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8366B1 - 배부름 방지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 백 - Google Patents

배부름 방지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 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8366B1
KR101718366B1 KR1020160090933A KR20160090933A KR101718366B1 KR 101718366 B1 KR101718366 B1 KR 101718366B1 KR 1020160090933 A KR1020160090933 A KR 1020160090933A KR 20160090933 A KR20160090933 A KR 20160090933A KR 101718366 B1 KR101718366 B1 KR 101718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ortion
side wall
length
bag
container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0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복
박형욱
Original Assignee
(주)세인물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인물산 filed Critical (주)세인물산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8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8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06Large containers flexible double-walled or with 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18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double-walled or with 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22Large containers flexible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배부름 방지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 백에 관한 것으로, 컨테이너 백의 측벽부(1)의 세로방향 길이보다 짧은 세로방향 길이와 측벽부(1)의 가로방향 내측둘레의 길이보다 짧은 가로방향 외측둘레의 길이를 갖는 내벽부(4)의 네 개의 외측 세로 모서리가 측벽부(1)의 네 개의 내측 세로 모서리에 접합됨에 따라 측벽부(1)와 내벽부(4)가 겹쳐지게 되는 이중벽 형태의 부분(12)은 내부백(6)에 내벽부(4)가 접촉되어 내벽부(4)가 측벽부(1)에 밀착될 때까지 신장된 후에 신장된 내벽부(4)에 측벽부(1)가 접촉되어 팽팽하게 펼쳐지는 구조로 부풀어오르게 된다. 이에 따라, 내부백(6)의 팽창력이 이차적으로 측벽부(1)에 거의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컨테이너 백의 배부름이 방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배부름 방지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 백 {Container bag having swell preventing function}
컨테이너 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컨테이너 백에 충전물이 만충된 경우에 발생되는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 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백(container bag)은 곡물, 사료, 시멘트, 합성수지원료 등과 같은 작은 입자 상태의 충전물의 운송과 보관에 사용되는 유연성의 포대를 말한다. 이러한 컨테이너 백은 그 외형과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천연섬유소재, PVC(polyvinyl chlorid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등의 합성수지소재를 원료로 하여 만들어진 섬유로 직조된 원단을 이용하여 제작된다. 이와 같이, 컨테이너 백은 유연성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외형의 변형이 용이하므로 충전물을 수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접어서 보관되고, 충전물을 수납하여 운송하는 경우에는 물류비의 경감을 위하여 컨테이너 박스, 창고 등과 같은 한정된 공간에 많은 양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작된다.
컨테이너 백은 그 안에 담긴 충전물의 하중에 의하여 중간 높이 부분이 외측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오게 되는 현상, 즉 "배부름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한정된 공간에 여러 개의 컨테이너 백이 배치될 경우에 컨테이너 백 사이의 공극이 커서 컨테이너 백의 적재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배부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컨테이너 백이 사용되거나 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547512호,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15-0123480호는 컨테이너 백의 배부름을 방지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배부름 방지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 백은 컨테이너 백의 충전물의 하중이 클 경우에 컨테이너 백의 배부름 방지 효과가 현저하게 떨어지거나 그 배부름 방지 구조로 인해 컨테이너 백의 내구성이 떨어지고 그 최대수용량이 감소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컨테이너 백의 충전물의 하중에 의해 가장 큰 힘을 받게 되는 컨테이너 백의 중간 높이 부분의 강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컨테이너 백의 최대수용량을 보장할 수 있는 구조로 컨테이너 백의 배부름을 방지할 수 있는 컨테이너 백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부름 방지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 백은 양단이 개방된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어 충전물을 수용하는 측벽부; 충전물이 배출되는 출구를 갖는 사각시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측벽부의 하측 개방면을 덮는 바닥부; 충전물이 주입되는 입구를 갖는 사각시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측벽부의 상측 개방면을 덮는 덮개부; 상기 측벽부의 세로방향 길이보다 짧은 세로방향 길이와 상기 측벽부의 가로방향 내측둘레의 길이보다 짧은 가로방향 외측둘레의 길이를 갖는 양단이 개방된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며 상단이 상기 측벽부의 상단보다 낮으면서 하단이 상기 측벽부의 하단보다 높게 배치되어 네 개의 외측 세로 모서리가 측벽부의 네 개의 내측 세로 모서리에 접합되는 내벽부; 및 포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측벽부, 상기 바닥부, 및 상기 덮개부에 의해 형성되는 컨테이너 백의 내부공간에 위치하여 내부에 충전물이 만충됨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 백의 내부공간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게 되는 내부백을 포함한다.
상기 측벽부 중에서 상기 내벽부의 상단 위와 하단 아래에 위치하는 단일벽 형태의 부분은 상기 측벽부의 내부공간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내부백에 상기 측벽부가 직접 접촉되어 팽팽하게 펼쳐지는 구조로 부풀어오르고, 상기 측벽부 중 상기 내벽부와 겹쳐지게 되는 이중벽 형태의 부분은 상기 측벽부의 내부공간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내부백에 상기 내벽부가 접촉되어 상기 내벽부가 상기 측벽부에 밀착될 때까지 신장된 후에 상기 신장된 내벽부에 상기 측벽부가 접촉되어 팽팽하게 펼쳐지는 구조로 부풀어오른다.
상기 내벽부의 하단과 상기 측벽부의 하단간의 세로방향 간격은 상기 내벽부의 상단과 상기 측벽부의 상단간의 세로방향 간격보다 짧음에 따라 상기 측벽부 중 내벽부의 하단 아래에 위치하는 단일벽 형태의 부분(11)의 평균 신축률은 상기 측벽부 중 내벽부의 상단 위에 위치하는 단일벽 형태의 부분의 평균 신축률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내벽부의 가로방향 내측둘레의 길이와 상기 측벽부의 가로방향 외측둘레의 길이의 차이가 상기 측벽부의 가로방향의 길이에 대한 세로방향의 길이의 비율에 비례할 수 있다.
상기 내벽부는 네 장의 사각 직물시트를 양단이 개방된 사각관 형태로 연결함으로써 제작되고, 상기 내벽부의 각 면에 해당하는 각 사각 직물시트의 양측단 가장자리를 일정 폭으로 접어서 봉제함으로써 각 사각 직물시트의 이중겹 형태의 양측단 가장자리를 형성한 후에 서로 이웃하는 두 장의 사각 직물시트의 이중겹 형태의 일측단 가장자리를 맞대어 봉제함으로써 상기 내벽부의 각 세로 모서리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상기 내벽부의 네 면에 해당하는 네 장의 사각 직물시트가 연결되고, 상기 측벽부는 네 장의 사각 직물시트를 양단이 개방된 사각관 형태로 연결함으로써 제작되고, 상기 측벽부의 각 면에 해당하는 각 사각 직물시트의 양측단 가장자리를 일정 폭으로 접어서 봉제함으로써 각 사각 직물시트의 이중겹 형태의 양측단 가장자리를 형성한 후에 서로 이웃하는 두 장의 사각 직물시트의 이중겹 형태의 각 측단 가장자리 사이마다 상기 내벽부의 각 세로 모서리를 삽입하여 봉제함으로서 상기 측벽부의 이중벽 형태의 부분의 각 세로 모서리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상기 내벽부의 네 개의 외측 세로 모서리는 상기 측벽부의 네 개의 내측 세로 모서리에 접합될 수 있다.
컨테이너 백의 측벽부의 세로방향 길이보다 짧은 세로방향 길이와 측벽부의 가로방향 내측둘레의 길이보다 짧은 가로방향 외측둘레의 길이를 갖는 내벽부의 네 개의 외측 세로 모서리가 측벽부의 네 개의 내측 세로 모서리에 접합됨에 따라 측벽부와 내벽부가 겹쳐지게 되는 이중벽 형태의 부분은 내부백에 내벽부가 접촉되어 내벽부가 측벽부에 밀착될 때까지 신장된 후에 신장된 내벽부에 측벽부가 접촉되어 팽팽하게 펼쳐지는 구조로 부풀어오르게 된다. 이에 따라, 내벽부의 가로방향 외측둘레의 길이가 측벽부의 가로방향 내측둘레의 길이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내부백의 팽창력은 이미 신장된 내벽부의 인장 응력에 의해 거의 소실되어 내부백의 팽창력이 이차적으로 측벽부에 거의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컨테이너 백의 충전물의 하중이 클 경우에도 측벽부는 거의 신장되지 않게 되어 컨테이너 백의 배부름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배부름 방지 기능은 컨테이너 백에 채워진 충전물의 하중에 의해 가장 큰 힘을 받게 되는 컨테이너 백의 측벽 중 중간 높이 부분이 이중벽 형태로 형성되는 구조에 의해 실현되기 때문에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컨테이너 백의 강도가 대폭 향상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컨테이너 백의 배부름 현상으로 인한 컨테이너 백의 터짐이 방지될 수 있다. 컨테이너 백에 충전물이 만충된 상태에서 내벽부 전체가 측벽부에 팽팽하게 밀착되는 구조로 컨테이너 백의 배부름 현상이 방지되기 때문에 컨테이너 백의 최대수용량이 보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의 외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의 내부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측벽부(1)와 내벽부(4)의 접합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내벽부(4)와 접합된 측벽부(1)의 전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측벽부(1)와 내벽부(4)의 봉제 부분의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충전물의 하중에 의하여 중간 높이 부분이 외측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오게 되는 배부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 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컨테이너 백의 충전물의 하중에 의해 가장 큰 힘을 받게 되는 컨테이너 백의 중간 높이 부분의 강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컨테이너 백의 최대수용량을 보장할 수 있는 구조로 컨테이너 백의 배부름을 방지할 수 있는 컨테이너 백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배부름 방지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 백을 간략하게 "컨테이너 백"으로 호칭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의 외관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의 내부도이다. 도 2에는 컨테이너 백의 내부를 표현하기 위해 컨테이너 백을 세로방향으로 절단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백은 측벽부(1), 바닥부(2), 덮개부(3), 내벽부(4), 걸이부(5) 및 내부백(6)으로 구성된다. 측벽부(1), 바닥부(2), 덮개부(3), 및 내벽부(4)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등과 같은 유연한 재질의 합성수지소재의 화학사를 직조한 직물시트로 제작될 수 있다. 직물시트의 특성상, 측벽부(1), 바닥부(2), 덮개부(3), 및 내벽부(4) 각각은 어느 정도의 신축성을 갖게 된다. 걸이부(5)는 로프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내부백(6)은 비닐 등과 같은 방수 재질의 합성수지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측벽부(1)는 양단이 개방된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어 충전물을 수용한다. 측벽부(1)는 네 장의 사각 직물시트를 양단이 개방된 사각관 형태로 연결함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 측벽부(1)의 각 면에 해당하는 각 사각 직물시트의 양측단 가장자리를 일정 폭으로 접어서 봉제함으로써 각 사각 직물시트의 이중겹 형태의 양측단 가장자리를 형성한다. 이어서, 서로 이웃하는 두 장의 사각 직물시트의 이중겹 형태의 일측단 가장자리를 맞대어 봉제함으로써 컨테이너 백의 각 세로 모서리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측벽부(1)의 네 면에 해당하는 네 장의 사각 직물시트가 연결될 수 있다.
컨테이너 백에 매우 무거운 중량의 충전물이 과다하게 채워질 경우에 컨테이너 백이 터질 수도 있는데, 대부분 직물시트의 연결부위가 터지게 된다. 상기된 방식에 따르면, 직물시트의 연결부위에 해당하는 컨테이너 백의 각 세로 모서리가 사중겹으로 봉제되어 제작되기 때문에 직물시트가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어 컨테이너 백의 터짐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측벽부(1)에는 사각형의 창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이 창은 망사형태의 직물로 가려져 컨테이너 백에 담긴 충전물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바닥부(2)는 충전물이 배출되는 출구를 갖는 사각시트 형태로 형성되어 측벽부(1)의 하단 둘레에 연결됨으로써 측벽부(1)의 하측 개방면을 덮는다. 바닥부(2)는 한 장의 사각 직물시트의 중앙에 원형의 출구를 형성함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 측벽부(1)의 하단 가장자리를 일정 폭으로 접어서 봉제함으로써 측벽부(1)의 이중겹 형태의 하단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바닥부(2)의 가장자리를 일정 폭으로 접어서 봉제함으로써 바닥부(2)의 이중겹 형태의 가장자리를 형성한다. 이어서, 측벽부(1)의 이중겹 형태의 하단 가장자리와 바닥부(2)의 이중겹 형태의 가장자리를 맞대어 봉제함으로써 컨테이너 백의 하단 모서리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바닥부(2)는 측벽부(1)의 하단 둘레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따르면, 직물시트의 연결부위에 해당하는 컨테이너 백의 하단 모서리가 사중겹으로 봉제되어 제작되기 때문에 직물시트가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어 컨테이너 백의 터짐이 방지될 수 있다.
덮개부(3)는 충전물이 주입되는 입구를 갖는 사각시트 형태로 형성되어 측벽부(1)의 상단 둘레에 연결됨으로써 측벽부(1)의 상측 개방면을 덮는다. 덮개부(3)는 한 장의 사각 직물시트의 중앙에 원형의 입구를 형성함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 측벽부(1)의 상단 가장자리를 일정 폭으로 접어서 봉제함으로써 측벽부(1)의 이중겹 형태의 상단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덮개부(3)의 가장자리를 일정 폭으로 접어서 봉제함으로써 덮개부(3)의 이중겹 형태의 가장자리를 형성한다. 이어서, 측벽부(1)의 이중겹 형태의 상단 가장자리와 덮개부(3)의 이중겹 형태의 가장자리를 맞대어 봉제함으로써 컨테이너 백의 상단 모서리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덮개부(3)는 측벽부(1)의 상단 둘레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따르면, 직물시트의 연결부위에 해당하는 컨테이너 백의 상단 모서리가 사중겹으로 봉제되어 제작되기 때문에 직물시트가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어 컨테이너 백의 터짐이 방지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측벽부(1)와 내벽부(4)의 접합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내벽부(4)와 접합된 측벽부(1)의 전개도이다. 도 3에는 측벽부(1)와 내벽부(4)의 접합 모습을 상세하게 표현하기 위해 측벽부(1)의 한 면과 내벽부(4)의 한 면이 서로 포개져 접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의 (a)에는 측벽부(1)의 한 면과 내벽부(4)의 한 면의 접합 모습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의 (b)에는 AA' 절단선을 따라 서로 포개져 접합된 측벽부(1)의 한 면과 내벽부(4)의 한 면을 절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본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내벽부(4)와 접합된 측벽부(1)의 전개가 직선으로 단순화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내벽부(4)는 측벽부(1)의 세로방향 길이보다 짧은 세로방향 길이와 측벽부(1)의 가로방향 내측둘레의 길이보다 짧은 가로방향 외측둘레의 길이를 갖는 양단이 개방된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며 그 상단이 측벽부(1)의 상단보다 낮으면서 그 하단이 측벽부(1)의 하단보다 높게 배치되어 그 네 개의 외측 세로 모서리가 측벽부(1)의 네 개의 내측 세로 모서리에 일대일로 접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벽부(4)의 각 면은 측벽부(1)의 각 면의 세로방향 길이보다는 짧은 세로방향의 길이를 갖고 측벽부(1)의 각 면의 가로방향 길이보다 짧은 가로방향의 길이를 갖는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벽부(4)와 측벽부(1)간의 세로방향 길이 차이로 인해 내벽부(4)는 측벽부(1)의 내면 전체가 아닌, 중간 높이 정도의 내면 일부만을 덮게 된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벽부(4)와 측벽부(1)간의 가로방향 길이 차이로 인해 내벽부(4)가 완전히 펴진 상태에서도 측벽부(1)는 느슨하게 늘어져 있는 상태로 남아있게 된다.
내벽부(4)는 네 장의 사각 직물시트를 양단이 개방된 사각관 형태로 연결함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 내벽부(4)의 각 면에 해당하는 각 사각 직물시트의 양측단 가장자리를 일정 폭으로 접어서 봉제함으로써 각 사각 직물시트의 이중겹 형태의 양측단 가장자리를 형성한다. 이어서, 서로 이웃하는 두 장의 사각 직물시트의 이중겹 형태의 일측단 가장자리를 맞대어 봉제함으로써 내벽부(4)의 각 세로 모서리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내벽부(4)의 네 면에 해당하는 네 장의 사각 직물시트가 연결될 수 있다.
걸이부(5)는 로프 등과 같은 유연한 끈으로 측벽부(1)의 네 개의 상단 통로에 차례대로 끼워지며 그 노출 부위가 크레인의 후크, 지게차의 포크 등에 걸림으로써 컨테이너 백을 끌어올리거나 내리는 역할을 한다. 걸이부(5)의 노출 부위는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상단 통로의 개구를 통하여 고리 형태로 노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측벽부(1)의 이중겹 형태의 상단 가장자리와 덮개부(3)의 이중겹 형태의 가장자리를 맞대어 봉제함으로써 컨테이너 백의 상단 모서리가 형성된다. 측벽부(1)의 상단 가장자리를 측벽부(1)의 하단 가장자리보다 더 넓은 폭으로 접은 후에 그 말단으로부터 일정 폭의 아래를 봉제함으로써 측벽부(1)의 각 면의 상단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내부백(6)은 포대 형태로 형성되어 측벽부(1), 바닥부(2), 및 덮개부(3)에 의해 형성되는 직육면체형의 내부공간, 즉 컨테이너 백의 내부공간에 위치하여 그 내부에 충전물이 만충됨에 따라 컨테이너 백의 내부공간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게 된다. 내부백(6)은 양단이 개방된 비닐류 포대의 양단을 묶는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내부백(6)에 충전물이 충전되기 시작하면 내부백(6)은 점차적으로 부풀어오르게 된다. 내부백(6)은 측벽부(1), 바닥부(2), 및 덮개부(3)에 의해 형성되는 컨테이너 백의 내부공간에 위치하기 때문에 그 내부에 충전물이 최대한 채워질 때에 컨테이너 백의 내부공간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 즉 직육면체 형상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내부백(6) 내부에 충전물이 최대한 채워져 내부백(6)이 컨테이너 백의 내부공간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게 될 때에 내부백(6)은 측벽부(1), 바닥부(2), 덮개부(3), 및 내벽부(4)와 접촉하게 되고 그것들을 컨테이너 백의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게 된다. 측벽부(1) 중에서 내벽부(4)의 상단 위와 하단 아래에 위치하는 단일벽 형태의 부분(11)은 측벽부(1)의 내부공간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내부백(6)에 측벽부(1)가 직접 접촉되어 팽팽하게 펼쳐지는 구조로 부풀어오른다. 바닥부(2)도 단일벽 형태이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내부백(6)에 바닥부(2)가 직접 접촉되어 팽팽하게 펼쳐지는 구조로 부풀어오른다. 덮개부(3)도 단일벽 형태이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내부백(6)에 덮개부(3)가 직접 접촉되어 팽팽하게 펼쳐지는 구조로 부풀어오른다.
종래의 컨테이너 백은 그것에 충전물이 가득 채워지게 되면 중간 높이 부분이 불룩하게 솟아오르게 된다. 이러한 배부름 현상은 컨테이너 백의 중간 높이 부위에서 심하게 발생하는데 충전물 자체의 하중에 의하여 낮은 위치일수록 압력이 크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컨테이너 백의 바닥에 근접함에 따라 배부름 현상의 원인이 되는 압력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컨테이너 백의 측벽의 횡단면 모양은 바닥의 모양을 추종할 수밖에 없으므로 아래로 갈수록 측벽의 전체적인 모양은 사각형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컨테이너 백의 배부름을 방지하기 위한 여러 기술이 개발되어 상용화되어 왔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547512호는 측면외피와 더불어 통형의 측면내피를 더 채용함으로써 강도를 보강하여 컨테이너 백의 배부름을 방지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종래기술은 측면외피 내면 전체와 측면내피의 외면 전체가 접촉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컨테이너 백의 측면 강도가 향상될 수는 있으나 측면내피가 신장되어 팽창할 경우에 그에 따라 측면외피도 신장되어 팽창하기 때문에 컨테이너 백의 충전물의 하중이 클 경우에 컨테이너 백의 배부름 방지 효과가 현저하게 떨어지게 된다. 게다가, 컨테이너 백 전체가 두 겹 내지 세 겹의 시트로 제작됨에 따라 제작단가가 일반 컨테이너 백에 비해 대폭 상승하게 된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15-0123480호는 측벽에 의해 외부와 구획되는 중공형 수용부에 다각을 형성하는 모서리부의 이웃하는 측벽의 내면을 상호 연결하는 복수 개의 다각유지벨트를 구비함으로써 충전물의 하중에 의해 측벽이 외측으로 팽창되더라도 중공형 수용부의 형상을 유지하여 컨테이너 백의 배부름을 방지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종래기술은 컨테이너 백의 배부름을 방지하기 위해서 다각유지벨트가 신축성이 거의 없는 재질로 제작되어야 하기 때문에 중공형 수용부에 상술한 바와 같은 방수재질의 내부백(6)이 내장될 경우에 최대수용량이 현저하게 감소하게 된다. 게다가, 다각유지벨트는 컨테이너 백의 내부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설치될 뿐만 아니라 컨테이너 백의 수용량 향상을 위해 최대한 좁은 폭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컨테이너 백의 충전물의 하중이 클 경우에 다각유지벨트의 연결 부위가 쉽게 파손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테이너 백의 중간 높이 부분, 즉 측벽부(1) 중 내벽부(4)와 겹쳐지게 되는 이중벽 형태의 부분(12)은 측벽부(1)의 내부공간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내부백(6)에 내벽부(4)가 접촉되어 내벽부(4)가 측벽부(1)에 밀착될 때까지 신장된 후에 이와 같이 신장된 내벽부(4)에 측벽부(1)가 접촉되어 팽팽하게 펼쳐지는 구조로 부풀어오른다. 내벽부(4)는 그 네 개의 외측 세로 모서리가 측벽부(1)의 네 개의 내측 세로 모서리에 접합되어 있고 내벽부(4)의 세로 모서리를 제외한 다른 부분은 측벽부(1)로부터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내벽부(4)와 측벽부(1)는 내부백(6)의 팽창력에 대해 동일한 형태로 변형되지 않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벽부(4)의 가로방향 외측둘레의 길이는 측벽부(1)의 가로방향 내측둘레의 길이보다 짧기 때문에 내벽부(4)가 팽팽하게 펼쳐진 상태에서도 측벽부(1)는 느슨하게 늘어져 있게 된다. 내벽부(4)는 양단이 개방된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어 측벽부(1)의 중간 높이의 내면을 덮도록 그 외측 모서리가 측벽부(1)의 내측 모서리에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백(6)에 충전물이 채워져 내부백(6)이 점차적으로 부풀어오름에 따라 내부백(6)은 내벽부(4)를 컨테이너 백의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게 되고, 그 과정에서 주름진 상태에 있던 내벽부(4)는 점차적으로 팽팽하게 펼쳐지게 된다.
내부백(6)이 점점 더 팽창함에 따라, 내부백(6)의 가로방향 외측둘레의 길이가 내벽부(4)의 가로방향 내측둘레의 길이에 도달하게 되면 내벽부(4)는 완전하게 펴지게 되나 측벽부(1)는 느슨하게 늘어져 있는 상태로 남아 있게 된다. 내부백(6)의 가로방향 외측둘레의 길이가 내벽부(4)의 가로방향 내측둘레의 길이를 초과하게 되면 내벽부(4)가 신장되기 시작하고, 그 과정에서 느슨하게 늘어져 있는 상태에 있던 측벽부(1)는 내벽부(4)에 의해 컨테이너 백의 외측으로 밀려나면서 점차적으로 팽팽하게 펼쳐지게 된다. 내부백(6)에 충전물이 만충됨에 따라 내부백(6)이 측벽부(1)의 내부공간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게 될 때에 내부백(6)의 가로방향 외측둘레의 길이가 측벽부(1)의 가로방향 내측둘레의 길이에 도달하게 된다. 이 때에 내벽부(4)는 신장되어 그 가로방향 외측둘레의 길이가 측벽부(1)의 가로방향 내측둘레의 길이에 도달하게 됨에 따라 내벽부(4) 전체가 측벽부(1)에 밀착되어 측벽부(1)를 밀어내게 되고 측벽부(1)는 완전하게 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배부름 현상이 발생하는 컨테이너 백의 중간 높이 부분이 신장되기 위해서는 내벽부(4)가 측벽부(1)에 밀착될 때까지 신장된 후에 이와 같이 신장된 내벽부(4)에 측벽부(1)가 접촉되어 신장되어야 한다. 즉, 측벽부(1)의 중간 높이 부분이 신장되기 위해서는 내벽부(4)의 가로방향 외측둘레의 길이가 측벽부(1)의 가로방향 내측둘레의 길이를 초과할 때까지 내벽부(4)가 신장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백은 그 본래 형태의 유지와 배부름 방지를 위해 신축성이 매우 작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과 같은 합성수지소재의 직물시트로 제작된다. 게다가, 내벽부(4)의 가로방향 둘레의 길이는 측벽부(1)의 가로방향 둘레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됨으로 인해 그 가로방향 외측둘레의 길이가 측벽부(1)의 가로방향 내측둘레의 길이를 초과할 때까지 신장되기 위해서는 매우 큰 외력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내벽부(4)의 가로방향 외측둘레의 길이가 측벽부(1)의 가로방향 내측둘레의 길이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내부백(6)의 팽창력은 이미 신장된 내벽부(4)의 인장 응력에 의해 거의 소실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과 달리 내벽부(4)와 측벽부(1)는 내부백(6)의 팽창력에 대해 동일한 형태로 변형되지 않으며 내부백(6)의 팽창력은 측벽부(1)의 가로방향 내측둘레의 길이보다 짧은 가로방향 외측둘레의 길이를 갖는 내벽부(4)의 인장응력에 의해 일차적으로 거의 소실된 상태로 내부백(6)의 팽창력이 이차적으로 측벽부(1)에 거의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컨테이너 백의 충전물의 하중이 클 경우에도 측벽부(1)는 거의 신장되지 않게 되어 컨테이너 백의 배부름이 방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과 달리, 이러한 배부름 방지 기능은 컨테이너 백에 채워진 충전물의 하중에 의해 가장 큰 힘을 받게 되는 컨테이너 백의 측벽 중 중간 높이 부분이 이중벽 형태로 형성되는 구조에 의해 실현되기 때문에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컨테이너 백의 강도가 대폭 향상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컨테이너 백의 배부름 현상으로 인한 컨테이너 백의 터짐이 방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컨테이너 백은 신축성이 매우 작은 소재로 제작되기 때문에 내벽부(4)와 측벽부(1)간의 가로방향 길이가 약간만 차이가 나더라도 내부백(6)의 팽창력과 내벽부(4)의 인장응력은 서로 상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컨테이너 백에 충전물이 만충된 상태에서 내벽부(4) 전체가 측벽부(1)에 팽팽하게 밀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내벽부(4)로 인한 최대수용량 감소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내부백(6)에 최대수용량의 충전물이 채워졌을 때에 내벽부(4)의 가로방향 외측둘레의 길이가 측벽부(1)의 가로방향 내측둘레의 길이에 도달하게 되면 내부백(6)에 최대수용량의 충전물이 채워졌을 때에 내벽부(4)와 측벽부(1)는 서로 팽팽하게 밀착되므로 컨테이너 백의 최대수용량이 보장될 수 있다. 이 조건에서의 내벽부(4)의 가로방향 외측둘레의 길이가 최적 길이가 된다. 내벽부(4)의 가로방향 외측둘레의 길이가 지나치게 짧으면, 즉 내벽부(4)의 가로방향 외측둘레의 길이가 상기된 최적 길이보다 짧으면, 컨테이너 백의 덮개부(3)에 도달할 정도로 충전물이 가득 찰 때까지도 측벽부(1)가 느슨하게 늘어져 있는 상태가 되어 컨테이너 백의 최대수용량이 줄어들게 될 뿐만 아니라 내벽부(4)에 매우 강한 인장력이 작용하게 되어 내벽부(4)가 찢어지거나 그 봉제 부분이 뜯어질 수 있다.
내벽부(4)의 가로방향 외측둘레의 길이가 지나치게 길면, 즉 내벽부(4)의 가로방향 외측둘레의 길이가 상기된 최적 길이보다 길면, 컨테이너 백에 충전물이 가득 차기도 전에 내부백(6)의 가로방향 외측둘레의 길이가 측벽부(1)의 가로방향 내측둘레의 길이에 도달하게 됨에 따라 컨테이너 백에 충전물이 가득 차면 내벽부(4)와 측벽부(1) 모두가 신장되어 컨테이너 백의 중간 높이 부분이 부풀어오르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백(6)에 최대수용량의 충전물이 채워졌을 때에 내벽부(4)의 가로방향 외측둘레의 길이가 측벽부(1)의 가로방향 내측둘레의 길이에 도달하도록 내벽부(4)의 가로방향 길이를 설계함으로써 컨테이너 백의 배부름이 방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컨테이너 백의 최대수용량이 보장될 수 있다.
내부백(6)이 그 내부에 충전물이 만충되어 직육면체 형상을 갖게 될 때에 중간 높이 부분이 가장 많이 부풀어오르게 된다. 그 결과, 내부백(6)의 중간 높이 부분의 팽창력이 최대가 되며 중간 높이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팽창력이 점점 감소하게 된다. 만약, 내벽부(4)의 세로방향 길이가 측벽부(1)의 세로방향 길이와 동일하여 내벽부(4)가 측벽부(1)의 내면 전체를 덮게 된다면 이러한 내부백(6)의 높이에 따른 팽창력 변화에 대응할 수 없어 컨테이너 백에 충전물이 만충된 경우에 컨테이너 백의 중간 높이 부분이 불룩해지거나 컨테이너 백의 상측과 하측이 주름진 상태로 남아 있게 된다. 컨테이너 백에 충전물이 만충된 상태에서 컨테이너 백의 표면이 배부름 또는 주름 없이 평평하게 펼쳐지기 위해서는 내부백(6)의 높이에 따른 팽창력 변화를 고려하여 내벽부(4)의 세로방향 길이와 측벽부(1)의 세로방향 길이의 차이가 설계되어야 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컨테이너 백에 채워지는 충전물의 하중이 작을 경우에 컨테이너 백에 충전물이 가득 채워지더라도 내벽부(4)가 충분하게 신장되지 않아 내벽부(4) 전체가 측벽부(1)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컨테이너 백에 채워지는 충전물의 종류가 일정할 경우에는 컨테이너 백에 충전물이 만충될 때의 충전물의 하중을 고려하여 내벽부(4)와 측벽부(1)간의 가로방향 길이 차이를 설계할 수 있으나, 그 충전물의 종류가 다양할 경우에는 내벽부(4)와 측벽부(1)간의 가로방향 길이 차이가 작을수록 컨테이너 백의 최대수용량 보전에 유리하다. 내벽부(4)의 가로방향 길이를 측벽부(1)의 가로방향 길이에 근접하도록 길게 하면서도 내부백(6)의 팽창력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내벽부(4)는 측벽부(1)와 동일한 소재의 직물시트에 합성수지 도료를 코팅함으로써 제작될 수도 있다. 직물시트에 합성수지 도료가 코팅되면 신축률이 감소된다.
컨테이너 박스의 둘레 길이가 동일한 조건에서 컨테이너 박스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즉 측벽부(1)의 가로방향의 길이에 대한 세로방향의 길이의 비율이 클수록 컨테이너 백의 배부름 현상은 심해지게 된다. 측벽부(1)의 가로방향의 길이에 대한 세로방향의 길이의 비율이 클수록 내벽부(4)와 측벽부(1)간의 가로방향 길이의 차이를 그만큼 크게 해야 컨테이너 백의 배부름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벽부(4)의 가로방향 내측둘레의 길이와 측벽부(1)의 가로방향 외측둘레의 길이의 차이가 측벽부(1)의 가로방향의 길이에 대한 세로방향의 길이의 비율에 비례하도록 내벽부(4)의 가로방향 내측둘레의 길이를 설계함으로써 컨테이너 백의 모양에 무관하게 컨테이너 백의 배부름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컨테이너 백의 충전물 자체의 하중에 의하여 낮은 위치일수록 압력이 크게 작용한다. 이에 따라, 내부백(6)에 만충된 충전물의 하중에 의해 측벽부(1)의 내부공간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게 되는 내부백(6)의 하측 부위의 팽창력은 내부백(6)의 상측 부위의 팽창력보다 크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백(6)의 하측 부위의 팽창력과 상측 부위의 팽창력의 차이에 대응하여 내벽부(4)의 하단과 측벽부(1)의 하단간의 세로방향 간격을 내벽부(4)의 상단과 측벽부(1)의 상단간의 세로방향 간격보다 짧게 함으로써 측벽부(1) 중 내벽부(4)의 하단 아래에 위치하는 단일벽 형태의 부분(11)의 평균 신축률이 측벽부(1) 중 내벽부(4)의 상단 위에 위치하는 단일벽 형태의 부분(11)의 신축률보다 작게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내벽부(4)의 하단과 측벽부(1)의 하단간의 세로방향 간격이 내벽부(4)의 상단과 측벽부(1)의 상단간의 세로방향 간격보다 짧음에 따라 내부백(6)의 팽창력에 대해 측벽부(1)의 하측 부위가 상측 부위보다 잘 늘어나지 않게 되어 컨테이너 백의 하측 부위가 부풀어오르지 않게 된다. 내벽부(4)의 하단과 측벽부(1)의 하단간의 세로방향 간격과 내벽부(4)의 상단과 측벽부(1)의 상단간의 세로방향 간격이 동일하다면 내부백(6)의 하측 부위의 팽창력과 상측 부위의 팽창력의 차이로 인해 컨테이너 박스의 하측 부위가 부풀어오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컨테이너 백에 충전물이 가득 채워진 상태에서도 컨테이너 백은 그 하측 부위의 부풀음 없이 직육면체 형상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다수의 컨테이너 백이 컨테이너 박스에 빼곡이 적층될 때에 컨테이너 백간의 공극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최대적재량이 증가될 수 있다.
게다가, 내벽부(4)의 하단은 측벽부(1)의 하단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기 때문에 컨테이너 백의 바닥부(2)에 근접함에 따라 측벽부(1)의 횡단면 모양은 바닥부(2)의 모양을 추종하면서 충전물의 하중에 의한 압력이 직접 측벽부(1)의 하측 부위에 작용함에 따라 측벽부(1)의 하측 부위의 수축이 방지되어 여러 개의 컨테이너 백이 안정되게 적층될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 백에 충전물이 만충되지 않은 상태에서 컨테이너의 하부가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므로 이러한 상태에서도 여러 개의 컨테이너 백이 안정되게 적층될 수 있다. 내벽부(4)의 하단의 높이와 측벽부(1)의 하단의 높이가 동일하다면 컨테이너 백에 충전물이 충분히 채워지지 않아 내벽부(4)의 하단이 측벽부(1)의 하단에 밀착될 만큼 신장되지 않았을 경우에 측벽부(1)의 하단이 주름진 상태로 남아 있게 되고, 그 결과 컨테이너 백의 적층이 불안정하게 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측벽부(1)와 내벽부(4)의 봉제 부분의 확대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측벽부(1)의 단일벽 형태의 부분(11)의 각 세로 모서리는 서로 이웃하는 두 장의 사각 직물시트의 이중겹 형태의 일측단 가장자리를 맞대어 봉제함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 측벽부(1)의 이중벽 형태의 부분(12)은 내부백(6)의 팽창에 따라 가장 많은 힘을 받게 부위로서 단일벽 형태의 부분(11)보다 훨씬 더 견고하게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도 5의 우측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부(1)의 서로 이웃하는 두 장의 사각 직물시트의 이중겹 형태의 각 측단 가장자리 사이마다 내벽부(4)의 각 세로 모서리를 삽입하여 봉제함으로서 측벽부(1)의 이중벽 형태의 부분(12)의 각 세로 모서리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내벽부(4)의 네 개의 외측 세로 모서리는 측벽부(1)의 네 개의 내측 세로 모서리에 접합될 수 있다.
컨테이너 백에 매우 무거운 충전물이 과다하게 채워질 경우에 컨테이너 백이 터질 수도 있는데, 대부분 직물시트의 연결부위가 터지게 되며, 특히 내부백(6)의 팽창에 따라 가장 많은 힘을 받게 부위인 측벽부(1)의 이중벽 형태의 부분(12)이 터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 상기된 방식에 따르면, 내벽부(4)와 측벽부의 접합부위에 해당하는 컨테이너 백의 이중겹 형태의 부분(12)의 각 세로 모서리가 팔중겹으로 봉제되어 제작되기 때문에 다른 연결부위에 비해 훨씬 더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어 컨테이너 백에 매우 무거운 중량의 충전물이 다소 과다하게 채워지더라도 컨테이너 백의 터짐이 방지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측벽부
2 ... 바닥부
3 ... 덮개부
4 ... 내벽부
5 ... 걸이부
6 ... 내부백

Claims (4)

  1. 배부름 방지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 백에 있어서,
    양단이 개방된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어 충전물을 수용하는 측벽부(1);
    충전물이 배출되는 출구를 갖는 사각시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측벽부(1)의 하측 개방면을 덮는 바닥부(2);
    충전물이 주입되는 입구를 갖는 사각시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측벽부(1)의 상측 개방면을 덮는 덮개부(3);
    상기 측벽부(1)의 세로방향 길이보다 짧은 세로방향 길이와 상기 측벽부(1)의 가로방향 내측둘레의 길이보다 짧은 가로방향 외측둘레의 길이를 갖는 양단이 개방된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며 상단이 상기 측벽부(1)의 상단보다 낮으면서 하단이 상기 측벽부(1)의 하단보다 높게 배치되어 네 개의 외측 세로 모서리가 측벽부(1)의 네 개의 내측 세로 모서리에 접합되며 상기 네 개의 외측 세로 모서리를 제외한 다른 부분은 상기 측벽부(1)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내벽부(4); 및
    포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측벽부(1), 상기 바닥부(2), 및 상기 덮개부(3)에 의해 형성되는 컨테이너 백의 내부공간에 위치하여 내부에 충전물이 만충됨에 따라 상기 컨테이너 백의 내부공간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게 되는 내부백(6)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1) 중에서 상기 내벽부(4)의 상단 위와 하단 아래에 위치하는 단일벽 형태의 부분(11)은 상기 측벽부(1)의 내부공간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내부백(6)에 상기 측벽부(1)가 직접 접촉되어 팽팽하게 펼쳐지는 구조로 부풀어오르고,
    상기 측벽부(1) 중 상기 내벽부(4)와 겹쳐지게 되는 이중벽 형태의 부분(12)은 상기 측벽부(1)의 내부공간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내부백(6)에 상기 내벽부(4)가 접촉되어 상기 내벽부(4)가 상기 측벽부(1)에 밀착될 때까지 신장된 후에 상기 신장된 내벽부(4)에 상기 측벽부(1)가 접촉되어 팽팽하게 펼쳐지는 구조로 부풀어오르고,
    상기 내부백(6)이 점점 더 팽창함에 따라, 상기 내부백(6)의 가로방향 외측둘레의 길이가 상기 내벽부(4)의 가로방향 내측둘레의 길이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내벽부(4)는 완전하게 펴지면서 상기 측벽부(1)는 느슨하게 늘어져 있는 상태로 남아 있게 되고,
    상기 내부백(6)의 가로방향 외측둘레의 길이가 상기 내벽부(4)의 가로방향 내측둘레의 길이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내벽부(4)가 신장되기 시작하고, 상기 내벽부(4)의 신장 과정에서 느슨하게 늘어져 있는 상태에 있던 측벽부(1)는 상기 내벽부(4)에 의해 점차적으로 팽팽하게 펼쳐지게 되고,
    상기 내부백(6)에 충전물이 만충됨에 따라 상기 내부백(6)의 가로방향 외측둘레의 길이가 측벽부(1)의 가로방향 내측둘레의 길이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내벽부(4) 전체가 상기 측벽부(1)에 밀착되어 상기 측벽부(1)를 밀어내게 되고 상기 측벽부(1)는 완전하게 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부(4)의 하단과 상기 측벽부(1)의 하단간의 세로방향 간격은 상기 내벽부(4)의 상단과 상기 측벽부(1)의 상단간의 세로방향 간격보다 짧음에 따라 상기 측벽부(1) 중 내벽부(4)의 하단 아래에 위치하는 단일벽 형태의 부분(11)의 평균 신축률은 상기 측벽부(1) 중 내벽부(4)의 상단 위에 위치하는 단일벽 형태의 부분(11)의 평균 신축률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백.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부(4)의 가로방향 내측둘레의 길이와 상기 측벽부(1)의 가로방향 외측둘레의 길이의 차이가 상기 측벽부(1)의 가로방향의 길이에 대한 세로방향의 길이의 비율에 비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백.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부(4)는 네 장의 사각 직물시트를 양단이 개방된 사각관 형태로 연결함으로써 제작되고, 상기 내벽부(4)의 각 면에 해당하는 각 사각 직물시트의 양측단 가장자리를 일정 폭으로 접어서 봉제함으로써 각 사각 직물시트의 이중겹 형태의 양측단 가장자리를 형성한 후에 서로 이웃하는 두 장의 사각 직물시트의 이중겹 형태의 일측단 가장자리를 맞대어 봉제함으로써 상기 내벽부(4)의 각 세로 모서리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상기 내벽부(4)의 네 면에 해당하는 네 장의 사각 직물시트가 연결되고,
    상기 측벽부(1)는 네 장의 사각 직물시트를 양단이 개방된 사각관 형태로 연결함으로써 제작되고, 상기 측벽부(1)의 각 면에 해당하는 각 사각 직물시트의 양측단 가장자리를 일정 폭으로 접어서 봉제함으로써 각 사각 직물시트의 이중겹 형태의 양측단 가장자리를 형성한 후에 서로 이웃하는 두 장의 사각 직물시트의 이중겹 형태의 각 측단 가장자리 사이마다 상기 내벽부(4)의 각 세로 모서리를 삽입하여 봉제함으로서 상기 측벽부(1)의 이중벽 형태의 부분(12)의 각 세로 모서리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상기 내벽부(4)의 네 개의 외측 세로 모서리는 상기 측벽부(1)의 네 개의 내측 세로 모서리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백.
KR1020160090933A 2015-12-23 2016-07-18 배부름 방지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 백 KR1017183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85263 2015-12-23
KR1020150185263 2015-12-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8366B1 true KR101718366B1 (ko) 2017-03-21

Family

ID=58502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0933A KR101718366B1 (ko) 2015-12-23 2016-07-18 배부름 방지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 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83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501B1 (ko) 2019-05-21 2019-09-05 박영숙 벌크백의 팽창방지용 장치
KR20190140563A (ko) 2018-06-12 2019-12-20 최방림 벌크 라이너 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487Y1 (ko) * 2007-03-27 2008-08-20 최용주 벌크 백
JP3149399U (ja) * 2009-01-09 2009-03-26 志弘 林 バルクバッ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487Y1 (ko) * 2007-03-27 2008-08-20 최용주 벌크 백
JP3149399U (ja) * 2009-01-09 2009-03-26 志弘 林 バルクバッ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0563A (ko) 2018-06-12 2019-12-20 최방림 벌크 라이너 백
KR102018501B1 (ko) 2019-05-21 2019-09-05 박영숙 벌크백의 팽창방지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1646B1 (en) Bulk bag with multiple ply walls and a method of forming it from tubular blanks
US3939995A (en) Valve placement in a multi-ply, inflatable bag
CN101238045B (zh) 充气包装材料结构
US7297387B2 (en) Air-filling cushioning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5865541A (en) Bulk container liner and method
US20140251989A1 (en) Flexible tank for fluid containerisation
US5788438A (en) Inflatable combination cargo packing bag
US20200148091A1 (en) Dunnage bag arrangement
KR101144432B1 (ko) 벌크화물 운반용 다중 포대 형식의 컨테이너 백
JPH06501669A (ja) 包装用インサート
CN101883716A (zh) 由塑料编织材料制成的可膨胀袋中袋货物充气袋
KR101625405B1 (ko) 다각유지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KR101718366B1 (ko) 배부름 방지 기능을 갖는 컨테이너 백
KR101700085B1 (ko) 진공 및 방수가 가능한 컨테이너 백
NZ208015A (en) Inflatable dunnage bag,tapered or of triangular shape
US5505557A (en) Geotextile container
US20110044564A1 (en) Bulk cargo bag including an inner container body with reinforcing folds
US20060115342A1 (en) Dunnage bags
EP3105149B1 (en)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fibc)
JP6822795B2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KR200455252Y1 (ko) 포대
JP5648486B2 (ja) 災害用ゴム水嚢
KR102426062B1 (ko) 컨테이너 백
KR102006940B1 (ko) 컨테이너백
KR102151927B1 (ko) 콘테이너 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