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6261A - 산성가스 안정화처리방법 및 연소배기가스 처리시설 - Google Patents

산성가스 안정화처리방법 및 연소배기가스 처리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6261A
KR20140126261A KR20140047446A KR20140047446A KR20140126261A KR 20140126261 A KR20140126261 A KR 20140126261A KR 20140047446 A KR20140047446 A KR 20140047446A KR 20140047446 A KR20140047446 A KR 20140047446A KR 20140126261 A KR20140126261 A KR 20140126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ition amount
gas
concentration
gas concentration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47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0372B1 (ko
Inventor
미쓰히로 마시코
Original Assignee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26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6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0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037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reating Waste Gas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Abstract

(과제) 산성가스에 첨가하는 서로 성질이 다른 2개의 알칼리제의 첨가량을 적절하게 제어하는 산성가스 안정화처리방법 및 연소배기가스 처리시설을 제공하는 것.
(해결수단) 산성가스 안정화처리방법이 적용되는 연소배기가스 처리시설(10)은, 유입로(3)에 설치된 제2산성가스 측정장치(30b), 제1첨가장치(42) 및 제2첨가장치(44)와, 배출로(4)에 설치된 제1산성가스 측정장치(30a)와, 첨가량 제어장치(50)를 포함한다. 첨가량 제어장치(50)는, 제1산성가스농도 신호(S0a)를 수신하고, 제1첨가량 신호(S21)를 출력하는 제1첨가량 산출부(60)와, 제2산성가스농도 신호(S0b) 및 제1첨가량 신호(S21)를 수신하고, 제2첨가량 신호(S13)를 출력하는 제2첨가량 산출부(70)를 구비한다. 제1첨가장치(42) 및 제2첨가장치(44)는, 각각 제1첨가량 신호(S21) 및 제2첨가량 신호(S13)에 의거하여 유입로(3)내를 흐르는 연소배기가스에 제1알칼리제 및 제2알칼리제를 첨가한다.

Description

산성가스 안정화처리방법 및 연소배기가스 처리시설{Method for stabilizing acid gas and combustion effluent gas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도시쓰레기 폐기물 소각로, 산업 폐기물 소각로, 발전보일러(發電boiler), 탄화로(炭化爐), 민간공장 등의 연소시설에서 발생하는 유해한 염화수소(鹽化水素), 유황산화물(硫黃酸化物) 등의 산성가스를 포함하는 연소배기가스의 안정화처리방법 및 연소배기가스 처리시설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산성가스를 처리하는 알칼리제의 첨가량을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연소배기가스의 안정화처리방법 및 연소배기가스 처리시설에 관한 것이다.
도시쓰레기 폐기물 소각로, 산업 폐기물 소각로, 발전보일러, 탄화로, 민간공장 등에 있어서 연소시설의 연소로에서 발생하는 연소배기가스는, 유해한 염화수소가스, 유황산화물가스 등의 산성가스를 포함한다. 그리고 연소시설은, 산성가스에 소석회(消石灰), 중조(重曹, 탄산수소나트륨) 등의 서로 성질이 다른 2개의 알칼리제를 첨가하고, 그 후에 백필터(bag filter)와 같은 집진기(集塵機)에서 제진(除塵)하고, 그 후에 유해한 산성가스가 거의 포함되지 않는 상태에서 굴뚝으로부터 배출시킨다.
집진기에 집진된 비산재(飛散灰)는 유해한 팔라듐(Pd), 카드뮴(Cd) 등의 중금속류를 함유하고 있다. 이들 유해한 중금속류는 안정화 처리된 후 최종처분장소에서 매립해 처분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산성가스를 처리하는 소석회는, 염화수소가스와의 반응속도가 염화수소가스의 농도와 함께 증가하는 성질을 구비(예를 들면 비특허문헌1 참조)하지만, 산성가스와의 반응성이 낮고, 유황산화물과의 반응성이 특히 낮은 성질을 구비한다.
산성가스를 처리하는 알칼리제인 중조는 소석회에 비하여 산성가스와의 반응성이 높고, 5∼30μm로 미분가공(微分加工)된 중조는 산성가스와의 반응성이 특히 높은 성질을 구비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2 참조). 환언하면, 중조는 산성가스를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고, 또한 산성가스의 미반응분(未反應分)이 적다. 따라서 산성가스의 농도가 격렬하게 변동하더라도 산성가스의 농도에 따라서 적절한 양의 중조를 첨가함으로써, 산성가스를 안정적으로 처리하면서 중조의 첨가량을 삭감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집진된 비산재의 양 나아가서는 매립처분량을 삭감할 수 있으므로, 중조를 산성가스에 첨가하는 것은 환경부하(環境負荷)의 감소에 유효한 수단이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9-99215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0-218128호 공보
사단법인 화학공학회 발행, 화학공학논문집 33(2), 154-159, 2007-03-20(http://ci.nii.ac.jp/naid/10018903497)
그런데, 일반적으로 산업 폐기물 소각로, 민간공장 등의 연소로로부터 배출되는 산성가스의 농도는 격렬하게 변동한다. 소석회는, 경제적으로는 저렴하지만, 산성가스와의 반응이 늦고 유황산화물과의 반응이 특히 느리다. 이 때문에 소석회만을 산성가스에 첨가하는 방법을 산성가스의 농도의 변동이 심한 산업 폐기물 소각로, 민간공장 등에 적용하기는 어렵다.
또한, 중조는 산성가스와의 반응성이 높음과 아울러 반응이 빨라서 산성가스를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나트륨(Na)은 칼슘(Ca)에 비해서 고가이다. 이 때문에 중조만을 산성가스에 첨가해서 안정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을 특히 대량의 산성가스가 발생하는 산업 폐기물 소각로, 민간공장 등에 적용하면, 경제적인 부담이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은, 산성가스에 첨가하는 서로 성질이 다른 2개의 알칼리제의 첨가량을 적절하게 제어하는 산성가스 안정화처리방법 및 연소배기가스 처리시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서로 성질이 다른 2개의 알칼리제 중, 제1알칼리제의 첨가량은 산성가스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산출하고, 제2알칼리제의 첨가량은 제1알칼리제의 첨가량의 정보에 의거하여 산출하고, 그 산출한 첨가량의 알칼리제를 산성가스에 첨가함으로써, 상기 목적이 달성되는 것을 찾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했다.
본 발명은 이하의 것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안정화처리방법은 산성가스가 포함되는 연소배기가스를 연소배기가스 처리시설에서 안정적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안정화처리방법은, 상기 연소배기가스를 집진기에서 처리한, 처리후 연소배기가스중의 제1산성가스농도를 측정하는 제1산성가스농도 측정공정과, 상기 제1산성가스농도에 의거하여 산성가스에 관한 정보인 제1산성가스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제1산성가스정보에 의거하여 제1알칼리제의 통상첨가량을 산출하고, 상기 통상첨가량에 의거하여 제1첨가량정보를 산출하는 제1산출공정과, 상기 연소배기가스를 집진기에서 처리하지 않은 미처리 연소배기가스인 제2산성가스중의 제2산성가스농도를 측정하는 제2산성가스농도 측정공정과, 상기 제2산성가스농도에 의거하여 산성가스에 관한 정보인 제2산성가스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제2산성가스정보에 의거하여 제2알칼리제의 첨가량을 산출하고, 상기 첨가량에 의거하여 제2첨가량정보를 산출하는 제2산출공정과, 상기 제1첨가량의 상기 제1알칼리제를 상기 연소배기가스에 첨가하는 제1첨가공정과, 상기 제2첨가량의 상기 제2알칼리제를 상기 연소배기가스에 첨가하는 제2첨가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제1첨가량정보는, 상기 처리후 연소배기가스의 상기 제1산성가스농도의 목적값인 제어목표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산출공정은, 상기 제2산성가스농도로부터 상기 제어목표치를 감산한 농도에 의거하여 상기 제2첨가량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산성가스정보는, 상기 제2산성가스농도 측정공정에 있어서 측정된 리얼타임의 산성가스농도인 순간산성가스농도의 변화의 비율을 나타내는 산성가스농도량을 포함하고, 상기 제1산출공정은, 상기 산성가스농도량에 따라, 상기 통상첨가량을 소정의 보정방법에 의거하여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정화처리방법은, 미리, 상기 순간산성가스농도와 상기 제1알칼리제의 첨가량을 관련짓는 기본첨가량 대응정보를 규정하고, 상기 제1산출공정은, 상기 산성가스농도량이 일정상태를 유지하고 있거나 또는 감소하고 있는 하강상태인 경우에, 상기 순간산성가스농도와 기본감소용 첨가량 대응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통상첨가량을 산출하고, 또한 상기 산성가스농도량이 증가하고 있는 상승상태인 경우에, 상기 순간산성가스농도와, 상기 기본첨가량 대응정보에 있어서의 산성가스농도의 값을 소정의 보정방법에 의하여 작게 한 증가용 첨가량 대응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통상첨가량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산출공정은, 상기 산성가스농도량이 일정상태를 유지하고 있거나 또는 감소하고 있는 하강상태인 경우에, 상기 통상첨가량을, 미리 규정된 0을 초과하고 1미만의 범위에 있는 하강보정치에 의하여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첨가공정에 있어서 첨가할 수 있는 최대첨가량과 최소첨가량 사이에 복수의 대응첨가량 상한치가 설정되고, 상기 복수의 대응첨가량 상한치는, 각각 복수의 산성가스농도에 대응하고 있어, 상기 제2산성가스정보는, 상기 제2산성가스농도 측정공정에 있어서 측정된 산성가스농도인 순간산성가스농도를 포함하고 있어, 상기 제1산출공정은, 상기 순간산성가스농도가 상기 복수의 산성가스농도 중에서 인접하는 2개의 산성가스농도의 범위내에 있을 경우에, 그 인접하는 2개의 산성가스농도 중에서 높은 농도에 대응하는 대응첨가량 상한치에 의거하여 상기 통상첨가량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성가스정보는, 소정의 시간에 있어서의 상기 산성가스농도의 평균치인 평균산성가스농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산출공정은, 상기 평균산성가스농도가 미리 규정된 긴급첨가농도를 넘으면, 상기 통상첨가량 대신에, 미리 규정된 긴급첨가량에 의거하여 상기 제1첨가량정보로서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산성가스는, 염화수소가스 및/또는 유황산화물가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산성가스농도 측정공정은, 상기 제2산성가스중의 염화수소가스농도를 측정하는 염화수소가스농도 측정공정 및/또는 상기 제2산성가스중의 유황산화물농도를 측정하는 유황산화물농도 측정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2산성가스정보는, 상기 염화수소가스에 관한 염화수소정보 및/또는 상기 유황산화물가스에 관한 유황산화물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산출공정은, 상기 염화수소정보에 의거하여 산출한 염화수소가스 첨가량 및/또는 상기 유황산화물정보에 의거하여 산출한 유황산화물가스 첨가량 및/또는 기초첨가량에 의거하여 상기 통상첨가량을 산출하고, 상기 기초첨가량은, 소정의 시간에 있어서의 상기 제1첨가량정보의 평균첨가량에 의거하여 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알칼리제의 첨가량이, 알칼리제를 첨가하기 전의 산성가스농도당 0.1∼0.6당량이며, 상기 제2알칼리제의 첨가량이 알칼리제를 첨가하기 전의 산성가스농도당 0.5∼3.0당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안정화처리방법은, 또한 상기 집진기에 있어서 집진된 비산재에, 철계 화합물, 인산함유 화합물 및 중화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상을 첨가하는 고정화 처리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연소배기가스 처리시설은, 상기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산성가스 안정화처리방법을 실행하는 시설이다. 연소배기가스 처리시설은, 집진기와, 상기 연소배기가스를 상기 집진기로 유입시키는 유입로와, 상기 집진기에서 처리된 처리후 연소배기가스를 상기 집진기로부터 배출하는 배출로와, 상기 제1산성가스농도 측정공정을 실행하고 제1산성가스정보 신호로서 출력하는 제1산성가스 측정장치와, 상기 제2산성가스농도 측정공정을 실행하고 제2산성가스정보 신호로서 출력하는 제2산성가스 측정장치와, 상기 제1산성가스정보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제1산출공정을 실행하고 상기 제1첨가량을 제1첨가량 신호로서 출력하는 제1첨가량 산출부 및 상기 제2산성가스정보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제2산출공정을 실행하고 상기 제2첨가량을 제2첨가량 신호로서 출력하는 제2첨가량 산출부를 구비하는 첨가량 제어장치와, 상기 제1첨가량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제1첨가공정을 실행하는 제1첨가장치와, 상기 제2첨가량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제2첨가공정을 실행하는 제2첨가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산성가스에 첨가하는, 서로 성질이 다른 2개의 알칼리제의 첨가량을 적절하게 제어하는 산성가스 안정화처리방법 및 연소배기가스 처리시설을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산성가스 안정화처리방법 및 연소배기가스 처리시설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2는 도1에 나타낸 산성가스 안정화처리방법 및 연소배기가스 처리시설의 일부의 상세개념도이다.
도3은 도1에 나타낸 산성가스 안정화처리방법 및 연소배기가스 처리시설의 다른 일부의 상세개념도이다.
도4는 도1에 나타낸 산성가스 안정화처리방법 및 연소배기가스 처리시설의 기본첨가량 대응정보와 그 보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5는 도1에 나타낸 산성가스 안정화처리방법 및 연소배기가스 처리시설의 기본첨가량 대응정보와 그에 대한 다른 보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6은 도1에 나타낸 산성가스 안정화처리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7은 도6에 이어지는 산성가스 안정화처리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8은 비교예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9는 실시예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10은 비교예의 결과를 나타내는 시계열 그래프이다.
도11은 실시예의 결과를 나타내는 시계열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실시형태를 들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소배기가스 처리시설]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산성가스 안정화처리방법이 적용되는 연소배기가스 처리시설(10)은, 예를 들면 도시쓰레기 폐기물 소각로, 산업 폐기물 소각로, 발전보일러, 탄화로, 민간공장 등의 연소시설이다. 연소배기가스 처리시설(10)은, 도시쓰레기와 같은 연소물을 연소시켜, 유해한 산성가스를 포함하는 고온의 연소배기가스를 발생시키는 연소로(燃燒爐)(12)와, 연소배기가스의 열을 이용하는 보일러(14)와, 연소배기가스의 열을 감온시키는 감온탑(減溫塔)(16)과, 1개 이상의 집진기(集塵機)(18)와, 연소배기가스를 집진기(18)에서 처리한 처리후 연소배기가스를 배기(排氣)하는 굴뚝(22)과, 제거된 비산재를 회수하는 비산재 집적장치(飛散灰 集積裝置)(19)를 구비한다.
연소배기가스 처리시설(10)은, 연소로(12)에서 발생한 고온의 연소배기가스를 보일러(14)를 경유해서 감온탑(16)으로 보내는 배관(2)과, 감온탑(16)으로부터 집진기(18)에 접속하고 있는 유입로(3)와, 집진기(18)로부터 굴뚝(22)에 접속하고 있는 배출로(4)를 포함한다. 연소배기가스 처리시설(10)이 복수의 집진기(18)를 구비할 경우에, 유입로(3)의 종단(終端)은, 복수의 집진기(18)중 감온탑(16)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설치된 집진기(18)의 위치를 말한다.
연소배기가스 처리시설(10)은, 배관(2) 및 유입로(3)내의 연소배기가스를 효율적으로 집진기(18)로 보내고 또한 배출로(4)내의 처리후 연소배기가스를 효율적으로 굴뚝(22)으로부터 배출하도록, 배출로(4)에 팬(20)을 구비한다.
연소배기가스 처리시설(10)은, 또한 연소로(12)로부터 배출되는 연소배기가스중의 산성가스를 안정화 처리하기 위해서, 유입로(3)에 설치된 제1첨가장치(42) 및 제2첨가장치(44)와, 배출로(4)에 설치된 제1산성가스 측정장치 (30a)와, 유입로(3)에 설치된 제2산성가스 측정장치(30b)와, 첨가량 제어장치 (50)를 포함한다.
제1첨가장치(42)는, 첨가량 제어장치(50)로부터의 제1첨가량 신호(S21)에 의거하여 유입로(3)내를 흐르는 연소배기가스에 제1알칼리제를 첨가하는 첨가장치이다. 제2첨가장치(44)는, 첨가량 제어장치(50)로부터의 제2첨가량 신호(S13)에 의거하여 유입로(3)내를 흐르는 연소배기가스에 제2알칼리제를 첨가하는 첨가장치이다.
제1알칼리제는 산성가스의 적정처리를 목적으로 해서 첨가되므로 그 종류에 특히 제한은 없지만, 산성가스와의 반응성이 비교적 높은 알칼리제가 바람직하다. 제1알칼리제로서는, 평균 입자지름이 5∼30μm로 조정된 미분중조(微粉重曹), 비표면적 30m2/g 이상의 고반응 소석회 및/또는 이들 반응성이 높은 알칼리제를 혼합, 배합한 약제를 예시할 수 있다. 특히, 평균 입자지름 5∼30μm의 미분중조는, 염화수소뿐만 아니라 유황산화물과도 높은 반응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유황산화물의 처리가 필요한 시설에 있어서는 미분중조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예를 들면 중조 등의 이들 알칼리제는, 입도(粒度)가 거친 알칼리제를 현지에서 분쇄해서 이용하더라도 좋다.
제2알칼리제는 산성가스의 개략적인 제거를 목적으로 해서 첨가되므로 그 종류에는 특히 제한은 없지만, 산성가스와의 반응성이 비교적 낮아도 괜찮아서 저렴한 알칼리제가 경제적으로 바람직하다. 제2알칼리제로서는, 예를 들면 JIS 특호 소석회(特號 消石灰), 비표면적 30m2/g이상의 고반응 소석회, 수산화나트륨, 조중조(粗重曹), 세스퀴탄산나트륨(sodium sesquicarbonate), 천연소다, 산화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및/또는 이들 알칼리제를 혼합, 배합한 약제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제2알칼리제는 각알칼리제를 물에 용해한 슬러리 또는 수용액이어도 좋다.
제2알칼리제가 소석회일 경우에 있어서, 제2알칼리제는, 발생하는 산성가스농도(HCl, SO2)당 0.5∼3당량, 바람직하게는 1∼2당량이 되도록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알칼리제가 미분중조일 경우에 있어서, 제1알칼리제는, 염화수소와 유황산화물 모두에 대해 안정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발생하는 산성가스농도(HCl, SO2)당 0.10∼0.60당량, 바람직하게는 0.15∼0.50당량이 되도록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첨가장치(42) 및 제2첨가장치(44)는, 모두 유입로(3)에 설치되어 있으면 좋고, 예를 들면 산성가스의 흐름 방향(W)에 있어서 제1첨가장치(42)가 제2첨가장치(44)의 상류측이어도 좋고 제2첨가장치(44)가 제1첨가장치(42)의 상류측이어도 좋다.
집진기(18)는, 예를 들면 연소배기가스로부터 비산재를 제거하는 백필터이다. 연소배기가스 처리시설(10)이 복수의 집진기(18)를 구비할 경우에는, 산성가스가 적정하게 처리되도록, 유입로(3)에서 제2첨가장치(44)를 제1첨가장치(42)의 상류측에 설치하고, 복수의 집진기(18)중 1개를 제1첨가장치(42)와 제2첨가장치(44)의 사이에 설치하고, 다른 1개를 제1첨가장치(42)의 하류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산성가스 측정장치(30a)는, 연소배기가스를 집진기(18)에서 처리한 처리후 연소배기가스중의 산성가스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산성가스농도를 제1산성가스농도 신호(S0a)로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제1산성가스 측정장치(30a)는 제1염화수소가스농도 측정장치(32a)와 제1유황산화물가스농도 측정장치(34a)를 포함한다. 제1염화수소가스농도 측정장치(32a)는, 배출로(4)내를 흐르는 처리후 연소배기가스중의 리얼타임의 염화수소가스농도인 순간염화수소가스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순간염화수소가스농도를 제1염화수소가스농도 신호(S1a)로서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제1유황산화물가스농도 측정장치(34a)는, 배출로(4)내를 흐르는 처리후 연소배기가스중의 리얼타임의 유황산화물가스농도인 순간유황산화물가스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순간유황산화물가스농도를 제1유황산화물가스농도 신호(S2a)로서 출력한다.
제2산성가스 측정장치(30b)는, 연소배기가스를 집진기(18)에서 처리하지 않은 미처리 연소배기가스중의 산성가스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산성가스농도를 제2산성가스농도 신호(S0b)로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제2산성가스 측정장치(30b)는 제2염화수소가스농도 측정장치(32b)와 제2유황산화물가스농도 측정장치(34b)를 포함한다. 제2염화수소가스농도 측정장치(32b)는 유입로(3)내를 흐르는 미처리 연소배기가스중의 리얼타임의 염화수소가스농도인 순간염화수소가스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순간염화수소가스농도를 제2염화수소가스농도 신호(S1b)로서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제2유황산화물가스농도 측정장치(34b)는 유입로(3)내를 흐르는 미처리 연소배기가스중의 리얼타임의 유황산화물가스농도인 순간유황산화물가스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순간유황산화물가스농도를 제2유황산화물가스농도 신호(S2b)로서 출력한다.
제1, 제2염화수소가스농도 측정장치(32a, 32b) 및 제1, 제2유황산화물가스농도 측정장치(34a, 34b)는, 각각 염화수소가스농도 및 유황산화물가스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장치라면 좋고, 측정장치의 형식은 한정되지 않는다. 염화수소가스농도는 이온전극법(ion電極法), 레이저에 의한 단일흡수선 흡수분광법(單一吸收線 吸收分光法) 등으로 측정가능하고, 유황산화물가스농도는 비분산형 적외선흡수법(非分散型 赤外線吸收法), 자외선 형광법(紫外線 螢光法) 등으로 측정가능하다.
연소배기가스 처리시설(10)은, 보통 배출로(4)에 설치되어 있는 제1염화수소가스농도 측정장치(32a)의 제1염화수소가스농도 신호(S1a)와 제1유황산화물가스농도 측정장치(34a)의 제1유황산화물가스농도 신호(S2a)에 따라 제1알칼리제의 첨가량을 피드백 제어하고, 제2알칼리제의 첨가량은 유입로(3)에 설치된 제2염화수소가스농도 측정장치(32b)의 제2염화수소가스농도 신호(S1b)와 제2유황산화물가스농도 측정장치(34b)의 제2유황산화물가스농도 신호(S2b)에 따라 제어됨으로써, 각 알칼리제의 첨가량을 적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첨가량 제어장치(50)는, 산성가스농도(ppm)를 제어목표치(제어출력개시농도 라고도 한다)(SV)(ppm)이하로 하는 피드백 제어가 수행되도록, 제1산성가스농도 신호(S0a)를 수신하고 제1첨가량 신호(S21)를 출력하는 제1첨가량 산출부(60)와, 제2산성가스농도 신호(S0b) 및 제1첨가량 신호(S21)를 수신하고 제2첨가량 신호(S13)를 출력하는 제2첨가량 산출부(70)를 구비한다.
제1첨가량 신호(S21)는 제1첨가장치(42)가 첨가하는 제1알칼리제의 단위시간당의 제1첨가량(kg/h)을 나타낸다. 제2첨가량 신호(S13)는 제2첨가장치(44)가 첨가하는 제2알칼리제의 단위시간당의 제2첨가량(kg/h)을 나타낸다.
첨가량 제어장치(50)는, 처리후 연소배기가스의 산성가스농도(ppm)가 제어목표치(SV)(ppm)이하가 되도록, 제1산성가스농도 신호(S0a)와 제2산성가스농도 신호(S0b)의 산성가스농도에 의거하여 제1첨가량 신호(S21)와 제2첨가량 신호(S13)를 출력한다.
여기에서, 일반적으로 제1, 제2염화수소가스농도 측정장치(32a, 32b)는, 계측지연시간이 5∼10분으로 긴 이온전극법을 채용하고 있는 장치가 주류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제1, 제2유황산화물가스농도 측정장치(34a, 34b)는, 계측지연시간이 3∼5분인 적외선흡수법을 채용하고 있는 장치가 주류이다.
첨가량 제어장치(50)는, 제1, 제2염화수소가스농도 측정장치(32a, 32b)나 제1, 제2유황산화물가스농도 측정장치(34a, 34b)의 계측지연시간, 제1첨가장치(42) 및 제2첨가장치(44)로부터 유입로(3)까지의 첨가지연시간 등 지연시간이 커지게 됨에 따라, 피드백 제어에 악영향을 받아서, 제1첨가장치(42) 및 제2첨가장치(44)가 각각 첨가하는 제1알칼리제 및 제2알칼리제의 첨가량을 증가시킬 우려가 있다.
그래서 첨가량 제어장치(5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계측지연시간이나 피드백 제어의 연산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고려한, 계측지연시간에 의한 안정적인 제어를 실행한다.
제1첨가량 산출부(60)는, 제1메인첨가량 산출부(61)와 기초첨가량 산출부(63)와 통상첨가량 산출부(64)와 긴급시 판단부(65)와 가첨가량 산출부(66)와 기기첨가량 제한부(67)를 구비한다.
제1메인첨가량 산출부(61)는 제1산성가스농도 신호(S0a)에 의거하여 제1알칼리제의 기본이 되는 첨가량을 산출한다. 제1메인첨가량 산출부(61)는, 제1산성가스농도 신호(S0a)중 제1염화수소가스농도 신호(S1a)를 수신하는 제1염화수소가스 산출부(62a)와, 제1유황산화물가스농도 신호(S2a)를 수신하는 제1유황산화물가스 산출부(62b)를 구비한다.
제1염화수소가스 산출부(62a)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염화수소가스농도 신호(S1a)에 의거하여 단위시간당의 첨가량(kg/h)인 염화수소측 첨가량(AgS1)(kg/h)을 산출하고 제1염화수소 첨가량 신호(S3)로서 출력한다.
제1유황산화물가스 산출부(62b)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유황산화물가스농도 신호(S2a)에 의거하여 단위시간당의 첨가량(kg/h)인 유황산화물측 첨가량(AgS2)(kg/h)을 산출하고 제1유황산화물 첨가량 신호(S4)로서 출력한다.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염화수소가스 산출부(62a)는, 염화수소가스용의 기본첨가량 대응정보(도4 및 도5 참조)가 규정되어 있는 첨가량 대응 규정부(625a)와 농도량 산출부(622a)와 기초첨가량 산출부(623a)와 상승보정치 규정부(621a)와 하강보정치 규정부(624a)와 첨가량 산출부(626a)를 구비한다.
첨가량 대응 규정부(625a)는, 순간 염화수소가스 농도(PV)에 대하여 첨가해야 할 제1알칼리제의 첨가량을 규정한 기본첨가량 대응정보를 규정하고 있다.
기본첨가량 대응정보는, 첨가량 제어장치(50)의 하한(최소첨가량(LOS)(kg/h))에 대응하는 산성가스농도와 상한(최대첨가량(LHS)(kg/h))에 대응하는 산성가스농도 사이에서의 어느 일정한 염화수소가스농도 범위에서, 어느 일정한 제어출력치를 초과하는 출력이 되지 않게, 제1알칼리제의 첨가량을 제한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일반적인 PID 제어는, 제어출력 상한치가 1개밖에 없어서, 예를 들면 제어목표치를 40ppm으로 하고, 예를 들면 산성가스농도가 그 제어목표치 이상이 되면, 유입로내의 산성가스농도에 관계없이 그 제어출력 상한치까지 제1알칼리제를 첨가하여, 결과적으로는 과잉첨가를 초래한다.
이에 대하여, 첨가량 대응 규정부(625a)는, 현재의 산성가스농도에 따른 제어출력의 제한을 가할 수 있도록, 즉 유입로(3)의 산성가스농도에 따라서 적정한 양의 제1알칼리제를 첨가하거나 제1알칼리제의 첨가량을 삭감할 수 있도록, 기본첨가량 대응정보를 규정하고 있다.
예를 들면, 기본첨가량 대응정보는, 구체적으로는 도4 및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염화수소가스농도 신호(S1a)의 순간염화수소가스농도(PV)에 대해서 첨가해야 할 첨가량(SQ)(kg/h)의 관계를 나타내는, 0 - 점a - 점b간을 연결하는 선, 점c - 점d간을 연결하는 선, 점e이후의 선으로 이루어지는 첨가량 대응정보선L에 의하여 나타내진다.
첨가량 대응정보선L은 구체적으로는 아래와 같이 되어 있다. 순간염화수소가스농도(PV)(ppm)가, 0ppm으로부터 제어목표치(제어출력개시농도 라고도 한다)(SV)(ppm)미만까지의 범위(0으로부터 점a까지의 범위)에서는, 첨가량(SQ)(kg/h)은 0으로 규정된다.
순간염화수소가스농도(PV)(ppm)가, 제어목표치(SV)(ppm)이상이고 제1출력제한 첨가량(LM1)(kg/h)에 대응하는 제1출력제한 대응농도(SM1)(ppm)미만의 범위(점a로부터 점b까지의 범위)에서는, 첨가량(SQ)(kg/h)은 이하의 식에 의거하여 규정된다.
첨가량(SQ) = [제1출력제한 첨가량(LM1)] × [순간염화수소가스농도(PV) - 제어목표치(SV)] / [제1출력제한 대응농도(SM1) - 제어목표치(SV)]
순간염화수소가스농도(PV)(ppm)가, 제1출력제한 첨가량(LM1)(kg/h)에 대응하는 제1출력제한 대응농도(SM1)(ppm)이상이고 제2출력제한 첨가량(LM2)(kg/h)에 대응하는 제2출력제한 대응농도(SM2)(ppm)미만인 범위(점c로부터 점d의 범위)에서는, 첨가량(SQ)(kg/h)은 제2출력제한 첨가량(LM2)(kg/h)으로 규정된다.
순간염화수소가스농도(PV)(ppm)가, 제2출력제한 첨가량(LM2)(kg/h)에 대응하는 제2출력제한 대응농도(SM2)(ppm)이상(점e 이후의 범위)에서는, 첨가량(SQ)(kg/h)은 출력상한 첨가량(LM3)으로 규정된다. 출력상한 첨가량(LM2)과 출력상한 첨가량(LM3)은 모두 대응첨가량 상한치다.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농도량 산출부(622a)는 제1염화수소가스농도 신호(S1a)에 의거하여 순간염화수소가스 농도(ppm)가 상승하고 있을지 하강하고 있을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순간염화수소가스농도(ppm)의 증감비율(순간염화수소가스농도에 있어서 변화의 기울기)을 나타내는 염화수소가스농도량(θ)을 산출한다.
기초첨가량 산출부(623a)는, 기초첨가량 산출부(63)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10분간과 같은 소정의 시간에 있어서의 제1첨가량(kg/h)의 평균첨가량에 의거하여 기초첨가량(Fa)(kg/h)을 산출한다.
상승보정치 규정부(621a)는, 염화수소가스농도량(θ)의 값이 플러스 값일 때, 즉 염화수소가스농도가 상승하고 있는 상승상태일 때, 기본첨가량 대응정보를 보정하는데 기본이 되는 상승보정치(SVA)(ppm)를 규정하고 있다.
하강보정치 규정부(624a)는, 염화수소가스농도량(θ)의 값이 변화되지 않거나 마이너스 값일 때, 즉 염화수소가스농도가 안정하게 있거나 강하하고 있는 하강상태일 때, 기본첨가량 대응정보를 보정하는데 기본이 되는 강하보정계수(LMG)(단위는 무차원)를 규정하고 있다. 강하보정계수(LMG)는 1미만의 값으로 된다.
첨가량산출부(626a)는, 산성가스농도량(θ), 기초첨가량(Fa), 상승보정치(SVA), 강하보정계수(LMG)에 의거하여 기본첨가량 대응정보를 보정하고, 제1염화수소 첨가량 신호(S3)를 출력한다.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유황산화물가스 산출부(62b)도, 제1염화수소가스 산출부(62a)와 마찬가지로, 유황화합물용의 기본첨가량 대응정보(도4 및 도5와 마찬가지임)가 규정되어 있는 첨가량 대응 규정부(625b)와 농도량 산출부(622b)와 기초첨가량 산출부(623b)와 상승보정치 규정부(62lb)와 하강보정치 규정부(624b)와 첨가량 산출부(626b)를 구비한다.
첨가량 대응 규정부(625b)는 유황산화물가스농도에 대하여 첨가해야 할 제1알칼리제의 첨가량을 규정한 기본첨가량 대응정보를 규정하고 있다. 기본첨가량 대응정보인, 제1유황산화물가스농도 신호(S2a)의 순간유황산화물가스농도(PV)에 대하여 첨가해야 할 첨가량(SQ)(kg/h)의 관계는, 도4 및 도5에서 나타내는 첨가량 대응정보선L과 동일한 관계이다.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농도량 산출부(622b)는 제1유황산화물가스농도 신호(S2a)에 의거하여 순간유황산화물가스농도(ppm)의 증감의 비율(순간유황산화물가스농도에 있어서 변화의 기울기)을 나타내는 유황산화물가스농도량(θ)을 산출하고, 순간유황산화물가스농도(ppm)가 상승하고 있을지 하강하고 있을지를 판단한다.
기초첨가량 산출부(623b)는, 기초첨가량 산출부(63)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10분간과 같은 소정의 시간에 있어서의 제1첨가량(kg/h)의 평균첨가량에 의거하여 기초첨가량(Fa)을 산출한다.
상승보정치 규정부(62lb)는, 유황산화물가스농도량(θ)의 값이 플러스 값일 때, 즉 유황산화물가스농도가 상승하고 있을 때, 기본첨가량 대응정보를 보정하는데 기본이 되는 상승보정치(SVA)(ppm)를 규정하고 있다.
하강보정치 규정부(624b)는, 유황산화물가스농도량(θ)의 값이 변화되지 않거나 마이너스 값일 때, 즉 유황산화물가스농도가 안정하게 있거나 강하하고 있을 때, 기본첨가량 대응정보를 보정하는데 기본이 되는 강하보정계수(LMG)(단위는 무차원)를 규정하고 있다. 강하보정계수(LMG)는 1미만의 값으로 된다.
첨가량 산출부(626b)는, 유황산화물가스농도량(θ), 기초첨가량(Fa), 상승보정치(SVA), 강하보정계수(LMG)에 의거하여 기본첨가량 대응정보를 보정하고, 제1유황산화물 첨가량 신호(S4)를 출력한다.
기초첨가량 산출부(63)는, 제1첨가량 신호(S21)의 제1첨가량(kg/h)에 의거하여 기초첨가량(Fa)(kg/h)을 산출하고, 산출한 기초첨가량(Fa)(kg/h)을 기초첨가량 신호(S5)로서 출력한다.
기초첨가량(Fa)(kg/h)은, 예를 들면 10분간과 같은 소정의 시간당 제1첨가량(kg/h)의 평균첨가량(kg/h)이 된다.
통상첨가량 산출부(64)는, 제1염화수소 첨가량 신호(S3), 제1유황산화물 첨가량 신호(S4), 기초첨가량 신호(S5)에 의거하여 단위시간당의 첨가량(kg/h)인 통상첨가량(AgSQ)을 산출하고 통상첨가량 신호(S6)로서 출력한다.
일반적으로, 첨가량 제어장치에는 PID 제어가 잘 사용된다. 그리고 PID 제어는 단일의 상한출력치와 하한출력치밖에 설정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일반적인 PID 제어에 있어서, 배출로(4)에 있어서 염화수소가스농도의 제어목표치(ppm)를 40ppm으로 설정한 경우, PID 제어는, 염화수소가스농도가 제어목표치 이하일 때에 제어출력의 하한인 하한첨가량(kg/h)으로 첨가하도록 신호를 출력하고, 또한 염화수소가스농도가 제어목표치 이상일 때에 제어출력의 상한인 상한첨가량(kg/h)으로 첨가하도록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에, 염화수소가스농도가 단시간에 높아지거나 낮아지거나 하는 것이 반복하는 상태가 발생하면, 일반적인 PID 제어는 단시간에 하한첨가량과 상한첨가량 사이의 출력치를 반복해서 출력함으로써 알칼리제의 부적절한 첨가(과잉첨가, 부족첨가)를 유발한다. 이러한 경우에, 배출로에 있어서 염화수소가스농도가 크게 변동함과 아울러 유입로에 있어서 알칼리제가 과잉첨가되는 원인이 된다.
그런데, 통상첨가량 산출부(64)는, 종래의 피드백 제어(PID 제어)에서는 고려할 수 없는, 유입로(3)에 있어서의 염화수소가스농도, 유황산화물가스농도에 관련되고 또한 타당성이 있는 값으로서 과거의 평균첨가량을 나타내는 기초첨가량(Fa)(kg/h)을 기초로 제1첨가량(kg/h)을 산출함으로써, 첨가량 제어장치(50)는 제1알칼리제의 첨가불량(과잉첨가, 부족첨가)에 의하여 초래되는 산화가스농도의 헌팅(hunting)을 억제하고 적절한 양의 제1알칼리제의 첨가를 안정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긴급시 판단부(65)는, 제1염화수소가스농도 신호(S1a)에 의거하여 산출한 평균농도(ppm)가 미리 규정한 긴급평균 염화수소가스농도(ppm)를 초과한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거나, 또는 제1유황산화물가스농도 신호S(2a)에 의거하여 산출한 평균농도(ppm)가 미리 규정한 긴급평균 유황산화물농도(ppm)를 초과한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긴급 또는 정상을 나타내는 긴급시 판단신호(S7)를 출력한다.
일반적으로, 연소배기가스 처리시설은, 배출되는 처리후 연소배기가스를 염화수소가스농도(ppm)나 유황산화물가스농도(ppm)의 1시간 평균농도(ppm)에 의하여 관리한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연소배기가스 처리시설(10)은, 집진기(18)에서 처리된 처리후 연소배기가스의 농도(ppm)에 의거하여, 집진기(18)에서 처리되기 전의 연소배기가스에 제1알칼리제를 첨가하는 첨가량(kg/h)을 제어하는 피드백 제어를 한다. 이 피드백 제어는, 염화수소가스농도(ppm)나 유황산화물가스농도(ppm)의 순간값에 대하여 제어목표치(ppm)를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제어목표치(ppm)는 어디까지나 최종목표치이며, 최종목표치가 되도록 한창 제어하고 있는 중에 제어목표치(ppm)를 초과하는 염화수소가스농도(ppm)나 유황산화물가스농도(ppm)가 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제1알칼리제의 첨가량(kg/h) 삭감과 염화수소가스나 유황산화물가스의 안정적인 처리는 상반되는 기술사상이기 때문에, 제1알칼리제의 첨가량(kg/h)을 삭감하면, 1시간 평균농도(ppm)가, 결정된 관리농도(ppm)를 초과할 가능성이 높다.
그래서, 긴급시 판단부(65)는, 제1염화수소가스농도 신호(S1a)에 의거하여 산출했을 때, 예를 들면 1시간에 있어서의 염화수소가스농도의 평균농도(ppm)가 미리 규정한 긴급평균 염화수소가스농도(ppm)를 초과한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거나, 또는 제1유황산화물가스농도 신호(S2a)에 의거하여 산출했을 때, 예를 들면 1시간에 있어서의 유황산화물가스농도의 평균농도(ppm)가 미리 규정한 긴급평균 유황산화물농도(ppm)를 초과한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적어도 어느 하나가 초과한 상태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긴급을 나타내는 긴급시 판단신호(S7)를 출력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정상을 나타내는 긴급시 판단신호(S7)를 출력하여, 가첨가량 산출부(假添加量 算出部)(66)에 적절한 첨가량을 선택시킨다.
가첨가량 산출부(66)는, 정상을 나타내는 긴급시 판단신호(S7)를 수신하고 있을 경우에는 통상첨가량 신호(S6)에 의거하여 가제1첨가량 신호(S8)를 출력하고, 긴급을 나타내는 긴급시 판단신호(S7)를 수신하고 있을 경우에는 통상첨가량(kg/h)보다도 많은 미리 규정한 긴급첨가량(kg/h)을 가제1첨가량 신호(S8)로서 출력한다.
즉, 가첨가량 산출부(66)는, 산성가스농도(ppm)의 평균치가, 미리 규정된 긴급첨가농도(ppm)를 초과하면, 통상첨가량(kg/h) 대신에, 미리 규정된 긴급첨가량(kg/h)을 첨가하도록 제1첨가량을 산출한다. 이 때문에, 알칼리제의 첨가량(kg/h)을 피드백 제어할 때에 1시간 평균치(ppm)가 관리농도(ppm)이상 또는 그것에 가까운 농도(ppm)에 도달한 경우에, 가첨가량 산출부(66)는 긴급시 판단부(65)로부터의 긴급시 판단신호(S7)에 의거하여 통상첨가량(kg/h)보다도 많은 긴급첨가량(kg/h)을 첨가하므로, 첨가량 삭감과 산성가스의 안정적인 처리를 양립시킬 수 있는 안심도가 높은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기기첨가량 제한부(67)는, 가제1첨가량 신호(S8)에 의거하여 제1첨가량 (kg/h)을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기기첨가량 제한부(67)는, 가제1첨가량(kg/h)이 제1첨가장치(42)의 최대첨가량(LHS)(kg/h)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최대첨가량(LHS)(kg/h)을 제1첨가량(kg/h)으로 하여 제1첨가량 신호(S21)의 출력을 한다. 또한, 기기첨가량 제한부(67)는, 가제1첨가량(kg/h)이 제1첨가장치(42)의 최소첨가량(LOS)(kg/h)을 밑돌고 있는 경우에는, 최소첨가량(LOS)(kg/h)을 제1첨가량(kg/h)으로서 하여 제1첨가량 신호(S21)의 출력을 한다.
이에 따라, 기기첨가량 제한부(67)는 제어목표치(SV)(ppm)이하가 되도록, 항상 최대첨가량(LHS)(kg/h)과 최소첨가량(LOS)(kg/h)의 사이에 있는 제1첨가량(kg/h)의 제1알칼리제를 첨가시키기 위해, 제1첨가량 신호(S21)의 출력을 한다.
제2첨가량 산출부(70)는, 평균 제2첨가량 산출부(72)와 제2첨가량 신호(S22)를 출력하는 제2첨가량 기초산출부(74)와 제어목표치 추출부(75)와 기기첨가량 제한부(73)를 구비한다.
제어목표치 추출부(75)는, 통상첨가량 산출부(64)로부터 처리후 연소배기가스에 있어서 산성가스농도의 목적값인 제어목표치(SV)(ppm)를 추출하여, 염화수소가스 제어목표치(SVHCl)(ppm) 및 유황산화물가스 제어목표치(SVSO2)(ppm)를 출구제어 목표치 신호(S14)로서 출력한다.
제2첨가량 기초산출부(74)는, 제2산성가스농도 신호(S0b)와 출구제어 목표치 신호(S14)에 의거하여 제2첨가량(AgCQ)(kg/h)을 산출한다. 제2첨가량 기초산출부(74)는 제2첨가량(kg/h)의 제2알칼리제를 첨가시키기 위해 가제2첨가량 신호(S22)의 출력을 한다.
평균 제2첨가량 산출부(72)는, 가제2첨가량 신호(S22)에 의거하여, 예를 들면 10분과 같은 소정의 시간에 있어서 제2첨가량(kg/h)의 평균치인 평균 제2첨가량(kg/h)을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 제2첨가량(AgCQA)(kg/h)을 평균 제2첨가량 신호(S12)로서 출력한다.
기기첨가량 제한부(73)는, 평균 제2첨가량 신호(S12)에 의거하여 제2첨가량(kg/h)을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기기첨가량 제한부(73)는, 평균 제2첨가량(kg/h)이 제2첨가장치(44)의 최대첨가량(LHS)(kg/h)을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최대첨가량(LHS)(kg/h)을 제2첨가량(kg/h)으로 하여 제2첨가량 신호(S13)의 출력을 한다. 또한, 기기첨가량 제한부(73)는, 평균 제2첨가량(kg/h)이 제2첨가장치(44)의 최소첨가량(LOS)(kg/h)을 밑돌고 있는 경우에는, 최소첨가량(LOS)(kg/h)을 제2첨가량(kg/h)으로 하여 제2첨가량 신호(S13)의 출력을 한다.
제2첨가량(AgCQ)(kg/h)은, 미처리 연소배기가스중의 제2산성가스농도(제2염화수소농도(입구HCl) 및/또는 제2유황산화물농도(입구SOx))로부터, 제1알칼리제의 피드백 제어에 의해 설정되는 제1산성가스농도(제1염화수소농도(출구HCl) 및/또는 제1유황산화물농도(출구SOx))의 제어목표치(SV)(SVHCl, SVSO2)를 감산한 농도에 의거하여 산출된다. 제어목표치(SV)를 감산해서 제2첨가량AgCQ(kg/h)을 연산하는 수단은 제2알칼리제의 첨가량 손실을 줄이는 유효한 수단이다.
즉, 제2알칼리제의 이론필요량은, 제2염화수소농도(입구HCl)로부터 제1염화수소농도(출구HCl)를 감산하고 및/또는 제2유황산화물농도(입구SOx)로부터 제1유황산화물농도(출구SOx)을 감산해서 얻어진 농도에 의거하여 산출되는 제2첨가량(AgCQ)(kg/h)이다.
종래에는 제2염화수소농도(입구HCl) 및 제2유황산화물농도(입구SOx)에 비례해서 제2알칼리제를 첨가하고 있었지만, 제1염화수소농도(출구HCl) 및 제1유황산화물농도(출구SOx)를 고려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제2염화수소농도(입구HCl) 및 제2유황산화물농도(입구SOx)의 변동에 의하여 손실이 발생하고 있었다. 이에 대하여, 제1염화수소농도(출구HCl) 및 제1유황산화물농도(출구SOx)의 지표가 되는 제1알칼리제의 제어목표치(SV)를 제2염화수소농도(입구HCl) 및 제2유황산화물농도(입구SOx)로부터 감산해서 얻어진 농도에 의거하여 제2첨가량(AgCQ)(kg/h)을 연산함으로써, 제2알칼리제의 첨가량을 이론첨가량에 비례해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제2알칼리제의 효율적인 첨가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이론필요량은, 제1, 제2염화수소농도 및 제1, 제2유황산화물농도의 실측치(實測値)에 따라 연산하는 것이 타당하며, 제어목표치(SV)를 예를 들면 산소환산치로 제어하고 있는 경우에는 실측치로 환산해서 감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첨가장치(42)는 제1첨가량 신호(S21)에 의거하여 제1첨가량(kg/h)의 제1알칼리제를 연소배기가스에 첨가한다. 마찬가지로, 제2첨가장치(44)는 제2첨가량 신호(S13)에 의거하여 제2첨가량(kg/h)의 제2알칼리제를 연소배기가스에 첨가한다.
비산재 혼련기(飛散灰 混練機)(19)는, 집진기(18)에 의하여 연소배기가스로부터 제거된 비산재에, 철계 화합물(鐵系 化合物), 인산함유 화합물(燐酸含有 化合物), 중화제(中和劑), 이산화규소 함유 화합물(二酸化硅素 含有 化合物) 및 유기 킬레이트제(有機 chelate劑)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을 첨가하고 혼련하여, 비산재를 안정화 처리한다.
구체적으로는, 비산재에 포함되는 중금속류는, 일반적으로 디에틸디티오카르바민산염(diethyldithiocarbamate) 등의 킬레이트의 첨가에 의하여 고정화(固定化)되어, 불용화(不溶化) 처리된다. 그러나, 중금속류의 킬레이트에 의한 고정효과는 단기적으로는 높지만, 최종처분장소에 있어서 산성비에 의하여 pH가 저하하고 킬레이트의 산화자기분해에 의하여 고정화된 중금속류로부터 납 등의 중금속류가 재용출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인산 등의 인산화합물을 중금속류에 첨가함으로써, 첨가된 중금속류를 무기광물인 히드록시아파타이트(hydroxyapatite) 형태까지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최종처분장소에 있어서의 장기적인 안정성이 우수하다. 이 때문에 인산 등의 인산화합물을 중금속류에 첨가하는 안정화 처리는 환경보호의 관점에서 매우 가치가 높은 처리방법이다. 또한, 미분중조로 처리한 비산재를 인산 등의 중금속고정제로 처리하는 방법은 많은 환경부하 감소효과를 가지는 유효한 수단이다.
비산재에 포함되는 중금속을 고정하는 중금속고정제는, 특별한 제한 없이 비산재에 적용이 가능하며 중금속의 고정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면 좋다. 중금속고정제로서는, 일반적으로 유기 킬레이트제가 사용되고 있다. 유기 킬레이트제로서는, 피페라진 디티오카르바민산염(piperazine dithiocarbamate), 디에틸디티오카르바민산염(diethyldithiocarbamate), 디메틸디티오카르바민산염(dimethyldithiocarbamate), 디부틸디티오카르바민산염(dibutyldithiocarbamate)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처분단계에 있어서의 중금속의 장기고정화의 관점으로부터, 클로로피로모르파이트(chloropyromorphite)를 형성해 광물의 형태로 고정하는 인산화합물에 의한 중금속고정은 유효한 수단이다. 인산화합물로서, 인산 혹은 인산염은, 수용성의 인산화합물이면 좋고, 형상은 분체(粉體)라도 수용액이라도 좋지만, 예를 들면 정인산(오쏘인산), 폴리인산, 메타인산, 차인산, 아인산, 차아인산, 피로인산, 과인산, 제1인산소다, 제2인산소다, 제3인산소다, 제1인산칼륨, 제2인산칼륨, 제3인산칼륨, 제1인산칼슘, 제2인산칼슘, 제1인산마그네슘, 제2인산마그네슘, 제1인산암모늄, 제2인산암모늄, 과인산석회, 트리폴리인산나트륨, 트리폴리인산칼륨, 헥사메타인산나트륨, 헥사메타인산칼륨, 피로인산나트륨, 피로인산칼륨, 아인산나트륨, 아인산칼륨, 차아인산나트륨, 차아인산칼륨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정인산, 제1인산염, 제2인산염, 제3인산염, 트리폴리인산염, 헥사메타인산염, 피로인산염은 양호한 중금속 고정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산도가 높은 정인산 등은 배관으로의 부식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인산염의 수용액이나 수산화나트륨 등의 알칼리제를 혼합하여 pH를 3이상으로 해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산화규소 함유 화합물에 의하여 납의 용출을 방지할 수 있다. 이산화규소 함유 화합물은, 이산화규소 그 자체라도 좋고, 이산화규소가 가용성의 상태이면 이산화규소와 다른 재료와의 혼합물이나 복합물이더라도 좋다. 또한 이산화규소의 성상(性狀)은 분체(粉體)이더라도 액상이더라도 좋다. 분체의 이산화규소는 실리카퓸(silica fume), 실리카겔(silica gel), 활성백토(活性白土), 제올라이트(zeolite) 등을 들 수 있다. 액상의 이산화규소는 규산나트륨의 수용액(물유리)이나 규산칼륨의 수용액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6가크롬, 비소, 셀렌(Selen), 수은 등이 중금속으로부터 용출 하지 않도록, 이들 약제에 더하여 철계 화합물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철계 화합물로서는 염화제1철, 염화제2철, 황산제1철, 황산제2철, 폴리 황산철, 철분 등을 들 수 있는데, 염화제1철이 가장 바람직하다.
나아가, 비산재에 많은 알칼리 잔분(殘分)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는, 저렴한 염화알루미늄, 폴리염화알루미늄, 염산, 황산반토(黃酸礬土) 등의 중화제를 알칼리제와 함께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산재의 고화처리(固化處理)를 하는 때에는, 소석고(燒石膏), 포틀랜드시멘트(portland cement), 조강시멘트(rapid hardening cement), 제트시멘트(jet cement), 고로시멘트(blast furnace cement), 알루미나시멘트(alumina cement) 등의 시멘트류를 첨가해도 좋다.
특히 비산재중의 중금속에, 철계 화합물, 인산화합물, 중화제, 실리카함유 화합물을 적어도 1개 이상을 적용하여 중금속처리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미반응의 알칼리 잔분은 이들 중금속고정제의 첨가량을 증가시킨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 관한 안정화처리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알칼리제의 첨가량을 적정화하고, 미반응의 알칼리 잔분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비산재중금속고정제의 첨가량을 삭감할 수 있고, 환경부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비산재의 상기 중화제, 인산 등의 산성약제의 첨가량을 규정하는 수단으로, 비산재중의 알칼리 잔분을 측정하고, 측정된 알칼리 잔분의 값에 따라 첨가량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중화제, 인산 등의 산성약제를 과하거나 부족하지 않게 첨가할 수 있고, 약품의 적정이용 및 안정적인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산성가스 안정화처리방법]
연소배기가스 처리시설(10)이 실행하는 산성가스 안정화처리방법을 설명한다.
<제1첨가량 산출>
우선, 연소배기가스 처리시설(10)이 작동하는 중에, 연소배기가스를 집진기(18)에서 처리하고, 배출로(4)내를 흐르는 처리후 연소배기가스중의 산성가스농도를 제1산성가스 측정장치(30a)로 측정하는 제1산성가스농도 측정공정이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염화수소가스농도 측정장치(32a)가 산성가스중의 리얼타임의 염화수소가스농도인 순간염화수소가스농도를 측정하는 염화수소가스농도 측정공정을 실행하고, 순간염화수소가스농도를 염화수소가스농도 신호(S1a)로서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제1유황산화물가스농도 측정장치(34a)가 산성가스중의 리얼타임의 유황산화물가스농도인 순간유황산화물가스농도를 측정하는 유황산화물농도 측정공정을 실행하고, 측정된 순간유황산화물가스농도를 유황산화물가스농도 신호(S2a)로서 출력한다.
제1염화수소가스 산출부(62a)는, 제1염화수소가스농도 신호(S1a)에 의거하여 단위시간당의 제1첨가제의 첨가량(kg/h)인 염화수소측 첨가량(AgS1)(kg/h)을 산출하고, 제1염화수소 첨가량 신호(S3)로서 출력한다.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기초첨가량 산출부(623a)에서는, 예를 들면 10분간과 같은 소정의 시간에 있어서의 제1첨가량(kg/h)의 평균첨가량에 의거하여 기초첨가량(Fa)을 산출한다(스텝ST01). 여기에서 산출된 기초첨가량(Fa)은 첨가량(SQ)(kg/h)을 낮추기 위한 기초가 되는 값이며, 스텝ST11 및 스텝ST15에서 사용된다.
다음에, 첨가량 산출부(626a)는, 농도량 산출부(622a)가 제1염화수소가스농도 신호(S1a)에 의거하여 산출한 순간염화수소가스농도(ppm)에 의거하여 순간염화수소가스농도(ppm)가 상승하고 있는 상승상태인지, 일정상태를 유지하고 있거나 또는 감소하고 있는 하강상태인지를 판단한다(스텝ST03). 첨가량 산출부(626a)는, 상승상태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ST04의 처리로 이동하고, 하강상태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ST18의 처리로 이동한다.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첨가량 산출부(626a)는, 스텝ST03에서 상승상태라고 판단하고 있으므로, 첨가량 대응정보선L을, 첨가량 대응정보선L1을 통하여 첨가량 대응정보선L2로 보정한다(스텝ST04).
구체적으로는, 첨가량 산출부(626a)는, 우선, 첨가량 대응정보선L(0 - 점a - 점b간을 연결하는 선, 점c - 점d간을 연결하는 선, 점e이후의 선)의 순간염화수소가스농도(PV)의 값을 상승보정치(SVA)만큼 감산하여 첨가량 대응정보선L1(0 - 점a1 - 점b1간을 연결하는 선, 점c1 - 점d1간을 연결하는 선, 점e1이후의 선)을 산출한다.
다음에, 첨가량 산출부(626a)는 첨가량 대응정보선L1으로 얻어지는 첨가량(SQ)의 값을 기초첨가량(Fa)만큼 작게 한 첨가량 대응정보선L2(0 - 점a1 - 점b2사이를 연결하는 선, 점c2 - 점d2사이를 연결하는 선, 점e2이후의 선)를 산출한다.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다음에 첨가량 산출부(626a)는 첨가량 대응정보선L2에 의거하여 순간염화수소가스농도(PV)에 따라 첨가해야 할 첨가량(SQ)(kg/h)을 산출한다(스텝ST05∼ST17).
우선, 첨가량 산출부(626a)는, 순간염화수소가스농도(PV)가, 0부터 "제어목표치(SV)(ppm) - 상승보정치(SVA)(ppm)"까지의 범위에 있다고 판단하면(스텝ST05), 첨가량 대응정보선L2에 의거하여 첨가량(SQ)(kg/h)을 0이라고 산출한다(스텝ST07).
또한, 첨가량 산출부(626a)는, 순간염화수소가스농도(PV)가, "제어목표치(SV)(ppm) - 상승보정치(SVA)(ppm)"부터 "제1출력제한 대응농도(SM1)(ppm) - 상승보정치(SVA)(ppm)"까지의 범위에 있다고 판단하면(스텝ST09), 첨가량 대응정보선L2에 의거하여 첨가량(SQ)(kg/h)을 산출한다(스텝ST11).
구체적으로는, 첨가량 대응정보선L2에 있어서, "제어목표치(SV)(ppm) - 상승보정치(SVA)(ppm)"로부터 "제1출력제한 대응농도(SM1)(ppm) - 상승보정치(SVA)(ppm)"까지 범위에서의 첨가량(SQ)(kg/h)은, 이하의 식에 의거하여 산출된다.
첨가량(SQ) = [제1출력제한 첨가량(LM1) - 기초첨가량(Fa)] × [순간염화수소가스농도(PV) - [제어목표치(SV) - 상승보정치(SVA)]] / [제1출력제한 대응농도(SM1) - 제어목표치(SV)]
또한 첨가량 산출부(626a)는, 순간염화수소가스농도(PV)가 "제1출력제한 대응농도SM1(ppm) - 상승보정치(SVA)(ppm)"부터 "제2출력제한 대응농도(SM2)(ppm) - 상승보정치(SVA)(ppm)"까지의 범위에 있다고 판단하면(스텝ST13), 첨가량 대응정보선L2에 의거하여 첨가량(SQ)(kg/h)을 산출한다(스텝ST15). 이때 첨가량 대응정보선L2에 있어서, "제1출력제한 대응농도(SM1)(ppm) - 상승보정치(SVA)(ppm)"로부터 "제2출력제한 대응농도(SM2)(ppm) - 상승보정치(SVA)(ppm)"까지 범위에서의 첨가량(SQ)(kg/h)은, 이하의 식에 의거하여 산출된다.
첨가량(SQ) = 출력상한 첨가량(LM2) - 기초첨가량(Fa)
또한, 첨가량 산출부(626a)는, 순간염화수소가스농도(PV)가, "제2출력제한 대응농도(SM2)(ppm) - 상승보정치(SVA)(ppm)"를 초과한다고 판단하면(스텝ST13), 첨가량 대응정보선L2에 의거하여 첨가량(SQ)(kg/h)을 산출한다(스텝ST17). 이때 첨가량 대응정보선L2에 있어서, "제2출력제한 대응농도(SM2)(ppm) - 상승보정치(SVA)(ppm)"를 초과하는 범위에서의 첨가량(SQ)(kg/h)은, 이하의 식에 의거하여 산출된다.
첨가량(SQ) = 출력상한 첨가량(LM3) - 기초첨가량(Fa)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첨가량 산출부(626a)는, 스텝ST03에서 하강상태라고 판단하고 있으므로, 첨가량 대응정보선L에 의거하여 순간염화수소가스농도(PV)에 따라 첨가해야 할 첨가량(SQ)(kg/h)을 산출한다(스텝ST19∼ST31).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첨가량 산출부(626a)는, 스텝ST03에서 하강상태라고 판단하고 있으므로, 첨가량 대응정보선L을 첨가량 대응정보선L3를 통하여 첨가량 대응정보선L4로 보정한다(스텝ST18).
구체적으로는, 첨가량 산출부(626a)는, 우선, 첨가량 대응정보선L(0 - 점a - 점b간을 연결하는 선, 점c - 점d간을 연결하는 선, 점e이후의 선)의 순간염화수소가스농도(PV)의 값을 기초첨가량(Fa)만큼 낮추고, 첨가량 대응정보선L3(0 - 점a - 점b3사이를 연결하는 선, 점c3 - 점d3사이를 연결하는 선, 점e3이후의 선)를 산출한다.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첨가량 산출부(626a)는, 우선 첨가량 대응정보선L3에 의거하여, 순간염화수소가스농도(PV)에 따라 첨가해야 할 첨가량(kg/h)을 산출하고, 다음에 산출된 첨가량에 강하보정계수(LMG)의 비율만큼 작게 한 값을 순간염화수소가스농도(PV)에 따라 첨가해야 할 첨가량(SQ)(kg/h)으로서 산출한다(스텝ST19~ST31). 도5에 있어서의 첨가량 대응정보선L4는, 첨가량 대응정보선L3를 강하보정계수(LMG)의 비율만큼 작게 한 선으로서, 0 - 점a - 점b4사이를 연결하는 선, 점c4 - 점d4사이를 연결하는 선, 점e4이후의 선이다.
우선, 첨가량 산출부(626a)는, 순간염화수소가스농도(PV)가, 0으로부터 "제어목표치(SV)(ppm)"까지의 범위에 있다고 판단하면(스텝ST19), 첨가량 대응정보선L4에 의거하여 첨가량(SQ)(kg/h)을 0이라고 산출한다(스텝ST21).
또한, 첨가량 산출부(626a)는, 순간염화수소가스농도(PV)가 "제어목표치(SV)(ppm)"로부터 "제1출력제한 대응농도(SM1)(ppm)"까지의 범위에 있다고 판단하면(스텝ST23), 첨가량 대응정보선L4에 의거하여 첨가량(SQ)(kg/h)을 산출한다(스텝ST25).
구체적으로는, 첨가량 대응정보선L4의, "제어목표치SV(ppm)"부터 "제1출력제한 대응농도SM1(ppm)"까지 범위에서의 첨가량(SQ)(kg/h)은, 이하의 식에 의거하여 산출된다.
첨가량(SQ) = [제1출력제한 첨가량(LM1) × 강하보정계수(LMG) - 기초첨가량(Fa)] × [순간염화수소가스농도(PV) - 제어목표치(SV)] / [제1출력제한 대응농도(SM1) - 제어목표치(SV)]
또한 첨가량 산출부(626a)는, 순간염화수소가스농도(PV)가 "제1출력제한 대응농도(SM1)(ppm)"로부터 "제2출력제한 대응농도(SM2)(ppm)"까지의 범위에 있다고 판단하면(스텝ST27), 첨가량 대응정보선L4에 의거하여 첨가량(SQ)(kg/h)을 산출한다(스텝ST29). 이때 첨가량 대응정보선L4에 있어서, "제1출력제한 대응농도(SM1)(ppm)"로부터 "제2출력제한 대응농도(SM2)(ppm)"까지 범위에서의 첨가량(SQ)(kg/h)은, 이하의 식에 의거하여 산출된다.
첨가량(SQ) = 출력상한 첨가량(LM2) × 강하보정계수(LMG) - 기초첨가량(Fa)
또한 첨가량 산출부(626a)는, 순간염화수소가스농도(PV)가 제2출력제한 대응농도(SM2)(ppm)를 초과한다고 판단하면(스텝ST27), 첨가량 대응정보선L4에 의거하여 첨가량(SQ)(kg/h)을 산출한다(스텝ST31). 이때 첨가량 대응정보선L4에 있어서, 제2출력제한 대응농도(SM2)(ppm)를 초과하는 범위에서의 첨가량(SQ)(kg/h)은, 이하의 식에 의거하여 산출된다.
첨가량(SQ) = 출력상한 첨가량(LM3) × 강하보정계수(LMG) - 기초첨가량(Fa)
이렇게 해서, 첨가량 산출부(626a)는, 첨가량(SQ)(kg/h)을 염화수소측 첨가량(AgS1)(kg/h)으로 하여 염화수소측 첨가량(AgS1)(kg/h)을 나타내는 제1염화수소 첨가량 신호(S3)로서 출력한다.
제1유황산화물가스 산출부(62b)는, 제1유황산화물가스농도 신호(S2a)에 의거하여 단위시간당 제1첨가제의 첨가량(kg/h)인 유황산화물측 첨가량(AgS2)(kg/h)을 산출하고 제1유황산화물 첨가량 신호(S4)로서 출력한다. 제1유황산화물가스 산출부(62b)에 있어서 유황산화물측 첨가량(AgS2)을 산출하는 첨가량 산출부(626b)도, 첨가량 산출부(626a)와 마찬가지로, 제1유황산화물가스농도 신호(S2a)에 의거하여 첨가량(SQ)(kg/h)을 산출하고, 산출된 첨가량(SQ)(kg/h)을 유황산화물측 첨가량(AgS2)(kg/h)으로서 출력한다.
기초첨가량 산출부(63)는, 항상 제1첨가량 신호(S21)의 제1첨가량(kg/h)에 의거하여 기초첨가량(Fa)(kg/h)을 기초첨가량 신호(S5)로서 출력한다.
통상첨가량 산출부(64)는, 이하의 식에 의해, 제1염화수소 첨가량 신호(S3)의 염화수소측 첨가량(AgS1), 제1유황산화물 첨가량 신호(S4)의 유황산화물측 첨가량(AgS2), 기초첨가량 신호(S5)의 기초첨가량(Fa)(kg/h)에 의거하여, 통상첨가량(AgSQ)(kg/h)을 산출한다. 이때, 염화수소측 첨가량(AgS1)(kg/h)과 유황산화물측 첨가량(AgS2)(kg/h)은, 모두 상기의 계산식에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하한(기초첨가량(Fa)(kg/h))이 영향을 주지 않도록, 기초첨가량(Fa)를 감산하여 초과한 부분의 첨가량을 나타내고 있다. 이 때문에 통상첨가량(AgSQ)(kg/h)은, 통상첨가량(AgSQ)(kg/h)의 하한이 기초첨가량(Fa)(kg/h)이 되도록, 염화수소측 첨가량(AgS1)(kg/h)과 유황산화물측 첨가량(AgS2)(kg/h) 이외에 하한(기초첨가량)을 더하여, 제1염화수소가스농도 신호(S1a)와 제2유황산화물가스농도 신호(S2a)로부터 전달되는 첨가량의 하한을 조정하고 있다.
통상첨가량(AgSQ)(kg/h) = 염화수소측 첨가량(AgS1)(kg/h) + 유황산화물측 첨가량(AgS2)(kg/h) + 기초첨가량(Fa)(kg/h)
긴급시 판단부(65)는, 항상 제1염화수소가스농도 신호(S1a) 및 제1유황산화물가스농도 신호(S2a)에 의거하여 긴급 또는 정상을 나타내는 긴급시 판단신호(S7)를 출력한다.
가첨가량 산출부(66)는, 정상을 나타내는 긴급시 판단신호(S7)를 수신하고 있을 경우에는 통상첨가량 신호(S6)에 의거하여 가제1첨가량 신호(S8)를 출력하고, 긴급을 나타내는 긴급시 판단신호(S7)를 수신하고 있을 경우에는 통상첨가량(AgSQ)(kg/h)보다도 많은 미리 규정한 긴급첨가량(kg/h)을 가제1첨가량 신호(S8)로서 출력한다.
기기첨가량 제한부(67)는, 가제1첨가량 신호(S8)에 의거하여, 제1첨가장치(42)의 최대첨가량(LHS)(kg/h)과 최소첨가량(LOS)(kg/h) 사이의 범위가 되도록, 제1첨가량(kg/h)을 산출하고 제1첨가량 신호(S21)로서 출력한다.
<제2첨가량 산출>
연소배기가스 처리시설(10)이 작동하는 중에, 유입로(3)내를 흐르는 미처리 연소배기가스중의 산성가스농도를 제2산성가스 측정장치(30b)로 측정하는 제2산성가스농도 측정공정이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제2염화수소가스농도 측정장치(32b)가 산성가스중의 리얼타임의 염화수소가스농도인 순간염화수소가스농도를 측정하는 염화수소가스농도 측정공정을 실시하여, 측정된 순간염화수소가스농도를 제2염화수소가스농도 신호(S1b)로서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제2유황산화물가스농도 측정장치(34b)가 산성가스중의 리얼타임의 유황산화물가스농도인 순간유황산화물가스농도를 측정하는 유황산화물농도측정공정을 실시하여, 측정된 순간유황산화물가스농도를 유황산화물가스농도 신호(S2b)로서 출력한다.
여기에서는, 제2염화수소가스농도 신호(S1b) 및 유황산화물가스농도 신호(S2b)를 각각 출력하고 있지만, 어느 일방만의 출력이라도 상관없다.
제2첨가량 기초산출부(74)는, 제2산성가스농도 신호(S0b)와 출구제어 목표치 신호(S14)에 의거하여, 제2첨가량(AgCQ)(kg/h)을 산출하고 가제2첨가량 신호(S22)로서 출력한다.
평균 제2첨가량 산출부(72)는, 가제2첨가량 신호(S22)에 의거하여 산출한 평균 제2첨가량(kg/h)을 평균 제2첨가량 신호(S12)로서 출력한다.
기기첨가량 제한부(73)는, 평균 제2첨가량 신호(S12)에 의거하여, 제2첨가장치(44)의 최대첨가량(LHS)(kg/h)과 최소첨가량(LOS)(kg/h) 사이의 범위가 되도록, 제2첨가량(kg/h)을 산출하고 제2첨가량 신호(S13)로서 출력한다.
<알칼리제 첨가>
제1첨가장치(42)는 제1첨가량 신호(S21)에 의거하여 제1첨가량의 제1알칼리제를 유입로(3)내의 연소배기가스에 첨가하고, 또한 제2첨가장치(44)는 제2첨가량 신호(S13)에 의거하여 제2첨가량의 제2알칼리제를 유입로(3)내의 연소배기가스에 첨가한다.
상기한 연소배기가스 처리시설(10)에 의하면, 서로 다른 2개의 알칼리제의 첨가량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산성가스의 안정적인 처리를 유지하면서 알칼리제의 과잉첨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알칼리제의 첨가량을 적정하게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비산재중의 미반응 알칼리의 잔분을 감소시키고, 비산재의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중금속류를 고정화시키는 고정제의 사용량을 감소시키고, 나아가서는 환경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서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관한 연소배기가스 처리시설(10)은, 제1알칼리제 및 제2알칼리제의 적정한 첨가 및 산성가스의 안정적인 처리가 가능하도록, 집진기(18)의 하류측에서 제1염화수소가스농도 신호(S1a)와 제1유황산화물가스농도 신호(S2a)에 의거하여 제1알칼리제의 첨가량을 제어하고, 집진기(18)의 상류측에서 제2염화수소가스농도 신호(S1b)와 제2유황산화물가스농도 신호(S2b)에 의거하여 제2알칼리제의 첨가량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산성가스의 변동이 심한 산업 폐기물 소각로에 있어서, 알칼리제 첨가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보다, 상류측의 유입로(3)에 제2염화수소가스농도 측정장치(32b)(쿄토전자공업주식회사제품, KLA-1)를 설치하고, 제2염화수소가스농도(입구HCl)를 측정했다. 또한 소석회(제2알칼리제, JIS 특호 소석회)를 집진기(18)의 상류측에 338kg/h의 정량으로 첨가함과 아울러, 미분중조(제1알칼리제, 쿠리타공업주식회사제품, 하이퍼서B-200)에 있어서, 집진기(18) 하류측의 배출로(4)에 설치된 제1염화수소가스농도 측정장치(32a)(쿄토전자공업주식회사제품, KLA-1)로 측정된 제1염화수소가스농도(출구HCl)가 출력되는 제1염화수소가스농도 신호(S1a)와, 제1유황산화물가스 측정장치(34a)(후지전기주식회사제품, ZRG)로 측정된 제1유황산화물가스농도(출구SOx)가 출력되는 제1유황산화물가스농도 신호(S2a)에 의거하여, 배출로(4)내의 농도를 관리하는 산소환산치로 피드백 제어를 실시했다.
또한, 이때에 미분중조(제1알칼리제)의 제1염화수소가스농도 신호(S1a) 및 제1유황산화물가스농도 신호(S2a)에 의한 피드백 제어는, 이하에 나타나 있는 설정에 의해 실행되었다.
또한, 본 적용방법에 있어서의 비산재를 정기적으로 채취하고, 알칼리제의 미반응분의 지표(指標)가 되는 원재(原灰) INDEX(알칼리 잔분)를 측정했다. 또한 황산반토, 인산수용액을 첨가하여 중금속의 용출시험(일본 환경청고시13호 시험)을 실행하고, 필요첨가량을 평가했다.
본 평가조건에 있어서는, 소석회 1.88당량(338kg/h), 미분중조 0.28당량(115kg/h)을 첨가함으로써, 제1염화수소가스농도(출구HCl)를 195ppm(제어목표치 200ppm)으로 제어목표치와 동등의 처리를 할 수 있었고, 적정한 제어가 가능하였다.
도8 및 도10은 제2염화수소가스농도(입구HCl)와 소석회 첨가당량의 추이를 나타낸다.
도8의 그래프에 의하면, 제2염화수소가스농도(입구HCl)가 증가함에 따라서 소석회 첨가당량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제2염화수소가스농도(입구HCl)가 낮은 경우에 소석회가 과잉으로 분무되어, 제2염화수소가스농도(입구HCl)가 저하한 때에는 소석회가 부족하여, 비교적 비싼 제1알칼리제의 첨가량이 증가하는 것을 나타낸다.
비산재의 중금속처리에 관해서는, 비산재중의 원재(原灰) INDEX(알칼리 잔분) 평균은 305이었다. 또한 75% 인산수용액 3%를 첨가하고, 27% 황산알루미늄수용액의 첨가량을 바꾸어 필요첨가량을 평가한 결과, 27% 황산알루미늄수용액의 필요첨가량은 평균 55%이었다.
<제어의 설정>
제2알칼리제 : 소석회 : 338(kg/h) 정량첨가
제1알칼리제 : 미분중조의 피드백 제어
AgSO = AgSQ ÷ LHS × 100
AgSO : 미분중조첨가출력(%)
AgSQ : 미분중조첨가량(통상첨가량)(kg/h)
LHS : 미분중조첨가장치의 최대첨가량(제1첨가장치의 최대첨가량)(kg/h)
AgSQ = (AgS1 + AgS2) + Fa
AgS1 : 출구HCl 측정기기의 출력으로부터 규정되는 첨가량(염화수소측 첨가량)(kg/h)
AgS2 : 출구SOx 측정기기의 출력으로부터 규정되는 첨가량(유황산화물측 첨가량)(kg/h)
Fa: 기초첨가량(kg/h) = n분 이동 평균 첨가량(kg/h) × 계수(%)÷100
n분 이동평균 : 10(분)
계수 : 70.0(%)
여기에서 AgSQ가 LHS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LHS로 했다.
또한 AgSQ가 LOS(미분중조첨가장치의 최소첨가량(제1첨가장치의 최소첨가량))(kg/h) 이하의 경우에는, LOS로 했다.
LOS : 미분중조첨가장치의 최소첨가량(제1첨가장치의 최소첨가량) : 40kg/h
또한 출구HCl농도(염화수소가스농도), 출구SOx농도(유황산화물가스농도)가 어느 일정 농도이상이 된 경우에는, 본 첨가출력과는 별도로 긴급첨가량의 첨가출력을 규정했다.
긴급첨가량
긴급첨가[출구HCl 1시간 평균에 의한 제어]
HCl긴급첨가농도 : 213(ppm)
HCl긴급첨가량 : 260(kg/h)
긴급첨가[출구SO2 1시간 평균에 의한 제어]
SO2 긴급첨가농도 : 200(ppm)
SO2 긴급첨가량 : 260(kg/h)
제어설정을 표1 및 표2에 나타낸다.
[표1] 출구 HCl 피드백 제어 AgS1
Figure pat00001
[표2] 출구 SO2 피드백 제어 AgS2
Figure pat00002
<실시예>
동일시설에서, 제2염화수소가스농도 신호(S1b)에 의거하여, 소석회(제2알칼리제, JIS 특호 소석회)의 필요첨가량을 연산하여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행했다.
소석회(제2알칼리제)와 미분중조(제1알칼리제)의 제어는, 이하에 나타나 있는 제어설정에 의해 실행되었다.
또한, 본 적용방법에 있어서의 비산재도 정기적으로 채취하고, 비교예와 마찬가지로 알칼리제의 미반응분의 지표(指標)가 되는 원재(原灰) INDEX(알칼리 잔분) 평균을 측정함과 아울러 황산반토, 인산수용액을 사용하여 필요첨가량을 평가했다.
소석회의 첨가량을 미분중조의 첨가량에 의하여 제어한 조건에 있어서는, 소석회를 1.67당량(278kg/h), 미분중조 0.27당량(104kg/h)의 첨가에 의해서, 제1염화수소가스농도(출구HCl)가 196ppm(제어목표치 200ppm)으로 적정한 제어가 가능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소석회를 제어함으로써 소석회의 필요첨가량을 비교예에 비해 크게 삭감할 수 있었다.
도9 및 도11에, 제2염화수소가스농도(입구HCl)와 소석회 첨가당량의 추이를 나타내지만, 본 제어는 제2염화수소가스농도(입구HCl)의 변동에 상관없이 안정한 당량으로 소석회의 첨가가 가능하며, 매우 컨트롤성이 우수한 제어이다.
비산재의 중금속처리에 관해서는, 비산재중의 원재(原灰) INDEX(알칼리 잔분) 평균은 225로, 비교예에 비해 알칼리 잔분을 저하시킬 수 있었다. 또한 컨트롤성 향상에 의하여 변동도 적어지고 있어, 산성약제로 처리하기 쉬운 비산재성상(飛散灰性狀)이 되었다.
또한, 마찬가지로 75% 인산수용액 3%를 첨가하고, 27% 황산알루미늄수용액의 첨가량을 바꾸어 필요첨가량을 평가한 결과, 27% 황산알루미늄수용액의 필요첨가량은 평균 40%로서 중금속고정제의 첨가량을 줄일 수 있었다.
<제1알칼리제의 제어>
제1알칼리제(미분중조)의 제어는, 비교예와 동일한 설정으로 했다.
<제2알칼리제의 제어>
AgCO = AgCQ ÷ LHC × 100
AgCO : 소석회 첨가출력(%)
AgCQ : 소석회 첨가량(kg/h)
LHC : 소석회 첨가장치의 최대첨가량(제2첨가장치의 최대첨가량) : 450(kg/h)
AgCQ = A ÷ 100 × {B ÷ 100 × (입구HCl - SVHCl)÷ 0.614 ÷ 1000 ÷ 36.5 × F × (100 - W)÷ 100 × Mc ÷ 1000}
A : 전체조정계수
B : 입구HCl조정계수
입구HCl : 입구HCl농도(ppm)[실측치]
SVHCl : 제1알칼리제의 제어에 있어서의 출구HCl의 제어목표치(ppm)[실측치]
출구HCl농도신호가 산소환산치인 경우에, 이하의 식에 의해서 실측치로 변환해서 연산한다.
SVHCl[실측치] = SVHCl [산소환산치] × 21 - 산소농도(%)÷(21-12)
F : 배기가스량(Nm3 - wet/h)
W : 가스중 수분(%)
Mc : 약제계수(소석회) : 37
LMHC : 소석회 제어 최대첨가량
LMOC : 소석회 제어 최소첨가량
여기에서, AgCQ가 LMHC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LMHC로 했다.
또한, AgCQ가 LMOC이하의 경우에는, LMOC로 했다.
제2알칼리제(소석회)의 제어
LOC : 소석회 기기 최소첨가량 : 45(kg/h)
LHC : 소석회 기기 최대첨가량(kg/h) : 450(kg/h)
LMOC : 소석회 제어 최소첨가량 : 45(kg/h)
LMHC : 소석회 제어 최대첨가량 : 405(kg/h)
A : 전체조정계수 : 200(%)
B : 입구HCl 조정계수 : 100 (%)
산성가스 처리의 결과는 표3에서, 중금속처리 결과는 표4에서, 측정결과를 나타낸다.
[표3] 비교예, 실시예, 산성가스 처리결과
Figure pat00003
[표4] 비교예, 실시예, 중금속 처리결과
Figure pat00004

AgCQ - 제2첨가량; AgCQA - 평균 제2첨가량;
AgS1 - 염화수소측 첨가량; AgS2 - 유황산화물측 첨가량;
AgSQ - 제1첨가량, 통상첨가량; AgSQA - 평균 제1첨가량;
AgSQT - 목표첨가량; Fa - 기초첨가량;
L, L1, L2, L3, L4 - 첨가량 대응정보선; LHS - 최대첨가량;
LM1 - 제1출력제한 첨가량; LM2 - 출력상한 첨가량;
LM2 - 제2출력제한 첨가량; LM3 - 출력상한 첨가량;
LMG - 강하보정계수; LOS - 최소첨가량;
PV - 순간염화수소가스농도, 순간유황산화물가스농도;
S0a - 제1산성가스농도 신호; S0b - 제2산성가스농도 신호;
S1a - 제1염화수소가스농도 신호; S1b - 제2염화수소가스농도 신호;
S2a - 제1유황산화물가스농도 신호; S2b - 제2유황산화물가스농도 신호;
S3 - 염화수소 첨가량 신호; S4 - 유황산화물 첨가량 신호;
S5 - 기초첨가량 신호; S6 - 통상첨가량 신호; S7 - 긴급시 판단신호;
S8 - 가제1첨가량 신호; S11 - 평균 제1첨가량 신호;
S12 - 평균 제2첨가량 신호; S13 - 제2첨가량 신호;
S14 - 출구제어 목표치 신호; S21 - 제1첨가량 신호;
S22 - 가제2첨가량 신호; SM1 - 제1출력제한 대응농도;
SM2 - 제2출력제한 대응농도; SQ - 첨가량; SV - 제어목표치;
SV - 목표제어치; SVA - 상승보정치; 2 - 배관; 3 - 유입로;
4 - 배출로; 10 - 연소배기가스 처리시설; 12 - 연소로; 14 - 보일러;
16 - 감온탑; 18 - 집진기; 19 - 비산재 혼련기; 20 - 팬; 22 - 굴뚝;
30a - 제1산성가스 측정장치; 30b - 제2산성가스 측정장치;
32a - 제1염화수소가스농도 측정장치;
32b - 제2염화수소가스농도 측정장치;
34a - 제1유황산화물가스농도 측정장치;
34b - 제2유황산화물가스농도 측정장치; 42 - 제1첨가장치;
44 - 제2첨가장치; 50 - 첨가량 제어장치; 60 - 제1첨가량 산출부;
61 - 메인첨가량 산출부; 62a - 염화수소가스 산출부;
62b - 유황산화물가스 산출부; 63 - 기초첨가량 산출부;
64 - 통상첨가량 산출부; 65- 긴급시 판단부; 66 - 가첨가량 산출부;
67 - 기기첨가량 제한부; 70 - 제2첨가량 산출부;
72 - 평균 제2첨가량 산출부; 73 - 기기첨가량 제한부;
74 - 제2첨가량 기초산출부; 75 - 제어목표치 추출부;
621a, 62lb - 상승보정치 규정부; 622a, 622b - 농도량 산출부;
623a, 623b - 기초첨가량 산출부; 624a, 624b - 하강보정치 규정부;
625a, 625b - 첨가량 대응 규정부; 626a, 626b - 첨가량 산출부

Claims (12)

  1. 산성가스(酸性gas)가 포함되는 연소배기가스(燃燒排氣gas)를 연소배기가스 처리시설에서 안정적으로 처리하는 안정화처리방법으로서,
    상기 연소배기가스를 집진기(集塵機)에서 처리한 처리후 연소배기가스중의 제1산성가스의 농도를 측정하는 제1산성가스농도 측정공정(第1酸性gas濃度 測定工程)과,
    상기 제1산성가스농도에 의거하여 상기 제1산성가스에 관한 정보인 제1산성가스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제1산성가스정보에 의거하여 제1알칼리제의 통상첨가량을 산출하고, 상기 통상첨가량에 의거하여 제1첨가량정보를 산출하는 제1산출공정(第1産出工程)과,
    상기 연소배기가스를 집진기에서 처리하지 않은 미처리 연소배기가스인 제2산성가스중의 제2산성가스농도를 측정하는 제2산성가스농도 측정공정(第2酸性gas濃度 測定工程)과,
    상기 제2산성가스농도에 의거하여 상기 제2산성가스에 관한 정보인 제2산성가스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제2산성가스정보에 의거하여 제2알칼리제의 첨가량을 산출하고, 상기 첨가량에 의거하여 제2첨가량정보를 산출하는 제2산출공정(第2産出工程)과,
    상기 제1첨가량의 상기 제1알칼리제를 상기 연소배기가스에 첨가하는 제1첨가공정(第1添加工程)과,
    상기 제2첨가량의 상기 제2알칼리제를 상기 연소배기가스에 첨가하는 제2첨가공정(第2添加工程)을
    포함하는 산성가스 안정화처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첨가량정보는, 상기 처리후 연소배기가스에 있어서 상기 제1산성가스농도의 목적값인 제어목표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산출공정은, 상기 제2산성가스농도로부터 상기 제어목표치를 감산(減算)한 농도에 의거하여 상기 제2첨가량을 산출하는 산성가스 안정화처리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산성가스정보는, 상기 제2산성가스농도 측정공정에서 측정된 리얼타임(real time)의 산성가스농도인 순간산성가스농도(瞬間酸性gas濃度)의 변화의 비율을 나타내는 산성가스농도량을 포함하고,
    상기 제1산출공정은, 상기 산성가스농도량에 따라 상기 통상첨가량을 소정의 보정방법에 의거하여 보정하는 산성가스 안정화처리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미리, 상기 순간산성가스농도와 상기 제1알칼리제의 첨가량을 관련짓는 기본첨가량 대응정보를 규정하고,
    상기 제1산출공정은, 상기 산성가스농도량이 일정상태를 유지하고 있거나 또는 감소하고 있는 하강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순간산성가스농도와 감소용의 기본첨가량 대응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통상첨가량을 산출하고,
    또한 상기 산성가스농도량이 증가하고 있는 상승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순간산성가스농도에 의거하고, 또 상기 기본첨가량 대응정보에 있어서의 산성가스농도의 값을 소정의 보정방법에 의하여 작게 한 증가용 첨가량 대응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통상첨가량을 산출하는 산성가스 안정화처리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산출공정은, 상기 산성가스농도량이 일정상태를 유지하고 있거나 또는 감소하고 있는 하강상태인 경우에, 상기 통상첨가량을, 미리 규정된, 0을 초과하고 1미만의 범위에 있는 하강보정치로 보정하는 산성가스 안정화처리방법.
  6. 제3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첨가공정에서 첨가할 수 있는 최대첨가량과 최소첨가량 사이에 복수의 대응첨가량 상한치가 설정되고,
    상기 복수의 대응첨가량 상한치는 각각 복수의 산성가스농도에 대응하고 있고,
    상기 제2산성가스정보는, 상기 제2산성가스농도 측정공정에서 측정된 산성가스농도인 순간산성가스농도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1산출공정은, 상기 순간산성가스농도가 상기 복수의 산성가스농도 중에서 인접하는 2개의 산성가스농도의 범위내에 있을 경우에, 그 인접하는 2개의 산성가스농도 중에서 높은 농도에 대응하는 대응첨가량 상한치에 의거하여 상기 통상첨가량을 산출하는 산성가스 안정화처리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산성가스정보는, 소정의 시간에 있어서의 상기 산성가스농도의 평균치인 평균산성가스농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산출공정은, 상기 평균산성가스농도가 미리 규정된 긴급첨가농도를 초과하면, 상기 통상첨가량 대신에, 미리 규정된 긴급첨가량에 의거하여 상기 제1첨가량정보로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성가스 안정화처리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산성가스는, 염화수소가스(鹽化水素gas) 및/또는 유황산화물가스(硫黃酸化物gas)를 포함하고,
    상기 제2산성가스농도 측정공정은, 상기 제2산성가스중의 염화수소가스농도를 측정하는 염화수소가스농도 측정공정 및/또는 상기 제2산성가스중의 유황산화물농도를 측정하는 유황산화물농도 측정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2산성가스정보는, 상기 염화수소가스에 관한 염화수소정보 및/또는 상기 유황산화물가스에 관한 유황산화물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산출공정은, 상기 염화수소정보에 의거하여 산출한 염화수소가스 첨가량 및/또는 상기 유황산화물정보에 의거하여 산출한 유황산화물가스 첨가량 및/또는 기초첨가량에 의거하여 상기 통상첨가량을 산출하고,
    상기 기초첨가량은, 소정의 시간에 있어서의 상기 제1첨가량정보의 평균첨가량에 의거하여 산출되는 산성가스 안정화처리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알칼리제가, 적어도 5∼30μm의 미분(微粉)의 중조(重曹)를 함유한 알칼리제이며,
    상기 제2알칼리제가 적어도 소석회(消石灰)를 함유한 알칼리제인 산성가스 안정화처리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알칼리제의 첨가량이 알칼리제를 첨가하기 전의 산성가스농도당 0.1∼0.6당량이며,
    상기 제2알칼리제의 첨가량이 알칼리제를 첨가하기 전의 산성가스농도당 0.5∼3.0당량인 산성가스 안정화처리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기에서 집진된 비산재(飛散灰)에, 철계 화합물(鐵系 化合物), 인산함유 화합물(燐酸含有 化合物) 및 중화제(中和劑)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을 첨가하는 고정화 처리공정(固定化 處理工程)을 더 포함하는 산성가스 안정화처리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의 산성가스 안정화처리방법을 실행하는 연소배기가스 처리시설로서,
    집진기(集塵機)와,
    상기 연소배기가스를 상기 집진기로 유입하는 유입로(流入路)와,
    상기 집진기에서 처리된 처리후 연소배기가스를 상기 집진기로부터 배출하는 배출로(排出路)와,
    상기 제1산성가스농도 측정공정을 실행하여 제1산성가스정보 신호로서 출력하는 제1산성가스 측정장치(第1酸性gas 測定裝置)와,
    상기 제2산성가스농도 측정공정을 실행하여 제2산성가스정보 신호로서 출력하는 제2산성가스 측정장치(第2酸性gas 測定裝置)와,
    상기 제1산성가스정보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제1산출공정을 실행하여 상기 제1첨가량을 제1첨가량 신호로서 출력하는 제1첨가량 산출부 및 상기 제2산성가스정보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제2산출공정을 실행하여 상기 제2첨가량을 제2첨가량 신호로서 출력하는 제2첨가량 산출부를 구비하는 첨가량 제어장치(添加量 制御裝置)와,
    상기 제1첨가량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제1첨가공정을 실행하는 제1첨가장치(第1添加裝置)와,
    상기 제2첨가량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제2첨가공정을 실행하는 제2첨가장치(第2添加裝置)를
    구비하는 연소배기가스 처리시설.
KR1020140047446A 2013-04-22 2014-04-21 산성가스 안정화처리방법 및 연소배기가스 처리시설 KR1016403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89498 2013-04-22
JP2013089498A JP5880481B2 (ja) 2013-04-22 2013-04-22 酸性ガス安定化処理方法及び燃焼排ガス処理施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6261A true KR20140126261A (ko) 2014-10-30
KR101640372B1 KR101640372B1 (ko) 2016-07-18

Family

ID=51704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7446A KR101640372B1 (ko) 2013-04-22 2014-04-21 산성가스 안정화처리방법 및 연소배기가스 처리시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880481B2 (ko)
KR (1) KR101640372B1 (ko)
CN (1) CN10410763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2158B1 (ko) * 2021-01-26 2021-07-27 현대제철 주식회사 탈황 폐기물의 중금속 용출 억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탈황 폐기물의 중금속 용출 억제 방법
KR102299686B1 (ko) * 2021-01-25 2021-09-09 주식회사 한 수 배가스 처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배가스 처리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83339B (zh) * 2021-06-16 2023-08-25 江苏凯丰新能源科技有限公司 资源化处理铝电解碳电极废料的连续式电热炉及方法
KR20240003494A (ko) 2022-07-01 2024-01-09 (주)청해소재 산성가스 중화제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528A (ja) * 1992-03-13 1994-02-01 Ecp Enichem Polimeri Sarl ポリフェニレンエーテル及びポリアミドをベースとする熱可塑性組成物
JPH0999215A (ja) 1995-10-06 1997-04-15 Kanegafuchi Chem Ind Co Ltd 排ガス及びばいじんの処理方法
JPH11165036A (ja) * 1997-12-04 1999-06-22 Abb Kk 焼却炉排ガスのデュアルアルカリ処理方法
JP2000218128A (ja) 1998-11-26 2000-08-08 Asahi Glass Co Ltd 酸性成分除去剤、その製造方法及び酸性成分除去方法
JP2006075758A (ja) * 2004-09-10 2006-03-23 Jfe Engineering Kk 脱塩制御装置及び脱塩制御方法
JP2007021442A (ja) * 2005-07-20 2007-02-01 Mitsubishi Heavy Ind Ltd 排ガス処理方法及び設備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5528A (ja) * 1983-07-22 1985-02-08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排ガス処理装置の運転方法
JPH084709B2 (ja) * 1986-04-23 1996-01-24 バブコツク日立株式会社 湿式排煙脱硫制御装置
JPH11188331A (ja) * 1997-12-26 1999-07-13 Kurita Water Ind Ltd 重金属含有灰の処理方法
JP2001025637A (ja) * 1999-07-14 2001-01-30 Kurita Water Ind Ltd 排ガス浄化方法
JP2003210934A (ja) * 2002-01-23 2003-07-29 Mitsubishi Heavy Ind Ltd 排ガス処理装置
JP4363657B2 (ja) * 2004-11-02 2009-11-11 荏原エンジニアリングサービス株式会社 焼却飛灰の安定化方法とその装置
US7040891B1 (en) * 2005-06-08 2006-05-09 Giuliani Anthony J System for reducing fuel consumption and pollutant emissions from asphalt cement production
JP2007237019A (ja) * 2006-03-06 2007-09-20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排ガス処理薬剤の供給量制御方法及び排ガス処理装置
PL2127728T3 (pl) * 2006-12-27 2019-09-30 Mitsubishi Hitachi Power Systems, Ltd. Sposób i urządzenie do obróbki gazów spalinowych
JP4329946B1 (ja) * 2008-07-24 2009-09-09 荏原エンジニアリングサービス株式会社 焼却飛灰の処理方法
JP5302618B2 (ja) * 2008-10-16 2013-10-0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窒素酸化物処理装置
JP5338421B2 (ja) * 2009-03-24 2013-11-13 栗田工業株式会社 燃焼排ガスの処理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528A (ja) * 1992-03-13 1994-02-01 Ecp Enichem Polimeri Sarl ポリフェニレンエーテル及びポリアミドをベースとする熱可塑性組成物
JPH0999215A (ja) 1995-10-06 1997-04-15 Kanegafuchi Chem Ind Co Ltd 排ガス及びばいじんの処理方法
JPH11165036A (ja) * 1997-12-04 1999-06-22 Abb Kk 焼却炉排ガスのデュアルアルカリ処理方法
JP2000218128A (ja) 1998-11-26 2000-08-08 Asahi Glass Co Ltd 酸性成分除去剤、その製造方法及び酸性成分除去方法
JP2006075758A (ja) * 2004-09-10 2006-03-23 Jfe Engineering Kk 脱塩制御装置及び脱塩制御方法
JP2007021442A (ja) * 2005-07-20 2007-02-01 Mitsubishi Heavy Ind Ltd 排ガス処理方法及び設備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사단법인 화학공학회 발행, 화학공학논문집 33(2), 154-159, 2007-03-20(http://ci.nii.ac.jp/naid/10018903497)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686B1 (ko) * 2021-01-25 2021-09-09 주식회사 한 수 배가스 처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배가스 처리방법
KR102282158B1 (ko) * 2021-01-26 2021-07-27 현대제철 주식회사 탈황 폐기물의 중금속 용출 억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탈황 폐기물의 중금속 용출 억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107630B (zh) 2017-03-01
JP5880481B2 (ja) 2016-03-09
JP2014213213A (ja) 2014-11-17
KR101640372B1 (ko) 2016-07-18
CN104107630A (zh) 2014-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20085B2 (ja) 酸性ガス安定処理方法及び燃焼排ガス処理施設
JP5338421B2 (ja) 燃焼排ガスの処理方法及び装置
KR101640372B1 (ko) 산성가스 안정화처리방법 및 연소배기가스 처리시설
JP5991677B2 (ja) 排ガス処理装置
TWI450754B (zh) 酸性氣體的處理方法
JP4966940B2 (ja) 飛灰処理装置、飛灰処理方法、廃棄物処理システム、及び廃棄物処理システムの運転方法
JP5359955B2 (ja) 重金属の溶出防止方法
CN109092045A (zh) 一种石灰石-石膏法烟气脱硫浆液氧化控制方法
JP2017006822A (ja) 石炭焚ボイラ用排ガス処理装置と石炭焚ボイラ用排ガス処理方法
JP2001347131A (ja) 燃焼排ガス中の有害物の除去方法と装置
JP2015178049A (ja) 酸性排ガス処理剤及び重金属の溶出防止方法
JP5975130B1 (ja) 酸性ガス及び重金属の複合処理剤、並びに酸性ガス及び重金属の処理方法
KR101397428B1 (ko) 산성가스의 처리방법
JP6020305B2 (ja) 排ガス処理方法
JP2016159269A (ja) 酸性ガス及び重金属の複合処理剤、並びに酸性ガス及び重金属の処理方法
CN213761263U (zh) 一种玻璃或玻纤行业烟气副产物的回收利用装置
JP2002113327A (ja) 排ガス処理脱塩剤の供給量制御方法
JP5691211B2 (ja) 燃焼排ガスの処理方法
JP5070815B2 (ja) 排ガス処理方法
JP2009131726A (ja) 排煙の処理方法
JP7272382B2 (ja) 燃焼排ガスの処理方法、及び燃焼排ガスの処理装置
CN112354353A (zh) 一种玻璃或玻纤行业烟气副产物的回收利用装置及方法
KR101522525B1 (ko) 산성가스의 처리방법
Kim et al. Release of Ammonia Odor from AAFA (Ammonia Adsorbed Fly Ash) by Installation of NOx Reduction System
Schuttenhelm et al. Anthony Lic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