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9331A - 비디오 획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디오 획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9331A
KR20140129331A KR1020147027280A KR20147027280A KR20140129331A KR 20140129331 A KR20140129331 A KR 20140129331A KR 1020147027280 A KR1020147027280 A KR 1020147027280A KR 20147027280 A KR20147027280 A KR 20147027280A KR 20140129331 A KR20140129331 A KR 20140129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information
resource point
monitoring range
camera re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7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3112B1 (ko
Inventor
송 펭
리안 송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40129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9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3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3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7Spatial or temporal dependent retrieval, e.g. spatiotemporal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39Details of the system layout
    • G08B13/19641Multiple cameras having overlapping views on a single scen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39Details of the system layout
    • G08B13/19645Multiple cameras, each having view on one of a plurality of scenes, e.g. multiple cameras for multi-room surveillance or for tracking an object by view hand-ov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78User interface
    • G08B13/19682Graphic User Interface [GUI] presenting system data to the user, e.g. information on a screen helping a user interacting with an alarm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비디오 획득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비디오 획득 방법은, 관리 서버로부터 시각적 인터페이스를 획득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시각적 인터페이스는 지리 정보 시스템(GIS) 지도를 포함하고, 상기 GIS 지도에 복수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 및 각각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범위가 표시됨 - ; 및 사용자 클릭 동작을 검출하고, 사용자의 클릭 동작의 좌표 파라미터를 획득하며, 상기 좌표 파라미터가 모니터링 범위 내에 있으면, 상기 좌표 파라미터를 상기 관리 서버에 송신하여, 상기 좌표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위치의 실시간 비디오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비디오 획득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따르면, 각각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범위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모니터링 범위 내의 어떠한 위치의 실시간 비디오를 볼 수 있고 추가 동작의 필요없이 한 번의 클릭 동작만으로 그 위치의 실시간 비디오를 신속하게 획득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동작 과정이 크게 간단하게 된다.

Description

비디오 획득 방법, 장치 및 시스템{VIDEO ACQUISI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본 출원은 2012년 6월 11일 중국특허청에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VIDEO OBTAINING METHOD, DEVICE, AND SYSTEM"인 중국특허출원 No. 201210189742.4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이며, 상기 문헌은 본 명세서에 원용되어 병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비디오 획득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리 정보 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로 약칭), 종래기술의 보안 감시 시스템에서는, 이 GIS의 지도 기능이 자주 사용된다. GIS 지도는 지형 및 건물과 같은 현장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GIS 지도는 통상적으로 카메라 자원 포인트를 지도에 부가하는 것을 지원하는데, 즉 카메라가 실제 설치되어 있는 위치에 아이콘을 부가하고, 일부의 기본적인 구성을 통해, 아이콘이 현장의 비디오에 대응되어 신속한 링크를 구축할 수 있다. 사용자는 링크를 클릭함으로써 현장의 실시간 비디오를 볼 수 있다.
실제의 응용 동안, 사용자가 GIS 지도의 인터페이스상에서 현장의 실시간 비디오를 시각적으로 보려고 하는 경우, 사용자는 먼저 GIS 지도상의 카메라 아이콘을 클릭해야 하고, 그런 다음 현장의 실시간 비디오가 표시되며; 사용자가 특정한 위치의 비디오를 보아야 하는 경우, 사용자는 팬-틸트-줌 제어 버튼(pan-tilt-zoom contol button)을 사용함으로써 조정을 수행해야 하며, 이는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고 동작이 복잡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비디오 획득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여, 보아야 하는 위치의 실시간 비디오를 신속하게 획득하여 동작 과정이 간단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비디오 획득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관리 서버로부터 시각적 인터페이스를 획득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시각적 인터페이스는 지리 정보 시스템(GIS) 지도를 포함하고, 상기 GIS 지도에 복수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 및 각각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범위가 표시됨 - ; 및
사용자 클릭 동작을 검출하고, 사용자의 클릭 동작의 좌표 파라미터를 획득하며, 상기 좌표 파라미터가 모니터링 범위 내에 있으면, 상기 좌표 파라미터를 상기 관리 서버에 송신하여, 상기 좌표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위치의 실시간 비디오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비디오 획득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시각적 인터페이스를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시각적 인터페이스는 지리 정보 시스템(GIS) 지도를 포함하고, 상기 GIS 지도에 복수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 및 각각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범위가 표시됨 - ;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수신된 좌표 파라미터에 따라, 조정될 카메라 자원 포인트 및 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상기 조정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조정될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카메라를 조정하는 단계 - 이에 따라 상기 조정된 카메라는 상기 좌표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위치의 실시간 비디오를 수집함 - ; 및
상기 조정된 카메라 자원 포인트에 의해 수집되는 실시간 비디오를 획득하며, 상기 실시간 비디오를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단말 장치는:
관리 서버로부터 시각적 인터페이스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시각적 인터페이스 유닛 - 여기서, 상기 시각적 인터페이스는 지리 정보 시스템(GIS) 지도를 포함하고, 상기 GIS 지도에 복수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 및 각각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범위가 표시됨 - ; 및
사용자 클릭 동작을 검출하고, 사용자의 클릭 동작의 좌표 파라미터를 획득하며, 상기 좌표 파라미터가 모니터링 범위 내에 있으면, 상기 좌표 파라미터를 상기 관리 서버에 송신하여, 상기 좌표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위치의 실시간 비디오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프로세싱 유닛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관리 서버를 제공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시각적 인터페이스를 단말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시각적 인터페이스 송신 유닛 - 여기서, 상기 시각적 인터페이스는 지리 정보 시스템(GIS) 지도를 포함하고, 상기 GIS 지도에 복수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 및 각각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범위가 표시됨 - ; 및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수신된 좌표 파라미터에 따라, 조정될 카메라 자원 포인트 및 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상기 조정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조정될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카메라를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조정 유닛 - 이에 따라 상기 조정된 카메라는 상기 좌표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위치의 실시간 비디오를 수집함 - ; 및
상기 조정된 카메라 자원 포인트에 의해 수집되는 실시간 비디오를 획득하며, 상기 실시간 비디오를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비디오 송신 유닛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비디오 획득 시스템을 제공하며, 상기 비디오 획득 시스템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 장치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관리 서버
를 포함한다.
전술한 기술적 솔루션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비디오 획득 방법, 장치, 시스템에 따르면, 단말 장치는 관리 서버로부터 시각적 인터페이스를 획득하고, 여기서 시각적 인터페이스는 지리 정보 시스템(GIS) 지도를 포함하고, 복수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 및 각각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범위가 GIS 지도에 표시되며; 단말 장치는 사용자 클릭 동작을 검출하고, 사용자의 클릭 동작의 좌표 파라미터를 획득하며, 좌표 파라미터가 모니터링 범위 내에 있으면, 이 좌표 파라미터를 관리 서버에 송신하여, 이 좌표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위치의 실시간 비디오를 획득한다. 각각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범위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모니터링 범위 내의 임의의 위치의 실시간 비디오를 볼 수 있고 추가 동작에 대한 필요없이 한 번의 클릭 동작만으로 위치의 실시간 비디오를 신속하게 획득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동작 과정이 크게 간단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필요한 첨부된 도면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당연히, 이하의 실시예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의 실시예에 지나지 않으며, 당업자라면 창조적 노력 없이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다른 도면을 도출해낼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획득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비디오 획득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비디오 획득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비디오 획득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단말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관리 서버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목적, 기술적 솔루션, 및 이점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솔루션에 대해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당연히,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가 아닌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당업자가 창조적 노력 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획득하는 모든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획득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비디오 획득 방법은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특정한 위치의 실시간 비디오를 보는 프로세싱 과정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비디오 획득 방법은 단말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으며, 단말 장치는 구체적으로 프로세서 및 스크린을 구비하는 장치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이동전화, 및 태블릿 컴퓨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비디오 획득 방법은 구체적으로 이하를 포함한다:
단계 A10: 관리 서버로부터 시각적 인터페이스를 획득하며, 여기서 상기 시각적 인터페이스는 지리 정보 시스템(GIS) 지도를 포함하고, 복수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 및 각각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범위가 GIS 지도에 표시된다.
단계 A20: 사용자 클릭 동작을 검출하고, 사용자의 클릭 동작의 좌표 파라미터를 획득하며, 상기 좌표 파라미터가 모니터링 범위 내에 있으면, 상기 좌표 파라미터를 상기 관리 서버에 송신하여, 상기 좌표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위치의 실시간 비디오를 획득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단말 장치를 사용하여 관리 서버에 대한 접속을 구축함으로써, 대응하는 서비스를 획득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관리 서버에 지도 획득 요구를 송신할 수 있다. 관리 서버는 단말 장치에 시각적 인터페이스를 송신한다. 단말 장치는 이 시각적 인터페이스를 스크린상에 표시할 수 있다. 시각적 인터페이스는 GIS 지도를 포함하며, 이 GIS 지도상에는 복수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 및 각각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범위가 표시된다. 카메라 자원 포인트는 카메라 아이콘 또는 다른 식별자에 의해 GIS 지도상에 나타내어질 수 있다. 각각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범위는 이 모니터링 범위를 다른 비-모니터링 범위와 구별할 수 있는 한 GIS 지도상에 그림자 영역 또는 색상 영역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모니터링 범위는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카메라에 의해 모니터링될 수 있는 영역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카메라는 GIS 지도상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위치의 현장에 설치되고, 관리 서버는 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한 위치의 실시간 비디오를 보아야 하면, 사용자는 GIS 지도상에서 그 위치를 클릭할 수 있다. 사용자 클릭 동작은 마우스로 완료될 수 있으며, 또는 단말 장치의 스크린이 터치스크린이면 터치 동작을 통해 실행될 수도 있다. 단말 장치는 사용자 클릭 동작을 검출하고, 사용자 클릭 동작의 좌표 파라미터를 획득하며, 여기서 좌표 파라미터는 구체적으로 GIS 지도상의 위치 좌표이다. GIS 지도가 3차원 지도이면, 좌표 파라미터는 3차원 좌표일 수 있다. 좌표 파라미터가 모니터링 범위 내에 있으면, 이는 사용자가 그 위치의 실시간 비디오를 봐야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며, 좌표 파라미터는 관리 서버에 송신되고, 관리 서버는 모니터링 범위에 대응하는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카메라를 제어하며 카메라의 위치 및 파라미터를 조정하여, 그 위치의 실시간 비디오를 수집한다. 관리 서버는 그 위치의 실시간 비디오를 단말 장치에 송신하며, 단말 장치는 실시간 비디오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비디오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단말 장치상에 팝업되어 실시간 비디오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클릭 동작의 좌표 파라미터가 어떠한 모니터링 범위 내에도 없으면, 사용자 클릭 동작은 처리될 필요가 없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비디오 획득 방법에 따르면, 단말 장치는 관리 서버로부터 시각적 인터페이스를 획득하며, 여기서 시각적 인터페이스는 지리 정보 시스템(GIS) 지도를 포함하고, 이 GIS 지도상에 복수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 및 각각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범위가 표시되며; 단말 장치는 사용자 클릭 동작을 검출하고, 사용자 클릭 동작의 좌표 파라미터를 획득하며, 좌표 파라미터가 모니터링 범위 내에 있으면, 이 좌표 파라미터를 관리 서버에 송신하여, 이 좌표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위치의 실시간 비디오를 획득한다. 각각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범위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모니터링 범위 내의 어떠한 위치의 실시간 비디오를 볼 수 있고 추가 동작의 필요없이 한 번의 클릭 동작만으로 그 위치의 실시간 비디오를 신속하게 획득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동작 과정이 크게 간단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단계 A20에서, 좌표 파라미터를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그리고 좌표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위치의 실시간 비디오를 획득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관리 서버에 의해 송신되는 카메라 자원 포인트 목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선택 정보에 따라 상기 카메라 자원 포인트 목록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들이 특정의 영역에 조밀하게 설치되어 있으면, 복수의 카메라의 모니터링 범위 간에 중첩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대응해서 사용자 클릭 동작의 좌표 파라미터가 그 중첩에서 발생하면, 좌표 파라미터는 복수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모니터링 범위 내에 있게 되고, 관리 서버는 카메라 자원 포인트 목록을 생성하고 이 카메라 자원 포인트 목록을 단말 장치에 송신하며, 사용자는 카메라 자원 포인트를 선택한다. 카메라 자원 포인트 목록은 구체적으로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명칭, 카메라의 장치 정보, 및 카메라와 그 보이는 위치 간의 직선 거리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참조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 카메라 자원 포인트 목록에서 하나 이상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를 선택할 수 있으며; 카메라 장치는 사용자가 선택한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식별자 정보를 관리 서버에 송신하며; 관리 서버는 사용자가 선택한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카메라를 조정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비디오 획득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비디오 획득 방법은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특정한 위치의 실시간 비디오를 보는 프로세싱 과정에 적용 가능하며,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협동하여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비디오 획득 방법은 관리 서버에 의해 실행될 수 있으며, 관리 서버는 구체적으로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다양한 컴퓨터 장치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비디오 획득 방법은 구체적으로 이하를 포함한다.
단계 B10: 시각적 인터페이스를 단말 장치에 송신하며, 여기서 상기 시각적 인터페이스는 지리 정보 시스템(GIS) 지도를 포함하고, 상기 GIS 지도에 복수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 및 각각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범위가 표시된다.
단계 B20: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수신된 좌표 파라미터에 따라, 조정될 카메라 자원 포인트 및 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상기 조정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조정될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카메라를 조정하며, 이에 따라 상기 조정된 카메라는 상기 좌표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위치의 실시간 비디오를 수집한다.
단계 B30: 상기 조정된 카메라 자원 포인트에 의해 수집되는 실시간 비디오를 획득하며, 상기 실시간 비디오를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관리 서버는 단말 장치의 지도 획득 요구에 따라 단말 장치에 시각적 인터페이스를 송신할 수 있다. 시각적 인터페이스는 지리 정보 시스템(GIS) 지도를 포함하고, 상기 GIS 지도에 복수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 및 각각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범위가 표시된다. 카메라 자원 포인트 및 상기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모니터링 범위는 사전설정될 수 있으며, 각각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는 한 곳의 현장 상의 카메라에 대응한다. GIS 지도상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위치가 카메라의 실제 위치이다. 카메라가 현장에 설치되어 있으면, 그 카메라의 모니터링 범위는 카메라의 설치 정보 및 카메라의 장치 정보에 따라 결정되며, 카메라 자원 포인트 및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모니터링 범위가 GIP 지도상에서 식별된다.
사용자가 특정한 위치의 실시간 비디오를 보아야 하면, 사용자는 GIS 지도상에서 그 위치를 클릭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사용자 클릭 동작을 검출하고, 사용자 클릭 동작의 좌표 파라미터를 획득하며, 좌표 파라미터가 모니터링 범위 내에 있으면, 이는 사용자가 그 위치의 실시간 비디오를 봐야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며, 좌표 파라미터를 관리 서버에 송신한다.
관리 서버는, 좌표 파라미터에 따라, 좌표 파라미터가 위치하는 모니터링 범위 및 이 모니터링 범위에 대응하는 카메라 자원 포인트를 결정하고, 여기서 카메라 자원 포인트는 조정될 카메라 자원 포인트이다. 조정될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정보는 알려져 있으며; 조정 파라미터는 조정될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정보 및 보아야 할 위치의 좌표 정보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관리 서버는 조정 파라미터에 따라 그 조정될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카메라를 제어하며, 이에 따라 카메라는 그 보아야 할 위치의 실시간 비디오를 수집한다. 관리 서버는 카메라에 의해 수집되는 실시간 비디오를 획득하고, 그 비디오를 단말 장치에 송신한다.
실제의 실행 프로세스에서는, 관리 서버의 프로세싱 과정을 단축하기 위해, 포워딩 서버가 배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카메라를 조정한 후, 관리 서버는 그 조정된 카메라의 정보 및 단말 장치의 정보를 포워딩 서버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의 정보를 시리얼 넘버, IP 어드레스, 및 카메라의 채널 번호이고, 단말 장치의 정보는 단말 장치의 IP 어드레스이다. 포워딩 서버는 카메라와 단말 장치에 대한 접속을 개별적으로 구축하며, 그 실시간 비디오를 단말 장치에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비디오 획득 방법에 따르면, 관리 서버는 시각적 인터페이스를 단말 장치에 송신하고, 여기서 상기 시각적 인터페이스는 지리 정보 시스템(GIS) 지도를 포함하고, 상기 GIS 지도에 복수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 및 각각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범위가 표시되며; 관리 서버는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수신된 좌표 파라미터에 따라, 조정될 카메라 자원 포인트 및 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상기 조정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조정될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카메라를 조정하며, 이에 따라 상기 조정된 카메라는 상기 좌표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위치의 실시간 비디오를 수집하며; 그리고 관리 서버는 상기 조정된 카메라 자원 포인트에 의해 수집되는 실시간 비디오를 획득하며, 상기 실시간 비디오를 단말 장치에 송신한다. 각각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범위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모니터링 범위 내의 어떠한 위치의 실시간 비디오를 볼 수 있고 추가 동작의 필요없이 한 번의 클릭 동작만으로 그 위치의 실시간 비디오를 신속하게 획득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동작 과정이 크게 간단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비디오 획득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GIS 지도상에 표시되는 각각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범위가 사전설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 추가로, 시각적 인터페이스를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B10 이전에, 상기 방법은 이하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 B40: GIS 서버로부터 초기의 GIS 지도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B50: 각각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획득된 장치 정보 및 설치 정보 그리고 초기의 GIS 지도 정보에 따라, 각각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범위를 결정하며, 상기 시각적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GIS 서버는 GIS 지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관리 서버는 GIS 서버로부터 초기의 GIS 지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여기서 초기의 GIS 지도 정보는 초기의 GIS 지도이다. 각각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획득된 장치 정보 및 설치 정보는 구체적으로 조작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거나, 이러한 카메라를 관리하는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정보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카메라 자원 포인트는 하나의 현장에서의 카메라에 대응한다. 장치 정보는 구체적으로 카메라의 유형, 모니터링 각도, 줌 인자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설치 정보는 구체적으로 카메라의 설치 위치, 주위 환경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의 설치 정보에 따라, 카메라에 대응하는 카메라 자원 포인트는 아이콘 또는 다른 식별자의 형태로 GIS 지도상에 설치된다. 카메라의 장치 정보 및 설치 정보에 따라, 카메라가 모니터링할 수 있는 범위가 결정될 수 있으며, 그 모니터링 범위는 GIS 지도상에서 식별된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획득된 장치 정보 및 설치 정보 그리고 초기의 GIS 지도 정보에 따라, 각각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B50은 구체적으로:
각각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에 있어서, 장치 정보에 따라,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카메라가 돔 카메라(dome camera)인 것으로 인정되면, 상기 돔 카메라의 모니터링 각도(monitoring angle)를 결정하고, 상기 설치 정보에 따라 상기 돔 카메라의 위치 좌표 정보를 결정하며, 상기 돔 카메라의 모니터링 각도 및 위치 좌표 정보 그리고 상기 초기의 GIS 지도 정보에 따라 상기 돔 카메라의 모니터링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또는 장치 정보에 따라,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카메라가 박스 카메라(box camera)인 것으로 인정되면, 상기 설치 정보에 따라 상기 박스 카메라의 위치 좌표 정보 및 설치 각도를 결정하고, 상기 박스 카메라의 위치 좌표 정보 및 설치 각도 그리고 상기 초기의 GIS 지도 정보에 따라 상기 박스 카메라의 모니터링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 유형의 카메라가 네트워크 시스템에 존재하면, 상이한 방법을 사용하여 상이한 유형의 카메라의 모니터링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하의 방법을 사용하여 각각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모니터링 범위를 결정한다:
장치 정보에 따라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카메라의 유형을 인식하고, 카메라가 돔 카메라이면, 돔 카메라의 모니터링 각도를 결정하고, 여기서 돔 카메라의 모니터링 각도는 360°일 수도 있고 360°보다 낮을 수도 있으며; 돔 카메라의 설치 정보에 따라 돔 카메라의 위치 좌표 정보를 결정하며; 그리고 돔 카메라의 모니터링 각도 및 위치 좌표 정보 및 초기의 GIS 지도 정보에 따라 돔 카메라의 모니터링 범위를 결정한다.
돔 카메라의 모니터링 범위를 결정하는 프로세스에 대해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GIS 지도상의 임의의 포인트의 좌표는 (Xn, Yn, Zn)이고, 돔 카메라의 설치 위치의 좌표는 (x1, y1, z1+h)이며, 여기서 Z1은 설치 위치에 대응하는 해발 표고(sea level altitude)이고, h는 설치 높이다.
돔 카메라의 모니터링 각도가 306°이면, 돔 카메라의 모니터링 각도는 이하의 공식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Xn-1)2+(Yn-1)2≤L2, 및 Zn=z1+h; 그리고
상기 공식에 일치하는 좌표 (Xn, Yn, Zn)에 의해 형성되는 범위가 돔 카메라의 모니터링 범위이다.
돔 카메라의 모니터링 각도가 306°이고, 모니터링 각도가 A이면, 돔 카메라의 모니터링 각도의 경계와 GIS 지도의 양의 방향 간의 각도는 돔 카메라의 설치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GIS 지도의 양의 방향은 구체적으로 동쪽이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범위의 경계와 GIS 지도의 양의 방향 간의 각도가 B(0-360°)이면, 그리고 B-A가 음수이면, B-A=360°의 값을 취한다.
돔 카메라의 모니터링 각도는 이하의 공식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Xn-1)2+(Yn-1)2=L2, 및 Zn=z1+h, 여기서 L은 돔 카메라의 수평 커버리지 반경(horizontal coverage radius)이며, 여기서 수평 커버리지 반경은 돔 카메라의 초점 길이에 따른 계산을 통해 획득되며;
B-A>0일 때, B-A = arctan(Yn-y1)/(Xn-x1)= B;
B-A<0일 때, B-A+360 =arctan(Yn-y1)/(Xn-x1)=360,
또는 0=arctan(Yn-y1)/(Xn-x1)=B; 그리고
C=arctan(Yn-y1)/(Xn-x1)인 것으로 가정하면, Yn-y1>0일 때, 180°이하의 값을 C로 취하고, 또는 Yn-y1<0일 때, 180°내지 360°의 값을 C로 취한다.
카메라가 박스 카메라이면, 박스 카메라는 설치된 후에 회전 또는 줌을 수행할 수 없으므로, 박스 카메라가 모니터링할 수 있는 범위는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그러므로 박스 카메라가 모니터링할 수 있는 범위는 박스 카메라의 위치 좌표 정보 및 설치 각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실제의 실행 프로세스에서는, 박스 카메라의 설치 각도를 측정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허용되지 않으며, 모니터링 범위 역시 설치 각도에 따라 추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카메라의 설치 현장의 주위 환경에 다른 장애물이 있을 수 있고, 이러한 장애물은 카메라의 모니터링 범위에 영향을 준다. 그러므로 카메라의 모니터링 범위가 결정되면, 모니터링 범위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 모니터링 범위에 대한 장애물의 영향을 고려하여야 한다.
카메라가 돔 카메라이면, 돔 카메라의 모니터링 범위 및 위치 좌표 정보 그리고 GIS 지도 정보에 따라 돔 카메라의 모니터링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돔 카메라의 모니터링 각도 및 위치 좌표 정보에 따라 상기 돔 카메라의 이론적 모니터링 범위를 결정하고, 상기 초기의 GIS 지도 정보에 따라 상기 돔 카메라의 이론적 모니터링 범위 내에 장애물이 있는지를 판단하며, 장애물이 있으면, 상기 장애물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돔 카메라의 이론적 모니터링 범위를 정정하며, 상기 돔 카메라의 모니터링 범위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돔 카메라의 이론적 모니터링 범위 내에 장애물이 있는지가 판단되며, 여기서 장애물은 구체적으로 돌출하는 건물, 공장 등이 될 수 있다. 돔 카메라의 모니터링 범위 내에 장애물이 있으면,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돔 카메라의 그 결정된 모니터링 범위는 이론적 모니터링 범위이고, 이 이론적 모니터링 범위가 정정된다.
예를 들어, (Xn, Yn, Zn)이 이론적 모니터링 범위 내의 임의의 포인트의 좌표이고, 돔 카메라의 설치 위치의 좌표가 (x1, y1, z1+h)이며, 여기서 Z1은 설치 위치에 대응하는 해발 표고이고, h는 설치 높이이다.
포인트와 돔 카메라 간의 모든 포인트의 수평 좌표에 대한 공식은 y=(Yn-y1)/(Xn-x1)이고, 여기서 x는 x1 내지 Xn의 범위 내에 있으며;
높이 h1은 돔 카메라가 포인트 (Xn, Yn, Zn)를 관찰할 때 수평 좌표가 (x, y)인 포인트에서 돔 카메라가 관측할 수 있는 높이와 그 관측된 좌표 (Xn, Yn, Zn)의 높이 간의 차이이고;
h1은 다음의 공식:
Figure pct00001
을 사용하여 계산되며, 포인트와 돔 카메라 간의 모든 포인트의 높이는 초기의 GIS 지도 정보를 통해 추출되며, 즉 수평 좌표가 공식 y=(Yn-y1)/(Xn-x1)x에 일치하는 모든 포인트의 높이 정보 z이 추출되고, 여기서 x는 x1 내지 Xn의 범위 내에 있으며;
z>Zn+h1이면, 이것은 돔 카메라가 포인트 (Xn, Yn, Zn)를 관측할 때, 돔 카메라와 포인트 간에 장애물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또는
z<Zn+h1이면, 이것은 돔 카메라가 포인트 (Xn, Yn, Zn)를 관측할 때, 돔 카메라와 포인트 간에 장애물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돔 카메라의 이론적 모니터링 범위는 전술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정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실제의 모니터링 범위가 생성될 수 있다.
카메라가 박스 카메라일 때, 박스 카메라의 위치 좌표 정보 및 초기의 GIS 지도 정보에 따라 박스 카메라의 모니터링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상기 박스 카메라의 위치 좌표 정보에 따라 상기 박스 카메라의 이론적 모니터링 범위를 결정하고, 상기 초기의 GIS 지도 정보에 따라 상기 박스 카메라의 이론적 모니터링 범위 내에 장애물이 있는지를 판단하며, 장애물이 있으면, 상기 장애물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박스 카메라의 이론적 모니터링 범위를 정정하며, 상기 박스 카메라의 모니터링 범위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박스 카메라의 이론적 모니터링 범위 내에 장애물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방법은 구체적으로 돔 카메라에 대한 결정하는 방법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는다.
실제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카메라가 실내에 설치되어 있으면, 카메라의 모니터링 범위는 주위의 벽에 영향을 받으며, 이 경우, 모니터링 범위는 건물의 공간적 구조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비디오 획득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수신된 좌표 파라미터에 따라, 조정될 카메라 자원 포인트 및 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상기 조정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조정될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카메라를 조정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단계 B201: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수신된 좌표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좌표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범위 및 상기 모니터링 범위에 대응하는 카메라 자원 포인트를 결정하고, 하나의 모니터링 범위만 있으면, 상기 모니터링 범위에 대응하는 카메라 자원 포인트를 상기 조정될 카메라 자원 포인트로서 사용하거나, 또는 적어도 2개의 모니터링 범위가 있으면, 카메라 자원 포인트 목록을 생성하고 상기 카메라 자원 포인트 목록을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카메라 자원 포인트를 상기 조정될 카메라 자원 포인트로서 사용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는, 그 수신된 좌표 파라미터에 따라, 좌표 파라미터가 위치하는 모니터링 범위 및 이 모니터링 범위에 대응하는 카메라 자원 포인트를 결정한다. 좌표 파라미터가 위치하는 하나의 모니터링 범위만 있으면, 모니터링 범위에 대응하는 카메라 자원 포인트가 그 조정될 카메라 자원 포인트이다. 좌표 파라미터가 위치하는 적어도 2개의 모니터링 범위가 있으면, 이 적어도 2개의 모니터링 범위에 대응하는 카메라 자원 포인트는 카메라 자원 포인트 목록을 생성하며, 카메라 자원 포인트 목록은 사용자가 선택을 수행하는 장치 단말에 송신된다.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식별자 정보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카메라 자원 포인트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단계 B202: 상기 조정될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장치 정보 및 설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조정될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장치 정보에 따라, 상기 조정될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카메라가 돔 카메라인 것으로 인정되면, 상기 조정될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장치 정보 및 설치 정보 그리고 상기 좌표 파라미터에 따라, 수평 회전각, 수직 회전각 및 줌 인자를 생성하고, 상기 수평 회전각, 상기 수직 회전각 및 상기 줌 인자를 상기 조정 파라미터로서 사용하며, 그리고 상기 수평 회전각에 따라 수평으로 회전하고, 상기 수직 회전각에 따라 수직으로 회전하며, 상기 줌 인자에 따라 줌을 수행하도록 상기 조정될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카메라를 제어한다.
상기 조정될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카메라가 돔 카메라이면, 돔 카메라의 관측 각도는 조정될 수 있고 돔 카메라는 줌을 수행할 수 있다. 돔 카메라의 설치 위치의 좌표가 (x1, y1, z1+h)이고, 좌표 파라미터는 (x2, y2, z2)이며, 돔 카메라의 현재의 수평 관측 각도는 β이며, 수직 관측 각도는 b이다.
수평 회전각 β-α는 이하의 공식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x2>x1, 및 y2>y1이면, α=arctan(y2-y1)/(x2-x1), 및 α < 90°;
x2<x1, 및 y2>y1이면, α=arctan(y2-y1)/(x2-x1), 및 90°<α <180°;
x2<x1, 및 y2<y1이면, α=arctan(y2-y1)/(x2-x1), 및 180°<α <270°;
x2>x1, 및 y2<y1이면, α=arctan(y2-y1)/(x2-x1), 및 270°<α <360°;
β-α가 양수이고 180°보다 작으면, 돔 카메라는 시계방향으로 β-α만큼 회전하며;
β-α가 양수이고 180°보다 크면, 돔 카메라는 반시계방향으로 360°-(β-α)만큼 회전하며;
β-α가 음수이고 -180°보다 크면, 돔 카메라는 반시계방향으로 β-α만큼 회전하며; 또는
β-α가 음수이고 -180°보다 작으면, 돔 카메라는 시계방향으로 360°+(β-α)만큼 회전한다.
수직 회전각 b-a는 이하의 공식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Figure pct00002
여기서, z1+h>z2, 즉 돔 카메라의 설치 높이는 관측 포인트보다 높으며;
b-a가 양수이면, 돔 카메라는 대응하는 각만큼 상향 회전하며; 또는
b-a가 음수이면, 돔 카메라는 대응하는 각만큼 하향 회전한다.
줌 인자 n은 이하의 공식:
Figure pct00003
에 따라 생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m은 돔 카메라의 가장 큰 인자이며 n의 계산 결과가 정수가 아니면, 가장 가까운 정수의 값을 취하고, n>m이면, m의 값을 취한다.
조정될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카메라가 박스 카메라이면, 그리고 그 박스 카메라를 조정할 수 없으면, 박스 카메라는 조정되지 않아도 되며, 박스 카메라에 의해 수집되는 실시간 비디오를 직접 획득할 수 있다.
실제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카메라의 모니터링 범위에 대한 장애물의 영향은 미리 결정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특정한 위치의 실시간 비디오를 보려고 할 때, 사용자 클릭 동작에 대응하는 좌표 파라미터에 따라 카메라와 위치 간에 장애물이 있는지를 실시간으로 결정하며, 사용자는 그 결정에 대한 결과에 대해 신속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 장치(81)는 단말 장치(81)에 적용 가능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는 비디오 획득 방법의 단계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설명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 장치(81)는 구체적으로 시각적 인터페이스 유닛(11) 및 프로세싱 유닛(12)을 포함한다. 시각적 인터페이스 유닛(81)은 관리 서버(82)로부터 시각적 인터페이스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상기 시각적 인터페이스는 지리 정보 시스템(GIS) 지도를 포함하고, 상기 GIS 지도에 복수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 및 각각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범위가 표시된다. 프로세싱 유닛(82)은 사용자 클릭 동작을 검출하고, 사용자의 클릭 동작의 좌표 파라미터를 획득하며, 상기 좌표 파라미터가 모니터링 범위 내에 있으면, 상기 좌표 파라미터를 상기 관리 서버(82)에 송신하여, 상기 좌표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위치의 실시간 비디오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 장치(81)에 따르면, 시각적 인터페이스 유닛(81)은 관리 서버(82)로부터 시각적 인터페이스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상기 시각적 인터페이스는 지리 정보 시스템(GIS) 지도를 포함하고, 상기 GIS 지도에 복수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 및 각각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범위가 표시되며; 프로세싱 유닛(82)은 사용자 클릭 동작을 검출하고, 사용자의 클릭 동작의 좌표 파라미터를 획득하며, 상기 좌표 파라미터가 모니터링 범위 내에 있으면, 상기 좌표 파라미터를 상기 관리 서버(82)에 송신하여, 상기 좌표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위치의 실시간 비디오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범위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모니터링 범위 내의 임의의 위치의 실시간 비디오를 볼 수 있고 추가 동작에 대한 필요없이 한 번의 클릭 동작만으로 위치의 실시간 비디오를 신속하게 획득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동작 과정이 크게 간단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단말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81)는 목록 수신 유닛(13) 및 선택 유닛(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록 수신 유닛(13)은 관리 서버(82)에 의해 송신되는 카메라 자원 포인트 목록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택 유닛(82)은 수신된 선택 정보에 따라 상기 카메라 자원 포인트 목록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82)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카메라 자원 포인트 목록 내의 선택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정보에 따라 선택을 수행하여, 양호한 실시간 비디오를 획득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관리 서버(82)는 관리 서버(82)에 적용 가능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는 비디오 획득 방법의 단계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여기서 설명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관리 서버(82)는 구체적으로 시각적 인터페이스 송신 유닛(21), 조정 유닛(22), 및 비디오 송신 유닛(23)을 포함한다. 시각적 인터페이스 송신 유닛(21)은 시각적 인터페이스를 단말 장치(81)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상기 시각적 인터페이스는 지리 정보 시스템(GIS) 지도를 포함하고, 상기 GIS 지도에 복수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 및 각각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범위가 표시된다. 조정 유닛(22)은 단말 장치(81)에 의해 송신되는 수신된 좌표 파라미터에 따라, 조정될 카메라 자원 포인트 및 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상기 조정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조정될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카메라를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조정된 카메라는 상기 좌표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위치의 실시간 비디오를 수집한다. 비디오 송신 유닛(23)은 조정된 카메라 자원 포인트에 의해 수집되는 실시간 비디오를 획득하며, 상기 실시간 비디오를 상기 단말 장치(81)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관리 서버(82)에 따르면, 시각적 인터페이스 송신 유닛(21)은 시각적 인터페이스를 단말 장치(81)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상기 시각적 인터페이스는 지리 정보 시스템(GIS) 지도를 포함하고, 상기 GIS 지도에 복수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 및 각각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범위가 표시되며; 조정 유닛(22)은 단말 장치(81)에 의해 송신되는 수신된 좌표 파라미터에 따라, 조정될 카메라 자원 포인트 및 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상기 조정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조정될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카메라를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조정된 카메라는 상기 좌표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위치의 실시간 비디오를 수집하며; 비디오 송신 유닛(23)은 조정된 카메라 자원 포인트에 의해 수집되는 실시간 비디오를 획득하며, 상기 실시간 비디오를 상기 단말 장치(81)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범위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모니터링 범위 내의 임의의 위치의 실시간 비디오를 볼 수 있고 추가 동작에 대한 필요없이 한 번의 클릭 동작만으로 위치의 실시간 비디오를 신속하게 획득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동작 과정이 크게 간단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관리 서버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관리 서버(82)는 지도 정보 획득 유닛(24) 및 시각적 인터페이스 생성 유닛(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도 정보 획득 유닛(24)은 GIS 서버(83)로부터 초기의 GIS 지도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시각적 인터페이스 생성 유닛(25)은 각각의 상기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획득된 장치 정보 및 설치 정보 그리고 상기 초기의 GIS 지도 정보에 따라, 각각의 상기 카메라 자원 포인트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범위를 결정하며, 상기 시각적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지도 정보 획득 유닛(24) 및 시각적 인터페이스 생성 유닛(25)은 카메라 자원 포인트 및 상기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모니터링 범위를 표시하는 GIS 지도를 포함하는 시각적 인터페이스를 미리 생성할 수 있으며, 새로 부가된 카메라 정보에 따라 시각적 인터페이스를 갱신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시각적 인터페이스 생성 유닛(25)은, 각각의 상기 카메라 자원 포인트에 있어서, 상기 장치 정보에 따라, 상기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카메라가 돔 카메라인 것으로 인정되면, 상기 돔 카메라의 모니터링 각도를 결정하고, 상기 설치 정보에 따라 상기 돔 카메라의 위치 좌표 정보를 결정하며, 상기 돔 카메라의 모니터링 각도 및 위치 좌표 정보 그리고 상기 초기의 GIS 지도 정보에 따라 상기 돔 카메라의 모니터링 범위를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장치 정보에 따라, 상기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카메라가 박스 카메라인 것으로 인정되면, 상기 설치 정보에 따라 상기 박스 카메라의 위치 좌표 정보 및 설치 각도를 결정하고, 상기 박스 카메라의 위치 좌표 정보 및 설치 각도 그리고 상기 초기의 GIS 지도 정보에 따라 상기 박스 카메라의 모니터링 범위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시각적 인터페이스 생성 유닛(25)은, 상기 돔 카메라의 모니터링 각도 및 위치 좌표 정보에 따라 상기 돔 카메라의 이론적 모니터링 범위를 결정하고, 상기 초기의 GIS 지도 정보에 따라 상기 돔 카메라의 이론적 모니터링 범위 내에 장애물이 있는지를 판단하며, 장애물이 있으면, 상기 장애물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돔 카메라의 이론적 모니터링 범위를 정정하며, 상기 돔 카메라의 모니터링 범위를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박스 카메라의 위치 좌표 정보에 따라 상기 박스 카메라의 이론적 모니터링 범위를 결정하고, 상기 초기의 GIS 지도 정보에 따라 상기 박스 카메라의 이론적 모니터링 범위 내에 장애물이 있는지를 판단하며, 장애물이 있으면, 상기 장애물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박스 카메라의 이론적 모니터링 범위를 정정하며, 상기 박스 카메라의 모니터링 범위를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조정 유닛(22)은 카메라 결정 서브유닛(31) 및 조정 유닛(32)을 포함한다. 카메라 결정 서브유닛(31)은 단말 장치(81)에 의해 송신되는 수신된 좌표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좌표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범위 및 상기 모니터링 범위에 대응하는 카메라 자원 포인트를 결정하고, 하나의 모니터링 범위만 있으면, 상기 모니터링 범위에 대응하는 카메라 자원 포인트를 상기 조정될 카메라 자원 포인트로서 사용하거나, 또는 적어도 2개의 모니터링 범위가 있으면, 카메라 자원 포인트 목록을 생성하고 상기 카메라 자원 포인트 목록을 상기 단말 장치(81)에 송신하고, 상기 단말 장치(81)에 의해 송신되는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카메라 자원 포인트를 상기 조정될 카메라 자원 포인트로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정 서브유닛(32)은 상기 조정될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장치 정보 및 설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조정될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장치 정보에 따라, 상기 조정될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카메라가 돔 카메라인 것으로 인정되면, 상기 조정될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장치 정보 및 설치 정보 그리고 상기 좌표 파라미터에 따라, 수평 회전각, 수직 회전각 및 줌 인자를 생성하고, 상기 수평 회전각, 상기 수직 회전각 및 상기 줌 인자를 상기 조정 파라미터로서 사용하며, 그리고 상기 수평 회전각에 따라 수평으로 회전하고, 상기 수직 회전각에 따라 수직으로 회전하며, 상기 줌 인자에 따라 줌을 수행하도록 상기 조정될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카메라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비디오 획득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비디오 획득 시스템은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임의의 하나에서 제공하는 단말 장치 및 본 발명의 실시예 중 임의의 하나에서 제공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비디오 획득 시스템은 보안 감시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 보안 감시 시스템에서, 카메라는 모니터링되어야 하는 현장에 설치된다. 관리 서버는 GIS 서버로부터 초기의 GIS 지도 정보를 획득하고 카메라 자원 포인트 및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모니터링 범위를 GIS 지도상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단말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관리 서버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관리 서버는 관리 장치에 시각적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시각적 인터페이스는 카메라 자원 포인트 및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모니터링 범위가 표시되는 GIS 지도를 포함한다. 카메라 자원 포인트는 카메라 아이콘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모니터링 범위는 그림자 영역으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카메라가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모니터링 범위 및 카메라 아이콘을 볼 수 있고, 모니터링 범위 및 카메라 아이콘은 GIS 지도상에 표시된다. 사용자가 특정한 위치의 실시간 비디오를 보려고 할 때, 사용자는 GIS 지도상의 카메라의 모니터링 범위 내의 임의의 포인트를 직접 클릭한다. 그러면 카메라의 실시간 비디오 팝업된다. 카메라가 돔 카메라이면, 돔 카메라는, 관리 시스템의 제어 하에, 사용자가 보려고 하는 위치로 회전하고, 적절하게 줌을 수행하며, 이에 따라 명확한 실시간 비디오를 획득한다.
보안 감시 카메라에 저장 서버가 추가로 배치하여, 다양한 카메라의 의해 수집되는 실시간 비디오를 저장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방법 실시예의 단계 중 일부 또는 전부는 관련 하드웨어에 명령을 내리는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형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방법 실시예의 단계들이 수행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ROM, RAM, 자기디스크, 또는 광디스크를 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솔루션을 설명하기 위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님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전술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전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기술적 솔루션에 대한 수정, 또는 기술적 특징 중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한 등가의 대체는 대응하는 기술적 솔루션의 본질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이러한 변형 또는 대체를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비디오 획득 방법에 있어서,
    관리 서버로부터 시각적 인터페이스를 획득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시각적 인터페이스는 지리 정보 시스템(GIS) 지도를 포함하고, 상기 GIS 지도에 복수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 및 각각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범위가 표시됨 - ; 및
    사용자 클릭 동작을 검출하고, 사용자의 클릭 동작의 좌표 파라미터를 획득하며, 상기 좌표 파라미터가 모니터링 범위 내에 있으면, 상기 좌표 파라미터를 상기 관리 서버에 송신하여, 상기 좌표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위치의 실시간 비디오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디오 획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 파라미터를 상기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이후에, 그리고 상기 좌표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위치의 실시간 비디오를 획득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관리 서버에 의해 송신되는 카메라 자원 포인트 목록을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선택 정보에 따라 상기 카메라 자원 포인트 목록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비디오 획득 방법.
  3. 비디오 획득 방법에 있어서,
    시각적 인터페이스를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시각적 인터페이스는 지리 정보 시스템(GIS) 지도를 포함하고, 상기 GIS 지도에 복수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 및 각각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범위가 표시됨 - ;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수신된 좌표 파라미터에 따라, 조정될 카메라 자원 포인트 및 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상기 조정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조정될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카메라를 조정하는 단계 - 이에 따라 상기 조정된 카메라는 상기 좌표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위치의 실시간 비디오를 수집함 - ; 및
    상기 조정된 카메라 자원 포인트에 의해 수집되는 실시간 비디오를 획득하며, 상기 실시간 비디오를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디오 획득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적 인터페이스를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GIS 서버로부터 초기의 GIS 지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각각의 상기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획득된 장치 정보 및 설치 정보 그리고 상기 초기의 GIS 지도 정보에 따라, 각각의 상기 카메라 자원 포인트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범위를 결정하며, 상기 시각적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비디오 획득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카메라 자원 포인트 및 상기 초기의 GIS 지도 정보의 획득된 장치 정보 및 설치 정보에 따라, 각각의 상기 카메라 자원 포인트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각각의 상기 카메라 자원 포인트에 있어서, 상기 장치 정보에 따라, 상기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카메라가 돔 카메라(dome camera)인 것으로 인정되면, 상기 돔 카메라의 모니터링 각도(monitoring angle)를 결정하고, 상기 설치 정보에 따라 상기 돔 카메라의 위치 좌표 정보를 결정하며, 상기 돔 카메라의 모니터링 각도 및 위치 좌표 정보 그리고 상기 초기의 GIS 지도 정보에 따라 상기 돔 카메라의 모니터링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장치 정보에 따라, 상기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카메라가 박스 카메라(box camera)인 것으로 인정되면, 상기 설치 정보에 따라 상기 박스 카메라의 위치 좌표 정보 및 설치 각도를 결정하고, 상기 박스 카메라의 위치 좌표 정보 및 설치 각도 그리고 상기 초기의 GIS 지도 정보에 따라 상기 박스 카메라의 모니터링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디오 획득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돔 카메라의 모니터링 각도 및 위치 좌표 정보 그리고 상기 초기의 GIS 지도 정보에 따라 상기 돔 카메라의 모니터링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돔 카메라의 모니터링 각도 및 위치 좌표 정보에 따라 상기 돔 카메라의 이론적 모니터링 범위를 결정하고, 상기 초기의 GIS 지도 정보에 따라 상기 돔 카메라의 이론적 모니터링 범위 내에 장애물이 있는지를 판단하며, 장애물이 있으면, 상기 장애물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돔 카메라의 이론적 모니터링 범위를 정정하며, 상기 돔 카메라의 모니터링 범위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박스 카메라의 위치 좌표 정보 및 상기 초기의 GIS 지도 정보에 따라 상기 박스 카메라의 모니터링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박스 카메라의 위치 좌표 정보에 따라 상기 박스 카메라의 이론적 모니터링 범위를 결정하고, 상기 초기의 GIS 지도 정보에 따라 상기 박스 카메라의 이론적 모니터링 범위 내에 장애물이 있는지를 판단하며, 장애물이 있으면, 상기 장애물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박스 카메라의 이론적 모니터링 범위를 정정하며, 상기 박스 카메라의 모니터링 범위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디오 획득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수신된 좌표 파라미터에 따라, 조정될 카메라 자원 포인트 및 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상기 조정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조정될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카메라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수신된 좌표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좌표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범위 및 상기 모니터링 범위에 대응하는 카메라 자원 포인트를 결정하고, 하나의 모니터링 범위만 있으면, 상기 모니터링 범위에 대응하는 카메라 자원 포인트를 상기 조정될 카메라 자원 포인트로서 사용하거나, 또는 적어도 2개의 모니터링 범위가 있으면, 카메라 자원 포인트 목록을 생성하고 상기 카메라 자원 포인트 목록을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카메라 자원 포인트를 상기 조정될 카메라 자원 포인트로서 사용하는 단계; 및
    상기 조정될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장치 정보 및 설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조정될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장치 정보에 따라, 상기 조정될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카메라가 돔 카메라인 것으로 인정되면, 상기 조정될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장치 정보 및 설치 정보 그리고 상기 좌표 파라미터에 따라, 수평 회전각, 수직 회전각 및 줌 인자를 생성하고, 상기 수평 회전각, 상기 수직 회전각 및 상기 줌 인자를 상기 조정 파라미터로서 사용하며, 그리고 상기 수평 회전각에 따라 수평으로 회전하고, 상기 수직 회전각에 따라 수직으로 회전하며, 상기 줌 인자에 따라 줌을 수행하도록 상기 조정될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카메라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디오 획득 방법.
  8. 단말 장치에 있어서,
    관리 서버로부터 시각적 인터페이스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시각적 인터페이스 유닛 - 여기서, 상기 시각적 인터페이스는 지리 정보 시스템(GIS) 지도를 포함하고, 상기 GIS 지도에 복수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 및 각각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범위가 표시됨 - ; 및
    사용자 클릭 동작을 검출하고, 사용자의 클릭 동작의 좌표 파라미터를 획득하며, 상기 좌표 파라미터가 모니터링 범위 내에 있으면, 상기 좌표 파라미터를 상기 관리 서버에 송신하여, 상기 좌표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위치의 실시간 비디오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프로세싱 유닛
    을 포함하는 단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에 의해 송신되는 카메라 자원 포인트 목록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목록 수신 유닛; 및
    수신된 선택 정보에 따라 상기 카메라 자원 포인트 목록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식별자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선택 유닛
    을 더 포함하는 단말 장치.
  10. 관리 서버에 있어서,
    시각적 인터페이스를 단말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시각적 인터페이스 송신 유닛 - 여기서, 상기 시각적 인터페이스는 지리 정보 시스템(GIS) 지도를 포함하고, 상기 GIS 지도에 복수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 및 각각의 카메라 자원 포인트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범위가 표시됨 - ;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수신된 좌표 파라미터에 따라, 조정될 카메라 자원 포인트 및 조정 파라미터를 결정하고, 상기 조정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조정될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카메라를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조정 유닛 - 이에 따라 상기 조정된 카메라는 상기 좌표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위치의 실시간 비디오를 수집함 - ; 및
    상기 조정된 카메라 자원 포인트에 의해 수집되는 실시간 비디오를 획득하며, 상기 실시간 비디오를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비디오 송신 유닛
    을 포함하는 관리 서버.
  11. 제10항에 있어서,
    GIS 서버로부터 초기의 GIS 지도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지도 정보 획득 유닛; 및
    각각의 상기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획득된 장치 정보 및 설치 정보 그리고 상기 초기의 GIS 지도 정보에 따라, 각각의 상기 카메라 자원 포인트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범위를 결정하며, 상기 시각적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시각적 인터페이스 생성 유닛
    을 더 포함하는 관리 서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적 인터페이스 생성 유닛은,
    각각의 상기 카메라 자원 포인트에 있어서, 상기 장치 정보에 따라, 상기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카메라가 돔 카메라인 것으로 인정되면, 상기 돔 카메라의 모니터링 각도를 결정하고, 상기 설치 정보에 따라 상기 돔 카메라의 위치 좌표 정보를 결정하며, 상기 돔 카메라의 모니터링 각도 및 위치 좌표 정보 그리고 상기 초기의 GIS 지도 정보에 따라 상기 돔 카메라의 모니터링 범위를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장치 정보에 따라, 상기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카메라가 박스 카메라인 것으로 인정되면, 상기 설치 정보에 따라 상기 박스 카메라의 위치 좌표 정보 및 설치 각도를 결정하고, 상기 박스 카메라의 위치 좌표 정보 및 설치 각도 그리고 상기 초기의 GIS 지도 정보에 따라 상기 박스 카메라의 모니터링 범위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는, 관리 서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적 인터페이스 생성 유닛은,
    상기 돔 카메라의 모니터링 각도 및 위치 좌표 정보에 따라 상기 돔 카메라의 이론적 모니터링 범위를 결정하고, 상기 초기의 GIS 지도 정보에 따라 상기 돔 카메라의 이론적 모니터링 범위 내에 장애물이 있는지를 판단하며, 장애물이 있으면, 상기 장애물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돔 카메라의 이론적 모니터링 범위를 정정하며, 상기 돔 카메라의 모니터링 범위를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박스 카메라의 위치 좌표 정보에 따라 상기 박스 카메라의 이론적 모니터링 범위를 결정하고, 상기 초기의 GIS 지도 정보에 따라 상기 박스 카메라의 이론적 모니터링 범위 내에 장애물이 있는지를 판단하며, 장애물이 있으면, 상기 장애물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박스 카메라의 이론적 모니터링 범위를 정정하며, 상기 박스 카메라의 모니터링 범위를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되어 있는, 관리 서버.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유닛은,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수신된 좌표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좌표 파라미터에 대응하는 모니터링 범위 및 상기 모니터링 범위에 대응하는 카메라 자원 포인트를 결정하고, 하나의 모니터링 범위만 있으면, 상기 모니터링 범위에 대응하는 카메라 자원 포인트를 상기 조정될 카메라 자원 포인트로서 사용하거나, 또는 적어도 2개의 모니터링 범위가 있으면, 카메라 자원 포인트 목록을 생성하고 상기 카메라 자원 포인트 목록을 상기 단말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식별자 정보에 대응하는 카메라 자원 포인트를 상기 조정될 카메라 자원 포인트로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카메라 결정 서브유닛; 및
    상기 조정될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장치 정보 및 설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조정될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장치 정보에 따라, 상기 조정될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카메라가 돔 카메라인 것으로 인정되면, 상기 조정될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장치 정보 및 설치 정보 그리고 상기 좌표 파라미터에 따라, 수평 회전각, 수직 회전각 및 줌 인자를 생성하고, 상기 수평 회전각, 상기 수직 회전각 및 상기 줌 인자를 상기 조정 파라미터로서 사용하며, 그리고 상기 수평 회전각에 따라 수평으로 회전하고, 상기 수직 회전각에 따라 수직으로 회전하며, 상기 줌 인자에 따라 줌을 수행하도록 상기 조정될 카메라 자원 포인트의 카메라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조정 서브유닛
    을 포함하는, 관리 서버.
  15. 제8항 또는 제9항에 따른 단말 장치 및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비디오 획득 시스템.
KR1020147027280A 2012-06-11 2013-06-13 비디오 획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6131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10189742.4A CN103491339B (zh) 2012-06-11 2012-06-11 视频获取方法、设备及系统
CN201210189742.4 2012-06-11
PCT/CN2013/077183 WO2013185617A1 (zh) 2012-06-11 2013-06-13 视频获取方法、设备及系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9331A true KR20140129331A (ko) 2014-11-06
KR101613112B1 KR101613112B1 (ko) 2016-04-18

Family

ID=49757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7280A KR101613112B1 (ko) 2012-06-11 2013-06-13 비디오 획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380163A1 (ko)
EP (1) EP2811740A4 (ko)
JP (2) JP5956678B2 (ko)
KR (1) KR101613112B1 (ko)
CN (1) CN103491339B (ko)
WO (1) WO201318561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38188A1 (ko) * 2021-09-13 2023-03-16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모빌리티 단말 기반의 gis 영상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영상 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02030A (zh) * 2013-12-25 2014-04-02 浙江宇视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gis地图的场景监控方法和移动目标追踪方法
CN104717462A (zh) * 2014-01-03 2015-06-17 杭州海康威视系统技术有限公司 监控录像视频的提取方法及其装置
CN103888739B (zh) * 2014-04-16 2018-01-30 深圳英飞拓科技股份有限公司 安防设备的地理位置信息配置方法和系统
CN104394356B (zh) * 2014-11-03 2019-01-29 杭州普维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摄像机与高速球关联控制自动变倍方法
CN104881425A (zh) * 2014-11-13 2015-09-02 安徽四创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WebGIS地图优化分级加载数万级摄像头的方法
CN105025255B (zh) * 2015-01-07 2018-01-19 泰华智慧产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城市管理视频处理系统及工作方法
CN104702917A (zh) * 2015-03-25 2015-06-10 成都市灵奇空间软件有限公司 一种基于微地图的视频浓缩方法
KR102063895B1 (ko) 2015-04-20 2020-01-08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버,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4820523B (zh) * 2015-05-19 2017-11-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触控的方法及装置
CN105049800A (zh) * 2015-07-10 2015-11-11 崔时泓 一种服务器及目标移动摄像机的控制系统
CN105049818A (zh) * 2015-08-25 2015-11-11 北京丰华联合科技有限公司 一种优化视频数据传输的方法
CN106210643B (zh) * 2016-07-29 2019-02-12 林玉峰 一种摄像机可视区域调用方法
CN106331618B (zh) * 2016-08-22 2019-07-16 浙江宇视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确认摄像机可视域的方法及装置
CN107155088A (zh) * 2017-03-30 2017-09-12 安徽森度科技有限公司 一种视频数据传输方法
CN107870633A (zh) * 2017-11-13 2018-04-03 深圳中天云隼科技有限公司 监控目标定位方法
CN108574689B (zh) * 2017-11-20 2020-07-03 视联动力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可视通话的方法和装置
CN109996032B (zh) * 2017-12-29 2020-10-02 杭州海康威视系统技术有限公司 信息显示方法及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0858888A (zh) * 2018-08-22 2020-03-03 视联动力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监控数据的播放方法和装置
US10931863B2 (en) 2018-09-13 2021-02-23 Genetec Inc. Camera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 set of cameras
CN109348171B (zh) * 2018-10-15 2020-07-03 视联动力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视联网监控视频获取方法及装置
CN112346607B (zh) * 2019-08-07 2022-10-21 中国船舶工业系统工程研究院 一种监控摄像头地图撒点重叠显示优化方法
CN112492243A (zh) * 2019-09-12 2021-03-12 苏州天亿达科技有限公司 一种边海防安全管控应用系统
CN111782664A (zh) * 2019-10-12 2020-10-16 西安宇视信息科技有限公司 摄像机的管理方法、装置、设备和介质
CN111131790A (zh) * 2019-12-31 2020-05-08 中国地质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矿山修复远程现场施工监控系统
CN111416933B (zh) * 2020-03-04 2021-05-28 兰州理工大学 一种远程摄像头装置及控制方法
CN112040181B (zh) * 2020-08-19 2022-08-05 北京软通智慧科技有限公司 一种可视化区域确定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2022050979A (ja) * 2020-09-18 2022-03-31 株式会社リコー 通信端末、画像通信システム、画像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2057771A (ja) * 2020-09-30 2022-04-11 株式会社リコー 通信管理装置、画像通信システム、通信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2601010B (zh) * 2020-11-23 2021-10-26 中标慧安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网络摄像机的控制方法及系统
CN112714324B (zh) * 2020-12-29 2023-05-23 深圳市超时空探索科技有限公司 一种直播业务处理方法和装置
CN112954271B (zh) * 2021-01-28 2023-04-21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视频监控布防方法、系统、可存储介质及计算机设备
CN113014865A (zh) * 2021-02-01 2021-06-22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视频传输系统和方法
CN113421327A (zh) * 2021-05-24 2021-09-21 郭宝宇 一种三维模型的构建方法、构建装置以及电子设备
WO2023287698A1 (en) * 2021-07-14 2023-01-19 Baker Hughes Holdings Llc Configuration of asset monitoring systems
CN113674356A (zh) * 2021-07-20 2021-11-19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相机筛选方法及相关装置
CN114546141B (zh) * 2022-04-25 2022-07-12 成都柔水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ue5的适用于gis应用的相机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2866A (en) * 1989-06-29 1991-02-12 Morgan Jack B Camera selection and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CA2057961C (en) * 1991-05-06 2000-06-13 Robert Paff Graphical workstation for integrated security system
US7116357B1 (en) * 1995-03-20 2006-10-03 Canon Kabushiki Kaisha Camera monitoring system
JPH10105863A (ja) * 1996-09-26 1998-04-24 Oki Electric Ind Co Ltd 走行路情報収集装置
JP2002010245A (ja) * 2000-06-27 2002-01-11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及び記憶媒体
JP3667032B2 (ja) * 1997-06-10 2005-07-06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メラ制御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制御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WO1999035850A1 (en) * 1997-12-31 1999-07-1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ultiple camera system
JP4235300B2 (ja) * 1999-01-14 2009-03-1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
US7782363B2 (en) * 2000-06-27 2010-08-24 Front Row Technologies, Llc Providing multiple video perspectives of activities through a data network to a remote multimedia server for selective display by remote viewing audiences
JP2002157576A (ja) * 2000-11-22 2002-05-31 Nec Corp ステレオ画像処理装置及びステレオ画像処理方法並びにステレオ画像処理用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3930298B2 (ja) * 2001-11-16 2007-06-13 富士通株式会社 Gis統合装置
JP2004165790A (ja) * 2002-11-11 2004-06-10 Yokogawa Bridge Corp カメラ制御システム
JP2004193690A (ja) * 2002-12-06 2004-07-08 Daiichi Consultant Inc 現場管理システム及び現場管理システム用管理装置
JP2004349751A (ja) * 2003-05-20 2004-12-0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遠隔映像表示装置、遠隔映像表示方法および遠隔映像表示プログラム
US7003384B2 (en) * 2003-10-24 2006-02-21 Trw Automotive U.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elf-diagnostics of a vision system
JP2008179940A (ja) * 2005-03-31 2008-08-07 Hitachi Constr Mach Co Ltd 作業機械の周囲監視装置
DE102005041535A1 (de) * 2005-08-31 2007-03-01 Siemens Ag Night-Vision-System, bei dem die Umgebung mittels einer Aufnahmevorrichtung aufgenommen und mittels einer Anzeige zumindest teilweise dargestellt wird
CA2706695C (en) * 2006-12-04 2019-04-30 Lynx System Developers, Inc. Autonomous systems and methods for still and moving picture production
KR100966478B1 (ko) * 2007-07-20 2010-06-29 팅크웨어(주) 3d 지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지리정보 시스템
US8605151B2 (en) * 2007-09-21 2013-12-10 Utc Fire & Security Americas Corporation, Inc. Methods and systems for operating a video surveillance system
KR101187909B1 (ko) * 2007-10-04 2012-10-05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100933879B1 (ko) * 2007-12-21 2009-12-28 팅크웨어(주) 3d 지도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위한 장치
JP5026290B2 (ja) * 2008-01-15 2012-09-12 八木アンテナ株式会社 映像監視システム
US8315456B2 (en) * 2008-04-10 2012-11-20 The Nielsen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for auditing signage
US8134478B2 (en) * 2008-05-30 2012-03-13 Navteq B.V. Data mining in a digital map database to identify community reported driving hazards along roads and enabling precautionary actions in a vehicle
WO2010009310A1 (en) * 2008-07-17 2010-01-21 Oseberg L.L.C. Method for geographically displaying oil and gas related information
US20100245588A1 (en) * 2009-03-31 2010-09-30 Acuity Systems Inc. Tag tracking system
JP4854819B2 (ja) * 2009-05-18 2012-01-18 小平アソシエイツ株式会社 画像情報出力方法
US10440329B2 (en) * 2009-05-22 2019-10-08 Immersive Media Company Hybrid media viewing application including a region of interest within a wide field of view
CN101576926B (zh) * 2009-06-04 2011-01-26 浙江大学 一种基于地理信息系统的监控视频检索方法
EP2284777A1 (en) * 2009-08-14 2011-02-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greenhouse gas
US8606896B2 (en) * 2009-10-08 2013-12-10 Sony Corporation Home network component controlling data and function of another home network component
CN102263933B (zh) * 2010-05-25 2013-04-10 浙江宇视科技有限公司 智能监控的实现方法和装置
JP5715775B2 (ja) * 2010-06-30 2015-05-13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画像監視システムおよび画像監視方法
CN102447880A (zh) * 2010-10-13 2012-05-09 上海众恒信息产业股份有限公司 地理信息系统与监控系统的关联方法及系统
US8611601B2 (en) * 2011-03-08 2013-12-17 Bank Of America Corporation Dynamically indentifying individuals from a captured image
US8811711B2 (en) * 2011-03-08 2014-08-19 Bank Of America Corporation Recognizing financial document images
US10404946B2 (en) * 2012-09-26 2019-09-03 Waldstock, Ltd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audiovisual interaction with a target location
CN103475858A (zh) * 2013-08-28 2013-12-25 天津市亚安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gis的云台3d预置功能的视频监控系统
CN103414888B (zh) * 2013-09-09 2016-08-31 江苏物联网研究发展中心 基于svg技术的楼宇视频图形化显示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38188A1 (ko) * 2021-09-13 2023-03-16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모빌리티 단말 기반의 gis 영상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영상 제공 방법
KR20230039131A (ko) * 2021-09-13 2023-03-21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모빌리티 단말 기반의 gis 영상 관제 시스템 및 이의 영상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491339A (zh) 2014-01-01
EP2811740A4 (en) 2015-03-25
CN103491339B (zh) 2017-11-03
JP6280955B2 (ja) 2018-02-14
EP2811740A1 (en) 2014-12-10
KR101613112B1 (ko) 2016-04-18
WO2013185617A1 (zh) 2013-12-19
JP2015517768A (ja) 2015-06-22
JP2016189614A (ja) 2016-11-04
US20140380163A1 (en) 2014-12-25
JP5956678B2 (ja) 2016-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3112B1 (ko) 비디오 획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EP3297275B1 (en) Method, server, system, and image capturing device for surveillance
CN102065279B (zh) 一种连续跟踪监控对象的方法及系统
US853722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ameras
KR101573646B1 (ko) 공간 북마킹
CA2866957C (en) Video obtaining method, device, and system
CN103475858A (zh) 基于gis的云台3d预置功能的视频监控系统
WO2010021418A1 (en) Control system for antenna of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d image data offer system and method to use the control system
CN104320587A (zh) 一种室外云台摄像机的自动获取取景范围的方法
CN103702030A (zh) 一种基于gis地图的场景监控方法和移动目标追踪方法
JP2016082557A (ja) 全視野図に基づくパンチルトカメラの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80047477A (ko) 산불감시 및 교량수위감시 모드를 갖는 드론 시스템
US2015011648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monitoring system and a system for its implementation
CN111046121A (zh) 环境监控方法、装置和系统
JP5684876B2 (ja) 移動通信基地局アンテナの制御システムとその制御システムを用いる映像情報提供システム
WO2020051713A1 (en) Camera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 set of cameras
KR101421700B1 (ko) 감시카메라의 지능형 분석기능을 이용한 실시간 위치추적 시스템 및 그 위치추적방법
TWI556651B (zh) 具攝影機自動調派功能之3d影像監控系統及其監控方法
EP2713605B1 (en) Vision angle acquisi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KR101665387B1 (ko) 감시 카메라 제어 방법
EP26413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amera control in a surveillance system
CN114089935B (zh) 投屏处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EP2892227A1 (en) Monitoring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monitoring device, client device, and monitoring system
JP6483326B2 (ja) 監視システムおよび端末装置
KR102333760B1 (ko) 지능형 영상 관제 방법 및 그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