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5547A - 컨테이너 백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백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125547A KR20140125547A KR1020130043444A KR20130043444A KR20140125547A KR 20140125547 A KR20140125547 A KR 20140125547A KR 1020130043444 A KR1020130043444 A KR 1020130043444A KR 20130043444 A KR20130043444 A KR 20130043444A KR 20140125547 A KR20140125547 A KR 2014012554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de wall
- container bag
- contents
- space
- contain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18—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double-walled or with lin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4—Suspension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22—Large containers flexible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내용물 충전시 안정적인 직립형태를 유지하여 동일한 규격의 컨테이너 백에 최대의 적재량을 수용하되, 적재를 위한 다단 적층 시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분체류가 수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복수 개로 구비되어 각각의 양측단부가 연결되되, 상기 내부 공간의 하측면적이 상측면적보다 넓게 형성되도록 각각의 하부폭이 상부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양측단부에 절곡부가 형성되는 측벽부; 중앙부에 삽입관부가 형성되며, 상기 측벽부 상단부에 연결되는 덮개부; 및 중앙부에 배출관부가 형성되며, 상기 측벽부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백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컨테이너 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용물 충전시 안정적인 직립형태를 유지하여 동일한 규격의 컨테이너 백에 최대의 적재량을 수용하되, 적재를 위한 다단 적층 시 안정성이 향상된 컨테이너 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백(container bag)은 FIBC(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빅 백(big bag), 벌크 백(bulk bag)으로도 불리며, 곡물이나 합성수지 재료 등 분체류를 수납하여 운송 및 보관하기 위한 산업용 포대로서, 유연성 있는 소재를 사용하여 상기 분체류의 수납과 인출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컨테이너 백에는 500Kg 내지 2000Kg 정도의 화학물질(chemical), 광물질(mineral), 곡류(grain), 합성수지 분말 재료, 시멘트 등의 내용물을 수납하고 크레인(crane)이나 호이스트(hoist) 지게차 등으로 운반되어 창고에 보관되거나 트럭에 적재되어 운송된다.
최근에는 국제 간의 거래가 활발해짐에 따라 물동량이 증가되면서 효율적으로 운송과 보관을 위해, 그리고 심화되는 경쟁에 따라 운송비와 보관비의 절감을 위해 트럭 또는 컨테이너 차량에 의해 운반되거나 창고에 적재시 보다 안정적이고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컨테이너 백의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컨테이너 백(100,20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컨테이너 백(100,200)은 내용물이 수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측벽부(110,210)와 상기 측벽부(110,210)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덮개부(120,220), 그리고 상기 측벽부(110,210)의 하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바닥부(130,2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측벽부(110,210)의 상측 둘레에는 운반 로프(rope) 또는 벨트(belt)로 형성된 고리부(140,24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측벽부(110,210)는 내용물이 수납될 때 원기둥 혹은 사각기둥을 형성하도록 봉합된다. 이때, 상기 측벽부(110)가 상기 원기둥 형태로 봉합되는 컨테이너 백(100)은 많은 내용물을 수납할 수 있지만, 컨테이너 박스나 창고에 보관할 경우에 복수 개의 컨테이너 백(100) 사이가 밀착되지 않고, 여유공간이 형성되어 공극률이 높아짐으로 인해 효율적인 공간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측벽부(210)가 사각기둥 형태로 봉합되는 컨테이너 백(200)의 경우에는 트럭에 적재되거나 창고에 보관될 때 컨테이너 백 사이의 여유공간이 줄어들어 공극률이 낮아짐으로 인해 상기 원기둥 형태의 컨테이너 백(100)보다 더 많은 수의 컨테이너 백을 적재할 수 있으나, 일정량 이상의 내용물이 수납되면 내용물 자체의 하중으로 인해 상기 측벽부(210)의 중심부(211)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배부름 현상이 발생하여 적재 공간을 더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컨테이너 백(200)을 다단으로 적층하여 적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컨테이너 백(200)의 하중이 상기 측벽부(210)의 돌출된 부분(211)으로 분산되어 상기 바닥부(230)로 하중이 집중되지 못해 안정적으로 적층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상기 컨테이너 백(200)에 넘어지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크게 다치거나, 내부에 수납된 내용물이 쏟아져 파손되거나 손실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배부름 현상으로 다단 적층이 불가능하여 한정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측벽부(210)의 상하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보강부를 형성하는 방법이 제시되었지만, 보강부의 인접부에 적재 하중이 집중되어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제품이 내구성이 현저히 감소할 뿐만 아니라, 보강부 형성으로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한편, 상기 측벽부(210)의 내측면 사이를 연결하는 칸막이를 재봉하여 상기 측벽부의 배부름 현상을 감소시키는 방법도 제시되었으나, 칸막이 제작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이 내용물에 섞이거나 칸막이로 인해 내용물을 보호하는 내피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고, 다단 적재시에는 칸막이의 연결부가 파손되어 적층 안정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분체류가 수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복수 개로 구비되어 각각의 양측단부가 연결되되, 상기 내부 공간의 하측면적이 상측면적보다 넓게 형성되도록 각각의 하부폭이 상부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양측단부에 절곡부가 형성되는 측벽부; 중앙부에 삽입관부가 형성되며, 상기 측벽부 상단부에 연결되는 덮개부; 및 중앙부에 배출관부가 형성되며, 상기 측벽부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백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덮개부의 각 테두리는 상기 측벽부의 상부폭보다 길도록 여유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덮개부의 각 테두리 모서리부는 콘형으로 중첩하여 접혀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바닥부의 각 모서리부는 콘형으로 중첩되어 접혀 상기 측벽부의 하단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바닥부의 각 테두리 중앙부는 내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의 각 테두리 중앙부와 연결되는 상기 측벽부의 각 하단부 테두리 중앙부는 상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측벽부의 내측에는 수납된 분체류를 상기 측벽부의 내면과 분리하여 보호하는 이너라이너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백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측벽부 각각의 하부폭이 상부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기 내부 공간의 하측면적이 상측면적보다 넓게 형성되므로 상기 바닥부의 모서리 방향으로 하중이 집중되므로 안정적인 직립형태가 유지될 뿐만 아니라, 적층 시 안정성이 향상되어 효율적인 공간활용이 가능하다.
둘째, 상기 바닥부의 각 테두리 중앙부가 내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측벽부의 하단 테두리가 연결되므로, 내용물이 충전되면 상기 컨테이너 백의 전체적인 형상이 4개의 인접한 원기둥으로 이루어진 사각기둥를 이루어 각각의 원기둥으로 하중이 분산되어 안정적인 적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적층 시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셋째, 상기 덮개부의 각 테두리 모서리부가 콘형으로 중첩하여 접혀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와 연결되므로, 상기 덮개부가 상측으로 돌출되어 여유공간이 형성되어 분체류와 함께 유입된 공기를 포함한 부피까지 내용물을 수납할 수 있으므로, 다단 적층되어 공기가 배출되면 정해진 규격에 맞는 부피로 내용물이 가득 채워질 수 있어 보관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넷째, 상기 바닥부의 각 테두리 중앙부가 내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측벽부의 하단 테두리가 연결되므로, 내용물이 충전되면 상기 측벽부의 면중앙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인장력이 발생하여 배부름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사각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어 상기 컨테이너 백 사이의 여유공간을 감소시켜 적재 및 보관의 공간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컨테이너 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의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에서 바닥부가 측벽부에 결합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에서 덮개부가 측벽부에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낸 배면도.
도 7a 및 도 7b 및 도 7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에서 내용물이 충전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에서 내용물이 충전된 상태에서 바닥부에 근접한 측벽부에 가해지는 힘을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을 나타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의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에서 바닥부가 측벽부에 결합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에서 덮개부가 측벽부에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낸 배면도.
도 7a 및 도 7b 및 도 7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에서 내용물이 충전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에서 내용물이 충전된 상태에서 바닥부에 근접한 측벽부에 가해지는 힘을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을 나타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의 사시도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300)은 측벽부(10), 덮개부(20), 그리고 바닥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컨테이너 백(300)은 유연성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분체류 등의 내용물을 수납하지 않은 상태에서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하고, 내용물을 수납할 때는 정해진 공간에 많은 량의 내용물을 수납하도록 외형 변형이 용이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컨테이너 백(300)은 천연 섬유재, PVC(polyvinyl chloride), 합성수지재(polypropylene, polyethylene)로 직조하여 컨테이너 백의 외형을 유지하는 동시에 강도를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방수성이 있는 비닐류 등으로 제작된 내피를 함께 사용하기도 한다.
한편, 상기 측벽부(10)는 분체류가 수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복수 개로 구비되어, 각각의 양측단부(12)가 연결된다. 예를 들면, 상기 측벽부(10)는 4장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측벽부(10) 각각의 양측단부(12)가 상호 연결되어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사각기둥의 내부 공간(11)을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측벽부(10)는 연결된 단일의 막으로 구비되어 일측단부와 타측단부를 결합하는 것으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측벽부(10)는 상기 내부 공간의 하측면적이 상측면적보다 넓게 형성되도록 각 측벽부(10)의 하부폭(C)이 각 측벽부의 상부폭(B)보다 넓게 형성되어 양측단부(12)에 절곡부(12a)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측벽부(10)는 상면과 하면이 개방된 사각기둥의 내부 공간(11)을 형성하되, 상기 내부 공간(11)의 하측면적이 상측면적보다 넓게 형성되도록 상호 결합되는 각 측벽부(10)의 하부폭(C)은 넓게 형성되고, 각 측벽부(10)의 상부폭(B)은 하부폭(C)보다 좁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측벽부의 양측단부(12)에는 좁은 상부폭(B)에서 넓은 하부폭(C)으로 변화되는 부분을 연결하도록 절곡부(12a)가 형성된다. 물론, 상기 절곡부(12a)는 상측과 하측에 연결된 꺽인 부분이 부드러운 곡선으로 만곡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내부 공간(11)에 내용물이 충전되면, 충전된 내부 공간(11)은 하면이 넓고 상면이 좁게 형성되어 내부 공간(11) 전체의 하중을 넓은 하면으로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는, 자동화 창고 등에서 일정한 가로 및 세로 규격을 가진 팔레트에 상기 컨테이너 백(300)을 거치하여 다단으로 적층 보관할 때 안정된 지지력을 제공하여 2층 이상의 적층이 가능하므로 한정된 공간에 더 많은 컨테이너 백(300)을 보관하여 물류비를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컨테이너 백(300)의 전체 하중이 상기 측벽부(10)의 양측단부(12)를 따라 좁은 상부측(12b)에서 넓은 하부측(12c)으로 부하되어, 상기 바닥부(30)의 각 모서리로 분산되어 지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 백(300)의 높이를 종래보다 높게 형성하더라도 충전된 컨테이너 백(300)이 쓰러지지 않고 직립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750kg 컨테이너 백 대신에 높이가 33.3% 증가된 1000kg 컨테이너 백을 2단으로 적재하여 보관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100% 증가된 1500kg 컨테이너 백을 1단 적재함으로써 1회 운반 가능한 적재용량은 증가시키되 운반횟수는 감소시켜 적재 및 운반 효율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벽부(10)의 내측에는 수납된 분체류를 상기 측벽부(10)의 내면과 분리하여 보호하는 이너라이너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너라이너는 알루미늄 호일의 일면에 합성수지를 코팅하여 형성되며, 합성수지가 코팅된 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봉합되어 그의 사이로 분체류가 수납됨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기 내부 공간에 수납된 분체류가 상기 측벽부(10) 간의 접합부(12)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측벽부(10)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상기 분체류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관 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덮개부(20)는 중앙부에 분체류 등으로 이루어진 내용물이 삽입되는 삽입관부(21)가 형성되며, 상기 측벽부(10)의 상단부(14)에 연결된다. 상세히, 상기 삽입관부(21)는 상기 덮개부(20)의 중앙에 형성된 원형 개구의 테두리에 접합되는 원형 기둥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삽입관부(21)의 형상은 원형 기둥으로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20)의 개구 테두리에 접합되거나 상기 덮개부(20)의 개구 테두리에서 연장되도록 일체로 성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세히, 상기 삽입관부(21)는 상기 내부 공간(11)으로 분체류가 유입되는 통로가 된다. 즉, 분체류 등이 배출되는 깔데기의 하단부에 상기 삽입관부(21)를 밀착시켜 상기 컨테이너 백(300)으로 내용물을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관부(21)의 외면 일측에는 고정끈(21a)이 구비되어, 상기 내부 공간(11)에 내용물이 충전되면 상기 고정끈(21a)을 묶어 상기 내부 공간을 밀봉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덮개부(20)의 각 테두리에는 복수 개로 구비된 상기 측벽부(10) 각각의 상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내부 공간(11)의 상면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바닥부(30)는 중앙부에 분체류 등으로 이루어진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관부(31)가 형성되며, 상기 측벽부(10)의 하단부(13)에 연결된다. 상세히, 상기 배출관부(31)는 상기 바닥부의 중앙에 형성된 원형 개구의 테두리에 접합되는 원형 기둥으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삽입관부(21)의 형상 및 형성방법과 마찬가지로,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선택적으로 배출되도록 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되 배출될 위치로 내용물을 안내할 수 있는 일정한 길이의 관형으로 형성되면 상기 배출관부(31)의 형상 및 형성 방법은 제한되지 않는다.
상세히, 상기 배출관부(31)는 상기 내부 공간(11)에 충전된 분체류가 배출되는 통로가 된다. 즉, 기계를 이용하여 상기 컨테이너 백(300)을 인양하고 배출될 위치로 이동시킨 뒤 상기 배출관부(31)를 개방하여 내용물을 배출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의 분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에서 바닥부가 측벽부에 결합한 모습을 나타낸 배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에서 덮개부가 측벽부에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바닥부(30)의 각 테두리(32) 중앙부(32a)는 내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30)의 각 테두리(32) 중앙부(32a)와 연결되는 상기 측벽부(10)의 각 하단부 테두리(13) 중앙부(13a)는 상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바닥부(30)는 각 테두리(32) 중앙부(32a)가 내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오목하게 들어가며, 인접된 네 개 원의 외곽선으로 이루어진 네 잎 클로버 모양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바닥부(30)의 테두리(32)에 연결되는 상기 측벽부(10)는 상기 바닥부(30)의 외주 형태에 따라 하측면의 중앙부(13b)가 상기 내부 공간 ?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가 굴곡진 곡면의 형태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측벽부(10)의 각 하단부(13) 테두리 중앙부(13a)가 상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측벽부(10)의 하단부(13)에 연결되는 상기 바닥부(30)의 테두리 중앙부(32a)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볼록하게 골곡진 면을 형성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컨테이너 백(300)에 내용물이 충전되면, 하면의 모양이 각 모서리부(32b)는 아래로 볼록한 형태를 나타내며, 하면의 각 테두리 중앙부(32a)는 상측으로 볼록한 형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30)의 볼록한 모서리부(32b)를 기준으로 가상적인 원기둥의 형태가 나타나게 되어, 상기 컨테이너 백(300)의 각 모서리에 4개의 가상적인 원기둥이 서로 인접한 형태로 지지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 백(300)의 전체적인 형상이 4개의 인접한 원기둥으로 이루어진 사각기둥를 이루어 각각의 원기둥으로 하중이 분산되어 안정적인 적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적층 시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측벽부(10)는 상기 내부 공간의 하측면적이 상측면적보다 넓게 형성되므로 상기 가상적인 원기둥도 하부폭이 넓고 상부폭은 좁은 형태가 되며, 상기 컨테이너 백(300)의 상측은 상기 덮개부(20)를 닮은 사각기둥의 형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 백(300)에 내용물이 충전되더라도, 상기 측벽부(10)의 중앙(13b)이 돌출되는 배부름 현상이 나타나지 않고, 상기 바닥부(30)의 각 모서리에서 상측으로 연장형성된 가상적인 원기둥을 따라 내용물이 완전하게 충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 백(300)의 전체적인 형상이 사각기둥을 유지하게 되어 운반 차량이나 창고 등에 적재 및 보관될 시 상기 컨테이너 백(300) 사이의 공극율이 감소되어 동일한 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 백(300)의 하중이 4개로 형성된 가상적인 원기둥의 바닥면으로 분산되므로 상측부의 유동을 안정적으로 수용하여 직립형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 백(300)의 높이를 추가적으로 길게 형성하여 보관량을 증가시켜 운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컨테이너 백(300) 개별의 직립 유지 능력이 향상됨에 따라 다단 적재가 가능하여 동일 공간에 대한 보관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바닥부(30)의 각 모서리(33)는 콘형으로 중첩되어 접혀 상기 측벽부(10)에 연결된다. 상세히, 상기 바닥부(30)는 각 모서리(33)의 중심에 콘형의 제2유동접이부(33a)가 형성되도록 중심을 기준으로 일정길이만큼 좌우측으로 이격된 부분이 서로 중첩되게 접힌 상태로 상기 측벽부(10)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바닥부(30)의 둘레 길이는 접힌 상태에서 상기 측벽부(10)로 형성된 내부 공간의 하면 테두리 길이와 같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바닥부(30)의 각 모서리부(32b)는 상기 내부 공간으로 내용물이 충전되면 상기 제2유동접이부(33a)로 인해 하측으로 돌출되어 더욱 입체감 있는 곡면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바닥부(30)로 가해진 하중이 각각 모서리(33)를 향해 분산되되, 분산된 하중이 바닥을 향해 볼록한 각 모서리부(32b)로 집중될 수 있으므로, 상기 컨테이너 백(300)의 하측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좌우측으로 쓰러지지 않고 직립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덮개부(20)의 각 테두리는 상기 측벽부의 상부폭(B)보다 길도록 여유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덮개부(20)의 각 테두리 모서리는 콘형으로 중첩하여 접혀 상기 측벽부(10)의 상단부(14)와 연결된다.
상세히, 상기 덮개부(20)의 각 테두리는 상기 측벽부의 상부폭(B)에 비해 여유길이를 포함한 길이(A)로 형성되어, 테두리의 가장자리(22)에서 상기 여유길이의 절반만큼 내측으로 평행이동한 부분(23)에서 상기 테두리 가장자리(22)를 하측으로 접어 측벽부(10)의 상단부(14)와 연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덮개부(20)의 각 모서리를 중심으로 일정간격으로 좌우측으로 이격된 부분이 중첩되어 제1유동접이부(22a)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 백(300)이 충전되어, 상기 덮개부(20)와 내용물이 닿는 높이까지 차게 되면 상기 덮개부(20)는 상기 제1유동접이부(22a)가 조금씩 펴지면서 피라미드 형태로 중심부(24)가 각 테두리보다 높게 돌출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컨테이너 백에 내용물이 충전됨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 백의 외형이 변화되는 모습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a 및 도 7b 및 도 7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에서 내용물이 충전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에서 내용물이 충전된 상태에서 바닥부에 근접한 측벽부에 가해지는 힘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덮개부의 삽입관부(21)에 깔데기(1) 등이 연결되어 상기 컨테이너 백(300)의 내부 공간으로 분체류 등의 내용물(m)을 주입하게 된다.
여기서, 도 7a는 내용물(m)이 주입되는 초기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7b는 내용물(m)이 가득 채워진 상태를 나타내며, 도 7c는 내용물 사이의 공기(p)가 외부로 배출되어 부피가 줄어든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도 7a 내지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컨테이너 백(300)의 내부 공간으로 내용물(m)이 충전됨에 따라, 상기 바닥부(30)의 중심부터 내용물(m)이 쌓이게 되고 일정 높이 이상 쌓인 내용물은 상기 측벽부(10) 측으로 흐르게 된다. 그리고, 계속적으로 내용물(m)이 충전되면 상기 측벽부(10)의 내측으로 내용물 하중에 의해 발생된 압력이 가해지게 된다.
이때, 변형가능한 공간으로 형성된 포장재는 내용물이 충전되면 일정한 표면적을 유지하면서 최대의 체적으로 쌓이려는 경향이 있다. 일반적인 사각면의 바닥부(도 2의 230)로 형성된 컨테이너 백(도 2의 200)의 경우에는 상기 측벽부(도 2의 230)의 단면을 이루는 사각형이 총 길이의 변화없이 최대의 면적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체적으로 원형(circular shape)이 되려고 한다.
반면, 본 발명의 컨테이너 백(300)은 상기 바닥부(30)의 각 테두리 중앙부가 내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측벽부(10)의 하단 테두리가 연결되므로, 내용물(m)이 충전되면 상기 측벽부의 하측부분이 면중앙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을 띠게 되어 전체적으로 상기 컨테이너 백의 각 모서리에 4개의 가상적인 원기둥이 서로 인접한 형태로 나타낸다.
이에 따라, 도 8의 h와 같은 방향으로 인장력(tension)이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에서 멀어졌을 때 상기 측벽부 내벽에 h 반대 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이 상쇄되므로 상기 측벽부(10)의 중심이 돌출되는 상기 배부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컨테이너 백(30)의 전체적인 형상이 모서리가 원형으로 형성된 사각기둥을 유지하도록 하여 컨테이너, 운반 차량 등에 적재시 상기 배부름 현상이 발생된 종래의 컨테이너 백(200)에 비해 상기 바닥부의 각 테두리 중앙부가 내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측벽부의 하단 테두리가 연결되므로, 내용물이 충전되면 상기 측벽부의 면중앙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인장력이 발생하여 배부름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사각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어 상기 컨테이너 백 사이의 여유공간을 감소시켜 적재 및 보관의 공간효율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공극율이 감소됨으로써, 동일한 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 백(300)에 내용물이 충전되면, 하면의 모양이 각 모서리는 아래로 볼록한 형태를 나타내며, 하면의 각 테두리 중앙부는 상측으로 볼록한 형태를 나타내고, 상기 내부 공간(11)은 하측면적이 상측면적보다 넓게 형성되므로 상기 컨테이너 백(300)의 전체 하중은 g와 같이 각 모서리에 형성된 가상적인 원기둥으로 분산되되, 각 원기둥의 중앙에 하측으로 돌출된 부분으로 집중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 백(30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전달된 하중이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직립형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7b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상기 컨테이너 백(300)에 충전되는 내용물(m)은 분체류로 형성되므로, 내용물(m)이 상기 내부 공간(11)으로 주입되어 쌓일 때 내용물(m)의 입자 사이에는 공기(p)가 포함된다. 또한, 내용물(m) 입자의 무게와 크기에 따라 7시간에서 10시간 정도의 시간이 흐르면 내용물(m) 입자 사이에 포함된 공기(p)들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때, 평평한 사각면의 덮개부(도 2의 220)로 형성된 컨테이너 백(도 2의 200)의 경우에는 내용물을 상기 덮개부(도 2의 220)의 하면까지 채우더라도 시간이 지나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 공기층이 많이 포함된 상기 컨테이너 백(도 2의 200)의 테두리는 깊게 꺼지고 중심부는 얕게 꺼져 볼록한 형상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 백(도 2의 200)을 적층하는 경우에 상기 컨테이너 백(도 2의 200)의 바닥부(도 2의 230)과 덮개부(도 2의 220)이 밀착하지 못해 적층 안정성이 감소되어 쓰러지게 된다.
반면, 본 발명의 컨테이너 백(300)은 상기 덮개부(20)의 각 테두리 모서리부가 콘형으로 중첩하여 접혀 상기 측벽부(10)의 상단부와 연결되므로, 상기 컨테이너 백(300)에 내용물(m)이 충전되어 상기 덮개부(20)와 내용물(m)이 닿게 되면 상기 덮개부(20)는 상기 제1유동접이부가 조금씩 펴지면서 피라미드 형태로 중심부가 각 테두리보다 높게 돌출되는 형태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컨테이너 백(300)을 공기를 배출하는 과정 없이 충전하여 적층하더라도 공기배출 후에 상기 덮개부(20)가 평평한 형태가 되어, 상기 컨테이너 백(300)의 상측에 적층된 바닥부의 하면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어 적층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20)의 각 테두리 모서리부가 콘형으로 중첩하여 접혀 상기 측벽부(10)의 상단부와 연결됨에 따라 상기 덮개부(20)가 상측으로 돌출되어 여유공간이 형성되므로, 분체류와 함께 유입된 공기를 포함한 부피까지 내용물을 수납하여, 다단 적층으로 공기가 배출되면 정해진 규격에 맞는 부피로 내용물이 가득 채워질 수 있어 보관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을 나타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측벽부의 폭 차이를 제외한 기본 구성은 전술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400)은 분체류가 수납되는 내부 공간이 마주보는 2쌍의 측벽부(410,420)로 형성되되, 각 쌍의 측벽부의 폭(D,E)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컨테이너 백(400)은 한 쌍의 측벽부(410)의 폭(E)이 타 쌍의 측벽부(420)의 폭(D)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쌍의 측벽부(410,420)의 상단에 연결되는 덮개부, 그리고 상기 각 쌍 측벽부의 하단이 연결되는 바닥부의 형태도 직사각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직사각기둥의 형태를 이룬 상기 컨테이너 백(400)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적재 창고나 컨테이너 박스, 트럭이나 기차의 화물칸에 적재될 때 정사각기둥 형태의 컨테이너 백에 비해 공극율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 부피의 컨테이너 백을 적재하더라도 같은 공간에 더 많은 컨테이너 백을 보관 혹은 적재할 수 있으므로 운송류 및 보관류와 같은 물류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200,300,400: 컨테이너 백 10,110,210,410,420: 측벽부
20,120,220: 덮개부 30,130,230: 바닥부
140,240: 고리부 m: 내용물
21: 삽입관부 31: 배출관부
p: 공기 22a: 제1유동접이부
33a: 제2유동접이부
20,120,220: 덮개부 30,130,230: 바닥부
140,240: 고리부 m: 내용물
21: 삽입관부 31: 배출관부
p: 공기 22a: 제1유동접이부
33a: 제2유동접이부
Claims (5)
- 분체류가 수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복수 개로 구비되어 각각의 양측단부가 연결되되, 상기 내부 공간의 하측면적이 상측면적보다 넓게 형성되도록 각각의 하부폭이 상부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양측단부에 절곡부가 형성되는 측벽부;
중앙부에 삽입관부가 형성되며, 상기 측벽부 상단부에 연결되는 덮개부; 및
중앙부에 배출관부가 형성되며, 상기 측벽부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백.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각 테두리는 상기 측벽부의 상부폭보다 길도록 여유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덮개부의 각 테두리 모서리부는 콘형으로 중첩하여 접혀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백.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각 모서리부는 콘형으로 중첩되어 접혀 상기 측벽부의 하단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백.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각 테두리 중앙부는 내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의 각 테두리 중앙부와 연결되는 상기 측벽부의 각 하단부 테두리 중앙부는 상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백.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의 내측에는 수납된 분체류를 상기 측벽부의 내면과 분리하여 보호하는 이너라이너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백.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43444A KR101476400B1 (ko) | 2013-04-19 | 2013-04-19 | 컨테이너 백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43444A KR101476400B1 (ko) | 2013-04-19 | 2013-04-19 | 컨테이너 백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25547A true KR20140125547A (ko) | 2014-10-29 |
KR101476400B1 KR101476400B1 (ko) | 2014-12-23 |
Family
ID=51995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43444A KR101476400B1 (ko) | 2013-04-19 | 2013-04-19 | 컨테이너 백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76400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37966B1 (ko) * | 2019-02-14 | 2020-07-27 | 코리마산업 주식회사 | 컨테이너백 |
KR102144570B1 (ko) * | 2019-12-24 | 2020-08-13 | 민인순 | 폼핏라이너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컨테이너백 |
KR102709784B1 (ko) * | 2024-03-08 | 2024-09-24 | 최용덕 | 컨테이너백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06940B1 (ko) * | 2019-01-17 | 2019-10-01 | 최용덕 | 컨테이너백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A2162500C (en) * | 1993-05-14 | 2004-11-23 | John E. Paradine | Container for liquids |
KR100678622B1 (ko) * | 2006-03-24 | 2007-02-06 | 제일산업 주식회사 | 분체류를 수납하기 위한 컨테이너 백 |
KR200454330Y1 (ko) * | 2008-08-18 | 2011-07-14 | 코리마산업 주식회사 | 컨테이너 백 |
-
2013
- 2013-04-19 KR KR1020130043444A patent/KR101476400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37966B1 (ko) * | 2019-02-14 | 2020-07-27 | 코리마산업 주식회사 | 컨테이너백 |
KR102144570B1 (ko) * | 2019-12-24 | 2020-08-13 | 민인순 | 폼핏라이너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컨테이너백 |
KR102709784B1 (ko) * | 2024-03-08 | 2024-09-24 | 최용덕 | 컨테이너백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76400B1 (ko) | 2014-12-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78622B1 (ko) | 분체류를 수납하기 위한 컨테이너 백 | |
KR101696884B1 (ko) | 컨테이너백 | |
US5209364A (en) | Collapsible containment system | |
KR101476400B1 (ko) | 컨테이너 백 | |
KR101964076B1 (ko) | 컨테이너 백 | |
KR101459113B1 (ko) | 컨테이너 백 | |
KR200454330Y1 (ko) | 컨테이너 백 | |
KR101459114B1 (ko) | 다단 하이브리드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 |
KR101832881B1 (ko) | 유체운반용 컨테이너 백 | |
EP3643642A1 (en) | Packaging bag | |
KR200346357Y1 (ko) | 사각 직립형 방수 및 방습용 컨테이너 백 | |
KR102093788B1 (ko) | 벌크 라이너 백 | |
JP3198103U (ja) | コンテナ | |
KR102165313B1 (ko) | 보강시트를 구비한 컨테이너 백 | |
KR102006940B1 (ko) | 컨테이너백 | |
KR102709784B1 (ko) | 컨테이너백 | |
KR102426062B1 (ko) | 컨테이너 백 | |
KR20170143244A (ko) | 컨테이너 백의 모서리 격벽부 | |
KR102702155B1 (ko) | 컨테이너백 | |
US20240101328A1 (en) | Self-standing foldable container apparatus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 |
KR200255475Y1 (ko) | 콘테이너 백 | |
KR20240040236A (ko) | 클로버형 바닥부를 갖는 배플 일체형 클로버백 및 그의 제조방법 | |
JP2002128186A (ja) |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 |
KR20240042699A (ko) | 컨테이너백 | |
JP2003285898A (ja) | 自立式角型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