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4570B1 - 폼핏라이너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컨테이너백 - Google Patents
폼핏라이너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컨테이너백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44570B1 KR102144570B1 KR1020190173568A KR20190173568A KR102144570B1 KR 102144570 B1 KR102144570 B1 KR 102144570B1 KR 1020190173568 A KR1020190173568 A KR 1020190173568A KR 20190173568 A KR20190173568 A KR 20190173568A KR 102144570 B1 KR102144570 B1 KR 1021445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uter skin
- endothelial
- skin
- manufacturing
- fus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18—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double-walled or with lin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2—Local reinforcements or stiffening inserts, e.g. wires, strings, strips or fram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22—Large containers flexible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이나 사료 및 공업용 안료 등을 넣어 이동 및 보관하기 위한 컨테이너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하부에 선택적으로 개방이 가능한 개구부가 형성된 외피와, 상하부에 선택적으로 개방이 가능한 개구부가 형성된 내피를 상기 외피의 내부에 결합하여 제조하되, 내피의 제조시 원재료의 낭비를 최소화하며 개구부 및 내피몸체를 융착을 통해 제조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융착에 따른 외측에 돌출되는 여유부분을 통해 외피의 내부에 내피를 더욱 견고하고 효율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폼핏라이너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컨테이너백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곡물이나 사료 및 공업용 안료 등을 넣어 이동 및 보관하기 위한 컨테이너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하부에 선택적으로 개방이 가능한 개구부가 형성된 외피와, 상하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선택적으로 개방이 가능한 개구부가 형성된 내피를 상기 외피의 내부에 결합하여 제조하되, 내피의 제조시 원재료의 낭비를 최소화하며 개구부 및 내피몸체를 융착을 통해 제조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융착에 따른 외측에 돌출되는 여유부분을 통해 외피의 내부에 내피를 더욱 견고하고 효율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폼핏라이너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컨테이너백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일반적으로, 레진(Resin)과 같은 화학약품이나 시멘트 등과 같은 분상물 또는 곡물과 같은 입상물을 다량 넣어 육상 및 해상으로 수송할 때에 컨테이너백이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컨테이너백은 섬유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직조하여 컨테이너백의 외형을 유지하는 동시에 강도를 유지하도록된 외피가 마련되고, 또 방수성이 있는 비닐류 등으로 상기 외피 내면과 대응되는 내피를 형성하여 이 내피를 상기 외피안에 끼워 넣어 사용한다.
이처럼 종래의 컨테이너백의 내피는 외피에서 분리가 가능하고 이 내피에 내용물을 보관하게 되는 것이고, 내피의 길이가 외피의 길이보다 훨씬 크게 제작되어 있다.
상기 컨테이너백의 외피의 외형적인 구성을 보면, 적하물을 담을 수 있는 용적을 갖는 포대본체를 구성하고, 이 포대본체의 상부에는 덮개부가 형성되며, 포대본체의 하부에는 바닥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데, 이들 덮개부와 바닥부는 각각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포대본체의 상측 둘레에는 운반로프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내피 역시 외피와 같이 상, 하방이 개방된 형상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컨테이너백을 사용하여 운반물을 운반하고자 할 때에는 덮개부를 열고 외피의 내부에 있는 내피의 상단부를 고정시킨 후 내용물을 투입하며, 내용물 투입이 완료되면 내피의 상단부와 외피의 덮개부를 동시에 끈으로 묶는다.
이후 상기 운반로프를 운반기기의 후크에 걸어 운반하거나, 컨테이너백을 팔레트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포크리프트(지게차)를 사용하여 상기 포크리프트의 포크를 상기 팔레트 내의 삽입구에 삽입한 후 소정의 높이로 들어 올려 수송한 다음, 운반장소에서 대기 보관을 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컨테이너백의 제조방법을 종래기술을 통해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47563호에는 원통형의 PE재질의 상하부, 양측면 모서리를 절취선을 따라 절취한 후, 절취된 곳을 열융착시켜 몸체보다 직경이 적은 상,하부 투입구를 형성시킨 내피를 제작한 다음, 내피보다 직경이 큰 PP재질의 외피내부에 내피를 삽입시키되, 내,외피 사이의 몸체 전체에 걸쳐 양면테이프를 부착시키고, 상,하부투입구에도 양면테이프로 견고하게 부착시키며, 하부는 중앙에 보강판통공이 구비된 PP재질의 보강판을 내피와 외피사이에 위치시키되, 내피와 보강판은 양면테이프로 부착시키고, 보강판 하부테두리와 외피의 하부테두리를 박음질하여 봉제부를 형성시켜 제조한 컨테이너백과 그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때, 상기 종래기술은 내피의 제조를 위해 원통형의 PE재질의 상하부, 양측면 모서리를 절취선을 따라 절취한 후 절취된 곳을 열융착시켜 제조하고 있어 절취된 부분을 폐기할 수 밖에 없고, 이에 따라 원재료의 낭비가 많아져 제조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점과 원통 형상으로 밖에 내피를 제조할 수 없는 단점이 있으며, 원통 형상이 아닌 다각 형상의 내피를 제조할 때에도 상하부가 좁은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사각 형태의 원재료의 상하부, 양측면 모서리를 절개해야 하므로 원재료의 낭비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의 컨테이너백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컨테이너백은 내피 또는 외피의 제조시 절개후 직조 또는 융착을 통해 제조됨으로써, 절개된 원재료의 낭비가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상부개구부, 판 형상의 상부몸체, 중간몸체, 판 형상의 하부몸체 및 하부개구부를 각각 직조 또는 융착하여 원재료의 낭비를 최소화하고, 내피와 외피의 결합이 견고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폼핏라이너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컨테이너백을 통하여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내부에 내용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외피몸체와, 상기 외피몸체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개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외피투입구 및 상기 외피몸체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개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외피배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외피와
상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내피중간몸체와, 상기 내피중간몸체의 넓이보다 큰 넓이를 갖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피중간몸체의 상부말단과 하부면이 융착되어 결합되는 내피상부몸체 및 상기 내피중간몸체의 넓이보다 큰 넓이를 갖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피중간몸체의 하부말단과 상부면이 융착되어 결합되는 내피하부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내피몸체와, 하부가 상기 내피상부몸체와 연통되도록 융착되는 내피투입구와, 상부가 상기 내피하부몸체와 연통되도록 융착되는 내피배출구 및 상기 내피상부몸체의 테두리와 상기 내피하부몸체의 테두리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 개의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내피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내피는 상기 외피의 내측에 위치되어 결합되되, 상기 내피상부몸체의 테두리에 결합된 복수 개의 결합부재가 상기 외피몸체의 내측 상부에 바느질되어 결합되고, 상기 내피하부몸체의 테두리에 결합된 복수 개의 결합부재가 상기 외피몸체의 내측 하부에 바느질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핏라이너가 구비된 컨테이너백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제조방법의 일실시예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내피몸체와 상기 내피몸체의 상부에 연통되도록 돌출형성되는 내피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내피몸체의 상부와 하부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테두리가 형성되는 내피를 제조하는 내피제조단계와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 또는 다각 형상의 외피중간몸체를 준비하고, 상기 내피제조단계 이후의 내피를 상기 외피중간몸체에 관통시키는 제2준비단계와 상부에 외피투입구가 돌출형성된 판 형상의 외피상부몸체 하부면을 상기 제2준비단계 이후의 외피중간몸체의 상부말단과 밀접시키되, 상기 내피몸체의 상부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테두리를 상기 외피상부몸체 하부면과 상기 외피중간몸체 상부말단 사이에 위치시키는 제3준비단계와 상기 외피상부몸체와 상기 내피몸체의 상부에 돌출된 테두리 및 상기 외피중간몸체의 상부말단을 바느질을 통해 일체화시키는 제2일체화단계와 하부에 외피배출구가 돌출형성된 판 형상의 외피하부몸체 상부면을 상기 제2일체화단계 이후의 외피중간몸체의 하부말단과 밀접시키되, 상기 내피몸체의 하부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테두리를 상기 외피하부몸체 상부면과 상기 외피중간몸체 하부말단 사이에 위치시키는 제4준비단계 및 상기 외피하부몸체와 상기 내피몸체의 하부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테두리 및 상기 외피중간몸체의 하부말단을 바느질을 통해 일체화시켜 상기 내피가 내부에 결합된 외피를 제조하는 제4일체화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핏라이너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제조방법의 다른 실시예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내피몸체와 상기 내피몸체의 상부에 연통되도록 돌출형성되는 내피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내피몸체의 상부와 하부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테두리가 형성되는 내피를 제조하는 내피제조단계와 상기 내피몸체의 상부와 하부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테두리 각각에 복수 개의 결합부재를 결합하는 제1준비단계와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 또는 다각 형상의 외피중간몸체를 준비하고, 상기 제1준비단계 이후의 내피를 상기 외피중간몸체에 관통시키는 제2준비단계와 상부에 외피투입구가 돌출형성된 판 형상의 외피상부몸체 하부면을 상기 제2준비단계 이후의 외피중간몸체의 상부말단과 밀접시키되, 상기 내피몸체의 상부에 결합된 복수 개의 결합부재를 상기 외피상부몸체 하부면과 상기 외피중간몸체 상부말단 사이에 위치시키는 제3준비단계와 상기 외피상부몸체와 상기 내피몸체의 상부에 결합된 복수 개의 결합부재 및 상기 외피중간몸체의 상부말단을 바느질을 통해 일체화시키는 제2일체화단계와 하부에 외피배출구가 돌출형성된 판 형상의 외피하부몸체 상부면을 상기 제2일체화단계 이후의 외피중간몸체의 하부말단과 밀접시키되, 상기 내피몸체의 하부에 결합된 복수 개의 결합부재를 상기 외피하부몸체 상부면과 상기 외피중간몸체 하부말단 사이에 위치시키는 제4준비단계 및 상기 외피하부몸체와 상기 내피몸체의 하부에 결합된 복수 개의 결합부재 및 상기 외피중간몸체의 하부말단을 바느질을 통해 일체화시켜 상기 내피가 내부에 결합된 외피를 제조하는 제4일체화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핏라이너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준비단계와 제3준비단계의 사이에는 판 형상의 외피상부몸체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과 외피투입구가 연통되도록 상기 외피상부몸체와 외피투입구의 하부를 바느질을 통해 일체화시키는 제1일체화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일체화단계와 제4준비단계의 사이에는 판 형상의 외피하부몸체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과 외피배출구가 연통되도록 상기 외피하부몸체와 외피배출구의 상부를 바느질을 통해 일체화시키는 제3일체화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내피제조단계는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 또는 다각 형상의 내피중간몸체의 상부말단과 상부에 내피투입구가 돌출형성된 판 형상의 내피상부몸체의 하부면을 융착하여 일체화시키는 제2융착단계와, 제2융착단계 이후의 내피중간몸체의 하부말단과 판 형상의 내피하부몸체의 상부면을 융착하여 일체화시키는 제4융착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융착단계의 이전에는 판 형상의 내피상부몸체의 상부면 중앙에 내피투입구의 하부말단을 융착하는 제1융착단계와, 상기 제1융착단계 이후의 상기 내피상부몸체의 중앙을 절개하되, 상기 내피투입구와 연통되도록 절개하는 제1절개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4융착단계의 이전에는 판 형상의 내피하부몸체의 하부면 중앙에 내피배출구의 상부말단을 융착하는 제3융착단계와, 상기 제3융착단계 이후의 상기 내피하부몸체의 중앙을 절개하되, 상기 내피배출구와 연통되도록 절개하는 제2절개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융착단계의 내피상부몸체는 상기 내피중간몸체의 넓이보다 큰 넓이로 형성되어 상기 내피중간몸체와 융착된 후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테두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4융착단계의 내피하부몸체는 상기 내피중간몸체의 넓이보다 큰 넓이로 형성되어 상기 내피중간몸체와 융착된 후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테두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폼핏라이너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컨테이너백은 내피 또는 외피의 제조시 원재료의 절개를 최소화하며 상부개구부, 판 형상의 상부몸체, 중간몸체, 판 형상의 하부몸체 및 하부개구부를 각각 직조 또는 융착하여 원재료의 낭비를 최소화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와
상부개구부, 판 형상의 상부몸체, 중간몸체, 판 형상의 하부몸체 및 하부개구부로 구성된 내피를 제조한 후 상기 내피를 상부개구부, 판 형상의 상부몸체, 중간몸체, 판 형상의 하부몸체 및 하부개구부로 구성되는 외피의 제조시 상기 외피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외피와 내피를 효율적으로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욱 견고하게 외피와 내피를 직조할 수 있어 제조된 컨테이너백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백을 나타낸 투영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외피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내피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백을 나타낸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백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내피제조단계의 제1,3융착단계, 제1,2절개단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내피제조단계의 제2융착단계, 제4융착단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제1준비단계, 제2준비단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제1일체화단계, 제3준비단계 및 제2일체화단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제3일체화단계, 제4준비단계 및 제4일체화단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제1,3융착단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제2,4융착단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외피하부몸체의 보강폐쇄부를 나타낸 부분 저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외피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내피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백을 나타낸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백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내피제조단계의 제1,3융착단계, 제1,2절개단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내피제조단계의 제2융착단계, 제4융착단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제1준비단계, 제2준비단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제1일체화단계, 제3준비단계 및 제2일체화단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제3일체화단계, 제4준비단계 및 제4일체화단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제1,3융착단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정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제2,4융착단계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외피하부몸체의 보강폐쇄부를 나타낸 부분 저면도.
본 발명은 곡물이나 사료 및 공업용 안료 등을 넣어 이동 및 보관하기 위한 컨테이너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하부에 각각 선택적으로 개방이 가능한 외피투입구(220)와 외피배출구(230)가 형성된 외피(200)와,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선택적으로 개방이 가능한 개구부가 형성되는 내피(100)를 상기 외피(200)의 내부에 결합하여 제조하되, 내피(100)의 제조시 각각의 부분을 별도로 제조한 후 융착하여 원재료의 낭비를 최소화하도록 개구부를 제조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상기 외피(200)의 내부에 내피(100)를 결합할 때, 외피(200) 또한 각각의 부분을 별도로 제조한 후 상기 내피(100)와 함께 직조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효율적으로 제조가 가능하여 생산성이 증대되는 폼핏라이너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컨테이너백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폼핏라이너가 구비된 컨테이너백은 내부에 내용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외피몸체(210)와, 상기 외피몸체(210)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개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외피투입구(220) 및 상기 외피몸체(210)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개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외피배출구(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외피(200);와
상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내피중간몸체(112)와, 상기 내피중간몸체(112)의 넓이보다 큰 넓이를 갖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피중간몸체(112)의 상부말단과 하부면이 융착되어 결합되는 내피상부몸체(114) 및 상기 내피중간몸체(112)의 넓이보다 큰 넓이를 갖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피중간몸체(112)의 하부말단과 상부면이 융착되어 결합되는 내피하부몸체(11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내피몸체(110)와, 하부가 상기 내피상부몸체(114)와 연통되도록 융착되는 내피투입구(120)와, 상부가 상기 내피하부몸체(116)와 연통되도록 융착되는 내피배출구(130) 및 상기 내피상부몸체(114)의 테두리와 상기 내피하부몸체(116)의 테두리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 개의 결합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내피(1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내피(100)는 상기 외피(200)의 내측에 위치되어 결합되되, 상기 내피상부몸체(114)의 테두리에 결합된 복수 개의 결합부재(140)가 상기 외피몸체(210)의 내측 상부에 바느질되어 결합되고, 상기 내피하부몸체(116)의 테두리에 결합된 복수 개의 결합부재(140)가 상기 외피몸체(210)의 내측 하부에 바느질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제조방법의 일실시예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내피몸체(110)와 상기 내피몸체(110)의 상부에 연통되도록 돌출형성되는 내피투입구(120)가 형성되고, 상기 내피몸체(110)의 상부와 하부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테두리(114a)(116a)가 형성되는 내피(100)를 제조하는 내피제조단계(S100);와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 또는 다각 형상의 외피중간몸체(212)를 준비하고, 상기 내피제조단계(S100) 이후의 내피(100)를 상기 외피중간몸체(212)에 관통시키는 제2준비단계(S300);와 상부에 외피투입구(220)가 돌출형성된 판 형상의 외피상부몸체(214) 하부면을 상기 제2준비단계(S300) 이후의 외피중간몸체(212)의 상부말단과 밀접시키되, 상기 내피몸체(110)의 상부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테두리(114a)를 상기 외피상부몸체(214) 하부면과 상기 외피중간몸체(212) 상부말단 사이에 위치시키는 제3준비단계(S400);와 상기 외피상부몸체(214)와 상기 내피몸체(110)의 상부에 돌출된 테두리(114a) 및 상기 외피중간몸체(212)의 상부말단을 바느질을 통해 일체화시키는 제2일체화단계(S500);와 하부에 외피배출구(230)가 돌출형성된 판 형상의 외피하부몸체(216) 상부면을 상기 제2일체화단계(S500) 이후의 외피중간몸체(212)의 하부말단과 밀접시키되, 상기 내피몸체(110)의 하부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테두리(116a)를 상기 외피하부몸체(216) 상부면과 상기 외피중간몸체(212) 하부말단 사이에 위치시키는 제4준비단계(S600); 및 상기 외피하부몸체(216)와 상기 내피몸체(110)의 하부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테두리(116a) 및 상기 외피중간몸체(212)의 하부말단을 바느질을 통해 일체화시켜 상기 내피(100)가 내부에 결합된 외피(200)를 제조하는 제4일체화단계(S7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제조방법의 다른 실시예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내피몸체(110)와 상기 내피몸체(110)의 상부에 연통되도록 돌출형성되는 내피투입구(120)가 형성되고, 상기 내피몸체(110)의 상부와 하부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테두리(114a)(116a)가 형성되는 내피(100)를 제조하는 내피제조단계(S100);와 상기 내피몸체(110)의 상부와 하부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테두리(114a)(116a) 각각에 복수 개의 결합부재(140)를 결합하는 제1준비단계(S200);와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 또는 다각 형상의 외피중간몸체(212)를 준비하고, 상기 제1준비단계(S200) 이후의 내피(100)를 상기 외피중간몸체(212)에 관통시키는 제2준비단계(S300);와 상부에 외피투입구(220)가 돌출형성된 판 형상의 외피상부몸체(214) 하부면을 상기 제2준비단계(S300) 이후의 외피중간몸체(212)의 상부말단과 밀접시키되, 상기 내피몸체(110)의 상부에 결합된 복수 개의 결합부재(140)를 상기 외피상부몸체(214) 하부면과 상기 외피중간몸체(212) 상부말단 사이에 위치시키는 제3준비단계(S400);와 상기 외피상부몸체(214)와 상기 내피몸체(110)의 상부에 결합된 복수 개의 결합부재(140) 및 상기 외피중간몸체(212)의 상부말단을 바느질을 통해 일체화시키는 제2일체화단계(S500);와 하부에 외피배출구(230)가 돌출형성된 판 형상의 외피하부몸체(216) 상부면을 상기 제2일체화단계(S500) 이후의 외피중간몸체(212)의 하부말단과 밀접시키되, 상기 내피몸체(110)의 하부에 결합된 복수 개의 결합부재(140)를 상기 외피하부몸체(216) 상부면과 상기 외피중간몸체(212) 하부말단 사이에 위치시키는 제4준비단계(S600); 및 상기 외피하부몸체(216)와 상기 내피몸체(110)의 하부에 결합된 복수 개의 결합부재(140) 및 상기 외피중간몸체(212)의 하부말단을 바느질을 통해 일체화시켜 상기 내피(100)가 내부에 결합된 외피(200)를 제조하는 제4일체화단계(S7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준비단계(S300)와 제3준비단계(S400)의 사이에는 판 형상의 외피상부몸체(214)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214a)과 외피투입구(220)가 연통되도록 상기 외피상부몸체(214)와 외피투입구(220)의 하부를 바느질을 통해 일체화시키는 제1일체화단계(S3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일체화단계(S500)와 제4준비단계(S600)의 사이에는 판 형상의 외피하부몸체(216)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216a)과 외피배출구(230)가 연통되도록 상기 외피하부몸체(216)와 외피배출구(230)의 상부를 바느질을 통해 일체화시키는 제3일체화단계(S5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내피제조단계(S100)는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 또는 다각 형상의 내피중간몸체(112)의 상부말단과 상부에 내피투입구(120)가 돌출형성된 판 형상의 내피상부몸체(114)의 하부면을 융착하여 일체화시키는 제2융착단계(S120);와, 제2융착단계(S120) 이후의 내피중간몸체(112)의 하부말단과 판 형상의 내피하부몸체(116)의 상부면을 융착하여 일체화시키는 제4융착단계(S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융착단계(S120)의 이전에는 판 형상의 내피상부몸체(114)의 상부면 중앙에 내피투입구(120)의 하부말단을 융착하는 제1융착단계(S110);와, 상기 제1융착단계(S110) 이후의 상기 내피상부몸체(114)의 중앙을 절개하되, 상기 내피투입구(120)와 연통되도록 절개하는 제1절개단계(S1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4융착단계(S140)의 이전에는 판 형상의 내피하부몸체(116)의 하부면 중앙에 내피배출구(130)의 상부말단을 융착하는 제3융착단계(S130);와, 상기 제3융착단계(S130) 이후의 상기 내피하부몸체(116)의 중앙을 절개하되, 상기 내피배출구(130)와 연통되도록 절개하는 제2절개단계(S13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융착단계(S120)의 내피상부몸체(114)는 상기 내피중간몸체(112)의 넓이보다 큰 넓이로 형성되어 상기 내피중간몸체(112)와 융착된 후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테두리(114a)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4융착단계(S140)의 내피하부몸체(116)는 상기 내피중간몸체(112)의 넓이보다 큰 넓이로 형성되어 상기 내피중간몸체(112)와 융착된 후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테두리(116a)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폼핏라이너가 구비된 컨테이너백의 제조방법의 일실시예를 순차적으로 살펴보면, 거시적으로는 내피(100)를 제조하는 내피제조단계(S100), 외피중간몸체(212)에 내피(100)를 관통시키는 제2준비단계(S300), 외피상부몸체(214)를 외피중간몸체(212)의 상부에 밀접시키는 제3준비단계(S400), 외피상부몸체(214)와 내피(100)의 상부 및 외피중간몸체(212)를 바느질하는 제2일체화단계(S500), 외피중간몸체(212)의 하부에 외피하부몸체(216)를 밀접시키는 제4준비단계(S600), 외피하부몸체(216)와 내피(100)의 하부 및 외피중간몸체(212)를 바느질하는 제4일체화단계(S7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폼핏라이너가 구비된 컨테이너백의 제조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순차적으로 살펴보면, 거시적으로는 내피(100)를 제조하는 내피제조단계(S100), 내피(100)에 결합부재(140)를 결합하는 제1준비단계(S200), 외피중간몸체(212)에 내피(100)를 관통시키는 제2준비단계(S300), 외피상부몸체(214)를 외피중간몸체(212)의 상부에 밀접시키는 제3준비단계(S400), 외피상부몸체(214)와 내피(100)의 상부 및 외피중간몸체(212)를 바느질하는 제2일체화단계(S500), 외피중간몸체(212)의 하부에 외피하부몸체(216)를 밀접시키는 제4준비단계(S600), 외피하부몸체(216)와 내피(100)의 하부 및 외피중간몸체(212)를 바느질하는 제4일체화단계(S7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각각의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일실시예를 설명하면서 일실시예에 추가되는 다른 실시예 또한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내피제조단계(S100)에 의해 제조되는 내피(100)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내피몸체(110)와, 상기 내피몸체(110)의 상부에 연통되도록 결합되고, 선택적으로 개방이 가능한 내피투입구(120)가 형성되고, 상기 내피몸체(110)의 상부와 하부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테두리(114a)(116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내피몸체(110)는 상하부가 개방되고, 내용물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미표시)이 형성되는 내피중간몸체(112)와, 상기 내피중간몸체(112)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내피투입구(120)와 연통될 수 있는 관통홀(미표시)이 형성된 내피상부몸체(114) 및 상기 내피중간몸체(112)의 하부에 결합되는 내피하부몸체(1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다른 실시예의 내피몸체(110)는 상기 내피하부몸체(116)에 내피배출구(130)와 연통될 수 있는 관통홀(미표시)이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내피(100)는 일실시예의 경우 내피몸체(110)의 하부면이 내피하부몸체(116)에 의해 폐쇄되고,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외피배출구(230)를 통해 내용물을 배출할 때는 작업자가 상기 내피하부몸체(116)를 절개하여 배출하며, 다른 실시예의 경우 내피배출구(130)가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내용물을 배출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내피중간몸체(112)는 상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원통 또는 다각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내피상부몸체(114)는 상기 내피중간몸체(112)의 넓이보다 큰 넓이를 가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내피중간몸체(112)의 상부말단과 융착되어 결합된 후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테두리(114a)를 형성한다. 이때,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내피상부몸체(114)는 상기 테두리(114a)에 복수 개의 결합부재(140)가 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내피중간몸체(112) 또한 상부말단이 상기 내피상부몸체(114)와 융착될 때,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테두리(미도시)가 형성되어 외피(200)와 내피(100)가 결합시 상기 내피(100)가 외피(200)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거나, 결합부재(140)가 더욱더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 내피하부몸체(116)는 상기 내피상부몸체(114)와 마찬가지로 상기 내피중간몸체(112)의 넓이보다 큰 넓이를 가지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내피중간몸체(112)의 하부말단과 융착되어 결합된 후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테두리(116a)를형성하고, 상기 내피하부몸체(116)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테두리(116a)에 복수 개의 결합부재(140)가 결합되며, 상기 내피중간몸체(112) 또한 하부말단이 상기 내피하부몸체(116)와 융착될 때,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테두리(미도시)가 형성되어 상기와 같은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일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서 형성되는 내피투입구(120)와 다른 실시예에서 형성되는 내피배출구(130)는 각각 상기 내피상부몸체(114)와 내피하부몸체(116)에 연통되도록 융착되어 결합되고, 상기 내피몸체(110) 즉, 내피중간몸체(112)의 수용공간에 내용물이 수용되도록 투입되도록 하거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내피(100)는 종래의 컨테이너백 내피와는 다르게 원통 또는 다각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원재료 상하부 양측 모서리를 절개하여 제조되지 않고 각각의 부분을 융착을 통해 제조되므로 원재료의 낭비가 최소화되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내피(100)는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높은 외피(200)의 내부에 결합되어 일체화됨으로써,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내용물을 안전하게 보관 또는 운반될 수 있도록 하는데, 본 발명의 외피(200)는 앞서 설명된 내피(100)와 유사하게 외피몸체(210), 외피투입구(220), 외피배출구(23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내피(100)가 내부에 결합되어 더욱 안정적으로 일체화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외피(200)는 상기 내피(10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내피(100)가 내부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바느질을 통해 상기 내피(100)와 일체화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피몸체(210)는 내부에 내용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하부에 관통홀(214a()216a)이 형성되고, 상기 외피몸체(210)의 상하부에 각각 상기 외피몸체(210)와 연통되도록 바느질을 통해 결합되고, 로프(24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이 가능하도록 외피투입구(220)와 외피배출구(230)가 결합된다. 부가하여, 상기 외피몸체(210)는 이후에 컨테이너에 의해 원활하게 운반될 수 있도록 외측에 크레인고리가 적어도 한 쌍이 바느질에 의해 결합되어 일체화된다.
이때, 상기 외피투입구(220)와 외피배출구(230) 각각의 내측에 앞서 설명된 내피(100)의 내피투입구(120)와 내피배출구(130)가 위치되어 상기 로프(240)에 의해 내피몸체(110)가 함께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상기 내피몸체(110)의 내부에 내용물이 저장된 후 보관 또는 운반될 수 있도록 하고, 필요한 장소에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내피(100)는 내피몸체(110) 즉, 내피상부몸체(114)의 테두리(114a)와 내피하부몸체(116)의 테두리(116a)가 상기 외피(200)의 외피몸체(210) 내측 상하부에 바느질을 통해 일체화되도록 결합되거나, 상기 내피상부몸체(114)의 테두리(114a)와 내피하부몸체(116)의 테두리(116a)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 개의 결합부재(140)가 상기 외피(200)의 외피몸체(210) 내측 상하부에 바느질을 통해 일체화되도록 결합될 수 있고, 상기 결합부재(140)에 의해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상기 외피(200)의 내부에 일체화되도록 결합된다.
즉, 본 발명의 내피(100)는 종래에 비해 원재료의 낭비를 줄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융착에 의해 내피상부몸체(114)와 내피하부몸체(116)가 내피중간몸체(112)에 결합될 때, 융착부위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결합부재(140)가 결합될 수 있는 여유부분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140)에 의한 외피(200)와의 결합이 더욱 원활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내피(100)의 제조방법 즉, 내피제조단계(S100)는 내부에 수용공간(미표시)이 형성되는 내피몸체(110)와 상기 내피몸체(110)의 상부에 연통되도록 돌출형성되는 내피투입구(120)가 형성되고, 상기 내피몸체(110)의 상부와 하부에 외측방향으로 테두리(114a)(116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피제조단계(S100)는 먼저, 판 형상의 내피상부몸체(114)의 상부면 중앙에 내피투입구(120)의 하부말단을 융착하는 제1융착단계(S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융착단계(S110)는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 또는 다각의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내피투입구(120)를 상부면이 평평한 링 형태 또는 상기 내피투입구(120)의 형태와 대응되는 다각의 링 형태의 제1지지프레임(10)에 관통시킨 후 상부말단을 상기 제1지지프레임(10)의 외측으로 감고, 판 형상의 내피상부몸체(114)를 상기 제1지지프레임(10)의 상부에 위치시키되, 중앙이 상기 제1지지프레임(10)에 위치되도록 위치시킨 후 히팅장치(20)를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시켜 상기 내피상부몸체(114)를 가압 및 가열함으로써, 상기 내피상부몸체(114)와 내피투입구(120)가 밀접되는 부분이 융착되어 결합된다.
이때, 상기 내피상부몸체(114)는 상기 링 형태의 제1지지프레임(10)의 외측에 설치되는 제2지지프레임(30)에 의해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융착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내피제조단계(S100)는 상기 제1융착단계(S110) 이후의 상기 내피상부몸체(114)의 중앙을 절개하되, 상기 내피투입구(120)와 연통되도록 절개하는 제1절개단계(S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절개단계(S112)는 상기 내피상부몸체(114)가 상기 내피투입구(120)가 연통될 수 있도록 즉, 상기 내피투입구(120)를 통해 상기 내피상부몸체(114)의 하부로 내용물이 관통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내피투입구(120)의 내측에 해당하는 상기 내피상부몸체(114) 중앙 부분을 칼로 절개한다.
다음으로, 상기 내피제조단계(S100)는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 또는 다각 형상의 내피중간몸체(112)의 상부말단과 상부에 내피투입구(120)가 돌출형성된 판 형상의 내피상부몸체(114)의 하부면을 융착하여 일체화시키는 제2융착단계(S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내피상부몸체(114)와 내피중간몸체(112)의 형상은 제조하고자 하는 컨테이너백의 몸체형상 즉, 외피(200)의 외피몸체(21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조됨은 자명할 것이고, 이에 따라 상기 내피중간몸체(112), 내피상부몸체(114) 이후에 언급될 내피하부몸체(116) 및 외피몸체(210) 즉, 외피중간몸체(212), 외피상부몸체(214) 및 외피하부몸체(216)의 형상은 동일한 형상 즉, 원통 또는 다각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하 본 발명에서는 사각의 형태를 일시시예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제2융착단계(S120)는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 또는 다각 형상 즉, 사각의 기둥 형상의 내피중간몸체(112)의 상부말단과 상부에 내피투입구(120)가 돌출된 판 형상의 내피상부몸체(114)의 하부면 즉, 상기 제2절개단계(S112) 이후의 상기 내피상부몸체(114)의 하부면을 융착하여 일체화시키는 것으로서, 상하부가 개방된 내피중간몸체(112)를 상부면이 평평한 사각의 고리(또는 링) 형태 즉, 내피중간몸체(112)의 형상과 대응되는 고리 형태의 제3지지프레임(40)에 관통시킨 후 상부말단을 상기 제3지지프레임(40)의 외측으로 감고, 상기 내피상부몸체(114)의 하부면을 상기 제3지지프레임(40)의 상부에 위치시키되, 중앙이 상기 제3지지프레임(40)의 중앙과 일치되도록 위치시킨 후 히팅장치(20)를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시켜 상기 내피상부몸체(114)를 가압 및 가열함으로써, 상기 내피상부몸체(114)와 내피중간몸체(112)가 밀접되는 부분이 융착되어 결합된다.
이때, 상기 내피상부몸체(114)의 상부에 돌출된 내피투입구(120)는 상기 제3지지프레임(40)의 하부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 상기 내피상부몸체(114)를 상기 제3지지프레임(40)에 위치시킬 때, 상부면을 위치시켜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제2융착단계(S120)에서 상기 내피상부몸체(114)는 상기 내피중간몸체(112)의 넓이보다 큰 넓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달리 말하면 상기 내피상부몸체(114)는 상기 제3지지프레임(40)의 넓이보다 큰 넓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고, 이에 따라 융착이 더욱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상기 내피중간몸체(112)와 융착 후 융착 부위의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테두리(114a)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테두리(114a)에 의해 보다 효율적이고 견고하게 외피(200)와 내피(100)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내피상부몸체(114)는 상기 내피중간몸체(112)의 넓이보다 큰 넓이 즉, 상기 제3지지프레임(40)의 넓이보다 큰 넓이로 형성됨으로써, 다른 실시예에서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결합부재(140)를 내피(100)에 결합할 때, 상기 내피중간몸체(112)와 내피상부몸체(114)가 융착된 부분의 외측에 위치한 상기 내피상부몸체(114)의 테두리(114a)에 상기 결합부재(140)를 결합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견고하게 상기 결합부재(140)의 결합 및 외피(200)와 내피(100)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융착단계(S120)에서 상기 내피상부몸체(114)와 상기 내피중간몸체(112)가 융착되어 결합될 때, 상기 내피중간몸체(112) 또한 융착된 부위의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테두리(미도시)가 함께 형성되고, 이에 따라 상기 내피중간몸체(112)의 테두리 또한 앞서 설명된 내피상부몸체(114)의 테두리(114a)와 마찬가지로 외피(200)와 내피(100)의 결합이 원활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결합부재(140)가 더욱 용이하고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다음으로, 상기 내피제조단계(S100)는 앞서 설명된 제2융착단계(S120) 이후의 내피중간몸체(112)의 하부말단과 판 형상의 내피하부몸체(116)의 상부면을 융착하여 일체화시키는 제4융착단계(S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4융착단계(S140)는 내피투입구(120)가 상부 중앙에 융착된 내피상부몸체(114)가 상부에 융착된 내피중간몸체(112)를 제2융착단계(S120)와 동일하게 제3지지프레임(40)을 이용하여 내피하부몸체(116)의 상부면을 상기 내피중간몸체(112)의 하부에 융착하는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내피하부몸체(116) 또한 상기 내피상부몸체(114)와 마찬가지로 상기 내피중간몸체(112)의 넓이보다 큰 넓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달리 말하면 상기 내피하부몸체(116)는 상기 제3지지프레임(40)의 넓이보다 큰 넓이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하고, 이에 따라 융착이 더욱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융착된 부위의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테두리(116a)가 형성되어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결합부재(140)를 내피(100)에 결합할 때,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보다 효율적이고 견고하게 상기 결합부재(140)의 결합 및 외피(200)와 내피(100)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내피중간몸체(112)의 하부도 상기 내피하부몸체(116)와 융착된 부위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테두리(미도시)가 형성되고, 앞서 상부에 형성된 테두리와 동일한 역할과 효과를 가지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상기 내피제조단계(S100)는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4융착단계(S140) 이전에 실시되는 판 형상의 내피하부몸체(116)의 하부면 중앙에 내피배출구(130)의 상부말단을 융착하는 제3융착단계(S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융착단계(S130)는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 또는 다각의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내피배출구(120)를 제1융착단계(S110)와 동일하게 제1지지프레임(10)과 제2지지프레임(30)을 이용하여 판 형상의 내피하부몸체(116)와 융착하는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후, 상기 내피제조단계(S100)는 상기 제3융착단계(S130) 이후의 상기 내피하부몸체(114)의 중앙을 절개하되, 상기 내피배출구(130)와 연통되도록 절개하는 제2절개단계(S13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절개단계(S132) 또한 제1절개단계(S112)단계와 동일하게 상기 내피하부몸체(114)의 중앙을 절개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내피제조단계(S100)는 상기와 같은 제1융착단계(S110), 제1절개단계(S112), 제2융착단계(S120) 및 제4융착단계(S140) 또는 제1융착단계(S110), 제1절개단계(S112), 제2융착단계(S120), 제3융착단계(S130), 제2절개단계(S132) 및 제4융착단계(S140)를 통해 절개를 통해 버려지는 원재료의 양이 종래보다 현저히 적어 원재료의 낭비를 줄임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준비단계(S200)는 다른 실시예에서 자세히 설명될 제2준비단계(S300) 이전에 실시되는 것으로서, 내피(100)의 내피몸체(110)의 상부와 하부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테두리(114a)(116a)에 각각 복수 개의 결합부재(140)를 결합하는 것으로서, 상기 내피몸체(110)의 상부말단 외측 즉, 상기 내피몸체(110)의 내피상부몸체(114)의 테두리(114a)와 상기 내피몸체(110)의 하부말단 외측 즉, 상기 내피몸체(110)의 내피하부몸체(116)의 테두리(116a)에 복수 개의 결합부재(140)가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재(140)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제2일체화단계(S500)에서 내피(100)가 외피(200)의 내부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내피중앙몸체(112)보다 큰 넓이로 형성된 내피상부몸체(114)와 내피하부몸체(116)가 상기 내피중앙몸체(112)에 제2,3융착단계(S120)(S130)에서 융착될 때, 상기 내피상부몸체(114)와 내피하부몸체(116) 테두리(114a)(116a)와 상기 내피중앙몸체(112)의 테두리가 융착된 부위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융착되고, 이에 따라 상기 결합부재(140)가 상기 내피상부몸체(114)의 테두리(114a)와 내피하부몸체(116)의 테두리(116a) 및 내피중앙몸체(112)의 테두리에 복수 개가 결합되어 상기 내피중앙몸체(112)의 외측방향으로 더 돌출된다.
이때,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융착된 부위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내피상부몸체(114)의 테두리(114a)와 내피하부몸체(116)의 테두리(116a)가 외피(100)와 결합될 수도 있으나, 보다 결합의 내구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상기 결합부재(140)를 결합한다.
아울러, 상기 결합부재(140)는 일반적으로 일반적인 PE재질 즉, 비닐류보다 강도가 높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효율적으로 상기 내피(100)에 결합되기 위해 필라멘트 테이프와 같은 강도 높은 재질로 이루어진 테이프를 사용하여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하여, 상기 결합부재(140)는 상기 내피몸체(110) 즉, 상기 내피상부몸체(114)와 내피하부몸체(116)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두면이 만나는 4부분의 모서리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외피(200)에 내피(100)가 상기 결합부재(140)에 의해 결합될 때,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하고,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보다 많은 수가 결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준비단계(S300)는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 또는 다각 형상 본 발명에서는 사각 기둥 형상의 외피중간몸체(212)를 준비하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준비단계(S200) 이후 즉, 복수 개의 결합부재(140)가 결합된 내피(100) 또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피제조단계(S100) 이후의 내피(100)를 상기 외피중간몸체(212)에 관통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내피(100)의 내피상부몸체(114)와 내피하부몸체(116)가 각각 상기 외피중간몸체(212)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되도록 관통시켜 이후의 제3준비단계(S400) 및 제2일체화단계(S500)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외피중간몸체(212)는 상기 내피(100)의 내피몸체(110)보다 큰 직경 또는 넓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은 자명할 것이고,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외피(200)의 재질은 상기 내피(100)보다 강한 내구성을 가져 수용되는 내용물의 중량을 견딜수 있는 천연 섬유재, PVC, 합성수지재(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의 재질을 사용하여 직조 또는 제조되어 형성되고, 다단 적층이나 병렬 적재되기 용이한 외형을 유지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일체화단계(S350)는 상기 제2준비단계(S300)와는 별도로 먼저 이루어져도 무방하고, 판 형상의 외피상부몸체(214)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214a)과 외피투입구(220)가 연통되도록 상기 외피상부몸체(214)와 외피투입구(220)의 하부를 바느질을 통해 일체화시키는 것으로서, 이후의 제3준비단계(S400) 이전에 외피투입구(220)가 구비되는 외피상부몸체(214)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외피(200)는 내피와 마찬가지로 내부에 내용물이 저장될 수 있는 수용공간(미표시)이 형성되는 외피몸체(210)와, 상기 외피몸체(210)와 연통되도록 상부에 결합되되, 선택적으로 개방이 가능한 외피투입구(220) 및 상기 외피몸체(210)와 연통되도록 하부에 결합되되, 선택적으로 개방이 가능한 외피배출구(2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피몸체(210)는 상하부가 개방되고, 원통 또는 다각의 기둥 형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사각의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외피중간몸체(212)와, 상기 외피중간몸체(212)의 상부에 결합되는 판 형상의 외피상부몸체(214) 및 상기 외피중간몸체(212)의 하부에 결합되는 판 형상의 외피하부몸체(2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외피상부몸체(214)와 외피하부몸체(216)는 중앙에 각각 상기 외피투입구(220)와 상기 외피배출구(230)가 결합되었을 때 연통될 수 있도록 관통홀(214a)(216a)가 형성된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제1일체화단계(S350)는 상기 외피상부몸체(214)의 상부면에 상기 외피투입구(230)가 연통되도록 결합하는 것으로, 바느질을 통해 견고하게 결합하고, 이후에 기 제조된 내피(100)의 내피투입구(120)가 상기 외피투입구(230)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내피(100)의 내부로 내용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내피투입구(120)와 함께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상기 내피투입구(120)의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외피투입구(230)는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하기 위해 외측에 결합되는 로프(2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로프(240)에 의해 조여진 후 상기 로프(240)의 묶임으로 인해 폐쇄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준비단계(S400)는 상부에 외피투입구(220)가 돌출형성된 판 형상의 외피상부몸체(214) 하부면을 상기 제2준비단계(S300) 이후의 외피중간몸체(212)의 상부말단과 밀접시키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피몸체(110)의 상부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테두리 즉, 상기 외피상부몸체(114)의 테두리(114a)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피몸체(110)의 상부에 결합된 복수 개의 결합부재(140)를 상기 외피상부몸체(214) 하부면과 상기 외피중간몸체(212) 상부말단 사이에 위치시키는 것으로서,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제2일체화단계(S500)에서 바느질을 통해 상기 외피상부몸체(214), 외피중간몸체(212), 내피상부몸체(114)의 테두리(114a) 또는 상기 외피상부몸체(214), 외피중간몸체(212), 결합부재(140)가 일체화되어 외피(200)의 내측 상부에 내피(100)의 상부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준비단계이다.
즉, 상기 제3준비단계(S400)는 제1일체화단계(S350)에서 상부에 외피투입구(220)가 결합된 판 형상의 외피상부몸체(214)의 하부면을 상기 외피중간몸체(212)의 상부말단과 밀접시키되, 상기 내피몸체(110)의 상부 테두리 또는 상기 내피몸체(110)의 상부에 결합된 복수 개의 결합부재(140)를 상기 외피상부몸체(214) 하부면과 상기 외피중간몸체(212) 상부말단 사이에 위치시켜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제2일체화단계(S500)에서 상기 외피상부몸체(214), 외피중간몸체(212), 상기 내피몸체(110)의 상부 테두리 또는 결합부재(140)가 함께 바느질을 통해 일체화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일체화단계(S500)는 상기 제3준비단계(S400) 이후 상기 외피상부몸체(214)와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기 내피몸체(110)의 상부에 돌출된 테두리(114a) 또는 다른 실시예의 상기 내피몸체(110)의 상부에 결합된 복수 개의 결합부재(140) 및 상기 외피중간몸체(212)의 상부말단을 바느질을 통해 일체화시키는 것으로서, 외피(200)의 내측 상부에 내피(100)의 상부가 바느질을 통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외피상부몸체(214)와 외피중간몸체(212)는 각각 말단을 접어 더욱 견고하게 바느질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상기 외피상부몸체(214)의 말단 즉, 테두리는 상부방향으로 접고, 상기 외피중간몸체(212)의 말단 즉, 상부말단은 외측방향으로 접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바느질을 할 때 원활하게 바느질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결합부위의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실현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상기 제3일체화단계(S550)는 상기 제2일체화단계(S500)와는 별도로 판 형상의 외피하부몸체(216)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216a)과 외피배출구(230)가 연통되도록 상기 외피하부몸체(216)와 외피배출구(230)의 상부를 바느질을 통해 일체화시키는 것으로서, 앞서 설명된 제1일체화단계(S350) 진행시 함께 진행되어도 무방하고, 이후의 제4준비단계(S600) 이전에 외피배출구(230)가 구비되는 외피하부몸체(216)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외피하부몸체(216)는 앞서 설명된 외피상부몸체(214)와 다르게 관통홀(216a)을 중앙에 형성할 때, 하부면 중앙을 십자형태로 절개하여 형성하고, 절개한 부분으로 상기 외피배출구(230)의 상부를 상기 관통홀(216a)로 인입시킨 후 바느질을 통해 결합하여 십자형태로 절개된 부분이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외피하부몸체(216)는 상기 십자형태로 절개되어 유동되는 4개의 부분(미표시)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보강폐쇄부(216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보강폐쇄부(216b)는 1차로 상기 외피하부몸체(216)의 하부를 폐쇄하여 내용물이 안정적으로 보관되도록 하고,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외피하부몸체(216)의 외측에 결합되는 로프(240)에 의해 2차로 상기 외피하부몸체(216)의 하부가 폐쇄되어 더욱더 안정적으로 내용물이 보관되도로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보강폐쇄부(216b)는 상기 제3일체화단계(S500) 진행 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십자형태로 절개되는 외피하부몸체(216)의 관통홀(216a)로 외피배출구(230)의 상부가 원활하게 인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상기 보강폐쇄부(216b)는 십자형태로 절개된 외피하부몸체(216)의 4개부분을 각각 상부 내측으로 접은 후 말단을 바느질을 통해 결합함으로써, 상기 관통홀(216a)을 따라 형성되는 로프홀(216b-1)이 형성되고, 상기 로프홀(216b-1)에 관통되는 보조로프(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보조로프(250)에 의해 1차로 외피배출구(230)가 선택적으로 개방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준비단계(S600)는 하부에 외피배출구(230)가 돌출형성된 판 형상의 외피하부몸체(216) 상부면을 상기 제2일체화단계(S500) 이후의 외피중간몸체(212)의 하부말단과 밀접시키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기 내피몸체(110)의 하부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테두리(116a) 또는 다른 실시예의 상기 내피몸체(110)의 하부에 결합된 복수 개의 결합부재(140)를 상기 외피하부몸체(216) 상부면과 상기 외피중간몸체(212) 하부말단 사이에 위치시키는 것으로서,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제4일체화단계(S700)에서 바느질을 통해 상기 외피하부몸체(216), 외피중간몸체(212), 상기 내피몸체(110)의 테두리(116a) 또는 결합부재(140)가 일체화되어 외피(200)의 내측 하부에 내피(100)의 하부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준비단계이다.
즉, 상기 제4준비단계(S400)는 제3일체화단계(S550)에서 하부에 외피배출구(230)가 결합된 판 형상의 외피하부몸체(216)의 상부면을 상기 외피주안몸체(212)의 하부말단과 밀접시키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기 내피몸체(110)의 하부의 테두리(116a) 즉, 내피하부몸체(116)의 테두리(116a) 또는 다른 실시예의 상기 내피몸체(110)의 하부에 결합된 복수 개의 결합부재(140)를 상기 외피하부몸체(216) 하부면과 상기 외피중간몸체(212) 하부말단 사이에 위치시켜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제4일체화단계(S700)에서 상기 외피하부몸체(216), 외피중간몸체(212), 내피하부몸체(116)의 테두리(116a) 또는 결합부재(140)가 함께 바느질을 통해 일체화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일체화단계(S700)는 상기 외피하부몸체(216)와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기 내피몸체(110) 하부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테두리(116a) 또는 다른 실시예의 상기 내피몸체(110)의 하부에 결합된 복수 개의 결합부재(140) 및 상기 외피중간몸체(212)의 하부말단을 바느질을 통해 일체화시켜 상기 내피(100)가 내부에 결합된 외피(200)를 제조하는 것으로서, 외피(200)의 내측 하부에 내피(100)의 하부 외측이 바느질을 통해 결합되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외피(200)의 내부에 내피(100)가 결합된 컨테이너백이 제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외피하부몸체(216)와 외피중간몸체(212)는 앞서 설명된 제2일체화단계(S500)와 마찬가지로 각각 말단을 접어 더욱 견고하게 바느질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상기 외피하부몸체(216)의 말단 즉, 테두리는 하부방향으로 접고, 상기 외피중간몸체(212)의 말단, 즉, 하부말단은 외측방향으로 접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바느질을 할 때 원활하게 바느질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결합부위의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실현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폼핏라이너를 구비한 컨테이너백 제조방법은 종래에 원통형의 내피 원재료를 절개하지 않고, 융착을 통해 라이너를 구비하는 내피상부몸체(114)와 내피하부몸체(116)를 내피중간몸체(112)에 융착결합하여 내피(100)를 제조함으로써, 절개에 의해 버려지는 원재료의 낭비가 적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융착에 의해 남는 부분을 이용하여 외피(200)의 내부에 내피(100)를 더욱더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어 보다 우수한 컨테이너백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내피
110 : 내피몸체 112 : 내피중간몸체
114 : 내피상부몸체 114a,116a : 테두리
116 : 내피하부몸체 120 : 내피투입구
130 : 내피배출구
200 : 외피
210 : 외피몸체 212 : 외피중간몸체
214 : 외피상부몸체 214a, 216a : 관통홀
216 : 외피하부몸체 220 : 외피투입구
230 : 외피배출구 240 : 로프
110 : 내피몸체 112 : 내피중간몸체
114 : 내피상부몸체 114a,116a : 테두리
116 : 내피하부몸체 120 : 내피투입구
130 : 내피배출구
200 : 외피
210 : 외피몸체 212 : 외피중간몸체
214 : 외피상부몸체 214a, 216a : 관통홀
216 : 외피하부몸체 220 : 외피투입구
230 : 외피배출구 240 : 로프
Claims (10)
- 삭제
-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내피몸체(110)와 상기 내피몸체(110)의 상부에 연통되도록 돌출형성되는 내피투입구(120)가 형성되고, 상기 내피몸체(110)의 상부와 하부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테두리(114a)(116a)가 형성되는 내피(100)를 제조하는 내피제조단계(S100);와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 또는 다각 형상의 외피중간몸체(212)를 준비하고, 상기 내피제조단계(S100) 이후의 내피(100)를 상기 외피중간몸체(212)에 관통시키는 제2준비단계(S300);와
상부에 외피투입구(220)가 돌출형성된 판 형상의 외피상부몸체(214) 하부면을 상기 제2준비단계(S300) 이후의 외피중간몸체(212)의 상부말단과 밀접시키되, 상기 내피몸체(110)의 상부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테두리(114a)를 상기 외피상부몸체(214) 하부면과 상기 외피중간몸체(212) 상부말단 사이에 위치시키는 제3준비단계(S400);와
상기 외피상부몸체(214)와 상기 내피몸체(110)의 상부에 돌출된 테두리(114a) 및 상기 외피중간몸체(212)의 상부말단을 바느질을 통해 일체화시키는 제2일체화단계(S500);와
하부에 외피배출구(230)가 돌출형성된 판 형상의 외피하부몸체(216) 상부면을 상기 제2일체화단계(S500) 이후의 외피중간몸체(212)의 하부말단과 밀접시키되, 상기 내피몸체(110)의 하부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테두리(116a)를 상기 외피하부몸체(216) 상부면과 상기 외피중간몸체(212) 하부말단 사이에 위치시키는 제4준비단계(S600); 및
상기 외피하부몸체(216)와 상기 내피몸체(110)의 하부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테두리(116a) 및 상기 외피중간몸체(212)의 하부말단을 바느질을 통해 일체화시켜 상기 내피(100)가 내부에 결합된 외피(200)를 제조하는 제4일체화단계(S7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내피제조단계(S100)는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 또는 다각 형상의 내피중간몸체(112)의 상부말단과 상부에 내피투입구(120)가 돌출형성된 판 형상의 내피상부몸체(114)의 하부면을 융착하여 일체화시키는 제2융착단계(S120);와
제2융착단계(S120) 이후의 내피중간몸체(112)의 하부말단과 판 형상의 내피하부몸체(116)의 상부면을 융착하여 일체화시키는 제4융착단계(S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융착단계(S120)의 이전에는
판 형상의 내피상부몸체(114)의 상부면 중앙에 내피투입구(120)의 하부말단을 융착하는 제1융착단계(S110);와
상기 제1융착단계(S110) 이후의 상기 내피상부몸체(114)의 중앙을 절개하되, 상기 내피투입구(120)와 연통되도록 절개하는 제1절개단계(S1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핏라이너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제조방법.
-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내피몸체(110)와 상기 내피몸체(110)의 상부에 연통되도록 돌출형성되는 내피투입구(120)가 형성되고, 상기 내피몸체(110)의 상부와 하부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테두리(114a)(116a)가 형성되는 내피(100)를 제조하는 내피제조단계(S100);와
상기 내피몸체(110)의 상부와 하부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테두리(114a)(116a) 각각에 복수 개의 결합부재(140)를 결합하는 제1준비단계(S200);와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 또는 다각 형상의 외피중간몸체(212)를 준비하고, 상기 제1준비단계(S200) 이후의 내피(100)를 상기 외피중간몸체(212)에 관통시키는 제2준비단계(S300);와
상부에 외피투입구(220)가 돌출형성된 판 형상의 외피상부몸체(214) 하부면을 상기 제2준비단계(S300) 이후의 외피중간몸체(212)의 상부말단과 밀접시키되, 상기 내피몸체(110)의 상부에 결합된 복수 개의 결합부재(140)를 상기 외피상부몸체(214) 하부면과 상기 외피중간몸체(212) 상부말단 사이에 위치시키는 제3준비단계(S400);와
상기 외피상부몸체(214)와 상기 내피몸체(110)의 상부에 결합된 복수 개의 결합부재(140) 및 상기 외피중간몸체(212)의 상부말단을 바느질을 통해 일체화시키는 제2일체화단계(S500);와
하부에 외피배출구(230)가 돌출형성된 판 형상의 외피하부몸체(216) 상부면을 상기 제2일체화단계(S500) 이후의 외피중간몸체(212)의 하부말단과 밀접시키되, 상기 내피몸체(110)의 하부에 결합된 복수 개의 결합부재(140)를 상기 외피하부몸체(216) 상부면과 상기 외피중간몸체(212) 하부말단 사이에 위치시키는 제4준비단계(S600); 및
상기 외피하부몸체(216)와 상기 내피몸체(110)의 하부에 결합된 복수 개의 결합부재(140) 및 상기 외피중간몸체(212)의 하부말단을 바느질을 통해 일체화시켜 상기 내피(100)가 내부에 결합된 외피(200)를 제조하는 제4일체화단계(S7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내피제조단계(S100)는
상하부가 개방된 원통 또는 다각 형상의 내피중간몸체(112)의 상부말단과 상부에 내피투입구(120)가 돌출형성된 판 형상의 내피상부몸체(114)의 하부면을 융착하여 일체화시키는 제2융착단계(S120);와
제2융착단계(S120) 이후의 내피중간몸체(112)의 하부말단과 판 형상의 내피하부몸체(116)의 상부면을 융착하여 일체화시키는 제4융착단계(S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융착단계(S120)의 이전에는
판 형상의 내피상부몸체(114)의 상부면 중앙에 내피투입구(120)의 하부말단을 융착하는 제1융착단계(S110);와
상기 제1융착단계(S110) 이후의 상기 내피상부몸체(114)의 중앙을 절개하되, 상기 내피투입구(120)와 연통되도록 절개하는 제1절개단계(S1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핏라이너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제조방법.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준비단계(S300)와 제3준비단계(S400)의 사이에는
판 형상의 외피상부몸체(214)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214a)과 외피투입구(220)가 연통되도록 상기 외피상부몸체(214)와 외피투입구(220)의 하부를 바느질을 통해 일체화시키는 제1일체화단계(S3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핏라이너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제조방법.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일체화단계(S500)와 제4준비단계(S600)의 사이에는
판 형상의 외피하부몸체(216)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216a)과 외피배출구(230)가 연통되도록 상기 외피하부몸체(216)와 외피배출구(230)의 상부를 바느질을 통해 일체화시키는 제3일체화단계(S5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핏라이너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제조방법.
- 삭제
- 삭제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4융착단계(S140)의 이전에는
판 형상의 내피하부몸체(116)의 하부면 중앙에 내피배출구(130)의 상부말단을 융착하는 제3융착단계(S130);와
상기 제3융착단계(S130) 이후의 상기 내피하부몸체(116)의 중앙을 절개하되, 상기 내피배출구(130)와 연통되도록 절개하는 제2절개단계(S13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핏라이너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제조방법.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융착단계(S120)의 내피상부몸체(114)는
상기 내피중간몸체(112)의 넓이보다 큰 넓이로 형성되어 상기 내피중간몸체(112)와 융착된 후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테두리(114a)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핏라이너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제조방법.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4융착단계(S140)의 내피하부몸체(116)는
상기 내피중간몸체(112)의 넓이보다 큰 넓이로 형성되어 상기 내피중간몸체(112)와 융착된 후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테두리(116a)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핏라이너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3568A KR102144570B1 (ko) | 2019-12-24 | 2019-12-24 | 폼핏라이너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컨테이너백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73568A KR102144570B1 (ko) | 2019-12-24 | 2019-12-24 | 폼핏라이너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컨테이너백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44570B1 true KR102144570B1 (ko) | 2020-08-13 |
Family
ID=72043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73568A KR102144570B1 (ko) | 2019-12-24 | 2019-12-24 | 폼핏라이너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컨테이너백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44570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84389A (ko) * | 2022-12-06 | 2024-06-13 | 에스엘피 주식회사 | 보강날개부를 가지는 컨테이너 백의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컨테이너 백 |
KR102719338B1 (ko) | 2024-05-03 | 2024-10-18 | 최용덕 | 컨테이너백 및 그의 제조방법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46203Y1 (ko) * | 2001-06-28 | 2001-10-17 | 박영묵 | 컨테이너 백 |
KR100346357B1 (ko) | 1993-10-29 | 2002-12-18 | 삼성세미콘덕터, 인코포레이티드 | 프레임버퍼용출력스위칭회로의구조 |
KR100441602B1 (ko) | 2002-04-11 | 2004-07-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복수의 재생장치를 갖는 복합장치 및 그의 동작제어방법 |
KR20140125547A (ko) * | 2013-04-19 | 2014-10-29 | 최용덕 | 컨테이너 백 |
KR101475465B1 (ko) * | 2013-07-12 | 2014-12-23 | 최용덕 |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 |
KR101491820B1 (ko) | 2013-09-16 | 2015-02-11 | 최용덕 | 컨테이너백 |
KR101547563B1 (ko) | 2014-01-23 | 2015-08-27 | 주식회사 한국프레콘 | 컨테이너백 및 그 제조방법 |
KR101700085B1 (ko) * | 2016-07-04 | 2017-01-26 | (주)성림산업 | 진공 및 방수가 가능한 컨테이너 백 |
-
2019
- 2019-12-24 KR KR1020190173568A patent/KR10214457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46357B1 (ko) | 1993-10-29 | 2002-12-18 | 삼성세미콘덕터, 인코포레이티드 | 프레임버퍼용출력스위칭회로의구조 |
KR200246203Y1 (ko) * | 2001-06-28 | 2001-10-17 | 박영묵 | 컨테이너 백 |
KR100441602B1 (ko) | 2002-04-11 | 2004-07-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복수의 재생장치를 갖는 복합장치 및 그의 동작제어방법 |
KR20140125547A (ko) * | 2013-04-19 | 2014-10-29 | 최용덕 | 컨테이너 백 |
KR101475465B1 (ko) * | 2013-07-12 | 2014-12-23 | 최용덕 |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 |
KR101491820B1 (ko) | 2013-09-16 | 2015-02-11 | 최용덕 | 컨테이너백 |
KR101547563B1 (ko) | 2014-01-23 | 2015-08-27 | 주식회사 한국프레콘 | 컨테이너백 및 그 제조방법 |
KR101700085B1 (ko) * | 2016-07-04 | 2017-01-26 | (주)성림산업 | 진공 및 방수가 가능한 컨테이너 백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84389A (ko) * | 2022-12-06 | 2024-06-13 | 에스엘피 주식회사 | 보강날개부를 가지는 컨테이너 백의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컨테이너 백 |
KR102707095B1 (ko) * | 2022-12-06 | 2024-09-19 | 에스엘피 주식회사 | 보강날개부를 가지는 컨테이너 백의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컨테이너 백 |
KR102719338B1 (ko) | 2024-05-03 | 2024-10-18 | 최용덕 | 컨테이너백 및 그의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10345740A1 (en) | Tote Bag | |
CN101715413B (zh) | 薄膜包装袋 | |
US5209364A (en) | Collapsible containment system | |
US4499599A (en) | Stackable flexible bulk container | |
US20060285776A1 (en) | Bulk bag for meat and meat products | |
EP0168974A2 (en) | Lining for a flexible bulk container | |
US7798712B2 (en) | Large capacity waste disposal bag | |
US7195397B2 (en) | Bulk bag for meat and meat products | |
KR101700085B1 (ko) | 진공 및 방수가 가능한 컨테이너 백 | |
JP2000502015A (ja) | 流動性材料用軟質容器 | |
CA2832688A1 (en) | Rigid collapsible liner for insulated container | |
US20030123757A1 (en) | Bulk bag with seamless bottom | |
KR101032147B1 (ko) |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 및 그 구조 | |
KR102144570B1 (ko) | 폼핏라이너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컨테이너백 | |
KR200479149Y1 (ko) | 비닐 내피가 구비된 이중 톤백 | |
US9272818B2 (en) | Flexible container | |
KR102006704B1 (ko) | 컨테이너 백 및 컨테이너 백용 라이너 | |
US20020164093A1 (en) | Container with repositionable slip-sheet to cover outlet | |
KR102492023B1 (ko) | 컨테이너백 및 그의 제조방법 | |
US20100224520A1 (en) | Container having vertical support elements adaptable to container pallet | |
US5924796A (en) | One piece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same | |
SU1574165A3 (ru) | Гибкий контейнер дл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 |
US20060245671A1 (en) | Free Standing Bag | |
GB2050298A (en) | Collapsible receptacle with integral sling | |
KR101011503B1 (ko) | 컨테이너 백 제조방법 및 컨테이너 백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