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8901A - 보철 부품 - Google Patents

보철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8901A
KR20140138901A KR1020147028440A KR20147028440A KR20140138901A KR 20140138901 A KR20140138901 A KR 20140138901A KR 1020147028440 A KR1020147028440 A KR 1020147028440A KR 20147028440 A KR20147028440 A KR 20147028440A KR 20140138901 A KR20140138901 A KR 20140138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ical
prosthetic component
component
prosthesis
prosth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8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0671B1 (ko
Inventor
마르코 아이레디
멜라니 스탄겔
Original Assignee
발데마르 링크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데마르 링크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filed Critical 발데마르 링크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Publication of KR20140138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8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0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0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8Joints for elbows or knees
    • A61F2/3859Femoral compon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072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8Joints for elbows or knees
    • A61F2/3836Special connection between upper and lower leg, e.g. constrained
    • A61F2/384Special connection between upper and lower leg, e.g. constrained hinged, i.e. with transverse axle restricting the movement
    • A61F2/385Special connection between upper and lower leg, e.g. constrained hinged, i.e. with transverse axle restricting the movement also provided with condylar bearing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108Shapes
    • A61F2002/30199Three-dimensional shapes
    • A61F2002/30205Three-dimensional shapes con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329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002/30331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made by longitudinally pushing a protrusion into a complementarily-shaped recess, e.g. held by friction fit
    • A61F2002/30332Conically- or frustoconically-shaped protrusion and rec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329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002/30331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made by longitudinally pushing a protrusion into a complementarily-shaped recess, e.g. held by friction fit
    • A61F2002/30332Conically- or frustoconically-shaped protrusion and recess
    • A61F2002/30336Stepped cones, i.e. having discrete diameter cha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329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002/30331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made by longitudinally pushing a protrusion into a complementarily-shaped recess, e.g. held by friction fit
    • A61F2002/30362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made by longitudinally pushing a protrusion into a complementarily-shaped recess, e.g. held by friction fit with possibility of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protrusion and the recess
    • A61F2002/30364Rotation about the common longitudinal axis
    • A61F2002/30367Rotation about the common longitudinal axis with additional means for preventing said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329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002/30405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made by screwing complementary threads machined on the parts themse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329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002/30476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locked by an additional locking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316The prosthesis having different structural features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Connections between prosthetic parts; Special structural features of bone or joint prosthe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F2002/30329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 A61F2002/30476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locked by an additional locking mechanism
    • A61F2002/30507Connections or couplings between prosthetic parts, e.g. between modular parts; Connecting elements locked by an additional locking mechanism using a threaded locking member, e.g. a locking screw or a set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38Joints for elbows or knees
    • A61F2/3859Femoral components
    • A61F2002/3863Condyles fitted on an anchored ba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보적인 원추형 보어(30)를 갖는 추가적인 보철 부품(3)에 연결하기 위해 원추형 돌출부(10)를 갖는 보철 부품(1)에 관한 것이며, 상기 원추형 돌출부(10)는 고정 요소(40)와 결합하기 위해 횡방향 리세스(12)를 가지며, 또한 원추형 돌출부(10)를 갖는 보철 부품(1)은 제거 가능한 원추 부착부(20)를 가지며, 상기 원추 부착부는 고정 요소(0)의 결합을 위해 횡방향 리세스(21)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보철 부품(1)을 갖는 보철물(4)과, 보철 부품(1)이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되어 있는 보철 부품(1, 3, 3')의 세트(5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철 부품{PROSTHESIS PART}
본 발명은 보철(prosthesis) 부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추가적인 보철 부품으로의 연결을 위한 보철 부품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뼈 및 관절은 예를 들어 질병 또는 사고의 결과로서 손상되었다면 보철물, 즉 인공삽입물로 대체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환자가 자신의 뼈 구조의 본래의 기능성을 되찾는 것이 가능하다. 대응하는 보철물이 일반적으로 환자의 신체에 영구적으로 남아있기 때문에, 관내 보철물(endoprosthesis)이라고도 한다.
대응하는 보철물은 필요에 따라 조립될 수 있는 보통 2개 또는 그 이상의 부품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보철물은 예를 들어 주 보철 부품 및 보철 헤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런 다부품 보철물은 따라서 특정한 환자에 적합한 보철물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몇 개의 호환 가능한 개별적인 부품들이 서로 광범위하게 조합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따라서, 보철물은 특별히 한 명의 환자를 위해서 생산되어서는 안되지만, 그러나 현장에서(in situ), 심지어는 보철물의 이식을 위한 외과 수술 중이라도, 환자의 상황에 맞출 수도 있다
더욱이, 수많은 보철 부품으로부터 보철물을 현장(in situ) 조립할 수 있는 가능성으로 인해, 보철물의 이식을 위한 외과적 준비는 덜 극단적일 수 있다. 확신이 안 서면, 사람들은 단지 개별적인 보철 부품에 의해 교체될 뼈 물질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사람들은 흔히 궁극적으로는 보철물이 없거나, 아니면 있을 수 있다 해도 더 작은 부분이 이식된 상태로 위치된 뼈 지역을 통해 보철물의 부분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임의의 추가적인 뼈를 제거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실제로, 개별적인 보철 부품은 일반적으로 서로 분리되어 이식될 수 있으며 또한 단지 나중에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의심스러운 외과의사는 취급하기가 어려울 수 있는 단일의 보철물 대신에 복수개의 작은 일반적으로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보철 부품을 이식해야 하기 때문에, 또한 단지 이들을 나중에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그 작업이 상당히 용이해진다.
종래 기술에서는 단일의 보철물을 형성하기 위해 개별적인 보철 부품을 단단히 상호연결하기 위한 다양한 가능성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보철 부품은 상보적인(complementary) 원추형 보어(bore)를 갖는 추가적인 보철 부품에 연결하기 위한 원추형 돌출부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바람직하지 않은 느슨함에 대해 대응하는 원추형 연결부가 로킹 나사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기에서, 상기 로킹 나사는 하나의 보철 부품의 보어를 통해 통과되며, 그리고 다른 보철 부품상의 오목부(indentation) 또는 보어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철 부품 및 보철물의 원추형 연결부를 개선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보철 부품, 보철물, 및 청구항 1, 7, 및 10 에 따른 적어도 3개의 보철 부품을 포함하는 세트에 의해 달성된다. 유리한 추가적인 개선 기술이 다른 종속항으로부터 나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보적인 원추형 보어를 갖는 추가적인 보철 부품에 연결하기 위해 원추형 돌출부를 갖는 보철 부품에 관한 것이며, 상기 원추형 돌출부는 고정 요소의 결합을 위해 횡방향 리세스(recess)를 가지며, 또한 상기 보철 부품은 고정 요소의 결합을 위해 횡방향 리세스를 갖는 제거 가능한 원추 부착부(cone attachment)를 갖는 원추형 돌출부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원추형 돌출부를 갖는 발명에 따른 보철 부품, 상보적인 원추형 보어 및 고정 요소를 갖는 보철 부품을 포함하는 보철물에 관한 것이며, 상기 보철 부품은, 고정 요소가 원추형 보어를 갖는 보철 부품 내로 삽입된 원추형 돌출부를 갖는 보철 부품의 제거 가능한 원추 부착부의 횡방향 리세스와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 요소가 통과되는 관통-구멍을 갖는 원추형 보어를 가지며, 상기 고정 요소는 무두(headless) 나사이며, 그 길이는 제거 가능한 원추 부착부 또는 원추형 돌출부를 갖는 보철 부품이 누락(miss)되었다면 이것이 고정 나사가 원추형 보어를 갖는 보철 부품의 내부 내로 통과되도록 관통-구멍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선택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원추형 돌출부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보철 부품, 상보적인 원추형 보어를 갖는 제2 및 제3 보철 부품을 포함하는 세트에 관한 것이며, 상기 제2 보철 부품은 제2 보철 부품 내로 삽입된 제1 보철 부품의 제거 가능한 원추 부착부의 횡방향 리세스와 고정 요소가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 요소가 통과되는 관통-구멍을 가지며, 또한, 제3 보철 부품은, 제3 보철 부품 내로 삽입될 수 있는 제1 보철 부품의 원추형 돌출부의 횡방향 리세스와 고정 요소가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 요소가 통과되는 관통-구멍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보철 부품은 고정 요소의 결합을 위한 가능성으로서 원추형 돌출부상의 횡방향 리세스와 함께 제거 가능한 원추 부착부상에 다른 횡방향 리세스도 갖기 때문에, 이것은 추가적인 보철 부품과 극도로 가요적으로 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보철 부품은 예를 들어 원추형 보어가 얇은 벽으로 제조되는, 즉 보어를 둘러싸는 벽이 얇은 보철 부품과 조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얇은 벽으로 제조된 원추형 보어에 의해, 원추형 돌출부를 갖는 보철 부품상의 횡방향 리세스와 결합하도록, 고정 요소가 통과될 수 있는 관통-구멍이 제공될 수 없다. 특히, 대응하는 관통-구멍만으로는, 인장력이 원추형 연결부에 가해지는 경우에 전단(shear)되지 않는다는 것을 충분히 보장할 수 없다. 얇은-벽 형태의 원추형 보어인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보철 부품에 의해, 고정 요소는 본 발명에 따른 보철 부품의 원추 부착부상의 횡방향 리세스와도 결합할 수 있다. 그후, 고정 요소는 추가된 보철 부품의 얇은-벽 형태의 지역을 통해 더 이상 안내될 필요가 없다. 실제로, 이 목적을 위해 제공된 관통-구멍은 일반적으로 얇은 벽을 갖지 않는 원추형 보어로부터 먼 지역을 통해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원추형 연결부의 고정은 얇은-벽 형태의 원추형 보어를 갖는 보철 부품에도 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철 부품이 원추형 보어가 두꺼운 벽으로 제조된 추가적인 보철 부품에 연결되는 경우에 있어서, 이 추가적인 보철 부품상의 관통-구멍을 통해 안내된 고정 요소는 원추형 돌출부상의 횡방향 리세스와 직접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에 관해, "두꺼운-벽 형태(thick-walled)"는, 고정 요소가 통과되는 관통-구멍의 지점에서, 예상되는 최대 하중(선택적으로, 안전 요소를 더한)을 받을 때 관통-구멍이 전단될 것으로 예상되지 않도록, 벽이 충분한 벽 두께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철 부품 및 두꺼운-벽 형태의 원추형 보어를 갖는 추가적인 보철 부품이 서로 연결되기 전에, 제일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보철 부품으로부터 원추 부착부가 제거될 수 있다. 원추 부착부가 제거 가능하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이것은 용이하게 가능하다. 또한, 원추 부착부의 제거는 원추 부착부를 수용하기 위해 공동이 제공되지 않거나 또는 추가적인 보철 부품에 구성으로 인해 대응하는 공동이 생성될 수 없는 추가적인 보철 부품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보철 부품을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보철 부품은 복수개의 추가적인 보철 부품 타입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철 부품은 여기에서 추가적인 보철 부품의 구성과는 독립적으로 횡방향 리세스에서 고정 요소의 결합에 의한 고정이 보장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철 부품이 원추형 연결부의 다양한 고정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이것은 극도로 가요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추가적인 보철 부품과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철 부품의 원추형 돌출부상에 고정 요소의 결합을 위한 횡방향 리세스는 바람직하게 원추 축선(axis)과 직교하여 정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세스는 원주방향 오목부 또는 홈의 형태일 수 있지만, 그러나 막힌 구멍(blind hole)의 형태일 수도 있다.
원추 부착부는 바람직하기로는 회전 가능하게 대칭인 것이 좋고, 또한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그 형태가 원통형인 것이 좋다. 원추 부착부상의 리세스는 바람직하게 그 축선과 직교하여 정렬되며, 또한 예를 들어 원주방향 오목부 또는 홈의 형태이거나 또는 막힌 구멍의 형태일 수 있다. 조립된 상태에서 원추 부착부의 대칭 축선은 원추형 돌출부의 축선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원추 부착부는 나사 연결부에 의해 제거 가능할 정도로 원추 부착부에 연결된다. 나사 연결부는 원추형 돌출부로부터 원추 부착부의 간단한 해제 가능성 또는 제거 가능성과 동시에 고정 연결이라는 장점을 제공한다. 원추 부착부는 나사 형태의 연장부를 가질 수 있으며, 또한 원추형 돌출부는 나사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해 내측 나선(thread)을 구비한 막힌 구멍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보철 부품과 함께 추가적인 보철 부품도 포함하는 보철물에 관한 것이다. 추가적인 보철 부품은 먼저 언급한 보철 부품의 원추형 돌출부에 상보적인 원추형 보어를 갖는다. 달리 말하면, 2개의 보철 부품은 원추형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도록 설계된다.
추가적인 보철 부품에, 고정 요소가 통과되는 관통-구멍이 제공되는데, 그 관통-구멍은, 2개의 보철 부품이 서로 연결된다면, 관통-구멍을 통과한 고정 요소가 본질적으로 다른 보철 부품의 원추 부착부상의 횡방향 리세스와 결합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고정 요소는 바람직하게 무두 나사이다. 무두 나사를 안내하기 위해, 원추형 보어를 갖는 보철 부품의 관통-구멍은 무두 나사의 외측 나선이 결합할 수 있는 적어도 부분적인 내측 나선을 가질 수 있다.
무두 나사의 길이는 원추형 돌출부를 갖는 보철 부품상의 제거 가능한 원추 부착부가 누락된다면, 원추형 보어를 갖는 보철 부품의 내부 내로 고정 요소를 통과시키기 위해, 이것이 관통-구멍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도록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무두 나사는 대응하는 보철 부품의 원추형 보어 내로 또는 다른 공동 내로 떨어질 수 있다.
보철물의 2개의 보철 부품이 조립된다면, 즉 원추형 연결부가 2개의 보철 부품들 사이에 설치된다면, 원추형 돌출부를 갖는 보철 부품상에 원추 부착부가 있는지의 여부는 더 이상 명확하지 않다. 그후, 원추형 연결부를 다시 해제하지 않고서는 시각적 체크가 더 이상 가능하지 않다. 무두 나사의 길이가 서술된 바와 같이 선택되기 때문에, 원추 부착부가 누락되는 경우에, 외과의사에게 이것의 명확한 표시를 제공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 요소 또는 무두 나사는 조여질 수 없을 것이지만, 그러나 실제로는 추가적인 보철 부품의 원추형 보어 또는 이에 상당하는 공동 내로 떨어질 것이다. 이 방법으로, 원추 부착부가 누락되었으며 또한 2개의 보철 부품들 사이의 원추 연결부가 고정되지 않았음이 외과의사에게 표시된다.
전술한 보철물에 있어서, 하나의 보철 부품의 원추형 보어가 얇은 벽으로 명확하게 제조될 수 있다. 즉, 고정 요소를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구멍이 원추형 보어를 둘러싸는 벽을 통해 인도되어서는 안되지만, 그러나 오히려 관통-구멍의 전단이 예상되지 않는 보철 부품의 상이한 지역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장점은 또한 두말한 나위 없이 두꺼운 벽으로 제조된 추가적인 보철 부품에서 원추형 보어를 갖는 보철물에도 발생한다.
원추형 돌출부를 갖는 보철 부품은 바람직하게 보철물 축(shaft)일 수 있으며, 또한 원추형 보어를 갖는 보철 부품은 바람직하게 보철물 조인트 또는 보철물 조인트의 부분이다.
무두 나사는 바람직하게 프리-텐셔닝(pre-tensioning)이 원추형 연결부에 발생되도록 원추 부착부상의 리세스와 결합될 수 있는 테이퍼진(tapered) 팁을 갖는다. 경사진 평면의 원리에 따라, 무두 나사의 축선을 따라 변위가 있다면(일반적으로 무두 나사를 회전시킴으로써) 또한 원추 부착부의 리세스와의 상호작용이 있다면, 테이퍼진 팁은 원추형 연결부에 2개의 보철 부품의 상대 이동을 방지하는 프리-텐셔닝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테이퍼진 팁은 원추 부착부의 리세스의 엣지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리세스가 무두 나사의 테이퍼진 팁과 상보적인 미끄럼 표면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원추형 돌출부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보철 부품, 및 상보적인 원추형 보어를 각각 갖는 제2 및 제3 보철 부품을 포함하는 세트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제1 보철 부품은 제2 및 제3 부분 모두에 원추형 연결부를 설정할 수 있다.
제2 보철 부품은 제1 보철 부품이 삽입될 때 고정 요소가 원추 부착부의 횡방향 리세스와 결합할 수 있도록, 고정 요소가 통과되는 관통-구멍을 갖는다. 제2 보철 부품의 원추형 보어는 얇은 또는 두꺼운 벽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제3 보철 부품은 제1 보철 부품이 삽입될 때 고정 요소가 원추형 돌출부의 횡방향 리세스와 결합할 수 있도록, 고정 요소가 통과되는 관통-구멍을 갖는다. 제1 보철 부품상에 원추 부착부를 수용하기 위해 공동이 제3 보철 부품에 제공된다. 그러나, 제3 보철 부품에 대응하는 공동이 없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 원추 부착부는 제1 및 제3 보철 부품이 연결될 수 있도록 그후 제1 보철 부품으로부터 제거되어야만 한다.
제3 보철 부품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와는 무관하게, 제1 보철 부품은 선택적으로 제2 또는 제3 보철 부품에 연결될 수 있으며, 또한 고정 요소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보철 부품은 그 사용에 있어서 극도로 가요적인데, 그 이유는 이것이 원추형 보어를 갖는 보철 부품의 상이한 구성에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세트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요소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고정 요소는 바람직하게 무두 나사이다. 또한, 고정 요소가 선택적으로 제2 또는 제3 보철 부품에 사용될 수 있도록 제2 및 제3 보철 부품의 관통-구멍이 동일한 직경을 구비한 적어도 부분적인 내측 나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두 나사는 프리-텐셔닝이 원추 연결부에 발생되도록, 바람직하게 원추 부착부상의 또는 원추형 돌출부상의 리세스와 결합될 수 있는 테이퍼진 팁을 갖는다. 경사진 평면의 원리에 따라, 무두 나사의 축선을 따라 변위가 있다면(일반적으로 무두 나사를 회전시킴으로써) 또한 원추 부착부의 또는 원추형 돌출부상의 리세스와의 상호작용이 있다면, 테이퍼진 팁은 원추형 연결부에 2개의 보철 부품의 상대 이동을 방지하는 프리-텐셔닝을 발생시킬 수 있다. 테이퍼진 팁은 여기에서 원추 부착부의 또는 원추형 돌출부상의 리세스의 엣지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각각의 리세스가 테이퍼진 팁과 상보적인 미끄럼 표면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는 보철 부품, 보철물, 또는 보철 부품의 세트와 함께 설명된 본 발명의 개별적인 양태가 본 발명의 각각의 다른 주제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이하에서는 다음과 같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보철 부품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상이한 도면들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로부터의 보철 부품이 연결될 수 있는 추가적인 보철 부품의 3개의 예시적인 실시예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보철물의 예시적인 실시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철물의 추가적인 예시적인 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철 부품의 세트의 예시적인 실시예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보철 부품(1)을 도시하고 있다. 도 1a는 여기에서 측면도이며, 도 1b 및 1c는 도 1a에서 절단선 Ⅰ-Ⅰ을 따른 단면 도시를 나타내고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단지 부분적으로 도시된 보철물 축(2)으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보철 부품(1)은 원추형 돌출부(10)를 갖는다. 이 원추형 돌출부(10)에 의해, 보철 부품(1)을 추가적인 보철 부품(3)(도 2 참조)에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대응하는 원추형 연결부가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되어 있으며, 또한 이에 관해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또한, 보철 부품(1)은 예를 들어 추가적인 보철 부품(3)(도 2 참조)의 포지셔닝 혀 형상부(tongue)(31)가 그에 따라 원추형 연결부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결합할 수 있는 2개의 오목부(11)를 갖는다.
이들 오목부의 바닥에서, 고정 요소(40)(도 4 참조)가 결합할 수 있는 리세스(12)가 각각 제공된다. 이들 리세스(12)는 테이퍼진 바닥(13)을 갖는 막힌 구멍의 형태이다. 그러나, 물론 바닥(13)이 수평 및/또는 경사지는 것도 가능하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리세스들(12)은 이들이 돌출부(10)의 원추형 표면 위에 배치되지 않더라도 원추형 돌출부(10)에 명확하게 할당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원추형 돌출부는 실제로 원추형인 지역 뿐만 아니라 원추형 연결부의 형성 및 고정에 기본적인 요소 및 특징부도 포함한다.
또한, 원추 부착부(20)가 원추형 돌출부(10)상에 제공된다. 이 원추 부착부(20)는 제거 가능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또한 형상이 회전 가능하게 대칭일 수 있다. 원추 부착부(20)가 원추형 돌출부(10)에 조여진다면, 그 대칭 축선은 원추형 돌출부(10)의 축선과 일치한다(도 1a 및 1b 참조)
원추 부착부(20)는 원주방향 홈(21)을 가지며, 그 바닥(22)이 테이퍼진다. 그러나, 홈 바닥이 수평 및/또는 경사지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또한 원추 부착부(20)는 나사형 연장부(23)를 가지며, 이에 의해 이것은 나사형 보어(14)에 의해 원추형 돌출부(10)에 조여질 수 있다. 필수적일 수 있는 원추 부착부(20)의 제거를 촉진시키기 위해, 모듈형 오목부(24)도 앨런 키이(Allen key)의 결합을 위해 제공된다. 적절한 공구를 사용함으로써, 원추 부착부(20)가 보철 부품(1) 또는 원추형 돌출부(10)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도 1c에 있어서, 보철 부품(1)은 원추 부착부(20)가 제거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2a 내지 도 2c에 있어서, 3개의 추가적인 보철 부품(3)이 예로서 도시되어 있으며, 이것에 도 1a 내지 도 1c로부터의 보철 부품(1)이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추가적인 보철 부품(3)의 모두에 슬관절(knee joint) 보철물의 대퇴 삽입물(femoral component)이 있다.
도 2a 내지 도 2c로부터의 모든 보철 부품(3)은 원추형 보어(30)를 가지며, 또한 이들은 도 1a 내지 도 1c로부터의 보철 부품(1)의 원추형 돌출부(10)와 상보적으로 구성된다. 더욱이, 이들은 보철 부품(1, 3)이 조립된 상태일 때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보철 부품(1)의 원추형 돌출부(10)상의 오목부(11)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혀 형상부(31)를 갖는다. 도시에 관한 기술적인 이유로 인해, 단지 하나의 혀 형상부(31)가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되어 있다.
도 2a에 따른 보철 부품(3)에 있어서, 원추형 보어(30)는 얇은 벽으로 제조되며, 즉 원추형 보어(30)를 둘러싸는 벽(32)은 너무 작아서, 고정 요소(도시되지 않음)가 통과되는 관통-구멍(33)이 전단되지 않기에 충분한 정도로 보장될 수 없는 벽 두께를 갖는다. 실제로, 충분한 벽 두께인 원추형 보어(30)로부터 먼 지역에 대응하는 개구(33)가 배치된다.
내측 나선을 갖는 관통 구멍(33)은 원추형 보어(30)의 바닥상의 공동(34)에서 종료된다. 공동(34)은 도 1a 및 1b로부터의 보철 부품(1)의 원추형 돌출부(10)상에 원추 부착부(20)를 보유하도록 설계된다. 관통-구멍(33)을 통해 통과되는 고정 요소는 도 2a로부터의 보철 부품(3)과 도 1a 및 1b에 따른 보철 부품 사이에 원추형 연결부를 고정하기 위해, 원추 부착부(20)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이것이 하기에 더욱 상세히 서술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34)은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공동(34)이 원추형 보어(30)의 연장부로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b에 있어서, 원추형 보어(30)를 갖는 추가적인 보철 부품(3)이 도시되어 있다. 도 2a의 보철 부품(3)과는 달리, 그러나 여기에서의 원추형 보어(30)는 두꺼운 벽으로 제조된다. 따라서, 원추형 보어(30)를 둘러싸는 벽(32)은 이 관통-구멍(33)이 전단될 그 어떤 위험 없이 관통-구멍(33)이 고정 요소(도시되지 않음)를 통과하는 것을 제공할 수 있도록 충분히 두껍다.
도 2b에 따른 보철 부품(3)에 있어서, 혀 형상부(31)의 지역에 각각 제공되며 또한 도 2a로부터의 보철 부품(3)의 관통-구멍(33)의 내측 나선에 대응하는 나선을 갖는 2개의 관통-구멍(33)이 제공된다. 도시에 관한 기술적인 이유로 인해, 단지 하나의 혀 형상부(31) 및 하나의 관통-구멍(33)이 도 2b에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관통-구멍(33)은 대응하는 원추 연결부를 고정하기 위해, 관통-구멍들(33) 중 하나를 통해 안내된 고정 요소(도시되지 않음)가 도 1a-c로부터의 보철 부품(1)의 원추형 돌출부(10)상의 리세스들(12) 중 하나와 결합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도 2b에 따른 보철 부품(3)은 도 1a 및 도 1b로부터의 보철 부품(1)의 원추 부착부(20)를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설계된 공동(34)을 갖는다. 도 2b에 따른 보철 부품(3)에서 도 1a, 도 1b, 및 도 2b에 따른 보철 부품들 사이에 원추형 연결부를 고정하는데 원추 부착부(20)가 요구되지 않더라도, 원추 부착부(20)는 도 1a 및 1b에 따른 보철 부품(1)의 원추형 돌출부(10)로부터 필수적으로 제거되어서는 안된다.
도 2c에 따른 보철 부품(3)은 도 2b의 보철 부품과 광범위하게 대응하며, 또한 이것은 이에 관해 이루어진 언급에 기준이 있어야만 하는 이유이다. 그러나, 도 3c에 따른 보철 부품(3)에는 원추 부착부(20)를 수용하기 위한 공동(34)(도 2b 참조)이 없다. 도 1a 내지 도 1c에 따른 보철 부품(1)이 도 2c로부터의 보철 부품(3)에 연결될 수 있기 전에, 원추 부착부(20)가 보철 부품(1)(도 1c)으로부터 제일 먼저 제거되어야만 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보철물(4)을 형성하기 위해 도 1a, 도 1b, 도 2a로부터의 보철 부품(1, 3)이 어떻게 조립될 수 있는지를 도시하고 있다. 하나의 보철 부품(1)의 원추형 돌출부(20)가 여기에서 추가적인 보철 부품(3)의 원추형 보어(30) 내로 도입된다. 따라서, 이것은 2개의 보철 부품들(1, 3) 사이의 전통적인 원추형 연결부이다. 추가적인 보철 부품(3)상의 혀 형상부(31)는 여기에서 회전이 방지되도록 보철 부품(1)의 오목부(11)와 결합한다.
고정 요소(40)는 관통-구멍(33)을 통해 안내된다. 고정 요소(40)는 관통-구멍(33)의 나선과 결합하는 테이퍼진 팁(42)을 구비한 무두 나사(41)이다. 무두 나사(41)의 반대측상에는 앨런 나사가 결합할 수 있는 모듈형 오목부(도시되지 않음)가 있다. 무두 나사(41)상의 모듈형 오목부는 바람직하게 원추 부착부(20)상의 모듈형 오목부(24)과 동일한 공칭 치수를 가질 수 있다.
고정 요소(40)는 이것이 공동(34)에 위치된 원추 부착부(20)와 접촉하도록 관통-구멍(33)을 통해 충분히 멀리 통과된다. 여기에서, 무두 나사(41)의 테이퍼진 팁(42)은 화살표(90)의 방향으로 원추형 연결부에 프리-텐셔닝 힘이 도입되도록 리세스의 바닥(22)과 상호작용한다.
도 3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무두 나사(41)의 길이는 원추 부착부(20)가 누락되었다면 무두 나사(41)가 관통-구멍(33)으로부터 원추형 보어를 구비한 보철 부품의 내부 내로, 즉 원추형 보어(30)의 공동(34) 내로 떨어지도록 선택된다. 이것이 도 2b에 대응하여 도시되어 있다. 무두 나사(41)가 관통-구멍(33)으로부터 보철 부품(3)의 내부 내로 떨어지기 때문에, 이것은 작업하고 있는 외과의사에게 2개의 보철 부품들(1, 3) 사이의 원추형 연장부가 고정되지 않은 것으로 표시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보철물(4)을 형성하기 위해 도 1c로부터의 보철 부품(1)이 도 2b에 따른 추가적인 보철 부품(3)에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를 도시하고 있다.
원추형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해 하나의 보철 부품(1)의 원추형 돌출부(10)가 여기에서 다른 보철 부품(3)의 원추형 보어(30) 내로 도입되며,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혀 형상부(31)가 오목부(11)와 결합한다.
무두 나사(41)는 2개의 관통-구멍들(33) 중 하나를 통해 고정 요소로서 안내된다. 여기에서, 무두 나사(41)는 화살표(90)의 방향으로 프리-텐셔닝 힘이 발생되도록 보철 부품(1)의 원추형 돌출부(10)상의 리세스(12)의 바닥과 상호작용하는 테이퍼진 팁(42)을 갖는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c 및 도 2b에 따른 보철 부품(1, 3)이 서로 연결된다. 그러나, 도 1c 및 도 2c 또는 도 1a, 도 1b, 및 도 2b에 따른 보철 부품(1, 3)을 대응하는 방식으로 서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보철 부품(1, 3, 3')의 발명에 따른 세트(50)를 도시하고 있다. 제1 보철 부품이 도 1의 보철 부품에 대응하며, 제2 및 제3 보철 부품(3, 3')이 도 2a 및 2b의 보철 부품에 대응한다. 보철 부품(1, 3, 3')의 세트(50)는 고정 요소(40)로서 무두 나사(41)를 추가로 포함한다. 무두 나사(41)가 하나의 보철 부품(3) 및 다른 보철 부품(3')에 모두 사용될 수 있도록 보철 부품(3, 3')의 관통-구멍(33)은 동일한 내측 나선을 갖도록 형성된다. 개별적인 보철 부품(1, 3, 3')을 연결하는 가능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Claims (11)

  1. 상보적인 원추형 보어(30)를 갖는 추가적인 보철 부품(3)에 연결시키기 위한 원추형 돌출부(10)를 가지며, 상기 원추형 돌출부(10)는 고정 요소(40)의 결합을 위해 횡방향 리세스(12)를 갖는 구성으로 된, 보철 부품(1)에 있어서,
    원추형 돌출부(10)를 갖는 보철 부품(1)은 고정 요소(40)의 결합을 위해 횡방향 리세스(21)를 갖는 제거 가능한 원추 부착부(4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철 부품.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보철 부품(1)의 원추형 돌출부(10)상의 고정 요소(40)의 결합을 위한 횡방향 리세스(21)는 원주방향 오목부 또는 막힌 구멍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철 부품.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원추 부착부(20)는 회전 가능하게 대칭인, 바람직하기로는 그 형태가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철 부품.
  4. 청구항 3에 있어서,
    보철 부품(1)의 조립된 상태에서 원추 부착부(2)의 대칭 축선은 원추형 돌출부(10)의 축선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철 부품.
  5.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원추 부착부(20)상의 리세스(21)는 원주방향 오목부 또는 막힌 구멍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철 부품.
  6.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원추 부착부(20)는 나사 연결부에 의해 제거 가능하게 될 정도로 원추형 돌출부(10)에 연결되며, 상기 원추 부착부(20)는 바람직하게 나사 형태의 연장부(23)를 가지며, 원추형 돌출부(10)는 바람직하게 나사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해 내측 나선을 구비한 막힌 구멍(1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철 부품.
  7. 원추형 돌출부(10)를 갖는 청구항 1에 따른 보철 부품(1)과, 상보적인 원추형 보어(30) 및 고정 요소(40)를 갖는 보철 부품(3)을 포함하며; 상기 보철 부품(3)은, 고정 요소(40)가 원추형 보어(30)를 갖는 보철 부품(3) 내로 삽입되는 원추형 돌출부(10)를 갖는 보철 부품(1)의 제거 가능한 원추 부착부(20)의 횡방향 리세스(21)와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 요소(40)가 통과되는 관통-구멍(33)을 갖는 원추형 보어(30)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된, 보철물(4)에 있어서,
    고정 요소(40)는 무두 나사(41)이며, 그 길이는 고정 요소(40)를 원추형 보어(3)를 갖는 보철 부품(3)의 내부 내로 통과시키기 위해 원추 부착부(20) 또는 원추형 돌출부(10)를 갖는 보철 부품(1)이 누락되었다면, 이것이 관통-구멍(33) 내로 떨어질 수 있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철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원추형 돌출부(10)를 갖는 보철 부품(1)은 보철물 축이고, 그리고/또는 원추형 보어(30)를 갖는 보철 부품(3)은 보철물 조인트 또는 보철물 조인트의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철물.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무두 나사(41)는 프리-텐셔닝이 원추형 연결부에 발생되도록 원추 부착부(20)상의 리세스(21)와 결합될 수 있는 테이퍼진 팁(4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철물.
  10. 원추형 돌출부(10)를 갖는 청구항 1에 따른 보철 부품(1), 상보적인 원추형 보어(30)를 각각 갖는 제2 및 제3 보철 부품(3, 3')을 포함하는 세트(50)로서,
    상기 제2 보철 부품(3)은, 고정 요소(40)가 제2 보철 부품(3) 내로 삽입된 제1 보철 부품(1)의 제거 가능한 원추 부착부(20)의 횡방향 리세스(21)와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 요소(40)가 통과되는 관통-구멍(33)을 가지며,
    또한, 제3 보철 부품(3')은, 고정 요소(40)가 제3 보철 부품(3') 내로 삽입된 제1 보철 부품(1)의 원추형 돌출부(10)의 횡방향 리세스(12)와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 요소(40)가 통과되는 관통-구멍(3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트.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무두 나사(41)는 프리-텐셔닝이 원추형 연결부에 발생되도록 원추 부착부(20)상의 리세스(21) 또는 원추형 돌출부(10)상의 리세스(12)상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테이퍼진 팁(4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트.
KR1020147028440A 2012-03-09 2013-03-04 보철 부품 KR1018806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158698.6A EP2636389A1 (de) 2012-03-09 2012-03-09 Prothesenteil
EP12158698.6 2012-03-09
PCT/EP2013/054252 WO2013131845A1 (de) 2012-03-09 2013-03-04 Prothesentei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8901A true KR20140138901A (ko) 2014-12-04
KR101880671B1 KR101880671B1 (ko) 2018-07-20

Family

ID=47790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8440A KR101880671B1 (ko) 2012-03-09 2013-03-04 보철 부품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150094818A1 (ko)
EP (2) EP2636389A1 (ko)
JP (1) JP2015509411A (ko)
KR (1) KR101880671B1 (ko)
CN (1) CN104203159B (ko)
BR (1) BR112014022043B1 (ko)
CA (1) CA2864953C (ko)
ES (1) ES2629130T3 (ko)
IN (1) IN2014DN08309A (ko)
RU (1) RU2645277C2 (ko)
WO (1) WO2013131845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7535A (en) * 1990-09-07 1992-08-11 Waldemar Link Gmbh & Co. Endoprosthesis with complementary cone connection and eccentric securing screw
US20030055508A1 (en) * 2001-02-23 2003-03-20 Metzger Robert G. Knee joint prosthesis
US20110160858A1 (en) * 2008-08-22 2011-06-30 Deru Gmbh Endoprosthesis having a plug-in connection and improved rotary protectio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36004C2 (de) * 1983-10-04 1986-10-16 S + G Implants GmbH, 2400 Lübeck Adapter für eine Knochen-Endoprothese
RU2069549C1 (ru) * 1993-03-05 1996-11-27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открытого типа "Кирово-Чепецкий химический комбинат им.Константинова Б.П." Эндопротез коленного сустава
GB9828084D0 (en) * 1998-12-18 1999-02-17 Benoist Girard & Cie Femoral component
DE59909042D1 (de) * 1999-09-24 2004-05-06 Link Waldemar Gmbh Co Gelenkendoprothese
EP1269938A1 (de) * 2001-06-27 2003-01-02 Waldemar Link (GmbH & Co.) Gekoppelte Knieprothese mit Rotationslager
US8187280B2 (en) * 2007-10-10 2012-05-29 Biomet Manufacturing Corp. Knee joint prosthesis system and method for implantation
WO2008118247A1 (en) * 2007-01-10 2008-10-02 Biomet Manufacturing Corp. Knee joint prosthesis system and method for implantation
RU2433803C1 (ru) * 2010-04-28 2011-11-2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ИЛЬКОМ" Модульный эндопротез коленного сустав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7535A (en) * 1990-09-07 1992-08-11 Waldemar Link Gmbh & Co. Endoprosthesis with complementary cone connection and eccentric securing screw
US20030055508A1 (en) * 2001-02-23 2003-03-20 Metzger Robert G. Knee joint prosthesis
US20110160858A1 (en) * 2008-08-22 2011-06-30 Deru Gmbh Endoprosthesis having a plug-in connection and improved rotary protection
JP2012500655A (ja) * 2008-08-22 2012-01-12 デル・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差し込み式の結合と改良された回転防止とを有する体内人工器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31845A1 (de) 2013-09-12
RU2014140738A (ru) 2016-04-27
IN2014DN08309A (ko) 2015-05-15
EP2822507A1 (de) 2015-01-14
CN104203159B (zh) 2016-06-08
JP2015509411A (ja) 2015-03-30
CA2864953C (en) 2019-04-16
EP2636389A1 (de) 2013-09-11
BR112014022043A2 (ko) 2017-06-20
EP2822507B1 (de) 2017-05-10
CN104203159A (zh) 2014-12-10
RU2645277C2 (ru) 2018-02-19
ES2629130T3 (es) 2017-08-07
KR101880671B1 (ko) 2018-07-20
US20150094818A1 (en) 2015-04-02
CA2864953A1 (en) 2013-09-12
BR112014022043B1 (pt) 202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32942B1 (en) Surgical implant with porous region
KR101789498B1 (ko) 수내고정 못
CA2702606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rgical repair
JP4658970B2 (ja) 球関節のボール領域における表面置換のためのプロテーゼ
JP2007090094A (ja) 外科用留め具組立体
IL92562A (en) Implants that can be implanted for applications outside the oral cavity
KR20110081762A (ko) 뼈 나사
CN104736072B (zh) 切骨术植入物
JP2018501019A (ja) 骨固定のための整形外科インプラント
JP2016538930A (ja) 再置換インプラント補強物、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671354B1 (ko) 인대 수술용 앵커
US6190417B1 (en) Femoral prosthesis device
KR101880671B1 (ko) 보철 부품
US20180125544A1 (en) Intramedullary Nail
RU2498787C2 (ru) Эндопротез с вставным соединением и улучшенной поворотной защитой
RU2719949C1 (ru) Промежуточный сегмент для компонента сустава
CN115916078B (zh) 具有皮质稳定的骨锚定植入物
KR102096120B1 (ko) 장골, 특히 대퇴골을 위한 보강 임플란트
KR20220129558A (ko) 임플란트 컴포넌트 어셈블리
US6981872B2 (en) Bone implant method of implanting, and kit for use in making implants, particularly useful with respect to dental implants
HU213431B (en) Anchoring element for artificial joints
EP3075346A1 (en) Dental implant with improved stability and osseointegration features
CN108778192A (zh) 关节结构
KR101505974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닻형 픽스츄어
WO2023119979A1 (ja) 骨接合具、骨接合セット及び骨接合部材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