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1820B1 - 컨테이너백 - Google Patents

컨테이너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1820B1
KR101491820B1 KR20130111234A KR20130111234A KR101491820B1 KR 101491820 B1 KR101491820 B1 KR 101491820B1 KR 20130111234 A KR20130111234 A KR 20130111234A KR 20130111234 A KR20130111234 A KR 20130111234A KR 101491820 B1 KR101491820 B1 KR 101491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liner
outback
fabric
tape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1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덕
Original Assignee
최용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용덕 filed Critical 최용덕
Priority to KR20130111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18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18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double-walled or with 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4Suspens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22Large containers flexible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내용물을 보호하도록 구비되는 이너라이너를 고정하여 보관효율이 향상되되 내용물의 수납과 배출시 작업효율이 향상되도록, 본 발명은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투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된 아웃백과, 상기 아웃백의 내측에 배치되되 분체류를 상기 아웃백의 내측면과 분리하여 수납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넓게 형성된 수납부와 좁게 형성된 입구부 및 출구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상측 및 하측 경사부가 형성된 이너라이너와, 상기 이너라이너를 상기 아웃백에 연결하는 직물 연결테이프를 포함하는 컨테이너백에 있어서, 상기 직물 연결테이프는 각각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이너라이너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 직물 연결테이프와 상기 이너라이너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직물 연결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직물 연결테이프의 일측은 상기 수납부와 상기 상측 경사부가 연결되는 제1절곡부의 상측에 접착되고 타측이 상기 아웃백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고정되되,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을 잇는 연결라인이 상기 이너라이너의 상하방향 중심선과 30~60°의 사이각을 이루도록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백{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본 발명은 컨테이너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용물을 보호하도록 구비되는 이너라이너를 고정하여 보관효율이 향상되되 내용물의 수납과 배출시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컨테이너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백(container bag)은 FIBC(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빅 백(big bag), 벌크 백(bulk bag)으로도 불리며, 곡물이나 합성수지 재료 등 내용물을 수납하여 운송 및 보관하기 위한 산업용 포대로서, 유연성 있는 소재를 사용하여 상기 내용물의 수납과 인출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컨테이너 백에는 500Kg 내지 2000Kg 정도의 화학물질(chemical), 광물질(mineral), 곡류(grain), 합성수지 분말 재료, 시멘트 등의 내용물을 수납하고 크레인(crane)이나 호이스트(hoist) 지게차 등으로 운반되어 창고에 보관되거나 트럭에 적재되어 운송된다.
한편, 상기 내용물은 펠렛(pellet)이나 그래뉼(granule), 파우더(powder) 등과 같은 분체류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컨테이너 백은 내용물의 중량에 의해 늘어나면서 원단의 조직이 성글게 되어 틈새가 발생하고, 이러한 틈새로 미세한 입자형태의 내용물이 누출되고, 외부에 먼지나 오염된 불순물이 틈새로 유입되어 내용물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특히, 미세한 입자형태의 분체류로 구성된 내용물은 수분과 이물질이 유입될 경우에 산화나 부식 등으로 품질이 저하되고 심각할 경우 컨테이너백에 보관된 모든 내용물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어 심각한 경제적인 손실을 발생하기도 한다.
도 1은 종래의 컨테이너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컨테이너백(100)은 외부로부터 수납된 내용물을 보호하도록 합성수지로 형성된 아웃백(1)과, 그의 내측에 구비되는 비닐 재질의 이너라이너(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컨테이너백(100)에 수납된 내용물은 상기 이너라이너(2)에 수납된 상태로 상기 아웃백(1) 내에 보관됨으로써, 내용물이 아웃백(1)의 내부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하여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내용물이 손실 및 누출되지 않도록 구성되었다.
그리고, 산업현장에서는 사일로(silo)에 저장된 내용물을 포장하기 위해, 이너라이너가 결합된 아웃백을 사일로의 제품출구에 고정하고 내용물을 백의 안으로 투입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 아웃백과 이너라이너가 분리되어 있어 내용물을 채우거나 비우는 동안에 상기 이너라이너가 상기 제품출구를 막아 내용물의 유입을 방하해고, 내용물을 비울 때 상기 아웃백의 배출구 쪽으로 빠지는 등 작업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 아웃백의 주입구 부분을 상기 이너라이너와 묶어서 고정하거나, 상기 아웃백의 내부 벽면에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 벨크로 등을 이용하여 상기 이너라이너를 고정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기 이너라이너와 상기 아웃백의 고정이 유지되지 못하게 떨어져 상기 이너라이너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상기 아웃백의 배출구 쪽으로 상기 이너라이너가 빠져나와 내용물 배출을 방해하는 등 작업속도를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아웃백과 상기 이너라이너 사이에 빈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아웃백이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만큼 내용물이 채워지지 못하여 보관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4-0027809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내용물을 보호하도록 구비되는 이너라이너를 고정하여 보관효율이 향상되되 내용물의 수납과 배출시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컨테이너백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투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된 아웃백과, 상기 아웃백의 내측에 배치되되 분체류를 상기 아웃백의 내측면과 분리하여 수납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넓게 형성된 수납부와 좁게 형성된 입구부 및 출구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상측 및 하측 경사부가 형성된 이너라이너와, 상기 이너라이너를 상기 아웃백에 연결하는 직물 연결테이프를 포함하는 컨테이너백에 있어서, 상기 직물 연결테이프는 각각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이너라이너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 직물 연결테이프와 상기 이너라이너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직물 연결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직물 연결테이프의 일측은 상기 수납부와 상기 상측 경사부가 연결되는 제1절곡부의 상측에 접착되고 타측이 상기 아웃백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고정되되,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을 잇는 연결라인이 상기 이너라이너의 상하방향 중심선과 30~60°의 사이각을 이루도록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 직물 연결테이프의 일측은 상기 수납부와 상기 하측 경사부가 연결되는 제2절곡부의 상측에 접착되되, 상기 수납부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200~400mm 상승된 높이 범위에 접착되며, 타측은 수평하게 연장되어 상기 아웃백의 내측면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직물 연결테이프는 상기 이너라이너의 모서리가 삽입되어 접착되도록 중첩된 테이프로 구비되되 상기 일측이 두 갈레로 분리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백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이너라이너는 제1절곡부의 상측에 상기 상부 직물 연결테이프가 접착되어 아웃백에 고정되므로 상기 아웃백의 상측이 외부 지지대에 거치되면 상기 제1절곡부의 상측이 당겨져 상기 수납부의 상측 테두리가 구겨지지 않고 상기 아웃백의 보관부 상측 테두리에 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아웃백의 최대용량에 대응하여 분체류를 수납하므로 수납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이너라이너는 제2절곡부의 상측에 상기 하부 직물 연결테이프가 접착되어 아웃백에 고정되므로 분체류 배출시 가해지는 마찰과 하중으로 상기 하측 경사부가 당겨짐에 따라 상기 제2절곡부는 하향 경사를 형성하여 수납된 분체류가 부가적인 작업 없이도 정체되지 않고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어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셋째, 상기 직물 연결테이프는 중첩된 테이프로 구비되어 두 갈레로 분리된 상기 일측 사이에 이너라이너의 모서리가 삽입되어 접착되므로, 상기 직물 연결테이프와 상기 이너라이너 사이의 부착면적을 증가시켜 하중을 분산하여 지지하므로 이너라이너의 찢어짐 등 손상을 방지하고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컨테이너백을 나타낸 예시도.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너라이너 및 직물 연결테이프를 나타낸 측면도.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의 분체류 배출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너라이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너라이너에 분체류가 충진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너라이너 및 직물 연결테이프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의 분체류 배출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백(200)은 아웃백(10), 이너라이너(20), 그리고 직물 연결테이프(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아웃백(10)은 외부로부터 수납된 내용물을 보호하도록 합성수지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아웃백(10)은 유연성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내용물을 수납하지 않은 상태에서 부피를 최소로 하여 보관하고, 내용물을 수납할 때는 물류비의 경감을 위해 정해진 공간에 많은 양의 화물을 수납하도록 외형의 변형이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아웃백(10)은 천연 섬유재, PVC(polyvinyl chloride), 합성수지재(polypropylene, polyethylene)를 사용하여 직조하며, 다단 적층이나 병렬 적재되기 용이한 외형을 유지하는 동시에 수납된 중량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지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아웃백(10)은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투입구(12) 및 상기 배출구(11) 사이에 넓게 형성된 보관부(13)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용물은 펠렛(pellet)이나 그래뉼(granule), 파우더(powder) 등 일정한 크기를 가지거나 미세한 입자 형태로 구비된 분체류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분체류의 보관시 상기 수용공간에는 상기 분체류를 상기 아웃백(10)의 내측면과 분리하여 수납하는 이너라이너(2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이너라이너(20)는 내용물을 수용하여 보관 및 운반할 때 내용물을 상기 아웃백(10)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하여 내용물의 손실 및 누출을 방지하며,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여 내용물의 품질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이너라이너(20)는 분체류를 상기 아웃백(10)의 내측면과 분리하여 수납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되, 넓게 형성된 수납부(23)와 좁게 형성된 입구부(21) 및 출구부(22)가 연결되는 부분에 상측 및 하측 경사부(24,25)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납부(23)와 상기 입구부(21)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상측 경사부(24)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23)와 상기 출구부(22)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하측 경사부(25)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이너라이너(20)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되 화학적으로 안정하여 수납된 분체류와 낮은 반응성을 가지도록 섬유재 시트나 합성수지재(polyethylene, 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 시트, 다층 필름 시트, 그리고 알루미늄 필름 시트 등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너라이너(20)가 복수장의 필름을 연결하여 좁은 형태의 입구부(21) 및 출구부(22)를 가지는 것을 예로 설명하지만, 상기 이너라이너(20)는 일체형의 시트로 구비되어 양측단부를 연결한 원통형 몸체로 구비되되, 원통형 몸체의 상측과 하측 일부를 절개하여 제거하고, 절개된 부분을 접합하여 좁은 형태의 입구부 및 출구부를 가지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세히, 상기 이너라이너(20)는 상기 저장공간의 전면과 후면을 형성하는 베이스부(20a)와 상기 저장공간의 양측을 형성하도록 상하방향의 접힘선(20c)이 내측으로 접히되 양측 테두리가 상기 베이스부(20a)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사이드부(20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부(20a) 및 상기 사이드부(20b)는 상하방향의 중심측이 넓고 상하측이 좁은 시트로 구비되어 각각의 테두리가 상호 결합됨에 따라 상기 아웃백(10)의 내측 형상에 형합되는 형태의 이너라이너(20)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넓은 중심측과 좁은 상하측을 연결하는 부분이 경사지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이너라이너(20)는 상하방향의 중심측에 넓게 형성된 수납부(23)가 형성되고, 상측 및 하측에 좁게 형성된 입구부(21) 및 출구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구부(21)와 상기 수납부(23)가 연결되는 부분에 상측 경사부(24)가 형성되며, 상기 출구부(22)와 상기 수납부(23)가 연결되는 부분에 하측 경사부(2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라이너(20)는 보관될 때 상기 사이드부(20b)의 접힘선(20c)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접힘으로써 상기 베이스부(20a) 사이가 밀착되어 납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라이너(20)는 상기 접힘선(20c)이 펴지면서 내측의 저장공간이 확장되어 분체류가 수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너라이너(20)는 외측에 결합되는 상기 아웃백(10)의 내측 형태에 형합되게 구비되므로 입구부(21)와 출구부(22)의 직경차이가 없는 원통형의 이너라이너를 제조하는 데에 비해 원재료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라이너(20)는 상기 아웃백(10)의 내측 형태에 형합되게 형성되므로 분체류가 충진될 때 상기 이너라이너(20)가 불특정한 방향으로 접히지 않고 상기 아웃백(10)의 내부 형상에 맞게 상기 분체류가 채워지므로 보관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이너라이너(20)가 상기 아웃백(10)의 형상과 동일한 지지형태로 구비되므로, 상기 분체류의 하중을 상기 이너라이너(10)에서 일차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이너라이너(10)의 외측을 상기 아웃백(20)으로 지지하여 상기 분체류를 분산 지지할 수 있어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직물 연결테이프(30)는 상기 이너라이너(20)를 상기 아웃백(10)의 내측면에 고정하도록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직물 연결테이프(30)는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혹은 폴리에틸렌(PE, polyehylene)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 원사를 제직하여 형성된 직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직물의 일면에 아크릴접착제 혹은 천연고무접착제 등을 도포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직물 연결테이프(30)는 일측(32)이 상기 이너라이너(20)의 외측면에 접착되고, 타측(31)이 상기 아웃백(10)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직물 연결테이프(30)의 일측(32)은 일면에 도포된 상기 아크릴접착제나 천연고무접착제에 의해 상기 이너라이너(20)에 접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직물 연결테이프(30)의 타측(31)은 상기 아웃백(10)의 내측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봉제하여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직물 연결테이프(30)의 타측(31) 역시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할 수 있으며, 상기 타측(31)을 상기 아웃백의 내측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열융착 등으로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직물 연결테이프(30)는 합성수지 재질의 원사로 제직된 직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직물 연결테이프(30)는 상기 이너라이너(20)의 모서리가 삽입되어 접착되도록 중첩된 테이프로 구비되되 상기 일측(32)이 두 갈레로 분리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직물 연결테이프(30)는 한쌍의 테이프로 구비되되, 각 테이프의 일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각 일면이 상호 접착될 수 있다. 그리고, 타측(31)은 접착되어 일체로 결합되되, 일측(32)은 두 갈레로 분리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일측(32) 사이에 상기 이너라이너(20)의 모서리가 삽입되어 접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직물 연결테이프(30)는 한장의 테이프로 구비되되, 접착제가 도포된 일면 방향으로 접어 접착될 수 있다. 그리고, 타측(31)은 상기 테이프가 접혀져 접착됨에 따라 일체로 결합되되, 일측(32)은 두 갈레로 분리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일측(32) 사이에 상기 이너라이너(20)의 모서리가 삽입되어 접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직물 연결테이프(30)는 상기 이너라이너(20)의 각 모서리에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기 직물 연결테이프(30)는 상기 이너라이너(20)의 모서리 양측에 접착될 수 있으며, 상기 직물 연결테이프(30)의 일측(32)과 상기 이너라이너(20) 간의 부착면적이 증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너라이너(20)와 상기 직물 연결테이프(30)가 부착된 부분에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되어 상기 이너라이너(20)의 찢어짐을 방지하고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물 연결테이프(30)의 타측(31)은 상기 이너라이너(20)의 모서리가 삽입되지 않은 부분부터 아웃백(10)의 내측면에 봉제됨으로써 상기 이너라이너(20)를 상기 아웃백에 내측 형태에 형합되도록 타이트하게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직물 연결테이프(30)는 850~1100denier의 두께를 갖는 원사로 형성된 직물로 구비되되, 상기 8~12/inch의 조밀도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원사가 850denier 미만인 경우에 상기 이너라이너(20)에 수납된 상기 분체류의 하중으로 인해 상기 직물 연결테이프(30)가 늘어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사가 1100denier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직물 연결테이프(30)는 상기 아웃백(10)에 결합될 때 상기 이너라이너(20)의 하중이 여러 원사로 분산되지하지 못하고 개별 원사로 집중되어 타측(31)의 봉제된 부분이 튿어져 분리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직물의 조밀도가 8/inch 미만인 경우에 상기 직물 연결테이프(30)의 일면에 도포된 접착제가 타면으로 세어나올 수 있으며, 상기 직물의 조밀도가 12/inch를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직물 연결테이프(30)의 유연성이 저하되어 상기 이너라이너(20)의 유연한 변형에 대응하지 못하고 상기 이너라이너(20)를 손상시키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직물 연결테이프(30)는 각각이 70~100kgf/5cm의 인장강도를 가지도록 구비되어 각 모서리에 결합됨에 따라 분체류가 충진된 상기 이너라이너(20)를 상기 아웃백(10)의 내측면에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직물 연결테이프(30)는 상기 이너라이너(20)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 직물 연결테이프(30a)와 상기 이너라이너(20)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직물 연결테이프(30b)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상부 직물 연결테이프(30a)는 상기 이너라이너(20)의 상부 각 모서리에 구비되고, 상기 하부 직물 연결테이프(30b)는 상기 이너라이너(20)의 하부 각 모서리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이너라이너(20)를 상기 아웃백(10)에 봉제하여 결합할 때 봉제부분이 최소화된 상태에서 견고하게 결합 될 수 있으므로, 상기 아웃백(10)의 강도 저하를 방지하여 안정적인 수납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상부 직물 연결테이프(30a)의 일측(32)은 상기 수납부(23)와 상기 상측 경사부(24)가 연결되는 제1절곡부(26)의 상측에 접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23)는 상기 아웃백(10)의 보관부(13) 내측 단면에 대응되도록 상기 베이스부(20a) 및 상기 사이드부(20b)의 각 테두리가 상호 결합되어 사각 단면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아웃백(10)의 내부에 상기 이너라이너(20)가 결합되고, 상기 이너라이너(20)의 내부에 분체류가 수납되면 상기 아웃백(10)의 외부 형상이 사각 기둥의 형태가 될 수 있으며, 다단 및 병렬 적재시 상기 아웃백(10) 사이의 공극이 감소되어 빈공간 없이 효율적인 적재 및 보관이 가능하다.
상세히, 상기 수납부(23)는 상기 아웃백(10)의 보관부(13)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과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과 길이라는 말은 상기 보관부(13)의 내측 공간에 상기 수납부(23)가 배치되어 상기 수납부(23)의 외측면이 상기 보관부(13)의 내측면과 밀착됨과 아울러 폭과 길이는 분체류를 수납하고 적재하여 사용시 적합한 상태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수납부(23)의 외측면의 측부 테두리(23a)는 상기 보관부(13)의 내측면의 측부 테두리(13a)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23)의 상측 경사부(24)는 상기 아웃백(10)의 보관부(13)와 투입구(12)가 연결되는 부분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상측 직물 연결테이프(30a)의 일측(32)은 상기 제1절곡부(26)의 상측에 접착되되, 상기 직물 연결테이프(30a)의 하측 단부가 상기 제1절곡부(26)에 밀착하도록 접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측 직물 연결테이프(30a)의 타측(31)은 상기 수납부(23)의 상측 테두리(23b)가 상기 아웃백(10)의 보관부(13) 상측 테두리(13b)에 배치되도록 상기 아웃백(10)의 보관부(13)와 투입구(12)가 연결되는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아웃백(10)은 상측에 구비된 리프팅 고리부(14)를 외부 지지대에 거치한 상태로 상기 분체류를 충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아웃백(10)의 상측이 상기 외부 지지대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상기 상부 직물 연결테이프(30a)는 상기 일측(32)이 접착된 상기 제1절곡부(26)의 상측 부분을 상측으로 당기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납부(23)의 상측 테두리(23b)가 구겨지지 않고 상기 아웃백(10)의 보관부(13) 상측 테두리(13b)에 밀착되므로 상기 이너라이너(20)는 분체류 충진시 상기 보관부(13)의 내부 공간에 빈공간 없이 상기 아웃백(10)의 최대용량에 대응하여 분체류를 수납할 수 있어 수납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분체류를 급속하게 충진하거나 배출할 때 형성되는 진공압이 상기 빈공간으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이너라이너(20)가 찢어지는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직물 연결테이프(30a)의 일측(32)이 상기 제1절곡부(26)의 상측에 접착되므로 분체류의 하중에 의한 압력으로 상기 수납부(23)의 상측 테두리(23b)가 접히지 않고 상기 아웃백(10)의 상측 테두리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어 수납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라이너(20)의 제1절곡부(26)의 상측이 상기 아웃백(10) 보관부(13)의 상측에 결합되므로 상기 분체류의 하중은 상기 아웃백(13)의 측면이 아닌 상면측에 지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아웃백(13)의 외측 형상이 사각기둥형태로 정확하게 유지되므로 보관 및 적재시 타 아웃백과의 공극이 감소될 수 있어 보관 및 적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 직물 연결테이프(30a)는 일측(32)과 타측(31)을 잇는 연결라인(30c)이 상기 이너라이너(20)의 상하방향 중심선(20d)과 30~60°의 사이각(θ1)을 이루도록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부 직물 연결테이프(30a)의 일측(32)은 상기 이너라이너(20)의 제1절곡부(26)의 상측에 접착되고, 타측(31)은 상기 아웃백(10)의 보관부(13) 상측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타측(31)에서 일측(31)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연결라인(30c)과 상기 이너라이너(20)의 상하방향 중심선(20d)이 만나 이루는 사이각(θ1)이 30~60°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아웃백(10)의 배출구(11) 및 상기 이너라이너(20)의 출구부(22)를 밀폐하고 상기 아웃백(10)의 리프팅 고리부(14)를 외부 지지대에 거치한 상태에서 상기 이너라이너(20)에 분체류를 충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분체류의 하중은 상기 상부 직물 연결테이프(20a)에 중력 방향의 압력을 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분체류는 피라미드 형태로 쌓이며 상기 이너라이너(20)의 수납부(23) 측면 테두리(23a)에 외측 방향의 압력을 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 직물 연결테이프(30a)는 상기 이너라이너(30)의 제1절곡부(26) 상측에 접착되되 상기 아웃백(10)의 보관부(13) 상측으로 경사지게 결합되므로 상기 일측(32)에 가해진 상기 중력 방향의 압력은 상기 일측(32)을 하측 방향으로 당기는 힘과 상기 일측(32)을 아웃백(10)측으로 밀어주는 힘으로 분산된다.
또한, 상기 분체류의 하중으로 상기 이너라이너(20)의 수납부(23) 측면 테두리(23a)에 가해지는 외측 방향의 압력은 상기 일측(32)을 이너라이너(20) 내부 측으로 당기며 하측 방향으로 당기는 힘을 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너라이너(20)의 수납부 상측 테두리(23b)가 상기 아웃백(10)의 보관부 상측 테두리(13b)에 견고하게 밀착되므로 제품의 수납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일측(32)을 아웃백(10)측으로 밀어주는 힘과 상기 일측(32)을 이너라이너(20) 내부 측으로 당기는 힘이 상쇄되므로 상기 접착된 일측(32)이 분리되거나 상기 일측(32)이 접착된 상기 이너라이너(20)가 찢어지는 등의 손상을 방지하여 제품의 수납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타측(31)에서 일측(31)을 연결하는 연결라인(30c)과 상기 이너라이너(20)의 상하방향 중심선(20d)이 만나 이루는 사이각(θ1)이 30°미만이면 상기 이너라이너(20)의 수납부 상측 테두리(23b)가 상기 아웃백(10)의 보관부 상측 테두리(13b)에서 이격되어 보관효율이 감소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측(31)에서 일측(31)을 연결하는 연결라인(30c)과 상기 이너라이너(20)의 상하방향 중심선(20d)이 만나 이루는 사이각(θ1)이 60°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일측(32)에 가해지는 하측 방향의 압력에 대한 지지력이 감소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 직물 연결테이프(30b)의 일측(33)은 상기 수납부(23)와 상기 하측 경사부(25)가 연결되는 제2절곡부(27)의 상측에 접착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하부 직물 연결테이프(30b)의 일측(33)은 상기 수납부(23)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200~400mm 상승된 높이(c) 범위에 접착되며, 타측(34)은 수평하게 연장되어 상기 아웃백(10)의 내측면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아웃백(10)의 리프팅 고리부(14)가 외부 지지대에 거치된 상태에서 밀폐된 상기 아웃백(10)의 배출구(11) 및 상기 이너라이너(20)의 출구부(22)를 개방하면 상기 분체류(S)를 배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너라이너(20)는 상기 수납부(23)의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부분이 상기 아웃백(10)의 내측면에 연결되므로 상기 분체류(S)가 배출될 때의 마찰 및 하중으로 인해 상기 하측 경사부(25)는 하측으로 당겨지고 상기 제2절곡부(27)는 상기 하측 경사부(25)의 경사면과 연결되도록 펼쳐지며 하향 경사를 형성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수납부(23) 하측 테두리에 수납된 분체류(S)가 정체되지 않고 상기 아웃백(10)을 털거나 쳐주는 부가적인 작업 없이도 상기 출구부(22)로 원활하게 유도되어 배출될 수 있어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물론, 분체류 입자가 미세하고 가벼울수록 상기 수납부(23) 하단으로부터 먼 부분이 상기 아웃백(10)의 내측면에 연결되고, 입자가 크고 무거울수록 상기 수납부(23) 하단으로부터 가까운 부분이 상기 아웃백(10)의 내측면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부 직물 연결테이프(30b)의 타측(34)과 일측(33)의 기울기가 상기 상하방향 중심선(20d)과 90°를 이루도록 수평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 직물 연결테이프(30b)는 분체류(S)의 배출시 마찰력으로 인해 상기 이너라이너(20)의 내측으로 당겨지는 하측 경사부(25)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직물 연결테이프(30b)의 일측(33)이 상기 수납부(23)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200mm미만으로 상승된 높이범위에 접착되면 분체류 입자 크기에 따라 상기 출구부(22)로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직물 연결테이프(30b)의 일측(33)이 상기 수납부(23)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400mm를 초과하여 상승된 높이범위에 접착되면 상기 분체류의 수납시 상기 이너라이너(20)의 수납부(23) 하측 테두리가 구겨져 상기 아웃백(10) 보관부(13) 하측 테두리로부터 이격되어 보관효율이 저하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직물 연결테이프(30a)와 하부 직물 연결테이프(30b)가 별로도 구비된 것을 예로 설명하지만, 상기 상부 직물 연결테이프(30a) 및 상기 하부 직물 연결테이프(30b)는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이너라이너(20)의 모서리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일체로 구비된 상기 직물 연결테이프의 하단은 제2절곡부(27)에서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직물 연결테이프의 상단은 제1절곡부(26)의 상측부까지 접착되어 상기 아웃백(10)으로 결합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 직물 연결테이프(30a)는 상기 제1절곡부(26)의 상측에 상기 수납부(23)의 상측 테두리를 따라 좌우방향으로 길게 구비되고, 상기 하부 직물 연결테이프(30b)는 상기 제2절곡부(27)의 상측에 좌우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너라이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너라이너에 분체류가 충진되는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너라이너(120)에 미끄럼방지부(121a)가 구비되는 것을 제외한 기본 구성은 전술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입구부(121)의 외면측 상단 테두리에는 실리콘 계열의 수지로 형성된 미끄럼방지부(121a)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입구부(121)는 상기 분체류의 충진시 상기 미끄럼방지부(121a)가 상기 아웃백(110)의 투입구(111) 외면에 접하도록 외측으로 접혀 상기 투입구(11) 상단 테두리에 걸림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사일로(9)에서 배출된 분체류(S)는 상기 입구부(121) 및 상기 투입구(111)로 유입되어 상기 이너라이너(120)에 충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구부(121)는 상기 미끄럼방지부(121a)가 상기 투입구(111)의 외면과 접촉하여 마찰력이 향상되므로 상기 분체류(S)의 마찰력에 의해 미끌어지지 않고 상기 투입구(111)에 견고하게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투입구(111) 및 상기 입구부(121)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분체류가 세지 않고 상기 이너라이너(120)에 정확하게 충진될 수 있어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날카로운 이물질 등이 상기 아웃백(110)과 상기 이너라이너(120) 사이로 유입되어 상기 이너라이너(120)를 손상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분체류(S)를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200: 컨테이너백 1,10,110: 아웃백
2,20,120: 이너라이너 12,111: 투입구
11: 배출구 13: 보관부
14: 리프팅 고리부 21,121: 입구부
22: 출구부 24: 상측 경사부
23: 수납부 25: 하측 경사부
26: 제1절곡부 27: 제2절곡부
30: 직물 연결테이프 S: 분체류

Claims (5)

  1.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투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된 아웃백과, 상기 아웃백의 내측에 배치되되 분체류를 상기 아웃백의 내측면과 분리하여 수납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넓게 형성된 수납부와 좁게 형성된 입구부 및 출구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상측 및 하측 경사부가 형성된 이너라이너와, 상기 이너라이너를 상기 아웃백에 연결하는 직물 연결테이프를 포함하는 컨테이너백에 있어서,
    상기 직물 연결테이프는 각각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이너라이너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 직물 연결테이프와 상기 이너라이너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직물 연결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직물 연결테이프의 일측은 상기 수납부와 상기 상측 경사부가 연결되는 제1절곡부의 상측에 접착되고 타측이 상기 아웃백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고정되되,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을 잇는 연결라인이 상기 이너라이너의 상하방향 중심선과 30~60°의 사이각을 이루도록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직물 연결테이프의 일측은 상기 수납부와 상기 하측 경사부가 연결되는 제2절곡부의 상측에 접착되되, 상기 수납부 하단으로부터 상측으로 200~400mm 상승된 높이 범위에 접착되며, 타측은 수평하게 연장되어 상기 아웃백의 내측면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 연결테이프는 상기 이너라이너의 모서리가 삽입되어 접착되도록 중첩된 테이프로 구비되되 상기 일측이 두 갈레로 분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백.
KR20130111234A 2013-09-16 2013-09-16 컨테이너백 KR101491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1234A KR101491820B1 (ko) 2013-09-16 2013-09-16 컨테이너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1234A KR101491820B1 (ko) 2013-09-16 2013-09-16 컨테이너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1820B1 true KR101491820B1 (ko) 2015-02-11

Family

ID=52591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1234A KR101491820B1 (ko) 2013-09-16 2013-09-16 컨테이너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182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58634A (ja) * 2016-10-09 2018-04-12 日豊製袋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バッグおよびそれへの充填物の充填方法
KR102144570B1 (ko) 2019-12-24 2020-08-13 민인순 폼핏라이너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컨테이너백
EP3778431A1 (en) * 2019-08-16 2021-02-17 Lincoln Global, Inc. Liner bag for a bulk container and corresponding method
KR102492023B1 (ko) * 2022-07-27 2023-01-27 최용덕 컨테이너백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624274B1 (ko) 2023-05-09 2024-01-16 주식회사 케이피에스코리아 이중 톤백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3661A (ja) * 2006-02-27 2007-09-06 Naikai Kigyo Kk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用内袋、その製造方法及び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KR20110085191A (ko) * 2010-01-19 2011-07-27 김광호 톤백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3661A (ja) * 2006-02-27 2007-09-06 Naikai Kigyo Kk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用内袋、その製造方法及び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
KR20110085191A (ko) * 2010-01-19 2011-07-27 김광호 톤백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58634A (ja) * 2016-10-09 2018-04-12 日豊製袋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バッグおよびそれへの充填物の充填方法
EP3778431A1 (en) * 2019-08-16 2021-02-17 Lincoln Global, Inc. Liner bag for a bulk container and corresponding method
CN112389840A (zh) * 2019-08-16 2021-02-23 林肯环球股份有限公司 散装焊剂袋混合衬里袋
US11767158B2 (en) 2019-08-16 2023-09-26 Lincoln Global, Inc. Bulk flux bag hybrid liner bag
KR102144570B1 (ko) 2019-12-24 2020-08-13 민인순 폼핏라이너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컨테이너백
KR102492023B1 (ko) * 2022-07-27 2023-01-27 최용덕 컨테이너백 및 그의 제조방법
WO2024025191A1 (ko) * 2022-07-27 2024-02-01 최용덕 컨테이너백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624274B1 (ko) 2023-05-09 2024-01-16 주식회사 케이피에스코리아 이중 톤백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1820B1 (ko) 컨테이너백
RU2517058C2 (ru) Способ заполнения больших транспортных контейнеров высокочистыми гранулятами пластмасс
US3480059A (en) Collapsible receptacle for large quantities
US7506776B2 (en) Braceless liner
US20120281932A1 (en) Flexible bulk storage container having a discharge chute
CA2157839A1 (en) Recycleable bulk bag containers
JP4959850B1 (ja) フレキシブルコンテナバッグ
KR101475465B1 (ko)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
KR101964076B1 (ko) 컨테이너 백
KR101459114B1 (ko) 다단 하이브리드벨트가 구비된 컨테이너백
KR101476400B1 (ko) 컨테이너 백
EP3105149B1 (en)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fibc)
US20220041371A1 (en) Flexible container for packaging waste
KR20020060954A (ko) 용기의 충전 방법
CN217731428U (zh) 一种粉料吨袋
CN215206478U (zh) 带有斜拉筋的集装箱内衬袋
KR102107637B1 (ko) 컨테이너용 이너백장치
KR101475463B1 (ko) 컨테이너백용 이너라이너
CN220683536U (zh) 集装箱干散箱专用顶部开口式集装箱内衬袋
CN206345258U (zh) 吨袋
CN212448916U (zh) 一种透气式吨包袋
CN204872239U (zh) 一种结构改进的吨袋
JP2926474B2 (ja) 粉粒体の袋容器
KR102165313B1 (ko) 보강시트를 구비한 컨테이너 백
CN211443530U (zh) 聚酯或pta吨包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6