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8932A - 손톱 미용기 - Google Patents

손톱 미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8932A
KR20140128932A KR1020140144110A KR20140144110A KR20140128932A KR 20140128932 A KR20140128932 A KR 20140128932A KR 1020140144110 A KR1020140144110 A KR 1020140144110A KR 20140144110 A KR20140144110 A KR 20140144110A KR 20140128932 A KR20140128932 A KR 20140128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glass plate
nail
glas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4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환
Original Assignee
최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환 filed Critical 최영환
Priority to KR1020140144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28932A/ko
Publication of KR20140128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89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04Nail files, e.g. manually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11Polishing devices for nai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04Nail files, e.g. manually operated
    • A45D2029/045Details of the surface of the nail file

Landscapes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톱 미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번의 손톱 손질 작업을 통해 절삭과 광택을 모두 달성할 수 있는 손톱 미용기를 제공하고, 또한 유리 플레이트 표면에 내산성이 강한 금속박막층을 형성함으로써 포토레지스트(PR)가 유리 플레이트 표면 전체에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도록 하고, 절삭돌기를 형성하기 위해 유리 플레이트를 에칭 조성물로 처리할 시 절삭돌기가 남겨질 유리 표면은 내부식성 물질로 보호해 줌으로써 깊고 정밀한 유리 소재의 절삭돌기를 양각 형성할 수 있는 손톱 미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손톱 미용기{NAIL FILER}
본 발명은 손톱 미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리를 포함하는 세라믹의 일면 또는 양면에 화학적 에칭을 이용하여 일정한 모양의 절삭돌기를 규칙적으로 형성시킨 손톱 미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톱 미용기는 길게 자란 손톱을 절단한 후 절단된 끝단을 연마하여 손질하거나, 손톱 표면을 연마하여 광택을 냄으로써 손톱의 미관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기구를 지칭한다. 종래 손톱미용기의 제조방법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금속판 또는 플라스틱에 샌딩가공을 이용하는 방법과, 화학적 부식을 이용하여 요철을 형성시키는 방법과 접착제를 이용하여 샌드페이퍼를 스트립부재의 일면에 부착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샌딩가공을 이용하여 요철면을 형성시킬 경우, 일정하고 규칙적인 가공면을 얻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샌딩기를 이용하여야 하므로 제조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화학적 부식의 방법을 이용하여 금속판의 표면에 요철면을 형성시킬 경우, 일정한 강도를 갖는 손톱미용기를 얻을 수 없고, 반복사용에 의해 마모가 쉽게 발생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금속재로 이루어진 손톱 미용기는 통상 두께가 얇은 금속재 스트립으로 이루어져, 흉기로 사용될 수 있으며 표면이 중금속으로 도금 처리되어 인체에 유해하므로 사용을 기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산성 금속 박막층을 이용하여, 유리 소재의 플레이트에 대해 반도체 제조 공법인 포토리소그라피 공법을 적용 가능하도록 하고, 양각 형성되는 절삭돌기를 깊고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는 손톱 미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손톱 표면을 연마 내지 절삭하는 요소를 유리 소재로 구성함으로써 한번의 손톱 손질 작업을 통해 절삭과 광택을 모두 달성할 수 있도록 하고 강도와 내마모성이 뛰어나 내구성이 향상된 손톱 미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유리 플레이트 상에 유리 플레이트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다수의 절삭돌기가 육각형의 단위 패턴이 반복되게 형성되되, 육각형의 단위 패턴을 구성하는 절삭돌기는 육각형의 6개의 코너에 위치하는 6개의 절삭돌기 및 육각형의 내부 중앙에 위치하는 1개의 절삭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 미용기를 통해 달성 가능하다.
상기 목적은 또한, 절삭돌기의 적어도 상단 주연부는 원주 형상을 가지거나, 절삭돌기는 최상면과 최하면의 직경이 동일한 원기둥 형상이거나 상단으로 향할수록 그 단면적이 좁아지는 기둥 형상이거나, 절삭돌기가 상단으로 향할수록 그 단면적이 좁아지는 기둥 형상인 경우 최상면과 최하면은 0.1㎛ 내지 80㎛ 범위 직경 차이를 가지거나, 유리 플레이트는 강화유리 플레이트이고 절삭돌기가 구비된 일면의 반대면에는 보강판이 합착되어 있는 손톱 미용기를 통해 달성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손톱 미용기에 의하면, 유리 플레이트 표면에 내산성이 강한 금속박막층을 형성함으로써 포토레지스트(PR)가 유리 플레이트 표면 전체에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절삭돌기를 형성하기 위해 유리 플레이트를 에칭 조성물로 처리할 시 절삭돌기가 남겨질 유리 표면은 내부식성 물질로 보호해 줌으로써 깊고 정밀한 유리 소재의 절삭돌기를 양각 형성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손톱 표면을 손질할 때 절삭돌기의 미세한 절삭에 의해 연마와 광택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고 특히, 절삭돌기의 적어도 상단 주연부는 원주 형상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손톱 미용기를 어느 방향으로 문지르더라도 원활하고 효과적으로 표면 절삭 및 광택이 진행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유리재질이 갖는 투명성과 굴절성으로 인하여 보다 화려한 외관과 미려한 질감을 갖고, 반복 사용에 의한 마모에 강하여 내구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톱 미용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 영역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손톱 미용기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공정 흐름도.
도 6 (a) 및 (b)는 본 발명의 절삭돌기의 확대 단면도 및 상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손톱 미용기는 내산성 금속 박막층을 이용하여, 유리 소재의 플레이트에 대해 반도체 제조 공법인 포토리소그라피 공법을 적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유리 소재의 절삭돌기(11)가 반복 패턴 형성된 손톱 미용기를 수득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특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장점 및 특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톱 미용기(10)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B" 영역 확대도로서 본 발명의 절삭돌기(11)의 바람직한 패턴 형상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손톱 미용기(10)는 유리를 포함한 세라믹 소재로 이루어진 플레이트 상에 특정 형상으로 구성된 절삭돌기(11)가 반복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플레이트는 기구의 내구성을 위해 강화 유리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절삭돌기(11)는 상단 모서리부가 손톱 표면의 요철을 미세하게 절삭함으로써 절삭과 동시에 광택을 내도록 하는 요소로서, 플레이트와 동일한 소재로 구성되어 플레이트 상에 다수 개가 규칙적으로 돌출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이러한 절삭돌기(11)는 플레이트의 일면 또는 양면에 구비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절삭돌기(11)가 철부를 형성하고 상호 이웃하는 절삭돌기(11)에 의해 홈부(13)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절삭돌기(11)는 적어도 절삭돌기(11)의 상단 주연부는 원주 형상을 갖도록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본 발명의 손톱 미용기(10)는 원주 형상의 상단 주연를가 절삭 및 광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바, 사용자가 손톱 미용기(10)를 어느 방향으로 문지르더라도 원활하고 효과적으로 표면 절삭 및 광택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원형이 아닌 타원형과 같은 대략 곡선 형태의 상단 주연부로 구성하여도 유사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나 절삭 작업의 효율성을 고려한다면 원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최선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절삭돌기(11)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절삭돌기(11)가 동일한 형상으로 일정한 피치를 갖도록 배열한다. 이 때, 6개의 절삭돌기(11)가 육각형의 6개의 코너(꼭지점)에 위치하게 하고, 1개의 절삭돌기(11)가 육각형 내부의 중앙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총 7개의 절삭돌기(11)가 육각형의 단위 패턴을 갖도록 하고, 이러한 단위 패턴을 유리 플레이트 상에 반복 형성함으로써, 도 4(b)와 같이 원형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절삭돌기(11)가 규칙적으로 나열된 손톱 미용기(10)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된 본 발명의 절삭돌기(11)는 그 단면 지름은 50㎛ 내지 150㎛ 범위로 형성하고, 피치는 100㎛ 내지 300㎛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호 이웃하는 절삭돌기(11)에 의해 형성되는 홈부(13, 즉, 절삭돌기(11)의 높이)는 5㎛ 내지 100㎛ 범위의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면에 절삭돌기(11)가 형성된 유리 플레이트는 플라스틱 사출물 또는 보강판과 결합하여 하나의 단일품으로 형성된 손톱 미용기(10)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손톱 미용기(10)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기술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손톱 미용기(10)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공정 흐름도이다.
먼저, 도 5(a)와 같이 유리 플레이트(1) 표면에 내산성이 강한 금속박막층(15)을 형성하는데, 이는 절삭돌기(11) 형상을 형성하기 위한 포토 레지스트(PR; 16)가 유리 플레이트(1) 표면 전체에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절삭돌기(11)를 양각 형성하기 위해 유리 플레이트(1)를 에칭 조성물로 처리할 시 절삭돌기(11)가 남겨질 유리 표면은 내부식성 물질로 보호해 줌으로써 비교적 깊고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금속박막층(15)은 바람직하게는 몰리브덴 또는 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전기도금, 화학기상증착(CVD) 또는 물리증착(PVD)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을 통해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금속박막층(15)은 1000Å 내지 2800Å 범위의 두께로 구성하고, 두께 편차가 거의 없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플레이트(1) 표면에 대한 금속박막층(15) 형성이 완료되면, 도 5(b)와 같이 금속박막층(15) 표면 위에 포토 레지스트(16)를 도장하고 건조하는 공정이 이루어진다.
즉, 유리를 포함하는 세라믹의 일면 또는 양면에 포토 레지스트(16)를 도장하는데, 상기 포토 레지스트(16)는 네가(Nega) 타입의 레지스트 조성물을 사용하여 포토 레지스트 막(16)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포토 레지스트 막(16) 형성 공정은 스핀 코터(Spin Coater), 스크린 인쇄 등을 사용하여 달성할 수 있다.
네가 타입의 포토 레지스트 막(16) 코팅이 완료되면 적정온도에서 건조시킨 후, 도 5(c)와 같이 상기 포토 레지스트 막(16) 위에 마스크(17)를 배치하고 광(예컨데, 자외선)을 조사하는 노광 공정을 실시한다. 네가 타입의 포토 레지스트를 채용하였다면, 상기 마스크의 개구부(18)는 절삭돌기(11)의 형상(원형)으로 관통 형성되고, 조사되는 자외선은 상기 개구부(18)를 통해 노출된 네가 타입의 포토 레지스트 막(16)에 도달하여 광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개구부(18)에 노출된 네가 타입 포토 레지스트는 광반응으로 가교구조를 일으켜 불용화된다. 그리고, 현상액으로 현상 처리 및 가열 처리를 행하면 도 5(d)같이 불용화 부분 즉, 절삭돌기(11)에 해당하는 패턴만 남아 정착하게 된다.
포토 레지스트 패턴 정착이 완료되면, 금속에칭 조성물을 이용해 레지스트막으로부터 노출되는 부분의 금속박막층(19)을 화학적 에칭(이하, "금속에칭"이라 칭함.)하는 공정을 행함으로써 도 5(e)와 같은 단면 형태를 형성한다.
금속에칭 공정이 완료되면, 도 5(e)와 같이 금속에칭되지 않은 금속박막층(21)으로부터 노출되는 부분의 유리플레이트(20)를 화학적 에칭(이하, "유리에칭"이라 칭함.)하는 공정을 행한다. 그리고 상기 유리에칭 공정 후에 세척액을 사용해 잔존하는 레지스트막을 박리하는 박리 공정을 행함으로써 도 5(f)와 같이 유리 재질로 이루어진 절삭돌기(11)가 양각 형태로 구비되고 상호 이웃하는 절삭돌기(11) 사이에는 홈부(13)가 형성되어 있는 손톱 미용기(10)가 수득된다. 또한, 상기 유리에칭은 홈부(13)가 5㎛ 내지 100㎛의 깊이를 갖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유리에칭 및 레지스트막 박리 공정이 완료되면, 잔존하는 금속박막층도 박리액을 사용해 제거해 줌으로써 손톱 미용기 제조가 최종 완료된다.
또한, 상술한 제조 방법을 거쳐 형성된 절삭돌기(11)는, 최상면과 최하면이 동일한 면적으로 이루어진 원기둥 형상으로 구성하거나, 또는 도 6과 같이 하단에서 상단으로 향할수록 그 단면적이 좁아지는 기둥 형상으로 구성하여 최상면과 최하면은 0.1㎛ 내지 80㎛ 범위 직경 차이를 갖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어느 경우라도 적어도 그 최상면은 원형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삭돌기는 그 최상면과 최하면의 직경 차이가 작을수록 제품의 절삭 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후, 기계가공, 열강화, 증착, 인쇄 및 라미네이션공정 중에서 2 이상을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열강화는 화학적 이온치환을 이용하고, 상기 증착은 유리를 포함하는 세라믹의 일면 또는 양면에 고온 또는 저온증착법을 선택적 적용한다. 또한, 상기 인쇄는 유리를 포함하는 세라믹 일면 또는 양면에 문자, 로고, 그림, 색감을 스크린 인쇄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라미네이션은 고분자 필름에 접착층을 포함하고, 온도와 압력을 가해 유리의 일면에 보강판을 합착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 : 유리 플레이트 10 : 손톱 미용기
11 : 절삭돌기 13 : 홈부
15 : 금속박막층 16 : 포토 레지스트
17 : 마스크

Claims (5)

  1. 유리 플레이트 상에 유리 플레이트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다수의 절삭돌기가 육각형의 단위 패턴이 반복되게 형성되되, 육각형의 단위 패턴을 구성하는 절삭돌기는 육각형의 6개의 코너에 위치하는 6개의 절삭돌기 및 육각형의 내부 중앙에 위치하는 1개의 절삭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 미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절삭돌기의 적어도 상단 주연부는 원주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 미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절삭돌기는 최상면과 최하면의 직경이 동일한 원기둥 형상이거나, 상단으로 향할수록 그 단면적이 좁아지는 기둥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 미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절삭돌기가 상단으로 향할수록 그 단면적이 좁아지는 기둥 형상인 경우, 최상면과 최하면은 0.1㎛ 내지 80㎛ 범위 직경 차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 미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유리 플레이트는 강화유리 플레이트이고, 절삭돌기가 구비된 일면의 반대면에는 보강판이 합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 미용기.
KR1020140144110A 2014-10-23 2014-10-23 손톱 미용기 KR201401289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110A KR20140128932A (ko) 2014-10-23 2014-10-23 손톱 미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4110A KR20140128932A (ko) 2014-10-23 2014-10-23 손톱 미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7045A Division KR20110117533A (ko) 2010-04-21 2010-04-21 손톱 미용기 및 그 제조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3210A Division KR20150088232A (ko) 2015-07-21 2015-07-21 손톱 미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8932A true KR20140128932A (ko) 2014-11-06

Family

ID=52454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4110A KR20140128932A (ko) 2014-10-23 2014-10-23 손톱 미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2893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17617A (zh) * 2016-09-23 2017-05-10 金文芳 一种表面覆有金属层的玻璃凸起结构的制造方法
WO2018110746A1 (ko) * 2016-12-16 2018-06-21 정병현 손발톱 및 각질 미용을 위한 기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17617A (zh) * 2016-09-23 2017-05-10 金文芳 一种表面覆有金属层的玻璃凸起结构的制造方法
WO2018110746A1 (ko) * 2016-12-16 2018-06-21 정병현 손발톱 및 각질 미용을 위한 기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17533A (ko) 손톱 미용기 및 그 제조 방법
CN105531796B (zh) 为使沉积留存增加而用于表面纹理化的几何形状和图案
TWI601223B (zh) 延長使用期限之紋理腔室元件與製造之方法
JP2011503357A5 (ko)
JP2015519217A (ja) 異なる光沢度を有するプレスプレート又はエンドレスベルト、及びそれを手段として作製される複合板
JP2014178502A5 (ko)
KR20140128932A (ko) 손톱 미용기
US20180201540A1 (en) Transparent glass having pattern
KR20150088232A (ko) 손톱 미용기
KR101735794B1 (ko) 패치형 손톱 미용기
US10244882B2 (en) Cooking vess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672526B1 (ko) 손톱미용기구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24030A (ko) 스테인리스강 pvd 코팅면 에칭방법
JP6446959B2 (ja) 微細構造体製造用金型、細構造体製造用金型の製造方法、及び微細構造体の製造方法
KR101766371B1 (ko) 손톱 미용기
CN111760773A (zh) 具有温度和油量指示的金属不粘器具的加工方法及产品
WO2016195064A1 (ja) 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4290758B2 (ja) 手足のつめ及び角質掃除のための美容器具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73432B1 (ko) 연마와 광택을 동시에 수행하는 네일 광택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454138B1 (ko) 각질 연마도구 및 그 제조방법
JP2021043171A5 (ko)
KR101900941B1 (ko) 불규칙 패턴을 구비한 손발톱손질 미용기구 및 그 제조방법
US20230009505A1 (en) Foot exfoliator with high-gloss nail polisher, and electric foot exfoliation kit
JP6995476B2 (ja) 培養容器カバー、培養容器カバーの製造方法、及びカバー付き培養容器
JPS58149128A (ja) 金属製研磨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721

Effective date: 2016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