에 대해서는 도 11 내지 도 16와 관련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제어부(730)는 하부 바스켓(12b)이 완전 반입된 경우, 판단된 식기 수납 영역에 대해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구동부(750)를 제어한다.
제어부(730)는 식기 세척기(1)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단일하게 포함될 수도 있으며, 식기 세척기(1)의 동작에 따라 복수의 프로세서가 포함될 수도 있다.
메모리(740)는 식기 세척기(1)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식기 세척기(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 식기 세척기(1)의 동작 제어 중 사용되는 기준데이터, 식기 세척기(1)가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동작데이터, 식기 세척기(1)가 소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입력부(710)에 의해 입력된 설정데이터 등과 같은 설정 정보와, 식기 세척기(1)가 특정 동작을 수행한 횟수, 식기 세척기(1)의 모델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 정보와, 식기 세척기(1)의 오동작 시 오동작의 원인 또는 오동작 위치를 포함하는 고장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740)는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자기 디스크(magnetic disc), 반도체 디스크(solid state disk)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미도시) 뿐만 아니라 식기 세척기(1)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D-램, S-램 등의 휘발성 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급수 밸브(49)는 급수 행정에서 급수관(미도시)을 통해 세척조(30) 내부로 공급되는 물(세척수)의 급수를 제어한다. 일 예로, 급수 밸브(49)를 개방하면 급수관을 통해 세척조(30) 내부로 세척수가 공급되고, 급수 밸브(49)를 폐쇄하면 세척수의 공급이 중단된다.
순환 펌프(51), 배수 펌프(52), 분배 장치(200) 및 베인(400)에 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구동부(750)는 제어부(7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식기 세척기(1)의 동작에 관련된 급수 밸브(49), 순환 펌프(51), 배수 펌프(52), 분배 장치(200), 베인(400) 등을 구동시킨다. 이를 위해, 구동부(750)는 급수 밸브(49), 순환 펌프(51), 배수 펌프(52), 분배 장치(200) 및 베인(400)에 제공할 동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를 포함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발생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 등의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급수 밸브(49), 순환 펌프(51), 배수 펌프(52), 분배 장치(200) 및 베인(400)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모터가 마련될 수도 있고, 복수의 모터는 급수 밸브(49), 순환 펌프(51), 배수 펌프(52), 분배 장치(200) 및 베인(400)에 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베인(400)에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는 바닥판 커버(6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전술한 베인(400)의 구동 장치(420)도 구동부(750)에 포함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식기 세척기(1)의 구성 요소들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 위치는 시스템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한편, 도 10에서 도시된 일부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및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일 수 있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제어부(730)가 식기가 수납된 영역을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도어 식별자와 바스켓 식별자가 마련된 식기 세척기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하부 바스켓을 상부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체(10) 외부에 마련된 카메라(13)는 본체(10)의 전면을 촬영함으로써 도어(11)가 개방되면 도어(11)에 후면에 부착된 도어 식별자(14)를 감지할 수 있고, 바스켓(12a, 12b)이 인출되면 바스켓(12a, 12b)에 부착된 바스켓 식별자(15a, 15b)를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바스켓 식별자(15a)와 하부 바스켓 식별자(15b)가 상이한 색상 또는 패턴을 포함함으로써 제어부(730)는 카메라(13)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기초로 상부 바스켓 식별자(15a)와 하부 바스켓 식별자(15b)를 구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부 바스켓(12a)과 하부 바스켓(12b)의 반출 여부 및 반출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제어부(730)가 식기 수납 영역을 하부 바스켓(12b)의 제 1 내지 제 4 영역(a1, a2, a3, a4)으로 구분하여 판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하부 바스켓(12b)이 반출된 상태에서 하부 바스켓(12b)의 적어도 어느 한 영역(a1, a2, a3, a4)에 식기가 수납된 경우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한다.
우선, 제어부(730)는 도어 식별자(14)가 가려지는 일부분의 위치, 즉, 좌표를 판단한다. 여기서, 도어 식별자(14)가 가려지는 일부분의 좌표는 도어(11)의 우측단으로부터 도어 식별자(14)가 가려지는 일부분까지의 최단 거리와 최장 거리를 나타내는 x좌표일 수 있고, 제어부(730)는 도어 식별자(14)가 가려지는 일부분까지의 최단 거리와 최장 거리의 차를 이용하여 도어 식별자(14)가 가려지는 일부분의 너비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730)는 하부 바스켓 식별자(15b)의 위치, 즉, 좌표를 판단한다. 여기서, 하부 바스켓 식별자(15b)의 좌표는 도어(11)의 후측 일단으로부터(즉, 세척조(30)의 전방 개구로부터) 하부 바스켓 식별자(15b)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y좌표일 수 있다.
도 13은 하부 바스켓의 제 2 영역에 식기가 수납된 경우, 완전 반출된 하부 바스켓과 일부 반입된 하부 바스켓을 위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3의 좌측을 참조하면, 하부 바스켓(12b)이 완전 반출된 상태에서 제어부(730)는 카메라(13)가 촬영한 영상에 기초하여 식기(ob)가 가리는 도어 식별자(14)의 일부분의 시작점의 x좌표(x2)와 끝점의 x좌표(x1)를 검출할 수 있고, 하부 바스켓 식별자(15b)의 y좌표(y1) 또한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y1과 y2는 하부 바스켓(12b)의 반출 정도를 나타내고, y1은 제 1 영역(a1)과 제 2 영역(a2)에 대응하는 하부 바스켓 식별자(15b)의 y좌표일 수 있고, y2는 제 3 영역(a3)과 제 4 영역(a4)에 대응하는 하부 바스켓 식별자(15b)의 y좌표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730)는 하부 바스켓 식별자(15b)의 좌표가 y1의 값을 갖는 경우, 식기가 제 1 영역(a1) 및 제 2 영역(a2) 중 적어도 어느 한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판단할 수 있고, 하부 바스켓 식별자(15b)의 좌표가 y2의 값을 갖는 경우, 식기가 제 3 영역(a3) 및 제 4 영역(a4) 중 적어도 어느 한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730)는 하부 바스켓 식별자(15b)의 y좌표(y1)에 기초하여, 식기(ob)가 가리는 도어 식별자(14)의 일부분이 제 1 영역(a1) 및 제 2 영역(a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판단할 수 있고, 식기(ob)가 가리는 일부분의 x좌표 시작점(x2)과 끝점(x1)이 각각 제 2 영역(a2)에 포함되므로, 최종적으로 식기(ob)가 가리는 도어 식별자(14)의 일부분이 제 2 영역(a2)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식기(ob)가 가리는 도어 식별자(14)의 일부분의 끝점의 x좌표(x1)가 도 13의 좌측에 도시된 바와 달리, 하부 바스켓(12b)의 중심수직선(L1)의 x좌표보다 큰 값을 갖는 경우, 제어부(730)는 식기(ob)가 가리는 도어 식별자(14)의 일부분이 제 1 영역(a1)에도 포함되는 것으로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 13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바스켓(12b)이 절반 정도 반입된 상태에서는 식기(ob)가 도어 식별자(14)를 가리지 않기 때문에, 제어부(730)는 카메라(13)가 촬영한 영상에 기초하여 하부 바스켓 식별자(15b)의 y좌표(y2)를 검출하고, 하부 바스켓 식별자(15b)의 y좌표(y2)에 기초하여, 식기(ob)가 가리는 도어 식별자(14)의 일부분이 제 3 영역(a3) 및 제 4 영역(a4)에는 포함되지 않은 것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도 13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달리 하부 바스켓(12b)이 절반 정도 반입된 상태에서 식기(ob)가 도어 식별자(14)를 가리는 경우, 제어부(730)는 카메라(13)가 촬영한 영상에 기초하여 식기(ob)가 가리는 도어 식별자(14)의 일부분의 x좌표와 하부 바스켓 식별자(15b)의 y좌표(y2)를 검출하고, 식기(ob)가 가리는 도어 식별자(14)의 일부분의 x좌표와 하부 바스켓 식별자(15b)의 y좌표(y2)에 기초하여 식기(ob)가 가리는 도어 식별자(14)의 일부분이 제 3 영역(a3) 및 제 4 영역(a4) 중 적어도 어느 한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판단할 수 있다. 식기(ob)가 가리는 도어 식별자(14)의 일부분이 제 3 영역(a3) 및 제 4 영역(a4) 중 어느 영역에 포함되는지 여부는 식기(ob)가 가리는 도어 식별자(14)의 일부분의 시작점과 끝점의 x좌표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도 14는 하부 바스켓의 제 3 영역에 식기가 수납된 경우, 완전 반출된 하부 바스켓과 일부 반입된 하부 바스켓을 위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4의 좌측을 참조하면, 하부 바스켓(12b)이 완전 반출된 상태에서 제어부(730)는 카메라(13)가 촬영한 영상에 기초하여 하부 바스켓 식별자(15b)의 y좌표(y1)를 검출할 수 있고, 식기(ob)가 가리는 도어 식별자(14)의 일부분이 존재하지 않는 것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부(730)는 제 1 영역(a1)과 제 2 영역(a2)에는 식기가 수납되지 않았음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 14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바스켓(12b)이 절반 정도 반입된 상태에서는 식기(ob)가 도어 식별자(14)를 가리기 때문에, 제어부(730)는 카메라(13)가 촬영한 영상에 기초하여 식기(ob)가 가리는 도어 식별자(14)의 일부분의 x좌표(x3, x4)와 하부 바스켓 식별자(15b)의 y좌표(y2)를 검출하고, 하부 바스켓 식별자(15b)의 y좌표(y2)에 기초하여, 식기(ob)가 가리는 도어 식별자(14)의 일부분이 제 3 영역(a3) 및 제 4 영역(a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판단하되, 식기(ob)가 가리는 일부분의 x좌표 시작점(x3)과 끝점(x4)이 각각 제 3 영역(a3)에 포함되므로, 최종적으로 식기(ob)가 가리는 도어 식별자(14)의 일부분이 제 3 영역(a3)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식기(ob)가 가리는 도어 식별자(14)의 일부분의 시작점의 x좌표(x4)가 도 14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달리, 하부 바스켓(12b)의 중심수직선(L1)의 x좌표보다 작은 값을 갖는 경우, 제어부(730)는 식기(ob)가 가리는 도어 식별자(14)의 일부분이 제 4 영역(a4)에도 포함되는 것으로서 판단할 수 있다.
도 15는 하부 바스켓의 복수의 영역, 예를 들어 제 2 영역 및 제 3 영역에 식기가 수납된 경우, 완전 반출된 하부 바스켓과 일부 반입된 하부 바스켓을 위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5의 좌측을 참조하면, 하부 바스켓(12b)이 완전 반출된 상태에서 제어부(730)는 카메라(13)가 촬영한 영상에 기초하여 식기(ob1)가 가리는 도어 식별자(14)의 일부분의 시작점의 x좌표(x2)와 끝점의 x좌표(x1)를 검출할 수 있고, 하부 바스켓 식별자(15b)의 y좌표(y1) 또한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730)는 식기(ob)가 가리는 도어 식별자(14)의 일부분의 x좌표(x1, x2)와 하부 바스켓 식별자(15b)의 y좌표(y1)에 기초하여, 식기(ob)가 가리는 도어 식별자(14)의 일부분이 제 2 영역(a2)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바스켓(12b)이 절반 정도 반입된 상태에서는 다른 식기(ob2)가 도어 식별자(14)를 가리므로, 제어부(730)는 카메라(13)가 촬영한 영상에 기초하여 다른 식기(ob2)가 가리는 도어 식별자(14)의 일부분의 시작점의 x좌표(x4)와 끝점의 x좌표(x3)와, 하부 바스켓 식별자(15b)의 y좌표(y2)를 검출하고, 다른 식기(ob2)가 가리는 도어 식별자(14)의 일부분의 x좌표(x3, x4)와 하부 바스켓 식별자(15b)의 y좌표(y2)에 기초하여, 다른 식기(ob2)가 가리는 도어 식별자(14)의 일부분이 제 3 영역(a3)에도 포함된 것으로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730)는 최종적으로 식기가 제 2 영역(a2) 및 제 3 영역(a3)에 수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6은 하부 바스켓의 복수의 영역, 예를 들어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에 걸쳐 어느 한 식기가 수납된 경우, 완전 반출된 하부 바스켓과 일부 반입된 하부 바스켓을 위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6의 좌측을 참조하면, 하부 바스켓(12b)이 완전 반출된 상태에서 제어부(730)는 카메라(13)가 촬영한 영상에 기초하여 식기(ob3)가 가리는 도어 식별자(14)의 일부분의 시작점의 x좌표(x6)와 끝점의 x좌표(x5)를 검출할 수 있고, 하부 바스켓 식별자(15b)의 y좌표(y1) 또한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730)는 하부 바스켓 식별자(15b)의 y좌표(y1)에 기초하여 식기(ob3)가 가리는 도어 식별자(14)의 일부분이 제 1 영역(a1) 및 제 2 영역(a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하되, 식기(ob)가 가리는 도어 식별자(14)의 일부분의 x좌표의 시작점(x6)이 제 2 영역(a2)에 포함되고, 끝점(x5)이 제 1 영역(a1)에 포함되므로 최종적으로 식기(ob3)가 제 1 영역(a1) 및 제 2 영역(a2)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 16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바스켓(12b)이 절반 정도 반입된 상태에서는 식기(ob)가 도어 식별자(14)를 가리지 않기 때문에, 제어부(730)는 카메라(13)가 촬영한 영상에 기초하여 하부 바스켓 식별자(15b)의 y좌표(y2)를 검출하고, 하부 바스켓 식별자(15b)의 y좌표(y2)에 기초하여, 식기(ob)가 가리는 도어 식별자(14)의 일부분이 제 3 영역(a3) 및 제 4 영역(a4)에는 포함되지 않은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730)는 최종적으로 식기가 제 1 영역(a1) 및 제 2 영역(a2)에 수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하부 바스켓(12b)의 영역이 네 영역(a1, a2, a3, a4)으로 구분된 것으로서 기술되었으나, 하부 바스켓(12b)의 영역은 이외에도 다양한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는 식기가 도어 식별자(14)의 "일" 부분을 가리는 경우를 예를 들어 기술하였으나, 식기가 도어 식별자(14)의 "복수" 부분을 가리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 제어부(730)는 각 부분에 대한 x좌표와 y좌표를 이용하여 식기 수납 영역을 판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세척을 수행할 하부 바스켓(12b)의 영역이 판단되고, 하부 바스켓(12b)이 세척조(30)에 완전 반입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730)는 하부 바스켓(12b)의 식기 수납 영역에 대해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구동부(7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부(750)는 제어부(7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좌측 하부 노즐(330) 및 우측 하부 노즐(340) 중 식기 수납 영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어느 하나로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분배 장치(200)를 구동할 수 있고, 도 2와 관련하여 기술한 제 1 위치(P1)와 제 3 위치(P3) 사이, 및 제 3 위치(P3)와 제 2 위치(P2) 사이 중 식기 수납 영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세척조(3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을 수행하도록 베인(400)을 구동할 수 있다.
이하, 도 17a 및 도 17b를 참조하여, 식기 수납 영역 별로 세척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7a는 제 1 영역에 식기가 수납된 경우 구동부의 구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7b는 제 4 영역에 식기가 수납된 경우 구동부의 구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영역(a1)에 식기가 수납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730)는 베인(400)이 제 3 위치(P3)와 하부 노즐(330, 340)에 인접한 제 2 위치(P2) 사이에서 전후 방향으로 레일(440)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을 수행하되, 좌측 하부 노즐(330)에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구동부(7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좌측 하부 노즐(330)로부터 분사된 세척수가 세척조(30)의 후측에서 왕복 운동하는 베인(400)에 의해 제 1 영역(a1)에 반사될 수 있다.
또한,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영역(a4)에 식기가 수납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730)는 베인(400)이 도어(11)에 인접한 제 1 위치(P1)와 제 3 위치(P3) 사이에서 전후 방향으로 레일(440)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을 수행하되, 우측 하부 노즐(340)에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구동부(7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우측 하부 노즐(340)로부터 분사된 세척수가 세척조(30)의 전측에서 왕복 운동하는 베인(400)에 의해 제 4 영역(a4)에 반사될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제 2 영역(a2)에 식기가 수납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730)는 베인(400)이 제 3 위치(P3)와 하부 노즐(330, 340)에 인접한 제 2 위치(P2) 사이에서 전후 방향으로 레일(440)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을 수행하되, 우측 하부 노즐(340)에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구동부(7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우측 하부 노즐(340)로부터 분사된 세척수가 세척조(30)의 후측에서 왕복 운동하는 베인(400)에 의해 제 2 영역(a2)에 반사될 수 있다.
또한, 제 3 영역(a3)에 식기가 수납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730)는 베인(400)이 도어(11)에 인접한 제 1 위치(P1)와 제 3 위치(P3) 사이에서 전후 방향으로 레일(440)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을 수행하되, 좌측 하부 노즐(330)에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구동부(7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좌측 하부 노즐(330)로부터 분사된 세척수가 세척조(30)의 전측에서 왕복 운동하는 베인(400)에 의해 제 3 영역(a3)에 반사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영역(a1, a2, a3, a4)에 식기가 수납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730)는 순차적으로 복수개 영역(a1, a2, a3, a4)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서 베인(400)이 선형 왕복 운동을 수행하고, 복수개 영역(a1, a2, a3, a4)에 각각 대응하는 하부 노즐(330, 340)에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구동부(7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18 을 참조하여 제어부(730)가 하부 바스켓(12b)의 식기 수납 영역에 따라 구동부(750)를 제어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기술되는 제 1 위치(P1) 내지 제 3 위치(P3)에 대한 설명은 도 2와 관련하여 전술한 제 1 위치(P1) 내지 제 3 위치(P3)와 동일하다.
도 18은 하부 바스켓의 각 식기 수납 영역에 식기가 수납된 경우, 베인과 분배 장치를 구동하는 알고리즘을 나타내기 위한 개략도이다.
우선, 제 1 경우(Case 1)로서, 복수개의 식기 수납 영역들(a1, a2, a3, a4) 중, 어느 한 영역에 식기가 수납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복수개의 식기 수납 영역들(a1, a2, a3, a4) 중 하부 바스켓(12b)을 기준으로 좌측 및 후측에 위치한 제 1 영역(a1)에 식기가 수납된 경우(Case 1-1), 제어부(730)는 좌측 하부 노즐(330)에서 세척수가 분사되고 베인(400)이 제 2 위치(P2)와 제 3 위치(P3) 사이(즉, 세척조(30)의 후측)에서 선형 왕복 운동을 수행하여 세척수를 반사시키도록 구동부(7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식기 수납 영역들(a1, a2, a3, a4) 중 하부 바스켓(12b)을 기준으로 좌측 및 전측에 위치한 제 3 영역(a1)에 식기가 수납된 경우(Case 1-2), 제어부(730)는 좌측 하부 노즐(330)에서 세척수가 분사되고 베인(400)이 제 1 위치(P1)와 제 3 위치(P3) 사이(즉, 세척조(30)의 전측)에서 선형 왕복 운동을 수행하여 세척수를 반사시키도록 구동부(7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식기 수납 영역들(a1, a2, a3, a4) 중 하부 바스켓(12b)을 기준으로 우측 및 후측에 위치한 제 2 영역(a2)에 식기가 수납된 경우(Case 1-3), 제어부(730)는 우측 하부 노즐(340)에서 세척수가 분사되고 베인(400)이 제 2 위치(P2)와 제 3 위치(P3) 사이(즉, 세척조(30)의 후측)에서 선형 왕복 운동을 수행하여 세척수를 반사시키도록 구동부(7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식기 수납 영역들(a1, a2, a3, a4) 중 하부 바스켓(12b)을 기준으로 우측 및 전측에 위치한 제 4 영역(a4)에 식기가 수납된 경우(Case 1-4), 제어부(730)는 우측 하부 노즐(340)에서 세척수가 분사되고 베인(400)이 제 1 위치(P1)와 제 3 위치(P3) 사이(즉, 세척조(30)의 전측)에서 선형 왕복 운동을 수행하여 세척수를 반사시키도록 구동부(75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2 경우(Case 2)로서, 복수개의 식기 수납 영역들(a1, a2, a3, a4) 중, 좌측 영역(a1, a3) 또는 우측 영역(a2, a4)에 식기가 수납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복수개의 식기 수납 영역들(a1, a2, a3, a4) 중 좌측 영역(a1, a3)에 식기가 수납된 경우(Case 2-1), 제어부(730)는 좌측 하부 노즐(330)에서 세척수가 분사되고 베인(400)이 제 1 위치(P1)와 제 2 위치(P2) 사이(즉, 세척조(30)의 전측 및 후측)에서 선형 왕복 운동을 수행하여 세척수를 반사시키도록 구동부(7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식기 수납 영역들(a1, a2, a3, a4) 중 우측 영역(a2, a4)에 식기가 수납된 경우(Case 2-2), 제어부(730)는 우측 하부 노즐(340)에서 세척수가 분사되고 베인(400)이 제 1 위치(P1)와 제 2 위치(P2) 사이(즉, 세척조(30)의 전측 및 후측)에서 선형 왕복 운동을 수행하여 세척수를 반사시키도록 구동부(75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3 경우(Case 3)로서, 복수개의 식기 수납 영역들(a1, a2, a3, a4) 중, 전측 영역(a3, a4) 또는 후측 영역(a1, a2)에 식기가 수납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복수개의 식기 수납 영역들(a1, a2, a3, a4) 중 후측 영역(a1, a2)에 식기가 수납된 경우(Case 3-1), 제어부(730)는 좌측 하부 노즐(330) 및 우측 하부 노즐(340)에서 세척수가 분사되고 베인(400)이 제 2 위치(P2)와 제 3 위치(P3) 사이(즉, 세척조(30)의 후측)에서 선형 왕복 운동을 수행하여 세척수를 반사시키도록 구동부(7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식기 수납 영역들(a1, a2, a3, a4) 중 전측 영역(a3, a4)에 식기가 수납된 경우(Case 3-2), 제어부(730)는 좌측 하부 노즐(330) 및 우측 하부 노즐(340)에서 세척수가 분사되고 베인(400)이 제 1 위치(P1)와 제 3 위치(P3) 사이(즉, 세척조(30)의 전측)에서 선형 왕복 운동을 수행하여 세척수를 반사시키도록 구동부(75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4 경우(Case 4)로서, 복수개의 식기 수납 영역들(a1, a2, a3, a4) 중, 대각선 영역(a1, a4 또는 a2, a3)에 식기가 수납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복수개의 식기 수납 영역들(a1, a2, a3, a4) 중 제 1 및 제 4 영역(a1, a4)에 식기가 수납된 경우(Case 4-1), 제어부(730)는 제 1 영역(a1)의 세척을 위하여 먼저 좌측 하부 노즐(330)에서 세척수가 분사되고 베인(400)이 제 2 위치(P2)와 제 3 위치(P3)의 사이(즉, 세척조(30)의 후측)에서 선형 왕복 운동을 수행하도록 구동부(750)를 제어한 이후, 제 4 영역(a4)을 세척하기 위하여 우측 하부 노즐(340)에서 세척수가 분사되고 베인(400)이 제 1 위치(P1)와 제 3 위치(P3)의 사이(즉, 세척조(30)의 전측)에서 선형 왕복 운동을 수행하도록 구동부(7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어부(730)는 제 4 영역(a4)을 먼저 세척하고 제 1 영역(a1)을 나중에 세척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복수개의 식기 수납 영역들(a1, a2, a3, a4) 중 제 2 및 제 3 영역(a2, a3)에 식기가 수납된 경우(Case 4-2), 제어부(730)는 제 2 영역(a2)의 세척을 위하여 먼저 우측 하부 노즐(340)에서 세척수가 분사되고 베인(400)이 제 2 위치(P2)와 제 3 위치(P3)의 사이(즉, 세척조(30)의 후측)에서 선형 왕복 운동을 수행한 이후, 제 3 영역(a3)을 세척하기 위하여 좌측 하부 노즐(330)에서 세척수가 분사되고 베인(400)이 제 1 위치(P1)와 제 3 위치(P3)의 사이(즉, 세척조(30)의 전측)에서 선형 왕복 운동을 수행하도록 구동부(7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어부(730)는 제 3 영역(a3)을 먼저 세척하고 제 2 영역(a2)을 나중에 세척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제 5 경우(Case 5)로서, 복수개의 식기 수납 영역들(a1, a2, a3, a4) 중, 세 영역에 식기가 수납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복수개의 식기 수납 영역들(a1, a2, a3, a4) 중 제 1 내지 제 3 영역(a1, a2, a3)에 식기가 수납된 경우(Case 5-1), 제어부(730)는 먼저 제 1 영역(a1)과 제 3 영역(a3)을 세척하기 위하여 좌측 하부 노즐(330)에서 세척수가 분사되며 베인(400)이 제 1 위치(P1)와 제 2 위치(P2)의 사이(즉, 세척조(30)의 전측 및 후측)에서 선형 왕복 운동을 수행한 이후, 제 2 영역(a2)을 세척하기 위하여 우측 하부 노즐(340)에서 세척수가 분사되며 베인(400)이 제 2 위치(P2)와 제 3 위치(P3)의 사이(즉, 세척조(30)의 후측)에서 선형 왕복 운동을 수행하도록 구동부(7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어부(730)는 제 2 영역(a2)을 먼저 세척하고 제 1 및 제 3 영역(a1, a3)을 나중에 세척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복수개의 식기 수납 영역들(a1, a2, a3, a4) 중 제 1 영역, 제 3 영역, 및 제 4 영역(a1, a3, a4)에 식기가 수납된 경우(Case 5-2), 제어부(730)는 먼저 제 1 영역(a1) 및 제 3 영역(a3)의 세척을 위하여 좌측 하부 노즐(330)에서 세척수가 분사되며 베인(400)이 제 1 위치(P1)와 제 2 위치(P2)의 사이(즉, 세척조(30)의 전측 및 후측)에서 선형 왕복 운동을 수행한 이후, 제 4 영역(a4)의 세척을 위하여 우측 하부 노즐(340)에서 세척수가 분사되며 베인(400)이 제 1 위치(P1)와 제 3 위치(P3)의 사이(즉, 세척조(30)의 전측)에서 선형 왕복 운동을 수행하도록 구동부(7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어부(730)는 제 4 영역(a4)을 먼저 세척하고 제 1 및 제 3 영역(a1, a3)을 나중에 세척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복수개의 식기 수납 영역들(a1, a2, a3, a4) 중 제 1 영역, 제 2 영역, 및 제 4 영역(a1, a2, a4)에 식기가 수납된 경우(Case 5-3), 제어부(730)는 먼저 제 1 영역(a1)의 세척을 위하여 좌측 하부 노즐(330)에서 세척수가 분사되며 베인(400)이 제 2 위치(P2)와 제 3 위치(P3)의 사이(즉, 세척조(30)의 후측)에서 선형 왕복 운동을 수행한 이후, 제 2 및 제 4 영역(a2, a4)의 세척을 위하여 우측 하부 노즐(340)에서 세척수가 분사되며 베인(400)이 제 1 위치(P1)와 제 2 위치(P2)의 사이(즉, 세척조(30)의 전측 및 후측)에서 선형 왕복 운동을 수행하도록 구동부(7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어부(730)는 제 2 및 제 4 영역(a2, a4)을 먼저 세척하고 제 1 영역(a1)을 나중에 세척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복수개의 식기 수납 영역들(a1, a2, a3, a4) 중 제 2 영역, 제 3 영역, 및 제 4 영역(a2, a3, a4)에 식기가 수납된 경우(Case 5-4), 제어부(730)는 먼저 제 3 영역(a3)의 세척을 위하여 좌측 하부 노즐(330)에서 세척수가 분사되며 베인(400)이 제 1 위치(P1)와 제 3 위치(P3)의 사이(즉, 세척조(30)의 전측)에서 선형 왕복 운동을 수행한 이후, 제 2 및 제 4 영역(a2, a4)의 세척을 위하여 우측 하부 노즐(340)에서 세척수가 분사되며 베인(400)이 제 1 위치(P1)와 제 2 위치(P2)의 사이(즉, 세척조(30)의 전측 및 후측)에서 선형 왕복 운동을 수행하도록 구동부(7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어부(730)는 제 2 및 제 4 영역(a2, a4)을 먼저 세척하고 제 3 영역(a3)을 나중에 세척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제 6 경우(Case 6)로서, 복수개의 식기 수납 영역들(a1, a2, a3, a4) 모두에 식기가 수납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복수개의 식기 수납 영역들(a1, a2, a3, a4) 모두에 식기가 수납된 경우(Case 6), 제어부(730)는 좌측 하부 노즐(330) 및 우측 하부 노즐(340)에서 세척수가 분사되며 베인(400)이 제 1 위치(P1)와 제 2 위치(P2)의 사이(즉, 세척조(30)의 전측 및 후측)에서 선형 왕복 운동을 수행하도록 구동부(750)를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제 7 경우(Case 7)로서, 복수개의 식기 수납 영역들(a1, a2, a3, a4)에 식기가 수납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부(730)는 하부 바스켓(12b)에 대한 세척 제어를 수행하지 아니한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1)는 상부 바스켓(12a)에 대해서도 세척 제어를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도 19는 상부 바스켓과 하부 바스켓의 식기 수납 여부에 따른 세척 제어의 수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1)의 제어부(730)는 상부 바스켓(12a)이 반출된 이후, 반입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식기가 상부 바스켓(12a)에 수납된 것으로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하부 바스켓(12b)의 식기 수납 여부는 전술한 도어 식별자(14)의 가려진 일부분을 검출함으로써 판단될 수 있다.
제 1 경우(Case 1)로서, 상부 바스켓(12a)과 하부 바스켓(12b) 모두에 식기가 수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730)는 세척 제어를 수행하지 아니한다.
제 2 경우(Case 2)로서, 상부 바스켓(12a)에는 식기가 수납된 것으로 판단되나, 하부 바스켓(12b)에는 식기가 수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730)는 상부 노즐(311)과 중간 노즐(313)이 상부 바스켓(12a)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구동부(750)를 제어할 수 있다.
제 3 경우(Case 3)로서, 상부 바스켓(12a)에는 식기가 수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나, 하부 바스켓(12b)에는 식기가 수납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730)는 도 18과 관련하여 전술한 하부 바스켓(12b)의 식기 수납 영역 별 세척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구동부(750)를 제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 4 경우(Case 3)로서, 상부 바스켓(12a)과 하부 바스켓(12b)에 모두 식기가 수납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730)는 상부 노즐(311)과 중간 노즐(313)이 상부 바스켓(12a)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구동부(750)를 제어하고, 도 18과 관련하여 전술한 하부 바스켓(12b)의 식기 수납 영역 별 세척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또한 구동부(750)를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하부 바스켓(12b)의 식기 수납 영역이 구분되어 하부 바스켓(12b)의 각 영역 별로 세척수가 공급되는 것을 예로 들어 기술되었으나, 상부 바스켓(12a) 또한 영역이 구분되어 영역 별로 세척수가 공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 나아가, 도시되진 않았으나, 식기 세척기(1)는 식기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오염도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오염도 감지 센서는 세척조(3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식기 세척기(1)가 상부 바스켓(12a)과 하부 바스켓(12b) 별로 오염도를 감지하고, 하부 바스켓(12b)의 각 식기 수납 영역 별로 오염도를 감지하는 경우, 제어부(730)는 각 바스켓(12a) 및 식기 수납 영역의 오염 정도에 따라 세척 수행 시간을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1)가 식기가 수납된 영역에 대해서 세척수를 공급하는 경우, 세척 또는 헹굼 등 세척수의 공급이 필요한 공정에서 식기가 수납된 영역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세척수가 공급됨에 따라 식기의 세척력이 증가할 수 있고, 식기가 수납된 영역에 대해서 선별적으로 세척수가 공급됨에 따라 세척 또는 헹굼 등 공정의 수행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이하,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에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1)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식기 세척기(1)에 관한 전술한 설명은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식기 수납 영역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방법의 일 예시에 관한 순서도이다.
우선, 감지부(720)가 상부 바스켓 식별자(15a) 및 하부 바스켓 식별자(15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면(1110의 "예"), 제어부(730)는 감지부(72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부 바스켓(12a) 또는 하부 바스켓(12b)의 반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바스켓(12a)의 식별자(15a)와 하부 바스켓(12b)의 식별자(15b)가 서로 다른 색상 또는 다른 패턴을 갖는 경우, 제어부(720)는 감지부(720)가 촬영한 영상을 기초로 상부 바스켓(12a)의 식별자(15a)와 하부 바스켓(12b)의 식별자(15b)를 구분함으로써 상부 바스켓(12a) 또는 하부 바스켓(12b)의 반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하부 바스켓(12b)의 식별자(15b)가 감지되고(1120의 "예"), 하부 바스켓 식별자(15b)가 도어(11)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떨어진 어느 한 지점에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730)는 하부 바스켓(12b)이 완전 반출된 것으로서 판단할 수 있다(1130).
그리고, 제어부(730)는 하부 바스켓 식별자(15b)가 도어(11)에 가까운 방향으로 이동하여 하부 바스켓(12b)이 반입되기 시작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1140의 "예), 감지부(720)의 도어 식별자(14) 및 하부 바스켓 식별자(15b)에 대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하부 바스켓(12b)에 식기가 수납된 영역을 판단한다(1160).
그리고, 제어부(730)는 감지부(720)의 감지 결과 하부 바스켓 식별자(15b)가 더 이상 감지되지 않는 경우(즉, 하부 바스켓(12b)이 완전 반입된 경우), 판단된 식기 수납 영역에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구동부(750)를 제어할 수 있다(1170). 이 경우, 구동부(750)는 제어부(7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좌측 하부 노즐(330) 및 우측 하부 노즐(340) 중 식기 수납 영역에 대응하는 적어도 어느 하나로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분배 장치(200)를 구동할 수 있고, 식기 수납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세척조(3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을 수행하도록 베인(400)을 구동할 수 있다.
반면, 상부 바스켓(12a)의 식별자(15a)가 감지되고(1120의 "아니오"), 감지부(72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부 바스켓 식별자(15a)가 반출된 이후, 반입이 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1180), 제어부(730)는 상부 바스켓(12a)에도 중간 노즐(313)을 통해 분배 장치(200)가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구동부(750)를 제어할 수 있다(1190).
이하, 감지부(720)의 도어 식별자(14) 및 하부 바스켓 식별자(15b)에 대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하부 바스켓(12b)에 수납된 식기의 영역을 판단하는 방법(1160)의 구체적인 단계들을 설명한다.
도 2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식기 수납 영역을 판단하는 방법의 일 예시에 관한 순서도이다.
우선, 제어부(730)는 하부 바스켓 식별자(15b)의 좌표를 판단한다(1161). 여기서, 하부 바스켓 식별자(15b)의 좌표는 도어(11)의 후측 일단으로부터(즉, 세척조(30)의 전방 개구로부터) 하부 바스켓 식별자(15b)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y좌표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730)는 식기에 의해 도어 식별자(14)가 가려지는 일부분의 좌표를 또한 판단한다(1162). 여기서, 도어 식별자(14)가 가려지는 일부분의 좌표는 도어(11)의 우측단으로부터 도어 식별자(14)가 가려지는 일부분까지의 최단 거리와 최장 거리를 나타내는 x좌표일 수 있고, 제어부(730)는 도어 식별자(14)가 가려지는 일부분까지의 최단 거리와 최장 거리의 차를 이용하여 도어 식별자(14)가 가려지는 일부분의 너비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어서, 제어부(730)는 하부 바스켓 식별자(15b)의 y좌표 및 도어 식별자(14)가 가려지는 일부분의 x좌표에 기초하여 식기 수납 영역을 판단한다(1163). x좌표와 y좌표에 기초하여 식기 수납 영역을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부(730)는 이와 같은 하부 바스켓 식별자(15b)의 좌표 판단 및 도어 식별자(14)가 가려지는 일부분의 좌표 판단 과정을 하부 바스켓(12b)이 완전 반입될 때까지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다(1160). 이에 따라, 제어부(730)는 하나 이상의 식기 수납 영역을 판단할 수 있게된다.
한편, 도 21에서는 하부 바스켓 식별자(15b)의 좌표를 먼저 판단하고(1161) 도어 식별자(14)가 가려지는 일부분의 좌표를 이후에 판단하는 것(1162)으로서 기술되었으나, 그 순서는 이에 구속되지 아니한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식기 세척기
51: 순환 펌프
52: 배수 펌프
49: 급수 밸브
710: 입력부
720: 감지부
730: 제어부
740: 메모리
750: 구동부
200: 분배 장치
400: 베인

Claims (20)

  1. 도어 식별자가 부착된 도어;
    상기 도어에 의해 전방 개구가 개폐되는 세척조가 내부에 마련되는 본체;
    상기 세척조 내부에 출입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식기를 수납하고 바스켓 식별자가 부착된 바스켓;
    상기 바스켓 식별자와 상기 도어 식별자를 감지하는 감지부;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노즐;
    상기 세척조 내부에서, 분사된 세척수를 반사시키는 베인;
    상기 베인을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바스켓의 식기 수납 영역 별로 세척이 수행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식기가 수납된 식기 수납 영역을 판단하고, 상기 식기가 수납된 식기 수납 영역이 세척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식기 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 식별자와 상기 도어 식별자는 각각 상기 제어부에 의해 구분되는 색상 또는 패턴을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 식별자는 상기 바스켓의 전방에 마련되고,
    상기 도어 식별자는 상기 도어 내측면에 마련되는 식기 세척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본체 상단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의 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바스켓 식별자의 위치 정보와 상기 도어 식별자가 가려지는 일부분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도어 식별자가 가려지는 일부분의 위치 정보는 상기 도어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도어 식별자가 가려지는 일부분까지의 x좌표를 포함하고,
    상기 바스켓 식별자의 위치 정보는 상기 세척조의 전방 개구로부터 상기 바스켓 식별자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y좌표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식별자의 위치 정보는 상기 도어 식별자가 가려지는 일부분의 너비 정보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은 네 개의 식기 수납 영역을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식기가 수납된 복수개의 식기 수납 영역을 판단하는 식기 세척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세척수가 저수된 섬프; 및
    상기 복수개의 노즐에 상기 섬프에 저수된 세척수를 공급하는 분배 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분배 장치를 구동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노즐 중 상기 식기가 수납된 식기 수납 영역에 대응하는 노즐이 상기 세척수를 상기 식기가 수납된 식기 수납 영역에 분사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식기 세척기.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노즐은 상기 세척조의 하부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베인은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노즐의 세척수 분사 방향을 따라 선형 왕복 운동을 수행하는 식기 세척기.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은 상부 바스켓과 하부 바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바스켓과 상기 하부 바스켓에는 상호 구분되는 바스켓 식별자가 각각 부착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상부 바스켓의 바스켓 식별자와 상기 하부 바스켓의 바스켓 식별자를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 바스켓의 바스켓 식별자에 대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상부 바스켓의 반출 또는 반입을 판단하고, 상기 하부 바스켓의 바스켓 식별자에 대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하부 바스켓의 반출 또는 반입을 판단하는 식기 세척기.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스켓이 상기 세척조에 반입되는 경우 상기 식기가 수납된 식기 수납 영역을 판단하는 식기 세척기.
  13. 복수개의 노즐, 상기 복수개의 노즐로부터 분사된 세척수를 반사시키는 베인, 및 상기 베인을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식기를 수납하는 바스켓에 부착된 바스켓 식별자를 감지하는 단계;
    도어에 부착된 도어 식별자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하는 단계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바스켓의 식기 수납 영역 별로 세척이 수행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식기가 수납된 식기 수납 영역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식기가 수납된 식기 수납 영역이 세척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가 수납된 식기 수납 영역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바스켓 식별자의 위치 정보와 상기 도어 식별자가 가려지는 일부분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바스켓 식별자의 위치 정보와 상기 일부분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식기가 수납된 식기 수납 영역을 판단하되,
    상기 도어 식별자가 가려지는 일부분의 위치 정보는 상기 도어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도어 식별자가 가려지는 일부분까지의 x좌표를 포함하고,
    상기 바스켓 식별자의 위치 정보는 상기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세척조의 전방 개구로부터 상기 바스켓 식별자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y좌표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식별자의 위치 정보는 상기 도어 식별자가 가려지는 일부분의 너비 정보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은 상부 바스켓과 하부 바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식별자를 감지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상부 바스켓의 바스켓 식별자에 대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상부 바스켓의 반출 또는 반입을 판단하고, 상기 하부 바스켓의 바스켓 식별자에 대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하부 바스켓의 반출 또는 반입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식별자를 감지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바스켓이 반입되는 것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 식별자와 상기 도어 식별자는 서로 구분되는 색상 또는 패턴을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 세척기는 상기 복수개의 노즐에 상기 세척수를 공급하는 분배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식기가 수납된 식기 수납 영역이 세척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노즐 중 상기 식기가 수납된 식기 수납 영역에 대응하는 노즐이 상기 세척수를 상기 식기가 수납된 식기 수납 영역에 분사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구동부가 상기 분배 장치를 구동하여 상기 식기가 수납된 식기 수납 영역에 상기 세척수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 세척기는 상기 식기 세척기의 본체 상단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의 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스켓 식별자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가 상기 바스켓 식별자를 감지하고,
    상기 도어 식별자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가 상기 도어 식별자를 감지하는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KR1020170000918A 2017-01-03 2017-01-03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632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918A KR102632049B1 (ko) 2017-01-03 2017-01-03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US16/475,936 US11497378B2 (en) 2017-01-03 2017-10-30 Dish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EP17890488.4A EP3545810B1 (en) 2017-01-03 2017-10-30 Dishwash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PCT/KR2017/012072 WO2018128258A1 (ko) 2017-01-03 2017-10-30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CN201780087796.0A CN110352030A (zh) 2017-01-03 2017-10-30 餐具清洗机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918A KR102632049B1 (ko) 2017-01-03 2017-01-03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039A KR20180080039A (ko) 2018-07-11
KR102632049B1 true KR102632049B1 (ko) 2024-02-02

Family

ID=62789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918A KR102632049B1 (ko) 2017-01-03 2017-01-03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497378B2 (ko)
EP (1) EP3545810B1 (ko)
KR (1) KR102632049B1 (ko)
CN (1) CN110352030A (ko)
WO (1) WO20181282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3700B (zh) * 2019-05-17 2022-01-18 上海宿趣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rfid识别的智能洗碗机
US11058281B2 (en) * 2019-06-20 2021-07-13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including rack position sensor to control capture of rack images by a camera
US11737638B2 (en) * 2021-03-16 2023-08-29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ishwasher appliance with camera for determination of door posi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38092A1 (en) 2010-12-01 2012-06-07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imaging device for measuring load characteristic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34931C1 (de) 1999-07-26 2000-12-28 Zeiss Carl Jena Gmbh Einrichtung zur Horizontal- und Vertikaleinstellung an geodätischen Geräten
US6463940B1 (en) * 2000-04-13 2002-10-15 Ecolab Inc. Smart rack and machine system
DE10048088A1 (de) 2000-09-28 2002-04-11 Miele & Cie Verfahren zur Erkennung der Beladung einer programmgesteuerten Geschirrspülmaschine mit Spülgut und Geschirrspülmaschin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DE102004035847A1 (de) * 2004-07-23 2006-03-2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r Erkennung der Spülgutbeladung und Geschirrspülmaschine
KR101071831B1 (ko) 2004-12-30 2011-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유아 출입 방지장치
EP1925250A1 (en) 2006-11-23 2008-05-28 Electrolux Home Products N.V. Dishwasher with an alarm device
US7935194B2 (en) 2007-08-27 2011-05-03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targeted sensing
KR101054435B1 (ko) * 2008-11-10 2011-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KR102128283B1 (ko) * 2013-11-11 2020-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83802B1 (ko) * 2013-12-31 2020-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38092A1 (en) 2010-12-01 2012-06-07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imaging device for measuring load characteristic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352030A (zh) 2019-10-18
EP3545810A1 (en) 2019-10-02
WO2018128258A1 (ko) 2018-07-12
EP3545810B1 (en) 2022-06-01
EP3545810A4 (en) 2019-10-02
US20190343367A1 (en) 2019-11-14
KR20180080039A (ko) 2018-07-11
US11497378B2 (en) 2022-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4918B2 (en) Dish wash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2402029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US9649008B2 (en) Dish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632049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US20080289654A1 (en) Dish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1268756B1 (ko) 식기 세척기, 식기 세척기의 린스투입장치 및 방법
US20230113405A1 (en) Dishwasher with image-based detergent sensing
US10753033B2 (en) Laundry handling apparatus
KR102127709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EP2772175B1 (en) Dishwasher
US20080236622A1 (en) Control method of dish washing machine
KR102443320B1 (ko)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제어방법
JP2003265398A (ja) 食器洗浄方法および食器洗浄装置
JP3799747B2 (ja) 食器洗浄機
US20130174877A1 (en) Low speed drain delay
KR102422900B1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13909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208297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07405A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30291895A1 (en) Dishwashing appliance with ph controlled cycles
JP2019165818A (ja) 食器洗浄機
CN106319840A (zh) 滚筒洗衣机及其漂洗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