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35094A - 배선 덕트 접속 장치 - Google Patents

배선 덕트 접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35094A
KR20140135094A KR1020140027178A KR20140027178A KR20140135094A KR 20140135094 A KR20140135094 A KR 20140135094A KR 1020140027178 A KR1020140027178 A KR 1020140027178A KR 20140027178 A KR20140027178 A KR 20140027178A KR 20140135094 A KR20140135094 A KR 20140135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duct
cover
holding
handl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7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2936B1 (ko
Inventor
고지 구보타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135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5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1/00Non-rotary current collectors for maintaining contact between moving and stationary parts of an electric circuit
    • H01R41/02Devices for interrupted current collection, e.g. distribu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2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xcess current as well as by some other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Contact members of coupling parts operating as switch, e.g. linear or rotational movement required after mechanical engagement of coupling part to establish electrical connection

Landscapes

  • Distribution Board (AREA)
  • Patch Board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배선 덕트 접속 장치는 1차 측의 접촉자, 차단기, 및 제한부를 구비한다. 접촉자는 배전용의 도전 부재를 수납한 배선 덕트의 도전 부재에 접속한다. 차단기는 접촉자와 2차 측의 회로 사이에 접속되고, 장치 본체의 표면에 노출되는 조작 핸들의 오프 조작에 의해 1차 측과 2차 측 사이를 전기적으로 차단한다. 제한부는 장치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장치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조작 핸들의 조작을 제한한다.

Description

배선 덕트 접속 장치 {WIRING DUCT CONNECTION DEVIC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1차 측과 2차 측 사이를 전기적으로 차단하는 차단기를 구비한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문헌 1(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2-114000호)에는, 배선 덕트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배선 덕트용 플러그가 개시되어 있다. 배선 덕트는, 예를 들면, 데이터 센터와 같이 다수의 전기 기기가 사용되는 건물에 설치된다. 데이터 센터의 천장에 설치된 배선 덕트로부터, 배선 덕트용 플러그를 통하여 서버 랙(sever rack) 등에 전력이 공급된다. 문헌 1의 배선 덕트용 플러그는 2차 측으로의 급전을 차단하기 위한 회로 차단기를 보디(body)에 수납하고 있었다.
상기 문헌 1에 개시된 배선 덕트용 플러그에서는, 보디의 표면에 회로 차단기의 핸들이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회로 차단기의 핸들에 실수로 닿아서, 2차 측으로의 급전이 차단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과실 또는 고의로 핸들이 오프 조작되기 어렵게 한 배선 덕트 접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형태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는 1차 측의 접촉자, 차단기, 및 제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자는 배전용(配電用)의 도전 부재를 수납한 배선 덕트의 상기 도전 부재에 접속한다. 상기 차단기는 상기 접촉자와 2차 측의 회로 사이에 접속되고, 장치 본체의 표면에 노출되는 조작 핸들의 오프 조작에 의해 1차 측과 2차 측 사이를 전기적으로 차단한다. 상기 제한부는, 상기 장치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장치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 핸들의 조작을 제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형태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서는, 제1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는 상기 조작 핸들을 덮음으로써 상기 조작 핸들의 조작을 제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형태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서는, 제1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는, 상기 조작 핸들이 온 위치로 전환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 핸들의 동작을 규제함으로써, 상기 조작 핸들의 조작을 제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4 형태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서는, 제1∼제3 형태 중 어느 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는 투광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5 형태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서는, 제1∼제3 형태 중 어느 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는 불투명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6 형태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는, 제1∼제3 형태 중 어느 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가 상기 조작 핸들의 조작을 제한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유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지부는 소정(所定) 조작에 의해 상기 제한부의 유지를 해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7 형태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는, 제4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가 상기 조작 핸들의 조작을 제한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유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지부는 소정 조작에 의해 상기 제한부의 유지를 해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8 형태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는, 제5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가 상기 조작 핸들의 조작을 제한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유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지부는 소정 조작에 의해 상기 제한부의 유지를 해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9 형태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는, 제6 형태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키(key)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제한부에 의한 유지 상태를 해제하는 자물쇠 장치이다.
도 1의 (a)는 실시예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가 배선 덕트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b)는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2의 (a)는 실시예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우측면의 주요부 확대도이고, (b)(c)는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예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예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배선 덕트 시스템의 설명도이다.
도 5는 실시예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단상 3선식 배선의 배선 덕트에 사용하는 배선 덕트 접속 장치에 적용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배선 덕트는 단상 3선식 배선에 한정되지 않고, 3상 3선식 배전 방식이나 3상 4선식 배전 방식 등이어도 된다.
배선 덕트 접속 장치의 실시예를 도 1∼도 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 (a)에 나타낸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하 좌우의 방향을 규정하고, 도 2 (a)에서의 좌우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서 설명하지만, 이 방향은 설명의 편의상 정의하는 것이며, 실제의 사용 상태에서의 방향을 상기한 방향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배선 덕트 접속 장치(1)는, 도 1 및 도 2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촉자(20a∼20c)와, 차단기(5, 6)와, 커버(7)를 구비한다. 또한, 배선 덕트 접속 장치(1)는 접촉자(20a∼20c) 및 차단기(5, 6)가 수납되는 장치 본체(8)와, 장치 본체(8)의 표면에 노출되는 조작 핸들(3)을 구비한다.
접촉자(20a)는 배선 덕트(17)의 도체(18a)에 접속한다. 마찬가지로, 접촉자(20b)는 도체(18b)에 접속하고, 접촉자(20c)는 도체(18c)에 접속한다.
차단기(5, 6)는 2차 측의 부하에 비정상적인 전류가 흘렀을 때, 1차 측으로부터의 급전을 자동적으로 차단하는 이상(異常) 차단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차단기(5)는, 접촉자(20a, 20b)와 2차 측의 회로 사이에 접속되고, 장치 본체(8)의 표면에 노출되는 조작 핸들(3)의 조작에 의해 1차 측과 2차 측 사이(접촉자(20a, 20b)와 2차 측의 회로 사이)를 전기적으로 차단 또는 접속할 수 있다.
차단기(6)는, 접촉자(20b, 20c)와 2차 측의 회로 사이에 접속되고, 장치 본체(8)의 표면에 노출되는 조작 핸들(4)의 조작에 의해 1차 측과 2차 측 사이(접촉자(20b, 20c)와 2차 측의 회로 사이)를 전기적으로 차단 또는 접속할 수 있다.
커버(7)는 장치 본체(8)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장치 본체(8)에 장착된 상태에서 조작 핸들(3, 4)의 조작을 제한한다. 그리고, 1차 측은 급전 측이고, 2차 측은 부하 측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배선 덕트 접속 장치(1)가 접속되는 배선 덕트(17)에 대하여 설명한다.
배선 덕트(17)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장척(長尺)의 각통형(角筒形)이며, 배선 덕트(17)의 하면에는 길이 방향의 전체에 걸쳐 홈(19)이 개구(開口)되어 있다. 배선 덕트(17)의 안쪽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3개의 도체(18a∼18c)가 배치되어 있다.
도체(18a∼18c)는 단상 3선식의 AC 100/200V의 전원에 접속되어 있다. 도체(18a)는 단상 3선 배선의 중성선(中性線)에 상당하고, 배선 덕트(17) 내의 천장 면에 설치되어 있다. 도체(18b, 18c)는 전압선에 상당하고, 배선 덕트(17) 내의 양(兩) 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원의 전압은 AC 100/200V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AC 240/480V 등의 적절한 전압이어도 된다.
배선 덕트 접속 장치(1)는, 합성 수지제의 보디(9) 및 단자 커버(10)로 이루어지는 장치 본체(8)를 구비한다. 보디(9)는 세로로 긴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단자 커버(10)는 상면이 개구된 각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디(9)의 상면에는, 배선 덕트(17)의 홈(19)에 삽입되는 삽입부(2)가 설치되어 있다. 삽입부(2)는, 도 2 (a)∼(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디(9)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는 판형(板形)으로 형성되고, 삽입부(2)의 안쪽 치수는 홈(19)의 폭 치수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2)의 상면에는 오목부(2A)가 설치되고, 오목부(2A) 내에는 금속제의 접촉자(20a)가 설치되어 있다. 삽입부(2)의 한쪽 면(전면(前面))에는 구멍(2B)이 형성되어 있고, 금속제의 접촉자(20b)가 구멍(2B)으로부터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삽입부(2)의 다른 쪽 면(배면(背面))에는 구멍(2C)이 형성되어 있고, 금속제의 접촉자(20c)가 구멍(2C)으로부터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보디(9)의 양 측면의 상부에는, 레버(15a, 16a)가 설치되어 있다. 레버(15a, 16a)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레버(15a, 16a)가 함께 전방을 향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접촉자(20b)는 구멍(2B) 내에 퇴피(退避)하여 있고, 접촉자(20c)는 구멍(2C) 내에 퇴피하여 있다. 한편, 레버(15a)가 오른쪽 방향을 향하는 위치로 회전하고, 레버(16a)가 왼쪽 방향을 향하는 위치로 회전한 상태에서는, 접촉자(20b)는 구멍(2B)으로부터 밖으로 돌츨되고, 접촉자(20c)는 구멍(2C)으로부터 밖으로 돌츨되어 있다.
레버(15a)의 회전축에는 직사각형 판형의 고정판(15b)이 연결되고, 레버(16a)의 회전축에는 직사각형 판형의 고정판(16b)이 연결되어 있다. 고정판(15b, 16b)의 폭 치수는 홈(19)의 폭 치수보다 작도록 형성되어 있고, 고정판(15b, 16b)의 길이 치수는 홈(19)의 폭 치수보다 크도록 형성되어 있다.
고정판(15b)은 레버(15a)와 함께 회전하고, 레버(15a)가 전방을 향하는 위치까지 회전하면, 고정판(15b)의 길이 방향이 삽입부(2)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고정판(16b)은 레버(16a)와 함께 회전하고, 레버(16a)가 전방을 향하는 위치까지 회전하면, 고정판(16b)의 길이 방향이 삽입부(2)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된다.
여기서, 보디(9)를 배선 덕트(17)에 접속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레버(15a, 16a)가 함께 전방을 향하고 있는 상태에서, 보디(9)의 상부가 배선 덕트(17)의 측면과 맞닿는 위치까지 삽입부(2)를 배선 덕트(17)의 홈(19)에 삽입하면, 접촉자(20a)가 도체(18a)에 접촉한다.
접촉자(20a)가 도체(18a)에 접촉된 상태에서, 레버(15a)를 전방으로부터 왼쪽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레버(16a)를 전방으로부터 오른쪽 방향에 회전시킨다. 레버(15a, 16a)를 회전시킴으로써, 구멍(2B)으로부터 밖으로 돌출된 접촉자(20b)가 도체(18b)에 접촉하여 통전(通電)하고, 구멍(2C)으로부터 밖으로 돌출된 접촉자(20c)가 도체(18c)에 접촉하여 통전한다.
또한, 고정판(15b)은 레버(15a)와 함께 회전하여, 배선 덕트(17)의 홈(19)의 안쪽의 둘레 부분에 걸려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고정판(16b)은 레버(16a)와 함께 회전하여, 배선 덕트(17)의 홈(19)의 안쪽의 둘레 부분에 걸려 고정된다. 고정판(15b, 16b)이 배선 덕트(17)의 홈(19)의 둘레 부분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장치 본체(8)가 배선 덕트(17)에 걸려 고정된다.
보디(9)의 전면(前面)에는 차단기(5, 6)와, 차단기(5, 6)의 1차 측에 통전되면 점등하는 통전 램프(11)가 설치되어 있다.
차단기(5)는 조작 핸들(3)을 구비하고, 차단기(6)는 조작 핸들(4)을 구비하고 있다. 차단기(5)의 1차 측 단자는, 예를 들면, 피복 전선 등(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접촉자(20a, 20b)에 접속하고 있고, 차단기(5)의 2차 측 단자에는 급전 케이블(13)이 접속되어 있다. 차단기(6)의 1차 측 단자는, 예를 들면, 피복 전선 등(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접촉자(20b, 20c)에 접속하고 있고, 차단기(6)의 2차 측 단자에는 급전 케이블(13)이 접속되어 있다.
차단기(5)는, 조작 핸들(3)이 ON 위치(예를 들면, 위쪽)로 전환된 상태에서는 1차 측 단자와 2차 측 단자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조작 핸들(3)이 OFF 위치(예를 들면, 아래쪽)로 전환된 상태에서는 1차 측 단자와 2차 측 단자 사이를 전기적으로 차단한다. 마찬가지로, 차단기(6)는 조작 핸들(4)의 조작에 따라 차단기(6)의 1차 측 단자와 2차 측 단자 사이를 전기적으로 차단 또는 접속한다.
또한, 차단기(5, 6)는 이상 차단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차단기(5)는, 조작 핸들(3)이 ON 위치에 있어도, 2차 측의 부하에 비정상적인 전류가 흘렀을 때 1차 측으로부터의 급전을 자동으로 차단한다. 마찬가지로, 차단기(6)는, 조작 핸들(4)이 ON 위치에 있어도, 2차 측의 부하에 비정상적인 전류가 흘렀을 때 1차 측으로부터의 급전을 자동으로 차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차단기(5)를 AC 100V용, 차단기(6)를 AC 200V용으로 하고 있고, 차단기(5)에는 AC 100V용의 회로가 접속되고, 차단기(6)에는 AC 200V용의 회로가 접속된다.
그리고, 차단기(5, 6)는, 이상 차단 기능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되고, 조작 핸들(3, 4)의 전환 조작에 의해 1차 측 단자와 2차 측 단자 사이를 전기적으로 차단 또는 접속하는 것이어도 된다.
단자 커버(10)는, 보디(9)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보디(9)의 하부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보디(9)의 하부 및 차단기(5, 6)의 2차 측 단자를 덮고 있다. 단자 커버(10)의 하면에는, 급전 케이블(13)이 인입되는 인입구(도시하지 않음)와, 급전 케이블(13)의 외피를 유지하는 케이블 클램프(12)가 각각 2개씩 설치되어 있다.
급전 케이블(13)은, 인입구를 통해 단자 커버(10)의 내부에 인입되어 차단기(5, 6)의 2차 측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급전 케이블(13)의 외피는 단자 커버(10)를 보디(9)에 결합시킨 상태로 케이블 클램프(12)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보디(9)는 2개의 차단기(5, 6)를 구비하고 있지만, 차단기의 수는 2개로 한정되지 않고, 1 내지 복수의 차단기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보디(9)와 단자 커버(10)는 각각, 합성 수지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금속 등의 적절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커버(7)는 투광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7)는, 후부(後部)가 개구된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주부(主部)(7a)와 측부(側部)(7b, 7c)를 가지고 있다. 주부(7a)는 보디(9)의 표면을 따라 만곡(彎曲)되고, 보디(9)의 전면 및 양 측면의 일부를 덮는다. 측부(7b, 7c)는 주부(7a)의 상변 및 하변으로부터 각각 후방으로 돌출되고, 측부(7b, 7c)의 후단은 보디(9)의 표면과 맞닿는다.
보디(9)의 전면 부분을 덮는 커버(7)의 안쪽 치수는, 조작 핸들(3, 4)의 선단으로부터 보디(9)의 표면까지의 거리보다 크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커버(7)를 보디(9)의 전면에 설치하면, 커버(7)는 조작 핸들(3, 4)을 덮는다. 그리고, 커버(7)는 주부(7a)와 측부(7b, 7c)로 구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조작 핸들(3, 4)을 덮을 수 있는 적절한 형상이면 된다.
커버(7)의 한쪽 에지(왼쪽 에지)에는, 예를 들면, 중공 통형의 통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고, 보디(9)의 한쪽의 측면(좌측면)에는 축(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축을 통부에 삽입관통시킴으로써, 주부(7a)는 보디(9)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커버(7)의 다른 쪽 에지(오른쪽 에지)에는, 고정편(14b)이 설치되어 있다. 고정편(14b)은 커버(7)의 오른쪽 에지로부터 오른쪽 방향으로 돌출되는 직사각형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편(14b)의 중앙부에는, 나사(14c)를 삽입관통시키는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보디(9)에는, 커버(7)의 고정편(14b)과 중첩되도록 판형의 고정편(14a)이 설치되어 있다. 고정편(14a)의 중앙부에는, 나사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커버(7)의 좌측 에지의 축을 중심으로 커버(7)를 회전시켜 측부(7b, 7c)를 보디(9)의 표면에 접촉시켜, 나사(14c)를 고정편(14b)의 구멍에 삽입관통시켜 고정편(14a)에 나사 고정함으로써, 커버(7)가 보디(9)의 전면에 걸려 고정되어 조작 핸들(3, 4)을 덮는다.
그리고, 제한부는 조작 핸들(3, 4)을 덮는 커버(7)에 한정되지 않고, 조작 핸들(3, 4)이 온 위치로 전환된 상태로부터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조작 핸들(3, 4)의 하면에 접하는 직사각형 판형으로 형성된 제한부를 보디(9)의 전면에 장착하고, 제한부를 조작 핸들(3, 4)의 하면에 닿게 하여 조작 핸들(3, 4)이 온 위치에서 오프 위치로 움직이지 않게 함으로써, 조작 핸들(3, 4)의 조작을 제한해도 된다.
나사(14c)를 풀면, 커버(7)를 회전시켜 보디(9)의 전면을 노출시킬 수 있으므로, 조작 핸들(3, 4)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보디(9)를 덮은 상태로 커버(7)를 유지 또는 소정 조작에 의해 유지를 해제하는 자물쇠 장치(21)를 보디(9)가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자물쇠 장치(21)는, 예를 들면, 실린더 자물쇠로 이루어지고, 자물쇠 케이스(21a)와, 실린더(21b)와, 데드 볼트(dead bolt)(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자물쇠 케이스(21a)는 보디(9)로 일체로 설치되고, 자물쇠 케이스(21a)의 내부에는 실린더(21b)와 데드 볼트가 수납되어 있다. 자물쇠 케이스(21a)에는, 커버(7)의 단부에 설치된 고정편(7d)이 커버(7)를 닫은 상태에서 삽입되는 오목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실린더(21b)는 열쇠 구멍으로부터 꽂은 정규의 키(key)(도시하지 않음)를 돌림으로써 회전된다.
실린더(21b)가 잠금(lock) 방향으로 회전하면, 오목부 내에 삽입된 고정편(7d)을 걸어 고정하는 위치에 데드 볼트가 슬라이딩 이동하고, 커버(7)가 잠겨진다. 실린더(21b)가 잠금 해제 방향으로 회전하면, 데드 볼트는 고정편(7d)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커버(7)의 잠금이 해제된다. 자물쇠 장치(21)는, 키의 회전 조작에 따라, 조작 핸들(3, 4)을 덮은 상태의 커버(7)를 유지 또는 유지를 해제한다.
그리고, 자물쇠 장치(21)는 실린더 자물쇠로 한정되지 않고, 미리 정해진 해제 방법에 의해 자물쇠를 여는 적절한 자물쇠이면 된다. 예를 들면, 자물쇠 장치(21)는, 비밀번호, 전용 카드 키, 지문 등의 생체 인증에 의해 자물쇠를 열 수 있는 전자 자물쇠 등이어도 된다. 또한, 자물쇠 장치(21)는, 조작 핸들(3, 4)을 덮은 상태의 커버(7)를 유지 또는 유지를 해제하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면, 구멍을 형성한 커버(7)와, 구멍을 형성한 보디(9)를 남경 자물쇠(돈 주머니 모양의 작은 자물쇠)의 걸쇠로 채우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유지부는 자물쇠 장치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통상의 공구로는 돌릴 수 없는 특수한 홈이나 구멍이 있는 나사를 사용하여 조작 핸들(3, 4)을 덮은 상태의 커버(7)를 유지 또는 유지를 해제하는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나사는, 나사의 헤드부에 삼각 구멍, 사각 구멍, 육각 구멍, 육각 별형의 구멍, 복수의 구멍, 또는 3개의 홈 등이 설치된 나사(변형 방지 나사(tamper-resistant screw)) 등이어도 된다.
그리고, 커버(7)는 투명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불투명한 재료(예를 들면, ABS 수지 등)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불투명한 재료로 형성된 커버(7)가 조작 핸들(3, 4)을 덮음으로써, 장치 본체(8)의 외관을 본 것만으로는 조작 핸들(3, 4)의 존재를 알 수 없기 때문에, 고의로 조작 핸들(3, 4)이 조작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커버(7)의 왼쪽 에지는 축에 의해 보디(9)에 지지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한 방법으로 보디(9)에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주부(7a)의 왼쪽 에지에, 주부(7a)의 표면으로부터 보디(9) 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부를 설치하고, 볼록부에 대응하는 오목부를 보디(9)의 좌측면에 설치하여, 볼록부와 오목부를 끼워 맞춤으로써, 커버(7)의 왼쪽 에지가 보디(9)에 장착되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보디(9)의 양 측면에 고정편(14a)을 각각 설치하고, 커버(7)의 양측 에지에 고정편(14b)을 각각 설치하여, 2개의 나사(14c)에 의해 커버(7)가 보디(9)에 장착되어도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1)를 사용하는 배선 덕트 시스템을 데이터 센터에 설치한 경우의 사용 상황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배선 덕트(17)는 천장(23)으로부터 장척의 매닮 금속 부재(24)로 매달려 설치되어 있고, 급전 대상의 서버 랙(22)의 위쪽으로 배선 덕트 접속 장치(1)가 접속되어 있다. 배선 덕트 접속 장치(1)는 급전 케이블(13)을 통해 서버 랙(22)에 접속하고 있고, 배선 덕트(17)로부터 서버 랙(22)에 급전하고 있다.
배선 덕트 접속 장치(1)에는 제한부가 있으므로, 과실 또는 고의로 조작 핸들이 조작되고 어려워져, 부하로의 급전이 차단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조작 핸들을 조작하기 위해서는 드라이버나 전용 공구 등이 필요하며, 조작 핸들을 조작하기까지 시간이 걸린다. 데이터 센터에서는 통상, 보안 카메라에 의한 감시가 행해지고 있으므로, 조작 핸들을 조작하기까지 시간이 걸리므로, 고의로 조작 핸들이 조작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데이터 센터에서는, 서버 랙마다 서버의 운용자가 상이한 경우가 많다. 그래서, 서버 랙(22)마다 상이한 키로 커버(7)를 여는 자물쇠 장치(21)를 구비한 배선 덕트 접속 장치(1)를 사용하면, 다른 키로는 커버(7)가 열리지 않기 때문에, 보안이 향상된다.
그리고, 이 경우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1)는, 배선 덕트 접속 장치(1)마다 커버(7)의 유지를 해제하는 방법이 상이하면 되고, 예를 들면, 자물쇠의 여는 방법을 바꾸거나 변형 방지 나사의 종류를 바꾸거나 해도 된다. 이로써, 과실 또는 고의로 조작 핸들이 조작되기 어려워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배선 덕트 접속 장치(1)는 1차 측의 접촉자(20a∼20c)와, 차단기(5, 6)와, 커버(7)를 구비한다. 접촉자(20a∼20c)는 배전용의 도체를 수납한 배선 덕트(17)의 도체(18a∼18c)에 접속한다. 차단기(5, 6)는, 접촉자(20a∼20c)와 2차 측의 회로 사이에 접속되고, 장치 본체(8)의 표면에 노출되는 조작 핸들(3, 4)의 오프 조작에 의해 1차 측과 2차 측 사이를 전기적으로 차단한다. 커버(7)는 장치 본체(8)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장치 본체(8)에 장착된 상태에서 조작 핸들(3, 4)의 조작을 제한한다.
장치 본체(8)에 장착된 커버(7)가 차단기(5, 6)의 조작 핸들(3, 4)의 조작을 제한하므로, 과실 또는 고의로 조작 핸들(3, 4)이 조작되기 어려워진다.
커버(7)는 조작 핸들(3, 4)을 덮음으로써 조작 핸들(3, 4)의 조작을 제한하는 것이어도 된다. 커버(7)가 조작 핸들(3, 4)을 덮음으로써, 커버(7)를 열지 않으면 조작 핸들(3, 4)을 만질 수 없기 때문에, 과실 또는 고의로 조작 핸들(3, 4)이 조작되기 어려워진다.
제한부는, 조작 핸들(3, 4)이 온 위치로 전환된 상태에서, 조작 핸들(3, 4)의 동작을 규제함으로써, 조작 핸들(3, 4)의 조작을 제한하는 것이어도 된다. 제한부가 조작 핸들(3, 4)을 온 위치의 상태에서 동작을 규제함으로써, 제한부를 장치 본체(8)로부터 떼어내지 않으면 조작 핸들(3, 4)을 움직일 수가 없기 때문에, 과실 또는 고의로 조작 핸들(3, 4)이 조작되기 어려워진다.
커버(7)는 투광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러므로, 커버(7)를 장치 본체(8)에 장착한 상태에서 조작 핸들(3, 4)의 상태를 볼 수가 있다.
커버(7)는 불투명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커버(7)가 불투명한 재료로 형성되므로, 커버(7)가 장치 본체(8)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조작 핸들(3, 4)의 존재를 외관상으로는 알기 어렵기 때문에, 고의로 조작 핸들(3, 4)이 조작되기 어려워진다.
커버(7)가 조작 핸들(3, 4)의 조작을 제한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자물쇠 장치(21)를 더 포함하고, 자물쇠 장치(21)는 소정 조작에 의해 커버(7)의 유지를 해제하는 것이어도 된다. 커버(7)와 보디(9)와의 유지를 해제하는 소정 조작을 행하지 않으면, 커버(7)를 열 수가 없기 때문에, 과실 또는 고의로 조작 핸들(3, 4)이 조작되기 어려워진다.
유지부는 키의 회전 조작에 의해 커버(7)에 의한 유지 상태를 해제하는 자물쇠 장치(21)이어도 된다.

Claims (9)

  1. 배전용(配電用)의 도전 부재를 수납한 배선 덕트의 상기 도전 부재에 접속하는 1차 측의 접촉자;
    상기 접촉자와 2차 측의 회로 사이에 접속되고, 장치 본체의 표면에 노출되는 조작 핸들의 오프 조작에 의해 1차 측과 2차 측 사이를 전기적으로 차단하는 차단기; 및
    상기 장치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장치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 핸들의 조작을 제한하는 제한부
    를 포함하는 배선 덕트 접속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는 상기 조작 핸들을 덮음으로써 상기 조작 핸들의 조작을 제한하는, 배선 덕트 접속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는, 상기 조작 핸들이 온 위치로 전환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 핸들의 동작을 규제함으로써 상기 조작 핸들의 조작을 제한하는, 배선 덕트 접속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는 투광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는, 배선 덕트 접속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는 불투명한 재료로 형성되는, 배선 덕트 접속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가 상기 조작 핸들의 조작을 제한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유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지부는 소정 조작에 의해 상기 제한부의 유지를 해제하는, 배선 덕트 접속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가 상기 조작 핸들의 조작을 제한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유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지부는 소정 조작에 의해 상기 제한부의 유지를 해제하는, 배선 덕트 접속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가 상기 조작 핸들의 조작을 제한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유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지부는 소정 조작에 의해 상기 제한부의 유지를 해제하는, 배선 덕트 접속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키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제한부에 의한 유지 상태를 해제하는 자물쇠 장치인, 배선 덕트 접속 장치.
KR1020140027178A 2013-05-15 2014-03-07 배선 덕트 접속 장치 KR1015729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03298A JP6528298B2 (ja) 2013-05-15 2013-05-15 配線ダクト接続装置
JPJP-P-2013-103298 2013-05-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5094A true KR20140135094A (ko) 2014-11-25
KR101572936B1 KR101572936B1 (ko) 2015-11-30

Family

ID=51911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7178A KR101572936B1 (ko) 2013-05-15 2014-03-07 배선 덕트 접속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528298B2 (ko)
KR (1) KR101572936B1 (ko)
CN (1) CN104167314B (ko)
TW (1) TWI5470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87905B2 (ja) * 2013-09-09 2017-08-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配線ダクト接続装置
CN104953433A (zh) * 2014-12-30 2015-09-30 林建平 受电模块总成
CN104953432A (zh) * 2014-12-30 2015-09-30 陈旭 带标记线的旁站电力线
CN104505799B (zh) * 2014-12-30 2017-09-05 赵钦基 导线端部带低阻插接连接界面的旁站电力线
US10492329B2 (en) 2016-12-30 2019-11-26 Google Llc Powering electronic devices in a data center
EP3694300B1 (en) * 2016-12-30 2024-05-22 Google LLC Powering electronic devices in a data center
CN107069443A (zh) * 2017-06-19 2017-08-18 峨眉山长宇电气有限公司 一种箱变线缆分类布线架
JP7133780B2 (ja) 2017-09-29 2022-09-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プラグ装置及び配電システム
JP7033745B2 (ja) 2017-09-29 2022-03-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配電システム
CN108183372B (zh) * 2017-12-28 2020-11-03 成都工业学院 一种可转向滑触线系统
EP3761460A4 (en) * 2018-02-28 2021-10-13 Modulex Inc. CABLE CHANNEL PLUG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4237U (ko) * 1985-05-23 1986-12-03
US4978816A (en) * 1990-02-16 1990-12-18 General Electric Company Circuit breaker handle interlock arrangement
JPH0423030U (ko) * 1990-06-15 1992-02-25
JPH1154018A (ja) * 1997-08-04 1999-02-26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路遮断器のハンドルロック装置
JP2002367500A (ja) * 2001-06-06 2002-12-20 Kawamura Electric Inc 回路遮断器のハンドルロック
KR200372330Y1 (ko) 2004-10-21 2005-01-14 엘지산전 주식회사 사용제한 장치를 갖는 배선용차단기
TWI314751B (en) * 2005-03-30 2009-09-11 Master Lock Co Circuit breaker lockout device
JP2007220428A (ja) * 2006-02-15 2007-08-30 Kawamura Electric Inc ハンドルカバー構造
JP2012114000A (ja) * 2010-11-25 2012-06-14 Panasonic Corp 配線ダクト用プラ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28298B2 (ja) 2019-06-12
KR101572936B1 (ko) 2015-11-30
CN104167314B (zh) 2018-07-24
CN104167314A (zh) 2014-11-26
JP2014225353A (ja) 2014-12-04
TWI547046B (zh) 2016-08-21
TW201513505A (zh) 2015-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2936B1 (ko) 배선 덕트 접속 장치
US9455541B2 (en) Recessed movable jaws for connecting a plug-in unit to a busway
US11973331B2 (en) Current/voltage sensor and universal tap-off box
DE102011003598B4 (de) Elektronische Auslöseeinheit für einen elektrischen Schalter
CA2934985A1 (en) One axis shutter with a pin-based bus system for miniature circuit breaker load centers
JP6601750B2 (ja) 配線ダクト接続装置
JP6751918B2 (ja) 開閉器及び分電盤
JP2006339081A (ja) 配線用遮断器
JP2011008947A5 (ko)
JP6631910B2 (ja) 開閉器及び分電盤
CN107465111B (zh) 配电板
JP2017103018A (ja) 開閉器及び分電盤
JP6704173B2 (ja) 開閉器及び分電盤
US20130329332A1 (en) Power line indicator accessory for fusible circuit protection device array
AU2010100182B4 (en) Lock
GB2498020A (en) Electrical distribution board
GB2498019A (en) Electrical distribution board
US20240021384A1 (en) Power connection for safe energizing of a power unit in a motor control center
EP2117086A1 (en) Interlocked electrical outlet
TW201530943A (zh) 配線導管連接裝置
RU117230U1 (ru) Штепсельная вилка
JP2023131618A (ja) キャビネット及び配線装置
JP2020107619A (ja) 開閉器及び分電盤
TR201820563A2 (tr) Anakart kapağına müdahalede gücü kesen emniyet sistemi.
JP2021036511A (ja) 速結端子ユニットおよび回路遮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