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6292A - 유틸모듈을 포함하는 세면기 - Google Patents

유틸모듈을 포함하는 세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6292A
KR20140136292A KR1020130056643A KR20130056643A KR20140136292A KR 20140136292 A KR20140136292 A KR 20140136292A KR 1020130056643 A KR1020130056643 A KR 1020130056643A KR 20130056643 A KR20130056643 A KR 20130056643A KR 20140136292 A KR20140136292 A KR 20140136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stand
washing water
spreader
flow path
sp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6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형은
이정규
Original Assignee
로얄아이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얄아이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로얄아이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6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36292A/ko
Publication of KR20140136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62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4Basins; Jugs; Holding devic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5Arrangements of devices on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for remote control of taps
    • E03C1/055Electrical control devices, e.g. with push buttons, control panels or the like
    • E03C1/057Electrical control devices, e.g. with push buttons, control panels or the like touchless, i.e. using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틸모듈을 포함하는 세면기는, 세정수를 수용 가능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저수공간이 형성되고, 후면은 상부로 연장되며, 하면에는 배수구가 형성된 세면대, 상기 세면대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저수공간 방향으로 세정수를 분출하는 스파우트, 상기 스파우트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제1유로, 상기 세면대의 후면에 구비되며, 상기 세면대의 후면을 따라 흘러내려 상기 세면대를 세척하는 세정수를 분출하는 스프레더, 상기 스프레더에 연결되어 세정수를 공급하는 제2유로 및 상기 스파우트 및 상기 스프레더의 세정수 분출 여부를 조절 가능한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세면대의 일측에 구비된 유틸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유틸모듈을 포함하는 세면기{Washbowl Having Util Module}
본 발명은 세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편의기능이 구비된 세면기에 관한 것이다.
가정 등 다양한 종류의 세면기가 사용되고 있다. 단순히 세면을 위해 물을 담는 보울(Bowl)만이 형성된 세면기가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다양한 편의기능이 갖춰진 세면기도 제조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하지만, 종래의 세면기는 단순히 세면을 보조하는 정도의 편의기능을 제공하는 데 그치는 경우가 많으며, 또한 실질적으로 사용하기에 번거롭게 설계되어 사용자가 해당 기능을 사용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많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사용이 반복됨에 따라 세면대 자체가 점차 오염되며, 이를 방치하는 경우 세면대에 오염물질이 적층되어 비위생적이며, 이를 이후 제거하기 위해 청소하더라도 오염물질이 고화되어 완전한 제거가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사용자가 다양한 편의기능을 번거롭지 않게 이용할 수 있는 세면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사용자의 노력 없이도 세면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세면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틸모듈을 포함하는 세면기는, 세정수를 수용 가능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저수공간이 형성되고, 후면은 상부로 연장되며, 하면에는 배수구가 형성된 세면대, 상기 세면대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저수공간 방향으로 세정수를 분출하는 스파우트, 상기 스파우트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제1유로, 상기 세면대의 후면에 구비되며, 상기 세면대의 후면을 따라 흘러내려 상기 세면대를 세척하는 세정수를 분출하는 스프레더, 상기 스프레더에 연결되어 세정수를 공급하는 제2유로 및 상기 스파우트 및 상기 스프레더의 세정수 분출 여부를 조절 가능한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세면대의 일측에 구비된 유틸모듈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는 전자밸브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전자밸브는 상기 조절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 중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 세정수의 유동 경로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면대의 하부에는 상기 세면대를 감싸도록 형성된 하우징이 더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는 개폐 가능하고, 내측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면대의 측면을 따라 흘러내려 상기 세면대를 세척하는 세정수를 분출하는 보조스프레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면대의 하면은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배수구는 상기 세면대 하면의 최저점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면대의 후면에는 상기 스프레더에서 분출되는 세정수를 확산시키는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세면대 후면의 중앙 부분으로 갈수록 돌출되도록 굴곡지게 형성되며,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틸모듈에는 전방의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틸모듈에는 상기 인체감지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점멸하는 조명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레더는 상기 인체감지센서의 감지 결과에 대응되어 작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틸모듈은 사용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틸모듈을 포함하는 세면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용자를 위한 다양한 편의기능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각 기능은 자동적으로 제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각 기능을 사용하는 데 번거롭지 않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사용 후 자동적으로 세면대의 세정이 이루어지므로 오염물질의 적층을 방지할 수 있어 위생적인 상태를 오래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면기의 전방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면기의 후방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면기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면기에 있어서, 하우징의 수납부가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면기의 전방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세면기에 있어서, 가이드부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세면기에 있어서, 가이드부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면기(100)의 전방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면기(100)의 후방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면기(100)는 세면대(110)와, 유틸모듈(120)과, 스파우트(140)와, 스프레더(150)와, 하우징(130)을 포함한다.
세면대(110)는 세정수를 수용 가능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저수공간이 형성되고, 후면은 상부로 연장되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면에는 배수구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저수공간은 각각 세면대(110)의 전면, 측면(114), 후면(112)에 의해 형성되어 상부만이 개방된 상태를 가지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세정수를 저수공간에 담아 세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세면대(110)의 후면(112)은 저수공간보다 상부로 연장된 형태를 가진다. 이에 따라 후술할 스파우트(140)와 스프레더(150)는 저수공간보다 높은 위치에서 세정수를 분출할 수 있게 된다.
유틸모듈(120)은 세면대(1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스파우트(140) 및 상기 스프레더(150)의 세정수 분출 여부를 조절 가능한 조절부를 포함한다. 즉 조절부에 의해 사용자의 수동 조작 또는 자동으로 세정수 분출의 온/오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세정수가 스파우트(140) 또는 스프레더(150) 중 어느 일측으로 분출되도록 조작할 수 있다.
그리고 유틸모듈(120)에는 보다 다양한 기능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유틸모듈(120)은 세면대(1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전면패널(126)에는 세정수의 온/오프를 조작하는 세정수레버(124)와 세정수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레버(122)가 구비된다. 그리고 전방의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128)가 더 구비되어, 이에 의해 감지 결과에 따라 부대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유틸모듈(120)에는 상기 인체감지센서(128)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점멸하는 조명부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세면기(100)를 사용 시 조명부는 자동으로 조명을 밝히고, 사용을 마치고 자리를 이탈할 경우에는 조명을 끄게 된다.
또한 스프레더(150)는 상기 인체감지센서(128)의 감지 결과에 대응되어 작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프레더(150)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유틸모듈(120)은 사용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는 현재의 사용 기능, 세정수의 온도 및 분출 여부 등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액정모니터, HUD(Head-Up Display)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스파우트(140)는 상기 세면대(110)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저수공간 방향으로 세정수를 분출하는 구성요소이며, 본 실시예의 경우 세면대(110)의 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다소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스파우트(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로(164)를 통해 세정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1유로(164)는 선행유로(164a) 및 후행유로(164b)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제1유로(164)는 온도조절레버(122)를 경유하여 스파우트(140)를 통해 분출되는 세정수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스프레더(150)는 상기 세면대(110)의 후면에 구비되며, 상기 세면대(110)의 후면을 따라 흘러내려 세면대의 표면을 세척하는 세정수를 분출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스프레더(150)는 스파우트(140)와 달리 세면대의 표면을 세척하기 위해 세정수를 세면대의 면 방향으로 분출시키며,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인체감지센서(128)의 감지 결과에 대응되어 작동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레더(150)는 제2유로(162)를 통해 세정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유로(164) 및 상기 제2유로(162)는 전자밸브(160)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전자밸브(160)는 전술한 조절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유로(164) 및 상기 제2유로(162) 중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 세정수의 유동 경로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면기(100)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파우트(140)는 제1유로(164)를 통해 세정수를 공급받아 저수공간 측으로 세정수를 분출하며, 스프레더(150)는 제2유로(162)를 통해 세정수를 공급받아 세면대(110)의 후면(112) 방향으로 세정수를 분출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세면대(110)의 하면(116)은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배수구(118)는 상기 세면대(110) 하면(116)의 최저점에 위치된다. 즉 배수구(118)는 세면대(110) 하면(116)의 최전방에 구비되어, 저수공간을 유동하는 세정수가 저수공간에 잔류하지 않도록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면기(110)에 있어서, 하우징(130)의 수납부(132)가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세면대(110)의 하부에 하우징(130)이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130)의 전면에는 개폐 가능하고, 내측에 수납공간(134)이 형성된 수납부(13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수납부(132)에는 살균장치가 구비된 살균대(136)가 더 구비되어, 칫솔(T) 등의 세면도구를 장착하여 살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면기(200)의 전방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다른 세면기(200)는, 세면대(210), 유틸모듈(220), 하우징(230), 스파우트(240), 스프레더(250)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며, 다만 세면대(210)의 측면(210)에 보조스프레더(252)가 더 구비된다는 점이 제1실시예와 다르다.
보조스프레더(252)는 상기 세면대(210)의 측면(210)을 따라 흘러내려 상기 세면대를 세척하는 세정수를 분출하는 구성요소로, 스프레더(250)에서 분출되는 세정수가 세면대(210)의 측면(210)을 세정할 수 없으므로 이를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보조스프레더(252) 역시 유틸모듈(220)의 조절부에 의해 기능을 온/오프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세면기에 있어서, 가이드부(313)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세면기의 경우, 세면대(310)의 후면(312)에는 스프레더(350)에서 분출되는 세정수를 확산시키는 가이드부(313)가 형성된다. 가이드부(313)는 세정수를 측 방향으로 확산시켜 세면대(310)의 세정 영역을 극대화시키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은 가이드부(313)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부(313)는 복수 개가 형성되며, 세정수의 흐름 방향을 안내하도록 세면대(310)의 후면(312)으로부터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즉 스프레더(350)로부터 분출된 세정수는 각 가이드부(313)를 따라 이동되고, 이에 따라 세면대(310)의 후면(312) 전체 면적이 세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세면기에 있어서, 가이드부(413)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세면기는 제3실시예와 다른 형상의 가이드부(413)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가이드부(413)는 상기 세면대(410) 후면(412)의 중앙 부분으로 갈수록 돌출되도록 굴곡지게 형성된다. 또한 동시에 가이드부(413)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스프레더(450)에서 분출된 세정수는 가이드부(413)에 부딪혀 가이드부(413)를 따라 측 방향으로 흘러내릴 수 있어 마찬가지로 세면대(410)를 전체적으로 세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부(413)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413)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형태뿐 아니라 세정수를 가이드하는 홈 형태 등 세정수의 유동 방향을 유도하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세면기 110: 세면대
120: 유틸모듈 122: 온도조절레버
124: 세정수레버 126: 전면패널
128: 인체감지센서 130: 하우징
132: 수납부 134: 수납공간
136: 살균대 140: 스파우트
150: 스프레더 160: 전자밸브
162: 제2유로 164: 제1유로

Claims (11)

  1. 세정수를 수용 가능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저수공간이 형성되고, 후면은 상부로 연장되며, 하면에는 배수구가 형성된 세면대;
    상기 세면대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저수공간 방향으로 세정수를 분출하는 스파우트;
    상기 스파우트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제1유로;
    상기 세면대의 후면에 구비되며, 상기 세면대의 후면을 따라 흘러내려 상기 세면대를 세척하는 세정수를 분출하는 스프레더;
    상기 스프레더에 연결되어 세정수를 공급하는 제2유로; 및
    상기 스파우트 및 상기 스프레더의 세정수 분출 여부를 조절 가능한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세면대의 일측에 구비된 유틸모듈;
    을 포함하는 세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는 전자밸브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전자밸브는 상기 조절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 중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 세정수의 유동 경로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세면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면대의 하부에는 상기 세면대를 감싸도록 형성된 하우징이 더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는 개폐 가능하고, 내측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부가 형성된 세면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면대의 측면을 따라 흘러내려 상기 세면대를 세척하는 세정수를 분출하는 보조스프레더를 더 포함하는 세면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면대의 하면은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배수구는 상기 세면대 하면의 최저점에 위치된 세면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면대의 후면에는 상기 스프레더에서 분출되는 세정수를 확산시키는 가이드부가 형성된 세면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세면대 후면의 중앙 부분으로 갈수록 돌출되도록 굴곡지게 형성되며,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된 세면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틸모듈에는 전방의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가 구비된 세면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틸모듈에는 상기 인체감지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점멸하는 조명부가 더 구비된 세면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더는 상기 인체감지센서의 감지 결과에 대응되어 작동하도록 형성된 세면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틸모듈은 사용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세면기.
KR1020130056643A 2013-05-20 2013-05-20 유틸모듈을 포함하는 세면기 KR201401362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643A KR20140136292A (ko) 2013-05-20 2013-05-20 유틸모듈을 포함하는 세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643A KR20140136292A (ko) 2013-05-20 2013-05-20 유틸모듈을 포함하는 세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292A true KR20140136292A (ko) 2014-11-28

Family

ID=52456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6643A KR20140136292A (ko) 2013-05-20 2013-05-20 유틸모듈을 포함하는 세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3629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37725A (ja) * 2016-02-05 2017-08-10 Toto株式会社 自動水栓装置
JP2017172125A (ja) * 2016-03-22 2017-09-28 Toto株式会社 水周り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37725A (ja) * 2016-02-05 2017-08-10 Toto株式会社 自動水栓装置
JP2017172125A (ja) * 2016-03-22 2017-09-28 Toto株式会社 水周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80994B2 (ja) 水洗大便器
JP2008168230A (ja) 浴室洗浄装置及び浴室ユニット
JP5592617B2 (ja) 便器装置
KR101653379B1 (ko) 자력을 이용한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 장치
KR20140136292A (ko) 유틸모듈을 포함하는 세면기
JP2004092278A (ja) 水洗式大便器
JP2006283400A (ja) 衛生洗浄便座装置及びトイレ装置
JP6663583B2 (ja) 吐水装置及び吐水システム
JP5928978B2 (ja) 便器洗浄水タンク
JP5089817B1 (ja) 手洗い器付き小便器
JP2003313921A (ja) 局部洗浄装置
JP4893687B2 (ja) 洗浄水吐出装置
JP5915970B2 (ja) 小便器
JP2017048675A (ja) 水洗大便器
JP2009074343A (ja) 水栓の吐水部構造
JP3657810B2 (ja) 小便器の洗浄装置
KR101489224B1 (ko) 절수형 좌변기
KR20110057617A (ko) 분수형 세면장치
JP2017066677A (ja) 洗浄水タンク装置
JP2011132701A (ja) 機能ケースの便器への取付構造
KR200341887Y1 (ko) 세면기용 수도꼭지
JP3107169U (ja) 小便器
JP4893686B2 (ja) 洗浄水吐出装置
JP2022051519A (ja) トイレ装置
JP5382603B2 (ja) 水洗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