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3788B1 - 벌크 라이너 백 - Google Patents

벌크 라이너 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3788B1
KR102093788B1 KR1020180067145A KR20180067145A KR102093788B1 KR 102093788 B1 KR102093788 B1 KR 102093788B1 KR 1020180067145 A KR1020180067145 A KR 1020180067145A KR 20180067145 A KR20180067145 A KR 20180067145A KR 102093788 B1 KR102093788 B1 KR 102093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ing
bulk
liner bag
transparent window
transpa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7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0563A (ko
Inventor
최방림
Original Assignee
최방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방림 filed Critical 최방림
Priority to KR1020180067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3788B1/ko
Publication of KR20190140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0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18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double-walled or with 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9/00Unpacking of articles 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69/0075Emptying systems for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5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Abstract

본 발명은 벌크 라이너 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벌크 라이너 백은 내부 공간에 충진물의 충진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측벽들 각각에 적어도 하나의 투명창이 구비된다. 투명창은 측벽의 일정 높이 상부측에 복수 개가 배치된다. 투명창은 인접하는 측벽들 또는 마주보는 측벽들 간에 구비된 투명창들에 의해 내부 공간에 충진된 충진물의 충진 상태를 상호 모니터링하도록 배치된다. 또 투명창은 일측벽에는 가로 방향, 타측벽에는 세로 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열되거나, 대향하는 측벽에 상호 엇갈리게 복수 개가 배열되는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 공간에 충진물을 적재 시, 실시간으로 충진 상태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최적으로 충진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물류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벌크 라이너 백{BULK LINER BAG WITH TRANSPARENT WINDOW}
본 발명은 벌크 라이너 백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내부 공간에 수용된 충진물의 적재 상태를 용이하게 모니터링하기 위한 복수 개의 투명창을 갖는 벌크 라이너 백에 관한 것이다.
벌크 라이너 백(bulk liner bag)은 예를 들어, 곡물, 사료, 화학재 원료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화물 즉, 충진물을 내부 공간에 충진하여 운송하기 위한 대형 포장 용기 즉, 포대를 의미한다.
벌크 라이너 백은 일반적으로 섬유 원단을 단일 또는 이중 포대 구조로 제작되고, 대체로 직육면체 또는 원통 형상 등을 갖는다. 벌크 라이너 백은 일부 또는 전부가 개방된 상부면 또는 일측벽을 통해 내부 공간으로 충진물을 적재한다.
벌크 라이너 백은 복수 개가 컨테이너 박스, 트럭 등의 화물 차량의 화물칸, 창고 등과 같은 공간에 적재되어 많은 량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벌크 라이너 백은 포장 용기 중 물류비가 가장 저렴하며 시간 당 포장 효율이 높고, 포장 비용 또한 저렴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벌크 라이너 백은 예를 들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충진물의 하중 분산을 통해 포대 외관의 배불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내부, 모서리에 격벽을 구비하여 공간을 구획하고, 그 모서리 부분에 충진물이 수용되어 일종의 기둥 역할을 하면서 포대 몸체 중앙부 외관의 배불림 현상을 방지한다.
이러한 벌크 라이너 백은 상부로부터 충진물을 내부 공간에 충진할 때, 물류비를 절감하기 위하여 내부 공간에 최적으로 충진되어야 한다. 즉, 이상적으로는 충진물의 적재 상태가 벌크 라이너 백의 상부면과 대체로 평행하거나 일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벌크 라이너 백(10, 20, 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부분에는 충진물이 충분히 적재되었으나 가장자리나 모서리 부분에는 충분히 적재되지 않거나(a), 충진물의 표면이 불규칙하게 적재되거나(b) 또는 한쪽으로 쏠리게 적재되는(c) 등 적재 상태가 최적화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된다. 이 경우, 충진물이 벌크 라이너 백에 어느 정도 적재되는지를 실시간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일정한 충진량을 확보하기가 어렵다.
또 벌크 라이너 백의 상부면 또는 일측벽이 전부 개방된 경우, 충진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상부면 또는 일측벽을 통해 일일이 확인해야 하며, 상부면 또는 일측벽의 일부가 개방된 경우에는 작업자가 충진 작업을 중지한 상태에서 충진 상태를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저하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33484호(공개일 2000.06.1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56495호(공고일 2015.10.0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5155호(공고일 2001.10.10.)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18366호(공고일 2017.03.21.)
본 발명에 따른 벌크 라이너 백은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가진다.
첫째, 내부 공간에 충진물을 충진 시, 실시간으로 충진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벌크 라이너 백을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최적의 충진 상태를 확인하여 적재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벌크 라이너 백을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충진 작업의 중지없이 충진 상태를 확인하여 충진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벌크 라이너 백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벌크 라이너 백은 몸체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측벽에 복수 개의 투명창을 배치하여 충진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데 그 한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벌크 라이너 백은 내부 공간에 최적으로 충진이 가능하게 한다.
이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의 벌크 라이너 백은, 상부면과 하부면이 밀폐되고, 복수 개의 측벽을 구비하여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하나의 측벽에 구비되는 충진용 포트를 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에 충진물이 충진되는 라이너 본체; 및 상기 측벽들 중 상호 대향하는 측벽들 각각에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고, 상호 대향하는 측벽들에 구비된 것들과 상호 작용해서 상기 내부 공간의 충진물의 충진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투명창;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측벽들 중 일 측벽에는 상기 투명창이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복수 개가 좌우 배열되고, 상기 측벽들 중 상기 일 측벽과 대향하는 타 측벽에는 상기 투명창이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복수 개가 상하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투명창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은 형상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투명창은 중앙부보다 양측부가 넓은 형상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투명창은 직사각형 형상, 라운드(round)진 형상 또는 평행사변형 형상 중 어느 한 형상인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투명창은 중앙부보다 양측부가 넓은 다각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투명창은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둥근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또 다른 구성의 벌크 라이너 백이 제공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벌크 라이너 백에 있어서, 상부면과 하부면이 밀폐되고, 복수 개의 측벽을 구비하여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하나의 측벽에 구비되는 충진용 포트를 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에 충진물이 충진되는 라이너 본체; 및 상기 측벽들 중 상호 대향하는 측벽들 각각에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호 대향하는 측벽들에 구비된 것들과 상호 작용해서 상기 내부 공간의 충진물의 충진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투명창을 포함하며, 상기 투명창이 평행사변형 형상인 때에는, 상기 측벽들 중 일 측벽에는 상기 투명창이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상으로 배치되어 복수 개가 좌우 배열되고; 상기 측벽들 중 상기 일 측벽과 대향하는 타 측벽에는 상기 투명창이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상으로 배치되어 복수 개가 좌우 배열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벌크 라이너 백에 형성된 투명창에 대응되도록 절개부 또는 투명창이 형성된 컨테이너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벌크 라이너 백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내부 공간에 충진물을 적재 시, 실시간으로 충진 상태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최적으로 충진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물류비를 절감시킬 수 있다.
둘째, 실시간으로 충진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내부 공간에 충진하게 함으로써, 적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충진 작업의 중지없이 충진 상태를 확인 가능함으로써, 효율적인 충진 작업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컨테이너 라이너 백에서 수용물의 적재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크 라이너 백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벌크 라이너 백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복수 개의 투명창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복수 개의 투명창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복수 개의 투명창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복수 개의 투명창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배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복수 개의 투명창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배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벌크 라이너 백은 몸체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측벽에 복수 개의 투명창을 배치하여 충진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도록 구비한다. 복수 개의 투명창은 상부에서 모니터링이 용이하도록 측벽의 하부로부터 일정 높이 상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투명창은 인접하는 측벽들 또는 마주보는 측벽들 간에 내부 공간에 충진된 충진물의 충진 상태를 상호 모니터링하도록 배치된다. 또 투명창은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일측벽에는 가로 방향, 타측벽에는 세로 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열되거나, 대향하는 측벽에 상호 엇갈리게 복수 개가 배열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 투명창은 그 형상이 중앙 부분에서 모서리 부분으로 갈수록 넓게 형성되거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게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벌크 라이너 백에 의하면, 내부 공간에 충진물을 최적화된 상태로 충진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벌크 라이너 백은 내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투명창이 표면에 구비될 수 있다. 벌크 라이너 백이 컨테이너(container) 박스의 내부에 삽입배치되는 경우, 컨테이너 자체에도 투명창 내지 절개부 등이 형성되어, 벌크 라이너 백에 구비된 투명창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컨테이너 내부에 삽입되는 벌크 라이너 백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크 라이너 백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벌크 라이너 백(100)은 상호 대향하는 측벽 또는 인접하는 측벽에 적어도 하나의 투명창(160)들이 형성되고, 투명창(160)들을 통해 내부 공간에 충진물 예를 들어, 벌크 화물을 최적화된 상태로 충진이 가능하도록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벌트 라이너 백(100)은 대체로 직육면체 또는 원통 형상 등으로 구비되어 단일 또는 이중 포대 구조로 제작되고, 예컨대, 트럭 등 화물 차량의 적재함이나 컨테이너 등에 수용되어, 일부 또는 전부가 개방된 상부면 또는 일측벽을 통해 내부 공간으로 충진물을 충진한다.
구체적으로, 이 실시예의 벌크 라이너 백(100)은 예를 들어,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 LDPE) 재질로 이루어진 직육면체 형상의 라이너 본체(110)의 전면(116)에 벌크 화물 충진용 포트(120)와 공기 배출용 포트(130)가 상부에 구비되어 있고, 전면(116)의 하부에는 벌크 화물 배출용 포트(140)가 구비되어 있으며, 각 포트(120 ~ 140)는 끈 등으로 묶어 마감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라이너 본체(110) 상면의 각 모서리 부분에는 컨테이너의 내벽(미도시됨)과 결속하기 위한 고정수단(150)이 구비된다.
이 실시예의 라이너 본체(110)는 상부면과 하부면이 밀폐되는 대체로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라이너 본체(110)는 대향하는 측벽(112, 114) 각각에 적어도 하나의 투명창(160)이 형성된다. 즉, 라이너 본체(110)는 예컨대, 단일 포대 구조로, 라이너 본체(11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측벽들 중 상호 대향하는 측벽(112, 114) 각각에 적어도 하나의 투명창(160)이 구비된다.
라이너 본체(110)는 내부에 충진물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라이너 본체(110)는 예를 들어,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 LDPE) 재질,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등과 같은 유연한 재질의 합성 수지 소재의 화학사를 직조한 직물 시트로 제작될 수 있다. 직물 시트의 특성상, 측벽들과 하부면은 어느 정도의 신축성을 갖게 된다.
측벽은 복수 개 각각의 양측이 상호 결합된다. 측벽은 하부가 하부면과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인접하는 측벽들 사이의 모서리 부분에는 격벽(미도시됨)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측벽들 중 상호 대향하는 측벽(112, 114)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의 투명창(160)이 구비된다.
이 실시예의 투명창(160)은 예를 들어, 비닐 등의 투명 재질로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는 측벽(112, 114) 각각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다. 투명창(160)은 내부 공간에 충진된 충진물의 충진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물론 투명창(160)은 상호 인접하는 측벽들 각각에 구비되어 충진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도 있다.
투명창(160)은 충진 작업 시, 작업자가 예컨대, 상호 대향하는 측벽(112, 114)들의 투명창들을 이용하여 내부 공간의 충진물의 충진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투명창(160)에 대한 내용은 도 5 내지 도 14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러한 벌크 라이너 백(100)은 전면(116)의 벌크 화물 충진용 포트(120)를 통해 충진물을 받아서 내부 공간으로 충진물을 충진한다. 이 때, 작업자는 측벽(112, 114)들 각각에 구비되는 투명창(160)들을 통해 충진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화물 차량의 적재함 또는 컨테이너에는 벌크 라이너 백(100)의 투명창에 대응하는 위치에 투명창이 구비되어 화물 차량의 적재함 또는 컨테이너의 외부에서도 충진물의 충진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벌크 라이너 백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벌크 라이너 백(200)은 화물 차량의 적재함 또는 컨테이너 등에 수납되고 벌크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이 실시예의 벌크 라이너 백(200)은 상호 대향하는 측벽 또는 인접하는 측벽에 적어도 하나의 투명창(260)들이 형성되고, 투명창(260)들을 통해 내부 공간에 충진물을 최적화된 상태로 충진이 가능하도록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벌크 라이너 백(200)은 예컨대, 단일 또는 다중 포대 구조로, 라이너 본체(210)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측벽들 중 상호 대향하는 측벽(212, 214) 각각에 적어도 하나의 투명창(260)이 구비된다. 이 실시예의 벌크 라이너 백(200) 또한 도 1의 것(100)과 대체로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또 이 실시예의 벌크 라이너 백(200)은 예컨대, 분말과 같은 벌크 화물 즉, 충진물을 컨테이너에 적재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벌크 라이너 백의 직물 특성과 적재되는 분말과 같은 내용물의 특성에 의해 정전기 발생이 쉽고, 이 축적된 정전기에 의해 화물을 충진하거나 배출할 때 폭발 위험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정전기에 의해 용기 표면에 먼지나 이물질이 들러붙어 용기 외관이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벌크 라이너 백(200)의 라이너 본체(210)에 상호 이격되는 복수 개의 직선형 도전부재(미도시됨)를 형성하고, 라이너 본체(210)의 일부에 형성되어 직선형 도전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포트(미도시됨)를 구비함으로써, 벌크 라이너 백(200)의 내외부 표면에서 형성되는 정전기 발생을 효율적으로 방지하도록 한다.
이 실시예의 벌크 라이너 백(200)은 라이너 본체(210)와, 충진용 포트(240)와, 배출용 포트(250)와, 복수 개의 고리(220)와, 복수 개의 고정용 파이프(230)와, 목재 주머니(270) 및 복수 개의 투명창(260)들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라이너 본체(210)는 대체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부면과 하부면이 밀폐되는 대체로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라이너 본체(210)는 내부에 벌크 화물이 충진,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라이너 본체(210)는 직육면체 형상의 필름 또는 직물 원단 등으로 구비되고, 벌크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라이너 본체(210)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polyethylene : PE), 알루미늄 시트(aluminum sheet) 및 직물 원단 등으로 구비된다.
라이너 본체(210)는 실시간으로 벌크 화물의 충진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상호 대향하는 측벽(212, 214) 각각에 적어도 하나의 투명창(260)들이 구비된다. 또 라이너 본체(210)는 정전기 방지를 위해 적어도 일면에 상호 이격되는 복수 개의 직선형 도전부재(미도시됨)가 형성되고, 일부에 직선형 도전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포트(미도시됨)가 형성된다.
라이너 본체(210)의 전면에는 상부에 충진용 포트(240)가 구비되고, 하부에 배출용 포트(250)가 구비된다. 충진용 포트(250)는 라이너 본체(210)의 전면의 상부에 구비되어 내부 공간으로 벌크 화물을 충진한다. 배출용 포트(260)는 라이너 본체(210)의 전면의 하부에 구비되어 충진된 벌크 화물을 외부로 배출한다.
이러한 충진용 포트(240)는 라이너 본체(210)의 전면의 상부에 구비되어 벌크 화물이 라이너 본체(100)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가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충진용 포트(240)는 공기가 유출입 되는 에어홀(242)와, 적어도 하나의 충진홀(244)을 포함하고, 에어홀(242)와 충진홀(244)들 각각에 튜브가 연장되어 설치된다. 에어홀(242)은 공기가 유출입되어 벌크 화물을 충진되거나 배출되는 과정에서 라이너 본체(210)의 내외부로 원활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여 화물 적재 및 출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에어홀(242)은 풍력을 이용하여 충진하는 작업시 원활한 공기의 흐름을 위하여 충진용 포트(240)에 인접하게 공기 배출용 에어홀(242)을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에어홀(242)에는 망사형 커버가 형성되어 외부 이물질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 벌크 화물이 쉽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출용 포트(250)는 라이너 본체(210)의 전면의 하부에 구비되어, 하역 작업시 벌크 화물이 라이너 본체(210)의 내부 공간에서 외부로 나오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배출용 포트(250) 또한 하나 또는 복수 개가 형성되여 벌크 화물을 배출할 수 있다.
또 라이너 본체(210)의 전면에는 복수 개의 고정용 파이프(230)가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양쪽으로 삽입되게 설치되어, 각각의 고정용 파이프(230)를 걸어서 라이너 본체(100)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 개의 고리(220)가 구비된다.
또 라이너 본체의 상호 대향하는 측벽(212, 214)들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의 투명창(260)이 구비된다. 투명창(260)은 예를 들어, 비닐 등의 투명 재질로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는 측벽(212, 214)들 각각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다. 투명창(260)은 내부 공간에 충진된 충진물의 충진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 실시예의 투명창(260) 또한 충진 작업 시, 작업자가 예컨대, 상호 대향하는 측벽(212, 214)들의 투명창(260들을 이용하여 내부 공간의 충진물의 충진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물론 투명창(260)은 상호 인접하는 측벽들 각각에 구비되고, 이를 통해 내부 공간의 충진물의 충진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이러한 투명창(260)에 대한 구체적인 배치 구조, 형상 등에 따른 내용은 도 5 내지 도 14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목재 주머니(270)는 화물 차량의 적재함 또는 컨테이너의 하부면에 벌크 라이너 백(200)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라이너 본체(210) 하단 일부에 고정용 목재를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목재주머니(270)는 고정용 목재를 삽입한 후, 화물 차량의 적재함 또는 컨테이너의 하부면에 못이나 나사 등을 통하여 단단히 고정시킴으로써, 벌크 라이너 백(200)을 보다 안정적으로 화물 차량의 적재함 또는 컨테이너 내부에 결속 또는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벌크 라이너 백(200)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크 화물을 충분히 적재할 수 있도록 화물 차량의 적재함 또는 컨테이너에 투입하여 직육면체의 내부 공간에 밀착시켜 최대한 적재 공간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화물 차량의 적재함 또는 컨테이너 내부의 각 모서리 부분과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8 자 모양의 스냅링 또는 비너 등을 이용하는 복수 개의 고정수단(미도시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벌크 라이너 백(200)은 투명창(260)에 대응하는 위치에 투명창이 구비되는 화물 차량의 적재함 또는 컨테이너에 적재되어, 화물 차량의 적재함 또는 컨테이너의 외부에서도 충진물의 충진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벌크 라이너 백(200)은 충진용 포트(240)을 통해 충진물을 받아서 라이너 본체(210)의 내부 공간으로 충진물을 충진한다. 이 때, 작업자는 측벽(212, 214)들 각각에 구비되는 투명창(260)들을 통해 충진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너 본체(210)의 내부 공간 전체에 대한 충진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서는 상호 대향하는 측벽(212, 214)들의 투명창(260)들을 이용하여 모니터링한다. 물론 투명창(260)이 상호 인접하는 측벽들 각각에 구비되는 경우에도 이를 이용하여 라이너 본체(210)의 모서리 부분에 대한 충진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또 이러한 벌크 라이너 백(200)은 화물 차량의 적재함 또는 컨테이너에 직육면체의 라이너 본체(210)를 삽입하여 벌크 화물을 적재하게 되면, 라이너 본체(210)의 적어도 일면에 발생하는 정전기가 수직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직선형 도전부재를 통해 접지포트로 흘러 들어가 정전기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른 투명창에 대한 구성 및 기능에 대한 내용을 도 5 내지 도 14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복수 개의 투명창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투명창은 도 2의 벌크 라이너 백(100) 또는 도 3의 벌크 라이너 백(200)에 구비되는 투명창(160, 260)의 배치 구조와 형상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의 투명창(160a, 260a, 160b, 260b)들은 그 형상이 다각 형상 예를 들어, 직사각형으로 구비된다.
투명창(160a, 260a, 160b, 260b)들은 라이너 본체(110, 210)의 측벽(112, 212, 114, 214)들 각각에서 상단부와 일정 높이(H) 사이에 복수 개가 균등한 간격으로 배열된다. 여기서 일정 높이(H)는 측벽(112, 212, 114, 214)들 각각의 전체 높이의 2/3 또는 3/4 이상의 크기를 갖는다. 투명창(160a, 260a, 160b, 260b)들은 상호 대향하는 측벽(112, 114 또는 212, 214)들 간에 내부 공간의 충진물의 충진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1 실시예의 투명창(160a, 260a, 160b, 260b)들은 측벽들 중 상호 대향하는 측벽(112, 114, 212, 214)들에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동일한 배치 구조와 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투명창(160a, 260a, 160b, 260b)들은 상호 대향하는 측벽 중 하나의 측벽 예를 들어, 제1 측벽(112 또는 212)에는 가로 방향으로 복수 개가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고, 제2 측벽(114 또는 214)에는 세로 방향으로 복수 개가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투명창(160a, 260a, 160b, 260b)들 중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투명창(160a, 260a)은 중앙으로부터 좌우로 갈수록 면적이 넓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투명창(160a, 260a)은 중앙부 보다 양측이 더 넓은 면적을 갖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 투명창(160a, 260a, 160b, 260b)들 중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투명창(160b, 260b)은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면적이 좁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내부 공간에 충진물을 충진 시, 제1 측벽(112 또는 212)의 투명창(160a, 260a)과 대향하는 제2 측벽(114 또는 214)의 투명창(160b, 260b)을 이용하여 내부 공간의 충진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복수 개의 투명창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복수 개의 투명창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 및 도 12는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복수 개의 투명창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배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그리고 도 13 및 도 14는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복수 개의 투명창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배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이러한 실시예들의 투명창 또한 도 2의 벌크 라이너 백(100) 뿐만 아니라, 도 3의 벌크 라이너 백(200)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의 투명창(160c, 260c, 160d, 260d)는 사각 형상 예를 들어, 평행사변형 형상으로 구비된다.
즉, 투명창(160c, 260c, 160d, 260d)들은 제1 측벽(112a 또는 212a)에 구비되고,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상으로 복수 개가 좌우 배열되고, 제2 측벽(114a 또는 214a)에 구비되고,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상으로 복수 개가 좌우 배열된다.
이러한 투명창(160c, 260c, 160d, 260d)들은 대향하는 측벽(112a, 212a 또는 114a, 214a)들 간에 상호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작용하여 내부 공간의 충진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의 투명창(160a, 260a, 160e, 260e)는 제1 측벽(112b 또는 212b)에 다각 형상 예컨대, 직사각형으로 구비되고, 제2 측벽(114b 또는 214b)에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둥근(round) 형상 즉, 양측이 둥근 기둥 형상으로 구비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4 실시예의 투명창(160f, 260f, 160e, 260e)들은 제1 측벽(112c 또는 212c)에 중앙으로부터 좌우로 갈수록 면적이 넓은 둥근 형상으로 구비되고, 제2 측벽(114c 또는 214c)에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둥근(round) 형상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제5 실시예의 투명창(160g, 260g, 160e, 260e)들은 제1 측벽(112d 또는 212d)에 중앙부보다 양측부가 넓은 다각 형상으로 구비되고, 제2 측벽(114d 또는 214d)에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둥근(round)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투명창(160, 260)들 각각은 상호 대향하는 측벽(112, 114 또는 212, 214)들 각각에서 도 5 내지 도 14에 도시된 형상이나 배열 구조를 혼용하여 적용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벌크 라이너 백에 다양한 실시예의 투명창이 형성된 경우, 그 외측에 있는 컨테이너(container) 자체에도 상기 투명창을 볼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는 벌크 라이너 백에 형성된 투명창에 대응되도록 절개부 또는 투명창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미도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 벌크 라이너 백
110, 210 : 라이너 본체
112, 114, 212, 214 : 측벽
120, 240 : 충진용 포트
140, 250 : 배출용 포트
160, 260 : 투명창

Claims (9)

  1. 벌크 라이너 백에 있어서,
    상부면과 하부면이 밀폐되고, 복수 개의 측벽을 구비하여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하나의 측벽에 구비되는 충진용 포트를 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에 충진물이 충진되는 라이너 본체; 및 상기 측벽들 중 상호 대향하는 측벽들 각각에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고, 상호 대향하는 측벽들에 구비된 것들과 상호 작용해서 상기 내부 공간의 충진물의 충진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투명창을 포함하며,
    상기 측벽들 중 일 측벽에는 상기 투명창이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복수 개가 좌우 배열되고, 상기 측벽들 중 상기 일 측벽과 대향하는 타 측벽에는 상기 투명창이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복수 개가 상하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라이너 백.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투명창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은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라이너 백.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투명창은 중앙부보다 양측부가 넓은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라이너 백.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명창은 직사각형 형상, 라운드(round)진 형상 또는 평행사변형 형상 중 어느 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라이너 백.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투명창은 중앙부보다 양측부가 넓은 다각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는 투명창은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둥근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라이너 백.
  6. 벌크 라이너 백에 있어서,
    상부면과 하부면이 밀폐되고, 복수 개의 측벽을 구비하여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하나의 측벽에 구비되는 충진용 포트를 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에 충진물이 충진되는 라이너 본체; 및 상기 측벽들 중 상호 대향하는 측벽들 각각에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호 대향하는 측벽들에 구비된 것들과 상호 작용해서 상기 내부 공간의 충진물의 충진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투명창을 포함하며,
    상기 투명창이 평행사변형 형상인 때에는,
    상기 측벽들 중 일 측벽에는 상기 투명창이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상으로 배치되어 복수 개가 좌우 배열되고;
    상기 측벽들 중 상기 일 측벽과 대향하는 타 측벽에는 상기 투명창이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상으로 배치되어 복수 개가 좌우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크 라이너 백.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따른 벌크 라이너 백에 형성된 투명창에 대응되도록 절개부 또는 투명창이 형성된 컨테이너.
  8. 삭제
  9. 삭제
KR1020180067145A 2018-06-12 2018-06-12 벌크 라이너 백 KR102093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145A KR102093788B1 (ko) 2018-06-12 2018-06-12 벌크 라이너 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145A KR102093788B1 (ko) 2018-06-12 2018-06-12 벌크 라이너 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563A KR20190140563A (ko) 2019-12-20
KR102093788B1 true KR102093788B1 (ko) 2020-03-26

Family

ID=69063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7145A KR102093788B1 (ko) 2018-06-12 2018-06-12 벌크 라이너 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37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77062B (zh) * 2023-04-27 2023-11-28 太仓中集特种物流装备有限公司 一种散货集装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490Y1 (ko) * 2013-09-04 2014-12-08 서정욱 보강 커버를 구비한 망사 톤백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0331U (ko) * 1985-11-26 1987-06-09
JPH06345177A (ja) * 1993-06-04 1994-12-20 Hagiwara Kogyo Kk 透視性を有する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KR20000033484A (ko) 1998-11-24 2000-06-15 강옥영 컨테이너용 라이너백 구조
KR200235155Y1 (ko) 2001-03-30 2001-10-10 최수홍 컨테이너용 라이너 백 구조
KR20160000781U (ko) * 2014-08-28 2016-03-09 김형석 수용물을 확인할 수 있는 톤백
KR101556495B1 (ko) 2015-03-09 2015-10-01 안병선 모서리공간부가 구비된 다중포대 구조의 컨테이너백
KR101718366B1 (ko) 2015-12-23 2017-03-21 (주)세인물산 배부름 방지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 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490Y1 (ko) * 2013-09-04 2014-12-08 서정욱 보강 커버를 구비한 망사 톤백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563A (ko) 2019-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6776B2 (en) Braceless liner
JP3497129B2 (ja) 液体の搬送および貯蔵用容器
US20150086307A1 (en) Container system for hydraulic fracturing proppants
JP2007254024A (ja) 粉体類を収納するためのコンテナーバッグ
EA034192B1 (ru) Ширококорпусный контейнер для перевозки навалочных грузов и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US20110315689A1 (en) Bulk Packaging Container
US5031792A (en) Container for bulk handling of fluids
KR102093788B1 (ko) 벌크 라이너 백
KR102010193B1 (ko) 콘테이너 백
US8083412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bulk products
KR200454330Y1 (ko) 컨테이너 백
KR101459113B1 (ko) 컨테이너 백
KR102431254B1 (ko) 내측 라이닝을 갖는 플라스틱 라이너
KR101459114B1 (ko) 다단 하이브리드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KR101476400B1 (ko) 컨테이너 백
CN105307957B (zh) 改善集装箱机构和方法
CN201338773Y (zh) 新型货物周转箱
KR20180070573A (ko) 냉동 액체 운반 시스템용 컨테이너
AU2020233675A1 (en) An Improved Bag
CN204056584U (zh) 一种盛装液体的中型散装容器
CN210708863U (zh) 集装箱
US8146382B2 (en) Packaging system for storing and/or transporting different kind of fruits during long periods of time
CN220577993U (zh) 长方形集装袋
JP3198103U (ja) コンテナ
CN205892201U (zh) 粉料吨袋运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