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9224B1 - 절수형 좌변기 - Google Patents

절수형 좌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9224B1
KR101489224B1 KR20140090482A KR20140090482A KR101489224B1 KR 101489224 B1 KR101489224 B1 KR 101489224B1 KR 20140090482 A KR20140090482 A KR 20140090482A KR 20140090482 A KR20140090482 A KR 20140090482A KR 101489224 B1 KR101489224 B1 KR 101489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water supply
toilet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90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우종합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우종합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우종합기술
Priority to KR20140090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92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9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9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1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for combinations of baths, showers, sinks, wash-basins, closets, urinal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5Arrangements of devices on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for remote control of taps
    • E03C1/055Electrical control devices, e.g. with push buttons, control panels or the like
    • E03C1/057Electrical control devices, e.g. with push buttons, control panels or the like touchless, i.e. using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03Cisterns in combination with wash-basins, urinal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03Grey water flush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수형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손을 씻는데 사용된 손숫물을 변기용수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되, 손숫물의 사용시 물탱크의 물보충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변기용수로 사용되는 손숫물의 양의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절수형 좌변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배설물이 투입 보관되는 변기 몸체와, 상기 변기 몸체의 일측에 마련되며 일정량의 변기용수를 저장하고 저장된 변기용수를 변기 몸체로 공급하는 물탱크를 포함하는 좌변기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의 상단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물탱크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오목하게 함몰된 구조의 세면조와 상기 세면조로 물을 분사하는 수전이 구비되고, 상기 세면조로 분사된 물이 물탱크의 내부로 배출되게 하는 배출공이 형성된 커버형 세면대; 상기 수전의 사용을 위하여 사용자의 손이 수전의 하부에 위치할 때, 사용자의 손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도록 수전 또는 커버형 세면대에 설치된 제1 센서; 상기 물탱크로 연장되는 급수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수전으로 연결되는 보조 급수배관; 상기 급수배관과 보조 급수배관의 연결부에 설치되어 물탱크와 수전으로 공급되는 물을 제어하는 3방향 밸브; 및 상기 제1 센서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물탱크로의 물공급을 차단하고 수전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3방향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좌변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절수형 좌변기{Toilet bowl}
본 발명은 절수형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변기용수가 저장되도록 좌변기에 마련된 물탱크의 상단부에 세면대가 마련되어 손을 씻는데 사용된 손숫물을 변기용수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되, 손숫물의 사용시 물탱크의 물보충을 차단하여 변수용수로 사용되는 손숫물의 양의 증가시킴으로써 절수효과를 증대시킨 절수형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변기는 일정량의 물이 저장된 상태에서 배설물을 투입받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변기 몸체와, 상기 변기 몸체에 투입된 배설물의 배출 및 변기 몸체의 세척을 위한 변기용수를 보관 및 공급하도록 변기 몸체의 일측에 마련된 물탱크로 구성된다.
이러한 좌변기는 용변을 마친 후, 물탱크의 측면에 돌출된 구조로 마련된 레버를 작동시키면, 탱크 내부에 설치된 패킹부가 개방되어 탱크에 저장된 변기용수가 변기 몸체로 공급되며, 이처럼 변기 몸체로 공급되는 변기용수에 의해 변기 몸체와 배수관 사이에 압력차이가 발생되고, 이에 따른 사이펀(siphon) 원리에 의해 변기 몸체 내부의 배설물이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좌변기는 그 구조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1회 사용시 대략 10~15리터 정도의 물을 소모하게 된다.
한편, 좌변기는 일반 가정은 물론이고 공중화장실에도 사용되는 바, 좌변기에서 소비되는 물의 양은 전체적인 물소비량에 있어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좌변기에서의 소비되는 변기용수를 절감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의 좌변기가 제안되고 있다.
예컨대,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14108에는 손 세척에 사용된 세척수를 좌변기에 마련된 물탱크에 저장하여 변기용수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좌변기의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좌변기는 손 세척에 사용된 손숫물을 그대로 버리지 않고 물탱크에 저장하여 변기용수로 다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변기용수로 사용되는 물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발명에 개시된 좌변기는 절수효과가 크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명에 개시된 좌변기를 사용자가 이용함에 있어서, 용변을 마친 후, 물탱크에 마련된 세면대를 이용하여 손을 씻기까지에는 상당한 시간이 요구되는 반면, 물탱크의 물보충은 물내림 직후 바로 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세면대를 이용하여 손을 씻는 시점에는 이미 물탱크에 상당량의 물이 보충된 상태이고, 사용자가 손을 씻을 중에도 물탱크의 물보충은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물탱크에는 물넘침을 방지하기 위하여 물탱크내 변기용수의 수위가 일정수위 이상으로 증가하는 경우, 변기용수를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관이 마련되어 있다.
결국,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을 씻기 시작하는 시점에 이미 물탱크에는 상당량의 물이 보충되어 있고, 손을 씻는 과정에서도 물보충은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점을 고려하면,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손을 다 씻기도 전에 물탱크의 물보충이 완료되고, 그 이후 발생되는 손숫물은 드레인관을 통해 그대로 버려지게 되므로, 절수효과 크지 않게 된다.
아울러, 세면대에 마련된 수도꼭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별도의 급수배관을 구성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별도 급수배관의 설치를 위한 공간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비용이 추가되는 단점이 있고, 물탱크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배관의 일부가 세면대의 수도꼭지로 유입되도록 배관을 구성할 경우, 물탱크의 물보충과 세면대의 동시 사용시 수압이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에서는 사용자에게 손숫물을 원활하게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14108호 (1999.04.26.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손을 씻는데 사용된 손숫물을 변기용수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되, 손숫물의 사용시 물탱크의 물보충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변기용수로 사용되는 손숫물의 양의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절수형 좌변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급수배관을 통하여 물탱크로 유입되는 물의 일부가 세면대의 수도꼭지로 공급되도록 하여 수도꼭지로의 물공급을 위한 별도 급수배관의 구성을 배제하고, 손숫물의 사용시 급수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전부가 수전을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손숫물을 원활히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절수형 좌변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배설물이 투입 보관되는 변기 몸체와, 상기 변기 몸체의 일측에 마련되며 일정량의 변기용수를 저장하고 저장된 변기용수를 변기 몸체로 공급하는 물탱크를 포함하는 좌변기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의 상단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물탱크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오목하게 함몰된 구조의 세면조와 상기 세면조로 물을 분사하는 수전이 구비되고, 상기 세면조로 분사된 물이 물탱크의 내부로 배출되게 하는 배출공이 형성된 커버형 세면대; 상기 수전의 사용을 위하여 사용자의 손이 수전의 하부에 위치할 때, 사용자의 손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도록 수전 또는 커버형 세면대에 설치된 제1 센서; 상기 물탱크로 연장되는 급수배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수전으로 연결되는 보조 급수배관; 상기 급수배관과 보조 급수배관의 연결부에 설치되어 물탱크와 수전으로 공급되는 물을 제어하는 3방향 밸브; 상기 제1 센서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물탱크로의 물공급을 차단하고 수전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3방향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기; 및 물내림을 위하여 상기 물탱크에 마련된 레버의 작동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제2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센서로부터 레버의 작동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물탱크와 수전으로 물공급을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차단하도록 3방향 밸브를 제어하는 지연기능과, 상기 지연기능에 상관없이 제1 센서로부터 신호가 발생되면 수전으로의 물공급을 허용하고 물탱크로의 물공급을 차단하도록 3방향 밸브를 제어하는 우선작동기능과, 상기 설정 시간이 경과됨과 더불어 제1 센서로부터 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 수전으로의 물공급을 차단하고 물탱크로의 물공급을 허용하도록 3방향 밸브를 제어하는 물보충기능이 상기 제어기에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좌변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절수형 좌변기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개폐를 위한 커버형 세면대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보조 급수배관의 일부분은 신축 가능한 주름관으로 구성된다.
삭제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그대로 버려지던 손숫물을 변기용수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절수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특히 손숫물의 사용시 물탱크의 물보충을 차단하고, 급수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전부를 손숫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손숫물의 원활한 제공 및 손숫물의 대부분을 변기용수로 활용할 수 있어 절수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좌변기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좌변기의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좌변기의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좌변기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좌변기의 사시도를,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좌변기의 정면도를,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좌변기의 측면도를,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수형 좌변기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절수형 좌변기는 배설물이 투입 보관되는 변기 몸체(110)와, 상기 변기 몸체(110)의 일측에 마련되며 일정량의 변기용수를 저장하고 저장된 변기용수를 변기 몸체(110)로 공급하여 배설물의 배출 및 변기 몸체(110)의 세척을 유도하는 물탱크(120)를 포함하는 통상의 좌변기에 커버형 세면대(130), 제1 센서(140), 보조 급수배관(150), 3방향 밸브(160), 제어기(170)를 더 설치하여 사용자에게 손숫물을 제공하고, 사용된 손숫물을 변기용수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절수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변기 몸체(110)와 물탱크(120)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좌변기와 동일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는 바, 변기 몸체(110)와 물탱크(12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커버형 세면대(130)는 물탱크(12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물탱크(120)의 상단부에 형성된 개구부(121)를 개폐하고, 사용자가 손을 씻을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물탱크(120)의 상단부에 씌워져 개구부(121)를 폐쇄하는 구조를 갖도록 물탱크(120)의 상단부 구조에 대응하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되며, 대략 중앙부에는 오목하게 함몰된 구조의 세면조(131)가 형성되고, 상기 세면조(131)의 이웃한 위치에는 세면조(131)를 향하여 물을 분사하기 위한 수전(132)이 구비되며, 상기 세면조(131)의 하단부에는 수전(132)으로부터 분사된 물이 물탱크(120)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출공(133)이 형성된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센서(140)는 사용자가 손을 씻기 위하여 수전(132)의 하부에 손을 위치시킨 경우, 사용자의 손을 감지하여 물공급을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것으로, 통상의 적외선 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1 센서(140)는 수전(132) 또는 커버형 세면대(130)에 설치된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는 상기 제1 센서(140)가 수전(132)에 설치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처럼 수전과 센서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센서감지식 자동수전은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보조 급수배관(150)은 수전(132)과 연결되어 수전(132)으로 물을 공급하는 배관으로, 물탱크(12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마련된 급수배관(10)으로부터 분기되어 수전(132)과 연결되는 구조를 갖도록 설치된다.
한편, 급수배관(10)으로부터 분기되어 커버형 세면대(130)의 수전(132)으로 연결되는 보조 급수배관(150)을 구성함에 있어서, 개구부(121)의 개폐를 위한 커버형 세면대(13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보조 급수배관(150)의 일부분은 신축 가능한 주름관(151)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도 2 및 도 3에는 보조 급수배관(150)의 상단부를 주름관(151)으로 구성하여 수전(132)과 연결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3방향 밸브(160)는 급수배관(10)과 보조 급수배관(150)의 연결부에 설치되어 물탱크(120)와 수전(132)으로 공급되는 물을 제어하는 것으로, 평상시 보조 급수배관측 유로는 차단하고 물탱크측 유로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로를 제어하며, 상기 제1 센서(140)로부터 감지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보조 급수배관측 유로는 개방하고 물탱크측 유로는 폐쇄하도록 유로를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3방향 밸브(160)는 상기 제1 센서(140)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발생되는 신호를 받아 작동하는 통상의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170)는 제1 센서(140)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따라 3방향 밸브(160)를 제어하는 것으로, 제1 센서(140)에서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물탱크(120)로의 물공급을 차단하고, 수전(132)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3방향 밸브(160)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참고로, 도 1에는 비데의 제어패널에 제어기(170)가 내장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비데가 설치되지 않은 좌변기의 경우, 별도의 물탱크(120)의 외측이나 적절한 위치에 제어기(170)를 별도로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물내림 이후 사용자가 수전(132)을 이용하기 전 또는 수전(132)의 이용이 완료되기 전에 물탱크(120)의 물보충이 완료되는 것을 방지하여 손숫물의 전부를 변기용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제어기(170)에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물탱크(120)에는 레버(122)의 작동을 감지하기 위한 제2 센서(180)가 더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170)에는 지연기능과 우선작동기능 및 물보층기능이 포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2 센서(180)는 물탱크(120)에 설치된 레버(122)의 이웃한 곳에 위치하도록 물탱크(120)에 설치되어 물내림을 위하여 사용자가 레버(122)를 작동시킨 경우, 레버(122)의 작동과 연동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제2 센서(180)는 공지의 리미트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연기능은 물내림을 위하여 사용자가 레버(122)을 작동한 직후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수전(132)과 물탱크(120)로의 물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3방향 밸브(160)를 제어하는 기능이다.
위와 같은 지연기능을 통해 물보충 시간을 지연시킴으로써, 수전(132)의 사용 전 또는 수전(132)의 사용을 완료하기 전에 물탱크(120)의 물보충이 완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우선작동기능은 제1 센서(140)로부터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지연기능에 상관없이 수전(132)으로 물공급이 이루어지도록 3방향 밸브(160)을 제어하는 기능이다.
이러한 우선작동기능에 따르면, 상기 제어기(170)는 제1 센서(140)로부터 신호가 발생되면, 지연기능에 설정된 시간에 상관없이 수전(132)으로 물이 공급되고, 물탱크(120)로는 물공급이 차단되도록 3방향 밸브(160)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물보충기능은 수전(132)이 사용되지 않고, 더불어 지연기능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경우, 물탱크(120)의 물보충이 이루어지도록 3방향 밸브(160)를 제어하는 기능이다.
이러한 물보충기능에 따르면, 상기 제어기(170)는 지연기능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도 제1 센서(140)로부터 신호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 수전(132)으로의 물공급이 차단되고, 물탱크(120)로의 물공급이 가능하도록 3방향 밸브(160)를 제어하여 물탱크(120)의 물보충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절수형 좌변기는 사용자가 손숫물을 사용하지 않는 평상시에는 3방향 밸브(160)가 보조 급수배관측 유로를 차단하고, 물탱크측 유로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일반적인 좌변기와 동일한 방식으로 물탱크(120)의 물보충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용변을 마친 사용자가 물탱크(120)에 마련된 레버(122)를 조작하여 물탱크(120)에 마련된 마개(123)를 개방시키게 되면, 주지된 바와 같이, 물탱크(120)에 저장된 변기용수가 변기 몸체(110)로 공급되어 배설물의 배출 및 변기 몸체(110)의 세척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물탱크(120)의 변기용수가 배출됨에 따라 부구(124)가 하강한 경우, 물탱크(120)내에 마련된 급수밸브(125)가 개방됨에 따라 급수배관(1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물탱크(120)로 유입되어 물탱크(120)의 물보충이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제어기(170)에 지연기능이 구비된 경우, 물탱크(120)의 물보충은 지연기능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고, 수전(132)의 미사용으로 인하여 제1 센서(140)로부터 신호가 발생되지 않는 2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한 경우에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용변을 마친 사용자가 손을 씻고자 수전(132)의 하부에 손을 위치시키게 되면, 수전(132)에 설치된 제1 센서(140)가 사용자의 손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고, 이러한 신호에 의하여 3방향 밸브(160)가 작동하여 보조 급수배관측 유로를 개방하고 물탱크측 유로를 폐쇄하게 된다.
이와 같은 3방향 밸브(160)의 작동에 의하여 물탱크(120)의 물보충은 정지되고, 급수배관(1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전부가 보조 급수배관(150)을 통하여 수전(132)으로 공급되어 분사되므로, 결국 수압이 비교적 낮은 지역에서도 손을 씻기에 충분한 양의 손숫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며, 손을 씻는 동안에는 급수배관(10)을 통한 물보충이 정지되므로, 손을 씻는 동안에 물보충이 완료되어 이후 발생되는 손숫물을 변기용수로 사용하지 못하고 드레인배관을 통해 그대로 배출되는 폐단을 방지함으로써, 절수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센서(140)로부터 사용자의 손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3방향 밸브(160)는 보조 급수배관측 유로를 차단하고 물탱크측 유로를 개방하여 급수배관(10)을 통한 정상적인 물보충이 가능하도록 유로를 제어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변기 몸체 120: 물탱크
121: 개구부 130: 커버형 세면대
131: 세면조 132: 수전
133: 배출공 140: 제1 센서
150: 보조 급수배관 151: 주름관
160: 3방향 밸브 170: 제어기
180: 제2 센서

Claims (3)

  1. 배설물이 투입 보관되는 변기 몸체(110)와, 상기 변기 몸체(110)의 일측에 마련되며 일정량의 변기용수를 저장하고 저장된 변기용수를 변기 몸체(110)로 공급하는 물탱크(120)를 포함하는 좌변기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120)의 상단부에 형성된 개구부(121)를 개폐하도록 물탱크(120)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오목하게 함몰된 구조의 세면조(131)와 상기 세면조(131)로 물을 분사하는 수전(132)이 구비되고, 상기 세면조(131)로 분사된 물이 물탱크(120)의 내부로 배출되게 하는 배출공(133)이 형성된 커버형 세면대(130);
    상기 수전(132)의 사용을 위하여 사용자의 손이 수전(132)의 하부에 위치할 때, 사용자의 손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도록 수전(132) 또는 커버형 세면대(130)에 설치된 제1 센서(140);
    상기 물탱크(120)로 연장되는 급수배관(10)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수전(132)으로 연결되는 보조 급수배관(150);
    상기 급수배관(10)과 보조 급수배관(150)의 연결부에 설치되어 물탱크(120)와 수전(132)으로 공급되는 물을 제어하는 3방향 밸브(160);
    상기 제1 센서(140)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물탱크(120)로의 물공급을 차단하고 수전(132)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3방향 밸브(160)를 제어하는 제어기(170); 및
    물내림을 위하여 상기 물탱크(120)에 마련된 레버(122)의 작동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제2 센서(180);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센서(180)로부터 레버(122)의 작동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물탱크(120)와 수전(132)으로의 물공급을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차단하도록 3방향 밸브(160)를 제어하는 지연기능과, 상기 지연기능에 상관없이 제1 센서(140)로부터 신호가 발생되면 수전(132)으로의 물공급을 허용하고 물탱크(120)로의 물공급을 차단하도록 3방향 밸브(160)를 제어하는 우선작동기능과, 상기 설정 시간이 경과됨과 더불어 제1 센서(140)로부터 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 수전(132)으로의 물공급을 차단하고 물탱크(120)로의 물공급을 허용하도록 3방향 밸브(160)를 제어하는 물보충기능이 상기 제어기(170)에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좌변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121)의 개폐를 위한 커버형 세면대(13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보조 급수배관(150)의 일부분은 신축 가능한 주름관(151)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수형 좌변기.
  3. 삭제
KR20140090482A 2014-07-17 2014-07-17 절수형 좌변기 KR101489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90482A KR101489224B1 (ko) 2014-07-17 2014-07-17 절수형 좌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90482A KR101489224B1 (ko) 2014-07-17 2014-07-17 절수형 좌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9224B1 true KR101489224B1 (ko) 2015-02-04

Family

ID=52590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90482A KR101489224B1 (ko) 2014-07-17 2014-07-17 절수형 좌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92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9278B1 (ko) * 2018-12-18 2019-12-26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변기 개폐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108U (ko) * 1997-09-29 1999-04-26 장경수 좌변기 수조의 절수구조
KR200196993Y1 (ko) 1998-12-23 2000-09-15 송재섭 배수를 이용한 변기의 세척장치.
JP2010007263A (ja) * 2008-06-24 2010-01-14 Inax Corp 自動水栓
KR20110015317A (ko) * 2009-08-07 2011-02-15 정의정 슬라이딩 세면대가 부설되어 있는 양변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108U (ko) * 1997-09-29 1999-04-26 장경수 좌변기 수조의 절수구조
KR200196993Y1 (ko) 1998-12-23 2000-09-15 송재섭 배수를 이용한 변기의 세척장치.
JP2010007263A (ja) * 2008-06-24 2010-01-14 Inax Corp 自動水栓
KR20110015317A (ko) * 2009-08-07 2011-02-15 정의정 슬라이딩 세면대가 부설되어 있는 양변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9278B1 (ko) * 2018-12-18 2019-12-26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변기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3357B1 (ko) 절수형 양변기
JP7012753B2 (ja) 可変式節水型洋式便器の汚水排出装置
KR20090040015A (ko) 양변기용 세면 수 재활용 장치
US9624657B2 (en) Urinal
KR200450265Y1 (ko) 저수 장치를 구비한 순간 온수기용 샤워기
KR101489224B1 (ko) 절수형 좌변기
JP2017048673A (ja) 水洗大便器
JP2013104271A (ja) 排水弁装置、この排水弁装置を備えた洗浄水タンク装置、及び、この洗浄水タンク装置を備えた水洗大便器
KR100670933B1 (ko) 수돗물 절약 자동조절 필밸브를 구비한 양변기
KR101460445B1 (ko) 감지센서가 구비된 세면대 겸용 소변기
JP6865923B2 (ja) 水洗大便器
JP2000001892A (ja) 水洗便器
KR20170106528A (ko) 절수 양변기
KR20110002241A (ko) 좌변기의 절수형 세척수탱크 구조
JP2005330687A (ja) 水洗便器装置
JPH11140939A (ja) 再利用水を使用する便器の洗浄システム
JP2016003453A (ja) 水洗大便器
KR20200136682A (ko) 소변기
KR20130064524A (ko) 소변기
KR20140136292A (ko) 유틸모듈을 포함하는 세면기
CN108505601B (zh) 一种防溅水蹲便器
JP2004162505A (ja) 便器装置
CN108505600B (zh) 一种防溅水马桶
KR200191217Y1 (ko) 수돗물 사용수를 세척수로 이용할 수 있는 수세식변기절수장치
KR20020022906A (ko) 양변기용 생활하수 재활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